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4258B1 -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4258B1
KR102134258B1 KR1020200029553A KR20200029553A KR102134258B1 KR 102134258 B1 KR102134258 B1 KR 102134258B1 KR 1020200029553 A KR1020200029553 A KR 1020200029553A KR 20200029553 A KR20200029553 A KR 20200029553A KR 102134258 B1 KR102134258 B1 KR 102134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oting
screen
target
roll scree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휘중
강민아
김선구
김선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김휘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김휘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Priority to KR1020200029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42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258B1/ko
Priority to US17/782,927 priority patent/US20230003493A1/en
Priority to PCT/KR2020/018513 priority patent/WO202112581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7/00Movable targets which are stationary when fired 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13/00Bullet catch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날씨의 영향 없이 실탄 사격 연습을 실행할 수 있고, 표적지의 교체 없이 원거리와 근거리 및 표적 종류 등 표적 대상 및 야간사격 등 사격 상황을 용이하게 변경하여 다양한 사격 상황을 연출할 수 있고, 표적지의 훼손 정도에 따라 표적 대상이 명확히 나타나도록 자동 제어하여 시스템의 운용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원형에 가까운 탄두를 용이하게 회수하고 실탄 사용으로 인하여 사격장에서 발생하는 중금속 유해물질이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주변 환경오염 방지로 친환경적인 실탄 사격장을 도모할 수 있는 스마트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탄 사격장의 천장부에 구성되는 스크린형 표적 장치; 상기 스크린형 표적 장치의 전방 측에 구성되며, 하기 시스템 제어 모듈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스크린형 표적 장치의 롤 스크린 부재에 표적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프로젝팅 하는 프로젝터; 상기 스크린형 표적 장치의 탄착점을 검출하여 표적의 명중 여부를 검출함과 동시에 사격에 따른 스크린형 표적 장치의 훼손 정도를 검출하는 표적 검출 장치; 및 상기 스크린형 표적장치와 프로젝터 및 표적 검출 장치와 송수신하여 그 스크린형 표적장치와 프로젝터 및 표적 검출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 {SCREEN TYPE TARGET DEVICE FOR SHOOTING AND SMART INDOOR SHOOTING SYSTEM}
본 발명은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날씨의 영향 없이 실탄 사격 연습을 실행할 수 있고, 표적지의 교체 없이 원거리와 근거리 및 표적 종류 등 표적 대상 및 야간사격 등 사격 상황을 용이하게 변경하여 다양한 사격 상황을 연출할 수 있고, 표적지의 훼손 정도에 따라 표적 대상이 명확히 나타나도록 자동 제어하여 시스템의 운용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원형에 가까운 탄두를 용이하게 회수하고 실탄 사용으로 인하여 사격장에서 발생하는 중금속 유해물질이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주변 환경오염 방지로 친환경적인 실탄 사격장을 도모할 수 있는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호원의 훈련장, 군부대나 예비군 훈련장, 경찰특공대의 훈련장 등에는 사격훈련을 하기 위한 실탄 사격장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대부분의 사격장에는 사격 타깃 장치에 표적지를 부착되어 표적지를 향해 실탄 사격을 함으로서 사격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사격 타겟 장치는 사격훈련자가 바뀔 때마다 표적지를 일일이 교체해야 함으로써 그 작업이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는 사격훈련자가 사격을 하는 과정에서는 원거리 사격의 경우 발사된 탄환이 표적지의 어느 부분에 관통되었는지를 육안으로 명확하게 확인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예컨대 탄환이 표적지를 크게 벗어나거나 예정된 부분에 탄환이 적중하지 않았을 경우에도 사격도중에 사격자세를 바르게 교정한다든지 또는, 총기의 가늠자 부분을 교정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가 없기 때문에 실질적인 사격훈련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한편, 등록특허 제0523160호에는 레이저 총, 레이저 총 사격 시스템, 및 표적박스의 기술적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며, 공개특허 제2006-0074668호에는 레이저빔을 이용한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사격 시스템은 신호 생성 유닛에서 사격 신호에 응답하여 발사할 수 있도록 신호를 생성하고, 빔 탄환 발사 유닛은 방아쇠의 조작에 응답하여 신호 생성 유닛에 의해 생성된 허가 신호에 기초하여 레이저빔 탄환을 발사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사격장치들은 실제 총기의 영점 조정이 사수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영점 조정에 따른 신뢰도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등록특허 제10-1017144호는, 스크린의 교체가 연속으로 이뤄지는 스크린 유닛과 탄두 회수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롤러구조는 풀림 롤러와 감김 롤러와 웨이트 롤러 세 가지의 롤러가 상호 연결하는 체인부와 구동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등록특허 제10-1017144호는, 지속적으로 사격 후 사격 기록을 이용하여 단순히 총기의 영점조정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사용이 끝난 스크린을 롤러 단위로 교체시는 3개의 롤러를 모두 분해하여야 하고 교체하는 과정에서 감김 롤러와 풀림 롤러의 체인을 해체하고 체인에 걸려있는 각 회전 기아를 해체한 다음 모터를 해체해야 하고 다시 수프 컷과 구동 수프 컷을 해체하는 등 거의 모든 부품요소를 해체해야 비로소 스크린 원단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구조로서 사용시간의 많은 제한을 가져 왔다.
또한, 스크린 이면에 탄자 회수 유닛이 있으나 이는 스크린을 거친 다음에 회수 유닛에 탄자가 소재하게 구성됨으로써 스크린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회수 유닛도 별도로 해체해야 하며, 원형에 가까운 탄두는 회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크린이 평탄성을 유지하지 못하므로 단순 타깃 영상만 제시할 수 있을 뿐 테러 및 납치 등 여러 가상상황을 영상으로 제시할 수가 없고, 이러한 영상타깃에 프로젝터의 초점이 맞지 않아 영상이 흐리고 불명확하며 카메라 측정 장치 등에도 오차가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또한, 별도의 흡음 장치 등이 구비되지 않아 타격 시 소음이 크다.
또한, 스크린을 관통한 탄두 회수 유닛이 있으나 개구가 형성된 나팔 관부 로만 단순히 구성되고 전면에는 단순 스크린 하나만 구성되어 있으므로 연속으로 사격하는 자동화기, 또는 직선 위치에서 벗어나는 사각으로 사격된 총알은 오히려 나팔관부에서 반사 반발되어 이면에서 스크린을 다시 뚫고 나와 사격자에게 치명상을 입히는 등의 안전사고를 불러올 수 있으며, 이러한 나팔관형태의 탄자회수 유닛은 나팔관의 울림으로 인해 사격시 소음이 증가하여 실내에 설치할 수 없고 사격 된 총알의 에너지 감소를 위한 특별한 장치가 없이 단순히 나팔관 구조로 되어 있는 회수유닛은 넓은 두께와 점유공간을 요구하게 되므로 실내설치에 장애 요인으로 작용해왔으며 다연발의 자동화기의 사격 여러 명이 동시에 사격 등이 불가능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996499(2019.07.04.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17144(2011,02.25.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18297(2018.02.21.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28930(2011.03.22.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날씨의 영향 없이 실탄 사격 연습을 실행할 수 있고, 표적지의 교체 없이 원거리와 근거리 및 표적 종류 등 표적 대상을 용이하게 변경하여 다양한 사격 상황을 연출할 수 있는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적지의 훼손 정도에 따라 표적 대상이 명확히 나타나도록 자동 제어하여 시스템의 운용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형에 가까운 탄두를 용이하게 회수하고 실탄 사용으로 인하여 사격장에서 발생하는 중금속 유해물질이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주변 환경오염 방지로 친환경적인 실탄 사격장을 도모할 수 있는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실탄 사격장의 표적 장치로서, 실탄 사격장의 천장부에 구비되는 장착 케이스; 상기 장착 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되는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 상기 장착 케이스와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 간에 구성되어 상기 장착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연장-수축 구동 수단; 및 상기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에 수용되는 롤 스크린 부재를 인입 및 인출가능하게 구성되는 롤 스크린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는 실탄 사격장의 폭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연장-수축 구동 수단은, 교차하는 중심 및 단부가 힌지 연결되는 X자형 링크가 복수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단의 X자형 링크의 양단이 상기 장착 케이스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의 X자형 링크의 양단이 상기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에 힌지 결합되는 X자형 자바라 링크 부재와, 상기 장착 케이스에 구비되며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와, 상기 장착 케이스에 구비되며 원격지 제어반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 모터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구동제어 회로 모듈, 및 일단부는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풀리부재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 또는 상기 X자형 자라바 링크 부재의 최하단 X자형 링크의 중심에 고정되는 길이조절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롤 스크린 수단은, 상기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에 정역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스크린 회전샤프트와, 상기 롤스크린 회전샤프트에 권출 및 권취가능하게 구비되는 롤 스크린 부재와, 상기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의 타측에 구비되는 정역회전가능한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롤스크린 회전샤프트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 수단, 및 상기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에 구비되며 원격지 제어반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 모터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구동제어 회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장착 케이스는, 상기 X자형 자바라 링크 부재가 접철된 상태에서 그 X자형 자바라 링크 부재 및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가 내측에 수용되도록 그 장착 케이스의 하부 양측에서 하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 커버 케이스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롤 스크린 부재는 하단에 자성체의 무게 바가 구비되며, 실탄 사격장의 바닥부에 구성되며, 상기 롤 스크린 부재의 펼침 상태에서 상기 무게 바가 자력으로 결합되도록 일측에 자석체가 구비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장착 케이스의 길이방향이 사격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장착 케이스를 회전 구동시키는 장착케이스자세 구동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장착케이스 자세 구동 수단은, 일단부는 천장부에 고정되며 타단부는 상기 장착 케이스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 프레임; 상기 장착 프레임의 타단부와 상기 장착 케이스 간에 구성되어 상기 장착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장착 케이스를 상대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회전 구동 부재; 상기 장착 프레임 또는 장착 케이스에 구성되며, 원격지 제어반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회전 구동 부재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구동제어 회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프레임을 사격방향으로 선형 이동시켜 사격위치로부터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표적지 거리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표적지 거리 조절 수단은, 천장면에 사격방향으로 배치되는 레일 프레임; 상기 레일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구름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 프레임의 상단부에 구성되는 이동 프레임; 및 상기 이동 프레임에 구비되며, 원격지 제어반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구름 롤러를 전후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와 구동제어 회로모듈을 포함하는 모터 구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실탄 사격장의 천장부에 구성되는 상기한 스크린형 표적 장치; 상기 스크린형 표적 장치의 전방 측에 구성되며, 하기 시스템 제어 모듈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스크린형 표적 장치의 롤 스크린 부재에 표적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프로젝팅 하는 프로젝터; 상기 스크린형 표적 장치의 탄착점을 검출하여 표적의 명중 여부를 검출함과 동시에 사격에 따른 스크린형 표적 장치의 훼손 정도를 검출하는 표적 검출 장치; 및 상기 스크린형 표적장치와 프로젝터 및 표적 검출 장치와 송수신하여 그 스크린형 표적장치와 프로젝터 및 표적 검출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표적 검출 장치에서 검출된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스크린형 표적 장치에 표시되는 표적 영상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표적영상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 제어 모듈은 상기 표적영상 제어 장치와 송수신하여 그 상기 사격 카운트 장치 및 표적영상 제어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표적 검출 장치는 상기 스크린형 표적 장치의 롤 스크린 부재에 디스플레이되는 표적 영상을 독취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표적영상 제어 장치는 상기 시스템 제어 모듈의 제어 신호로 상기 프로젝터를 상하좌우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시스템 제어 모듈은 상기 프로젝터를 통해 조사되는 표적 영상의 종류를 선택하고 표적 영상의 사이즈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표적영상 디스플레이 제어부와, 상기 연장-수축 구동 수단의 구동제어 회로모듈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와이어 조절 제어부와, 상기 롤 스크린 수단의 구동제어 회로모듈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스크린구동 제어부와, 상기 장착케이스자세 구동 수단의 구동제어 회로모듈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장착케이스자세 제어부와, 상기 표적지 거리 조절 수단의 구동제어 회로모듈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표적지거리 제어부와, 상기 표적 검출 장치에서 검출된 표적영상 이미지를 제공받아 탄착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탄흔이미지와 해당 표적영상 이미지를 비교 판단하도록 이루어지는 탄착이미지 추출-판단부와, 상기 탄착이미지 추출-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표적영상 제어 장치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표적영상 제어부, 및 사격의 시작과 정지 여부를 사격사로별로 설치된 시각적 수단 및 청각적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알림하도록 구성되는 알림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사격위치와 반대되는 측의 사격장에 구비되어 실탄 탄두를 회수하도록 구성되는 실탄탄두 회수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실탄 탄두 회수 유닛은, 측면에서 바라볼 때 평행사변형으로 형태로 형성되며, 상면과 전방면이 개방되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격자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 플레이트와, 상기 함체의 상면 전단부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전면에 구비되는 상단 플레이트와, 상기 함체의 후부에 구비되어 그 함체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함체의 상면 개방부를 개폐가능하게 커버하는 상면 덮개와, 상기 상단 플레이트와 상기 함체의 전면 개방부를 커버하는 탄두 완충 플레이트, 및 상기 함체의 격자 공간에 충전되는 고무입자 충전물을 포함하고, 상기 구획 플레이트의 전면에는 철판에 방탄섬유나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방탄철판으로 이루어진 탄두 완충 방탄 프레임이 구성되며, 상기 탄두 완충 플레이트는 붕소, 염소, 브롬, 인 중 적어도 하나의 난연재가 함유되는 소정 두께의 고무판 또는 압축 고무판으로 이루어지고, 고무판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는 내부에 평면적으로 이니마, 케블라,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세라믹, 아라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방탄소재, 또는 부직포나 철망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실내에 구현됨으로써 날씨의 영향 없이 실탄 사격 연습을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사격 후 표적지를 일일이 교체할 필요가 없고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여 사격 운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원거리 표적, 근거리 표적, 표적 종류 등 표적 대상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야간 사격을 위한 훈련 상황도 쉽게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표적지의 훼손 정도에 따라 표적 대상이 명확히 나타나도록 자동 제어하여 시스템의 운용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명중 여부나 명중 횟수를 사격자가 즉각적으로 파악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여 사격 훈련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실탄 사용으로 인하여 사격장에서 발생하는 중금속 유해물질이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원형에 가까운 탄두를 용이하게 회수하여 재활용과 환경 오염 방지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X자형 자바라 링크 부재가 접철되어 수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X자형 자바라 링크 부재가 펼침되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를 구성하는 롤 스크린 부재가 인입 및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롤 스크린 부재가 인출된 상태, (B)는 롤 스크린 부재가 인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를 구성하는 롤 스크린 부재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가 구성되는 실내 실탄 사격장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에 포함되는 시스템 제어 모듈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에 포함되는 실탄탄두 회수유닛을 전방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에 포함되는 실탄탄두 회수유닛을 후방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에 포함되는 실탄탄두 회수유닛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상에"또는 "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직접적 시계열적인 관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각 단계 후의 혼합하는 단계와 같이 두 단계의 순서에 시계열적 순서가 바뀔 수 있는 간접적 시계열적 관계에 있는 경우와 동일한 권리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X자형 자바라 링크 부재가 접철되어 수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X자형 자바라 링크 부재가 펼침되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를 구성하는 롤 스크린 부재가 인입 및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롤 스크린 부재가 인출된 상태, (B)는 롤 스크린 부재가 인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를 구성하는 롤 스크린 부재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가 구성되는 실내 실탄 사격장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장착 케이스(110);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120); 연장-수축 구동 수단(130); 및 롤 스크린 수단(140);을 포함하며, 장착케이스 자세 구동 수단(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내 실탄 사격장의 천장부에 구비되는 장착 케이스(110); 상기 장착 케이스(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120); 상기 장착 케이스(110)와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120) 간에 구성되어 상기 장착 케이스(110)에 대한 상기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120)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연장-수축 구동 수단(130); 및 상기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120)에 인입 및 인출가능하게 구성되는 롤 스크린 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120)는 실내 실탄 사격장의 폭방향(즉, 사격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고 형성되게 된다.
상기 장착 케이스(110)은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120)의 길이방향 사이즈에 상응하는 사이즈를 갖고 형성된다. 즉, 상기 장착 케이스(110)은 길이방향으로 긴 사각 함체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장착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연장-수축 구동 수단(130)의 일부 구성요소들이 수용 구비되게 된다.
또한, 상기 장착 케이스(110)는, 아래에서 설명될 연장-수축 구동 수단(130)을 구성하는 X자형 자바라 링크 부재(131)가 접철된 상태(수축된 상태)에서 그 X자형 자바라 링크 부재(131) 및/또는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120)가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장착 케이스(110)의 하부 양측에서 하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 커버 케이스(11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연장 커버 케이스(111)는 도 2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X자형 자바라 링크 부재(131)만을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도 2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X자형 자바라 링크 부재(131)와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120)를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120)는 상기한 장착 케이스(110)와 유사하게 길이방향으로 긴 사각 함체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120)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롤 스크린 수단(140)의 롤 스크린 부재(142)가 인입 및 인출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120)는 상기 장착 케이스(110)와의 사이에 개재된 연장-수축 구동 수단(130)에 의해 하방향으로 연장되고 다시 원위치로 길이 조절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연장-수축 구동 수단(130)은, 교차하는 중심 및 단부가 힌지 연결되는 X자형 링크(131a)가 복수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단의 X자형 링크(131a)의 양단이 상기 장착 케이스(110)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의 X자형 링크(131a)의 양단이 상기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120)에 힌지 결합되는 X자형 자바라 링크 부재(131)와, 상기 장착 케이스(110)에 구비되어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미도시)와,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풀리 부재와, 상기 장착 케이스(110)에 구비되며 원격지 제어반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 모터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구동제어 회로 모듈(미도시)와, 일단부는 상기 풀리 부재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120)에 고정되는 길이조절 와이어(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을 연장시켜 길이조절 와이어(132)을 권취하고 권출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경우, 상기 풀리 부재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X자형 자바라 링크 부재(131)는 복수의 X자형 링크(131a)로 이루어져 양측 말단이 대각선 방향으로 교차하면서 각 단위중심(131b)을 형성하며 상기 각 단위중심(131b)이 연속적으로 힌지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X자형 자바라 링크 부재(131)는 상기 구동 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길이조절 와이어(132)의 권출 또는 권취로, 상기 단위중심(131b)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다중 절첩될 수 있다.
즉, 상기 X자형 자바라 링크 부재(131)는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120) 또는 최하부 측 단위중심(131b)과 연결된 길이조절 와이어(132)가 구동 모터에 의해 권양되거나, 풀리면서 최하부측 단위중심(131b)을 끌어올리거나 상기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120)의 하중에 따른 자력으로 하강시키며, 이에 따라 X자형 자바라 링크 부재(131)는 각 단위중심(131b) 간의 거리가 변화하면서 상하방향에 대한 길이(전체적인 형상에 대한 길이 또는 높이)가 조절되는 절첩 운동을 실행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길이조절 와이어(132)는 타단부가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120)에 고정되는 대신에, 보다 원활하고 효율적인 절첩을 위해 상기 길이조절 와이어(132)가 최하부측의 X자형 링크(131a)의 단위중심(131b)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120)에 고정되는 것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제어 회로 모듈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원격지의 제어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는데, 리모컨으로 제어되도록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구동제어 회로 모듈에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롤 스크린 수단(140)은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120)에 수용된 롤 스크린 부재가 인입 및 인출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120)에 정역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스크린 회전샤프트(141)와, 상기 롤스크린 회전샤프트(141)에 권출 및 권취가능하게 구비되는 롤 스크린 부재(142)와, 상기 롤스크린 회전샤프트(141)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구비되는 풀리 부재(143)와, 상기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120)의 타측에 구비되는 정역회전가능한 구동 모터(144)와, 상기 구동 모터(144)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풀리 부재(143)에 전달하는 구동 벨트(145)와, 상기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120)에 구비되며 원격지 제어반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 모터(144)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구동제어 회로 모듈(146)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풀리 부재(143)와 구동 벨트(145)는 상기 구동 모터(144)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롤스크린 회전샤프트(141)로 전달할 수 있는 다른 구동력 전달 수단(예를 들면, 기어 트레인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롤 스크린 부재(142)의 하단은 그 롤 스크린 부재(142)의 펼침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실탄 사격으로 인한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한 무게 바(weight bar)(147)가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100)는 상기 롤 스크린 부재(142)의 펼침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무게 바(147)는 금속과 같은 자성체로 이루어지며, 실내 실탄 사격장의 바닥부에 구비되는 돌출부(151)(도 6 참조), 및 상기 돌출부(148)의 일측(바람직하게는 후방면, 즉 사격방향에 대하여 반대 면)에 구비되는 자석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48)는 상기 무게 바(147)를 수용할 수 있는 U자형의 블록체로 형성되며, 상기 자석체의 그 U자형 블록체 내부의 어느 일 측면이나 양 측면 또는 바닥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상기 롤 스크린 부재(142)가 인출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무게 바(147)가 돌출부(148)에 인접할 때 자석체의 자력으로 돌출부에 붙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실탄 사격을 실행함으로써 롤 스크린 부재(142)의 펼침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실탄 사격에 따른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제어 회로 모듈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원격지의 제어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는데, 리모컨으로 제어되도록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구동제어 회로 모듈에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는, 상기 장착 케이스(110)의 길이방향이 사격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장착 케이스(110)를 회전 구동시키는 장착케이스자세 구동 수단(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6 참조).
상기 장착케이스 자세 구동 수단(15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부(상단부)는 실내 실탄 사격장의 천장부에 고정되며 타단부(하단부)는 상기 장착 케이스(11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 프레임(151)과, 상기 장착 프레임(151)의 타단부와 상기 장착 케이스(110) 간에 구성되어 상기 장착 프레임(151)에 대하여 장착 케이스(110)를 상대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회전 구동 부재(152)와, 상기 장착 프레임(151) 또는 장착 케이스(110)에 구성되며, 원격지 제어반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회전 구동 부재(152)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구동제어 회로 모듈(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 구동 부재(152)는 상기 장착 프레임(151)의 타단부와 상기 장착 케이스(110) 간에 구성되는 베벨 기어나 랙 기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구동제어 회로 모듈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원격지의 제어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는데, 리모컨으로 제어되도록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구동제어 회로 모듈에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는, 상기 장착 케이스(110) 또는 상기 장착 프레임(151)(장착 프레임이 구성되는 경우)을 사격방향으로 선형 이동시켜 사격위치로부터 표적지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표적지 거리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적지 거리 조절 수단은 일 실시 예로 사격방향으로 배치되는 레일 프레임과, 상기 레일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구름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 케이스의 상단부에 구성되는 이동 프레임, 및 상기 이동 프레임에 구비되며, 원격지 제어반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구름 롤러를 전후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 및 구동제어 회로모듈을 포함하는 모터 구동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제어 회로 모듈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원격지의 제어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는데, 리모컨으로 제어되도록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구동제어 회로 모듈에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표적지 거리 조절 수단이 더 포함되는 경우, 프로젝터(200)는 고정 프레임(고정 부재)을 통해 상기 장착 케이스(110) 또는 장착 프레임(151)에 결합되어 구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프로젝터(200)는 스크린형 표적장치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프로젝터(200)를 보호할 수 있는 차폐 플레이트 또한 그 프로젝터(200)의 일측에 고정 프레임(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한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에 대하여 앞서 언급한 도 6,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에 포함되는 시스템 제어 모듈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은,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상기한 스크린형 표적 장치(100); 프로젝터(200); 표적 검출 장치(300); 사격 카운트 장치(400); 표적영상 제어 장치(500); 및 시스템 제어 모듈(600);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실탄탄두 회수유닛(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은,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내 실탄 사격장에 설비되는 시스템으로서, 실내 실탄 사격장의 천장부에 사격 사로(사격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구성되는 상기한 스크린형 표적 장치(100); 상기 스크린형 표적 장치(100)의 전방 측에 구성되며, 하기 시스템 제어 모듈(6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스크린형 표적 장치(100)의 롤 스크린 부재(142)에 소정의 표적 영상(타겟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프로젝팅(projecting) 하는 프로젝터(200); 상기 스크린형 표적 장치(100)의 탄착점을 검출하여 표적의 명중 여부를 검출함과 동시에 사격에 따른 스크린형 표적 장치(100)의 훼손 정도를 검출하는 표적 검출 장치(300); 상기 스크린형 표적 장치(100)의 후방에 구비되어 사격 횟수를 카운트하는 사격 카운트 장치(400); 상기 표적 검출 장치(300)에서 검출된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스크린형 표적 장치(100)에 표시되는 표적 영상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표적영상 제어 장치(500); 및 상기 프로젝터(200)와 표적 검출 장치(300)와 사격 카운트 장치(400) 및 표적영상 제어 장치(500)와 송수신하고, 그 프로젝터(200)와 표적 검출 장치(300)와 사격 카운트 장치(400) 및 표적영상 제어 장치(50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제어 모듈(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표적 검출 장치(300); 사격 카운트 장치(400); 표적영상 제어 장치(500)는 선택적으로 부가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형 표적 장치(100)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설명의 간략화와 명확화를 위하여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프로젝터(200)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시스템 제어 모듈(600)의 표적영상 디스플레이 제어부(610)를 통해 다양한 표적, 즉 단일 또는 복수의 정적/동적 인체 형상, 복수의 정적/동적 전차 또는 비행기 등의 표적을 스크린형 표적 장치(100)에 표시하며, 나아가 표적(표적 영상)의 크기 또는 사이즈 또한 시스템 제어 모듈(600)에 의해 제어되어 스크린형 표적 장치(100)에 표시하게 된다.
상기 프로젝터(200)의 일측에는 조명 수단(210)이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젝터(200)의 전방 측(사격사로 방향 측)에 구비되어 실탄으로부터 프로젝터(200)를 보호할 수 있는 차폐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표적 검출 장치(300)는 상기 프로젝터(200)에 의해 스크린형 표적 장치(100)의 롤 스크린 부재(142)에 디스플레이되는 표적(타겟)에 대한 표적의 명중 여부를 검출하고, 계속되는 실탄의 관통으로 인해 스크린형 표적 장치(100)의 훼손 정도를 검출하여 시스템 제어 모듈(600)로 전송하고, 시스템 제어 모듈(600)에서 이를 판단하여 표적영상 제어 장치(500)를 통해 스크린 이동(상하 이동) 및/또는 표적영상 이동이 실행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적 검출 장치(300)는 스크린형 표적 장치(100)의 롤 스크린 부재(142)에 디스플레이되는 표적 영상(표적 이미지)을 독취하도록 해당 사격사로별의 천정면에 구비되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CD 카메라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적 검출 장치(300)는 광학 영상의 강약과 색채를 감지하여 디지털 영상 데이터(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해주는 장치로서 CMOS 이미지 센서(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또는 CCD 이미지 센서(Charge Coupled Device)를 포함하는 촬영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표적 검출 장치(300)는 독취한 타겟 영상을 디지털 영상 데이터(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시스템 제어 모듈(600)로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표적 검출 장치(300)는 프로젝터(200)와 일체로 구성되며, 도 6에서는 프로젝터(200)와 표적 검출 장치(300)가 일체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사격 카운트 장치(400)는 상기 스크린형 표적 장치(100)의 후방에 구비되어 스크린형 표적 장치(100)를 관통하는 실탄의 관통 횟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사격 횟수를 카운트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격 카운트 장치(400)는 일 실시 예로 아날로그 방식 카운트 장치로서 각 사결사로별로 스크린형 표적 장치(100)의 후방 측에 회동 가능한 소정 사이즈의 회동판, 및 상기 회동판의 회동 여부를 검출하고 회동 횟수를 검출함으로써 사격 회수를 카운트함과 동시에 회동 여부에 따라 명중 여부를 보조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회동 검출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회동 검출 모듈은 상기 회동판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엔코더와 디코더를 통해 회동 여부를 검출하고 회동에 따른 횟수를 카운트하여 유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시스템 제어 모듈(600)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회동판이 위치되는 측에 광센서 모듈이 구성되어 회동판의 회동 여부를 검출하고, 회동에 따른 횟수를 카운트하여 유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시스템 제어 모듈(600)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아래에서 설명될 표적영상 제어 장치(500)의 프로젝터 구동장치(520)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회동판을 승강 이동시킬 수 있는 회동판 구동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격 카운트 장치(400)는 상기 스크린형 표적 장치(100)의 후방 측에 구성되어 스크린형 표적 장치(100)를 관통하는 실탄(탄두)을 검출하는 광센서 모듈로서, 예를 들면 에어리어 센서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표적영상 제어 장치(500)는 상기 시스템 제어 모듈(600)의 제어 명령으로 상기 프로젝터(200)를 상하좌우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구동시켜 그 스크린형 표적 장치(100)의 롤 스크린 부재(142)에 표시되는 표적(타겟)이 위치 변경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표적영상 제어 장치(500)는 하나 이상의 구동 모터와 기어트레인을 이용하여 프로젝터(200)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표적영상 제어 장치(500)는 시스템 제어 모듈(600)에 의해, 즉 시스템 제어 모듈(600)의 표적영상 자동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될 뿐만 아니라, 프로젝터 구동 제어 버튼(프로젝터 상하좌우 구동 버튼 또는 스위치)를 구비한 무선 또는 유선 조정 장치로 구성되어 수동 모드로 조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시스템 제어 모듈(600)은 상기 프로젝터(200)를 통해 조사되는 표적 영상의 종류를 선택하고 표적 영상의 사이즈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표적영상 디스플레이 제어부(610)와, 상기 연장-수축 구동 수단(130)의 구동제어 회로모듈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X자형 자바라 링크 부재(131)의 접철과 펼침을 제어하는 와이어 조절 제어부(620), 및 상기 롤 스크린 수단(140)의 구동제어 회로모듈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롤 스크린 부재(142)의 인입과 인출을 제어하는 스크린구동 제어부(630)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케이스 자세 구동 수단(150)의 구동제어 회로모듈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장착케이스의 자세를 제어하는 장착케이스자세 제어부(640)와, 상기 표적지 거리 조절 수단의 구동제어 회로모듈에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표적지의 거리를 제어하는 표적지거리 제어부(650)와, 상기 표적 검출 장치(300)에서 검출된 표적영상 이미지를 제공받아 탄착이미지(탄흔)를 추출하고, 추출된 탄흔이미지와 해당 표적영상 이미지를 비교 판단하도록 이루어지는 탄착이미지 추출-판단부(660)와, 상기 탄착이미지 추출-판단부(660)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표적영상 제어 장치(500)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표적영상 제어부(670)와, 상기 사격 카운트 장치(400)에서 검출되는 신호를 제공받아 사격 횟수를 카운트하는 사격 카운트부(680), 및 사격의 시작과 정지 여부를 사격사로별로 설치된 시각적 수단(예를 들면, LED 등) 및/또는 청각적 수단(예를 들면, 차음 헤드셋)을 통해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알림하도록 구성되는 알림 제어부(690)를 선택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표적영상 디스플레이 제어부(610)는 사용자 선택 또는 관리자 선택으로 선택된 표적 영상을 프로젝터(200)를 통해 스크린형 표적 장치(100)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 조절 제어부(620)는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120)의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스크린구동 제어부(630)는 롤 스크린 부재(142)의 펼침과 인입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장착케이스자세 제어부(640)는 사격 완료 후 또는 다른 사로의 사격 시 사격방향으로의 노출 면적을 최소화하여 장착 케이스(110)와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120)의 손상을 방지하거나 최소화 하며, 상기 표적지거리 제어부(650)는 표적지에 대한 거리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착이미지 추출-판단부(660)는 탄흔 이미지를 추출하여 추출된 탄흔 이미지를 최초의 해당 표적영상의 이미지와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비교 범위(즉, 탄두에 의한 스크린 부재의 훼손에 따른 불일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표적영상제어장치 제어부(670)로 표적영상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전달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탄착이미지 추출-판단부(660)는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고 변환하는 공지의 이미지데이터 처리 프로그램을 활용함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계속해서, 상기 표적영상 제어부(670)는 상기 프로젝터(200)를 제어하여 상기 프로젝터(200)가 상하좌우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스크린부재(100)에 디스플레이되는 표적영상의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스크린형 표적 장치(100)에 명확한 표적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며, 실탄 사격에 따라 훼손되는 스크린형 표적 장치(100)의 롤스크린 부재(142)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은, 상기 스크린형 표적 장치(100)의 후방, 즉 사격위치와 반대되는 측의 사격장에 구비되어 실탄 탄두를 회수하는 실탄탄두 회수유닛(7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탄탄두 회수유닛(700)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에 포함되는 실탄탄두 회수유닛을 전방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에 포함되는 일 실시 예의 실탄탄두 회수유닛을 후방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에 포함되는 일 실시 예의 실탄탄두 회수유닛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실탄탄두 회수유닛(700)은,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에서 바라볼 때 평행사변형으로 형태로 형성되며, 상면과 전방면이 개방되는 함체(710)와, 상기 함체(710)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격자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 플레이트(720)와, 상기 함체(710)의 상면 전단부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수직 프레임(731)과, 상기 수직 프레임(731)의 전면에 구비되는 상단 플레이트(732)와, 상기 함체(710)의 후면에 구비되어 그 함체(710)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740)과, 상기 함체(710)의 상면 개방부를 개폐가능하게 커버하는 상면 덮개(750)와, 상기 상단 플레이트(732)와 상기 함체(710)의 전면 개방부를 커버하는 탄두 완충 플레이트(760), 및 상기 함체(710)의 격자 공간에 채워지는 고무입자 충전물을 포함한다.
상기 함체(710)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평행사변형 형태로 형성되고, 정면에서 바라볼 때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후방 측으로 경사지게 구성된다.
상기 구획 플레이트(720)에 있어 함체(710)의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횡방향 구획 플레이트(721)는 그 함체(710)에서 측방향 일측으로 탈착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이 횡방향 구획 플레이트(721)가 탈착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실탄탄두 회수유닛(700)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면 개방부를 통해 고무입자 충전물을 충전하거나 회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 플레이트(720)의 전면에는 탄두 완충 방탄 프레임(722)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두 완충 방탄 프레임(722)은 철판에 방탄섬유나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진 공지의 방탄재료가 피복된 것으로 구성되거나, 통상의 방탄 철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탄두 완충 플레이트(760)는 소정 두께의 고무판 또는 압축 고무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탄두 완충 플레이트는 붕소, 염소, 브롬, 인 등의 난연성 원소(난연재)가 함유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두 완충 플레이트(760)는 그 고무판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는 내부에 평면적으로(전체 면적으로) 부직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파형으로 이루어지며, 파형 부직포가 간격을 갖고 복수 개 구비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 대신에 고무판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는 내부에 평면적으로 이니마, 케블라,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세라믹, 아라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방탄소재, 또는 철망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두 완충 플레이트(760)는 완충성과 방탄성을 가지면서 난연 기능을 가질 수 있게 되어 잘못 발사되는 탄두의 충격에 따른 마찰열이나 다른 화재 원인에 의한 화재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탄두가 외부로 도비되지 않도록 하여 도비판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함체(710)의 격자 공간에 채워지는 고무입자 충전물은, 소정 입경(예를 들면, 2 ~ 5mm~16mm)의 고무입자 충전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실탄탄두 회수유닛(700)은 상기 함체(710)의 상부에는 외부의 급수라인과 연결되게 구성되며 공급수를 분출하는 노즐부가 구비되는 살수 라인(770); 및 상기 함체(710)의 격자 공간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구비되는 화재감지기(7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에 의하면, 실내에 구현됨으로써 날씨의 영향 없이 실탄 사격 연습을 실행할 수 있고, 사격 후 표적지를 일일이 교체할 필요가 없어 사격 운용성을 향상시키며,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원거리 표적, 근거리 표적, 표적 종류 등 표적 대상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야간 사격을 위한 훈련 상황도 쉽게 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표적지의 훼손 정도에 따라 표적 대상이 명확히 나타나도록 자동 제어하여 시스템의 운용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명중 여부나 명중 횟수를 사격자가 즉각적으로 파악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여 사격 훈련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실탄 사용으로 인하여 사격장에서 발생하는 중금속 유해물질이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원형에 가까운 탄두를 용이하게 회수하여 재활용과 환경 오염 방지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 예들은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스크린형 표적 장치
110: 장착 케이스
111: 연장 커버 케이스
120: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
130: 연장-수축 구동 수단
131: 자형 자바라 링크 부재
131a: X자형 링크
131b: 단위중심
132: 길이조절 와이어
140: 롤 스크린 수단
141: 롤스크린 회전샤프트
142: 롤 스크린 부재
143: 풀리 부재
144: 구동 모터
145: 구동 벨트
146: 구동제어 회로 모듈
147: 무게 바
148: 돌출부
150: 장착케이스 자세 구동 수단
151: 장착 프레임
152: 회전 구동 부재
200: 프로젝터
210: 조명 수단
300: 표적 검출 장치
400: 사격 카운트 장치
500: 표적영상 제어 장치
600: 시스템 제어 모듈
610: 표적영상 디스플레이 제어부
620: 와이어 조절 제어부
630: 스크린구동 제어부
640: 장착케이스자세 제어부
650: 표적지거리 제어부
660: 탄착이미지 추출-판단부
670: 표적영상 제어부
680: 사격 카운트부
690: 알림 제어부
700: 실탄탄두 회수유닛
710: 함체
720: 구획 플레이트
721: 횡방향 구획 플레이트
731: 수직 프레임
732: 상단 플레이트
740: 지지 프레임
750: 상면 덮개
760: 탄두 완충 플레이트
770: 살수 라인
780: 화재감지기

Claims (12)

  1. 삭제
  2. 실탄 사격장의 표적 장치로서,
    실탄 사격장의 천장부에 구비되는 장착 케이스;
    상기 장착 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되는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
    상기 장착 케이스와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 간에 구성되어 상기 장착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연장-수축 구동 수단; 및
    상기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에 수용되는 롤 스크린 부재를 인입 및 인출가능하게 구성되는 롤 스크린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는 실탄 사격장의 폭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고 형성되고,
    상기 연장-수축 구동 수단은, 교차하는 중심 및 단부가 힌지 연결되는 X자형 링크가 복수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단의 X자형 링크의 양단이 상기 장착 케이스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의 X자형 링크의 양단이 상기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에 힌지 결합되는 X자형 자바라 링크 부재와, 상기 장착 케이스에 구비되며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와, 상기 장착 케이스에 구비되며 원격지 제어반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 모터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구동제어 회로 모듈, 및 일단부는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풀리부재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 또는 상기 X자형 자바라 링크 부재의 최하단 X자형 링크의 중심에 고정되는 길이조절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롤 스크린 수단은, 상기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에 정역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스크린 회전샤프트와, 상기 롤스크린 회전샤프트에 권출 및 권취가능하게 구비되는 롤 스크린 부재와, 상기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의 타측에 구비되는 정역회전가능한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롤스크린 회전샤프트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 수단, 및 상기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에 구비되며 원격지 제어반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 모터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구동제어 회로 모듈을 포함하는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케이스는,
    상기 X자형 자바라 링크 부재가 접철된 상태에서 그 X자형 자바라 링크 부재 및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가 내측에 수용되도록 그 장착 케이스의 하부 양측에서 하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 커버 케이스가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 스크린 부재는 하단에 자성체의 무게 바가 구비되며,
    실탄 사격장의 바닥부에 구성되며, 상기 롤 스크린 부재의 펼침 상태에서 상기 무게 바가 자력으로 결합되도록 일측에 자석체가 구비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
  5. 실탄 사격장의 표적 장치로서,
    실탄 사격장의 천장부에 구비되는 장착 케이스;
    상기 장착 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되는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
    상기 장착 케이스와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 간에 구성되어 상기 장착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연장-수축 구동 수단;
    상기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에 수용되는 롤 스크린 부재를 인입 및 인출가능하게 구성되는 롤 스크린 수단; 및
    상기 장착 케이스의 길이방향이 사격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장착 케이스를 회전 구동시키는 장착케이스자세 구동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롤스크린 수용 케이스는 실탄 사격장의 폭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고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케이스 자세 구동 수단은,
    일단부는 천장부에 고정되며 타단부는 상기 장착 케이스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 프레임;
    상기 장착 프레임의 타단부와 상기 장착 케이스 간에 구성되어 상기 장착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장착 케이스를 상대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회전 구동 부재; 및
    상기 장착 프레임 또는 장착 케이스에 구성되며, 원격지 제어반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회전 구동 부재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구동제어 회로 모듈
    을 포함하는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프레임을 사격방향으로 선형 이동시켜 사격위치로부터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표적지 거리 조절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지 거리 조절 수단은,
    천장면에 사격방향으로 배치되는 레일 프레임;
    상기 레일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구름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 프레임의 상단부에 구성되는 이동 프레임; 및
    상기 이동 프레임에 구비되며, 원격지 제어반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구름 롤러를 전후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와 구동제어 회로모듈을 포함하는 모터 구동 모듈
    을 포함하는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
  9. 실탄 사격장의 천장부에 구성되는 청구항 제7항 또는 제8항에 따른 스크린형 표적 장치;
    상기 스크린형 표적 장치의 전방 측에 구성되며, 하기 시스템 제어 모듈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스크린형 표적 장치의 롤 스크린 부재에 표적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프로젝팅 하는 프로젝터;
    상기 스크린형 표적 장치의 탄착점을 검출하여 표적의 명중 여부를 검출함과 동시에 사격에 따른 스크린형 표적 장치의 훼손 정도를 검출하는 표적 검출 장치; 및
    상기 스크린형 표적장치와 프로젝터 및 표적 검출 장치와 송수신하여 그 스크린형 표적장치와 프로젝터 및 표적 검출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 검출 장치에서 검출된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스크린형 표적 장치에 표시되는 표적 영상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표적영상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 제어 모듈은 상기 표적영상 제어 장치와 송수신하여 상기 표적영상 제어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 검출 장치는 상기 스크린형 표적 장치의 롤 스크린 부재에 디스플레이되는 표적 영상을 독취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표적영상 제어 장치는 상기 시스템 제어 모듈의 제어 신호로 상기 프로젝터를 상하좌우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시스템 제어 모듈은 상기 프로젝터를 통해 조사되는 표적 영상의 종류를 선택하고 표적 영상의 사이즈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표적영상 디스플레이 제어부와, 상기 연장-수축 구동 수단의 구동제어 회로모듈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와이어 조절 제어부와, 상기 롤 스크린 수단의 구동제어 회로모듈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스크린구동 제어부와, 상기 장착케이스자세 구동 수단의 구동제어 회로모듈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장착케이스자세 제어부와, 상기 표적지 거리 조절 수단의 구동제어 회로모듈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표적지거리 제어부와, 상기 표적 검출 장치에서 검출된 표적영상 이미지를 제공받아 탄착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탄흔이미지와 해당 표적영상 이미지를 비교 판단하도록 이루어지는 탄착이미지 추출-판단부와, 상기 탄착이미지 추출-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표적영상 제어 장치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표적영상 제어부, 및 사격의 시작과 정지 여부를 사격사로별로 설치된 시각적 수단 및 청각적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알림하도록 구성되는 알림 제어부를 포함하는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사격위치와 반대되는 측의 사격장에 구비되어 실탄 탄두를 회수하도록 구성되는 실탄탄두 회수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실탄 탄두 회수 유닛은, 측면에서 바라볼 때 평행사변형으로 형태로 형성되며, 상면과 전방면이 개방되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격자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 플레이트와, 상기 함체의 상면 전단부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전면에 구비되는 상단 플레이트와, 상기 함체의 후부에 구비되어 그 함체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함체의 상면 개방부를 개폐가능하게 커버하는 상면 덮개와, 상기 상단 플레이트와 상기 함체의 전면 개방부를 커버하는 탄두 완충 플레이트, 및 상기 함체의 격자 공간에 충전되는 고무입자 충전물을 포함하고,
    상기 구획 플레이트의 전면에는 철판에 방탄섬유나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방탄철판으로 이루어진 탄두 완충 방탄 프레임이 구성되며,
    상기 탄두 완충 플레이트는 붕소, 염소, 브롬, 인 중 적어도 하나의 난연재가 함유되는 소정 두께의 고무판 또는 압축 고무판으로 이루어지고, 고무판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는 내부에 평면적으로 이니마, 케블라,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세라믹, 아라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방탄소재, 또는 부직포나 철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
KR1020200029553A 2019-12-18 2020-03-10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 KR102134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553A KR102134258B1 (ko) 2020-03-10 2020-03-10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
US17/782,927 US20230003493A1 (en) 2019-12-18 2020-12-17 Eco-friendly smart indoor live ammunition shooting range system
PCT/KR2020/018513 WO2021125818A1 (ko) 2019-12-18 2020-12-17 친환경 스마트 실내 실탄사격장 설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553A KR102134258B1 (ko) 2020-03-10 2020-03-10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4258B1 true KR102134258B1 (ko) 2020-07-21

Family

ID=71832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553A KR102134258B1 (ko) 2019-12-18 2020-03-10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42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181A (ko) 2021-06-22 2022-12-29 주식회사 아인이엔시 스마트 사격장 운영 시스템
KR20230090049A (ko) * 2021-12-14 2023-06-21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실내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시스템
KR20230130886A (ko) 2022-03-04 2023-09-12 우순 비대면 사격훈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144B1 (ko) 2009-12-21 2011-02-25 (주)에프티에스 레이저 좌표추적에 의한 스크린 실탄 사격장치
KR20110028930A (ko) 2009-09-14 2011-03-22 이명대 자동화 사격 타켓장치
KR20160003089U (ko) * 2016-07-08 2016-09-13 박창준 무대장치용 화상투사장치의 배치구조
US20180017362A1 (en) * 2016-07-12 2018-01-18 Paul Rahmanian Target carrier with virtual targets
KR20180018297A (ko) 2016-08-10 2018-02-21 최해용 실탄 사격용 가상훈련 영상 스크린 장치
KR101996499B1 (ko) 2017-07-13 2019-07-04 옥철식 실탄 사격 훈련 시스템
KR101983745B1 (ko) * 2018-12-07 2019-09-03 주식회사 브이엠 스크린 교체가 용이한 승하강식 롤블라인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8930A (ko) 2009-09-14 2011-03-22 이명대 자동화 사격 타켓장치
KR101017144B1 (ko) 2009-12-21 2011-02-25 (주)에프티에스 레이저 좌표추적에 의한 스크린 실탄 사격장치
KR20160003089U (ko) * 2016-07-08 2016-09-13 박창준 무대장치용 화상투사장치의 배치구조
US20180017362A1 (en) * 2016-07-12 2018-01-18 Paul Rahmanian Target carrier with virtual targets
KR20180018297A (ko) 2016-08-10 2018-02-21 최해용 실탄 사격용 가상훈련 영상 스크린 장치
KR101996499B1 (ko) 2017-07-13 2019-07-04 옥철식 실탄 사격 훈련 시스템
KR101983745B1 (ko) * 2018-12-07 2019-09-03 주식회사 브이엠 스크린 교체가 용이한 승하강식 롤블라인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181A (ko) 2021-06-22 2022-12-29 주식회사 아인이엔시 스마트 사격장 운영 시스템
KR20230090049A (ko) * 2021-12-14 2023-06-21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실내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시스템
KR102642196B1 (ko) * 2021-12-14 2024-02-29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실내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시스템
KR20230130886A (ko) 2022-03-04 2023-09-12 우순 비대면 사격훈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4258B1 (ko)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
KR102257194B1 (ko) 친환경 스마트 실내 실탄사격장 설비 시스템
KR102226057B1 (ko) 스마트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
US10088280B2 (en) Control module for autonomous target system
KR102094060B1 (ko) 실탄 사격용 가상훈련 영상 스크린 장치
KR101017144B1 (ko) 레이저 좌표추적에 의한 스크린 실탄 사격장치
MX2007003936A (es) Campo de tiro modular.
US20200074825A1 (en) Remotely-controlled magnetic surveillance and attack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JP3555008B2 (ja) 射撃訓練装置
KR101889318B1 (ko) 공간활용을 최적화시킨 방탄 스크린장치.
US10203181B1 (en) Virtual training video screen apparatus for shooting live ammunitions
US11733005B2 (en) Anti-ballistic barriers
KR102245643B1 (ko) 레일이동형 멀티 표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실탄 사격 시스템
KR102642196B1 (ko)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실내 실탄사격용 스크린형 표적 시스템
CN104823015A (zh) 具有集成式纸张和数字靶标系统的射弹材料回收平台
US10082372B1 (en) Material for and the method of manufacture for ballistic shielding
KR102116752B1 (ko) 스마트 실탄 사격 표적 시스템
KR102022642B1 (ko) 야외 전투 사격장 및 영점사격장의 이동식 실탄 사격 장비
JP2666922B2 (ja) 移動標的装置及びその射撃場
KR102095343B1 (ko) 스마트 실탄 사격장의 도비탄 방지 및 환경 보호를 위한 이동식 실탄 사격-탄두회수 장치
RU2304753C2 (ru) Мобильное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зменяемой конфигурации
RU2373483C1 (ru) Комплекс стрельбовой дистанционно-управляемый дым-ск
RU2584362C1 (ru)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дителей бронированных машин
JP2008505306A (ja) 対象物を保護するための対象物保護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867657B1 (ko) 대테러용 방탄커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