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819B1 -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819B1
KR101565819B1 KR1020140079980A KR20140079980A KR101565819B1 KR 101565819 B1 KR101565819 B1 KR 101565819B1 KR 1020140079980 A KR1020140079980 A KR 1020140079980A KR 20140079980 A KR20140079980 A KR 20140079980A KR 101565819 B1 KR101565819 B1 KR 101565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latch member
striker
mounting por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9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열
유선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에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에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에이텍
Priority to KR1020140079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8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4Stepwise movement mechanisms, e.g. ratch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2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and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인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는 일측이 장착부에 힌지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에 포크타입으로 복수의 제 1 래치홈이 마련된 제 1 래치부재가 구비된 제 1 래치부; 장착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차체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제 1 래치홈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되는 스트라이커; 제 1 래치부재와 연동되어 집게구조로 작동되도록 장착부에 힌지연결되고, 제 1 래치부재와 함께 스트라이커를 집게구조로 잡아주는 제 2 래치부재가 구비된 제 2 래치부; 및 제 1 래치부재에 연결되어, 제 1 래치부재의 타측과 제 2 래치부재의 타측과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제 1 래치부재의 위치를 조작하는 조작레버를 포함하고, 제 1 래치부는, 제 1 결합핀에 의해 장착부에 힌지연결된 제 1 래치부재; 제 1 결합핀의 외면에 감겨지고, 일단이 장착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1 래치부재에 연결된 제 1 탄성부재; 및 제 1 래치부재의 상면에 고정되고, 조작레버가 연결되는 레버브라켓을 포함하고, 제 1 래치부재는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 제 1 래치부재의 타측이 상부로 들려올려지면 제 1 래치부재의 일측은 제 1 결합핀에 대해 회전하면서 제 1 탄성부재를 압축하고, 제 1 탄성부재는 조작레버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1 래치부재가 원래자리로 되돌아가도록 제 1 래치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차량용 백시트의 경사도에 따라 차량용 백시트의 위치를 다단으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MULTIANGLE OF BACKSEAT}
본 발명은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차량용 백시트의 기울기를 다단으로 조절하고, 차량용 백시트의 잠금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132602호에는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젖힘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 등받이 젖힘 장치가 시트등받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일반적으로 차량용시트는 시트좌석(3)과 이에 연결된 시트 등받이(2)로 이루어진다. 시트등받이는 차량탑승자의 등부분을 지지하여 편안한 착석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 등받이 젖힘 장치는 시트 등받이(2)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해제 노브(11)와, 자동차의 내부 판넬(1)에 설치되어 있는 스트라이커(5)와 체결될 수 있는 래치(21)를 포함하고 있는 래치 어셈블리(20)와, 스프링에 결합되어 있는 연동 부재(32) 및 당김 부재(33)를 포함하고 있는 링크 장치(30)와, 만곡 형상의 안내부(41)가 형성되어 있는 등받이 장착 브라켓트(40)와, 안내부(41)를 따라서 이동가능한 핀(50)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해제 노브(11)는 장착 상태에 유지되어 있고 래치 어셈블리(20)는 래치(21)가 내부 판넬(1)에 설치되어 있는 스트라이커(5)와 상호 작용하는 체결 상태에 유지되어 있으며 또한 링크 장치(30)는 당김 부재(33)의 하부편에 연동 부재(32)가 위치하는 고정상태에 유지되어 있다. 여기서, 핀(50)은 스프링(51)의 복원력에 의하여 등받이 장착 브라켓트(40)의 안내부(41)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이에 의해서 시트 등받이(2)는 착석 상태에 유지된다.
한편, 해제 노브(11)를 상방향으로 당김으로서 장착 상태에서 제1해제 상태로 전환시키면 래치 어셈블리(20)의 래치(21)는 회전되어서 스트라이커(5)와 분리되는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링크 장치(30)의 연동 부재(32)는 당김 부재(33)의 하부편으로부터 상부편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핀(50)은 등받이 장착 브라켓트(40)의 안내부(41)의 하단부에 유지되므로 시트 등받이(2)는 반젖힘 상태에 유지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 등받이 젖힘 장치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되면서, 시트등받이(2)의 폴딩을 위해, 시트등받이를 일정한 위치에서 고정하거나 또는 고정해제하고, 하나의 래치홈이 마련된 래치(21)가 단지 스트라이커(5)에 걸리는 구조를 통해 시트등받이(2)의 위치를 제어하는 한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 달리, 차량용 백시트의 기울기를 다단으로 조절하고, 차량용 백시트의 잠금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는 일측이 장착부에 힌지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에 포크타입으로 복수의 제 1 래치홈이 마련된 제 1 래치부재가 구비된 제 1 래치부; 장착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차체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제 1 래치홈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되는 스트라이커; 제 1 래치부재와 연동되어 집게구조로 작동되도록 장착부에 힌지연결되고, 제 1 래치부재와 함께 스트라이커를 집게구조로 잡아주는 제 2 래치부재가 구비된 제 2 래치부; 및 제 1 래치부재에 연결되어, 제 1 래치부재의 타측과 제 2 래치부재의 타측과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제 1 래치부재의 위치를 조작하는 조작레버를 포함하고, 제 1 래치부는, 제 1 결합핀에 의해 장착부에 힌지연결된 제 1 래치부재; 제 1 결합핀의 외면에 감겨지고, 일단이 장착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1 래치부재에 연결된 제 1 탄성부재; 및 제 1 래치부재의 상면에 고정되고, 조작레버가 연결되는 레버브라켓을 포함하고, 제 1 래치부재는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 제 1 래치부재의 타측이 상부로 들려올려지면 제 1 래치부재의 일측은 제 1 결합핀에 대해 회전하면서 제 1 탄성부재를 압축하고, 제 1 탄성부재는 조작레버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1 래치부재가 원래자리로 되돌아가도록 제 1 래치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차량용 백시트의 경사도에 따라 차량용 백시트의 위치를 다단으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래치부재는, 제 1 래치부재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후면에, 제 1 결합핀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돌출부가 마련되고, 제 1 래치부재의 상면 타측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전면에, 복수의 제 1 래치홈과 포크돌출부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래치부는, 제 1 결합핀의 하부에서 제 1 결합핀과 나란하게 위치된 제 2 결합핀; 일측이 제 2 결합핀에 의해 장착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에 포크돌출부가 삽입되는 제 2 래치홈이 마련된 제 2 래치부재; 및 제 2 결합핀의 외면에 감겨지고, 일단이 장착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래치부재에 연결된 제 2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제 1 래치부재의 타측이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향이동될 때, 제 2 래치부재의 일측은 제 1 래치부재의 일측이 회전되는 힘에 의해 제 1 래치부재의 일측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 2 래치부재의 타측과 제 1 래치부재의 타측 사이간격이 벌어지도록 작동되면서 제 2 탄성부재를 압축하고, 제 2 탄성부재는 조작레버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2 래치부재가 원래자리로 되돌아가도록 제 2 래치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래치부재의 상면에는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커버가 마련되고, 가이드커버에는 복수의 제 1 래치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스트라이커가 안착되는 복수의 커버안착홈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장착부에는 스트라이커의 진입방향에 마련되어 스트라이커가 통과되는 장착개구가 마련되고, 장착부에는 장착개구와 마주보는 위치에 스트라이커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브라켓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장착부와 이탈방지브라켓에는 제 1 래치부와 제 2 래치부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않고 제 1 래치부와 제 2 래치부를 보호하는 베이스커버가 설치되고, 베이스커버에는 스트라이커가 통과되는 커버개구부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는, 차량용 백시트에 장착된 장착부; 상면에 로드개구가 마련되고, 전면에 복수의 제 1 래치홈과 포크돌출부가 포크타입으로 마련된 제 1 래치부재가 장착부에 힌지연결된 제 1 래치부; 장착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차체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제 1 래치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차량용 백시트의 경사도에 따라 차량용 백시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스트라이커; 제 1 래치부재의 하부에서 장착부에 설치된 제 2 래치부; 일단이 로드개구에 삽입되어 제 1 래치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래치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로드부; 및 제 1 래치부재에 연결되어, 제 1 래치부재과 제 2 래치부와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제 1 래치부재의 위치를 조작하는 조작레버를 포함하고, 스트라이커가 복수의 제 1 래치홈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되는 위치에 따라 차량용 백시트의 경사도를 다단으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래치부는, 장착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 1 결합핀부; 제 1 결합핀부를 덮도록 제 1 결합핀부에 연결된 제 1 래치부재; 제 1 결합핀부의 외면에 감겨지고, 일단이 장착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1 래치부재에 연결된 제 1 탄성부재; 및 제 1 래치부재의 상면에 고정되고, 조작레버가 연결되는 레버브라켓을 포함하고, 제 1 탄성부재는 조작레버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1 래치부재가 원래자리로 되돌아가도록 제 1 래치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래치부는, 일측이 장착부에 연결되고, 타측에 포크돌출부가 삽입되는 제 2 래치홈이 마련된 제 2 래치부재; 및 제 2 래치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지지로드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로드이탈방지턱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로드부는 L 형 구조를 가지며, 일단이 로드개구에 삽입되게 설치된 지지로드; 지지로드의 타단을 제 2 래치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로드연결핀; 및 로드연결핀의 외주면에 감겨진 상태로, 일단이 지지로드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탄이 제 2 래치부재에 연결된 로드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지지로드는 스트라이커에 의해 가해진 힘에 의해 스트라이커의 진행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로드의 일단은 로드개구에서 지지로드와 스트라이커의 접촉시 스트라이커의 진행방향으로 이동되고, 지지로드는 스트라이커와의 접촉해제시 로드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자리로 되돌아가도록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결합핀부는, 장착부의 일측에 설치된 제 1축부시; 제 1축부시가 마주보는 위치에서 장착부의 타측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제 1 탄성부재가 감겨진 제 2축부시; 및 제 1축부시와 제 2축부시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 1 결합핀을 포함하고, 제 1 래치부재는 상면이 제 1 결합핀을 덮도록 위치되고, 제 1 탄성부재에 의해 장착부에 힌지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래치부재의 상면에는, 제 1 결합핀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돌출부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포크돌출부는 복수의 제 1 래치홈이 형성되도록 돌출된 복수의 포크돌기와, 스트라이커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포크돌기보다 길게 돌출된 이탈방지돌기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스트라이커가 삽입가능한 크기를 가진 복수의 제 1 래치홈을 마련하여, 다단으로 차량용 백시트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래치부와 제 2 래치부를 통해 스트라이커의 상부와 하부에서 스트라이커를 잡아주는 구조를 통해 차량용 백시트의 잠금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어, 일단 스트라이커가 제 1 래치부와 제 2 래치부에 락킹되면, 외부에서 차량용 백시트를 밀어내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차량용 백시트가 뒤로 용이하게 졌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 1 래치부에 마련된 복수의 제 1 래치홈의 갯수에 따라 차량용 백시트의 경사도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 등받이 젖힘 장치가 시트등받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의 전체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c는 제 1 래치부재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에서 베이스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전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제 1 래치부, 제 2 래치부와 가이드부의 결합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의 구성요소간의 연결상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1 래치부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6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2 래치부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6a의 A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6a의 B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스트라이커가 장착부에 연결되기 전이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스트라이커가 1단락킹상태로 장착부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스트라이커가 2단락킹상태로 장착부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우선,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100)는 차량용 백시트(10)의 경사도에 따라 차량용 백시트(10)의 위치를 다단으로 조정하는 장치로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101), 장착부(110), 제 1 래치부(120), 제 2 래치부(130), 가이드커버(140), 이탈방지브라켓(150), 베이스커버(160)와 조작레버(1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트라이커(101)는 장착부(110)와 이격된 위치에서 차체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제 1 래치홈(123)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제 1 래치부재(121)에 연결되는 부재이다. 스트라이커(101)는 장착부(110)의 장착개구(115)와 이격된 위치에서 차체에 고정되어, 파손되지 않은 한 일정위치에서 차량용 백시트(10)의 경사도에 따라 후술할 제 1 래치부(120)와 제 2 래치부(130)와의 착탈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장착부(110)는 차량용 백시트(10)의 일측에 장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110)는 양단이 일면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절곡되어 디귿자(ㄷ)형 횡단면을 가진 형상을 가진다. 장착부(110)의 일면(110a)에는 후술할 제 1 탄성부재(125)가 걸리는 걸림홈(111)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장착부(110)는 일면(110a)이 차량용 백시트(10)에 맞닿게 위치되어, 차량용 백시트(10)에 볼팅결합되다.
장착부(110)의 양측면 중 스트라이커(101)의 진입방향에 마련된 면(110b)에는 스트라이커(101)가 통과되는 장착개구(115)가 마련된다. 장착개구(115)의 상부에서 제 1 래치부(120)가 장착부(110)의 양측면(110b, 110c) 사이공간에 위치되고, 장착개구(115)의 하부에서 제 2 래치부(130)가 장착부(110)의 양측면 사이공간에 위치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래치부(120)는 제 1 래치부재(121), 제 1 결합핀(124), 제 1 탄성부재(125)와 레버브라켓(127)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래치부재(121)는 일측이 제 1 결합핀(124)과 제 1 탄성부재(125)에 의해 장착부(110)에 힌지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래치부재(121)는 상면(121a)을 기준으로, 상면(121a) 일측에서 절곡된 후면과 상면(121a) 타측에서 절곡된 전면이
Figure 112014060767252-pat00001
형 종단면을 가진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제 1 래치부재(121)의 후면은 상기의 장착부(110)의 일면(110a)을 향해 위치되고, 제 1 래치부재(121)의 전면을 스트라이커(101)를 향해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래치부재(121)는 후면이 제 1 래치부재(121)의 상면(121a) 일측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제 1 래치부재(121)의 후면에는 제 1 결합핀(124)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돌출부(124a, 124b)가 마련된다.
제 1 래치부재(121)는 연결돌출부(124a, 124b)가 장착부(110)의 양측면(110b, 110c)과 접촉하도록 상기 장착부(110)의 내부공간에 위치된다. 제 1 래치부재(121)의 연결돌출부(124a, 124b)는 제 1 결합핀(124)에 의해 장착부(110)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 1 결합핀(124)에는 제 1 탄성부재(125)가 연결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제 1 래치부재(121)의 전면에는 복수의 제 1 래치홈(123)과 포크돌출부(122)가 마련된다. 여기서, 포크돌출부(122)는 복수의 포크돌기(122a, 122b, 122c)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포크돌기(122a, 122b, 122c)에 대해 장착개구(115)에 인접하게 위치된 것부터 순차적으로 제 1a 포크돌기(122a), 제 1b 포크돌기(122b)와 제 1c 포크돌기(122c)로 지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복수의 제 1 래치홈(123)은 복수의 포크돌기(122a, 122b, 122c) 사이에 마련된 공간이다. 여기서, 복수의 제 1 래치홈(123)은 스트라이커(101)가 삽입가능한 간격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 1 래치홈(123)은 포크돌출부(122)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100)는 스트라이커(101)가 차량용 백시트(10)의 경사도에 따라 복수의 제 1 래치홈(123) 중 어느 하나로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차량용 백시트(1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 1 래치홈(123)은 두개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한정에 불과하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제 1 래치홈(123)에 대해 제 1a 래치홈(123a)과 제 1b 래치홈(123b)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 1a 래치홈(123a)은 제 1a 포크돌기(122a)와 제 1b 포크돌기(122b) 사이에 형성된 것이고, 제 1b 래치홈(123b)은 제 1b 포크돌기(122b)와 제 1c 포크돌기(122c) 사이에 형성된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래치부재(121)의 상면(121a)에는 레버브라켓(127)이 고정된다. 레버브라켓(127)에 마련된 레버끼움홈(127a)에는 조작레버(170)가 끼움연결된다. 여기서, 조작레버(170)는 레버브라켓(127)에 의해 제 1 래치부재(121)에 연결되어, 제 1 래치부재(121)의 타측과 제 2 래치부재(131)의 타측과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제 1 래치부재(121)의 위치를 조작하는 부재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탄성부재(125)는 제 1 결합핀(124)의 외면에 감겨진 형태로 제 1 결합핀(124)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 1 탄성부재(125)는 일단이 장착부(110)의 걸림홈(111)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 1 래치부재(121)에 고정되어, 제 1 래치부재(121)를 장착부(110)에 힌지회동가능하게 연결한다.
여기서, 제 1 탄성부재(125)는 조작레버(170)의 조작에 의해 제 1 래치부재(121)의 위치가 상부로 이동될 때 압축되고, 조작레버(170)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제 1 래치부재(121)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제 1 래치부재(121)가 원래자리로 되돌아가도록 작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래치부(120)는 조작레버(170)의 조작에 의해 제 1 래치부재(121)의 타측이 상부로 들려올려지면 제 1 래치부재(121)의 일측이 제 1 결합핀(124)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면서 제 1 탄성부재(125)를 압축하는 방식으로 힌지회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래치부(130)는 제 2 래치부재(131), 제 2 결합핀(133)과 제 2 탄성부재(13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래치부재(131)는 제 1 래치부재(121)와 연동되어 집게구조로 작동되도록 장착부(110)에 힌지연결되고, 제 1 래치부재(121)와 함께 스트라이커(101)를 집게처럼 잡아주는 부재이다.
제 2 래치부재(131)는 제 2 결합핀(133)과 제 2 탄성부재(135)에 의해 장착부(110)에 힌지연결된다. 제 2 래치부재(131)의 타측에는 상기 제 1 래치부재(121)의 포크돌출부(122)가 삽입되는 제 2 래치홈(132)이 마련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결합핀(133)은 제 2 래치부재(131)의 하부에서 제 1 결합핀(124)과 나란하게 위치된다. 제 2 결합핀(133)의 외면에는 제 2 탄성부재(135)가 연결된다.
여기서, 제 2 탄성부재(135)는 제 2 결합핀(133)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감겨진 구조로 제 2 결합핀(133)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 2 탄성부재(135)는 일단이 장착부(1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래치부재(131)에 연결된다.
제 2 래치부(130)는 제 1 래치부재(121)의 타측이 조작레버(170)의 조작에 의해 상향이동될 때, 제 1 래치부재(121)가 회전되는 힘에 의해 제 2 래치부재(131)의 일측이 제 1 래치부재(121)의 일측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 2 래치부재(131)의 타측과 제 1 래치부재(121)의 타측 사이간격이 벌어지면서 제 2 탄성부재(135)를 압축토록 작동된다.
이후, 제 2 탄성부재(135)는 조작레버(170)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의해 제 2 래치부재(131)가 원래자리로 되돌아가도록 작동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아 같이, 가이드커버(140)는 제 2 래치부재(131)의 상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가이드커버(140)는 스트라이커(101)가 제 1 래치부재(121)의 복수의 제 1 래치홈(123)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때, 스트라이커(10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부재이다.
가이드커버(140)에는 제 1 돌출부(140a)와 제 2 돌출부(140b)가 마련된다. 제 1 돌출부(140a)는 스트라이커(101)의 이동방향에 위치되고, 제 2 돌출부(140b)는 제 1 래치부재(121)의 후면과 맞닿게 위치되어, 제 1 래치부(120)가 힌지회동될 때, 제 1 래치부(120)가 밀어내는 힘을 제 2 래치부(130)로 제공한다.
가이드커버(140)의 제 1 돌출부(140a)에는 복수의 제 1 래치홈(123)에 대응되는 위치에 스트라이커(101)가 안착되는 복수의 커버안착홈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a 래치홈(123a)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커버안착홈을 '제 1a 커버안착홈(141)'이라 지칭하고, 제 1b 래치홈(123b)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커버안착홈을 '제 1b 커버안착홈(142)'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커버(140)에 제 1a 커버안착홈(141)과 제 1b 커버안착홈(142)을 마련한 것은, 차량용 백시트(10)의 경사도에 따라 스트라이커(101)가 제 1a 래치홈(123a) 또는 제 1b 래치홈(123b)으로 용이하게 삽입가능한 위치에 오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100)는 가이드커버(140)의 제 1a 커버안착홈(141)과 제 1b 커버안착홈(142)으로 하여금 후술할 1단락킹 또는 2단락킹 상태에 따라, 예컨대, 스트라이커(101)가 제 1a 래치홈에 삽입가능한 위치에 오도록 스트라이커(101)의 이동을 가이드함으로써, 1단락킹위치에 스트라이커(101)가 위치되도록 하고, 또는, 차량용 백시트(10)의 뒤로 졌혀짐에 따라 스트라이커(101)가 제 1b 커버안착홈(142)에 안착되어 제 1b 래치홈(123b)에 삽입가능한 위치에 오도록 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 1 래치부(120)와 제 2 래치부(130)의 스트라이커(101) 락킹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100)는 스트라이커(101)가 장착부(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브라켓(150)이 더 구비된다. 여기서, 이탈방지브라켓(1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개구(115)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장착부(110)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브라켓(150)은 기준면(151)과 돌출면(152)이 L형 횡단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탈방지브라켓(150)의 기준면(151)은 장착부(110)의 타측면(110c)과 접촉되면서 장착부(110)에 볼팅결합된다.
이탈방지브라켓(150)의 돌출면(152)은 제 1 래치부재(121)의 포크돌출부(122)와 장착부(110)의 일면과의 사이에서 위치되어, 제 1 래치부재(121)와 제 2 래치부재(131)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않으면서 스트라이커(101)가 가이드커버(140)를 벋어나 장착부(11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100)는 제 1 래치부(120)와 제 2 래치부(130)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베이스커버(1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커버(160)는 일측에 장착부(110)의 장착개구(115)와 연통되는 커버개구부(161)가 마련되고, 타측면이 상술한 이탈방지브라켓(150)에 이탈방지브라켓(150)에 끼움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커버개구부(161)는 스트라이커(101)의 진입방향에 마련되어 스트라이커(101)가 통과되는 개구이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커버(160)는 일측면이 장착부(110)의 일측면에 볼팅결합되고, 타측면이 이탈방지브라켓(150)에 끼움결합된다. 이때, 베이스커버(160)는 제 1 래치부(120)와 제 2 래치부(130)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않으면서 제 1 래치부(120)와 제 2 래치부(130)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토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래치부(120)와 제 2 래치부(130)를 보호하는 베이스커버(160)가 설치되고, 베이스커버(160)에는 스트라이커(101)의 진입방향에 마련되어 스트라이커(101)가 통과되는 커버개구부(161)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10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용 백시트(10)가 차량바닥면에 대해 대략 90°각도로 위치된 상태를 기준위치라 한다. 스트라이커(101)는 장착부(110)의 장착개구(115)와 이격된 위치에서 차체에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스트라이커(101)는 일정위치에서 고정되며, 파손되지 않는 한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차량용 백시트(10)가 소정의 각도로 뒤로 졌혀짐에 따라, 차량용 백시트(10)가 스트라이커(101)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차량용 백시트(10)의 위치가변에 따라, 스트라이커(101)는 장착개구(115)와 인접하게 위치된 제 1a 래치홈(123a)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 1 래치부재(121)는 조작레버(170)의 조작에 의해 차량바닥면에 대해 상부로 이동된 상태이다.
제 1 래치부재(121)가 조작레버(170)의 조작에 의해 상부로 이동될 때, 제 1 래치부재(121)는 제 2 래치부재(131)를 밀어내도록 작동되면서, 포크돌출부(122)와 제 2 래치부재(131)와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고, 스트라이커(101)의 상부로는 제 1 래치부재(121)의 제 1a 포크돌기(122a)가 지나가고, 스트라이커(101)의 하부로는 가이드커버(140)가 지나가게 된다.
사용자가 1단락킹 상태를 원할 경우, 사용자는 가이드커버(140)의 제 1a 커버안착홈(141)이 상기 스트라이커(101)를 지나갈 때, 조작레버(170)에 가하던 힘을 해제한다. 이때, 제 1 래치부재(121)가 제 1 탄성부재(125)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자리로 되돌아가면서, 제 2 래치부재(131)와 연동되어, 스트라이커(101)를 집게처럼 잡아 고정한다.
이때, 스트라이커(101)는 제 1a 래치홈(123a)에 삽입된 상태이고 가이드커버(140)의 제 1a 커버안착홈(141)에 안착된 상태이다. 그리고, 제 1a 포크돌기(122a)와 제 1b 포크돌기(122b)는 스트라이커(101)를 둘러싸면서 제 2 래치부재(131)의 제 2 래치홈(132)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100)는 차량용 백시트(10)가 차량바닥면에 대해 경사지게 위치되더라도, 상기와 같이 제 1 래치부재(121)와 제 2 래치부재(131)가 집게구조로 스트라이커(101)를 잡는 구조를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차량용 백시트(10)가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1단락킹상태보다 차량용 백시트(10)가 차량바닥면에 대해 더 경사지게 위치되길 바란다면, 상기와 같은 1단락킹작동방식을 그대로 적용하여, 스트라이커(101)가 가이드커버(140)의 제 1b 커버안착홈(142)에 안착되어, 제 1b 래치홈(123b)에 삽입되도록 한다. 스트라이커(101)가 제 1b 래치홈(123b)에 삽입되어 제 1 래치부재(121)와 제 2 래치부재(131)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2단락킹상태라 한다.
2단락킹상태에서, 제 1a 포크돌기(122a)와 제 1b 포크돌기(122b)는 1단락킹상태와 마찬가지로, 스트라이커(101)를 둘러싸면서 제 2 래치부재(131)의 제 2 래치홈(132)에 삽입된다. 다만, 이때, 스트라이커(101)의 위치는 스트라이커(101)는 제 1b 래치홈(123b)에 삽입된 상태이고 가이드커버(140)의 제 1b 커버안착홈(142)에 안착된 상태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100)는 제 1 래치부재(121)에 제 1a 래치홈(123a)과 제 1b 래치홈(123b)과 같이 복수의 제 1 래치홈(123)을 구비함으로써, 차량용 백시트(10)의 경사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2단락킹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는 예시적인 설명에 불과하며, 제 1 래치부재(121)에 마련된 제 1 래치홈(123)의 개수만큼 스트라이커(101)의 락킹을 다단으로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 1 래치부에 마련된 복수의 제 1 래치홈의 갯수에 따라 차량용 백시트의 경사도를 미세하게 다단으로 조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래치부와 제 2 래치부를 통해 스트라이커의 상부와 하부에서 스트라이커를 잡아주는 구조를 통해 차량용 백시트의 잠금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어, 일단 스트라이커가 제 1 래치부와 제 2 래치부에 락킹되면, 외부에서 차량용 백시트를 밀어내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차량용 백시트가 뒤로 용이하게 졌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200)는 다단으로 차량용 백시트(10)의 경사도를 조정하는 것이다. 도 6a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200)는 스트라이커(201), 장착부(210), 제 1 래치부(220), 제 2 래치부(230), 지지로드부(280)와 조작레버(2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서, 스트라이커(201)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스트라이커(201)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차량용 백시트(10)가 바닥면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되어 있을때, 장착부(210)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위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장착부(210)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차량용 백시트(10, 도 5 참조)의 일측면에 장착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210)는 양단이 일면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절곡되어 디귿자(ㄷ)형 횡단면을 가진 형상을 가진다. 이때, 장착부(210)의 양측면은 스트라이커(201)의 인입이 용이하도록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부(210)에는 제 1 래치부(220)가 힌지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장착부(210)에는 제 2 래치부(230)가 고정된다. 여기서, 제 2 래치부(230)는 제 1 래치부(220)의 하부에 위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래치부(220)는 차량용 백시트(10)가 뒤로 졌혀지는 경우에 스트라이커(201)에 연결되는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래치부(220)는 제 1 래치부재(221), 제 1 결합핀부(224), 제 1 탄성부재(225)와 레버브라켓(227)을 포함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래치부재(221)는 제 1 결합핀부(224)와 제 1 탄성부재(225)에 의해 장착부(210)에 힌지연결된다. 본 실시에에서, 제 1 래치부재(221)는 상면과 전면이 기역자(ㄱ)형으로 절곡된 구조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래치부재(221)의 상면(221a)은 제 1 결합핀부(224)의 외주면에 걸쳐지도록 제 1 결합핀부(224)에 연결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래치부재(221)의 상면(221a) 일측에는 제 1 탄성부재(225)가 외부로 돌출되게 후술할 제 1 결합핀부(224)에 설치되도록 탄성부재안착개구(221c)가 마련된다. 그리고, 제 1 래치부재(221)는 상면에 로드개구(221b)가 마련된다. 여기서, 로드개구(221b)는 지지로드부(280)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부재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래치부재(221)의 상면(221a)에는 레버브라켓(227)이 결합된다. 여기서, 레버브라켓(227)은 조작레버(270)와 제 1 래치부재(221)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그리고, 조작레버(270)는 레버브라켓(227)에 의해 제 1 래치부재(221)에 연결되어, 제 1 래치부재(221)과 제 2 래치부(230)와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제 1 래치부재(221)의 위치를 조작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버브라켓(227)과 조작레버(270)의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기로 하며, 당업자의 입장에서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래치부재(221)의 전면에는 복수의 제 1 래치홈(223)과 포크돌출부(222)가 포크타입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포크돌출부(222)는 복수의 포크돌기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포크돌기에 대해 장착개구에 인접하게 위치된 것부터 순차적으로 제 1a 포크돌기(222a), 제 1b 포크돌기(222b)와 이탈방지돌기(222c)로 지칭하기로 한다. 여기서, 이탈방지돌기(222c)는 스트라이커(20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포크돌기보다 길게 돌출된 돌기로서, 스트라이커(201)의 진입방향과 반대방향에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복수의 제 1 래치홈(223)은 복수의 포크돌기 사이에 마련된 공간이다. 여기서, 복수의 제 1 래치홈(223)은 스트라이커(201)가 삽입가능한 간격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 1 래치홈(223)은 포크돌출부(222)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스트라이커(201)는 차량용 백시트(10)의 경사도에 따라 복수의 제 1 래치홈(223) 중 어느 하나의 제 1 래치홈(223)으로 삽입되는 위치가 가변되면서, 차량용 백시트를 락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 1 래치홈(223)은 두개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형상이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제 1 래치홈(223)에 대해 제 1a 래치홈(223a)과 제 1b 래치홈(223b)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 1a 래치홈(223a)은 제 1a 포크돌기(222a)와 제 1b 포크돌기(222b) 사이에 형성된 것이고, 제 1b 래치홈(223b)은 제 1b 포크돌기(222b)와 이탈방지돌기(222c) 사이에 형성된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 2 래치부(2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래치부(230)는 제 2 래치부재(231)와 로드이탈방지턱(234)이 구비된다.
제 2 래치부재(231)는 일측이 장착부(210)에 연결되고, 타측에 포크돌출부(222)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 2 래치홈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a 포크돌기(222a)가 삽입되는 제 2 래치홈을 '제 2a 래치홈(232a)'이라 지칭하고, 제 1b 포크돌기(222b)가 삽입되는 제 2 래치홈을 '제 2b 래치홈(232b)'이라 지칭하기로 하는데, 제 2 래치홈의 개수는 포크돌출부(222)에 마련된 포크돌기의 개수에 따라 가변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실시예에 개시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기로 한다.
한편, 제 2 래치부재(231)의 상면에는 로드이탈방지턱(234)이 마련된다. 로드이탈방지턱(234)은 스트라이커(201)의 진입방향에서 제 2 래치부재(23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지지로드부(280)의 이동을 제한하는 부재이다. 로드이탈방지턱(234)에 인접한 위치에서, 제 2 래치부재(231)의 상면에는 지지로드부(280)가 설치된다. 지지로드부(28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제 1 결합핀부(224)가 장착부(210)에 장착된 상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결합핀부(224)는 제 1축부시(224a), 제 2축부시(224b), 제 1 결합핀(224c)과 축샤프트(224d)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축부시(224a)는 장착부(210)의 일측에 설치된다. 제 2축부시(224b)는 제 1축부시(224a)가 마주보는 위치에서 장착부(210)의 타측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제 1 탄성부재(225)가 감겨진다. 제 1축부시(224a)와 제 2축부시(224b) 사이에는 제 1 결합핀(224c)이 연결된다. 그리고, 제 1축부시(224a)와 제 2축부시(224b) 사이에는 축샤프트(224d)가 제 1 결합핀(224c)을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축샤프트(224d)의 외주면에는 제 1 래치부재(221)의 상면(221a)이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래치부재(221)는 제 1 결합핀부(224)를 매개로 하여, 제 1 탄성부재(225)에 의해 장착부(21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탄성부재(225)는 제 2축부시(224b)에 감겨진 상태에서, 일단이 장착부(2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 1 래치부재(221)에 고정되어, 조작레버(270)의 조작에 의해 제 1 래치부재(221)의 위치가 가변되더라도, 조작레버(270)에 가해지던 힘이 해제되면 제 1 래치부재(221)가 원래자리로 되돌아가도록 제 1 래치부재(221)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로드부(28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로드부(280)는 지지로드(281), 로드연결핀(284)과 로드탄성부재(285)를 포함한다.
지지로드(281)는 스트라이커(201)에 의해 가해진 힘에 의해 스트라이커(201)의 진행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스트라이커(20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부재이다.
지지로드(281)는 L 형 구조를 가지며, 일단이 로드개구(221b)에 삽입되어 제 1 래치부재(221)에 연결되고, 타단이 로드연결핀(284)과 로드탄성부재(285)에 의해 제 2 래치부재(23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로드연결핀(284)은 지지로드(281)의 타단을 제 2 래치부재(23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부재이다. 로드연결핀(284)에는 로드탄성부재(285)가 감겨진다.
여기서, 로드탄성부재(285)는 로드연결핀(284)의 외주면에 감겨진 상태로, 일단이 지지로드(281)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탄이 제 2 래치부재(231)에 연결되어, 지지로드(281)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로드(281)는 스트라이커(201)와의 접촉시 지지로드(281)의 일단이 로드개구(221b)를 따라 스트라이커(201)의 진행방향으로 이동되고, 스트라이커(201)와의 접촉해제시 로드탄성부재(285)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자리로 되돌아가도록 작동되면서, 스트라이커(201)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20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스트라이커가 장착부에 연결되기 전이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스트라이커가 1단락킹상태로 장착부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스트라이커가 2단락킹상태로 장착부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스트라이커(201)가 장착부(210)로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했듯이, 스트라이커(201)는 차량용 백시트(10)가 뒤로 졌혀지기 전에는 장착부(210)와 이격되어 위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장착부(210)는 차량용 백시트(10)의 경사도에 따라 차량용 백시트(10)와 함께 위치가 가변된다.
도 9의 상태에서 차량용 백시트(10)가 F1방향을 따라 뒤로 졌혀지면, 장착부(210)는 스트라이커(201)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이때, 조작레버(270)에 의해 제 1 래치부재(221)가 F3방향을 따라 상부로 올라가면 포크돌출부(222)의 제 1a 포크돌기(222a)가 스트라이커(201)를 지나가게 된다. 이때, 지지로드(281)는 스트라이커(201)에 접촉된 상태에서 F5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스트라이커(201)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이후, 제 1 래치부재(221)는 조작레버(27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제 1 탄성부재(225)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 자리로 되돌아가면서 스트라이커(201)가 제 1a 래치홈(223a)에 삽입되게 작동된다.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200)는 포크돌출부(222)의 제 1a 포크돌기(222a)가 제 2a 래치홈(232a)에 삽입되고, 제 1b 포크돌기(222b)는 제 2b 래치홈(232b)에 삽입되어, 제 1 래치부재(221)와 제 2 래치부재(231)가 맞물려지게 결합되면서 스트라이커(201)가 제 1a 래치홈(223a)에서 이탈되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트라이커(201)가 제 1a 래치홈(223a)에 삽입되었을 때를 1단락킹이라 한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2단락킹 상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2단락킹상태란 사용자가 1단락킹상태보다 차량용 백시트(10)가 뒤로 졌혀졌을 때, 차량용 백시트(10)를 차량바닥면에 대해 경사지게 고정하는 락킹상태를 말한다.
사용자가 1단락킹상태보다 차량용 백시트(10)가 뒤로 졌혀지길 원한다면, 사용자가 조작레버(270)에 힘을 가함에 따라, 제 1 래치부재(221)가 조작레버(270)를 따라 F3방향으로 올라가면 스트라이커(201)는 제 1 래치부재(221)와 제 2 래치부재(231)의 구속으로부터 해제되게 되고, 이때, 차량용 백시트(10)가 F1방향을 따라 1단락킹상태보다 뒤로 졌혀짐에 따라 제 1 래치부재(221)는 스트라이커(201)가 제 1b 래치홈(223b)에 삽입가능한 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지지로드(281)는 스트라이커(201)에 접촉된 상태에서 F5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스트라이커(201)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이후, 제 1 래치부재(221)는 조작레버(27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제 1 탄성부재(225)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 자리로 되돌아가면서 스트라이커(201)가 제 1b 래치홈(223b)에 삽입되게 작동된다. 이때, 스트라이커(201)는 제 1b 포커돌기와 이탈방지돌기(222c) 사이에 위치된다. 여기서, 이탈방지돌기(222c)는 제 1b 포커돌기보다 길게 형성되어, 차량용 백시트(10)가 뒤로 확 졌혀지는 과정에서 제 1 래치부재(221)가 스트라이커(201)와의 연결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스트라이커(201)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2단 락킹상태도 1단락킹상태와 마찬가지로, 포크돌출부(222)의 제 1a 포크돌기(222a)가 제 2a 래치홈(232a)에 삽입되고, 제 1b 포크돌기(222b)는 제 2b 래치홈(232b)에 삽입되어, 제 1 래치부재(221)와 제 2 래치부재(231)가 맞물려지게 결합되면서 스트라이커(201)가 제 1a 래치홈(223a)에서 이탈되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용 백시트(10)가 도 11에 도시된 2단락킹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상태로 되돌아 가는 과정에서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200)의 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2단락킹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조작레버(270)가 제 1 래치부재(221)를 상부로 들어올리도록 작동된다. 제 1 래치부재(221)가 조작레버(270)를 따라 F3방향으로 올라가면 스트라이커(201)는 제 1 래치부재(221)와 제 2 래치부재(231)의 구속으로부터 해제되게 된다.
이때, 차량용 백시트(10)가 F1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고, 로드탄성부재(285)의 복원력에 의해 스트라이커(201)와 접촉상태인 지지로드(281)가 F5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장착부(210)가 차량용 백시트(10)와 함께 스트라이커(201)에서 멀어지도록 이동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스트라이커(201)는 제 1 래치부재(221)에서 분리된다.
본 발명은 제 1 래치부(220)와 제 2 래치부(230)를 통해 스트라이커의 상부와 하부에서 스트라이커를 잡아주는 구조를 통해 차량용 백시트의 잠금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어, 일단 스트라이커(201)가 제 1 래치부와 제 2 래치부에 락킹되면, 외부에서 차량용 백시트를 밀어내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차량용 백시트가 뒤로 용이하게 졌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 1 래치부에 마련된 복수의 제 1 래치홈의 갯수에 따라 차량용 백시트의 경사도를 다단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적용된 차량은 사용자의 편의에 부합하도록 차량용 백시트의 경사도를 조정함으로써, 차량사용자가 보다 안락한 상태로 차량을 운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차량사용자의 차량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제 3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3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300)는 스트라이커, 장착부(310), 제 1 래치부(320), 제 2 래치부(330), 지지로드부(380)와 조작레버(3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래치부(320)를 제외한 스트라이커, 장착부(310), 제 2 래치부(330), 지지로드부(380)와 조작레버(370)의 구조 및 설치위치는 상술한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바, 본 실시예에서는 스트라이커, 장착부(310), 제 2 래치부(330), 지지로드부(380)와 조작레버(370)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래치부(320)는 차량용 백시트(10)가 뒤로 졌혀지는 경우에 스트라이커에 연결되는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래치부(320)는 제 1 래치부재(321), 제 1 결합핀부(324), 제 1 탄성부재(325)와 레버브라켓(327)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결합핀부(324)와 제 1 탄성부재(325)와 레버브라켓(327)은 상술한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결합핀부(324)와 제 1 탄성부재(325)와 레버브라켓(327)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래치부재(321)는 제 1 결합핀부(324)와 제 1 탄성부재(325)에 의해 장착부(310)에 힌지연결된다. 본 실시에에서, 제 1 래치부재(321)는 상면과 전면이 기역자(ㄱ)형으로 절곡된 구조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래치부재(321)의 상면에는 제 1 결합핀부(324)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돌출부(326)가 마련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래치부재(321)의 상면은 제 1 결합핀부(324)를 덮도록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탄성부재(325)는 제 1 결합핀부(324)에 감겨진 상태로 제 1 래치부재(321)의 상면 아래에 위치되고, 일단이 장착부(3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 1 래치부재(321)에 연결되어, 제 1 래치부재(321)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부재이다. 이에 따라, 제 1 래치부재(321)는 제 1 결합핀부(324)와 제 1 탄성부재(325)에 의해 장착부(310)에 힌지연결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래치부재(321)는 상면에 로드개구(321b)가 마련된다. 여기서, 로드개구(321b)는 지지로드(381)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로드개구(321b)에는 지지로드부(380)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로드부(380)는 제 2 래치부(330)의 제 2 래치부재(331)에 일단이 힌지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로드개구(321b)에 삽입되어 위치되어 제 1 래치부재(321)에 연결된다.
상술한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1 래치부재(321)는 전면에 복수의 제 1 래치홈(323a, 323b)과 포크돌출부(322)가 포크타입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포크돌출부(322)는 복수의 포크돌기(322a, 322b)와 이탈방지돌기(322c)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포크돌출부(322)의 구조는 상술한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바,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300)는 제 1 래치부재(321)와 제 1 결합핀부(324)의 결합상태가 상술한 제 2 실시예와 다소 상이할 뿐, 제 1 래치부재(321)가 스트라이커를 고정하여 차량용 백시트(1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작동방식은 상술한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바,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300)의 작동방식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300)는 스트라이커(미도시)가 제 1 래치부(320)와 제 2 래치부(330)에 1단락킹 또는 2단락킹될 때, 포크돌기(322a, 322b)로 하여금 각각 제 2a 래치홈(332a)과 제 2b 래치홈(332b)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스트라이커를 보다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200, 300: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
101, 201: 스트라이커 110, 210, 310: 장착부
120: 제 1 래치부 121: 제 1 래치부재
122: 포크돌출부 123: 제 1 래치홈
124: 제 1 결합핀 125: 제 1 탄성부재
127: 레버브라켓 130: 제 2 래치부
131: 제 2 래치부재 132: 제 2 래치홈
133: 제 2 결합핀 135: 제 2 탄성부재
140: 가이드커버 141: 제 1a 커버안착홈
142: 제 1b 커버안착홈 170: 조작레버
220, 320: 제 1 래치부 221: 제 1 래치부재
224: 제 1 결합핀부 225: 제 1 탄성부재
227: 레버브라켓 230, 330: 제 2 래치부
231: 제 2 래치부재 234: 로드이탈방지턱
270: 조작레버 280: 지지로드부
281: 지지로드 284: 로드연결핀
285: 로드탄성부재

Claims (15)

  1. 차량용 백시트에 장착된 장착부;
    일측이 상기 장착부에 힌지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에 포크타입으로 복수의 제 1 래치홈이 마련된 제 1 래치부재가 구비된 제 1 래치부;
    상기 장착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차체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 1 래치홈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되는 스트라이커;
    상기 제 1 래치부재와 연동되어 집게구조로 작동되도록 상기 장착부에 힌지연결되고, 상기 제 1 래치부재와 함께 상기 스트라이커를 집게구조로 잡아주는 제 2 래치부재가 구비된 제 2 래치부; 및
    상기 제 1 래치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래치부재의 타측과 상기 제 2 래치부재의 타측과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상기 제 1 래치부재의 위치를 조작하는 조작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래치부는,
    제 1 결합핀에 의해 상기 장착부에 힌지연결된 상기 제 1 래치부재;
    상기 제 1 결합핀의 외면에 감겨지고, 일단이 상기 장착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래치부재에 연결된 제 1 탄성부재; 및
    상기 제 1 래치부재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조작레버가 연결되는 레버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래치부재는 상기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 래치부재의 타측이 상부로 들려올려지면 상기 제 1 래치부재의 일측은 상기 제 1 결합핀에 대해 회전하면서 상기 제 1 탄성부재를 압축하고,
    상기 제 1 탄성부재는 상기 조작레버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1 래치부재가 원래자리로 되돌아가도록 상기 제 1 래치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차량용 백시트의 경사도에 따라 상기 차량용 백시트의 위치를 다단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래치부재는,
    상기 제 1 래치부재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후면에, 상기 제 1 결합핀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 1 래치부재의 상면 타측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전면에, 상기 복수의 제 1 래치홈과 포크돌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래치부는,
    상기 제 1 결합핀의 하부에서 상기 제 1 결합핀과 나란하게 위치된 제 2 결합핀;
    일측이 상기 제 2 결합핀에 의해 상기 장착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포크돌출부가 삽입되는 제 2 래치홈이 마련된 상기 제 2 래치부재; 및
    상기 제 2 결합핀의 외면에 감겨지고, 일단이 상기 장착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래치부재에 연결된 제 2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래치부재의 타측이 상기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향이동될 때, 상기 제 2 래치부재의 일측은 상기 제 1 래치부재의 일측이 회전되는 힘에 의해 상기 제 1 래치부재의 일측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 2 래치부재의 타측과 상기 제 1 래치부재의 타측 사이간격이 벌어지도록 작동되면서 상기 제 2 탄성부재를 압축하고, 상기 제 2 탄성부재는 상기 조작레버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2 래치부재가 원래자리로 되돌아가도록 상기 제 2 래치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래치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커버가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커버에는 상기 복수의 제 1 래치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스트라이커가 안착되는 복수의 커버안착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스트라이커의 진입방향에 마련되어 상기 스트라이커가 통과되는 장착개구가 마련되고,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장착개구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스트라이커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브라켓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와 상기 이탈방지브라켓에는 상기 제 1 래치부와 상기 제 2 래치부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않고 상기 제 1 래치부와 상기 제 2 래치부를 보호하는 베이스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커버에는 상기 스트라이커가 통과되는 커버개구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
  8. 차량용 백시트에 장착된 장착부;
    상면에 로드개구가 마련되고, 전면에 복수의 제 1 래치홈과 포크돌출부가 포크타입으로 마련된 제 1 래치부재가 상기 장착부에 힌지연결된 제 1 래치부;
    상기 장착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차체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 1 래치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차량용 백시트의 경사도에 따라 상기 차량용 백시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스트라이커;
    상기 제 1 래치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장착부에 설치된 제 2 래치부;
    일단이 상기 로드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래치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래치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로드부; 및
    상기 제 1 래치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래치부재과 상기 제 2 래치부와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상기 제 1 래치부재의 위치를 조작하는 조작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복수의 제 1 래치홈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차량용 백시트의 경사도를 다단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래치부는,
    상기 장착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 1 결합핀부;
    상기 제 1 결합핀부를 덮도록 상기 제 1 결합핀부에 연결된 상기 제 1 래치부재;
    상기 제 1 결합핀부의 외면에 감겨지고, 일단이 상기 장착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래치부재에 연결된 제 1 탄성부재; 및
    상기 제 1 래치부재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조작레버가 연결되는 레버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탄성부재는 상기 조작레버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1 래치부재가 원래자리로 되돌아가도록 상기 제 1 래치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래치부는,
    일측이 상기 장착부에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포크돌출부가 삽입되는 제 2 래치홈이 마련된 제 2 래치부재; 및
    상기 제 2 래치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지지로드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로드이탈방지턱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로드부는
    L 형 구조를 가지며, 일단이 상기 로드개구에 삽입되게 설치된 지지로드;
    상기 지지로드의 타단을 상기 제 2 래치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로드연결핀; 및
    상기 로드연결핀의 외주면에 감겨진 상태로, 일단이 상기 지지로드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탄이 상기 제 2 래치부재에 연결된 로드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로드는 상기 스트라이커에 의해 가해진 힘에 의해 상기 스트라이커의 진행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로드의 일단은 상기 로드개구에서 상기 지지로드와 상기 스트라이커의 접촉시 상기 스트라이커의 진행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지지로드는 상기 스트라이커와의 접촉해제시 상기 로드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자리로 되돌아가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핀부는,
    상기 장착부의 일측에 설치된 제 1축부시;
    상기 제 1축부시가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장착부의 타측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 1 탄성부재가 감겨진 제 2축부시; 및
    상기 제 1축부시와 상기 제 2축부시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 1 결합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래치부재는 상면이 상기 제 1 결합핀을 덮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 1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장착부에 힌지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래치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제 1 결합핀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돌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돌출부는
    상기 복수의 제 1 래치홈이 형성되도록 돌출된 복수의 포크돌기와,
    상기 스트라이커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포크돌기보다 길게 돌출된 이탈방지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
KR1020140079980A 2014-06-27 2014-06-27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 KR101565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980A KR101565819B1 (ko) 2014-06-27 2014-06-27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980A KR101565819B1 (ko) 2014-06-27 2014-06-27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5819B1 true KR101565819B1 (ko) 2015-11-05

Family

ID=54600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9980A KR101565819B1 (ko) 2014-06-27 2014-06-27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581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590Y1 (ko) * 2003-03-12 2003-06-25 대원산업 주식회사 각도조절이 가능한 리어시트 래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590Y1 (ko) * 2003-03-12 2003-06-25 대원산업 주식회사 각도조절이 가능한 리어시트 래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8382B2 (en) Vehicle seat having an operation lever arrangement structure
CN113910996B (zh) 侧撞保护装置及具有该侧撞保护装置的儿童安全座椅
US8408630B2 (en) Vehicle seat reclining apparatus
US8439443B2 (en) Vehicle seat
US20230234481A1 (en) Child safety seat
JP6033666B2 (ja) 車両用シートロック装置
JP6039289B2 (ja) 車両用シートロック装置
JP5527067B2 (ja) 車両用シート
JP2014121910A5 (ko)
KR101565819B1 (ko) 차량용 백시트 다단각도조정장치
JP7094819B2 (ja) Isofixチャイルドシート
WO2015146351A1 (ja) 乗物用シートのテーブル
JP2004330991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5798876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3942084B2 (ja) 車両用シート
JP2005022506A (ja) 二段ロック式シートロック装置
JP4099425B2 (ja) シートバックの傾き角度調整装置
KR20070031493A (ko) 더블 폴딩 시트용 폴딩 위치 제한장치
JP6711143B2 (ja) シート装置
KR101584869B1 (ko) 차량용 시트레일 레버장치
KR101172138B1 (ko) 콘솔 암레스트 구조
JP5429795B2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1722657B1 (ko) 시트백 연동형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JP5857919B2 (ja) ロック機構
JP6436709B2 (ja) シートスライドのロック解除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