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866B1 - Apparatus for transfering freigh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ransfering freigh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866B1
KR102183866B1 KR1020180119114A KR20180119114A KR102183866B1 KR 102183866 B1 KR102183866 B1 KR 102183866B1 KR 1020180119114 A KR1020180119114 A KR 1020180119114A KR 20180119114 A KR20180119114 A KR 20180119114A KR 102183866 B1 KR102183866 B1 KR 102183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cargo
assembly surface
movement mechanism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1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39335A (en
Inventor
김갑수
Original Assignee
김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갑수 filed Critical 김갑수
Priority to KR1020180119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866B1/en
Publication of KR20200039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3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8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0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mechanical gearing only
    • B60P1/1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mechanical gearing only with toothed gears, wheels, or sectors; with links, cams and roll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rollers i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 차량의 컨테이너 바닥에 형성된 레일에 삽입되어 화물을 지지 또는 이동시키는 화물 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동 기구는 레일에 삽입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 몸체의 하부에 구비되고, 복수의 구름 부재를 포함하는 이동부; 몸체의 전후 방향 일단에 구비되는 제1 조립면; 및 몸체 및 이동부를 보호하도록 제1 조립면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 조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movement mechanism that is inserted into a rail formed on the bottom of a container of a cargo vehicle to support or move cargo. A cargo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ncludes a body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rail; A moving part provided under the body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rolling members; A first assembly surface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first assembly portion detachably assembled to the first assembly surface to protect the body and the moving portion.

Figure R1020180119114
Figure R1020180119114

Description

화물 이동 기구{APPARATUS FOR TRANSFERING FREIGHT}Cargo movement mechanism {APPARATUS FOR TRANSFERING FREIGHT}

본 발명은 화물 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 차량의 컨테이너 바닥에 형성된 레일에 삽입되어 화물을 지지 또는 이동시키는 화물 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movement mechanis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rgo movement mechanism that is inserted into a rail formed on the bottom of a container of a cargo vehicle to support or move cargo.

일반적으로, 화물 운송은 화물을 화물 차량의 컨테이너로 적재하는 과정, 화물을 목적지까지 운송하는 과정, 그리고 화물 차량의 컨테이너로부터 화물을 하역하는 일련의 과정을 포함한다. 그 중 적재 과정은 통상적으로 크레인 또는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화물을 컨테이너의 후단에 적재하고, 작업자가 화물을 컨테이너 내부 안에서 일정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수반한다. 화물의 하역 과정은 적재 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cargo transportation includes a process of loading cargo into a container of a cargo vehicle, a process of transporting cargo to a destination, and a series of processes of unloading cargo from a container of a cargo vehicle. Among them, the loading process usually involves loading cargo at the rear end of the container using a crane or a forklift, and the operator moving the cargo to a certain position inside the container. The cargo unloading process is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loading process.

컨테이너의 바닥에는 작업자가 화물을 이동시키기 용이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레일이 형성된다. 작업자는 먼저 레일 위에 화물 이동 기구를 삽입한 후, 화물을 화물 이동 기구에 의해 지지시킨다. 그 다음, 화물이 지지된 상태에서 화물 이동 기구를 통해 레일 방향으로 화물을 이동시킨다. At least one rail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cargo by the operator. The operator first inserts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on the rail, and then supports the cargo by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Then, the cargo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rail through the cargo moving mechanism while the cargo is supported.

그런데 이러한 화물 이동 기구는 하루에도 수십 번 이상 적재 과정이 이어지면서 컨테이너 후단을 벗어나 외부로 이탈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특히 작업자들은 적재의 신속성과 편리성만을 추구한 나머지 화물 이동 기구가 레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레일 후단에 설치된 단턱을 인위적으로 제거하여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탈된 화물 이동 기구의 몸체가 낙하하여 지면과 부딪치면 화물 이동 기구 몸체의 전후 방향 단부가 심하게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처럼 몸체가 파손되는 경우, 화물 이동 기구의 구조적 특성상 유지 보수를 위한 유일한 방법은 고가의 화물 이동 기구를 통째로 교체해야 하는 것뿐인데 작업자로서는 비용 부담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such a cargo movement mechanism, the loading process was continued more than a dozen times a day, and the phenomenon of leaving the rear end of the container to the outside frequently occurred. In particular, workers pursuing only the quickness and convenience of loading, so that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does not deviate from the rail, the stepped step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rail is removed artificially. When the body of the separated cargo movement device falls and collides with the grou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body of the cargo moving mechanism are severely damaged. When the body is damaged in this way, the only way for maintenance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argo moving mechanism is to replace the whole expensive cargo moving mechanism,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burden increases for the operator.

본 발명은 이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손되기 쉬운 전단 내지 후단 부위에 대하여 쉽고 저렴하게 유지 보수를 구현할 수 있는 화물 이동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problems, and to provide a cargo movement mechanism capable of easily and inexpensively performing maintenance on a front end portion or a rear end portion that is easily damaged.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물 차량의 컨테이너 바닥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레일에 삽입되어 화물을 지지 및 이동시키는 화물 이동 기구는 레일에 삽입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 몸체의 하부에 구비되고, 복수의 구름 부재를 포함하는 이동부; 몸체의 전후 방향 일단에 구비되는 제1 조립면; 및 몸체 및 이동부를 보호하도록 제1 조립면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 조립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조립부는, 상기 제1 조립면에 조립되는 경우 상기 제1 조립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조립면에 단일 방향으로 조립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argo movement mechanism for supporting and moving cargo by being inserted into at least one rail formed on the bottom of a container of a cargo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body extending in a front-rear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rail; A moving part provided under the body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rolling members; A first assembly surface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first assembly portion detachably assembled to the first assembly surface to protect the body and the mov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assembly portion is provided to cover the first assembly surface when assembled on the first assembly surfa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assembled in a single direction on the first assembly surface.

삭제delet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동 기구는 몸체의 전후 방향 타단에 구비되는 제2 조립면; 및 몸체 및 이동부를 보호하도록 제2 조립면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 조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cargo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assembly surfac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second assembly portion detachably assembled to the second assembly surface to protect the body and the moving portion.

또한, 제1 조립면 및 제1 조립부는, 제1 조립면 또는 제1 조립부에 각각 체결공 또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체결부재를 끼움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ssembly surface and the first assembly portion may be assembled by inserting a fastening member by forming a fastening hole or a fastening groove on the first assembly surface or the first assembly portion, respectively.

또한, 제1 조립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체결홈이 형성되고, 제1 조립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first fasten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first assembly surface, and at least one first fastening hole may be formed in the first assembly portion.

또한, 제1 조립면은 몸체의 전후 방향 일단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ssembly surface may be formed on one end of the body in the front-rear direction.

또한, 제1 조립면은 몸체의 전후 방향 일단면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ssembly surface may be formed on one end surface of the body in the front-rear direction.

또한, 제1 조립면은 몸체의 전후 방향 일단부에 형성된 승강 조작부의 일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ssembly surface may be one surface of the lifting operation portion formed at one 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body.

또한, 제1 조립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제1 조립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fastening hole may be formed in the first assembly surface, and at least one fasten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first assembly portion.

또한, 제1 조립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제1 조립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fastening hole may be formed in the first assembly surface, and at least one fastening hole may be formed in the first assembly portion.

또한, 제1 조립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홈이 형성되고, 제1 조립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fasten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first assembly surface, and at least one fastening hole may be formed in the first assembly portion.

또한, 제1 조립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제1 조립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fastening hole may be formed in the first assembly surface, and at least one fasten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first assembly portion.

또한, 제1 조립면은 몸체의 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ssembly surface may b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body.

또한, 제2 조립면 및 제2 조립부는, 제2 조립면 또는 제2 조립부에 각각 체결공 또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체결부재를 끼움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assembly surface and the second assembly portion may be assembled by inserting a fastening member in which fastening holes or fasten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second assembly surface or the second assembly portion, respectively.

또한, 제1 조립부에는 좌우 방향 양 측에 롤러 삽입부가 형성되고, 롤러 삽입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roller insertion portions may be formed on both sid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 the first assembly portion, and at least one roller may be provided in the roller insertion por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인 화물 이동 기구를 적용함으로써, 화물 차량의 컨테이너 외부로 이탈하면서 지면 등에 충돌하여 전단 또는 후단 부위가 크게 파손되더라도, 그 때마다 파손된 부품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여 유지 보수 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front or rear part is greatly damaged by colliding with the ground while leaving the container of the cargo vehicle, it is possible to replace only the damaged parts each time, and maintenance cost This has the advantage of being greatly reduced.

도 1a 내지 도 1d는 화물 이동 기구를 이용한 작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동 기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 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A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동 기구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동 기구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6의 B 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동 기구에 대한 단면도이다.
1A to 1D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 working method using a cargo moving mechanism.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rgo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part A of FIG. 2.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 of FIG. 2.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rgo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rgo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portion B of FIG. 6.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rgo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Here, repeated descriptions, well-known func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configurations are omit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explan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화물 이동 기구(1)를 이용한 작업 방법을 더 설명한다.Prior to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working method using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1 will be further described to aid in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는 화물 이동 기구(1)를 이용한 작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1b는 컨테이너(11)에 대한 개념도이다. 화물 차량(10)은 컨테이너(11)를 포함하며, 컨테이너(11)는 바닥(b)과, 바닥(b)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레일(r)을 포함한다. 레일(r)은 화물(3)의 밑에 화물 이동 기구(1)가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컨테이너(11)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홈의 형상을 갖는다.1A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working process using a cargo moving mechanism 1, and FIG. 1B is a conceptual diagram for a container 11. The freight vehicle 10 includes a container 11, and the container 11 includes a floor b and at least one rail r formed on the floor b. The rail r has a shape of a groove extending lo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ontainer 11 so that the cargo moving mechanism 1 is inserted under the cargo 3 and can be moved.

화물 이동 기구(1)는 몸체, 이동부 및 승강 조작부를 포함한다. 몸체는 컨테이너(11)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고, 화물(3) 또는 화물 받침대(2)의 저면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부는 복수의 바퀴들을 포함하며, 몸체의 하부에 배치된다. 승강 조작부는 몸체를 상승시켜, 화물이 바닥(b)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들리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cargo moving mechanism 1 includes a body, a moving part, and a lifting operation part. The body has a shape that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ontainer 11 and performs a function of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go 3 or the cargo pedestal 2. The moving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wheels, and is disposed under the body. The lifting operation unit raises the body and performs a function of lifting the cargo to a certain height from the floor (b).

작업자가 승강 조작부에 형성된 조작홈에 지렛대를 끼우고 작업자의 몸쪽으로 지렛대를 잡아 당기면, 몸체가 상부 방향으로 상승하여 화물(3) 또는 받침대(2)의 저면에 접촉하게 된다. 그 후, 작업자는 지렛대와 고정된 화물 이동 기구(1)를 레일(r)을 따라 밀거나 당김으로써 화물(3) 또는 화물(3)이 실린 받침대(2)를 컨테이너(11)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When the operator inserts the lever into the operation groove formed on the lifting operation unit and pulls the lever toward the operator's body, the body rises upward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go 3 or the pedestal 2. After that, the operator pushes or pulls the lever and the fixed cargo moving mechanism 1 along the rail r to move the cargo 3 or the support 2 carrying the cargo 3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ontainer 11. Can be moved.

여기서 전후 방향이란 화물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정의되며, 특히 화물이 적재되는 컨테이너를 기준으로 운전석 방향을 전단, 전단부, 전단측 전면 또는 전면부, 그 반대 방향을 후단, 후단부, 후단측, 후면 또는 후면부로 본다(도 1a 참조).Here, the front-rear direction is defined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rgo vehicle, and in particular, the driver's seat direction is the front end, the front end, the front side or the front side of the front side based on the container in which the cargo is loaded, and the opposite direction is the rear end, the rear end, the rear end, and the rear side. Or look at the rear (see Fig. 1A).

도 1c 및 도 1d는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화물 이동 기구(1)가 컨테이너(11)의 외부로 이탈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1C and 1D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 situation in which the cargo moving mechanism 1 is deviated from the container 11 due to the carelessness of an operator.

상술한 바와 같이, 화물 이동 기구(1)는 레일(r) 상에서 화물(3)을 이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만, 화물 이동 기구(1)는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컨테이너(11)의 후단에 정지된 상태로 유지되지 못하고, 컨테이너(11)의 외부로 이탈하여 지면 등으로 낙하할 수 있다. 즉, 화물 이동 기구(1)는 몸체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부에는 복수의 바퀴가 형성되어 어느 일 위치에 고정되지 못하고 외부로 낙하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화물 이동 기구(1)가 컨테이너(11)의 외부로 낙하하면, 화물 이동 기구(1)는 도 1c에 도시된 것처럼, 작업자가 지렛대로 조작하는 후단이 지면에 충돌하게 된다. 작업 또는 하역 작업이 이루어지는 컨테이너(11)의 바닥은 지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하고, 화물 이동 기구(1)는 철재와 같은 고밀도 재질로 이루어져 그 무게가 상당하기 때문에, 컨테이너(11)의 외부로 이탈하여 지면과 충돌하는 경우 화물 이동 기구(1)의 후단은, 도 1d에 도시된 것처럼 쉽게 파손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1 can be used to move the cargo 3 on the rail r. However, due to the carelessness of the operator,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1 may not be maintained in a stationary state at the rear end of the container 11, and may deviate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11 and fall to the ground. That is, in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1, the body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wheels ar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so that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1 is not fixed at any one position and falls outside frequently. When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1 falls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11, as shown in Fig. 1C, the rear end of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1 operated by an operator with a lever collides with the ground.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1 where the work or unloading work is performed is located at a relatively high place compared to the ground, and the cargo moving mechanism 1 is made of a high-density material such as steel and has a significant weight, so In the case of separation and colliding with the ground, the rear end of the cargo moving mechanism 1 may be easily damaged as shown in FIG. 1D.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승강 조작부 내에 스토퍼를 포함시키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스토퍼는 작업자가 지렛대를 조작홈에 끼우고 지렛대를 잡아 당기면 몸체의 하부 방향에 노출되는 구성으로서, 컨테이너(11)의 후단에 형성된 걸림부(예를 들어, 단턱)에 접촉 시 이동부의 이동을 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스토퍼는 단턱과 같은 걸림부에 접촉해야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실제 현장에서는, 단턱과 같은 걸림부가 신속하고 편리한 적재 내지 하역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함으로써 작업자들에 의해 인위적으로 제거되거나, 적재 또는 하역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파손되어 없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스토퍼는 화물 이동 기구(1)의 이탈을 방지하는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어서, 화물 이동 기구(1)의 파손을 막는 해결책이 되기 어려운 실정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 method of including a stopper in the lifting operation unit was conventionally adopted. The stopper is a configuration that is exposed to the lower direction of the body when the operator inserts the lever into the operation groove and pulls the lever.When it contacts the locking portion (for example, stepped jaw)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container 11, the movement of the moving unit is prevented. Performs the function of In other words, the stopper can perform its function only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a locking portion such as a stepped jaw. However, in an actual site, a locking part such as a stepped part is often removed artificially by workers by acting as a factor that hinders rapid and convenient loading or unloading, or is naturally damaged during loading or unloading. In this case, since the stopper cannot perform its original function of preventing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1 from being separated, it is difficult to become a solution to prevent damage to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1.

또한, 화물 이동 기구(1)는 통상 작업자가 소유하는 기구로서 작업자가 직접 들고 이동하면서 작업을 하는데,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이동 과정에서도 화물이나 차량과 부딪쳐 화물 이동 기구(1)의 후단 또는 전단에 파손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파손이 발생할 경우 화물 이동 기구(1)를 완벽히 수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데, 이는 파손이 자주 일어나는 화물 이동 기구(1)의 몸체 내지 승강 조작부 주변의 하우징이 일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화물 이동 기구(1)에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 화물 이동 기구(1) 자체를 교체해야 하는데, 화물 이동 기구(1)는 상당한 고가의 물품으로서, 작업자에는 비용상 큰 부담이 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1) is usually owned by the operator, and the operator directly carries it while moving, but due to the operator's carelessness, it collides with the cargo or vehicle in the process of moving, so that it can be placed at the rear or front end of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1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breakage. In the event of damage, it is practically very difficult to completely repair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1, because the body of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1, which is frequently damaged, or the housing around the lifting operation unit is integrally formed. Therefore, in the event of damage to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1,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1 itself must be replaced, but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1 is a very expensive item,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burden is placed on the operator in terms of cost.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동 기구(1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동 기구(100)는 화물 이동 기구를 이용하는 작업자들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파손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전단과 후단을 조립식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동 기구(100)는 몸체(110), 이동부(120), 승강 조작부(130) 및 후단측 조립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동 기구(100)는 전단측 조립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rgo movement mechanis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burden of workers using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and constitutes a front end and a rear end having a high probability of damage in an assembly type. The cargo moving mechanis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10, a moving part 120, an elevating operation part 130, and a rear assembly part 150. In addition,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ront-side assembly unit 160.

몸체(110)는 화물 이동 기구(100)에 포함된 각 구성들이 결합되는 주요 부분으로서, 화물 또는 화물 받침대의 저면을 지지하고,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레일 상에서 화물을 이동시킨다. 화물을 지지하기 위해, 몸체(110)는 강도가 높은 재질(예를 들어, 알루미늄, 철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몸체(11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며, 하부에는 이동부(120)의 수용을 위한 공간(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110 is a main part to which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100 are combined,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go or cargo support, and moves the cargo on the rail according to the operator's operation. In order to support the cargo, the body 11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strength (eg, aluminum, iron, etc.). In addition, the body 110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space (not shown) for accommodating the moving part 120 may be formed in the lower part.

이동부(120)는 레일 상에서 몸체(110)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부(120)는 몸체(110)의 하부에 구비되며, 복수의 구름 부재를 포함한다. 각 구름 부재는 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름 부재는 예를 들어, 바퀴, 롤러 등과 같은 회전 부재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moving part 120 performs a function of moving the body 110 on the rail. The moving part 120 is provided under the body 11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rolling members. Each of the rolling members may be disposed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ody 110. The rolling member may be composed of, for example, a rotating member such as a wheel or a roller, and a combination thereof.

승강 조작부(130)는 몸체(110)의 후단에 형성되고, 작업자의 조작을 통해 몸체(110)를 상승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승강 조작부(130)는 지렛대가 삽입되는 조작홈(135), 지렛대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 및 직선 이동을 하는 구동 링크(136) 및 작동 링크(137)를 포함한다. 승강 조작부(130)에 포함된 각 구성은 조작 하우징(134)을 통해 둘러 싸일 수 있다.The lifting operation unit 130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body 110, and performs a function of raising the body 110 through an operator's manipulation. To this end, the lifting operation unit 130 includes an operation groove 135 into which a lever is inserted, a driving link 136 and an operation link 137 that rotate and move linearl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lever.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lifting operation unit 130 may be surrounded by the operation housing 134.

승강 조작부(130)는 몸체(110)와 이동부(120)에 결합되며, 작업자의 지렛대를 통한 조작에 따라, 구동 링크(136) 및 작동 링크(137)가 회전 및 직선 이동을 하며, 구동 링크(136) 및 작동 링크(137)의 회전 및 직선 이동에 따라 몸체(110)가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또한, 승강 조작부(130)는 스토퍼(13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승강 조작부(130)는 몸체(110)의 후단에 돌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러한 형상 및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승강 조작부(130)의 상면과 몸체(110)의 상면이 일치되도록 승강 조작부(130)가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lifting operation unit 130 is coupled to the body 110 and the moving unit 120, and according to the operation through the lever of the operator, the driving link 136 and the operation link 137 rotate and move linearly, and the driving link The body 110 may be raised or lowered according to the rotation and linear movement of the 136 and the operation link 137. In addition, the lifting operation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138. In Figure 2, the lifting operation unit 130 is shown to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rear end of the body 110, but is not limited to such a shape and structur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operation unit 13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to match the lifting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operation unit 130 may be configured.

승강 조작부(130)의 일면에는 후단측 조립면이 구비된다(도 3 참조). 본 예시에서 후단측 조립면은 승강 조작부(130)의 후면을 나타낸다. One side of the lifting operation unit 130 is provided with a rear assembly surface (see FIG. 3 ). In this example, the rear assembly surface represents the rear surface of the lifting operation unit 130.

후단측 조립부(150)는 후단측 조립면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며, 조립 시 어느 일면이 후단측 조립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A 부재가 B 부재를 커버한다는 의미는, B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의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보호되도록 노출되지 않게 A 부재로 덮이는 것을 의미한다. 후단측 조립부(150)는 조립 시 후단측 조립면을 덮음으로써, 물리적 충격으로 인해 승강 조작부(130)가 파손되는 것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후단측 조립부(150)는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므로, 충격으로 인해 파손되더라도, 저비용으로 교체가 용이하다.The rear assembly part 150 is detachably assembled to the rear assembly surface, and when assembling, any one surface is provided to cover the rear assembly surface. Here, the meaning that the member A covers the member B means that at least a part of the member B is covered with the member A so as not to be exposed so as to be protected from external physical impact. The rear assembly unit 150 covers the rear assembly surface during assembly, thereby protecting the elevating operation unit 130 from being damaged due to a physical impact. Since the rear assembly part 150 is detachably assembled, even if it is damaged due to impact, it is easy to replace at low cost.

전단측 조립면(140)은 몸체(110)의 전단에 구비된다. The front-side assembly surface 140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body 110.

전단측 조립부(160)는 전단측 조립면(140)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며, 조립 시 어느 일면이 전단측 조립면(140)을 커버하도록 구비된다. 전단측 조립부(160)는 조립 시 전단측 조립면(140)을 덮음으로써, 물리적 충격으로 인해 이동부(120) 및 몸체(110)의 전단이 파손되는 것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단측 조립부(160)는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므로, 충격으로 인해 파손되더라도, 저비용으로 교체가 용이하다.The front-side assembly unit 160 is detachably assembled to the front-side assembly surface 140, and is provided so that one side covers the front-side assembly surface 140 during assembly. The front-side assembly portion 160 covers the front-side assembly surface 140 during assembly, thereby protecting the front end of the moving portion 120 and the body 110 from being damaged due to a physical impact. Since the front-side assembly unit 160 is detachably assembled, even if it is damaged due to impact, it is easy to replace at low cost.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 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후단측 조립면(131) 및 후단측 조립부(150)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한다. 3 and 4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part A of FIG. 2. Hereinafter, the rear assembly surface 131 and the rear assembly 1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이에 앞서 도 2를 참조로 설명한 승강 조작부(13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승강 조작부(130)는 지렛대가 삽입되는 조작홈(135), 지렛대의 움직임 따라 회전 및 직선 이동을 하는 구동 링크(136) 및 작동 링크(137)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 조작부(130)는 스토퍼(1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가 조작홈(135)에 지렛대를 삽입한 후, 지렛대를 몸체의 후단 방향으로 당기면, 구동 링크(136) 및 스토퍼(138)는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스토퍼(138)의 타단은 레일을 향하며, 외부에 노출된다. 몸체(110)가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동안, 스토퍼(138)가 걸림부 등에 걸리게 되면, 스토퍼(138)는 구동 링크(136) 방향으로 회전되며, 구동 링크(136)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몸체(110)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Prior to this, when the lifting operation unit 13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lifting operation unit 130 includes an operation groove 135 into which a lever is inserted, a driving link 136 that rotates and moves linearl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lever. And an actuation link (137). In one embodiment, the lifting operation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138. After the operator inserts the lever into the operation groove 135, and pulls the lever toward the rear end of the body, the driving link 136 and the stopper 138 are rotated in one direction.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stopper 138 faces the rail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the body 110 is moving on the rail, when the stopper 138 is caught on a locking portion, the stopper 138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driving link 136, and the body ( 110) can be stopped.

승강 조작부(130)에 포함된 각 구성은 조작 하우징(134)으로 둘러싸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조작 하우징(134)의 상면은 몸체(110)의 상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조작 하우징(134)은 이러한 형상 및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부로부터 물리적 충격을 받을 때 화물 이동 기구(100)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조작 하우징(134)의 상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lifting operation unit 130 may be provided to be surrounded by the operation housing 134. The upper surface of the operation housing 134 may be formed to be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However, the operation housing 134 is not limited to this shape and structure, and may be formed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operation housing 134 is inclined to more effectively protect the cargo moving mechanism 100 when receiving a physical shock from the outside. .

승강 조작부(130)의 후면에는 후단측 조립면(131)이 형성된다. 후단측 조립면(131)은 후단측 조립부(150)가 조립될 때, 후단측 조립부(150)에 의해 덮이는 부분이다. 후단측 조립면(131)은 후단측 조립부(150)와의 조립을 위해, 몸체(110)의 전단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조립면측 체결홈(132, 13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조립면측 체결홈(132, 133)은 후단측 조립면(131)의 좌우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 같은 배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조립면측 체결홈(132, 133)의 개수 및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A rear assembly surface 131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ifting operation unit 130. The rear assembly surface 131 is a portion covered by the rear assembly portion 150 when the rear assembly portion 150 is assembled. The rear assembly surface 131 may include at least one assembly surface side fastening groove 132 and 133 formed in the front end direction of the body 110 for assembly with the rear assembly unit 150. In FIG. 3, the assembly surface side fastening grooves 132 and 133 are shown to be formed one by on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assembly surface 131, but the number of the assembly surface side fastening grooves 132 and 133 is not limited to this arrangement. And the location can be variously changed.

도 3 및 도 4에서, 승강 조작부(130)는 몸체(110)의 후단에 돌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 같은 형상 및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조작 하우징(134)의 상면과 몸체(110)의 상면이 실질적인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후단측 조립면(131)의 높이는 몸체(110)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화물 이동 기구(100)를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몸체(110)의 높이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FIGS. 3 and 4, the lifting operation unit 130 is shown to protrude from the rear end of the body 110, but is not limited to such a shape and structure. That is, the height of the rear assembly surface 131 is formed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body 110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operation housing 134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are located on substantially the same plane, or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protect the 100, it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height of the body 110.

후단측 조립부(150)는 후단측 조립면(131)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구성으로서,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몸체(110) 또는 몸체(110)의 후단에 형성된 승강 조작부(130)를 보호한다. 후단측 조립부(150)는 후단측 조립면(131)과의 조립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조립부측 체결공(151, 152)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립부측 체결공(151, 152) 중 적어도 일부는 조립면측 체결홈(132, 133)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후단측 조립부(150)와 후단측 조립면(131)은 나사,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s11, s12)를 통해 상호 조립될 수 있다. 즉, 후단측 조립부(150) 및 후단측 조립면(131)은 체결부재(s11, s12)를 통해 후단에서 전단 방향으로 체결되어 조립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재란, 앞서 예시한 나사, 볼트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단측 조립부(150)를 후단측 조립면(131)에 탈착이 가능하면서도 조립시 충분한 결착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후단측 조립부(150)와 후단측 조립면(131)의 구조적인 연결을 수행하는 부재면 충분하다. 나아가 후단측 조립부(150) 및 후단측 조립면(131)의 조립 방식은 체결부재를 따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후단측 조립부(150)의 어느 일면에 조립면측 체결홈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형성하고, 돌출부를 조립면측 체결홈에 끼움으로써 후단측 조립부(150)를 후단측 조립면(131)에 탈착이 가능하면서도 조립시 충분한 결착력이 유지될 수 있는 구조로 대체될 수 있다.The rear assembly unit 15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assembled to the rear assembly surface 131, and protects the body 110 or the lifting operation unit 130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body 110 from external physical impact. do. The rear assembly portion 150 may include at least one assembly portion side fastening hole 151 and 152 for assembly with the rear assembly surface 131. At least some of the assembly-side fastening holes 151 and 152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assembly-side fastening grooves 132 and 133. The rear assembly part 150 and the rear assembly surface 131 may be mutually assembled through fastening members s 11 , s 12 such as screws and bolts. That is, the rear assembly portion 150 and the rear assembly surface 131 may be assembled by being fastened from the rear end to the front end through the fastening members s 11 and s 12 . Here, the fastening member is not limited to the aforementioned screws, bolts, etc., and the rear assembly part 150 is detachable to the rear assembly surface 131, and a rear assembly part so that sufficient binding force can be maintained during assembly. A member for structurally connecting the 150 and the rear assembly surface 131 is sufficient. Further, the assembly method of the rear assembly portion 150 and the rear assembly surface 131 forms a protrusion formed on any one side of the rear assembly portion 150 in the direction of the assembly surface side fastening groove, even if a fastening member is not separately provided. And, by inserting the protrusion into the fastening groove on the assembly surface side, the rear assembly portion 150 may be detached from the rear assembly surface 131 and may be replaced with a structure capable of maintaining sufficient binding force during assembl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동 기구(100)는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의 체결 또는 끼움을 통하여 후단측 조립부(150)와 후단측 조립면(131)을 조립할 수 있다. 외력으로 인해 후단측 조립부(150)에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작업자는 체결부재를 풀거나, 또는 단순히 후단측 조립부(150)를 당겨 뺌으로써 후단측 조립부(150)를 후단측 조립면(131)으로부터 간단히 분리할 수 있다. 컨테이너 바닥과 같이 높은 곳에서 지면 등으로 화물 이동 기구(100)가 낙하할 때, 화물 이동 기구(100)의 전 부분 중 특히 후단측 조립부(150)가 지면 등에 충돌할 확률이 높다. 종래의 화물 이동 기구는 후단이 파손될 경우 화물 이동 기구 자체를 교체해야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동 기구(100)는 파손된 부품(예를 들어, 후단측 조립부(150))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작업자의 경제적 부담이 상당히 경감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동 기구(100)는 후단측 조립부(150)와 후단측 조립면(131)이 단일 방향(예를 들어, 도 3의 실시예의 전후 방향)만으로 조립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작업자는 더욱 신속하고 용이하게 파손된 부품을 분리 및 교체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argo moving mechanis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ssemble the rear assembly 150 and the rear assembly surface 131 through fastening or fitting in any one direction. . Even if damage occurs to the rear assembly part 150 due to external force, the operator loosens the fastening member or simply pulls out the rear assembly unit 150 to remove the rear assembly unit 150 from the rear assembly surface ( 131) can be simply separated. When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100 falls from a high place such as the container floor to the ground,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the rear assembly portion 150 of the entire portion of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100 collides with the ground.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cargo movement mechanism, when the rear end is damaged,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itself needs to be replaced, but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amaged part (for example, the rear assembly unit 150). Since the bay only needs to be replaced, the economic burden on the worker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In addition, in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assembly portion 150 and the rear assembly surface 131 are in a single direction (for examp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embodiment of FIG. 3 ). It may be provided to be assembled, thereby enabling the operator to more quickly and easily separate and replace the damaged parts.

후단측 조립부(150)의 상부에는 경사부(153)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153)는 화물 이동 기구(100)가 컨테이너(11)에서 외부로 이탈하여 추락할 때, 후단측 조립부(15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경사부(153)는 후단측 조립부(150)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단측 조립부(150)에 경사부(153)가 형성됨으로써 경사부(153)가 없는 경우 상정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후단측 조립부(150)에 비하여 그 무게가 경감되어 휴대성이 향상될 수 있다.An inclined portion 153 may be formed on the rear side assembly portion 150. The inclined portion 153 performs a function of alleviating an impact applied to the rear assembly portion 150 when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100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11 and falls. To this end, the inclined portion 153 may be formed to decrease in height from the front to the rear side of the rear assembly portion 150. In addition, since the inclined portion 153 is formed in the rear assembly portion 150, the weight is reduced compared to the rear-end assembly portion 150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at is assumed when the inclined portion 153 is not present, thereby improving portability. I ca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후단측 조립부(150)는 하부에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후단측 롤러 삽입부(154, 155)를 포함할 수 있다. 후단측 롤러 삽입부(154, 155)는 레일(r)의 좌우 방향 내측면과 몸체(110) 표면이 직접 맞닿거나 충돌하지 않게 하여 몸체(110)의 원활한 진행을 보조하기 위한 롤러(r11, r12)가 수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각 후단측 롤러 삽입부(154, 155)는 후단측 조립부(150)에 결합되는 수직부와, 수직부와 연결되어 각각 후단측 조립부(150)의 좌측 및 우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각 후단측 롤러 삽입부(154, 155)는 한 쌍의 롤러(r11, r12)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포함한다. 롤러(r11, r12)는 수용 공간을 통해 각 후단측 롤러 삽입부(154, 155)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r11, r12)는 후단측 롤러 삽입부(154, 155)의 하부에 형성된 후단측 롤러 체결공(154a, 155a)에 체결부재(미도시)를 삽입함으로써 후단측 롤러 삽입부(154, 155)에 조립될 수 있다. 롤러(r11, r12) 중 적어도 일부는 후단측 롤러 삽입부(154, 155)의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후단측 롤러 삽입부(154, 155)에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롤러(r11, r12)는 몸체(110)의 좌측 및 우측 면이 레일의 좌우 방향 내측면에 충돌되지 않도록 몸체(110)를 보호할 수 있으며, 레일의 전후 방향으로의 몸체(110)의 원활한 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 3 and 4, the rear end assembly 150 may include at least a pair of rear end roller inserts 154 and 155 formed at the bottom. The rear end roller inserts 154 and 155 are rollers (r 11 , for assisting smooth progression of the body 110 by preventing direct contact or collision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rail (r) and the surface of the body 110). r 12 ) may be provided to be accommodated. Each rear-end roller insertion portion 154, 155 is a vertical portion coupled to the rear-end assembly 150 and a horizontal portion connected to the vertical portion and formed to fac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end assembly 150, respectively. Can include. Accordingly, each of the rear end-side roller insertion portions 154 and 155 includes an accommodation space into which a pair of rollers r 11 and r 12 can be inserted. Rollers (r 11 , r 12 ) may be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respective rear end side roller insertion portions 154 and 155 through the accommodation space. For example, the rollers (r 11 , r 12 ) insert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into the rear roller fastening holes 154a, 155a formed under the rear roller inserting portions 154, 155, It can be assembled to the inserts (154, 155). At least some of the rollers r 11 and r 12 may be assembled to the rear roller insertion portions 154 and 155 so as to protru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rear roller insertion portions 154 and 155. Therefore, the rollers (r 11 , r 12 ) can protect the body 110 so th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110 do not collide with the inner s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rail, and the body 11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rail ) Can support smooth movement.

또한, 후단측 롤러 삽입부(154, 15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롤러(r11, r12)는 후단측 조립부(150)의 후방 또는 좌우에서 볼 때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후단측 롤러 삽입부(154, 155)의 구조로 인해, 작업자는 후단측 조립부(150)가 몸체(110) 즉, 후단측 조립면(131)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롤러를 쉽게 분리하거나 다시 원래의 위치로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것처럼 화물 이동 기구(100)의 후단은 다른 부분들에 비해 물리적 충격이 쉽게 가해지면서 화물 이동 기구(100)의 후단에 위치한 롤러(r11, r12) 역시 빈번하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후단측 롤러 삽입부(154, 155)에 있어 롤러의 수용 공간이 네 측부 중 후측과 좌측, 또는 후측과 우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롤러(r11, r12)의 체결을 위한 후단측 롤러 체결공(154a, 155a)도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작업자는 후단측 조립부(150)를 상술한 바와 같이 쉽고 저렴하게 교체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후단측 조립부(150)가 후단측 조립면(131)에 조립된 상태에서도 파손된 롤러만을 더욱 저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rear-end roller insertion portions 154 and 155 may be formed to penetrat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s shown in FIGS. 3 and 4. That is, the rollers r 11 and r 12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viewed from the rear or left and right of the rear assembly unit 150. Due to the structure of the rear-end roller insertion portions (154, 155), the operator can easily separate or re-separate the roller even in a state where the rear-end assembly portion 150 is coupled to the body 110, that is, the rear assembly surface 131. It can be assembled to its original position. As described above, the rear end of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100 has a problem that a physical impact is easily applied compared to other parts, and the rollers (r 11 , r 12 )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100 are also frequently damaged.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space of the roller is formed so that the rear side and the left side, or the rear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four sides are open in the rear side roller insertion portions 154 and 155, and the fastening of the rollers (r 11 , r 12 ) is For the rear end side roller fastening holes (154a, 155a) are also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the operator can easily and inexpensively replace the rear end side assembly unit 150 as described above, while at the same time, the rear end side assembly unit 150 Even in the state of being assembled on the rear assembly surface 131, only the damaged roller can be replaced more cheaply.

이동부(120)는 몸체(1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몸체(110)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이동부(120)는 몸체(110)의 연장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구름부재(예를 들어, 도 4 실시예의 바퀴(121))가 구비될 수 있다. 구름부재의 개수 및 배치 등은 이동부(120)의 형상 및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moving part 12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10 and functions to move the body 110 according to the operator's manipulation. To this end, the moving part 12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lling members (for example, the wheel 121 of FIG. 4 embodiment) dispos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body 110.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rolling members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moving part 120.

도 5는 도 2의 A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 of FIG.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동 기구(100)는 후단측 조립부(150)를 착탈 또는 분리 가능한 구조 즉, 조립식으로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승강 조작부(130)의 후면(예를 들어, 후단측 조립면(131)) 및 후단측 조립부(150)에는 각각 체결공 또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체결부재를 끼움으로써 화물 이동 기구(100)가 조립될 수 있다. 물론, 후단측 조립부(150)에는 체결공 대신, 후단측 조립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고, 돌출부와 조립면측 체결홈 간 끼움을 통해 후단측 조립부(150)와 후단측 조립면(131)간 조립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Cargo movement mechanis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rear assembly 150, that is, an assembly type. To this end, a fastening hole or a fastening groove is formed in the rear side (for example, the rear side assembly surface 131) and the rear side assembly unit 150 of the lifting operation unit 130, respectively, and a cargo movement mechanism ( 100) can be assembled. Of course, instead of the fastening hole, the rear assembly portion 150 may have a protrusion formed protruding in the rear assembly surface direction, and the rear assembly portion 150 and the rear assembly assembly through fitting between the protrusion and the assembly surface side fastening groove Assembly between the surfaces 131 may be made.

승강 조작부(130)는 내부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해 조작 하우징(134)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승강 조작부(130)는 내부에 조작홈(135)과, 상호 결합된 구동 링크(136) 및 작동 링크(137)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 링크(136) 및 작동 링크(137)의 구조 및 작용으로 인해,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몸체(110)가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또한, 승강 조작부(130)는 스토퍼(13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승강 조작부(130)에 포함된 각 구성은 위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The lifting operation unit 130 may be surrounded by an operation housing 134 to protect internal components. The lifting operation unit 130 may include an operation groove 135 and a driving link 136 and an operation link 137 coupled to each other therein. Due to the structure and action of the driving link 136 and the actuating link 137, the body 110 may be raised or lowered according to an operator's manipulation. In addition, the lifting operation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138. Each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lifting operation unit 130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s are omitt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동 기구(1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동 기구(100)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동 기구(100)는 몸체(110), 이동부(120), 승강 조작부(130) 및 후단측 조립부(150)를 포함하며, 전단측 조립부(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화물 이동 기구(100)는 후단뿐만 아니라, 전단도 조립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rgo movement mechanis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rgo movement mechanis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go moving mechanis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10, a moving part 120, an elevating operation part 130, and a rear assembly part 150, and a front assembly part 160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That is,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100 may be configured as an assembly type as well as the rear end.

상술한 바와 같이, 화물 이동 기구는 낙하에 의한 지면과의 충돌로 인하여 그 후단이 빈번히 파손된다. 다만, 이러한 파손은 화물 이동 기구의 후단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며, 작업 도중 화물 또는 화물 받침대, 컨테이너에 구비된 레일 등과의 충돌, 또는 낙하로 인하여 화물 이동 기구의 전단에도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인 화물 이동 기구는 몸체가 일체로 구성되어, 후단 내지 전단에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 유지 보수가 어렵고, 화물 이동 기구를 전부 교체해야만 했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동 기구(100)는 상대적으로 파손 위험이 높은 전단 및 후단을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작업자의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rear end of the cargo moving mechanism is frequently damaged due to a collision with the ground due to a fall. However, such damage is not limited to the rear end of the cargo moving mechanism, and damage may occur even at the front end of the cargo moving mechanism due to collision with the cargo or cargo support, rails provided in the container, or the like during operation. In general, the body of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is integrally formed, and if damage occurs at the rear end or the front end, maintenance is difficult, and all the cargo movement mechanisms have to be replaced. On the other hand,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latively high risk of damage by prefabricating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thereby facilitating the operator's maintenance work and reducing costs.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와 관련하여 화물 이동 기구(100)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진다. 또한, 구성들 중 몸체(110), 이동부(120), 승강 조작부(130) 및 후단측 조립부(15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되었으므로, 아래에서는 전단측 조립부(160)를 중심으로 설명이 이루어진다. 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100 is made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embodiment. In addition, among the configurations, the body 110, the moving part 120, the lifting operation part 130, and the rear-side assembly part 150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so that the front-side assembly part 160 ).

몸체(110)의 전단부에는 전단측 조립면(140)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몸체(110)의 전단부에는 몸체의 상판이 전단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돌출부 하면인 전단측 조립면(140)이 형성되며, 전단측 조립면(140)에 전단측 조립부(160)가 조립된다.A front-side assembly surface 140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body 110. Specifically, in the front end of the body 110, a front-side assembly surface 140, which is a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formed by protruding the upper plate of the body toward the front end, is formed, and the front-side assembly portion 160 is formed on the front-side assembly surface 140. Assembled.

전단측 조립부(160)는 전단측 조립면(140)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며, 조립되는 경우 전단측 조립부(160)의 적어도 어느 한 면이 전단측 조립면(140)을 커버하도록 구비된다. 전단측 조립부(160)는 조립되는 경우 전단측 조립면(140)을 덮음으로써,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이동부(120) 및 몸체(110)의 전단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ront-side assembly portion 160 is detachably assembled to the front-side assembly surface 140, and when assembled, at least one side of the front-side assembly portion 160 is provided to cover the front-side assembly surface 140 . When assembled, the front-side assembly unit 160 covers the front-side assembly surface 140 to protect the front end of the moving unit 120 and the body 110 from physical impact.

여기서, A 부재가 B 부재를 커버한다는 의미는, B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의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보호되도록 노출되지 않게 A 부재로 덮이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단측 조립부(160)의 어느 한 면이 전단측 조립면(140)을 커버한다는 것은 전단측 조립면(140)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전단측 조립부(160)에 의해 노출되지 않도록 덮이는 구조를 포함한다.Here, the meaning that the member A covers the member B means that at least a part of the member B is covered with the member A so as not to be exposed so as to be protected from external physical impact. Therefore, the fact that any one side of the front-side assembly portion 160 covers the front-side assembly surface 140 is covered so that a part or all of the front-side assembly surface 140 is not exposed by the front-side assembly portion 160. Contains structure.

한편 도 6 및 도 7를 참조하면, 후단측 조립부(150)와 전단측 조립부(160)는 다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후단측 조립부(150)는 돌출 형성된 승강 조작부(130)의 후면에 전후 방향으로 조립되고, 전단측 조립부(160)는 몸체(110)의 전면부에 조립되며, 자세히는 몸체의 상판이 전단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돌출부 하면인 전단측 조립면(140)에 상하 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다. 다만,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후단측 조립부(150) 및 전단측 조립부(160)가 각각 몸체(110)의 후단 및 전단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됨으로써 몸체(110) 및 이동부(120) 등을 보호하는 기능만 수행한다면, 그 형상 및 조립 방식은 동일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6 and 7, the rear assembly unit 150 and the front assembly unit 160 may have different shapes. In addition, the rear assembly unit 150 is assembl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n the rear of the elevating operation unit 130 formed protruding, and the front assembly unit 160 is assembled on the front side of the body 110, and in detail, the upper plate of the body It may be assemb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assembly surface 140, which is a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formed by protruding toward the front end. However, the rear assembly portion 150 and the front assembly portion 160 shown in FIGS. 6 and 7 are detachably assembled to the rear and front ends of the body 110, so that the body 110 and the moving portion 120 ), and the like, the shape and assembly method may be provided identically.

상술한 바와 같이 상승 조작부(130)는 반드시 돌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그 상면이 몸체(110)의 상면과 실질적인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전단측 조립면(140)은 몸체(110)의 전단 하면 대신, 몸체(11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승 조작부(130)의 상면과 몸체(110)의 상면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고, 후단측 조립면(131) 및 전단측 조립면(140)은 각각 후단면 및 전단면에 형성되어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승 조작부(130)의 상면과 몸체(110)의 상면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고, 후단측 조립면(131) 및 전단측 조립면(140)은 각각 후단 하면 및 전단 하면에 형성되어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런 실시예의 경우, 후단측 조립부(150) 및 전단측 조립부(160)는 그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단측 조립부(150) 및 전단측 조립부(160)가 동일한 형상을 가질 경우, 이들 구성은 별도로 구분될 필요가 없고, 조립부의 구성면 중 어느 하나에 체결홈 또는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조립부와 맞대어지는 조립면은 그 대응 위치에 체결공 또는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operation unit 130 is not necessarily formed to protrude, and the upper surface thereof may be formed to be positioned substantially on the same pla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and the front assembly surface 140 is the body ( Instead of the shear surface of 110), it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10). In another embodiment,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operation unit 13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are located on the same plane, and the rear assembly surface 131 and the front assembly surface 140 are formed on the rear and front surfaces, respectively. It may be provided to be assembled detachably. In another embodiment,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operation unit 13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are located on the same plane, and the rear assembly surface 131 and the front assembly surface 140 are respectively on the rear and front surfaces. It may be formed and provided to be detachably assembled. In this embodiment, the rear-end assembly portion 150 and the front-end assembly portion 160 may have the same shape. In addition, when the rear assembly portion 150 and the front assembly portion 160 have the same shape, these configurations do not need to be separated, and a fastening groove or a fastening hole may be formed on any one of the constituent surfaces of the assembly portion. . In this case, a fastening hole or a fastening groove may be form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assembly surface facing the assembly portion.

이하에서는, 후단측 조립부(150) 및 전단측 조립부(160)의 조립 방향 및 형상이 서로 상이한 것을 전제로 설명하고 있으나,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을 참조한다면 이는 단지 하나의 예시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it is described on the premise that the assembly directions and shapes of the rear assembly unit 150 and the front assembly unit 16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is only an example when referr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

도 8 및 도 9는 도 6의 B 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로,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측 조립부(160)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한다. 8 and 9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portion B of FIG. 6.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the front-side assembly unit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몸체(110)의 전단 하면에는 전단측 조립면(140)이 형성된다. 전단측 조립면(140)은 전단측 조립부(160)가 조립될 때, 전단측 조립부(160)에 의해 커버되는 부분이다. 전단측 조립면(140)은 전단측 조립부(160)와의 조립을 위해, 몸체(110)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조립면측 체결공(111, 1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서, 조립면측 체결공(111, 112)은 몸체(110)의 전단부 좌우에 하나씩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단측 조립면(140)에 전단측 조립부(160)가 안정적으로 체결되어 조립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면 조립면측 체결공(111, 112)의 개수 및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A front assembly surface 14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10. The front-side assembly surface 140 is a portion covered by the front-side assembly portion 160 when the front-side assembly portion 160 is assembled. The front-side assembly surface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assembly-side fastening hole 111 and 112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ody 110 for assembly with the front-side assembly portion 160. 8 and 9, the assembly surface side fastening holes 111 and 112 are shown to be formed one by one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front end of the body 1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ront assembly side ( If 160) is stably fastened to maintain the assembled state,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fastening holes 111 and 112 on the side of the assembly surface may be variously changed.

전단측 조립부(160)는 전단측 조립면(140)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구성으로서, 외부 충격에 의해 몸체(110) 및 이동부(120)의 전단이 파손되는 것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단측 조립부(160)는 전단측 조립면(140)과의 조립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조립부측 체결홈(161, 162)을 포함할 수 있다. 전단측 조립부(160) 및 전단측 조립면(140)은 나사,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s21, s22)를 통해 조립될 수 있다. 즉, 전단측 조립부(160) 및 전단측 조립면(140)은 체결부재(s21, s22)를 통해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체결되어 조립될 수 있다. 전단측 조립부(160) 및 전단측 조립면(140)의 조립 방식은 후단측 조립부(150)와 마찬가지로, 별도의 체결부재가 필요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단측 조립부(160)의 어느 일면에 조립면측 체결공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형성하고, 돌출부를 조립면측 체결공에 끼움으로써 그 조립 구조가 구성될 수 있다.The front-side assembly unit 160 is a configuration detachably assembled to the front-side assembly surface 140, and performs a function of protecting the front end of the body 110 and the moving unit 120 from being damaged by an external impact. . The front-side assembly unit 160 may include at least one assembly-side fastening groove 161 and 162 for assembly with the front-side assembly surface 140. The front-side assembly unit 160 and the front-side assembly surface 140 may be assembled through fastening members (s 21 , s 22 ) such as screws and bolts. That is, the front-side assembly portion 160 and the front-side assembly surface 140 may be assembled by being fasten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rough the fastening members (s 21 , s 22 ). The assembly method of the front-side assembly portion 160 and the front-side assembly surface 140 is not limited to a structure requiring a separate fastening member, as in the rear-end assembly portion 150, and The assembly structure may be configured by forming a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hole on the assembly surface side and inserting the protrusion into the fastening hole on the assembly surface side.

다른 실시예에서, 몸체(110)는 몸체(110)의 전단 하면 대신, 몸체(110)의 전면에 형성된 전단측 조립면이 구비되고, 전단측 조립면에는 체결공 대신 몸체(110)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단측 조립부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공 및 체결홈을 통하여 체결부재가 끼워짐으로써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body 110 is provided with a front-side assembly surfac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10 instead of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10, and the front-side assembly surface is at least in the direction of the body 110 instead of a fastening hole. One fastening groove may be formed. In addition, the front-side assembly portion may have at least one fastening hole, and the fastening member may be inserted through the fastening hole and the fastening groove to perform assembly.

아울러, 전단측 조립부(160) 및 전단측 조립면(140)은 상술한 후단측 조립부(150) 및 후단측 조립면(131)과 같이 단일 방향(예를 들어, 도 8의 실시예의 상하 방향)만으로 조립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작업자는 더욱 신속하고 용이하게 파손된 부품을 분리 및 교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front-side assembly portion 160 and the front-side assembly surface 140 are in a single direction (for example, the top and bottom of the embodiment of FIG. 8 ), as the rear assembly portion 150 and the rear assembly surface 131 described above. Direction) can be provided to be assembled, thereby enabling the operator to more quickly and easily separate and replace the damaged parts.

전단측 롤러 삽입부(164, 165)는 후단측 롤러 삽입부(154, 155)와 마찬가지로, 레일(r)의 좌우 방향 내측면과 몸체(110) 표면이 직접 맞닿거나 충돌하지 않게 하여 몸체(110)의 원활한 진행을 보조하기 위한 롤러(r21, r22)가 수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각 전단측 롤러 삽입부(164, 165)는 전단측 조립부(160)에 결합되는 수직부와, 수직부와 연결되어 각각 전단측 조립부(160)의 좌측 및 우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전단측 롤러 삽입부(164, 165)는 롤러(r21, r22)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포함한다. The front roller insertion portions 164 and 165, like the rear roller insertion portions 154 and 155, prevent the inner surface of the rail 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surface of the body 110 from directly contacting or colliding with the body 110 ) May be provided to accommodate rollers (r 21 , r 22 ) to assist in smooth progression. Each front-side roller insertion portion (164, 165) is a vertical portion coupled to the front-side assembly portion 160, and a horizontal portion connected to the vertical portion and formed to fac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side assembly portion 160, respectively. Can include. Accordingly, the front side roller insertion portions 164 and 165 include a receiving space into which the rollers r 21 and r 22 can be inserted.

또한, 전단측 롤러 삽입부(164, 165)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롤러(r21, r22)는 전단측 조립부(160)의 전방 또는 좌우에서 볼 때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즉, 전단측 롤러 삽입부(164, 165)에 있어서 롤러의 수용 공간이 네 측부 중 전측과 좌측, 또는 전측과 우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롤러(r21, r22)의 체결을 위한 전단측 롤러 체결공(164a, 165a)도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전단측 롤러 삽입부(164, 165)의 구조 및 구조에 따른 효과 등은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후단측 롤러 삽입부(154, 155)의 구조 및 효과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the front-side roller insertion portions 164 and 165 may be formed to penetrate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at is, the rollers r 21 and r 22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viewed from the front or left and right of the front-side assembly unit 160. That is, in the front side roller insertion portions (164, 165), the receiving space of the roller is formed so that the front side and the left side, or the fron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four sides are open, and the front side side for fastening the rollers (r 21 , r 22 ) Roller fastening holes 164a and 165a are also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structure and effects of the front roller insertion portions 164 and 165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tructure and effects of the rear roller insertion portions 154 and 155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Description is omitted.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동 기구(200)에 대한 단면도이다. 화물 이동 기구(200)는 전단측 조립부(160)에 체결홈 대신 체결공이 형성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도 6 내지 도 9를 참조로 설명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그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이 이루어진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rgo movement mechanism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20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9 except that a fastening hole is formed instead of a fastening groove in the front assembly part 160. Therefore, below, explanation is made focusing on the difference.

전단측 조립부(260)는 전단측 조립면(240)과의 조립을 위해 전단측 조립부(260)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조립부측 체결공(261)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립부측 체결공(261)은 전단측 조립부(260)의 상면으로부터 롤러 삽입부(264)의 하면까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화물 이동 기구(200)는 도 8 및 도 9를 참조로 설명한 전단측 조립부(160)의 조립부측 체결홈(161, 162)과 전단측 롤러 체결공(164a, 165a)이 동축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나사,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s2)를 조립면측 체결공(211)에 통과시켜 조립부측 체결공(261)에 체결하면, 몸체(210) 및 전단측 조립부(260)의 조립이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롤러의 조립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 체결부재(s2)는 조립면측 체결공(211), 조립부측 체결공(261) 및 롤러를 한번에 관통할 수 있고, 롤러의 회전축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도 8 및 도 9를 참조로 설명한 전단측 조립부(160)에 비해 조립에 필요한 부재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며, 작업자의 조립도 보다 단순화될 수 있다.The front-side assembly portion 260 may include an assembly-side fastening hole 261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ont-side assembly portion 260 for assembly with the front-side assembly surface 240. The assembly portion-side fastening hole 261 may be formed through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side assembly portion 26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oller insertion portion 264. Therefore, in the cargo movement mechanism 200, the assembly portion-side fastening grooves 161 and 162 of the front-side assembly 16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and the front-side roller fastening holes 164a and 165a are coaxially penetrated. Can be formed. Therefore, when the operator passes the fastening member (s 2 ) such as screws, bolts, etc. through the fastening hole 211 on the assembly surface and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261 on the assembly side, the body 210 and the front end assembly 260 Assembling is possible, as well as rollers. In other words, the fastening member (s 2 ) may pass through the assembly surface side fastening hole 211, the assembly side fastening hole 261 and the roller at once, and may also serve as a rotation axis of the roller. Due to this structure, the number of members required for assembly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front-side assembly unit 16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and the assembly of the operator can be more simplifi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100: 화물 이동 기구 110: 몸체
120: 이동부 121: 롤러
130: 승강 조작부 131: 후단측 조립면
132, 133: 조립면측 체결홈 134: 조작 하우징
135: 조작홈 136: 구동 링크
137: 작동 링크 140: 전단측 조립면
150: 후단측 조립부 151, 152: 조립부측 체결공
153: 경사부 154, 155: 후단측 롤러 삽입부
160: 전단측 조립부 161, 162: 조립부측 체결홈
164, 165: 전단측 롤러 삽입부 261: 조립부측 체결공
100: cargo movement mechanism 110: body
120: moving part 121: roller
130: lifting operation unit 131: rear assembly surface
132, 133: mounting surface side fastening groove 134: operating housing
135: operation groove 136: drive link
137: operating link 140: front mounting surface
150: rear assembly portion 151, 152: assembly portion side fastening hole
153: inclined portion 154, 155: rear end side roller insertion portion
160: front-side assembly portion 161, 162: assembly portion side fastening groove
164, 165: front roller insertion portion 261: assembly portion side fastening hole

Claims (14)

화물 차량의 컨테이너 바닥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레일에 삽입되어 화물을 지지 및 이동시키는 화물 이동 기구로서,
상기 레일에 삽입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에 구비되고, 복수의 구름 부재를 포함하는 이동부;
상기 몸체의 전후 방향 일단에 구비되는 제1 조립면; 및
상기 몸체 및 이동부를 보호하도록 상기 제1 조립면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 조립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조립부는,
상기 제1 조립면에 조립되는 경우 상기 제1 조립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조립면에 단일 방향으로 조립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동 기구.
A cargo movement mechanism that is inserted into at least one rail formed on a container bottom of a cargo vehicle to support and move cargo,
A body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rail;
A moving part provided under the body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rolling members;
A first assembly surface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Including a first assembly portion detachably assembled to the first assembly surface to protect the body and the moving portion,
The first assembly unit,
When assembled on the first assembly surface, it is provided to cover the first assembly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so as to be assembled in a single direction on the first assembly surfa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전후 방향 타단에 구비되는 제2 조립면; 및
상기 몸체 및 이동부를 보호하도록 상기 제2 조립면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 조립부를 더 포함하는 화물 이동 기구.
The method of claim 1,
A second assembly surfac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cargo movement mechanism further comprising a second assembly portion detachably assembled to the second assembly surface to protect the body and the mov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립면 및 상기 제1 조립부는,
상기 제1 조립면 또는 상기 제1 조립부에 각각 체결공 또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체결부재를 끼움으로써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동 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ssembly surface and the first assembly portion,
A cargo moving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ssembly surface or the first assembly portion is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or a fastening groove, respectively, and assembled by inserting a fastening memb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립면은 상기 몸체의 상기 전후 방향 일단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동 기구.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assembly surface is a cargo movement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one end of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bod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립면은 상기 몸체의 전후 방향 일단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동 기구.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assembly surface is a cargo movement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one end of the body in the front-rear direc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립면은 상기 몸체의 전후 방향 일단부에 형성된 승강 조작부의 일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동 기구.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assembly surface is a cargo movement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urface of the lifting operation portion formed at one 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bod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립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조립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동 기구.
The method of claim 5,
At least one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first assembly surface, and at least one fastening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assembly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립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조립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동 기구.
The method of claim 5,
At least one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first assembly surface, and at least one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first assembly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립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조립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동 기구.
The method of claim 6,
At least one fastening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assembly surface, and at least one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first assembly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립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조립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동 기구.
The method of claim 6,
At least one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first assembly surface, and at least one fastening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assembly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립면은 상기 몸체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동 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ssembly surface is a cargo movement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rear end of the bod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립면 및 상기 제2 조립부는,
상기 제2 조립면 또는 상기 제2 조립부에 각각 체결공 또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체결부재를 끼움으로써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동 기구.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assembly surface and the second assembly portion,
A cargo moving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assembly surface or the second assembly portion is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or a fastening groove, respectively, and assembled by inserting a fasten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립부에는 좌우 방향 양 측에 롤러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롤러 삽입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동 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ssembly portion is provided with roller insertion portions on both sid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t least one roller is provided in the roller insertion portion.
KR1020180119114A 2018-10-05 2018-10-05 Apparatus for transfering freight KR1021838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114A KR102183866B1 (en) 2018-10-05 2018-10-05 Apparatus for transfering fre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114A KR102183866B1 (en) 2018-10-05 2018-10-05 Apparatus for transfering freigh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335A KR20200039335A (en) 2020-04-16
KR102183866B1 true KR102183866B1 (en) 2020-11-27

Family

ID=70454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114A KR102183866B1 (en) 2018-10-05 2018-10-05 Apparatus for transfering freigh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86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41324A (en) * 2015-02-04 2016-08-08 株式会社岡村製作所 Transporting cart
KR101720208B1 (en) * 2015-11-20 2017-04-25 형제산업(주) Skate for freight transf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41324A (en) * 2015-02-04 2016-08-08 株式会社岡村製作所 Transporting cart
KR101720208B1 (en) * 2015-11-20 2017-04-25 형제산업(주) Skate for freight transf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335A (en) 202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612B1 (en) Foldable container
JP2012529408A (en) System for replacing batteries of ground transport vehicles, especially self-driving large transport vehicles for ISO containers
EP2855201B1 (en) A platform system for a cargo compartment of a truck, lorry or trailer
KR101091020B1 (en) Lcd glass crate
KR102183866B1 (en) Apparatus for transfering freight
US89509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cking loads in vehicles
CN111907870A (en) Tray cage matched with wood tray for use and mounting and folding method thereof
CN112166079B (en) Cargo container
JP2023504631A (en) Inspection vehicle with drone base
JP3205015U (en) Manned and unmanned forklift
JP6943532B2 (en) How to attach / detach the battery for battery-powered forklifts and battery-powered forklifts
KR101585173B1 (en) Two column loading device for special vehicle
JP6162201B2 (en) Fork cover
CN210149776U (en) Tray cage matched with wood tray for use
JP2658834B2 (en) mast
KR101236531B1 (en)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for ship
JP5372416B2 (en) Rail device for loader
JP2001151310A (en) Multistory warehouse
KR101062925B1 (en) Cargo loading assembly of container and its stacking structure
KR20130035038A (en) Cart for brick transfortation
US9764898B2 (en) Automated warehouse and operation method for same
KR101475273B1 (en) Lifting apparatus for liser
CN218877228U (en) A tool car for transporting transfer robot
JP3693284B2 (en) Battery mounting device for battery car
JP4625871B1 (en) In-vehicle mobile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