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0986A - 상체 지지 구조 - Google Patents

상체 지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0986A
KR20040040986A KR1020020069852A KR20020069852A KR20040040986A KR 20040040986 A KR20040040986 A KR 20040040986A KR 1020020069852 A KR1020020069852 A KR 1020020069852A KR 20020069852 A KR20020069852 A KR 20020069852A KR 20040040986 A KR20040040986 A KR 20040040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body
backrest
seating means
body suppor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9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명호
Original Assignee
조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명호 filed Critical 조명호
Priority to KR1020020069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0986A/ko
Publication of KR20040040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98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상체지지구조 (50)은 서로에 대하여 거울 이미지 형태 인 한 쌍의 상체지지구 (51)과 (51' )로 구성되며, 이 상체지지구 (51)과 (51' )는 착석수단의 등받이 (61' )에 연결될 때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떨어진 상태로 등받이 (61' )에 서로 대칭되게 연결되어, 이 두 상체지지구 (51)과 (51' ) 사이에 요홈이 형성되게 연결되며,
두 상체지지구 (51)과 (51' )은 각각 몸체부 (53), (53' )와 날개부 (55), (55' )로 구성되며, 날개부 (55), (55' )는 각각 몸체부 (53), (53' )의 각 외측 가장자리 부위로부터 일체로, 전면쪽으로 알맞게 구부러지게 연장되며,
이 두 개의 상체지지구 (51)과 (51' )는 정면으로 보았을 때 그 전반적인 형태가 거꾸로 된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게 구성됨.

Description

상체 지지 구조{Torso Supporting Assembly}
본 발명은 착석수단용 지지수단에 관하 것인 바, 특히 착석수단에 앉은 작석자의 신장 부위를 포함한 등과 옆구리들을 지지해 주는 구조를 가진 상체지지수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착석수단(sitting means)은 대퇴부와 골반을 지지해 주는 대체적으로 수평인 착석부(substantially horizontal seat member)와 착석부의 위쪽에, 대체적으로 수직으로 위치하여 착석자의 등을 지지해 주는 등받이부(substantially vertical back memher)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착석수단"은 의자(chairs), 자동차 좌석(vehicle seats), 비행기 좌석(airplane seats), 벤치, 소파, 접는 의자(folding chairs), 해변용 의자(beach chairs), 휠체어(wheel chairs), 학교의 책상 겸용 의자(school seat-desks), 교회 좌석(church pews), 공연장 및 경기장 좌석, 운동기구 등의 어느 하나를 나타내게 된다. 편의상, 이러한 유형의 착석수단을 대표적으로 나타내는 말로 의자(chair) 또는 좌석(seat)"라는 용어를 사용할 때도 있다.
착석수단의 등받이는 앉은 사람의 등과 옆구리 부위를 지지해 주고 편안하게 해 줄 뿐만 아니라 착석자가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도와 줄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등받이 또는 등 지지용구들은 이와 같은 모든 요건들을 충족시킬 수 없었다. 정상적으로 선 자세일 경우, 척추는 소위 "자연스럽게 이완된 (naturally relaxed) 요천골 (sacro-lumbar) 커브를 그리는 형태를 취하게 된다. 이 같은 상태가 되면 척추의 지지를 받는 상체의 무게와 조직들은 균형된 상태에 있게 된다. 나아가 착석자세일 경우, 척추가 이처럼 "자연스럽게 이완된" 요천골 커브를 그리는 형태가 되려면 신체를 죽 곧게 세운 상태가 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등받이 또는 등 지지용구들은 이와같은 모든 요건들을 충족시킬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착석수단의 등받이에 설치할 한 쌍의 상체지지구로 구성된 새로운 상체지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등받이용 띠쇠에 설치된 상체지지구조로 구성된 착석수단의 등받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목적은 "V" 형태인 사용자의 등 부분에 딱 알맞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등과 옆구리 및 신장 부위 등 보다 넓은 부위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상체지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등과 옆구리 및 신장부위를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새로운 상체지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다른 목적은 기존 의자나 좌석의 등받이 또는 요추 지지구조 등에 척추뼈가 직접 접촉함으로써 발생하게 되는 눌려지는 압박감이나 불쾌한 반발감 등을 척추뼈가 느끼지 않도록 고안된 상체지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착석수단에 앉은 착석자가 올바른 자세로 앉고 척추가 죽 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주는 상체지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선행기술에 있어서 착석수단에 앉은 사람의 등 및/또는 옆구리 부위를 지지해 주는 의자나 좌석들이 많이 존재해 왔다. 도 1A 에서 1H 까지는 선행기술에 제시된 여러 유형의 지지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자들은 그렇게 편하지도 않을 뿐 아니라 건강에 별 도움이 되지도 않는다. 한 마디로, 이러한 유형의 의자들은 착석자의 신장 부위를 포함한 등과 옆구리들을 적절히 지지해 줄 수 없으며, 착석자가 올바른 착석자세를 취하도록 도움을 주는 것도 아니다.
도 1A에서 1H까지는 선행기술의 의자 및 좌석에 제시된 여러 유형의 지지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상체지지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체지지구 (51)의 (71) 지점과 (79) 지점 사이의 수직면을 따른 단면도를 왼쪽에서 조감한 것이다. 도 4는 도 2의 상체지지구조 (50)의 (81)과 (81' )지점, (85)와 (85' )지점 및 (89)와 (89' ) 지점 사이의 수평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상체지지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죽 곧은 바른 자세로 않은 사람의 척추의 측면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상체지지구조가 제공된 착석수단용 등받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상체지지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그 뒷면을 보여주고 있다. 도 10은 흉곽의 평면도로서, 도 5의 상체지지구조가 흉곽의 배면을 지지하는 단면을 상상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 11은 인체 등골격 배면의 정면도로서, 도 5의 상체지지구조가 흉곽의 배면을 지지하는 것을 상상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 12는 착석수단에 지지되고 있는 사람 신체와 그 등을 지지하고 있는 도 5의 상체지지구조의 측정면(側正面) 단면도이다. 도 13은 상체지지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상체지지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모퉁이 91-99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7의 B-B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7은 등받이에 도 14의 상체지지구조가 제공된 착석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흉곽의 평면도로서, 도 14의 상체지지구조가 흉곽의 배면을 지지하는 단면을 상상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 19는 인체 등골격 배면의 정면도로서, 도 14의 상체지지구조가 흉곽의 배면을 지지하는 것을 상상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 20은 착석수단에 지지되고 있는 사람 신체와 그 등을 지지하고 있는 도 14의 상체지지구조의 측정면 단면도이다, 도 21은 상체지지구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상체지지구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착석수단의 띠쇠에 도 22의 상체지지구조가 제공된 착석수단의 측면도이다.
- 도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상체지지구조, (51), (51') ; 상체지지구, (47) ; 띠쇠
(61' ) ; 등받이, (65) ; 수용부, (63) ; 등받이 멤버, (64) ; 지지수단
도면 5 는 본 발명 상체지지구조 전체를 도시하고 있다. 상체지지구조(50)은 한 쌍의 상체지지구 (51)과 (51' )로 구성되며, 착석수단의 등받이의 앞표면에 대체적으로 수직인 양상으로 설치된다. 예로, 도 17 에 도시한 착석수단은 등받이, 시트부 (Seat pan), 팔걸이(도시 않음)를 가진 것으로, 사무실이나 작업장에서 흔히 사용되는 유형의 것이다. 등받이는 착석수단에 앉은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일체로 된 몸체를 가진 유형의 것이다. 도 7 에서, 번호(61' )은 착석수단의 등받이를 나타내고 번호 (47)은 등받이 (61' )을 착석수단의 시트부 (seat pan)에 연결하는 띠쇠를 나타낸다. 상체지지구조 (50)은 착석수단의 등받이 (61' )의 앞표면에 형성된 수용부 (65)에 삽입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부 (65)는 등받이 멤버 (63)의 앞표면에 형성되며, 일정 거리를 두고 떨어지게 구성된 상체지지구 (51)과 (51' )와 지지수단 (64)를 충분히 수용할 깊이와 넓이 및 테두리를 따른 모양이 같은 외연적 형상 (peripheral outline)을 가지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체지지구 (51)과 (51' )은 등받이 멤버 (63)의 수용부 (65)에 대체적으로 같은 평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체지지구조(50)은 등받이 멤버 (63)과 대략적으로 연속되는 표면을 가지게 구성된다. 상체지지구 (51)은 볼트나 러그(lug), 리벳(rivet),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spring plate), 경첩구조, 회전고리(swivel) 등과 같은 공지의 지지수단에 의해 등받이 멤버 (63) 에 연결되게 된다. 도 2 는 한 쌍의 상체지지구 (51)과 (51' )로 구성된 상체지지구조 (50)의 정면도이다. 상체지지구 (51' )는 상체지지구 (51)의 거울 이미지 형태(mirror-image version)이며, 이들이 착석수단의 등받이 (61' )에 연결될 때 이 두 상체지지구는,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떨어진 상태로, 등받이 (61' )의 수직중앙선 P-P 를 따라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상체지지구 (51)과 (51' )의 몸체는 각각 몸체부 (53)과 (53')로 지칭한다. 도 2 에서 각각의 몸체부 (53)과 (53' )는 기본적으로 부등변 사각형 형태이며, 전체에 걸쳐 동일한 얇은 두께를 가지고 있다. 몸체부 (53)의 상측 가장자리 부위(모퉁이 (71)과 (81) 사이의 선)와 하측 가장자리 부위(모퉁이 (79)와 (89) 사이의 선)는 대체적으로 서로 평행이며, 내측 가장자리 부위(모퉁이 (71)과 (79) 사이의 선)는 이들 두 상, 하측 가장자리 부위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고 있다. 개괄적인 형상에서 몸체부 (53)은 대체로 그 수직 높이가 20 cm 에서 60 cm, 그 측면으로의 길이 (폭)가 10cm 에서 20cm 정도가 될 수 있다. 상측 가장자리 부위 및 외측 가장자리 부위(모퉁이 (81)과 (89) 사이의 선)는 각각 내측 가장자리 부위 및 하측 가장자리 부위보다 그 길이가 약간 더 길게 구성된다. 도 2 에서 끊어진 선 Q-Q 는 상체지지구 (51' )의 내측 가장자리 부위 (모퉁이 (71' )와 (79)' 사이의 선)와 평행이고 끊어진 선 R-R 는 모퉁이 (81' )와 (89' ) 사이의 선의 연장선이다. 도 2 에서 끊어진 선 Q-Q 와 R-R 사이의 글자 "d" 는 하측 가장자리 부위보다 상측 가장자리 부위의 더 긴 길이 정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몸체부 (53)의 측면으로의 폭은 크기면에서 하측 부위로 갈수록 점점 더 감소되게 구성된다. 위에서 기술한 바처럼, 몸체부 (53)과 (53' )는 등받이 (61' )의 수직중앙선 P-P 를 따라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고, 몸체부 (53)의 내측 가장자리 부위는 상, 하측 가장자리 부위와 직각을 이루고 있으므로 몸체부 (53)의 내측 가장자리 부위(모퉁이 (71)과 (79) 사이의 선)와 몸체부 (53' )의 내측 가장자리 부위(모퉁이 (71' )와 (79)' 사이의 선)는 서로 평행인 관계에 있게 된다. 오랫동안 의자에 앉아 일하는 직종에 근무하는 사람이 경험하는 피로나 불안정감은 척추 그 자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 발생되는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이 두개의 몸체부 (53)과 (53' ) 가 착석수단의 등받이에 제공될 경우, 이것은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떨어지도록 제공되어, 그 사이에홈 또는 들어간 부분 (67)이 생기도록 제공된다. 이 홈 또는 들어간 부분 (67)은 척후 뼈의 돌출한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일정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 몸체부 (53)과 (53' )의 내측 가장자리 부위들은 서로 평행인 관계에 있고 몸체부 (53)과 과(53' )의 측면으로의 폭은 각각 하측 부위로 갈수록 점점 더 감소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몸체부 (53)과 (53' )의 외측 가장자리 부위들 (모퉁이 81-89 사이 및 (81' -89' 사이의 선)은 "V" 형태를 그리게 된다. 따라서 상체지지구조 (50)은 그 전반적인 형태가 거꾸로 된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인체의 등은, 도 11 의 점선 C-C 선과 D-D 선으로 표시된 바처럼, 그 전반적인 형태가 "V-형태" 또는 역사다리꼴 형태이다. 따라서, 독특한 "V" 또는 역사다리꼴 형태를 가진 상체지지구조 (50)은 이 "V-형태" 인 인체의 등과 알맞게 합치하게 되어 인체의 등의 보다 넓은 지역을 접촉하게 되며, 그 결과 인체의 등과 옆구리들을 확고히 그리고 편안하게 지지하게 된다. 이 몸체부 (53)과 (53' )하나하나는 약간 딱딱하고 강하며 굳건한 물질로 구성되며, 이것은 어느 정도의 유연한 탄성을 지니는 한편 확고히 받쳐 지지를 해 줄 수 있는 물질 즉 합판, 금속, 굳건한 고무 또는 프라스틱 물질 또는 이들이 혼합 또는 결합된 것으로 만들어지게 된다. 몸체부 (53)은 사용시 굽어지거나 눌린 자국이 나거나 여타 찌그러지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두께와 힘과 강도를 지닌다. 몸체부 (53)은 특히 등받이의 몸체 및/또는 표면보다는 훨씬 더 딱딱하고 굳건하게 구성되어야만 한다. 도 8 에서, 상체지지구조 (상체지지구 (51)과 (51' ))가 상체의 무게에 의해 뒤로(화살표 W 방향으로) 눌려지게 되면 밀도와 강도면에서 보다 약하게 구성된 등받이(61' )의 등받이 멤버(63)도 뒤로 눌려지게 된다. 그러나, 이 순간 등받이(61' )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가장자리 부위들 (62)는 상체지지구조에 의해 눌려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양 수직 가장자리 부위들은 상체의 겨드랑이와 옆구리에 위치하게 되어 상체지지구조가 상체를 지지하는 것을 도와주게 된다.
도 3 은 도 2 의 상체지지구 (51)의 상, 하측 가장자리 부위 사이의 수직면을 따른 단면도를 왼쪽에서 조감한 것이다. 도 3 에 도시한 바처럼, 몸체부 (53)는 종단면이 얕은 S 형태로서, 정면에서 보았을 때 (73)부위와 (83)부위 사이의 선을 따라 형성된 상측 오목한 부위, (77)부위와 (B7)부위 사이의 선을 따라 형성된 하측 볼록한 부위 및 (75)부위와 (85)부위 사이의 선을 따라 형성된 변곡 부위가 구성되며, 이 얕은 S 형태는 대체적으로 죽 곧게 바로 선 사람의 정상적인 척추 굴곡(예로, 제 5 요추와 제 6 흉추 사이의 굴곡)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6 참조). 오목한 부위는 제 9 흉추 부근에 위치하게 되고, 볼록한 부위는 제 3 요추 부근에 위치하게 된다. 이 S 형태의 변곡 부위는 몸체부(53)의 하측 가장자리 부위에서부터 몸체부의 길이의 약 2 분의 1 또는 7 분의 3 되는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이 S 형태는 몸체부 (53)의 외측 가장자리 부위까지 연장되게 된다. 도 3 에서, 직선 N-N는 상측 가장자리 부위와 하측 볼록한 부위를 연결한 선의 연장선으로, 화살표 a-a 사이의 거리는 상측 오목한 부위의 깊이 또는 오목한 정도를 나타낸다. 직선 M-M 는 상측 오목한 부위와 하측 가장자리 부위를 연결한 선의 연장선으로 , 화살표 b-b 사이의 거리는 하측 볼록한 부위의 높이 또는 볼록한 정도를 나타낸다. 이 깊이와 높이는 1 cm - 7 cm 의 범위 에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거리는사용자의 신체적 사이즈나 특징에 따라 원하는 대로 다양하게 될 수 있다.
몸체부 (53)은, 도 4 에 도시한 바처럼, 측방향 단면으로 볼 때 얕은 궁형으로 구부러져 척추의 양 옆을 따라 연장되고 있는 근육부위를 수용할 수 있는 약간 오목한 부분을 형성하게 된다(도 10 참조). 즉, 횡단면으로 볼 때 몸체부(53)의 오목한 정도는 하측 부위로 내려갈수록 점점 더 증가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몸체부 (53)의 구조는 상측 가장자리 부위에서는 약간 오목한 구조로 되어 있고, 중간 부분 (몸체부 (53)의 75-85 부위 사이의 변곡부위 지역)으로 내려갈수록 더 오목한 구조로 되며, 몸체부 (53)의 하측 가장자리 부위에서는 가장 크게 오목한 구조로 되어 있다. 몸체부 (53)의 상측 가장자리 부위에서 오목한 길이는 약 1 cm 정도가 될 수 있으며, 중간부분에서는 약 2 cm, 하측 가장자리 부위에서 오목한 깊이는 약 3 cm 정도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 (53)은 수평 단면으로 볼 때는 오목한 형상이며 수직 단면으로 보게 되면 얕은 S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한 커브와 S 형 커브는 서로 함께 혼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 상체지지구조 (50) 의 또 다른 실시에는 도 13 에서 20 에 걸쳐 도시되어 있는 바, 여기에는 몸체부 (53), (53' )의 각 외측 가장자리 부위가 연장되어 날개부 (55), (55' )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것은 상체의 옆구리와 형태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날개부는, 도 13 에 도시한 바처럼, 몸체부의 외측 가장자리 부위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나오게 구성된다. 날개부는, 도 14 에 도시한 바처럼, 상체의 옆구리 부위의 굴곡에 적합한 굴곡도를 가지도록 전면쪽으로 알맞게 구부러지게 형성된다. 도 13 에서 몸체부 (53)의 외측 가장자리 부위(81 과 89 사이의 점선)는 외측으로 (81)과 (89) 사이의 직선까지 일체로 연장되어 날개부 (55)를 구성하게 된다. 날개부 (55)는 몸체부 (53)의 외측 가장자리 부위를 따라 대체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도 15 는 도 13 과 14 의 (91) 지점과 (99) 지점 사이의 수직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앞에서 기술한 바처럼, 몸체부 (53)는 종단면이 같은 S 형태이다. 그러나, 이 몸체부(53)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 날개부 (55)는 그 수직방향을 따른 단면이 죽 곧은 직선형태이다. 따라서, 몸체부 (53)과 (53' )의 수직 단면 S 형태는 날개부 쪽으로 옮아 가면서 점점 날개부의 직선 형태인 수직단면으로 변화된다.
측면 방향의 단면에서 볼 때, 도 18 에 도시한 바처럼, 날개부 (55)는 몸체부 (53)의 굴곡보다 더 급격히 굽어지게 형성되며, 그 결과 상체의 옆구리의 측면 곡률에 적합하도록 앞쪽으로 연장되어 나오게 된다. 기술한 바처럼, 몸체부(53)은 측단면에서 볼 때 미약하게 구부러지게 구성되어 있다. 나아가, 몸체부(53)의 곡률은 몸체부 (53)에서 날개부의 측면 가장자리(91-99 사이의 선) 쪽으로 옮겨가면서 점점 더 그 곡률이 증가하여 상체의 옆구리의 곡률과 합치되도록 구성한다.
몸체부 (53)은 그 전체에 걸쳐 약 3 mm 에서 (50) mm 사이의 두께를 가지게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 (53)의 두께는 중앙부에서 내측 가장자리 부위와 외측가장자리 부위 쪽으로 측면으로 옮겨가면서 점점 얇아지도록 선택적으로 구성하여 몸체부의 측면 방향으로의 탄발력을 높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 몸체부의 두께는 내,외측 가장자리 부위 쪽으로 갈수록 약 10 퍼센트 정도로 그 두께가 점감하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 (53)은 프레스나 몰딩(pressing or molding)으로제조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합판, 금속판 또는 합성수지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른 공지의 물질도 사용할 수 있다. 상체지지구 (51)의 표면은 합성수지로 된 얇은 막을 입히거나 가죽, 천 등으로 덧대기(covering)를 하는 등 선택적으로 표면처리를 할 수 있다.
도 6 은 착석자가 바른 자세로 앉아 상체를 죽 곧게 바르게 했을 때, "자연스럽게 이완된" 요천골 커브를 그리는 상태일 때의 척추를 도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착석수단의 등받이의 표면은 시트 팬의 수평면에 대하여 그 각도가 약 90 도에서 115 도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6 에서, 끊어진 직선 S-S 는 착석수단의 시트 팬의 수평면에 대하여 그 각도가 90 도인 등받이의 표면을 나타낸다. 끊어진 직선 N-N 는 상체지지구 (51)의 상측 가장자리 부위와 하측 볼록한 부위를 연결한 선의 연장선이다. 글자 "c" 는 직선 N-N 이 직선 S-S 에 대한 각도를 나타낸다. 이 각도 "c" 는 약 8 도에서 15 도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기술한 상체지지구조 (또는 상체지지구)의 기울어진 각도 "c" 를 나타내기 위하여 전 명세서에 걸쳐 "상체지지구조 (또는 상체지지구)의 경사각" 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상체지지구조를 수용할 등받이 (61' )의 등받이 멤버 (63)의 앞표면은 상체지지구조의 S 형태인 굴곡에 합치될 수 있도록 S 형태로 형성되며, 상체지지구조와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일부의 경우, 착석수단의 등받이의 앞표면이 상체지지구조와 동일한 S 형태에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상체지지구가 위에 기술한 범위내의 경사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 상체지지구와 착석수단의 등받이 사이에 받침대가 제공되거나 착석수단 자체가 두터워진 부분이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로 도 21 의 경우, 발포성 물질 (66)이 상체지지구 (51)의 뒷면에 부착 (또는 함께 제조)되어 있다. 이 발포성 물질 (66)의 상측 부위는 하측 부위보다 더 얇게 구성된 결과, 뒷표면이 납작하고 평평하게 형성되어 착석수단의 등받이의 납작하고 평평한 앞표면과 합치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7 에 도시되어 있는 바, 여기에는 상체지지구조가 착석수단의 등받이 구조에 연결되어 있다. 위에서 기술한 바처럼, 이 두 개의 상체지지구 (51)과 (51' )는 등받이 (61' )의 등받이 멤버 (63)에 서로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도록 연결되어 이들 두 몸체부 (53)과 (53' )사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홈 (67)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착석자의 척추가 등받이의 어느 부분에도 닿지 않고 이 요홈 (67)에 위치할 수 있도록 충분한 폭과 깊이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착석자는 죽 곧은 자세를 유지하게 되고 올바른 착석자세를 가지게 된다.
위에서 기술한 바처럼, 상체지지구 (51)과 (51' )는 볼트나 러그(lug), 리벳(rivet), 코일 스프링(coil spring), 판 스프링(spring plate), 경첩구조(hinge-joint), 회전고리(swivel) 등과 같은 공지의 연결구 및/또는 지지구에 의해 등받이 멤버 (63)의 앞면에 부착된다. 도 5 에서 숫자(52), (52' ), 54 와 (54' )는 위에서 기술한 지지구들이 연결되는 지점을 나타낸다. 끊어진 선 E-E 와 E'-E' 는 각각 상측 가장자리 부위들의 중간 지점과 하측 가장자리 부위들의 중간 지점을 연결한 선의 연장선을 나타낸다. 도 5 에 도시한 바처럼, 연결지점 (52)와 54 는 끊어진 선 E-E 의 오른쪽, 즉, 몸체부 (53)의 내측 가장자리 부위보다 외측 가장자리 부위에 더 가깝게 위치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연결지점 (52' )와 (54' ) 는 몸체부 (53' )의 내측 가장자리 부위보다 외측 가장자리 부위에 더 가깝게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도 8 및 16 에 도시한 바처럼, 착석자의 상체 무게가 몸체부 (53), (53' )에 가해지게 되면 몸체부들의 내측 가장자리 부위들은 약간 위쪽 (화살표 W 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이 순간 몸체부들의 외측 가장자리 부위들은 약간 앞쪽 (화살표 F 방향)으로 밀리게 되며, 그 결과 몸체부 (53), (53' )전체가 상체의 신장을 포함한 등, 옆구리들을 편안하게 지지하게 된다.
도 7 과 8 에서, 몸체부 (53)과 (53' )는 등받이 멤버(63)에 볼트, 코일 스프링과 같은 각각 별개의 연결수단 (64)에 의해 연결지점 (52)와 (52' )및 54 와 (54' )에서 연결되어 있다. 그 반면, 도 9 에서 몸체부 (53)과 (53' )는 두 개의 좁은 스프링 판 (64)와 (64' )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두 개의 좁은 스프링 판 (64)와 (64' )의 각각의 양 끝은 연결지점 (52)와 (52' )및 54 와 (54' )에서 상체지지구 (51) 과 (51' )(몸체부 (53)과 (53' ))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두 개의 좁은 스프링 판 (64)와 (64' )는 볼트 등과 같은 공지의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지점 (68)과 (68' )에서 등받이 멤버 (63)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 스프링 판 (64)와 (64' )에 의해 두 몸체부 (53)과 (53' )은 측면 방향으로의 폭이 늘어나게 되므로 상체를 알맞게 감싸 확고히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23 에 도시된 바, 여기에는 상체지지구조(50) 자체가 등받이를 구성하여 착석수단의 띠쇠 (47)에 연결되어 있다. 도 22 는 상체지지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그 뒷면을 보여주고 있다. 도 22 에서 몸체부 (53)과 (53' )를 서로 연결하는 두 개의 좁은 스프링 판 (64)와 (64' )는 연결막대 (69)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번호 (60)은 착석수단의 띠쇠가 연결되는 연결지점을 나타낸다. 도 23 에서, 연결막대 (69)는 연결지점(60)에서 띠쇠 (47)의 상단에 제공되어 있는 공지의 경첩구조 49 에 연결되어 있다. 번호 45는 셀 유형(shell-type)의 합판 판넬 의자의 착석부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 상체지지구조는, "V" 형태인 사용자의 등 부분에 딱 알맞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등과 옆구리 및 신장 부위 등 보다 넓은 부위와 접촉하여 지지해 주며, 기존 의자나 좌석의 등받이 또는 요추 지지구조 등에 척추뼈가 직접 접촉함으로써 발생하게 되는 늘려지는 압박감이나 불쾌한 반발감등을 척추뼈가 느끼지 않도록 해 주고, 착석자가 올바른 자세로 앉고 척추가 죽 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주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착석수단용 상체지지수단에 있어서,
    착석수단(sitting means)은 대퇴부와 골반을 지지해 주는 대체적으로 수평인 착석부(substantially horizontal seat member)와 착석부의 위쪽에, 대체적으로 수직으로 위치하여 착석자의 등을 지지해 주는 등받이부(substantially vertical back member)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상체지지구조 (50)은 한 쌍의 상체지지구 (51)과 (51' )로 구성되며, 상체지지구 (51)과 (51' )는 서로에 대하여 거울 이미지 형태(mirror-imaqe version)이며, 착석수단의 등받이 (61' )에 연결될 때 이 두 상체지지구 (51)과 (51' ) 는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떨어진 상태로 등받이 (61' )의 수직중앙선 P-P 를 따라 서로 대칭되게 연결되어, 이 두 상체지지구 (51)과 (51' ) 사이에 요홈이 형성되게 연결되며,
    이 두 상체지지구 (51)과 (51 ') 들은 등받이의 앞표면에 대체적으로 수직인 양상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착석수단의 등받이 (61' )의 수용부 (65)에 삽입되게 구성되며, 착석수단의 수용부 (65)는 등받이 멤버 (63)의 앞표면에 형성되며, 일정 거리를 두고 떨어지게 제공되는 두 상체지지구 (51)과 (51' ) 들을 충분히 수용할 깊이와 넓이 및 테두리를 따른 모양이 같은 외연적 형상(peripheral outline)을 가지게 구성되며,
    두 상체지지구 (51)과 (51' )의 몸체부 (53)과 (53' )은 각각 수평단면으로볼 때는 오목한 형상이며 수직 단면으로 보게 되면 얕은 S 형태로 구성되어 이 오목한 커브와 S 형 커브는 서로 함께 혼합되도록 구성되고,
    개개의 몸체부 (53)과 (53' )는 기본적으로 부등변 사각형 형태이며, 전체에 걸쳐 동일한 얇은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이 두 개의 몸체부 (53)과 (53' )은 그 전반적인 형태가 거꾸로 된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게 구성되고,
    상체지지구 (51)과 (51' )는 공지의 지지수단에 의해 등받이 멤버 (63) 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수단용 상체지지구조.
  2. 착석수단을 상체지지수단에 있어서,
    착석수단(sitting means)은 대퇴부와 골반을 지지해 주는 대체적으로 수평인 착석부(substantially horizontal seat member)와 착석부의 위쪽에, 대체적으로 수직으로 위치하여 착석자의 등을 지지해 주는 등받이부(substantially vertical back member)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상체지지구조 (50)은 한 쌍의 상체지지구 (51)과 (51' )로 구성되며, 상체지지구 (51)과 (51' )는 서로에 대하여 거울 이미지 형태(mirror-image version)이며, 착석수단의 등받이 (61' )에 연결될 때 이 두 상체지지구 (51)과 (51' ) 는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떨어진 상태로 등받이 (61' )의 수직중앙선 P-P 를 따라 서로 대칭되게 연결되어, 이 두 상체지지구 (51)과 (51' ) 사이에 요홈이 형성되게 연결되며,
    이 두 상체지지구 (51)과 (51' ) 들은 등받이의 앞표면에 대체적으로 수직인양상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착석수단의 등받이 (61' )의 수용부 (65)에 삽입되게 구성되며, 착석수단의 수용부 (65)는 등받이 멤버 (63)의 앞표면에 형성되며, 일정 거리를 두고 떨어지게 제공되는 두 상체지지구 (51)과 (51' ) 들을 충분히 수용할 깊이와 넓이 및 테두리를 따른 모양이 같은 외연적 형상(peripheral outline)을 가지게 구성되며,
    두 상체지지구 (51)과 (51' )은 각각 몸체부 (53), (53' )과 날개부 (55), (55' )로 구성되며, 날개부 (55), (55' )는 각각 몸체부 (53), (53' )의 각 외측 가장자리 부위로부터 일체로, 전면쪽으로 알맞게 구부러지게 연장되며,
    각각의 날개부 (55), (55' )는 몸체부 (53), (53' )의 외측 가장자리 부위를 따라 대체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그 수직방향을 따른 단면이 죽 곧은 직선형태로 구성되는 바, 몸체부 (53)과 (53' )의 수직 단면 S 형태가 날개부(55), (55' )쪽으로 옮아 가면서 점점 날개부의 직선 형태인 수직단면으로 변화하게 구성되며,
    몸체부 (53)과 (53' )은 각각 수평 단면으로 볼 때는 오목한 형상이며 수직 단면으로 보게 되면 얕은 S 형태로 구성되어 이 오목한 커브와 S 형 커브는 서로 함께 혼합되도록 구성되고,
    개개의 상체지지구 (51)과 (51' )은 정면으로 보았을 때 기본적으로 부등변 사각형 형태이며, 전체에 걸쳐 동일한 얇은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이 두개의 두 상체지지구 (51)과 (51' )은 정면으로 보았을 때 그 전반적인 형태가 거꾸로 된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게 구성되고,
    상체지지구 (51)과 (51' )는 공지의 지지수단에 의해 등받이 멤버 (63) 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수단용 상체지지구조.
  3. 착석수단용 상체지지수단과 착석수단의 결합에 있어서,
    착석수단(sitting means)은 대퇴부와 골반을 지지해 주는 대체적으로 수평인 착석부(substantially horizontal seat member)와 착석부의 위쪽에, 대체적으로 수직으로 위치하여 착석자의 등을 지지해 주는 단일한 하나의 등받이부(substantially vertical back member)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상체지지구조 (50)은 한 쌍의 상체지지구 (51)과 (51' )로 구성되며, 상체지지구 (51)과 (51' )는 서로에 대하여 거울 이미지 형태(mirror-image version)이며, 착석수단의 등받이 (61' )에 연결될 때 이 두 상체지지구 (51)과 (51' ) 는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떨어진 상태로 등받이 (61' )의 수직중앙선 P-P 를 따라 서로 대칭되게 연결되어, 이 두 상체지지구 (51)과 (51' ) 사이에 요홈이 형성되게 연결되며,
    이 두 상체지지구 (51)과 (51' ) 들은 등받이의 앞표면에 대체적으로 수직인 양상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착석수단의 등받이 (61' )의 수용부 (65)에 삽입되게 구성되며, 착석수단의 수용부 (65)는 등받이 멤버 (63)의 앞표면에 형성되며, 일정 거리를 두고 떨어지게 제공되는 두 상체지지구 (51)과 (51' ) 들을 충분히 수용할 깊이와 넓이 및 테두리를 따른 모양이 같은 외연적 형상(peripheral outline)을 가지게 구성되며,
    두 상체지지구 (51)과 (51' )의 몸체부 (53)과 (53' )은 각각 수평 단면으로 볼 때는 오목한 형상이며 수직 단면으로 보게 되면 얕은 S 형태로 구성되어 이 오목한 커브와 S 형 커브는 서로 함께 혼합되도록 구성되고,
    개개의 몸체부 (53)과 (53' )는 기본적으로 부등변 사각형 형태이며, 전체에 걸쳐 동일한 얇은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이 두 개의 몸체부 (53)과 (53' )은 그 전반적인 형태가 거꾸로 된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게 구성되고,
    상체지지구 (51)과 (51' )는 공지의 지지수단에 의해 등받이 멤버 (63) 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수단용 상체지지구조와 착석수단의 결합.
  4. 착석수단용 상체지지수단과 착석수단의 결합에 있어서,
    착석수단(sitting means)은 대퇴부와 골반을 지지해 주는 대체적으로 수평인 착석부(substantially horizontal seat member)와 착석부의 위쪽에, 대체적으로 수직으로 위치하여 착석자의 등을 지지해 주는 단일한 하나의 등받이부(substantially vertical back member)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상체지지구조 (50)은 한 쌍의 상체지지구 (51)과 (51' )로 구성되며, 상체지지구 (51)과 (51' )는 서로에 대하여 거울 이미지 형태(mirror-image version)이며, 착석수단의 등받이 (61' )에 연결될 때 이 두 상체지지구 (51)과 (51' ) 는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떨어진 상태로 등받이 (61' )의 수직중앙선 P-P 를 따라 서로 대칭되게 연결되어, 이 두 상체지지구 (51)과 (51' ) 사이에 요홈이 형성되게 연결되며, 이 두 상체지지구 (51)과 (51' ) 들은 등받이의 앞표면에 대체적으로 수직인양상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착석수단의 등받이 (61' )의 수용부 (65)에 삽입되게 구성되며, 착석수단의 수용부 (65)는 등받이 멤버 (63)의 앞표면에 형성되며, 일정 거리를 두고 떨어지게 제공되는 두 상체지지구 (51)과 (51' ) 들을 충분히 수용할 깊이와 넓이 및 테두리를 따른 모양이 같은 외연적 형상 (peripheral outline)을 가지게 구성되며,
    두 상체지지구 (51)과 (51' )은 각각 몸체부 (53), (53' )과 날개부 (55), (55' )로 구성되며, 날개부 (55), (55' )는 각각 몸체부 (53), (53' )의 각 외측 가장자리 부위로부터 일체로, 전면쪽으로 알맞게 구부러지게 연장되며,
    각각의 날개부 (55), (55' )는 몸체부 (53), (53' )의 외측 가장자리 부위를 따라 대체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그 수직방향을 따른 단면이 죽 곧은 직선형태로 구성되는 바, 몸체부 (53)과 (53' )의 수직 단면 S 형태가 날개부(55), (55' )쪽으로 옮아 가면서 점점 날개부의 직선 형태인 수직단면으로 변화하게 구성되며,
    몸체부 (53)과 (53' )은 각각 수평 단면으로 볼 때는 오목한 형상이며 수직단면으로 보게 되면 얇은 S 형태로 구성되어 이 오목한 커브와 S 형 커브는 서로 함께 혼합되도록 구성되고, 개개의 상체지지구 (51)과 (51' )은 정면으로 보았을 때 기본적으로 부등변 사각형 형태이며, 전체에 걸쳐 동일한 얇은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이 두 개의 두 상체지지구 (51)과 (51' )은 정면으로 보았을 때 그 전반적인 형태가 거꾸로 된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게 구성되고,
    상체지지구 (51)과 (51' )는 공지의 지지수단에 의해 등받이 멤버 (63) 에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수단용 상체지지구조와 착석수단의 결합.
  5. 착석수단용 상체지지수단과 착석수단의 결합에 있어서,
    착석수단(sitting means)은 셀 유형의 합판 판넬 의자로, 대퇴부와 골반을 지지해 주는 대체적으로 수평인 착석부(substanfially horizontal seat member)와 이 착석부에 연결된 띠쇠와 이 띠쇠의 상단부에 연결된 상체지지수단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체지지구조 (50)은 한 쌍의 상체지지구 (51)과 (51' )로 구성되며, 상체지지구 (51)과 (51' )는 서로에 대하여 거울 이미지 형태(mirror-image version)이며, 착석수단의 등받이 (61' )에 연결될 때 이 두 상체지지구 (51)과 (51' ) 는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떨어진 상태로 등받이 (61' )의 수직중앙선 P-P 를 따라 서로 대칭되게 연결되어, 이 두 상체지지구 (51)과 (51' ) 사이에 요홈이 형성되게 연결되며, 이 두 상체지지구 (51)과 (51' ) 들은 등받이의 앞표면에 대체적으로 수직인 양상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착석수단의 등받이 (61' )의 수용부 (65)에 삽입되게 구성되며, 착석수단의 수용부 (65)는 등받이 멤버 (63)의 앞표면에 형성되며, 일정 거리를 두고 떨어지게 제공되는 두 상체지지구 (51)과 (51' ) 들을 충분히 수용할 깊이와 넓이 및 테두리를 따른 모양이 같은 외연적 형상 (peripheral outline)을 가지게 구성되며,
    두 상체지지구 (51)과 (51' )의 몸체부 (53)과 (53' )은 각각 수평 단면으로 볼 때는 오목한 형상이며 수직 단면으로 보게 되면 얕은 S 형태로 구성되어 이 오목한 커브와 S 형 커브는 서로 함께 혼합되도록 구성되고,
    개개의 몸체부 (53)과 (53' )는 기본적으로 부등변 사각형 형태이며, 전체에 걸쳐 동일한 얇은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이 두 개의 몸체부 (53)과 (53' )은 그 전반적인 형태가 거꾸로 된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게 구성되고,
    상체지지구 (51)과 (51' )는 공지의 지지수단에 의해 등받이 멤버 (63) 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수단용 상체지지구조와 셀 유형의 합판 판넬로 구성된 착석수단의 결합.
  6. 착석수단용 상체지지수단과 착석수단의 결합에 있어서,
    착석수단(sitting means)은 셀 유형의 합판 판넬 의자로, 대퇴부와 골반을 지지해 주는 대체적으로 수평인 착석부(substantially horizontal seat member)와 이 착석부에 연결된 띠쇠와 이 띠쇠의 상단부에 연결된 상체지지수단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체지지구조 (50)은 한 쌍의 상체지지구 (51)과 (51' )로 구성되며, 상체지지구 (51)과 (51' )는 서로에 대하여 거울 이미지 형태(mirror-image version)이며, 착석수단의 등받이 (61' )에 연결될 때 이 두 상체지지구 (51)과 (51' ) 는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떨어진 상태로 등받이 (61' )의 수직중앙선 P-P 를 따라 서로 대칭되게 연결되어, 이 두 상체지지구 (51)과 (51' ) 사이에 요홈이 형성되게 연결되며,
    이 두 상체지지구 (51)과 (51' ) 들은 등받이의 앞표면에 대체적으로 수직인양상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착석수단의 등받이 (61' )의 수용부 (65)에 삽입되게 구성되며, 착석수단의 수용부 (65)는 등받이 멤버 (63)의 앞표면에 형성되며, 일정 거리를 두고 떨어지게 제공되는 두 상체지지구 (51)과 (51' ) 들을 충분히 수용할 깊이와 넓이 및 테두리를 따른 모양이 같은 외연적 형상 (Peripheral outline)을 가지게 구성되며,
    두 상체지지구 (51)과 (51' )은 각각 몸체부 (53), (53' )와 날개부 (55), (55' )로 구성되며, 날개부 (55), (55' )는 각각 몸체부 (53), (53' )의 각 외측 가장자리 부위로부터 일체로, 전면쪽으로 알맞게 구부러지게 연장되며,
    각각의 날개부 (55), (55' )는 몸체부 (53), (53' )의 외측 가장자리 부위를 따라 대체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그 수직방향을 따른 단면이 죽 곧은 직선형태로 구성되는 바, 몸체부 (53)과 (53' )의 수직 단면 S 형태가 날개부(55), (55' )쪽으로 옮아 가면서 점점 날개부의 직선 형태인 수직단면으로 변화하게 구성되며,
    몸체부 (53)과 (53' )은 각각 수평 단면으로 볼 때는 오목한 형상이며 수직단면으로 보게 되면 얕은 S 형태로 구성되어 이 오목한 커브와 S 형 커브는 서로 함께 혼합되도록 구성되고, 개개의 상체지지구 (51)과 (51' )은 정면으로 보았을 때 기분적으로 부등변 사각형 형태이며, 전체에 걸쳐 동일한 얇은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이 두 개의 두 상체지지구 (51)과 (51' )은 정면으로 보았을 때 그 전반적인 형태가 거꾸로 된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게 구성되고,
    상체지지구 (51)과 (51' )는 공지의 지지수단에 의해 등받이 멤버 (63) 에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수단용 상체지지구조와 셀 유형의 합판 판넬로 구성된 착석수단의 결합.
  7. 제 1항, 2항, 3항, 4항, 5항, 또는 6항의 의 상체지지구조에 있어서 상체지지구 (51)과 (51' )가 두 개의 좁은 스프링 판 (64)와 (64' )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것.
KR1020020069852A 2002-11-07 2002-11-07 상체 지지 구조 KR200400409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852A KR20040040986A (ko) 2002-11-07 2002-11-07 상체 지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852A KR20040040986A (ko) 2002-11-07 2002-11-07 상체 지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986A true KR20040040986A (ko) 2004-05-13

Family

ID=37338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9852A KR20040040986A (ko) 2002-11-07 2002-11-07 상체 지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098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95177B2 (ja) 姿勢保持具
US9480339B2 (en) Seat with pelvic support
EP2559358B1 (en) Lumbar support seat
US7607738B2 (en) Contoured seat and method
US4696516A (en) Contoured aircraft and car seat
JP6091423B2 (ja) 座具及び椅子
US20130226053A1 (en) Adjustable Postural Support Device
WO2009021245A2 (en) Back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same
KR102138836B1 (ko) 좌판 틸팅구조를 갖는 의자
KR100772167B1 (ko) 보조등받침을 갖는 의자
NO20170920A1 (en) Back rest to be used with seat or chair
KR102506194B1 (ko) 3d 탄력구조의 분할형 요추받침구를 갖는 의자용 등받이체
KR101815183B1 (ko) 디스크 방지용 방석
US3672360A (en) Spinal area back supporter and massaging device
KR20040040986A (ko) 상체 지지 구조
KR102574254B1 (ko) 탄력적인 입체 지지구조의 요추받침구가 구비된 의자용 등받이 프레임
KR19990046590A (ko) 의자등받이
JP2008110096A (ja) 福祉用椅子の背もたれおよび着座部
KR102506195B1 (ko) 3d 탄력구조의 일체형 요추받침구를 갖는 의자용 등받이체
KR102187059B1 (ko) 틸팅 및 트위스트를 유도하는 등받이를 갖는 의자
KR102597324B1 (ko) 척추교정이 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되는 좌대로 이루어진 의자.
KR20170048682A (ko) 휠체어용 자세 교정 시트
CN218922149U (zh) 一种可调节腰部靠垫
KR102661446B1 (ko) 기능성 좌식 의자
CN216256292U (zh) 一种有利于保持脊椎自然生理姿态的办公椅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