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204B1 -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코너 조립용 3방향 연결구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코너 조립용 3방향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204B1
KR102140204B1 KR1020190126510A KR20190126510A KR102140204B1 KR 102140204 B1 KR102140204 B1 KR 102140204B1 KR 1020190126510 A KR1020190126510 A KR 1020190126510A KR 20190126510 A KR20190126510 A KR 20190126510A KR 102140204 B1 KR102140204 B1 KR 102140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profile
frame
aluminum
frame portion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종윤
김준용
Original Assignee
(주)알엠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엠에이 filed Critical (주)알엠에이
Priority to KR1020190126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2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7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with sliding nuts or other additional connecting members for joining profiles provided with grooves o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5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with a nod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코너 조립용 3방향 연결구가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코너 조립용 3방향 연결구는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의 단면을 커버하는 커버부,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일단면이 접촉되는 커버부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일측면에 형성된 슬롯홈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제1프레임부,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일단면이 접촉되는 커버부의 내측면에 제1프레임부와 수직한 위치에 형성되어,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일측면에 수직한 면에 형성된 슬롯홈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제2프레임부, 커버부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제2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측면에 형성된 슬롯홈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제3프레임부, 및 커버부의 일측면과 수직한 측면에 형성되어, 제3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측면에 형성된 슬롯홈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제4프레임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3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일단이 3방향으로 결합되도록 손쉽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코너 조립용 3방향 연결구{Three way coupler for assembling corner of aluminium profile}
본 발명은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코너 조립용 3방향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조립 시, 3개의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입체적으로 조립하고, 동시에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단부를 커버할 수 있는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코너 조립용 3방향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프로파일은 경량으로 제작되며 강도가 높고 다양한 형태 및 규격을 통해 표준화되어 경하중의 선반은 물론 중하중의 기계장치 프레임에 이르기까지 활용도가 높다. 뿐만 아니라, 일단 설치된 프로파일 선반이나 프레임 등의 구조물은 사용과정에서 그 용도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비교적 구조의 변경이 용이하고 기능성의 유지가 가능한 측면의 장점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용도에 따른 구조물로 조립할 경우, 각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연결 및 결합시키도록 하기 위한 각종 연결구가 필요하다. 이 중에서 구조물의 코너부분에는 연결구를 사용하여 알루미늄의 프로파일을 조립하고,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날카로운 단부를 엔드캡(End cap)을 이용하여 커버해야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0767호에는 두 개의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코너부분을 연결하는 구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특허에서는 두 개의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연결하기 위한 브라켓과 브라켓을 알루미늄 프로파일에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 등이 필요하다.
이상과 같이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코너부분을 연결하게 되면,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날카로운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도 있다. 따라서 알루미늄의 프로파일 단부를 커버하기 위한 별도의 엔드캡(End cap)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코너부분을 조립하기 위한 부품수가 증가 한다.
도 1은 종래의 알루미늄 프로파일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는 종래의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코너를 입체적으로 조립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에는 먼저, 제1브라켓(40)을 제2알루미늄 프로파일(20)의 말단부에 제1볼트너트(50)로 고정시키고,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10)의 말단부 측면에 제2알루미늄 프로파일(20)을 위치시킨 후, 고정 위치를 조정하여 제2볼트너트(52)로 고정시킨다. 같은 방법으로, 제2브라켓(45)을 제3알루미늄 프로파일(30)의 말단부에 제3볼트너트(53)로 고정시키고,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10)의 말단부 측면에 제3알루미늄 프로파일(30)을 위치시킨 후, 고정 위치를 조정하여 제4볼트너트(55)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10)의 단면에 엔드캡(60)을 씌운다.
이상과 같이, 종래에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3개를 입체적으로 조립하는 경우, 브라켓과 볼트너트가 두 개의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조립하는 경우보다 2배가 더 필요하다. 또한, 많은 부품을 조립해야 하고, 고정 위치를 일일이 조정해야 하므로 조립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0767호(2017.08.1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3개의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조립하기 위한 부품 수를 최소화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코너 조립용 3방향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 내지 제3알루미늄 프로파일(10,20,30)의 일단(一端)이 3방향으로 결합되도록 조립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코너 조립용 3방향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10)의 단면을 커버하는 커버부(110);
상기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10)의 일단면이 접촉되는 상기 커버부(11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슬롯홈(11)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제1프레임부(120);
상기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10)의 일단면이 접촉되는 상기 커버부(110)의 내측면에 상기 제1프레임부(120)와 수직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10)의 일측면에 수직한 면에 형성된 슬롯홈(11)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제2프레임부(130);
상기 커버부(11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알루미늄 프로파일(20)의 측면에 형성된 슬롯홈(21)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제3프레임부(140); 및
상기 제3프레임부(140)가 삽입되는 상기 커버부(110)의 일측면과 수직한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3알루미늄 프로파일(30)의 측면에 형성된 슬롯홈(31)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제4프레임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부(120) 내지 제4프레임부(150)의 단면은 상기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10) 내지 제3알루미늄 프로파일(30)의 측면에 형성된 슬롯홈(11,21,31)의 단면에 대응되는 'T'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프레임부(120) 내지 제4프레임부(150)에는 상기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10) 내지 제3알루미늄 프로파일(30)의 측면에 형성된 슬롯홈(11,21,31)에 고정되는 무두볼트(160)가 장착되며,
상기 커버부(11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프레임부(120) 및 상기 제2프레임부(130)가 형성되는 'ㄴ'자 형상의 지지부(112) 및 상기 지지부(112)보다 높이가 낮은 홈부(113)가 형성되고,
커버부(110)의 측면 높이는 지지부(112)의 높이(e)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제3프레임부(140) 및 제4프레임부(150)의 단면 높이(d)와 일치되거나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코너 조립용 3방향 연결구에 의하면, 별도의 부품없이 코너 조립용 3방향 연결구만으로도 3개의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손쉽게 조립하고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단부까지 커버할 수 있으므로 조립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무두볼트를 사용하여 코너 조립용 3방향 연결구에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어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의 내측면에 홈부를 형성시켜 코너 조립용 3방향 연결구의 중량을 줄일 수 있으며 제조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알루미늄 프로파일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너 조립용 3방향 연결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너 조립용 3방향 연결구가 알루미늄 프로파일에 입체적으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너 조립용 3방향 연결구가 알루미늄 프로파일에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코너 조립용 3방향 연결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너 조립용 3방향 연결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너 조립용 3방향 연결구가 알루미늄 프로파일에 입체적으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코너 조립용 3방향 연결구(100)는 커버부(110), 제1프레임부(120), 제2프레임부(130), 제3프레임부(140), 및 제4프레임부(15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커버부(110)는 조립 시,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10)의 단면을 커버하며,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10)의 단면 면적과 동일한 넓이를 갖도록 설계된다. 즉, 커버부(110)의 가로(a) 및 세로(b)는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10) 단면의 가로 및 세로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10)의 단면은 정사각형이므로 가로와 세로는 동일하며 커버부(110)의 가로(a) 및 세로(b)도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 완성 시, 외부로 드러나는 커버부(110)의 외면에서 모서리(111)는 작업자나 사용자가 다치지 않도록 둥글게 형성된다.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10)의 일단면이 접촉되는 커버부(110)의 내측면은 도 3에 나타낸바와 같이 'ㄴ'자 형상의 지지부(112) 및 지지부(112)보다 높이가 낮은 홈부(113)로 구성된다. 지지부(112)에는 제1프레임부(120) 및 제2프레임부(130)가 형성되며, 제1프레임부(120) 및 제2프레임부(130)는 커버부(110)의 내측면 지지부(112)상에 서로 수직한 위치에 형성된다.
지지부(112)는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10)이 단부에 접촉되어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10)을 지지한다. 홈부(113)는 지지부(112)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며, 즉, 홈부(113)의 높이(c)는 지지부(112)의 높이(e)보다 낮게 형성되며, 홈부(113)를 형성시키기 위한 공간의 부피만큼 코너 조립용 3방향 연결구(100)의 중량을 줄일 수 있다.
제3프레임부(140) 및 제4프레임부(150)는 커버부(110)의 측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3프레임부(140)는 커버부(110)에서 제1프레임부(120)와 대향되는 측면에 형성되며, 제4프레임부(150)는 커버부(110)에서 제2프레임부(130)와 대향되는 측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커버부(110)의 측면 높이는 지지부(112)의 높이(e)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제3프레임부(140) 및 제4프레임부(150)의 단면 높이(d)와 일치되거나 더 높게 형성된다.
제1프레임부(120) 내지 제4프레임부(150)에는 무두볼트(160)가 각각 장착되며, 무두볼트(160)는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10) 내지 제3알루미늄 프로파일(30)의 측면에 형성된 슬롯홈(11,21,31)에 고정된다. 무두볼트(160)에 의해 코너 조립용 3방향 연결구(100)가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10) 내지 제3알루미늄 프로파일(3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제1프레임부(120) 및 제2프레임부(130)는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10)의 측면에 형성된 슬롯홈(11)에 각각 슬라이딩 삽입되어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10)을 지지한다. 제3프레임부(140)는 제2알루미늄 프로파일(20)의 측면에 형성된 슬롯홈(21)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제2알루미늄 프로파일(20)을 지지하고, 제4프레임부(150)는 제3알루미늄 프로파일(30)의 측면에 형성된 슬롯홈(31)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제3알루미늄 프로파일(30)을 지지한다.
제1 내지 제4프레임부(120,130,140,150)의 단면은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10) 내지 제3알루미늄 프로파일(30)의 측면에 형성된 슬롯홈(11,21,31)이 단면에 대응되는 'T'자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T'자형의 머리 부분(H)는 제1 내지 제3알루미늄 프로파일(10,20,30)의 슬롯홈(11,21,31)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코너 조립용 3방향 연결구(100)로부터 제1 내지 제3알루미늄 프로파일(10,20,3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 내지 제4프레임부(120,130,140,150)에는 무두볼트(160)가 장착되며, 무두볼트(160)를 조여줌으로써,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10) 내지 제3알루미늄 프로파일(30)의 조립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조립 과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코너 조립용 3방향 연결구(100)의 제1프레임부(120) 및 제2프레임부(130)에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10)을 장착하여 무두볼트(160)를 조여준다. 같은 방법으로, 제3프레임부(140)에 제2알루미늄 프로파일(20)을 장착하여 무두볼트(160)를 조여주고, 제4프레임부(150)에 제3알루미늄 프로파일(30)을 장착하여 무두볼트(160)를 조여준다.
조립 시, 종래와는 달리 제2알루미늄 프로파일(20) 및 제3알루미늄 프로파일(30)의 고정 위치를 조정할 필요 없이, 제2알루미늄 프로파일(20) 및 제3알루미늄 프로파일(30)가 커버부(110)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장착한 후, 무두볼트(160)를 외측에서 조여주면 되므로 조립이 매우 간편하다.
필요에 따라서, 제1 내지 제3알루미늄 프로파일(10,20,30)에도 무두볼트(160)에 대응되는 위치에 홀(미도시)을 탭핑(Tapping) 가공을 통해 형성시켜 무두볼트(160)를 고정시킴으로써, 코너 조립용 3방향 연결구(100)를 사용하여 제1 내지 제3알루미늄 프로파일(10,20,30)을 더욱더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4개의 무두볼트(160)는 조립된 알루미늄 프로파일(10,20,30)의 외측면에서 조여주면 되므로 작업자는 작업을 훨씬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너 조립용 3방향 연결구가 알루미늄 프로파일에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에는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10)이 코너 조립용 3방향 연결구(100)에 고정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내었다.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10)을 코너 조립용 3방향 연결구(100)에 장착하여 제1프레임부(120) 및 제2프레임부(130)에 장착된 무두볼트(160)를 조여준다. 즉,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10)의 슬롯홈(11)에 제1프레임부(120) 및 제2프레임부(130)에 슬라이딩 삽입한 후 무두볼트(160)를 조여준다.
무두볼트(160)가 조여지면서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10)을 밀어내는 힘에 의해 코너 조립용 3방향 연결구(100)에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10)이 단단히 고정되게 된다. 제2알루미늄 프로파일(20) 및 제3알루미늄 프로파일(30)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도 2 및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10) 단면의 가로(a) 및 세로(b)는 커버부(110)의 가로(a) 및 세로(b)와 동일하다. 또한, 제2알루미늄 프레임(20) 및 제3알루미늄 프레임(30) 단면의 가로 및 세로 역시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조립 시, 제2알루미늄 프레임(20) 및 제3알루미늄 프레임(30)이 고정되는 높이를 조정할 필요없이 제2알루미늄 프레임(20) 및 제3알루미늄 프레임(30)을 커버부(110)의 측면에 밀착하여 무두볼트(160)를 조여주기만 하면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무두볼트(160)가 각각의 프레임부(120,130,140, 150)에 하나씩만 장착된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조립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10,20,30)의 길이 및 중량에 따라 프레임부(120,130,140,150)의 길이를 더 길게 설계하여 무두볼트(160)를 하나의 프레임부(120,130,140,150)에 두개 이상 장착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한다.
10 :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 20 : 제2알루미늄 프로파일
30 : 제3알루미늄 프로파일 11,21,31 : 슬롯홈
100 : 코너 조립용 3방향 연결구 110 : 커버부
111 : 모서리 112 : 지지부
113 : 홈부 120 : 제1프레임부
130 : 제2프레임부 140 : 제3프레임부
150 : 제4프레임부 160 : 무두볼트

Claims (3)

  1. 제1 내지 제3알루미늄 프로파일(10,20,30)의 일단(一端)이 3방향으로 결합되도록 조립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코너 조립용 3방향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10)의 단면을 커버하는 커버부(110);
    상기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10)의 일단면이 접촉되는 상기 커버부(11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슬롯홈(11)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제1프레임부(120);
    상기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10)의 일단면이 접촉되는 상기 커버부(110)의 내측면에 상기 제1프레임부(120)와 수직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10)의 일측면에 수직한 면에 형성된 슬롯홈(11)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제2프레임부(130);
    상기 커버부(11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알루미늄 프로파일(20)의 측면에 형성된 슬롯홈(21)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제3프레임부(140); 및
    상기 제3프레임부(140)가 삽입되는 상기 커버부(110)의 일측면과 수직한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3알루미늄 프로파일(30)의 측면에 형성된 슬롯홈(31)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제4프레임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부(120) 내지 제4프레임부(150)의 단면은 상기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10) 내지 제3알루미늄 프로파일(30)의 측면에 형성된 슬롯홈(11,21,31)의 단면에 대응되는 'T'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프레임부(120) 내지 제4프레임부(150)에는 상기 제1알루미늄 프로파일(10) 내지 제3알루미늄 프로파일(30)의 측면에 형성된 슬롯홈(11,21,31)에 고정되는 무두볼트(160)가 장착되며,

    상기 커버부(11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프레임부(120) 및 상기 제2프레임부(130)가 형성되는 'ㄴ'자 형상의 지지부(112) 및 상기 지지부(112)보다 높이가 낮은 홈부(113)가 형성되고,

    커버부(110)의 측면 높이는 지지부(112)의 높이(e)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제3프레임부(140) 및 제4프레임부(150)의 단면 높이(d)와 일치되거나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코너 조립용 3방향 연결구.
  2. 삭제
  3. 삭제
KR1020190126510A 2019-10-11 2019-10-11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코너 조립용 3방향 연결구 KR102140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510A KR102140204B1 (ko) 2019-10-11 2019-10-11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코너 조립용 3방향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510A KR102140204B1 (ko) 2019-10-11 2019-10-11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코너 조립용 3방향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0204B1 true KR102140204B1 (ko) 2020-07-31

Family

ID=71834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510A KR102140204B1 (ko) 2019-10-11 2019-10-11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코너 조립용 3방향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20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367Y1 (ko) * 2006-03-02 2006-05-15 주식회사 임진너트산업 알루미늄 프로파일용 연결구
KR101021662B1 (ko) * 2010-08-18 2011-03-17 (주) 나라디자인 친환경 다용도 조립파티션
KR101398305B1 (ko) * 2013-01-22 2014-05-27 여길봉 도어 프레임의 모서리 조립유닛
KR20170021181A (ko) * 2015-08-17 2017-02-27 김호식 프로파일용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3d(입체조형) 프린터
KR101770767B1 (ko) 2016-06-02 2017-08-23 오용진 프로파일 연결 브라켓 구조
KR20180010435A (ko) * 2016-07-21 2018-01-31 주식회사 자이트게버 일체형 이중 롤 블라인드용 하단바장치
KR20180042552A (ko) * 2016-10-18 2018-04-26 주식회사 홍인 프로파일 연결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367Y1 (ko) * 2006-03-02 2006-05-15 주식회사 임진너트산업 알루미늄 프로파일용 연결구
KR101021662B1 (ko) * 2010-08-18 2011-03-17 (주) 나라디자인 친환경 다용도 조립파티션
KR101398305B1 (ko) * 2013-01-22 2014-05-27 여길봉 도어 프레임의 모서리 조립유닛
KR20170021181A (ko) * 2015-08-17 2017-02-27 김호식 프로파일용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3d(입체조형) 프린터
KR101770767B1 (ko) 2016-06-02 2017-08-23 오용진 프로파일 연결 브라켓 구조
KR20180010435A (ko) * 2016-07-21 2018-01-31 주식회사 자이트게버 일체형 이중 롤 블라인드용 하단바장치
KR20180042552A (ko) * 2016-10-18 2018-04-26 주식회사 홍인 프로파일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7658B2 (en) Structural members for forming various composite structures
US10494820B1 (en) Connector of systematic board of building
KR102140204B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코너 조립용 3방향 연결구
KR101137201B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구조
US9834071B2 (en) Fastening arrangement for mounting a decorative cover and/or a window guide on a vehicle door
KR101752381B1 (ko) 1 볼트 타입 정션박스
FR2708302B1 (fr) Structure de montage rapide à base de profilés préférentiellement en aluminium.
KR20170114767A (ko) 프로파일 조립 블록
JP2010281192A (ja) 建築用接合金具、固定金具、及び、固定ピン
RU2662608C2 (ru) Система крепления,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сидень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2274568B1 (ko) 차량의 와이퍼 모터 장착 구조
US7188709B2 (en) Extendable mast structure for a fork-lift truck
CN210388072U (zh) 车轮罩骨架柔性夹具
JP2007062867A (ja) 乗客コンベアの欄干
JP6035077B2 (ja) パネル連結構造
CN204715685U (zh) 舞台地板
KR101662783B1 (ko) 결합구조가 개선된 커튼월
KR101071107B1 (ko) 체결 돌기를 활용한 커튼월 시스템의 체결 구조
KR101927764B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
KR101874266B1 (ko) 목재데크 시스템
CN208946015U (zh) 用于水泵活塞架组件装配设备的夹具
KR101137136B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 구조
KR101746753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2071740B1 (ko) 창호 고정용 조립브라켓
KR101605370B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