KR102142506B1 -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 - Google Patents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506B1
KR102142506B1 KR1020200021788A KR20200021788A KR102142506B1 KR 102142506 B1 KR102142506 B1 KR 102142506B1 KR 1020200021788 A KR1020200021788 A KR 1020200021788A KR 20200021788 A KR20200021788 A KR 20200021788A KR 102142506 B1 KR102142506 B1 KR 102142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clamp assembly
fastening
pillar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윤재
남윤석
Original Assignee
남윤재
남윤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윤재, 남윤석 filed Critical 남윤재
Priority to KR1020200021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14Cap nuts; Nut caps or bolt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측클램프의 홈에 내측클램프를 구비하여 원기둥용 판넬클램프 및 외주면의 형상이 불규칙한 기둥에도 외측클램프와 내측클램프가 각각 기둥의 외주면에 접촉함으로써 접촉 면적이 최대화되어 체결강도를 높일 수 있는 클램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CLAMP ASSEMBLY HAVING INNER AND OUTER CLAMP}
본 발명은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측클램프의 홈에 내측클램프를 구비하여 원기둥용 판넬클램프 및 외주면의 형상이 불규칙한 기둥에도 외측클램프와 내측클램프가 각각 기둥의 외주면에 접촉함으로써 접촉 면적이 최대화되어 체결강도를 높일 수 있는 클램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시설물 또는 야외에 설치되는 어린이용 놀이시설 등에는 다양한 시설물을 서로 체결하기 위하여 클램프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건축공사와 같은 작업현장에서는 안전발판이나 안전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하여 복수의 기둥을 수직 및 수평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클램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클램프는, 클램프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볼트, 너트 등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체결볼트, 너트 등에 걸려 부딪히거나 넘어져서 안전사고를 일으킬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상 수려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클램프에 있어서는, 기둥의 외주면이 균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클램프와 기둥과의 접촉면적이 작아져 체결 후 클램프가 흘러내리거나 삐뚤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클램프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실용 제20-0471458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측클램프의 홈에 내측클램프를 구비하여 원기둥용 판넬클램프 및 외주면의 형상이 불규칙한 기둥에도 외측클램프와 내측클램프가 각각 기둥의 외주면에 접촉함으로써 접촉 면적이 최대화되어 체결강도를 높일 수 있는 클램프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는 내측면 중앙부에 홈이 형성되는 외측클램프; 및 상기 외측클램프의 홈에 인입되는 내측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클램프 및 내측클램프가 하나의 힌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각각 회동하여 오므려진 후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외측클램프의 끝단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클램프의 끝단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에 고정너트가 결합되어 상기 외측클램프가 기둥에 체결된 후 고정되고, 상기 체결돌기에 체결볼트가 결합되어 상기 내측클램프가 기둥에 체결된 후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너트의 내주면은 서로 대칭적으로 경사진 테이퍼(taper)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클램프 및 내측클램프의 끝단에 상기 고정돌기와 체결돌기를 덮어주는 마개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 조립체는 기둥의 외주면 형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외측클램프와 상기 내측클램프가 각각 단독으로 기둥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클램프와 상기 내측클램프를 각각 기둥의 외주면에 접촉시킨 후 체결함으로써 외주면의 형상이 불규칙한 기둥의 돌출된 부분과 오목한 부분에 상기 외측클램프와 상기 내측클램프가 각각 접촉하여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 조립체의 외주면에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체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공이 상기 고정체를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체의 체결공에 판넬이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 조립체의 외주면에 수용홈이 형성된 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의 수용홈에 파이프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클램프 조립체의 외주면에 체결공이 형성된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공이 상기 결합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체결공 상단 또는 하단에 판넬이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조립체는 외측클램프의 홈에 내측클램프를 구비하여 외주면의 형상이 불규칙한 기둥에도 외측클램프와 내측클램프가 각각 기둥의 외주면에 접촉함으로써 접촉 면적이 최대화되어 체결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기둥의 외경이 위치마다 다른 경우에는 2개의 클램프가 모두 조여서 고정 가능하다.
또한, 기둥의 형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외측클램프와 내측클램프가 각각 단독으로 기둥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체결될 수도 있고, 외측클램프와 내측클램프가 모두 기둥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외측클램프와 내측클램프를 기둥에 체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구성인 고정돌기, 고정너트, 체결돌기 및 체결볼트가 모두 외측클램프의 몸체 내측으로 인입 형성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클램프 조립체의 외관 디자인을 수려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외측클램프 및 내측클램프의 끝단에 고정돌기 및 체결돌기와, 고정돌기 및 체결돌기를 체결하기 위한 고정너트 및 체결볼트를 모두 덮어 가려줄 수 있는 반원형 형태의 마개를 형성함으로써 클램프 조립체의 외관 디자인을 수려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돌출되는 구성들을 모두 가려줌과 동시에 완만한 곡선 형상의 반원형 형태로 형성된 마개로 인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에 마개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가 기둥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가 외주면의 형상이 불규칙한 기둥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가 연결부를 통해 기둥을 서로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에서 연결부와 클램프 조립체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 개략도이다.
도 9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에 마개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가 기둥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가 외주면의 형상이 불규칙한 기둥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가 연결부를 통해 기둥을 서로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에서 연결부와 클램프 조립체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 개략도이고, 도 9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100, 이하 '클램프 조립체'라 함)는 외측클램프(110) 및 내측클램프(1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외측클램프(110)는 기둥(14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몸체부(111, 112)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몸체부(111, 112)의 일측 끝단이 각각 힌지부(150)에 형성된 2개의 힌지축(15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몸체부(111, 112) 각각이 힌지부(150)의 힌지축(15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오므려지거나 펼쳐진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몸체부(111, 112)의 타측 끝단에는 상기 한쌍의 몸체부(111, 112)를 체결하기 위한 고정돌기(113)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113)에 고정너트(114)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몸체부(111, 112)가 기둥(140)에 체결된 후 고정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돌기(113) 및 고정너트(114)의 내주면은 서로 대칭적으로 경사진 테이퍼(taper) 구조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고정너트(114)를 회전시켜 조일수록 상기 고정돌기(113)가 서로 밀착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몸체부(111, 112)가 오므려지면서 외측클램프(110)의 내경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몸체부(111, 112)의 내측면 중앙부에는 후술할 내측클램프(120)가 인입되기 위한 홈(115)이 형성된다.
내측클램프(120)는 상기 외측클램프(110)의 내측면 중앙부에 형성된 홈(115)에 인입되어 상기 외측클램프(110)와는 별개로 오므려지거나 펼쳐져 기둥(140)에 체결되는 구성으로, 상기 외측클램프(110)와 마찬가지로 기둥(14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몸체부(121, 122)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몸체부(121, 122)의 일측 끝단이 각각 힌지부(150)에 형성된 2개의 힌지축(15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몸체부(121, 122) 각각이 힌지부(150)의 힌지축(15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오므려지거나 펼쳐진다.
또한, 상기 내측클램프(120)의 상기 한 쌍의 몸체부(121, 122)의 타측 끝단에는 상기 한쌍의 몸체부(121, 122)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돌기(123)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123)에 체결볼트(124)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몸체부(121, 122)가 기둥(140)에 체결된 후 고정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고정돌기(113)가 상기 외측클램프(110)의 한 쌍의 몸체부(111, 112)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123)가 상기 고정돌기(113)의 내측에 형성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고정돌기(113) 및 체결돌기(123)와, 상기 고정돌기(113) 및 체결돌기(123)를 체결하기 위한 고정너트(114) 및 체결볼트(124)가 모두 상기 외측클램프(110)의 한 쌍의 몸체부(111, 112) 내측에 인입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클램프 조립체(100)의 외관 디자인을 수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클램프(110) 및 내측클램프(120)의 끝단에 고정돌기(113) 및 체결돌기(123)와, 상기 고정돌기(113) 및 체결돌기(123)를 체결하기 위한 고정너트(114) 및 체결볼트(124)를 모두 덮어 가려줄 수 있는 반원형 형태의 마개(180)를 형성함으로써 클램프 조립체(100)의 외관 디자인을 수려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돌출되는 구성들을 모두 가려줌과 동시에 완만한 곡선 형상의 반원형 형태로 형성된 마개(180)로 인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100)가 기둥(140)에 체결되는 과정 및 이에 따른 작용 효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조립체(100)는 기둥(140)의 형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외측클램프(110)와 내측클램프(120)가 각각 단독으로 기둥(140)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체결될 수 있으며, 외측클램프(110)와 내측클램프(120)가 모두 기둥(140)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기(113)에 고정너트(114)를 결합하여 조여줌으로써 외측클램프(110)의 내주면 상하단 양단이 기둥(140)의 외주면과 맞닿을 때까지 외측클램프(110)를 오므려지게 한 후 고정시키고, 체결돌기(123)에 체결볼트(124)를 결합하여 조여줌으로써 내측클램프(120)의 내주면이 기둥(140)의 외주면과 맞닿을 때까지 내측클램프(120)를 오므려지게 한 후 고정시키면, 외측클램프(110)와 내측클램프(120)의 내주면이 기둥(140)의 외주면과 모두 접촉하여 체결되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돌기(123)에 체결볼트(124)를 결합하여 조여줌으로써 내측클램프(120)의 내주면이 기둥(140)의 외주면과 맞닿을 때까지 내측클램프(120)를 오므려지게 한 후 고정시키고, 고정돌기(113)에 고정너트(114)를 결합하여 외측클램프(110)를 고정시키면 내측클램프(120)가 단독으로 기둥(140)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체결된다. 또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기(113)에 고정너트(114)를 결합하여 조여줌으로써 외측클램프(110)의 내주면 상하단 양단이 기둥(140)의 외주면과 맞닿을 때까지 외측클램프(110)를 오므려지게 한 후 고정시키고, 체결돌기(123)에 체결볼트(124)를 결합하여 내측클램프(120)를 고정시키면 외측클램프(110)가 단독으로 기둥(140)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조립체는 외측클램프(110)의 홈(115)에 내측클램프(120)를 구비하여 외주면의 형상이 불규칙한 기둥(140)에도 외측클램프(110)와 내측클램프(120)가 각각 기둥(140)의 외주면에 접촉함으로써 접촉 면적이 최대화되어 체결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40)의 외주면이 불규칙한 경우에는 고정돌기(113)에 고정너트(114)를 결합하여 조여줌으로써 외측클램프(110)의 내주면 상하단 양단이 기둥(140)의 외주면의 돌출된 부분과 맞닿을 때까지 외측클램프(110)를 오므려지게 한 후 고정시키고, 체결돌기(123)에 체결볼트(124)를 결합하여 조여줌으로써 내측클램프(120)의 내주면이 기둥(140)의 외주면의 오목한 부분과 맞닿을 때까지 내측클램프(120)를 오므려지게 한 후 고정시키면, 외측클램프(110)와 내측클램프(120)의 내주면이 기둥(140) 외주면의 돌출된 부분과 오목한 부분에 모두 접촉하여 체결됨으로써 접촉 면적이 최대화되어 체결강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둥(140)에 체결된 클램프 조립체(10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30)가 결합되어 다른 기둥(140)에 결합된 클램프 조립체(100)와 연결됨으로써 각각의 기둥(140)을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클램프 조립체(100)에 결합된 연결부(13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 조립체(100)에 형성된 가이드홈(131)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거나 제자리에서 360도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각의 클램프 조립체(100)에 의해 체결된 기둥(140)의 각도와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연결 및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클램프(110)와 내측클램프(120) 사이의 틈새에 얇은 호형철판(132)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호형철판(132)이 연결부(130)와 결합되어 연결부(130)가 가이드홈(131)을 따라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클램프 조립체(100)에 의해 체결된 기둥(14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조립체(100)의 가이드홈(131)에 수용홈이 형성된 연결체(161)가 좌우로 이동하거나 제자리에서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연결체(161)의 수용홈에 파이프(160)가 결합될 수 있으며(도 9(a) 참조), 클램프 조립체(100)의 좌우에 각각 가이드홈(131)을 형성하고, 한 쪽의 가이드홈(131)에 고정부(171)를 통해 판넬(171)이 결합되고, 다른 쪽의 가이드홈(131)에 수용홈이 형성된 연결체(161)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체(161)의 수용홈에 파이프(160)가 결합된 후 상기 파이프(160)가 박스 형태의 구조물(190)에 형성된 결합홈에 인입됨으로써 박스 형태의 구조물(190)을 파이프(160)에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9(b) 참조). 또한, 4개의 클랩프 조립체(100)가 각각 기둥에 결합된 상태에서 각각의 클램프 조립체(100)의 가이드홈(131)에 고정부(171)를 결합한 후, 바닥판을 형성하기 위한 판넬(170)의 각 모서리의 하단에 고정부(171)를 결합하여 바닥판을 형성하기 위한 판넬(170)을 단단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9(c) 참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클램프 조립체(100)에 가이드홈(131)을 다수개 형성하고, 다양한 형태의 연결체(기둥, 파이프, 판넬 등)를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도 10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조립체(100)의 외주면 일 측면에 체결공(201)이 형성된 고정체(200)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공(201)이 고정체(200)를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도 10 참조), 상기 고정체(200)의 체결공(201)을 통해 판넬(170)이 수직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도 14 참조), 클램프 조립체(100)의 외주면 좌우 양 측면에 체결공(201)이 형성된 고정체(200)가 구비되어(도 11 참조), 상기 양 측면의 고정체(200)의 체결공(201)에 각각 판넬(170)이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도 15 참조). 또한, 클램프 조립체(100)의 외주면 일 측면에 체결공(201)이 형성된 고정체(200)가 구비되고, 클램프 조립체(100)의 외주면 타 측면에 수용홈(211)이 형성된 연결부(210)가 구비되어(도 12 참조), 상기 고정체(200)의 체결공(201)에 판넬(170)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210)의 수용홈(211)에 파이프(160)가 결합될 수 있으며(도 16 참조), 클램프 조립체(100)의 외주면 일 측면에 체결공(221)이 형성된 결합부(220)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공(221)이 결합부(22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도 13 참조), 상기 결합부(220)의 체결공(221)을 통해 판넬(170)이 수평 방향으로 결합부(22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도 17 참조). 이때, 도 17에는 판넬(170)이 결합부(220)의 하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판넬(170)이 결합부(220)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조립체(200)는 다수개의 접촉부(201)와 상기 접촉부(201)들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202)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202)가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되어 기둥(140)의 외주면 형상에 맞게 클램프 조립체(200)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시켜 기둥(140)의 외주면에 접촉부(201)들을 접촉시킨 후 돌기(203)에 볼트, 너트 등의 고정수단을 결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클램프 조립체(200)를 기둥(140)에 체결할 수 있다.
이때, 도 18에서는 접촉부(201)를 원기둥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접촉부(201)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조립체는 외측클램프의 홈에 내측클램프를 구비하여 외주면의 형상이 불규칙한 기둥(지점마다 외경이 다른 것임)에도 외측클램프와 내측클램프가 각각 기둥의 외주면에 접촉함으로써 접촉 면적이 최대화되어 체결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기둥의 외경이 위치마다 다른 경우에는 2개의 클램프가 모두 조여서 고정 가능하다.
또한, 기둥의 형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외측클램프와 내측클램프가 각각 단독으로 기둥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체결될 수도 있고, 외측클램프와 내측클램프가 모두 기둥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외측클램프와 내측클램프를 기둥에 체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구성인 고정돌기, 고정너트, 체결돌기 및 체결볼트가 모두 외측클램프의 몸체 내측으로 인입 형성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클램프 조립체의 외관 디자인을 수려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외측클램프 및 내측클램프의 끝단에 고정돌기 및 체결돌기와, 고정돌기 및 체결돌기를 체결하기 위한 고정너트 및 체결볼트를 모두 덮어 가려줄 수 있는 반원형 형태의 마개를 형성함으로써 클램프 조립체의 외관 디자인을 수려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돌출되는 구성들을 모두 가려줌과 동시에 완만한 곡선 형상의 반원형 형태로 형성된 마개로 인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클램프 조립체
110 : 외측클램프
111, 112 : 몸체부
113 : 고정돌기
114 : 고정너트
115 : 홈
120 : 내측클램프
121, 122 : 몸체부
123 : 체결돌기
124 : 체결볼트
130 : 연결부
131 : 가이드홈
132 : 호형철판
140 : 기둥
150 : 힌지부
151 : 힌지축
160 : 파이프
161 : 수용홈이 형성된 연결체
170 : 판넬
171 : 고정부
180 : 마개
190 : 박스 형태의 구조물
200 : 고정체
201 : 체결공
210 : 수용홈이 형성된 연결부
211 : 수용홈
220 : 결합부
221 : 체결공

Claims (9)

  1. 한쌍의 몸체부가 힌지부에 의해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몸체부의 내측면에 홈이 형성된 외측클램프;
    한쌍의 몸체부가 힌지부에 의해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외측클램프의 상기 홈에 인입되는 내측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클램프와 상기 내측클램프는 각각이 독립적으로 오므려져서 각각이 독립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클램프의 끝단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클램프의 끝단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에 고정너트가 결합되어 상기 외측클램프가 기둥에 체결된 후 고정되고,
    상기 체결돌기에 체결볼트가 결합되어 상기 내측클램프가 기둥에 체결된 후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너트의 내주면은 서로 대칭적으로 경사진 테이퍼(taper)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클램프 및 내측클램프의 끝단에 상기 고정돌기와 체결돌기를 덮어주는 마개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조립체를 기둥에 체결할 때에, 상기 외측클램프와 상기 내측클램프를 모두 고정시키거나 또는 상기 외측클램프와 상기 내측클램프 중에서 어느 하나만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외주면의 형상이 불규칙한 기둥에 상기 외측클램프와 상기 내측클램프가 체결될 때에는 상기 기둥의 상대적으로 외경이 작은 부분에 상기 내측클램프가 체결되고 상기 기둥의 상대적으로 외경이 큰 부분에 상기 외측클램프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조립체의 외주면에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체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공이 상기 고정체를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체의 체결공에 판넬이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조립체의 외주면에 수용홈이 형성된 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의 수용홈에 파이프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조립체의 외주면에 체결공이 형성된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공이 상기 결합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체결공 상단 또는 하단에 판넬이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
KR1020200021788A 2020-02-21 2020-02-21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 KR102142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788A KR102142506B1 (ko) 2020-02-21 2020-02-21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788A KR102142506B1 (ko) 2020-02-21 2020-02-21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506B1 true KR102142506B1 (ko) 2020-08-07

Family

ID=72049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788A KR102142506B1 (ko) 2020-02-21 2020-02-21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5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669B1 (ko) 2023-06-21 2024-04-15 한은희 이너 및 아우터 밴드부를 이용한 클램프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0169A (ko) * 2005-12-08 2007-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호스 연결용 클립
KR100952314B1 (ko) * 2009-08-27 2010-04-09 (주)디자인파크개발 파이프 및 패널의 조립이 용이한 클램프 조립체
KR20160004204U (ko) * 2015-05-29 2016-12-07 김환 가설 파이프용 클램프의 볼트와 너트 보호 캡
KR20180115852A (ko) * 2017-04-14 2018-10-24 엠에스인텍(주) 개폐식 선반 고정클램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0169A (ko) * 2005-12-08 2007-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호스 연결용 클립
KR100952314B1 (ko) * 2009-08-27 2010-04-09 (주)디자인파크개발 파이프 및 패널의 조립이 용이한 클램프 조립체
KR20160004204U (ko) * 2015-05-29 2016-12-07 김환 가설 파이프용 클램프의 볼트와 너트 보호 캡
KR20180115852A (ko) * 2017-04-14 2018-10-24 엠에스인텍(주) 개폐식 선반 고정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669B1 (ko) 2023-06-21 2024-04-15 한은희 이너 및 아우터 밴드부를 이용한 클램프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7897A (en) Cross-connector to two crossing tubular elements
KR102142506B1 (ko)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
IL29037A (en) Tubular structures
KR101089350B1 (ko) 결속용 클램프
US5797697A (en) Cross-connectors for tubular members forming frameworks
KR20160110291A (ko) 파일조인트 유니트
GB2112439A (en) Fittings for anchoring scaffold tubes to building structures
KR102196115B1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가설물용 연결구
EP3674591A1 (en) Water pipe splitting saddle
KR20090006264U (ko) 비계용 클램프어셈블리
KR200176353Y1 (ko) 비계용 클램프
KR19980084752A (ko) 비계용 클램프
KR200345121Y1 (ko) 건축공사용 파이프 비계의 미끄럼 방지 체결구조
KR950001201Y1 (ko) 온실 구조물 파이프의 고정 클램프
CN215631701U (zh) 建筑钢结构施工锁紧装置
JP2969329B2 (ja) 足場支持用連結金具
TWI719268B (zh) 活動式地板用的組裝結構
JPH0643118U (ja) 折板屋根用連結金具
JP3892935B2 (ja) 手摺用継手
CA1071828A (en) Joint
KR200213355Y1 (ko) 비계파이프 결합용 클램프
JP4139417B2 (ja) 簡易ハウスの骨組み用連結金具
JPH01174770A (ja) 柱型枠装置
JP2002201779A (ja) パイプ手摺りの接続構造及びハンガボルト
JPS602328Y2 (ja) 仮設構造物の接合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