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384B1 - Waste materials collection vehicle and transport method using ther same - Google Patents

Waste materials collection vehicle and transport method using ther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384B1
KR102135384B1 KR1020200025438A KR20200025438A KR102135384B1 KR 102135384 B1 KR102135384 B1 KR 102135384B1 KR 1020200025438 A KR1020200025438 A KR 1020200025438A KR 20200025438 A KR20200025438 A KR 20200025438A KR 102135384 B1 KR102135384 B1 KR 102135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binding
support portion
binding body
support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4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재준
Original Assignee
송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준 filed Critical 송재준
Priority to KR1020200025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38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3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te collection vehicle comprising a predetermined vehicle body unit (2), and a storage tank unit (3) provided on the vehicle body unit (2) and storing collected waste.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of securing stability of the collection vehicle itself to prevent what leads to complex accidents in storing and transporting the waste such as damage to the vehicle itself and secondary damage in an event of an accident, and contamination of a surrounding area.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n additional storage facility for transporting and handling the waste of the collection vehicle secondarily after storage of the waste and being able to be provided with a special structure to prevent an external shock and various accident risks.

Description

폐기물 수거차량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수거방법{Waste materials collection vehicle and transport method using ther same}Waste collection vehicle and waste collection method using the same{Waste materials collection vehicle and transport method using ther same}

본 발명은 폐기물 수거차량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수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기물 수거차량을 통해 대상 폐기물을 수거하되, 수거되는 폐기물을 안정적으로 저장하며, 저장탱크와 차체간의 결합력을 강화시켜 저장탱크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내부 폐기물의 유출을 보다 안전하게 취급하여 폐기물 수거차량의 효율적인 수거업무가 가능한 의도되지 않은 불의의 사고를 교반 가공의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가공을 가능하게 하여 작업환경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폐기물 수거차량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수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 collection vehicle and a waste collec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collect target waste through a waste collection vehicle, stably store the collected waste, and strengthen and store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storage tank and the vehicle body By securing the stability of the tank and handling the discharge of internal waste more safely, it is possible to stably and efficiently process unintended accidents that enable efficient collection of waste collection vehicles, and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It relates to a waste collection vehicle and a waste collection method using the same.

각종 폐기물은 통상 일정한 주기로 대량 이송하여 처리를 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과정에서 폐기물 차량을 이용하여 대상으로 하는 폐기물을 저장하여 이송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폐기물 차량은 폐기물을 대량으로 저장탱크에 저장하기 때문에 폐기물의 저장과 운반에 있어 사고 발생시 차량 자체의 파손과 2차 피해 발생, 및 주변의 오염 등 복합적인 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수거차량 자체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컨대, 수거차량의 차체와 폐기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의 안정적인 결합구조 등이 요구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수거차량의 폐기물 저장 후에 이를 2차적으로 다시 옳겨 취급하기 위한 추가적인 저장설비가 요구된다. 그리고 이러한 저장설비 역시도 외부의 충격과 각종 사고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특별한 구조로 구비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전술한 부분을 모두 충분하게 갖추고 운용하는 기술은 현재로서 부재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안정적인 폐기물 수거와 취급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Various wastes are usually transported in bulk at regular intervals for processing. However, in this process, the target waste is stored and transported using a waste vehicle. However, since such a waste vehicle stores waste in a large amount in a storage tank, in the event of an accident in the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the waste, it leads to a complex accident such as damage to the vehicle itself, secondary damage, and contamination of the surrounding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collected vehicle itself. For example, a stable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vehicle body of a collected vehicle and a storage tank in which waste is stored is required. In addition, additional storage facilities are required to handle the wastes of these collected vehicles again after being corrected. In addition, such storage facilities are also required to be provided with a special structure to prevent external shocks and various accident risks.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echnology for sufficiently equipped and operating all of the above-described parts is not present.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stable waste collection and handling are not easy.

한국등록특허 제10-1695417호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695417

본 발명은 폐기물 수거차량을 통해 대상 폐기물을 수거하되, 수거되는 폐기물을 안정적으로 저장하며, 저장탱크와 차체간의 결합력을 강화시켜 저장탱크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내부 폐기물의 유출을 보다 안전하게 취급하여 폐기물 수거차량의 효율적인 수거업무가 가능한 의도되지 않은 불의의 사고를 교반 가공의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가공을 가능하게 하여 작업환경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폐기물 수거차량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수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the target wastes through the waste collection vehicle, stably stores the collected wastes, and strengthens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storage tank and the vehicle body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storage tanks and handles the discharge of internal waste more safely to collect waste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ste collection vehicle and a waste collection method using the same, which enables stable and efficient processing of agitated machining, and improves the working environment, for unintended accidents that enable efficient collection of vehicles.

본 발명은, 교반장치로서,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교반을 수행하기 위한 교반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교반부의 교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한 컨트롤부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부는,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날개부 내부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부를 포함하는 교반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the stirring device, the main body; A stirring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perform stirring; It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includes a control portion for controlling the stirring operation of the stirring portion, the stirring portion, the shaft portion pro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in, and the cover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ing portion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portion It provides a stirring device comprising.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폐기물 수거차량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방법으로서, 폐기물 수거차량이 폐기물 수거를 위한 목적지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폐기물 수거차량이 폐기물을 저장탱크부(3)로 수거하는 단계; 및 상기 폐기물 수거차량이 수거된 폐기물을 외부에 저장설비(50)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설비(50)는, 소정의 탱크본체(55)와, 상기 탱크본체(55)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부(121, 122)와, 상기 탱크본체(55) 하부에 설치되는 안착모듈(10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121, 122)는,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1 지지부(1211)와, 상기 제1-1 지지부(1211)에서 외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제1-2 지지부(1212)가 구비되는 제1 지지부(121)와,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1 지지부(1211)와 대향하는 제2-1 지지부(1221)와, 상기 제2-1 지지부(1221)에서 외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제2-2 지지부(1222)가 구비되는 제2 지지부(122)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모듈(100)은 하방에 상기 제1 지지부(121)와 상기 제2 지지부(122)에 대한 가압 고정을 위한 제1 구조체(1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구조체(130)은, 상기 제1-2 지지부(1212) 외측에 위치되며 내부 삽입홈으로 상기 제1-2 지지부(1212)가 삽입되는 제1-1 외측결속체(131)와, 상기 제1-2 지지부(1212)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2 지지부(1212)를 사이에두고 상기 제1-1 외측결속체(131)와 이웃하는 제1-2 외측결속체(132)와, 상기 제2-2 지지부(1222) 외측에 위치되며 내부 삽입홈으로 상기 제2-2 지지부(1222)가 삽입되는 제2-1 외측결속체(133)와, 상기 제2-2 지지부(1222)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2-2 지지부(1222)를 사이에두고 상기 제2-1 외측결속체(133)와 이웃하는 제2-2 외측결속체(134)와, 상기 제1-2 외측결속체(132)와 상기 제2-2 외측결속체(134) 사이에 구비되는 구동수단(135)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수단(135)은, 일측에 상기 제1-2 외측결속체(132)의 일단이 연동되며 타측에 상기 제2-2 외측결속체(134)의 일단이 연동되며, 상기 제1-2 외측결속체(132)를 진퇴 유동시켜 상기 제1-1 외측결속체(131)와 상기 제1-2 외측결속체(132) 사이에서 상기 제1 지지부(121)가 가압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제2-2 외측결속체(134)를 진퇴 유동시켜 상기 제2-1 외측결속체(133)와 상기 제2-2 외측결속체(134) 사이에서 상기 제2 지지부(122)가 가압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안착모듈(100)은, 상기 제1 구조체(13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구조체(1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구조체(140)은 상기 제1-1 외측결속체(131)와 연동되어 상기 제1-1 외측결속체(131)를 상하 유동시키며, 하부 유동시 상기 제1-2 지지부(1212)를 하부로 가압하여, 상기 제1-2 지지부(1212)와 상기 제1-1 지지부(1211)의 제1 모서리영역(EL1)으로 항기 제1-2 외측결속체(132)를 하부로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하며, 상기 제2-1 외측결속체(133)와 연동되어 상기 제2-1 외측결속체(133)를 상하 유동시키며, 하부 유동시 상기 제2-2 지지부(1222)를 하부로 가압하여, 상기 제2-2 지지부(1222)와 상기 제2-1 지지부(1221)의 제2 모서리영역(EL2)으로 항기 제2-2 외측결속체(134)를 하부로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하며, 상기 제2 구조체(140)은, 대칭형 ㄱ자 형상으로서 상기 제1-1 외측결속체(131)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제1 안착구조부(141)가 구비되며, ㄱ자 형상으로서 상기 제2-1 외측결속체(133)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제2 안착구조부(142)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안착구조부(141)는 제1 진퇴형가동체(1411)가 구비되어 상기 제1-1 지지부(1211)의 외측을 가압 접촉하며, 상기 제2 안착구조부(142)는 제2 진퇴형가동체(1421)가 구비되어 상기 제2-1 지지부(1221)의 외측을 가압 접촉하며, 상기 제1-2 지지부(1212)는 중앙부에 제1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2 지지부(1222)는 중앙부에 제2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모듈(100)은, 상기 제1-2 지지부(1212)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 걸림체(1431)와, 상기 제1-1 외측결속체(131)에 승하강 구동 가능하도록 연동되며 상기 제1 관통공을 경유하여 상기 제1 걸림체(1431)와 연동되는 제1 연동바(1432)를 포함하는 제1 걸림모듈(143)과, 상기 제2-2 지지부(1222)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 걸림체(1441)와, 상기 제2-1 외측결속체(133)에 승하강 구동 가능하도록 연동되며 상기 제2 관통공을 경유하여 상기 제2 걸림체(1441)와 연동되는 제2 연동바(1442)를 포함하는 제2 걸림모듈(144)을 더 포함하는 폐기물 수거차량을 이용한 폐기물 수거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ste treatment method using a waste collection vehicle, comprising: moving a waste collection vehicle to a destination for waste collection; Collecting the waste into the storage tank 3 by the waste collection vehicle; And discharging the waste collected by the vehicle to the storage facility 50 to the outside, wherein the storage facility 50 includes a predetermined tank body 55 and a lower portion of the tank body 55. It includes a support portion (121, 122) provided, and the seating module 100 installed under the tank body (55), the support portion (121, 122), the first-first support portion (1211) formed vertically 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121 is provided with a 1-2 support 1212 horizontally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1-1 support 1212, and is formed vertically and the 1-1 support 1212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122 having an opposite 2-1 support portion 1221 and a 2-2 support portion 1222 horizontally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2-1 support portion 1221, wherein the seating is performed. The module 100 further includes a first structure 130 for fixing pressure to the first support part 121 and the second support part 122 below, and the first structure 130 includes the first It is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1-2 support portion 1212 and the 1-1 outer binding body 131 into which the 1-2 support portion 1212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insertion groove, and the 1-2 support portion 1212 inside. The first and second outer binding bodies 132 and the first and second outer binding bodies 132 adjacent to the first-first outer binding body 131 and the second-second supporting portions 1222 are disposed with the first-second supporting portion 1212 interposed therebetween. Located on the outside, the 2-1 outer binding body 133 into which the 2-2 support portion 1222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insertion groove, and the 2-2 support portion 1222 is located inside the 2-2 support portion The 2-1 outer binding body 134 adjacent to the 2-1 outer binding body 133 with the support portion 1222 interposed therebetween, the 1-2 outer binding body 132 and the second 2- 2 includes a driving means 135 provided between the outer binding body 134, and the driving means 135 has one end of the first-2 outer binding body 132 interlocked on one side and the second side 2-2 One end of the outer binding body 134 is interlocked, and the first-2 outer binding The first support portion 121 is pressed and fixed between the first-first outer binding body 131 and the first-second outer binding body 132 by moving the inner body 132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second- 2 to the forward and backward flow of the outer binding body 134, so that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2 is fixed between the 2-1 outer binding body 133 and the 2-2 outer binding body 134, the The seating module 100 further includes a second structure 140 provided below the first structure 130, and the second structure 140 includes the first-first outer binding body 131. It is interlocked to flow the first-first outer binding body 131 up and down, and when the lower flow, the first-second support 1212 is pressed downward, so that the first-second support 1212 and the first- 1 The first edge region EL1 of the support portion 1211 is pressed to fix the first-second outer binding body 132 downward, and is interlocked with the second-first outer binding body 133 to remove the first 2-1 The outer binding body 133 flows up and down, and when the lower flow, the second-second support portion 1222 is pressed downward, so that the second-second support portion 1222 and the second-first support portion 1221 ) To the second edge region (EL2) of the aircraft 2-2 outer binding body 134 to be fixed by pressing downward, the second structure 140 is a symmetrical a-shaped, the first-first outer binding A first seating structure portion 141 is provided to be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31, and a second seating structure portion 142 is provided to be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2-1 outer binding body 133 as an a-shape Is provided, the first seating structure 141 is provided with a first retractable movable body (1411) is in pressure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first 1-1 support 1212, the second seating structure 142 is made of 2 The retractable movable body 1421 is provided to press-contact the outside of the 2-1 support part 1221, and the 1-2 support part 1212 is formed with a first through hole in the center, and the 2-2 The support portion 1222 has a second through hole in the center portion It is formed, the seating module 100, the first locking body 1431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1-2 support portion 1212 and the first-first outer binding body 131 can be driven up and down The first locking module 143 including the first interlocking bar 1432 interlocked with the first locking body 1431 via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second support portion 1222 The second locking body 1441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locking body 1441 and the second locking body 1441 are interlock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on the 2-1 outer binding body 133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Provided is a waste collection method using a waste collection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interlocking module (144) including a second interlocking bar (1442) interlocked.

본 발명에 따르면, 수거차량 자체의 안정성을 확보하여 폐기물의 저장과 운반에 있어 사고 발생시 차량 자체의 파손과 2차 피해 발생, 및 주변의 오염 등 복합적인 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수거차량의 폐기물 저장 후에 이를 2차적으로 다시 옳겨 취급하기 위한 추가적인 저장설비를 제공하되, 외부의 충격과 각종 사고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특별한 구조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2차적인 저장설비로 구비되는 탱크 구조물의 내진 거치는 물론 좌우측면 등으로의 슬라이딩 방식을 구현해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collected vehicle itself, and prevent the damage to the vehicle itself and the occurrence of secondary damages, such as contamination of the surroundings, and accidents in the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waste. . In addition, after storage of the wastes of the collected vehicles, additional storage facilities are provided to handle them correctly and secondarily, bu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ovided as a special structure to prevent external shocks and various accident risks. In addition, seismic mounting of the tank structure provided as a secondary storage facility, as well as sliding to the left and right sides can be implem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수거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도 1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5은 도 1에 따른 구성들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수거차량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도 6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1 is a view showing a waste collection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3 are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FIG. 1.
4 to 5 are diagrams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omponents according to FIG. 1.
6 is a flow chart sequentially showing a waste treatment method using a waste collection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8 are diagrams showing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6.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수거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도 1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폐기물 수거차량으로서, 소정의 차체부(2); 및 상기 차체부(2)상에 구비되며 수거된 폐기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부(3)를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5은 도 1에 따른 구성들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폐기물 수거차량으로서, 소정의 차체부(2); 및 상기 차체부(2)상에 구비되며 수거된 폐기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부(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탱크부(3)는 연장부(31)가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31)는 소정 구조의 체결구조부(32)가 구비된다. 상기 연장부(31)의 상기 체결구조부(32)를 통해 상기 저장탱크부(3)는 상기 차체부(2)에 볼트(33) 등의 결속수단으로 결속된다. 또한, 이에 더하여 상기 저장탱크부(3)의 상기 연장부(31)에는 제2 체결구조부(5)가 구비된다. 1 is a view showing a waste collection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3 are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FIG. 1. 1 to 3, as a waste collection vehicle, a predetermined vehicle body part 2; And a storage tank part 3 provided on the vehicle body part 2 and storing collected waste. 4 to 5 are diagrams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omponents according to FIG. 1. 4 to 5, as a waste collection vehicle, a predetermined vehicle body portion 2; And a storage tank part 3 provided on the vehicle body part 2 and storing collected waste. Here, the storage tank part 3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part 31, and the extension part 31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structure part 32 of a predetermined structure. The storage tank part 3 is fastened to the vehicle body part 2 by a binding means such as a bolt 33 through the fastening structure part 32 of the extension part 31. In addition, a second fastening structure 5 is provided in the extension part 31 of the storage tank part 3.

상기 제2 체결구조부(5)는 상기 연장부(31)측에 볼트로 결속되는 제1 구조체(51)와, 상기 차체부(2)측에 볼트로 결속되는 제2 구조부(52)와, 상기 제1 구조체(51)와 상기 제2 구조부(52)를 내부에서 외부로 유동시키는 구동부(50)로 구비된다. 상기 제1 구조체(51)는 상기 구동부(50)에서 수직바향으로 구비되어 연동되며, 상기 제2 구조부(52)는 상기 구동부(50)에서 수평방향으로 구비되 연동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구조체(51)는 상기 구동부(50)를 내부를 향하여 하강하도록 유동힘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2 구조부(52)는 상기 구동부(50) 내부를 향하여 후퇴하도록 유동힘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유동힘에 기반하여 상기 차체부(2)와 상기 저장탱크부(3)는 결속력 보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부(3)와 상기 차체부(2)사이에는 마감구조물(4)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마감구조물(4)은 상기 저장탱크부(3)와 상기 차체부(2) td를 마감하여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이물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마감구조물(4)은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데 예시로서 차체부(2)의 휀더의 상부로 연동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econd fastening structure 5 includes a first structure 51 that is bolted to the extension part 31 side, a second structure 52 that is bolted to the vehicle body part 2 side, and the The first structure 51 and the second structure 52 are provided as a driving unit 50 that flows from inside to outside. The first structure 51 is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driving unit 50 and interlocked, and the second structure 52 is pro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driving unit 50 and interlocked. Here, the first structure 51 generates a flow force to lower the drive portion 50 toward the inside, and the second structure portion 52 generates a flow force to retreat toward the inside of the drive portion 50. . Based on the flow force, the vehicle body portion 2 and the storage tank portion 3 can reinforce the binding force. In addition, a finishing structure 4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torage tank part 3 and the vehicle body part 2. The finishing structure 4 closes the storage tank part 3 and the vehicle body part 2 td to prevent external shock from being applied or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finishing structure 4 may be fixed in various ways. As an example, it is possible to interlock and fix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art 2.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수거차량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도 6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폐기물 수거차량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방법으로서, 폐기물 수거차량이 폐기물 수거를 위한 목적지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폐기물 수거차량이 폐기물을 저장탱크부(3)로 수거하는 단계; 및 상기 폐기물 수거차량이 수거된 폐기물을 외부에 저장설비(50)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설비(50)는, 소정의 탱크본체(55)와, 상기 탱크본체(55)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부(121, 122)와, 상기 탱크본체(55) 하부에 설치되는 안착모듈(100)을 포함한다. 상기 탱크본체(55)는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부(121, 12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21, 122)는,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1 지지부(1211)와, 상기 제1-1 지지부(1211)에서 외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제1-2 지지부(1212)가 구비되는 제1 지지부(121)와,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1 지지부(1211)와 대향하는 제2-1 지지부(1221)와, 상기 제2-1 지지부(1221)에서 외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제2-2 지지부(1222)가 구비되는 제2 지지부(122)를 포함한다.6 is a flow chart sequentially showing a waste treatment method using a waste collection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8 are diagrams showing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6. 6 to 8, a waste treatment method using a waste collection vehicle, comprising: moving a waste collection vehicle to a destination for waste collection; Collecting the waste into the storage tank 3 by the waste collection vehicle; And discharging the waste collected by the vehicle to the storage facility 50 to the outside. The storage facility 50 includes a predetermined tank body 55, support parts 121 and 122 provided under the tank body 55, and a seating module 100 installed under the tank body 55. It includes. The tank body 55 includes support parts 121 and 122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he support parts 121 and 122 are provided with a first-first support part 1211 formed vertically and a first-second support part 1212 horizontally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first-first support part 1211. 1 support portion 121, a 2-1 support portion 1221 formed vertically and facing the 1-1 support portion 1211, and a second extending horizontally outward from the 2-1 support portion 1221 -2 includes a second support portion 122 is provided.

상기 안착모듈(100)은 하방에 상기 제1 지지부(121)와 상기 제2 지지부(122)에 대한 가압 고정을 위한 제1 구조체(1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구조체(130)은, 상기 제1-2 지지부(1212) 외측에 위치되며 내부 삽입홈으로 상기 제1-2 지지부(1212)가 삽입되는 제1-1 외측결속체(131)와, 상기 제1-2 지지부(1212)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2 지지부(1212)를 사이에두고 상기 제1-1 외측결속체(131)와 이웃하는 제1-2 외측결속체(132)와, 상기 제2-2 지지부(1222) 외측에 위치되며 내부 삽입홈으로 상기 제2-2 지지부(1222)가 삽입되는 제2-1 외측결속체(133)와, 상기 제2-2 지지부(1222)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2-2 지지부(1222)를 사이에두고 상기 제2-1 외측결속체(133)와 이웃하는 제2-2 외측결속체(134)와, 상기 제1-2 외측결속체(132)와 상기 제2-2 외측결속체(134) 사이에 구비되는 구동수단(135)를 포함한다.The seating module 100 further includes a first structure 130 for pressing and fixing the first support part 121 and the second support part 122 below, and the first structure 130 includes: The first-first outer binding body 131 and the first-second support portion 1212, which are located outside the first-second support portion 1212 and into which the first-second support portion 1212 is inserted into an internal insertion groove, The first and second outer binding bodies 132 and the second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132 adjacent to the first-first outer binding body 131 and the second-second supporting portion 1212 are disposed on the inner side. 1222) 2-1 outer binding body 133, which is located on the outside and into which the 2-2 support portion 1222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insertion groove, and is located inside the 2-2 support portion 1222, and the second The 2-2 outer binding body 134 adjacent to the 2-1 outer binding body 133 with the -2 support portion 1222 interposed therebetween, the 1-2 outer binding body 132 and the agent 2-2 includes a driving means 135 provided between the outer binding body 134.

상기 구동수단(135)은, 일측에 상기 제1-2 외측결속체(132)의 일단이 연동되며 타측에 상기 제2-2 외측결속체(134)의 일단이 연동되며, 상기 제1-2 외측결속체(132)를 진퇴 유동시켜 상기 제1-1 외측결속체(131)와 상기 제1-2 외측결속체(132) 사이에서 상기 제1 지지부(121)가 가압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제2-2 외측결속체(134)를 진퇴 유동시켜 상기 제2-1 외측결속체(133)와 상기 제2-2 외측결속체(134) 사이에서 상기 제2 지지부(122)가 가압 고정되도록 한다.In the driving means 135, one end of the first-2 outer binding body 132 is interlocked on one side, and one end of the second-2 outer binding body 134 is interlocked on the other side, and the first-2 The first support portion 121 is fixedly pressurized between the first-first outer binding body 131 and the first-second outer binding body 132 by moving the outer binding body 132 forward and backward. 2-2 The outer binding body 134 is moved back and forth to allow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2 to be fixedly fixed between the 2-1 outer binding body 133 and the 2-2 outer binding body 134. .

상기 탱크본체(55)는, 상기 제1 구조체(13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구조체(1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구조체(140)은, 상기 제1-1 외측결속체(131)와 연동되어 상기 제1-1 외측결속체(131)를 상하 유동시키며, 하부 유동시 상기 제1-2 지지부(1212)를 하부로 가압하여, 상기 제1-2 지지부(1212)와 상기 제1-1 지지부(1211)의 제1 모서리영역(EL1)으로 항기 제1-2 외측결속체(132)를 하부로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하며, 상기 제2-1 외측결속체(133)와 연동되어 상기 제2-1 외측결속체(133)를 상하 유동시키며, 하부 유동시 상기 제2-2 지지부(1222)를 하부로 가압하여, 상기 제2-2 지지부(1222)와 상기 제2-1 지지부(1221)의 제2 모서리영역(EL2)으로 항기 제2-2 외측결속체(134)를 하부로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한다.The tank body 55 further includes a second structure 140 provided below the first structure 130, and the second structure 140 includes the first-first outer binding body 131. ), the first-first outer binding member 131 flows up and down, and when the lower flow, the first-second support 1212 is pressed downward, so that the first-second support 1212 and the first 1-1 The first edge area EL1 of the support portion 1211 is pressed to fix the first 1-2 outer binding member 132 downward, and is interlocked with the 2-1 outer binding member 133 The 2-1 outer binding body 133 flows up and down, and when the lower flow, the 2-2 support portion 1222 is pressed downward, so that the 2-2 support portion 1222 and the 2-1 support portion To the second corner area (EL2) of (1221), the aircraft 2-2 outer binding body 134 is pressed downward to be fixed.

상기 제2 구조체(140)은, 대칭형 ㄱ자 형상으로서 상기 제1-1 외측결속체(131)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제1 안착구조부(141)가 구비되며, ㄱ자 형상으로서 상기 제2-1 외측결속체(133)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제2 안착구조부(142)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안착구조부(141)는 제1 진퇴형가동체(1411)가 구비되어 상기 제1-1 지지부(1211)의 외측을 가압 접촉하며, 상기 제2 안착구조부(142)는 제2 진퇴형가동체(1421)가 구비되어 상기 제2-1 지지부(1221)의 외측을 가압 접촉한다.The second structure 140 is provided with a first seating structure 141 provided to be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first outer binding body 131 as a symmetrical a-shape, and the 2-1 as a-shape A second seating structure portion 142 is provided to be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binding body 133, and the first seating structure portion 141 is provided with a first retractable movable body 1411 to provide the first-first support portion. The outer side of the (1211) is press-contacted, and the second seating structure portion 142 is provided with a second forward-backward movable body 1421 to press-contact the outer side of the 2-1 support portion 1221.

상기 제1-2 지지부(1212)는 중앙부에 제1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2 지지부(1222)는 중앙부에 제2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모듈(100)은, 상기 제1-2 지지부(1212)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 걸림체(1431)와, 상기 제1-1 외측결속체(131)에 승하강 구동 가능하도록 연동되며 상기 제1 관통공을 경유하여 상기 제1 걸림체(1431)와 연동되는 제1 연동바(1432)를 포함하는 제1 걸림모듈(143)과, 상기 제2-2 지지부(1222)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 걸림체(1441)와, 상기 제2-1 외측결속체(133)에 승하강 구동 가능하도록 연동되며 상기 제2 관통공을 경유하여 상기 제2 걸림체(1441)와 연동되는 제2 연동바(1442)를 포함하는 제2 걸림모듈(144)을 더 포함한다.The 1-2 support portion 1212 is formed with a first through hole in the center, and the 2-2 support portion 1222 is formed with a second through hole in the center, and the seating module 100 is the first- 2 The first locking body 1431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art 1212 and the first-first outer binding body 131 are interlock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 first locking module 143 including a first interlocking bar 1432 interlocked with a sieve 1431, a second locking body 1441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2-2 support portion 1222, and A second jam including a second interlocking bar 1442 that is interlocked with the 2-1 outer binding body 133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is interlocked with the second locking body 1441 via the second through hole. The module 144 is further included.

상기 제1 연동바(1432)는 상기 제1-1 외측결속체(131)에서 하강하여 상기 제1 걸림체(1431)로 상기 제1-2 지지부(1212)를 하방 가압하며, 상기 제2 연동바(1442)는 상기 제2-1 외측결속체(133)에서 하강하여 상기 제2 걸림체(1441)로 상기 제2-2 지지부(1222)를 하방 가압하며, 상기 탱크본체(55)는 상기 제2 구조체(14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구조체을 지지 고정시키는 하부지지물(150)과, 상기 제2 구조체(14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구조체을 지지 고정시키는 제1 측면지지물(160)과, 상기 제2 구조체(140)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구조체을 지지 고정시키는 설치되는 제2 측면지지물(170)을 포함한다.The first interlocking bar 1432 descends from the first-first outer binding member 131 and presses the first-2 supporting part 1212 downward with the first locking member 1431, and the second interlocking The bar 1442 descends from the 2-1 outer binding body 133 and presses the 2-2 support portion 1222 downward with the second locking body 1441, and the tank body 55 is the A lower support 150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tructure 140 to support and fix the second structure, and a first side support 16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tructure 140 to support and fix the second structure 160 ) And a second side support 170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tructure 140 to support and fix the second structure.

상기 하부지지물(150)은, 하부몸체(151)와, 상기 하부몸체(151)에서 상기 제2 구조체(140)의 기 형성된 제1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하단삽입고정체(152)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단삽입고정체(152)는, 상기 하부몸체(151)에서 승하강 구동 가능한 제1 연결바(1521)와, 상기 제1 연결바(1521)에 구비되어 상기 제2 구조체(140)의 상기 제1 내부공간을 진입하며 양측으로 상기 제1 내부공간의 측면 내벽을 향하여 돌출하는 제1 돌출구(1523)가 구비되는 제1 진입체(1522)를 포함한다.The lower support 150 further includes a lower body 151 and a lower insertion fixture 152 that is inserted from the lower body 151 into the first formed internal space of the second structure 140. . The lower insert fixing body 152 is provided on the first connection bar 1521 and the first connection bar 1521 that can be driven up and down from the lower body 151, and the second structure 140 It includes a first entry body (1522) having a first protrusion (1523) that enters the first interior space and protrudes toward the side inner wall of the first interior space on both sides.

상기 제2 구조체(140)은 상기 제1 내부공간에서 상기 제1 연결바(1521)의 양측을 가압하는 복수의 제1 내부가압체(145)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돌출구(1523)는 상기 제1 연결바(1521)가 후진하는 경우 상기 제1 내부가압체(145)의 상부에 대해 걸림방식으로 접촉 가압하여 고정력이 발휘된다.The second structure 14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internal pressing bodies 145 that pressurize both sides of the first connection bar 1521 in the first internal space, and the first protrusion 1523 is the When the first connecting bar 1521 is retracted, the fixing force is exerted by contacting and pres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internal pressing body 145 in a locking manner.

상기 제1 측면지지물(160)은, 제1 측면몸체(161)와, 상기 제1 측면몸체(161)에서 상기 제2 구조체(140)의 기 형성된 제2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제1 측면삽입고정체(16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측면삽입고정체(162)는, 상기 제1 측면몸체(161)에서 전후진 구동 가능한 제2 연결바(1621)와, 상기 제2 연결바(1621)에 구비되어 상기 제2 구조체(140)의 상기 제2 내부공간을 진입하며 양측으로 상기 제2 내부공간의 측면 내벽을 향하여 돌출하는 제2 돌출구(1623)가 구비되는 제2 진입체(1622)를 포함한다.The first side support 160, the first side body 161, and the first side body inserting the first side body 161 is inserted into the preformed second inner space of the second structure 140 It further includes a congestion (162). The first side insert fixing body 162 is provided on the second connection bar 1621 and the second connection bar 1621 that can be driven back and forth from the first side body 161, and the second structure ( It includes a second entry body (1622) having a second protrusion (1623) that enters the second interior space of 140) and protrudes toward the side inner wall of the second interior space on both sides.

상기 제2 구조체(140)은 상기 제2 내부공간에서 상기 제2 연결바(1621)의 양측을 가압하는 복수의 제2 내부가압체(146)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돌출구(1623)는 상기 제2 연결바(1621)가 후진하는 경우 상기 제2 내부가압체(146)의 상부에 대해 걸림방식으로 접촉 가압하여 고정력이 발휘된다. 상기 제2 측면지지물(170)은, 제2 측면몸체(171)와, 상기 제2 측면몸체(171)에서 상기 제2 구조체(140)의 기 형성된 제3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제2 측면삽입고정체(172)를 더 포함한다.The second structure 14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internal pressing bodies 146 that pressurize both sides of the second connecting bar 1621 in the second inner space, and the second protrusions 1623 are the When the second connecting bar 1621 is retracted, the fixing force is exerted by contacting and pres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internal pressing body 146 in a locking manner. The second side support 170, the second side body 171, and the second side body inserting the second side body 171 is inserted into the preformed third interior space of the second structure 140 It further includes a congestion 172.

상기 제2 측면삽입고정체(172)는, 상기 제2 측면몸체(171)에서 전후진 구동 가능한 제3 연결바(1721)와, 상기 제3 연결바(1721)에 구비되어 상기 제2 구조체(140)의 상기 제3 내부공간을 진입하며 양측으로 상기 제3 내부공간의 측면 내벽을 향하여 돌출하는 제3 돌출구(1723)가 구비되는 제3 진입체(172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구조체(140)은 상기 제3 내부공간에서 상기 제3 연결바(1721)의 양측을 가압하는 복수의 제3 내부가압체(147)가 구비되며, 상기 제3 돌출구(1723)는 상기 제3 연결바(1721)가 후진하는 경우 상기 제3 내부가압체(147)의 상부에 대해 걸림방식으로 접촉 가압하여 고정력이 발휘된다.The second side insert fixing body 172 is provided on the third connecting bar 1721 and the third connecting bar 1721 that can be driven back and forth from the second side body 171, and the second structure ( It includes a third entry body (1722) that is provided with a third protrusion (1723) that enters the third interior space of 140) and protrudes toward the side inner wall of the third interior space on both sides. The second structure 14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ird internal pressing bodies 147 that pressurize both sides of the third connecting bar 1721 in the third inner space, and the third protrusion 1723 is When the third connection bar 1721 is retracted, the fixing force is exerted by contacting and pres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internal pressing body 147 in a locking manner.

싱가 제1 측면지지물(160)은, 상기 하부지지물의 일측면에서 승하강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부에서 상부로 설정범위로 출몰되는 소정 형상의 제1 출몰체(163)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출몰체(163)의 출몰범위에 따라 상기 탱크본체(55)의 외부로 내부에 대한 보호, 또는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폭발사고시 외부로의 충격발생 억제작용을 수행한다. 싱가 제2 측면지지물(170)은, 상기 하부지지물의 일측면에서 승하강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부에서 상부로 설정범위로 출몰되는 제2 출몰체(173)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출몰체(173)의 출몰범위에 따라 상기 탱크본체(55)의 외부로 내부에 대한 보호, 또는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폭발사고시 외부로의 충격발생 억제작용을 수행한다.The first side support 160 of the Singapore is provid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on one side of the lower support, and is provided with a first appearance of the first extruding body 163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that is driven from the inside to the set range. 1 According to the appearance range of the appearance body 163, the inside of the tank body 55 is protected from the inside, or an impact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is suppressed when an explosion occurs. The second side support 170 of Singapore is provid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on one side of the lower support, and is provided with a second extruding body 173 that is roared from the inside to a set range, and the second extruding body According to the appearance range of (173), the tank body 55 is protect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r when the explosion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is performed, an impact is generat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2 : 차체부
3 : 저장탱크부
50 : 저장설비
55 : 탱크본체
2: Body parts
3: Storage tank part
50: storage facility
55: tank body

Claims (2)

소정의 차체부(2); 및 상기 차체부(2)상에 구비되며 수거된 폐기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부(3)를 포함하는 폐기물 수거차량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방법으로서,
폐기물 수거차량이 폐기물 수거를 위한 목적지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폐기물 수거차량이 폐기물을 저장탱크부(3)로 수거하는 단계; 및
상기 폐기물 수거차량이 수거된 폐기물을 외부에 저장설비(50)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설비(50)는,
소정의 탱크본체(55)와, 상기 탱크본체(55)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부(121, 122)와, 상기 탱크본체(55) 하부에 설치되는 안착모듈(10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121, 122)는,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1 지지부(1211)와, 상기 제1-1 지지부(1211)에서 외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제1-2 지지부(1212)가 구비되는 제1 지지부(121)와,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1 지지부(1211)와 대향하는 제2-1 지지부(1221)와, 상기 제2-1 지지부(1221)에서 외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제2-2 지지부(1222)가 구비되는 제2 지지부(122)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모듈(100)은,
하방에 상기 제1 지지부(121)와 상기 제2 지지부(122)에 대한 가압 고정을 위한 제1 구조체(1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구조체(130)은,
상기 제1-2 지지부(1212) 외측에 위치되며 내부 삽입홈으로 상기 제1-2 지지부(1212)가 삽입되는 제1-1 외측결속체(131)와,
상기 제1-2 지지부(1212)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2 지지부(1212)를 사이에두고 상기 제1-1 외측결속체(131)와 이웃하는 제1-2 외측결속체(132)와,
상기 제2-2 지지부(1222) 외측에 위치되며 내부 삽입홈으로 상기 제2-2 지지부(1222)가 삽입되는 제2-1 외측결속체(133)와,
상기 제2-2 지지부(1222)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2-2 지지부(1222)를 사이에두고 상기 제2-1 외측결속체(133)와 이웃하는 제2-2 외측결속체(134)와,
상기 제1-2 외측결속체(132)와 상기 제2-2 외측결속체(134) 사이에 구비되는 구동수단(135)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수단(135)은,
일측에 상기 제1-2 외측결속체(132)의 일단이 연동되며 타측에 상기 제2-2 외측결속체(134)의 일단이 연동되며, 상기 제1-2 외측결속체(132)를 진퇴 유동시켜 상기 제1-1 외측결속체(131)와 상기 제1-2 외측결속체(132) 사이에서 상기 제1 지지부(121)가 가압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제2-2 외측결속체(134)를 진퇴 유동시켜 상기 제2-1 외측결속체(133)와 상기 제2-2 외측결속체(134) 사이에서 상기 제2 지지부(122)가 가압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안착모듈(100)은,
상기 제1 구조체(13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구조체(1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구조체(140)은 상기 제1-1 외측결속체(131)와 연동되어 상기 제1-1 외측결속체(131)를 상하 유동시키며, 하부 유동시 상기 제1-2 지지부(1212)를 하부로 가압하여, 상기 제1-2 지지부(1212)와 상기 제1-1 지지부(1211)의 제1 모서리영역(EL1)으로 항기 제1-2 외측결속체(132)를 하부로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하며,
상기 제2-1 외측결속체(133)와 연동되어 상기 제2-1 외측결속체(133)를 상하 유동시키며, 하부 유동시 상기 제2-2 지지부(1222)를 하부로 가압하여, 상기 제2-2 지지부(1222)와 상기 제2-1 지지부(1221)의 제2 모서리영역(EL2)으로 항기 제2-2 외측결속체(134)를 하부로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하며,
상기 제2 구조체(140)은,
대칭형 ㄱ자 형상으로서 상기 제1-1 외측결속체(131)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제1 안착구조부(141)가 구비되며,
ㄱ자 형상으로서 상기 제2-1 외측결속체(133)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제2 안착구조부(142)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안착구조부(141)는 제1 진퇴형가동체(1411)가 구비되어 상기 제1-1 지지부(1211)의 외측을 가압 접촉하며,
상기 제2 안착구조부(142)는 제2 진퇴형가동체(1421)가 구비되어 상기 제2-1 지지부(1221)의 외측을 가압 접촉하며,
상기 제1-2 지지부(1212)는 중앙부에 제1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2 지지부(1222)는 중앙부에 제2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모듈(100)은,
상기 제1-2 지지부(1212)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 걸림체(1431)와,
상기 제1-1 외측결속체(131)에 승하강 구동 가능하도록 연동되며 상기 제1 관통공을 경유하여 상기 제1 걸림체(1431)와 연동되는 제1 연동바(1432)를 포함하는 제1 걸림모듈(143)과,
상기 제2-2 지지부(1222)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 걸림체(1441)와,
상기 제2-1 외측결속체(133)에 승하강 구동 가능하도록 연동되며 상기 제2 관통공을 경유하여 상기 제2 걸림체(1441)와 연동되는 제2 연동바(1442)를 포함하는 제2 걸림모듈(144)을 더 포함하는 폐기물 수거차량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방법.
A predetermined body part 2; And a storage tank (3) provided on the vehicle body (2) and storing the collected waste, as a waste treatment method using a waste collection vehicle,
Moving the waste collection vehicle to a destination for waste collection;
Collecting the waste into the storage tank 3 by the waste collection vehicle; And
And discharging the waste collected by the vehicle to the storage facility 50 to the outside.
The storage facility 50,
It includes a predetermined tank body 55, support parts 121 and 122 provided below the tank body 55, and a seating module 100 installed below the tank body 55,
The support portion (121, 122),
A first support part 121 having a first-first support part 1211 formed vertically and a first-second support part 1212 horizontally extending outward from the first-first support part 1211;
A 2-1 support portion 1221 formed vertically and facing the 1-1 support portion 1211 and a 2-2 support portion 1222 horizontally extending outward from the 2-1 support portion 1221 are provided. It includes a second support portion 122 is provided,
The seating module 100,
Further comprising a first structure 130 for pressing and fixing the first support portion 121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2 below,
The first structure 130,
A first-first outer binding member 131, which is located outside the first-second support portion 1212 and into which the first-second support portion 1212 is inserted into an internal insertion groove,
The 1-2 outer binding body 132 adjacent to the 1-1 outer binding body 131, which is located inside the 1-2 supporting portion 1212 and sandwiches the 1-2 supporting portion 1212 therebetween. Wow,
A 2-1 outer binding member 133 which is located outside the 2-2 support portion 1222 and into which the 2-2 support portion 1222 is inserted into an internal insertion groove;
The 2-2 outer binding body 134 adjacent to the 2-1 outer binding body 133, which is located inside the 2-2 supporting portion 1222, and has the 2-2 supporting portion 1222 interposed therebetween. Wow,
And a driving means (135) provided between the first-2 outer binding body (132) and the second-2 outer binding body (134),
The driving means 135,
One end of the 1-2 outer binding body 132 is interlocked to one side, and one end of the 2-2 outer binding body 134 is interlocked to the other side, and the first-2 outer binding body 132 is moved back and forth. By flowing, the first support portion 121 is fixed to the pressure between the first-first outer binding body 131 and the first-second outer binding body 132,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2 is pressurized and fixed between the 2-1 outer binding body 133 and the 2-2 outer binding body 134 by moving the 2-2 outer binding body 134 forward and backward. As possible,
The seating module 100,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tructure 140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tructure 130,
The second structure 140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first outer binding body 131 to flow the first-first outer binding body 131 up and down, and when the lower flow, the first-second support 1212 By pressing the lower portion, the first-2 outer portion 132 is pressed downward to the first edge region EL1 of the first-2 supporting portion 1212 and the first-first supporting portion 1211. To fix it,
The 2-1 outer binding body 133 is interlocked with the 2-1 outer binding body 133 to make the 2-1 outer binding body 133 flow up and down, and when the lower flow, the 2-2 support portion 1222 is pressed downward, so that the second The 2-2 support portion 1222 and the second edge region EL2 of the 2-1 support portion 1221 are pressed to fix the second-second outer binding body 134 downward, and fixed.
The second structure 140,
As a symmetrical a-shape, a first seating structure 141 is provided to be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first outer binding member 131,
The second seating structure 142 is provided to sea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2-1 outer binding body 133 as an a-shape,
The first seating structure portion 141 is provided with a first forward-removable movable body (1411) is in pressure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first-first support portion (1211),
The second seating structure portion 142 is provided with a second forward-removable movable body 1421 to press-contact the outside of the 2-1 support portion 1221,
The 1-2 support portion 1212 is formed with a first through hole in the center,
The 2-2 support portion 1222 is formed with a second through hole in the center portion,
The seating module 100,
A first locking body (1431)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1-2 support 1212,
The first including the first interlocking bar 1432 interlocked with the first-first outer binding body 131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interlocked with the first locking body 1431 via the first through hole. Hanging module 143,
A second locking body (1441)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2-2 support portion 1222,
A second interlocking bar (1442) including a second interlocking bar (1442) interlocked with the 2-1 outer binding body (133)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interlocked with the second locking body (1441) via the second through hole. Waste treatment method using a waste collection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jam module (144).
삭제delete
KR1020200025438A 2020-02-28 2020-02-28 Waste materials collection vehicle and transport method using ther same KR1021353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438A KR102135384B1 (en) 2020-02-28 2020-02-28 Waste materials collection vehicle and transport method using ther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438A KR102135384B1 (en) 2020-02-28 2020-02-28 Waste materials collection vehicle and transport method using ther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5384B1 true KR102135384B1 (en) 2020-07-17

Family

ID=71832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438A KR102135384B1 (en) 2020-02-28 2020-02-28 Waste materials collection vehicle and transport method using ther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38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224B1 (en) * 2004-08-23 2006-12-20 주식회사 드림바이오스 The multifunction system for food and trash all treatment
KR101695417B1 (en) 2016-07-25 2017-01-12 엔에스티네트웍스 주식회사 Loading box for recycling waste collecting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224B1 (en) * 2004-08-23 2006-12-20 주식회사 드림바이오스 The multifunction system for food and trash all treatment
KR101695417B1 (en) 2016-07-25 2017-01-12 엔에스티네트웍스 주식회사 Loading box for recycling waste collecting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4531B2 (en) Modular fuel storage system
US9108558B2 (en) Vehicle tray
DE102013215273B4 (en) Vehicle mounting structures of a battery pack
EP2003025A2 (en) Arranging structure of vehicle interior components
US10077123B2 (en) Method of using container having dunnage components movable along guides
KR102135384B1 (en) Waste materials collection vehicle and transport method using ther same
US20190016287A1 (en) Security System for a Transportation Vehicle
EP2671812B1 (en) Reusable container
CN111646029B (en) Combined container
KR102283336B1 (en) Low height type container of freight truck
US9352784B2 (en) Adapter for crush rail and torque box
KR102065738B1 (en) Transportation case for car components
KR101584333B1 (en) Level maintenance device for freight car
KR20150057890A (en) Freight train remodeled Container train
KR102183866B1 (en) Apparatus for transfering freight
KR20240016656A (en) Electronic car battery case
CN214565132U (en) Structure for rear portion of vehicle body
CN109455225A (en) The cross member in the bottom plate with geometry in particular for installing battery pack
CN213229998U (en) Fixing device for open-top box tray and container assembly
KR102564024B1 (en) Load absorbing structure for vehicle
JP4625871B1 (en) In-vehicle mobile container
CN214453830U (en) Movable storage box
WO2023194780A1 (en) Bracket assembly for attaching component to vehicle
DE102018006627B4 (en) Device for the controlled ignition and destruction of pyrotechnic modules
CA2200657A1 (en) Prisoner containment and transportation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