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473B1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473B1
KR102141473B1 KR1020187016609A KR20187016609A KR102141473B1 KR 102141473 B1 KR102141473 B1 KR 102141473B1 KR 1020187016609 A KR1020187016609 A KR 1020187016609A KR 20187016609 A KR20187016609 A KR 20187016609A KR 102141473 B1 KR102141473 B1 KR 102141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absorbent
layer sheet
lower layer
upp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6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4889A (ko
Inventor
유키 타카하시
미유키 후지모토
히로노부 요코카와
오사무 모리우라
카즈야 마루하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브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5239966A external-priority patent/JP670733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239965A external-priority patent/JP670733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브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브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80084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31Treating webs, e.g. for giving them a fibrelike appearance, e.g. by embos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0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separable parts, e.g. combination of disposable and reus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erformance of the layer, e.g. acquisition rate, distribution time, transfer ti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0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 A61F2013/5102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being polymeric fibres
    • A61F2013/510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being polymeric fibres being hydroph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0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 A61F2013/5102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being polymeric fibres
    • A61F2013/5103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being polymeric fibres being hydrophil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61F2013/530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being only in particular parts or specially arrang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2013/534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from several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 A61F2013/5372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with capillary means
    • A61F2013/537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with capillary means with compressed p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2013/5376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 A61F2013/5377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with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61F2013/539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with adhesive
    • A61F2013/5392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with adhesive with intermittent pattern, e.g. spo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흡수성 물품(1)에서, 제1 흡수 시트(22)가 탑 시트(21)와 백 시트(23) 사이에 배치된다. 제2 흡수 시트(22a)는 제1 흡수 시트(22)와 백 시트(23) 사이에 배치된다. 제1 흡수 시트(22)는 제1 상층 시트(221)와, 입상 또는 섬유상의 제1 고흡수성 재료(222)와, 제1 하층 시트(223)를 구비한다. 제1 흡수 시트(22)는 길이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제2 흡수 시트(22a)의 길이 방향의 엣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길이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제1 흡수 시트(22)의 제2 흡수 시트 (22a )로부터의 연장부(224)는 제2 흡수 시트(22a)의 길이 방향의 엣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간해서 백 시트(23)에 접하는 백 시트 접촉영역(225)을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액의 역류를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착용자로부터의 배설물을 받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일회용 기저귀의 내측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경실금용 흡수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일본공표특허공보 2002-541979호(문헌 1), 일본공표특허공보 2002-513635호(문헌 2) 및 일본공표특허공보 2002-519146호(문헌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탑 시트와 백 시트 사이의 흡수체로서, 2장의 부직포 등의 시트 부재 사이에, 고흡수성 수지 등의 입자를 사이에 두고 고정시킨 흡수 시트가 이용되고 있다. 당해 흡수 시트는 예를 들면, 가늘고 긴 형상의 시트 부재 위에 고흡수성 수지 등의 입자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당해 입자 위로부터 가늘고 긴 형상의 다른 시트 부재를 중첩시키고, 양쪽 시트 부재의 측단부를 접합한 후에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문헌 1에서는 양쪽 시트 부재를 절단한 후에, 한쪽의 시트 부재 위에서 절단부(즉, 흡수 시트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부)에 발포제를 부여하는 것에 의해, 흡수 시트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부로부터, 고흡수성 수지 등의 입자가 외부로 탈락되는 것을 억제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또, 문헌 2에서는 양쪽 시트 부재의 절단 예정 부위에, 한쪽의 시트 부재 위에서 초흡수성 재료 이동 방지제를 도포한 후에, 양쪽 시트 부재를 절단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문헌 3에서는 양쪽 시트 부재의 절단과, 절단부로의 초흡수성 재료 이동 방지제의 도포를 동시에 실시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93207호(문헌 4)에서는 초흡수성 재료 이동 방지제로서 연화점이 50∼300℃의 열가소성 폴리머 등이 이용된다.
한편, 문헌 4에서는 탑 시트와 백 시트 사이의 흡수체로서, 펄프 섬유의 적층체,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등의 필라멘트 집합체, 혹은, 부직포를 기본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서 고흡수성 폴리머를 혼합, 고착 등 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당해 흡수체는 상층과 하층이 적층되어 형성되고 있다. 흡수체의 상층 가장자리부는 하층보다도 외측으로 튀어나와 있고, 튀어 나온 부분이 백 시트를 향해서 만곡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흡수 시트를 제조하는 경우, 문헌 1 내지 문헌 3과 같이, 한쪽의 시트 부재 위에서 발포제나 초흡수성 재료 이동 방지제를 도포하면, 발포제나 초흡수성 재료 이동 방지제는 양쪽 시트 부재 사이에 충분하게 부여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 경우, 양쪽 시트 부재의 접착이 불충분해지고, 고흡수성 수지의 입자가 흡수 시트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부로부터 탈락될 우려가 있다. 또, 문헌 1의 제조방법에서는 절단 후의 흡수 시트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부에, 위치 정밀도 좋게 발포제를 도포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문헌 3의 제조방법에서는 양쪽 시트 부재의 절단과 동시에 부여 가능한 초흡수성 재료 이동 방지제의 양은 비교적 적기 때문에, 양쪽 시트 부재의 접착은 더욱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또, 문헌 4와 같이 상층과 하층이 적층된 흡수체에서는 상층을 투과한 뇨 등의 액체가 하층에서 흡수되기 전에 상층을 투과해서 탑 시트로 되돌아갈 우려가 있다. 이러한 액의 역류가 발생하면, 탑 시트로 되돌아간 뇨 등의 액체가 착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제공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2-541979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2-513635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2-51914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93207호
본 발명은 착용자로부터의 배설물을 받는 흡수성 물품으로써, 액의 역류를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투액성의 탑 시트와, 발수성 또는 불투액성의 백 시트와, 상기 탑 시트와 상기 백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흡수 시트와, 상기 제1 흡수 시트와 상기 백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흡수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흡수 시트가, 제1 상층 시트와, 상기 제1 상층 시트와 상기 백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하층 시트와, 상기 제1 상층 시트와 상기 제1 하층 시트 사이에 고정된 입상 또는 섬유상의 제1 고흡수성 재료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흡수 시트가, 제2 상층 시트와, 상기 제2 상층 시트와 상기 백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하층 시트와, 상기 제2 상층 시트와 상기 제2 하층 시트 사이에 고정된 입상 또는 섬유상의 제2 고흡수성 재료를 구비하고, 길이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수 시트가 상기 제2 흡수 시트의 상기 길이 방향의 엣지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1 흡수 시트의 상기 제2 흡수 시트로부터의 연장부가 상기 제2 흡수 시트의 상기 엣지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간해서 상기 백 시트에 접하는 백 시트 접촉영역을 구비한다. 당해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액의 역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길이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수 시트의 상기 백 시트 접촉영역과 상기 제2 흡수 시트의 상기 엣지 사이의 상기 길이 방향의 거리가 2mm 이상 20mm 이하이고, 상기 백 시트 접촉영역과 상기 제2 흡수 시트의 상기 엣지 사이에, 상기 제1 흡수 시트와 상기 제2 흡수 시트와 상기 백 시트로 둘러싸이는 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흡수 시트의 단위 면적당의 액체 흡수량이 상기 제2 흡수 시트의 단위 면적당의 액체 흡수량보다도 작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흡수 시트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쪽 엣지부에 있어서, 상기 제2 상층 시트와 상기 제2 하층 시트가 비고정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길이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수 시트의 상기 백 시트 접촉영역이 상기 백 시트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흡수 시트의 상기 제2 상층 시트가 상기 제1 흡수 시트의 상기 제1 하층 시트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하층 시트의 투액성이 상기 제2 하층 시트의 투액성보다도 높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폭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수 시트가 상기 제2 흡수 시트의 상기 폭 방향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1 흡수 시트의 상기 제2 흡수 시트로부터의 연장부가 상기 제2 흡수 시트의 상기 폭 방향의 상기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상기 백 시트에 접하는 측방 백 시트 접촉영역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흡수 시트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쪽 엣지부에 있어서, 상기 제1 상층 시트와 상기 제1 하층 시트가 서로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흡수 시트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부로부터 고흡수성 재료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상층 시트와 상기 제1 하층 시트의 고정이 엠보싱 가공에 의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상층 시트와 상기 제1 하층 시트의 고정이 가열을 수반하는 엠보싱 가공에 의한다.
상술한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징, 형태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해서 이하에서 실시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밝혀진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흡수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제2 흡수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다른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흡수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9는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2 흡수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의 평면도이다. 도 2는 흡수성 물품(1)을 도 1 중의 II-II의 위치에서 길이 방향(즉, 도 1 중에서의 상하방향)으로 수직한 면으로 절단한 단면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흡수성 물품(1)을 도 1 중의 III-III의 위치에서 폭 방향(즉, 도 1 중에서의 좌우방향)으로 수직한 면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실제보다도 상하방향의 크기(즉, 두께)를 크게 해서 그리고 있다. 다른 단면도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흡수성 물품(1)은 착용자로부터의 배설물을 받는다. 흡수성 물품(1)은 예를 들면, 착용자가 착용하는 외장 물품인 일회용 기저귀의 내측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경실금용의 흡수 패드이고, 착용자로부터의 뇨 등의 액상 배설물을 받는다. 도 1에서는 착용자에게 접하는 면(이하, 「상면」이라고 한다.) 를 앞쪽 측으로 해서 흡수성 물품(1)을 그리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은 투액성의 탑 시트(21)와, 발액성 또는 불투액성의 백 시트(23)와, 흡수체(20)를 구비한다. 흡수체(20)는 탑 시트(21)와 백 시트(23) 사이에 배치되는 시트상 부재이다. 흡수체(20)는 제1 흡수 시트(22)와, 제2 흡수 시트(22a)를 구비한다. 제1 흡수 시트(22) 및 제2 흡수 시트(22a)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다. 제2 흡수 시트(22a)는 제1 흡수 시트(22)의 하방에 배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1 흡수 시트(22)는 탑 시트(21)와 백 시트(23) 사이에 배치되고, 제2 흡수 시트(22a)는 제1 흡수 시트(22)와 백 시트(23) 사이에 배치된다. 제2 흡수 시트(22a)의 하면은 거의 전면에 걸쳐서 백 시트(23)의 상면에 접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1 흡수 시트(22) 및 제2 흡수 시트(22a)의 평면 시에서의 각각의 형상은 길이 방향의 길이가 폭 방향의 폭보다도 큰 거의 직사각 형상이다.
도 1에서는 도면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흡수체(20)의 제1 흡수 시트(22) 및 제2 흡수 시트(22a)의 윤곽을 굵은 파선으로 나타낸다. 또, 도 2 및 도 3에서는, 실제로는 접촉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1)의 구성 일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간시켜서 그린다.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흡수성 물품(1)의 평면 시에서의 형상은 길이 방향의 길이가 폭 방향의 폭보다도 큰 거의 타원형상이다. 탑 시트(21)의 가장자리부와 백 시트(23)의 가장자리부란 전체 주위에 걸쳐서 접합된다. 도 1에서는 탑 시트(21)와 백 시트(23)의 접합부에 평행 사선을 붙인다. 당해 접합부에서는 탑 시트(21)와 백 시트(23)란 예를 들면, 접착제에 의해 접착될 수도 있고, 압착될 수도 있다.
탑 시트(21)는 투액성의 시트 재료이고, 착용자로부터의 배설물의 수분을 신속하게 포착해서 흡수체(20)로 이동시킨다. 탑 시트(21)로서는 예를 들면, 표면을 계면활성제에 의해 친수처리한 소수성 섬유(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나일론 등)로 형성된 투액성의 부직포(포인트 본드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등)가 이용된다. 또, 탑 시트(21)로서 셀룰로오스나 레이온, 코튼 등의 친수성 섬유에 의해 형성된 부직포(예를 들면, 스펀레이스 부직포)를 이용될 수도 있다.
흡수체(20)의 제1 흡수 시트(22)는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고흡수성 재료(222)와, 제1 하층 시트(223)를 구비한다. 제1 하층 시트(223)는 제1 상층 시트(221)의 하방에 배치되고, 제1 상층 시트(221)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1 하층 시트(223)는 제1 상층 시트(221)와 백 시트(23)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상층 시트(221) 및 제1 하층 시트(223)는 투액성의 시트 재료이다. 제1 상층 시트(221) 및 제1 하층 시트(223)로서는 예를 들면, 투액성의 부직포(스펀레이스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등)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제1 상층 시트(221) 및 제1 하층 시트(223)은 각각, 스펀레이스 부직포 및 에어스루 부직포이다. 혹은, 제1 상층 시트(221) 및 제1 하층 시트(223)는 함께, 에어스루 부직포 또는 스펀본드 부직포일 수도 있다. 제1 상층 시트(221) 및 제1 하층 시트(223)의 재료 조합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 상층 시트(221)의 투액성은 예를 들면, 제1 하층 시트(223)의 투액성보다도 높다. 당해 투액성은 예를 들면, 단위 면적의 시트를 단위시간에 투과하는 액체의 양에 의해 산출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제1 고흡수성 재료(222)는 예를 들면, 입상의 SAP(Super Absorbent Polymer), 또는, 섬유상의 SAF(Super Absorbent Fiber)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1 고흡수성 재료(222)는 SAP이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제1 고흡수성 재료(222)의 입자를 실제보다도 크게 그린다. 제1 고흡수성 재료(222)는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 사이에 고정된다. 제1 흡수 시트(22)는 탑 시트(21)를 투과한 액체를 흡수해서 유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흡수 시트(22)의 제1 고흡수성 재료(222)가 당해 액체를 흡수해서 팽윤하는 것에 의해, 해당 액체를 제1 흡수 시트(22) 내로 고정한다. 제1 흡수 시트(22)에서는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 사이에, 제1 고흡수성 재료(222) 이외의 부피가 큰 흡수재료(예를 들면, 펄프 섬유)는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제2 흡수 시트(22a)는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고흡수성 재료(222a)와, 제2 하층 시트(223a)를 구비한다. 제2 하층 시트(223a)는 제2 상층 시트(221a)의 하방에 배치되고, 제2 상층 시트(221a)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2 하층 시트(223a)는 제2 상층 시트(221a)와 백 시트(23)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상층 시트(221a) 및 제2 하층 시트(223a)는 투액성의 시트 재료이다. 제2 상층 시트(221a) 및 제2 하층 시트(223a)로서는 예를 들면, 투액성의 부직포(스펀레이스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등)가 이용된다. 예를 들면, 제2 상층 시트(221a) 및 제2 하층 시트(223a)는 각각, 스펀레이스 부직포 및 에어스루 부직포이다. 혹은, 제2 상층 시트(221a) 및 제2 하층 시트(223a)는 함께, 에어스루 부직포 또는 스펀본드 부직포일 수도 있다. 제2 상층 시트(221a) 및 제2 하층 시트(223a)의 재료의 조합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2 상층 시트(221a)의 투액성은 예를 들면, 제2 하층 시트(223a)의 투액성보다도 높다. 또, 예를 들면, 제1 흡수 시트(22)의 제1 하층 시트(223)의 투액성은 제2 흡수 시트(22a)의 제2 하층 시트(223a)의 투액성보다도 높다.
제2 고흡수성 재료(222a)는 예를 들면, 입상의 SAP, 또는, 섬유상의 SAF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2 고흡수성 재료(222a)는 SAP이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제2 고흡수성 재료(222a)의 입자를 실제보다도 크게 그린다. 제2 고흡수성 재료(222a)는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 사이에 고정된다. 제2 흡수 시트(22a)는 탑 시트(21) 및 제1 흡수 시트(22)를 투과한 액체를 흡수해서 유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흡수 시트(22a)의 제2 고흡수성 재료(222a)가 당해 액체를 흡수해서 팽윤하는 것에 의해, 해당 액체를 제2 흡수 시트(22a) 내로 고정한다. 제2 흡수 시트(22a)에서는 재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 사이에, 제2 고흡수성 재료(222a) 이외의 부피가 큰 흡수재료(예를 들면, 펄프 섬유)는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제2 상층 시트(221a), 제2 고흡수성 재료(222a) 및 제2 하층 시트(223a)의 재료는 각각, 제1 상층 시트(221), 제1 고흡수성 재료(222) 및 제1 하층 시트(223)의 재료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제2 흡수 시트(22a)의 제2 상층 시트(221a)는 제1 흡수 시트(22)의 제1 하층 시트(223)에 고정된다.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1 하층 시트(223)의 고정은 예를 들면, 핫멜트 접착제에 의한 접착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경우, 당해 핫멜트 접착제는 스파이럴 코팅에 의해 제2 상층 시트(221a) 또는 제1 하층 시트(223)에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제1 흡수 시트(22)로부터 제2 흡수 시트(22a)로의 액체의 투과가 접착제에 의해 방해 받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1 하층 시트(223)의 고정은 다른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백 시트(23)는 발액성 또는 불투액성의 시트 부재이고, 백 시트(23)에 도달한 배설물의 수분 등이, 흡수성 물품(1)의 외부로 스며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백 시트(23)로서는 예를 들면, 발액성 또는 불투액성의 부직포나 플라스틱필름, 혹은, 이것들의 부직포와 플라스틱 필름이 적층된 적층 시트가 이용된다. 백 시트(23)에 이용되는 부직포는 예를 들면, 소수성 섬유로 형성된 스펀본드 부직포나 멜트블로운 부직포, SMS(스펀본드ㆍ멜트블로운ㆍ스펀본드) 부직포이며, 필요에 따라서 발액처리가 수행된다. 백 시트(23)로 플라스틱 필름이 이용되는 경우, 흡수성 물품(1)의 축축함을 방지해서 착용자의 쾌적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으로부터는 투습성(통기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필름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흡수 시트(22)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제2 흡수 시트(22a)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도 길다. 제2 흡수 시트(22a)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예를 들면, 제1 흡수 시트(22)의 길이 방향의 길이 50% 이상 90% 이하이다. 제1 흡수 시트(22)의 폭 방향의 폭은 제2 흡수 시트(22a)의 폭 방향의 폭과 대충 같다. 제1 흡수 시트(22)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서는, 제1 흡수 시트(22)가 제2 흡수 시트(22a)의 길이 방향의 엣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당해 길이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제1 흡수 시트(22)의 제2 흡수 시트(22a)로부터의 연장부(224)는 제2 흡수 시트(22a)의 길이 방향의 엣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간해서 백 시트(23)에 접하는 백 시트 접촉영역(225)을 구비한다. 바꾸어 말하면, 백 시트 접촉영역(225)의 제2 흡수 시트(22a)에 가까운 측의 길이 방향 엣지는 제2 흡수 시트(22a)의 길이 방향의 엣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간한다. 또 바꾸어 말하면, 제1 흡수 시트(22)의 백 시트 접촉영역(225)과 제2 흡수 시트(22a)의 길이 방향의 엣지 사이에는 흡수체(20)와 백 시트(23)가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 영역이 존재한다.
제1 흡수 시트(22)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제1 흡수 시트(22)의 백 시트 접촉영역(225)은 백 시트(23)에 고정된다. 백 시트 접촉영역(225)과 백 시트(23)의 고정은 예를 들면, 핫멜트 접착제에 의한 접착에 의해 수행된다. 백 시트 접촉영역(225)과 백 시트(23)의 고정은 다른 여러가지 방법에 의해 실시될 수도 있다.
제1 흡수 시트(22)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제1 흡수 시트(22)의 백 시트 접촉영역(225)과 제2 흡수 시트(22a)의 길이 방향의 엣지 사이의 길이 방향 거리(D1)는 예를 들면, 2mm 이상 20mm 이하이다. 백 시트 접촉영역(225)과 제2 흡수 시트(22a)의 길이 방향의 엣지 사이에는, 제1 흡수 시트(22)와 제2 흡수 시트(22a)와 백 시트(23)로 둘러싸이는 공간(226) (이하, 「코어 가장자리부 공간(226)」이라고 한다.)이 형성된다. 코어 가장자리부 공간(226)은 제2 흡수 시트(22a)의 거의 전폭에 걸쳐서 폭 방향에 거의 직선 형상으로 연장된다.
도 4는 제1 흡수 시트(22)의 평면도이다. 도 4에서는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가 서로 고정되는 접합부(251, 252)에 각각 평행 사선을 붙인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접합부(251, 252)의 구별을 쉽게 하기 위해서, 접합부(251, 252)를 각각 「제1 접합부(251)」 및 「제2 접합부(252)」라고 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흡수 시트(22)에서는 2개의 제1 접합부(251)와, 복수(예를 들면, 4개)의 제2 접합부(252)가 형성된다.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2개의 제1 접합부(251)가 제1 흡수 시트(22)의 길이 방향의 양쪽 엣지부에 위치한다. 각 제1 접합부(251)는 제1 흡수 시트(22)의 폭 방향으로 긴 거의 직사각 형상의 부위이다. 각 제1 접합부(251)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예를 들면, 5mm∼50mm이다. 각 제1 접합부(251)는 제1 흡수 시트(22)의 폭 방향 거의 전장에 걸쳐서 형성된다. 각 제1 접합부(251)에서는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가 서로 직접적으로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접합부(251)에서의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의 고정은, 압착에 의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1 접합부(251)에서의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의 고정은, 엠보싱 가공에 의한 압착에 의해 수행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접합부(251)에서의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의 고정은 가열을 수반하는 엠보싱 가공에 의한 압착에 의해 수행된다.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의 압착이 가열을 수반해서 수행되는 경우, 예를 들면, 제1 상층 시트(221) 및 제1 하층 시트(223) 가운데, 한쪽의 시트가 다른 쪽의 시트보다도 열융착 섬유의 함유율이 높다. 제1 흡수 시트(22)가 제조될 때는, 당해 한쪽의 시트를 가열하면서 다른 쪽의 시트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가 압착된다. 상기 열융착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융점이 약 120℃인 폴리에틸렌이 이용된다.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1 하층 시트(223)의 열융착 섬유의 함유율이, 제1 상층 시트(221)의 열융착 섬유의 함유율보다도 높다. 열융착 섬유의 함유율이 높은 부직포는 열융착 섬유의 함유율이 낮은 부직포에 비교해서, 뇨 등의 액체를 반복해서 받을 경우에 투액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투액성을 높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제1 상층 시트(221)가 아니라, 제1 하층 시트(223)의 열융착 섬유의 함유율을 높게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제1 상층 시트(221) 및 제1 하층 시트(223)의 열융착 섬유의 함유율은 대충 같을 수도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4개의 제2 접합부(252)가 제1 흡수 시트(22)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간하면서 배열된다. 각 제2 접합부(252)는 제1 흡수 시트(22)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거의 띠 형상(즉, 거의 직사각 형상)의 부위이다. 각 제2 접합부(252)는 제1 흡수 시트(22)의 길이 방향의 거의 전장에 걸쳐서 형성된다. 4개의 제2 접합부(252)는 서로 거의 평행하게 배치된다. 폭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2개의 제2 접합부(252)는 제1 흡수 시트(22)의 폭 방향의 양쪽 엣지부에 위치한다. 제1 흡수 시트(22)의 길이 방향의 양쪽 엣지부에서는 각각, 제1 접합부(251)와 4개의 제2 접합부(252)가 중첩된다. 도 4에서는 제1 접합부(251)와 제2 접합부(252)가 중첩되는 부위에 2종류의 평행 사선을 중첩시켜서 붙인다.
제1 흡수 시트(22)에서는 복수의 제2 접합부(252)의 각각에 있어서,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가 서로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접합부(252)에서의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의 고정은 압착에 의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2 접합부(252)에서의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의 고정은 엠보싱 가공에 의한 압착에 의해 수행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2 접합부(252)에서의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의 압착은 가열을 수반하는 엠보싱 가공에 의한 압착에 의해 수행된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2 접합부(252)의 사이에는, 복수의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가 배치된다. 복수의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에서는 각각,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 사이에 제1 고흡수성 재료(222)가 고정된다. 복수의 제2 접합부(252)와, 복수의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란, 제1 흡수 시트(22)의 폭 방향에 있어서 교호로 배치된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3개의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가 제1 흡수 시트(22)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간하면서 배열된다. 3개의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는 서로 거의 평행하게 배치된다.
각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는 제1 흡수 시트(22)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거의 띠 형상(즉, 거의 직사각 형상)의 부위이다. 각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는 제1 흡수 시트(22)에 2개의 제1 접합부(251) 사이 영역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거의 전장에 걸쳐서 설치된다. 즉, 복수의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 및 복수의 제2 접합부(252)는 거의 스트라이프상으로 배치되고, 각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는 제1 접합부(251) 및 제2 접합부(252)에 의해, 그 주위를 전체 주위에 걸쳐서 둘러싸인다.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의 폭은 예를 들면, 제2 접합부(252)의 폭보다도 크다.
각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에서는, 제1 하층 시트(223)의 상면 및 제1 상층 시트(221)의 하면 적어도 한쪽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제1 고흡수성 재료(222)이 제1 상층 시트(221) 및 제1 하층 시트(223)의 적어도 한쪽에 고정된다.
또, 제1 흡수 시트(22)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예를 들면, 해당 접착제가 제1 하층 시트(223)의 상면 및 제1 상층 시트(221)의 하면 전면에 걸쳐서 도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접합부(251) 및 제2 접합부(252)에서도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 사이에 접착제는 존재한다. 단,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 사이에 존재하는 당해 접착제는 소량이고,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 의 고정에는 그다지 기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접합부(251)에 있어서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 사이에 접착제가 존재하는 경우라고 해도, 제1 상층 시트(221) 및 제1 하층 시트(22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로 압착에 의해 고정된다. 제2 접합부(252)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각 제2 접합부(252)에 있어서,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 사이에 고흡수성 재료(222)는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각 제2 접합부(252)에서는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 사이에 제1 고흡수성 재료(222)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 또는,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와 비교해서 제1 고흡수성 재료(222)가 실질적으로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간주될 수 있을 정도의 약간의 밀도로 존재한다.
상술한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 및 제2 접합부(252)를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라고 부르면, 제1 흡수 시트(22)에서는 복수의 제2 영역이, 제1 흡수 시트(22)의 폭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제1 영역과 교호로 배치된다. 그리고 복수의 제1 영역의 각각에 있어서,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 사이에 제1 고흡수성 재료(222)가 고정된다. 또, 복수의 제2 영역에 있어서,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 사이에 제1 고흡수성 재료(222)가 존재하지 않고,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가 서로 직접적으로 고정된다.
상술한 각 제1 접합부(251)에서는 제2 접합부(252)와 동일하게,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 사이에 제1 고흡수성 재료(222)는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각 제1 접합부(251)에서는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 사이에 제1 고흡수성 재료(222)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 또는,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와 비교해서 제1 고흡수성 재료(222)가 실질적으로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간주될 수 있을 정도의 약간의 밀도로 존재한다. 또, 제1 흡수 시트(22)의 제조방법에 따라서는 제1 접합부(251)에는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와 동일 정도의 밀도로 제1 고흡수성 재료(222)가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도 5는 제2 흡수 시트(22a)의 평면도이다. 제2 흡수 시트(22a)는 길이 방향의 양쪽 엣지부에 있어서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가 비고정인 점, 및, 상술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의 길이가 제1 흡수 시트(22)보다도 짧다는 점을 제외하고, 제1 흡수 시트(22)와 대충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제2 흡수 시트(22a)에서는 제2 접합부(252) 및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의 수, 폭 방향의 위치 및 폭 등이, 제1 흡수 시트(22)과 거의 동일하다. 도 5에서는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가 서로 고정되는 제2 접합부(252)에 평행한 사선을 붙인다. 후술하는 도 7 및 도 10에 있어서도,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의 접합부에 평행한 사선을 붙인다.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2 흡수 시트(22a)애서는 복수(예를 들면, 4개)의 제2 접합부(252)가 형성된다. 4개의 제2 접합부(252)는 제2 흡수 시트(22a)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간하면서 배열된다. 각 제2 접합부(252)는 제2 흡수 시트(22a)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거의 띠 형상(즉, 거의 직사각 형상)의 부위이다. 각 제2 접합부(252)는 제2 흡수 시트(22a)의 길이 방향의 거의 전장에 걸쳐서 형성된다. 4개의 제2 접합부(252)는 서로 거의 평행하게 배치된다. 폭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2개의 제2 접합부(252)는 제2 흡수 시트(22a)의 폭 방향의 양쪽 엣지부에 위치한다.
제2 흡수 시트(22a)에서는 복수의 제2 접합부(252)의 각각에 있어서,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가 서로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접합부(252)에서의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의 고정은 압착에 의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2 접합부(252)에서의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의 고정은 엠보싱 가공에 의한 압착에 의해 수행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2 접합부(252)에서의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의 압착은 가열을 수반하는 엠보싱 가공에 의한 압착에 의해 수행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흡수 시트(22a)의 길이 방향의 양쪽 엣지부에는 제2 접합부(252)의 양쪽 단부가 포함된다. 즉, 제2 흡수 시트(22a)의 길이 방향의 양쪽 엣지부에서는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는 제2 접합부(252)를 제외하는 부위에 있어서 비고정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2 흡수 시트(22a)의 길이 방향의 양쪽 엣지부에서는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는 후술하는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와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부위에 있어서 비고정이다. 또,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는 길이 방향의 양쪽 엣지부 전폭에 걸쳐서 비고정일 수도 있다. 즉, 길이 방향의 양쪽 엣지부에 있어서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가 비고정인 경우, 제2 흡수 시트(22a)의 길이 방향의 양쪽 엣지부에서는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는 제2 접합부(252)를 제외하는 부위에 있어서 비고정일 수도 있고, 전폭에 걸쳐서 비고정일 수도 있다.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2 접합부(252) 사이에는, 복수의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가 배치된다. 복수의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에서는 각각,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 사이에 제2 고흡수성 재료(222a)가 고정된다. 복수의 제2 접합부(252)와, 복수의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는 제2 흡수 시트(22a)의 폭 방향에 있어서 교호로 배치된다.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3개의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가 제2 흡수 시트(22a)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간하면서 배열된다. 3개의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는 서로 거의 평행하게 배치된다.
각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는 제2 흡수 시트(22a)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거의 띠 형상(즉, 거의 직사각 형상)의 부위이다. 즉, 복수의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 및 복수의 제2 접합부(252)는 거의 스트라이프상으로 배치된다.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의 폭은 예를 들면, 제2 접합부(252)의 폭보다도 크다. 각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에서는 제2 하층 시트(223a)의 상면 및 제2 상층 시트(221a)의 하면의 적어도 한쪽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제2 고흡수성 재료(222a)가 제2 상층 시트(221a) 및 제2 하층 시트(223a)의 적어도 한쪽에 고정된다.
또, 제2 흡수 시트(22a)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예를 들면, 해당 접착제가 제2 하층 시트(223a)의 상면 및 제2 상층 시트(221a)의 하면의 전면에 걸쳐서 도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접합부(252)에서도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 사이에 접착제는 존재한다. 단,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 사이에 존재하는 당해 접착제는 소량이고,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의 고정에는 그다지 기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접합부(252)에 있어서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 사이에 접착제가 존재하는 경우라하여도, 제2 층 시트(221a) 및 제2 하층 시트(223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로 압착에 의해 고정된다.
각 제2 접합부(252)에 있어서,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 사이에 제2 고흡수성 재료(222a)는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각 제2 접합부(252)에서는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 사이에 제2 고흡수성 재료(222a)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 또는,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와 비교해서 제2 고흡수성 재료(222a)가 실질적으로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간주할 수 있을 정도의 약간의 밀도로 존재한다.
상술한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 및 제2 접합부(252)를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라고 부르면, 제2 흡수 시트(22a)에서도 제1 흡수 시트(22)와 동일하게, 복수의 제2 영역이, 제2 흡수 시트(22a)의 폭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제1 영역과 교호로 배치된다. 그리고 복수의 제1 영역의 각각에 있어서,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 사이에 제2 고흡수성 재료(222a)가 고정된다. 또, 복수의 제2 영역에 있어서,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 사이에 제2 고흡수성 재료(222a)가 존재하지 않고,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가 서로 직접적으로 고정된다.
제1 흡수 시트(22)의 단위 면적당의 액체 흡수량은 예를 들면, 제2 흡수 시트(22a)의 단위 면적당의 액체 흡수량보다도 작다. 이 경우, 제1 흡수 시트(22) 및 제2 흡수 시트(22a)의 단위 면적은 각각, 제1 흡수 시트(22) 및 제2 흡수 시트(22a)의 평면 시에서의 단위 면적을 의미한다. 또, 제1 흡수 시트(22) 및 제2 흡수 시트(22a)의 단위 면적당의 액체 흡수량은 각각, 제1 흡수 시트(22) 및 제2 흡수 시트(22a)의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에서의 단위 면적당의 액체 흡수량(즉, 최대 체 흡수량)을 의미한다. 혹은, 제1 흡수 시트(22) 및 제2 흡수 시트(22a)의 단위 면적당의 액체 흡수량은 각각, 제1 흡수 시트(22) 및 제2 흡수 시트(22a)의 전체에서의 단위 면적당의 평균 액체 흡수량을 의미한다.
제2 흡수 시트(22a)의 액체 흡수속도는 제1 흡수 시트(22)의 액체 흡수속도보다도 크다. 당해 액체 흡수속도의 차이, 및, 상기 액체 흡수량의 차이는 예를 들면, 제1 고흡수성 재료(222)와 제2 고흡수성 재료(222a)의 종류를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해 실현시킬 수도 있다. 혹은, 당해 액체 흡수속도의 차이, 및, 당해 액체 흡수량의 차이는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에서의 단위 면적당의 제1 고흡수성 재료(222) 및 제2 고흡수성 재료(222a)의 양을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해 실현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고흡수성 재료(222)와 제2 고흡수성 재료(222a)를 같은 종류의 재료로 하고, 제1 흡수 시트(22)의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에서의 제1 고흡수성 재료(222)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제2 흡수 시트(22a)의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에서의 제2 고흡수성 재료(222a)의 단위 면적당 중량보다도 작게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은 투액성의 탑 시트(21)와, 제1 흡수 시트(22)와, 제2 흡수 시트(22a)와, 발수성 또는 불투액성의 백 시트(23)를 구비한다. 제1 흡수 시트(22)는 탑 시트(21)와 백 시트(23) 사이에 배치된다. 제2 흡수 시트(22a)는 제1 흡수 시트(22)과 백 시트(23) 사이에 배치된다. 제1 흡수 시트(22)는 제1 상층 시트(221)와, 입상 또는 섬유상의 제1 고흡수성 재료(222)와, 제1 하층 시트(223)를 구비한다. 제1 하층 시트(223)는 제1 상층 시트(221)와 백 시트(23) 사이에 배치된다. 제1 고흡수성 재료(222)는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 사이에 고정된다.
제2 흡수 시트(22a)는 제2 상층 시트(221a)와, 입상 또는 섬유상의 제2 고흡수성 재료(222a)와, 제2 하층 시트(223a)를 구비한다. 제2 하층 시트(223a)는 제2 상층 시트(221a)와 백 시트(23) 사이에 배치된다. 제2 고흡수성 재료(222a)는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 사이에 고정된다.
제1 흡수 시트(22)는 길이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제2 흡수 시트(22a)의 길이 방향의 엣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길이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제1 흡수 시트(22)의 제2 흡수 시트(22a)로부터의 연장부(224)는 제2 흡수 시트(22a)의 길이 방향의 엣지루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간해서 백 시트(23)에 접하는 백 시트 접촉영역(225)을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제1 흡수 시트(22)를 투과해서 제2 흡수 시트(22a)에 도달한 액체 가운데, 제2 흡수 시트(22a)에서 곧바로는 흡수되지 않는 액체를, 제1 흡수 시트(22)의 백 시트 접촉영역(225)과 제2 흡수 시트(22a) 사이에서,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2 흡수 시트(22a)에서 곧바로는 흡수되지 않는 액체가, 제1 흡수 시트(22)를 투과해서 탑 시트(21)로 되돌아가는 것(즉, 액의 역류)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탑 시트(21)로 되돌아간 뇨 등의 액체가 착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흡수 시트(22)의 길이 방향 양측에 있어서, 제1 흡수 시트(22)의 백 시트 접촉영역(225)과 제2 흡수 시트(22a)의 엣지 사이의 길이 방향의 거리(D1)는 2mm 이상 20mm 이하이다. 또, 백 시트 접촉영역(225)과 제2 흡수 시트(22a)의 상기 엣지 사이에 제1 흡수 시트(22)와 제2 흡수 시트(22a)와 백 시트(23)로 둘러싸이는 코어 가장자리부 공간(226)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제1 흡수 시트(22)를 투과해서 제2 흡수 시트(22a)에 도달한 액체 가운데, 제2 흡수 시트(22a)에서 곧바로는 흡수되지 않는 액체를, 코어 가장자리부 공간(226)에서 일시적으로, 또한, 용이하게 저장할 수 있다. 그 결과, 상술한 액의 역류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1)에서는 제1 흡수 시트(22)의 단위 면적당의 액체 흡수량이, 제2 흡수 시트(22a)의 단위 면적당의 액체 흡수량보다도 작다. 이 때문에, 탑 시트(21)를 투과한 액체가 신속하게 제1 흡수 시트(22)로 투과해서 탑 시트(21)로부터 멀어진다. 또, 제1 흡수 시트(22)를 투과한 액체는 제2 흡수 시트(22a)의 제2 고흡수성 재료(222a)에 의해 흡수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의 액의 역류를 더한층 억제할 수 있다.
또, 제1 흡수 시트(22)의 제1 하층 시트(223)의 투액성이, 제2 흡수 시트(22a)의 제2 하층 시트(223a)의 투액성보다도 높다. 이 때문에, 탑 시트(21)를 투과한 액체가, 신속하게 제1 흡수 시트(22)로 투과해서 탑 시트(21)로부터 멀어진다. 제1 흡수 시트(22)를 투과한 액체는, 제2 흡수 시트(22a)에서 어느 정도의 시간 멈추고, 제2 고흡수성 재료(222a)에 의해 흡수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의 액의 역류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흡수 시트(22a)의 액체 흡수속도를, 제1 흡수 시트(22)의 액체 흡수속도보다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제1 흡수 시트(22)을 투과한 액체를, 제2 흡수 시트(22a)에서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에서는 제1 흡수 시트(22)는 길이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제2 흡수 시트(22a)의 길이 방향의 엣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제1 흡수 시트(22)의 길이 방향의 양쪽 엣지부에 있어서,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는 서로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제1 흡수 시트(22)의 길이 방향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제1 고흡수성 재료(222)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1 흡수 시트(22)의 길이 방향의 양쪽 단부를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1)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뇨 등을 흡수해서 팽윤한 제1 고흡수성 재료(222)가 제1 흡수 시트(22)의 길이 방향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누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뇨 등의 액체를 받은 후의 흡수성 물품(1)에 있어서, 착용감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흡수 시트(22)의 길이 방향의 양쪽 엣지부에서의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의 고정은 압착에 의한다. 이것에 의해, 제1 접합부(251)에 있어서,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를 용이하게, 또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의 당해 고정은 엠보싱 가공에 의한다. 이것에 의해, 제1 접합부(251)에 있어서,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 의 당해 고정은 가열을 수반하는 엠보싱 가공에 의한다. 이것에 의해, 제1 접합부(251)에 있어서,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를 더한층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제1 흡수 시트(22)에서는 제1 상층 시트(221) 및 제1 하층 시트(223) 가운데 한쪽의 시트가 다른 쪽의 시트보다도 열융착 섬유의 함유율이 높고, 당해 한쪽의 시트를 가열하면서 다른 쪽의 시트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가 압착된다. 이것에 의해, 제1 접합부(251)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시트에 포함되는 열융착 섬유가 적절하게 용융되기 때문에,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를 더한층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흡수 시트(22)에서는 복수의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를 거의 스트라이프상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착용자로부터의 뇨 등을 흡수해서 팽윤한 제1 고흡수성 재료(222)가 흡수 시트(22)의 중앙부에 있어서 거의 전면에 걸쳐서 넓어져서 겔 블록(즉, 팽윤한 고흡수성 재료 등에 의해, 후속의 뇨 등이 흡수 시트에 스며 드는 것이 저해되고, 고흡수성 재료 위로 고이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겔 블록에 의해 탑 시트(21)로 되돌아간 뇨 등이, 착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겔 블록에 의한 액의 역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제2 흡수 시트(22a)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복수의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를 거의 스트라이프상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겔 블록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1)에서는 제2 흡수 시트(22a)의 길이 방향의 양쪽 엣지부에 있어서,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가 비고정이다. 이것에 의해, 제2 흡수 시트(22a)의 제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그 결과, 흡수성 물품(1)의 제조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 흡수성 물품(1)에서는 제2 흡수 시트(22a)의 길이 방향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제2 고흡수성 재료(222a)의 일부가 탈락될 가능성은 있지만, 제2 흡수 시트(22a)로부터 탈락된 제2 고흡수성 재료(222a)는 제1 흡수 시트(22)의 연장부(224)의 하방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흡수성 물품(1)의 착용자가, 탈락된 제2 고흡수성 재료(222a)의 존재를 탑 시트(21)을 통해서 감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가령 제2 흡수 시트(22a)의 길이 방향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제2 고흡수성 재료(222a)가 탈락했을 경우라도, 제2 고흡수성 재료(222a)의 간접적 접촉에 기인하는 흡수성 물품(1)의 착용감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에서는 길이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제1 흡수 시트(22)의 백 시트 접촉영역(225)이 백 시트(23)에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제1 흡수 시트(22)과 백 시트(23)과 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흡수 시트(22a)의 비틀림이나, 제1 흡수 시트(22)에 대한 상대 위치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흡수 시트(22)로부터 제2 흡수 시트(22a)로의 액체가 빠른 이동을 실현시킬 수 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가령 제2 흡수 시트(22a)의 길이 방향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제2 고흡수성 재료(222a)가 탈락되었을 경우라도, 제2 고흡수성 재료(222a)가 제1 흡수 시트(22)의 하방으로부터, 제1 흡수 시트(22)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흡수성 물품(1)의 착용감의 저하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1)에서는 제2 흡수 시트(22a)의 제2 상층 시트(221a)가, 제1 흡수 시트(22)의 제1 하층 시트(223)에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제2 흡수 시트(22a)의 비틀림이나, 제1 흡수 시트(22)에 대한 상대 위치의 어긋남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흡수 시트(22)로부터 제2 흡수 시트(22a)로의 액체가 빠른 이동을 실현시킬 수 있다.
도 6은 흡수성 물품(1)의 다른 바람직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흡수성 물품(1)의 폭 방향으로 수직한 단면도로 도 3에 대응한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1)의 제2 흡수 시트(22a)의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2 흡수 시트(22a)의 길이 방향의 양쪽 엣지부에 있어서,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가 접합되어 제1 접합부(251)가 형성된다. 각 제1 접합부(251)에서는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가 서로 직접적으로 고정된다.
제2 흡수 시트(22a)의 각 제1 접합부(251)는 제2 흡수 시트(22a)의 폭 방향으로 긴 거의 직사각 형상의 부위이다. 각 제1 접합부(251)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예를 들면, 5mm∼50mm이다. 각 제1 접합부(251)는 제2 흡수 시트(22a)의 폭 방향의 거의 전장에 걸쳐서 형성된다. 제1 접합부(251)에서의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의 고정은 바람직하게는 압착에 의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1 접합부(251)에서의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의 고정은 엠보싱 가공에 의한 압착에 의해 수행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접합부(251)에서의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의 고정은 가열을 수반하는 엠보싱 가공에 의한 압착에 의해 수행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2 흡수 시트(22a)의 길이 방향의 양쪽 엣지부에 있어서,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는 서로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제2 흡수 시트(22a)의 길이 방향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제2 고흡수성 재료(222a)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2 흡수 시트(22a)의 길이 방향의 양쪽 단부를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1)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뇨 등을 흡수해서 팽윤한 제2 고흡수성 재료(222a)가, 제2 흡수 시트(22a)의 길이 방향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흡수 시트(22a)의 길이 방향의 양쪽 엣지부에서의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의 고정은 압착에 의한다. 이것에 의해, 제1 접합부(251)에 있어서,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를 용이하게, 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의 당해 고정은 엠보싱 가공에 의한다. 이것에 의해, 제1 접합부(251)에 있어서,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의 당해 고정은 가열을 수반하는 엠보싱 가공에 의한다. 이것에 의해, 제1 접합부(251)에 있어서,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를 더한층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a)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흡수성 물품(1a)의 평면도이다. 도 9는 흡수성 물품(1a)을 도 8 중의 IX-IX의 위치에서 길이 방향우로 수직한 면으로 절단한 단면도으로 도 2에 대응한다. 도 10은 흡수성 물품(1a)의 제2 흡수 시트(22a)의 평면도이다. 흡수성 물품(1a)은 제2 흡수 시트(22a)의 폭이 제1 흡수 시트(22)보다도 작은 점을 제외하고,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1)과 대충 같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흡수성 물품(1)의 각 구성에 대응하는 흡수성 물품(1a)의 구성에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흡수 시트(22)의 폭 방향의 양측에서는 제1 흡수 시트(22)가 제2 흡수 시트(22a)의 폭 방향의 엣지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한다. 당해 폭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제1 흡수 시트(22)의 제2 흡수 시트(22a)로부터의 연장부(224a)는 제2 흡수 시트(22a)의 폭 방향의 엣지부터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백 시트(23)에 접하는 측방 백 시트 접촉영역(225a)을 구비한다. 바꾸어 말하면, 측방 백 시트 접촉영역(225a)의 제2 흡수 시트(22a)에 가까운 측의 폭 방향 엣지는 제2 흡수 시트(22a)의 폭 방향의 엣지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간한다. 또 환언하자면, 제1 흡수 시트(22)의 측방 백 시트 접촉영역(225a)와 제2 흡수 시트(22a)의 폭 방향의 엣지 사이에는 흡수체(20)와 백 시트(23)가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 영역이 존재한다.
제1 흡수 시트(22)의 폭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제1 흡수 시트(22)의 측방 백 시트 접촉영역(225a)은 백 시트(23)에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제1 흡수 시트(22)와 백 시트(23)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흡수 시트(22a)의 비틀림이나, 제1 흡수 시트(22)에 대한 상대 위치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흡수 시트(22)로부터 제2 흡수 시트(22a)로의 액체가 빠른 이동을 실현시킬 수 있다. 측방 백 시트 접촉영역(225a)와 백 시트(23)의 고정은 예를 들면, 핫멜트 접착제에 의한 접착에 의해 수행된다. 측방 백 시트 접촉영역(225a)와 백 시트(23)의 고정은 다른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1 흡수 시트(22)의 폭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제1 흡수 시트(22)의 측방 백 시트 접촉영역(225a)과 제2 흡수 시트(22a)의 폭 방향의 엣지 사이의 폭 방향 거리(D2)는 예를 들면, 2mm 이상 20mm 이하이다. 측방 백 시트 접촉영역(225a)과 제2 흡수 시트(22a)의 폭 방향의 엣지 사이에는, 제1 흡수 시트(22)과 제2 흡수 시트(22a)와 백 시트(23)로 둘러싸이는 공간(226a)(이하, 「측방 코어 가장자리부 공간(226a)」이라고 한다.)가 형성된다. 측방 코어 가장자리부 공간(226a)은 제2 흡수 시트(22a)의 거의 전장에 걸쳐서 길이 방향으로 거의 직선 형상으로 연장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흡수 시트(22a)에서는 길이 방향의 양쪽 엣지부에 있어서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가 비고정이다. 이것에 의해, 제2 흡수 시트(22a)의 제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그 결과, 흡수성 물품(1a)의 제조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흡수 시트(22a)에서는 3개의 제2 접합부(252)와, 2개의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가 교호로 배치된다. 이렇게, 복수의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를 거의 스트라이프상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제2 흡수 시트(22a)에 있어서 겔 블록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겔 블록에 의한 액의 역류를 억제할 수 있다. 제2 흡수 시트(22a)의 각 제2 접합부(252)는 제1 흡수 시트(22)의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된다. 또, 제1 흡수 시트(22)의 양측 가자장리부(즉, 폭 방향의 양측의 엣지부)를 제외하는 2개의 제2 접합부(252)는 제2 흡수 시트(22a)의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된다. 이것에 의해, 제1 흡수 시트(22)을 투과한 액체를, 제2 흡수 시트(22a)의 고흡수성 재료(222a)에 의해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1a)에서는 제1 흡수 시트(22)가 폭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제2 흡수 시트(22a)의 폭 방향의 엣지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폭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제1 흡수 시트(22)의 제2 흡수 시트(22a)로부터의 연장부(224a)는 제2 흡수 시트(22a)의 폭 방향의 엣지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백 시트(23)에 접하는 측방 백 시트 접촉영역(225a)을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제1 흡수 시트(22)를 투과해서 제2 흡수 시트(22a)에 도달한 액체 가운데, 제2 흡수 시트(22a)에서 곧바로 흡수되지 않는 액체를, 제1 흡수 시트(22)의 측방 백 시트 접촉영역(225a)와 제2 흡수 시트(22a) 사이에서,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2 흡수 시트(22a)에서 곧바로는 흡수되지 않는 액체가, 제1 흡수 시트(22)를 투과해서 탑 시트(21)로 되돌아가는 것(즉, 액의 역류)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탑 시트(21)로 되돌아간 뇨 등의 액체가 착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흡수 시트(22)의 폭 방향 양측에 있어서, 제1 흡수 시트(22)의 측방 백 시트 접촉영역(225a)과 제2 흡수 시트(22a)의 엣지 사이의 폭 방향 거리(D2)는 2mm 이상 20mm 이하이다. 또, 측방 백 시트 접촉영역(225a)과 제2 흡수 시트(22a)의 상기 엣지 사이에 제1 흡수 시트(22)와 제2 흡수 시트(22a)와 백 시트(23)로 둘러싸이는 측방 코어 가장자리부 공간(226a)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제1 흡수 시트(22)를 투과해서 제2 흡수 시트(22a)에 도달한 액체 가운데, 제2 흡수 시트(22a)에서 곧바로는 흡수되지 않는 액체를, 측방 코어 가장자리부 공간(226a)에서 일시적으로, 또한, 용이하게 저장할 수 있다. 그 결과, 상술한 액의 역류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흡수성 물품(1, 1a)에서는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흡수성 물품(1, 1a)의 제1 흡수 시트(22)에서는 제1 접합부(251)에서의 제1 상층 시트(221)와 제2 상층 시트(221a)의 고정은 가열을 수반하지 않는 엠보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엠보스 이외의 압착(예를 들면, 히트실링 또는 초음파 실링)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혹은, 압착 이외의 다양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제1 흡수 시트(22)의 제2 접합부(252)에서의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의 고정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제2 흡수 시트(22a)의 제2 접합부(252)에서의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의 고정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흡수 시트(22a)의 길이 방향의 양쪽 엣지부에 제1 접합부(251)가 형성되는 경우, 당해 제1 접합부(251)에서의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2 하층 시트(223a)의 고정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흡수성 물품(1, 1a)에서는 반드시 제1 흡수 시트(22)에 제1 접합부(251)는 형성될 필요는 없고, 제1 흡수 시트(22)의 길이 방향 양단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가 비고정일 수도 있다. 즉, 제1 흡수 시트(22)의 길이 방향의 양쪽 엣지부에서는 제1 상층 시트(221)와 제1 하층 시트(223)는 제2 접합부(252)를 제외하는 부위에 있어서 비고정일 수도 있고, 전폭에 걸쳐서 비고정일 수도 있다.
흡수성 물품(1, 1a)에서는 제2 흡수 시트(22a)의 제2 상층 시트(221a)와, 제1 흡수 시트(22)의 제1 하층 시트(223)는 비고정일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흡수 시트(22)과 제2 흡수 시트(22a) 사이에 접착제 등이 설치되는 경우와 비교해서, 제1 흡수 시트(22)로부터 제2 흡수 시트(22a)로, 뇨 등의 액체를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흡수성 물품(1, 1a)에서는 제1 흡수 시트(22)의 제2 흡수 시트(22a)로부터의 연장부(224)에 형성되는 백 시트 접촉영역(225)과, 백 시트(23)는 비고정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술에서는 백 시트 접촉영역(225)은 제2 흡수 시트(22a)의 길이 방향의 엣지와 접해 있을 수 있다.
흡수성 물품(1a)에서는 제1 흡수 시트(22)의 제2 흡수 시트(22a)로부터의 연장부(224a)에 형성되는 측방 백 시트 접촉영역(225a)과, 백 시트(23)는 비고정일 수도 있다. 또, 측방 백 시트 접촉영역(225a)은 제2 흡수 시트(22a)의 폭 방향의 엣지와 접해 있을 수 있다.
제1 흡수 시트(22)에서는 복수의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가 거의 스트라이프상으로 배치되지만, 복수의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의 배치, 및, 각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이 평면 시에서 거의 원형의 복수 고흡수성 재료 고정부(253)가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 예를 들면, 제1 흡수 시트(22)에 있어서, 폭 방향의 양쪽 엣지부를 제외하는 영역 전체에 걸쳐서, 고흡수성 재료(222)가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흡수 시트(22a)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흡수성 물품(1, 1a)의 평면 시에서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수성 물품(1, 1a)의 평면 시에서의 형상은 길이 방향의 양쪽 단부의 폭이 길이 방향의 중앙부의 폭보다도 큰 거의 모래시계상일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 및 각 변형예에 있어서의 구성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적당하게 조합될 수 있다.
발명을 상세하게 묘사해서 설명했지만, 상술의 설명은 예시적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다수의 변형이나 형태가 가능할 것이다.
1, 1a: 흡수성 물품
20: 흡수 코어
21: 탑 시트
22: 제1 흡수 시트
22a: 제2 흡수 시트
23: 백 시트
221: 제1 상층 시트
221a: 제2 상층 시트
222: 제1 고흡수성 재료
222a: 제2 고흡수성 재료
223: 제1 하층 시트
223a: 제2 하층 시트
224, 224a: 연장부
225: 백 시트 접촉영역
225a: 측방 백 시트 접촉영역
226: 코어 가장자리부 공간
226a: 측방 코어 가장자리부 공간
251: 제1 접합부

Claims (11)

  1. 착용자로부터의 배설물을 받는 흡수성 물품으로써,
    투액성의 탑 시트와,
    발액성 또는 불투액성의 백 시트와,
    상기 탑 시트와 상기 백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흡수 시트와,
    상기 제1 흡수 시트와 상기 백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흡수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흡수 시트가,
    제1 상층 시트와,
    상기 제1 상층 시트와 상기 백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하층 시트와,
    상기 제1 상층 시트와 상기 제1 하층 시트 사이에 고정된 입상 또는 섬유상의 제1 고흡수성 재료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흡수 시트가,
    제2 상층 시트와,
    상기 제2 상층 시트와 상기 백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하층 시트와,
    상기 제2 상층 시트와 상기 제2 하층 시트 사이에 고정된 입상 또는 섬유상의 제2 고흡수성 재료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고흡수성 재료는 입상의 SAP 또는 섬유상의 SAF이고,
    상기 제1 흡수 시트에서는, 상기 제1 상층 시트와 상기 제1 하층 시트 사이에, 상기 제1 고흡수성 재료 이외의 부피가 큰 흡수재료는 존재하지 않으며,
    상기 제2 고흡수성 재료는 입상의 SAP 또는 섬유상의 SAF이고,
    상기 제2 흡수 시트에서는, 상기 제2 상층 시트와 상기 제2 하층 시트 사이에, 상기 제2 고흡수성 재료 이외의 부피가 큰 흡수재료는 존재하지 않으며,
    길이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수 시트가 상기 제2 흡수 시트의 상기 길이 방향의 엣지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1 흡수 시트의 상기 제2 흡수 시트로부터의 연장부가, 상기 제2 흡수 시트의 상기 엣지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간해서 상기 백 시트에 접하는 백 시트 접촉영역을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수 시트의 상기 백 시트 접촉영역과 상기 제2 흡수 시트의 상기 엣지 사이의 상기 길이 방향의 거리가 2mm 이상 20mm 이하이고, 상기 백 시트 접촉영역과 상기 제2 흡수 시트의 상기 엣지 사이에, 상기 제1 흡수 시트와 상기 제2 흡수 시트와 상기 백 시트로 둘러싸이는 공간이 형성되는 흡수성 물품.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수 시트의 단위 면적당의 액체 흡수량이 상기 제2 흡수 시트의 단위 면적당의 액체 흡수량보다도 작은 흡수성 물품.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흡수 시트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쪽 엣지부에 있어서, 상기 제2 상층 시트와 상기 제2 하층 시트가 비고정인 흡수성 물품.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수 시트의 상기 백 시트 접촉영역이 상기 백 시트에 고정되는 흡수성 물품.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흡수 시트의 상기 제2 상층 시트가 상기 제1 흡수 시트의 상기 제1 하층 시트에 고정되는 흡수성 물품.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층 시트의 투액성이 상기 제2 하층 시트의 투액성보다도 높은 흡수성 물품.
  8. 제1 항에 있어서,
    폭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수 시트가 상기 제2 흡수 시트의 상기 폭 방향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1 흡수 시트의 상기 제2 흡수 시트로부터의 연장부가 상기 제2 흡수 시트의 상기 폭 방향의 상기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상기 백 시트에 접하는 측방 백 시트 접촉영역을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수 시트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쪽 엣지부에 있어서, 상기 제1 상층 시트와 상기 제1 하층 시트가 서로 고정되는 흡수성 물품.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층 시트와 상기 제1 하층 시트의 고정이 엠보싱 가공에 의한 흡수성 물품.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층 시트와 상기 제1 하층 시트의 고정이 가열을 수반하는 엠보싱 가공에 의한 흡수성 물품.
KR1020187016609A 2015-12-09 2016-10-21 흡수성 물품 KR1021414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39966A JP6707336B2 (ja) 2015-12-09 2015-12-09 吸収性物品
JPJP-P-2015-239965 2015-12-09
JP2015239965A JP6707335B2 (ja) 2015-12-09 2015-12-09 吸収性物品
JPJP-P-2015-239966 2015-12-09
PCT/JP2016/081331 WO2017098819A1 (ja) 2015-12-09 2016-10-21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889A KR20180084889A (ko) 2018-07-25
KR102141473B1 true KR102141473B1 (ko) 2020-08-05

Family

ID=59013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6609A KR102141473B1 (ko) 2015-12-09 2016-10-21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73708B2 (ko)
EP (1) EP3388040B1 (ko)
KR (1) KR102141473B1 (ko)
CN (1) CN108521759B (ko)
AU (1) AU2016367904B2 (ko)
HK (1) HK1255238A1 (ko)
WO (1) WO20170988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1474A1 (en) * 2016-10-11 2018-04-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creet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JP7129382B2 (ja) * 2019-06-28 2022-09-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6917A (ja) * 2001-10-11 2003-04-22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JP2011136078A (ja) * 2009-12-28 2011-07-14 Livedo Corporation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5896A (en) * 1978-03-23 1979-09-29 Kuraray Co Absorbing body that have excellent water absorbing capacity
JPS6159141A (ja) 1984-08-29 1986-03-26 Toshiba Corp 能力可変形空調装置
US4988344A (en) * 1988-05-24 1991-01-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multiple layer absorbent layers
JP2567608Y2 (ja) 1992-10-02 1998-04-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US6011195A (en) * 1996-10-10 2000-01-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 resilient absorbent article
EP0963746A1 (en) 1998-05-07 1999-12-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n absorbent member and a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6610899B1 (en) 1998-05-07 2003-08-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member and a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6562168B1 (en) 1998-07-07 2003-05-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cutting and sealing an absorbent member
EP0970675A1 (en) 1998-07-07 2000-01-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 method for cutting and sealing an absorbent member
US6642430B1 (en) 1999-04-28 2003-1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applying a foamable movement obstruction agent to an absorbent member
EP1048276A1 (en) 1999-04-28 2000-11-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applying a foamable movement obstruction agent to an absorbent member
JP2001190581A (ja) 2000-01-12 2001-07-17 Nippon Kyushutai Gijutsu Kenkyusho:Kk 失禁用吸収パッド
US20020133132A1 (en) * 2001-02-21 2002-09-19 Copat Marcelo S. Absorbent article with a response surface
JP3959339B2 (ja) 2002-11-12 2007-08-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649313B2 (ja) * 2010-02-26 2015-01-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US9308138B2 (en) 2011-06-28 2016-04-12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having intake structure
KR20150020680A (ko) * 2012-06-11 2015-02-26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흡수 용품
JP6132193B2 (ja) 2013-03-28 2017-05-2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6345998B2 (ja) * 2014-06-24 2018-06-20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669976B1 (ja) * 2014-06-30 2015-02-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該吸収性物品を備える着用物品
CN204072509U (zh) * 2014-07-18 2015-01-07 株式会社利卫多公司 吸收性物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6917A (ja) * 2001-10-11 2003-04-22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JP2011136078A (ja) * 2009-12-28 2011-07-14 Livedo Corporation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55238A1 (zh) 2019-08-09
CN108521759A (zh) 2018-09-11
EP3388040B1 (en) 2020-09-30
KR20180084889A (ko) 2018-07-25
EP3388040A4 (en) 2019-05-22
US10973708B2 (en) 2021-04-13
EP3388040A1 (en) 2018-10-17
US20180344542A1 (en) 2018-12-06
WO2017098819A1 (ja) 2017-06-15
CN108521759B (zh) 2024-03-08
AU2016367904B2 (en) 2019-05-23
AU2016367904A1 (en) 2018-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0903B2 (ja) 吸収性物品
TWI510222B (zh) Absorbent items
WO2012101934A1 (ja) パッド形態を有する吸収性物品
KR20160027008A (ko) 흡수성 물품
KR20140027367A (ko) 흡수성 물품
JP2009273720A (ja) 吸収性物品
JP6707335B2 (ja) 吸収性物品
JP6694706B2 (ja) 吸収性物品
JP2016174741A (ja) 吸収性物品
KR102141473B1 (ko) 흡수성 물품
CN109715115B (zh) 吸收性物品
JP2016112047A (ja) 吸収性物品用シート部材および吸収性物品
JP2012050744A (ja) 吸収性物品
WO2011070737A1 (en) Disposable urine absorbent product
JP6707336B2 (ja) 吸収性物品
JPH11235357A (ja) 使い捨ておむつ
JP7111445B2 (ja) 吸収性物品
CN219089928U (zh) 吸收性物品
CN111683634B (zh) 吸收性物品
KR102433718B1 (ko) 흡수성 물품
JP2023019273A (ja)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WO2017110097A1 (ja) 吸収性物品
JP2017225604A (ja) 吸収性物品
JP2017113512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