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827B1 - 변형 가능한 팔걸이를 구비한 의자 - Google Patents

변형 가능한 팔걸이를 구비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7827B1
KR102137827B1 KR1020200044928A KR20200044928A KR102137827B1 KR 102137827 B1 KR102137827 B1 KR 102137827B1 KR 1020200044928 A KR1020200044928 A KR 1020200044928A KR 20200044928 A KR20200044928 A KR 20200044928A KR 102137827 B1 KR102137827 B1 KR 102137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otating
armrest
bar
fix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동현
Original Assignee
양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동현 filed Critical 양동현
Priority to KR1020200044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8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47C7/541Supports for the arms of adjust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 A47C1/0308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adjustable by rot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기 위한 팔걸이(100)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100)는 서로에 대해서 상대적인 움직임이 가능한 제1 플레이트(11) 및 제2 플레이트(21)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21)는 팔걸이(100)의 내부를 향하는 상부면(21a), 팔걸이(100)의 외부를 향하는 하부면(21b) 및 제2 플레이트(21)를 관통하는 개구(21c)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부면(21a)에는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수직 플레이트(23a)와, 상기 2개의 수직 플레이트(23a)사이에서 상기 수직 플레이트(23a)를 관통하는 제1 회전축(23b) 및 상기 제1 회전축(23b)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개구(21c)를 통해 외부로 돌출이 가능한 돌출부(22)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개구(21c)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22)를 누르면, 제2 플레이트(21)는 제1 플레이트(11)에 대하여 상대적인 움직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팔걸이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변형 가능한 팔걸이를 구비한 의자 {Chair With Deformable Armrest}
본 발명은 팔걸이의 위치 변경이 가능한 의자에 관한것으보 보다 구체적으로는 팔걸이가 상하 및 회전이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고도화되어 육체적인 노동보다는 의자에 앉아서 일하는 시간이 점차 증가됨에 따라 의자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인체에 편안하고 안락한 다양한 종류의 의자가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그 사용장소에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으며, 특히 사무실 및 컴퓨터용일 경우에는 팔걸이부가 필수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는 신체의 일부분인 팔을 최대한 편하게 함으로서 팔에 스트레스 발생을 줄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팔걸이부와 상기 안착부에 결합되는 등받이부 및 팔걸이부로 구성되어 있는 의자의 구조를 부분 변경하여 최대한의 편의를 제공하는 기능성의자가 선풍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특히, 4차혁명 시대흐름에 따라 앉아있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업무환경, 교육환경, 문화환경이 바뀜에 따라 앉는 자세가 다양한 컨테츠에 적합하도록 의자 팔걸이가 트랜스폼 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팔걸이 의자에 있어서는 단순히 팔걸이의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회전을 시키고는 있으나 팔걸이 자체의 형상을 변형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팔의 위치를 지지하는 의자에 대한 연구는 별로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다양한 팔의 위치에 맞추어 팔걸이 자체의 형상이 변형가도록 하고자 한다.
등록 실용 신안 제20-0250545-0000호 (2001.10.04) 등록 특허 제10-2041978-0000호 (2019.11.01)
본 발명은 사용자의 팔의 위치에 맞추어 팔걸이를 변형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기 위한 팔걸이(100)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100)는 서로에 대해서 상대적인 움직임이 가능한 제1 플레이트(11) 및 제2 플레이트(21)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21)는 팔걸이(100)의 내부를 향하는 상부면(21a), 팔걸이(100)의 외부를 향하는 하부면(21b) 및 제2 플레이트(21)를 관통하는 개구(21c)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부면(21a)에는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수직 플레이트(23a)와, 상기 2개의 수직 플레이트(23a)사이에서 상기 수직 플레이트(23a)를 관통하는 제1 회전축(23b) 및 상기 제1 회전축(23b)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개구(21c)를 통해 외부로 돌출이 가능한 돌출부(22)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개구(21c)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22)를 누르면, 제2 플레이트(21)는 제1 플레이트(11)에 대하여 상대적인 움직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팔걸이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11)는 팔걸이(100)의 내부를 향하는 상부면(11a), 팔걸이(100)의 외부를 향하는 하부면(11b), 상부면(11a)에 설치된 회전부(31a)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21)는 상기 돌출부(22)가 눌려질때 상기 회전부(31a)와 떨어지고 상기 돌출부(22)에 외부 힘이 주어지지 않으면 상기 회전부(31a)와 접촉하게 되는 고정 블록(29)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블록(29)이 상기 회전부(31a)와 접촉하면 상기 제1 플레이트(11)는 상기 제2 플레이트(21)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이 불가능하고, 상기 고정 블록(29)이 상기 회전부(31a)와 떨어지면 상기 제1 플레이트(11)는 상기 제2 플레이트(21)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돌출부(22)와 연결되어 상기 돌출부(22)의 회전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는 수평바(22b), 상기 수평바(22b)의 위치 변경에 의해 회전이 가능한 회전바(25b), 상기 회전바(25b)의 회전 중심이고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부면(21a)에 설치되는 회전바 회전축(25a), 상기 회전바(25b)가 회전함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며 상기 고정 블록(29)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당김바(2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부(31a)는 제2 멈춤이(31b)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블록에는 상기 제2 멈춤이(31b)와 맞물릴수 있는 제1 멈춤이(29b)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블록(29)는 당김바(26)에 의해 당겨지지 않으면 회전부(31a)를 향하도록 되어 고정 블록(29)의 제2 멈춤이(31b)가 회전부의 제1 멈춤이(29b)와 맞물려서 제1 플레이트(11)과 제2 플레이트(21)는 상대적인 움직임이 불가능하고, 상기 고정 블록(29)이 당김바(26)에 의해 당겨지면 회전부(31a)는 고정 블록(29)과 떨어져서 제1 플레이트(11)와 제2 플레이트(21)는 상대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부(31a)는 제2 회전축(31c)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제2 회전축(31c)은 제2 프레임(21)의 상부면(21a)에 설치된 제2 회전축 고정 프레임(21d)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플레이트(11)의 상부면(11a)의 가장자리에는 상부 테두리(11c)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회전축(31c)이 상기 상부 테두리(11c)에 끼워져 있어서, 상기 회전부(31a)의 회전에 의해 제1 플레이트(11)가 움직일때 상기 상부 테두리(11c)는 제2 회전축(31c)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당김바(26)는 머리부(26a) 및 머리부(26a)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바(25b)를 관통하여 고정 블록(29)과 연결되는 연결부(26b)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26b)에는 상기 회전바(25b)와 머리부(26a) 사이에 제1 스프링(26c)이 설치되어 회전바(25b)가 수평바(22b)에 의해 당겨질때 제1 스프링(26c)은 압축이 되며 당김바(26)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팔의 위치를 지지하도록 하여 장시간 의자에서 작업을 하는 프로 게이머, 사무직 직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하였다.
도 1a은 제1 상태의 본 발명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제2 상태의 본 발명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팔걸이(100)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상기 팔걸이(100)의 제1 상태의 저면도이다.
도 3b는 상기 팔걸이(100)의 제2 상태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a는 상기 팔걸이(100)의 제1 상태에서의 내부 평면도이다.
도 4b는 제1 상태와 제2 상태의 변경시의 내부 상태도이다.
도 5a는 도 4a에서의 도 5a의 확대 도면이다.
도 5b는 도 4b에서의 도 5b의 확대 도면이다.
도 6a는 도 5a의 측면도이다.
도 6b는 도 5b의 측면도이다.
도 7은 고정 블록(29)의 정면도 [회전부(31a)를 향하는 쪽]에 대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 는 회전부(31a)와 고정 블록(29)의 상태에 대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제1 상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의자(1000)은 등받이 시트(110), 착석부(120), 팔걸이(100), 팔걸이 지지부(170) 및 상기 착석부(120)를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130)을 포함한다.
도 1a의 제1 상태에서는 팔걸이(100)의 제1 부분(10)과 제2 부분(20)이 동일한 평면이 되는 평평한 상태가 되며, 도 1b는 제2 상태로서 팔걸이(100)의 제2 부분(20)이 제1 부분(10)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가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팔걸이(100)의 평면도이고 도 3a는 상기 팔걸이(100)의 제1 상태의 저면도이며 도 3b는 상기 팔걸이(100)의 제2 상태의 저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팔걸이(100)는 제1 부분(10)과 제2 부분(20)으로 구성되며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제2 부분(20)와 제1 부분(10)은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다.
제1 부분(10)은 상부면(10a)와 하부면의 테두리부(10b)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면의 테두리부(10b)에 제1 플레이트(11)가 맞추어 끼워진다.
제2 부분(20)도 상부면(20a)와 하부면의 테두리부(20b)를 포함하고, 하부면의 테두리부(20b)에는 제2 플레이트(21)가 맞추어 끼워진다.
상기 제1 플레이트(11)와 제2 플레이트(21)는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1, 21)가 끼워져 있는 제1 부분(10) 및 제2 부분(20)도 서로에 대해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해 도 3a의 제1 상태 및 도 3b의 제2 상태가 가능하다.
제1 플레이트(11)는 도 4a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제1 부분(10)의 내부를 향하는 상부면(11a)와 도 3a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제1 부분(10)의 외부를 향하는 하부면(11b)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2 플레이트(21)도 도 4a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제2 부분(20)의 내부를 향하는 상부면(21a)와 도 3a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제2 부분(20)의 외부를 향하는 하부면(21b)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플레이트(21)에는 개구(21c)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21c)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22)를 누르면, 제2 플레이트(21)는 제1 플레이트(11)에 대하여 상대적인 움직임이 가능하여 제1 또는 제2 상태로의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돌출부(22)에 외부 힘이 주어지지 않으면 제2 플레이트(21)는 제1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대적인 움직임이 불가능하여 제1 또는 제2 상태가 유지된다.
도 4a는 상기 팔걸이(100)의 제1 상태에서의 내부 평면도이고, 도 4b는 제1 상태와 제2 상태의 변경이 가능한 상태에 대한 내부 평면도이다.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부면(21a)에는 수직 플레이트(23a)가 2개 설치되고 상기 2개의 수직 플레이트(23a)사이에는 상기 수직 플레이트(23a)를 통과하는 제1 회전축(23b)이 설치되고, 상기 돌출부(22)는 상기 제1 회전축(23b)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이 가능하여 도 5a 및 도 6a 또는 도 5b 및 도 6b의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4a, 도 5a 및 도 6a는 동일한 상태로서 돌출부(22)와 연결된 수평바(22b)가 돌출부(22)를 당기고 있는 상태이다.
제1 플레이트(11)의 상부면(11a)에는 회전부(31a)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부(31a)의 회전에 의하여 제1 플레이트(11)가 제2 플레이트(12)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회전부(31a)는 제2 회전축(31c)이 끼워져 있으며, 제2 회전축(31c)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회전부(31a)에는 제2 멈춤이(tooth, 31b)가 형성되어 있어서 도 7과 같이 고정 블록(29)의 단면(회전부를 향하는 단면)에 형성된 제1 멈춤이(tooth, 29b)와 맞물리면 회전이 불가능하다.
상기 고정 블록(29)는 당김바(26)와 연결되어 고정바 케이스(28) 내부에 설치되며 당김바(26)에 의해 당겨지지 않으면 회전부(31a)를 향하도록 되어 고정 블록(29)의 제1 멈춤이(29b)가 회전부(31a)의 제2 멈춤이(31b)와 맞물려서 제1 플레이트(11)과 제2 플레이트(21)는 상대적인 움직임이 불가능하다.
상기 제2 회전축(31c)은 제2 프레임(21)의 상부면(21a)에 설치된 제2 회전축 고정 프레임(21d)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1 플레이트(11)의 상부면(11a)의 가장자리에 상부 테두리(11c)가 상기 제2 회전축(31c)에 끼워져 있어서, 상기 회전부(31a)의 회전에 의해 제1 플레이트(11)가 움직일때 상기 상부 테두리(11c)는 제2 회전축(31c)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고정 블록(29)와 연결된 당김바(26)는 회전바(25b)가 회전바 회전축(25a)를 중심으로 도 4a의 상태에서 도 4b의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당겨지고, 당김바(26)의 움직임에 의해 고정 블록(29)도 도 4a의 상태에서 도 4b로 바뀐다
상기 당김바(26)는 머리부(26a) 및 머리부(26a)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바(25b)를 관통하여 고정 블록(29)과 연결되는 연결부(26b)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26b)에는 상기 회전바(25b)와 머리부(26a) 사이의 위치에서 제1 스프링(26c)가 설치되어 회전바(25b)가 수평바(22b)에 의해 당겨질때 제1 스프링(26c)은 압축이 되며 당김바(26)의 위치가 변경된다.
상기 회전바(25b)는 수평바(22b)와 연결되어 있어서, 돌출부(22)가 외부에서 힘이 작용하지 않은 도 4a, 도 5a 및 도 6a의 상태에서는 회전바(25b)가 당김바(26)을 당기지 않아, 고정 블록(29)이 회전부(31a)와 서로 맞물려 제1 플레이트(11)과 제2 플레이트(21)의 회전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사용자가 제2 플레이트(21)의 개구(21c)를 통해 돌출부(22)를 누르면 도 4b, 도 5b 및 도 6b와 같이 돌출부(22)가 제1 회전축(23b)를 통해 회전하고 이로 인하여 수평바(22b)가 당겨지며 수평바(22b)와 연결된 회전바(25b)가 회전바 회전축(25a)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당김바(26)를 당기고 이로 인하여 고정 블록(29)가 당겨지며 고정 블록(29)는 회전부(31a)와 떨어지고 제1 플레이트(11)은 제2 플레이트(21)에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수평바(22b)의 제2 플레이트(21)의 상부면으로부터의 높이는 상기 제1 회전축(23b)의 높이보다 낮아서 사용자가 돌출부(22)를 눌러 돌출부(22)가 회전하면 수평바(22b)는 도 4b와 같이 당겨지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제2 플레이트(21)의 개구(21c)를 통해 돌출부(22)를 눌러서 제1 플레이트(11)와 제2 플레이트(21)의 상대적인 각도를 조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제1 플레이트(11)과 결합된 제1 부분(10)과 제2 플레이트(21)과 결합된 제2 부분(20)의 상대적인 각도의 조정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 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 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 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 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40: 시트부 50: 등받이 지지부 프레임
60: 팔걸이부 70: 등받이 플레이트
80: 척추 지지부 90 :등받이부
100: 목 받침 지지부

Claims (4)

  1.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기 위한 팔걸이(100)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100)는 서로에 대해서 상대적인 움직임이 가능한 제1 플레이트(11) 및 제2 플레이트(21)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21)는 팔걸이(100)의 내부를 향하는 상부면(21a), 팔걸이(100)의 외부를 향하는 하부면(21b) 및 제2 플레이트(21)를 관통하는 개구(21c)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부면(21a)에는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수직 플레이트(23a)와, 상기 2개의 수직 플레이트(23a)사이에서 상기 수직 플레이트(23a)를 관통하는 제1 회전축(23b) 및 상기 제1 회전축(23b)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개구(21c)를 통해 외부로 돌출이 가능한 돌출부(22)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개구(21c)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22)를 누르면, 제2 플레이트(21)는 제1 플레이트(11)에 대하여 상대적인 움직임이 가능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11)는 팔걸이(100)의 내부를 향하는 상부면(11a), 팔걸이(100)의 외부를 향하는 하부면(11b), 상부면(11a)에 설치된 회전부(31a)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21)는 상기 돌출부(22)가 눌려질때 상기 회전부(31a)와 떨어지고 상기 돌출부(22)에 외부 힘이 주어지지 않으면 상기 회전부(31a)와 접촉하게 되는 고정 블록(29)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블록(29)이 상기 회전부(31a)와 접촉하면 상기 제1 플레이트(11)는 상기 제2 플레이트(21)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이 불가능하고, 상기 고정 블록(29)이 상기 회전부(31a)와 떨어지면 상기 제1 플레이트(11)는 상기 제2 플레이트(21)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돌출부(22)와 연결되어 상기 돌출부(22)의 회전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는 수평바(22b), 상기 수평바(22b)의 위치 변경에 의해 회전이 가능한 회전바(25b), 상기 회전바(25b)의 회전 중심이고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부면(21a)에 설치되는 회전바 회전축(25a), 상기 회전바(25b)가 회전함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며 상기 고정 블록(29)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당김바(26)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31a)는 제2 회전축(31c)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제2 회전축(31c)은 제2 프레임(21)의 상부면(21a)에 설치된 제2 회전축 고정 프레임(21d)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플레이트(11)의 상부면(11a)의 가장자리에는 상부 테두리(11c)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회전축(31c)이 상기 상부 테두리(11c)에 끼워져 있어서, 상기 회전부(31a)의 회전에 의해 제1 플레이트(11)가 움직일때 상기 상부 테두리(11c)는 제2 회전축(31c)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당김바(26)는 머리부(26a) 및 머리부(26a)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바(25b)를 관통하여 고정 블록(29)과 연결되는 연결부(26b)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26b)에는 상기 회전바(25b)와 머리부(26a) 사이에 제1 스프링(26c)이 설치되어 회전바(25b)가 수평바(22b)에 의해 당겨질때 제1 스프링(26c)은 압축이 되며 당김바(26)의 위치가 변경되고,
    상기 수평바(22b)의 제2 플레이트(21)의 상부면으로부터의 높이는 상기 제1 회전축(23b)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팔걸이를 구비한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31a)는 제2 멈춤이(31b)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블록에는 상기 제2 멈춤이(31b)와 맞물릴수 있는 제1 멈춤이( 29b)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블록(29)는 당김바(26)에 의해 당겨지지 않으면 회전부(31a)를 향하도록 되어 고정 블록(29)의 제2 멈춤이(31b)가 회전부의 제1 멈춤이(29b)와 맞물려서 제1 플레이트(11)과 제2 플레이트(21)는 상대적인 움직임이 불가능하고,
    상기 고정 블록(29)이 당김바(26)에 의해 당겨지면 회전부(31a)는 고정 블록(29)과 떨어져서 제1 플레이트(11)와 제2 플레이트(21)는 상대적인 움직임이 가능한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팔걸이를 구비한 의자.
  3. 삭제
  4. 삭제
KR1020200044928A 2020-04-14 2020-04-14 변형 가능한 팔걸이를 구비한 의자 KR102137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928A KR102137827B1 (ko) 2020-04-14 2020-04-14 변형 가능한 팔걸이를 구비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928A KR102137827B1 (ko) 2020-04-14 2020-04-14 변형 가능한 팔걸이를 구비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827B1 true KR102137827B1 (ko) 2020-07-24

Family

ID=71892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928A KR102137827B1 (ko) 2020-04-14 2020-04-14 변형 가능한 팔걸이를 구비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8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331A (ko) 2021-03-30 2022-10-07 윤혜진 트랜스폼 의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545Y1 (ko) 2001-07-02 2001-10-19 홍우동 베게, 팔걸이, 허리 받침대, 종아리 및 엉덩이 위치가조절가능한 사무용 회전의자
KR20180038180A (ko) * 2016-10-06 2018-04-16 주식회사 에이치엔이 다리 받침 겸용 의자
CN110063607A (zh) * 2019-03-25 2019-07-30 吴耀全 一种座椅扶手及对手臂实现多姿态支撑的方法
CN209528509U (zh) * 2018-11-19 2019-10-25 詹玉兰 一种手游椅
KR102041978B1 (ko) 2019-05-13 2019-11-07 (주)퍼맥스 의자의 팔걸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545Y1 (ko) 2001-07-02 2001-10-19 홍우동 베게, 팔걸이, 허리 받침대, 종아리 및 엉덩이 위치가조절가능한 사무용 회전의자
KR20180038180A (ko) * 2016-10-06 2018-04-16 주식회사 에이치엔이 다리 받침 겸용 의자
CN209528509U (zh) * 2018-11-19 2019-10-25 詹玉兰 一种手游椅
CN110063607A (zh) * 2019-03-25 2019-07-30 吴耀全 一种座椅扶手及对手臂实现多姿态支撑的方法
JP3222757U (ja) * 2019-03-25 2019-08-22 呉 耀全 座席用肘掛け
KR102041978B1 (ko) 2019-05-13 2019-11-07 (주)퍼맥스 의자의 팔걸이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331A (ko) 2021-03-30 2022-10-07 윤혜진 트랜스폼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5722U (ja) 椅子
JPH10295479A (ja) 椅 子
KR102137827B1 (ko) 변형 가능한 팔걸이를 구비한 의자
JP2007268118A (ja) 座部が揺動可能なスツール
JPH0889359A (ja) 椅子の座板と背もたれの揺動機構
JP3056914U (ja) 活動式マウス・ボード搭載事務用チェア
KR200453289Y1 (ko) 의자
KR101588709B1 (ko) 등받이의 상하 회동이 가능한 의자
JPH0251540U (ko)
CN211431848U (zh) 头枕辅助支架
JP7217110B2 (ja) 椅子
JPH039648U (ko)
KR20170001591U (ko) 소파
JP4573425B2 (ja) 椅子
JP2020058762A (ja) 椅子
JP3098552U (ja) 肘掛の三百六十度回転可能な位置決めの構造
CN214760406U (zh) 一种可变形床头靠垫
CN204071293U (zh) 一种耐用吧椅
CN211483703U (zh) 头枕辅助支架的双重锁定机构
CN219088774U (zh) 一种腰靠的水平转动结构
CN218898945U (zh) 腰靠锁定机构及座椅
KR20130002864U (ko) 침대용 테이블
CN211984656U (zh) 一种便于腿部放松的办公椅
CN213154912U (zh) 回避型转椅
CN219920639U (zh) 一种可调式靠背竹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