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560B1 - 의자용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용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6560B1
KR102136560B1 KR1020180088412A KR20180088412A KR102136560B1 KR 102136560 B1 KR102136560 B1 KR 102136560B1 KR 1020180088412 A KR1020180088412 A KR 1020180088412A KR 20180088412 A KR20180088412 A KR 20180088412A KR 102136560 B1 KR102136560 B1 KR 102136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plate
hip
support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3341A (ko
Inventor
박찬욱
Original Assignee
박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욱 filed Critical 박찬욱
Priority to KR1020180088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560B1/ko
Priority to PCT/KR2019/009018 priority patent/WO2020027478A1/ko
Priority to US17/049,264 priority patent/US10945528B1/en
Priority to EP19843209.8A priority patent/EP3831246B1/en
Priority to PL19843209.8T priority patent/PL3831246T3/pl
Publication of KR20200013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4Seat parts with dou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47C7/14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with array of movabl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8Seat parts having foamed material included in cushioning par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8Seat parts having foamed material included in cushioning part
    • A47C7/185Seat parts having foamed material included in cushioning part with a stiff, rigid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34Seat parts with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Abstract

의자용 좌판(100) 및 이에 의자용 등판(200)이 결합되는 의자(1000)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100)은, 각각이 중공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프레임(41, 42, 43, 44)을 구비하는 프레임부(40); 및 상기 프레임부(40)의 하측에서 상기 프레임부(40)와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부(40)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자용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A seat board for chair, and a chai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의자용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착석 시에 중력으로 인해 통증이 유발될 수 있는 허리의 부담이 최소화되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는 의자용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좌판과 등판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고 좌판의 하측에 다리가 결합된 구조를 갖고, 좌판 및 등판에는 메모리폼, 에어셀, 스폰지 등과 같은 쿠션 부재가 내장된 외피가 구비된다.
이러한 의자는 사용자가 고정된 자세에서 장시간 작업을 하게 되면 추간연골의 혈액 및 약분 공급이 차단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직되고, 잘못된 자세로 의자에 오랜 시간 앉아 있게 되면 정상적인 척추 라인이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등이 뒤로 굽게 되는 척추 후만이 발생되거나 척추에 통증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앉는 위치에 따라 좌판이 경사지게 움직이는 틸팅(tilting) 방식의 좌판이 제안되었으나, 종래의 틸팅 방식을 갖는 좌판은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구성 부품이 많아 그 결합 관계가 매우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종래의 의자에서 제공되는 틸팅 기능은 사용자가 편하게 누워 휴식을 취하거나 허리에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해 제공되지만, 실제로는 신체의 변형에 따른 무리한 허리 각도를 초래하여 허리 건강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종래의 의자의 제약을 극복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착석 시에 중력으로 인해 통증이 유발될 수 있는 허리의 부담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되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인체공학적 구조의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에 대한 필요가 당업계에서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 착석 시에 중력으로 인해 통증이 유발될 수 있는 허리에 부담을 최소화하도록 125도 내지 135도의 최적 각도를 제공할 수 있는 인체공학적 의자용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리세스 내에서의 중심구의 전방향성 이동 및 스프링 그룹에 대한 복수의 프레임의 유동적 이동이 결합되어 복수의 프레임의 독립적인 유동을 구현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착석 시에 간섭을 전혀 느끼지 못할 정도의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인체공학적 의자용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독립적인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복수의 프레임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성함에 있어 좌판의 엉덩이 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를 중립적인 자세로 만들어주고, 그에 따라 허리가 과도하게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인체공학적 의자용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좌골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에 중심판을 배치하고 해당 프레임을 커버하는 메모리폼을 구현함에 있어 좌골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의 강도를 다른 영역의 강도보다 더 크게 함으로써 좌골 균형 및 체중 분산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인체공학적 의자용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좌판의 일 측에 결합되되, 사용자가 앉는 형태에 따라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최적으로 그에 맞추어 허리판이 변형되는 인체공학적 등판을 포함하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은, 각각이 중공 형태로 구성되고 독립적인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복수의 프레임을 구비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하측에서 상기 프레임부와 결합하면서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는, 제1 중심지지판 및 상기 제1 중심지지판의 양 측에 배치되는 사이드지지판으로 구성되는 제1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의 상부에 결합되고, 제2 중심지지판과 상기 제2 중심지지판의 일측 상면에 배치되는 제한판으로 구성되는 제2 지지판; 및 상기 제2 지지판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과 대응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다리지지판 및 복수의 엉덩이지지판으로 구성되는 제3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중심지지판은 상기 제한판이 배치되는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진행함에 따라 두께가 증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다리지지판 및 복수의 엉덩이지지판 각각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 리세스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 각각에는 중심구가 하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결합되는 중심판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심판에 결합되는 상기 중심구가 상기 리세스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제3 지지판과 상기 프레임부 사이의 결합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다리지지판 및 복수의 엉덩이지지판에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의 테두리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스프링 그룹이 구비되고, 상기 리세스 내에서의 상기 중심구의 전방향성 이동, 및 상기 스프링 그룹에 대한 상기 복수의 프레임의 유동적 이동이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프레임의 독립적인 유동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 상에 결합된 상기 프레임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모리폼은 상기 복수의 다리지지판 및 복수의 엉덩이지지판에 대응하게 구성되는 복수의 다리 메모리폼과 복수의 엉덩이 메모리폼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엉덩이 메모리폼은, 좌골(sit-bone)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의 강도가 다른 영역의 강도보다 더 크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다리 메모리폼은 전단부의 강도가 상기 복수의 엉덩이 메모리폼의 강도보다 더 작도록 구현되고, 상기 복수의 다리 메모리폼의 전단부의 말단은 하측으로 굽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는 상기한 의자용 좌판; 및 상기 의자용 좌판의 일 측에 결합되는 의자용 등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에 의하면, 사용자 착석 시에 중력으로 인해 통증이 유발될 수 있는 허리에 부담을 최소화하도록 125도 내지 135도의 최적 각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에 의하면, 리세스 내에서의 중심구의 전방향성 이동 및 스프링 그룹에 대한 복수의 프레임의 유동적 이동이 결합되어 복수의 프레임의 독립적인 유동을 구현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착석 시에 간섭을 전혀 느끼지 못할 정도의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에 의하면, 독립적인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복수의 프레임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성함에 있어 좌판의 엉덩이 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를 중립적인 자세로 만들어주고, 그에 따라 허리가 과도하게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에 의하면, 사용자 좌골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에 중심판을 배치하고 해당 프레임을 커버하는 메모리폼을 구현함에 있어 좌골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의 강도를 다른 영역의 강도보다 더 크게 함으로써 좌골 균형 및 체중 분산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에 의하면, 좌판의 일 측에 결합되되, 사용자가 앉는 형태에 따라 상하 및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최적으로 그에 맞추어 허리판이 인체공학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사용자의 착석 형태에 따라 유동적으로 형태를 변화시키는 의자용 좌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등판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5에 도시되는 의자용 등판의 회전축과 중심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5에 도시되는 의자용 등판이 사용자의 착석 형태에 따라 허리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폴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한판의 내부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과 의자용 등판이 결합된 의자의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100)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100)의 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참고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의자용 좌판(100)은 소정의 메모리폼이 커버된 상태를 도시하며, 메모리폼이 제거된 상태의 내부의 세부 구성은 도 3 이하에서 보다 상술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100)의 외부면을 커버하는 소재로서 메모리폼(memory foam)을 채용하거나, 또는 에어셀을 채용하거나, 또는 메모리폼에 다른 신소재를 결합하여 생성된 결합 소재를 채용할 수도 있는데,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는 메모리폼의 채용을 예시적으로 기술하기로 하지만 본 발명이 메모리폼의 적용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강조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100)은 한 쌍의 다리 좌판(110)과 한 쌍의 엉덩이 좌판(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다리 좌판(110)은 사용자의 좌측 다리, 보다 구체적으로는 좌측 허벅지와 접촉하는 제1 다리 좌판(111)과 사용자의 우측 다리,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측 허벅지와 접촉하는 제2 다리 좌판(1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한 쌍의 엉덩이 좌판(120)은 사용자의 좌측 엉덩이와 접촉하는 제1 엉덩이 좌판(121)과 사용자의 우측 엉덩이와 접촉하는 제2 엉덩이 좌판(1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다리 좌판(110)과 한 쌍의 엉덩이 좌판(120)을 측면에서 커버하는 한 쌍의 사이드 좌판(130)을 선택적으로 더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한 쌍의 다리 좌판(110)과 한 쌍의 엉덩이 좌판(120)을 측면에서 커버하는 한 쌍의 사이드 좌판(130)을 배치하지 않고 의자용 좌판(100)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사이드 좌판(130)은 사용자의 착석 자세를 기준으로 좌측의 제1 사이드 좌판(131) 및/또는 사용자의 착석 자세를 기준으로 우측의 제2 사이드 좌판(1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메모리폼의 내부에 프레임부, 지지판 등의 구조물이 배치되는 한 쌍의 다리 좌판(110) 및 한 쌍의 엉덩이 좌판(120)과는 대조적으로, 한 쌍의 사이드 좌판(130)은 내부에 구조물이 배치됨이 없이 메모리폼으로만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사이드 좌판(130)은 제1 지지판(10, 도 3 참조)의 제1 사이드지지판(12-1)과 제2 사이드지지판(12-2)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의자용 좌판(100)의 결합 상태에서, 한 쌍의 엉덩이 좌판(120)의 일측 하단에는 사용자에게 소정 범위의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제한판(22)이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제한판(22)은 제1 중심지지판(11)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2 중심지지판(21)의 일측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에 도시되는 제한판(22)의 일 면에는 장방형 홈(22-1)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장방형 홈(22-1)을 통해 후술할 의자용 등판(200, 도 5 참조)과 의자용 등판(20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방식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술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100)은 사용자가 착석 시에 무의식 중에서도 가장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자세를 잡을 수 있도록 해준다. 많은 연구 등을 통해, 사용자가 착석 시에 중력으로 인해 통증이 유발될 수 있는 부분인 허리에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상체(허리), 엉덩이 및 다리로 이어지는 각도(즉, 의자 착석 시에 배꼽 또는 골반을 중심으로 몸의 내측이 이루는 각도)를 125도 내지 135도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혀졌고, 많은 의자 제조업체들이 이러한 각도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의자 구조를 제안해왔지만, 등받이를 사용하지 못한다거나 또는 무릎 통증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제약 없이 사용자에게 최적의 각도를 제공할 수 있는 의자용 좌판(100)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1000, 도 8 참조)를 제안하며, 이를 위한 의자용 좌판(100)의 세부적인 구조가 도 3에 도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100)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100)은 제1 지지판(10)과, 제2 지지판(20)과, 제3 지지판(30)과, 프레임부(40)와, 그리고 메모리폼(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3에 명시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제1 지지판(10)의 제1 사이드지지판(12-1) 및 제2 사이드지지판(12-2)의 상면에 한 쌍의 사이드 좌판(130)이 선택적으로 더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지지판(10), 제2 지지판(20) 및 제3 지지판(30)은 상호 결합하여 프레임부(40)의 하측에서 상기 프레임부(40)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이하의 명세서에서 제1 지지판(10), 제2 지지판(20) 및 제3 지지판(30)을 포함하는 세 개의 엘리먼트(10, 20, 30)를 집합적으로 ‘지지부(support unit)’로 지칭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40)는 하측에서 지지부와 결합하여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측에는 메모리폼(50)이 커버되며, 선택적으로 그 측면에는 한 쌍의 사이드 좌판(130)이 배치됨으로써 의자용 좌판(100)을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100)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프레임부(40)의 하측에서 프레임부(40)와 결합되면서 프레임부(40)를 지지하는 지지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지지판(10)과 제2 지지판(20)과 그리고 제3 지지판(30)의 3층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중에서 가장 하측의 제1 지지판(10)의 세부적인 구성이 도 3의 가장 아래에 도시된다.
제1 지지판(10)은 제1 중심지지판(11)과, 상기 제1 중심지지판(11)의 양 측에 배치되는 제1 사이드지지판(12-1) 및 제2 사이드지지판(1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중심지지판(11)의 상면에는 후술할 제2 지지판(20)의 제2 중심지지판(21)이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중심지지판(11)의 폭은 제2 중심지지판(21)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중심지지판(11)의 양 측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사이드지지판(12-1, 12-2)에는 제1 사이드 좌판(131) 및 제2 사이드 좌판(132)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사이드지지판(12-1, 12-2)의 폭은 예를 들어 약 3cm일 수 있다.
제2 지지판(20)은 제1 지지판(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지지판(20)은 제2 중심지지판(21)과 상기 제2 중심지지판(21)의 일측 상면에 배치되는 제한판(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중심지지판(21)의 일측 상면에 배치되는 제한판(22)을 통해 제1 및 제2 엉덩이 프레임(43, 44)이 하강하는 한계치가 설정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의 무게와 무관하게 동일한 안정 각도(예를 들어, 125도 내지 135도)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 및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4에서 보다 상술하기로 한다.
특히,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중심지지판(21)은 제한판(22)이 배치되는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진행함에 따라 두께가 증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중심지지판(21)은 다리 방향의 두께가 엉덩이 방향의 두께보다 더 크도록 경사진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중심지지판(21)의 경사도는 약 2도 내지 약 8도의 범위 내에서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제3 지지판(30)은 제2 지지판(20)의 상부에 결합되고, 후술하는 복수의 프레임(41, 42, 43, 44)과 대응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다리지지판(31, 32) 및 복수의 엉덩이지지판(33, 3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다리지지판(31, 32)은 사용자의 착석 시에 좌측 다리, 보다 구체적으로는 좌측 다리의 허벅지를 지지하는 좌측다리지지판(31)과 사용자의 착석 시에 우측 다리,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측 다리의 허벅지를 지지하는 우측다리지지판(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다리지지판(31, 32)의 길이는 일반적인 의자의 다리 지지부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짧게 구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햄스프링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사용자의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통증 유발을 방지할 수 있다. 유사하게, 복수의 엉덩이지지판(33, 34)은 사용자의 좌측 엉덩이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좌측엉덩이지지판(33)과 사용자의 우측 엉덩이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우측엉덩이지지판(3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다리지지판(31, 32)과 복수의 엉덩이지지판(33, 34) 각각에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리세스(31-3, 33-3)가 구비되는데, 상기 리세스(31-3, 33-3)는 복수의 프레임(41, 42, 43, 44) 각각에 구비된 중심판(41-2, 43-3)과의 결합에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구조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의 도 4와 관련하여 다시 기술하기로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다리지지판(31, 32) 및 복수의 엉덩이지지판(33, 34)에는 복수의 프레임(41, 42, 43, 44)의 테부리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스프링 그룹(31-1, 31-2, 33-1, 33-2)이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스프링 그룹(31-1, 31-2, 33-1, 33-2)은 좌측다리지지판(31)의 전방 테두리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스프링 그룹(31-1)과, 좌측다리지지판(31)의 후방 테두리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스프링 그룹(31-2)과, 좌측엉덩이지지판(33)의 전방 테두리 영역에 배치되는 제3 스프링 그룹(33-1)과, 좌측엉덩이지지판(33)의 후방 테두리 영역에 배치되는 제4 스프링 그룹(3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3에 명시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스프링 그룹은 우측다리지지판(32)과 우측엉덩이지지판(34)에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하의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좌측 부분만을 대표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이러한 복수의 스프링 그룹(31-1, 31-2, 33-1, 33-2)은 사용자의 체중을 분산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다양한 자세(position)에 따라 복수의 프레임(41, 42, 43, 44)의 유동적 변화가 가능하도록 제1 및 제2 리세스(31-3, 33-3)과 맞물려 결합되는 제1 및 제2 중심구(41-3, 43-3)와 함께 유기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스프링 그룹(31-1, 31-2, 33-1, 33-2)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그 개수, 두께, 길이, 크기 등을 상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엉덩이 후방의 체중을 분산하기 위한 제4 스프링 그룹(33-2)의 두께 및 길이가 다른 스프링 그룹(31-1, 31-2, 33-1)의 두께 및 길이보다 더 크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리세스(31-3, 33-3)를 통한 중심구(41-3, 43-3)의 전방향성 이동과 스프링 그룹(31-1, 31-2, 33-1, 33-2)에 대한 복수의 프레임(41, 42, 43, 44)의 유동적 이동이 결합됨으로써 복수의 프레임(41, 42, 43, 44)의 독립적인 유동이 구현될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4에서 보다 상술하기로 한다.
프레임부(40)는 각각이 중공(hollow) 형태로 구성되고 독립적인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복수의 프레임(41, 42, 43, 4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프레임(41, 42, 43, 44)은 사용자의 좌측 다리, 즉 좌측 허벅지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다리 프레임(41)과, 사용자의 우측 다리, 즉 우측 허벅지 영역에 대응하는 제2 다리 프레임(42)과, 사용자의 좌측 엉덩이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엉덩이 프레임(43)과, 사용자의 우측 엉덩이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엉덩이 프레임(4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다리 프레임(41)은 하측에서 좌측다리지지판(31)과 결합되고 상측에 제1 다리 메모리폼(51)이 커버되고, 제2 다리 프레임(42)은 하측에서 우측다리지지판(32)과 결합되고 상측에 제2 다리 메모리폼(52)이 커버되며, 제1 엉덩이 프레임(43)은 하측에서 좌측엉덩이지지판(33)과 결합되고 상측에 제1 엉덩이 메모리폼(53)이 커버되고, 그리고 제2 엉덩이 프레임(44)은 하측에서 우측엉덩이지지판(34)과 결합되고 상측에 제2 엉덩이 메모리폼(54)이 커버된다.
또한, 엉덩이 프레임(43, 44)의 테두리부(43-1, 44-1)의 일 영역에는 반원 형상의 절개부(43-4)가 구비되고, 프레임부(40) 상단에 커버되는 메모리폼(50)에도, 즉 엉덩이 메모리폼(53, 54)에도 그에 대응하는 절개부(예를 들어, 약 지름 5cm의 원의 형상으로 절개됨)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착석 시에 엉덩이 중앙 부분의 보다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100)에 착석 시에 가해지는 꼬리뼈의 하중 부담을 보다 완화함으로써, 미골통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프레임(41, 42, 43, 44)은 서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예를 들어, 약 2cm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음), 그에 따라 인접한 프레임에의 간섭이 없이 각 프레임의 독립적인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적 기초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프레임(41, 42, 43, 44) 각각에는 프레임 테두리(41-1, 43-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판 형상의 중심판(41-2, 43-2)이 배치되고, 중심판(41-2, 43-2) 하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심구(41-3, 43-3)가 형성될 수 있다. 중심판(41-2, 43-2)에 결합되는 중심구(41-3, 43-3)가 제3 지지판(30)에, 즉 좌측다리지지판(31), 우측다리지지판(32), 좌측엉덩이지지판(33), 및 우측엉덩이지지판(34)에 구비된 리세스(31-3, 33-3)에 수용됨으로써 제3 지지판(30)과 프레임부(40)의 결합이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리세스(31-3, 33-3) 내에서의 중심구(41-3, 43-3)의 전방향성 이동, 및 스프링 그룹(31-1, 31-2, 33-1, 33-2)에 대한 복수의 프레임(41, 42, 43, 44)의 유동적 이동이 결합되어 복수의 프레임(41, 42, 43, 44)의 독립적인 유동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프레임(41, 42, 43, 44) 각각이 중공 형태로 구현되므로 중심구(41-3, 43-3)는 프레임 당 하나만 구비되어도 충분하게 되며, 스프링 그룹(31-1, 31-2, 33-1, 33-2) 또한 프레임(41, 42, 43, 44)이 기울어지는 영역에 적절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100)은 중공 형태의 프레임(41, 42, 43, 44)에 더하여, 중심구(41-3, 43-3)와 리세스(31-1, 33-1)의 맞물림 결합(즉, 전방향성 이동)과 스프링 그룹(31-1, 31-2, 33-1, 33-2)에 대한 복수의 프레임(41, 42, 43, 44)의 유동적 이동이 함께 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본 의자용 좌판(100)에 착석 시에 다양한 자세, 예를 들어 전방 기울임 자세(forward leaning position), 정상 자세(normal position), 후방 기울임 자세(backward leaning position) 등을 언제든지 자유롭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로,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의 자세 변화에 따른 프레임부(40)의 적응적 유동을 기술하기 위해서 전방 기울임 자세(forward leaning position), 정상 자세(normal position), 후방 기울임(backward leaning position)의 3가지 자세를 예시적으로 기술하고 있으나, 사용자의 전후 기울임의 정도, 좌우 쏠림의 정도 등에 따라 기술한 3가지 자세 이외의 추가적인 자세의 구현이 가능함은 명백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의자용 좌판(100)의 구성을 기초로 하여 사용자에게 간섭이나 의식이 없이도 다양한 자세에 대한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구성에 관한 설명이 이하의 도 4와 관련하여 기술된다.
도 4a 내지 도 4c는 사용자의 착석 형태에 따라 유동적으로 형태를 변화시키는 의자용 좌판(100)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는 사용자가 전방 기울임 자세(forward leaning position)를 갖는 경우에 프레임(41, 42, 43, 44)의 형태 변화를 도시한다. 사용자가 전방을 향해 기울어진 자세를 취하는 경우에 다리 프레임(41, 42) 및 엉덩이 프레임(43, 44) 모두 전방을 향해 쏠리게 되는데, 복수의 스프링 그룹(31-1, 31-2, 33-1, 33-2)과 리세스(31-3, 33-3) 내에서의 중심구(41-3, 43-3)의 전방향성 이동이 이러한 변형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도 3, 도 4a 등에서 명시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중심지지판(21)은 제한판(22)이 배치되는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진행함에 따라 두께가 증가하도록 구현되고, 제2 중심지지판(21)의 상부에 제3 지지판(30), 프레임부(40), 메모리폼(50)이 순차적으로 적층 결합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100)은 소정의 각도(예를 들어, 2도 내지 8도)만큼 엉덩이 방향으로 갈수록 기울어진 형태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의자용 좌판(100)이 평평한 형태가 아닌 엉덩이 방향으로 갈수록 기울기가 내려가는 구조로 인해, 사용자의 허리가 중립적인 자세로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어떤 자세를 취하더라도 앞서 언급한 125도 내지 135도의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b는 사용자가 정상 자세(normal position)를 갖는 경우에 프레임(41, 42, 43, 44)의 형태 변화를 도시한다. 사용자가 전방으로 기울어지지도 않고 후방으로 기울어지지도 않은 중립적인 자세를 취하는 경우에 다리 프레임(41, 42) 및 엉덩이 프레임(43, 44) 모두는 중심구(41-3, 43-3)를 중심으로 하여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c는 사용자가 후방 기울임 자세(backward leaning position)를 갖는 경우에(즉, 무게 중심을 후방으로 하는 경우에) 프레임(41, 42, 43, 44)의 형태 변화를 도시한다. 사용자가 후방을 향해 기울어진 자세를 취하는 경우에 다리 프레임(41, 42)은 중심구(41-3)을 중심으로 하여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약간의 정도로만 전방으로 기울어짐에 반해 엉덩이 프레임(43. 44)은 후방으로 기울어지며, 이러한 변형은 복수의 스프링 그룹(31-1, 31-2, 33-1, 33-2)과 리세스(31-3, 33-3) 내에서의 중심구(41-3, 43-3)의 전방향성 이동으로 인해 가능하다.
여기서, 사용자에게 최적의 각도(예를 들어, 125도 내지 135도)를 제공하기 위해서 엉덩이 프레임(43, 44)이 내려가는 한계를 설정함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한판(22)에 의해 엉덩이 프레임(43, 44)이 하강하는 한계치가 설정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후방 기울임 자세(backward leaning position)를 갖는 경우에 엉덩이 프레임(43, 44)이 하강하는 정도를 제한판(22)이 제한함으로써 의자용 좌판(100)이 소정의 각도(예를 들어, 125도 내지 135도) 이내에서 유동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에게 보다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무게 중심을 뒤로 하는 후방 기울임 자세(backward leaning position)에서 스프링 그룹은 밑으로 압착되면서 동시에 프레임이 밑으로 내려가면서 필요한 각도는 유지한 채로 사용자가 편안하게 등을 기댈 수 있도록 하는 자세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의 체중 차이로 인한 변형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또한, 도 4a 내지 도 4c와 관련하여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100)은 중공 형태의 프레임(41, 42, 43, 44)에 더하여, 중심구(41-3, 43-3)와 리세스(31-1, 33-1)의 맞물림 결합(즉, 전방향성 이동)과 스프링 그룹(31-1, 31-2, 33-1, 33-2)에 대한 복수의 프레임(41, 42, 43, 44)의 유동적 이동이 함께 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본 의자용 좌판(100)에 착석 시에 다양한 자세, 예를 들어 전방 기울임 자세(forward leaning position), 정상 자세(normal position), 후방 기울임 자세(backward leaning position) 등을 언제든지 자유롭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데, 여기서 중심구(41-3, 43-3)가 프레임(41, 42, 43, 44)의 유동적인 형태 변화를 위한 주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심구(41-3, 43-3)는 사용자가 앞뒤로 또는 좌우로 움직일 때에 프레임(41, 42, 43, 44)의 이동을 보조해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좌우로 움직이거나 몸이 기울어질 때에 골반만 틀어짐이 없이 상체도 함께 틀어질 수 있도록 보조하는 완전한 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중심구(41-3, 43-3)를 완전한 구의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스프링과의 조합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의 유동적인 형태 변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의자용 좌판(100)은 메모리폼(50)이 커버된 상태에서 중심부 내부에서 프레임(41, 42, 43, 44)의 이동이 구현되므로, 사용자에게 의자가 틀어지는 형태가 시각적으로 보여지지 않게 된다. 또한, 엉덩이 프레임(43, 44)의 각도 변화가 다리 프레임(41, 42)의 각도 변화보다 더 크고,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엉덩이 프레임(43, 44) 측에 구비된 제2 중심구(43-3)를 다리 프레임(41, 42) 측에 구비된 제1 중심구(41-3)보다 길이 및/또는 폭을 더 크게 구현할 수도 있다.
추가로, 각 프레임(41, 42, 43, 44)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판 형상의 중심판(41-2, 43-2)이 배치되는데, 이러한 중심판(41-2, 43-2)은 좌골(sit-bone)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다리 프레임(41, 42)의 소정의 위치에(예를 들어, 전방으로부터 약 6:4의 지점에) 제1 중심판(41-2)이 구비될 수 있고, 엉덩이 프레임(43, 44)의 소정의 위치(예를 들어, 전방으로부터 약 3:7의 지점에) 제2 중심판(43-2)이 구비될 수 있다. 중공 형태의 프레임(41, 42, 43, 44) 내에서의 중심판(41-2, 43-2)의 배치 위치에 관한 이러한 비율(즉, “6:4”, “3:7”, 등)은 본 발명자가 많은 연구와 조사를 통해 사용자에게 최적의 편안함과 안정감을 제공하는 값으로서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중심판(41-2, 43-2)의 적절한 배치 선정을 통해 사용자의 다양한 자세에 따른 프레임(41, 42, 43, 44)의 독립적인 유동을 보다 보조할 수 있다.
특히, 엉덩이 프레임(43, 44)에 구비되는 제2 중심판(43-2)은 사용자의 좌골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엉덩이 프레임(43, 44) 상부에 커버되는 메모리폼(53, 54)은 좌골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의 강도가 다른 영역의 강도보다 더 크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좌골이 흐트러지면서 상체의 균형이 전반적으로 흐트러지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다리 메모리폼(51, 52)은 전단부의 강도가 엉덩이 메모리폼(53, 54)의 강도보다 더 작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특히 다리 메모리폼(51, 52)의 전단부 말단이 하측으로 굽어지는 형상(예를 들어, 새 부리와 같은 형상)을 가짐으로써(예를 들어, 도 3 참조), 다리 프레임(41, 42)보다 전방을 커버함에 따라 프레임으로 인한 허벅지 각도의 제한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자인의 측면에서 다리 프레임(41, 42)을 시각적으로 차폐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도 1 내지 도 3에는 의자용 좌판(100)이 외부에 메모리폼(50)으로 커버되는 상태를 예시로 도시하였지만,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100)에는 최종적으로 메모리폼(50) 상에 페브릭, 가죽 등의 소재가 추가로 적용될 수 있고,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프레임(41, 42, 43, 44)의 독립적인 유동은 내부에서만 구현될 뿐이어서 외부에서는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전혀 보여지지 않는다.
또한, 이상에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각각이 독립적으로 유동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프레임(41, 42, 43, 44)을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의자용 좌판(100) 자체가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의자용 좌판(100)의 측면에 전후 방향으로 장방형의 롤링 구간이 형성되는 외부 프레임을 추가로 구현하고 상기 형성된 롤링 구간 내에서 이동이 가능한 롤링판을 결합시키면 롤링판을 통해 의자용 좌판(100)이 전후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는 제2 중심지지판(21)의 적어도 일 영역에 전후 방향으로 롤링 라인을 형성하고 복수의 지지판(31, 32, 33, 34) 하측에 소정의 롤링판을 구현하면 또한 의자용 좌판(10)이 전후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무게 중심으로 의자용 좌판(100)은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후술할 의자용 등판(200)은 시소 원리에 의해 허리를 확실하게 잡아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체공학적인 틸팅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등판(200)의 외부 프레임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a는 도 5에 도시되는 의자용 등판(200)의 폴(pole, 220), 제3 중심판(240) 및 회전축(24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등판(200)은 소정의 각도로 굴곡진 형태의 테두리프레임(210)과, 테두리프레임(210)의 상부 테두리 중앙으로부터 하부 테두리 중앙으로 연장 형성되는 폴(220)과, 회전축(241)-제3 중심판(240)을 통해 폴(220)의 적어도 일 영역에 회전 결합되는 상부등판프레임(251) 및 하부등판프레임(252), 그리고 등판프레임(251, 252)과 폴(220)의 결합을 구현하는 제3 중심판(2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이 중공 형태로 구성되고 독립적인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복수의(예를 들어, 4개의) 프레임(41, 42, 43, 44)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등판(200)은 각각이 중공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복수의(예를 들어, 2개의) 등판프레임(251, 252)이 구비되고, 이러한 제1 및 제2 등판프레임(251, 252)은 상하 또는 좌우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또한, 제1 및 제2 등판프레임(251, 252) 각각에는 상부등판메모리폼(231) 및 하부등판메모리폼(232)으로 구성되는 등판메모리폼(230)이 커버될 수 있으며, 등판프레임(251, 252)의 일 측에 등판메모리폼(230)이 커버된 의자용 등판(200)이 도 5에 도시된다. 그에 따라, 등판프레임(251, 252)의 움직임이 그 내부에서만 구현되므로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등판프레임(251, 252)의 움직임을 인지할 수가 없다.
여기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착석 시에 등판메모리폼(230)이 사용자의 허리뼈에도 닿을 수 있도록 상부등판메모리폼(231) 및 하부등판메모리폼(232)은 그 중간 영역이 볼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부등판메모리폼(231) 및 하부등판메모리폼(232) 각각이 중간 영역을 볼록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뼈와 접촉하게 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 신체와 닿는 면적을 증가시켜 신체에 가해지는 탄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부등판메모리폼(231)의 굴곡의 정도는 하부등판메모리폼(232)의 굴곡의 정도보다 더 크도록 구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 착석 시에 사용자의 가슴을 벌어지게 해줌으로써 호흡을 보다 편하게 하고 편안한 자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등판메모리폼(231) 및 하부등판메모리폼(232)은 위치에 따라 그 강도를 다르게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의 허리뼈에 대응하는 중앙 영역과 양 측의 말단 영역을 다른 영역에 비해 강도를 더 높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테두리프레임(210)의 상부 테두리 중앙으로부터 하부 테두리 중앙으로 연장 형성되는 폴(220)은 의자가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체만 움직였을 때에 의자도 함께 움직이게 하는 역할을 하며, 등판 자체가 움직이는 다른 의자 제품과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등판(200)은 내부에서만 상부등판프레임(251) 및 하부등판프레임(252)이 움직이므로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보여지지 않는다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폴(220)의 일 영역에 각각 결합되는 제3 중심판(240)은 사용자의 키에 맞도록 커스터마이징할 때에 폴(220)을 중심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테두리프레임(210)의 양 측면에는 사이드홀(211)이 형성되어 사이드홀(211)을 통해 사용자가 제1 등판프레임(251) 및/또는 제2 등판프레임(252)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추가로, 사이드홀(211)을 통해 등판프레임(251, 252)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에 더하여,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의자용 등판(200)의 후면이 개방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의자용 등판(200)의 후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제1 등판프레임(251) 및/또는 제2 등판프레임(252)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한, 폴(220)을 중심으로 상하 이동하는 제3 중심판(240)에는 소정의 홈이 형성되고 형성된 홈을 통해 회전축(241)이 회전 결합되며, 따라서 사용자 등의 좌우 이동에 따라 회전축(241)과 고정 결합되는 등판프레임(251, 252)의 좌우 이동이 회전축(241)의 좌우 이동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도 6b는 도 5에 도시되는 의자용 등판(200)이 사용자의 착석 형태에 따라 허리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폴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착석하는 자세에 따라 의자용 등판(200)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및 하부등판프레임(251, 252)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예를 들어 의자용 등판(200)의 양쪽 가장자리에 회전되는 기능을 부가하고 폴(220)을 고정시킴으로써 마치 상부 및 하부등판프레임(251, 252) 전체가 시소처럼 움직이게 하는 원리이다.
도 6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폴(220)이 결합되는 테두리프레임(210)의 상부 및 하부에 홈을 형성함에 있어 폴(220)의 이동을 보장하도록 폴(220)의 직경보다 홈을 다소 넓게 형성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폴(220)이 움직이게 되고 그에 따른 사용자 허리 각도 또한 적응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1) 사용자가 전방 기울임 자세(forward leaning position)를 갖는 경우에, 요추가 뒤로 향하게 되어 사용자 등이 의자용 등판(200)에 접촉하지 않게 되고, 여기서 시소의 개념을 적용시키면 요추지지대가 체중에 의해 밀리면서 자연스럽게 상부등판프레임(251)이 전방으로 나올 수 있고, (2) 사용자가 정상 자세(normal position)를 갖는 경우에, 허리지지대가 수평을 이루면서 기본적인 자세가 유지되며, (3) 사용자가 후방 기울임 자세(backward leaning position)를 갖는 경우에, 사용자의 등 부분이 상대적으로 더 젖혀지게 되고, 그에 따라 기울임 자세와는 반대로 요추 부분이 전방으로 돌출됨으로써 허리 밑 부분이 떠있거나 내려가지 않아도 형태를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한판(22)의 내부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100)과 의자용 등판(200)이 결합된 의자(1000)의 개념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1000)는 의자용 좌판(100)과 의자용 좌판(100)의 일 측에 결합되는 의자용 등판(200)으로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의자용 좌판(100)과 의자용 등판(200)의 결합이 의자용 좌판(100)의 지지부 일측에 형성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중심지지판(21)의 일측 상면에 배치되는 제한판(22)을 통해서, 특히 제한판(22)의 일 면에 형성되는 장방형 홈(22-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용 좌판(100)과 의자용 등판(200)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판이 제한판(22)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판이 움직일 수 있도록 파여진 홈, 및 홈 내부의 스프링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에 의하면, 사용자 착석 시에 중력으로 인해 통증이 유발될 수 있는 허리에 부담을 최소화하도록 125도 내지 135도의 최적 각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에 의하면, 리세스 내에서의 중심구의 전방향성 이동 및 스프링 그룹에 대한 복수의 프레임의 유동적 이동이 결합되어 복수의 프레임의 독립적인 유동을 구현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착석 시에 간섭을 전혀 느끼지 못할 정도의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에 의하면, 독립적인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복수의 프레임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성함에 있어 좌판의 엉덩이 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를 중립적인 자세로 만들어주고, 그에 따라 허리가 과도하게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에 의하면, 사용자 좌골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에 중심판을 배치하고 해당 프레임을 커버하는 메모리폼을 구현함에 있어 좌골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의 강도를 다른 영역의 강도보다 더 크게 함으로써 좌골 균형 및 체중 분산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에 의하면, 좌판의 일 측에 결합되되, 사용자가 앉는 형태에 따라 상하 및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최적으로 그에 맞추어 허리판이 인체공학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컨트롤러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되거나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 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은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컨대, 명령들이 실행될 때 방법을 수행하게끔 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자기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지원하도록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서 또는 개별 디바이스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부"로 기재된 구성요소들, 유닛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등은 함께 또는 개별적이지만 상호 운용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로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 유닛들 등에 대한 서로 다른 특징들의 묘사는 서로 다른 기능적 실시예들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며, 이들이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실현되어야만 함을 필수적으로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유닛들과 관련된 기능은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공통의 또는 개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특정한 순서로 동작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동작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기술된 구성요소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제1 지지판 11: 제1 중심지지판
12-1: 제1 사이드지지판 12-2: 제2 사이드지지판
20: 제2 지지판 21: 제2 중심지지판
22: 제한판 22-1: 장방형 홈
30: 제3 지지판 31: 좌측다리지지판
31-1: 제1 스프링 그룹 31-2: 제2 스프링 그룹
31-3: 제1 리세스 32: 우측다리지지판
33: 좌측엉덩이지지판 33-1: 제3 스프링 그룹
33-2: 제4 스프링 그룹 33-3: 제2 리세스
34: 우측엉덩이지지판 40: 프레임부
41: 제1 다리 프레임 41-1: 프레임 테두리부
41-2: 제1 중심판 41-3: 제1 중심구
42: 제2 다리 프레임 43: 제1 엉덩이 프레임
43-1: 프레임 테두리부 43-2: 제2 중심판
43-3: 제2 중심구 43-4: 절개부
44: 제2 엉덩이 프레임 50: 메모리폼
51: 제1 다리 메모리폼 52: 제2 다리 메모리폼
53: 제1 엉덩이 메모리폼 54: 제2 엉덩이 메모리폼
100: 의자용 좌판 110: 한 쌍의 다리 좌판
111: 제1 다리 좌판 112: 제2 다리 좌판
120: 한 쌍의 엉덩이 좌판 121: 제1 엉덩이 좌판
122: 제2 엉덩이 좌판 130: 한 쌍의 사이드 좌판
131: 제1 사이드 좌판 132: 제2 사이드 좌판
200: 의자용 등판 210: 테두리프레임
211: 사이드홈 220: 폴(pole)
230: 등판메모리폼 231: 상부등판메모리폼
232: 하부등판메모리폼 240: 제3 중심판
241: 회전축 251: 상부등판프레임
252: 하부등판프레임

Claims (10)

  1. 의자용 좌판(100)으로서,
    각각이 중공 형태로 구성되고 독립적인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복수의 프레임(41, 42, 43, 44)을 구비하는 프레임부(40); 및
    상기 프레임부(40)의 하측에서 상기 프레임부(40)와 결합하면서 상기 프레임부(40)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제1 중심지지판(11) 및 상기 제1 중심지지판(11)의 양 측에 배치되는 사이드지지판(12-1, 12-2)으로 구성되는 제1 지지판(10);
    상기 제1 지지판(10)의 상부에 결합되고, 제2 중심지지판(21)과 상기 제2 중심지지판(21)의 일측 상면에 배치되는 제한판(22)으로 구성되는 제2 지지판(20); 및
    상기 제2 지지판(2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41, 42, 43, 44)과 대응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다리지지판(31, 32) 및 복수의 엉덩이지지판(33, 34)으로 구성되는 제3 지지판(30)을 포함하는,
    의자용 좌판(100).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심지지판(21)은 상기 제한판(22)이 배치되는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진행함에 따라 두께가 증가하도록 구현되는,
    의자용 좌판(10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다리지지판(31, 32) 및 복수의 엉덩이지지판(33, 34) 각각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 리세스(31-3, 33-3)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41, 42, 43, 44) 각각에는 중심구(41-3, 43-3)가 하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결합되는 중심판(41-2, 43-2)이 구비되는,
    의자용 좌판(100).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판(41-2, 43-2)에 결합되는 상기 중심구(41-3, 43-3)가 상기 리세스(31-3, 33-3)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제3 지지판(30)과 상기 프레임부(40) 사이의 결합이 구현되는,
    의자용 좌판(100).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다리지지판(31, 32) 및 복수의 엉덩이지지판(33, 34)에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41, 42, 43, 44)의 테두리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스프링 그룹(31-1, 31-2, 33-1, 33-2)이 구비되고,
    상기 리세스(31-3, 33-3) 내에서의 상기 중심구(41-3, 43-3)의 전방향성 이동, 및 상기 스프링 그룹(31-1, 31-2, 33-1, 33-2)에 대한 상기 복수의 프레임(41, 42, 43, 44)의 유동적 이동이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프레임(41, 42, 43, 44)의 독립적인 유동이 구현되는,
    의자용 좌판(100).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상에 결합된 상기 프레임부(40)를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폼(50)을 더 포함하는,
    의자용 좌판(100).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폼(50)은 상기 복수의 다리지지판(31, 32) 및 복수의 엉덩이지지판(33, 34)에 대응하게 구성되는 복수의 다리 메모리폼(51, 52)과 복수의 엉덩이 메모리폼(53, 54)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엉덩이 메모리폼(53, 54)은, 좌골(sit-bone)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의 강도가 다른 영역의 강도보다 더 크도록 구현되는,
    의자용 좌판(100).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다리 메모리폼(51, 52)은 전단부의 강도가 상기 복수의 엉덩이 메모리폼(53, 54)의 강도보다 더 작도록 구현되고,
    상기 복수의 다리 메모리폼(51, 52)의 전단부의 말단은 하측으로 굽어지도록 형성되는,
    의자용 좌판(100).
  10. 제 1 항에 따른 의자용 좌판(100); 및
    상기 의자용 좌판(100)의 일 측에 결합되는 의자용 등판(200)을 포함하는,
    의자(1000).
KR1020180088412A 2018-07-30 2018-07-30 의자용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KR102136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412A KR102136560B1 (ko) 2018-07-30 2018-07-30 의자용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PCT/KR2019/009018 WO2020027478A1 (ko) 2018-07-30 2019-07-22 의자용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US17/049,264 US10945528B1 (en) 2018-07-30 2019-07-22 Chair seat board and chair including same
EP19843209.8A EP3831246B1 (en) 2018-07-30 2019-07-22 Chair seat board and chair including same
PL19843209.8T PL3831246T3 (pl) 2018-07-30 2019-07-22 Siedzisko krzesła i krzesło je zawierają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412A KR102136560B1 (ko) 2018-07-30 2018-07-30 의자용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341A KR20200013341A (ko) 2020-02-07
KR102136560B1 true KR102136560B1 (ko) 2020-07-22

Family

ID=69231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412A KR102136560B1 (ko) 2018-07-30 2018-07-30 의자용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45528B1 (ko)
EP (1) EP3831246B1 (ko)
KR (1) KR102136560B1 (ko)
PL (1) PL3831246T3 (ko)
WO (1) WO20200274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75188A (ja) * 2019-11-11 2021-05-20 日本発條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511Y1 (ko) * 2001-08-10 2001-12-24 유호상 골반 교정용 의자
KR200419580Y1 (ko) 2006-03-31 2006-06-22 박종근 의자용 좌판
KR101384102B1 (ko) 2012-01-02 2014-04-09 박금녀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51735A (fr) * 1905-02-23 1905-07-24 Emil Neuhaus Chaise munie d'un siège à ressorts
US2482996A (en) * 1946-05-27 1949-09-27 Robert E Wisby Form and posture corrective chair
FR998840A (fr) * 1949-10-17 1952-01-23 Perfectionnements aux sièges
US2799323A (en) * 1954-05-18 1957-07-16 Joseph A Berg Self-aligning seat construction
US3080195A (en) * 1960-03-07 1963-03-05 Joseph A Berg Self-aligning seating construction
FR1305406A (fr) * 1961-05-17 1962-10-05 Amortisseur pour sièges
US3058778A (en) * 1961-06-09 1962-10-16 Eugene W Campbell Furniture construction
US3280410A (en) * 1964-03-03 1966-10-25 Robert L Propst Multi-directional molded spring assembly
US3749442A (en) * 1971-08-30 1973-07-31 J Berg Seat having relatively adjustable sections
FR2525451B1 (fr) * 1982-04-23 1984-11-30 Inst Nat Sante Rech Med Coussin anti-escarres
US4643481A (en) * 1984-11-08 1987-02-17 Saloff William S Seat system for preventing decubiti
US4951334A (en) * 1989-07-26 1990-08-28 Maier Edmund K Pressure relief cushion
US5024485A (en) * 1990-07-05 1991-06-18 Berg Joseph A Front and back adjustable rocking seat support arrangement for seat having relatively adjustable sections
US5088747A (en) * 1990-09-12 1992-02-18 International Marketing And Design Seating System, Inc. Wheelchair seating system
US5286089A (en) * 1991-02-25 1994-02-15 Goldman Stephen L Seat cushion for alleviation of perineal and rectal discomfort
JPH06175581A (ja) 1992-12-10 1994-06-24 Yasunori Arai 座席揺動装置
US5288127A (en) * 1993-01-19 1994-02-22 Berg Joseph A Rocking seat
CA2159921A1 (en) * 1995-09-18 1997-03-19 David Harding Cushion element for use in a wheelchair
US5687436A (en) * 1996-08-09 1997-11-18 Jay Medical Ltd. Wheelchair seating cushion having adjustable top contour shape
EP1011385A1 (en) * 1996-11-08 2000-06-28 William W. Chow Therapeutic sling seat
US5713632A (en) * 1997-01-03 1998-02-03 Su; Ching-Chuan Swivel chair having a body-fit structure
US6256819B1 (en) * 1997-01-22 2001-07-10 Span-America Medical Systems, Inc. Multi-section positioning wheelchair cushion
US5913568A (en) * 1997-09-30 1999-06-22 Brightbill; Stephen T. Two platform motion seat
US6139095A (en) * 1998-12-31 2000-10-31 Robertshaw; Richard C. Split seat pelvic mobilizing chair
US6079782A (en) * 1999-01-29 2000-06-27 Jean Baughman Seat construction which corrects the pelvis so that it influences a proper alignment of the human body
US6598251B2 (en) * 2001-06-15 2003-07-29 Hon Technology Inc. Body support system
US6625830B2 (en) * 2001-10-02 2003-09-30 Neal Lampel Wheelchair cushion
RU2199258C1 (ru) * 2002-02-14 2003-02-27 Быков Алексей Алексеевич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идения
US7347498B2 (en) * 2003-06-03 2008-03-25 Gerard Clifford Seating device
US6990744B2 (en) * 2003-07-28 2006-01-31 Aspen Seating,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clearance from a contoured seat cushion
US7373678B2 (en) * 2003-07-28 2008-05-20 Aspen Seating, Llc Seat cushion with adjustable contour and method of adjusting the contour of a seat cushion
US7216388B2 (en) * 2003-07-28 2007-05-15 Aspen Seating, Llc Contoured seat cushion and method for offloading pressure from skeletal bone prominences and encouraging proper postural alignment
US7140057B2 (en) * 2003-07-28 2006-11-28 Aspen Seating, Llc Reinforced and adjustable contoured seat cushion and method of reinforcing and adjusting the contoured seat cushion
DE102006029085A1 (de) * 2006-03-16 2007-09-20 Ernst-Ulrich Mathieu Sitz mit zweigeteilter Pendelsitzfläche
EP1905404B1 (en) * 2006-09-29 2010-03-31 Sunrise Medical HHG Inc. Wheelchair seat cushion
KR100702213B1 (ko) 2006-12-22 2007-04-03 박종근 의자용 좌판
DE102007021486A1 (de) * 2007-05-08 2008-11-13 Ernst-Ulrich Mathieu Sitz mit zweigeteilter Pendelsitzfläche
US8850645B1 (en) * 2010-07-21 2014-10-07 A Bright Idea Custom Laser Designs LLC Therapeutic seat cushion
JP5606845B2 (ja) * 2010-09-15 2014-10-15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シートクッションパッドの製造方法
KR101231028B1 (ko) 2010-10-29 2013-02-07 양희정 기능성 좌판
US20140290667A1 (en) 2011-10-23 2014-10-02 Yoshimitsu MASUI Sitting tool and chair
US9021637B1 (en) * 2012-06-29 2015-05-05 Ki Mobility Wheelchair cushion with adjustable/multi-stiffness fluid
US9462890B2 (en) * 2014-04-30 2016-10-11 Arete Lyseis, LLC Portable composite seat
US9808194B2 (en) * 2014-09-25 2017-11-07 Prs Medical Technologies, Inc. Cushioning support for monitoring user activity
KR101616678B1 (ko) * 2015-12-07 2016-05-11 최우진 기능성 의자
US10448744B2 (en) * 2015-12-09 2019-10-22 Lifetime Products, Inc. Chair
US10455944B2 (en) * 2016-10-17 2019-10-29 Anatoli Chernin Seat cushion
US10610021B2 (en) * 2017-03-27 2020-04-07 Virco Mfg. Corporation Chair supported by bellows with motion control
CA3092069C (en) * 2018-02-27 2022-08-30 Mascull, Roger Thomas A seating suppor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511Y1 (ko) * 2001-08-10 2001-12-24 유호상 골반 교정용 의자
KR200419580Y1 (ko) 2006-03-31 2006-06-22 박종근 의자용 좌판
KR101384102B1 (ko) 2012-01-02 2014-04-09 박금녀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85084A1 (en) 2021-03-25
WO2020027478A1 (ko) 2020-02-06
EP3831246A4 (en) 2021-10-06
EP3831246A1 (en) 2021-06-09
EP3831246B1 (en) 2022-04-27
KR20200013341A (ko) 2020-02-07
PL3831246T3 (pl) 2022-08-22
US10945528B1 (en) 202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6369B2 (ja) 姿勢保持具
US9480339B2 (en) Seat with pelvic support
JP5603329B2 (ja) シーティングユニット用の同調背もたれ
US20110233979A1 (en) Chair with separate and interconnecting type lumbar and thoracic supports
KR101598473B1 (ko) 착석시 바른자세의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
US20160374475A1 (en) Back support
US11583086B2 (en) Functional legless chair
KR102136560B1 (ko) 의자용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EP3264942B1 (en) Cushion with supporting frame for upholstered furniture
JP6956528B2 (ja) 着座面用の調節可能な後部支持体
KR102073647B1 (ko) 의자용 좌판쿠션
KR20200066414A (ko) 능동적 척추 지지를 위한 의자의 등판 굴곡 장치
CN202218733U (zh) 脊椎矫正座垫
CN102860694A (zh) 一种适合人体脊椎的立体弧度椅靠背
EP2410890B1 (en) Seat backrest
CN204670753U (zh) 一种沙发结构
KR20230025299A (ko) 기능성 좌식 의자
KR20230000371U (ko) 인체공학적 의자
KR20040040986A (ko) 상체 지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