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798B1 - 채널 선택도가 개선된 초재생 수신기 및 초재생 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채널 선택도가 개선된 초재생 수신기 및 초재생 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6798B1
KR102136798B1 KR1020140007058A KR20140007058A KR102136798B1 KR 102136798 B1 KR102136798 B1 KR 102136798B1 KR 1020140007058 A KR1020140007058 A KR 1020140007058A KR 20140007058 A KR20140007058 A KR 20140007058A KR 102136798 B1 KR102136798 B1 KR 102136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er
active channel
channel filter
receiver
sharp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6886A (ko
Inventor
김성중
김용규
윤석주
홍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7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798B1/ko
Priority to US14/490,896 priority patent/US9531484B2/en
Publication of KR20150086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1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calibration; for correcting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2Neutralising, balancing, or compensation arrangements
    • H04B1/123Neutralising, balancing, or compensation arrangements using adaptive balancing or compensation mea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179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MOSFET transistor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H03F3/45183Long tailed pairs
    • H03F3/45188Non-folded cascode stag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294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low noise amplifier [LN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AREA)

Abstract

채널 선택도가 개선된 초재생 수신기 및 초재생 수신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재생 수신기는 초재생 발진기(SRO, super-regenerative oscillator) 및 초재생 발진기 초단에 위치되어, 간섭 신호를 필터링하는 능동 채널 필터(active channel filter)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채널 선택도가 개선된 초재생 수신기 및 초재생 수신 방법{SUPER-REGENERATIVE RECEIVER AND SUPER-REGENERATIVE RECEPTION METHOD WITH IMPROVED CHANNEL SELECTIVITY}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재생 수신기 및 초재생 수신 방법이 제공된다.
초재생수신기(SRR, Super-regenerative Receiver)는 적당한 수신감도를 지니고, 저비용으로 쉽게 구현할 수 있는 수신기로 알려져 있다. 초재생수신기는 원격제어 장난감이나 정보 시스템 및 감시 장치등과 같은 분야에 폭넓게 응용되어 왔다.
초재생수신기는 발진기의 시동시간(start-up time)에 따라 신호를 검출한다. 발진기의 시동시간은 안테나에서 수신한 신호의 파워와 주파수에 기초한다. 발진기는 또한 입력 신호가 없는 경우에도 발진기에 설정된 DC 바이어스의 크기에 따라 열잡음(thermal noise)으로 인해 매우 천천히 발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재생 발진기(SRO, super-regenerative oscillator); 및 상기 초재생 발진기 초단에 위치되어, 간섭 신호를 필터링하는 능동 채널 필터(active channel filter)를 포함하는 초재생 수신기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능동 채널 필터는, 가변 캐퍼시터 및 인덕터를 포함하는 LC 탱크(LC tank)를 포함하는 초재생 수신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능동 채널 필터는, 상기 가변 캐퍼시터를 이용하여 상기 능동 채널 필터의 공진 주파수를 조절하는, 초재생 수신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능동 채널 필터는, 능동 채널 필터의 샤프니스(예를 들면, 능동 채널 필터의 통과 대역폭)를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통해 미리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에 저장된 값으로, 고정하는 부성 컨덕턴스 셀(negative conductance cell)을 포함하는 초재생 수신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성 컨덕턴스 셀은, 부성 컨덕턴스 셀이 발진하지 않으면서 샤프니스가 캘리브레이션을 통해 미리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값을 가지도록, 미리 정한 범위에서 전류를 조절하는, 초재생 수신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능동 채널 필터의 주파수 스윕 특성(frequency sweep characteristics)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능동 채널 필터에 포함된 LC 탱크의 공진 주파수를 제어(control)하는 캘리브레이션부(calibrator)를 포함하는 초재생 수신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파수 스윕 특성을 측정하고, 공진 주파수에 대응하는 LC 탱크의 제어 코드(control code)와 매칭시켜 주파수 스윕 특성을 저장하는 룩업 테이블 방식을 사용하는 초재생 수신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능동 채널 필터의 샤프니스 특성(sharpness characteristics)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능동 채널 필터에 포함된 상기 부성 컨덕턴스 셀의 부성 컨덕턴스 크기를 제어하는 캘리브레이션부를 더 포함하는 초재생 수신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샤프니스 특성을 측정하고, 부성 컨덕턴스 크기에 대응하는 바이어스 전류의 제어 코드와 매칭시켜 샤프니스 특성을 저장하는 룩업 테이블 방식을 사용하는 초재생 수신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간섭 신호가 미리 정한 간섭(predetermined interference)보다 크면, 상기 능동 채널 필터를 활성화하는 필터 활성화부(filter activator)를 더 포함하는 초재생 수신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재생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신호(received signal)에 포함된, 간섭 신호(interferer)를 필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링된 신호(filtered signal)를 초재생 발진(super-regenerative oscillate)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재생 수신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링하는 단계는, 가변 캐퍼시터를 이용하여 능동 채널 필터의 공진 주파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재생 수신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링하는 단계는, 부성 컨덕턴스 셀(negative conductance cell)을 이용하여, 능동 채널 필터의 샤프니스(예를 들면, 능동 채널 필터의 통과 대역폭)를 미리 정한 값으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재생 수신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샤프니스를 미리 정한 값으로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부성 컨덕턴스 셀이 발진하지 않으면서 상기 샤프니스가 상기 미리 정한 값을 가지도록 미리 정한 범위에서 전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재생 수신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능동 채널 필터의 주파수 스윕 특성(frequency sweep characteristics)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능동 채널 필터에 포함된 LC 탱크의 공진 주파수를 제어(control)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초재생 수신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파수 스윕 특성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스윕 특성을, 상기 공진 주파수에 대응하는 상기 LC 탱크의 제어 코드(control code)와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초재생 수신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능동 채널 필터의 샤프니스 특성(sharpness characteristics)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능동 채널 필터에 포함된 상기 부성 컨덕턴스 셀의 부성 컨덕턴스 크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초재생 수신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샤프니스 특성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샤프니스 특성을, 상기 부성 컨덕턴스 크기에 대응하는 바이어스 전류의 제어 코드와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초재생 수신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간섭 신호를 필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간섭 신호가 미리 정한 간섭보다 크면, 상기 능동 채널 필터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재생 수신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초재생 수신기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능동 채널 필터를 구비한 초재생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채널 선택도를 개선한 초재생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능동 채널 필터에서 조절 가능한(tunable) 공진 주파수 및 샤프니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채널 필터의 개괄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채널 필터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능동 채널 필터를 캘리브레이션(calibrate)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간섭 신호를 감지하여 채널 능동 필터를 활성화하는 초재생 수신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초재생 수신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능동 채널 필터에서 공진 주파수 및 샤프니스를 조절하기 위한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을 구축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하 초재생 수신기(SRR, Super-regenerative receiver)는, 초재생 발진기(SRO, Super-regenerative oscillator)를 포함하는 수신기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하 입력 신호는 RF 신호(radio frequency signal), 수신된 신호(received signal)로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초재생 수신기(100)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초재생 수신기(100)에서, 안테나에서 들어온 입력 신호는 곧바로 저 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110) 혹은 분리기(Isolator)를 통과할 수 있다. 여기서, 증폭된 입력 신호는 초재생 방식(Super-regenerative method)을 통해 신호를 증폭하는 초재생 발진기(120)를 통과하고, 이후 인벨롭 감지기(ED, Envelope Detector)(130)를 통과할 수 있다. 인벨롭 감지기(130)를 통과한 입력 신호의 인벨롭 형태는 베이스밴드(Baseband)로 전달될 수 있다. 베이스밴드로 전달된 신호는 증폭기(140)를 통해 ADC(analog-to-digital converter)(150)로 입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초재생 수신기(100)는 RX로서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대해 초재생 발진기(120)를 통해 이득(Gain)을 얻을 수 있다. 이후, 증폭된 입력 신호의 인벨롭을 인벨롭 감지기(130)를 통해 획득함으로써, 입력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베이스밴드로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초재생 수신기(100)의 구조에서는, 채널 선택도(channel selectivity)를 구현할 수 있는 블럭(Block)이 초재생 발진기(120) 및 초재생 발진기(120)의 초단에 위치하는 저 잡음 증폭기(110) 또는 분리기로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필터의 채널 선택도는 공진기의 Q에 비례하고, 대부분의 수신기 구조(예를 들어, 초재생 발진기(120)를 포함하지 않는 구조)에서 채널 선택도를 구현하는 블럭은 공진기의 높은 Q(high Q)가 가능한 주파수 단(예를 들어, IF 주파수나 베이스밴드 주파수 단)에서 필터를 구현하는 바, 도 1에 도시된 초재생 수신기(100)는 모든 채널 선택도 구현 블록이 알에프(RF) 주파수 블록이므로 공진기의 Q가 제한되면서 채널 선택도 성능이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초재생 수신기(100)에서는, 초재생 발진기(120)가 저 잡음 증폭기(110)로 들어온 입력 신호를 통해 VCO(Voltage controlled oscillator)의 발진을 제어하여,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초재생 수신기(100)에서 사용되는 초재생 방식(super-regenerative method)은, 입력 신호를 VCO의 LC 공진기로 감지하는 방식이므로, 도 1에 도시된 초재생 수신기(100)의 채널 선택도는 VCO의 주파수 응답 특성에 비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초재생 수신기(100)의 주파수 응답 특성은 LC 공진기의 낮은 Q 특성으로 인해 낮은 선택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입력 신호가 간섭 신호(interferer)가 없이 원하는 RF 신호(wanted RF signal)만 포함하는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나, 강한 간섭 신호가 입력 신호에 포함되어 안테나에 들어오는 경우에는 수신 성능이 열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강한 간섭 신호가 있는 상황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초재생 수신기(100)의 채널 선택도 특성이 낮으므로, VCO 전에 간섭 신호가 충분히 제거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VCO는 원하는 RF 신호에 반응하지 않고 강한 간섭 신호에 반응하게 되고, 베이스밴드에서 감지되는 신호(104)는 안테나에 입력된 입력 신호(101)가 아닌 간섭 신호에 반응한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입력 신호(101)에 강한 간섭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원하는 RF 신호는 좌측의 사인 파형으로, 간섭 신호를 우측의 임펄스(impulse) 파형으로 나타낼 수 있다.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입력 신호(101)는 강한 간섭 신호와 함께 증폭되어 저 잡음 증폭기(110)를 통과한 신호(102)로 나타낼 수 있다. 초재생 발진기(120)를 통과한 신호(103)는 간섭 신호가 여전히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초재생 발진기(120)를 통과한 신호(103)는 인벨롭 감지기를 통과하면 베이스밴드에서 감지되는 신호(104)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신호(101)가 "1010"을 나타내는 경우, 베이스밴드로 전환된 신호(104)는 강한 간섭 신호로 인하여 "1111"을 나타낼 수 있다.
초재생 수신기(100)는, 높은 RF 이득(RF Gain) 특성을 나타내므로, 수신 감도가 좋고 저전력에서 동작할 수 있다. 다만, 채널 선택도를 구현하기 위한 필터링(Filtering)이 인벨롭 감지기(130) 이전 단의 RF 주파수에서만 이루어 지므로, 채널 선택도 성능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초재생 수신기(100)의 대부분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은 ISM 대역(Industrial Scientic and Medical band)에서 사용되는 바, 좋지 않은 채널 선택도 특성으로 인하여, 인접 채널 혹은 근접한 주파수 대역에 존재하는 간섭 신호 성분에 의해 수신된 입력 신호가 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초재생 수신기(100)는 구조적으로 저전력 설계가 가능하므로 수 미터 이내의 저전력 연결 통신(low power connectivity communication)에 적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전력 특성을 유지하면서, 채널 선택도를 개선하기 위해 QW(Quenching waveform)의 변형, 높은 Q를 가지는 외장 필터(예를 들어, FBAR)의 구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외장 필터의 경우 오프칩(off-chip)으로서 일정 이상의 크기를 가지므로, 제한된 폼 팩터(form factor)를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재생 수신기(100)의 저전력 구조를 유지하면서, 동일한 IC 공정 내에서 저전력으로 동작 가능한 조절가능 다채널 RF 채널 필터(Tunable Multi-channel RF channel filter)를, 추가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초재생 수신기(100)의 채널 선택도가 개선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조절가능 다채널 RF 채널 필터를 능동 채널 필터(active channel filter)로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초재생 수신기(100)에서, 초재생 발진기(120)의 초단에 상술한 능동 채널 필터가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RX로서 입력되는 입력 신호는, 능동 채널 필터를 통과한 뒤에 초재생 발진기(120)로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신호에 인접한 채널에 간섭 신호가 있더라도, 초재생 발진기(120)에 인가되기 전에, 간섭 신호의 영향이 무시될 정도로 감쇠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능동 채널 필터(210)를 구비한 초재생 수신기(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재생 수신기(200)는 능동 채널 필터(210), 분리기(213), 초재생 발진기(220), 인벨롭 감지기(230), 증폭기(240) 및 ADC(2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초재생 발진기(220), 인벨롭 감지기(230), 증폭기(240) 및 ADC(250)는, 상술한 도 1에 도시된 초재생 발진기(120), 인벨롭 감지기(130), 증폭기(140) 및 ADC(150)과 유사할 수 있다.
능동 채널 필터(2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입력 신호에서 원하는 RF 신호는 통과시키고 원하지 않는 인접 채널의 간섭 신호는 감쇠시킬 수 있다. 여기서, 능동 채널 필터(210)는 초재생 발진기 초단에 위치되어, 간섭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능동 채널 필터(210)는 가변 캐퍼시터 및 인덕터를 포함하는 LC 탱크(LC tank)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능동 채널 필터(210)가 가변 캐퍼시터를 이용하여 LC 탱크의 공진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능동 채널 필터(210)는 능동 채널 필터(210)의 샤프니스(예를 들면, 능동 채널 필터의 통과 대역폭에 대응함)를 미리 정한 값으로 고정하는 부성 컨덕턴스 셀(negative conductance cell)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부성 컨덕턴스 셀은, 부성 컨덕턴스 셀이 발진하지 않으면서 샤프니스가 미리 정한 값을 가지도록 미리 정한 범위에서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분리기(213)는 능동 채널 필터(210)와 초재생 발진기(220) 간에 존재하는 증폭기일 수 있다. 분리기(213)는 능동 채널 필터(210)와 초재생 발진기(220)를 격리(isolate)시킬 수 있다.
초재생 발진기(220)는 VCO로서, 초재생 수신기(200)에서 저전력으로 높은 이득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인벨롭 감지기(230)는 초재생 발진기(220)에서 증폭된 입력 신호를 인벨롭 감지(Envelope Detection)를 통해 입력 신호의 인벨롭(Envelope)을 복조할 수 있다.
증폭기(240)는 VGA(Variable gain amplifier)로서, 인벨롭 감지된 신호에 대해, ADC(250)의 입력 범위(input range)에 적합하도록 이득을 조정할 수 있다.
ADC(250)는 증폭기(240)를 통과한 입력 신호를 디지털화(digitize)해서 모뎀으로 입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초재생 수신기(200)는 초재생 발진기(220)의 초단에 능동 채널 필터(210)가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안테나로 입력된 입력 신호가 VCO(예를 들어, 초재생 발진기(220))에 도달하기 전에 간섭 신호에 대해 강한 채널 선택도 특성을 보이도록 설계된 능동 채널 필터(210)를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초재생 발진기(220)의 초단에서는 간섭 신호에 비해 원하는 RF 신호가 도미넌트(dominant)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초재생 발진기(220)가 원하는 RF 신호에 반응함으로써, 베이스밴드에서 감지되는 신호(204)는 안테나에 입력된 입력 신호(201)와 동일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로 수신된 입력 신호(210)는 능동 채널 필터(210)를 통과하면서 간섭 신호가 감쇠된 신호(202)로 필터링될 수 있다. 간섭 신호가 감쇠된 신호(202)는 초재생 발진기(220)에 의해 증폭된 신호(203)가 된 후, 인벨롭 감지부를 통과하여 베이스밴드에서 감지되는 신호(204)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입력 신호(201)가 "1010"을 나타내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밴드에서 감지되는 신호(204)도 "1010"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재생 발진기(220)에서 능동 채널 필터(210)만큼의 채널 선택도가 추가되므로, 초재생 수신기(200)의 채널 선택도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채널 선택도를 개선한 초재생 수신기(3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재생 수신기(300)는 능동 채널 필터(310), 분리기(313), 초재생 발진기(320), 인벨롭 감지기(330), 증폭기(340) 및 ADC(3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초재생 발진기(320), 인벨롭 감지기(330), 증폭기(340) 및 ADC(350)는, 상술한 도 1에 도시된 초재생 발진기(120), 인벨롭 감지기(130), 증폭기(140) 및 ADC(150)과 유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재생 수신기(300)는 채널 선택도를 확보하기 위한 블럭으로서, 캘리브레이션부(calibrator)(311) 및 QW 제어부(Quenching waveform controller)(321)를 포함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부(311)는 능동 채널 필터(310)의 공진 주파수 조절 블럭(resonant frequency control block)(미도시됨), 및 능동 채널 필터(310)의 샤프니스(sharpness)와 이득에 관련된 부성 컨덕턴스 셀(Negative conductance cell)(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Negative Gm cell)에서 바이어스 전류(Bias current)를 제어하기 위한 블럭(미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능동 채널 필터(310)가 LC 탱크(LC Tank)의 Q를 향상(enhancing)시킬 수 있다. 따라서, LC 탱크의 Q가 적절한 값으로 제어될 수 있다. 능동 채널 필터(310)는 LC 탱크의 Q를 제어하기 위해, 능동 채널 필터(310)의 출력을 감지하기 위한 버퍼 증폭기(Buffer Amp)(312), 및 부성 컨덕턴스(Negative Gm)와 능동 채널 필터(310)(예를 들면, 부하의 Q를 향상시키는 저 잡음 증폭기를 포함)의 이득을 제어할 수 있는 바이어스 제어 로직(Bias Control Logi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능동 채널 필터(310)는 능동 채널 필터(310)의 공진 주파수를 조절(Tuning)하기 위한 제어 로직(control logic)도 포함할 수 있다.
QW 제어부(321)는 초재생 발진기(320)의 바이어스(Bias)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재생 발진기(320)의 바이어스를 제어함으로써 채널 필터링(channel filtering)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QW제어부는 특정 주파수에 대해 채널 필터링 효과가 나타나도록, QW(quenching waveform)의 생성(generation)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능동 채널 필터에서 조절 가능한(tunable) 공진 주파수 및 샤프니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능동 채널 필터에서 조절 가능한 주파수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능동 채널 필터는 2.3 GHz부터 2.6 GHz까지의 범위에서 공진 주파수(예를 들어, 중심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공진 주파수는 능동 채널 필터의 가변 캐퍼시터를 이용하여 조절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능동 채널 필터에서 조절 가능한 샤프니스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능동 채널 필터는 부성 컨덕턴스 셀의 전류를 조정함으로써, 능동 채널 필터의 샤프니스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샤프니스 특성 중 특정 규격을 만족하면서 발진성이 없는 전류 값을 선택함으로써, 부성 컨덕턴스 값(Negative Gm value)을 고정시킬 수 있다. 초재생 수신기는 능동 채널 필터를, 고정된 부성 컨덕턴스 값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채널 필터(610, 710)의 개괄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은 부성 컨덕턴스 셀(612)이 저 잡음 증폭기(611)의 출력 단(output)에 위치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부성 컨덕턴스 셀(712)이 저 잡음 증폭기(711)의 입력 단(input)에 위치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따른 저 잡음 증폭기(611) 및 부성 컨덕턴스 셀(612)의 구체적인 구성은 하기 도 8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도 6에 따른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나, 도 7에 따른 구성도 하기 도 8과 유사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채널 필터(810)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저 잡음 증폭기(811)는 LC 탱크(81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C 탱크에서 캐퍼시터는 가변일 수 있다. 여기서, Vb는 게이트 전압, Vin+ 및 Vin-는 입력 신호 전압을 나타낼 수 있다.
부성 컨덕턴스 셀(812)은 저 잡음 증폭기(811)의 입력 혹은 출력에 위치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부성 컨덕턴스 셀(812)이 저 잡음 증폭기(811)의 출력에 위치하는 예를 보여줄 수 있다.
여기서, 부성 컨덕턴스 셀(812)은 바이어스 전류(Bias current)를 조정함으로써 부성 컨덕턴스(Negative Gm)의 크기를 바꿀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능동 채널 필터(810)의 샤프니스가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바이어스 전류는 DC 전류 바이어스(DC Current Bias)로 나타낼 수 있고, 1uA 정도의 작은 해상도(resolution)로 구현함으로써, 부성 컨덕턴스 셀(812)을 정교하게 통제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능동 채널 필터(910)를 캘리브레이션(calibrate)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에 도시된 초재생 수신기의 캘리브레이션 구성도(900)에서 능동 채널 필터(910), 분리기(913), 초재생 발진기(920), 및 인벨롭 감지기(930)는, 상술한 도 2에 도시된 초재생 수신기(200)와 유사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부(911)는 능동 채널 필터(910)의 주파수 스윕(frequency sweep)과 관련된, 능동 채널 필터(910)에 포함된 LC 탱크의 공진 주파수를 제어(control)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캘리브레이션부(911)는 SPI 제어(Serial Peripheral Interface control)를 통해 LC 탱크의 공진 주파수를 스윕(sweep)할 수 있다. 여기서 주파수 스윕 특성은, LC 탱크의 가변 캐퍼시터의 변화에 따른 공진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다.
스펙트럼 분석부(912)는 능동 채널 필터(910)의 주파수 스윕 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스펙트럼 분석부(912)에 의해, 측정된 필터의 중심 주파수와 그에 대응하는 LC 탱크의 제어 코드(control code)가 서로 매칭되어, 룩업 테이블(Look-up table)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캘리브레이션부(911)는 능동 채널 필터(910)의 샤프니스 특성(sharpness characteristics)를 측정하기 위해, 능동 채널 필터(910)에 포함된 부성 컨덕턴스 셀의 부성 컨덕턴스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캘리브레이션부(911)는 SPI 제어를 통해 부성 컨덕턴스 셀의 바이어스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스펙트럼 분석부(912)는, 능동 채널 필터(910)의 샤프니스 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스펙트럼 분석부(912)에 의해 측정된 샤프니스와 그에 대응하는 부성 컨덕턴스의 바이어스 전류 제어 코드는 서로 매칭되어, 룩업 테이블(Look-up)로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샤프니스 특성은, 특정 바이어스 전류에서, 능동 채널 필터(910)가 각 주파수 대역에서 가지는 이득을 포함할 수 있다.
하기 표 1은 주파수 캘리브레이션(Frequency calibration)에 따라, 능동 채널 필터(910)의 중심 주파수를 LC 탱크의 제어 코드(control code)(예를 들면, Coarse Cbank Code 및 Fine Cbank Code)와 매칭시켜 주파수 스윕 특성(예를 들면, 중심 주파수(Center Frequency))을 저장한 예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LC 탱크의 제어 코드는, LC 탱크의 캐퍼시터가 캐퍼시터 뱅크(capacitor bank)로 구성된 경우, 10 비트의 코어스 캐퍼시터(Coarse capacitor) 및 5 비트의 파인 캐퍼시터(Fine capacitor)를 온오프(on/off)를 통해 제어하는 코드를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4006015494-pat00001
하기 표 2는 능동 채널 필터(910)의 샤프니스 캘리브레이션에 따라, 컨덕턴스 크기에 대응하는 바이어스 전류의 제어 코드(예를 들면, NGm BIAS Code)와 매칭시켜 샤프니스 특성(예를 들면, 5MHz rejection, 10MHz rejection)을 저장한 예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바이어스 전류의 제어 코드마다, 각 대역에서의 이득을 저장할 수 있다.
Figure 112014006015494-pat00002
신호 생성부(901)는 초재생 수신기(도 2의 200)를 생산하는 공정에서 능동 채널 필터(910)를 캘리브레이션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초재생 수신기(도 2의 200)는 원하는 RF 신호에만 반응하도록 능동 채널 필터(910)가 생산 공정에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일 실시예에 따른 초재생 수신기(도 2의 20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캘리브레이션될 수도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간섭 신호를 감지하여 채널 능동 필터를 활성화하는 초재생 수신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능동 채널 필터(1010, 1110, 1210), 분리기(1013, 1113, 1213), 초재생 발진기(1020, 1120, 1220), 인벨롭 감지기(1030, 1130, 1230), 증폭기(1040, 1140, 1240) 및 ADC(1050, 1150, 1250)은 상술한 도 2에 도시된 능동 채널 필터(210), 분리기(213), 초재생 발진기(220), 인벨롭 감지기(230), 증폭기(240), 및 ADC(250)과 유사할 수 있다.
필터 활성화부(filter activator)는 간섭 신호가 미리 정한 간섭(predetermined interference)보다 크면, 능동 채널 필터를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활성화부는 간섭 신호가 미리 정한 간섭보다 크면 간섭 감지 신호(interference detection signal)를 생성해 능동 채널 필터(1010, 1110, 1210)를 활성화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간섭 감지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능동 채널 필터(1010)가 활성화되면서 안테나 스위치(1060)가 능동 채널 필터(1010)의 입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안테나로 인가된 신호는 능동 채널 필터(1010)를 통과하여, 분리기(1013)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1에서는 간섭 감지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능동 채널 필터(1110)가 활성화되면서 저잡음 증폭기(1119)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안테나로 인가된 신호는 능동 채널 필터(1110)를 통과하여 분리기(1113)로 전달될 수 있다. 간섭 감지 신호가 생성되지 않은 경우, 능동 채널 필터(1110)는 비활성화되고 저잡음 증폭기(1119)는 활성화될 수 있다. 이 때, 안테나로 인가된 신호는 저잡음 증폭기(1119)를 통과하여 분리기(1113)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2에서는 간섭 감지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필터 활성화부는 능동 채널 필터(1210)의 부성 컨덕턴스 셀(1212)을 활성화할 수 있다. 간섭 감지 신호가 생성되지 않는 경우, 필터 활성화부는 능동 채널 필터(1210)의 부성 컨덕턴스 셀(1212)을 비활성화할 수 있고, 입력 신호는 저 잡음 증폭기(1211)만을 통과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초재생 수신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1310)에서는 능동 채널 필터가 간섭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능동 채널 필터는 초재생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신호(received signal)에 포함된, 간섭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능동 채널 필터는 가변 캐퍼시터를 이용하여 능동 채널 필터의 공진 주파수를 조절(tune)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능동 채널 필터는 부성 컨덕턴스 셀을 이용하여 능동 채널 필터의 샤프니스를 미리 정한 값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능동 채널 필터는 부성 컨덕턴스 셀이 발진하지 않으면서 샤프니스가 미리 정한 값을 가지도록 미리 정한 범위에서 전류를 조절함으로써, 샤프니스를 미리 정한 값으로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한 값은, 능동 채널 필터가 발진하지 않으면서, 능동 채널 필터가 높은 Q를 가지도록 하는 바이어스 전류 크기에 대응하는 샤프니스 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바이어스 전류는 미리 정한 범위에서 조절될 수 있다. 이 때, 미리 정한 범위는 능동 채널 필터가 발진하지 않는 범위의 전류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이하, 능동 채널 필터의 공진 주파수 및 부성 컨덕턴스의 크기를 제어하는 내용은 하기 도 14 및 도 15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단계(1320)에서는 초재생 발진기가 필터링된 신호(filtered signal)를 초재생 발진(super-regenerative oscillate)시킬 수 있다. 초재생 발진기는 간섭 신호가 필터링된 신호에서 원하는 RF 신호에만 반응하여, 입력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재생 수신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능동 채널 필터가 초재생 발진기 초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재생 발진기 초단에 구현된 능동 채널 필터는 공진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공진 주파수는, 능동 채널 필터가 가지는 밴드패스 특성의 중심 주파수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재생 발진기 초단에 구현된 능동 채널 필터는 샤프니스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재생 수신기에 포함되는 능동 채널 필터는 부성 컨덕턴스 셀 및 저 잡음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재생 수신기의 능동 채널 필터는 하기 도 14 및 도 15의 방법을 통해 공진 주파수 및 샤프니스를 캘리브레이션할 수 있다. 여기서, 샤프니스를 캘리브레이션함으로써, Q가 향상(Q-enhanced)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능동 채널 필터에서 공진 주파수 및 샤프니스를 조절하기 위한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을 구축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채널 필터에서 공진 주파수를 조절하기 위한 룩업 테이블을 구축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1410)에서는 캘리브레이션부는 LC 탱크의 공진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캘리브레이션부는 능동 채널 필터의 주파수 스윕 특성(frequency sweep characteristics)을 측정하기 위해, 능동 채널 필터에 포함된 LC 탱크의 공진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1420)에서는 스펙트럼 분석부는 주파수 스윕 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1430)에서 스펙트럼 분석부에서 측정된 주파수 스윕 특성이 LC 탱크의 제어 코드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LC 탱크의 제어 코드는 공진 주파수에 대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표 1과 같이 주파수 스윕 특성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채널 필터에서 샤프니스를 조절하기 위한 룩업 테이블을 구축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1510)에서 캘리브레이션부는 부성 컨덕턴스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캘리브레이션부는 능동 채널 필터의 샤프니스 특성(sharpness characteristics)을 측정하기 위해, 능동 채널 필터에 포함된 부성 컨덕턴스 셀의 부성 컨덕턴스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1520)에서 스펙트럼 분석부는 샤프니스 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1530)에서 스펙트럼 분석부에서 측정된 샤프니스 특성이 바이어스의 제어 코드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바이어스는 바이어스 전류로서, 부성 컨덕턴스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표 2와 같이 샤프니스 특성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초재생 수신기는 채널 선택도가 개선될 수 있다. 채널 선택도가 개선됨으로써, 초재생 수신기의 주변신호 간섭 현상이 개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재생 수신기의 능동 채널 필터는 조절 가능한 고부하(Tunable High Load)의 저 잡음 증폭기(LNA) 특성을 가지므로, 능동 채널 필터가 초재생 수신기에 추가되더라도 초재생 수신기의 잡음 특성이 저하되지 않을 수 있다. 잡음 특성이 저하되지 않으므로, 초재생 수신기는 안정된 저잡음, 저전력 특성, 및 높은 선택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초재생 수신기는, 저전력 특성으로 인해 수 m 이내에서 동작하는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에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초재생 수신기는 간섭 신호가 많은 열린(Open) 공간에서도 신뢰성 있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초재생 수신기에 포함되는 능동 채널 필터는 부성 컨덕턴스 셀의 구조를 활용하여 저 잡음 증폭기의 Q를 향상시키므로, 이러한 초재생 수신기의 구조를 통상적인 IC 공정 내에서 간단히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초재생 수신기에 포함되는 능동 채널 필터는 전력을 적게 소모하므로, 저전력 어플리케이션(Low Power application)에 적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현 가능한 LC 탱크의 Q가 20 내외로 제한되는 IC 공정에서도, 능동 채널 필터를 초재생 발진기 초단에 위치시킴으로써, 채널 선택도가 높은 초재생 수신기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의 선택도는 LC 탱크의 Q에 비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능동 채널 필터를 포함하는 초재생 수신기는 동일 CMOS 공정을 통한 단일 칩 솔루션(One chip solution)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FBAR 등의 높은 Q(High Q) 소자를 활용하는 구조는 단일 칩 솔루션이 아니고, 구조적으로 채널의 개수만큼의 FBAR 필터 개수가 필요하여 구현이 복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다르면 능동 채널 필터를 포함하는 초재생 수신기는 저전력/초저전력 송수신기(Low Power/Ultra Low Power transceiver), 연결 솔루션Connectivity solution)과 결합한 웨이크업 수신기(wake-up receiver)(예를 들어, WLAN, Bluetooth, Zigbee), 및 임플란트 장치 간 통신 서비스(MICS, Medical Implant Communication Service)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10: 능동 채널 필터
213: 분리기
220: 초재생 발진기
230: 인벨롭 감지기
240: 증폭기
250: ADC

Claims (20)

  1. 초재생 발진기(SRO, super-regenerative oscillator); 및
    상기 초재생 발진기 초단에 위치되어, 간섭 신호를 필터링하는 능동 채널 필터(active channel filter)를 포함하고,
    상기 능동 채널 필터는,
    상기 능동 채널 필터의 샤프니스를,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통해 미리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에 저장된 값으로, 고정하는 부성 컨덕턴스 셀(negative conductance cell)을 포함하는,
    초재생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 채널 필터는,
    가변 캐퍼시터 및 인덕터를 포함하는 LC 탱크(LC tank)
    를 포함하는 초재생 수신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 채널 필터는,
    상기 가변 캐퍼시터를 이용하여 상기 능동 채널 필터의 공진 주파수를 조절하는,
    초재생 수신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성 컨덕턴스 셀은,
    상기 부성 컨덕턴스 셀이 발진하지 않으면서 상기 샤프니스가 상기 캘리브레이션을 통해 미리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값을 가지도록, 미리 정한 범위에서 전류를 조절하는,
    초재생 수신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 채널 필터의 주파수 스윕 특성(frequency sweep characteristics)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능동 채널 필터에 포함된 LC 탱크의 공진 주파수를 제어(control)하는 캘리브레이션부(calibrator)
    를 포함하는 초재생 수신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스윕 특성을 측정하고, 상기 공진 주파수에 대응하는 상기 LC 탱크의 제어 코드(control code)와 매칭시켜 상기 주파수 스윕 특성을 저장하는 룩업 테이블 방식을 사용하는 초재생 수신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 채널 필터의 샤프니스 특성(sharpness characteristics)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능동 채널 필터에 포함된 상기 부성 컨덕턴스 셀의 부성 컨덕턴스 크기를 제어하는 캘리브레이션부
    를 더 포함하는 초재생 수신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니스 특성을 측정하고, 상기 부성 컨덕턴스 크기에 대응하는 바이어스 전류의 제어 코드와 매칭시켜 상기 샤프니스 특성을 저장하는 룩업 테이블 방식을 사용하는 초재생 수신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신호가 미리 정한 간섭(predetermined interference)보다 크면, 상기 능동 채널 필터를 활성화하는 필터 활성화부(filter activator)
    를 더 포함하는 초재생 수신기.
  11. 초재생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신호(received signal)에 포함된, 간섭 신호(interferer)를 필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링된 신호(filtered signal)를 초재생 발진(super-regenerative oscillate)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링하는 단계는,
    부성 컨덕턴스 셀(negative conductance cell)을 이용하여, 능동 채널 필터의 샤프니스를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통해 미리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에 저장된 값으로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초재생 수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하는 단계는,
    가변 캐퍼시터를 이용하여 능동 채널 필터의 공진 주파수를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초재생 수신 방법.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니스를 미리 정한 값으로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부성 컨덕턴스 셀이 발진하지 않으면서 상기 샤프니스가 상기 미리 정한 값을 가지도록 미리 정한 범위에서 전류를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초재생 수신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능동 채널 필터의 주파수 스윕 특성(frequency sweep characteristics)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능동 채널 필터에 포함된 LC 탱크의 공진 주파수를 제어(control)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초재생 수신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스윕 특성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스윕 특성을, 상기 공진 주파수에 대응하는 상기 LC 탱크의 제어 코드(control code)와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초재생 수신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 채널 필터의 샤프니스 특성(sharpness characteristics)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능동 채널 필터에 포함된 상기 부성 컨덕턴스 셀의 부성 컨덕턴스 크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초재생 수신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니스 특성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샤프니스 특성을, 상기 부성 컨덕턴스 크기에 대응하는 바이어스 전류의 제어 코드와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초재생 수신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신호를 필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간섭 신호가 미리 정한 간섭보다 크면, 상기 능동 채널 필터를 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초재생 수신 방법.
  20. 제11항 내지 제12항 및 제1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KR1020140007058A 2014-01-21 2014-01-21 채널 선택도가 개선된 초재생 수신기 및 초재생 수신 방법 KR102136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058A KR102136798B1 (ko) 2014-01-21 2014-01-21 채널 선택도가 개선된 초재생 수신기 및 초재생 수신 방법
US14/490,896 US9531484B2 (en) 2014-01-21 2014-09-19 Super-regenerative receiver (SRR) and super-regenerative reception method with increased channel selectiv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058A KR102136798B1 (ko) 2014-01-21 2014-01-21 채널 선택도가 개선된 초재생 수신기 및 초재생 수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886A KR20150086886A (ko) 2015-07-29
KR102136798B1 true KR102136798B1 (ko) 2020-07-22

Family

ID=53545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058A KR102136798B1 (ko) 2014-01-21 2014-01-21 채널 선택도가 개선된 초재생 수신기 및 초재생 수신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31484B2 (ko)
KR (1) KR1021367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71513A1 (en) * 2015-11-20 2017-05-24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amplifying signals
KR102483640B1 (ko) 2016-07-04 2023-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 보정 방법 및 장치
CN107920361B (zh) * 2016-10-10 2020-07-03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小区频段的调整方法和装置
KR102554150B1 (ko) 2016-11-21 2023-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기
TWI650958B (zh) 2017-11-28 2019-02-1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無線接收機裝置、喚醒式接收機以及頻帶校正方法
CN115473593A (zh) * 2022-09-13 2022-12-13 福州大学 可实现超再生接收机熄灭信号非干扰式校准的电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8288A1 (en) * 2003-04-02 2004-10-07 Bogdan Sadowski Super-regenerative receiver including phase-locked loop
US20120322395A1 (en) * 2010-02-24 2012-12-20 M4S Ny Rejection of rf interferers and nois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transceiv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5162A (en) * 1991-06-20 1992-04-14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Electrically tuned RF receiver,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US5742902A (en) * 1996-03-29 1998-04-21 Gmi Holdings, Inc. Super-regenerative circuit apparatus for a door operator receiver and door operator incorporating the same
AU764882B2 (en) 1998-07-24 2003-09-04 Gct Semiconductor, Inc. Single chip cmos transmitter/receiver and VCO-mixer structure
US6873838B2 (en) 2001-05-08 2005-03-29 Robert Bosch Corporation Superregenerative oscillator RF receiver with differential output
US6990327B2 (en) 2003-04-30 2006-01-24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Wideband monolithic tunable high-Q notch filter for image rejection in RF application
US7263138B2 (en) 2003-09-25 2007-08-28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Q-quenching super-regenerative receiver
KR100665330B1 (ko) * 2005-12-19 2007-01-09 삼성전기주식회사 수퍼리제너레이티브 수신기
EP2369754A1 (en) * 2010-03-26 2011-09-28 Nokia Corporation Radio unit reconfiguration
KR101834852B1 (ko) * 2011-11-01 2018-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초저전력 초재생 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929242B1 (ko) 2013-07-03 2018-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 선택도를 개선한 초재생 수신기 회로 및 초재생 수신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8288A1 (en) * 2003-04-02 2004-10-07 Bogdan Sadowski Super-regenerative receiver including phase-locked loop
US20120322395A1 (en) * 2010-02-24 2012-12-20 M4S Ny Rejection of rf interferers and nois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transce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07530A1 (en) 2015-07-23
US9531484B2 (en) 2016-12-27
KR20150086886A (ko) 2015-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6798B1 (ko) 채널 선택도가 개선된 초재생 수신기 및 초재생 수신 방법
EP3068056B1 (en) Antenna tuning circuit
JP6080840B2 (ja) ワイヤレスセンサリーダ
US7873342B2 (en) Low IF receiver of rejecting image signal and image signal rejection method
US20090280765A1 (en) Method And System For On-Demand Filtering In A Receiver
JP2016517219A (ja) 拡張されたダイナミックレンジの間で線形利得を有するlna
US20090280766A1 (en) Method And System For On-Demand Signal Notching In A Receiver
US9762275B2 (en) Super-regenerative receiving method and super-regenerative receiver (SRR) circuit with high frequency selectivity
US9148184B2 (en) Power detection circuit and power detection method
EP2869483B1 (en) Signal receiver with a duty-cycle controller
US85599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uty cycle control of a crystal oscillator
US10389362B2 (en) Device and method to calibrate frequency
US11374599B2 (en) Circuits for identifying interferers using compressed-sampling
KR102202358B1 (ko) 이중 수신 구조로 된 수신 장치 및 이중 수신 구조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WO2016045449A1 (zh) 一种多频可调谐低噪声放大器及其多频调谐实现方法
US9787351B2 (en) Radiofrequency receiver device, method for adjusting such a device and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
JP2009021789A (ja) 高周波受信装置及びgps受信装置
US85932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mplitude contorl of a crystal oscillator
WO2013027318A1 (ja) トラッキングフィルタの自動調整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受信機
JP2009164981A (ja) 受信機
JP2007267094A (ja) 受信ic
US8762094B2 (en) Method for calibrating frequency of gm-C filter and devices using the method
JP2009069129A (ja) 電波修正時計
KR2010007823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참조 귀환 회로를 이용한 필터링 장치 및 방법
Song et al. A multi-mode reconfigurable analog baseband with I/Q calibration for GNSS receiv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