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046B1 - 스마트폰을 이용한 시각 약자의 독서 보조를 위한 휴대형 독서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시각 약자의 독서 보조를 위한 휴대형 독서 보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39046B1 KR102139046B1 KR1020190012496A KR20190012496A KR102139046B1 KR 102139046 B1 KR102139046 B1 KR 102139046B1 KR 1020190012496 A KR1020190012496 A KR 1020190012496A KR 20190012496 A KR20190012496 A KR 20190012496A KR 102139046 B1 KR102139046 B1 KR 1021390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martphone
- smart phone
- holder
- support
- moun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7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 H04M1/7248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for visually impaired users
-
- H04M1/72594—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9—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synthe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시각 약자들이 책 위에 스마트폰을 거치한 후, 책의 지면을 촬영하여 표시하고, 확대 축소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최적의 가독성을 가지고 독서를 수행할 수 있도록 보조하기 위하여, 펼쳐진 책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책의 지면을 촬영하여 표시하는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스마트폰 거치대(2)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2)는, 중앙 영역에 상기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책의 지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독서창(111)이 형성되어 상부에 상기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스마트폰 거치부(100);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의 상단부에서 일단부가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지지부(200); 및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의 하단부에서 일단부가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지지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독서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독서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각 약자들이 책 위에 스마트폰을 지지하여 이동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 또는 독서 보조 앱을 실행한 후, 스마트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지면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는 것에 의해 가독성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최적의 가독성을 가지고 독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시각 약자의 독서 보조를 위한 휴대형 독서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서자들의 독서를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한 독서대들이 제공된다. 독서자들의 독서 편리성 제공을 위한 독서대들의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4166호 및 제10-1008995호의 책을 펼쳐진 상태로 유지하며, LED 램프를 구비한 ‘다기능 독서대’, 다양한 자세의 독서를 가능하게 하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1586호 및 일본 공개특허 제2007-289368호의 ‘다기능 독서대’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들의 독서대의 경우에는, 다양한 자세에서 책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고, 조명을 비추어 독서를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지 일반인을 위한 것으로서, 약시, 난시, 원시 등의 시각 약자들에게는 책의 활자를 용이하게 해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게 되어 시각 약자들에게는 독서 편리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각 약자들이 책 위에 스마트폰을 거치한 후, 책의 지면을 촬영하여 표시하고, 확대 축소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최적의 가독성을 가지고 독서를 수행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시각 약자의 독서 보조를 위한 독서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과제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펼쳐진 책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책의 지면을 촬영하여 표시하는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스마트폰 거치대(2)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2)는, 중앙 영역에 상기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책의 지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독서창(111)이 형성되어 상부에 상기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스마트폰 거치부(100);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의 상단부에서 일단부가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지지부(200); 및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의 하단부에서 일단부가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지지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독서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는, 상단부는 상기 상부 지지부(200)의 일단부가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하부 지지부(300)의 일단부가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영역에 상기 하나 이상의 독서창(111)이 관통 형성되는 거치부프레임(110); 및 상기 독서창(111)을 측 방향으로 분할하는 하나 이상의 세로 지지프레임(1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는, 상기 거치부프레임(110)의 양 측부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측부지지부(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는, 상기 거치부프레임(110)의 하단부에서 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거치된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받침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지지부(200)와 상기 하부 지지부(300)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2)가 펼쳐지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를 상부에서 하부로 하 방향 경사를 가지도록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지지부(200)의 세로 폭이 상기 하부 지지부(200)의 세로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지지부(200)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와 접촉되는 위치에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에 거치된 스마트폰을 고정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상부 홀더(2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지지부(300)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프레임(110)과 접촉되는 위치에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에 거치된 스마트폰을 고정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하부 홀더(3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2)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의 상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거치부고정부(150)와 상기 상부 지지부(200)에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지지부고정부(250)로 구성되어 펼쳐지는 경우 긴밀히 결합되는 상부 고정부(50); 및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의 히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거치부고정부(150)와 상기 하부 지지부(300)에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지지부고정부(350)로 구성되어 펼쳐지는 경우 긴밀히 결합되는 하부 고정부(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부고정부(150)와 상기 상부지지부고정부(250) 및 상기 하부지지부고정부(350)는, 억지끼움 결합 또는 자력에 의한 결합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펼쳐진 책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책의 지면을 촬영하여 표시하는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스마트폰 거치대(2); 및 상기 스마트폰에 탑재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책의 지면 영상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출력된 상기 지면 화면의 확대, 축소 또는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독서 보조 앱(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독서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독서 보조 앱(3)은, 촬영 영상의 확대 축소 기능, TTS(text to speech) 기능, 사전 기능 또는 표시된 페이지에 메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메모가 포함된 화면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시각 약자의 독서 보조를 위한 휴대형 독서 보조 장치는, 시각 약자들이 독서를 수행하는 경우, 휴대하다가 책 위에 설치한 후 스마트폰을 거치하여 펼쳐진 책의 위에서 이동하며 책의 내용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고, 카메라 또는 독서 보조용 앱을 실행하여, 촬영된 책의 영역을 확대, 축소, 위치 이동 또는 메모 입력 저장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가독성을 확보 및 메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시각 약자들이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용이하게 독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휴대형 독서 보조 장치 중 접힌 상태의 스마트폰 거치대(2)의 시제품과 독서 보조 앱(3)이 설치된 스마트폰(400)의 사진.
도 2는 펼쳐진 상태의 도 1의 스마트폰 거치대(2)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독서 보조 장치 중 스마트폰 거치대(2)에 스마트폰(400)을 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 2는 펼쳐진 상태의 도 1의 스마트폰 거치대(2)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독서 보조 장치 중 스마트폰 거치대(2)에 스마트폰(400)을 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휴대형 독서 보조 장치 중 접힌 상태의 스마트폰 거치대(2)의 시제품과 독서 보조 앱(3)이 설치된 스마트폰(400)의 사진이고, 도 2는 펼쳐진 상태의 도 1의 스마트폰 거치대(2)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독서 보조 장치 중 스마트폰 거치대(2)에 스마트폰(400)을 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휴대형 독서 보조 장치(1)는, 펼쳐진 책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책의 지면을 촬영하여 표시하는 스마트폰(400)이 거치되는 스마트폰 거치대(2)로 구성되거나, 상기 스마트폰에 탑재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책의 지면 영상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출력된 상기 지면 화면의 확대, 축소 또는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독서 보조 앱(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2)는, 중앙 영역에 상기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책의 지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독서창(111)이 형성되어 상부에 상기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스마트폰 거치부(100),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의 상단부에서 일단부가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지지부(200) 및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의 하단부에서 일단부가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지지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는, 상단부는 상기 상부 지지부(200)의 일단부가 상부 힌지(201)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하부 지지부(300)의 일단부가 하부 힌지(301)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영역에 상기 하나 이상의 독서창(111)이 관통 형성되는 거치프레임(110) 및 상기 독서창(111)의 상기 관통된 내부를 세로 방향으로 가로질러 지지되어 상기 독서창(111)을 횡방향으로 구획 분할하며 상기 스마트폰(400)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세로지지프레임(113)들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는, 상기 거치부프레임(110)의 양 측부에서 상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측부지지부(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는, 상기 거치부프레임(110)의 하단부에서 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거치된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받침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지지부(200)는, 접힌 상태에서는 상기 거치부프레임(110)의 저면에서 포개지도록 위치되고, 상기 스마트폰거치부(110)가 독서에 용이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지지하기 위해 하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상부 힌지(201)를 통해 상기 거치부프레임(110)의 상부에서 상기 거치부프레임(110)의 저면으로 절첩 가능하게 결합 구성된다.
상기 상부 지지부(200)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의 상부에서 상부힌지(201)를 통해 회전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상부 지지부(200)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와 접촉되는 위치에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에 거치된 스마트폰(400)을 고정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2)가 펼쳐지는 경우 거치부프레임(110)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스마트폰(400)의 상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상부 홀더(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 지지부(300) 또한, 접힌 상태에서는 상기 거치부프레임(110)의 저면에 상기 상부 지지부(200)와 함께 포개지도록 위치되고, 상기 스마트폰거치부(100)가 독서에 용이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지지하기 위해 하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하부 힌지(301)를 통해 상기 거치부프레임(110)의 하부에서 상기 거치부프레임(110)의 저면으로 절첩 가능하게 결합 구성된다.
상기 하부 지지부(300) 또한,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와 접촉되는 위치에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에 거치된 스마트폰(400)을 고정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트폰 거치대(2)가 펼쳐지는 경우 거치부프레임(110)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스마트폰(400)의 하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하부 홀더(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의 상기 상부 지지부(200)와 하부 지지부(30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스마트폰 거치대(2)가 펼쳐지는 경우, 상부가 높고 하부가 낮은 경사를 가지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가독성을 제공하도록, 상부 지지부(200)의 세로 방향 폭이 하부 지지부(300)의 세로 방향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2)는. 또한, 스마트폰 거치를 위해 상부 지지부(200)와 하부 지지부(300)가 펼쳐지는 경우,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와 상기 상부 지지부(200) 및 하부 지지부(300)의 펼쳐진 상태를 고정하도록, 상기 거치부프레임(11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 고정부(50) 및 상기 거치부프레임(11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 고정부(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고정부(50)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의 상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거치부고정부(150)와 상기 상부 지지부(200)에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지지부고정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 고정부(60)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의 히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거치부고정부(150)와 상기 하부 지지부(300)에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지지부고정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고정부(150), 상부지지부고정부(250) 및 하부지지부고정부(350)의 내측에는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자석(70)들이 장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상기 거치부고정부(150)와 상기 상부지지부고정부(250) 및 상기 하부지지부고정부(350)는, 자력에 의해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억지끼움 결합, 후크 결합 등의 결합에 의해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고정부(50) 및 하부 고정부(60)는 한 쌍으로 개수가 한정되지 않고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고정을 위한 필요 개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2)는, 제작된 부품들을 조립하여 제작하거나, 3D 프린팅에 의해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독서 보조 앱(3)은, 상기 스마트폰(400)에 탑재되어 스마트폰(400)의 카메라가 촬영한 책의 지면 영상을 화면상에 출력한 후, 독서자의 제어에 따라, 화면의 확대, 축소, 이동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시각약자들의 독서를 보조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독서 보조 앱(3)은 촬영 영상의 확대 축소 기능에 부가하여, 문자 인식 기능, TTS(text to speech) 기능, 사전 기능 또는 표시된 페이지에 메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메모가 포함된 화면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자동으로 스크린 내용을 TTS로 읽어주면서 스마트폰 화면에 해당 부분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조 기능 등의 부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상기 독서 보조 장치(1)가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2)로만 구성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400)에는 독서 보조 앱(3)이 탑재됨이 없이, 내장된 카메라와 카메라 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책의 지면을 촬영하여 표시하고,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출력된 지면 화면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독서 보조 장치(1)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2)와 상기 스마트폰(400)에 탑재되는 독서 보조 앱(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상술한 구성의 스마트폰 거치대(2)는 가로 약 170mm, 세로 약 90mm, 내부에 가로 약 67mm 및 세로 60mm의 두 개의 독서창이 나란히 형성된 구조로서 일반적인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으나, 이러한 크기에 한정됨이 없이, 일반적인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스마트폰보다는 크면서 접혔을 때 휴대가 용이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400)은 카메라와 중앙처리장치, 터치 제어 가능한 터치스크린 등의 표시부, 내장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독서 보조 앱(3)이 탑재되어 구동되는 스마트폰이 아닌 독서 보조 앱 구동 기능을 가지는 휴대형 단말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독서 보조 장치 중 스마트폰 거치대(2)에 스마트폰(3)을 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인 도 3과 같이, 독서자는 이동 중에는 도 1과 같이, 스마트폰 거치부(100)에 상부 지지부(200) 및 하부 지지부(300)가 접혀 포개진 상태로 휴대한다.
그리고 독서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스마트폰 거치부(100)로부터 상부 지지부(200) 및 하부 지지부(300)를 펼친 후, 읽고자 하는 책의 펼쳐진 면상에 설치한다. 거치부 프레임(110)에 스마트폰(400)을 거치하면, 받침부(140)가 스마트폰(400)이 흘러 내리지 않도록 지지하며, 홀더(220, 320)들이 스마트폰(400)을 고정한다. 스마트폰(400)이 홀더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독서 보조 앱(3)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는 내장된 카메라를 구동하여 책의 지면을 촬영한 후, 가독성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시키는 것에 의해 독서를 위한 보조 기능을 제공 받게 된다. 이와 달리, 독서 보조 앱(3)이 설치된 경우에는, 독서 보조 앱(3)을 실행하여 독서 보조 기능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독서 보조 장치
2: 스마트폰 거치대
3: 독서 보조 앱
50: 상부고정부
60: 하부고정부
100: 스마트폰 거치부
110: 거치부프레임
111: 독서창
113: 세로 지지프레임
130: 측부지지부-손잡이
140: 받침부
150: 거치부 고정부
151: 하부 바퀴
200: 상부 지지부
201: 상부 힌지
220: 상부홀더
250: 상부지지부고정부-상부 바퀴부
300: 하부 지지부
301: 하부 힌지
320: 하부홀더
350: 하부지지부고정부
400: 스마트폰
2: 스마트폰 거치대
3: 독서 보조 앱
50: 상부고정부
60: 하부고정부
100: 스마트폰 거치부
110: 거치부프레임
111: 독서창
113: 세로 지지프레임
130: 측부지지부-손잡이
140: 받침부
150: 거치부 고정부
151: 하부 바퀴
200: 상부 지지부
201: 상부 힌지
220: 상부홀더
250: 상부지지부고정부-상부 바퀴부
300: 하부 지지부
301: 하부 힌지
320: 하부홀더
350: 하부지지부고정부
400: 스마트폰
Claims (11)
- 펼쳐진 책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책의 지면을 촬영하여 표시하는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스마트폰 거치대(2)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2)는,
중앙 영역에 상기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책의 지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독서창(111)이 형성되어 상부에 상기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스마트폰 거치부(100);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의 상단부에서 일단부가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지지부(200); 및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의 하단부에서 일단부가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지지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는,
상단부는 상기 상부 지지부(200)의 일단부가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하부 지지부(300)의 일단부가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영역에 상기 하나 이상의 독서창(111)이 관통형성되는 거치부프레임(110); 및
상기 독서창(111)들을 측 방향으로 분할하는 하나 이상의 세로 지지프레임(1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독서 보조 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는,
상기 거치부프레임(110)의 양 측부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측부지지부(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는,
상기 거치부프레임(110)의 하단부에서 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거치된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받침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독서 보조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부(200)와 상기 하부 지지부(300)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2)가 펼쳐지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를 상부에서 하부로 하 방향 경사를 가지도록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지지부(200)의 세로 폭이 상기 하부 지지부(200)의 세로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독서 보조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부(200)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와 접촉되는 위치에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에 거치된 스마트폰을 고정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상부 홀더(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독서 보조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부(300)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프레임(110)과 접촉되는 위치에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에 거치된 스마트폰을 고정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하부 홀더(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독서 보조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2)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의 상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거치부고정부(150)와 상기 상부 지지부(200)에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지지부고정부(250)로 구성되어 펼쳐지는 경우 긴밀히 결합되는 상부 고정부(50); 및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의 히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거치부고정부(150)와 상기 하부 지지부(300)에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지지부고정부(350)로 구성되어 펼쳐지는 경우 긴밀히 결합되는 하부 고정부(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독서 보조 장치. - 펼쳐진 책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책의 지면을 촬영하여 표시하는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스마트폰 거치대(2)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2)는,
중앙 영역에 상기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책의 지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독서창(111)이 형성되어 상부에 상기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스마트폰 거치부(100);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의 상단부에서 일단부가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지지부(200); 및
상기 스마트폰 거치부(100)의 하단부에서 일단부가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지지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거치부고정부(150)와 상기 상부지지부고정부(250) 및 상기 하부지지부고정부(350)는, 억지끼움 결합 또는 자력에 의한 결합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독서 보조 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2496A KR102139046B1 (ko) | 2019-01-31 | 2019-01-31 | 스마트폰을 이용한 시각 약자의 독서 보조를 위한 휴대형 독서 보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2496A KR102139046B1 (ko) | 2019-01-31 | 2019-01-31 | 스마트폰을 이용한 시각 약자의 독서 보조를 위한 휴대형 독서 보조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39046B1 true KR102139046B1 (ko) | 2020-07-29 |
Family
ID=71893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12496A KR102139046B1 (ko) | 2019-01-31 | 2019-01-31 | 스마트폰을 이용한 시각 약자의 독서 보조를 위한 휴대형 독서 보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904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21868B1 (ko) * | 2021-06-02 | 2022-07-15 | 문병철 | 다용도 거치대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1586Y1 (ko) | 2003-01-27 | 2003-05-09 | 이재호 | 다기능 독서대 |
JP2007289368A (ja) | 2006-04-25 | 2007-11-08 | Kunihiko Konno | 多機能書見台 |
KR101008995B1 (ko) | 2008-10-22 | 2011-01-17 | 김동선 | 다기능 독서대 |
KR20130073470A (ko) * | 2011-12-23 | 2013-07-03 | (재)네오딘의학연구소 | 휴대용 검체와 검사 의뢰서 촬영거치대 |
KR101654166B1 (ko) | 2014-12-15 | 2016-09-05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온도센서와 펌프를 이용한 온수조절 밸브 시스템 |
-
2019
- 2019-01-31 KR KR1020190012496A patent/KR10213904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1586Y1 (ko) | 2003-01-27 | 2003-05-09 | 이재호 | 다기능 독서대 |
JP2007289368A (ja) | 2006-04-25 | 2007-11-08 | Kunihiko Konno | 多機能書見台 |
KR101008995B1 (ko) | 2008-10-22 | 2011-01-17 | 김동선 | 다기능 독서대 |
KR20130073470A (ko) * | 2011-12-23 | 2013-07-03 | (재)네오딘의학연구소 | 휴대용 검체와 검사 의뢰서 촬영거치대 |
KR101654166B1 (ko) | 2014-12-15 | 2016-09-05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온도센서와 펌프를 이용한 온수조절 밸브 시스템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21868B1 (ko) * | 2021-06-02 | 2022-07-15 | 문병철 | 다용도 거치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81932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EP1686768A3 (en) | Foldable phone with rotating display | |
DE602005026598D1 (de) | Klappbares, tragbares Endgerät mit ausziehbarem Kameramodul | |
JP2009534693A (ja) | 聴覚的信号を使用することによるテキストの取り込みおよび提示 | |
JP3215405U (ja) | モバイルデバイス写真撮影スキャンに対応する位置決め調整装置 | |
KR20210066784A (ko) | 폴더블 디스플레이장치용 힌지 | |
KR102139046B1 (ko) | 스마트폰을 이용한 시각 약자의 독서 보조를 위한 휴대형 독서 보조 장치 | |
AU2012256465B2 (en) | Apparatus for translating written text in real time | |
CN113167994A (zh) | 折叠型台式电子放大器 | |
JP2002539516A (ja) | 携帯電子機器 | |
JP2004364126A (ja) | 拡大読書器 | |
JP5858388B2 (ja) | 画像記録装置、画像記録方法、画像記録用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録媒体 | |
KR200462189Y1 (ko) | 듀얼 카메라가 설치된 실물 화상기 | |
JP4031799B2 (ja) | 遠隔表面上および背面投影スクリーン上に二者択一的に画像を投影する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 | |
US20080002956A1 (en) | Portrait Photography Apparatus | |
JP3213759U (ja) | 眼鏡ケース付携帯電話端末、眼鏡ケース付携帯電話端末用カバーおよび眼鏡ケース | |
JP2005311851A (ja) |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および画像保存方法 | |
JP2007174218A (ja) | 表示装置 | |
JP3083256U (ja) | 携帯電話、電卓、テレビ等の画面拡大装置 | |
JP3077035U (ja) | 画面表示部を有する携帯用電気機器の拡大部付きスタンド | |
ES2766423T3 (es) | Lupa de escritorio articulada | |
JP2004023253A (ja) | 資料提示装置 | |
CN107395913B (zh) | 一种数码产品翻拍辅助装置和方法 | |
JP3219103U (ja) | 仮想ディスプレイ装置 | |
JP2019014181A (ja) | 携帯型プリン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