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777B1 -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 제조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원단 - Google Patents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 제조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원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1777B1 KR102301777B1 KR1020200049076A KR20200049076A KR102301777B1 KR 102301777 B1 KR102301777 B1 KR 102301777B1 KR 1020200049076 A KR1020200049076 A KR 1020200049076A KR 20200049076 A KR20200049076 A KR 20200049076A KR 102301777 B1 KR102301777 B1 KR 1023017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fabric
- polypropylene
- maintaining
- breathability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41000255925 Diptera Species 0.000 title description 27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6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0000001442 anti-mosquito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2344 surfac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4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20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4043 dye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077 insect repell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3296 saliva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41000238876 Acari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094 micro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940 repellen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2268 wool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10000003038 endothelium Anatomy 0.000 description 4
- QQONPFPTGQHPMA-UHFFFAOYSA-N propylene Natural products CC=C QQONPFPTGQHPM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125000004805 propylene group Chemical group [H]C([H])([H])C([H])([*:1])C([H])([H])[*:2]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17 insec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53 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11 α-olef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VXNZUUAINFGPBY-UHFFFAOYSA-N 1-Butene Chemical compound CCC=C VXNZUUAINFGPB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IKMAJRDDDTEIG-UHFFFAOYSA-N 1-hexene Chemical compound CCCCC=C LIKMAJRDDDTEI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WKAKUADMBZCLK-UHFFFAOYSA-N 1-oct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 KWKAKUADMBZCL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972 Acryl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44000223760 Cinnamomum zeylan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803 cinnam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YWAKXRMUMFPDSH-UHFFFAOYSA-N pentene Chemical compound CCCC=C YWAKXRMUMFPDS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209 synthetic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KJPRLNWUNMBNBZ-QPJJXVBHSA-N (E)-cinnamaldehyde Chemical compound O=C\C=C\C1=CC=CC=C1 KJPRLNWUNMBNBZ-QPJJXVBH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166675 Cymbopogon nard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791 Cymbopogon nard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713 Dermatophagoides farin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740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927 Foenicul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204 Foeniculum vulga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8152 Geran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78870 Lavandula angustifo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63 Lavandula angustifol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46386 Mentha puleg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257 Mentha puleg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76 Ocimum basil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926 Ocimum gratissim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LGRFSURHDFAFJT-UHFFFAOYSA-N Phthalic anhydride Natural products C1=CC=C2C(=O)OC(=O)C2=C1 LGRFSURHDFAFJ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674048 Phthirapt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31 Pinus X rigitae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613 Pinus brut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018646 Pinus brut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711 Pyroglyph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78231 Rosmarinus officin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8242 Siphonapt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00 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476 body wat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JHIWVOJDXOSYLW-UHFFFAOYSA-N butyl 2,2-difluorocyclopropane-1-carboxylate Chemical compound CCCCOC(=O)C1CC1(F)F JHIWVOJDXOSYL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8 case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BECPQYXYKAMYBN-UHFFFAOYSA-N casein, tech. Chemical compound NCCCCC(C(O)=O)N=C(O)C(CC(O)=O)N=C(O)C(CCC(O)=N)N=C(O)C(CC(C)C)N=C(O)C(CCC(O)=O)N=C(O)C(CC(O)=O)N=C(O)C(CCC(O)=O)N=C(O)C(C(C)O)N=C(O)C(CCC(O)=N)N=C(O)C(CCC(O)=N)N=C(O)C(CCC(O)=N)N=C(O)C(CCC(O)=O)N=C(O)C(CCC(O)=O)N=C(O)C(COP(O)(O)=O)N=C(O)C(CCC(O)=N)N=C(O)C(N)CC1=CC=CC=C1 BECPQYXYKAMYB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40 cas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17916 cinnamic aldehyde Drugs 0.000 description 1
- KJPRLNWUNMBNBZ-UHFFFAOYSA-N cinnamic aldehyde Natural products O=CC=CC1=CC=CC=C1 KJPRLNWUNMBN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632 citronella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8 core-shel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41 cymbopogon citratus dc and cymbopogon flexuosus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648 geranium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17 geranium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98 heat se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19 hom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6533 house dust mite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49 insecticid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545 inva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102 lavandula ver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219 lavend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62 lightweigh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923 long-la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TVMXDCGIABBOFY-UHFFFAOYSA-N n-Octanol Natural products CCCCCCCC TVMXDCGIABBOF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04 random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668 rosemary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58206 rosemary oi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059 synthetic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1 volati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8—Net structure, e.g. spaced apart filaments bonded at the crossing poi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the fibres or filaments of a layer being of different substances, e.g. conjugate fibres, mixture of different fib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4—Mixture of at least two fibre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 제조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원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표면층인 제 1 층, 중간층인 제 2 층, 그리고 이면층인 제 3 층으로 상부로부터 하부로 이루어져, 각 층 사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간격 유지층이 형성되는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의 제조 이후 상기 제 2 층의 제조 사이에, 상기 제 1 층 하부에 열 융착되는 상기 제 2 층과의 간격을 유지하여 통기성을 제공하는 제 1 간격 유지층을 성형하는 제 1 성형 단계; 및 상기 제 2 층의 제조 이후 상기 제 3 층의 제조 사이에, 상기 제 2 층 하부에 열 융착되는 상기 제 3 층과의 간격을 유지하여 통기성을 제공하는 제 2 간격 유지층을 성형하는 제 2 성형 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폴리프로필렌 원료에 의해 생성된 통기성의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원단과,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원단 외측에 폴리에틸렌 통기성 필름을 열 융착시켜 제 1 층을 형성하는 제 1 단계; 폴리프로필렌 원사와, 천연섬유 원사를 제직하여 제 2 층을 형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층 상부에 상기 제 1 층과의 간격을 유지하여 통기성을 제공하는 제 1 간격 유지층, 그리고 상기 제 2 층 하부에 제 3 층과의 간격을 유지하여 통기성을 제공하는 제 2 간격 유지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형성하는 제 3 단계; 폴리프로필렌 원사와, 천연섬유 원사를 제직하여 제 3 층을 형성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1 층, 상기 제 2 층, 상기 제 3 층을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한 뒤 열 융착을 수행하여,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을 제작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층간 차별화된 메쉬 원단 구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표면층, 이면층, 중간층의 삼중 구조를 구성하거나 각 층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간격 유지층을 삽입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모기의 내부 침입과 모기 침의 원단을 뚫고 들어와서 사용자를 무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밀도 높은 메쉬 원단구조의 통기성의 문제를 극복하여 실내 또는 실외에서 사용하는 의복, 침낭, 텐트 등에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간격 유치층의 배치를 통해 통기성을 극대화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모기의 침이 통과할 수 없도록 할 뿐만 아니라, 원단이 잘 헤어지지 않도록 하며, 다층으로 이루어진 원단의 메쉬홀 구조의 다각화와 각 메쉬홀의 직경 및 격벽 두께 변화뿐만 아니라, 간격 유지층의 통기구의 상하로 맞닿는 메쉬홀 구조의 차이를 이용해 상하로 통과하는 바람의 유입 및 유출 경로를 다원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격 유지층을 탄성소재로 형성함으로써, 다층의 원단끼리의 마찰에 의해 해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표면층인 제 1 층, 중간층인 제 2 층, 그리고 이면층인 제 3 층으로 상부로부터 하부로 이루어져, 각 층 사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간격 유지층이 형성되는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의 제조 이후 상기 제 2 층의 제조 사이에, 상기 제 1 층 하부에 열 융착되는 상기 제 2 층과의 간격을 유지하여 통기성을 제공하는 제 1 간격 유지층을 성형하는 제 1 성형 단계; 및 상기 제 2 층의 제조 이후 상기 제 3 층의 제조 사이에, 상기 제 2 층 하부에 열 융착되는 상기 제 3 층과의 간격을 유지하여 통기성을 제공하는 제 2 간격 유지층을 성형하는 제 2 성형 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폴리프로필렌 원료에 의해 생성된 통기성의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원단과,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원단 외측에 폴리에틸렌 통기성 필름을 열 융착시켜 제 1 층을 형성하는 제 1 단계; 폴리프로필렌 원사와, 천연섬유 원사를 제직하여 제 2 층을 형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층 상부에 상기 제 1 층과의 간격을 유지하여 통기성을 제공하는 제 1 간격 유지층, 그리고 상기 제 2 층 하부에 제 3 층과의 간격을 유지하여 통기성을 제공하는 제 2 간격 유지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형성하는 제 3 단계; 폴리프로필렌 원사와, 천연섬유 원사를 제직하여 제 3 층을 형성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1 층, 상기 제 2 층, 상기 제 3 층을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한 뒤 열 융착을 수행하여,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을 제작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층간 차별화된 메쉬 원단 구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표면층, 이면층, 중간층의 삼중 구조를 구성하거나 각 층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간격 유지층을 삽입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모기의 내부 침입과 모기 침의 원단을 뚫고 들어와서 사용자를 무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밀도 높은 메쉬 원단구조의 통기성의 문제를 극복하여 실내 또는 실외에서 사용하는 의복, 침낭, 텐트 등에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간격 유치층의 배치를 통해 통기성을 극대화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모기의 침이 통과할 수 없도록 할 뿐만 아니라, 원단이 잘 헤어지지 않도록 하며, 다층으로 이루어진 원단의 메쉬홀 구조의 다각화와 각 메쉬홀의 직경 및 격벽 두께 변화뿐만 아니라, 간격 유지층의 통기구의 상하로 맞닿는 메쉬홀 구조의 차이를 이용해 상하로 통과하는 바람의 유입 및 유출 경로를 다원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격 유지층을 탄성소재로 형성함으로써, 다층의 원단끼리의 마찰에 의해 해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 제조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원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모기의 내부 침입과 모기 침의 원단을 뚫고 들어와서 사용자를 무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밀도 높은 메쉬 원단구조의 통기성의 문제를 극복하여 실내 또는 실외에서 사용하는 의복, 침낭, 텐트 등에 사용하는 원단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 제조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원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기장, 텐트, 아웃도어 의류 등과 같이 주로 여름철에 실내 또는 야외에서 내부로 모기 등의 해충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모기 방지용 원단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모기 방지용 원단은 사용자에게 모기 등의 해충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면서 통풍은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메쉬 구조의 망(net) 형성하여 제공되어야 한다.
최근의 원단이 경량화를 이루고 있으므로, 모기 방지용 원단에 있어서, 다층의 원단을 겹쳐서 사용하므로, 통기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한계점이 있어 왔다.
또한, 경량화된 재질을 기능상의 이유로 각 기능을 구비한 원단을 여러 겹으로 적층하여 제조하는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각 원단층이 구겨지거나, 접혀진 형상이 남게 되는 한계점이 있어 왔다.
한편, 종래의 기술 1인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09-0042357호 "방충 원단 및 이를 이용한 방충 복(Insect Protection Cloth and the Clothes Using It)"은 해충이 인체로 접촉하지 못하도록 된 메쉬 구조를 갖고, 통기 성능을 갖는 외피; 상기 외피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외피와 인체 피부 간에 일정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된 두께를 갖고, 다수의 경량화 빈 공간을 형성하며, 통기 성능을 갖는 내피; 및 상기 외피와 내피의 접촉 면에 형성되어 외피와 내피를 일체로 결합하는 접합 층;을 포함하고, 상기 내피는 땀 흡수를 위한 다수의 미세공을 형성한 방충 원단과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방충 복을 제공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 1은 경량화와 통풍 구조에 대해서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지만, 각 원단층이 구겨지거나, 접혀진 형상이 남게 되는 문제, 다층의 원단끼리의 마찰에 의해 해어지는 문제, 그리고 원단 사이로의 해충의 통과에 대해서는 기술을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 2인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6-0099226호 "원단에 부착되는 기능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FUNCTIONAL COMPOSITE FOR STICKING ON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은 계피로부터 추출된 신남알데하이드를 함유하는 숙성 솔잎정유와 맥반석분말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맥반석분말의 입자내 공극에 솔잎정유를 충전시킨 후, 숙성 맥반석분말을 바인더와 혼합하여 침염법, 패딩법, 나염법 등과 같은 통상의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종래의 기술 3인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출원번호 제20-2008-0012463호 "방충용 섬유원단(FIBER CLOTH FOR INSECTICIDES)"은 섬유조직에 방충제를 결합시킨 섬유원단으로, 모기, 진드기, 이, 벼룩 등의 해충을 방지하는 방충용 의류 방충용 침구 제조를 위한 방충용 섬유원단을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 2 및 3은 단순한 방충제 등을 원단에 도입하는 방식으로 구조적으로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으며, 종래의 기술 1과 마찬가지로 각 원단층이 구겨지거나, 접혀진 형상이 남게 되는 문제, 다층의 원단끼리의 마찰에 의해 해어지는 문제에 대해서는 해결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종래의 기술 4인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2-0071833호 "방충용 원단(A moth-proof fabric)"은 통기성을 갖는 원단의 일측면에 상기 원단과 피부간에 일정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통기성을 갖는 섬유 또는 원단으로 제조된 보조층이 봉제 또는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 4는 종래의 기술 1과 마찬가지로 경량화와 통풍 구조에 대해서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지만 다층의 원단끼리의 마찰에 의해 해어지는 문제, 그리고 원단 사이로의 해충의 통과에 대해서는 기술을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모기의 내부 침입과 모기 침의 원단을 뚫고 들어와서 사용자를 무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밀도 높은 메쉬 원단구조의 통기성의 문제를 극복하여 실내 또는 실외에서 사용하는 의복, 침낭, 텐트 등에 사용하는 원단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 제조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원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간격 유치층의 배치를 통해 통기성을 극대화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모기의 침이 통과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 제조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원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층으로 이루어진 원단의 메쉬홀 구조의 다각화와 각 메쉬홀의 직경 및 격벽 두께 변화뿐만 아니라, 간격 유지층의 통기구의 상하로 맞닿는 메쉬홀 구조의 차이를 이용해 상하로 통과하는 바람의 유입 및 유출 경로를 다원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격 유지층을 탄성소재로 형성함으로써, 다층의 원단끼리의 마찰에 의해 해어지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기 위한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 제조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원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표면층인 제 1 층, 중간층인 제 2 층, 그리고 이면층인 제 3 층으로 상부로부터 하부로 이루어져, 각 층 사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간격 유지층이 형성되는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의 제조 이후 상기 제 2 층의 제조 사이에, 상기 제 1 층 하부에 열 융착되는 상기 제 2 층과의 간격을 유지하여 통기성을 제공하는 제 1 간격 유지층을 성형하는 제 1 성형 단계; 및 상기 제 2 층의 제조 이후 상기 제 3 층의 제조 사이에, 상기 제 2 층 하부에 열 융착되는 상기 제 3 층과의 간격을 유지하여 통기성을 제공하는 제 2 간격 유지층을 성형하는 제 2 성형 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원료에 의해 생성된 통기성의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원단과,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원단 외측에 폴리에틸렌 통기성 필름을 열 융착시켜 제 1 층을 형성하는 제 1 단계; 폴리프로필렌 원사와, 천연섬유 원사를 제직하여 제 2 층을 형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층 상부에 상기 제 1 층과의 간격을 유지하여 통기성을 제공하는 제 1 간격 유지층, 그리고 상기 제 2 층 하부에 제 3 층과의 간격을 유지하여 통기성을 제공하는 제 2 간격 유지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형성하는 제 3 단계; 폴리프로필렌 원사와, 천연섬유 원사를 제직하여 제 3 층을 형성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1 층, 상기 제 2 층, 상기 제 3 층을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한 뒤 열 융착을 수행하여,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을 제작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 2 층을 형성하는 다이아몬드형의 메쉬홀 구조에서 격벽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기 제 1 간격 유지층과 상기 제 2 간격 유지층의 지지부재의 한쪽 끝단이 격벽의 높이 방향으로 일직선상으로 서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간격 유지층의 각 지지부재의 반대편 끝단은 상기 제 1 층의 사격형의 메쉬홀 구조와 맞닿는 영역과 맞닿지 않은 공백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간격 유지층의 각 지지부재의 반대편 끝단은 상기 제 3 층의 오각형의 메쉬홀 구조와 맞닿는 영역과 맞닿지 않은 공백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 제조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원단은, 다층간 차별화된 메쉬 원단 구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표면층, 이면층, 중간층의 삼중 구조를 구성하거나 각 층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간격 유지층을 삽입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모기의 내부 침입과 모기 침의 원단을 뚫고 들어와서 사용자를 무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밀도 높은 메쉬 원단구조의 통기성의 문제를 극복하여 실내 또는 실외에서 사용하는 의복, 침낭, 텐트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 제조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원단은, 간격 유치층의 배치를 통해 통기성을 극대화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모기의 침이 통과할 수 없도록 할 뿐만 아니라, 원단이 잘 헤어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 제조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원단은, 다층으로 이루어진 원단의 메쉬홀 구조의 다각화와 각 메쉬홀의 직경 및 격벽 두께 변화뿐만 아니라, 간격 유지층의 통기구의 상하로 맞닿는 메쉬홀 구조의 차이를 이용해 상하로 통과하는 바람의 유입 및 유출 경로를 다원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격 유지층을 탄성소재로 형성함으로써, 다층의 원단끼리의 마찰에 의해 해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100a, 100b, 100c)과 달리 제 1 간격 유지층(140) 및/또는 제 2 간격 유지층(150)이 형성되지 않은 기초 원단(100) 구조를 나타낸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100a)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100b)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100c)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100a, 100b, 100c)과 달리 제 1 간격 유지층(140) 및/또는 제 2 간격 유지층(150)이 형성되지 않은 기초 원단(100) 구조를 나타낸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100a)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100b)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100c)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 제조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원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폴리프로필렌 원료에 대해서 압출 과정, 연신 과정, 안정화 과정, 메쉬 공정을 통해 생성된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이용해 10 내지 20 데니아(denier)인 통기성의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원단과,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원단 외측에 폴리에틸렌 통기성 필름을 열 융착시켜 제 1 층(110)을 형성한다(S10).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S10)에서는 폴리프로필렌 원료에 대해서 압출 과정, 연신 과정, 안정화 과정, 메쉬 공정을 통해 생성된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이용해 10 내지 20 데니아(denier)인 통기성의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원단을 활용한다.
단계(S10) 이후, 제 1 층(110) 하부에 후술하는 단계(S30)에서 제조되어 열 융착되는 제 2 층(120)과의 간격을 유지하여 통기성을 제공하는 제 1 간격 유지층(140)을 성형한다(S20). 여기서 제 1 간격 유지층(140)을 이루는 각 간격 지지부재는 제 1 층(110)과 제 2 층(120) 사이에 구성되어 제 1 층(110)과 제 2 층(120)의 간격을 일정 간격 이상 이격되게 하며, 제 1 층(110) 및 제 2 층(120)을 연결하는 지지부재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탄성력을 갖으며, 이중사출방식에 의해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간격 지지부재는 EVA 수지액, 우레탄 수지액, MC 나이론, 아크릴, 연질 PVC, 코어-쉘을 예를 들어 1 : 1 : 0.5 : 0.5 : 0.5 : 2의 중량비로 혼합된 합성수지를 이용함으로써, 열경화가 가능하며 탄성이 우수하다. 또한, 간격 지지부재로 형성된 제 1 간격 유지층(140)의 표면에는 다중의 패턴을 포함하는 다층의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표면강도가 향상됨과 동시에 굴곡 가공성도 우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1 간격 유지층(140)이 형성된 뒤, 시트로넬라 오일, 로즈마리 오일, 제라늄 오일, 레몬그라스 오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기퇴치제에 함침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단계(S20) 이후, 폴리프로필렌 10 내지 15 데니아인 폴리프로필렌 원사 55 내지 65 중량%와, 15 내지 20 데니아인 천연섬유 원사 35 내지 45 중량%를 제직하여 제 2 층(120)을 형성한 뒤, 제 1 층(110)의 상부로 열 융착한다(S30).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압출 과정, 연신 과정, 안정화 과정, 메쉬 공정을 통해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생성한 뒤, 섬유화 과정을 거친 폴리프로필렌 원사를 사용하여 제 2 층(120)을 형성한다.
단계(S30) 이후, 제 2 층(110) 하부에 후술하는 단계(S50)에서 제조되어 열 융착되는 제 3 층(130)과의 간격을 유지하여 통기성을 제공하는 제 2 간격 유지층(150)을 성형한다(S40).
제 2 간격 유지층(150)도 제 1 간격 유지층(140)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 형성한다. 그러나 제 1 간격 유지층(140)과 제 2 간격 유지층(150)의 간격 지지부재의 중앙에 형성된 통기홀의 크기는 사용자의 위치에 보다 가까운 제 2 간격 유지층(150)의 것이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40) 이후, 폴리프로필렌 원료에 대해서 15 내지 20 데니아인 폴리프로필렌 원사 47 내지 57 중량%와, 20 내지 25 데니아인 천연섬유 원사 43 내지 53 중량%를 사용하여 제직하여 제 3 층(130)을 형성한 뒤, 제 2 층(120) 상부에 열 융착한다(S50).
단계(S5)에서도 폴리프로필렌 원료에 대해서 압출 과정, 연신 과정, 안정화 과정, 메쉬 공정을 통해 생성된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생성한 뒤, 섬유화 과정을 거친 폴리프로필렌 원사를 이용하여 제 3 층(130)을 형성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100a, 100b, 100c)과 달리 제 1 간격 유지층(140) 및/또는 제 2 간격 유지층(150)이 형성되지 않은 기초 원단(100) 구조를 나타낸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100a) 구조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100b, 100c) 구조를 나타낸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기초 원단(100)은 표면층인 제 1 층(110), 중간층인 제 2 층(120), 이면층인 제 3 층(1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1 층(110)은 사격형의 메쉬홀 구조로 1㎜ 내지 1.5㎜ 사이의 직경을 가지는 사각형 격자를 갖으며, 제 1 층 원단을 이루는 각 사각형 격자의 측벽 두께가 0.3 내지 0.4mm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층(110)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이용해 생성된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대한 연신을 수행하여 연신 전후의 면적 비율이 10 내지 20배가 된 것을 사용함으로써, 최외각 층으로 외력에 의한 수축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 2 층(120)의 원단을 이루는 원사는 하나의 실시예로, 면, 모 등의 천연섬유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나,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아크릴계 섬유 또는 폴리올레핀계 섬유 등의 합성섬유로 형성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완성된 제품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2 층 원단은 메쉬 원단으로 형태안정성이 향상되도록 100 ℃ 내지 130 ℃의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메쉬 원단의 표면에 구겨지거나, 접혀진 형상이 남지 않고 쉽게 펴지게 하고, 외부의 이물질에 의한 오염 및 세탁시 형태의 변화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층 원단은 제 1 층(110)을 통과한 모기 및 해충의 침입을 막기 위한 것으로, 통풍은 쉽게 이루어지고 모기 및 해충의 침은 쉽게 침입하지 못하도록 제 1 층(110)의 격자보다 작은 0.5㎜ 내지 1㎜ 내외 직경을 가지는 다이아몬드형의 메쉬홀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다이아몬드형의 메쉬홀 구조는 제 1 층(110)의 원단을 이루는 사격형의 메쉬홀의 내부에서 교차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제 2 층 원단을 이루는 각 다이아몬드 격자의 측벽 두께가 제 1 층 원단의 격자의 측벽 두께보다 작은 0.1mm 내지 0.2mm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쉽게 오각형의 메쉬홀 구조가 펴지고 구부러져서 제 1 층(110)과 제 3 층(130) 사이에서 다이아몬드 격자를 구성하는 측벽이 상하의 측벽보다 높은 자유도에 따라 유동성을 갖음으로써, 사용에 따라 제 2 층(120)에 유입된 먼지 제거에 있어서 유용한 효과가 있으며, 사용자가 착용시 이동에 따라 공기 통로가 유동적으로 형성되어 통풍이 수월한 효과를 제공한다.
제 3 층(130)의 원단을 이루는 원사는 제 2 층(120)의 것과 동일하게 면, 모 등의 천연섬유나,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아크릴계 섬유 또는 폴리올레핀계 섬유 등의 합성섬유로 형성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완성된 제품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제 3 층(130)의 원단은 제 1 층(110) 및 제 2 층(120)을 통과한 모기 및 해충의 침입을 막기 위한 것으로, 통풍은 쉽게 이루어지고 모기 및 해충의 침은 쉽게 침입하지 못하도록 1㎜ 내지 1.5㎜ 내외 직경을 가지는 오각형의 메쉬홀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제 3 층(130)은 제 1 층(110) 및 제 2 층(120)의 내측에서 모기 및 해충의 침의 침투를 막기 위한 것으로, 제 2 층(120)과 함께, 외부의 모기 및 해충의 침입, 그리고 모기 및 해충 침의 침투를 하지 못하도록 이중의 차단막 역할을 하며, 제 2 층(120)을 구성하는 다이아몬드형의 메쉬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데 반해, 오각형형의 메쉬홀 구조에서 각 오각형 격자의 측벽 두께가 0.3 내지 0.4mm로 제 2 층(120)을 구성하는 다이아몬드 격자의 측벽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통기성이 제 2 층(120)보다 뛰어나면서도, 피부와 직접 맞닿아서 외력에 의해 출렁이는 경우에 오각형의 메쉬홀 구조가 다이아몬드형의 메쉬홀 구조보다 구조 유지력에 있어서는 뛰어난 장점을 제공한다.
한편, 제 1 층(110)을 구성하는 연신된 폴리프로필렌 시트는, 가로축 및 세로축 연신을 모두 수행한 것으로, 연신 후 열안정화 과정 사이에 다중 이송 롤러에 의해 제공되는 장력을 이용한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대한 연성화와 함께 니들 스플릿(needle split) 방식에 의한 사각형의 메쉬홀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메쉬(mesh) 공정에 따라 사각형 격자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형성하기 위한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살펴보면, 호모-폴리머 폴리프로필렌(Homo-Polymer Polypropylene) 원료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제 1 층(110)은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이용한 10 내지 20 데니아(denier)인 통기성의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원단과,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원단 외측에 폴리에틸렌 통기성 필름을 100 내지 150℃ 온도로 열 융착시켜 하기의 [표 1]의 물성을 갖는 원단으로 형성된다. 한편, 폴리에틸렌 통기성 필름은 텐트 등과 같은 주로 여름철에 사용하는 야외용 구조물 원단, 아웃도어 의류에 사용될 수 있으며, 실내용 모기장, 속옷 등에는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항목 |
인장강도 (kgf/25mm) |
인장신도 (%) |
투습도 (g/m2/24h) |
발수도 (%) |
내수도 (CmH2O) |
||
길이 | 폭 | 길이 | 폭 | ||||
측정값 | 9.2 | 6.5 | 92.1 | 96.2 | 3532 | 100 | 178.3 |
이와 같이 [표 1]에서와 같이 제 1 층(110)을 구성하는 원단은 내수도, 투습도, 발수도 등이 우수하여 외층에 통기성 폴리에틸렌필름이 미세분진 및 액상물질을 차단하는 능력이 뛰어난 효과를 제공한다.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10 내지 20 데니아(denier)인 통기성의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원단 외측에 우레탄 접착제를 사선 또는 그물망의 형태로 분사하여 폴리에틸렌 통기성 필름을 접착하여 제 1 층(110) 원단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원료는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또는 2 내지 8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다른 α-올레핀과의 블록 또는 불규칙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α-올레핀의 바람직한 예로는 1-부텐(1-butene), 1-펜텐(1-pentene), 1-헥센(1-hexene) 및 1-옥텐(1-octene) 등이 있으며, 프로필렌과 공중합되는 α-올레핀의 양은 프로필렌 1 몰당 20 내지 50 몰%이다. 폴리프로필렌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100,000 g/mol 이상, 용융지수는 5 내지 7 g/10분(230℃)이어야 한다.
한편, 제 2 층(120)의 원단은 섬도가 10 내지 15 데니아인 폴리프로필렌 원사 55 내지 65 중량%와, 섬도가 15 내지 20 데니아인 면, 모 등의 천연섬유 원사 35 내지 45 중량%를 사용하여 폴리프로필렌 원사와 천연섬유를 경위사를 각각 420 내지 550 본/인치의 밀도로 제직하며, 천연섬유 원사는 폴리프로필렌 원사 15 내지 30 본 당 1본으로 배열하여 제직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층(120)의 원단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원사를 제조하기 위해 상술한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압출기를 이용해 압출하여 폴리프로필렌 압출 용융물 형성하는데, 여기서 폴리프로필렌 원료는 폴리프로필렌 수지(polypropylene resin)의 농도가 75 내지 77wt.%인 것을 사용하며, 220 내지 240 ℃의 온도에서 용해시킨다.
폴리프로필렌 압출 용융물에 대한 T-die 방식을 이용해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생성하고 냉각시킨 뒤,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대한 가이드 롤러에 의한 연신기로 이송에 따른 가열 방식 연신이 수행됨으로써,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대한 연신 전후의 면적 비율이 10 내지 15배 바람직하게는 1 : 15 배가 증가하도록 한다.
여기서, 연신기 내부의 온도는 190 내지 200 ℃ 되도록 하여 연신된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대한 가열을 수행하여,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구성하는 중합체의 사슬 구조를 늘린 상태로 연신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연신 효율을 극대화시킨다.
여기서 연신기가 200 ℃를 초과하여 온도가 높아지는 경우 분자의 자유도가 높아져 분자의 배향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연신기가 190 ℃보다 낮은 내부 온도를 갖는 경우, 연신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폴리프로필렌 시트가 연신되지 못하고 끊어지는 현상이 일어난다. 그리고 연신된 프로필렌 시드에 대한 적어도 한 차례 이상의 2차 가열을 통해 안정화를 수행하는데, 연신기 내의 가열 방식에 의한 연신 수행 뒤, 연신에 수행된 온도와 안정화를 위한 온도 간에는 1 : 1.2 내지 1.25의 비율로 설정되어 수행된다. 즉, 안정화기 상에서의 가열 온도는 240℃ 내지 250 ℃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정화에 따라 연신 배향 후 섬유의 구조상의 안정성을 부여하여 온도 범위에서 열고정을 수행하여, 연신 공정과 메쉬 공정을 거쳐 배향된 폴리프로필렌 시트 분자가 온도 범위 내에서는 배향된 분자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안정화 과정에 의해 섬도가 10 내지 15 데니아인 폴리프로필렌 원사 55 내지 65 중량%와, 섬도가 15 내지 20 데니아인 면, 모 등의 천연섬유 원사 35 내지 45 중량%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제 2 층(120)의 물리적 특성 중 수축률이 20% 미만으로 현저하게 상승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다음으로 제 3 층(130)의 원단은 섬도가 15 내지 20 데니아인 폴리프로필렌 원사 35 내지 내지 65 중량%와, 섬도가 20 내지 25 데니아인 면, 모 등의 천연섬유 원사 35 내지 45 중량%를 사용하여 폴리프프로플렌 원사와 천연섬유를 경위사를 각각 4500 내지 650 본/인치의 밀도로 제직하며, 천연섬유 원사는 폴리프로필렌 원사 15 내지 30 본 당 1본으로 배열하여 제직할 수 있다.
한편, 제 3 층(130)을 형성하기 위한 섬도가 15 내지 20 데니아인 폴리프로필렌 원사를 형성하기 위한 압출 과정, 연신 과정, 안정화 과정, 메쉬 공정은 제 2 층(120)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층(110)과 제 2 층(120) 사이에 외부로 모기 및 해충이 접근하지 못하게 하거나, 접촉한 모기 및 해충을 효과적으로 살충하기 위하여, 천연 기피성분을 마이크로 캡슐을 이용하여 도포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 캡슐은 젤라틴, 카세인 등의 수용성 단백질, 셀룰로스 등의 탄수화물, 비닐화합물 및 프탈산무수물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합성고분자 등으로 벽물질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간이 구비된 것으로, 마이크로 캡슐에 천연 기피성분을 내장한 경우에는 살충성분 또는 천연 기피성분의 지속기간이 오래 지속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마이크로 캡슐은 제 1 층(110)과 제 2 층(120) 사이의 원사에 내장될 수 있으며, 제 1 층(120)과 제 2 층(120)을 부착하는 경우, 천연 기피성분을 내장한 마이크로 캡슐을 혼입하여 방사하여 내장시키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층(10 및 20)이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경우, 원사인 상태로 가공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혼입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캡슐을 제 1 층(110)과 제 2 층(120) 사이에 도포된 경우 천연 기피성분의 지속기간이 증가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천연 기피성분은 모기 및 해충이 접근을 기피하도록 작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특히, 천연 식물에서 추출한 추출물로 구비하여 인체에 해가 적으며, 계피(cinnamon), 시트로넬라(citronella), 제라늄(geranium), 로즈마리(rosemary) 또는 회향(fennel)에서 추출된다.
또한, 천연 기피성분은 모기 및 해충이 기피하는 다른 천연성분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라벤더, 페니로얄민트, 바질 등의 허브류에서 추출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황토염료를 활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3 층(130) 중 사용자의 피부와 가까운 제 2 층(120)과의 사이 영역에, 순수 황토입자 중량비 5 내지 10%와 카치온 2%를 포함하는 황토염료를 제 3 층(130)을 구성하는 원단 전체 중량비 대비 500% 염액으로 준비하여 염색함으로써, 황토염색층을 구성하는 공정을 추가함으로써, 진드기 방지 및 항균 살충기능이 추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층(110)의 외면에는 일반적인 색상을 갖는 염료가 염색된 염료염색층 형성 과정을 더 추가하고, 그 위에 다시 상술한 황토염료를 이용한 황토염색층을 추가할 수 있다. 황토염료가 염색되어 있기는 하지만 그 층이 두껍지 않고 황토성분이 갖는 비중이 적절히 배합되어 있으므로 내부의 일반염료에 의한 색상은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이 황토염색층을 2중으로 형성할 경우, 먼지 진드기가 근접하지 못하거나 살아남지 못하며, 이는 황토 성분에 의한 것으로, 황토는 스스로 습도를 조절하는 기능이 있고 진드기는 몸의 80% 이상이 수분이므로 황토의 근처에 진드기가 있으면 진드기 몸의 수분을 황토가 흡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몸의 수분을 빼앗긴 진드기는 살 수가 없게 되는 것이다.
[표 2]는 본 발명에 의한 해충 방지용 원단에 상술한 2중의 황토염색층을 형성하는 경우, 원단에 집먼지 진드기 서식방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다. 시험에 사용된 진드기는 큰다리 먼지 진드기(Dermatophagoides farinae) 및 세로무늬 먼지 진드기(Dermatophagoi des pteronyssinus)이다.
구분 |
초기 진드기수 | 진드기 생존수 | 기피율(%) | ||||
D.f | D.p | D.f | D.p | D.f | D.p | ||
비교예 | 5.7 X 10 4 | 6.9 X 10 4 | 5.5 X 10 3 | 6.6 X 10 4 | |||
시험예 | 1 | 5.4 X 10 4 | 6.4 X 10 4 | 1.5 X 10 4 | 2.3 X 10 4 | 36 | 28 |
2 | 5.2 X 10 4 | 6.3 X 10 4 | 1.2 X 10 4 | 2.2 X 10 4 | 43 | 29 | |
2 | 5.1 X 10 4 | 6.6 X 10 4 | 1.1 X 10 4 | 1.8 X 10 4 | 46 | 37 |
여기서 비교예는 제 1 내지 제 3 층으로 형성된 본 발명에 의한 해충 방지용 원단 구조에 전혀 황토염색층을 형성하지 않은 것이며, 시험예 1은 제 2 층(120)과 제 3 층(130) 사이에 1단의 황토염색층을 형성한 경우이고, 시험예 2는 시험예 1의 1 단의 황토 염색층에 염료염색층 없이 황토염색층을 추가하여 2 단의 황토염색층을 형성한 경우이고, 시험예 3은 시험예 2의 2 단의 황토 염색층에 상술한 염료염색층도 추가된 경우의 결과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100a) 구조는 제 3 층(130)과 제 2 층(120) 사이에 제 2 간격 유지층(15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100b) 구조는 제 1 층(110)과 제 2 층(120) 사이에 제 1 간격 유지층(14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100b) 구조는 제 1 층(110)과 제 2 층(120) 사이에 제 1 간격 유지층(140)과, 제 2 층(120)과 제 3 층(130) 사이에 제 2 간격 유지층(150)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도 1의 단계(S20) 및 단계(S40)와 달리 제 2 층(120)을 먼저 형성한 뒤, 제 2 층(120)을 기준으로 제 1 간격 유지층(140)과 제 2 간격 유지층(150)이 상하로 순차적으로 형성한 뒤, 제 1 층(110)과 제 3 층(130) 사이에 열 융착시키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나타내는 것이 도 5의 흐름도이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폴리프로필렌 원료에 대해서 압출 과정, 연신 과정, 안정화 과정, 메쉬 공정을 통해 생성된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이용해 10 내지 20 데니아(denier)인 통기성의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원단과,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원단 외측에 폴리에틸렌 통기성 필름을 열 융착시켜 제 1 층(110)을 형성한다(S110).
단계(S110) 이후, 폴리프로필렌 10 내지 15 데니아인 폴리프로필렌 원사 55 내지 65 중량%와, 15 내지 20 데니아인 천연섬유 원사 35 내지 45 중량%를 제직하여 제 2 층(120)을 형성한다(S120).
단계(S130) 이후, 제 2 층(120) 상부에 제 1 층(110)과의 간격을 유지하여 통기성을 제공하는 제 1 간격 유지층(140), 및/또는 제 2 층(120) 하부에 제 3 층(130)과의 간격을 유지하여 통기성을 제공하는 제 2 간격 유지층(150)을 형성한다(S130).
단계(S130) 이후, 폴리프로필렌 원료에 대해서 15 내지 20 데니아인 폴리프로필렌 원사 47 내지 57 중량%와, 20 내지 25 데니아인 천연섬유 원사 43 내지 53 중량%를 사용하여 제직하여 제 3 층(130)을 형성한다(S140).
단계(S140) 이후, 제 1 층(110), 제 2 층(120), 제 3 층(130)을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한 뒤 열 융착을 수행함으로써,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을 제작할 수 있다(S150).
이 경우, 제 2 층(120)을 형성하는 다이아몬드형의 메쉬홀 구조에서 격벽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제 1 간격 유지층(140)과 제 2 간격 유지층(150)의 지지부재의 한쪽 끝단이 격벽의 높이 방향으로 일직선상으로 서 있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각 지지부재의 반대편 끝단이 제 1 층(110)의 사각형의 메쉬홀 구조, 제 3 층(130)의 오각형의 메쉬홀 구조와 맞닿는 영역과 맞닿지 않은 공백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맞닿는 영역은 각 지지부재의 두 개의 인접하는 층간(제 1 층과 제 2 층, 제 3 층과 제 2 층) 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면, 공백 영역은 통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기초 원단
100a, 100b, 100c :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
110 : 제 1 층
120 : 제 2 층
130 : 제 3 층
140 : 제 1 간격 유지층
150 : 제 2 간격 유지층
100a, 100b, 100c :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
110 : 제 1 층
120 : 제 2 층
130 : 제 3 층
140 : 제 1 간격 유지층
150 : 제 2 간격 유지층
Claims (5)
- 표면층인 제 1 층, 중간층인 제 2 층, 그리고 이면층인 제 3 층으로 상부로부터 하부로 이루어져, 각 층 사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간격 유지층이 형성되는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의 제조 이후 상기 제 2 층의 제조 사이에, 상기 제 1 층 하부에 열 융착되는 상기 제 2 층과의 간격을 유지하여 통기성을 제공하는 제 1 간격 유지층을 성형하는 제 1 성형 단계; 및 상기 제 2 층의 제조 이후 상기 제 3 층의 제조 사이에, 상기 제 2 층 하부에 열 융착되는 상기 제 3 층과의 간격을 유지하여 통기성을 제공하는 제 2 간격 유지층을 성형하는 제 2 성형 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 제조 방법.
- 삭제
- 폴리프로필렌 원료에 의해 생성된 통기성의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원단과,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원단 외측에 폴리에틸렌 통기성 필름을 열 융착시켜 제 1 층을 형성하는 제 1 단계;
폴리프로필렌 원사와, 천연섬유 원사를 제직하여 제 2 층을 형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층 상부에 상기 제 1 층과의 간격을 유지하여 통기성을 제공하는 제 1 간격 유지층, 그리고 상기 제 2 층 하부에 제 3 층과의 간격을 유지하여 통기성을 제공하는 제 2 간격 유지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형성하는 제 3 단계;
폴리프로필렌 원사와, 천연섬유 원사를 제직하여 제 3 층을 형성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1 층, 상기 제 2 층, 상기 제 3 층을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한 뒤 열 융착을 수행하여,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을 제작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 2 층을 형성하는 다이아몬드형의 메쉬홀 구조에서 격벽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기 제 1 간격 유지층과 상기 제 2 간격 유지층의 지지부재의 한쪽 끝단이 격벽의 높이 방향으로 일직선상으로 서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 제조 방법.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간격 유지층의 각 지지부재의 반대편 끝단이 상기 제 1 층의 사각형의 메쉬홀 구조와 맞닿는 영역과 맞닿지 않은 공백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 제조 방법.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2 간격 유지층의 각 지지부재의 반대편 끝단이 상기 제 3 층의 오각형의 메쉬홀 구조와 맞닿는 영역과 맞닿지 않은 공백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9076A KR102301777B1 (ko) | 2020-04-23 | 2020-04-23 |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 제조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원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9076A KR102301777B1 (ko) | 2020-04-23 | 2020-04-23 |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 제조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원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01777B1 true KR102301777B1 (ko) | 2021-09-14 |
Family
ID=77774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49076A KR102301777B1 (ko) | 2020-04-23 | 2020-04-23 |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 제조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원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1777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9249B1 (ko) * | 2007-10-30 | 2009-03-17 | 주식회사 한스물산 | 통기성필름과 부직포를 적층시킨 하우스랩용 필름 |
KR20120087530A (ko) * | 2011-01-28 | 2012-08-07 |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 탄성 부직포 복합체 |
KR20150117113A (ko) * | 2014-04-09 | 2015-10-19 | 조제목 |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 마스크 |
-
2020
- 2020-04-23 KR KR1020200049076A patent/KR10230177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9249B1 (ko) * | 2007-10-30 | 2009-03-17 | 주식회사 한스물산 | 통기성필름과 부직포를 적층시킨 하우스랩용 필름 |
KR20120087530A (ko) * | 2011-01-28 | 2012-08-07 |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 탄성 부직포 복합체 |
KR20150117113A (ko) * | 2014-04-09 | 2015-10-19 | 조제목 |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 마스크 |
Non-Patent Citations (4)
Title |
---|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출원번호 제20-2008-0012463호 "방충용 섬유원단(FIBER CLOTH FOR INSECTICIDES)" |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09-0042357호 "방충 원단 및 이를 이용한 방충 복(Insect Protection Cloth and the Clothes Using It)" |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2-0071833호 "방충용 원단(A moth-proof fabric)" |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6-0099226호 "원단에 부착되는 기능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FUNCTIONAL COMPOSITE FOR STICKING ON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98419B2 (en) | Multi-component combination yarn system for moisture management in textiles and system for producing same | |
EP0448714B1 (en) | Process for producing a fabric having overlapping strips | |
US4343853A (en) | Antimicrobially treated fabric construction | |
DE60009306T2 (de) | Verbesserungen an oder in bezug auf abstandsstoffe | |
US20050003728A1 (en) | Anti-microbial fiber and fibrous products | |
US20130196109A1 (en) | Insulated Composite Fabric | |
US20050136100A1 (en) | Hollow anti-microbial fibers and fibrous products | |
CZ305230B6 (cs) | Bariérová textilie | |
CN104015405B (zh) | 复合防蚊虫面料 | |
US7926307B1 (en) | Double sided polypropylene knit loop fabric | |
CN104210200A (zh) | 功能性透气膜复合无纺布 | |
CN104486946A (zh) | 牢固的杀昆虫的网帐 | |
KR102301777B1 (ko) | 통기성과 모기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원단 제조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원단 | |
KR101681162B1 (ko) | 항균성 더블 라셀 원단 | |
CN204149630U (zh) | 功能性透气膜复合无纺布 | |
CN212400558U (zh) | 一种具有防蚊虫功能的面料 | |
CN106042539A (zh) | Sms复合无纺布 | |
CN217298182U (zh) | 一种防虫抗菌针织面料 | |
US7984627B2 (en) | Method for making life vest having double-knitted fabrics | |
JP3246724U (ja) | 防虫繊維 | |
JPH0726303B2 (ja) | 特殊な構造を有する布帛の製造法 | |
CN213704806U (zh) | 一种隔热保温无纺布 | |
CN212097814U (zh) | 一种新型复合吸湿牛津布 | |
JP3097738U (ja) | ネット状シート | |
KR102679031B1 (ko) | 방수 및 자외선 차단 기능성 아웃도어 의류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