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2309A - 치아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와 식립물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 Google Patents

치아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와 식립물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2309A
KR20200042309A KR1020180122733A KR20180122733A KR20200042309A KR 20200042309 A KR20200042309 A KR 20200042309A KR 1020180122733 A KR1020180122733 A KR 1020180122733A KR 20180122733 A KR20180122733 A KR 20180122733A KR 20200042309 A KR20200042309 A KR 20200042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canning image
scanning
target portion
im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2860B1 (ko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강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180122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860B1/ko
Publication of KR20200042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61B17/1739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76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electing the right implanting element, e.g. tem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1Computer-aided simulation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2Modelling of surgical devices, implants or prosth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1Computer-aided simulation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5Modelling of the patient, e.g. for ligaments or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8Computer aided selection or customisation of medical implants or cutting gu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obotics (AREA)
  • Biophysic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피시술자의 구강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정확하게 획득하여 치아 임플란트 식립의 정밀성이 향상되도록, 본 발명은 식립대상부 및 대합대상부 사이에 배치되되, 교합 압력에 의해 일면이 상기 식립대상부의 외면과 형합 대응하도록 가압식 보정부가 형성되고 피시술자의 저작감도에 따라 산출되는 수직고경에 대응하도록 타면측의 두께가 보정되어 적층식 보정부가 형성되는 범용 스플린트가 준비되는 제1단계; 상기 범용 스플린트의 설치 전과 후의 상기 식립대상부 및 상기 대합대상부에 대한 복수개의 스캐닝이미지와, 상기 범용 스플린트를 통해 교합된 구강에 대한 CT 이미지가 촬상장치를 통해 각각 획득되고 플래닝부로 전송되는 제2단계; 복수개의 상기 스캐닝이미지를 상기 수직고경에 대응하도록 정렬 배치하여 통합 스캐닝이미지가 생성되되, 상기 CT 이미지와의 공통부분을 기준으로 중첩 및 정합하여 3차원 플래닝이미지가 생성되는 제3단계; 및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를 기반으로 인공치아부와, 상기 식립대상부에 형합되는 고정홈부 및 상기 인공치아부에 대응하는 픽스츄어의 식립 위치에 따라 가이드홀이 형성된 서지컬 가이드가 설계되고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와 식립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치아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와 식립물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surgical guide and dental implant in mouth}
본 발명은 치아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와 식립물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게는 피시술자의 구강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정확하게 획득하여 치아 임플란트 식립의 정밀성이 향상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와 식립물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본래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인체조직을 대신할 수 있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실된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 등으로 제조된 픽스츄어(fixture)를 치아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식립한 뒤, 인공치관(crown)을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대합치 또는 임플란트 식립을 필요로 하는 대상악궁 내 잔존치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차적인 충치 발생요인이 없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임플란트는 자연치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잇몸의 통증 및 이물감이 전혀 없으며, 관리만 잘하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임플란트 식립은 드릴을 이용하여 대상악궁측 치조골에 식립공을 형성하고, 상기 식립공에 픽스츄어를 식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데, 식립공을 형성하는 과정 및 픽스츄어를 식립하는 과정은 환자마다 상이하다. 이는 환자의 치아 및 치조골 상태나 구강의 임플란트 식립이 필요한 위치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식립위치, 깊이 및 방향을 결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치조골에 식립공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 작업은 초심자뿐만 아니라 유경험자에게도 작업 과정에서 식립깊이 및 방향을 정확하게 가늠하기가 상당히 어렵다는 난점이 있다. 더욱이, 초보자의 경우 별도의 측정단계 없이 드릴 작업 도중 드릴의 삽입 깊이를 가늠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또한, 치조골에 식립공을 형성시 시술자가 드릴에 힘을 가하여 드릴 작업을 수행하면서 현재 어느 정도까지의 깊이로 진행되었는지 판단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일정 깊이 이상 드릴이 삽입되면 상악동 막 또는 하치조신경을 손상시키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반면, 일정한 깊이에 도달하기 전에 드릴 작업을 종료하는 경우에는 형성된 식립공의 깊이가 얕아서 픽스츄어를 고정하는데 과도한 힘이 소요된다. 이로 인해, 식립공 주위의 나사산이 손상되거나 치조골이 파절될 수 있으며, 픽스츄어가 완벽하게 고정되지 못하여 추후 재식립을 하게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에 따라, 정확한 식립위치 및 방향에 대응하여 드릴 작업이 진행되도록 서지컬 가이드(surgical guide)라고 하는 보조 기구를 사용한다.
도 1은 종래의 서지컬 가이드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서지컬 가이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제조된다.
먼저, CT 촬영을 통해 환자의 구강에 대한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고, 오랄스캔을 통해 구강에 대한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를 획득한다(s1).
여기서, 상기 3차원 이미지는 잇몸 외측으로 드러나는 치관뿐만 아니라 치근 및 상기 치근이 결합된 치조골의 3차원 형상, 그리고 상기 치관, 치근, 치조골의 골밀도에 대한 내부 조직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는 치관 및 잇몸의 외면 형상에 대한 3차원 표면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 이미지가 획득되면, 치아의 특이점 등 시술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자동으로 설정되는 구강의 공통부분을 기준으로 두 이미지를 영상 정합한다(s2). 이어서, 영상 정합된 결과를 기반으로 임플란트 식립계획을 수립하고(s3), 식립계획에 따라 임플란트 식립을 안내하는 서지컬 가이드를 제조한다(s4).
이때, 상기 서지컬 가이드는 잇몸의 두께, 치조골의 분포, 임플란트 식립위치 등의 다양한 해부학적인 조건과 함께 주변 잔존치아 및 대합치와의 배열관계 등을 포괄하여 제작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내부 조직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3차원 이미지와 표면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를 함께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 이미지에서 부족한 정보를 보충하고, 왜곡된 정보를 보정하기 위하여 두 이미지를 영상 정합하는 단계(s2)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상세히,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는 환자의 구강을 따라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캐닝된 정보를 결합하여 획득된다. 그러나,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는 스캐닝된 정보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치열 곡률이 실제 구강과 상이하게 왜곡되어 나타난다. 따라서, CT 촬영을 통해 획득되는 상기 3차원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 내에 왜곡된 치열 곡률을 보정하는 작업을 필요로 한다.
또한, 피시술자의 대상악궁에 적합한 픽스츄어/어버트먼트를 준비하고 크라운의 높이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3차원 이미지는 환자의 수직고경에 대응하여 상하악이 교합된 상태에서 CT 촬영을 통해 획득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하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악궁이 대부분의 치아가 상실되거나 무치악인 경우, 환자에게 적합한 수직고경에 대응하여 상하악이 이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환자의 정확한 수직고경을 가이드하도록 구강에 설치되는 스플린트가 일부 개시되었다.
상세히, 종래의 스플린트는 각 환자의 구강에 형합되도록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된다. 이를 위해, 임플란트 식립이 실제로 수행되는 치과 등의 시술자측에서 환자의 상하악에 대한 인상을 채득하며, 치기공소와 같은 제조자측으로 채득된 인상을 전달한다. 그리고, 제조자는 전달된 인상을 기반으로 대상악궁에 형합되는 스플린트를 개별 제조한 후 다시 시술자측에 전달하며, 시술자는 제조된 스플린트를 환자의 구강에 설치하되 외면에 교합베이스를 적층하고 수직고경에 대응하여 높이를 조절한다.
이어서, 시술자는 수직고경에 대응하여 높이가 조절된 스플린트를 환자의 구강에 설치하고 교합된 상태에서 CT 촬영하여 상기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며, 획득된 3차원 이미지를 제조자측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조자는 전송된 3차원 이미지 및 기획득된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를 영상 정합하여 임플란트 식립계획을 수립하고 서지컬 가이드를 설계/제조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임플란트 식립은, 식립계획 수립과정에서 스플린트를 개별 제작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이때, 종래의 스플린트를 제작시 각 환자마다 획득되는 인상모형 또는 이미지가 전달/전송되는 과정이 번거롭고 장시간이 소요되므로 임플란트 식립의 전반적인 기간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스플린트를 설계하기 위한 인상채득 단계, 제조된 스플린트를 이용하여 각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등 환자의 내원 횟수가 적어도 2회 이상 포함된다. 이로 인해, 환자의 불편감이 가중되며 치아 임플란트 식립의 전반적인 기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환자에 따라 획득되는 인상모형 또는 이미지가 전달/전송되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증가하며, 개별 제조되는 스플린트의 정밀도가 저하되어 각 환자의 구강에 실질적으로 형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임플란트 식립 계획의 전반적인 정확도가 저하되며, 부정확하게 식립된 임플란트로 인해 교합 및 저작시 통증 또는 이물감이 증가되어 환자의 불편감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977911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시술자의 구강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정확하게 획득하여 치아 임플란트 식립의 정밀성이 향상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와 식립물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립대상부 및 대합대상부 사이에 배치되되, 교합 압력에 의해 일면이 상기 식립대상부의 외면과 형합 대응하도록 가압식 보정부가 형성되고 피시술자의 저작감도에 따라 산출되는 수직고경에 대응하도록 타면측의 두께가 보정되어 적층식 보정부가 형성되는 범용 스플린트가 준비되는 제1단계; 상기 범용 스플린트의 설치 전과 후의 상기 식립대상부 및 상기 대합대상부에 대한 복수개의 스캐닝이미지와, 상기 범용 스플린트를 통해 교합된 구강에 대한 CT 이미지가 촬상장치를 통해 각각 획득되고 플래닝부로 전송되는 제2단계; 복수개의 상기 스캐닝이미지를 상기 수직고경에 대응하도록 정렬 배치하여 통합 스캐닝이미지가 생성되되, 상기 CT 이미지와의 공통부분을 기준으로 중첩 및 정합하여 3차원 플래닝이미지가 생성되는 제3단계; 및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를 기반으로 인공치아부와, 상기 식립대상부에 형합되는 고정홈부 및 상기 인공치아부에 대응하는 픽스츄어의 식립 위치에 따라 가이드홀이 형성된 서지컬 가이드가 설계되고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와 식립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식립대상부 및 대합대상부 사이에 배치되되, 교합 압력에 의해 일면이 상기 식립대상부의 외면과 형합 대응하도록 가압식 보정부가 형성되고 피시술자의 저작감도에 따라 산출되는 수직고경에 대응하도록 타면측의 두께가 보정되어 적층식 보정부가 형성되는 범용 스플린트; 상기 범용 스플린트의 설치 전과 후의 상기 식립대상부 및 상기 대합대상부에 대한 복수개의 스캐닝이미지와, 상기 범용 스플린트를 통해 교합된 구강에 대한 CT 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상장치; 복수개의 상기 스캐닝이미지를 정렬 배치하여 통합 스캐닝이미지를 획득하되 상기 CT 이미지와의 공통부분을 기준으로 중첩 및 정합하여 3차원 플래닝이미지를 획득하며,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를 기반으로 인공치아부와, 상기 식립대상부에 형합되는 고정홈부 및 상기 인공치아부에 대응하는 픽스츄어의 식립 위치에 따라 가이드홀이 형성된 서지컬 가이드를 설계하는 플래닝부; 및 설계된 상기 인공치아부 및 상기 서지컬 가이드를 제조하는 제조장치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와 식립물의 제조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수직고경을 안내하는 스플린트를 피시술자에 따라 주문 제작함으로 인해 제조기간 및 비용이 증가하던 종래와 달리, 연령별 및 성별 악궁 크기를 대표하는 평균값에 대응하여 규격화된 기성품으로 준비되는 범용 스플린트를 사용함으로써 치아 임플란트 식립의 전반적인 기간 및 비용이 현저히 절감될 수 있다.
둘째, 상기 범용 스플린트의 내면부가 표준잇몸부 크기보다 크게 설정되어 형성된 여유공간에 경화성 수지가 도포된 상태로 잇몸에 형합되도록 즉시 가압 보정되고, 외면부에 적층되는 왁스 재질의 교합베이스가 수직고경에 대응하여 즉시 절삭 보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용 스플린트가 보정되는 즉시 정확한 수직고경이 고려된 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어 치아 임플란트 식립 전 내원 횟수가 실질적으로 1회로 최소화될 수 있다.
셋째, 종래의 스플린트를 주문 제작시, 설계를 위한 이미지/인상모형의 전송/전달 횟수가 증가함으로 인해 정보의 취합시 오류에 따른 불량발생률, 제품의 오전달 등의 문제점이 근본적으로 제거되므로 범용 스플린트를 통하여 산출되는 정확한 수직고경을 고려한 치아 임플란트 식립계획의 정밀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넷째, 복수개의 스캐닝이미지에 대합치, 잔존치아 및 경구개 등과 같이 구강의 견고한 조직에 대한 3차원 표면정보가 표시되므로 이를 공통부분으로 설정하여 별도의 정합기준수단 없이도 용이하게 중첩하여 정확한 수직고경 정보가 포함된 통합 스캐닝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이를 기반으로 설계/제조되는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의 정확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서지컬 가이드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와 식립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와 식립물의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제조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범용 스플린트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범용 스플린트가 준비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도 5의 A부분 확대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 스캐닝이미지의 획득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획득된 3차원 플래닝이미지를 통해 치아 임플란트 식립계획의 수립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 스캐닝이미지 획득과정의 변형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서지컬 가이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와 식립물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상기 치아 임플란트 식립은 드릴을 이용하여 치조골에 식립공을 형성하고, 상기 식립공에 픽스츄어를 식립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식립공의 정확한 위치 및 방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서지컬 가이드(surgical guide)를 구강에 설치하여 사용한다.
즉, 피시술자의 구강 상태에 따라 치아 임플란트 식립계획이 수립되면, 수립된 계획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서지컬 가이드를 제작하여 시술자의 식립작업, 즉 상기 식립공의 형성 및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 등을 정확하게 가이드한다.
이때, 본 발명은 상악 및 하악 중 적어도 일측의 자연치아 상실량이 많아 수직고경(occlusal vertical dimention,VD)을 산출하기 어려운 부분무치악 또는 무치악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구강에서 연조직인 잇몸(gum)보다 단단하여 명확한 구조로 표시되는 경구개(hard palate)를 포함하는 상악측이 무치악인 경우에 적용되는 예로써 설명 및 도시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식립대상부는 구강의 상악 또는 상악에 대응하여 준비되는 인상모형을 포괄하고, 대합대상부는 구강의 하악 또는 하악에 대응하여 준비되는 인상모형을 포괄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치아 임플란트 식립물 또는 식립물이라 함은 치근을 대체하는 픽스츄어와 함께 치관을 대체하는 인공치아부 및 상기 픽스츄어와 상기 인공치아부 사이를 매개하는 어버트먼트를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되는 3차원 플래닝이미지 내에서 상기 인공치아부가 설계되고, 이를 구강에 고정하는 상기 픽스츄어 및 상기 어버트먼트가 준비된다. 여기서, 상기 픽스츄어 및 상기 어버트먼트는 기성품 중 하나로 준비되거나 개별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픽스츄어와 상기 어버트먼트가 하나의 바디를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인공치아부는 대합치의 저작면과 대응하도록 개별 설계됨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표준화되어 기설계된 기성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식립물은, 픽스츄어/어버트먼트/인공치아부가 상실된 각 치아에 개별 대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복수개의 인공치아부가 기설정된 치열궁라인을 따라 하나의 세트로 구비되되, 적어도 두쌍 이상의 픽스츄어/어버트먼트에 의해 구강에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의 피시술자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을 필요로 하는 환자를 의미하고, 시술자측 및 시술자는 임플란트 식립이 행해지는 치과 및 의료인 등을 의미하며, 제조자측 및 제조자는 임플란트 식립에 사용되는 식립물 및 도구를 제조/공급하는 치기공소 및 치기공사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와 식립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와 식립물의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제조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범용 스플린트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범용 스플린트가 준비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A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 스캐닝이미지의 획득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획득된 3차원 플래닝이미지를 통해 치아 임플란트 식립계획의 수립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 스캐닝이미지 획득과정의 변형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와 식립물의 제조방법은 범용 스플린트 준비(s10), 복수개의 스캐닝이미지 및 CT 이미지 획득(s20), 통합 스캐닝이미지 및 3차원 플래닝이미지 생성(s30), 그리고 인공치아부와 서지컬 가이드 설계 및 제조(s40)와 같은 일련의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상기 범용 스플린트(10), 촬상장치(20), 플래닝부(30) 및 제조장치(40)를 포함하는 제조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범용 스플린트(10)는 상기 식립대상부(2) 및 상기 대합대상부(3) 사이에 배치되며, 피시술자의 정확한 수직고경을 가이드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촬상장치(20)는 상기 식립대상부(2) 및 상기 대합대상부(3)의 외면에 대한 3차원 표면정보를 획득하는 구강스캐너 및 상하악의 골형상, 치조골 밀도 등에 대한 내부정보를 획득하는 컴퓨터단층촬영기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래닝부(30)는 상기 촬상장치(20)를 이용하여 획득된 이미지데이터 및 기저장된 설계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서지컬 가이드와 상기 인공치아부를 설계하는 설계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플래닝부(30)를 통하여 상기 인공치아부를 구강에 설치하도록 식립되는 상기 픽스츄어/어버트먼트의 식립계획을 수립하며, 수립된 식립계획을 기반으로 식립과정을 가상으로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치아 임플란트 식립의 정확성 및 정밀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조장치(40)는 상기 플래닝부(30)를 통해 생성된 상기 서지컬 가이드 및 상기 인공치아부의 설계정보에 대응하도록 3차원 프린팅 또는 밀링 가공하여 실물로 제조하는 3차원 프린터 또는 밀링기 등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제조장치(40)는 설계된 정보에 대응하여 준비되는 금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립대상부 및 상기 대합대상부 사이에 상기 범용 스플린트가 배치된다(s10). 이때, 상기 범용 스플린트에는 교합 압력에 의해 일면이 상기 식립대상부의 외면과 형합 대응하도록 가압식 보정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피시술자의 저작감도에 따라 산출되는 수직고경에 대응하도록 상기 범용 스플린트의 타면측의 두께가 보정되어 적층식 보정부가 형성되어 준비된다.
상세히,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범용 스플린트(10)는 기설정된 표준치열궁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아치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표준치열궁 프로파일은 상기 식립대상부(2)에 치아가 실제로 배열되는 부분인 치조골을 감싼 잇몸부(g)의 외측 및 내측 사이 간격에 대응하여 소정의 면적을 갖는 아치형의 영역면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잇몸부(g)의 외측은 순측(labial) 및 협측(buccal)에 대응하는 부분이고, 상기 잇몸부(g)의 내측은 설측(lingual)에 대응하는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준치열궁 프로파일은 연령별 및 성별 해부학적 편차를 고려하여 표준화되어 산출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표준치열궁 프로파일은 연령별 및 성별 악궁 크기를 대표할 수 있는 평균값에 대응하여 단계별로 구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범용 임플란트(10)는 기설정된 크기를 갖도록 구분되어 기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대/중/소로 규격화되는 기성품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직고경을 안내하는 스플린트를 각 피시술자에 따라 주문 제작됨으로 인해 제조비용 및 제조기간이 증가하던 종래와 달리, 기성품으로 양산되는 범용 스플린트(10)를 사용함에 따라 치아 임플란트 식립의 전반적인 비용이 절감되며, 제조 및 치아 임플란트 식립에 소요되는 기간이 현저히 단축될 수 있다.
또한, 각 피시술자에 따라 스플린트를 개별 설계 및 제조하는 과정에서의 불량 발생 요인이 실질적으로 제거된다. 따라서, 치아 임플란트 식립계획의 초기 단계인 각 이미지 획득단계(s20)에서 부정확한 정보가 산출됨으로 인한 설계 오류가 최소화되므로 정밀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범용 스플린트(10)는 기성품으로 준비되되, 다양한 피시술자의 구강 또는 이에 대응하는 인상모형에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규격화되어 양산된다. 따라서, 시술자측에서 상기 범용 스플린트(10)를 미리 구비한 상태에서 피시술자의 방문시 즉각적으로 적용하여 피시술자의 수직고경에 대응하도록 보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치아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전 상기 식립대상부(2) 및 상기 대합대상부(3)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준비 단계에서 피시술자의 내원 횟수가 실질적으로 1회로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용 스플린트(10)가 각 피시술자에게 적합하도록 보정되어 준비되는 즉시 복수개의 상기 스캐닝이미지 및 CT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더욱이, 복수개의 상기 스캐닝이미지와 상기 CT 이미지를 획득하는 시점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각 이미지의 매칭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범용 스플린트(10)는 기성품으로 규격화되어 준비되되, 피시술자에게 적합한 크기의 제품으로 선택되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식립대상부(2) 및 상기 대합대상부(3)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식립대상부(2)와 대면/대응하는 일면에 상기 가압식 보정부(10a)가 형성되어 형합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대합대상부(3)와 대면/대응하는 타면에 상기 적층식 보정부(10b)가 형성된다.
즉, 상기 범용 스플린트(10)는 일정한 형태로 규격화되어 양산되므로 생산 비용 및 생산 기간이 단축되어 경제적이면서도 각 피시술자에게 적합한 표면 프로파일로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어 이를 이용하여 산출/획득되는 수직고경 및 이미지의 정밀도 및 정확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가압식 보정부(10a)는, 상기 범용 스플린트(10)의 일면/내면에 경화성 수지(r)가 도포된 상태에서 상기 식립대상부(2)의 잇몸부(g)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형합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교합 압력에 의해 가압 보정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적층식 보정부(10b)는, 상기 범용 스플린트(10)의 타면/외면에 교합베이스(w)가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고경(VD)에 대응하여 가압 형성되는 저작흔을 기반으로 두께가 조절되도록 상기 교합베이스(w)의 외면이 절삭 보정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용 스플린트(10)는, 상기 식립대상부(2)에 대응/대면하도록 내면부에 구비되는 설치홈부(11) 및 상기 대합대상부(3)에 대응/대면하도록 외면부에 구비되는 교합면부(1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범용 스플린트(10)는 상기 설치홈부(11)와 상기 교합면부(12) 사이의 두께가 연령별 및 성별 해부학적 편차를 고려하여 산출되는 평균 수직고경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범용 스플린트(10)의 내외면부에 각각 경화성 수지(r) 및 교합베이스(w)가 도포/적층된 상태에서 교합 압력에 의해 보정될 수 있는 여유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홈부(11)의 내면은 식립대상부의 평균적인 잇몸부의 볼록한 외면 프로파일보다 큰 곡률로 오목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잇몸부(g)와 상기 설치홈부(11)의 내면 사이에 상기 경화성 수지(r)가 도포되어 가압 보정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설치홈부(11)는 상기 식립대상부(2)에 대응하는 표준잇몸부의 폭을 초과하는 여유부(11a)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준잇몸부의 폭이라 함은, 연령별 및 성별 해부학적 편차를 고려하여 산출되는 상기 잇몸부(g)의 외측 및 내측 사이의 표준화된 횡간격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표준잇몸부의 폭은, 연령별 및 성별 해부학적 편차를 고려하여 산출되는 잇몸의 순측/협측과 설측 사이의 표준화된 횡간격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표준잇몸부의 폭은 상기 표준치열궁 프로파일과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여유부(11a)는 상기 표준잇몸부의 폭보다 횡방향으로 확장된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치홈부(11)의 내측에는 상기 교합 압력에 대응하여 상기 식립대상부(2)의 외면 프로파일과 형합되도록 가압 보정되는 경화성 수지(r)가 도포된다. 여기서, 상기 경화성 수지(r)는 치과에서 인상채득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퍼티, 알지네이트 또는 레진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화성 수지(r)는 상기 잇몸부(g)의 연조직을 과도하게 가압하지 않는 점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식립대상부측 잇몸부(g)와 형합되는 홈이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합면부(12)에는 피시술자의 저작감도에 따라 산출되는 수직고경에 대응하는 두께로 보정되는 상기 교합베이스(w)가 적층된다. 여기서, 상기 교합베이스(w)는 상기 교합 압력에 의해 상기 대합대상부(3)의 대합치(t) 단부와 형합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저작흔 깊이를 기반으로 절삭 가공이 용이한 고형의 왁스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경화성 수지(r)는 상기 식립대상부(2)의 잇몸부(g) 외면 프로파일과 대응하도록 가압 보정되어 상기 가압식 보정부(10a)로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압식 보정부(10a)가 더욱 정밀하게 형성되도록, 상기 가압식 보정부(10a)의 내면에 별도의 치과용 레진이 더 도포되어 릴라이닝(relining)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교합베이스(w)의 외면에는 상기 저작흔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작흔의 깊이에 대응하여 상기 교합베이스(w)의 외면이 절삭 보정됨에 따라 상기 수직고경(VD)이 고려된 상기 적층식 보정부(10b)로서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범용 스플린트(10)의 내면부가 표준잇몸부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경화성 수지(r)가 도포된 상태로 상기 식립대상부의 잇몸부에 형합되도록 즉시 가압 보정된다. 또한, 외면부에 적층된 왁스 재질의 상기 교합베이스(w)가 수직고경에 대응하여 즉시 절삭 보정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범용 스플린트(10)가 보정되는 즉시 정확한 수직고경이 고려된 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어 치아 임플란트 식립 전 내원 횟수가 실질적으로 1회로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식 보정부(10a)와 상기 적층식 보정부(10b)가 형성되도록 보정된 상기 범용 스플린트(10)를 기반으로 상기 식립대상부(2) 및 상기 대합대상부(2)가 피시술자에게 최적화된 수직고경에 대응하여 배열된다.
여기서, 상기 교합면부(12)에는 기설정된 절개라인(e)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절개엣지(14)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피시술자의 구강 공간이 협소한 경우, 기성품으로 준비되는 상기 범용 스플린트(10)를 상기 절개엣지(14)를 기준으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식립대상부(2)에 자연/수복치아가 잔존하는 경우에도 상기 절개엣지(14)를 기준으로 상기 범용 스플린트(10)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개엣지(14)는 상기 교합면부(12)의 전체 횡폭을 가로질러 상기 설치홈부(11)측으로 함몰됨에 따라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따라서, 치과용 가위 또는 칼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으며, 시술자가 절단하고자 하는 위치의 절개엣지 양측을 손으로 쥐고 힘을 가하면 지렛대 원리에 의해 상기 절개엣지를 경계로 손쉽게 분할하여 부분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절개엣지(14)가 함몰 형성됨에 따라 상기 교합면부(12)의 외면이 실질적으로 요철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합면부(12)에 적층되는 상기 교합베이스(w)와의 접촉면적이 증가하며, 상기 교합베이스(w)의 일면측(wa)이 상기 절개엣지(14)에 부분적으로 삽입됨에 따라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교합베이스(w)를 절삭 보정하거나, 내외면부가 보정된 상기 범용 스플린트(10)를 통해 각 이미지를 획득시 상기 교합베이스(w)가 상기 교합면부(12)로부터 분리되거나 결합위치가 변경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범용 스플린트(10)를 이용하여 피시술자에게 적합한 수직고경이 정확하게 반영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치아 임플란트 식립계획이 정밀하게 수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홈부(11)에는 상기 경화성 수지(r)와의 접촉면적이 증가하도록 복수개의 고정돌기(13)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13)는 단부를 향하여 외측으로 확장되는 확장단부(13a)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화성 수지(r)와 상기 범용 스플린트(10)의 접촉면적이 증가하므로 상기 가압식 보정부(10a)로서 형성되어 경화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13)를 통해 상기 식립대상부(2) 및 상기 대합대상부(3) 사이에 상기 범용 스플린트(10)가 설치 및 교합시 상기 교합 압력을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범용 스플린트(10)가 준비되는 과정에서 상기 교합 압력에 의한 상기 범용 스플린트(10) 자체의 비틀림 또는 파손/파절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립대상부(2) 및 상기 대합대상부(3)가 구강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저작감도는 피시술자의 직접적인 의사표현에 의해 판단될 수 있으며, 턱관절 주변 및 턱근육의 전기적, 화학적 신호를 측정하여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식립대상부(2) 및 상기 대합대상부(3)가 인상모형으로 구비되는 경우, 교합기를 통해 상하측으로 연결된 인상모형 사이에 상기 범용 스플린트(1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교합기를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기산출된 수직고경에 대응하도록 상기 인상모형을 교합 배열하면서 상기 범용 스플린트(10)의 일면 및 타면에 상기 가압식 보정부(10a) 및 상기 적층식 보정부(10b)가 형성되도록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기성품으로 제공되는 상기 범용 스플린트(10)를 사용하여 비용이 절감되면서도, 그의 일면 및 타면에 경화성 수지(r) 및 교합베이스(w)가 도포/적층되어 각 피시술자의 수직고경이 개별 고려되도록 보정된다. 따라서, 각 피시술자에게 최적화된 수직고경을 정밀하게 산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치아 임플란트 식립계획의 전반적인 정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범용 스플린트(10)는 상기 표준치열궁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구비되되, 중앙부가 설근측으로 개구되어 내부가 개방공간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범용 스플린트(10)가 상악측에 설치되면, 상기 잇몸부(g)는 상기 가압식 보정부(10a)에 의해 가려지면서도, 경구개측은 상기 개방공간측으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범용 스플린트(10)가 설치된 상태의 상기 식립대상부(2)의 전체적인 외면을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촬상시, 구조가 단단하여 이미지간의 중첩기준점으로 사용이 가능한 경구개의 3차원 표면정보가 획득된다.
한편, 상기 범용 스플린트의 설치 전과 후의 상기 식립대상부 및 상기 대합대상부에 대한 복수개의 스캐닝이미지가 획득된다. 그리고, 상기 범용 스플린트를 통해 교합된 구강에 대한 CT 이미지가 획득된다(s20).
이러한 복수개의 상기 스캐닝이미지 및 상기 CT 이미지는 각각 구강스캐너 및 컴퓨터단층촬영기와 같은 상기 촬상장치(20)를 이용하여 획득된다.
도 7a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상기 스캐닝이미지는, 상기 범용 스플린트가 설치된 상기 식립대상부의 전체적인 외면에 대한 제1스캐닝이미지(m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대합대상부의 외면에 대한 제2스캐닝이미지(m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범용 스플린트를 통해 교합된 상기 식립대상부 및 상기 대합대상부의 외면에 대한 제3스캐닝이미지(m3)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범용 스플린트가 제거된 상기 식립대상부의 전체적인 외면에 대한 제4스캐닝이미지(m4)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스캐닝이미지(m1)는, 상기 식립대상부에 상기 범용 스플린트가 설치되어 잇몸부가 실질적으로 가려진 상태에서 획득된다. 따라서, 상기 범용 스플린트의 3차원 표면정보(v1) 및 상기 범용 스플린트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식립대상부측의 외면에 대한 3차원 표면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제1스캐닝이미지(m1)에는 상기 범용 스플린트의 3차원 표면정보(v1) 및 경구개의 3차원 표면정보가 이미지로 표시된다.
상기 제2스캐닝이미지(m2)는, 상기 대합대상부의 외면에 대한 3차원 표면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제2스캐닝이미지(m2)에는 하악에 잔존하는 대합치의 3차원 표면정보(t2)가 이미지로 표시된다. 이때, 상기 대합대상부측도 무치악인 경우, 상기 제2스캐닝이미지에는 상기 대합대상부측 잇몸부의 3차원 표면정보가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s30)에서 상기 플래닝부(30)에 기저장된 대합대상부측의 표준화된 치열데이터가 이미지화되어 가상 배열될 수도 있다.
상기 제3스캐닝이미지(m3)는, 상기 범용 스플린트의 일면측에 상기 식립대상부의 잇몸부가 가려지고 타면측에 상기 대합대상부의 단부가 부분적으로 가려져 교합된 상태의 외면에 대한 3차원 표면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식립대상부 및 상기 대합대상부는 상기 범용 스플린트에 의해 교합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3스캐닝이미지(m3)에는 상기 범용 스플린트와 상기 대합치의 순측 외면 및 협측의 부분적인 외면의 3차원 표면정보(v3,t3)가 이미지화되어 표시된다.
상기 제4스캐닝이미지(m4)는, 상기 식립대상부의 경구개 및 잇몸부까지 전체적으로 노출된 상기 식립대상부측의 외면에 대한 3차원 표면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제4스캐닝이미지(m4)에는 상기 잇몸부의 3차원 표면정보(g4)와 이와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경구개의 3차원 표면정보(p4)가 이미지화되어 표시된다.
이때, 복수개의 상기 스캐닝이미지는 상기 범용 스플린트의 설치 전과 후의 피시술자의 구강을 상기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직접 스캐닝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상기 스캐닝이미지를 구강에 대하여 직접 획득하는 경우, 입술 및 볼점막과 같은 연조직을 상기 잇몸부의 외측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견인하는 견인장치(미도시)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견인장치(미도시)는, 내면부가 입술, 볼점막등의 연조직과 인접한 잇몸부의 외측 프로파일과 대응하되, 구강의 식립대상부측 치열궁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탄발 변형되는 견인베이스부 및 상기 견인베이스부의 일측에 구비된 그립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견인베이스부는, 상악의 잇몸부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됨에 따라 입술 및 볼점막은 가압 견인하면서도 경구개의 외면이 가려지지 않고 명확하게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구강을 직접 스캐닝하여 획득되는 복수개의 상기 스캐닝이미지의 명확도가 현저히 향상되며, 이에 포함된 정보의 신뢰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물론, 복수개의 상기 스캐닝이미지는, 상기 범용 스플린트가 설치되기 전과 후의 인상모형을 스캐닝하여 획득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CT 이미지(도 8의 m6)는 상기 범용 스플린트가 설치 및 교합된 상태의 구강을 컴퓨터단층촬영기를 통해 직접 촬상하여 획득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CT 이미지(도 8의 m6)에는 밀도가 낮아 방사선이 투과되는 입술, 잇몸 등의 연조직을 제외한 상악측 치조골의 데이터(a6) 및 잔존치아 데이터 등이 이미지화되어 표시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되는 범용 스플린트(도 4 내지 도 6의 10)와 상기 경화성 수지(도 5 및 도 6의 r), 그리고 상기 교합베이스(도 5 및 도 6의 w)는 방사선 투과성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방사성 투과성 재질은 인체에 적용시 무해하면서도 치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경화성 합성수지 또는 경화성 레진이라면 제한을 두지 않으며, 방사선이 투과되어 상기 CT 이미지(m6)에 표시되지 않도록 2.0g/㎤ 미만의 밀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범용 스플린트를 설치 및 교합한 상태로 촬상하여 획득된 상기 CT 이미지(m6)는 수직고경이 고려된 내부조직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악 치조골 및 잔존치아가 상기 범용 스플린트에 의해 가려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촬상장치(20)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상기 CT 이미지(m6)의 정확도 및 정밀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렇게 획득된 복수개의 상기 스캐닝이미지와 상기 CT 이미지(m6)는 상기 플래닝부(30)로 전송되며, 후속되는 이미지 정렬 및 정합과정을 통해 치아 임플란트 식립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정보로써 취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래닝부를 통해 복수개의 상기 스캐닝이미지를 상기 수직고경에 대응하도록 정렬 배치하여 통합 스캐닝이미지가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통합 스캐닝이미지를 상기 CT 이미지와의 공통부분을 기준으로 중첩 및 정합하여 3차원 플래닝이미지가 생성된다(s40).
여기서, 상기 통합 스캐닝이미지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여 생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7a를 참고하면, 상기 제1스캐닝이미지(m1)와 상기 제2스캐닝이미지(m2)가 상기 제3스캐닝이미지(m3)와의 공통부분을 기준으로 중첩 정렬된다. 이때, 각 이미지의 공통부분은 조직이 단단하여 외력에 의한 유동성이 최소화된 특정부분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경구개의 3차원 표면정보(p4,p11, 도 7b의 p5), 대합치의 3차원 표면정보(t2,t3), 범용 스플린트의 3차원 표면정보(v1,v3)에서 특정부분을 중첩기준점으로 설정하여 상기 공통부분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중첩기준점은 복수개소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각 이미지 간의 중첩 배열과정에서 각 이미지의 형합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스캐닝이미지(m1)와 상기 제3스캐닝이미지(m3)는 상기 범용 스플린트의 3차원 표면정보(v1,v3)의 특정부분이 공통부분으로 선택되어 중첩기준점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스캐닝이미지(m2)와 상기 제3스캐닝이미지(m3)는 상기 대합치의 3차원 표면정보(t2,t3)의 특정부분이 공통부분으로 선택되어 중첩기준점으로 설정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스캐닝이미지(m1)와 상기 제2스캐닝이미지(m2)는 상기 제3스캐닝이미지(m3)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수직고경이 고려된 상태로 정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제1스캐닝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범용 스플린트의 전체적인 외면에 대한 3차원 표면정보를 소거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스캐닝이미지는 잔존하는 식립대상부측의 3차원 표면정보, 예컨대 경구개의 3차원 표면정보(p11)가 남은 상태의 제1보정스캐닝이미지(m11)로 재획득된다. 이때, 도 7b에서 점선으로 표시되어 v11로 표시된 부분은 상기 범용 스플린트의 3차원 표면정보가 소거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보정스캐닝이미지(m11)에 잔존하는 상기 경구개의 3차원 표면정보(p11)와 상기 제4스캐닝이미지(m4)에 포함된 경구개의 3차원 표면정보(p4)가 상호 중첩기준점으로 설정되어 중첩된다.
이어서, 상기 제3스캐닝이미지 및 상기 제1보정스캐닝이미지를 소거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이미지를 소거한다 함은, 전체적인 이미지데이터 내에서 해당 이미지를 삭제하는 것과 투명으로 비가시화 처리하는 것을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제2스캐닝이미지(m2)에 포함된 상기 대합대상부의 3차원 표면정보와 상기 제4스캐닝이미지(m4)에 포함된 상기 식립대상부의 전체적인 외면에 대한 3차원 표면정보가 상기 수직고경이 고려된 상태로 정렬 배치되어 상기 통합 스캐닝이미지로서 생성된다.
그리고,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통합 스캐닝이미지(m7)와 상기 CT 이미지(m6)에 공통으로 표시되는 특정부분을 정합기준점으로 설정하고 중첩 및 정합한다. 이를 통해, 상기 식립대상부의 잇몸부에 대한 3차원 표면정보(g4), 상악측 치조골의 데이터(a6), 대합치의 3차원 표면정보(t2) 및 내부 조직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m10)가 생성된다. 이때, 상기 CT 이미지(m6)에 표시되는 대합치의 데이터는 상기 통합 스캐닝이미지(m7)에 표시되는 상기 대합치의 3차원 표면정보(t2)와 실질적으로 일체로 중첩되도록 정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통합 스캐닝이미지(m7)를 기반으로 하는 상기 식립대상부의 잇몸부에 대한 3차원 표면정보(g4) 및 상기 대합치의 3차원 표면정보(t2) 사이의 간격을 기반으로 상기 수직고경(VD)이 산출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고경(VD)을 기반으로 상기 인공치아부의 높이가 설정된다. 또한, 상기 대합치의 3차원 표면정부(t2)를 고려하여 상기 인공치아부의 저작면 형상이 설정된 인공치아부의 설계정보(c10)가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m10)에 가상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CT 이미지(m6)를 기반으로 하는 상기 상악측 치조골의 데이터(a6)를 통하여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위치 및 방향(h10)이 설정된다. 이어서, 저작압력을 지지할 수 있는 가상 픽스츄어(f10)가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위치 및 방향(h10)에 대응하여 가상 배치되되, 상기 가상 픽스츄어(f10)에 대응하는 실물의 픽스츄어가 준비 또는 제작된다. 더불어, 실물의 픽스츄어와 상기 인공치아부의 설계정보(c10)를 기반으로 제조되는 실물의 인공치아부 사이를 매개하는 실물의 어버트먼트가 준비 또는 제작된다.
이와 함께, 상기 식립대상부의 잇몸부에 대한 3차원 표면정보(g4)를 기반으로 상기 서지컬 가이드의 고정홈부 프로파일이 설계된다. 또한,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위치 및 방향(h10)을 기반으로 드릴 및 식립공구의 삽입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이 설계된다. 더불어, 상기 드릴 및 상기 식립공구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도록 상기 서지컬 가이드의 두께가 설정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m10)를 기반으로 상기 인공치아부와 상기 서지컬 가이드가 동시에 설계 및 제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피시술자가 치과에 내원하는 횟수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상기 픽스츄어/어버트먼트의 식립 및 상기 인공치아부의 설치를 단기간에 완료할 수 있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의 기반 기술장치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피시술자의 구강에 대한 3차원 표면정보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상기 스캐닝이미지와 내부조직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CT 이미지(m6)가 상기 수직고경(VD)이 고려되어 보정된 상기 범용 스플린트를 이용하여 획득된다. 따라서, 상기 CT 이미지(m6)와 상기 통합 스캐닝이미지(m7)에 표시된 각 데이터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직고경값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상기 통합 스캐닝이미지(m7)와 상기 CT 이미지(m6)를 정합시 오차가 최소화된 최초의 플래닝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각 이미지간의 정합이 용이하고 정합과정이 단순화되면서도 정보의 정확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범용 스플린트가 준비되는 단계(s10)에서, 상기 식립대상부의 외면에 복수개의 정합표식자가 부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범용 스플린트는 상기 대합대상부 및 상기 정합표식자가 부착된 상기 식립대상부 사이에 교합되어 보정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복수개의 상기 스캐닝이미지는 상기 정합표식자가 부착된 상기 식립대상부의 전체적인 외면에 대한 제5스캐닝이미지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정합표식자는 특히, 상기 식립대상부가 잔존/수복치아가 실질적으로 없는 무치악이거나, 잔존하는 수복치아가 금속 소재인 경우 부착될 수 있다.
상세히,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5스캐닝이미지(m5)에는 상기 식립대상부의 잇몸부에 대한 3차원 표면정보(g5), 상기 경구개의 3차원 표면정보(p5) 및 상기 정합표식자의 3차원 표면정보(c5)가 이미지화되어 표시된다.
더욱이, 상기 제5스캐닝이미지(m5)는 상기 통합 스캐닝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4스캐닝이미지(m4)와의 공통부분을 기준으로 정렬된다. 그리고, 상기 제4스캐닝이미지(m4)가 소거되어 상기 제5스캐닝이미지(m5)로 대체된다. 이를 통해, 상기 통합 스캐닝이미지는 상기 정합표식자의 3차원 표면정보(c5)를 포함하는 상기 제5스캐닝이미지(m5)가 상기 제2스캐닝이미지(도 8의 m2)와 상기 수직고경(VD)이 고려되어 정렬 배치된 상태로 표시된다.
이때, 상기 제5스캐닝이미지(m5)와 상기 제4스캐닝이미지(m4)는 상기 경구개의 3차원 표면정보(p4,p5)가 중첩기준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4스캐닝이미지(m4)에서 상기 제5스캐닝이미지(m5)에 표시된 상기 정합표식자의 3차원 표면정보(c5) 위치와 유사한 부분의 3차원 표면정보를 부분적으로 소거(k4로 표시된 부분)하여 상호간의 중첩기준점으로서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CT 이미지는, 상기 대합대상부와 상기 정합표식자가 부착된 상기 식립대상부 사이에 상기 범용 스플린트가 설치 및 교합된 구강을 촬상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합표식자는 방사선 불투과성 재질로 구비/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잇몸부를 따라 적어도 3개소 이상 복수개로 이격되어 구비/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CT 이미지에는, 이미지화된 상기 식립대상부의 치조골 데이터 외측으로 상기 정합표식자가 이미지화되어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플래닝부(30)를 통하여 상기 통합 스캐닝이미지와 상기 CT 이미지를 정합시, 각 이미지에 표시된 상기 정합표식자의 표면정보/데이터를 공통부분으로 설정함에 따라 이미지간의 형합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이미지의 정합과정에서 상기 CT 이미지에 표시되지 않는 상기 식립대상부의 3차원 표면정보가 보완/보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강스캐너를 통한 스캔과정에서 치열 곡률의 왜곡이 발생하는 상기 제5스캐닝이미지 및 상기 제2스캐닝이미지가 상기 CT 이미지를 기반으로 보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도로 정밀화되어 정합된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더욱이, 복수개의 상기 스캐닝이미지는, 상기 CT 이미지와 중첩 및 정합되기 전 상기 수직고경을 고려하여 정렬 배치된 상태의 상기 통합 스캐닝이미지로 생성된다. 따라서, 상기 범용 스플린트를 통해 교합된 상태로 획득되는 상기 CT 이미지와 중첩시 오차가 최소화된 상태로 상기 플래닝부에 저장되므로, 각 이미지 간의 중첩 및 정합과정이 간소화되면서도 정밀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합표식자는 기설정된 부피를 갖는 고형체로 구비되어 상기 식립대상부에 부착될 수도 있으며, 방사선에 불투과되는 밀도를 갖는 치과용 레진을 상기 식립대상부의 외면에 소정의 크기로 주입 및 경화시켜 부착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식립대상부에 자연치아가 복수개로 존재하는 경우, 별도의 정합표식자가 부착되지 않더라도 자연치아의 3차원 표면정보 및 데이터를 정합기준점으로 설정하여 상기 CT 이미지와 상기 통합 스캐닝이미지가 상호 보정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범용 스플린트(10) 및 상기 촬상장치(20)는 시술자측에 준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피시술자가 시술자측으로 방문하면 상기 촬상장치(20)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상기 스캐닝이미지 및 상기 CT 이미지(m6)가 획득 및 시술자측 단말기에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범용 스플린트(10)는 기성품으로 준비되되 각 피시술자에 대응하도록 보정되어 준비된다. 또한, 복수개의 상기 스캐닝이미지 및 상기 CT 이미지(m6)는 상기 범용 스플린트(10)를 통해 상기 수직고경이 고려된 상태의 이미지를 포함하여 획득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시술자측 단말기에 저장된 복수개의 상기 스캐닝이미지 및 상기 CT 이미지(m6)가 제조자측 서버로 전송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시술자측 단말기에도 플래닝부가 구비되되, 상기 통합 스캐닝이미지(m7)를 상기 시술자측 단말기에 포함된 플래닝부에서 생성하여 상기 제조자측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조자측 서버에는 상기 플래닝부(30)가 포함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플래닝부(30)를 통해 상기 통합 스캐닝이미지(m7) 및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m10)가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m10)를 기반으로 상기 인공치아부 및 상기 서지컬 가이드가 설계된다.
이어서, 상기 인공치아부의 설계정보(c10)와 상기 서지컬 가이드의 설계정보가 상기 제조장치(40)로 전송되며, 이를 통하여 실물의 인공치아부 및 서지컬 가이드가 제조된다. 이때, 제조된 실물의 인공치아부 및 서지컬 가이드를 시술자측으로 배송하기 위하여, 상기 시술자측 단말기의 요청된 주소를 포함하는 배송정보가 출력된다.
그리고, 실물의 인공치아부 및 서지컬 가이드가 시술자측으로 배송되면, 시술자측으로 재방문한 피시술자의 구강에 실물의 서지컬 가이드를 고정 및 상기 인공치아부를 포함하는 실물의 식립물을 식립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피시술자의 내원 횟수 및 상기 서지컬 가이드와 상기 인공치아부의 설계를 위한 이미지의 전송 횟수가 최소화된다. 따라서, 피시술자의 불편함이 최소화되며 상기 치아 임플란트 식립계획의 전반적인 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제품의 전송/전달 횟수가 증가하면서 취합되는 정보의 오류로 인한 불량발생률, 제품의 오전달 등으로 인한 문제점이 감소되므로 치아 임플란트 식립의 정밀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라 제조된 서지컬 가이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서지컬 가이드(60)는, 상기 고정홈부(51)가 구강의 식립대상부측 잇몸부 외면 프로파일과 실질적으로 형합되도록 상기 제4스캐닝이미지에 포함되는 상기 식립대상부의 3차원 표면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된다. 즉, 상기 고정홈부(61)의 내면 프로파일이 상기 식립대상부에 형합됨에 따라 상기 식립공의 형성 및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작업이 치아 임플란트 식립계획에 따른 정확한 식립위치 및 방향에 대응하여 가이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홀(62)은 드릴 또는 식립공구가 실질적으로 회전지지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되, 고속회전시 발생하는 응력 및 마찰열에 의한 변형이 최소화되도록 별도의 슬리브(63)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슬리브(63)는, 상기 드릴 또는 상기 식립공구의 회전시 연동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되되, 고속회전시 발생하는 응력을 지지하고 마찰열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황동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63)의 내주직경이 실질적으로 상기 가이드홀(62)의 내주직경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식립공의 형성 및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과정에서 반복적인 드릴 작업이 수행되더라도 식립물의 식립위치 및 방향을 정확하게 지속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m1: 제1스캐닝이미지 m2: 제2스캐닝이미지
m3: 제3스캐닝이미지 m4: 제4스캐닝이미지
m5: 제5스캐닝이미지 m6: CT 이미지
m7: 통합 스캐닝이미지 m10: 3차원 플래닝이미지
10: 범용 스플린트 11: 설치홈부
12: 교합면부 20: 촬상장치
30: 플래닝부 40: 제조장치
60: 서지컬 가이드 61: 고정홈부
62: 가이드홀 100: 제조시스템

Claims (10)

  1. 식립대상부 및 대합대상부 사이에 배치되되, 교합 압력에 의해 일면이 상기 식립대상부의 외면과 형합 대응하도록 가압식 보정부가 형성되고 피시술자의 저작감도에 따라 산출되는 수직고경에 대응하도록 타면측의 두께가 보정되어 적층식 보정부가 형성되는 범용 스플린트가 준비되는 제1단계;
    상기 범용 스플린트의 설치 전과 후의 상기 식립대상부 및 상기 대합대상부에 대한 복수개의 스캐닝이미지와, 상기 범용 스플린트를 통해 교합된 구강에 대한 CT 이미지가 촬상장치를 통해 각각 획득되고 플래닝부로 전송되는 제2단계;
    복수개의 상기 스캐닝이미지를 상기 수직고경에 대응하도록 정렬 배치하여 통합 스캐닝이미지가 생성되되, 상기 CT 이미지와의 공통부분을 기준으로 중첩 및 정합하여 3차원 플래닝이미지가 생성되는 제3단계; 및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를 기반으로 인공치아부와, 상기 식립대상부에 형합되는 고정홈부 및 상기 인공치아부에 대응하는 픽스츄어의 식립 위치에 따라 가이드홀이 형성된 서지컬 가이드가 설계되고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와 식립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복수개의 상기 스캐닝이미지는,
    상기 범용 스플린트가 설치된 상기 식립대상부의 전체적인 외면에 대한 제1스캐닝이미지와,
    상기 대합대상부의 외면에 대한 제2스캐닝이미지와,
    상기 범용 스플린트를 통해 교합된 상기 식립대상부 및 상기 대합대상부의 외면에 대한 제3스캐닝이미지와,
    상기 범용 스플린트가 제거된 상기 식립대상부의 전체적인 외면에 대한 제4스캐닝이미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와 식립물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통합 스캐닝이미지는
    상기 제1스캐닝이미지와 상기 제2스캐닝이미지가 상기 제3스캐닝이미지와의 공통부분을 기준으로 중첩 정렬되되, 상기 제1스캐닝이미지에서 상기 범용 스플린트의 외면에 대한 3차원 표면정보가 소거되어 상기 제1스캐닝이미지가 제1보정스캐닝이미지로 재획득되는 단계와,
    상기 제4스캐닝이미지가 상기 제1보정스캐닝이미지에 잔존하는 상기 식립대상부의 3차원 표면정보와의 공통부분을 기준으로 중첩되는 단계와,
    상기 제3스캐닝이미지 및 상기 제1보정스캐닝이미지가 소거되어 상기 제2스캐닝이미지와 상기 제4스캐닝이미지가 상기 수직고경에 대응하여 정렬 배치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와 식립물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식립대상부의 외면에 복수개의 정합표식자가 부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범용 스플린트는 상기 대합대상부 및 상기 정합표식자가 부착된 상기 식립대상부 사이에 교합되어 보정되며,
    상기 제2단계에서, 복수개의 상기 스캐닝이미지는 상기 정합표식자가 부착된 상기 식립대상부의 전체적인 외면에 대한 제5스캐닝이미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제4스캐닝이미지가 상기 제5스캐닝이미지와의 공통부분을 기준으로 정렬 및 소거되어 상기 제5스캐닝이미지로 대체되어 상기 통합 스캐닝이미지로 생성되는 단계와, 상기 제5스캐닝이미지와 상기 CT 이미지에 표시되는 상기 정합표식자를 기준으로 정렬 및 정합되어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와 식립물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가압식 보정부는 기설정된 표준치열궁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라운드진 상기 범용 스플린트의 일면에 경화성 수지가 도포된 상태에서 상기 식립대상부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형합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교합 압력에 의해 가압 보정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와 식립물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적층식 보정부는 기설정된 표준치열궁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라운드진 상기 범용 스플린트의 타면에 교합베이스가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고경에 대응하여 가압 형성되는 저작흔을 기반으로 두께가 조절되도록 절삭 보정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와 식립물의 제조방법.
  7. 식립대상부 및 대합대상부 사이에 배치되되, 교합 압력에 의해 일면이 상기 식립대상부의 외면과 형합 대응하도록 가압식 보정부가 형성되고 피시술자의 저작감도에 따라 산출되는 수직고경에 대응하도록 타면측의 두께가 보정되어 적층식 보정부가 형성되는 범용 스플린트;
    상기 범용 스플린트의 설치 전과 후의 상기 식립대상부 및 상기 대합대상부에 대한 복수개의 스캐닝이미지와, 상기 범용 스플린트를 통해 교합된 구강에 대한 CT 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상장치;
    복수개의 상기 스캐닝이미지를 정렬 배치하여 통합 스캐닝이미지를 획득하되 상기 CT 이미지와의 공통부분을 기준으로 중첩 및 정합하여 3차원 플래닝이미지를 획득하며,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를 기반으로 인공치아부와, 상기 식립대상부에 형합되는 고정홈부 및 상기 인공치아부에 대응하는 픽스츄어의 식립 위치에 따라 가이드홀이 형성된 서지컬 가이드를 설계하는 플래닝부; 및
    설계된 상기 인공치아부 및 상기 서지컬 가이드를 제조하는 제조장치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와 식립물의 제조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스캐닝이미지는, 상기 범용 스플린트가 설치된 상기 식립대상부의 전체적인 외면에 대한 제1스캐닝이미지와, 상기 대합대상부의 외면에 대한 제2스캐닝이미지와, 상기 범용 스플린트를 통해 교합된 상기 식립대상부 및 상기 대합대상부의 외면에 대한 제3스캐닝이미지와, 상기 범용 스플린트가 제거된 상기 식립대상부의 전체적인 외면에 대한 제4스캐닝이미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와 식립물의 제조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닝부는,
    상기 제1스캐닝이미지와 상기 제2스캐닝이미지를 상기 제3스캐닝이미지와의 공통부분을 기준으로 중첩 정렬하되, 상기 제1스캐닝이미지에서 상기 범용 스플린트의 외면에 대한 3차원 표면정보를 소거하여 상기 제1스캐닝이미지를 제1보정스캐닝이미지로 재획득하고,
    상기 제4스캐닝이미지를 상기 제1보정스캐닝이미지에 잔존하는 상기 식립대상부의 3차원 표면정보와의 공통부분을 기준으로 중첩하고,
    상기 제3스캐닝이미지 및 상기 제1보정스캐닝이미지가 소거되어 상기 제2스캐닝이미지와 상기 제4스캐닝이미지를 상기 수직고경에 대응하도록 정렬 배치하여 상기 통합 스캐닝이미지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와 식립물의 제조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스플린트는, 외면에 복수개의 정합표식자가 부착된 상기 식립대상부 및 상기 대합대상부 사이에 교합되어 보정되며,
    복수개의 상기 스캐닝이미지는, 상기 정합표식자가 부착된 상기 식립대상부의 전체적인 외면에 대하여 획득된 제5스캐닝이미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래닝부는, 상기 제4스캐닝이미지를 상기 제5스캐닝이미지와의 공통부분을 기준으로 정렬 및 소거하여 상기 제5스캐닝이미지로 대체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와 식립물의 제조시스템.
KR1020180122733A 2018-10-15 2018-10-15 치아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와 식립물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KR102172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733A KR102172860B1 (ko) 2018-10-15 2018-10-15 치아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와 식립물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733A KR102172860B1 (ko) 2018-10-15 2018-10-15 치아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와 식립물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309A true KR20200042309A (ko) 2020-04-23
KR102172860B1 KR102172860B1 (ko) 2020-11-02

Family

ID=70472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733A KR102172860B1 (ko) 2018-10-15 2018-10-15 치아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와 식립물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8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594A1 (ko) * 2020-09-22 2022-03-31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4288A (ko) 2022-09-06 2024-03-14 주식회사 디오 가이드픽싱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치아수복물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911B1 (ko) 2008-05-30 2010-08-24 이태경 이종 영상이미지를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 모의장치 및모의시술방법
KR101777261B1 (ko) * 2016-04-28 2017-09-12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KR20170122975A (ko) * 2016-04-28 2017-11-07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KR101797155B1 (ko) * 2016-09-02 2017-11-14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KR101801827B1 (ko) * 2016-08-04 2017-11-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수술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KR101862815B1 (ko) * 2017-01-24 2018-05-31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911B1 (ko) 2008-05-30 2010-08-24 이태경 이종 영상이미지를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 모의장치 및모의시술방법
KR101777261B1 (ko) * 2016-04-28 2017-09-12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KR20170122975A (ko) * 2016-04-28 2017-11-07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KR101801827B1 (ko) * 2016-08-04 2017-11-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수술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KR101797155B1 (ko) * 2016-09-02 2017-11-14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KR101862815B1 (ko) * 2017-01-24 2018-05-31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594A1 (ko) * 2020-09-22 2022-03-31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2860B1 (ko) 202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815B1 (ko)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KR101940743B1 (ko)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KR101608017B1 (ko) 구강 내부 부착용 레퍼런스 마커를 이용한 무치악 환자의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의 제조방법
KR101631256B1 (ko) 트레이를 이용한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크라운 제조방법
EP3100699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urgical guide, and a crown and an abutment
KR101797155B1 (ko)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KR101538097B1 (ko)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크라운, 어버트먼트 제조방법
KR101594497B1 (ko) 수직고경 교합표식을 이용한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크라운, 어버트먼트 제조방법
KR101550369B1 (ko)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크라운, 어버트먼트 제조방법
KR102091571B1 (ko) 치아 수복물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이에 적용되는 범용 왁스바이트
KR102054901B1 (ko)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방법
US20220087791A1 (en) Wax bite for scanning, and dental restoration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me
KR102172860B1 (ko) 치아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와 식립물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KR101706332B1 (ko) 정렬기준이 표시된 치아 임플란트 시술용 서지컬 가이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93852B1 (ko) 수직고경 측정장치
KR101797743B1 (ko) 인공치아의 이식 가이드 시스템
KR102080245B1 (ko)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방법
KR101452718B1 (ko) 영상매칭 바이트 트레이
KR102121992B1 (ko) 치아 수복물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KR102158362B1 (ko) 스캔용 왁스바이트
KR101675503B1 (ko) 구강 내부 부착용 레퍼런스 와이어 및 이를 이용한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KR102080243B1 (ko) 수직고경 측정 범용 스플린트
KR101544776B1 (ko)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이중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KR102164762B1 (ko)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방법
EP3886054B1 (en) Dental restoration manufactu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