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608B1 - 아동복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동복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608B1
KR102131608B1 KR1020190072575A KR20190072575A KR102131608B1 KR 102131608 B1 KR102131608 B1 KR 102131608B1 KR 1020190072575 A KR1020190072575 A KR 1020190072575A KR 20190072575 A KR20190072575 A KR 20190072575A KR 102131608 B1 KR102131608 B1 KR 102131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ating solution
childre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3400A (ko
Inventor
정영철
Original Assignee
정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철 filed Critical 정영철
Priority to KR1020190072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608B1/ko
Publication of KR20190143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6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84Carboxylic 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 D06M13/203Unsaturated carboxylic 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1/00Garments for childre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spraying or projec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1Compounds containing epoxy groups or precursor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44Alcohols; Metal alcoholates
    • D06M13/148Polyalcohols, e.g. glycerol or gluco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84Carboxylic 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 D06M13/192Polycarboxylic 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84Carboxylic 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 D06M13/207Substituted carboxylic acids, e.g. by hydroxy or keto group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224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acid
    • D06M13/228Cyclic esters, e.g. lacto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35Heterocyclic compounds
    • D06M13/3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ix-membered heterocyclic rings
    • D06M13/358Triazines
    • D06M13/364Cyanuric acid; Isocyanuric acid;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6/00Biochem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enzymatic
    • D06M16/006Biochem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enzymatic with wool-protecting agents; with anti-moth agen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동복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동복의 제조방법은 원사 100 중량부에 대해 10 내지 2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제1 코팅액을 상기 원사에 분무한 후, 75 내지 80℃의 온도에서 3 내지 7시간 동안 건조하여 코팅하고, 상기 제1 코팅액이 코팅된 원사 100 중량부에 대해 5 내지 1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제2 코팅액을 분무한 후, 70 내지 80℃의 온도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하여 코팅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원사에 기능성 코팅액을 도포하여 아동복을 제조함으로써, 보온성을 향상시키고 항균성 및 원적외선 방출에 따른 인체 유익성을 강화하며 해충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는 아동복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동복 및 그 제조방법{CLOTHING FOR CHILDRE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아동복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사에 기능성 코팅액을 도포하여 아동복을 제조함으로써, 보온성을 향상시키고 항균성 및 원적외선 방출에 따른 인체 유익성을 강화하며 해충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는 아동복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착용하는 옷은 피부와 맞닿게 되어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는 소재인 면직물이 주로 사용되며, 특히 유아 및 아동의 옷은 연한 피부에 조금이라도 자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100% 면직물 또는 거의 100%에 가까운 면을 포함하는 면직물로 제조하게 된다.
원단(原緞)은 모든 옷의 원료가 되는 천으로, 원단을 이용하여 봄철, 여름철, 가을철 및 겨울철에 입는 옷을 만들어 내는데, 특히, 아동들이 착용하는 아동복의 경우에는 쉽게 더렵혀 질 뿐만 아니라, 성장기에 있기 때문에 체외로 많은 분비물들이 나오므로 쉽게 오염되고 세균 등의 좋은 서식지가 되므로 건강에 유익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성장기에 있는 아동들의 경우 자유분방하기 때문에 수풀 등에서 뛰어놀기를 좋아하므로 해충의 공격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기능 구현이 필요한데, 하지만, 이러한 방충 기능을 갖는 기능성 아동복의 개시는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등록특허 제10-1910154호(2018년 10월 15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0408734호(2003년 11월 26일 등록)
본 발명은 원사에 기능성 코팅액을 도포하여 아동복을 제조함으로써, 보온성을 향상시키고 항균성 및 원적외선 방출에 따른 인체 유익성을 강화하며 해충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는 아동복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동복의 제조방법은 원사 100 중량부에 대해 10 내지 2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제1 코팅액을 상기 원사에 분무한 후, 75 내지 80℃의 온도에서 3 내지 7시간 동안 건조하여 코팅하고, 상기 제1 코팅액이 코팅된 원사 100 중량부에 대해 5 내지 1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제2 코팅액을 분무한 후, 70 내지 80℃의 온도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하여 코팅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제1 코팅액은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반응성 단량체, 계면활성제, 물, 가교제, 중합개시제, 젖산(Latic Acid), 소르빈산(Sorbic Acid), 무수 구연산(Citric Acid Anhydrous), 글리세린(Glycerin),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 발열 미립자 및 항충제가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2 코팅액은 멜라민 수지, 천연 식물 농축 추출물, 미네랄 솔트 추출물, 1,3,5-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르산염(1,3,5-triglycidal isocyanurate), 도데칸디오익산 및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는 산화방지제, 조막형성제 및 고분자 비드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액은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30 내지 50 중량부, 반응성 단량체 10 내지 20 중량부, 계면활성제 0.5 내지 1.5 중량부, 물 20 내지 40 중량부, 가교제 2 내지 5 중량부, 중합개시제 0.1 내지 1.5 중량부, 젖산(Latic Acid) 2 내지 5 중량부, 소르빈산(Sorbic Acid) 1 내지 3 중량부, 무수 구연산(Citric Acid Anhydrous) 7 내지 13 중량부, 글리세린(Glycerin) 15 내지 25 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 10 내지 20 중량부, 발열 미립자 10 내지 20 중량부 및 항충제 0.1 내지 0.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코팅액은 멜라민 수지 70 내지 130 중량부, 천연 식물 농축 추출물 15 내지 25 중량부, 미네랄 솔트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 1,3,5-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1,3,5-triglycidyl isocyanurate) 5 내지 10 중량부, 도데칸디오익산 2 내지 8 중량부 및 첨가제 20 내지 4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고, 상기 첨가제는 산화방지제 1 내지 3 중량부, 광안정제 1.5 내지 2.5 중량부, 조막형성제 0.5 내지 1.5 중량부 및 고분자 비드 5 내지 1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액에서 상기 발열 미립자는, 금속산화물 10 내지 20 중량부, 열전도성 고분자 2 내지 6 중량부, 광촉매 1 내지 3 중량부 및 바인더 10 내지 20 중량부를 준비한 후 혼합하고 건조하여 제조되되, 상기 금속산화물은 불소가 도핑된 산화주석(FTO), 산화인듐주석(ITO) 및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AZO)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되며, 상기 열전도성 고분자는 45 중량%의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42 중량%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13 중량%의 카본계 열전도성 필러를 포함하여 제조되되,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비스페놀-A를 기반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가 사용되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에틸렌옥텐 고무(EOR),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 및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되며, 상기 카본계 열전도성 필러는 그라파이트(graphite)가 사용되고, 상기 광촉매는 이산화망간(MnO2), 이산화규소(SiO2) 및 이산화티탄(TiO2)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액에서 상기 항충제로는 알레트린(Allethrin), 바이펜트린(Bifenthrin), 사이할로트린(Cyhalothrin) 및 사이페르메트린(Cypermethr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코팅액에서 상기 천연 식물 농축 추출물은, 소나무, 잣나무 및 편백나무 파쇄목 100 중량부에 대해 정제수 1000 내지 2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액에 초음파를 가하되, 상기 혼합액에 가해지는 초음파는 50 내지 80KHz의 진동주파수에서 50 내지 100분 동안 100 내지 200와트(watt)의 출력을 이용하여 1차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소나무, 잣나무 및 편백나무는 1:1:1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며, 상기 1차 추출물을 스팀발생기에 투입한 후, 상기 스팀발생기를 150 내지 2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소나무, 잣나무 및 편백나무의 수증기를 생성시키고, 상기 생성된 수증기를 별도를 용기에 분리한 후 25 내지 35℃의 온도로 냉각함으로써 천연 식물 추출물을 제조하며, 상기 천연 식물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고형분을 제거하고, 상기 고형분이 제거된 천연 식물 추출물 2000 내지 3000g에 70%(v/v) 에탄올수용액 10~15ℓ로 85 내지 90℃에서 3~4시간 동안 1차 추출한 다음, 70%(v/v) 에탄올수용액 4~6ℓ로 85 내지 90℃에서 2~3시간 동안 2차 추출을 완료하고, 진공회전증발기에서 1000 내지 1500㎖이 될 때까지 추출액을 제조하며, 상기 추출액에 에탄올을 가하여 2 내지 3배 중량으로 희석하고, 18,000~20,000rpm에서 30 내지 4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기 천연 식물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고분자 섬유소 및 고형분을 제거한 다음, 모아진 상등액을 1.5~2.0배 중량의 아세트산으로 2회 추출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아동복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동복의 제조방법은 원사에 기능성 코팅액을 도포하여 아동복을 제조함으로써, 보온성을 향상시키고 항균성 및 원적외선 방출에 따른 인체 유익성을 강화하며 해충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는 아동복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아동복의 제조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동복을 제조하는 원사에 코팅액을 분무한 후 건조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아동복은 원사 100 중량부에 대해 10 내지 2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제1 코팅액을 상기 원사에 분무한 후, 75 내지 80℃의 온도에서 3 내지 7시간 동안 건조하여 코팅하고, 상기 제1 코팅액이 코팅된 원사 100 중량부에 대해 5 내지 1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제2 코팅액을 분무한 후, 70 내지 80℃의 온도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하여 코팅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액은 상기 원사에 1차로 코팅되어 상기 원사들 사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1 코팅액은 원사에 탈취, 항균, 보온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액은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반응성 단량체, 계면활성제, 물, 가교제, 중합개시제, 젖산(Latic Acid), 소르빈산(Sorbic Acid), 무수 구연산(Citric Acid Anhydrous), 글리세린(Glycerin),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 발열 미립자 및 항충제가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코팅액은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30 내지 50 중량부, 반응성 단량체 10 내지 20 중량부, 계면활성제 0.5 내지 1.5 중량부, 물 20 내지 40 중량부, 가교제 2 내지 5 중량부, 중합개시제 0.1 내지 1.5 중량부, 젖산(Latic Acid) 2 내지 5 중량부, 소르빈산(Sorbic Acid) 1 내지 3 중량부, 무수 구연산(Citric Acid Anhydrous) 7 내지 13 중량부, 글리세린(Glycerin) 15 내지 25 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 10 내지 20 중량부, 발열 미립자 10 내지 20 중량부 및 항충제 0.1 내지 0.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코팅액은 상기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반응성 단량체, 계면활성제, 물 및 가교제를 혼합하여 40 내지 45℃의 온도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교반하고, 중합개시제, 젖산(Latic Acid), 소르빈산(Sorbic Acid), 무수 구연산(Citric Acid Anhydrous), 글리세린(Glycerin),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 발열 미립자 및 항충제를 투입한 후 50 내지 60℃의 온도에서 30 내지 50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는 예를 들어, (메타)아크릴산, 무수말레인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및 2-아크릴로일에탄 술폰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반응성 단량체는 원사로 제조되는 아동복의 내구성 및 내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반응성 단량체는 노르말 메칠올 아크릴 이마이드, N-Buthoxy methyl acrylamide 및 tert-Butylacylam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2-aminoethyl)-3-aminopropyltrimethoxysilane) 또는 3-글리시드옥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3-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물은 상기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반응성 단량체, 계면활성제, 가교제 등의 조성물을 용해 및 분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상기 원사로 제조되는 아동복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가교제로는 에틸렌옥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옥시(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시(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세린 디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합개시제는 상기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반응성 단량체, 계면활성제, 가교제 등의 조성물의 반응을 촉진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중합개시제로는 벤조인 에테르(benzoin ether), 디알킬아세토페논(dialkyl acetophenone) 및 하이드록실 알킬케톤(hydroxyl alkylket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젖산(Latic Acid)은 일반적으로 식품 보존제, 향취제 또는 산미제 등의 식품 첨가제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화장품, 화학, 금속, 전자, 직물, 염색, 제약 등 산업적으로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중요한 유기산이다. 또한, 젖산은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일종인 폴리락틱애시드(PLA)의 원료물질로도 사용되며, 근래에 들어서는 유가상승, 원유의 고갈, 석유 유래 플라스틱 제품의 부패하지 않는 특성으로 인해 야기되는 환경오염 문제로 인한 난분해성 플라스틱의 환경 친화적인 대체 고분자 물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어서 이에 따른 젖산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젖산은 수산기와 카르복실기를 가지고 있어 반응성이 큰 유기산으로서, 폴리락틱애시드 뿐만 아니라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아크릴산(acrylic acid), 2,3-펜타디온(2,3-pentathione) 등의 화학물을 생산하는 중요한 원료물질로도 사용된다. 젖산은 또한, 생분해성이며 무독성 용제인 에틸락테이트(ethyl lactate)의 제조에도 사용되며, 이는 전자 제조업, 페인트나 직물, 세제, 접착제나 인쇄물 등에 이용되고 있다.
상기 소르빈산(sorbic acid)은 대표적인 합성 보존료로서, 가공식품의 보존에 흔히 사용된다. 벤조산과 그 염과 함께 대표적인 합성 보존료로 꼽히고 있다. 이 물질은 각종 미생물의 생육 억제에 효과가 뛰어나며, 빙초산이나 다양한 유기 용매에 잘 녹는다. 식품에 사용할 때는 아세트산, 젖산, 알코올 등과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소르빈산칼륨이나 소르빈산칼슘 등과 같은 염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데, 소르빈산을 첨가할 경우 항균성이 향상될 수 있고, 항균 활성을 상승시켜 우수한 항균, 탈취 기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무수 구연산(Citric Acid Anhydrous)은 분말주스, 가루발포주스, 분말셔벗, 분말 케첩, 추잉 껌 등 수분을 싫어하는 식품이나 가루식품의 산미료로 사용한다. 상기 무수 구연산은 결정수가 없기 때문에 구연산(결정)보다도 산도는 강하고, 무색투명의 결정, 알맹이 또는 덩어리, 또는 백색의 결정성분말 또는 분말로, 무취, 강한 산미를 가진다.
상기 글리세린(Glycerin)은 글리세롤이라고도 하는데, 투명하고 끈적거리며 단맛이 난다. 1948년까지는 동식물의 지방과 기름으로 비누를 만드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얻었지만, 그 뒤로는 프로필렌이나 당류를 써서 더 많이 합성하고 있다. 보통 95% 이상의 글리세롤을 포함한 상품은 글리세린이라 한다. 글리세롤은 쓰이는 범위가 매우 넓다. 자동차 에나멜이나 옥외 페인트 등의 보호용 도장제를 만드는 고무나 수지의 기본 성분이며, 질산과 황산을 가하면 폭발성 물질인 니트로글리세린이 된다.
상기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은 용매로, 1,3-부틸렌글리콜은 점도를 감소시키며, 높은 습도의 대기 중의 수분이 막 형성을 하는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기도 한다.
또한, 1,3-부틸렌글리콜은 휘발성 물질을 안정화시킬 수 있으며, 미생물에 의한 부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아주 좋은 분배계수를 가지고 있어 항균성 조성물의 제형에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발열 미립자는 상기 원사로 제조되는 아동복의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상기 발열 미립자는 먼저, 발열 미립자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들로 금속산화물 10 내지 20 중량부, 열전도성 고분자 2 내지 6 중량부, 광촉매 1 내지 3 중량부 및 바인더 10 내지 20 중량부를 준비한 후 균일하게 혼합하고 건조하여 발열 미립자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열 미립자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들 중에서 금속산화물, 광촉매 등은 나노 크기의 입자로 분쇄되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조성물들을 상온에서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다.
상기 금속산화물은 불소가 도핑된 산화주석(FTO), 산화인듐주석(ITO) 및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AZO)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불소가 도핑된 산화주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열전도성 고분자는 열전도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상기 열전도성 고분자는 발열 미립자를 구성하는 조성물들의 모폴로지(morphology)를 제어함으로써 조성물들간의 네트워크를 효과적으로 형성하여 열전도율을 향상시키고,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아동복의 발열 효율 및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열전도성 고분자는 45 중량%의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42 중량%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13 중량%의 카본계 열전도성 필러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비스페놀-A를 기반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에틸렌옥텐 고무(EOR),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 및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카본계 열전도성 필러는 그라파이트(graphite)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촉매는 발열 및 항균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광촉매는 이산화망간(MnO2), 이산화규소(SiO2) 및 이산화티탄(TiO2)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발열 미립자를 구성하는 조성물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접착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바인더로는 열경화성 또는 U-V경화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바인더는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아크릴 공중합체,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멜라민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항충제는 곤충 또는 해충 기피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물질로, 상기 항충제로는 알레트린(Allethrin), 바이펜트린(Bifenthrin), 사이할로트린(Cyhalothrin) 및 사이페르메트린(Cypermethr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N,N-디에틸-m-톨루아미드(N,N-diethyl-m-toluamide) 또는 1-피페리딘카르복실산-2-(2-하이드록시에틸)-1-메틸프로필에스테르[1-piperidinecarboxylic acid-2-(2-hydroxyethyl)-1-methylpropyl ester]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코팅액은 상기 1차 코팅액이 분사되어 도포된 원사 상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2 코팅액은 원사로 제조되는 아동복에 우수한 내마모성, 난연 효과, 우수한 마찰, 물, 땀 견뢰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코팅액은 멜라민 수지, 천연 식물 농축 추출물, 미네랄 솔트 추출물, 1,3,5-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르산염(1,3,5-triglycidal isocyanurate), 도데칸디오익산 및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는 산화방지제, 조막형성제 및 고분자 비드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코팅액은 멜라민 수지 70 내지 130 중량부, 천연 식물 농축 추출물 15 내지 25 중량부, 미네랄 솔트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 1,3,5-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1,3,5-triglycidyl isocyanurate) 5 내지 10 중량부, 도데칸디오익산 2 내지 8 중량부 및 첨가제 20 내지 4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고, 상기 첨가제는 산화방지제 1 내지 3 중량부, 광안정제 1.5 내지 2.5 중량부, 조막형성제 0.5 내지 1.5 중량부 및 고분자 비드 5 내지 1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멜라민 수지는 35 내지 45℃ 온도하에서 멜라민 30 내지 40 중량부, 포름알데히드 20 내지 30 중량부, 물 10 내지 30 중량부, 디에틸렌글리콜 1 내지 3 중량부 및 수산화나트륨 1 내지 2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혼합 용액을 제조하여 상기 혼합 용액의 pH를 7.5 내지 8.0으로 조절한 후, 상기 혼합 용액을 93 내지 97℃의 온도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중합 반응시키고, 상기 중합된 반응물을 30 내지 35℃로 냉각하고 pH를 7.5 내지 7.8로 조절한 후 상기 냉각된 반응물에 상기 냉각된 반응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7 중량부의 (5-Ethyl-2-methyl-1,3,2-dioxaphosphorinan-5-yl)methyl dimethyl phosphonate P-oxide를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천연 식물 농축 추출물은 소나무, 잣나무 및 편백나무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천연 식물 농축 추출물은 상기 소나무, 잣나무 및 편백나무 파쇄목 100 중량부에 대해 정제수 1000 내지 2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액에 초음파를 가하되, 상기 혼합액에 가해지는 초음파는 50 내지 80KHz의 진동주파수에서 50 내지 100분 동안 100 내지 200와트(watt)의 출력을 이용하여 1차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나무, 잣나무 및 편백나무는 1:1:1의 중량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1차 추출물을 스팀발생기에 투입한 후, 상기 스팀발생기를 150 내지 2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소나무, 잣나무 및 편백나무의 유용 성분이 포함된 수증기를 생성시키고, 상기 생성된 수증기를 별도를 용기에 분리한 후 25 내지 35℃의 온도로 냉각함으로써 천연 식물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천연 식물 추출물에서 체(sieve) 등과 같은 공지의 거름망을 이용하여 상기 천연 식물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 고형분을 제거하고, 상기 미세 고형분이 제거된 천연 식물 추출물 2000 내지 3000g에 70%(v/v) 에탄올수용액 10~15ℓ로 85 내지 90℃에서 3~4시간 동안 1차 추출한 다음, 70%(v/v) 에탄올수용액 4~6ℓ로 85 내지 90℃에서 2~3시간 동안 2차 추출을 완료하고, 진공회전증발기에서 1000 내지 1500㎖이 될 때까지 추출액을 제조하며, 상기 추출액에 에탄올을 가하여 2 내지 3배 중량으로 희석하고, 18,000~20,000rpm에서 30 내지 4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기 소나무, 잣나무 및 편백나무로 이루어진 천연 식물 추출물에 포함될 수 있는 고분자 섬유소 및 고형분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모아진 상등액을 1.5~2.0배 중량의 아세트산으로 2회 추출함으로써 천연 식물 농축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미네랄 솔트 추출물(Mineral Salt or Sea Salt Extract)은 미네랄 솔트(Mineral Salt)로부터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상기 미네랄 솔트는 다이아몬드와 같은 결정구조를 하고 있는 등축정계에 속하는 광물이며, 화학성분은 염화나트륨(NaCl)이다. 상기 미네랄 솔트는 대부분 무색 투명하지만 노랑, 빨강, 파랑, 보라색을 띠기도 하며 조흔색은 백색이다.
상기 미네랄 솔트를 구성하는 염화나트륨은 동물에게 생리적으로 필수 불가결한 것으로 체액에 포함되어 체액의 삼투압을 조절하고, 염화나트륨의 구성 성분인 나트륨은 인산과 결합하여 완충물질로서 체액의 산염기 평형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미네랄 솔트는 섭취뿐만 아니라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도 인체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바, 피부의 천연 보습인자 성분인 요소(urea) 보다도 우수한 피부 보습력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기도 하였으며, 각종 피부트러블 완화(피부진정), 피부 노폐물 제거 및 각질제거, 여드름, 주름, 아토피 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미네랄 솔트 추출물은 하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미네랄 솔트 추출물이 이용될 수 있다.
먼저, 미네랄 솔트를 준비한 후 상기 미네랄 솔트를 일정한 입도로 분쇄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미네랄 솔트는 볼 밀링(ball milling) 장치와 같은 공지된 분쇄기를 이용하여 0.1 내지 100㎛의 입경을 가지고, 100 내지 300m2/g의 비표면적을 가지도록 분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분쇄된 미네랄 솔트를 가열하여 열처리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분쇄된 미네랄 솔트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미네랄 솔트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과 잔류 유기물을 제거할 수 있는데, 상기 분쇄된 미네랄 솔트의 가열은 1500 내지 1700℃의 온도에서 50 내지 100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열처리된 미네랄 솔트를 세척하여 상기 미네랄 솔트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열처리시 생성된 연소 잔류물들을 제거한 후, 상기 세척된 미네랄 솔트를 정제수에 침지시켜 숙성시킬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미네랄 솔트의 세척은 30 내지 50℃의 정제수로 상기 미네랄 솔트의 표면을 세척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고, 상기 미네랄 솔트의 숙성은 상기 세척된 미네랄 솔트 100 중량부에 대해 60 내지 80℃ 온도의 정제수 200 내지 3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5 내지 10일 동안 밀봉하여 보관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숙성된 미네랄 솔트 및 정제수의 혼합물에서 미네랄 솔트를 분리하여 제거한 후, 상기 정제수를 원심분리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정제수에는 미네랄 솔트의 유효성분들이 침출되어 있는데, 상기 정제수를 원심분리함으로써, 미네랄 솔트의 미세입자들이 위치하는 하층액과, 상기 하층액 상부에 위치하는 중층액 및 상층액으로 위치적으로 구분하여 분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원심분리된 정제수의 중층액 및 상층액을 분리한 후, 상기 중층액 및 상층액을 가열하여 미네랄 솔트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원심분리된 정제수의 중층액 및 상층액을 분리한 후, 140 내지 160℃ 온도의 열원으로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미네랄 솔트의 유효성분들이 침출되어 형성된 미네랄 솔트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1,3,5-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와 도데칸디오익산은 경화제로 사용되고, 상기 도데칸디오익산은 순도 99% 이상의 결정질 C9 내지 C12 이염기산을 사용하여 제조된 분자량 230 내지 280인 도데칸디오익산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와의 반응을 통해 부착력, 유연성, 내약품성, 내식성 등의 물성 확보가 가능하고, 높은 경도 등의 기계적 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3,5-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와 도데칸디오익산은 혼합하여 사용됨으로써 멜라민 수지와의 경화 반응을 시켜 기계적 및 화학적 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1,3,5-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는 유리 전이 온도(Tg)가 -20℃ 이하, 수 평균 분자량(Mn)이 1000 내지 15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테트라키스[메틸렌-3-(도데실티오)프로피오네이트]메탄을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산화방지제는 제2 코팅액에 포함되어 사용됨으로써, 자외선 차단 및 경화 도막의 라디칼 분해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조막형성제는 코팅액의 추가적인 저장 안정성 향상 및 균일한 막을 얻기 위한 최저온도(최저 조막온도 : MFFT)의 개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조막형성제로는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모노이소부티레이트(2,2,4-Trimethyl-1,3-Pentanediol monoisobutyrate)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비드는 흡수성 중합체로 상기 원사에 코팅되어 난연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데, 상기 고분자 비드는 하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고분자 비드가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아크릴산계 단량체, 친수성 첨가제, 발포제, 기포촉진제, 계면활성제 및 가교제가 일정한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용액을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혼합용액은 아크릴산계 단량체 100 내지 300 중량부, 친수성 첨가제 15 내지 35 중량부, 발포제 20 내지 40 중량부, 기포촉진제 10 내지 30 중량부, 계면활성제 1 내지 5 중량부 및 가교제 10 내지 2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산계 단량체는 흡수성 수지에 사용되는 통상의 단량체로, 음이온성 아크릴계 단량체와 그 염, 비이온성 아크릴계 단량체 및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단량체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2-메타아크릴로일에탄술폰산, 2-(메타)아크릴로일프로판술폰산, 2-(메타)아크릴아미드-2-메틸 프로판 술폰산, (메타)아크릴아미드, N-치환(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첨가제는 흡수성 중합체로 형성된 후 상기 흡수성 중합체 내에서 용출됨으로써, 상기 흡수성 중합체 내부에 미세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흡수성 중합체 내부에 형성된 미세 공간에 의해 수분의 흡수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첨가제는 소디움도데실설페이트, 인산염, 솔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솔비탄 모노팔미테이트, 솔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솔비탄 모노올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포제는 고분자 비드 내에 복수의 기공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발포제로는 탄산염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탄산마그네슘(magnesium carbonate),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탄산수소나트륨(sodium bicarbonate) 및 탄산나트륨(sodium carbonat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포촉진제는 상기 발포제의 발포를 촉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기포촉진제로는 알루미늄 설페이트, 알루미늄 클로라이드, 알루미늄 락테이트, 알루미늄 옥살산 및 알루미늄 시트르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발포제 및 기포촉진제로 인해 안정적인 기포 발생을 유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폴리디메틸실록세인(polydimethylsiloxane) 골격에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등의 폴리에테르 측쇄가 결합되어 있는 구조의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Xiameter(R)의 OFX-0190 Fluid (PEG/PPG-18/18 Dimethicone)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고분자 비드의 흡수속도 및 수분을 흡수하여 팽윤된 상태에서의 안정된 겔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가교제로는 N,N'-메틸렌비스(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옥시(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프로필렌옥시(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아크릴산계 단량체, 친수성 첨가제, 발포제, 기포촉진제, 계면활성제 및 가교제가 혼합된 혼합용액에 정제수를 첨가한 후 교반할 수 있다.
상기 정제수는 아크릴산계 단량체, 친수성 첨가제, 발포제, 기포촉진제, 계면활성제 및 가교제를 분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정제수는 혼합용액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50 내지 100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정제수가 혼합된 혼합용액에 중합개시제를 첨가하여 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중합개시제는 상기 정제수가 혼합된 혼합용액의 반응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중합개시제로는 과황산나트륨(Sodium persulfate),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 및 과황산암모늄(Ammonium persulfat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중합체를 건조한 후 분쇄하여 파우더 형태의 고분자 비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중합체의 건조는 130 내지 135℃의 온도에서 수행되고, 상기 건조된 중합체의 분쇄는 핀 밀(pin mill), 해머 밀(hammer mill), 스크류 밀(screw mill) 등과 같은 분쇄기를 이용하여 입경이 10 내지 200nm가 되도록 분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동복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
아동복을 제조하는 원사 100 중량부에 대해 1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제1 코팅액을 상기 원사에 분무한 후, 77 내지 78℃의 온도에서 5시간 동안 건조하여 코팅하고, 상기 제1 코팅액이 코팅된 원사 100 중량부에 대해 1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제2 코팅액을 분무한 후, 75 내지 77℃의 온도에서 7시간 동안 건조하여 코팅함으로써, 아동복용 원사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제1 코팅액은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40 중량부, 반응성 단량체 15 중량부, 계면활성제 1.0 중량부, 물 30 중량부, 가교제 4 중량부, 중합개시제 1.0 중량부, 젖산(Latic Acid) 3 중량부, 소르빈산(Sorbic Acid) 2 중량부, 무수 구연산(Citric Acid Anhydrous) 10 중량부, 글리세린(Glycerin) 20 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 15 중량부, 발열 미립자 15 중량부 및 항충제 0.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제2 코팅액은 멜라민 수지 100 중량부, 천연 식물 농축 추출물 20 중량부, 미네랄 솔트 추출물 7 중량부, 1,3,5-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1,3,5-triglycidyl isocyanurate) 8 중량부, 도데칸디오익산 5 중량부 및 첨가제 3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고, 상기 첨가제는 산화방지제 2 중량부, 광안정제 2.0 중량부, 조막형성제 1.0 중량부 및 고분자 비드 4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 비교예 >
아동복에 이용되는 원사를 준비하였고, 이를 비교예에 따른 아동복용 원사로 사용하였다.
1. 탈취 시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아동복원 원사를 이용하여 암모니아의 시험가스 및 FTIR을 이용한 가스농도측정에 의해 탈취 시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경과시간(분) 비교예 농도(ppm) 실시예 농도(ppm)
탈취시험 30 450 185
90 430 142
150 418 113
300 410 95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암모니아의 시험가스 및 FTIR을 이용한 가스농도측정에 의해 얻어진 탈취시험 결과이며, 실시예에 따른 아동복용 원사는 시간이 지날수록 탈취율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2. 항균 시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아동복용 원사를 이용하여 사용균주 Escherichia coil ATCC 25922 및 Pseudomonas aeruginosa ATCC 15442을 이용하여 항균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시료 구분 초기농도 48시간 후 농도(CFU/40p)
대장균에 의한 시험 비교예 480 915
실시예 480 225
녹동균에 의한 시험 비교예 350 765
실시예 350 205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아동복용 원사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세균이 증가하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른 아동복용 원사는 세균이 감소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아동복용 원사는 항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농도의 단위 중 CFU는 Colony Forming Unit를 의미하며 40p는 0.04mL를 의미한다.
3. 보온성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아동복용 원사로 제조된 아동복을 이용하여 보온성 평가 시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조건: 하기의 순서대로 보온성 평가실험을 수행하였다.
1) 실험실 온도 : (20±1)℃
2) 실험실에서 아동복의 온도가 같아지도록 안정화하였다.
3) 500W의 전구(형광등)를 아동복과 25cm 떨어진 거리에서 점등하여 아동복의 보온성을 유도하였다.
4) 총 시간은 60분으로 하였고, 10분 간격으로 촬영하였다.
5)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아동복 내측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였다.
아동복 내측의 표면 온도
시간(분) 실시예 비교예
0 20.5 20.5
10 25.2 21.3
20 29.1 22.1
30 32.5 23.3
40 35.9 24.5
50 39.3 25.2
60 41.2 26.5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아동복 내측의 표면 온도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아동복 내측에 비하여 온도가 상승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진드기 기피성 시험(항충 효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아동복과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아동복의 진드기 기피성 시험을 수행하였고, 상기 진드기 기피성 시험은 시험관법(단위 : 진드기수/g)을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초기 진드기수 진드기 생존수 기피율(%)
D.farinae D.pteronyssinus D.farinae D.pteronyssinus D.farinae D.pteronyssinus
비교예 4.2 ×104 4.3 ×104 6.2 ×105 6.5 ×105 - -
실시예 4.1 ×104 4.4 ×104 0 0 99.9 99.9
상기 [표 4]는 한국소비과학연구센터에서 시행한 진드기 기피성 시험 결과이며, 사용 공시충 큰다리 먼지 진드기(D.farinae) 및 세로무늬 먼지 진드기 (D.pteronyssinus)에 대해 시험관법에서 모두 99.9%의 기피율을 나타내어 진드기 억제에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4)

  1. 원사 100 중량부에 대해 10 내지 2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제1 코팅액을 상기 원사에 분무한 후, 75 내지 80℃의 온도에서 3 내지 7시간 동안 건조하여 코팅하고, 상기 제1 코팅액이 코팅된 원사 100 중량부에 대해 5 내지 1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제2 코팅액을 분무한 후, 70 내지 80℃의 온도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하여 코팅함으로써 제조되되,
    상기 제1 코팅액은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반응성 단량체, 계면활성제, 물, 가교제, 중합개시제, 젖산(Latic Acid), 소르빈산(Sorbic Acid), 무수 구연산(Citric Acid Anhydrous), 글리세린(Glycerin),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 발열 미립자 및 항충제가 혼합되어 제조되고,
    상기 제2 코팅액은 멜라민 수지, 천연 식물 농축 추출물, 미네랄 솔트 추출물, 1,3,5-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르산염(1,3,5-triglycidal isocyanurate), 도데칸디오익산 및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는 산화방지제, 조막형성제 및 고분자 비드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복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팅액은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30 내지 50 중량부, 반응성 단량체 10 내지 20 중량부, 계면활성제 0.5 내지 1.5 중량부, 물 20 내지 40 중량부, 가교제 2 내지 5 중량부, 중합개시제 0.1 내지 1.5 중량부, 젖산(Latic Acid) 2 내지 5 중량부, 소르빈산(Sorbic Acid) 1 내지 3 중량부, 무수 구연산(Citric Acid Anhydrous) 7 내지 13 중량부, 글리세린(Glycerin) 15 내지 25 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 10 내지 20 중량부, 발열 미립자 10 내지 20 중량부 및 항충제 0.1 내지 0.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코팅액은 멜라민 수지 70 내지 130 중량부, 천연 식물 농축 추출물 15 내지 25 중량부, 미네랄 솔트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 1,3,5-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1,3,5-triglycidyl isocyanurate) 5 내지 10 중량부, 도데칸디오익산 2 내지 8 중량부 및 첨가제 20 내지 4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고, 상기 첨가제는 산화방지제 1 내지 3 중량부, 광안정제 1.5 내지 2.5 중량부, 조막형성제 0.5 내지 1.5 중량부 및 고분자 비드 5 내지 1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복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팅액에서 상기 발열 미립자는, 금속산화물 10 내지 20 중량부, 열전도성 고분자 2 내지 6 중량부, 광촉매 1 내지 3 중량부 및 바인더 10 내지 20 중량부를 준비한 후 혼합하고 건조하여 제조되되, 상기 금속산화물은 불소가 도핑된 산화주석(FTO), 산화인듐주석(ITO) 및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AZO)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되며, 상기 열전도성 고분자는 45 중량%의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42 중량%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13 중량%의 카본계 열전도성 필러를 포함하여 제조되되,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비스페놀-A를 기반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가 사용되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에틸렌옥텐 고무(EOR),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 및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되며, 상기 카본계 열전도성 필러는 그라파이트(graphite)가 사용되고, 상기 광촉매는 이산화망간(MnO2), 이산화규소(SiO2) 및 이산화티탄(TiO2)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되며,
    상기 제1 코팅액에서 상기 항충제로는 알레트린(Allethrin), 바이펜트린(Bifenthrin), 사이할로트린(Cyhalothrin) 및 사이페르메트린(Cypermethr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되고,
    상기 제2 코팅액에서 상기 천연 식물 농축 추출물은, 소나무, 잣나무 및 편백나무 파쇄목 100 중량부에 대해 정제수 1000 내지 2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액에 초음파를 가하되, 상기 혼합액에 가해지는 초음파는 50 내지 80KHz의 진동주파수에서 50 내지 100분 동안 100 내지 200와트(watt)의 출력을 이용하여 1차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소나무, 잣나무 및 편백나무는 1:1:1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며, 상기 1차 추출물을 스팀발생기에 투입한 후, 상기 스팀발생기를 150 내지 2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소나무, 잣나무 및 편백나무의 수증기를 생성시키고, 상기 생성된 수증기를 별도를 용기에 분리한 후 25 내지 35℃의 온도로 냉각함으로써 천연 식물 추출물을 제조하며, 상기 천연 식물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고형분을 제거하고, 상기 고형분이 제거된 천연 식물 추출물 2000 내지 3000g에 70%(v/v) 에탄올수용액 10~15ℓ로 85 내지 90℃에서 3~4시간 동안 1차 추출한 다음, 70%(v/v) 에탄올수용액 4~6ℓ로 85 내지 90℃에서 2~3시간 동안 2차 추출을 완료하고, 진공회전증발기에서 1000 내지 1500㎖이 될 때까지 추출액을 제조하며, 상기 추출액에 에탄올을 가하여 2 내지 3배 중량으로 희석하고, 18,000~20,000rpm에서 30 내지 4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기 천연 식물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고분자 섬유소 및 고형분을 제거한 다음, 모아진 상등액을 1.5~2.0배 중량의 아세트산으로 2회 추출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복의 제조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복.
KR1020190072575A 2019-06-19 2019-06-19 아동복 및 그 제조방법 KR102131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575A KR102131608B1 (ko) 2019-06-19 2019-06-19 아동복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575A KR102131608B1 (ko) 2019-06-19 2019-06-19 아동복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400A KR20190143400A (ko) 2019-12-30
KR102131608B1 true KR102131608B1 (ko) 2020-07-10

Family

ID=69103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575A KR102131608B1 (ko) 2019-06-19 2019-06-19 아동복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6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37881B (zh) * 2020-05-06 2023-09-01 江苏润普食品科技股份有限公司 光高效催化异构化制备山梨酸的方法
KR102409854B1 (ko) * 2022-02-23 2022-06-17 (주)네오피에스 냉감 및 흡한속건 기능성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46427B1 (ko) * 2022-02-23 2022-09-23 (주)네오피에스 유해물질 대체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4773A (ja) 2003-12-22 2007-08-30 ビーエーエスエフ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有害生物に対する保護活性を付与する繊維、織物及び網製品の含浸用の組成物
KR101579582B1 (ko) 2015-05-29 2016-01-04 주식회사 만경 유해물질 제거 및 차단을 위한 섬유용 코팅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코팅된 원단
KR101602622B1 (ko) 2014-03-27 2016-03-11 (주)부성텍스텍 원사 코팅제, 원사 코팅제 제조방법, 코팅 원사 및 코팅 원사를 포함한 원단
KR101822141B1 (ko) 2017-01-11 2018-01-25 (주)재화 기능성 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섬유
KR101940692B1 (ko) 2018-07-10 2019-01-21 (주) 대영하이텍 화재용 안전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734B1 (ko) 2001-02-02 2003-12-11 류사현 어린이용 의복
KR102055931B1 (ko) * 2014-11-26 2019-12-1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고흡수성 실의 제조방법
KR101910154B1 (ko) 2018-03-02 2018-10-19 박옥희 아동복용 기능성 원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4773A (ja) 2003-12-22 2007-08-30 ビーエーエスエフ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有害生物に対する保護活性を付与する繊維、織物及び網製品の含浸用の組成物
KR101602622B1 (ko) 2014-03-27 2016-03-11 (주)부성텍스텍 원사 코팅제, 원사 코팅제 제조방법, 코팅 원사 및 코팅 원사를 포함한 원단
KR101579582B1 (ko) 2015-05-29 2016-01-04 주식회사 만경 유해물질 제거 및 차단을 위한 섬유용 코팅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코팅된 원단
KR101822141B1 (ko) 2017-01-11 2018-01-25 (주)재화 기능성 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섬유
KR101940692B1 (ko) 2018-07-10 2019-01-21 (주) 대영하이텍 화재용 안전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400A (ko) 201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1608B1 (ko) 아동복 및 그 제조방법
KR102079360B1 (ko) 여성 의류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970536B1 (ko) 멀칭지용 생분해성 코팅조성물 및 멀칭지
KR101610679B1 (ko) 인조잔디용 친환경 충진재와 그 제조방법
CN106221614A (zh) 一种氯丁胶粘剂及其制备方法
WO2007052587A1 (ja) 剥離性被膜形成用水性ディスパージョン組成物
JP3623008B2 (ja) 屋外構築物用フイルム
CN112812402A (zh) 一种鲜切果蔬防雾抗菌保鲜膜及其制备方法
CN111165235A (zh) 光催化喷雾型防虫抗菌保鲜液及其制备方法
Russo et al. Alginate/Polyvinylalcohol Blends for Agricultural Applications: Structure‐Properties Correlation, Mechanical Properties and Greenhouse Effect Evaluation
KR102078545B1 (ko) 훈련용 기모 장갑 및 그 제조방법
Lv et al. Lignin-based anti-UV functional materials: recent advances in preparation and application
CN107627689A (zh) 一种生物质超细纤维合成革
CN101481585A (zh) 电气石光油及其制备方法
KR101983910B1 (ko) 항균성이 우수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DE102010047379A1 (de) Wasser aufnehmende und Wasser speichernde Pfropfpolymer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CN101020332A (zh) 用天然物质抗菌药剂处理的抗菌木质地板及其生产方法
KR102078544B1 (ko) 기능성 작업용 면장갑 및 그 제조방법
CN111132652B (zh) 受控释放聚合物包封的香料
TWI596170B (zh) Plant sterilization deworming functional interior latex paint
JPH10237320A (ja) 抗菌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抗菌性樹脂成形品
EP3629732A1 (en) Use of natural oil in polymers for disinfecting purposes
CN107936507A (zh) 抑制杂草生长的地膜及其制备方法
KR102293542B1 (ko) 식품 포장 비닐 및 용기 제조용 조성물
JPH10279794A (ja) 抗菌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