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823B1 - 와이어 커넥터 - Google Patents

와이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823B1
KR102130823B1 KR1020190070898A KR20190070898A KR102130823B1 KR 102130823 B1 KR102130823 B1 KR 102130823B1 KR 1020190070898 A KR1020190070898 A KR 1020190070898A KR 20190070898 A KR20190070898 A KR 20190070898A KR 102130823 B1 KR102130823 B1 KR 102130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e connector
wire connection
present
connec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필
박재원
Original Assignee
오리엔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리엔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리엔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0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823B1/ko
Priority to PCT/KR2019/009479 priority patent/WO2020251111A1/ko
Priority to US17/618,749 priority patent/US2022026325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2End caps, i.e. of insulating or conductive material for covering or maintaining connections between wires entering the cap from the same e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2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twis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 H01R4/72Insulation of connections using a heat shrinking insulating sleeve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커넥터를 공개한다. 이 장치는 외주면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된 캡 형상으로, 회전을 통해 내부에 삽입된 복수개의 결선 대상 전선의 탈피된 부분을 내장된 금속 인서트에 의해 꽈배기 형상으로 결선시키는 와이어 결선부; 및 중공형 원통 형상으로, 일측이 상기 와이어 결선부의 하부 외주면에 일체형으로 부착되고, 타측을 통해 상기 복수개의 결선 대상 전선이 삽입되어 가열 시 수축하는 본드형 열수축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종래에 절연 테이프를 사용하여 피복하는 방식에서 야기되는 번거로움과, 절연 테이프의 노후로 인한 전선의 부식 및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전기적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전선의 연결된 부분이 노후 되거나 와이어 결선부의 하부 직경이 삽입되는 전선들의 직경보다 많이 크더라도, 본드형 열수축 튜브의 높은 수축률로 전선을 완벽히 고정시키고 밀봉시킴으로써 온도 변화, 진동과 같은 외부 환경에 의해 전선의 연결된 부분이 커넥터에서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어 커넥터{wire connector}
본 발명은 와이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주면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된 와이어 결선부의 회전을 통해 내부에 삽입된 전선의 탈피된 부분에 대하여 결선 마감이 확실하게 되도록 하고, 수축률이 높은 본드형 열수축 튜브를 통해 전선의 탈피되지 않은 부분을 와이어 결선부 하부와 빈틈이 없게 밀봉할 수 있는 와이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제품이나 전기 공사 시에 절단된 전선을 연결하는 방법으로는 절단된 전선의 외측을 감싸고 있는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된 피복의 일부분을 탈피한 후 결속하고자 하는 전선의 탈피된 부분을 꼬아서 결선하거나, 별도의 결선 부재를 이용하여 결선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결선되는 전선의 탈피된 부분은 전류가 흐르는 도체이기 때문에 감전 및 합선 등의 사고가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절연 테이프를 사용하여 탈피된 부분을 감싸 절연시켜 피복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피복할 때, 전선의 탈피된 부분에 일일이 절연 테이프를 감아서 피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오랜 사용으로 절연 테이프가 노후 되면 테이프 일부분이 벗겨져 전선이 부식되거나 방수에 취약한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 와이어 커넥터를 이용하여 결속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와이어 커넥터는 전선의 탈피된 부분을 삽입할 수 있는 금속 물질의 사각 형태의 테이퍼 코일 금속 인서트와 상기 금속 인서트를 감싸는 합성수지 절연 물질로 형성된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또한, 와이어 커넥터의 내부에 결속하고자 하는 전선의 탈피된 부분을 와이어 커넥터에 삽입하고 회전시키면 전선의 탈피된 부분이 금속 인서트에 의해 꼬아지고 결선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와이어 커넥터는 결속된 다수개의 전선의 결속력이 약하기 때문에 쉽게 빠지거나, 개구부에 이물질(수분, 먼지 등)의 유입으로 합선, 접촉 불량, 누전 등의 전기적 문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전선의 연결된 부분이 온도 변화, 진동과 같은 외부 환경에 의해 전선의 연결된 부분이 헐거워져서 와이어 커넥터에서 빠지는 현상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진다.
한편, 최근에 결선된 전선의 절연용으로 사용되는 열수축 튜브는 두께가 얇아 충분한 절연층의 확보가 어렵고, 외부 힘 또는 마찰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어려우며, 수분 및 습기로부터 전선 결선부를 보호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또한, 난연 등급이 낮아 수축 작업 시 토치 사용이 어려워 열풍기를 사용해야 하는 제한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와이어 커넥터 내부에 삽입된 전선의 탈피된 부분에 대하여 결선 마감을 확실하게 하고, 전선의 탈피되지 않은 부분을 와이어 커넥터 외주면과 밀봉할 수 있는 본드형 열수축 튜브를 제공함으로써 전선 빠짐, 부식, 수분 침투를 방지하여 결선된 전선을 절연하고 밀봉할 수 있는 와이어 커넥터를 착안하기에 이르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1999-0035413호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전선 피복의 일부분을 탈피하여 결속하는 와이어 커넥터에 있어서, 외주면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된 와이어 결선부의 회전을 통해 내부에 삽입된 전선의 탈피된 부분에 대하여 결선 마감이 확실하게 되도록 하고, 수축률이 높은 본드형 열수축 튜브를 통해 전선의 탈피되지 않은 부분을 와이어 결선부 하부와 빈틈이 없게 밀봉할 수 있는 와이어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와이어 커넥터는 외주면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된 캡 형상으로, 회전을 통해 내부에 삽입된 복수개의 결선 대상 전선의 탈피된 부분을 내장된 금속 인서트에 의해 꽈배기 형상으로 결선시키는 와이어 결선부; 및 중공형 원통 형상으로, 일측이 상기 와이어 결선부의 하부 외주면에 일체형으로 부착되고, 타측을 통해 상기 복수개의 결선 대상 전선이 삽입되어 가열 시 수축하는 본드형 열수축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와이어 커넥터의 상기 와이어 결선부는 폐쇄된 상측면보다 개방된 하측부의 반경이 더 큰 테이퍼형 원통 형상의 형태로서, 하측부에 상기 복수개의 결선 대상 전선이 삽입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외부면이 나사 형상인 중공의 테이퍼형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탈피된 부분이 삽입 및 결선되는 상기 금속 인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와이어 커넥터의 상기 하우징은 플라스틱 또는 세라믹 소재인 절연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와이어 커넥터의 상기 하우징은 상기 탈피된 부분이 상기 와이어 결선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탈피된 부분을 꽈배기 형상으로 결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와이어 커넥터의 상기 금속 인서트는 테이퍼 코일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결속부의 회전을 통해 상기 탈피된 부분을 꼬아주고 내부에서 결선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와이어 커넥터의 상기 금속 인서트는 재질이 강철, 구리를 포함하는 전기 전도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와이어 커넥터의 상기 본드형 열수축 튜브는 상기 결선 대상 전선의 탈피되지 않은 부분 중 상기 와이어 결선부 하부와 연결되는 부분이 소정의 열원으로 가열하여 수축되며, 상기 탈피되지 않은 부분을 상기 와이어 결선부 하부와 밀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와이어 커넥터의 상기 소정의 열원은 토치, 열풍기 및 휴대용 터보 라이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와이어 커넥터의 상기 본드형 열수축 튜브는 수축률이 3:1 내지 6: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와이어 커넥터의 상기 본드형 열수축 튜브는 외측면의 재질이 폴리올레핀(PO),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연화비닐(PVC) 중 어느 하나로서, 방사선 조사 가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와이어 커넥터의 상기 본드형 열수축 튜브는 내측면의 재질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계 접착제, 폴리아마이드(Polyamide, PA)계 접착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종래에 절연 테이프를 사용하여 피복하는 방식에서 야기되는 번거로움과, 절연 테이프의 노후로 인한 전선의 부식 및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전기적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전선의 연결된 부분이 노후 되거나 와이어 결선부의 하부 직경이 삽입되는 전선들의 직경보다 많이 크더라도, 본드형 열수축 튜브의 높은 수축률 때문에 기상이나 이동 등의 이유로 진동이나 흔들림에 의해 전선의 연결된 부분이 커넥터에서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와이어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와이어 커넥터 내 와이어 결선부(100)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와이어 커넥터의 부분 절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와이어 커넥터를 종래 기술과 비교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와이어 커넥터를 이용하여 2개의 전선을 결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의 외부 사시도로서, 와이어 결선부(100) 및 본드형 열수축 튜브(200)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와이어 커넥터의 정면도로서, 와이어 결선부(100) 및 본드형 열수축 튜브(200)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와이어 커넥터 내 와이어 결선부(100)의 확대 단면도로서, 하우징(110) 및 금속 인서트(12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의 각 구성요소의 구성 및 기능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와이어 결선부(Twist on wire connector, 100)는 외주면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된 캡 형상으로, 회전을 통해 내부에 삽입된 복수개의 결선 대상 전선의 탈피된 부분(55)을 결선하여 꽈배기 형상으로 결선시킨다.
즉, 와이어 결선부(100) 내 하우징(110)은 폐쇄된 상측면보다 개방된 하측부의 반경이 더 큰 테이퍼형(tapered) 원통 형상의 형태로서, 하측부에 탈피된 복수개의 전선이 삽입되고, 금속 인서트(120)는 하우징(110) 내부에 위치하고, 외부면이 나사 형상인 중공의 테이퍼형 원통 형태로 형성된다.
본드형 열수축 튜브(Adhesive-lined heat shrink tubing, 200)는 중공형 원통 형상으로, 일측이 와이어 결선부(100)의 하부 외주면에 일체형으로 부착되고, 타측을 통해 복수개의 결선 대상 전선이 삽입되어 가열 시 수축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와이어 커넥터의 부분 절개도로서, 하우징(110), 금속 인서트(120), 결선 대상 전선의 탈피되지 않은 부분(50) 및 탈피된 부분(55)을 포함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와이어 커넥터를 종래 기술과 비교하기 위한 사진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결선이 완료된 상태(a), 종래의 절연 테이프를 사용하여 결선이 완료된 상태(b), 종래의 와이어 커넥터 만을 사용하여 결선이 완료된 상태(c)를 나타낸다.
도 5에서, (a)는 결선 대상 전선의 탈피되지 않은 부분(50), 와이어 결선부(100) 및 본드형 열수축 튜브(200)를 포함하고, (b)는 와이어 커넥터(10), 절연 테이프(20) 및 결선 대상 전선의 탈피되지 않은 부분(50)을 포함하며, (c)는 와이어 커넥터(10) 및 결선 대상 전선의 탈피되지 않은 부분(50)을 포함한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와이어 커넥터를 이용하여 2개의 전선을 결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으로서, 휴대용 터보 라이터(30), 결선 대상 전선의 탈피되지 않은 부분(50)과 탈피된 부분(55), 와이어 결선부(100) 및 본드형 열수축 튜브(20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를 이용하여 결선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와이어 커넥터는 와이어 결선부(100) 및 본드형 열수축 튜브(200)를 포함하고, 와이어 결선부(100)는 하우징(110)과 금속 인서트(12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플라스틱 또는 세라믹 등과 같은 절연 물질로 형성되며, 폐쇄된 상측면보다 개방된 하측부의 반경이 더 큰 테이퍼형 원통 형상의 형태로서, 하측부에 탈피된 복수개의 전선이 삽입된다.
또한, 하우징(110)의 외주면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회전시키기에 용이하도록 톱니 형상의 홈이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110) 내부에는 강철(steel), 구리(Copper)와 같은 금속 등의 전기 전도 물질로 형성되고 외부면이 나사 형상인 테이퍼형 원통 형태의 금속 인서트(120)가 구비되어 있다.
즉, 금속 인서트(120)는 테이퍼 코일형(tapered coiled type)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결선하고자 하는 전선의 탈피된 부분(55)이 삽입된 후에, 사용자가 하우징(110)를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4에서와 같이 금속 인서트(120)에 의해 내측으로 당겨지고 꼬아지면서 결선되게 된다.
이때, 하우징(110)은 금속 재질의 금속 인서트(120)를 감싸는 형태로 절연 물질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류가 흐르는 전선이 고정되는 금속 재질의 금속 인서트(120)에 의해 감전 사고의 발생이나 합선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결선하고자 하는 복수개의 전선의 일부분의 피복을 탈피한 후 와이어 결선부(100)에 삽입하기 전에 탈피된 부분(55)을 미리 꼬거나, 납땜 등을 통하여 단순 결선할 필요 없이, 전선의 탈피된 부분(55)이 와이어 결선부(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와이어 결선부(100)를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결선 대상 전선의 탈피된 부분(55)이 견고하게 결선되게 된다.
한편, 본드형 열수축 튜브(200)는 일측이 와이어 결선부(100) 하부 외주면에 일체형으로 부착되고, 타측을 통해 결선 대상 전선이 삽입되어 일측까지 관통될 수 있도록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드형 열수축 튜브(200)는 최소 수축 온도가 120 °C 이고, 수축률은 3:1 내지 6:1, 즉 33.3 내지 16.7 %이며, 외주면에는 본 발명의 제품 명칭이 인쇄된다.
본드형 열수축 튜브(200)는 외측면과 내측면으로 구성되는데, 외측면은 재질이 폴리올레핀(PO),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연화비닐(PVC) 중 어느 하나로서, 방사선 조사 가교된 것이 사용된다.
한편, 본드형 열수축 튜브(200)의 내측면은 접착제(Adhesive) 재질로서,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계 접착제, 폴리아마이드(Polyamide, PA)계 접착제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
본드형 열수축 튜브(200)는 소정의 열원을 사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가열되어 열 수축함으로써, 전선의 탈피되지 않은 부분(50)을 와이어 결선부(100) 하부와 빈틈이 없게 밀봉되어 방수를 보장하고 결선 대상 전선의 탈피된 부분(55)의 부식을 예방한다.
반면, 도 5(b)에서와 같이, 종래의 절연 테이프(20)를 사용하여 결선이 완료된 경우, 오랜 사용으로 절연 테이프(20)가 노후 되면 테이프 일부분이 벗겨져 와이어 커넥터(10)와 결선 대상 전선 사이에 수분이 침투하여 와이어 커넥터(10) 내에 결선되어 있는 전선의 탈피된 부분이 부식될 수 있다.
또한, 도 5(c)에서와 같이, 종래의 와이어 커넥터(10) 만을 사용하여 결선이 완료된 경우, 와이어 커넥터(10) 개구부에 수분, 먼지 등의 이물질 유입으로 합선, 접촉 불량, 누전 등의 전기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와이어 커넥터(10) 내에 결선되어 있던 부분이 노후 되면, 진동, 흔들림, 이동 등의 원인에 의해 와이어 커넥터(10)에서 쉽게 빠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를 이용하여 결선하는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6에서와 같이, 결선하고자 하는 전선들의 피복을 소정의 길이만큼 탈피한다.
여기에서, 소정의 길이는 와이어 결선부(100) 수직 길이의 70 내지 80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미만일 때는 결선되는 전선이 외부의 진동이나 흔들림에 커넥터에서 빠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일 때는 탈피된 전선이 와이어 결선부(100) 외부로 노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7에서와 같이, 탈피된 복수개의 전선을 와이어 결선부(100) 내부로 삽입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개의 전선을 2개로 예시한다.
도 8에서와 같이, 한 손에는 2개 전선의 탈피되지 않은 부분(50)을, 다른 한 손으로는 와이어 결선부(100)를 잡고 전선이 꼬아지도록 시계 방향으로 돌려 와이어 결선부(100)가 더 이상 돌아가지 않을 때까지 돌려준다
이때, 와이어 결선부(100)의 금속 인서트(120)의 내부에 삽입된 결선 대상 전선의 탈피된 부분(55)이 도 4에서와 같이 금속 인서트(120) 내부에서 꽈배기 형상으로 꼬여 견고하게 결선된다.
와이어 결선부(100) 내에서 결선 대상 전선이 견고하게 결선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전선을 당겨 전선 빠짐을 확인한다.
도 9에서와 같이, 소정의 열원을 사용하여 본드형 열수축 튜브(200) 부분을 일정 시간 동안 가열한다.
여기에서, 소정의 열원은 가열 온도가 최소 120 °C 이상인 열풍기, 휴대용 토치, 또는 휴대용 터보 라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수축 튜브가 난연성이 우수하여 열원에 의한 손상이 적어, 가열 후 완성도가 높기 때문이다.
다만, 와이어 결선부(100)의 재질이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서 수축 튜브만큼의 난연성이 있지 않으므로, 도 10에서와 같이, 와이어 결선부(100) 부분을 제외한 수축 튜브 부분만 가열해야 함에 유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결선하고자 하는 2개의 전선의 탈피된 부분(55)이 와이어 결선부(100) 내에서 견고하게 결선되고, 도 11에서와 같이 본드형 열수축 튜브를 통해 전선의 탈피되지 않은 부분(50)이 와이어 결선부(100) 하부와 밀봉되어 안전성 높은 전선 결선 작업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공정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와이어 커넥터는 주거용, 상업용, 산업용 등 다양한 유형의 건설 현장 전기 배선 작업과 가전 제품, 조명, 주방 설비 같은 고정 장치의 전선 연결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개의 전선 피복의 일부분을 탈피하여 결속하는 와이어 커넥터에 있어서, 외주면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된 와이어 결선부의 회전을 통해 내부에 삽입된 전선의 탈피된 부분에 대하여 결선 마감이 확실하게 되도록 하고, 수축률이 높은 본드형 열수축 튜브를 통해 전선의 탈피되지 않은 부분을 와이어 결선부 하부와 빈틈이 없게 밀봉할 수 있는 와이어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종래에 절연 테이프를 사용하여 피복하는 방식에서 야기되는 번거로움과, 절연 테이프의 노후로 인한 전선의 부식 및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전기적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전선의 연결된 부분이 노후 되거나 와이어 결선부의 하부 직경이 삽입되는 전선들의 직경보다 많이 크더라도, 본드형 열수축 튜브의 높은 수축률 때문에 기상이나 이동 등의 이유로 진동이나 흔들림에 의해 전선의 연결된 부분이 커넥터에서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100 : 와이어 결선부
110 : 하우징
120 : 금속 인서트
200 : 본드형 열수축 튜브

Claims (11)

  1. 외주면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된 캡 형상으로, 회전을 통해 내부에 삽입된 복수개의 결선 대상 전선의 탈피된 부분을 내장된 금속 인서트에 의해 꽈배기 형상으로 결선시키는 와이어 결선부; 및
    중공형 원통 형상으로, 일측이 상기 와이어 결선부의 하부 외주면에 일체형으로 부착되고, 타측을 통해 상기 복수개의 결선 대상 전선이 삽입되어 가열 시 수축하는 본드형 열수축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본드형 열수축 튜브는
    수축률이 3:1 내지 6:1로서,
    외측면의 재질이 폴리올레핀(PO),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연화비닐(PVC) 중 어느 하나로서, 방사선 조사 가교되며,
    내측면의 재질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계 접착제, 폴리아마이드(Polyamide, PA)계 접착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가열 시 연화되어 상기 복수개의 결선 대상 전선 사이로 스며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결선부는
    폐쇄된 상측면보다 개방된 하측부의 반경이 더 큰 테이퍼형 원통 형상의 형태로서, 하측부에 상기 복수개의 결선 대상 전선이 삽입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외부면이 나사 형상인 중공의 테이퍼형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탈피된 부분이 삽입 및 결선되는 상기 금속 인서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플라스틱 또는 세라믹 소재인 절연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넥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탈피된 부분이 상기 와이어 결선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탈피된 부분을 꽈배기 형상으로 결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인서트는
    테이퍼 코일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결선부의 회전을 통해 상기 탈피된 부분을 꼬아주고 내부에서 결선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넥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인서트는
    재질이 강철, 구리를 포함하는 전기 전도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넥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드형 열수축 튜브는
    상기 결선 대상 전선의 탈피되지 않은 부분 중 상기 와이어 결선부 하부와 연결되는 부분이 소정의 열원으로 가열하여 수축되며, 상기 탈피되지 않은 부분을 상기 와이어 결선부 하부와 밀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열원은
    토치, 열풍기 및 휴대용 터보 라이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넥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90070898A 2019-06-14 2019-06-14 와이어 커넥터 KR102130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898A KR102130823B1 (ko) 2019-06-14 2019-06-14 와이어 커넥터
PCT/KR2019/009479 WO2020251111A1 (ko) 2019-06-14 2019-07-30 와이어 커넥터
US17/618,749 US20220263255A1 (en) 2019-06-14 2019-07-30 Wire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898A KR102130823B1 (ko) 2019-06-14 2019-06-14 와이어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0823B1 true KR102130823B1 (ko) 2020-07-08

Family

ID=71599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898A KR102130823B1 (ko) 2019-06-14 2019-06-14 와이어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263255A1 (ko)
KR (1) KR102130823B1 (ko)
WO (1) WO2020251111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413A (ko) 1997-10-31 1999-05-15 양재신 배선 커넥터 커플링장치
US6478606B1 (en) * 2000-01-11 2002-11-12 Mcnerney Gerald Twist-on connector with a heat-shrinkable skirt
JP2016021804A (ja) * 2014-07-14 2016-02-04 住友電工ファインポリマー株式会社 熱収縮チューブ及び熱収縮キャップ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35833A1 (en) * 1983-11-08 1987-09-09 Raychem Limited Device for connecing elongate objects
DE3631769A1 (de) * 1986-09-18 1988-04-07 Dsg Schrumpfschlau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laengswasserabdichten vieladriger kabelbuendel
US5132494A (en) * 1991-03-01 1992-07-2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ual durometer twist-on connector
US5627343A (en) * 1994-08-03 1997-05-06 Xl Technologies, Inc. Re-enterable conduit sealing assembly
WO2006129477A1 (ja) * 2005-06-02 2006-12-07 Sumitomo Wiring Systems, Ltd. 電線端末接合部の防水方法および防水構造
US7560645B2 (en) * 2005-10-13 2009-07-14 King Jr Lloyd Herbert Twist-on wire connector
CN106457738B (zh) * 2014-07-15 2019-05-03 住友电工超效能高分子股份有限公司 热收缩管、热收缩帽以及电线束的防水方法
KR101610335B1 (ko) * 2014-09-18 2016-04-07 정성인 와이어 커넥터
JP2018137940A (ja) * 2017-02-23 2018-08-3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熱収縮キャップの製造方法、熱収縮キャップおよび熱収縮キャップ付電線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413A (ko) 1997-10-31 1999-05-15 양재신 배선 커넥터 커플링장치
US6478606B1 (en) * 2000-01-11 2002-11-12 Mcnerney Gerald Twist-on connector with a heat-shrinkable skirt
JP2016021804A (ja) * 2014-07-14 2016-02-04 住友電工ファインポリマー株式会社 熱収縮チューブ及び熱収縮キャ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63255A1 (en) 2022-08-18
WO2020251111A1 (ko) 202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3932A (en) Wire connector
US5369225A (en) Wire connector
JPH01501269A (ja) 電気コネクタ装置及び方法
US8647155B2 (en) Electrical-conductive assembly for signal cable
US9620868B2 (en) Compact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JP2010272522A (ja) 高電気出力の伝送のためのパッチプラグ
EP0626101B1 (en) Wire connector
KR102130823B1 (ko) 와이어 커넥터
US10998651B2 (en) Flame-resistant heat shrink assemblies for trace heating cables
KR101626731B1 (ko) 전원선과 열선을 연결하는 연결 장치
US5944567A (en) Heat-activated wire terminal assembly and method
KR101007632B1 (ko) 전선 꼬임 기능을 구비한 와이어 커넥터
JP2021125339A (ja) 端子付電線及びセンサ固定方法
JP2008305634A (ja) シールド線のドレン線止水構造
JP2016021354A (ja) コネクタ付き電線およびコネクタ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2015185274A (ja) 絶縁被覆電線の止水構造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CN213425371U (zh) 多芯线束连接器及电缆组件
CN110447154B (zh) 将保护套管热收缩到电连接部上的方法
CN219180782U (zh) 接线端子
JP6927931B2 (ja) 屋内配線用ユニットケーブル
KR200439809Y1 (ko) 전선 다발
KR101178797B1 (ko) 방수용 전선 접속 커넥터
RU47578U1 (ru) Контак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проводников
JP2001338708A (ja) リード線接続部の防水構造
CN205319350U (zh) 电线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