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307B1 - 리본 유사 재료를 스풀상에 권취시키는 장치 - Google Patents

리본 유사 재료를 스풀상에 권취시키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307B1
KR102135307B1 KR1020130156515A KR20130156515A KR102135307B1 KR 102135307 B1 KR102135307 B1 KR 102135307B1 KR 1020130156515 A KR1020130156515 A KR 1020130156515A KR 20130156515 A KR20130156515 A KR 20130156515A KR 102135307 B1 KR102135307 B1 KR 102135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rotating
winding device
rotating body
rotating bod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6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9862A (ko
Inventor
프란크 바우어
토마스 슈탄드케
미르코 린덴만
Original Assignee
주바 홀딩 게엠베하 +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 홀딩 게엠베하 + 코. 카게 filed Critical 주바 홀딩 게엠베하 + 코. 카게
Priority to KR1020130156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307B1/ko
Publication of KR20150069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2Supporting web roll
    • B65H18/028Both ends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65H2301/4134Both ends type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4Suction grippers
    • B65H2406/343Details of sucking member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리본 유사 재료를 스풀상에 권취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장치는 스풀 축(S)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는 적어도 제 1 회전 동체(10a,10b) 및 스풀 축(S) 둘에에서 회전할 수 있고 제 1 단부 위치로부터 제 2 단부 위치로 축방향에서 스풀 축(S)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는 적어도 제 2 회전 동체(20)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 2 회전 동체(20)는 그것이 제 2 단부 위치에 있을 때보다 제 1 단부 위치에 있을 때 제 1 회전 동체(10a, 10b)에 더 인접하게 위치된다. 2 개의 회전 동체(10a, 10b;20)는 제 2 회전 동체(20)가 적어도 제 1 단부 위치에 위치될 때 스풀 축 둘레에서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사용된 스풀들이 카드보드로 만들어지고 완전하게 평탄하거나 평활한 측벽들을 가질 때도 중단되지 않는 작동을 보장하도록, 회전 동체(10a, 10b;20)들중 적어도 하나에는 유지 요소가 제공되고, 특히 스풀(50,50')의 측벽(54)을 당기기 위하여 공압 흡입 요소(32)의 형태로 유지 요소가 제공된다. 이를 위하여, 유지 요소는 유지 측부를 가지며, 그것의 회전 동체(10a,10b;20)에 대한 위치는 변화될 수 없다.

Description

리본 유사 재료를 스풀상에 권취시키는 장치{Device for winding ribbon-like material onto spools}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된 리본 유사 재료의 권취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특히 전기 공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접촉 요소들은 스탬핑(stamping) 기술에 의해 대량으로 생상된다. 공정중에, 접촉 요소들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 스트립에 부착되어 있으면서 스탬핑 기계를 떠남으로써 리본 유사 재료가 얻어지며, 이것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지지 스트립 및 스탬핑된 접촉 요소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리본 유사 재료를 다른 처리 단계로 운반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아연 도금을 위한 처리 단계로 운반하기 위하여, 리본 유사 재료는 스풀(spool) 상에 감기며, 여기에서 종종 카드보드 스풀(cardboard spool)이 이를 위하여 이용된다.
카드보드 스풀은 저렴하고 가벼워서 운반 비용도 저렴하게 유지되는 장점을 가지며, 이들은 사용 후에 즉시 재활용될 수 있는 추가적인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유형의 카드보드 스풀은 스풀 코어 및, 스풀 코어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되는 2 개의 원형 측벽들을 포함하며, 이상적인 경우에 측벽들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그러한 스풀에 리본 유사 재료를 감기 위한 장치는 회전 동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 모터를 포함한다. 회전 동체로부터 외측으로 샤프트가 연장되고 스풀이 샤프트에 맞춰진다. 더욱이, 이러한 회전 동체로부터 외측으로 맨드렐(mandrel)이 연장되며, 예를 들어 그러한 카드보드 스풀의 측벽 안으로 파고들어서, 회전 동체와 카드보드 스풀 사이에 일시적이고, 회전이 고정된 연결을 형성한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스풀은 일단 그것이 채워지면, 인원에 의해 수작업으로 대체된다. 그러나, 스풀의 교체가 자동적으로 또는 반자동적으로 발생되는, 이러한 유형의 보다 포괄적인 구성들이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다.
상기 언급된 카드보드 스풀들을 이용할 때 종종 발생되는 한가지 문제점은 측벽들의 평행한 방향이 완전하게 유지될 수 없으며, 이는 측벽들이 약간 파도형이고, 특히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서 파도형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최악의 경우에, 스풀상으로 감겨야 하는 리본 유사 재료는 카드보드 스풀의 일 측벽상에 포착될 수 있어서, 생산된 구성품들에 손상을 초래하거나 (대부분의 경우에 이것은 접촉부들이다) 또는 권취 작용이 중단되어야 하기 때문에 기계의 정지를 초래한다.
위와 같은 점으로부터 시작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된 카드보드 스풀이 불균일한 섹션들이 있는 측벽들을 가질지라도 상기한 문제점 없이 기능을 발휘하는 리본 유사 재료의 권취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된 특징들을 가진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스풀 축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는 적어도 제 1 회전 동체 및, 스풀 축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는 제 2 회전 동체를 포함한다. 샤프트가 바람직스럽게는 2 개의 회전 동체들중 하나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 2 회전 동체는 스풀 축에 대하여 제 1 단부 위치로부터 제 2 단부 위치로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제 2 회전 동체는 제 2 단부 위치를 점유할 때보다 제 1 단부 위치를 점유할 때 제 1 회전 동체에 더 인접한다. 적어도 하나의 회전 장치가 2 개의 회전 동체들을 회전시키도록 제공됨으로써, 회전 동체들은 제 2 회전 동체가 적어도 제 2 단부 위치에 있을 때 스풀 축 둘레에서 함께 회전한다. 권취 위치에서, 2 개의 회전 동체들은 서로 다음에 스풀 축 둘레에서 함께 회전할 수 있으며, 샤프트는 스풀 축에 대하여 동일 축이다. 장치의 이러한 상태에서, 스풀 및 특히 카드보드(cardboard) 스풀은 장치가 작동될 때 2 개의 회전 동체들 사이에 위치되고 제 위치에 유지된다. 2 개의 회전 동체들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스럽게는 양쪽에 스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당기기 위한 유지 요소(holding elements)들이 제공된다. 이를 위하여, 유지 요소들은 각각 회전 동체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는 유지 측부를 포함한다.
바람직스럽게는 공압 흡입 요소들로서 구현된 유지 요소들의 보조로, 스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 및 바람직스럽게는 양쪽 측벽들이 외측으로부터 정해진 위치로 당겨진다. 이러한 위치는 측벽들이 서로 완전하게 평행한 위치이거나, 또는 2 개의 측벽들 사이의 간격이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정해진 방식으로 증가되어 리본 유사 재료의 흡입을 추가적으로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위치일 수 있다. 스풀에 대한 측벽들 구성에 이렇게 정해진대로 영향을 미치는 것은 바람직스럽게는 완전히 자동적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에서 개시된 장치의 장점은 스풀상으로의 흡입 동안에 리본 유사 재료의 포착이 방지되며, 이러한 작동은 특히 작업 인원의 감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장치를 완전히 자동적으로 고속에서 작동시키는 사양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는 2 개의 제 1 회전 동체들이 제공되는데, 2 개의 제 1 회전 동체들은 예를 들어 회전 움직임 또는 피봇 움직임에 의해 위치를 바꿀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유지 요소들이 유리하게는 공압 흡입 요소들로서 구현되며, 만약 흡입 요소들이 음의 압력을 받을 때보다 흡입 요소들이 음의 압력 또는 진공 압력을 받지 않을 때 더 긴 길이를 가지도록 흡입 요소들이 구현된다면 더욱 바람직스럽다. 이러한 유형의 공압 흡입 요소들은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으며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다.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들 및 그것의 장점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들 및 종속항들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도 1 은 카드보드 스풀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실시예의 측부로부터의 단순화된 개략도이다.
도 2 는 제 1 작동 위치에서 도시된, 도 1 과 같은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 내지 도 11 은 도 2 에 대응하는 도면의 완전한 주기를 나타낸다.
도 12 는 측면으로부터 도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2 실시예로서, 실질적으로 도 5 에 대응하지만 스풀이 없고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13 은 도 12 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4 는 도 13 에 도시된 도면의 상세도이다.
도 15 는 도 13 및 도 14 에 도시된 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16 은 스풀 교환을 위하여 이용된 로봇을 지지하는 테이블상에 장착된 도 12 내지 도 15 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다.
도 17 은 제 1 작동 위치에서 공압 흡입 요소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8 은 도 17 에 도시된 공압 흡입 요소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흡입 측부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대상물에 대하여 맞춰진다.
도 19 는 제 2 작동 위치에서 도시된, 도 18 로부터의 공압 흡입 요소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필수적인 구성 요소들 및 작동의 모드는 도 1 내지 도 11 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예시적인 제 1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될 것이며, 처음에 도 1 을 참조하기로 한다.
장치는 수직 축(V) 둘레에서 피봇될 수 있는 수직 연장 아암(18)을 포함한다. 모터(19) 형태의 구동부는 이러한 피봇 움직임을 위하여 제공된다. 수직 아암(18)은 동일하게 구성된 2 개의 제 1 회전 동체(10a,10b)들을 지지한다. 그러나, 도 1 에서 참조 번호 10b 로 표시된 제 1 회전 동체(10b)는 우측에서 해칭(hatching)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따라서 장치의 작동 모드에 대한 다음의 설명에서 2 개의 제 1 회전 동체(10a,10b)들 사이에서 구분이 이루어질 수 있다. 2 개의 제 1 회전 동체(10a,10b)들은 회전 방식으로 각각 수직 아암(18)과 연결되고, 이를 위하여 분리된 구동 모터(16a,16b)들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용된다. 그러나, 이후에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 개의 회전 동체(10a,10b)들이 각각 수직 아암(18)으로의 베어링과 오직 연결되는 다른 유형의 실시예들을 생각할 수 있으며, 이는 회전 동체들이 직접 구동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분리된 샤프트(14a,14b)는 2 개의 제 1 회전 동체(10a,10b)들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데, 이들 샤프트(14a,14b)들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스풀(spool)의 축(S)과 동일 축으로 연장되고 서로 정렬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1 회전 동체(10a,10b)들의 허브 또는 중심 영역(12a,12b)들은 제 1 회전 동체(10a,10b)들의 가장자리 영역들보다 다소 두껍다.
제 1 회전 동체(10a,10b)들에는 유지 요소(holding elements)로서 기능하는, 가장자리에 인접한 몇개의 공압 흡입 요소(32)들이 각각 제공되며, 공압 흡입 요소(32)들의 바람직한 디자인은 도 17 및 도 18 과 관련하여 추후에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이들 공압 흡입 요소(32)들은 샤프트(14a,14b)들에 평행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장치는 제 2 회전 동체(20)가 제공된 가동 아암(movable arm, 28)을 더 포함하며, 제 2 회전 동체(20)는 스풀 축(S)의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고 구동 모터(26)의 도움으로 개별적인 회전 방향에서 회전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2 개의 제 1 회전 동체(10a,10b)들과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제 2 회전 동체는 두꺼운 허브 영역(22)을 가지고, 제 2 회전 동체에는 유지 요소(holding elements)로서 공압 흡입 요소(32)들이 제공된다. 각각의 회전 동체에는 4 내지 8 개의 그러한 공압 흡입 요소(32)들이 제공되며, 바람직스럽게는 대칭적으로 분포되고, 도 1 에는 상기 흡입 요소들중 오직 2 개만이 도시되어 있다.
2 개의 제 1 회전 동체(10a,10b)들과 대조적으로, 제 2 회전 동체(20)에는 샤프트가 제공되지 않으며, 그러나 스풀 축과 동일축으로 연장되는 요부(23)들이 제공된다. 가동 아암(28)(그리고 따라서 제 2 회전 동체(20))은 제 1 단부 위치로부터 제 2 단부 위치로 스풀 축(S)에 평행하게 움직일 수 있으며, 도 1 에는 회전 동체(20)가 제 1 회전 동체들에 대하여 최대 거리에 있는 제 2 단부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가동 아암(28)을 위한 구동 메카니즘은 도 1 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마지막으로, 스풀(50)이 도 1 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스풀은 스풀 코어(52) 및, 스풀 코어(52)에서 유지된 2 개의 원형 측벽(54)들을 포함한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스풀(50)의 재료는 카드보드(cardboard)이다.
도 17 내지 도 19 는 본 발명을 위하여 바람직스럽게 이용되는 것과 같은, 공압 흡입 요소(32)의 개략적인 도면을 포함한다. 공압 흡입 요소(32)는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 재료로 구성된다. 공압 흡입 요소(32)는 연결 측부(34)로부터 흡입 측부(36)로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권취 작용중에 이것은 스풀 축에 평행하다; 제 2 회전 동체의 공압 흡입 요소들은 항상 스풀 축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그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심 섹션(38)은 벨로우즈(bellows)로서 구현된다. 흡입 측부(36)는 완전하게 개방되거나 또는 적어도 구멍이 제공된다. 연결 측부(34)는 개별의 회전 동체에 고정되게 연결된다.
만약 흡입 측부(36)가 실질적으로 평탄한 대상물(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대하여 스풀(50)의 측벽(54)의 외측 표면)과 접촉한다면, 그리고 만약 연결 측부(34)가 흡입 펌프에 연결된다면, 흡입 측부(36)상의 구멍이 대상물에 폐쇄되어 있다는 사실 때문에 음의 압력(negative pressure)이 공압 흡입 요소(32) 내에 발생되며, 따라서 흡입 요소가 실질적으로 평탄한 대상물로의 방향(F)에서 힘을 가하게 한다. 개별의 대상물이 그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한, 중심 섹션(38)은 방향(F)에서 대상물과 접촉하고 대상물을 당긴다. 따라서 흡입 측부(36)는 공압 흡입 요소의 유지 측부(holding side)를 형성한다.
도 1 에서, 공압 흡입 요소(32)들은 그들이 최대 길이를 가지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축방향에서 이들이 두꺼워진 허브 영역(12a,12b,22)들을 넘어 연장되는 것을 의미한다.
장치의 작동 모드는 이제 도 2 내지 도 11 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를 도시하며, 스풀이 아직 회전 동체상에 배치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는 예를 들어, 스풀(5)상에 감기게 되는 리본과 같은 재료를 공급하는 스탬핑 기계(stamping machine)가 생산의 중지 이후에 다시 시작될 때 발생될 수 있다. 중지되지 않은 작동중에는, 추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풀이 항상 제 1 회전 동체상에 배치된다. 스풀(50)은 작동 단계 동안에 제 2 회전 동체(20)로부터 이탈되게 지향하는 제 1 회전 동체(10b)의 샤프트(14b)상에 맞춰지는데, 이는 도 3 에 도시되어 있다.
수직 아암은 차후에 180°로 회전하고 도 4 에 도시된 위치로 제 1 회전 동체(10b)를 움직이며 여기에서 제 2 회전 동체(20)에 대향되게 배치된다. 수직 아암(18)의 회전 동안에, 2 개의 샤프트(14a,14b)들은 물론 스풀 축에 대하여 동일축이 아니다. 그러나, 일단 도 4 에 도시된 상태에 도달하면, 상기 조건은 다시 한번 더 충족된다. 제 2 회전 동체(20)는 다음에 가동 아암(28)의 도움으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의 제 1 단부 위치로 움직이고, 여기에서 스풀 코어(52)는 허브 영역(12b, 22) 사이에 클램핑되고 모든 공압 흡입 요소(32)들은 회전 동체(10b,20) 사이에 유지된 스풀(50)의 측벽(54)들에 대하여 가볍게 눌린다. 이러한 제 1 단부 위치에서, 샤프트(14b)는 요부(23) 안으로 연장된다. 결과적으로, 상이한 두께의 스풀들을 이용할 수 있다. 공압 흡입 요소들은 다음에 활성화되어서 (음의 압력이 제공되는 것을 의미한다), 측벽(54)들의 외측에 흡입력을 가지고 달라붙을 수 있고 측벽들을 외측을 향해 당겨서 도 6 에 도시된 상태를 달성한다. 외측을 향해 측벽(54)들이 불룩해지는 것은 여기에서 매우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작동 상태에서, 제 1 회전 동체(10b) 및 제 2 회전 동체(20)는 스풀 축 둘레의 회전으로 되는데,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2 개의 구동 모터(16b,26)들은 동기화된다. 그러나, 이미 간단히 설명된 바와 같이, 구동 모터(16a,16b)들을 생략할 수 있고, 오직 제 2 구동 모터(26)를 이용하여 제 2 회전 동체(20) 및 개별의 제 1 회전 동체를 함께 움직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경우에 샤프트(14a,14b)와 요부(23) 사이에 회전되게 설치된 연결부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상태에서, 리본과 같은 재료는 스풀 코어(52)상으로 감겨서 (도 7 및 도 8 참조), 롤(60)이 형성될 수 있다. 새로운 스풀(50')이 권취 작동중에 이미 이용될 수 있으며 외측을 향하여 지향되는 제 1 회전 동체(10a)의 샤프트(14a)상으로 맞춰진다. 일단 스풀이 채워지면, 구동 모터(16b, 26)들이 정지되고 제 2 회전 동체(20)는 도 9 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 및 제 2 단부 위치로 움직인다. 다음에 수직 아암(18)이 다시 수직으로 연장된 피봇 축 둘레에서 180°로 피봇됨으로써, 비어 있는 스풀(50')은 도 4 에 도시된 상태에 있고 새로운 주기가 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2 실시예는 이제 도 12 내지 도 15 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와 동일하며, 따라서 동일한 유형의 구성 요소들에는 제 1 실시예와 같은 참조 번호들이 주어진다. 추가적인 상세 설명들이 제공되기 때문에, 가동 아암(28)에 대한 구동 유닛은 도 12 및 도 13 에서 관찰될 수 있으며, 즉, 무한 스크류(29a) 및 모터(29b)의 형태이다. 도 12 에 도시된 작동 상태는 도 5 에 도시된 것에 대응하며, 여기에는 스풀이 도시되어 있지 않다.
예시적인 제 1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스풀들을 향하는 회전 동체(10a,10b, 20)의 표면들이 이러한 예에서 완전하게 평탄하며, 이는 이들이 두꺼워진 허브 영역들을 가지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스풀(54)들의 측벽들은 완전하게 평탄하고 서로 평행한 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이를 달성하도록, 회전 동체(10a, 10b, 20)들에는 개구(30)들이 제공되며, 개구를 통하여 공압 흡입 요소(32)들이 연장되고, 특히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다. 만약 스풀이 제 1 회전 동체(10a 또는 10b)와 제 2 회전 동체(20) 사이에 위치된다면 그리고 만약 공압 흡입 요소(32)들이 활성화된다면 (음의 압력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 측벽들이 각각 회전 동체들의 내측을 향하는 표면들에 대하여 평탄하게 맞춰질 때까지, 상기 요소들은 스풀의 측벽(54)들을 흡입하여 당긴다. 공압 흡입 요소(32)들에는 대응하는 음의 압력 라인을 통하여 음의 압력이 공급되는데, 음의 압력 라인들에는 다시 로타리 리드 쓰루(rotary leadthrough)를 통하여 음의 압력이 공급될 수 있다.
도 16 은 예시적인 제 2 실시예로부터의 장치를 도시하며, 이러한 장치는 스풀 교환을 위한 로봇을 추가적으로 지지하는 테이블상에 장착된다.
여기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위한 스풀 축들은 각각 수평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이는 절대적인 요건이 아니다. 다른 실시예들도 가능하며, 특히 수직으로 연장된 스풀 축을 가진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10a.10b. 제 1 회전 동체 12a, 12b. 허브 영역
14a, 14b. 샤프트 16a,16b. 구동 모터
18. 수직 아암 19. 모터
20. 제 2 회전 동체 22. 허브 영역
23. 요부 26. 구동 모터
28. 가동 아암 29a. 스크류
29b. 모터 30. 개구
32. 공압 흡입 요소 34. 연결 측부
36. 흡입 측부 38. 중심 섹션
40. 로봇 50.50'. 스풀
52. 스풀 코어 54. 측벽
60. 롤

Claims (13)

  1. 리본 유사 재료(ribbon-like material)를 스풀(50,50')상으로 감는 권취 장치로서,
    스풀 축(S)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는 적어도 제 1 회전 동체(10a,10b);
    스풀 축(S)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고 스풀 축(S)에 대하여 제 1 단부 위치로부터 제 2 단부 위치로 축방향에서 움직일 수 있는 적어도 제 2 회전 동체(20)로서, 제 2 단부 위치에 있을 때보다 제 1 단부 위치에 있을 때 제 1 회전 동체(10a,10b)에 더 인접한, 적어도 제 2 회전 동체(20);
    만약 제 2 회전 동체(20)가 그것의 제 1 단부 위치에 위치된다면, 2 개의 회전 동체(10a,10b;20)들을 스풀 축 둘레에서 함께 회전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회전 동체에는 스풀(50,50')의 측벽(54)을 당기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가 제공되되, 제 1 회전 동체(10a,10b) 및 제 2 회전 동체(20)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를 유지하고, 유지 요소는, 회전 동체(10a,10b;20)에 대한 위치가 변화될 수 있는 유지 측부(holding side)를 가지며, 상기 유지 요소는 스풀의 측벽(54)들을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외측으로 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유지 측부의 상대적인 위치는 스풀 축(S)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변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양쪽 회전 동체(10a,10b;20)들에는 회전 동체(10a,10b;20)들의 가장자리 영역에 바람직스럽게 위치되는 몇개의 유지 요소들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유지 요소는 공압 흡입 요소(32)들이고, 유지 요소의 유지 측부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제공된 흡입 요소의 유지 측부(3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공압 흡입 요소(32)는 벨로우즈(bellows) 유형의 중심 섹션(38)을 포함하는, 권취 장치.
  7. 삭제
  8. 제 5 항에 있어서,
    공압 흡입 요소(32)들은 회전 동체(10a,10b;20)의 개구(30)들을 통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샤프트(14a,14b)는 제 1 회전 동체 또는 제 2 회전 동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다른 회전 동체에는 샤프트(14a,14b)를 수용하기 위한 요부(23)가 각각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 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2 개의 제 1 회전 동체(10a,10b) 또는 적어도 2 개의 제 2 회전 동체들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2 개의 제 1 회전 동체(10a,10b)들이 제공되고, 이들 회전 동체들은 피봇 움직임에 의해 그들의 위치들이 교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피봇 움직임을 위한 축은 스풀 축(S)에 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 장치.
KR1020130156515A 2013-12-16 2013-12-16 리본 유사 재료를 스풀상에 권취시키는 장치 KR102135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515A KR102135307B1 (ko) 2013-12-16 2013-12-16 리본 유사 재료를 스풀상에 권취시키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515A KR102135307B1 (ko) 2013-12-16 2013-12-16 리본 유사 재료를 스풀상에 권취시키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862A KR20150069862A (ko) 2015-06-24
KR102135307B1 true KR102135307B1 (ko) 2020-07-17

Family

ID=53516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6515A KR102135307B1 (ko) 2013-12-16 2013-12-16 리본 유사 재료를 스풀상에 권취시키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30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8535B2 (ja) * 1990-03-19 1996-11-27 株式会社片岡機械製作所 巻取ロール取り出し兼巻芯装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7351A (ja) * 1985-02-28 1986-09-01 Yamada Dobby Co Ltd 巻取り機
JP3721246B2 (ja) * 1997-08-27 2005-11-30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フイルムロールの装填方法および装填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8535B2 (ja) * 1990-03-19 1996-11-27 株式会社片岡機械製作所 巻取ロール取り出し兼巻芯装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862A (ko) 2015-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6930B1 (ko) 이차 전지용 권취 설비의 자재 자동 교환 장치
JP6879769B2 (ja) 巻き取り装置および方法
EP2716586B1 (en) Revolver-type winding machine for strip material
JP5840047B2 (ja) ウエブ巻取装置
KR200466686Y1 (ko) 필름 권취 및 권출 장치
KR102007336B1 (ko) 웹 권취 장치
US9517909B2 (en) Device for winding ribbon-like material onto spools
JP5959259B2 (ja) ウエブ巻取装置
JP2017062919A (ja) 巻芯及び巻回装置
KR102135307B1 (ko) 리본 유사 재료를 스풀상에 권취시키는 장치
JP6212756B2 (ja) 巻取装置
EP4194384A1 (en) A reel handling robot and a method for handling reels of web material
WO2017119308A1 (ja) 引出装置および引出方法
US8201768B2 (en) Pivotable positioning roller in the reversing winder
CN102350781A (zh) 一种橡胶挤出机及其进料装置
CN213325917U (zh) 一种防静电保护膜加工用收卷装置
JP2007142351A (ja) 素子加圧ローラー機構装置
JP5997346B1 (ja) フィルム巻取装置
JP5738325B2 (ja) 巻替装置
JP6835562B2 (ja) ウエブの巻取り装置
JP2016079033A (ja) 印刷機の印刷紙巻取装置
CN218231141U (zh) 一种抗菌无纺布加工用生产设备
JP6910885B2 (ja) ウエブの切断装置とそれを用いた巻取り装置
CN210709913U (zh) 具有断膜功能的涂布机双工位收卷装置
JP5969768B2 (ja) 長尺体の回転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