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875B1 - 진동 도관을 위한 센서 조립체, 센서 브래킷 및 튜브 링 - Google Patents

진동 도관을 위한 센서 조립체, 센서 브래킷 및 튜브 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875B1
KR102135875B1 KR1020197001693A KR20197001693A KR102135875B1 KR 102135875 B1 KR102135875 B1 KR 102135875B1 KR 1020197001693 A KR1020197001693 A KR 1020197001693A KR 20197001693 A KR20197001693 A KR 20197001693A KR 102135875 B1 KR102135875 B1 KR 102135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vibration
axis
conduits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1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0085A (ko
Inventor
수 지
로버트 바클레이 가르네트
잉수 수
시앙 펭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 모우션,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 모우션,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마이크로 모우션,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20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 G01F1/78Direct mass flowmeters
    • G01F1/80Direct mass flowmeters operating by measuring pressure, force, momentum, or frequency of a fluid flow to which a rotational movement has been imparted
    • G01F1/84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 G01F1/845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arrangements of measuring means, e.g., of measuring conduits
    • G01F1/8468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arrangements of measuring means, e.g., of measuring conduits vibrating measuring conduits
    • G01F1/849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arrangements of measuring means, e.g., of measuring conduits vibrating measuring conduits having straight measuring conduits
    • G01F1/8495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arrangements of measuring means, e.g., of measuring conduits vibrating measuring conduits having straight measuring conduits with multiple measuring cond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 G01F1/78Direct mass flowmeters
    • G01F1/80Direct mass flowmeters operating by measuring pressure, force, momentum, or frequency of a fluid flow to which a rotational movement has been imparted
    • G01F1/84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 G01F1/8409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constructional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37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two pi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 G01F1/78Direct mass flowmeters
    • G01F1/80Direct mass flowmeters operating by measuring pressure, force, momentum, or frequency of a fluid flow to which a rotational movement has been imparted
    • G01F1/84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 G01F1/8409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constructional details
    • G01F1/8413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constructional details means for influencing the flowmeter's motional or vibrational behaviour, e.g., conduit support or fixing means, or conduit attach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 G01F1/78Direct mass flowmeters
    • G01F1/80Direct mass flowmeters operating by measuring pressure, force, momentum, or frequency of a fluid flow to which a rotational movement has been imparted
    • G01F1/84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 G01F1/8409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constructional details
    • G01F1/8422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constructional details exci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8Means for indicating the position, e.g. end of stroke
    • F15B15/2815Position sensing, i.e. means for continuous measurement of position, e.g. LVD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8Means for indicating the position, e.g. end of stroke
    • F15B15/2892Means for indicating the position, e.g. end of strok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 G01F1/78Direct mass flowmeters
    • G01F1/80Direct mass flowmeters operating by measuring pressure, force, momentum, or frequency of a fluid flow to which a rotational movement has been imparted
    • G01F1/84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 G01F1/8409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constructional details
    • G01F1/8427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constructional details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진동 도관(130a, 330)을 위한 센서 조립체(100, 300)가 제공된다. 센서 조립체(100, 300)는 축(S)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이고 상보적인 부분(112c, 312c)을 포함하는 외부 표면(112, 312)을 갖는 센서 브래킷(110, 310)을 포함한다. 센서 조립체(100, 300)는 또한, 센서 브래킷(110, 310)의 상보적인 부분(112c, 312c)에 부착된 상보적인 부분(122c, 222c, 322c)을 포함하는 외부 표면(122, 222, 322)을 갖는 튜브 링(120, 220, 320)을 포함한다. 튜브 링(120, 220, 320)이 진동 도관(130a, 330)에 부착될 때, 센서 브래킷(110, 310)의 축(S)은 진동 도관(130a, 330)의 외부에 있다.

Description

진동 도관을 위한 센서 조립체, 센서 브래킷 및 튜브 링
하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진동 센서들(vibratory sensors)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 도관을 위한 센서 조립체(sensor assembly), 센서 브래킷(sensor bracket) 및 튜브 링(tube ring)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진동 밀도계들 및 코리올리 유량계들(Coriolis flowmeters)과 같은 진동 센서들이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유량계 내의 도관을 통해 유동하는 물질들과 관련된 질량 유동(mass flow) 및 다른 정보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예시적인 코리올리 유량계들은 미국 특허 제4,109,524호, 미국 특허 제4,491,025호 및 미국 재발행 특허 제31,450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유량계들은 직선형 또는 곡선형 구성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도관들을 갖는 계기 조립체들을 갖는다. 코리올리 질량 유량계 내의 각 도관 구성은, 예를 들어 단순 굽힘, 비틀림 또는 결합된 유형일 수 있는 고유 진동 모드들의 세트를 갖는다. 각 도관은 바람직한 모드로 요동하도록(oscillate) 구동될 수 있다. 유량계를 통한 유동이 없는 경우, 도관(들)에 인가되는 구동력은 도관(들)을 따르는 모든 지점들이 동일한 위상으로, 또는 작은 "제로 오프셋(zero offset)"으로 발진하게 하며, 이 제로 오프셋은 0의 유동에서 측정된 시간 지연이다.
물질이 도관(들)을 통해 유동하기 시작함에 따라, 코리올리 힘들은 도관(들)을 따르는 각 지점이 상이한 위상을 갖게 한다. 예를 들어, 유량계의 입구 단부에서의 위상은 중앙집중 드라이버 포지션(centralized driver position)에서의 위상보다 뒤지는 한편, 출구에서의 위상은 중앙집중 드라이버 포지션에서의 위상보다 앞선다. 도관(들) 상의 픽오프들(pickoffs)은 도관(들)의 운동을 나타내는 정현파 신호들(sinusoidal signals)을 생성한다. 픽오프들로부터 출력된 신호들은 픽오프들 사이의 시간 지연을 결정하도록 처리된다. 2 개 또는 그 초과의 픽오프들 사이의 시간 지연은 도관(들)을 통해 유동하는 물질의 질량 유량(mass flow rate)에 비례한다.
드라이버(driver)에 연결된 계측 전자기기는, 드라이버를 작동시키고 또한 픽오프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프로세스 물질의 질량 유량 및/또는 다른 특성들을 결정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드라이버는 잘 알려진 많은 배열체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자석 및 대향 구동 코일은 유량계 산업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원하는 도관 진폭 및 주파수에서 도관(들)을 진동시키기 위해 교류가 구동 코일로 통과된다. 또한, 드라이버 배열체와 매우 유사한 자석 및 코일 배열체로서 픽오프들을 제공하는 것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드라이버 및 픽오프 센서들(pickoff sensors)은 전형적으로 브래킷들을 사용하여 도관들에 결합된다. 그러나, 브래킷들은 제조하여 진동 도관들에 조립하는데 비용이 많이 드는 복잡한 조립체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브래킷들은 정렬 지그들(alignment jigs)을 사용하여 진동 도관에 부착되어야 하는, 다수의 부재들을 갖는 조립체들이고, 일부 부재들은 제거 가능하다. 다른 브래킷들은 보다 단순한 디자인을 가질 수 있지만, 진동 도관에 신뢰성있게 부착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일부 브래킷들은, 외부 표면의 점들 또는 선이 아니라, 하나의 점에서만 튜브 링의 원통형이고 편평한 외부 표면과 접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브래킷과 도관 사이의 브레이징 조인트(brazed joint)는, 도관이 진동하거나 내부 압력 또는 온도의 변화들을 겪는 동안에, 브레이징, 또는 브래킷을 도관에 결합하는 다른 물질 내의 비교적 높은 응력들 및 동적 힘들로 인해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도관을 위한 센서 조립체, 센서 브래킷 및 튜브 링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진동 도관을 위한 센서 조립체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조립체는, 축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이고 상보적인 부분을 포함하는 외부 표면을 갖는 센서 브래킷, 및 센서 브래킷의 상보적인 부분에 부착된 상보적인 부분을 포함하는 외부 표면을 갖는 튜브 링을 포함한다. 튜브 링이 진동 도관에 부착될 때, 센서 브래킷의 축은 진동 도관의 외부에 있다.
진동 도관을 위한 센서 브래킷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브래킷은 축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인 외부 표면을 포함하며, 진동 도관에 부착된 튜브 링에 센서 브래킷이 부착될 때, 축은 진동 도관의 외부에 있다. 외부 표면은, 튜브 링 및 진동 도관 중 하나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 상보적인 부분을 갖는다.
진동 도관을 위한 튜브 링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 링은 축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인 외부 표면을 포함하며, 튜브 링이 진동 도관에 부착될 때, 축은 진동 도관의 축과 실질적으로 동축이다. 외부 표면은 센서 브래킷과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 상보적인 부분을 갖는다.
양태들
일 양태에 따르면, 진동 도관(130a, 330)을 위한 센서 조립체(100, 300)는 축(S)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이고 상보적인 부분(112c, 312c)을 포함하는 외부 표면(112, 312)을 갖는 센서 브래킷(110, 310), 및 센서 브래킷(110, 310)의 상보적인 부분(112c, 312c)에 부착된 상보적인 부분(122c, 222c, 322c)을 포함하는 외부 표면(122, 222, 322)을 갖는 튜브 링(120, 220, 320)을 포함한다. 튜브 링(120, 220, 320)이 진동 도관(130a, 330)에 부착될 때, 센서 브래킷(110, 310)의 축(S)은 진동 도관(130a, 330)의 외부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센서 브래킷(310)의 상보적인 부분(312c) 및 튜브 링(120, 220)의 상보적인 부분(122c, 222c) 중 하나는 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센서 브래킷(310)의 홈중 하나는 센서 브래킷(310)의 축(S)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이고, 튜브 링(120, 220)의 홈은 튜브 링(120, 220)의 축(R)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이다.
바람직하게는, 센서 브래킷(110, 310)의 축(S)은 진동 도관(130a, 330)의 축(T)에 직교한다.
바람직하게는, 튜브 링(120, 220, 320)의 축(R)은 진동 도관(130a, 330)의 축(T)과 실질적으로 동축이다.
바람직하게는, 센서 브래킷(110, 310)의 외부 표면(112, 312) 및 튜브 링(320)의 외부 표면(322) 중 하나는 원통형 형상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진동 도관(130a, 330)을 위한 센서 브래킷(110, 310)은 축(S)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인 외부 표면(112, 312)을 포함하며, 진동 도관(130a, 330)에 부착된 튜브 링(120, 220)에 센서 브래킷(110, 310)이 부착될 때, 축(S)은 진동 도관(130a, 330)의 외부에 있다. 외부 표면(112, 312)은, 튜브 링(120, 220) 및 진동 도관(130a, 330) 중 하나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 상보적인 부분(112c, 312c)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센서 브래킷(310)의 상보적인 부분(312c)은 센서 브래킷(310)의 외부 표면(312)에 형성된 홈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센서 브래킷(310)의 홈은 센서 브래킷(310)의 축(S)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이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표면(112)은 원통형 형상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진동 도관(130a, 330)을 위한 튜브 링(120, 220, 320)은 축(R)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인 외부 표면(122, 222, 322)을 포함하며, 튜브 링(120, 220, 320)이 진동 도관(130a, 330)에 부착될 때, 축(R)은 진동 도관(130a, 330)의 축(T)과 실질적으로 동축이다. 외부 표면(122, 222, 322)은 센서 브래킷(110, 310)과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 상보적인 부분(122c, 222c)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튜브 링(120, 220)의 상보적인 부분(122c, 222c)은 튜브 링(120, 220)의 외부 표면(122, 222)에 형성된 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튜브 링(120, 220)의 홈은 튜브 링(120, 220)의 축(R)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이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표면(322)은 원통형 형상을 포함한다.
동일한 참조 번호는 모든 도면들에서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면들이 반드시 실척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계(5)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센서 조립체들(100, 100')의 부분 측면도 및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튜브 링들(120) 중 하나의 단면도 및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도관(130a)에 부착된 센서 브래킷(110)을 도시한다.
도 8 및 도 9는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튜브 링(220)을 도시한다.
도 10은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센서 조립체(300)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10 및 하기의 설명은 당업자에게 진동 도관을 위한 센서 조립체, 센서 브래킷 및 튜브 링의 실시예들의 최상 모드를 제조 및 사용하는 방법을 교시하기 위한 특정 예들을 묘사한다. 발명 원리들을 교시하는 목적을 위해, 일부 종래의 양태들이 간략화되거나 생략되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의 범위 내에 있는 이들 예들로부터의 변형예들을 이해할 것이다. 당업자는 후술하는 특징들이 다양한 방식들로 조합되어 진동 도관을 위한 센서 조립체, 센서 브래킷 및 튜브 링의 다수의 변형예들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은, 후술하는 특정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들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센서 브래킷 및 튜브 링은 진동 도관에 부착된 센서 조립체의 일부일 수 있다. 센서 브래킷은 축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인 외부 표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 브래킷의 축은 진동 도관의 외부에 있다. 센서 브래킷의 외부 표면은 진동 도관 또는 진동 도관에 부착된 튜브 링의 상보적인 부분과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 상보적인 부분을 갖는다. 즉, 센서 브래킷 및 튜브 링 또는 진동 도관의 상보적인 부분들은 접촉점이 아니라, 접촉점들 또는 접촉선들이다. 센서 브래킷과 유사하게, 튜브 링은 또한 각각의 축들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일 수 있다.
센서 브래킷 및 튜브 링의 외부 표면들이 각각의 축들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이기 때문에, 센서 브래킷 및 튜브 링은 엄격하게 제어된 치수들로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엄격하게 제어된 치수들은, 예를 들어 브레이징 또는 다른 적합한 프로세스 동안에 상보적인 부분들이 근사하거나 일치하는 표면들인 것을 보장할 수 있다. 근사하거나 일치하는 표면들은 브레이징 내의 응력들을 감소시켜 브레이징이 파손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조립체, 센서 브래킷 및 튜브 링은 하나의 점에서 진동 도관과 접촉하는 보다 복잡한 센서 조립체들 또는 센서 브래킷들에 비해 보다 저렴하고 향상된 기능 수명들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계(5)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계(5)는 계기 조립체(10) 및 계측 전자기기(20)를 포함한다. 계기 조립체(10)는 프로세스 물질의 질량 유량 및 밀도에 응답한다. 계측 전자기기(20)는 리드들(leads)을 통해 계기 조립체(10)에 연결되어, 경로(26)를 통해 밀도, 질량 유량 및 온도 정보뿐만 아니라, 다른 정보를 제공한다.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가 설명되지만,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이 진동 튜브 밀도계, 음차형 밀도계(tuning fork densitometer) 등으로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계기 조립체(10)는 한 쌍의 매니폴드들(manifolds), 플랜지 넥부들(flange necks)을 갖는 플랜지들(flanges), 한 쌍의 평행한 진동 도관들(130a, 130b), 구동 기구(14) 및 두 쌍의 센서 조립체들(100, 100')을 포함한다. 진동 도관들(130a, 130b)은 진동 도관 장착 블록들(vibratory conduit mounting blocks)에서 서로를 향해 수렴하는 2 개의 본질적으로 직선형인 입구 레그들(inlet legs) 및 출구 레그들(outlet legs)을 갖는다. 진동 도관들(130a, 130b)은 그 길이를 따르는 2 개의 대칭 위치들에서 구부러지고, 그 길이 전체에 걸쳐 본질적으로 평행하다. 브레이스 바아들(brace bars)은 각각의 진동 도관(130a, 130b)이 발진하는 축(W 및 W')을 한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진동 도관들(130a, 130b)의 입구 및 출구 레그들은 진동 도관 장착 블록들에 고정적으로 부착되고, 이들 블록들은 결국 매니폴드들(12, 12')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이것은 계기 조립체(10)를 통한 연속적으로 폐쇄된 물질 경로를 제공한다.
플랜지들이, 입구(11) 및 출구(11')를 통해, 측정되고 있는 프로세스 물질을 운반하는 프로세스 라인(2) 내로 연결되는 경우, 물질은 플랜지의 오리피스(orifice)를 통해 계기 조립체(10)의 입구(11)로 진입하고, 매니폴드(12)를 통해 진동 도관 장착 블록으로 안내된다. 매니폴드(12) 내에서, 물질은 분할되어 진동 도관들(130a, 130b)을 통해 이송된다. 진동 도관들(130a, 130b)을 빠져나갈 때, 프로세스 물질은 블록 및 매니폴드(12') 내에서 단일 스트림(stream)으로 재조합되고, 그 후에 플랜지(103)에 의해 프로세스 라인(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 출구(11')로 이송된다.
진동 도관들(130a, 130b)은 굽힘 축들(W-W 및 W'-W') 각각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질량 분포, 관성 모멘트들(moments of inertia) 및 영률을 갖도록 선택되어 진동 도관 장착 블록들에 적절하게 장착된다. 이들 굽힘 축들은 브레이스 바아들을 관통한다. 진동 도관들의 영률이 온도에 따라 변하고, 이러한 변화가 유동 및 밀도의 계산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저항 온도 검출기(resistive temperature detector; RTD)가 진동 도관(130a)에 장착되어 진동 도관(130a)의 온도를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진동 도관(130a)의 온도, 및 그에 따라 RTD를 통과하는 주어진 전류에 대해 RTD를 가로질러 나타나는 전압은 진동 도관(130a)을 통과하는 물질의 온도에 의해 좌우된다. RTD를 가로질러 나타나는 온도 의존성 전압은 잘 알려진 방법에서 계측 전자기기(20)에 의해 사용되어, 진동 도관 온도의 임의의 변화들로 인한 진동 도관들(130a)의 탄성 계수의 변화를 보정한다. RTD는 리드에 의해 계측 전자기기(20)에 연결될 수 있다.
진동 도관들(130a, 130b) 둘 모두는 그들 각각의 굽힘 축들(W-W 및 W'-W')을 중심으로 반대 방향들로 그리고 유량계의 소위 말하는 제1의 역위상(out-of-phase) 굽힘 모드로 구동 기구(14)에 의해 구동된다. 이러한 구동 기구(14)는 진동 도관(130a)에 장착된 자석, 및 진동 도관(130b)에 장착되고 진동 도관들(130a, 130b) 둘 모두를 진동시키기 위해 교류가 통과되는 대향 코일과 같은, 잘 알려진 많은 배열체들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구동 신호가 계측 전자기기(20)에 의해 리드(21)를 통해 구동 기구(14)에 인가된다.
계측 전자기기(20)는 좌측 및 우측 센서 조립체(100, 100')로부터 각각 리드들(23, 23') 상에 나타나는 좌측 및 우측 센서 신호들을 수신한다. 계측 전자기기(20)는 리드(21) 상에 나타나는 구동 신호를 구동 기구(14)에 생성하여 진동 도관들(130a, 130b)을 진동시킨다. 계측 전자기기(20)는 좌측 및 우측 센서 신호들을 처리하여 계기 조립체(10)를 통과하는 물질의 질량 유량 및 밀도를 산출한다. 이러한 정보는, 다른 정보와 함께, 경로(26)를 통해 계측 전자기기(20)에 의해 신호로서 인가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조립체들(100, 100')은 센서 브래킷들, 센서 브래킷들 사이에 배치되고 센서 브래킷들에 결합된 픽오프 센서들, 및 튜브 링들을 포함한다. 튜브 링들은 진동 도관들(130a, 130b)에 부착되고 진동 도관들(130a, 130b)과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센서 조립체들은 튜브 링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튜브 링 및 센서 브래킷은 저렴하게 제조되고, 센서 브래킷 및/또는 튜브 링과 도관 사이의 브레이징 조인트에 감소된 응력들 및 동적 힘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센서 조립체들(100, 100')의 부분 측면도 및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조립체들(100, 100') 각각은 진동 도관들(130a, 130b)을 포함한다. 센서 조립체들(100, 100') 각각은 튜브 링들(120, 120')에 부착된 센서 브래킷들(110, 110')로 구성된다. 튜브 링들(120, 120')은 진동 도관들(130a, 130b)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다. 그러나,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와 같은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튜브 링들(120, 120')은 이용되지 않을 수 있다. 진동 도관들(130a, 130b)은 축들(T)과 함께 도시되어 있다. 축들(T)은 진동 도관들(130a, 130b)의 종축들이며, 진동 도관들(130a, 130b) 각각의 기하학적 단면 중심에 위치된다. 각 쌍의 센서 브래킷들(110, 110') 사이에 배치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전기 센서는 명확화를 위해 도 2 및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명확화를 위해, 하기의 논의는 도 2 및 도 3의 좌측 상의 센서 조립체(100)를 참조한다.
센서 브래킷들(110)은 원통형 형상을 갖지만,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이 이용될 수 있다. 센서 브래킷들(110) 각각은 축(S)을 포함한다. 축(S)은 센서 브래킷(110)에 대한 대칭축이다. 예를 들면,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센서 브래킷들(110)의 표면들은 축(S)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이다. 또한, 센서 브래킷들(110)의 축(S)은 진동 도관들(130a, 130b)의 외부에 있다. 즉, 축(S)은 진동 도관들(130a, 130b)과 교차하지 않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브래킷(110)의 축(S)은 진동 도관의 축(T)에 직교하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축들(S, T)이 임의의 적합한 각도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센서 브래킷들(110)은 튜브 링(120) 상의 상보적인 부분과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 상보적인 부분을 포함한다.
튜브 링들(120)은 또한, 도 2 및 도 3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진동 도관(130a, 130b)의 축(T)과 동축인 축(R)을 중심으로 대칭인 형상(예를 들면, 축 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튜브 링(120)의 축(R)은 튜브 링(120)의 대칭축이다. 예를 들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튜브 링(120)의 표면들은 축(R)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링(120)의 축(R)은 진동 도관(T)의 축과 동축이지만, 축들(R, T)은 임의의 적합한 포지션 관계(예를 들면, 평행 관계, 경사진 관계 등)를 가지며,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축일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튜브 링들(120)은 센서 브래킷(110) 상의 상보적인 부분과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 상보적인 부분을 포함한다.
튜브 링들(120)은 진동 도관들(130a, 130b)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다. 튜브 링들(120)이 진동 도관들(130a, 130b)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어 있지만, 대안적인 실시예들은 진동 도관들과 일체형인 튜브 링들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안적인 진동 도관들은 대안적인 진동 도관의 다른 부분들에 비해 훨씬 두꺼운 벽을 갖는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튜브 링은 진동 도관의 섹션일 수 있으며, 튜브 링을 형성하는 섹션은 진동 도관의 나머지 부분보다 두꺼운 벽들을 갖는다. 튜브 링을 형성하는 섹션은 진동 도관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는 부분에 접할 수 있다.
튜브 링들
도 4 내지 도 6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튜브 링들(120) 중 하나의 단면도 및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링(120)은 튜브 링(120)의 기하학적 단면을 따라 연장되는 축(R)을 포함한다. 튜브 링(120)은 튜브 링(120)의 축(R)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인 외부 표면(122) 및 내부 표면(124)을 갖는다. 튜브 링(120)은 진동 도관(130a, 130b)과 일체형이 되도록 진동 도관(130a, 130b)에 부착될 수 있다. 부착 시에, 내부 표면(124)은 진동 도관(130a, 130b)에 결합(예를 들어, 본딩, 브레이징, 용접, 접착 등)되고, 튜브 링(120)의 외부 표면(122)은 진동 도관(130a, 130b)의 외부 표면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튜브 링(120)의 외부 표면(122) 및 내부 표면(124)이 원통형 형상들을 갖지만,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안적인 튜브 링의 외부 표면은 타원형, 육각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대안적인 튜브 링의 축(R)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일 수 있다. 또한, 외부 표면(122)이 튜브 링(120)의 축(R)을 중심으로 대칭이지만, 외부 표면(122)은 비대칭인, 나사산들과 같은 특징부들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위한 다른 특징부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표면(124)은 유사하게, 예를 들어 진동 도관(130a, 130b)과 인터페이싱하는 비대칭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표면(122)은 제1 및 제2 에지 부분(122a, 122b) 및 상보적인 부분(122c)을 포함한다. 도 4의 단면도에서, 제1 및 제2 에지 부분(122a, 122b)은 상보적인 부분(122c)의 대향 측부들 상에 있다. 즉, 상보적인 부분(122c)은 제1 및 제2 에지 부분(122a, 122b) 사이에서 그리고 제1 및 제2 에지 부분(122a, 122b)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보적인 부분(122c)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센서 브래킷(110)과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되는 반면, 제1 및 제2 에지 부분(122a, 122b)은 센서 브래킷(110)과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된 단면도에서, 제1 및 제2 에지 부분(122a, 122b)은 편평하고 튜브 링(120)의 축(R)과 평행하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제1 및 제2 에지 부분들(122a, 122b)은 경사면들, 곡면들 또는 다른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에지 부분(122a, 122b)은 동일한 폭(We) 및 두께(Te)를 갖는다. 그러나, 제1 및 제2 에지 부분들(122a, 122b)은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폭들(We 및/또는 두께들(Te)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안적인 튜브 링들에서, 제1 에지 부분의 폭은 제2 에지 부분의 폭과 상이할 수 있다. 상보적인 부분의 폭이 튜브 링의 폭에 의해 한정되도록, 에지 부분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폭은 0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에지 부분(122a, 122b)은 상보적인 부분(122c)의 폭(Wc)을 한정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보적인 부분(122c)은 튜브 링(120)의 외부 표면(122)에 있는 홈으로 구성된다. 상보적인 부분(122c)은 아치형 단면 형상을 갖지만,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이 이용될 수 있다. 아치형 단면 형상은 튜브 링(120)의 단면 대칭축(Cs)을 중심으로 대칭이다. 단면 대칭축(Cs)은 상보적인 부분(122c)이 튜브 링의 축(R)을 따라 대칭인 곳을 한정한다. 상보적인 부분(122c)은 튜브 링(120)의 외부 표면(122)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보적인 부분(122c)은 단면 대칭축(Cs)과 병치되는(collocated) 최소 두께를 갖는다.
센서 브래킷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도관(130a)에 부착된 센서 브래킷(110)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브래킷(110)은 진동 도관(130a) 및 튜브 링(120)의 외부 표면(122)에 부착된다. 특히, 센서 브래킷(110)의 외부 표면(112)은 튜브 링(120)의 상보적인 부분(122c)과 인터페이싱하는 상보적인 부분(112c)을 포함한다. 센서 브래킷(110)은 또한 내부 표면(114)을 포함한다. 센서 브래킷(110)은 접촉하는 상보적인 부분들(112c, 122c)로부터 연장되는 브레이징 물질로서 도시된 브레이징(121)을 사용하여 튜브 링(120)에 부착된다. 브레이징(121)은 점들 또는 선 전체에 걸쳐 상보적인 부분들(112c, 122c) 사이에서 연장된다. 상보적인 부분들(112c, 122c) 사이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된 브레이징(121)은 상이한 형상들을 가질 수 있고, 도시된 것보다 많거나 적을 수 있다. 센서 브래킷(110)의 축(S)은 진동 도관(130a)의 축(T)에 직교하여 연장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30a)는 튜브 링(120)의 벽 두께(tr)와 대략 동일한 벽 두께(tt)를 갖는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튜브 링 및/또는 센서 브래킷의 다른 벽 두께들이 이용될 수 있다. 전체 벽 두께(ta)는 튜브 링(120) 및 진동 도관(130a)의 벽 두께들(tr, tt)의 합이다. 즉, 전체 벽 두께(ta)는 진동 도관(130a, 130b)의 벽 두께(tt)보다 크다. 보다 두꺼운 벽 두께(ta)는 열 및 압력 부하들과 같은 부하들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보다 두꺼운 벽 두께(ta)는 또한, 진동 도관들(130a, 130b)이 진동할 때, 센서 브래킷(110)에 작용하는 센서 진동 또는 다른 동적 부하들로부터의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대안적인 튜브 링들 및 센서 브래킷들
도 8 및 도 9는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튜브 링(220)을 도시하고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링(220)은 튜브 링(220)의 기하학적 단면의 중심을 따라 연장되는 축(R)을 포함한다. 튜브 링(220)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튜브 링(120)과 유사한 방식으로, 튜브 링(220)의 축(R)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인 외부 표면(222) 및 내부 표면(224)을 갖는다. 튜브 링(220)은, 예를 들어 진동 도관(130a, 130b)과 일체형이 되도록 진동 도관(130a, 130b)에 부착될 수 있다. 부착 시에, 내부 표면(224)은 진동 도관(130a, 130b)에 결합되고, 튜브 링(220)의 외부 표면(222)은 진동 도관(130a, 130b)의 외부 표면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표면(222)은 상보적인 부분(222c)을 포함한다.
튜브 링(220)의 외부 표면(222) 및 내부 표면(224)이 원통형 형상을 갖지만,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외부 표면(222)이 튜브 링(220)의 축(R)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이지만, 외부 표면(222)은 비대칭인, 나사산들과 같은 특징부들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위한 다른 특징부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표면(224)은 유사하게, 예를 들어 진동 도관(130a, 130b)과 인터페이싱하는 비대칭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튜브 링(220)의 외부 표면(222)은 제1 및 제2 에지 부분(222a, 222b) 및 상보적인 부분(222c)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에지 부분(222a, 222b)은 상보적인 부분(222c)의 대향 측부들 상에 있다. 즉, 상보적인 부분(222c)은 제1 및 제2 에지 부분(222a, 222b) 사이에서 그리고 제1 및 제2 에지 부분(222a, 222b)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보적인 부분(222c)은 센서 브래킷과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되는 반면, 제1 및 제2 에지 부분(222a, 222b)은 센서 브래킷과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되지 않는다. 센서 브래킷은, 예를 들어 상보적인 부분(222c)과 인터페이싱하는 육각형 단면을 갖는 외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에지 부분(222a, 222b)은 편평하고 튜브 링(220)의 축(R)과 평행하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제1 및 제2 에지 부분들(222a, 222b)은 경사면들, 곡면들 또는 다른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에지 부분(222a, 222b)은 동일한 폭(We) 및 두께(Te)를 갖는다. 그러나, 제1 및 제2 에지 부분들은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폭들(We) 및/또는 두께들(Te)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안적인 튜브 링들에서, 제1 에지 부분의 폭은 제2 에지 부분의 폭과 상이할 수 있다. 상보적인 부분의 폭이 튜브 링의 폭에 의해 한정되도록, 에지 부분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폭은 0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에지 부분(222a, 222b)은 상보적인 부분(222c)의 폭(Wc)을 한정한다.
상보적인 부분(222c)은 튜브 링(220)의 외부 표면(222)에 있는 홈으로 구성된다. 상보적인 부분(222c)은 육각형 단면 형상을 갖지만,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이 이용될 수 있다. 육각형 단면 형상은 튜브 링(220)의 단면 대칭축(Cs)을 중심으로 대칭이다. 단면 대칭축(Cs)은 상보적인 부분(222c)이 튜브 링(220)의 축(R)을 따라 대칭인 곳을 한정한다. 상보적인 부분(222c)은 튜브 링(220)의 외부 표면(222)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보적인 부분(222c)은 단면 대칭축(Cs)과 병치되는 최소 두께를 갖는다.
도 10은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센서 조립체(300)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조립체(300)는 센서 브래킷(310) 및 튜브 링(320)을 포함한다. 또한, 진동 도관(330)이 도시되어 있다. 센서 브래킷(310)은 튜브 링(320)에 고정된다. 튜브 링(320)은 진동 도관(330)에 부착된다. 튜브 링(320)은 원통형 형상이고 축(R)을 중심으로 대칭인 외부 표면(322)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링(320)의 축(R)은 진동 도관(330)의 축과 동축이지만,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는 실질적으로 동축일 수 있다. 센서 브래킷(310)은, 센서 또는 자석 키퍼(magnet keeper) 등에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들과 같은 특징부들을 가질 수 있는 외부 표면(312) 및 내부 표면(314)을 포함한다.
센서 브래킷(310)의 외부 표면(312) 및 내부 표면(314)은 센서 브래킷(310)의 축(S)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이다. 센서 브래킷(310)의 축(S)은 진동 도관(330)의 외부에 있다. 센서 브래킷(310)의 축(S)은 또한 진동 도관(330)의 축(T)에 직교한다. 센서 브래킷(310)의 외부 표면(312)은 튜브 링(320)의 외부 표면(322)의 상보적인 부분(322c)과 인터페이싱하는 상보적인 부분(312c)을 갖는다.
센서 브래킷(310)의 외부 표면(312)은 제1 및 제2 에지 부분(312a, 312b) 및 상보적인 부분(312c)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에지 부분(312a, 312b)은 상보적인 부분(312c)의 대향 측부들 상에 있다. 즉, 상보적인 부분(312c)은 제1 및 제2 에지 부분(312a, 312b) 사이에서 그리고 제1 및 제2 에지 부분(312a, 312b)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보적인 부분(312c)은 진동 도관(330)과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되는 반면, 제1 및 제2 에지 부분(312a, 312b)은 진동 도관(330)과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되지 않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에지 부분(312a, 312b)은 편평하고 센서 브래킷(310)의 축(S)과 평행하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제1 및 제2 에지 부분들(312a, 312b)은 경사면들, 곡면들 또는 다른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에지 부분(312a, 312b)은 동일한 폭 및 두께를 갖는다. 그러나, 제1 및 제2 에지 부분은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폭들 및/또는 두께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안적인 센서 브래킷들에서, 제1 에지 부분의 폭은 제2 에지 부분의 폭과 상이할 수 있다. 상보적인 부분의 폭이 센서 브래킷의 폭에 의해 한정되도록, 에지 부분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폭은 0일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에지 부분(312a, 312b)은 상보적인 부분(312c)의 폭을 한정한다.
상보적인 부분(312c)은 센서 브래킷(310)의 외부 표면(312)에 있는 홈으로 구성된다. 상보적인 부분(312c)은 아치형 단면 형상을 갖지만,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이 이용될 수 있다. 아치형 단면 형상은 센서 브래킷(310)의 단면 대칭축을 중심으로 대칭이다. 상보적인 부분(312c)은 센서 브래킷(310)의 외부 표면(312)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보적인 부분(312c)은 단면 대칭축과 병치되는 최소 두께를 갖는다.
제조 프로세스
센서 브래킷(110, 310) 및 튜브 링(120, 220, 320)은 임의의 적합한 제조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외부 표면(112, 312, 122, 222, 322)이 축(S)을 중심으로 대칭이기 때문에, 보다 저렴하고 보다 엄격하게 제어된 제조 프로세스들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브래킷(110, 310)은 소정 형상으로 압출되거나 압연된 바아 스톡(bar stock) 또는 빌릿들(billets)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센서 브래킷(110, 310)의 직경은 광범위하게 이용 가능한 바아 스톡의 치수로 또는 그 근방으로 선택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센서 브래킷(110, 310) 상의 외부 표면들(112, 312)은 선반(lathe) 상에서 바아 스톡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물질을 선삭함으로써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유사한 프로세스들이 튜브 링(120, 220) 및/또는 진동 도관(330)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선반 및 다른 유사한 제조 프로세스들은 높은 처리량(throughput)으로 외부 표면(112, 122, 222, 312, 322)의 치수를 저렴하고 엄격하게 제어할 수 있다. 선반 또는 다른 유사한 제조 프로세스는 또한 외부 표면(112, 212, 222, 312, 322)의 상보적인 부분(112c, 122c, 222c, 312c, 322c)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삭 공구는 상보적인 부분(112c, 122c, 222c, 312c, 322c)을 포함하는 외부 표면(112, 212, 222, 312, 322)에 대응하는 템플릿(template)을 추적하면서, 바아 스톡 내로 절삭할 수 있다. 바아 스톡, 또는 다른 적합한 물질에 외부 표면(112, 212, 222, 312, 322)을 형성한 후에, 바아 스톡의 전단(shearing), 절삭 등에 의해 센서 브래킷(110, 310) 및 튜브 링(120, 220, 320)이 형성될 수 있다.
센서 브래킷(110, 310)은 브레이징, 용접, 접착제들의 이용 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으로 튜브 링(120, 320)에 부착될 수 있다. 상보적인 부분들(112c, 222c, 312c, 322c)은 접속하는 상보적인 부분들(112c, 222c, 312c, 322c)의 점들 또는 선들 위에 작은 갭(gap)이 존재하도록 서로 접속할 수 있다. 작은 갭은 브레이징 조인트가 바람직한 강도를 갖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상보적인 부분들(112c, 222c, 312c, 322c)의 점들 또는 선들은, 예를 들어 브레이징 조인트 내의 응력들이 바람직한 수준이 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보적인 부분들(112c, 222c, 312c, 322c)의 형상들은, 제조 프로세스 동안에 정렬 고정구들(alignment fixtures)의 사용 없이, 센서 브래킷들(110, 310)을 원하는 배향(예를 들면, 직교 배향)으로 정렬하고 튜브 링(120, 220, 320)에 대해 위치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진동 도관(130a, 130b, 330)을 위한 센서 브래킷(110, 310) 및 튜브 링(120, 220, 320)을 제공한다. 저렴하고 엄격하게 제어된 제조 프로세스들을 이용함으로써, 센서 브래킷(110, 310) 및 튜브 링(120, 220, 320)은 저렴하게 제조되고 향상된 특성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보적인 부분들(112c, 122c, 222c, 312c, 322c)은 서로 억지 끼워맞춰져서 신뢰성있는 브레이징 프로세스를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조립체(100, 300)는 센서 브래킷(110, 310)과 튜브 링(120, 220, 320) 사이의 브레이징 조인트에서 파손 없이 기능할 수 있다. 다른 이점들이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브래킷(110, 310)과 튜브 링(120, 220, 320) 사이의 조인트에서 응력들이 생길 수 있다. 응력들은 진동 도관(130a, 130b, 330) 내의 유체의 압력, 열적 부하들 등과 같은 정적 부하들, 또는 센서 조립체(100, 300)의 작동 또는 진동과 같은 동적 부하들에 기인할 수 있다. 상보적인 부분들(112c, 122c, 222c, 312c, 322c)은 센서 브래킷(110, 310)의 외부 표면들(112, 312)과 튜브 링(120, 320) 또는 진동 도관(130a, 130b, 330)의 외부 표면들(122, 322) 사이의 브레이징 조인트 크기를 증가시킨다. 점들 또는 선들은 브레이징 내의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접촉점들 또는 접촉선은 단일 접촉점에 비해 브레이징 조인트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적인 이점들은 튜브 대 튜브 브래킷의 동심도 또는 간격의 제어의 손실 없이 사용되도록 원통형 또는 로드형 브래킷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들은 본 명세서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 발명자들에 의해 고려되는 모든 실시예들에 대한 철저한 설명들은 아니다. 실제로, 당업자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특정 요소들이 다른 실시예들을 생성하기 위해 다양하게 조합되거나 제거될 수 있으며, 그러한 다른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의 범위 및 교시들 내에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당업자에게는, 전술한 실시예들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조합되어 본 명세서의 범위 및 교시들 내에서 추가적인 실시예들을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이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특정 실시예들이 예시의 목적들을 위해 본원에 설명되었지만, 당업자가 인식하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등가 변형예들이 가능하다. 본원에 제공된 교시들은 진동 도관들을 위한 다른 센서 브래킷들 및 튜브 링들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에서 설명되고 첨부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들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들의 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로부터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14)

  1. 진동 도관(vibratory conduit)(130a, 330)을 위한 센서 조립체(sensor assembly)(100, 300)로서,
    축(S)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이고 상보적인 부분(112c, 312c)을 포함하는, 외부 표면(112, 312)을 갖는, 센서 브래킷(sensor bracket)(110, 310); 및
    상기 센서 브래킷(110, 310)의 상기 상보적인 부분(112c, 312c)에 부착된 상보적인 부분(122c, 222c, 322c)을 포함하는, 외부 표면(122, 222, 322)을 갖는, 튜브 링(tube ring)(120, 220, 320)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 링은 상기 튜브 링(120, 220)의 축(R)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이고,
    상기 튜브 링(120, 220, 320)이 상기 진동 도관(130a, 330)에 부착될 때, 상기 센서 브래킷(110, 310)의 상기 축(S)은 상기 진동 도관(130a, 330)의 외부에 있는,
    진동 도관을 위한 센서 조립체(100, 3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브래킷(310)의 상기 상보적인 부분(312c) 및 상기 튜브 링(120, 220)의 상기 상보적인 부분(122c, 222c) 중 하나는 홈(groove)을 포함하는,
    진동 도관을 위한 센서 조립체(100, 300).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브래킷(310)의 상기 홈은 상기 센서 브래킷(310)의 상기 축(S)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이거나,
    상기 튜브 링(120, 220)의 상기 홈은 상기 튜브 링(120, 220)의 축(R)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인,
    진동 도관을 위한 센서 조립체(100, 300).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브래킷(110, 310)의 상기 축(S)은 상기 진동 도관(130a, 330)의 축(T)에 직교하는,
    진동 도관을 위한 센서 조립체(100, 300).
  5.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링(120, 220, 320)의 상기 축(R)은 상기 진동 도관(130a, 330)의 축(T)과 실질적으로 동축인,
    진동 도관을 위한 센서 조립체(100, 300).
  6.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브래킷(110, 310)의 상기 외부 표면(112, 312) 및 상기 튜브 링(320)의 상기 외부 표면(322) 중 하나는 원통형 형상을 포함하는,
    진동 도관을 위한 센서 조립체(100, 300).
  7. 진동 도관(130a, 330)을 위한 센서 브래킷(110, 310)으로서,
    축(S)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인 외부 표면(112, 312)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 브래킷(110, 310)이 상기 진동 도관(130a, 330)에 부착된 튜브 링(120, 220)에 부착될 때, 상기 축(S)은 상기 진동 도관(130a, 330)의 외부에 있고,
    상기 외부 표면(112, 312)은 상기 튜브 링(120, 220) 및 상기 진동 도관(130a, 330) 중 하나와 인터페이싱하도록(interface) 구성된 상보적인 부분(112c, 312c)을 갖고,
    상기 센서 브래킷(310)의 상기 상보적인 부분(312c)은, 상기 센서 브래킷(310)의 상기 축(S)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인 센서 브래킷(310)의 상기 외부 표면(312)에 형성된 홈으로 구성되는,
    진동 도관을 위한 센서 브래킷(110, 310).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표면(112)은 원통형 형상을 포함하는,
    진동 도관을 위한 센서 브래킷(110).
  9. 진동 도관(130a, 330)을 위한 튜브 링(120, 220, 320)으로서,
    축(R)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인 외부 표면(122, 222, 322)을 포함하며,
    상기 튜브 링(120, 220, 320)이 상기 진동 도관(130a, 330)에 부착될 때, 상기 축(R)은 진동 도관(130a, 330)의 축(T)과 실질적으로 동축이고,
    상기 외부 표면(122, 222, 322)은 센서 브래킷(110, 310)과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 상보적인 부분(122c, 222c)을 갖고,
    상기 튜브 링은 상기 튜브 링(120, 220)의 축(R)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인,
    진동 도관을 위한 튜브 링(120, 220, 320).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링(120, 220)의 상기 상보적인 부분(122c, 222c)은 상기 튜브 링(120, 220)의 상기 외부 표면(122, 222)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진동 도관을 위한 튜브 링(120, 220).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표면(322)은 원통형 형상을 포함하는,
    진동 도관을 위한 튜브 링(320).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97001693A 2016-06-21 2016-06-21 진동 도관을 위한 센서 조립체, 센서 브래킷 및 튜브 링 KR1021358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086542 WO2017219234A1 (en) 2016-06-21 2016-06-21 A sensor assembly, sensor bracket, and tube ring for a vibratory condu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085A KR20190020085A (ko) 2019-02-27
KR102135875B1 true KR102135875B1 (ko) 2020-07-20

Family

ID=60783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1693A KR102135875B1 (ko) 2016-06-21 2016-06-21 진동 도관을 위한 센서 조립체, 센서 브래킷 및 튜브 링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022471B2 (ko)
EP (1) EP3472577B1 (ko)
JP (1) JP6776376B2 (ko)
KR (1) KR102135875B1 (ko)
CN (1) CN109313054A (ko)
AU (1) AU2016410370B2 (ko)
BR (1) BR112018076460B1 (ko)
CA (1) CA3028483C (ko)
MX (1) MX2018014608A (ko)
RU (1) RU2715589C1 (ko)
SG (1) SG11201810349QA (ko)
WO (1) WO2017219234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5697A (ja) * 2008-03-25 2011-05-19 マイクロ モーショ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二重ピックオフ振動式流量計
CN103363199B (zh) * 2012-03-29 2017-10-27 Abb 技术有限公司 保持件和带有保持件的科里奥利质量流量测量计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96112A (ja) * 1988-05-24 1989-11-29 Oval Eng Co Ltd コリオリ質量流量計
US5485755A (en) 1990-11-21 1996-01-23 Lew; Hyok S. Mass flowmeter
JPH06129889A (ja) * 1992-10-20 1994-05-13 Tokico Ltd 振動式測定装置
JPH10220421A (ja) * 1997-02-03 1998-08-21 Koganei Corp センサ取付装置
ES2154930T3 (es) * 1997-03-17 2001-04-16 Flowtec Ag Procedimiento para la fijacion de un cuerpo metalico en un tubo de medicion de un captador de flujo de masa de coriolis.
JP4782327B2 (ja) * 2001-02-14 2011-09-28 一正 大西 クランプオン型超音波流量計
JP3875622B2 (ja) * 2002-08-06 2007-01-31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用付帯部材の取付構造
JP4031406B2 (ja) * 2003-08-04 2008-01-09 株式会社オーバル フローチューブへのブラケットロウ付け方法及びコリオリメータ
DK176821B1 (da) * 2007-10-03 2009-11-02 Trelleborg Sealing Solutions Helsingor As Svejsning af ptfe-dele
US8109154B2 (en) 2008-03-25 2012-02-07 Micro Motion, Inc. Dual-driver vibratory flowmeter
DE102008035877A1 (de) * 2008-08-01 2010-02-04 Endress + Hauser Flowtec Ag Meßwandler vom Vibrationstyp
DE102009060834B4 (de) * 2009-12-29 2012-11-29 Krohne Ag Coriolis-Massedurchflussmessgerät
DE102010047241B4 (de) * 2010-10-04 2015-08-06 Krohne Ag Coriolis-Massedurchflussmessgerät
DE102011013263B4 (de) * 2011-03-07 2018-02-15 Krohne Ag Coriolis-Massedurchflussmessgerät
BR112013032785B1 (pt) * 2011-07-07 2019-12-10 Micro Motion Inc conjunto de sensor para um medidor vibratório, e, método para montar um conjunto de sensor
KR101744480B1 (ko) * 2011-10-26 2017-06-08 마이크로 모우션, 인코포레이티드 진동 유량계용 병설형 센서
BR112015005883B1 (pt) * 2012-09-18 2020-05-26 Micro Motion, Inc Montagem de conduto de uma peça para um conjunto sensor de vibração, conjunto sensor de vibração, e método para formar o mesmo.
DE102013106157A1 (de) * 2013-06-13 2014-12-18 Endress + Hauser Flowtec Ag Meßsystem mit einem Druckgerät sowie Verfahren zur Überwachung und/oder Überprüfung eines solchen Druckgeräts
DE102014109116A1 (de) * 2014-06-30 2015-12-31 Krohne Ag Coriolis-Massedurchflussmessgerät
KR101638414B1 (ko) * 2014-12-08 2016-07-12 센서나인(주) 유량 센서
CN204879065U (zh) * 2015-08-14 2015-12-16 如皋市凯凯电信器材有限公司 馈线卡具
CN205424115U (zh) * 2016-03-17 2016-08-03 金康军 一种管扣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5697A (ja) * 2008-03-25 2011-05-19 マイクロ モーショ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二重ピックオフ振動式流量計
CN103363199B (zh) * 2012-03-29 2017-10-27 Abb 技术有限公司 保持件和带有保持件的科里奥利质量流量测量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22471B2 (en) 2021-06-01
EP3472577A1 (en) 2019-04-24
AU2016410370B2 (en) 2019-10-17
JP2019520573A (ja) 2019-07-18
KR20190020085A (ko) 2019-02-27
BR112018076460B1 (pt) 2021-07-06
JP6776376B2 (ja) 2020-10-28
CA3028483A1 (en) 2017-12-28
MX2018014608A (es) 2019-03-14
US20190323874A1 (en) 2019-10-24
BR112018076460A2 (pt) 2019-04-09
WO2017219234A1 (en) 2017-12-28
AU2016410370A1 (en) 2018-12-13
SG11201810349QA (en) 2019-01-30
EP3472577A4 (en) 2020-01-22
EP3472577B1 (en) 2022-11-16
RU2715589C1 (ru) 2020-03-02
CN109313054A (zh) 2019-02-05
CA3028483C (en) 202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4675B2 (ja) 振動モード分離を向上させたコリオリ流量計
US10545043B2 (en) Flowmeter manifold with indexing boss
JPH0574006B2 (ko)
US9666347B2 (en) Magnet keeper assembly method
JP5638604B2 (ja) バランス部材を備えたフローメーター
JP2023159372A (ja) マニホールド
JP2018537687A (ja) コンパクトな流量計及び関連する方法
US11441934B2 (en) Multichannel flow tube with supports
KR102135875B1 (ko) 진동 도관을 위한 센서 조립체, 센서 브래킷 및 튜브 링
JP2020160083A (ja) コンパクトな流量計及び関連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