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939B1 - 원료 교반 장치 - Google Patents

원료 교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939B1
KR102141939B1 KR1020200082382A KR20200082382A KR102141939B1 KR 102141939 B1 KR102141939 B1 KR 102141939B1 KR 1020200082382 A KR1020200082382 A KR 1020200082382A KR 20200082382 A KR20200082382 A KR 20200082382A KR 102141939 B1 KR102141939 B1 KR 102141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unit
case
agitation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문희
Original Assignee
(주)고릴라에프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고릴라에프앤디 filed Critical (주)고릴라에프앤디
Priority to KR1020200082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9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7/1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 B01F15/00123
    • B01F15/026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7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 B01F27/073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with stirring elements moving with respect to the stirrer shaft, e.g. floating or comprising contracting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7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 B01F27/074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having two or more mixing elements being concentrically mounted on the same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9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eceptacle
    • B01F27/09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eceptacle with elements co-operating with receptacle wall or bottom, e.g. for scraping the receptacl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9Stirrers with two or more mixing elements mounted in sequence on the same axis
    • B01F27/192Stirrers with two or more mixing elements mounted in sequence on the same axis with dissimi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7/00183
    • B01F7/00191
    • B01F7/00208
    • B01F7/00641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료 교반 장치로서 원료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수용된 원료를 교반하는 교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료 교반 장치{DEVICE FOR RAW METERIALS STIRRING}
본 발명은 다양한 원료를 고르게 혼합하는 원료 교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위아래로 교반할 수 있는 회전체를 구비하여 다양한 원료를 보다 용이하게 교반할 수 있는 원료 교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약품, 화장품 및 식품 등은 순수 원료로만 이루어지지 않으며 여러 첨가물이 혼합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액상이나 크림 및 연고타입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액상이나 크림 및 연고타입의 제품을 제조하기 위 해서는 교반할 순수원료와 여러 첨가물을 교반하는 공정을 거치게 되며 이에 따른 교반장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의약품 또는 식품의 경우, 교반하는 과정에 따라서 약효나 효능이 증가하거나 감소하기도 하고, 화장품 역시 고품질의 제품을 얻기 위해서 교반의 과정이 중요하게 여겨진다.
따라서, 교반물을 최적의 교반상태로 유지해야 하며 이를 위해 교반물을 균질하게 교반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교 반장치의 미세한 성능 차이에 크게 좌우된다.
이러한 교반장치로는 교반물을 균질하게 혼합할 수 있는 다양한 크기와 종류의 믹서(mixer)가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종래의 교반 장치 또는 믹서의 경우, 내부에서 교반되는 교반물의 교반을 위한 구성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여 교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각 구성을 개별적으로 구동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49873호 한국등록특허 제10-1175301호 한국등록특허 제10-1909876호 한국등록특허 제10-0873414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상하측에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교반부가 구비되어 있어 원료들이 케이스 내에서 골고루 순환하면서 혼합되도록 하는 원료 교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교반 장치는, 원료를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수용된 원료를 교반하는 교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료 교반 장치는, 상기 교반부의 구동을 컨트롤하는 제어부; 상기 케이스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지지대; 및 상기 케이스 내에서 교반이 완료된 상기 원료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교반부는, 상기 교반부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교반부의 구동에 따라 구동하는 상단교반부; 상기 상단교반부의 하단에 상기 케이스의 아랫면을 향하며 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상단교반모듈; 및 상기 교반부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교반부의 구동에 따라 구동하는 하단교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단교반부는, 상기 교반부와 연결된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 상기 교반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홈에 끼워지는 나사를 구비하여 상기 교반부의 상하로 이동 가능한 높이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단교반부는, 윗면에 상기 상단교반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 형상으로 형성된 모듈레일부; 및 상기 상단교반모듈의 상측에 연결되어 있는 모듈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단교반모듈은, 상기 모듈레일부를 따라 상기 상단교반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모듈고정부를 이용하여 위치한 곳에 고정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단교반모듈은, 상기 원료의 교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하단에 물레방아 형상을 한 교반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단교반부는,
상기 교반부를 중심으로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스와 일정한 간격을 갖되 상기 케이스의 반지름 길이에 맞추어 곧은 형상을 가지고, 상기 원료를 상하로 교반하기 위해 상하측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꺽인 형상을 띄는 제1 하단교반부; 및 상기 교반부를 중심으로 타단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스와 일정한 간격을 갖되 상기 케이스의 반지름 길이에 맞추어 곧은 형상을 가지고, 상기 원료를 상하로 교반하기 위해 상하측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꺽인 형상을 띄는 제2 하단교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하단교반부는, 일단에 탈착 가능하며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을 따라 굽은 형상을 갖는 추가교반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단교반부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응집되어 있는 상기 원료를 긁어낼 정도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교반부는, 길이 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하며 상기 상단교반부가 위치한 곳에 안착하기 위해 상기 상단교반부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개폐부; 상기 다수개의 개폐부의 내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가 개방되어 상기 상단교반부가 안착되면 상기 상단교반부의 중심부에 밀착되어 상기 상단교반부를 회전시키는 개별교반부; 및 상기 개별교반부와 밀착되어 상기 상단교반부의 회전을 돕는 교반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상기 개별교반부를 각각 제어가 가능하며 상기 개폐부가 개방되는 경우, 개방된 개폐부에 내장된 개별교반부의 작동만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케이스의 하단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료의 교반이 완료된 후에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을 시작하는 스위치 또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하측에 구비된 복수 개의 교반부가 각각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원료를 효율적으로 혼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하측에 구비된 복수 개의 교반부는 케이스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회전되게 함으로써 원료들이 케이스 내에서 골고루 순환하면서 혼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교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개시된 원료 교반 장치의 구성 중 하나인 교반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개시된 교반부의 구성 중 하나인 상단교반부를 고정하는 높이조정부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개시된 교반부의 구성 중 하나인 상단교반부의 모듈레일부, 모듈고정부 및 상단교반모듈의 교반롤러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개시된 원료 교반 장치의 구성 중 하나인 교반부의 개폐부 및 개별교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개시된 원료 교반 장치의 구성 중 하나인 케이스의 레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개시된 케이스의 레일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교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교반 장치(10)는 케이스(100), 교반부(300), 제어부(500), 지지대(700) 및 배출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다양한 원료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고, 다양한 원료가 교반되는 과정에 의해 쉽게 녹슬거나 비틀어지지 않는 스테인레스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100)는 교반부(300)의 용이한 회전과 원료들의 혼합을 위해 원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팔각형 등의 각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교반부(300)는 상단 및 하단에 프로펠러 형태를 띄며 케이스(100)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구비되어 있는 장치를 회전시켜 케이스(100)에 수용된 원료를 교반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교반부(300)의 구동을 컨트롤할 수 있는데, 교반부(300)의 회전 속도 또는 구동 시간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컨트롤할 수 있다.
지지대(700)는 케이스(100)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가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고, 케이스(100) 외측면의 중심부 또는 하단부로부터 지면까지 연장 현성되어 있을 수 있고, 케이스(10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다수 개의 지지대(700)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배출부(900)는 케이스(100)의 하단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케이스(100) 내에서 교반이 완료된 원료를 배출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케이스(100)의 외부로 배출을 시작할 수 있는 스위치 또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개시된 원료 교반 장치의 구성 중 하나인 교반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교반부(300)는 상단교반부(330), 상단교반모듈(350) 및 하반교반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교반부(330)는 교반부(300)의 상단에 연결되며 교반부(300)의 구동에 따라 구동할 수 있으며, 상단교반부(330)의 하단에는 케이스(100)의 아랫면을 향하여 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상단교반모듈(35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교반부(300)의 구성 중 하나인 상단교반부(330)와 상단교반모듈(350)에 부가되는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개시된 교반부의 구성 중 하나인 상단교반부를 고정하는 높이조정부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단교반부(330)는 상단교반부(330)를 고정하는 높이조정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교반부(330)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는 높이조정부(390)는, 교반부(300)에 상단교반부(33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홈(397)과 홈에 맞춰 돌려지는 나사(39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케이스(100)에 수용된 원료의 양에 맞추어 상단교반부(33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높이조정부(390)는 상술한 나사를 이용하여 교반부(300)에 고정된다고 서술하였으나 그 고정 방법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교반부(300)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도 4는 도 2에 개시된 교반부의 구성 중 하나인 상단교반부의 모듈레일부, 모듈고정부 및 상단교반모듈의 교반롤러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단교반부(330)는 모듈레일부(337) 및 모듈고정부(339)를 포함할 수 있고, 상단교반모듈(350)은 교반롤러(335)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레일부(337)는 상단교반부(330)의 윗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단교반모듈(350)의 너비와 모듈고정부(339)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모듈고정부(339)는 상단교반모듈(350)의 상측에 연결되며 상단교반모듈(350)의 내부와 맞물려 돌아가는 나사 모양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모듈레일부(337)를 사이에 두고 상단교반모듈(35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단교반모듈(350)은 모듈레일부(337)를 따라 상단교반부(33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모듈고정부(339)를 이용하여 상단교반모듈(350)이 위치한 곳에 고정될 수 있다.
교반롤러(335)는 상단교반모듈(350)의 하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케이스(100)에 수용된 원료의 교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물레방아 형상을 하여 상단교반부(330)가 회전하여 원료가 혼합되는 압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한편, 하단교반부(370)는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의 내측면에 응집되어 있는 원료를 긁어낼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며 교반부(300)를 중심으로 양측에 날개 형상으로 구비되어 있는 제1 하단교반부(371) 및 제2 하단교반부(37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단교반부(371)는 교반부(300)를 중심으로 하단교반부(370)의 일단에 위치하며 케이스(100)와 일정한 간격을 갖되 케이스(100)의 반지름 길이에 맞추어 곧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하단교반부(371)는 케이스(100)에 수용된 원료를 상하로 교반하여 효율적으로 혼합하기 위해 상하측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꺽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하단교반부(379)는 교반부(300)를 중심으로 하단교반부(370)의 타단에 위치하며 케이스(100)와 일정한 간격을 갖되 케이스(100)의 반지름 길이에 맞추어 곧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하단교반부(379)는 케이스(100)에 수용된 원료를 상하로 교반하여 효율적으로 혼합하기 위해 상하측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꺽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 하단교반부(371)는 일단에 탈착이 가능하며 케이스(100)의 내측면을 따라 굽은 형상을 갖는 추가교반장치(37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개시된 원료 교반 장치의 구성 중 하나인 교반부의 개폐부 및 개별교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교반부(300)는 길이 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하며 상단교반부(330)가 위치한 곳에 안착하기 위해 상단교반부(330)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개폐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교반부(300)는 다수 개의 개폐부(332)의 내부에 각각 형성되며 개폐부(33)가 개방되어 상단교반부(330)가 안착되는 경우 상단교반부(330)의 중심부에 밀착되어 상단교반부(330)를 회전시키는 개별교반부(334) 및 다수 개의 교반볼(336)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 개의 교반볼(336)은 서로서로 밀착되어 있을 수 있고, 개별교반부(334)의 양측에 있는 교반볼(3361, 3362) 또한 개별교반부(334)와 밀착되어 있을 수 있으며 개별교반부(334)의 회전에 따라 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0)는 개폐부(332)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개별교반부(334)를 각각 제어할 수 있으며 개폐부(332)가 개방되는 경우, 개방된 개폐부(332)에 내장된 개별교반부(334)의 작동만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반부(300)는 고정되어 있어 하단교반부(370)는 회전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상단교반부(330)는 회전할 수 있어 원료의 교반 상태 또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각각 구동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개시된 원료 교반 장치의 구성 중 하나인 케이스의 레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케이스(100)는 내측면에 상단교반부(330)가 삽입될 수 있는 레일부(310)를 표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의 내측면에는 상단교반부(330)의 상단교반모듈(350)이 고정될 수 있는 상측의 높이의 너비보다 넓게 마련되며 상단교반부(330)의 일단 및 타단이 안착되어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레일부(310)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교반부(300)는 고정되어 있어 하단교반부(370)는 회전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상단교반부(330)는 회전할 수 있어 원료의 교반 상태 또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각각 구동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개시된 케이스의 레일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레일부(310)의 내부에는 체인모듈(313) 및 다수 개의 회전볼(317)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체인모듈(313)는 모터 등의 동력장치와 동력장치의 회전에 의해 구동하는 체인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제어부(500)의 컨트롤에 의해 회전하여 상단교반부(3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7에 개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310)에 구비된 하나의 체인모듈(313)는 예시를 위한 것이며, 제작자 또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레일부(310)의 내부에는 다수 개의 체인모듈(313)를 구비할 수 있다.
다수 개의 회전볼(317)은 서로서로 밀착되어 있을 수 있고, 체인모듈(313)의 양측에 있는 회전볼(317) 또한 체인모듈(313)와 밀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체인모듈(313)의 회전에 따라 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 개의 회전볼(3171, 3172)은 서로 밀착되어 있어 체인모듈(313)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 방향을 서로 전달해줄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상단교반부(330)의 이동을 도울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원료 교반 장치
100: 케이스
300: 교반부
500: 제어부
700: 지지대
900: 배출부

Claims (2)

  1. 원료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수용된 원료를 교반하는 교반부를 포함하는 원료 교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료 교반 장치는,
    상기 교반부의 구동을 컨트롤하는 제어부;
    상기 케이스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지지대; 및
    상기 케이스 내에서 교반이 완료된 상기 원료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교반부는,
    상기 교반부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교반부의 구동에 따라 구동하는 상단교반부;
    상기 상단교반부의 하단에 상기 케이스의 아랫면을 향하며 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상단교반모듈; 및
    상기 교반부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교반부의 구동에 따라 구동하는 하단교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교반부는,
    상기 교반부와 연결된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 상기 교반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홈에 끼워지는 나사를 구비하여 상기 교반부의 상하로 이동 가능한 높이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교반부는,
    윗면에 상기 상단교반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 형상으로 형성된 모듈레일부; 및
    상기 상단교반모듈의 상측에 연결되어 있는 모듈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단교반모듈은,
    상기 모듈레일부를 따라 상기 상단교반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모듈고정부를 이용하여 위치한 곳에 고정이 가능하고,
    상기 상단교반모듈은,
    상기 원료의 교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하단에 물레방아 형상을 한 교반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교반부는,
    상기 교반부를 중심으로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스와 일정한 간격을 갖되 상기 케이스의 반지름 길이에 맞추어 곧은 형상을 가지고, 상기 원료를 상하로 교반하기 위해 상하측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꺽인 형상을 띄는 제1 하단교반부; 및
    상기 교반부를 중심으로 타단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스와 일정한 간격을 갖되 상기 케이스의 반지름 길이에 맞추어 곧은 형상을 가지고, 상기 원료를 상하로 교반하기 위해 상하측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꺽인 형상을 띄는 제2 하단교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단교반부는,
    일단에 탈착 가능하며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을 따라 굽은 형상을 갖는 추가교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교반부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응집되어 있는 상기 원료를 긁어낼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교반부는,
    길이 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하며 상기 상단교반부가 위치한 곳에 안착하기 위해 상기 상단교반부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개폐부;
    상기 다수개의 개폐부의 내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가 개방되어 상기 상단교반부가 안착되면 상기 상단교반부의 중심부에 밀착되어 상기 상단교반부를 회전시키는 개별교반부; 및
    상기 개별교반부와 밀착되어 상기 상단교반부의 회전을 돕는 교반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상기 개별교반부를 각각 제어가 가능하며 상기 개폐부가 개방되는 경우, 개방된 개폐부에 내장된 개별교반부의 작동만 제어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케이스의 하단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료의 교반이 완료된 후에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을 시작하는 스위치 또는 레버를 포함하는, 원료 교반 장치.
  2. 삭제
KR1020200082382A 2020-07-03 2020-07-03 원료 교반 장치 KR102141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382A KR102141939B1 (ko) 2020-07-03 2020-07-03 원료 교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382A KR102141939B1 (ko) 2020-07-03 2020-07-03 원료 교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939B1 true KR102141939B1 (ko) 2020-08-07

Family

ID=72049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382A KR102141939B1 (ko) 2020-07-03 2020-07-03 원료 교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9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901B1 (ko) * 2020-09-03 2020-10-14 박만호 교반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873Y1 (ko) 2001-07-02 2001-11-16 송정부 식품의 제조원료 교반장치
KR100873414B1 (ko) 2007-06-27 2008-12-11 (주)나라기술 교반장치
KR20090115248A (ko) * 2008-05-01 2009-11-05 주식회사 넥스오일 식용유를 원료로 한 바이오 디젤의 제조를 위한 메탄올 증류기 겸용 진공교반장치 및 바이오디젤의 제조방법
KR101175301B1 (ko) 2011-03-29 2012-08-20 정상현 식품 원료 교반 장치
KR101909876B1 (ko) 2018-06-27 2018-10-18 조규태 원료배합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873Y1 (ko) 2001-07-02 2001-11-16 송정부 식품의 제조원료 교반장치
KR100873414B1 (ko) 2007-06-27 2008-12-11 (주)나라기술 교반장치
KR20090115248A (ko) * 2008-05-01 2009-11-05 주식회사 넥스오일 식용유를 원료로 한 바이오 디젤의 제조를 위한 메탄올 증류기 겸용 진공교반장치 및 바이오디젤의 제조방법
KR101175301B1 (ko) 2011-03-29 2012-08-20 정상현 식품 원료 교반 장치
KR101909876B1 (ko) 2018-06-27 2018-10-18 조규태 원료배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901B1 (ko) * 2020-09-03 2020-10-14 박만호 교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37310B2 (ja) 強制練りミキサ
JPS63270531A (ja) 調整装置
CN209696772U (zh) 一种搅拌轴摇摆的搅拌机
KR102141939B1 (ko) 원료 교반 장치
JPS5946660B2 (ja) 混合機
KR20130112491A (ko) 교반기
KR101730260B1 (ko) 믹서기
US5356215A (en) Mixing device
KR101537909B1 (ko) 믹서기
KR20050072284A (ko) 다중 날개를 가진 교반스크류 및 교반장치
CN107224914A (zh) 一种高强度的搅拌装置
KR101196332B1 (ko) 혼련기
CN209680038U (zh) 涂料搅拌机
JP2003135950A (ja) 食品材料の攪拌装置及び攪拌方法
KR20170139724A (ko) 균질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료 균질화 설비
CN214915138U (zh) 一种搅拌器
US3386809A (en) Reactor and mixer for continuous polymerization
JP2010022929A (ja) ミキサ
CN209190994U (zh) 单轴卧式强制式混凝土搅拌机
JP2000140596A (ja) 混練方法
JPH0655050A (ja) 複軸混和装置
CN207825249U (zh) 一种塑料加工原材料混料装置
CN221212346U (en) High-speed mixing device
KR20120007900A (ko) 혼련기용 임펠러 연결장치
CN211514342U (zh) 连续混合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