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9342B1 - 점토와 한지 및 잘피삽입용기를 이용한 조하대의 잘피 이식방법 - Google Patents

점토와 한지 및 잘피삽입용기를 이용한 조하대의 잘피 이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342B1
KR101739342B1 KR1020160161414A KR20160161414A KR101739342B1 KR 101739342 B1 KR101739342 B1 KR 101739342B1 KR 1020160161414 A KR1020160161414 A KR 1020160161414A KR 20160161414 A KR20160161414 A KR 20160161414A KR 101739342 B1 KR101739342 B1 KR 101739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y
eelgrass
bark
transplant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후
김경택
김병섭
박용우
심창명
연인호
황선도
최용석
Original Assignee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filed Critical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Priority to KR1020160161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4Transplanting trees; Devices for grasping the root ball, e.g. stump forceps; Wrappings or packages for transporting tre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2Improving land use; Improving water use or availability; Controlling ero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40Afforestation or reforest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토와 한지를 이용한 조하대의 잘피 이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수보다 비중이 높아 해저면에서 부유하지 않고 점착력이 우수한 점토를 한지로 감싼 형태로 잘피에 고정시킴으로써 조하대 해역에 이식 후 정착률이 높아 바다숲 조성에 유용한 조하대의 잘피 이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점토와 한지를 이용한 조하대의 잘피 이식방법은 잘피의 자생지에서 잘피를 채취하는 채취단계와, 채취단계에서 채취한 잘피를 이식하고자 하는 조하대의 이식해역으로 운반하는 운반단계와, 이식해역 내의 해저면에 잘피의 이식위치를 선정하여 표시하는 위치선정단계와, 이식해역으로 운반된 잘피의 생식경을 점토로 감싸 상기 잘피에 점토중량체를 부착시키는 점토부착단계와, 수중에서 상기 점토중량체가 잘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점토중량체의 바깥에 한지를 감아 고정시키는 한지고정단계와, 한지고정단계 후 잘피를 선상에서 상기 이식해역 내의 해저면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단계와, 이식위치의 해저면을 일정 깊이로 판 후 잘피의 지하경과 생식경을 묻는 식재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점토와 한지 및 잘피삽입용기를 이용한 조하대의 잘피 이식방법{transplanting method eelgrass using clay and korean paper}
본 발명은 점토와 한지를 이용한 조하대의 잘피 이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수보다 비중이 높아 해저면에서 부유하지 않고 점착력이 우수한 점토를 한지로 감싼 형태로 잘피에 고정시킴으로써 조하대 해역에 이식 후 정착률이 높아 바다숲 조성에 유용한 조하대의 잘피 이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다숲을 구성하는 해초 군락은 육상의 온대림을 능가하는 높은 생산력을 가지는 것으로 추정되며(Hirata et al., 1990, Taniguchi, 1996), 해양에서 생물학적 순환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존재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거머리말의 일종인 잘피는 잎과 땅속줄기 및 관다발 조직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꽃이 피는 현화식물로서, 전 세계 거의 모든 해안에 약 60여종이 분포하고 있다.
잘피는 해양생물의 산란 및 보육장 구실을 하는 것으로, 특히 부영양물질을 걸러내어 연안 환경을 정화하고, 적조를 예방하고 있어 수산경제학적 가치 및 생태학적 가치(서식지 정화)를 가지고 있다. 또한, 잘피는 다양한 해양 동물이 포식자나 강한 파도로부터 안전하게 종족을 번식하기 위해 잘피 군락을 산란장으로 이용하거나 치어의 생육지로 사용하고 있어 연안 수산생산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해양오염과 연안 환경의 물리적인 파괴는 잘피 군락의 황폐화를 가속시키고 있고, 해양 환경보전 및 수산자원 보호의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또한 연안어장에서 무분별한 해안개발과 환경오염, 갯녹음 등에 의해서 잘피 군락이 감소되거나 파괴되고 있으며 각종 해산 생물자원이 감소하고 있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이다(Fujita, 1987).
연안의 황폐화에 의해 바다숲도 급격히 파괴되어 먹이 사슬 구조 변화와 각종 어류의 산란 및 서식환경을 포함한 해양생태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적인 상황에서 해양생태계를 복원시키는 방법들이 모색되고 있고, 최근에 환경보전의 차원에서 인공 바다숲 조성이 중요시되고 있다(Choi et al., 2000, Ohno, 1993).
바다숲 조성의 한 방법으로서 잘피의 군락을 확보하기 위한 잘피의 인공 이식 등이 행해지고 있다. 그 예로 잘피 모종을 패각 등에 매달아 투척하거나 이식기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방법, 잠수부를 이용하여 해저면에 잘피를 직접 심는 방식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잘피 모종을 패각 등에 매달아 투척하는 방식은 잘피가 수중 바닥에 뿌리를 내려 생존하는 비율이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식기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방법은 이식기구의 구성이 복잡하고 부피가 커서 실용적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잘피 자생지역에서 잘피를 채취한 후 잠수부가 해저면에 잘피를 직접 심을 경우 투척 방식에 비해 생존률이 높아지기는 하나 조석간만의 차가 심한 우리나라의 서해 연안과 같은 곳에서는 강한 조류의 영향으로 이식한 잘피모종이 많이 유실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일본 공개특허 1993-56726호에는 잘피류의 이식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잘피류의 이식방법은 키 10~150cm의 잘피(zostera marina)류의 1주마다의 뿌리와 줄기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5~400g의 점토로 감싼 다음 해저에 알맞은 폭과 깊이를 가지는 구멍 또는 홈을 파 거기에 잘피를 이식한 다음 복토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잘피류의 이식방법은 구성이 간소하고 이식방법이 간단한 장점은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점토로 감싼 잘피를 해저에 이식하기 위해서는 잠수부가 잘피를 수상에서 해저로 운반하여야 한다. 하지만 수중에서 잘피를 운반하는 과정에서 잘피를 감싸는 점토가 조류 등에 의해 붕괴되거나 잘피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잘피를 점토로 감싼 후 바로 이식작업을 하지 않으면 점토가 마르면서 균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상에서 잘피를 수중으로 이동시켜 해저에 이식하는 과정에서 잠수부가 하잠과 상승을 반복해야 하므로 잠수부의 체력소모가 높아지고 이식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기존에 조간대에서 추진되던 잘피 이식 영역을 넓히고자 조하대 해역에서의 잘피 이식이 필요한 실정이나 조간대보다 수심이 깊은 조하대에서의 잘피 이식은 더 많은 문제점들을 가져온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66080호 패각을 이용한 잘피의 이식방법 특허문헌2: 일본 공개특허 1993-56726호 잘피류 이식용 구성체 및 잘피류의 이식방법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잘피에 부착시킨 점토의 바깥을 한지로 감싼 후 이식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점토의 건조를 억제시키며, 잘피를 선상에서 해저면으로 이동시 수중에서 점토의 분리를 막아 이식 후 생존율이 높은 잘피 이식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잘피를 운반체에 탑재시킨 후 운반체를 선상에서 수중으로 투하함으로써 잠수부의 체력소모를 줄이고 한번의 잠수를 통해 많은 양의 잘피를 이식할 수 있는 잘피 이식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점토와 한지를 이용한 조하대의 잘피 이식방법은 잘피의 자생지에서 잘피를 채취하는 채취단계와; 상기 채취단계에서 채취한 잘피를 이식하고자 하는 조하대의 이식해역으로 운반하는 운반단계와; 상기 이식해역 내의 해저면에 잘피의 이식위치를 선정하여 표시하는 위치선정단계와; 상기 이식해역으로 운반된 잘피의 생식경을 점토로 감싸 상기 잘피에 점토중량체를 부착시키는 점토부착단계와; 수중에서 상기 점토중량체가 잘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점토중량체의 바깥에 한지를 감아 고정시키는 한지고정단계와; 상기 한지고정단계 후 잘피를 선상에서 상기 이식해역 내의 해저면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단계와; 상기 이식위치의 해저면을 일정 깊이로 판 후 잘피의 지하경과 생식경을 묻는 식재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점토부착단계는 50 내지 150g의 점토 덩어리를 얇게 펴서 만든 점토판으로 상기 생식경의 바깥을 감싸서 상기 점토중량체를 형성하며, 상기 점토중량체는 직경 2 내지 5cm, 높이 4 내지 10c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지고정단계는 상기 점토중량체의 바깥에 상기 한지를 2 내지 5겹으로 감은 후 고무링으로 한지의 바깥을 감싸서 고정시킨다.
상기 이동단계는 잘피운반체에 다수의 잘피를 탑재한 후 선상에서 상기 잘피운반체를 수중으로 투하하여 해저면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잘피운반체는 견인고리가 설치된 베이스프레임과, 잘피가 삽입되어 내부에 수용되는 잘피삽입용기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잘피삽입용기와 결합하며 다수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지지틀을 구비한다.
상기 잘피삽입용기는 내부에 상기 잘피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부가 개방된 용기본체와, 잘피의 손상 방지를 위해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서 바깥으로 휘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틀에 결합하는 립부를 구비한다.
상기 잘피삽입용기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주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로 잘피를 삽입시 점토중량체의 하부와 접촉하는 걸림턱을 더 구비한다.
상기 위치선정단계는 상기 이식해역에 위치식별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이식위치를 선박과 수중에서 식별이 가능하도록 표시하며, 상기 위치식별수단은 상기 이식해역 내의 해저면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바닥로프와, 상기 해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바닥로프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앵커와, 상기 이식위치와 대응되는 지점에서 상기 바닥로프와 연결되어 수면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로프와, 상기 가이드로프와 연결되어 수면에 부유하는 부표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잘피에 부착시킨 점토의 바깥을 한지로 감싼 후 이식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점토의 건조를 억제시키며, 잘피를 선상에서 해저면으로 이동시 수중에서 점토의 분리나 붕괴를 막아 이식 후 잘피의 생존율이 높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잘피를 운반체에 탑재시킨 후 운반체를 선상에서 수중으로 투하함으로써 잠수부의 체력소모를 줄이고 한 번의 잠수를 통해 많은 양의 잘피를 이식할 수 있다.
도 1은 채취한 잘피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잘피의 생식경에 부착된 점토중량체의 바깥은 한지로 감싸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점토중량체를 한지를 감싼 후 고무밴드로 고정시킨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잘피를 해저면에 이식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이식해역에 설치된 위치식별수단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적용된 잘피운반체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적용된 잘피삽입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9는 잘피삽입용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점토와 한지를 이용한 조하대의 잘피 이식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잘피 이식방법은 잘피의 자생지에서 잘피를 채취하는 채취단계와, 채취단계에서 채취한 잘피를 이식하고자 하는 조하대의 이식해역으로 운반하는 운반단계와, 이식해역 내의 해저면에 잘피의 이식위치를 선정하여 표시하는 위치선정단계와, 이식해역으로 운반된 잘피의 생식경을 점토로 감싸 상기 잘피에 점토중량체를 부착시키는 점토부착단계와, 수중에서 상기 점토중량체가 잘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점토중량체의 바깥에 한지를 감아 고정시키는 한지고정단계와, 한지고정단계 후 잘피를 선상에서 상기 이식해역 내의 해저면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단계와, 이식위치의 해저면을 일정 깊이로 판 후 잘피의 지하경과 생식경을 묻는 식재단계를 포함한다. 각 단계별로 상세하게 살펴본다.
1. 채취단계
먼저, 이식할 잘피(1)를 채취한다.
잘피의 자생지에서 잘피(1)의 지하경(3)과 생식경(5)이 손상되지 않도록 채취한다. 잘피(1)의 채취는 수중에 잠수부를 투입하여 수작업으로 채취할 수 있다.
채취한 잘피(1)는 이식과정에서 외력(조류, 파력 등)에 의한 손상과 잎(7)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길이로 절단한다. 가령,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경(3)의 끝에서부터 40 내지 60cm 높이(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위치)가 되도록 줄기 또는 잎을 절단할 수 있다.
2. 운반단계
잘피를 채취한 다음 잘피를 이식하고자 하는 조하대의 이식해역으로 운반한다.
운반은 선박을 이용할 수 있다. 채취한 잘피를 선박에 실어 이식해역으로 운반하는 도중에 상술한 잘피 절단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3. 위치선정단계
다음으로, 잘피를 이식하고자 하는 해역을 설정한 다음 이식해역 내의 해저면에 잘피의 이식위치를 선정한다.
조하대에 해당하는 해역 중의 특정 위치를 이식해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종래에는 조간대 해역에서 잘피의 이식이 주로 이루어졌으나, 잘피 이식에 의해 바다숲 조성 영역을 넓히고자 잘피의 자생 수심대인 조하대 해역에 잘피를 이식할 수 있다.
해양 모니터링을 바탕으로 바다숲을 조성하고자 하는 이식해역을 선정한다. 해양 모니터링의 주요 내용으로 이식해역의 수심, 수온, 조류의 세기, 해저면의 토질 및 면적조사, 어장분포 및 특성조사, 해조류 및 저서생물 조사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해양 모니터링을 바탕으로 잘피를 이식하고자 하는 적절한 이식해역의 위치 및 면적을 설정한다.
이식해역을 설정한 다음 이식해역 내의 해저면에 잘피의 구체적 이식위치를 선정한다. 선정된 이식위치는 선박과 수중에서 식별이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이식해역에 위치식별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위치식별수단의 일 예로 이식해역 내의 해저면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바닥로프(11)와, 해저면(10)에 고정되어 바닥로프(11)를 지지하는 앵커(13)와, 이식위치와 대응되는 지점에서 바닥로프(11)와 연결되어 수면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로프(15)와, 가이드로프(15)와 연결되어 수면에 부유하는 부표(17)를 구비한다.
가이드로프(15)는 다수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가이드로프(15)는 약 20m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로프(15)는 수중에서 이식위치를 안내하는 안내라인이다. 바닥로프(11)와 가이드로프(15)가 연결되는 지점이 잘피를 이식하고자 하는 이식위치이다.
부표(17)는 부력체로 만들어져 수면에 부유한다. 부표(17)는 물 밖에서 이식위치를 표시한다. 선상에서 작업자들은 부표(17)의 위치에서 잘피를 수중으로 투입한다.
4. 점토부착단계
다음으로, 잘피(1)의 생식경(5)을 점토로 감싸 잘피에 점토중량체(30)를 부착시킨다. 점토는 해수보다 비중이 높아 해저면에서 부유하지 않고 점착력을 가지므로 잘피의 이식에 적합하다.
점토부착단계는 선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점토 덩어리를 얇게 펴서 점토판을 만든 다음, 점토판을 잘피 생식경(5)의 바깥을 감싸서 점토중량체(30)를 형성한다. 점토 덩어리는 점토 분말에 물을 혼합한 반죽 덩어리로서, 가소성과 부착성을 갖는다.
하나의 잘피에 부착되는 점토중량체(30)는 50 내지 150g이 적절하다. 이를 위해 50 내지 150g의 점토 덩어리를 이용한다.
잘피에 부착된 점토중량체(30)는 직경 2 내지 5cm, 높이 4 내지 10cm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점토로 잘피의 생식경을 감싼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와 달리 잘피의 지하경을 점토로 감쌀 수 있음은 물론이다.
5. 한지고정단계
다음으로, 점토중량체(30)의 바깥에 한지를 감아 고정시키는 한지고정단계를 수행한다.
점토의 입자들은 수중에서 분산되는 성질이 있으므로 점토중량체(30)로 감싼 잘피를 수중에서 이동시 점토중량체(30)가 조류 등에 의해 형상이 붕괴되거나 잘피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점토중량체(30)를 형성한 후 바로 이식작업을 하지 않으면 점토가 마르면서 균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점토중량체는 점착력이 있기 때문에 점토중량체를 부착한 상태에서 많은 수의 잘피를 함께 이동하거나 보관, 운반할 경우 점토중량체끼리 달라 붙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점토중량체(30)의 바깥에 한지(35)를 감아 고정시킨다.
한지(35)는 닥나무 펄프를 재료로 하여 전통적인 방법으로 만든 종이로서, 섬유조직의 강도의 결합력이 뛰어나 질기며, 친환경 소재라는 장점을 갖는다.
한지(35)는 점토중량체(30)를 바깥을 감쌀 수 있도록 폭 4 내지 10cm로 잘라 사용한다. 한지(35)가 점토중량체(30)를 2겹 내지 5겹으로 감쌀 수 있도록 한지의 길이는 10 내지 50cm인 것이 적절하다.
한지(35)로 점토중량체(30)를 감싼 다음 한지(30)가 풀리는 것을 막기 위해 한지(35)의 바깥에 노끈이나 고무밴드를 이용하여 한지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시된 예는 2개의 고무밴드(39)를 이용하여 한지(35)의 상부와 하부를 고정시킨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6. 이동단계
한지고정단계 후 잘피를 선상에서 이식해역 내의 해저면으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잘피운반체(40)에 다수의 잘피를 탑재한 후 잘피운반체(40)를 수중으로 투하하는 방식으로 해저면으로 잘피를 이동시킬 수 있다.
잘피운반체(40)는 베이스프레임과, 잘피(1)가 삽입되어 내부에 수용되는 잘피삽입용기(60)와,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어 잘피삽입용기와 결합하며 다수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지지틀(50)을 구비한다.
베이스프레임은 상부사각틀(41)과, 하부사각틀(45), 상부사각틀(41)과 하부사각틀(45)을 연결하는 간주(47)로 이루어진다. 상부사각틀(41)의 네 귀퉁이에는 견인고리(43)가 형성될 수 있다. 견인고리(43)에는 견인로프가 연결된다.
지지틀(50)은 상부사각틀(41)과 하부사각틀(45)에 각각 설치된다. 지지틀(50)은 환형으로 형성된다. 지지틀(50)의 내경은 잘피삽입용기(6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지지틀(50)은 다수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고, 지지틀들(50)은 연결플레이트(55)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도시된 예에서 상부사각틀(41)과 하부사각틀(45)에는 지지틀(50)이 30개가 각각 마련된다. 따라서 한번에 30개의 잘피를 수중으로 투하할 수 있다. 지지틀은 도시된 바와 달리 20개 미만이거나 30개를 초과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베이스프레임과 지지틀은 스테인리스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잘피삽입용기(60)는 지지틀에 하나씩 결합된다. 잘피삽입용기(60)는 플렉시블한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잘피삽입용기(60)는 내부에 잘피(1)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부가 개방된 용기본체(61)와, 잘피의 손상 방지를 위해 용기본체(61)의 상부에서 바깥으로 휘어지게 형성되어 지지틀(50)에 결합하는 립부(65)를 구비한다.
용기본체(61)의 상부는 상부사각틀(41)에 설치된 지지틀(50)에 지지되고, 용기본체(61)의 하부는 하부사각틀(41)에 설치된 지지틀에 지지된다. 그리고 용기본체의 상단부에 형성된 립부(65)에 의해 용기본체(61)의 상단은 곡면을 이루므로 잘피의 잎이나 줄기가 손상되거나 상처가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한편, 도 9와 같이 용기본체(61)의 내주면에는 걸림턱(63)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63)은 용기본체(61)의 내주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다. 걸림턱(63)은 용기본체(61)의 내주면에 둘 이상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용기본체(61)의 내부로 잘피를 삽입시 점토중량체의 하부가 걸림턱(63)과 접촉하므로 잘피의 이동이 중단된다. 이러한 걸림턱(63)에 의해 용기본체(61)의 내부로 잘피를 삽입시 지하경이 용기본체의 바닥에 부딪혀 지하경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걸림턱(63)은 용기본체(61)의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걸림턱(63)과 용기본체의 바닥 사이의 공간은 잘피의 지하경(3)이 수용되는 공간을 이룬다. 잘피를 용기본체의 내부로 삽입시 지하경(3)이 걸림턱(63)에 걸리지 않도록 걸림턱(63)은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용기본체(61)의 내부로 삽입된 잘피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걸림턱(63)의 상부에는 뾰족한 지지침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용기본체(61)의 내부로 잘피를 삽입하여 점토중량체의 하부가 걸림턱(63)과 접촉시 걸림턱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침이 점토중량체의 하부에 박히므로 잘피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잘피운반체(40)는 한번에 많은 양의 잘피를 잠수부가 대기하고 있는 해저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견인고리(43)에 연결된 견인로프를 풀어서 잘피운반체(40)를 선상에서 수중으로 투하한다. 여러 지점의 이식위치 중 어느 한 지점의 이식위치로 잘피운반체(40)를 투하한다. 이를 위해 투하하고자 하는 어느 한 지점의 이식위치에 설치된 가이드로프(15)와 연결된 부표(17) 지점에서 잘피운반체(40)를 수중으로 투여한다.
7. 식재단계
잘피가 탑재된 잘피운반체가 해저면으로 내려오면 잘피를 해저면에 식재하는 식재단계를 수행한다.
잘피의 식재는 수중에 대기하고 있던 잠수부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잠수부는 잘피운반체가 선상에서 해저면으로 내려오면, 이식위치를 중심으로 잘피를 이식한다. 모종삽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해저면에 일정 깊이로 구덩이를 판 후 구덩이에 잘피의 지하경과 생식경을 묻는다. 바람직하게 해저면에서 약 20cm 깊이로 구덩이를 판 후 잘피를 식재한다. 이 경우 도 5에 나타나 바와 같이 잘피(1)의 지하경(3)과 생식경(5)은 해저면 아래에 위치하여 흙으로 덮인다. 그리고 잘피의 이식 후 생식경에 부착된 점토중량체는 해수보다 비중이 더 크므로 이식되 잘피가 해저면에서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어 이식 정착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잘피는 약 30 내지 50cm 간격으로 식재될 수 있다.
잘피운반체에 탑재된 잘피가 모두 이식되면 잠수부의 신호에 의해 선상에서는 잘피운반체를 선상으로 끌어올린다. 잠수부는 다른 지점의 이식위치로 이동하여 대기하고, 선상에서는 끌어올린 잘피운반체에 다시 잘피를 탑재시킨 후 잘피운반체를 잠수부가 대기하고 있는 지점의 이식위치로 잘피운반체를 투하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잘피를 식재하는 잠수부는 수중에서 계속 머무를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잦은 하잠과 상승에 의한 잠수부의 체력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정해진 시간 내에 많은 양의 잘피 이식이 가능하다.
이하, 잘피를 점토로 감싼 다음 한지로 고정시켰을 경우 이식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실험하였다.
(실험예1)
충남 보령시 오천면 외연도리 외연도 항내에서 자생하는 잘피를 잠수부가 채취한 후 선박으로 이식해역인 충남 보령시 오천면 외연도리 횡견도 해역으로 운반하였다.
그리고 100g의 점토 덩어리를 밀대로 밀어서 얇게 펴 도 10과 같은 점토판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점토판을 채취한 잘피의 생식경 바깥을 감싸 도 11과 같이 점토중량체를 형성한 다음 도 12와 같이 한지로 점토중량체의 바깥을 3겹으로 싼 다음 고무밴드를 이용하여 고정하였다.
그리고 이와 비교하기 위해 한지로 감싸지 않은 잘피를 이용하였다.
점토중량체의 바깥을 한지로 감싼 잘피(실험구)와 점토중량체의 바깥을 한지로 감싸지 않은 잘피(대조구)를 수심 10m의 깊이에 도구를 이용하여 고정시킨 후 2시간 후에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실험구의 경우 한지로 감싸여 있는 점토중량체는 형상이 그대로 유지되어 있던 반면에 대조구는 점토중량체의 절반 정도가 잘피로부터 탈락되어 일부의 점토만이 잘피의 생식경에 부착되어 있었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통해 점토중량체를 한지로 감싸지 않고 수중에서 이식작업을 할 경우 점토중량체의 쉽게 붕게되거나 탈락될 우려가 있어서 이식 후 생존율이 낮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2)
실험구와 대조구의 잘피를 운반체에 탑재한 후 운반체를 수중으로 투하하여 수중에서 대기하던 잠수부가 해저면에 구덩이를 판 후 잘피를 식재하였다. 잠수부가 잘피를 식재하는 모습을 도 13에 나타내었고, 식재된 잘피의 모습을 도 14에 나타내었다.
잘피의 식재 후 2달 후 수중촬영한 이식지의 모습을 도 15 및 도 16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15는 실험구의 이식 후 모습이고, 도 16은 대조구의 이식 후 모습니다.
도 15 및 도 16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험구의 경우 이식 직후와 비교하여 잘피의 수가 다소 줄어들었으나 크게 차이가 나지 않고 군락을 잘 이루고 있었다.
반면에 대조구의 경우 많은 수의 잘피가 해저면으로부터 탈락되어 유실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탈락되지 않은 잘피들도 일부는 지하경이 수중으로 노출되어 있었다.
대조구와 실험구의 이식 후 생존율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생존율은 하기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생존율(%)=(이식 2달 후 탈락되지 않은 잘피의 수/이식한 잘피의 수)×100
구분 실험구 대조구
생존율(%) 85% 52%
실험결과를 통해 실험구의 생존율이 대조구에 비해 약 32%정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다숲 조성에 매우 유용한 이식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잘피 5: 생식경
11: 바닥로프 15: 가이드로프
17: 부표 30: 점토중량체
35: 한지 39: 고무밴드
40: 잘피운반체 50: 지지틀
60: 잘피삽입용기

Claims (8)

  1. 잘피의 자생지에서 잘피를 채취하는 채취단계와;
    상기 채취단계에서 채취한 잘피를 이식하고자 하는 조하대의 이식해역으로 운반하는 운반단계와;
    상기 이식해역 내의 해저면에 잘피의 이식위치를 선정하여 표시하는 위치선정단계와;
    상기 이식해역으로 운반된 잘피의 생식경을 점토로 감싸 상기 잘피에 점토중량체를 부착시키는 점토부착단계와;
    수중에서 상기 점토중량체가 잘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점토중량체의 바깥에 한지를 감아 고정시키는 한지고정단계와;
    상기 한지고정단계 후 잘피를 선상에서 상기 이식해역 내의 해저면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단계와;
    상기 이식위치의 해저면을 일정 깊이로 판 후 잘피의 지하경과 생식경을 묻는 식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단계는 잘피운반체에 다수의 잘피를 탑재한 후 선상에서 상기 잘피운반체를 수중으로 투하하여 해저면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잘피운반체는 견인고리가 설치된 베이스프레임과, 잘피가 삽입되어 내부에 수용되는 잘피삽입용기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잘피삽입용기와 결합하며 다수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지지틀을 구비하고,
    상기 잘피삽입용기는 내부에 상기 잘피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부가 개방된 용기본체와, 잘피의 손상 방지를 위해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서 바깥으로 휘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틀에 결합하는 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토와 한지 및 잘피삽입용기를 이용한 조하대의 잘피 이식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토부착단계는 50 내지 150g의 점토 덩어리를 얇게 펴서 만든 점토판으로 상기 생식경의 바깥을 감싸서 상기 점토중량체를 형성하며,
    상기 점토중량체는 직경 2 내지 5cm, 높이 4 내지 10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토와 한지 및 잘피삽입용기를 이용한 조하대의 잘피 이식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지고정단계는 상기 점토중량체의 바깥에 상기 한지를 2 내지 5겹으로 감은 후 고무링으로 한지의 바깥을 감싸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토와 한지 및 잘피삽입용기를 이용한 조하대의 잘피 이식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잘피삽입용기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주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로 잘피를 삽입시 점토중량체의 하부와 접촉하는 걸림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토와 한지 및 잘피삽입용기를 이용한 조하대의 잘피 이식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선정단계는 상기 이식해역에 위치식별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이식위치를 선박과 수중에서 식별이 가능하도록 표시하며,
    상기 위치식별수단은 상기 이식해역 내의 해저면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바닥로프와, 상기 해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바닥로프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앵커와, 상기 이식위치와 대응되는 지점에서 상기 바닥로프와 연결되어 수면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로프와, 상기 가이드로프와 연결되어 수면에 부유하는 부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토와 한지 및 잘피삽입용기를 이용한 조하대의 잘피 이식방법.
KR1020160161414A 2016-11-30 2016-11-30 점토와 한지 및 잘피삽입용기를 이용한 조하대의 잘피 이식방법 KR101739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414A KR101739342B1 (ko) 2016-11-30 2016-11-30 점토와 한지 및 잘피삽입용기를 이용한 조하대의 잘피 이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414A KR101739342B1 (ko) 2016-11-30 2016-11-30 점토와 한지 및 잘피삽입용기를 이용한 조하대의 잘피 이식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962A Division KR101812733B1 (ko) 2017-02-14 2017-02-14 점토와 한지를 활용한 조하대의 잘피 이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9342B1 true KR101739342B1 (ko) 2017-05-24

Family

ID=59051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414A KR101739342B1 (ko) 2016-11-30 2016-11-30 점토와 한지 및 잘피삽입용기를 이용한 조하대의 잘피 이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93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9069A (ko) 2020-05-13 2021-11-22 (주)해양생태기술연구소 잘피 단위 이식체 및 이를 이용한 잘피 이식방법
KR20210155054A (ko) 2020-06-15 2021-12-2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형 침수식물의 이식용기 및 이식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552B1 (ko) * 2010-03-09 2012-12-03 주식회사 한국해양생태연구소 대나무 지주식 잘피 이식장치
KR101679735B1 (ko) * 2016-01-20 2016-11-25 최태봉 잘피 집단 이식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552B1 (ko) * 2010-03-09 2012-12-03 주식회사 한국해양생태연구소 대나무 지주식 잘피 이식장치
KR101679735B1 (ko) * 2016-01-20 2016-11-25 최태봉 잘피 집단 이식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9069A (ko) 2020-05-13 2021-11-22 (주)해양생태기술연구소 잘피 단위 이식체 및 이를 이용한 잘피 이식방법
KR20210155054A (ko) 2020-06-15 2021-12-2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형 침수식물의 이식용기 및 이식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9306B1 (ko) 잘피 이식용 바이오 네트
JP2010148521A (ja) 付着性海生動物の培養
KR101679735B1 (ko) 잘피 집단 이식방법
Minchin Biological observations on young scallops, Pecten maximus
CN101341851A (zh) 一种人工藻场及其构建方法
JP2016127865A5 (ko)
Paul et al. Experimental cultivation of the scallops Chlamys opercularis (L.) and Pecten maximus (L.) using naturally produced spat
KR101729386B1 (ko) 홍합양식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홍합양식방법
KR101739342B1 (ko) 점토와 한지 및 잘피삽입용기를 이용한 조하대의 잘피 이식방법
KR101812733B1 (ko) 점토와 한지를 활용한 조하대의 잘피 이식방법
KR101080239B1 (ko) 해조류이식체 및 상기 해조류이식체를 이용한 바다숲조성방법
KR101543202B1 (ko) 내파성 잘피 이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잘피 이식방법
KR20170013731A (ko) 조식동물 차단용 해초류 이식장치
KR101208099B1 (ko) 매트식 잘피 이식장치
KR102541886B1 (ko) 바다숲 조성을 위한 잘피 이식방법
KR102487941B1 (ko) 해조류 이식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
KR102487938B1 (ko) 해조류 어초 이식용 고정장치
KR101245237B1 (ko) 말잘피 이식방법
Naidu et al. Culturing giant scallops in Newfoundland waters
KR101346681B1 (ko) 해초류 이식 용기 및 이를 이용한 해양 생태계 복원 방법
KR20220138817A (ko) 수산생물의 종자 방류장치 및 방류 방법
KR101564590B1 (ko) 바퀴 구조를 갖는 잘피 이식장치
CN110720414B (zh) 一种海上贻贝养殖收取装置
RU2149541C1 (ru)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я гидробионтов в поликультуре
KR102495854B1 (ko) 갯벌용 친환경 잘피이식장치와 이를 이용한 잘피이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