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002B1 - 디지털 어버트먼트를 이용한 치아수복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어버트먼트를 이용한 치아수복물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33002B1 KR102133002B1 KR1020190033334A KR20190033334A KR102133002B1 KR 102133002 B1 KR102133002 B1 KR 102133002B1 KR 1020190033334 A KR1020190033334 A KR 1020190033334A KR 20190033334 A KR20190033334 A KR 20190033334A KR 102133002 B1 KR102133002 B1 KR 1021330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butment
- digital
- unique identification
- virtual
- im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1—Impression means for implants, e.g. impression cop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Abstract
시술편의성 및 스캔인식률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상부에 스캔 화상처리 인식을 위한 고유식별표식이 형성된 디지털 어버트먼트가 식립된 대상악궁이 구강스캐너를 통해 스캐닝되는 제1단계; 상기 구강스캐너를 통해 스캐닝된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 및 상기 대상악궁의 표면정보가 스캔 화상처리를 통해 3차원 디지털데이터로 변환되어 획득되되, 3차원 디지털데이터화된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에 대한 표면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작업이미지가 생성되는 제2단계;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의 고유식별표식에 대응하여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추출된 가상 어버트먼트가 상기 3차원 작업이미지에 가상 배치 및 대체되고, 상기 가상 어버트먼트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가상 형합홈이 설정된 인공치관의 설계정보가 생성되는 제3단계; 및 상기 설계정보에 대응하여 인공치관이 최종 제조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어버트먼트를 이용한 치아수복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지털 어버트먼트를 이용한 치아수복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술편의성 및 스캔인식률이 개선되는 디지털 어버트먼트를 이용한 치아수복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틀니 및 보철을 포함하는 치아수복물은 결손된 치아를 대체하여 외형 및 기능을 인공적으로 회복시켜주는 구강 내 인공치주조직을 의미한다.
상세히, 자연치아가 상실된 상태로 방치될 경우 결손된 치아의 인접치아 및 대합치아에 치열의 뒤틀림이 발생하여 안면형상의 변형이 초래되며, 저작기능이 저하되어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가중된다. 더욱이, 자연치아의 상실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 결손된 치아를 둘러싸고 있던 치조골이 체내로 흡수되어 인공치주조직의 설치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때, 상기 치아수복물은 구강 내부에 설치되어 저작기능을 회복시키고 치주조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손된 치아의 개수에 따라 부분/완전틀니, 부분/완전보철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틀니는 내면측 형합홈에 치과용 접착제가 도포되어 잇몸의 표면에 접착되어 설치되며, 상기 보철은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츄어를 통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틀니는 잇몸의 외면에 지지됨에 따라 잇몸의 변형이나 다량의 이물감을 유발하므로 최근에는 치조골을 이용하여 지지되는 보철의 사용량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상세히, 상기 잇몸에는 상기 보철을 지지할 수 있는 복수개의 픽스츄어가 치열궁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식립되며, 상단부에 어버트먼트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보철에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각 상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단부와 고정되는 체결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종래의 어버트먼트는 상기 픽스츄어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의 상측에 구비되어 잇몸의 연조직 내측에 구비되는 마진부와, 상기 마진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체결부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각 위치에 대응되어 수직방향으로 관통배열되는 지지실린더로 구비되거나,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단부 프로파일과 대응하여 수직방향으로 함몰된 체결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부에 상기 어버트먼트의 결합부가 실질적으로 내삽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상기 보철이 상기 구강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은 종래의 어버트먼트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어버트먼트는 피시술자의 잇몸 및 픽스츄어의 크기 및 모양에 대응하여 다양한 사이즈 및 형태로 구비되며, 각 어버트먼트의 종류마다 고유한 모델 넘버가 부여되었다. 이때, 종래에는 각 상기 어버트먼트의 측면부에 상기 모델 넘버가 레이저 각인 등의 방법으로 표시되었다.
상세히, 종래의 어버트먼트는 상기 픽스츄어의 직경에 대응하여 다양한 직경(diameter)으로 설정되고, 상기 보철의 높이에 대응되어 상기 결합부의 높이, 즉 포스트(post)가 다양한 높이로 설정되었다. 또한, 피시술자의 잇몸 높이에 대응되어 상기 마진부의 높이, 즉 커프(cuff)가 다양한 높이로 설정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어버트먼트는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설치시 구강의 연조직에 의해 상기 모델 넘버에 대해 표시된 부분이 매몰되어 육안으로 상기 어버트먼트의 종류를 식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다양한 사이즈 및 형태로 구비되는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호간 상이간 사이즈 및 형태로 구비되더라도 수 밀리미터 단위의 작은 크기로 제조되므로 육안 식별에 의한 구별이 실질적으로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어버트먼트의 마진부가 잇몸의 연조직 내측으로 삽입되면 상기 마진부가 잇몸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커프(cuff)가 육안으로 식별되지 못하여 어버트먼트의 종류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시술자의 단순 실수로 인해, 구강 내에 설치된 어버트먼트와 대응되지 않는 보철이 제조되어 피시술자의 구강에 설치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상기 결합부와 상기 체결부 간의 형합도가 저하됨에 따라 구강 내부에 설치되는 최종 치아수복물의 설치정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술편의성 및 스캔인식률이 개선되는 디지털 어버트먼트를 이용한 치아수복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 스캔 화상처리 인식을 위한 고유식별표식이 형성된 디지털 어버트먼트가 식립된 대상악궁이 구강스캐너를 통해 스캐닝되는 제1단계; 상기 구강스캐너를 통해 스캐닝된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 및 상기 대상악궁의 표면정보가 스캔 화상처리를 통해 3차원 디지털데이터로 변환되어 획득되되, 3차원 디지털데이터화된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에 대한 표면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작업이미지가 생성되는 제2단계;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의 고유식별표식에 대응하여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추출된 가상 어버트먼트가 상기 3차원 작업이미지에 가상 배치 및 대체되고, 상기 가상 어버트먼트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가상 형합홈이 설정된 인공치관의 설계정보가 생성되는 제3단계; 및 상기 설계정보에 대응하여 인공치관이 최종 제조되는 제4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가상 어버트먼트는 실물로 구비된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의 고유식별표식에 대응하여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추출되며, 추출된 상기 가상 어버트먼트는 상기 고유식별표식에 대응하여 상기 3차원 작업이미지상의 가상 대상악궁 표면정보에 가상 배치되고,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고유식별표식은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의 사이즈 및 형태별로 부여되되 가시기준지표를 제공하도록 상기 인공치관의 하부에 형성된 형합홈에 형합되도록 삽입되는 결합부 상부의 인식저하표면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부의 측면부 둘레를 따라 음각 형태로 함몰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요홈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표면정보는 상기 고유식별표식을 포함하는 적어도 셋 이상의 상기 결합부 표면의 절곡진 부분이 상기 구강스캐너 의해 인식된 후 스캔 화상처리됨에 따라 3차원 디지털데이터화되되, 상기 구강스캐너를 통해 스캐닝된 상기 고유식별표식이 플래닝부의 처리부를 통해 스캔 화상처리됨에 따라 가상의 3차원 디지털데이터인 식별기준부로 변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어버트먼트를 이용한 치아수복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미세한 크기로서 제공되는 복수개 타입의 디지털 어버트먼트가 구강에 식립된 상태의 3차원 작업이미지를 사용하여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정확히 대응되는 가상 어버트먼트의 추출 과정에서 디지털 어버트먼트의 사이즈 및 형태에 대응하는 고유식별표식의 시각적 인식을 통해 가상 어버트먼트에 형합되는 정확한 인공치관의 설계가 가능하므로 시술자의 혼선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둘째, 디지털 어버트먼트의 마진부가 잇몸의 연조직 내측으로 삽입된 이후에도 결합부 상부에 디지털 어버트먼트의 사이즈 및 형태에 대응하여 요홈의 형태로 고유식별표식이 형성되어 육안 식별이 용이하므로 시술자의 실수로 인한 인공치관의 오식립이 예방되어 시술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스캐닝된 상기 결합부의 인식저하표면에 형성된 요홈 형태의 고유식별표식에 의해 스캔인식률이 증강됨에 따라 실물의 디지털 어버트먼트 및 그에 대응하여 변환된 3차원 디지털데이터 간의 미세한 오차도 실질적으로 제거되므로 정확한 3차원 작업이미지의 획득이 가능하다.
넷째, 상기 고유식별표식에 대응하여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자동 추출된 가상 어버트먼트가 상기 3차원 작업이미지에 가상 배치 및 대체되므로 상기 가상 어버트먼트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정밀한 인공치관의 설계정보 생성이 가능하여 이를 통해 최종 제조되는 치아수복물의 정밀도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결합부의 상부에 요홈 형태로 고유식별표식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인공치관의 형합홈 내면 프로파일과의 형합시 경화성수지가 충진되는 접촉면적이 최대화됨에 따라 접착력이 증가되므로 상기 인공치관이 구강에 설치시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와의 결합력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어버트먼트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어버트먼트를 이용한 치아수복물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어버트먼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따른 디지털 어버트먼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따른 디지털 어버트먼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어버트먼트를 이용한 치아수복물 제조방법에서 3차원 작업이미지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어버트먼트를 이용한 치아수복물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어버트먼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따른 디지털 어버트먼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따른 디지털 어버트먼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어버트먼트를 이용한 치아수복물 제조방법에서 3차원 작업이미지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어버트먼트 및 이를 이용한 치아수복물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어버트먼트를 이용한 치아수복물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어버트먼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따른 디지털 어버트먼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따른 디지털 어버트먼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어버트먼트를 이용한 치아수복물 제조방법에서 3차원 작업이미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어버트먼트를 이용한 치아수복물 제조방법은 디지털 어버트먼트가 식립된 대상악궁 스캐닝(s10), 3차원 작업이미지 생성(s20), 인공치관의 설계정보 생성(s30), 인공치관 최종 제조(s40)의 일련의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디지털 어버트먼트를 이용한 치아수복물 제조방법은 플래닝부를 포함하는 치아수복물 제조시스템을 통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구강스캐너 또는 컴퓨터단층촬영기 등의 촬상장치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스캐닝이미지 및 CT 이미지와 같은 각 이미지데이터가 획득되며, 상기 플래닝부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플래닝부를 통해 복수개의 상기 스캐닝이미지 및 상기 CT 이미지가 정렬, 중첩, 스왑, 보정 또는 정합되는 등의 이미지 처리과정을 통해 최종 이미지데이터인 3차원 작업이미지가 생성된다. 또한, 생성된 3차원 작업이미지를 기반으로 피시술자의 구강에 정밀하게 매칭되도록 상기 플래닝부를 통해 인공치관의 설계정보인 가상 인공치관이 생성된다.
여기서, 상기 플래닝부에는 각 이미지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각 이미지데이터를 기반으로 통합 스캐닝이미지 및 상기 3차원 작업이미지, 그리고 상기 가상 인공치관이 생성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처리부에 정보 및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입력된 정보 및 제어명령, 그리고 각 이미지데이터 및 상기 3차원 작업이미지, 상기 가상 인공치관 등의 생성된 데이터가 출력되는 출력부가 포함된다.
더불어, 상기 플래닝부에는 각 이미지데이터를 전송받거나, 각 이미지데이터 또는 생성된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촬상장치를 이용하여 획득된 각 이미지데이터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플래닝부로 전송되며, 각 이미지데이터 또는 생성된 데이터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된다. 이때, 상기 외부장치는 3차원 프린터 또는 밀링기 등과 같이 상기 가상 인공치관에 대응되는 실물의 인공치관을 제조할 수 있는 제조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어버트먼트를 이용한 치아수복물 제조방법을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부에 스캔 화상처리 인식을 위한 고유식별표식(14a,14b,14c)이 형성된 디지털 어버트먼트(100,200,300)가 식립된 대상악궁이 구강스캐너를 통해 스캐닝된다(s10).
여기서, 상기 대상악궁은 상기 치아수복물이 실질적으로 설치되는 치악을 의미하며, 대합악궁은 상기 대상악궁과 교합되는 치악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상기 대상악궁은 하악이고 상기 대합악궁은 상악인 것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그리고, 자연치아가 대부분 소실된 무치악 또는 부분무치악 환자의 구강 내부에 상기 자연치아를 대신하는 인공치관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대상악궁의 치조골에 픽스츄어가 식립된다. 이때,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100,200,300)는 상기 픽스츄어와 상기 인공치관 간의 연결을 매개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치측에는 상기 픽스츄어가 실질적으로 상기 치조골에 수직으로 식립되나, 특히 하악의 구치측에 있어서 하치조신경과의 접촉 또는 가압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픽스츄어가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식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픽스츄어의 상단부에는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100,200,300)의 체결돌기(11)가 삽입 및 체결되도록 내주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내주홈의 내주에 원주방향을 따라 헥사홈이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어버트먼트(100,200,300)는 체결돌기(11), 마진부(12), 결합부(13), 및 고유식별표식(14a,14b,14c)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100,200,300)는 스캔 화상처리를 통해 3차원 디지털데이터화되어 3차원 작업이미지(1d)에 가상 배치되고 디지털라이브러리에서 추출되는 가상 어버트먼트(100k)에 대응되는 인공치관의 설계정보(400d) 생성에 사용되는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체결돌기(11)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반경이 확장되는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중공형의 내면 프로파일을 갖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돌기(11)의 외주면에는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츄어의 상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상기 헥사홈에 형합되도록 상기 헥사홈에 대응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헥사돌기(11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헥사돌기(11a)는 상기 체결돌기(11)의 하단부측 외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절곡되는 복수개의 평탄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상기 헥사돌기(11a)의 평탄면의 전체 형상이 육면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헥사돌기(11a)가 상기 픽스츄어의 헥사홈에 형합되는 간단한 방법으로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100,200,300)의 결합방향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100,200,300)가 구속되어 회전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돌기(11)의 내부에는 상기 픽스츄어와의 체결을 매개하는 체결나사가 삽입되도록 관통공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100,200,300)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공 및 후술되는 연통공(13e)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 및 상기 연통공(13e)는 상호간 연통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관통공은 상기 체결돌기(11)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연통공(13e)은 상기 결합부(13)의 내부에 형성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통공 및 상기 연통공(13e) 사이의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100,200,300)의 내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일체로 연장 돌설된 단턱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체결나사에는 일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헤드부가 형성되며, 타단부측 외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픽스츄어의 상단부 내주홈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나사의 헤드부는 상기 관통공 및 상기 연통공(13e) 사이의 내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일체로 연장 돌설된 단턱부에 걸림 구속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공의 내경이 상기 연통공(13)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단턱부가 형성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나사는 상기 단턱부와 상기 픽스츄어의 상단부 내주홈을 연결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체결나사의 헤드부가 상기 단턱부에 걸림됨과 동시에 상기 체결나사의 타단부가 상기 픽스츄어의 상단부 내주홈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100,200,300) 및 상기 픽스츄어가 상호간 안정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진부(12)는 상기 체결돌기(11)의 상측에 일체로 구비되되, 상기 픽스츄어가 식립된 잇몸의 주변부 형상에 대응하는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어 잇몸의 연조직 내측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마진부(12)는 잇몸 내부로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체결돌기(11)의 상부에 잇몸의 표면과 실질적으로 연속되는 외면 프로파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마진부(12)는 상기 잇몸의 연조직 내측으로 배치되도록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진부(12)의 상면부(12a)는 상기 결합부(13)의 외면과 단차지게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결합부(13)의 외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13)에 결합된 인공치관의 하측단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진부(12)의 상면부(12a)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100,200,300)의 하부는 잇몸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픽스츄어와 체결되며, 상부는 잇몸의 외부로 노출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마진부(12)의 상하방향 길이, 즉 커프(cuff)는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100,200,300)마다 상이하게 설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피시술자의 잇몸 높이에 대응되는 커프로 구비된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100,200,300)가 시술자에 의해 선택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13)는 상기 마진부(12)의 상측에 일체로 구비되되, 피시술자의 구강에 설치되는 인공치관의 하부에 형성된 형합홈에 형합되도록 상기 형합홈의 내면 프로파일에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외면 프로파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13)의 측면부(13a)에는 외면을 따라 원주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함몰 연장 형성되는 정렬홈부(13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정렬홈부(13b)는 상기 헥사돌기(11a) 및 상기 헥사홈과 대응되도록 단면이 육각형상을 갖는 헥사면부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13)의 측면부(13a)에는 적어도 일면 이상의 디컷부(13c)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렬홈부(13b) 및 상기 디컷부(13c)는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100,200,300)가 상기 픽스츄어에 결합시 식립 방향에 대한 가시기준지표를 제공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돌기(11)가 상기 픽스츄어의 상단부 내측에 삽입되어 가려지더라도 상기 정렬홈부(13b) 및 상기 디컷부(13c)를 시술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여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100,200,300)의 체결방향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100,200,300)의 설치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13)는 상기 마진부(12)의 상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인공치관의 형합홈에 형합되도록 삽입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13)의 표면이 거칠기 가공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결합부(13)의 표면이 거칠기 가공되어 구강스캐닝시 스캔인식률이 증강됨과 동시에 상기 인공치관의 형합홈과 상기 결합부(13)의 외면 사이에 충진된 접착물질을 통한 결합력이 한층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3)에는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는 상기 연통공(13e)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통공(13e)이 상기 관통공과 일체로 연통되되, 상기 단턱부는 상기 관통공 및 상기 연통공(13e)의 사이에 형성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고유식별표식(14a,14b,14c)은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에 저장된 상기 가상 어버트먼트(100k)와의 개별 매칭을 위해 상기 결합부(13)의 상부에 시각적으로 인식되도록 표시되어 가시기준지표로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개별 매칭된다 함은 구강스캐너를 통해 스캐닝되어 3차원 디지털데이터화된 복수개 타입의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100,200,300)에 대한 표면정보가 상기 고유식별표식(14a,14b,14c)에 의해 개별 매칭되어 그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 어버트먼트(100k)로 대체됨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고유식별표식(14a,14b,14c)은 사이즈 및 형태별, 즉 복수개의 타입별로 부여되는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100,200,300)의 개별 식별을 위해 상기 결합부(13)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요홈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유식별표식(14a,14b,14c)은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100,200,300)의 사이즈 및 형태별로 부여되되 가시기준지표를 제공하도록 상기 결합부(13) 상부의 인식저하표면에 형성 및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인식저하표면은 상기 결합부(13)의 매끄러운 표면 부분을 의미한다. 즉, 상기 결합부(13)의 스캐닝시 매끄러운 표면구조 또는 상기 구강스캐너의 성능 등의 이유로 인해 상기 구강스캐너에 상기 결합부(13)의 외면 프로파일이 연속적으로 인식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고유식별표식(14a,14b,14c)이 상기 결합부(13)의 인식저하표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유식별표식(14a,14b,14c)은 상기 인식저하표면에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요홈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유식별표식(14a,14b,14c)이 음각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고유식별표식은 상기 인식저하표면로부터 연장 돌출되는 돌기부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고유식별표식이 시각적으로 인식되도록 표시된 구조라면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술된 인공치관의 형합홈의 내면 프로파일이 상기 요홈을 포함하는 상기 결합부(13)의 외면 프로파일에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됨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함은 각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의 사이즈 및 형태별로 부여된 각 상기 고유식별표식 간의 구별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고유식별표식이 형성되지 않는 형태도 포괄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유식별표식(14a,14b,14c)은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100,200,300)의 사이즈 및 형태에 대응하여 요홈의 형태로 각각 상이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요홈이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요홈은 상호간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유식별표식(14a,14b,14c)은 제1고유식별표식(14a), 제2고유식별표식(14b), 및 제3고유식별표식(14c)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100,200,300)에는 사이즈 및 형태에 대응하는 상기 고유식별표식(14a,14b,14c)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100,200,300)는 제1 내지 제9 디지털 어버트먼트(100a,100b,100c,200a,200b,200c,300a,300b,300c)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그의 제1변형예 및 제2변형예에서 고유식별표식(14a,14b,14c)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로 도시한다.
상세히,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제1고유식별표식(14a)은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100)의 사이즈 및 형태에 대응되어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되, 상호간 상이한 개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디지털 어버트먼트(100a)에 제1고유식별표식(14a)이 1개소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디지털 어버트먼트(100a)와 상이한 사이즈 및 형태로 구비된 제2디지털 어버트먼트(100b)에는 제1고유식별표식(14a)이 2개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고유식별표식(14a)은 상기 연통공(13e)을 감싸며 상기 결합부(13)의 상면부(13d)에 반원 형태의 음각으로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2고유식별표식(14b)은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200)의 사이즈 및 형태에 대응되어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되, 상호간 상이한 개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따른 상기 제2고유식별표식(14b)은 상기 결합부(13)의 상면부(13d)에 원 형태의 단면으로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고유식별표식(14b)은 상기 결합부(13)의 상면부(13d)의 외곽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경우에 따라 상기 결합부(13)의 상면부(13d)에 상호간 직렬형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3고유식별표식(14c)은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300)의 사이즈 및 형태에 대응되어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되, 상호간 상이한 개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따른 상기 제3고유식별표식(14c)은 상기 결합부(13)의 측면부(13a) 둘레를 따라 음각 형태로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3고유식별표식(14c)는 상기 정렬홈부(13b) 및 상기 디컷부(13c)를 포함하는 상기 결합부(13)의 측면부(13a) 상부측의 외면을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진부(12)가 잇몸의 연조직 내측으로 삽입된 이후에도 상기 결합부(13) 상부에 육안 식별이 용이한 고유식별표식(14a,14b,14c)이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100,200,300)의 사이즈 및 형태에 대응하여 요홈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를 통해, 시술자의 실수로 인한 인공치관의 오(誤)식립이 예방되어 시술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결합부(13)의 상부에 요홈 형태로 상기 고유식별표식(14a,14b,14c)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13)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인공치관의 형합홈 내면 프로파일과의 형합시 경화성수지가 충진되는 접촉면적이 최대화된다. 이를 통해, 상기 결합부(13) 및 상기 형합홈 간의 접착력이 증가되므로 인공치관이 구강에 설치시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100,200,300)와의 결합력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100,200,300)가 식립된 상기 대상악궁이 상기 구강스캐너를 통해 스캐닝된다. 이어서, 상기 구강스캐너를 통해 스캐닝된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100,200,300) 및 상기 대상악궁의 표면정보가 상기 플래닝부에 의한 스캔 화상처리를 통해 3차원 디지털데이터로 변환되어 획득된다(s20). 그리고, 상기 플래닝부에 의해 3차원 디지털데이터화된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100,200,300)에 대한 표면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작업이미지(1d)가 생성된다(s20).
여기서, 상기 3차원 작업이미지(1d)는 대상악궁의 표면정보(2d) 및 픽스츄어의 식립정보(7d)를 포함하는 3차원 디지털데이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대상악궁의 표면정보(2d)는 피시술자의 실물 대상악궁에 실질적으로 대응하여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정보(7d)는 실물의 픽스츄어에 실질적으로 대응하여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표면정보는 적어도 셋 이상의 상기 결합부(13) 표면의 절곡진 부분이 상기 구강스캐너에 의해 인식된 후 상기 플래닝부에 의해 스캔 화상처리됨에 따라 3차원 디지털테이터화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결합부(13) 표면의 절곡진 부분은 상기 고유식별표식(14a,14b,14c), 상기 정렬홈부(13b) 및 상기 디컷부(13c), 그리고 상기 마진부(12)의 상면부(12a)를 포함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유식별표식(14a,14b,14c), 상기 정렬홈부(13b) 및 상기 디컷부(13c), 그리고 상기 마진부(12)의 상면부(12a)에 의해 결합부(13)의 표면에 스캔 인식이 용이한 모서리, 꼭짓점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인식저하표면이 최소화된다.
상세히, 상기 구강스캐너를 통해 상기 픽스츄어 및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100,200,300)가 식립된 상기 대상악궁이 스캐닝된다. 즉, 상기 구강스캐너는 잇몸의 표면으로 노출된 상기 결합부(13)와, 피시술자의 대상악궁 전체를 스캐닝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고유식별표식(14a,14b,14c), 상기 정렬홈부(13b) 및 상기 디컷부(13c), 그리고 상기 마진부(12)의 상면부(12a)가 3차원 디지털데이터인 식별기준부(k1,k2,k3)로 획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100,200,300)의 결합부(13) 표면정보에 상기 식별기준부(k1,k2,k3)가 포함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별기준부(k1,k2,k3)는 상기 구강스캐너를 통해 스캐닝되어 상기 플래닝부의 처리부를 통해 스캔 화상처리됨에 따라 가상의 3차원 디지털데이터로 변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식별기준부(k1,k2,k3)는 제1식별기준부(k1), 제2식별기준부(k2), 제3식별기준부(k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식별기준부(k1)는 실물의 상기 고유식별표식(14a,14b,14c)에 대응하는 가상의 3차원 디지털데이터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제2식별기준부(k2)는 실물의 상기 정렬홈부(13b)에 대응하는 가상의 3차원 디지털데이터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3식별기준부(k3)는 실물의 상기 마진부(12)의 상면부(12a) 테두리에 대응하는 가상의 3차원 디지털데이터를 의미한다. 더욱이, 상기 식별기준부는 실물의 상기 디컷부(13c) 모서리에 대응하는 가상의 3차원 디지털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13)의 상부에 스캔 화상처리 인식을 위한 상기 고유식별표식(14a,14b,14c)이 형성되어 상기 구강스캐너를 통한 스캐닝시 상기 고유식별표식(14a,14b,14c)이 인식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구강스캐너를 통한 스캐닝시 상기 결합부(13)의 측면부(13a)에 형성된 상기 정렬홈부(13b) 및 상기 디컷부(13c), 그리고 상기 마진부(12)의 상면부(12a) 모서리가 인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강스캐너를 통한 상기 결합부(13)의 스캐닝시 상기 고유식별표식(14a,14b,14c)의 요홈, 상기 정렬홈부(13b) 및 상기 디컷부(13c)에 의해 형성되는 표면 구조의 요홈 또는 모서리에 의해 스캔인식률이 증강된다.
따라서, 상기 구강스캐너를 통해 스캐닝된 상기 결합부(13)의 인식저하표면에 형성된 요홈 형태의 상기 고유식별표식(14a,14b,14c)에 의해 스캔인식률이 증강된다. 이를 통해, 실물의 디지털 어버트먼트(100.200,300) 및 그에 대응하여 변환된 3차원 디지털데이터 간의 미세한 오차도 실질적으로 제거되어 정확한 상기 3차원 작업이미지(1d)의 획득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100,200,300)의 고유식별표식(14a,14b,14c)에 대응하여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자동 추출된 가상 어버트먼트(100k)가 상기 플래닝부에 의해 상기 3차원 작업이미지(1d)에 자동으로 가상 배치 및 대체된다(s30). 또한, 상기 가상 어버트먼트(100k)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가상 형합홈(301d)이 설정된 인공치관의 설계정보(300d)가 상기 플래닝부에 의해 생성된다(s30).
여기서, 상기 가상 어버트먼트(100k)는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100,200,3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가상 어버트먼트(100k)는 실물의 디지털 어버트먼트(100,200,300)의 외형 및 구조를 동일하게 재현할 수 있는 3차원 벡터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러한 가상 어버트먼트(100k)는 다양한 규격 및 타입으로 구비되는 실물의 디지털 어버트먼트(100,200,300)에 매칭 및 형상이 대응되어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에 복수개 기저장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가상 어버트먼트(100k)는 실물의 디지털 어버트먼트(100,200,300)에 대한 직접적인 스캐닝이나 CAD/CAM 설계정보를 통해 획득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는 다양한 규격 및 타입으로 구비되는 실물의 디지털 어버트먼트(100,200,300)에 대해 획득된 3차원 외형 정보의 데이터베이스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상 어버트먼트(100k)는 실물의 디지털 어버트먼트(100,200,300)의 사이즈 및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플래닝부를 통해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자동 추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상어버트먼트(100k)가 상기 플래닝부에 의해 수동으로 추출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구강스캐너를 통해 상기 결합부(13)에 형성된 상기 고유식별표식(14a,14b,14c)의 개수 및 형상에 매칭되는 종류의 상기 가상 어버트먼트(100k)가 상기 플래닝부를 통해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자동 추출됨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가상 어버트먼트(100k)가 상기 대상악궁의 표면정보(2d) 및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정보(7d)를 포함하는 상기 3차원 작업이미지(1d)의 표면정보에 상기 플래닝부에 의해 가상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플래닝부에 의해 스캔 화상처리됨에 따라 변환된 상기 결합부(13)의 3차원 디지털데이터가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추출된 상기 가상 어버트먼트(100k)로 대체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13)로부터 변환된 3차원 디지털데이터는 상기 고유식별표식(14a,14b,14c)을 포함하는 적어도 셋 이상의 상기 결합부(13) 표면의 절곡진 부분이 상기 구강스캐너 의해 인식된 후 플래닝부에 의해 스캔 화상처리된다.
이에 따라, 스캔 화상처리 인식을 위한 상기 고유식별표식(14a,14b,14c)을 포함하는 적어도 셋 이상의 상기 결합부(13) 표면의 절곡진 부분이 상기 구강스캐너 의해 정확히 인식되므로 스캔인식률이 증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유식별표식(14a,14b,14c)에 대응하여 자동 추출된 가상 어버트먼트(100k)가 상기 3차원 작업이미지(1d)에 가상 배치 및 대체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상 어버트먼트(100k)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정밀한 인공치관의 설계정보(300d)의 생성이 가능하여 최종 제조되는 치아수복물의 정밀도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3차원 작업이미지(1d)에는 상기 대상악궁측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대상악궁의 표면정보(2d)와 상기 대상악궁에 대향되는 대합악궁측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대합악궁의 표면정보가 3차원으로 이미지화되어 표시된다.
또한, 상기 3차원 작업이미지(1d)는 상기 대상악궁 및 상기 대합악궁 간의 수직고경(occlusal vertical dimention)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직고경은 별도로 구비되어 구강 내부에 삽입되는 결합바이트(미도시)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결합바이트(미도시)는 상기 대상악궁의 잇몸부 외면과 형합 대응되는 일면부 및 상기 대합악궁의 단부와 교합되는 타면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결합바이트(미도시)는 보정된 상기 일면부 및 보정된 상기 타면부 사이 간격이 피시술자별 수직고경에 대응하는 두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피시술자별 수직고경이라 함은 피시술자가 상하악을 교합시 적합하고 편안한 상태로 교합될 수 있는 상하악 사이의 간격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대상악궁 및 상기 대합악궁이 상기 결합바이트(미도시)에 의해 교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고경이 고려된 각 이미지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피시술자별 수직고경으로 대응된다 함은, 상기 결합바이트의 일면부 및 타면부 사이 간격이 상기 피시술자별 수직고경에 대응되도록 기제조되는 것과, 상기 대상악궁 및 상기 대합악궁 사이에 상기 결합바이트(미도시)가 설치되되 교합압력에 의해 상기 피시술자별 수직고경에 대응되도록 보정되는 것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구강스캐너 또는 컴퓨터단층촬영기 등의 촬상장치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스캐닝이미지 및 CT 이미지와 같은 각 이미지데이터가 획득되며, 상기 플래닝부로 전송된다. 상세히, 복수개의 상기 스캐닝이미지는, 상기 대상악궁의 외면에 대한 제1스캐닝이미지, 상기 대합악궁의 외면에 대한 제2스캐닝이미지 및 상기 결합바이트(미도시)에 대한 이미지정보를 포함하는 제3스캐닝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대상악궁의 표면정보(2d)는 상기 제1스캐닝이미지로부터 획득되며, 상기 대합악궁의 표면정보는 상기 제2스캐닝이미지로부터 획득된다. 이때, 상기 결합바이트에 대한 이미지정보라 함은 상기 결합바이트를 스캐닝하여 획득된 정보 및 상기 결합바이트에 의해 교합된 상기 대상악궁 및 상기 대합악궁을 스캐닝하여 획득된 정보를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스캐닝이미지 및 상기 제2스캐닝이미지의 각각의 기설정된 비교영역의 이미지단위들과 상기 제3스캐닝이미지의 대응영역의 일치율이 산출된다. 이때, 상기 일치율이 기설정된 설정치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1스캐닝이미지 및 상기 제2스캐닝이미지의 각각의 비교영역이 상기 제3스캐닝이미지의 대응영역에 정렬 및 배치된다. 이를 통해, 상기 대상악궁의 표면정보(2d) 및 상기 대합악궁의 표면정보는 상기 수직고경에 대응되도록 정렬 배치된 상태로 상기 3차원 작업이미지(1d) 내에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CT 이미지는 상기 결합바이트가 결합되어 상기 수직고경에 대응되도록 교합된 상태에서의 구강을 컴퓨터단층촬영기를 이용하여 직접 촬상하여 획득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CT 이미지에는 밀도가 낮아 방사선이 투과되는 입술, 볼점막, 잇몸 등의 연조직을 제외한 상기 대상악궁측의 치조골 3차원 데이터를 포함한다. 더불어, 상기 대합악궁측에 대합치가 잔존하는 경우, 상기 CT 이미지에는 상기 결합바이트에 의해 상기 대상악궁측과 상기 수직고경에 대응하여 이격된 대합치 3차원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픽스츄어 및 디지털 어버트먼트의 식립정보는 상기 대상악궁의 잇몸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캐닝이미지 및 상기 CT 이미지에 표시되는 상기 어버트먼트 결합부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스캐닝이미지에는 잇몸부 외측으로 결합부 프로파일이 외부로 돌출된 상태의 대상악궁의 표면정보(2d)가 3차원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3차원 작업이미지(1d)에 표시된 상기 결합부 프로파일은 상기 대상악궁에 기식립된 어버트먼트의 결합부에 대하여 스캐닝된 표면정보 및 상기 가상 어버트먼트(100k)를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3차원 작업이미지(1d)에는 상기 결합부 프로파일이 표시되는 상기 대상악궁의 표면정보 및 이와 상기 수직고경에 대응하여 이격된 상기 대합악궁의 표면정보가 3차원으로 이미지화되어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대상악궁의 표면정보(2d), 상기 대합악궁의 표면정보 및 상기 식립정보가 포함된 상기 3차원 작업이미지(1d) 내에 상기 인공치관의 설계정보(300d)가 생성된다.
상세히, 상기 가상 어버트먼트(100k)의 결합부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가상 형합홈(301d)이 설정된 인공치관의 설계정보(300d)가 상기 플래닝부에 의해 생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상 형합홈(301d)의 내면 프로파일은 가상 어버트먼트(100k)의 결합부 외면 프로파일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외면 프로파일로 설정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경우에 따라 실물로 제조된 상기 결합부(13)의 외면 및 상기 형합홈의 내면 사이에 경화성 수지가 충진 및 경화되어 공극이 보정되도록 기설정된 공극 간격에 대응하여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인공치관의 설계정보(300d)에 대응하여 인공치관이 최종 제조된다(s40). 여기서, 상기 인공치관의 설계정보(300d)는 실물의 인공치관에 실질적으로 대응하여 제조되며 상호간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또한, 가상 형합홈(301d)은 실물의 형합홈에 실질적으로 대응되며 상호간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인공치관의 설계정보(300d)에 대응하여 제조되는 실물의 인공치관 형합홈이 실물의 디지털 어버트먼트 결합부(13)의 외면 프로파일에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내면 프로파일로 제조된다. 따라서, 최종 제조되는 치아수복물의 설치시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와의 형합도가 현저히 개선되므로 피시술자의 저작감도가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미세한 크기로서 제공되는 복수개 타입의 디지털 어버트먼트가 구강에 식립된 상태의 3차원 작업이미지를 사용하여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정확히 대응되는 가상 어버트먼트가 추출된다. 이를 통해, 디지털 어버트먼트의 사이즈 및 형태에 대응하는 고유식별표식의 시각적 인식을 통해 가상 어버트먼트에 형합되는 정확한 인공치관의 설계가 가능하므로 시술자의 혼선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d: 3차원 작업이미지 2d: 대상악궁의 표면정보
7d: 가상 픽스츄어 100k: 가상 어버트먼트
400d: 가상 인공치관 401d: 가상 형합홈
11: 체결돌기 11a: 헥사돌기
12: 마진부 13: 결합부
14a,14b,14c: 교유식별표식 100,200,300: 디지털 어버트먼트
7d: 가상 픽스츄어 100k: 가상 어버트먼트
400d: 가상 인공치관 401d: 가상 형합홈
11: 체결돌기 11a: 헥사돌기
12: 마진부 13: 결합부
14a,14b,14c: 교유식별표식 100,200,300: 디지털 어버트먼트
Claims (6)
- 상부에 스캔 화상처리 인식을 위한 고유식별표식이 형성된 디지털 어버트먼트가 식립된 대상악궁이 구강스캐너를 통해 스캐닝되는 제1단계;
상기 구강스캐너를 통해 스캐닝된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 및 상기 대상악궁의 표면정보가 스캔 화상처리를 통해 3차원 디지털데이터로 변환되어 획득되되, 3차원 디지털데이터화된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에 대한 표면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작업이미지가 생성되는 제2단계;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의 고유식별표식에 대응하여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추출된 가상 어버트먼트가 상기 3차원 작업이미지에 가상 배치 및 대체되고, 상기 가상 어버트먼트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가상 형합홈이 설정된 인공치관의 설계정보가 생성되는 제3단계; 및
상기 설계정보에 대응하여 인공치관이 최종 제조되는 제4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가상 어버트먼트는 실물로 구비된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의 고유식별표식에 대응하여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추출되며, 추출된 상기 가상 어버트먼트는 상기 고유식별표식에 대응하여 상기 3차원 작업이미지상의 가상 대상악궁 표면정보에 가상 배치되고,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고유식별표식은 상기 디지털 어버트먼트의 사이즈 및 형태별로 부여되되 가시기준지표를 제공하도록 상기 인공치관의 하부에 형성된 형합홈에 형합되도록 삽입되는 결합부 상부의 인식저하표면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부의 측면부 둘레를 따라 음각 형태로 함몰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요홈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표면정보는 상기 고유식별표식을 포함하는 적어도 셋 이상의 상기 결합부 표면의 절곡진 부분이 상기 구강스캐너 의해 인식된 후 스캔 화상처리됨에 따라 3차원 디지털데이터화되되, 상기 구강스캐너를 통해 스캐닝된 상기 고유식별표식이 플래닝부의 처리부를 통해 스캔 화상처리됨에 따라 가상의 3차원 디지털데이터인 식별기준부로 변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어버트먼트를 이용한 치아수복물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3334A KR102133002B1 (ko) | 2019-03-25 | 2019-03-25 | 디지털 어버트먼트를 이용한 치아수복물 제조방법 |
PCT/KR2020/003415 WO2020197133A1 (ko) | 2019-03-25 | 2020-03-12 | 디지털 어버트먼트 및 이를 이용한 치아수복물 제조방법 |
TW109108627A TWI786382B (zh) | 2019-03-25 | 2020-03-16 | 數字基台及利用此的牙齒修復體製造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3334A KR102133002B1 (ko) | 2019-03-25 | 2019-03-25 | 디지털 어버트먼트를 이용한 치아수복물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33002B1 true KR102133002B1 (ko) | 2020-07-10 |
Family
ID=71604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3334A KR102133002B1 (ko) | 2019-03-25 | 2019-03-25 | 디지털 어버트먼트를 이용한 치아수복물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3002B1 (ko) |
TW (1) | TWI786382B (ko) |
WO (1) | WO2020197133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052960A (zh) * | 2020-07-31 | 2022-02-18 | 先临三维科技股份有限公司 | 数字化口腔数据的获取方法及装置、牙齿扫描仪控制系统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598994B (zh) * | 2021-07-26 | 2022-07-15 | 广州黑格智造信息科技有限公司 | 一种快速上瓷方法 |
KR20240033561A (ko) * | 2022-09-05 | 2024-03-12 | 주식회사 메디트 |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미지 처리 방법 |
CN115998471B (zh) * | 2023-02-08 | 2024-08-20 | 山东大学 | 一种卡合式预成型牙龈袖口封闭帽及其使用方法 |
CN118097034B (zh) * | 2024-04-24 | 2024-07-09 | 先临三维科技股份有限公司 | 种植牙的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4748B1 (ko) | 2011-09-15 | 2012-12-21 | 박영일 |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
US20140205969A1 (en) * | 2012-11-20 | 2014-07-24 | Gerald M. Marlin | Universal Aligning Adaptor System and Methods |
US20150173862A1 (en) * | 2013-12-20 | 2015-06-25 | Biomet 3I, Llc | Dental system for developing custom prostheses through scanning of coded members |
KR101632378B1 (ko) * | 2015-02-13 | 2016-06-21 | 주식회사 디오 |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제조방법 |
KR101638561B1 (ko) * | 2015-04-13 | 2016-07-11 | 주식회사 디오 | 부분스캔을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513094A (ja) * | 2004-09-14 | 2008-05-01 | オラティオ ビー.ブイ. | 審美的インプラント・アバットメントを備えたセラミックの歯科用インプラントの製造及び装着方法 |
AR076058A1 (es) * | 2008-08-27 | 2011-05-18 | 5 7 Corp Ltd | Protesis dental con funcion inmediata todo en uno y su proceso de fabricacion e instalacion |
-
2019
- 2019-03-25 KR KR1020190033334A patent/KR10213300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
- 2020-03-12 WO PCT/KR2020/003415 patent/WO2020197133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0-03-16 TW TW109108627A patent/TWI786382B/zh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4748B1 (ko) | 2011-09-15 | 2012-12-21 | 박영일 |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
US20140205969A1 (en) * | 2012-11-20 | 2014-07-24 | Gerald M. Marlin | Universal Aligning Adaptor System and Methods |
US20150173862A1 (en) * | 2013-12-20 | 2015-06-25 | Biomet 3I, Llc | Dental system for developing custom prostheses through scanning of coded members |
KR101632378B1 (ko) * | 2015-02-13 | 2016-06-21 | 주식회사 디오 |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제조방법 |
KR101638561B1 (ko) * | 2015-04-13 | 2016-07-11 | 주식회사 디오 | 부분스캔을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제조방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052960A (zh) * | 2020-07-31 | 2022-02-18 | 先临三维科技股份有限公司 | 数字化口腔数据的获取方法及装置、牙齿扫描仪控制系统 |
CN114052960B (zh) * | 2020-07-31 | 2022-12-09 | 先临三维科技股份有限公司 | 数字化口腔数据的获取方法及装置、牙齿扫描仪控制系统 |
EP4190276A4 (en) * | 2020-07-31 | 2024-02-14 | Shining 3D Tech Co., Ltd. | METHOD AND DEVICE FOR DIGITALIZED ORAL DATA COLLECTION AND CONTROL SYSTEM FOR DENTAL SCANNER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0197133A1 (ko) | 2020-10-01 |
TWI786382B (zh) | 2022-12-11 |
TW202034862A (zh) | 2020-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33002B1 (ko) | 디지털 어버트먼트를 이용한 치아수복물 제조방법 | |
AU2015224413B2 (en) |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urgical guide for a dental implant | |
KR101797155B1 (ko) |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 |
KR101862815B1 (ko) |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 |
KR101940743B1 (ko) |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 |
KR101452849B1 (ko) | 다기능 어버트먼트 세트를 이용한 치아보철물 제조방법 | |
KR102246985B1 (ko) |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 | |
KR101777261B1 (ko) |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 |
KR101970746B1 (ko) |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이에 적용되는 덴처홀가이더 및 제조방법 | |
KR101953692B1 (ko) | 레퍼런스 마커에 기반하여 설계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처리장치 및 그 방법 | |
US11992376B2 (en) | Dental restoration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system, and general-purpose wax bite applied thereto | |
KR20200042309A (ko) | 치아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와 식립물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 |
KR102054901B1 (ko) |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방법 | |
KR102091571B1 (ko) | 치아 수복물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이에 적용되는 범용 왁스바이트 | |
KR102080245B1 (ko) |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방법 | |
US20190247154A1 (en) | Gingival Tissue Former | |
KR101675503B1 (ko) | 구강 내부 부착용 레퍼런스 와이어 및 이를 이용한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 |
KR102459365B1 (ko) |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 |
CN113397741A (zh) | 一种智能数字化制作代冠修复体的方法 | |
KR102193852B1 (ko) | 수직고경 측정장치 | |
KR102181711B1 (ko) | 스캔용 치아 수복물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2121992B1 (ko) | 치아 수복물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 |
KR102158362B1 (ko) | 스캔용 왁스바이트 | |
KR102164762B1 (ko) |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방법 | |
KR102061778B1 (ko) | 치아 수복물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