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509B1 - 다운 삼출 방지를 위한 재봉방법 - Google Patents

다운 삼출 방지를 위한 재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6509B1
KR102136509B1 KR1020200040281A KR20200040281A KR102136509B1 KR 102136509 B1 KR102136509 B1 KR 102136509B1 KR 1020200040281 A KR1020200040281 A KR 1020200040281A KR 20200040281 A KR20200040281 A KR 20200040281A KR 102136509 B1 KR102136509 B1 KR 102136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coating layer
coating solution
parts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현
Original Assignee
이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현 filed Critical 이도현
Priority to KR1020200040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5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5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6Sewing-cotton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metals; with metal-generat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on texti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D06M15/27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containing fluorin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32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alcohols or esters thereof
    • D06M15/33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alcohols or esters thereof of vinyl acetate; Polyvinylalcoh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69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or synthetic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3/00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D06M23/08Processes in which the treating agent is applied in powder or granular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운 삼출 방지를 위한 재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온 효과가 뛰어나 추운 기후에서도 체온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다운이 재봉선의 바늘 구멍을 통해 삼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방한 성능이 반영구적으로 지속될 수 있도록 하는, 다운 삼출 방지를 위한 재봉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운 삼출 방지를 위한 재봉방법{SEWING METHOD TO PREVENT DOWN EXUDATION}
본 발명은 다운 삼출 방지를 위한 재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온 효과가 뛰어나 추운 기후에서도 체온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다운이 재봉선의 바늘 구멍을 통해 삼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방한 성능이 반영구적으로 지속될 수 있도록 하는, 다운 삼출 방지를 위한 재봉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온이 낮고 찬 바람이 많이 부는 겨울철에는 오리털이나 거위털을 충전하여 제조한 패딩 점퍼 형태의 다운 자켓을 많이 착용한다. 이러한 다운 자켓은 본체를 형성하는 안감과 겉감 사이에 다운이 구획 개재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그 자체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적은 양으로도 공기를 많이 머금을 수 있어 보온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다운 자켓은 오리의 가슴털을 사용하기 때문에, 건조한 겨울철에도 적정한 습기를 보유하여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겨울철의 고급 의류 중 하나로 인식되어 왔다.
종래 기술에 따른 다운 자켓은 통상적으로 안감과 겉감을 각각 자켓 형태로 재단한 후, 재단된 안감과 겉감의 가장자리를 서로 맞댄 상태에서 그 가장자리들을 서로 합봉하기 위해 재봉한 다음, 안감과 겉감의 내부로 다운을 충전한 후, 내부에 횡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재봉하여 안감과 겉감 사이에 다수의 다운 격실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다운 격실을 형성하는 이유는 소비자가 다운 자켓을 장기간 입고 활동하거나 또는 운동 등을 할 경우, 다운 격실에 채워져 있는 다운이 다운 자켓의 하단부로 처짐을 방지하고, 각 다운 격실에 채워져 있는 다운이 혼류되거나 한쪽으로 몰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다운 자켓에서 다운이 집중된 부분만 보온을 유지하거나 두툼한 볼륨감이 있게 되어 다운 자켓의 고유 기능을 상실하기 않게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종래의 다운 자켓의 경우에는 안감과 겉감의 가장자리가 합봉되거나 다운 격실의 형성을 위해 횡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재봉되는 재봉선의 각 바늘구멍을 통해 내부의 다운이 빠져나오게 되고, 이에 따라 시간이 지날수록 보온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빠져나온 다운이 실내에서 삼출되어 외부로 비산될 경우에는 실내 청결 또는 위생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안감과 겉감 사이의 재봉선 상에 띠 형상의 양면 테이프 또는 심 실링 테이프가 개재된 상태에서 재봉하고, 이를 다림열이나 스팀열을 가해 양면 테이프 또는 심 실링 테이프가 열변형되어 수축되면서 안감과 겉감의 바늘 구멍을 메워주면서 이를 통해 다운이 삼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들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 양면 테이프 또는 심 실링 테이프를 상기 안감과 겉감 사이에 일일이 삽입하는 공정은 기계화가 힘들고 시간-노동 소모적이며, 상기 테이프가 장기간 사용 후 접착력을 상실하여 상기 안감 또는 겉감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다시 재봉선의 바늘 구멍으로 다운이 삼출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다운이 재봉선의 바늘 구멍을 통해 삼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방한 성능이 반영구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재봉방법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016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온 효과가 뛰어나 추운 기후에서도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다운이 재봉선의 바늘 구멍을 통해 삼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방한 성능이 반영구적으로 지속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라 다운 의류의 품질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재봉실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코팅층이 형성된 재봉실로 다운이 내장된 소정의 천을 재봉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이 내장된 소정의 천을 재봉한 재봉실에 열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코팅층은 라텍스,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니트릴-부타디엔 고무, 폴리이소부틸렌,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코팅액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 삼출 방지를 위한 재봉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팅액은, 열전도성 금속 나노입자 및 무기 중공입자를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층은, 라텍스,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니트릴-부타디엔 고무, 폴리이소부틸렌,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에 분산된 상기 열전도성 금속 나노입자 및 상기 무기 중공입자를 포함하는 코팅액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층은, 상기 라텍스,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니트릴-부타디엔 고무, 폴리이소부틸렌,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에 분산된 상기 열전도성 금속 나노입자 및 상기 무기 중공입자를 포함하는 코팅액으로 형성된 것이며, 열을 가함으로써 상기 코팅층에 포함된 상기 열전도성 금속 나노입자 및 상기 무기 중공입자가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팅층이 형성된 재봉실을 소정의 천에 재봉한 뒤 이에 열을 가하여 용융시킴으로써 재봉실이 재봉된 바늘 구멍을 막아주기 때문에, 바늘구멍을 통한 다운의 삼출이 방지되어 방한 성능을 반영구적으로 지속시킬 수 있다.
또한, 코팅액에 열을 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코팅액에 포함된 열전도성 금속 나노입자 및 무기 중공입자가 팽창됨으로써 코팅층이 천의 바늘 구멍을 효과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온 성능이 향상되어 추운 기후에서도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하, 본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의 이러한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측면은, 재봉실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코팅층이 형성된 재봉실로 다운이 내장된 소정의 천을 재봉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이 내장된 소정의 천을 재봉한 재봉실에 열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코팅층은 라텍스,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니트릴-부타디엔 고무, 폴리이소부틸렌,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코팅액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 삼출 방지를 위한 재봉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재봉실에 라텍스,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니트릴-부타디엔 고무, 폴리이소부틸렌,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코팅액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고, 이를 소정의 천에 재봉한 뒤 열을 가함으로써 상기 재봉실의 코팅층을 용융시켜 천의 안감과 겉감에 형성된 바늘구멍을 메워줌으로써 다운이 삼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재봉실에 라텍스,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니트릴-부타디엔 고무, 폴리이소부틸렌,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코팅액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재봉실을 직접적으로 노출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의류의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은 라텍스,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니트릴-부타디엔 고무, 폴리이소부틸렌,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및 폴리비닐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은 라텍스,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니트릴-부타디엔 고무, 폴리이소부틸렌,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과 함께, 용매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매는 상기 코팅액에 포함되는 물질을 용해 또는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아세토나이트릴, 디옥산, 에틸아세테이트,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디메틸술폭사이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는 약 1 내지 약 4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고무가 약 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4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용융에 필요한 열처리 시간이 지나치게 많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는 상기 코팅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1 내지 약 4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비닐아세테이트는 약 1 내지 약 6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폴리비닐아세테이트가 약 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6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코팅층이 용융되어 다시 굳기 전 흐르는 현상이 발생하여 의류를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폴리비닐아세테이트는 상기 코팅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1 내지 약 6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은 열전도성 금속 나노입자 및 무기 중공입자를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재봉실을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용매, 열전도성 금속 나노입자, 및 무기 중공입자를 포함하는 코팅액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한 뒤, 이를 소정의 천에 재봉하여 열을 가함으로써 상기 코팅층이 용융됨과 동시에 상기 열전도성 금속 나노입자 및 무기 중공입자 모두가 열에 의해 팽창함으로써 상기 천의 바늘구멍을 메워주어 다운의 삼출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 금속 나노입자는 금, 은, 구리, 백금, 알루미늄, 철, 망간,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구리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리의 열전도율은 401 W(k·m)으로 매우 높은 수준이며, 가격이 저렴하여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에, 상기 구리 나노입자가 분산 또는 용해된 코팅액을 사용하여 재봉실에 코팅층을 형성한 뒤 이를 소정의 천에 재봉하여 사용할 경우, 의류에 열이 빠르게 전달되어 보온 성능이 향상됨으로써 추운 기후에서도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금속 나노입자는 약 0.1 내지 약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금속 나노입자가 약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열전도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제조 단가가 급격하게 향상될 수 있으므로, 상기 금속 나노입자는 상기 코팅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1 내지 약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기 중공입자는 실리카, 지르코니아, 알루미나, 실리콘나이트라이드, 실리콘카바이드,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실리카 중공입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 중공입자는 약 0.1 내지 약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무기 중공입자가 약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무기 중공입자를 포함함으로써 나타나는 다운 삼출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의류가 우그러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무기 중공입자는 상기 코팅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1 내지 약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용매, 구리 나노입자, 및 실리카 중공입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재봉실에 코팅액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한 뒤, 코팅층이 형성된 재봉실로 소정의 천을 재봉하여 열을 가하는 단계는 약 60℃ 내지 약 300℃, 약 60℃ 내지 약 250℃, 약 60℃ 내지 약 200℃, 약 60℃ 내지 약 150℃, 약 150℃ 내지 약 300℃, 약 150℃ 내지 약 250℃, 약 150℃ 내지 약 200℃, 약 200℃ 내지 약 300℃, 또는 약 200℃ 내지 약 25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열을 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코팅층에 포함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및 폴리비닐아세테이트가 용융되어 천의 바늘구멍을 메워주고, 그와 동시에 상기 구리 나노입자 및 실리카 중공입자가 열에 의해 팽창하여 바늘구멍을 이중으로 메워주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은 천연 해충 기피제를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천연 해충 기피제는 레몬유칼립투스, 시트로넬라, 디레몬, 제라니올, 시트랄, 네롤 및 유칼립투스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레몬유칼립투스의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다.
레몬유칼립투스는 도금양과 상록관목의 식물로서, 호주가 원산지이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에 따르면 레몬유칼립투스 오일은 해충 퇴치제인 DEET의 유일한 대체제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이 천연 해충 기피제로서 레몬유칼립투스의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할 경우, 상기 코팅액으로부터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재봉실로 소정의 천을 재봉함으로써 의류를 입는 것 만으로도 간편하고 안전하게 방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천연 해충 기피제는 상기 코팅액 100 중량부에 대해서 약 0.5 내지 3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천연 해충 기피제가 약 0.5 중량부 미만이면, 목적하는 방충효과를 달성하기 어려우며, 약 3 중량부를 초과하면, 다른 성분과의 혼합성이 저해되어 성형성 및 내구성이 불량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은 난연제를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난연제는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인산일암모늄[(NH4)H2PO4], 인산이암모늄[(NH4)2HPO4], 인산삼암모늄[(NH4)3PO4], 황산암모늄(ammonium sulfate), 옥살산암모늄제1수화물[(NH4)2C2O4·H2O],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이 난연제를 포함할 경우, 상기 코팅액으로부터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재봉실로 소정의 천을 재봉함으로써 의류에 난연 효과를 부여하여 화기에 노출되더라도 의류 및 의류를 착용한 사람을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상기 코팅액 100 중량부에 대해서 약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난연제가 약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난연 효과를 달성하기 어려우며, 약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제조 공정의 단가가 상승할 수 있으므로, 상기 난연제는 상기 코팅액 100 중량부에 대해서 약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먼저, 재봉실에 하기 표 1의 코팅액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코팅층이 형성된 재봉실로 천을 재봉한 뒤, 240℃까지 열을 가하여 다운의 삼출을 방지할 수 있는 다운 의류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의 구성성분에 따라, 제조된 다운 의류를 각각 실시예 1 내지 3으로 명명하였다.
구성성분
(코팅액 100 중량부 기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에탄올 잔량 잔량 잔량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25.00 25.00 25.00
폴리비닐아세테이트 35.00 35.00 35.00
구리 나노입자 3.50 3.50 3.50
실리카 중공입자 2.00 2.00 2.00
레몬유칼립투스 에탄올 추출물 - 1.75 1.75
인산삼암모늄 - - 2.30
[비교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운 의류를 제조하되, 코팅액의 구성성분으로 하기 표 2와 같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천연 해충 기피제, 및 난연제를 포함하지 않고 혼합하여 비교예의 코팅액을 조성하였다.
구성성분
(코팅액 100 중량부 기준)
비교예
에탄올 잔량
실리콘 수지 60.00
구리 나노입자 3.50
실리카 중공입자 2.00
레몬유칼립투스 에탄올 추출물 -
인산삼암모늄 -
[실험예 1: 다운 삼출 방지 성능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다운 의류에 대해, 교반식 가정용 세탁기를 이용하여 다운 삼출 현상에 대한 내세탁성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내세탁성 테스트는 KS K ISO 6330에 의거하여 30±3℃의 온도에서 약사이클로 스파크(세제) 표준 사용량을 이용하여 진행하였으며, 판정기준은 삼출된 다운이 30 개 이상 발견된 경우 1급, 21 내지 29 개가 발견된 경우 2급, 11 내지 20 개가 발견된 경우 3 급, 10 개 이하가 발견된 경우 4급, 전혀 발견되지 않은 경우를 5급으로 하였다. 테스트 진행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테스트 대상 테스트 진행 결과
실시예 1 4급(6 개)
실시예 2 4급(6 개)
실시예 3 4급(2 개)
비교예 3급(16 개)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코팅액을 이용한 재봉실을 이용하여 제조된 다운 의류의 경우 비교예와 달리 모두 다운의 삼출이 극소수만이 발생한 매우 우수한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실험예 2: 단열 성능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다운 의류에 대해, KS K ISO 15381에 의거하여 단열성 측정 테스트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4에서 1 clo는 기온 21℃, 습도 50% 이하의 실내에서 성인 남자가 쾌적하다고 느끼며, 평균 피부온을 33℃로 유지할 수 있는 착의의 보온력을 의미한다(1 clo = It×6.45).
항목 단위 테스트 진행 결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It(clo) ℃·m2/W 0.042 0.048 0.049 0.038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코팅액을 이용한 재봉실을 이용하여 제조된 다운 의류의 경우 비교예의 다운 의류와 비교하여 단열성(보온성)을 나타내는 clo 값이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난연 성능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코팅액을 재봉실에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한 재봉실을 제조하고, 제조된 각각의 코팅 재봉실에 대하여 KS F 5660-1에 의거하여 콘칼로리미터 시험법을 통해 난연 성능을 평가하였다. 평가된 코팅 재봉실의 최대열방출율(peak heat release rate, HRR) 및 총열방출량(total heat release, THR)을 각각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최대열방출율(Kw/m2) 61.98 58.54 36.08 72.04
총열방출량(MJ/m2) 27.65 34.64 12.09 49.08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난연제 성분을 추가 포함하는 실시예 3의 코팅액을 이용해 코팅층을 형성한 재봉실의 경우, 가장 낮은 낮은 최대열방출율 및 총열방출량을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방충 성능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다운 의류에 대해 방충 성능을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 먼저 두 개의 상자를 준비하여 그 사이를 일정 두께의 관으로 연결한 뒤, 두 개의 상자 중 한 개의 상자에 일정 마리수의 모기를 투입한다. 이어서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의 다운 의류를 넣어 이에 대한 모기의 기피 반응을 유도하고, 모기가 다른 상자로 이동하는 기피 상태를 관찰하여 하기 식에 의해 모기기피율을 구하였다. 그 결과값은 표 6에 나타내었다.
모기 기피율(%) = (이동한 모기의 마리 수/공시 모기의 마리수) × 100
구분 모기 기피율(%)
실시예 1 13
실시예 2 82
실시예 3 86
비교예 8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 및 3의 다운 의류의 경우, 비교예와 비교하여 확연히 뛰어난 방충 성능을 나타내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3)

  1. 재봉실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코팅층이 형성된 재봉실로 다운이 내장된 소정의 천을 재봉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이 내장된 소정의 천을 재봉한 재봉실에 열을 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코팅층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에탄올, 구리 나노입자, 실리카 중공입자, 및 레몬유칼립투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팅액으로 형성된 것이며, 열을 가함으로써 상기 코팅층에 포함된 구리 나노입자 및 실리카 중공입자가 열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 삼출 방지를 위한 재봉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00040281A 2020-04-02 2020-04-02 다운 삼출 방지를 위한 재봉방법 KR102136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281A KR102136509B1 (ko) 2020-04-02 2020-04-02 다운 삼출 방지를 위한 재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281A KR102136509B1 (ko) 2020-04-02 2020-04-02 다운 삼출 방지를 위한 재봉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6509B1 true KR102136509B1 (ko) 2020-07-21

Family

ID=71832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281A KR102136509B1 (ko) 2020-04-02 2020-04-02 다운 삼출 방지를 위한 재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65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7896A (ko) * 2008-12-29 2010-07-08 한국세라믹기술원 은 나노입자 함유 메조포러스 실리카를 이용한 항균 및 흡습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KR101453346B1 (ko) * 2014-05-30 2014-10-23 이맥스플러스(주) 심 실링 테이프를 포함하는 다운자켓 및 이를 이용한 다운자켓의 재봉방법
KR101560163B1 (ko) 2015-06-19 2015-10-14 (주)아이블에프앤씨 다운 삼출 방지가 가능한 격자형 다운재킷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7896A (ko) * 2008-12-29 2010-07-08 한국세라믹기술원 은 나노입자 함유 메조포러스 실리카를 이용한 항균 및 흡습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KR101453346B1 (ko) * 2014-05-30 2014-10-23 이맥스플러스(주) 심 실링 테이프를 포함하는 다운자켓 및 이를 이용한 다운자켓의 재봉방법
KR101560163B1 (ko) 2015-06-19 2015-10-14 (주)아이블에프앤씨 다운 삼출 방지가 가능한 격자형 다운재킷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82302B (zh) 超吸收聚合物毡及其制造方法
US20080060113A1 (en) Garment with hydrophobic forearms
CZ54692A3 (en) Fireproof lining for garments
CA2683177C (en) Heat reflective yarn for an article of clothing
JP2020509248A (ja) 撥水性生地及びこれを含む撥水ダウン製品
WO2002074113A3 (en) Insect barrier garment
CN105951426B (zh) 一种环保型抗菌阻燃疏水面料
KR20120056814A (ko) 통기성 방충 패브릭
KR102136509B1 (ko) 다운 삼출 방지를 위한 재봉방법
US20170106015A1 (en) Article of apparel for topical delivery of bioresorbable material
CN209300328U (zh) 防风面料及服装
US5153055A (en) Fire-fighting appliance
CN105113052A (zh) 凉感聚酯纤维
US20130232676A1 (en) Insect Protective Garment
US6802081B1 (en) Moisture absorbing/releasing and heat generating inner cloth and method of producing it and moisture absorbing/releasing, heat generating and heat-retaining articles
KR20100014847A (ko) 직물 또는 망 또는 다른 종류의 무생물 재료의 상승작용에 의해 강화된 살충제 함침을 위한 방법 및 조성물
KR20160132516A (ko) 내유황성능을 갖는 비닐하우스용 폴리에틸렌 직조필름의 제조방법
JP3925178B2 (ja) ウインドブレーカー
US20080289090A1 (en) Performance wear formed of hydrophobic moisture management fabric
KR101803862B1 (ko) 금속판 도트를 이용한 냉감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냉감 원단
JP2815052B2 (ja) 防寒被服セット
KR102301777B1 (ko)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 제조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원단
KR102667892B1 (ko) 원적외선 방출에 의해 두피보호기능을 갖는 모자
RU2710686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теплозащитных свойств комплекта одежды, утеплитель на основе оленьей шерсти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и теплозащитный комплект одежды на его основе
CH337809A (de) Bekleidungsstü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