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225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0225B1 KR102140225B1 KR1020130141567A KR20130141567A KR102140225B1 KR 102140225 B1 KR102140225 B1 KR 102140225B1 KR 1020130141567 A KR1020130141567 A KR 1020130141567A KR 20130141567 A KR20130141567 A KR 20130141567A KR 102140225 B1 KR102140225 B1 KR 1021402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coil
- transistor
- output terminal
- outpu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장치는 렌즈 주변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포함하는 코일, 그리고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로 한 쌍의 차동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IC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 모듈의 OIS(Optical Image Stabilizatin) 장치에 관한 것이다.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장치는 카메라 촬영 시 손떨림 등을 보정하는 역할을 하는 이미지 안정화 장치이다. OIS 장치는 일반 카메라 모듈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에 내장되는 카메라에도 적용되고 있다.
OIS 장치는 렌즈 주변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및 마그네트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코일을 포함한다.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코일과 마그네트 간에 자계가 형성되어 렌즈를 움직이며, 손떨림을 보정한다.
구동 IC가 코일에 전압을 인가하는 방법으로는, 선형(linear) 방식과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이 있다. 선형 방식에 따르면,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으나, 전력 소모가 큰 문제가 있다.
휴대 단말에 내장되는 카메라의 경우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으므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PWM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PWM 방식으로 코일에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이미지 센서 주변의 노이즈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카메라 모듈의 OIS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장치는 렌즈 주변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포함하는 코일, 그리고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로 한 쌍의 차동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IC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IC는 상기 제 1 단자로 정극성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출력단, 그리고 상기 제2 단자로 부극성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출력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출력단이 상기 정극성의 신호를 출력하며, 동시에 상기 제2 출력단이 상기 부극성의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코일에 제1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1 출력단이 상기 정극성의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제2 출력단이 상기 부극성의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코일에 제2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1 출력단 및 상기 제2 출력단 각각은 제 1 트랜지스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병렬 연결되는 제2 트랜지스터, 그리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가 만나는 제1 노드와 소스 단자가 연결되는 제3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노드는 제1 단자 또는 상기 제2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 상에 형성되며,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 매의 렌즈, 그리고 광학식 이미지 안정화(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OIS 장치는 상기 렌즈 주변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포함하는 코일,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로 한 쌍의 차동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IC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 매의 렌즈는 제1 축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OIS 장치는 상기 제1 축 방향에 수직인 제2 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마그네트 및 제1 코일, 그리고 상기 제1 축 방향 및 상기 제2 축 방향에 수직인 제3 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마그네트 및 제2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펄스 주변의 피킹(peaking), 즉 오버슛(overshoot) 및 언더슛(undershoot)을 줄일 수 있고, 이미지 센서 주변의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 구동 시 발생하는 노이즈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구동 IC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다.
도 2는 OIS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3은 도 2의 구동 IC출력에 따라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2와 같은 OIS 장치의 구동으로 인하여 이미지 센서 주변에 발생하는 EMI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2의 OIS 장치를 이용하여 코일에 2.8V의 전압을 인가한 결과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OIS 장치를 나타내며, 도 7은 도 6의 구동 IC출력에 따라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을 나타낸다.
도 8은 이미지 센서 주변의 coupled field이다.
도 9는 도 6의 구동 IC 출력에 따라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을 나타낸다.
도 10은 도 2의 OIS 장치를 이용하여 코일에 +1.4V의 전압을 인가하고자 짧은 펄스의 +2.8V 신호를 출력한 결과이다.
도 11은 도 6의 OIS 장치를 이용하여 코일에 +1.4V의 전압을 인가하고자 한 쌍의 차동 신호 중 하나를 출력한 결과이다.
도 2는 OIS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3은 도 2의 구동 IC출력에 따라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2와 같은 OIS 장치의 구동으로 인하여 이미지 센서 주변에 발생하는 EMI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2의 OIS 장치를 이용하여 코일에 2.8V의 전압을 인가한 결과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OIS 장치를 나타내며, 도 7은 도 6의 구동 IC출력에 따라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을 나타낸다.
도 8은 이미지 센서 주변의 coupled field이다.
도 9는 도 6의 구동 IC 출력에 따라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을 나타낸다.
도 10은 도 2의 OIS 장치를 이용하여 코일에 +1.4V의 전압을 인가하고자 짧은 펄스의 +2.8V 신호를 출력한 결과이다.
도 11은 도 6의 OIS 장치를 이용하여 코일에 +1.4V의 전압을 인가하고자 한 쌍의 차동 신호 중 하나를 출력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00)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110), PCB(110) 상에 배치되며 PCB(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미지 센서(120), 이미지 센서(120) 상에 배치되며 물체측(Object Side)으로부터 상측(Image Side)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복수 매의 렌즈(130) 및 OIS 장치(140)를 포함한다.
이미지 센서(120)는 플립칩 본딩 또는 와이어(wire) 본딩 등에 의하여 PCB(1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20)는, 예를 들면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센서일 수 있다. 이미지 센서(120)는 복수 매의 렌즈(130)를 통하여 입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20)에 의하여 생성된 영상 신호는 PCB(110) 상에 형성된 회로 패턴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외부 기기에 송출되어 이미지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렌즈(130)는 물체측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모으거나 발산시켜 광학적 상을 맺게한다. 렌즈(130)는, 예를 들면 재료에 따라 플라스틱 렌즈, 유리 렌즈, 폴리머 렌즈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렌즈(130)는 구면 렌즈 또는 비구면 렌즈로 구분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미지 센서(120)와 복수 매의 렌즈(130) 사이에는 필터가 더 배치될 수 있다. 필터는 IR(InfraRed) 필터일 수 있다. 필터는 필름(film)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필터는 카메라 모듈(100) 내에 입사되는 광으로부터 근적외선, 예를 들면 파장이 700nm 내지 1100nm인 빛을 차단할 수 있다.
필터 및 복수 매의 렌즈(130)는 렌즈 홀더(미도시) 내에 내장되며, 지지될 수 있다.
OIS 장치(140)는 렌즈 주변에 배치되는 마그네트(142), 마그네트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코일(144), 그리고 코일에 전압을 인가하는 구동 IC(146)를 포함한다.
복수 매의 렌즈(130)가 Z축 방향으로 적층되는 경우, X축 방향으로 하나의 마그네트-코일 쌍이 배치되고, Y축 방향으로 다른 마그네트-코일 쌍이 배치될 수 있다.
구동 IC(146)가 코일(144)에 전압을 인가하면, 코일(144)에 흐르는 전류로 인하여 마그네트(142)와 코일(144) 주변에 자계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매의 렌즈(130)를 움직여, 손떨림 등을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코일(144)은 VCM(Voice Coil Moter) 코일일 수 있으며, 구동 IC(146)는 코일(144)에게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으로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OIS 장치(140)도 필터 및 복수 매의 렌즈(130)와 함께 렌즈 홀더 내에 내장되며, 렌즈 홀더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탑(laptop) 컴퓨터, PDA 등의 휴대 단말에 내장될 수 있다.
도 2는 OIS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3은 도 2의 구동 IC출력에 따라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OIS 장치(200)는 렌즈(L) 주변에 배치되는 마그네트(210, 212), 각 마그네트(210, 212)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코일(220, 222), 그리고 각 코일(220, 222)의 양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코일(220, 222)에 전압을 인가하는 구동 IC(230)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상, 마그네트(210) 및 코일(220)은 X축 방향으로 배열되며, 마그네트(212) 및 코일(222)은 Y축 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코일(220)의 양 단자(T1, T2)는 각각 출력단(X+) 및 출력단(X-)에 연결되며, 코일(222)의 양 단자(T3, T4)는 각각 출력단(Y+) 및 출력단(Y-)에 연결된다.
각 출력단(X+, X-, Y+, Y-)은 직렬 연결된 두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한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와 나머지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를 연결하는 노드로부터 구동 신호가 출력된다.
각 출력단(X+, X-, Y+, Y-)의 VDD가 +2.8V인 경우, 각 트랜지스터의 입력 전압에 따라, 출력단(X+, Y+)으로부터 0 내지 +2.8V의 구동 신호가 출력될 수 있고, 출력단(X-, Y-)으로부터 -2.8 내지 0V의 구동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도 2 내지 3을 참조하면, 코일(220)에 +2.8V의 전압을 인가하고자 하는 경우, 출력단(X+, X-)에 포함되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를 통한 입력 신호를 조절하여, 출력단(X+)로부터 +2.8V의 구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코일(220)에 -2.8V의 전압을 인가하고자 하는 경우, 출력단(X+, X-)에 포함되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를 통한 입력 신호를 조절하여, 출력단(X-)로부터 -2.8V의 구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미지 센서 주변에서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가 과도하게 방사되어 노이즈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도 4는 도 2와 같은 OIS 장치의 구동으로 인하여 이미지 센서 주변에 발생하는 EMI를 나타낸다. 도 4에서, 적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EMI가 높은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코일에 전압이 인가되기 전후에 피킹(peaking), 즉 오버슛(overshoot) 및 언더슛(undershoot)이 높게 형성되는 문제가 있다. 도 5는 도 2의 OIS 장치를 이용하여 코일에 2.8V의 전압을 인가한 결과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오버슛이 약 1.9V이고, 언더슛이 약 -1.9V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IC가 코일의 양단으로 한 쌍의 차동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EMI 및 피킹(peaking)을 줄이고자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OIS 장치를 나타내며, 도 7은 도 6의 구동 IC출력에 따라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OIS 장치(600)는 렌즈 주변에 배치되는 마그네트(610, 612), 각 마그네트(610, 612)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코일(620, 622), 그리고 각 코일(620, 622)의 양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코일(620, 522)에 전압을 인가하는 구동 IC(630)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상, 마그네트(610) 및 코일(620)은 X축 방향으로 배열되며, 마그네트(612) 및 코일(622)은 Y축 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코일(620)의 양 단자(T1, T2)는 각각 출력단(X+) 및 출력단(X-)에 연결되며, 코일(622)의 양 단자(T3, T4)는 각각 출력단(Y+) 및 출력단(Y-)에 연결된다.
출력단(X+) 및 출력단(X-)은 코일(620)의 양 단자(T1, T2)로 한 쌍의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를 출력한다. 즉, 출력단(X+)는 단자(T1)로 정극성의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단(X-)는 단자(T2)로 동일한 크기의, 부극성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단(X+)과 출력단(X-)가 각각 정극성의 신호와 부극성의 신호를 동시에 출력하는 경우, 코일(620)은 양 신호의 차를 감지하여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다.
출력단(Y+), 출력단(Y-) 및 코일(622)도 출력단(X+), 출력단(X-) 및 코일(620)과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각 출력단(X+, X-, Y+, Y-)은 트랜지스터(632), 트랜지스터(632)와 병렬 연결되는 다른 트랜지스터(634), 그리고 트랜지스터(632)의 드레인 단자(D)와 트랜지스터(634)의 드레인 단자(D)가 연결되는 노드(N)와 소스 단자(S)가 연결되는 또 다른 트랜지스터(636)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출력단(X+, X-)의 노드(N)으로부터 한 쌍의 차동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632)의 VDD가 +2.8V이고, 트랜지스터(634)의 VDD가 +1.4V인 경우, 각 트랜지스터의 입력 전압에 따라, 출력단(X+, Y+)으로부터 -1.4 내지 +1.4V의 구동 신호가 출력될 수 있고, 출력단(X-, Y-)으로부터 -1.4 내지 1.4V의 구동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도 6 내지 7을 참조하면, 코일(620)에 +2.8V의 전압을 인가하고자 하는 경우, 출력단(X+, X-)에 포함되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를 통한 입력 신호를 조절하여, 출력단(X+)로부터 +1.4V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이와 동시에 출력단(X-)로부터 -1.4V의 구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코일(620)에 -2.8V의 전압을 인가하고자 하는 경우, 출력단(X+, X-)에 포함되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를 통한 입력 신호를 조절하여, 출력단(X+)로부터 -1.4V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이와 동시에 출력단(X-)로부터 +1.4V의 구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일의 양 단자에 한 쌍의 차동 신호를 전송하면, 도 8과 같이 이미지 센서 주변에 연성장(coupled field)가 형성되어 EMI로 인한 노이즈가 줄어들게 된다. 또한, 각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가 낮아져 피킹이 줄어들 수 있다.
한편, 도 2의 OIS 장치에서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줄이고자 하는 경우, 출력단(X+) 또는 출력단(X-)가 구동 신호를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출력한다. 예를 들어, 출력단(X+)의 VDD가 +2.8V이고, 코일에 +1.4V의 전압을 인가하고자 하는 경우, 출력단(X+)은 코일에 +2.8V의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보다 짧은 펄스로 +2.8V의 구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에 비하여 매우 높은 피킹(peaking)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IC는 한 쌍의 차동 신호 중 하나만을 출력하여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정할 수 있다.
도 9는 도 6의 구동 IC 출력에 따라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을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코일(620)에 +2.8V의 전압을 인가하고자 하는 경우, 출력단(X+, X-)에 포함되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를 통한 입력 신호를 조절하여, 출력단(X+)로부터 +1.4V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이와 동시에 출력단(X-)로부터 -1.4V의 구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코일(620)에 +1.4V의 전압을 인가하고자 하는 경우, 출력단(X+, X-)에 포함되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를 통한 입력 신호를 조절하여, 출력단(X+)로부터 +1.4V의 구동 신호만을 출력하거나, 출력단(X-)로부터 -1.4V의 구동 신호만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코일(620)에 -1.4V의 전압을 인가하고자 하는 경우, 출력단(X+, X-)에 포함되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를 통한 입력 신호를 조절하여, 출력단(X+)로부터 -1.4V의 구동 신호만을 출력하거나, 출력단(X-)로부터 +1.4V의 구동 신호만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줄이기 위하여 출력단이 낮은 전압 신호를 출력하면, EMI 및 피킹이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두 개의 출력단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코일에 동일한 전압을 인가할 수 있으므로, 출력단의 발열을 줄일 수 있다.
도 10은 도 2의 OIS 장치를 이용하여 코일에 +1.4V의 전압을 인가하고자 짧은 펄스의 +2.8V 신호를 출력한 결과이고, 도 11은 도 6의 OIS 장치를 이용하여 코일에 +1.4V의 전압을 인가하고자 한 쌍의 차동 신호 중 하나를 출력한 결과이다.
도 11은 도 10에 비하여 이미지 센서 주변의 노이즈가 현저하게 줄어들어 있으며, 펄스 양 끝단의 피킹도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600: OIS 장치
610, 612: 마그네트
620, 622: 코일
630: 구동 IC
610, 612: 마그네트
620, 622: 코일
630: 구동 IC
Claims (8)
- 렌즈 주변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포함하는 코일, 그리고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로 한 쌍의 차동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IC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IC는
상기 제 1 단자로 정극성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출력단, 그리고
상기 제2 단자로 부극성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출력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출력단 및 상기 제2 출력단 각각은
제 1 트랜지스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병렬 연결되는 제2 트랜지스터, 그리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가 만나는 제1 노드와 소스 단자가 연결되는 제3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단이 상기 정극성의 신호를 출력하며, 동시에 상기 제2 출력단이 상기 부극성의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코일에 제1 전압을 인가하는 OIS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단이 상기 정극성의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제2 출력단이 상기 부극성의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코일에 제2 전압을 인가하는 OIS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는 제1 단자 또는 상기 제2 단자와 연결되는 OIS 장치. -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 상에 형성되며,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 매의 렌즈, 그리고
광학식 이미지 안정화(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OIS 장치는
상기 렌즈 주변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포함하는 코일,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로 한 쌍의 차동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IC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IC는
상기 제 1 단자로 정극성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출력단, 그리고
상기 제2 단자로 부극성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출력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출력단 및 상기 제2 출력단 각각은
제 1 트랜지스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병렬 연결되는 제2 트랜지스터, 그리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가 만나는 제1 노드와 소스 단자가 연결되는 제3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매의 렌즈는 제1 축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OIS 장치는
상기 제1 축 방향에 수직인 제2 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마그네트 및 제1 코일, 그리고
상기 제1 축 방향 및 상기 제2 축 방향에 수직인 제3 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마그네트 및 제2 코일
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1567A KR102140225B1 (ko) | 2013-11-20 | 2013-11-20 | 카메라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1567A KR102140225B1 (ko) | 2013-11-20 | 2013-11-20 | 카메라 모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57785A KR20150057785A (ko) | 2015-05-28 |
KR102140225B1 true KR102140225B1 (ko) | 2020-07-31 |
Family
ID=53392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41567A KR102140225B1 (ko) | 2013-11-20 | 2013-11-20 | 카메라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0225B1 (ko)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7040274A1 (ja) * | 2005-10-06 | 2007-04-12 | Seiko Precision Inc. | 電磁アクチュエータ |
KR101875552B1 (ko) * | 2011-01-03 | 2018-07-09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복합 기능 보이스 코일 모터, 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 및 복합 기능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 방법 |
-
2013
- 2013-11-20 KR KR1020130141567A patent/KR102140225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57785A (ko) | 2015-05-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256065B2 (en) | Tri-axis close loop feedback controlling module for electromagnetic lens driving device | |
JP7084945B2 (ja) | カメラモジュール用アクチュエータ移動感知素子とそれら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用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 | |
US11474321B2 (en) | Optical member driving mechanism | |
TW201805674A (zh) | 鏡頭驅動裝置 | |
JP6385076B2 (ja) | ボイスコイルモータの駆動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レンズ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ボイスコイルモータの駆動方法 | |
US10574914B2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actuator control | |
CN107800937A (zh) | 一种多摄像头模组及终端设备 | |
KR20190092719A (ko) | 카메라 모듈 | |
JP5626967B2 (ja) | フォーカス制御回路 | |
US20110291603A1 (en) | Drive control circuit and focus control circuit | |
KR102140225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2148403B1 (ko) | 카메라 모듈 | |
JP6018403B2 (ja) | スプリングリターン機構付きボイスコイルモータの駆動回路、それを用いたレンズ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 |
KR101721355B1 (ko) |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 회로 및 그것을 사용한 렌즈 모듈 및 전자 기기 | |
JP6676430B2 (ja) | ボイスコイルモータの駆動回路、駆動方法、ならびにそれらを用いたレンズ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 |
US20150264237A1 (en) | Apparatus for driving actuator of camera module in mobile device | |
CN112889263B (zh) | 透镜驱动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相机模块和光学装置 | |
US11036028B2 (en) | Lens driving mechanism | |
WO2016147237A1 (ja) | カレントミラー回路、イメージセンサ、および撮像装置 | |
KR20210143454A (ko) | 카메라 모듈 | |
JP2009156642A (ja) | ホールバイアス回路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140036690A (ko) | 카메라 모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