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2524B1 - 유아 안전 시트용 지지 기저부 - Google Patents

유아 안전 시트용 지지 기저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2524B1
KR102132524B1 KR1020180025685A KR20180025685A KR102132524B1 KR 102132524 B1 KR102132524 B1 KR 102132524B1 KR 1020180025685 A KR1020180025685 A KR 1020180025685A KR 20180025685 A KR20180025685 A KR 20180025685A KR 102132524 B1 KR102132524 B1 KR 102132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shell
latch
support base
latch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1270A (ko
Inventor
로버트 스캇 앤더슨
쿠티스 엠. 하텐스틴
데이비드 에이. 레만
패트릭 제이.지. 보워스
Original Assignee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filed Critical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Publication of KR20180101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7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60N2/2827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part of the base being supported by the seat sub-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75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7Lumbar supports having flexible support member bowed by applied forces
    • B60N2/6671Lumbar supports having flexible support member bowed by applied forces with cable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002/2896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the child seat being foldable, e.g. to facilitate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유아 안전 시트용 지지 기저부는 차량의 앵커 구조물과 결합되도록 작동가능한 래치 장치 및 쉘에 결합된 결합 구조물을 포함한다. 결합 구조물은 래치 장치와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캐리어를 포함한다. 래치 장치는 사용을 위해 다수의 전개된 위치와 보관 위치 사이에서 쉘과 캐리어에 대해 회전가능하고, 캐리어는 쉘의 단부 에지로부터 이격되고 외측을 향하여 래치 장치의 원위 단부를 변위시키기 위해 제1 방향 및 쉘의 단부 에지를 향하여 래치 장치의 원위 단부를 변위시키기 위한 제2 방향으로 쉘에 대해 미끌어질 수 있다. 지지 기저부는 제1 방향으로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미끄러지는 동안 캐리어로부터 결합해제를 위해 캐리어와 결합되도록 이동가능한 조절 래치를 추가로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아 안전 시트용 지지 기저부{SUPPORT BASE FOR A CHILD SAFETY SEAT}
본 출원은 2017년 3월 3일자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466,500호, 2017년 6월 1일자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513,759호, 및 2017년 8월 18일자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547,397호를 우선권 주장하며, 이의 모든 문헌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다.
본 출원은 유아 안전 시트용 지지 기저부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판 중인 유아 안전 시트는 차량 시트에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지지 기저부에 부착할 수 있는 유아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시트 상에 지지 기저부를 제한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상이한 방법이 제안되었다. 일부 기존 제품의 경우, 지지 기저부는 자동차 안전벨트가 있는 차량 시트 또는 차량에 제공된 앵커 구조물에 부착될 수 있는 지지 기저부에 제공된 조절식 스트랩으로 제한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부 다른 제품에서, 지지 기저부의 강성의 쉘은 차량 시트의 지지 기저부를 제한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해 차량의 앵커 구조물에 부착될 수 있는 래치 장치로 조립될 수 있다. 그러나, 앵커 구조물의 위치는 차량의 모델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로 인해 래치 장치를 앵커 구조물에 적절히 부착하는 것을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고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는 개선된 설계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앵커 구조물에 래치 장치의 부착을 돕기 위하여 조절가능한 래치 장치를 갖는 유아 안전 시트용 지지 기저부를 기재한다. 지지 기저부는 단부 에지를 갖는 쉘; 원위 단부를 갖는 래치 장치 - 래치 장치는 이의 원위 단부에서 차량 내에 제공된 앵커 구조물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됨 - , 및 쉘 및 래치 장치에 결합된 결합 구조물을 포함한다. 결합 구조물은 쉘에 대해 미끄럼가능하고 래치 장치와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캐리어를 포함하고, 래치 장치는 사용을 위해 다수의 전개된 위치와 보관 위치 사이에서 쉘 및 캐리어에 대해 회전가능하고 캐리어는 쉘의 단부 에지로부터 이격되고 외측을 향하여 래치 장치의 원위 단부를 변위시키기 위한 제1 방향 및 쉘의 단부 에지를 향하여 각각의 래치 장치의 원위 단부를 변위시키기 위한 상반된 제2 방향으로 쉘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지지 기저부는 쉘에 대해 캐리어의 미끄러짐을 위하여 캐리어로부터 결합해제되고 제1 방향으로 쉘에 대해 캐리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캐리어와 결합되도록 이동가능한 조절 래치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1은 유아 안전 시트용 지지 기저부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조절 래치, 분리 구동 기구 및 디텐트 기구를 포함하는 지지 기저의 일부 내부 구조 세부사항을 도시하는 도식적인 사시도.
도 3은 조절 래치가 결합해제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지지 기저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식적인 사시도.
도 4는 조절 래치가 초기 고정 개구 내로 떨어지고 디텐트 기구가 분리 상태에 있는 도 2에 도시된 지지 기저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식적인 사시도.
도 5는 지지 기저부 내에 제공된 분리 구동 기구 및 조절 래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식적인 사시도.
도 6은 결합해제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조절 래치를 도시하는 도식적인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래치 장치의 미끄럼 및 회전 조절을 허용하는 지지 기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식적인 사시도.
도 1은 유아 안전 시트(child safety seat)용 지지 기저부(100)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지지 기저부(100)의 일부 내부 구조 세부사항을 도시하는 도식적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지지 기저부(100)는 쉘(102) 및 2개의 래치 장치(104)를 포함할 수 있다. 쉘(102)은 서로 부착된 하나 이상의 강성 케이싱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쉘(102)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예시적인 재료는 강성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쉘(102)은 차량 시트 상에 배치하기 위한 하부 표면(106) 및 유아 시트(도시되지 않음)의 설비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상부 표면(108)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쉘(102)의 상부 표면(108)은 유아 시트의 대응 부분이 제 위치에 수용되고 고정될 수 있는 복수의 캐비티(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쉘(102)의 상부 표면(108)은 지지 기저부(100) 상에 설치된 유아 시트의 조절을 위해 쉘(102)의 하부 부분에 대해 전후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딩 플랫폼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2개의 래치 장치(104)는 쉘(102)의 단부 에지(112)에 인접한 쉘(102)과 조립가능하고, 쉘(102)의 좌측 및 우측 측면에 인접하게 각각 배열될 수 있다. 2개의 래치 장치(104)는 차량 시트 상의 제 위치에 지지 기저부(100)를 고정하기 위하여 차량 내에 제공된 고정 구조물(예를 들어, ISOFIX 앵커)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각각의 래치 장치(104)는 래치 장치(104)의 원위 단부(104A)에서 차량의 앵커 구조물과 결합되고 이와 고정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지지 기저부(100)는 쉘(102)과 래치 장치(104)에 결합되는 결합 구조물(114)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결합 구조물(114)은 쉘(102)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일 수 있고 앵커 프레임(116)과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캐리어(118) 및 앵커 프레임(116)을 포함할 수 있다. 쉘(102)은 도시의 명확함을 위해 도 2 내지 도 4에서 생략된다. 앵커 프레임(116)은 쉘(102)에 고정되게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앵커 프레임(116)는 쉘(102)과 고정되게 연결된 튜브 세그먼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튜브 세그먼트(120)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브 세그먼트(120)의 단면은 제한 없이 원형 형상, 직사각형 형상, 정사각형 형상, 다각형 형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118)는 래치 장치(104)를 지지할 수 있고, 지지 기저부(100)의 후방으로 전방으로부터 연장되는 세로 축(X)을 따라 미끄럼 운동을 위해 앵커 프레임(116)과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리어(118)는 서로 고정되게 연결된 측면 튜브 세그먼트(122) 및 가로방향 튜브 세그먼트(124)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118)의 측면 튜브 세그먼트(122)는 앵커 프레임(116)의 튜브 세그먼트(120)와 미끄럼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어, 측면 튜브 세그먼트(122)가 튜브 세그먼트(120)와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고, 측면 튜브 세그먼트(122)는 튜브 세그먼트(120) 내에 각각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가로방향 튜브 세그먼트(124)는 측면 튜브 세그먼트(122)와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고 측면 튜브 세그먼트(122)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 앵커 프레임(116)은 좌측 및 우측 측면에 대칭으로 배열되는 서로 평행한 2개의 튜브 세그먼트(120)를 포함할 수 있고, 캐리어(118)는 전술된 바와 같이 2개의 튜브 세그먼트(120)와 미끄럼가능하게 연결되는 2개의 측면 튜브 세그먼트(1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서, 캐리어(118)는 측면 튜브 세그먼트(122) 및 가로방향 튜브 세그먼트(12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케이싱(126)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튜브 세그먼트(122) 및 가로방향 튜브 세그먼트(124)는 케이싱(126)에 고정되게 부착될 수 있다. 케이싱(126)은 도시의 명확함을 위해 도 2 내지 도 4에서 점선으로 도시된다.
재차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2개의 래치 장치(104)는 이의 2개의 마주보는 측면에 캐리어(118)와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래치 장치(104)는 케이싱(126)의 좌측 및 우측 측면에 각각 배열될 수 있고 이의 마주보는 2개의 단부에서 가로방향 튜브 세그먼트(124)와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성이 예시에 따라서, 2개의 래치 장치(104)는 가로방향 튜브 세그먼트(124)를 통해 피벗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로드(128)의 2개의 마주보는 단부에 고정되게 부착될 수 있다. 래치 장치(104) 및 로드(128)는 이에 따라 캐리어(118)에 대해 피벗 축(Y) 주위에 함께 회전가능하다.
전술된 조립체에 따라서, 캐리어(118)(측면 튜브 세그먼트(122), 가로방향 튜브 세그먼트(124) 및 케이싱(126)을 포함함) 및 래치 장치(104)는 세로 조절을 위해 앵커 프레임(116)과 쉘(102)에 대해 세로 축(X)을 따라 서로 미끄럼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리어(118)는 쉘(102)의 단부 에지(112)로부터 이격되고 외측을 향하여 각각의 래치 장치(104)의 원위 단부(104A)를 변위시키기 위한 제1 방향 및 쉘(102)의 단부 에지(112)를 향하여 각각의 래치 장치(104)의 원위 단부(104A)를 변위시키기 위한 상반된 제2 방향으로 쉘(102)에 대해 미끄러질 수 있다. 게다가, 래치 장치(104)는 사용을 위해 다수의 전개된 위치와 보관 위치 사이에서 쉘(102)과 캐리어(118)에 대해 피벗 축(Y)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다. 보관 위치에서, 각각의 래치 장치(104)는 원위 단부(104A)가 쉘(102)을 향하여 인입된 상태에서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배열될 수 있다. 임의의 전개된 위치에서, 각각의 래치 장치(104)의 원위 단부(104A)는 차량의 앵커 구조물에 부착하기 위하여 쉘(102)의 단부 에지(112)를 넘어 연장될 수 있다(도 1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따라서, 래치 장치(104)는 차량 내에서 지지 기저부(100)의 설치 및 잠금을 돕기 위하여 적어도 2의 조절 정도: 세로 축(X)을 따름 미끄럼 조절 및 피벗 축(Y) 주위에서 회전 조절을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서, 지지 기저부(100)는 캐리어(118)와 연결된 스프링(130)(점선으로 도시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130)은 앵커 프레임(116)의 튜브 세그먼트(120)와 캐리어(118)의 측면 튜브 세그먼트(122)와 각각 연결된 2개의 마주보는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스프링(130)은 차량 시트 상에 지지 기저부(100)의 설치를 돕기 위하여 앵커 프레임(116)과 쉘(102)에 대해 최대 연장 위치를 향하여 캐리어(118)를 편향시킬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쉘(102)은 보관 위치에 래치 장치(104)를 유지시키기 위해 대응 래치 장치(104)와 결합되도록 작동가능한 보관 고정부(13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관 고정부(132)는 보관 위치에서 래치 장치(104)의 원위 단부(104A)와 결합되도록 스프링 로딩될 수 있고 쉘(102)과 조립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 보관 고정부(132)는 캐리어(118)가 앵커 프레임(116)과 쉘(102)에 대해 가장 연장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보관 위치에서 래치 장치(104)와 결합되고 이를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보관 고정부(132)는 또한 앵커 프레임(116)과 쉘(102)에 대해 캐리어(118)의 다른 선호되는 위치에서 보관 위치에 래치 장치(104)를 결합 및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지지 기저부(100)는 조절 래치(134) 및 분리 구동 기구(release actuation mechanism, 13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조절 래치(134)는 쉘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캐리어(118) 상에 제공된 다수의 잠금 개구(138)와 결합 및 결합해제하도록 쉘(102)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 래치(134)는 튜브 세그먼트(120)와 고정되게 연결되는 브래킷(140)과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잠금 개구(138)는 튜브 세그먼트(120)와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연결되는 측면 튜브 세그먼트(122) 상에 제공될 수 있고, 조절 래치(134)는 임의의 잠금 개구(138)와 결합되도록 튜브 세그먼트(120) 상의 개구(120A)를 통과할 수 있다. 조절 래치(134)는 쉘(102)의 단부 에지(112)로부터 이격되고 외측을 향하여 각각의 래치 장치(104)의 원위 단부(104A)를 이동시키는 제1 방향으로 쉘(102)에 대해 캐리어(118)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캐리어(118)와 결합될 수 있고, 쉘(102)에 대해 캐리어(118)를 미끄러지게 하기 위해 캐리어(118)와 결합해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조절 래치(134)는 쉘의 단부 에지(112)로부터 이격되고 외측을 향하여 각각의 래치 장치(104)의 원위 단부(104A)를 이동시키는 제1 방향으로 캐리어(118)의 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래치와 같이 작동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잠금 개구(138)과 조절 래치(134)의 결합은 쉘(102)의 단부 에지(112)를 향하여 각각의 래치 장치(104)의 원위 단부(104A)를 인입시키기 위한 제2 방향으로 캐리어(118)의 미끄러짐을 허용하면서 제1 방향으로 캐리어(118)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조절 래치(134)는 임의의 잠금 개구(138)와 결합되도록 스프링 편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142)은 쉘(102) 내에 제공된 고정된 구조물 및 조절 래치(134)와 각각 연결될 수 있고(예를 들어, 튜브 세그먼트(120)와 고정되게 연결된 임의의 적ㅎ바한 부착 구조물 또는 튜브 세그먼트(120)), 캐리어(118)의 측면 튜브 세그먼트(122)와 결합되도록 조절 래치(134)를 편향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앵커 프레임(116)은 2개의 튜브 세그먼트(120)를 포함하고, 캐리어(118)는 2개의 측면 튜브 세그먼트(122)와 결합되도록 2개의 튜브 세그먼트(120) 상에 미리 제공될 수 있는 스프링(142), 2개의 유사한 세트의 조절 래치(134) 및 2개의 측면 튜브 세그먼트(122)를 포함할 수 있다.
재차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분리 구동 기구(136)는 쉘(102)에 대해 캐리어(118)의 미끄럼 이동 동안에 캐리어(118)로부터 결합해제되도록 조절 래치(134)를 가압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분리 구동 기구(136)는 조절 래치(134) 및 래치 장치(104)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조절 래치(134)가 캐리어(118)로부터 결합해제되도록 보관 위치를 향하여 래치 장치(104)의 회전이 허용된다. 예를 들어, 분리 구동 기구(136)는 래치 장치(10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캠(148) 및 케이블 액추에이터(144)와 조절 래치(134)와 각각 연결된 2개의 마주보는 단부(146A, 146B)를 갖는 케이블(146), 및 캐리어(118)에 의해 지지된 케이블 액추에이터(144)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액추에이터(144)는 캐리어(118)와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싱(126)은 마운트 브래킷(150)과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고, 케이블 액추에이터(144)는 피벗 연결부(152)를 통하여 마운트 브래킷(150)과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캠(148)은 돌출부(148A)를 가질 수 있으며 로드(128)에 고정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어서 래치 장치(104)와 캠(148)이 일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래치 장치(104)는 보관 위치를 향하여 회전함에 따라 캠(148)이 래치 장치(104)와 함께 회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캠(148)의 돌출부(148A)는 접촉할 수 있고 케이블 액추에이터(144)를 이동하도록 강제하여 이에 따라 케이블(146)에 당김 작용을 가하여 조절 래치(134)가 캐리어(118)로부터 결합해제된다. 구현예에 따라서, 케이블(146)은 마운트 브래킷(150)과 조절 래치(134)와 각각 연결된 2개의 마주보는 단부를 갖는 시스(sheath, 153)의 내부를 통하여 이동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구성의 예시에 따라서, 케이블 액추에이터(144)는 구동 부분(154), 캐치 부분(catching portion, 156) 및 스프링(158)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부분(154)은 피벗 연결부(152)를 통하여 캐리어(118)의 마운트 브래킷(150)과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케이블(146)의 단부(146B)에 부착될 수 있다. 캐치 부분(156)은 전개된 상태와 인입된 상태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동 부분(154)과 이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치 부분(156)은 피벗 연결부(160)를 통하여 구동 부분(154)과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캐치 부분(156)은 전개된 상태와 인입된 상태 사이에서 구동 부분(154)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구동 부분(154) 및 캐치 부분(156)은 전개된 상태에서 오목부(concavity, 16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획할 수 있고 인입된 상태를 향하여 전개된 상태로부터 캐치 부분(156)의 회전은 오목부(162)를 감소시킬 수 있다.
스프링(158)은 구동 부분(154)과 캐치 부분(156)과 각각 연결될 수 있고, 캐치 부분(156)을 전개된 상태로 편향시킬 수 있다. 스프링(158)은 비틀림 스프링일 수 있다.
전술된 구성에 따라, 보관 위치를 향하여 방향(R1)으로 래치 장치(104)가 회전함에 따라 캠(148)의 돌출부(148A)가 전개된 상태에서 캐치 부분(156)과 접촉할 수 있다. 캠(148)과 캐치 부분(156) 사이의 이 접촉은 래치 장치(104)가 보관 위치에 도달되기 전에 오목부(162) 내에서 미끄럼 접촉이 발생될 수 있다. 그 결과, 캠(148)은 캐치 부분(156)과 구동 부분(154)이 케이블(146)을 당기도록 함께 이동하고 이에 따라 조절 래치(134)가 캐리어(118)로부터 결합해제된다. 래치 장치(104)가 보관 위치에 도달되면, 캠(148)의 돌출부(148A)는 캐치 부분(156)을 지나 이동하고 이에 따라 구동 부분(154)과 캐치 부분(156)이 케이블(146)을 해제하는 중립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전개된 위치를 향하여 방향(R2)으로 보관 위치로부터 래치 장치(104)의 역회전에 따라 캠(148)의 돌출부(148A)가 스프링(158)의 편향력에 대해 인입된 상태를 향하여 전개된 위치로부터 구동 부분(154)에 대해 캐치 부분(156)을 가압하고 이와 접촉한다. 그 결과, 캠(148)의 돌출부(148A)는 케이블(146)에 대해 임의의 운동을 부여하지 않고 구동 부분(154)을 지나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절 래치(134)는 래치 장치(104)가 전개된 위치로 회전하는 동안에 잠금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2개의 조절 래치(134)가 제공되는 실시예에서, 전술된 동일한 분리 구동 기구(136)의 2개의 세트가 래치 장치(104)와 2개의 조절 래치(134)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서, 각각의 조절 래치(134)는 조절 래치(134)가 결합해제된 후에 조절 래치(134)가 캐리어(118)와 재결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텐트 기구(164)와 추가로 연결될 수 있고, 디텐트 기구(164)는 캐리어(118)가 최대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 분리된다.
구성의 예시에 따라서, 디텐트 기구(164)는 스페이서(166) 및 스프링(168)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166)는 피벗 연결부(169) 주위에서 조절 래치(134)와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피벗 연결부(169)로부터 편심을 이루는 단부(166A)를 가질 수 있다. 스프링(168)은 조절 래치(134) 및 스페이서(166)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168)은 스페이서(166)의 피벗 연결부(169)에 인접하게 조립된 비틀림 스프링일 수 있고 조절 래치(134)와 스페이서(166)와 각각 연결된 2개의 단부를 갖는다.
조절 래치(134)가 가장 연장된 위치 이외의 위치에서 캐리어(118)로부터 결합해제될 때, 스프링(168)은 스페이서(166)의 단부(166A)가 조절 래치(134)를 넘어 돌출될 수 있는 방해 위치로 조절 래치(134)에 대해 회전하도록 스페이서(166)를 편향시킬 수 있다. 스페이서(166)가 방해 위치에 있는 동안, 스페이서(166)의 단부(166A)가 캐리어(118)와 조절 래치(134)의 결합을 방해하기 위해 캐리어(118)의 표면에 대해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166)의 단부(166A)는 방해 위치에서 측면 튜브 세그먼트(122)의 표면(122A)에 대해 접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절 래치(134)가 잠금해제 상태에서 측면 튜브 세그먼트(122)로부터 떨어져 유지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 스페이서(166)는 스페이서(166)의 단부(166A)가 방해 위치에서 표면(122A)에 대해 접촉할 때 측면 튜브 세그먼트(122)의 표면(122A)으로부터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디텐트 기구(164)는 캐리어(118)가 미끌어지고 쉘(102) 및 앵커 프레임(116)에 대해 최대로 연장된 위치에 도달될 때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튜브 세그먼트(122) 상에 제공된 잠금 개구(138)는 모든 다른 잠금 개구(138)보다 크기가 큰 캐리어(118)의 최대 연장 위치에 대응하는 초기 고정 개구(138A)를 포함할 수 있고, 스페이서(166)의 단부(166A)는 캐리어(118)가 최대 연장 위치에 도달될 때 디텐트 기구(164)를 분리시키기 위해 초기 고정 개구(138A) 내로 떨어질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 조절 래치(134)는 디텐트 기구(164)가 분리될 때 스페이서(166)와 함께 초기 고정 개구(138A) 내로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캐리어(118)의 최대 연장 위치는 지지 기저부(100)가 차량 시트 상에 설치되기 전에 캐리어(118)가 재배치되는 리셋 위치로서 정해질 수 있다. 이는 지지 기저부(100)가 차량 시트 상에 적절히 설치되는 것을 돕는다.
게다가, 쉘(102)의 단부 에지(112)를 향하여 래치 장치(104)의 원위 단부(104A)를 변위시키기 위해 가장 연장된 위치로부터 쉘(102)에 대해 캐리어(118)를 미끄러지게 함에 따라 캐리어(118)는 초기 고정 개구(138A)로부터 결합해제되도록 조절 래치(134)와 스페이서(166)를 가압할 수 있다. 스프링(168)에 의해 편향된 스페이서(166)는 캐리어(118)가 쉘(102)의 단부 에지(112)를 향하여 래치 장치(104)의 원위 단부(104A)를 변위시키기 위해 미끄러지거나 또는 조절 래치(134)가 초기 고정 개구(138A) 이외의 임의의 잠금 개구(138)와 결합될 때 캐리어(118)의 표면(예를 들어 잠금 개구(138)에 인접한 측면 튜브 세그먼트(122)의 표면(122A))과 접촉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스페이서(166)는 캐리어(118)의 접촉 표면에 대해 각을 이루어 기울어진다. 따라서, 디텐트 기구(164)는 분리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캐리어(118)가 쉘(102)의 단부 에지(112)를 향하여 래치 장치(104)의 원위 단부(104A)를 변위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쉘(102)에 대해 미끄러질 때 조절 래치(134)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2는 스페이서(166)가 측면 튜브 세그먼트(122)의 표면(122A)과 접촉한 상태에서 초기 고정 개구(138A) 이외에 잠금 개구(138)들 중 하나와 결합된 조절 래치(134)를 도시한다. 도 3은 측면 튜브 세그먼트(122)로부터 결합해제된 조절 래치(134)를 도시한다. 도 4는 디텐트 기구(164)가 분리 상태에 있는 동안 초기 고정 개구(138A) 내로 떨어지는 스페이서(166) 및 조절 래치(134)를 도시한다.
차량 시트 상에 지지 기저부(100)를 설치하기 위한 예시 작동이 도 1 내지 도 4에 대해 후술될 것이다. 차량 시트 상에 설치되기 전에, 지지 기저부(100)는 캐리어(118)가 쉘(102)에 대해 최대 연장된 위치에 있고 래치 장치(104)가 보관 위치에 보관 고정부(132)에 의해 유지되는 초기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지지 기저부(100)가 차량 시트 상에 설치될 때, 보관 고정부(132)는 우선 대응 래치 장치(104)로부터 결합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래치 장치(104) 상에 제공된 분리 액추에이터(170)(도 1에 도시됨)는 래치 장치(104)의 원위 단부(104A)로부터 결합해제되도록 보관 고정부(132)를 이동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래치 장치(104) 상에 제공된 분리 액추에이터(170)는 차량의 앵커 구조물로부터 래치 장치(104)가 고정해제되도록 이동할 수 있는 내부 부분(도시되지 않음)과 전형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 내부 부분의 이동에 따라 또한 보관 고정부(132)가 가압되어 래치 장치(104)로부터 결합해제된다. 분리 구동 기구(136) 및 이에 결합된 내부 부분은 현존 래치 장치(104)에 잘 공지되었고 이의 설명이 생략된다.
래치 장치(104)가 쉘(102)로부터 잠금해제되면, 래치 장치(104)는 보관 위치로부터 원하는 전개된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래치 장치(104)가 전개된 위치를 향하여 회전됨에 따라, 캠(148)의 돌출부(148A)는 인입된 상태를 향하여 전개된 상태로부터 구동 부분(154)에 대해 캐리어(118)을 회전하도록 가압하고 이와 접촉할 수 있다. 그 결과, 캠(148)의 돌출부(148A)는 케이블(146)에 대해 임의의 운동을 부여하지 않고 구동 부분(154)을 지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절 래치(134)는 래치 장치(104)가 전개된 위치로 회전하는 동안 초기 고정 개구(138A)과 결합된 고정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지지 기저부(100)는 그 뒤에 차량 시트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전개된 위치에서 각각의 래치 장치(104)는 최대 연장된 위치에서 캐리어(118)와 차량 시트의 앵커 구조물을 부착시킬 수 있다. 그 뒤에, 쉘(102)은 차량 시트의 시트백(seatback)에 대해 쉘(102)의 단부 에지(112)를 배치하기 위해 차량 시트의 시트백을 향하여 가압될 수 있다. 그 결과, 캐리어(118) 및 래치 장치(104)는 쉘(102)의 단부 에지(112) 및 각각의 래치 장치(104)의 원위 단부(104A)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기 위해 최대 연장된 위치로부터 이격되도록 앵커 프레임(116)과 쉘(102)에 대해 함께 미끄러질 수 있다. 앵커 프레임(116) 및 쉘(102)에 대한 캐리어(118)의 이 변위에 따라 캐리어(118)는 스페이서(166)를 가압하고 조절 래치(134)는 초기 고정 개구(138A)로부터 결합해제되고 그 뒤에 측면 튜브 세그먼트(122)를 따라 미끄러진다. 이 변위 중에, 조절 래치(134)는 하나 이상의 잠금 개구(138)를 지나 이동할 수 있고, 반면 스페이서(166)는 측면 튜브 세그먼트(122)의 표면(122A)과 미끄럼 접촉할 수 있다. 쉘(102)의 단부 에지(112)가 차량 시트의 시트백에 대해 접하면, 조절 래치(134)는 대응 고정 개구(138)와 결합될 수 있고, 반면 스페이서(166)는 측면 튜브 세그먼트(122)의 표면(122A)과 접촉한 상태로 유지된다.
지지 기저부(100)가 사용되지 않을 때, 래치 장치(104)는 지지 기저부(100)의 제거를 위해 차량의 앵커 구조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래치 장치(104)는 그 뒤에 보관 위치로 쉘(102) 및 캐리어(118)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래치 장치(104)의 이 회전은 조절 래치(134)가 전술된 바와 같이 조절 래치(134)를 분리 구동 기구(136)의 작동을 통하여 캐리어(118)의 측면 튜브 세그먼트(122)로부터 결합해제시킨다. 조절 래치(134)가 캐리어(118)로부터 결합해제됨에 따라 스프링(168)은 디텐트 기구(164)의 스페이서(166)를 방해 위치로 편향시킬 수 있고, 이 방해 위치에서 스페이서(166)의 단부(166A)는 측면 튜브 세그먼트(122)의 표면(122A)에 대해 접촉하고 조절 래치(134)를 넘어 돌촐될 수 있다. 조절 래치(134)는 이에 따라 잠금해제 상태에서 측면 튜브 세그먼트(122)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스프링(130)은 그 뒤에 전술된 바와 같이 최대 연장된 위치로 앵커 프레임(116) 및 쉘(102)에 대해 이동하도록 캐리어(118)를 편향시킬 수 있다.
전술된 지지 기저부(100)의 적어도 일부는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 구동 기구(136) 및 디텐트 기구(164)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조절 래치(134')에 결합된 또 다른 분리 구동 기구(172)를 도시하는 도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조절 래치(134')는 쉘(102)에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캐리어(118)의 측면 튜브 세그먼트(122) 상에 제공된 임의의 다수의 잠금 개구(138)와 결합되고 결합해제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분리 구동 기구(172)는 링킹 부분(linking part, 174) 및 액추에이터(176)를 포함할 수 있다. 링킹 부분(174)은 조절 래치(134')와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단부(174A) 및 액추에이터(176)와 미끄럼가능하게 연결된 또 다른 단부(174B)를 가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링킹 부분(174)의 단부(174B)는 액추에이터(176) 내에 제공된 신장된 슬롯(178)을 따라 미끄럼운동하도록 유도될 수 있고, 신장된 슬롯(178)은 쉘(102)의 세로 축(X)에 대해 각을 이루어 기울어진다. 게다가, 액추에이터(176)는 세로 축(X)을 따라 미끄럼운동을 위해 쉘(102)과 조립될 수 있다. 이 조립체에 따라, 액추에이터(176)는 링킹 부분(174)의 단부(174B)와 신장된 슬롯(178) 사이에서 미끄럼 연결부를 통하여 링킹 부분(174)이 이동하도록 작동되며, 따라서 조절 래치(134')는 캐리어(118)의 측면 튜브 세그먼트(122)로부터 결합해제되도록 회전한다. 도 5는 결합된 상태의 조절 래치(134')를 도시하고 도 6은 결합해제된 상태의 조절 래치(134')를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은 래치 장치(104)의 회전 조절 및 슬라이딩을 허용하는 지지 기저부(1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지지 기저부(100')의 쉘(102)은 차량 시트 상에서 지지 기저부(100)의 각 위치를 조절하도록 작동가능한 리클라인 풋(recline foot, 180)을 포함할 수 있다. 리클라인 풋(180)은 쉘(102)과 피벗회전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구성의 예시에 따라서, 쉘(102)은 앵커 프레임(181)과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고, 리클라인 풋(180)은 앵커 프레임(181)과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래치 장치(104)를 피벗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캐리어(118)는 리클라인 풋(180)과 슬라이딩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리어(118)의 가로방향 튜브 세그먼트(124)는 리클라인 풋(180)의 2개의 마주보는 측면벽 내에 제공된 2개의 평행한 가이드 슬롯(182)을 따라 미끄럼운동을 위해 안내될 수 있다. 래치 장치(104)는 이에 따라 지지 기저부(100')의 임의의 각 위치에서 리클라인 풋(180) 및 쉘(102)에 대해 조절될 수 있다. 캐리어(118)가 리클라인 풋(180)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래치 장치(104)는 지지 기저부(100')의 임의의 각 위치에서 차량의 앵커 구조물에 적절한 부착을 위해 충분히 낮게 유지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구조물의 이점은 차량 시트 상의 지지 기저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래치 장치의 미끄럼 및 회전 조절을 허용하는 유아 안전 시트에 대한 지지 기저부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유아 안전 시트에 대한 지지 기저부의 구현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다. 이들 실시예는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변형, 수정, 추가 및 개선이 가능하다. 이들 및 다른 변형, 수정, 추가 및 개선은 다음의 청구 범위에 정의된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할 수 있다.

Claims (21)

  1. 유아 안전 시트용 지지 기저부로서,
    단부 에지를 갖는 쉘;
    원위 단부를 갖는 래치 장치 - 래치 장치는 이의 원위 단부에서 차량 내에 제공된 앵커 구조물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됨 - ,
    쉘 및 래치 장치에 결합된 결합 구조물 - 결합 구조물은 쉘에 대해 미끄럼가능하고 래치 장치와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캐리어를 포함하고, 래치 장치는 사용을 위해 다수의 전개된 위치와 보관 위치 사이에서 쉘 및 캐리어에 대해 회전가능하고, 캐리어는 쉘의 단부 에지로부터 이격되고 외측을 향하여 래치 장치의 원위 단부를 변위시키기 위한 제1 방향으로 그리고 쉘의 단부 에지를 향하여 각각의 래치 장치의 원위 단부를 변위시키기 위한 상반된 제2 방향으로 쉘에 대해 이동할 수 있음 - ,
    쉘에 대한 캐리어의 미끄러짐을 위해 캐리어로부터 결합해제되고, 제1 방향으로 쉘에 대한 캐리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캐리어와 결합되도록 이동가능한 조절 래치, 및
    조절 래치와 래치 장치에 결합된 분리 구동 기구 - 분리 구동 기구는 보관 위치를 향하여 래치 장치가 회전함에 따라 조절 래치가 캐리어로부터 결합해제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는 지지 기저부.
  2. 제1항에 있어서, 결합 구조물은 쉘과 고정되게 연결된 제1 튜브 세그먼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캐리어는 서로 고정되게 연결된 제2 및 제3 튜브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제2 튜브 세그먼트는 제1 튜브 세그먼트와 미끄럼가능하게 연결되고, 제3 튜브 세그먼트는 제2 튜브 세그먼트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연장되고 래치 장치와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 기저부.
  3. 제2항에 있어서, 캐리어는 제2 및 제3 튜브 세그먼트가 조립되는 케이싱을 추가로 포함하고, 래치 장치는 케이싱의 측면에 배열되며, 케이싱, 래치 장치 및 제2 및 제3 튜브 세그먼트는 쉘 및 제1 튜브 세그먼트에 대해 일체로 미끄럼가능한 지지 기저부.
  4. 제1항에 있어서, 조절 래치는 캐리어와 조절 래치의 결합이 제1 방향으로 캐리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제2 방향으로 캐리어의 미끄럼을 허용하도록 조절 래치가 성형되는 지지 기저부.
  5. 제1항에 있어서, 결합 구조물은 쉘과 고정되게 연결된 튜브 세그먼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캐리어는 튜브 세그먼트와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조립된 부분을 포함하고, 조절 래치는 캐리어의 부분과 결합되도록 튜브 세그먼트를 통과하여 이동하는 지지 기저부.
  6. 제5항에 있어서, 튜브 세그먼트는 브래킷과 고정되게 연결되고, 조절 래치는 브래킷과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 기저부.
  7. 제1항에 있어서, 분리 구동 기구는 캐리어에 의해 지지되는 케이블 액추에이터, 케이블 액추에이터 및 조절 래치와 각각 연결된 2개의 마주보는 단부를 갖는 케이블, 및 래치 장치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캠을 포함하고, 보관 위치를 향하여 래치 장치가 회전함에 따라 캠이 이동 시에 케이블 액추에이터와 접촉하고 이를 가압하며, 이에 따라 케이블 액추에이터는 조절 래치가 캐리어로부터 결합해제되도록 케이블에 당김 작용을 가하는 지지 기저부.
  8. 제7항에 있어서, 케이블 액추에이터는 캐리어와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 기저부.
  9. 제7항에 있어서, 케이블 액추에이터는
    케이블의 일 단부에 부착되고 캐리어와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구동 부분,
    구동 부분과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캐치 부분 - 캐치 부분은 전개된 상태와 인입된 상태 사이에 구동 부분에 대해 이동가능함 - , 및
    캐치 부분 및 구동 부분과 각각 연결된 스프링 - 스프링은 전개된 상태를 향하여 캐치 부분을 편향시킴 - 을 포함하고,
    보관 위치를 향하여 래치 장치가 회전함에 따라 캠이 전개된 상태에서 캐치 부분에 대해 접촉하고 이에 따라 캐치 부분과 구동 부분이 케이블을 당기기 위해 함께 이동하고, 보관 위치로부터 이격되게 래치 장치가 회전함에 따라 캠이 구동 부분을 가압하지 않고 인입된 상태를 향하여 전개된 상태로부터 구동 부분에 대해 이동하도록 캠이 캐치 부분을 가압하는 지지 기저부.
  10. 제9항에 있어서, 구동 부분은 캐리어와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캐치 부분은 구동 부분과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 기저부.
  11. 제1항에 있어서, 캐리어는 복수의 잠금 개구를 포함하고, 조절 래치는 쉘에 의해 지지도고 잠금 개구와 결합되도록 스프링 편향되며, 잠금 개구는 쉘에 대해 캐리어의 최대 연장 위치에 대응하는 초기 잠금 개구를 포함하는 지지 기저부.
  12. 제11항에 있어서, 조절 래치는 디텐트 기구와 연결되고, 디텐트 기구는 조절 래치가 결합해제된 후에 캐리어와 조절 래치가 재결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디텐트 기구는 캐리어가 최대 연장 위치에 있을 때 분리되는 지지 기저부.
  13. 제12항에 있어서, 디텐트 기구는
    조절 래치와 연결된 스페이서, 및
    조절 래치 및 스페이서와 각각 연결된 스프링을 포함하고,
    조절 래치가 최대 연장된 위치 이외의 위치에서 캐리어로부터 결합해제될 때 스프링은 캐리어와 조절 래치의 결합을 방지하는 방해 위치로 스페이서를 편향시키는 지지 기저부.
  14. 제13항에 있어서, 스페이서는 조절 래치와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 기저부.
  15. 제13항에 있어서, 스페이서의 단부는 조절 래치를 넘어 돌출되고 스페이서가 방해 위치에 있을 때 캐리어와 조절 래치의 결합을 방지하기 위하여 캐리어의 표면에 대해 접촉하고, 스페이서의 단부는 캐리어가 최대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 디텐트 기구를 분리하기 위해 초기 잠금 개구 내로 떨어지는 지지 기저부.
  16. 제15항에 있어서, 쉘의 단부 에지를 향하여 래치 장치의 원위 단부를 변위시키기 위해 최대 연장된 위치로부터 이격되게 쉘에 대해 캐리어가 미끄러짐에 따라 캐리어가 초기 잠금 개구로부터 결합해제되도록 캐리어가 스페이서를 가압하고, 조절 래치가 초기 잠금 개구 이외의 잠금 개구와 결합될 때 스페이서가 캐리어의 표면과 접촉한 상태로 유지되는 지지 기저부.
  17. 제1항에 있어서, 캐리어와 연결된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고, 스프링은 쉘에 대해 최대 연장된 위치를 향하여 캐리어를 편향시키는 지지 기저부.
  18. 제1항에 있어서, 쉘은 보관 잠금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보관 잠금부는 캐리어가 쉘에 대해 최대 연장된 위치에 있는 동안에 보관 위치에 래치 장치를 유지시키기 위해 래치 장치와 결합되도록 작동되는 지지 기저부.
  19. 유아 안전 시트용 지지 기저부로서,
    단부 에지를 갖는 쉘;
    원위 단부를 갖는 래치 장치 - 래치 장치는 이의 원위 단부에서 차량 내에 제공된 앵커 구조물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됨 - ,
    쉘 및 래치 장치에 결합된 결합 구조물 - 결합 구조물은 쉘에 대해 미끄럼가능하고 래치 장치와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캐리어를 포함하고, 래치 장치는 사용을 위해 다수의 전개된 위치와 보관 위치 사이에서 쉘 및 캐리어에 대해 회전가능하고, 캐리어는 쉘의 단부 에지로부터 이격되고 외측을 향하여 래치 장치의 원위 단부를 변위시키기 위한 제1 방향으로 그리고 쉘의 단부 에지를 향하여 각각의 래치 장치의 원위 단부를 변위시키기 위한 상반된 제2 방향으로 쉘에 대해 이동할 수 있음 - ,
    쉘에 대한 캐리어의 미끄러짐을 위해 캐리어로부터 결합해제되고, 제1 방향으로 쉘에 대한 캐리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캐리어와 결합되도록 이동가능한 조절 래치, 및
    조절 래치에 결합된 분리 구동 기구 - 조절 래치는 쉘과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분리 구동 기구는 조절 래치와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링킹 부분을 포함하고 쉘과 미끄럼가능하게 조립되고 링킹 부분과 연결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액추에이터는 조절 래치를 회전시켜 캐리어로부터 결합해제되도록 작동됨 - 를 포함하는 지지 기저부.
  20. 제19항에 있어서, 결합 구조물은 쉘과 고정되게 연결된 제1 튜브 세그먼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캐리어는 서로 고정되게 연결된 제2 및 제3 튜브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제2 튜브 세그먼트는 제1 튜브 세그먼트와 미끄럼가능하게 연결되고, 제3 튜브 세그먼트는 제2 튜브 세그먼트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연장되고 래치 장치와 피벗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 기저부.
  21. 삭제
KR1020180025685A 2017-03-03 2018-03-05 유아 안전 시트용 지지 기저부 KR102132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66500P 2017-03-03 2017-03-03
US62/466,500 2017-03-03
US201762513759P 2017-06-01 2017-06-01
US62/513,759 2017-06-01
US201762547397P 2017-08-18 2017-08-18
US62/547,397 2017-08-1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960A Division KR102237056B1 (ko) 2017-03-03 2020-03-26 유아 안전 시트용 지지 기저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270A KR20180101270A (ko) 2018-09-12
KR102132524B1 true KR102132524B1 (ko) 2020-07-10

Family

ID=6156329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685A KR102132524B1 (ko) 2017-03-03 2018-03-05 유아 안전 시트용 지지 기저부
KR1020200036960A KR102237056B1 (ko) 2017-03-03 2020-03-26 유아 안전 시트용 지지 기저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960A KR102237056B1 (ko) 2017-03-03 2020-03-26 유아 안전 시트용 지지 기저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569673B2 (ko)
EP (1) EP3378697B1 (ko)
JP (1) JP6582079B2 (ko)
KR (2) KR102132524B1 (ko)
CN (3) CN108528290B (ko)
AU (1) AU2018201555B2 (ko)
CA (1) CA2997481C (ko)
ES (1) ES2763152T3 (ko)
PL (1) PL3378697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37593B1 (en) 2018-07-02 2020-08-11 Summer Infant (Usa), Inc. Car seat
CN111516563B (zh) * 2019-02-01 2022-11-04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及其连动机构
CN115675211A (zh) * 2019-04-26 2023-02-03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侧撞保护机构及儿童安全座椅
US11618353B2 (en) 2019-08-09 2023-04-04 Wonderland Switzerland Ag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securing an infant car seat to a vehicle seat with a tight fit and without using a detachable vehicle installation base or a vehicle seat belt, and ride-hailing methods relating to same
TW202306805A (zh) * 2021-01-25 2023-02-16 瑞士商明門瑞士股份有限公司 具有可伸縮支腳之嬰兒汽車安全座椅錨定總成
CN115123032A (zh) 2021-03-26 2022-09-30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
US11427113B1 (en) * 2021-04-21 2022-08-30 Institute For Injury Research Wrap-around shiel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6693A (ja) * 2007-05-30 2008-12-11 Takata Corp チャイルドシート
CN104859495A (zh) * 2014-02-21 2015-08-26 宝钜儿童用品香港股份有限公司 儿童安全座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5325B2 (ja) * 1999-11-02 2004-12-22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GB0510313D0 (en) * 2005-05-20 2005-06-29 Britax Childcare Ltd Child safety seat
FR2889826B1 (fr) * 2005-08-17 2008-10-17 Equipbaby Uk Ltd Siege de securite destine a installer un bebe ou un tres jeune enfant sur un siege de vehicule.
ES1063434Y (es) * 2006-07-14 2007-01-16 Jane Sa Base para el acoplamiento de asientos infantiles en automoviles
DE202008005361U1 (de) * 2008-04-17 2008-07-03 Recaro Gmbh & Co. Kg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Auto-Kindersitzes an einem Verankerungssteg oder -bügel der Karosserie eines Fahrzeugs
ES2374124B1 (es) * 2009-04-28 2012-12-28 Play, S.A. Capazo de seguridad para automóviles.
JP5814672B2 (ja) * 2011-07-19 2015-11-17 株式会社カーメイト チャイルドシート
CA2845847A1 (en) * 2011-08-19 2013-02-28 Baby Trend, Inc. Child car seat and base
CN103121415B (zh) * 2011-11-17 2016-03-02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组合
CN202413488U (zh) * 2012-01-09 2012-09-05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安全座椅基座的可旋转收折的扣接机构
CN103465805B (zh) * 2012-06-07 2016-02-03 宝钜儿童用品香港股份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
CN103568890B (zh) * 2012-07-18 2016-04-06 宝钜儿童用品香港股份有限公司 儿童座椅
US9469222B2 (en) * 2013-03-05 2016-10-18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Child safety seat assembly
FR3002886B1 (fr) * 2013-03-05 2015-04-03 Bebecar Utilidades Para Crianca S A Base de fixation pour un siege de securite pour enfant
NO337587B1 (no) * 2013-09-19 2016-05-09 Torgersen Hans & Soenn Barnesete
CN203698016U (zh) * 2014-01-07 2014-07-09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汽车安全座椅
JP6328228B2 (ja) * 2014-03-31 2018-05-23 コンビ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DE202015100327U1 (de) * 2015-01-23 2016-04-26 Wolfgang Nickel Aufnahmevorrichtung
CA2930939C (en) * 2015-05-27 2019-02-26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Child safety seat and support base thereof
CN204712917U (zh) * 2015-05-28 2015-10-21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isofix系统的锁定装置
CN204956183U (zh) * 2015-10-08 2016-01-13 宁波恒盾日用品制造有限公司 一种可伸缩调距的isofix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6693A (ja) * 2007-05-30 2008-12-11 Takata Corp チャイルドシート
CN104859495A (zh) * 2014-02-21 2015-08-26 宝钜儿童用品香港股份有限公司 儿童安全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455296A (zh) 2021-03-09
KR20200035928A (ko) 2020-04-06
US20180251051A1 (en) 2018-09-06
KR102237056B1 (ko) 2021-04-07
JP2018144805A (ja) 2018-09-20
CN108528290A (zh) 2018-09-14
EP3378697A1 (en) 2018-09-26
KR20180101270A (ko) 2018-09-12
JP6582079B2 (ja) 2019-09-25
ES2763152T3 (es) 2020-05-27
AU2018201555B2 (en) 2019-03-21
CA2997481A1 (en) 2018-09-03
CA2997481C (en) 2019-05-07
CN112455296B (zh) 2023-04-28
CN108528290B (zh) 2020-12-25
CN116373704A (zh) 2023-07-04
US10569673B2 (en) 2020-02-25
EP3378697B1 (en) 2019-09-25
PL3378697T3 (pl) 2020-05-18
AU2018201555A1 (en) 2018-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2524B1 (ko) 유아 안전 시트용 지지 기저부
JP4719677B2 (ja) 自動車シート用のレール長手方向ガイドに対するメモリ装置
US8382127B2 (en) Reclinable seatback support for stroller
US9199556B2 (en) Hinge assembly for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comprising such a hinge assembly
US7484808B2 (en) Vision improving system for a head restraint
US8197007B2 (en) Combination pivotal and displaceable headrest assembly incorporated into a vehicle seat
JP6277221B2 (ja) ウインドスクリーン据付装置及び据付け方法
JP2007290701A (ja) チャイルドシートを自動車内部に固定したストライカに装着する装置
EP3666589B1 (en) Child safety seat
KR20210099097A (ko) 어린이 이송 장치
US8113577B2 (en) Cable connection structures
KR101854808B1 (ko) 엑스 방향에서 이동될 수 있는 헤드 서포트
CN209972327U (zh) 一种车用踏杠设备
CN210502390U (zh) 头枕与椅背联接机构及儿童安全座椅
CN209972325U (zh) 一种车用踏杠设备和车辆
CN209955877U (zh) 一种车辆及其车用踏杠设备
TWI809680B (zh) 安全座椅及其底座
EP3313711B1 (en)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KR101584869B1 (ko) 차량용 시트레일 레버장치
CN209955875U (zh) 一种车用踏杠设备和具有它的车辆
KR101565819B1 (ko)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