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276B1 - 다단 변속기 킥다운 변속 시 클러치 발열량 감소를 위한 해방제어 구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다단 변속기 킥다운 변속 시 클러치 발열량 감소를 위한 해방제어 구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6276B1
KR102136276B1 KR1020180155350A KR20180155350A KR102136276B1 KR 102136276 B1 KR102136276 B1 KR 102136276B1 KR 1020180155350 A KR1020180155350 A KR 1020180155350A KR 20180155350 A KR20180155350 A KR 20180155350A KR 102136276 B1 KR102136276 B1 KR 102136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shift
release
time
releas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8402A (ko
Inventor
김진영
김병옥
유연호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5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276B1/ko
Publication of KR20200068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8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 F16H59/72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dependent on oil characteristics, e.g. temperature, viscos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6Dynamometric measurement of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8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6Inhibiting or initiating shift during unfavourable conditions, e.g. preventing forward reverse shift at high vehicle speed, preventing engine over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2059/366Engine or motor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8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 F16H59/72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dependent on oil characteristics, e.g. temperature, viscosity
    • F16H2059/725Sensing or calculating temperature of friction devices, e.g. clutches to prevent overheating of friction lin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 변속기 킥다운 변속 시 클러치 발열량 감소를 위한 해방제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킥다운 변속 이너셔 구간의 변속시간 중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유압을 재생성하여 발열량 축소 해방 제어를 구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킥다운 변속의 이너셔 구간을 줄여 해방 제어 클러치의 발열을 낮추고 클러치의 크기를 작게 만들 수 있다.

Description

다단 변속기 킥다운 변속 시 클러치 발열량 감소를 위한 해방제어 구조 및 그 방법{STRUCTURE FOR KICK DOWN SHIFT CONTROL OF RELEASE OIL PRESSURE IN MULTI SPEED TRANSMISSION AND THE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다단 변속기 킥다운 변속 시 클러치 발열량 감소를 위한 해방제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킥다운 변속 이너셔 구간의 변속시간 중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유압을 재생성하여 발열량 축소 해방 제어를 구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엑셀레이터 페달을 밟아 킥다운 변속을 요청하면, TCU(transmission Control Unit)는 지정된 변속선에 의거 타겟 단을 설정하며 현재 단에서 타겟 단까지 킥다운 변속을 구현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이 존재하는 구간에서 RPM 변동(클러치 슬립) 발생 시 열이 발생된다.
즉 다단화 변속기에서 단간비가 큰 킥다운 변속시(예 : 킥다운 8-3 변속) RPM 상승 구간(이너셔 구간)이 길어진다.
종래의 킥다운 변속의 이너셔 구간이 길어지면 해방 제어 클러치의 발열이 높아질 수 밖에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349539호 한국등록특허 제1822274호 한국등록특허 제150603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해방 제어 클러치의 발열과 클러치 사이즈 확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단 변속기 킥다운 변속 시 클러치 발열량 감소를 위한 해방제어 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TCU가 킥다운 변속 이너셔 구간의 변속시간 중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유압을 재생성하여 발열량 축소 해방 제어를 구현한다.
상기 킥다운 변속 이너셔 구간의 변속시간을 예측하는 것은 현재단 및 타겟단 RPM, 차량 가속도, 엑셀레이터 페달량, 및 엔진 토크를 통해 TCU가 계산하여 예측한다.
상기 변속시간의 예측 시간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 TCU가 클러치 발열량 축소 해방 제어한다.
상기 클러치 발열량 축소 해방 제어는 TCU가 변속 시작 시 완전 해방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제어를 위한 유압을 재생성하여 클러치 발열량 축소 해방 제어한다.
상기 변속시간의 예측 시간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기존 해방 제어와 동일하게 TCU가 지정된 변속선에 의거 타겟 단을 설정하며 현재 단에서 타겟 단까지 킥다운 변속을 구현한다.
본 발명은 운전자가 엑셀레이터를 조작하면, 이너셔 구간의 변속시간을 예측하는 단계; 상기 변속시간이 설정값 A 이상인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설정값 A 이상인 경우 클러치 발열량 축소 해방 제어하는 단계; 상기 설정값 A 이하인 경우 기존 해방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너셔 구간의 변속시간을 예측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너셔 구간의 변속시간은 현재단/타겟단 RPM, 차량 가속도, 엑셀레이터 페달량, 엔진토크를 통해 계산하여 예측한다.
상기 클러치 발열량 축소 해방 제어는 TCU가 변속 시작 시 완전 해방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제어를 위한 유압을 재생성하여 클러치 발열량 축소 해방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킥다운 변속의 이너셔 구간을 줄여 해방 제어 클러치의 발열을 낮추고 클러치의 크기를 작게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러치 크기의 축소로 원가 절감 및 중량 저감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변속의 이너셔 구간이 길어지면 해방 제어 클러치의 발열이 높아지는 것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발명에 따른 킥다운 변속 구현의 플로챠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다단 변속기 킥다운 변속 시 클러치 발열량 감소를 위한 해방제어 구조에 대응하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다단 변속기 킥다운 변속 시 클러치 발열량 감소를 위한 해방제어 구조에 대응하는 플로챠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발열량 축소 해방 제어를 구현하는 것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TCU(100) 내에 이너셔 구간 계산부(110), 클러치 발열량 축소 해방 제어부(120), 기존 해방 제어부(130)을 포함하고, 이외에 유압 생성부(200)와 센서부(300)를 포함한다.
이너셔 구간 계산부(110)는 다단 변속기 킥다운 변속 시 클러치 발열량 감소를 위한 해방 제어하는 변속 시간을 예측하기 위하여 이너셔 구간을 계산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어 이너셔 구간 계산에 현재단 및 타겟단 RPM 등을 참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클러치 발열량 축소 해방 제어부(120)는 클러치 발열량 축소를 위해 해방 제어하도록 제어하는 모듈로서, 미리 지정한 설정값에 따라 작동시킬 수 있다.
기존 해방 제어부(130)는 종래 발명에 설명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해방 제어 방법을 사용하여 제어하는 모듈이다. 즉 상기 설정값 보다 작은 경우 작동되는 모듈이다.
유압 생성부(200)는 상기 TCU(100)가 변속 시작 시 완전 해방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제어를 위한 유압을 재생성하는 모듈이다.
센서부(300)는 현재단 및 타겟단 RPM, 차량 가속도, 엑셀레이터 페달량, 및 엔진 토크 등을 검출하는 모듈로서, 상기 TCU(100)에 실시간으로 전달한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단 변속기 킥다운 변속 시 클러치 발열량 감소를 위한 해방 제어하는 변속 시간을 예측하여 TCU(100)가 제어하도록 한다. 즉 TCU(100)가 이너셔 구간의 변속시간을 예측하여, 필요시 발열량 축소 해방 제어를 구현한다.
왜냐하면 다단화 변속기에서 단간비가 큰 킥다운 변속시(예 : 킥다운 8-3 변속) RPM 상승 구간(이너셔 구간)이 길어지고, 킥다운 변속의 이너셔 구간이 길어지면 해방 제어 클러치의 발열이 높아지기 때문에 클러치 크기를 늘려야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즉, 변속기 내부에서는 상기 해방 제어 클러치가 슬립하는 동안, 상기 해방 제어 클러치가 받는 토크의 크기에 의해 상기 변속기의 발열량이 결정된다. 이때, 상기 해방 제어 클러치가 받는 토크는 유압에 의하여 결정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해방 제어 클러치가 슬립하는 구간에서 일정 시간을 완전 해방 유압제어(유압 = 0)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해방 제어 클러치가 받는 토크의 크기를 축소시키도록 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다음 상기 해방 제어 클러치의 제어를 위한 유압을 재생성시킴으로써, 상기 해방 제어 클러치의 발열량이 축소되도록 한다.
상기 해방 제어 클러치가 받는 토크가 작용하는 시간을 감소됨에 따라 상기 해방 제어 클러치의 발열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운전자가 엑셀레이터를 조작하면, 이너셔 구간의 변속시간을 예측한다(S101, S102).
상기 변속시간이 설정값 A 이상인가 판단한다(S103).
그리고, 상기 설정값 A 이상인 경우 클러치 발열량 축소 해방 제어하고, 상기 설정값 A 이하인 경우 기존 해방 제어한다(S104, S105).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TCU(100)가 킥다운 변속 이너셔 구간의 변속시간을 예측하면,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발열량 축소 해방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킥다운 변속 이너셔 구간의 변속시간은 일정 시간으로 고정할 수도 있고, 도면에서와 같이 현재단 및 타겟단 RPM, 차량 가속도, 엑셀레이터 페달량, 및 엔진 토크를 통해 TCU(100)가 계산하여 예측할 수 있다.
또는 현재단 및 타겟단 RPM, 차량 가속도, 엑셀레이터 페달량, 또는 엔진 토크를 통해 TCU(100)가 계산하여 예측할 수도 있다.
상기 킥다운 변속 이너셔 구간의 변속시간을 예측하는 것은 필요시 발열량 축소 해방 제어를 구현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킥다운 변속의 이너셔 구간을 줄여 해방 제어 클러치의 발열을 낮추고 클러치의 크기를 작게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클러치 발열량 축소 해방 제어는 TCU(100)가 변속 시작 시 완전 해방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제어를 위한 유압을 재생성하여 클러치 발열량 축소 해방 제어한다.
상기 일정 시간은 현재단 및 타겟단 RPM, 차량 가속도, 엑셀레이터 페달량, 및 엔진 토크를 통해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변속시간의 예측 시간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 TCU(100)가 클러치 발열량 축소 해방 제어한다.
여기에서 상기 설정값은 미리 TCU(100)에 저장되거나 일정 공식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변속시간의 예측 시간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기존 해방 제어와 동일하게 TCU(100)가 지정된 변속선에 의거 타겟 단을 설정하며 현재 단에서 타겟 단까지 킥다운 변속을 구현한다.
유압이 존재하는 구간에서 RPM 변동(클러치 슬립) 발생 시 열이 발생하므로 본 발명은 지정된 변속선에 의거 타겟 단을 설정하여 클러치 발열량 축소 해방 제어를 실시하게 된다.
TCU(100)가 현재 단에서 타겟 단까지 킥다운 변속 동안 변속 시작 시 완전 해방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일정 유압을 형성토록 하여 클러치 발열량 축소 해방 제어를 실시하게 된다.
100 : TCU
110 : 이너셔 구간 계산부
120 : 클러치 발열량 축소 해방 제어부
130 : 기존 해방 제어부
200 : 유압 생성부
300 : 센서부

Claims (8)

  1. TCU가 킥다운 변속 이너셔 구간의 변속시간 중, 일정 시간 동안은 해방 제어 클러치가 받는 토크에 의해 슬립되면서 발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해방 제어 클러치가 받는 토크를 결정하는 유압을 생성하지 않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유압을 재생성하여 발열량 축소 해방 제어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변속기 킥다운 변속 시 클러치 발열량 감소를 위한 해방제어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킥다운 변속 이너셔 구간의 변속시간을 예측하는 것은 현재단 및 타겟단 RPM, 차량 가속도, 엑셀레이터 페달량, 및 엔진 토크를 통해 TCU가 계산하여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변속기 킥다운 변속 시 클러치 발열량 감소를 위한 해방제어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시간의 예측 시간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 TCU가 클러치 발열량 축소 해방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변속기 킥다운 변속 시 클러치 발열량 감소를 위한 해방제어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발열량 축소 해방 제어는 TCU가 변속 시작 시 완전 해방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제어를 위한 유압을 재생성하여 클러치 발열량 축소 해방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변속기 킥다운 변속 시 클러치 발열량 감소를 위한 해방제어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시간의 예측 시간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기존 해방 제어와 동일하게 TCU가 지정된 변속선에 의거 타겟 단을 설정하며 현재 단에서 타겟 단까지 킥다운 변속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변속기 킥다운 변속 시 클러치 발열량 감소를 위한 해방제어 구조.
  6. 운전자가 엑셀레이터를 조작하면, 이너셔 구간의 변속시간을 예측하는 단계;
    상기 변속시간이 설정값 A 이상인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설정값 A 이상인 경우 클러치 발열량 축소 해방 제어하는 단계;
    상기 설정값 A 이하인 경우 기존 해방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다단 변속기 킥다운 변속 시 클러치 발열량 감소를 위한 해방제어 구조를 이용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셔 구간의 변속시간을 예측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너셔 구간의 변속시간은 현재단/타겟단 RPM, 차량 가속도, 엑셀레이터 페달량, 엔진토크를 통해 계산하여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변속기 킥다운 변속 시 클러치 발열량 감소를 위한 해방제어 구조를 이용한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발열량 축소 해방 제어는 TCU가 변속 시작 시, 일정 시간 동안 해방 제어 클러치가 받는 토크에 의한 슬립에 의해 발열을 되지 않도록 상기 해방 제어 클러치가 받는 토크를 결정하는 유압을 생성하지 않는 완전 해방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제어를 위한 유압을 재생성하여 클러치 발열량 축소 해방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변속기 킥다운 변속 시 클러치 발열량 감소를 위한 해방제어 구조를 이용한 방법.
KR1020180155350A 2018-12-05 2018-12-05 다단 변속기 킥다운 변속 시 클러치 발열량 감소를 위한 해방제어 구조 및 그 방법 KR102136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350A KR102136276B1 (ko) 2018-12-05 2018-12-05 다단 변속기 킥다운 변속 시 클러치 발열량 감소를 위한 해방제어 구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350A KR102136276B1 (ko) 2018-12-05 2018-12-05 다단 변속기 킥다운 변속 시 클러치 발열량 감소를 위한 해방제어 구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402A KR20200068402A (ko) 2020-06-15
KR102136276B1 true KR102136276B1 (ko) 2020-07-21

Family

ID=71081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350A KR102136276B1 (ko) 2018-12-05 2018-12-05 다단 변속기 킥다운 변속 시 클러치 발열량 감소를 위한 해방제어 구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62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713B1 (ko) 2020-06-05 2021-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6333A (ja) 2005-02-15 2006-08-31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の制御装置
KR101924367B1 (ko) 2017-06-07 2018-12-03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의 킥다운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033B1 (ko) 2007-09-26 2015-03-25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KR101349539B1 (ko) 2011-11-29 2014-01-08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퍼센트 토크용량을 이용한 자동변속기 클러치 변속제어방법
KR101822274B1 (ko) 2016-04-18 2018-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자동변속기 제어방법 및 그 제어시스템
KR20180051712A (ko) * 2016-11-07 2018-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클러치 과열 방지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6333A (ja) 2005-02-15 2006-08-31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の制御装置
KR101924367B1 (ko) 2017-06-07 2018-12-03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의 킥다운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402A (ko) 202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43266B1 (en) Vehicle start control device and start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JP2007271035A (ja)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6225985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2009162357A (ja) 自動変速機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US10100884B2 (en) Clutch control method and clutch control filter for vehicle
US10427688B2 (en) Vehicle control system
KR101856331B1 (ko) Dct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KR102030144B1 (ko) Dct 차량의 변속제어방법
JP2011190894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102136276B1 (ko) 다단 변속기 킥다운 변속 시 클러치 발열량 감소를 위한 해방제어 구조 및 그 방법
JP5310586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および変速機装置並びに動力出力装置
KR102324757B1 (ko) 차량용 클러치 제어방법
KR20180054991A (ko) Dct차량용 변속 제어방법
JP2007224814A (ja) 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
US9803704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components during a power downshift
JP6278080B1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2005249078A5 (ko)
JP2022001765A (ja) トルクコンバータのスリップ制御装置
KR101234626B1 (ko) 자동 변속 차량의 댐퍼 클러치 제어 방법
JP2010210074A (ja) 車両用駆動装置の制御装置
KR100836916B1 (ko) 업 시프트 제어시 설정된 터빈 토크 영역에서 초기유압학습 방법 및 장치
JP2009264579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1169389A (ja) 自動変速機の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制御装置
KR101880546B1 (ko) 자동 변속기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602590B1 (ko)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