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785B1 - 사물성격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방법 및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사물성격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방법 및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785B1
KR102131785B1 KR1020180161952A KR20180161952A KR102131785B1 KR 102131785 B1 KR102131785 B1 KR 102131785B1 KR 1020180161952 A KR1020180161952 A KR 1020180161952A KR 20180161952 A KR20180161952 A KR 20180161952A KR 102131785 B1 KR102131785 B1 KR 102131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terface
terminals
personality
framework
proto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3606A (ko
Inventor
박남춘
안미경
Original Assignee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61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785B1/ko
Publication of KR20200073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10Requirements analysis; Specific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20Software design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성격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방법 및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단말의 제어가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시나리오를 설정하는 단계, 기정의된 사물성격 유형 중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적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대표 사물성격을 설정하는 단계, 시나리오와 대표 사물성격을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단계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여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실시 예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사물성격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방법 및 전자장치{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for Designing of User Interface According to Personality of Things}
본 발명은 사물성격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방법 및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시대가 도래하면서, 다양한 사물인 인터넷 기반으로 연결되어 사물 인터넷이 가능한 장치들 스스로가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학습하여 동작한다. 이러한 IoT 시대에는 사람, 장치 및 데이터를 중심으로 다양한 접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양한 장치 및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접점들을 모두 통합적으로 고려한 디자인의 설계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를 위해, 현재에는 종이를 이용한 페이퍼 프로토타이핑(paper prototyping)과, 디지털 툴(tool)을 이용한 디지털 프로토타이핑(digital prototyping)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한 후 테스트한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토타이핑 방식은 다양한 장치들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복수의 장치를 대상으로 한 프로토타이핑의 설계가 복잡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IoT환경에서 다양한 단말의 인터유저빌리티(interusability) 개선을 위해 사물의 성격을 활용하여 사물의 성격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사물성격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방법 및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성격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방법은, 복수의 단말의 제어가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시나리오를 설정하는 단계, 기정의된 사물성격 유형 중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적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대표 사물성격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시나리오와 상기 대표 사물성격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여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여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토타입을 이용한 상기 복수의 단말의 제어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프로토타입의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단계는, 상기 시나리오와 상기 대표 사물성격에 대한 경우의 수로 조합하여 상기 조합된 수만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대표 사물성격을 설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대표 사물성격에 대한 페르소나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시나리오를 설정하는 단계 이전에, 복수의 단말에 대한 사물성격을 분류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복수의 사물성격 유형을 정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워크를 제작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단말에서 수신되는 센싱 데이터를 분석을 통해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의 동작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동작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에 대한 사물성격을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정의된 사물성격을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워크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성격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전자장치는, 복수의 단말의 제어가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기정의된 사물성격 유형 중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적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대표 사물성격을 설정하고, 상기 시나리오와 상기 대표 사물성격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여 검증을 수행하는 프로토타이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로토타이핑부는, 상기 프로토타입을 이용한 상기 복수의 단말의 제어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프로토타입의 검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부는, 상기 시나리오와 상기 대표 사물성격에 대한 경우의 수로 조합하여 상기 조합된 수만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부는, 상기 대표 사물성격에 대한 페르소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의 단말에 대한 사물성격을 분류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작하고, 상기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복수의 사물성격 유형을 정의하는 프레임워크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의 단말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 및 상기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의 동작을 확인하는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워크 관리부는, 상기 확인된 동작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에 대한 사물성격을 정의하고, 상기 정의된 사물성격을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워크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물성격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방법 및 전자장치는, IoT환경에서 다양한 단말의 인터유저빌리티(interusability) 개선을 위해 사물의 성격을 활용하여 사물의 성격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여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물성격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전자장치의 주요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물성격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물성격을 분류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표 사물성격에 페르소나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설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설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3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설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구현된 프로토타입에 대한 화면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물성격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전자장치의 주요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표시부(130), 메모리(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이때, 전자장치(100)는 댁내에 위치한 복수의 단말(미도시)를 통합 제어할 수 있는 장치로, 전자장치(100)는 허브 단말, 복수의 단말은 서브 단말로 혼용하여 사용한다.
통신부(110)는 전자장치(100)의 외부에 구비된 복수의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사용자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사용자 단말(미도시)와의 통신을 통해, 구현된 프로토타입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입력부(120)는 전자장치(100)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널(touch panel), 조그 셔틀(jog and shuttle), 터치 키(touch ke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표시부(130)는 표시데이터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다수개의 발광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입력부(120)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전자장치(100)의 동작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프레임워크를 제작하기 위해 복수의 단말에서 수신되는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알고리즘,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복수의 단말에 사물성격을 정의하기 위한 사물성격에 대한 데이터, 사물성격에 매핑할 페르소나 정보 등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및 프로토타이핑 구현을 위한 알고리즘 등을 저장한다.
제어부(150)는 복수의 단말의 제어가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기정의된 사물성격 유형 중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적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대표 사물성격을 설정한다. 제어부(150)는 시나리오와 대표 사물성격을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여 검증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50)는 데이터수집부(151), 분석부(152), 프레임워크관리부(153),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부(153, 이하, UI관리부(153)이라 함) 및 프로토타이핑부(155)를 포함한다.
첫 번째로, 제어부(150)는 프레임워크 제작 및 사물성격 유형 정의를 우선적으로 수행한다. 프레임워크 제작 및 사물성격 유형 정의를 위해 데이터수집부(151)는 프레임워크 제작을 위해 사용되는 복수의 단말에서 센싱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한다. 분석부(152)는 수신된 센싱 데이터의 분석을 수행한다. 이때, 복수의 단말은 댁내에 위치한 복수의 단말일 수 있고, 프레임워크 제작을 위해 임시로 설치한 단말일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단말은, 보안 카메라, 보안 센서, 도어락, 멀티탭, 에어컨, 공기청정기 등 전자장치(100)와의 통신이 가능한 단말일 수 있다.
분석부(152)는 센싱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복수의 단말 각각의 동작을 확인하고, 확인된 결과를 프레임워크관리부(153)로 제공한다. 프레임워크관리부(153)는 확인된 결과를 기반으로 복수의 단말 각각에 대한 사물성격을 정의하고, 정의된 사물성격을 기준으로 프레임워크를 제작한다.
프레임워크관리부(153)는 복수의 단말 각각의 동작을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각각의 단말이 갖는 사물성격을 분류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작한다. 예컨대, 복수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 분석결과, 복수의 단말 중 A단말은 현재 획득되는 센싱 데이터에 집중하고, B단말이 획득된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행동 패턴과 B단말의 조작 패턴 등의 패턴 확인에 집중한다면, 프레임워크관리부(153)는 센싱 데이터의 구성 방식을 데이터 수집형과 데이터 구성형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A단말이 센싱 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색 변화, 음악 변화 등의 동작을 수행하고, B단말이 센싱 데이터를 수치적으로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한다면, 프레임워크관리부(153)는 센싱 데이터의 정의 방식을 감성형과 사실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레임워크관리부(153)는 센싱 데이터의 구성 방식과 센싱 데이터의 정의 방식을 내부적 정체성의 구성 요인으로 확인한다.
아울러, C단말은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개입 없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를 주도적으로 제어하고, D단말은 센싱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서비스의 제공을 수행한다면, 프레임워크관리부(153)는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의 제어 방식을 능동형과 물음형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C단말이 활발한 톤으로 사용자에게 센싱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잦은 횟수로 전달하고, D단말이 차분한 톤으로 사용자에게 센싱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되, 정보 전달의 횟수가 C단말보다 적다면, 프레임워크관리부(153)는 정보 전달의 방식을 외향형과 내향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레임워크관리부(153)는 서비스의 제어 방식과 정보 전달의 방식을 외부적 행동의 구성 요인으로 확인한다.
프레임워크관리부(153)는 제작된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복수의 사물성격 유형을 정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레임워크관리부(153)는 프레임워크에 성격을 나타낼 수 있는 키워드를 대입하여 16가지의 사물성격 유형을 정의한다. 이를 위해, 프레임워크관리부(153)는 내부적 정체성의 구성 요인을 나타내는 그래프의 제1 사분면에 [스마트한 비서], 제2 사분면에 [다정한 비서], 제3 사분면에 [스마트한 전문가], 제4 사분면에 [다정한 전문가]의 키워드를 대입한다. 그리고, 프레임워크관리부(153)는 외부적 행동의 구성 요인을 나타내는 그래프의 제1 사분면에 [핵심적 조작], 제2 사분면에 [디테일한 조작], 제3 사분면에 [핵심적 보고], 제4 사분면에 [디테일한 보고]의 키워드를 대입한다. 아울러, 프레임워크관리부(153)는 프레임워크 및 사물성격 유형을 메모리(140)에 저장한다.
두 번째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및 프로토타입 구현을 수행하기 위해서 UI관리부(15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기 위한 서비스와 프로토타입의 구현 및 검증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시나리오를 설정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하고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기 위해 설정하는 서비스 및 서비스와 관련된 시나리오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 적용이 가능함을 명확히 하는 바이다.
UI관리부(154)는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 즉, IoT환경 내에서 댁내에 구비된 단말들의 제어 서비스의 성격을 고려하여 대표 사물성격 모델을 설정한다. UI관리부(154)는 16개의 사물성격 유형에 PCA(personal contextual assistants)화 및 사물의 지능화와의 관련도를 기준으로 점수를 부여하여 그룹핑한 이후에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분석 방법을 적용한다. 이를 통해, UI관리부(154)는 16가지의 사물성격 유형을 3개의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각 그룹에서 대표 사물성격의 모델을 각각 설정한다. 예컨대, 각 그룹에서 IoT환경 내에서 댁내에 구비된 단말들의 제어 서비스의 성격을 고려하여 설정된 대표 사물성격의 모델을 설정한다.
UI관리부(154)는 설정된 대표 사물성격 모델에 대응되는 페르소나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UI관리부(154)는 설정된 대표 사물성격의 모델 각각의 특징을 확인하고, 확인된 특징을 필요로 하는 가상의 사용자를 페르소나로 생성할 수 있다. UI관리부(15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한다. 이때, UI관리부(154)는 설정된 시나리오와 생성된 대표 사물성격의 모델을 경우의 수로 조합한 만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한다.
프로토타이핑부(155)는 UI관리부(154)에서 설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프로토타입을 구현하고, 프로토타이핑부(155)는 구현된 프로토타입의 검증을 수행한다. 프로토타이핑부(155)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사용자 단말에서 댁내에 위치한 단말들을 관리할 수 있도록 프로토타입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물성격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201단계에서 제어부(150)에 포함된 프레임워크관리부(153)는 프레임워크를 제작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프레임워크 제작을 위해 사용되는 복수의 단말(미도시)에서 센싱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복수의 단말은 댁내에 위치한 복수의 단말일 수 있고, 프레임워크 제작을 위해 임시로 설치한 단말일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단말은, 보안 카메라, 보안 센서, 도어락, 멀티탭, 에어컨, 공기청정기 등 전자장치(100)와의 통신이 가능한 단말일 수 있다.
제어부(150)에 포함된 데이터수집부(151)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부(152)로 제공한다. 제어부(150)에 포함된 분석부(152)는 센싱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복수의 단말 각각의 동작을 확인하고, 확인된 결과를 프레임워크관리부(153)로 제공한다. 프레임워크관리부(153)는 확인된 결과를 기반으로 복수의 단말 각각에 대한 사물성격을 정의하고, 정의된 사물성격을 기준으로 도 3과 같은 프레임워크를 제작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물성격을 분류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워크관리부(153)는 복수의 단말 각각의 동작을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각각의 단말이 갖는 사물성격을 분류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작한다. 예컨대, 복수의 단말이 공기청정기인 A단말, A단말과 제조사가 상이한 공기청정기인 B단말, 인공지능 헤드셋인 C단말 및 보안 카메라인 D단말이라고 한다. 각 단말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 분석결과, A단말은 현재 획득되는 센싱 데이터에 집중하고, B단말이 획득된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행동 패턴과 B단말의 조작 패턴 등의 패턴 확인에 집중한다면, 프레임워크관리부(153)는 센싱 데이터의 구성 방식을 데이터 수집형과 데이터 구성형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A단말이 센싱 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색 변화, 음악 변화 등의 동작을 수행하고, B단말이 센싱 데이터를 수치적으로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한다면, 프레임워크관리부(153)는 센싱 데이터의 정의 방식을 감성형과 사실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레임워크관리부(153)는 센싱 데이터의 구성 방식과 센싱 데이터의 정의 방식을 내부적 정체성의 구성 요인으로 확인한다.
아울러, C단말은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개입 없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를 주도적으로 제어하고, D단말은 센싱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서비스의 제공을 수행한다면, 프레임워크관리부(153)는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의 제어 방식을 능동형과 물음형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C단말이 활발한 톤으로 사용자에게 센싱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잦은 횟수로 전달하고, D단말이 차분한 톤으로 사용자에게 센싱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되, 정보 전달의 횟수가 C단말보다 적다면, 프레임워크관리부(153)는 정보 전달의 방식을 외향형과 내향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레임워크관리부(153)는 서비스의 제어 방식과 정보 전달의 방식을 외부적 행동의 구성 요인으로 확인한다.
203단계에서 프레임워크관리부(153)는 제작된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복수의 사물성격 유형을 정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레임워크관리부(153)는 201단계에서 제작된 프레임워크에 성격을 나타낼 수 있는 키워드를 대입하여 하기의 표 1과 같은 16가지의 사물성격 유형을 정의한다. 이를 위해, 프레임워크관리부(153)는 내부적 정체성의 구성 요인을 나타내는 그래프의 제1 사분면에 [스마트한 비서], 제2 사분면에 [다정한 비서], 제3 사분면에 [스마트한 전문가], 제4 사분면에 [다정한 전문가]의 키워드를 대입한다. 그리고, 프레임워크관리부(153)는 외부적 행동의 구성 요인을 나타내는 그래프의 제1 사분면에 [핵심적 조작], 제2 사분면에 [디테일한 조작], 제3 사분면에 [핵심적 보고], 제4 사분면에 [디테일한 보고]의 키워드를 대입한다. 아울러, 프레임워크관리부(153)는 프레임워크 및 사물성격 유형을 메모리(140)에 저장한다.
구성 유형 구성 유형
A-01 [핵심적인 조작]을 하는 [스마트한 비서]정량적이고 객관적인 데이터를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동작하도록 자동화되어, 수치적 데이터로 최소한의 알림만 제공함 C-01 [핵심적인 조작]을 하는 [스마트한 전문가]
사용자의 패턴을 학습하여 능동적으로 동작하고 최소한의 알림만 수치적 데이터로 보고함
A-02 [디테일한 조작]을 하는 [스마트한 비서]정량적이고 객관적인 데이터를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하는 대신, 사용자에게 수치적 데이터를 모두 알려줌 C-02 [디테일한 조작]을 하는 [스마트한 전문가]
사용자의 패턴을 학습하여 능동적으로 동작하고 매 상황을 수치적 데이터로 보고함
A-03 [핵심적인 보고]를 하는 [스마트한 비서]정량적이고 객관적인 데이터를 중심으로 조작이 필요한 상황에는 사용자에게 수치적 데이터로 보고해 판단을 요구함 C-03 [핵심적인 보고]를 하는 [스마트한 전문가]
사용자의 패턴을 학습하여 사용자의 조작이 필요한 상황에 수치적 데이터로 보고해 조작을 유도함
A-04 [디테일한 보고]를 하는 [스마트한 비서]정량적이고 객관적인 데이터를 중심으로 사용자에게 매 상황을 수치적 데이터로 보고하고 사용자의 판단을 요구함 C-04 [디테일한 보고]를 하는 [스마트한 전문가]
사용자의 패턴을 학습하여 사용자에게 매 순간을 수치적 데이터로 보고하고 허락을 구함
B-01 [핵심적인 조작]을 하는 [다정한 비서]측정된 데이터를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에게는 감성적인 표현으로 최소환의 알림만 제공함 D-01 [핵심적인 조작]을 하는 [다정한 전문가]
사용자의 패턴을 학습하여 능동적으로 동작하고 최소한의 알림만 감성적 표현으로 전달함
B-02 [디테일한 조작]을 하는 [다정한 비서]측정된 데이터를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에게는 감성적인 표현으로 매 상황을 알려줌 D-02 [디테일한 조작]을 하는 [다정한 전문가]
사용자의 패턴을 학습하여 능동적으로 동작하며 매 순간을 감성적 표현으로 전달함
B-03 [핵심적인 보고]를 하는 [다정한 비서]측정된 데이터를 중심으로 조작이 필요한 상황에서 사용자에게 감성적 표현으로 전달해 조작을 유도함 D-03 [핵심적인 보고]를 하는 [다정한 전문가]
사용자의 패턴을 학습하여 사용자의 조작이 필요한 상황에 감성적 표현으로 전달하여 조작을 유도함
B-04 [디테일한 보고]를 하는 [다정한 비서]측정된 데이터를 중심으로 사용자에게 매 상황을 감성적 표현으로 전달하고 사용자의 판단을 요구함 D-04 [디테일한 보고]를 하는 [다정한 전문가]
사용자의 패턴을 학습하여 매 순간 사용자에게 감성적 표현으로 보고하고 허락을 구함
이어서, 205단계에서 제어부(150)에 포함된 UI관리부(15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기 위한 서비스와 프로토타입의 구현 및 검증을 수행하기 위한 시나리오를 설정한다. 즉, UI관리부(15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기 위한 서비스로 IoT환경 내에서 댁내에 구비된 단말들의 제어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고, 제어 서비스의 특징과 프로토타이핑을 진행할 시나리오로 "외출 전", "외출 중", "귀가 전"과 같은 시나리오를 각각 제1 시나리오, 제2 시나리오 및 제3 시나리오로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하고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기 위해 설정하는 서비스 및 서비스와 관련된 시나리오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 적용이 가능함을 명확히 하는 바이다.
205단계에서 시나리오가 설정되면, UI관리부(154)는 207단계를 수행한다. 207단계에서 UI관리부(154)는 대표 사물성격의 모델을 설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UI관리부(154)는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 즉, IoT환경 내에서 댁내에 구비된 단말들의 제어 서비스의 성격을 고려하여 대표 사물성격 모델을 설정한다. UI관리부(154)는 203단계에서 정의된 16개의 사물성격 유형에 PCA(personal contextual assistants)화 및 사물의 지능화와의 관련도를 기준으로 점수를 부여하여 그룹핑한 이후에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분석 방법을 적용한다. 이를 통해, UI관리부(154)는 16가지의 사물성격 유형을 3개의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각 그룹에서 대표 사물성격의 모델을 각각 설정한다. 예컨대, 각 그룹에서 IoT환경 내에서 댁내에 구비된 단말들의 제어 서비스의 성격을 고려하여 설정된 대표 사물성격의 모델은 표 1의 A-03, B-02, D-01일 수 있다.
209단계에서 UI관리부(154)는 설정된 대표 사물성격 모델에 대응되는 페르소나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UI관리부(154)는 설정된 대표 사물성격의 모델 각각의 특징을 확인하고, 확인된 특징을 필요로 하는 가상의 사용자를 설정한다. 대표 사물성격 모델이 A-03을 예로 설명하면, A-03은 [핵심적인 보고]를 하는 [스마트한 비서]로,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데이터를 중심으로 조작이 필요한 상황에는 사용자에게 수치적 데이터로 보고해 판단을 요구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따라서, UI관리부(154)는 A-03에 해당하는 [핵심적인 보고]를 하는 [스마트한 비서]를 사용하기 적합한 사용자를 가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UI관리부(154)는 기기가 나의 모든 데이터를 알고 있는 것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는 43세의 프리랜서 여성을 가상의 사용자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UI관리부(154)는 A-03, B-02, D-01에 해당하는 각각의 페르소나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하기의 도 4a 내지 도 4c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211단계에서 UI관리부(15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한다. 이때, UI관리부(154)는 세 가지의 시나리오와 세 개의 대표 사물성격의 모델을 경우의 수로 조합한 만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한다. 즉, UI관리부(154)는 총 9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할 수 있으며, 이는 하기의 도 5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213단계에서 제어부(150)에 포함된 프로토타이핑부(155)는 UI관리부(154)에서 설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프로토타입을 구현하고, 215단계에서 프로토타이핑부(155)는 구현된 프로토타입의 검증을 수행한다. 프로토타이핑부(155)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사용자 단말에서 댁내에 위치한 단말들을 관리할 수 있도록 프로토타입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하기의 도 8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표 사물성격에 페르소나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도 4a는 대표 사물성격 모델이 A-03인 경우에 설정된 페르소나에 대한 정보, 도 4b는 대표 사물성격 모델이 B-02인 경우에 설정된 페르소나에 대한 정보 및 도 4c는 대표 사물성격 모델이 D-01인 경우에 설정된 페르소나에 대한 정보이다.
UI관리부(154)는 페르소나를 설정한 이후에 도 4a 내지 도 4c와 같이 표시부(130)에 설정된 페르소나에 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페르소나 화면(400a, 400b, 400c)은 그래프 형태로 대표 사물성격의 모델을 표시하는 그래프영역(410a, 410b, 410c), 대표 사물성격의 모델의 특징을 필요로 하는 가상의 사용자에 대한 기본 정보를 표시하는 기본정보영역(420a, 420b, 420c) 및 사용자에 대한 성향을 상세히 표시하는 상세정보영역(430a, 430b, 430c)를 포함한다. 이때, 기본정보영역(420a, 420b, 420c)과 상세정보영역(430a, 430b, 430c)에 표시되는 데이터는 메모리(140)에 기저장될 수 있다.
UI관리부(154)는 A-03에 해당하는 [핵심적인 보고]를 하는 [스마트한 비서]를 사용하기 적합한 사용자로 43세의 프리랜서 여성을 가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UI관리부(154)는 기기가 나의 모든 데이터를 알고 있는 것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는 성향을 기반으로 A-03을 사용하기 적합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UI관리부(154)는 B-02에 해당하는 [디테일한 보고]를 하는 [다정한 비서]를 사용하기 적합한 사용자로28세의 개발자 여성을 가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UI관리부(154)는 많은 기기의 상황에 관심이 많고 다양한 정보에 호기심을 느끼는 성향을 기반으로 B-02를 사용하기 적합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UI관리부(154)는 D-01에 해당하는 [핵심적인 조작]을 하는 [다정한 전문가]를 사용하기 적합한 사용자로 36세의 직장인 여성을 가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UI관리부(154)는 많은 기기의 상황에 관심이 많고 다양한 정보에 호기심을 느끼는 성향을 기반으로 D-01을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설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5에 표시된 메인화면(500)은 도 2에서 설정된 세 개의 시나리오 중 제1 시나리오에 세 개의 대표 사물성격 모델 중에서 첫 번째 대표 사물성격 모델인 A-03을 조합하여 설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인화면(500)은 제1 영역(510) 내지 제7 영역(5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영역(510)에는 그래프 형태로 대표 사물성격 모델이 A-03임이 표시된다. 제2 영역(520)에는 "외출 시 집안환경 제어"와 같이 사용자의 외출에 따라 집안 환경을 외출상태에 맞게 컨트롤하는 상황에 대한 설명이 표시된다. 제3 영역(530)에는 A-03의 유형인 [핵심적인 보고]를 하는 [스마트한 비서]가 표시된다.
제4 영역(540)에는 외출 시 집안환경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해야 하는 동작이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컨대, A-03은 핵심적인 보고를 하는 스마트한 비서이므로, "타임라인", "상태업데이트", "외출모드 추가", "외출모드 적용" 및 "외출모드 동작 중"의 동작마다 알림을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5 영역(550)에는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해야 할 때 사용자 단말(미도시)에 표시해야 하는 사용자 UI가 배치 및 표시된다. 제5 영역(550)에 배치 및 표시되는 사용자 UI는 제4 영역(540)에 표시된 동작인 "타임라인", "상태업데이트", "외출모드 추가", "외출모드 적용" 및 "외출모드 동작 중" 과 대응되는 사용자 UI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6 영역(560)에는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허브 단말인 전자장치(100) 및 전자장치(100)에 연결된 서브 단말을 제어하는 시점이 표시된다. 제7 영역(570)에는 서브 단말과 관련된 아이콘이 표시된다. 이때, 제7 영역(570)에는 서브 단말의 상태 변화에 따른 아이콘의 변화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설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6에 표시된 메인화면(600)은 도 2에서 설정된 세 개의 시나리오 중 제1 시나리오에 세 개의 대표 사물성격 모델 중에서 두 번째 대표 사물성격 모델인 B-02를 조합하여 설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인화면(600)은 제1 영역(610) 내지 제7 영역(6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영역(610)에는 그래프 형태로 대표 사물성격 모델이 B-02임이 표시된다. 제2 영역(620)에는 "외출 시 집안환경 제어"와 같이 사용자의 외출에 따라 집안 환경을 외출상태에 맞게 컨트롤하는 상황에 대한 설명이 표시된다. 제3 영역(630)에는 B-02의 유형인 [디테일한 보고]를 하는 [다정한 비서]가 표시된다.
제4 영역(640)에는 외출 시 집안환경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해야 하는 동작이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컨대, B-02는 디테일한 보고를 하는 다정한 비서이므로, "외출모드 적용 권유", "외출모드 추가", "외출모드 적용", "외출모드 동작 중" 및 "디바이스 상태 안내" 와 같이 외출 시에 집안환경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동작마다 알림을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5 영역(650)에는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해야 할 때 사용자 단말(미도시)에 표시해야 하는 사용자 UI가 배치 및 표시된다. 제5 영역(650)에 배치 및 표시되는 사용자 UI는 제4 영역(640)에 표시된 동작인 "외출모드 적용 권유", "외출모드 추가", "외출모드 적용", "외출모드 동작 중" 및 "디바이스 상태 안내" 와 대응되는 사용자 UI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6 영역(660)에는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허브 단말인 전자장치(100) 및 전자장치(100)에 연결된 서브 단말을 제어하는 시점이 표시된다. 제7 영역(670)에는 서브 단말과 관련된 아이콘이 표시된다. 이때, 제7 영역(670)에는 서브 단말의 상태 변화에 따른 아이콘의 변화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3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설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7에 표시된 메인화면(700)은 도 2에서 설정된 세 개의 시나리오 중 제1 시나리오에 세 개의 대표 사물성격 모델 중에서 세 번째 대표 사물성격 모델인 D-01를 조합하여 설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인화면(700)은 제1 영역(710) 내지 제7 영역(7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영역(710)에는 그래프 형태로 대표 사물성격 모델이 D-01임이 표시된다. 제2 영역(720)에는 "외출 시 집안환경 제어"와 같이 사용자의 외출에 따라 집안 환경을 외출상태에 맞게 컨트롤하는 상황에 대한 설명이 표시된다. 제3 영역(730)에는 D-01의 유형인 [핵심적인 조작]을 하는 [다정한 전문가]가 표시된다.
제4 영역(740)에는 외출 시 집안환경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해야 하는 동작이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컨대, D-01은 핵심적인 조작을 하는 다정한 전문가이므로, "외출모드 적용 알림" 및 "외출모드 동작 중"과 같이 외출 시에 집안환경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동작마다 알림을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5 영역(750)에는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해야 할 때 사용자 단말(미도시)에 표시해야 하는 사용자 UI가 배치 및 표시된다. 제5 영역(750)에 배치 및 표시되는 사용자 UI는 제4 영역(740)에 표시된 동작인 "외출모드 적용 알림" 및 "외출모드 동작 중" 와 대응되는 사용자 UI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6 영역(760)에는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허브 단말인 전자장치(100) 및 전자장치(100)에 연결된 서브 단말을 제어하는 시점이 표시된다. 제7 영역(770)에는 서브 단말과 관련된 아이콘이 표시된다. 이때, 제7 영역(770)에는 서브 단말의 상태 변화에 따른 아이콘의 변화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동일한 제1 시나리오라도 서로 다른 세 개의 대표 사물성격의 모델을 적용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설계가 매우 상이해질 수 있다. 따라서, 사물성격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구현된 프로토타입에 대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설계되면, 제어부(150)는 설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도 8과 같은 프로토타입을 구현한다. 이때, 프로토타입은 도 5 내지 도 7에서 설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5 영역(550, 650, 750)의 표시된 사용자 UI를 기반으로 구현된 것으로, 특히, 도 8은 도 4 영역(540, 640, 740)에 표시된 외출 시 집안환경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해야 하는 동작 중 "외출모드 동작 중"일 때 사용자 단말(810)로 제공하기 위해 구현된 프로토타입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810)에 표시된 UI 프로토타입에서 제어버튼(820, 830, 840, 850)의 조작을 통해 댁내에 설치된 복수의 단말이 제대로 작동이 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확인결과, 복수의 단말이 제대로 작동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수정이 필요하지 않으면 프로토타입의 검증을 완료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810)의 종류를 고려하여 프로토타입을 구현된다. 특히, 사용자 단말(810)은 프로토타입의 검증을 위한 실제 스마트 폰 등의 단말일 수 있고, 전자장치(100)에서 생성한 에뮬레이터 등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프로토타입의 검증을 위해 구현된 프로토타입을 사용자 단말(810)로 전송할 수 있고, 에뮬레이터에 프로토타입을 적용하여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3)

  1. 복수의 단말에서 수신되는 센싱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에 대한 복수의 사물성격 유형을 정의하는 단계;
    복수의 댁내 단말의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시나리오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댁내 단말을 고려하여 상기 정의된 사물성격 유형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대표 사물성격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시나리오와 상기 대표 사물성격을 경우의 수로 조합하여 상기 조합된 수만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프로토타입을 구현하고 상기 프로토타입의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타입의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토타입을 이용한 상기 복수의 댁내 단말에 대한 제어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프로토타입의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방법.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사물성격을 설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대표 사물성격에 대응되는 페르소나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성격의 유형을 정의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단말에 대한 사물성격을 분류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사물성격 유형을 정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워크를 제작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 데이터를 분석을 통해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의 동작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동작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에 대한 사물성격을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정의된 사물성격을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워크를 제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방법.
  7. 복수의 단말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에 대한 복수의 사물성격 유형을 정의하는 프레임워크 관리부;
    복수의 댁내 단말의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댁내 단말을 고려하여 상기 정의된 사물성격 유형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대표 사물성격을 설정하고, 상기 시나리오와 상기 대표 사물성격을 경우의 수로 조합하여 상기 조합된 수만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프로토타입을 구현하고 상기 프로토타입의 검증을 수행하는 프로토타이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전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타이핑부는,
    상기 프로토타입을 이용한 상기 복수의 댁내 단말에 대한 제어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프로토타입의 검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전자장치.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부는,
    상기 대표 사물성격에 대응되는 페르소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전자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워크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단말에 대한 사물성격을 분류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작하고, 상기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사물성격 유형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전자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의 동작을 확인하는 분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전자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워크 관리부는,
    상기 확인된 동작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에 대한 사물성격을 정의하고, 상기 정의된 사물성격을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워크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전자장치.
KR1020180161952A 2018-12-14 2018-12-14 사물성격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방법 및 전자장치 KR102131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952A KR102131785B1 (ko) 2018-12-14 2018-12-14 사물성격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방법 및 전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952A KR102131785B1 (ko) 2018-12-14 2018-12-14 사물성격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방법 및 전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606A KR20200073606A (ko) 2020-06-24
KR102131785B1 true KR102131785B1 (ko) 2020-07-08

Family

ID=71407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952A KR102131785B1 (ko) 2018-12-14 2018-12-14 사물성격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방법 및 전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7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143B1 (ko) * 2020-07-10 2022-02-09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딥러닝기법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용자 맞춤형 감성 웹디자인 ui 설계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5077A (ja) * 2001-10-04 2005-02-1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アプリケーションを実行するデバイス
KR101640377B1 (ko) * 2016-01-06 2016-07-18 스튜디오씨드코리아 주식회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프로토타입 제작 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141B1 (ko) * 2007-01-09 2009-04-09 어니컴 주식회사 휴대용 장치의 자동 검증 방법 및 그 장치
US20150100890A1 (en) * 2013-10-04 2015-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interfac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KR102451469B1 (ko) * 2016-02-03 2022-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5077A (ja) * 2001-10-04 2005-02-1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アプリケーションを実行するデバイス
KR101640377B1 (ko) * 2016-01-06 2016-07-18 스튜디오씨드코리아 주식회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프로토타입 제작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606A (ko) 202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1483B2 (ja) スマートデバイス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US202001110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managing workflows
WO2020015166A1 (zh) 图表组件的创建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405752B1 (ko)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권한을 제어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CN107454742A (zh) 印刷电路板以及包括该印刷电路板的电子装置
US2020007083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using machine learning for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users located within a specific space
CN103813472A (zh) 通过Wi-Fi网络连接设备的系统和方法
CN104867311A (zh) 通过第三方终端配置无线遥控终端的方法和装置
CN109658219A (zh) 信贷产品配置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CN105431816A (zh) 在计算设备之间同步设备关联数据
CN110532764A (zh) 一种权限处理的方法、移动终端及可读存储介质
KR102131785B1 (ko) 사물성격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방법 및 전자장치
US11579832B2 (en) Screen sharing system, screen shar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IL290259B2 (en) Adaptive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correlating compressed multidimensional information profiles to hardening rules
CN105354448B (zh) 一种授权管理的方法和装置
Coelho et al. The contribution of multimodal adaptation techniques to the GUIDE interface
KR102616793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화면 제공 방법
Häkkilä et al. Interaction and end-user programming with a context-aware mobile application
US20150339163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rithmetic and logic unit
CN104503669A (zh) 一种界面组件及其产生方法
JP6409985B1 (ja) 表示画面生成装置、ファクトリーオートメ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表示画面生成方法
US96653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ross-device macro framework
JP6909984B2 (ja) 家電管理サーバ、家電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8763890A (zh) 权限设置方法、装置和存储介质
JP7115507B2 (ja) ソフトウェア開発環境提供システム、ソフトウェア開発環境提供方法、及びソフトウェア開発環境提供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