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333B1 - 종사로프 고정핀 발사장치 - Google Patents

종사로프 고정핀 발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333B1
KR102139333B1 KR1020200036731A KR20200036731A KR102139333B1 KR 102139333 B1 KR102139333 B1 KR 102139333B1 KR 1020200036731 A KR1020200036731 A KR 1020200036731A KR 20200036731 A KR20200036731 A KR 20200036731A KR 102139333 B1 KR102139333 B1 KR 102139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xing pin
rope
manual firing
firing g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찬길
이동제
김형빈
김정훈
이원형
심형섭
여원교
Original Assignee
21세기해양개발주식회사
주식회사해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21세기해양개발주식회사, 주식회사해림 filed Critical 21세기해양개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6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3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2Tapes, bands or cor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3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assembled of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0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 B25C1/08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operated by combustion pressure
    • B25C1/1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operated by combustion pressure generated by detonation of a cartrid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사로프 고정핀 발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중림에 설치되어 바다숲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해조류 포자가 이식되어 엽체가 성장한 종사로프를 해저암반 또는 해중에 설치된 어초 측면에 고정핀을 발사가능하게 구성된 수동식 발사건을 이용하여 수중에서 종사로프 고정에 따른 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재질의 케이블 타이를 배제시킬 수 있어서 플라스틱으로 인한 해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종사로프 고정핀 발사장치{Fixing pin launcher for seaweed rope}
본 발명은 종사로프 고정핀 발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중림에 설치되어 바다숲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해조류 포자가 이식되어 엽체가 성장한 종사로프를 해저암반 또는 해중에 설치된 어초 측면에 고정핀을 발사가능하게 구성된 수동식 발사건을 이용하여 수중에서 종사로프 고정에 따른 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재질의 케이블 타이를 배제시킬 수 있어서 플라스틱으로 인한 해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종사로프 고정핀 발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바다 숲은, 열대 밀림과 비슷하게 해중에 해조류가 막대한 번식을 하여 숲을 이루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상기한 바다 숲의 조성은 영양염류를 무제한 적으로 공급하는 해양환경에서, 생체 양이 큰 갈조류 대부분이 폭발적으로 증식하면서 그 해역의 일대를 점유하고, 그 외의 여러 종류의 해조류가 자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해저 생태계의 근간을 이루는 바다 숲은, 주로 해조류나 해초가 생산자의 위치에서 서식동물에게 서식처와 먹이를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해조류란 바다에서 나는 조류(algae)를 통틀어 칭하는 말로서 뿌리, 줄기, 잎의 구별이 되지 않고 포자에 의하여 번식하면서 뿌리처럼 보이는 부착기(holdfast)로 몸체를 바위 등에 고정시키고 엽상체에서 광합성 작용을 한다.
해조류는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로 나눌 수 있으며, 톳, 미역, 다시마, 김, 파래, 우뭇가사리 등이 이에 속한다.
바다 숲의 기능은 해조류 공급량의 증가이다.
해조류는 비타민과 미네랄 등의 유용성분을 다량 함유하는 건강식품 또는 후코이단, 씨놀, 알긴산, 자외선 차단제 등의 유용기능성 물질로 이용되거나 청정 바이오 에너지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등 여러 가지 분야에서 활용된다.
해조류의 공급량 증가는 해조류 이용과 관련한 기술분야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
아울러, 수산생물의 먹이로서 번식과 산란, 보육, 생육장을 제공하고, 수중과 대기 중 이산화탄소 흡수로 온실가스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연안 암반지역에서 자라던 해조류가 사라지고 무절석회조류로 대체되었다가 이마저 죽어 암반지역이 하얗게 변하면서 해조류 서식지역이 황폐화되는 갯 녹음 현상(백화현상, 바다 사막화)이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갯녹음 현상은 1970년대 말에 최초 발견되어 이후 발생빈도가 높아졌으며, 정확한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지구 온난화에 따른 수온상승과 해양 산성화 및 육지의 오염물질 유입 등으로 추정되고 있다.
갯녹음 현상이 이루어지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수온 상승으로 인해서 바다 속 서식환경의 변화하고 산호말과 같은 석회질 탄산칼슘을 가진 홍조류의 번식이 확산된다. 이러한 석회질 조류는 인산을 함유한 육지의 오염물질 유출로 인해 바닷물 속의 석회가 농축, 석출되면서 더욱 번성하고, 이것이 바다 속에 퍼졌다가 죽어 암반지역을 하얗게 만들면서 해조류 서식지역을 황폐화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대형 해조류인 다시마, 모자반류, 감태 등 많은 식용 해조류의 부착 기질 상실로 해조 자원이 감소하여 어업인 소득원이 감소한다.
해조 자원의 감소는 이들을 먹이로 하는 전복, 성게, 소라 등의 조식성 패류 및 자리돔, 쥐돔, 독가시치 등 조식성 어류의 먹이 부족을 일으키고 또한 서식공간의 상실로 어류 자원량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최근 급속한 산업화와 천연자원의 무분별한 채취 등으로 인한 생태계의 파괴는 육지에서 뿐만 아니라, 해저에서도 준설작업, 무분별한 채취 및 남획 등으로 연안 생태계가 위협받고 있으며, 다양한 생태계의 구성원들에게 서식지를 제공하던 해저숲 또한 급속히 사라져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종묘 투입법, 모조 투입법, 연안용 어초 및 해조초의 제작 및 투입, 해조류 부착면적 확대, 영양염 부족어장에 시비하여 해조 증식을 유도하거나 해중림 조성 예정지의 조식동물을 구제하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 종묘 투입법은 모자반류, 감태, 곰피, 다시마 등 대형 갈조류의 종묘를 구라론사 또는 암석과 시멘트 블록에 채묘하여 유엽체로 생장시킨 후 갯녹음 어장에 투입하는 방법이고 모조 투입법은 성숙된 해조류를 채취하여 포자망에 넣고 수중의 암초에 고정시켜 포자방출을 유도하는 방법이다.
상기 해조류 이식방법 중 하나로 측엽이 형성된지 1년 이내의 종자를 선별하여 종사로프에 이식시킨 후 케이블 타이를 이용하여 양 끝이 풀리지 않도록 고정한 후, 에어타카를 이용하여 종사로프에 20cm 간격으로 직접 고정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벙법은 수중에서 에어타카의 압력으로 인한 폭발로 인명사고가 종종 발생하므로 종묘이식의 방법으로 금지가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케이블 타이의 경우에는 6개월 내에 경화되어 수중에서 해조류가 분실되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이때 분실된 시설물은 해양쓰레기가 되어 해양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출원번호 10-2019-0031918호로 해중림 해조류 종사로프 고정장치가 출원된 바 있다.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해중림 해조류 종사로프 고정장치는, 측면에 함입된 프레임이 상향하도록 설치되고, 종사로프 고정프레임에는 함입부 내측 상면의 양측에는 복수개의 고정돌기가 함입부 내측 상면과 맞은편 함입부 내측 상면에서 서로 마주보지 않고 지그재그 형태의 공간을 갖도록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종사로프 고정프레임의 함입 프레임에는 해조류 종묘 또는 해조류 성체가 이식된 종사로프가 길이 방향을 따라 안착되며, 상기 종사로프 고정프레임 좌, 우 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하나 이상의 로프 고정공이 형성되며, 상기 종사로프 고정 프레임 하측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하나 이상의 고정공이 형성되며, 상기 종사로프 고정프레임과 종사로프를 고정시키도록 구비되는 철사 또는 케이블 타이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해중림 해조류 종사로프 고정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종사로프 고정프레임과 종사로프를 고정시키기 위해 여전히 케이블 타이를 사용하고 있어서, 시간 경과에 따른 케이블 타이의 경화로 종사로프 고정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케이블 타이가 탈락되어 해양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특허출원번호 10-2019-0031918호, 출원일; 2019년03월20일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해중림에 설치되어 바다숲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해조류 포자가 이식되어 엽체가 성장한 종사로프를 해저암반 또는 해중에 설치된 어초 측면에 고정핀을 발사가능하게 구성된 수동식 발사건을 이용하여 수중에서 종사로프 고정에 따른 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재질의 케이블 타이를 배제시킬 수 있어서 플라스틱으로 인한 해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종사로프 고정핀 발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종사로프 고정핀 발사장치는, 해저암반 또는 해중에 설치된 어초 측면에 종사로프를 화약이 내장된 고정핀을 매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면에는 상기 화약이 내장된 고정핀을 내측으로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 후단에는 상기 고정핀을 타격가능한 타격부가 형성되며, 상기 타격부 후단에는 순간적으로 힘을 가하여 누르는 것에 의해 상기 타격부를 수용부에 내장된 고정핀측으로 이동시켜 타격가능하도록 손잡이가 형성된 수동식 발사건과, 상기 수동식 발사건의 수용부 외주면에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공기주입용 홀과, 상기 공기주입용 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공급호스를 통하여 공기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수용부 내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바닷물에 상기 고정핀의 화약이 젖지 않도록 구비되는 공기공급용 연결부재와, 상기 수동식 발사건의 수용부 외주면에 형성된 공기주입용 홀에 대향되는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측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유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기배출용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공기배출용 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수동식 발사건의 손잡이측으로 절곡되어 고정핀을 매개로 종사로프를 해저암반 또는 해중에 설치된 어초 측면에 고정시 공기의 유출을 종사로프측과 이격시켜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시킬 수 있도록 공기배출호스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사로프 고정핀 발사장치에 따르면, 수동식 발사건으로 고정핀을 발사시켜 종사로프를 해저암반 또는 해중에 설치된 어초 측면에 고정시킬 수 있어서, 종사로프 고정에 따른 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재질의 케이블 타이를 배제시킬 수 있어서 플라스틱으로 인한 해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종사로프 고정핀 발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종사로프 고정핀 발사장치를 이용하여 종사로프를 어초에 고정시키기 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종사로프 고정핀 발사장치를 이용하여 종사로프를 고정시키기 위해 수중에서 수용부측으로 고정핀을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종사로프 고정핀 발사장치의 수용부에 삽입된 고정핀을 종사로프에 위치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종사로프 고정핀 발사장치의 수동식 발사건을 작동시켜 고정피느이 화약이 폭발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종사로프 고정핀 발사장치를 통하여 고정핀으로 종사로프가 어초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종사로프 고정핀 발사장치의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사로프 고정핀 발사장치(100)는, 해저암반 또는 해중에 설치된 어초(50) 측면에 종사로프(40)를 화약이 내장된 고정핀(10)을 매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면에는 상기 화약이 내장된 고정핀(10)을 내측으로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11) 후단에는 상기 고정핀(10)을 타격가능한 타격부(112)가 형성되며, 상기 타격부(112) 후단에는 순간적으로 힘을 가하여 누르는 것에 의해 상기 타격부(112)를 수용부(111)에 내장된 고정핀(10)측으로 이동시켜 타격가능하도록 손잡이(113)가 형성된 수동식 발사건(110)과, 상기 수동식 발사건(110)의 수용부(111) 외주면에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공기주입용 홀(120)과, 상기 공기주입용 홀(12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공급호스(20)를 통하여 공기공급부(30)와 연결되어 상기 수용부(111) 내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바닷물에 상기 고정핀(10)의 화약이 젖지 않도록 구비되는 공기공급용 연결부재(130)와, 상기 수동식 발사건(110)의 수용부(111) 외주면에 형성된 공기주입용 홀(120)에 대향되는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111)측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유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기배출용 홀(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공기배출용 홀(14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수동식 발사건(110)의 손잡이(113)측으로 절곡되어 고정핀을 매개로 종사로프(40)를 해저암반 또는 해중에 설치된 어초(50) 측면에 고정시 공기의 유출을 종사로프(40)측과 이격시켜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시킬 수 있도록 공기배출호스(150)가 더 구비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종사로프 고정핀 발사장치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종사로프 고정핀 발사장치의 수동식 발사건(110)은 화약이 일단에 내장된 고정핀(10)을 타격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고정핀(10)이 발사가능하도록 수용부(111)와, 상기 수용부(111) 후단에는 상기 고정핀(1)을 화약부분을 타격하기 위한 타격부(112)가 형성되며, 상기 타격부(112) 후단에는 순간적으로 힘을 가하여 누르는 것에 의해 상기 타격부(112)를 수용부(111)에 내장된 고정핀(10)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113)로 구성된다.
상기한 수동식 발사건(110)은 공지의 것으로 이는, 인터넷 사이트 https://m.ko.aliexpress.com의 검색창에 "나무 장식 천장 화재 파이프와 물 파이프 고정 공기 손톱 총"을 검색하면 확인할 수 있는 바, 이하에서, 상기 수동식 발사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공기주입용 홀(120)은 상기 공기공급용 연결부재(130)를 통하여 공기를 상기 수동식 발사건(110)의 수용부(111) 내측으로 공급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수동식 발사건(110)이 수중에서도 화약이 일단에 내장된 고정핀(10)을 타격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한 공기주입용 홀(120)은 상기 수동식 발사건(110)의 수용부(111) 외주면에 상기 공기공급용 연결부재(130)를 내부와 연통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공기주입용 홀(120)은 상기 공기공급용 연결부재(130)의 분해 조립을 위해 나사홀로 형성된다.
상기한 공기공급용 연결부재(130)는 상기 수동식 발사건(110)의 수용부(111)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공기주입용 홀(12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공급호스(20)를 통하여 공기공급부(30)와 연결되어 상기 수용부(111) 내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바닷물에 상기 고정핀(10)의 화약이 젖지 않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공기공급용 연결부재(130)는 상기 수동식 발사건(110)의 수용부(111)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공기주입용 홀(120)에 일단이 나사방식으로 결합 및 분해가능하도록 일단에는 나사결합부(13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공기공급부(30)에 연결된 공급호스(20)와 연결되는 연결부(132)가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나사결합부(131)와 연결부(132) 사이에는 수중에서 작업자가 공급호스(20)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압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압력측정계(161)가 부설된 공기압력조절부(160)가 더 구비된다.
상기한 공기배출용 홀(140)은 상기한 상기 수동식 발사건(110)의 수용부(111) 외주면에 형성된 공기주입용 홀(120)에 대향되는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주입용 홀(120)을 통하여 수용부(111)측으로 공급가 공급됨에 따른 공급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기 수용부(111)측으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한 공기배출용 홀(140)과 고정핀(10)이 삽입되는 수용부(111)의 입측으로도 함께 배출된다.
그로 인해, 상기 수용부(111) 내부에는 바닷물이 유입되지 않아 수중에서도 고정핀(10)의 화약이 폭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종사로프 고정핀 발사장치를 이용하여 해저에서 종사로프를 어초에 고정시키고자 할 경우,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공기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공급호스(20)와 공기공급용 연결부재(130)를 통하여 수동식 발사건(110)의 수용부(111)내측으로 공급시킨다.
상기와 같이 수용부(111)내측으로 공기가 공급되면 고정핀(10)의 화약이 내설된 부분을 수동식 발사건(110)의 수용부(111)내측으로 삽입시킨다.
이후, 수동식 발사건(110)의 수용부(111)를 종사로프(40) 표면에 수직으로 세운다.
그로 인해,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고정핀(10)은 종사로프(40) 표면에 수직살태가 된다.
이때, 상기 수동식 발사건(110)의 손잡이(113)를 파지한 후, 순간적으로 힘을 가하면서 누름시킨다.
상기 손잡이(113)의 누름으로 타격부(112)가 수용측으로 이동하면서 고정핀(10)의 화약부분을 타격하게 되고, 그로 인해 화약이 폭발하게 된다.
상기 고정핀(10)의 화약 폭발로 상기 고정핀(10)은 종사로프(40)를 관통하면서 어초(50)에 박히는 것에 의해 종사로프(40)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한 종사로프 고정핀 발사장치를 이용하여 수중에서 종사로프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종사로프의 고정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고정핀 20 ; 공급호스
30 ; 공기공급부 40 ; 종사로프
50 ; 어초 100 ; 종사로프 고정핀 발사장치
110 ; 수동식 발사건 120 ; 공기주입용 홀
130 ; 공기공급용 연결부재 140 ; 공기배출용 홀
150 ; 공기배출호스 160 ; 공기압력조절부

Claims (3)

  1. 종사로프 고정핀 발사장치는,
    해저암반 또는 해중에 설치된 어초(50) 측면에 종사로프(40)를 화약이 내장된 고정핀(10)을 매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면에는 상기 화약이 내장된 고정핀(10)을 내측으로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11) 후단에는 상기 고정핀(10)을 타격가능한 타격부(112)가 형성되며, 상기 타격부(112) 후단에는 순간적으로 힘을 가하여 누르는 것에 의해 상기 타격부(112)를 수용부(111)에 내장된 고정핀(10)측으로 이동시켜 타격가능하도록 손잡이(113)가 형성된 수동식 발사건(110)과;
    상기 수동식 발사건(110)의 수용부(111) 외주면에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공기주입용 홀(120)과;
    상기 공기주입용 홀(12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공급호스(20)를 통하여 공기공급부(30)와 연결되어 상기 수용부(111) 내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바닷물에 상기 고정핀(10)의 화약이 젖지 않도록 구비되는 공기공급용 연결부재(130)와;
    상기 수동식 발사건(110)의 수용부(111) 외주면에 형성된 공기주입용 홀(120)에 대향되는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111)측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유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기배출용 홀(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사로프 고정핀 발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용 홀(14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수동식 발사건(110)의 손잡이(113)측으로 절곡되어 고정핀을 매개로 종사로프(40)를 해저암반 또는 해중에 설치된 어초(50) 측면에 고정시 공기의 유출을 종사로프(40)측과 이격시켜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시킬 수 있도록 공기배출호스(1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사로프 고정핀 발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용 연결부재(130)는, 수동식 발사건(110)의 수용부(111)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공기주입용 홀(120)에 일단이 나사방식으로 결합 및 분해가능하도록 일단에는 나사결합부(13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공기공급부(30)에 연결된 공급호스(20)와 연결되는 연결부(132)가 형성되어 구비되고, 상기 나사결합부(131)와 연결부(132) 사이에는 수중에서 작업자가 공급호스(20)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압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압력측정계(161)가 부설된 공기압력조절부(16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사로프 고정핀 발사장치.
KR1020200036731A 2020-03-26 2020-03-26 종사로프 고정핀 발사장치 KR102139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731A KR102139333B1 (ko) 2020-03-26 2020-03-26 종사로프 고정핀 발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731A KR102139333B1 (ko) 2020-03-26 2020-03-26 종사로프 고정핀 발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9333B1 true KR102139333B1 (ko) 2020-07-30

Family

ID=71839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731A KR102139333B1 (ko) 2020-03-26 2020-03-26 종사로프 고정핀 발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33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8879A (ja) * 1986-03-05 1987-09-14 株式会社新潟鐵工所 水中釘打機
JP2000006048A (ja) * 1998-06-16 2000-01-11 Nippon Steel Corp 水中作業用鋲打銃
JP2000006050A (ja) * 1998-06-16 2000-01-11 Nippon Steel Corp 鋲打銃の水中保護具
KR101509333B1 (ko) * 2013-09-10 2015-04-07 이종수 수중 자동소총
KR101515974B1 (ko) * 2013-12-31 2015-05-04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이중관을 구비한 락볼트 체결용 장치 및 이중관을 구비한 락볼트 체결용 장치의 구동방법
KR20190031918A (ko) 2017-09-19 2019-03-27 장현석 교체 및 청소가 용이한 블라인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8879A (ja) * 1986-03-05 1987-09-14 株式会社新潟鐵工所 水中釘打機
JP2000006048A (ja) * 1998-06-16 2000-01-11 Nippon Steel Corp 水中作業用鋲打銃
JP2000006050A (ja) * 1998-06-16 2000-01-11 Nippon Steel Corp 鋲打銃の水中保護具
KR101509333B1 (ko) * 2013-09-10 2015-04-07 이종수 수중 자동소총
KR101515974B1 (ko) * 2013-12-31 2015-05-04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이중관을 구비한 락볼트 체결용 장치 및 이중관을 구비한 락볼트 체결용 장치의 구동방법
KR20190031918A (ko) 2017-09-19 2019-03-27 장현석 교체 및 청소가 용이한 블라인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önmark et al. Predator-induced phenotypical change in body morphology in crucian carp
KR101199306B1 (ko) 잘피 이식용 바이오 네트
KR102010722B1 (ko) 해중림 해조류 종사로프 고정장치
KR101937093B1 (ko) 천연 암반 해조장 복원을 위한 수중 저연승 장치 및 조성방법
KR100720121B1 (ko) 해중림조성용 반원통상 조림초
KR101883836B1 (ko)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
KR102139333B1 (ko) 종사로프 고정핀 발사장치
KR102108338B1 (ko) 천연 해조장 조성을 위한 양성줄 결속장치
KR20110026747A (ko) 해저 생태계 복원을 위한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과 그것들을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
KR101080239B1 (ko) 해조류이식체 및 상기 해조류이식체를 이용한 바다숲조성방법
KR101543202B1 (ko) 내파성 잘피 이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잘피 이식방법
KR102241454B1 (ko) 친환경 해조류 이식 장치 및 방법
Khasanah et al. Growth rate of Acropora formosa coralfragments transplanted on different composition of faba kerbstone artificial reef
CN201846685U (zh) 一种人工鱼礁
KR20140116306A (ko) 문어 해중림 인공어초
KR100572066B1 (ko) 해중림 조성용 조림초 구조물
KR102487938B1 (ko) 해조류 어초 이식용 고정장치
KR102487941B1 (ko) 해조류 이식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
KR20140143251A (ko) 십자형 해조류 종묘 이식 구조물
KR20160066313A (ko) 에이치형 해조류 이식 플레이트
KR101739342B1 (ko) 점토와 한지 및 잘피삽입용기를 이용한 조하대의 잘피 이식방법
KR102302170B1 (ko) 공압식 해조류 종사로프 고정장치
KR101427538B1 (ko) 도루묵 산란 및 보육을 위한 어소
KR200448974Y1 (ko) 인공어초용 영양블럭 고정장치
KR101962942B1 (ko) 해조류 이식용 지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