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957B1 -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957B1
KR102133957B1 KR1020140094678A KR20140094678A KR102133957B1 KR 102133957 B1 KR102133957 B1 KR 102133957B1 KR 1020140094678 A KR1020140094678 A KR 1020140094678A KR 20140094678 A KR20140094678 A KR 20140094678A KR 102133957 B1 KR102133957 B1 KR 102133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rail
fixed rail
locking
lock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3405A (ko
Inventor
김현
배일환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주)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주)
Priority to KR1020140094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957B1/ko
Publication of KR20160013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7Height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백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고정레일; 일단부에 암레스트가 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타단부가 상기 고정레일에 끼워져 상기 고정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이동레일; 및 록킹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고정레일과 이동레일에 함께 삽입되거나 이탈되면서, 고정레일에 대한 이동레일의 이동을 구속하는 상태와 허용하는 상태로 전환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OF ARMREST}
본 발명은 암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암레스트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탑승자의 신체 조건에 적합하게 팔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는 전석에 운전자 및 전방 탑승자가 착석하기 위한 2개의 전열시트가 설치되며, 후석에 여러 탑승자가 함께 착석할 수 있는 후열시트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열시트의 시트백 측면에는 탑승자의 팔을 안정적으로 올려놓기 위한 암레스트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암레스트를 나타낸 것으로, 암레스트(1)의 일단부가 시트백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암레스트(1)의 타단부(자유단)가 차량의 상부를 향한 위치에서 전방을 향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면서 일정 지점에서 위치 고정되는바, 탑승자의 팔을 암레스트 위에 올려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 같은 종래의 암레스트는 시트백을 중심으로 한 회전조작만이 가능하고, 상하 높이 조절이 불가능함으로써, 탑승자의 신체 조건에 따른 팔의 위치 및 자세에 따라 탑승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에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1998-0018744호의 "차량의 조수석 좌,우측부에 설치된 암레스트"가 소개된바 있다.
그러나, 이같은 방식에 의해서도 암레스트가 시트백을 중심으로 한 회전동작만이 가능함으로써, 탑승자의 신체 조건에 맞추어 편안하게 지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20-1998-0018744 U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암레스트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탑승자의 신체 조건에 적합하게 팔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시트백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고정레일; 일단부에 암레스트가 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타단부가 상기 고정레일에 끼워져 상기 고정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이동레일; 및 록킹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고정레일과 이동레일에 함께 삽입되거나 이탈되면서, 고정레일에 대한 이동레일의 이동을 구속하는 상태와 허용하는 상태로 전환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고정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제1록킹홀; 상기 제1록킹홀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레일이 이동하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제2록킹홀; 일단부의 조작에 따라, 타단부가 제2록킹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록킹홀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록킹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록킹홀 및 제2록킹홀은 각각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레버는 이동레일과 함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록킹레버의 일단부를 누름 조작시, 상기 록킹레버의 중단부를 중심으로 일단부 및 타단부가 시소 조작되고; 상기 록킹레버의 타단부는 돌출부와 홈부가 교번하는 포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록킹홀 및 제2록킹홀에 삽입 또는 이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레일이 고정레일에 대해 하부로 직선 이동한 방향에 대해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턴스프링의 일단은 고정레일의 하단에 지지되고, 상기 리턴스프링의 타단은 이동레일의 중단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리턴스프링은 코일스프링으로서 고정레일과 이동레일 사이의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레일의 일단부에 힌지브라켓의 후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힌지브라켓의 전단부에는 힌지핀이 구비되면서, 상기 힌지핀에 의해 암레스트프레임의 측단부가 힌지브라켓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힌지핀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암레스트프레임의 측단부에 가이드핀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 가능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암레스트프레임의 폴딩 회전시,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하여 가이드핀의 원주방향 이동경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가이드핀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도록 가이드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암레스트와 함께 이동되는 이동레일이 고정레일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록킹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레일의 슬라이딩 이동이 록킹 가능함으로써, 상기 암레스트의 높낮이를 고정레일의 길이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승객의 신체 조건에 맞추어 암레스트의 높낮이를 쉽게 조절하게 되는바, 암레스트의 사용 편의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암레스트에서 폴딩 동작만이 가능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암레스트가 하부 위치에서 록킹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암레스트의 록킹이 해제되어 상부 위치에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는 크게, 고정레일(200)과, 이동레일(300) 및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시트백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고정레일(200); 일단부에 암레스트(10)가 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타단부가 상기 고정레일(200)에 끼워져 상기 고정레일(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이동레일(300); 및 록킹레버(400)의 조작에 따라, 상기 고정레일(200)과 이동레일(300)에 함께 삽입되거나 이탈되면서, 고정레일(200)에 대한 이동레일(300)의 이동을 구속하는 상태와 허용하는 상태로 전환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암레스트(10)는 2열 시트의 중앙에 구비된 암레스트(10)일 수 있는 것으로, 이에 상기 고정레일(200)은 상기 암레스트(10)의 측면과 마주하는 시트백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레일(200)의 양측 단부는 전방을 향해 절곡되면서 끝부분이 내측으로 말려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레일(300)의 양측 단부는 후방을 향해 절곡되면서 끝부분이 외측으로 말려나오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이동레일(300)의 양측 끝부분이 고정레일(200)의 양측 끝부분 내부에 삽입되는바, 상기 이동레일(300)이 고정레일(20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암레스트(10)와 함께 이동되는 이동레일(300)이 고정레일(20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록킹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레일(300)의 슬라이딩 이동이 록킹 가능함으로써, 상기 암레스트(10)의 높낮이를 고정레일(200)의 길이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승객의 신체 조건에 맞추어 암레스트(10)의 높낮이를 쉽게 조절하게 되는바, 암레스트(10)의 사용 편의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고정레일(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제1록킹홀(210); 상기 제1록킹홀(210)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레일(300)이 이동하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제2록킹홀(310); 일단부의 조작에 따라, 타단부가 제2록킹홀(3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록킹홀(210)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록킹레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록킹홀(210) 및 제2록킹홀(310)은 각각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록킹레버(400)에 의한 록킹 조작시에는, 상기 록킹레버(400)의 타단부가 이동레일(300)에 형성된 제2록킹홀(310)은 물론, 고정레일(200)에 형성된 제1록킹홀(210)에 함께 관통 및 삽입됨으로써, 고정레일(200)에 대한 이동레일(300)의 움직임을 구속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록킹레버(400)에 의한 록킹 해제 조작시에는, 상기 록킹레버(400)의 타단부가 고정레일(200)에 형성된 제1록킹홀(210)에서 빠져나와 이탈됨으로써, 고정레일(200)에 대한 이동레일(300)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록킹레버(400)의 타단부는 이동레일(300)에 형성된 제2록킹홀(310)에 삽입된 상태이거나 이탈된 상태에 관계없이 록킹 해제작동에 문제가 없다.
그리고, 상기 록킹레버(400)는 이동레일(300)과 함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록킹레버(400)의 일단부를 누름 조작시, 상기 록킹레버(400)의 중단부를 중심으로 일단부 및 타단부가 시소 조작된다.
또한, 상기 록킹레버(400)의 타단부는 돌출부(430a)와 홈부(430b)가 교번하는 포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430a)가 상기 제1록킹홀(210) 및 제2록킹홀(310)에 삽입 또는 이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록킹레버(400)의 중단부에는 힌지부(420)가 구비되고, 록킹레버(400)의 일단부에는 조작부(410)가 형성되며, 상기 록킹레버(400)의 타단부에는 포크부(43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조작부(410)에 의한 록킹레버(400)의 누름 조작시, 상기 힌지부(420)를 중심으로 하여 포크부(430)가 시소 회전되면서, 이동레일(300)의 움직임을 록킹 또는 록킹 해제시키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이동레일(300)이 고정레일(200)에 대해 하부로 직선 이동한 방향 및 변위에 대해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턴스프링(500)의 일단이 고정레일(200)의 하단에 지지되고, 상기 리턴스프링(500)의 타단은 이동레일(300)의 중단에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암레스트(10)를 하부로 이동시, 리턴스프링(500)이 압축되면서 이동레일(300)을 상부로 이동시키려 하는 탄성복원력이 형성된다.
이에, 록킹레버(400)를 록킹 해제 조작하게 되면, 상기 리턴스프링(5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이동레일(300)과 함께 암레스트(10)가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암레스트(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리턴스프링(500)은 코일스프링으로서 고정레일(200)과 이동레일(300) 사이의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리턴스프링(500)의 상단이 이동레일(300) 내부에 형성된 지지편(부호생략)에 지지되면서, 상기 리턴스프링(500)이 고정레일(200)과 이동레일(300) 사이의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턴스프링(500)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게 되는바, 이물질에 의한 리턴스프링(500)의 오염 및 작동 이상을 최소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동레일(300)의 일단부에 힌지브라켓(600)의 후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힌지브라켓(600)의 전단부에는 힌지핀(110)이 구비되면서, 상기 힌지핀(110)에 의해 암레스트프레임(100)의 측단부가 힌지브라켓(600)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힌지핀(110)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암레스트프레임(100)의 측단부에 가이드핀(120)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핀(120)이 삽입 가능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암레스트프레임(100)의 폴딩 회전시, 상기 힌지핀(110)을 중심으로 하여 가이드핀(120)의 원주방향 이동경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가이드핀(120)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도록 가이드홀(62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암레스트프레임(100)은 암레스트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브라켓(600)에는 힌지핀(11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힌지홀(61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암레스트의 회전시, 상기 힌지핀(110)을 중심으로 암레스트가 회전되는데, 이때 가이드핀(120)이 가이드홀(620)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상기 가이드홀(620) 양 단부에서 가이드핀(120)의 움직임을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암레스트의 전후방 폴딩 회전조작이 가능한 것은 물론, 상기 암레스트의 전방 폴딩시 일정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암레스트 100 : 암레스트프레임
110 : 힌지핀 120 : 가이드핀
200 : 고정레일 210 : 제1록킹홀
300 : 이동레일 400 : 록킹레버
410 : 조작부 420 : 힌지부
430 : 포크부 430a : 돌출부
430b : 홈부 500 : 리턴스프링
600 : 힌지브라켓 610 : 힌지홀
620 : 가이드홀

Claims (8)

  1. 시트백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고정레일;
    일단부에 암레스트가 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타단부가 상기 고정레일에 끼워져 상기 고정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이동레일; 및
    록킹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고정레일과 이동레일에 함께 삽입되거나 이탈되면서, 고정레일에 대한 이동레일의 이동을 구속하는 상태와 허용하는 상태로 전환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레일이 고정레일에 대해 하부로 직선 이동한 방향에 대해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고정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제1록킹홀;
    상기 제1록킹홀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레일이 이동하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제2록킹홀;
    일단부의 조작에 따라, 타단부가 제2록킹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록킹홀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록킹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록킹홀 및 제2록킹홀은 각각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록킹레버는 이동레일과 함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록킹레버의 일단부를 누름 조작시, 상기 록킹레버의 중단부를 중심으로 일단부 및 타단부가 시소 조작되고;
    상기 록킹레버의 타단부는 돌출부와 홈부가 교번하는 포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록킹홀 및 제2록킹홀에 삽입 또는 이탈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턴스프링의 일단은 고정레일의 하단에 지지되고, 상기 리턴스프링의 타단은 이동레일의 중단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턴스프링은 코일스프링으로서 고정레일과 이동레일 사이의 공간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의 일단부에 힌지브라켓의 후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힌지브라켓의 전단부에는 힌지핀이 구비되면서, 상기 힌지핀에 의해 암레스트프레임의 측단부가 힌지브라켓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힌지핀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암레스트프레임의 측단부에 가이드핀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 가능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암레스트프레임의 폴딩 회전시,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하여 가이드핀의 원주방향 이동경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가이드핀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도록 가이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
KR1020140094678A 2014-07-25 2014-07-25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 KR102133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678A KR102133957B1 (ko) 2014-07-25 2014-07-25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678A KR102133957B1 (ko) 2014-07-25 2014-07-25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405A KR20160013405A (ko) 2016-02-04
KR102133957B1 true KR102133957B1 (ko) 2020-07-15

Family

ID=55356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678A KR102133957B1 (ko) 2014-07-25 2014-07-25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9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215B1 (ko) * 2019-10-23 2019-11-20 안국수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
KR102621989B1 (ko) * 2022-02-04 2024-01-10 김정태 가구의 높이조절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5305A (ja) * 2002-11-06 2004-06-03 Araco Corp シートトラッ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6130B2 (ja) * 1995-09-21 2003-05-12 株式会社タチエス 自動車のリア・シートに使用されるシート・バック
KR19980018744U (ko) 1996-09-30 1998-07-06 양재신 차량의 조수석 좌,우측부에 설치된 암레스트
KR20090061796A (ko) * 2007-12-12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암레스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5305A (ja) * 2002-11-06 2004-06-03 Araco Corp シートトラ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405A (ko) 2016-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25280B (zh) 用于汽车座椅的扶手模块
US10640020B2 (en) Baby car seat allowing position change
KR100778594B1 (ko) 자동차용 조수석 시트의 쿠션테이블 구조
US10604050B2 (en) Motor-vehicle seat
CN107640072A (zh) 具有可调节的头部约束组件的座椅组件
US9656578B2 (en) Vehicle seat
RU2711113C2 (ru) Держатель электр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варианты)
CN105774745A (zh) 车辆安全带的高度调节器
KR102133957B1 (ko)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
US10406985B2 (en) Armrest
CN108367696B (zh) 前向平移头枕
JP2022074030A (ja) 改善された、調整可能な高さを有するオートバイ用風防スクリーン
JP6174315B2 (ja) 車両座席用チャイルドシート
CN110192734B (zh) 坐席装置
KR20090061796A (ko) 차량용 시트 암레스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KR101971148B1 (ko)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KR20210002186A (ko) 시트의 보조 시트 수납 장치
CN105083079B (zh) 用于车辆座椅的头枕
KR101597583B1 (ko) 차량용 암 레스트
KR101627451B1 (ko) 위치변경이 가능한 유아용 카시트
KR101784152B1 (ko) 시트의 폴딩 장치
KR102421680B1 (ko) 차량용 암레스트
KR20090131572A (ko) 시트 높이 조절 연동형 슬라이딩 레버장치
KR101736736B1 (ko) 폴딩 가능한 헤드레스트
JP5213133B2 (ja) 自動車のシートの調整可能なヘッドレストの上昇および下降の機構において使用するように適合されたブラケット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