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786B1 - 래칫형 스패너 - Google Patents

래칫형 스패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786B1
KR102130786B1 KR1020200008915A KR20200008915A KR102130786B1 KR 102130786 B1 KR102130786 B1 KR 102130786B1 KR 1020200008915 A KR1020200008915 A KR 1020200008915A KR 20200008915 A KR20200008915 A KR 20200008915A KR 102130786 B1 KR102130786 B1 KR 102130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ing
levering
jaw
typ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철
이병철
Original Assignee
김규철
이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철, 이병철 filed Critical 김규철
Priority to KR1020200008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7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6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25B23/08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래칫형 스패너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상단에 제1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상부로부터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고정죠와, 상기 고정죠의 일측에 제2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죠와 함께 볼트나 너트를 클램핑하는 작동죠와, 상기 작동죠의 일측에 하향 돌출 형성되는 레버링부와, 상기 손잡이의 상단에 상향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죠와 레버링부 사이에 위치하는 푸싱부 및 상기 푸싱부와 고정죠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스패너에 있어서, 상기 푸싱부의 일측면에는 푸싱부치형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레버링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푸싱부치형과 치합되는 레버링부치형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상기 푸싱부가 상기 레버링부를 가압하여 상기 작동죠의 클램핑력 및 조임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래칫형 스패너{Lachet type spanner}
본 발명은 스패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스패너의 헤드가 볼트나 너트를 이탈하지 않은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정회전, 역회전시켜 볼트나 너트를 조이거나 풀 수 있게 한 래칫형 스패너에 관한 것이다.
스패너는 볼트 또는 너트를 체결하거나 탈거하는 가장 대표적인 공구로서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와, 몸체의 일측으로 형성된 손잡이와,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는 헤드로 이루어진다.
특히, 스패너의 헤드에는 한 쌍의 죠(Jaw)가 형성되어 볼트 또는 너트의 머리부가 파지될 수 있는 파지홈이 마련된다. 스패너를 이용하여 볼트 또는 너트를 체결하거나 탈거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 헤드의 죠에 의해 형성된 파지홈에 볼트 또는 너트의 머리부가 파지되도록 한 다음 손잡이를 잡고 몸체가 일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힘을 가하면 헤드의 죠에 머리부가 파지된 볼트 또는 너트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체결되며, 볼트 또는 너트를 탈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반대방향(반시계방향)으로 몸체를 회전시키면 된다.
그러나, 종래 스패너로 볼트 또는 너트를 체결하거나 풀 경우 볼트 또는 너트를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킨 후 스패너의 죠를 볼트 또는 너트의 머리부로부터 빼내고 다시 끼워 맞춘 다음 볼트 또는 너트를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키는 것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으로 얇은 두께의 래칫기구가 내장된 스패너 등이 제안되었으나, 내장된 래칫기구의 구성과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에 어려움이 많고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아래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94050(2016.8.9)에서 래칫 스패너가 제시되어 종래 문제를 대부분 해결하였으나, 손잡이를 돌리면 큰 토크가 걸릴 때 작동죠가 미세하게 벌어지면서 너트나 볼트의 머리가 죠 사이에서 이탈하는 경우가 발생했다.
그리고 힌지 등의 결합부, 소재의 탄성 등으로 인해 큰 토크가 걸리면 미세한 공차가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작동죠가 약간 벌어지면 너트나 볼트 머리가 완전히 조임상태에서 회전하지 못하므로 너트에 손상이 발생한다.
또 구조가 복잡한 문제도 여전히 남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39355(2004.1.9.) "라쳇 스패너"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74857(2010.8.3.) "자동조절 유니버설 라쳇 스패너"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94050(2016.8.9) "래칫 스패너"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을 제공함에 있다.
첫째, 너트나 볼트의 머리를 조이거나 풀 때 스패너의 고정죠와 작동죠 사이에 물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스패너의 손잡이를 반복적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킴으로써 너트나 볼트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체결 또는 해제할 수 있는 래칫형 스패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너트나 볼트의 머리를 조이거나 풀 때 작동죠에 큰 토크를 가하더라도 슬립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를 가진 래칫형 스패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너트나 볼트의 머리를 조이거나 풀 때 매우 반력에 의해 작동죠가 절대로 밀리거나 벌어지는 않는 구조를 가진 래칫형 스패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래칫형 스패너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상단에 제1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상부로부터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고정죠와, 상기 고정죠의 일측에 제2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죠와 함께 볼트나 너트를 클램핑하는 작동죠와, 상기 작동죠의 일측에 하향 돌출 형성되는 레버링부와, 상기 손잡이의 상단에 상향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죠와 레버링부 사이에 위치하는 푸싱부 및 상기 푸싱부와 고정죠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스패너에 있어서, 상기 푸싱부의 일측면에는 푸싱부치형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레버링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푸싱부치형과 치합되는 레버링부치형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상기 푸싱부가 상기 레버링부를 가압하여 상기 작동죠의 클램핑력 및 조임력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상기 푸싱부치형과 레버링부치형은 산부와 골부가 형성되는 삼각톱니 형상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싱부치형의 산부 또는 상기 레버링부치형의 산부는 각각 상기 제1힌지부의 중심으로부터 그은 가상의 사선 상에 정렬될 수 있다.
또 상기 산부와 골부의 내각은 90°~ 120°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푸싱부와 레버링부가 접촉하는 내측면에는 각각 원호 형상을 이루면서 상호 면밀착되는 밀림차단벽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푸싱부에 형성된 밀림차단벽은 볼록한 원호 형상이고, 상기 레버링부에 형성된 밀림차단벽은 오목한 원호 형상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너트나 볼트의 머리를 조이거나 풀 때 스패너의 고정죠와 작동죠 사이에 물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스패너의 손잡이를 반복적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킴으로써 너트나 볼트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체결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손잡에 큰 토크를 가하여 작동죠에 큰 토크가 걸리더라도 치형이 완전히 치합된 상태이므로 슬립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작동죠가 벌어지지 않는다.
둘째, 밀림차단벽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손잡이를 정회전시켜 너트나 볼트의 머리를 조이거나 풀 때 작동죠가 밀리면서 발생하는 반력을 밀림차단벽이 수직으로 지지하므로 작동죠가 밀리거나 벌어지는 문제가 전혀 없다.
셋째, 손잡이를 역회전시킬 때 밀림차단벽이 상호 슬립되면서 치형의 탈착이 매우 부드럽고 용이하며 치형의 각도가 최적화되어 간섭이 전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래칫형 스패너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손잡이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헤드 및 고정죠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작동죠 및 레버링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푸싱부와 레버링부의 치합관계를 나타내는 확대정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푸싱부치형과 레버링부치형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손잡이를 정회전시키는 경우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손잡이를 역회전시키는 경우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래칫형 스패너의 외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손잡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손잡이(100), 상기 손잡이(100)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는 헤드(200), 상기 헤드(200)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죠(300), 상기 고정죠(300)에 힌지 결합되는 작동죠(400), 상기 작동죠(400)에 형성되는 레버링부(500), 상기 헤드(200)의 상단에 형성되는 푸싱부(600) 및 상기 푸싱부(600)와 고정죠(300) 사이에 게재되는 스프링(700)을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손잡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긴 막대형상 또는 바(bar), 봉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00)의 상단에는 상기 헤드(200)와 힌지 결합되도록 제1힌지부(h1)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100)는 볼트나 너트의 머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토크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길수록 큰 토크를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손잡이(100)의 상단에는 헤드(200)가 결합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헤드 및 고정죠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a)는 외관을 나타내고, (b)는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헤드(200)는 상기 손잡이(10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납작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힌지부(h1)에 의해 상기 손잡이(100)와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20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상기 스프링(700)의 일단이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삽입홈(21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헤드(200)의 상부 일측에는 고정죠(30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죠(300)는 상기 헤드(200)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일체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죠(300)의 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와 같은 일반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죠(300)의 중앙에는 상기 작동죠(400)와 힌지 결합되도록 제2힌지부(h2)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상기 작동죠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작동죠 및 레버링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기 작동죠(400)는 대략 상기 고정죠(30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죠(300)의 제2힌지부(h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작동죠(400)는 상기 제2힌지부(h2)를 중심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면서 상기 고정죠(300)와 함께 볼트나 너트의 머리를 클램핑(clamping)하거나 언클램핑(unclamping)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죠(300)와 작동죠(400)에는 각각 단턱 형상의 스토퍼(310, 410)가 마주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작동죠(400)와 고정죠(300)의 내각이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작동죠(400)가 회전하다가 상기 스토퍼(310, 410)에 걸리게 되므로 상기 작동죠(400)와 고정죠(300)가 이루는 내각이 일정 각도보다 작아지지 않게 한다.
상기 고정죠(300)의 스토퍼(310)와 상기 작동죠(400)의 스토퍼(410) 간의 간격은 상기 작동죠(400)의 조임을 위해 상기 작동죠(400)가 오므려지는 방향으로 약간 더 회전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5, 6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핵심적 기술사항인 레버링부와 푸싱부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푸싱부와 레버링부의 치합관계를 나타내는 확대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푸싱부치형과 레버링부치형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먼저, 상기 레버링부(500)는 상기 작동죠(400)의 하부에 하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레버링부(500)는 지렛대 원리에 의해 상기 작동죠(400)를 작용시켜 클램핑력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레버링부(500)는 상기 작동죠(400)와 일체가 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와 같은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고정죠(300)에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2힌지부(h2)가 지렛대의 받침점이 되고 상기 레버링부(500)가 힘점이 되며, 상기 작동죠(400)가 작용점이 되어 클램핑력 및 조임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레버링부(500)의 내측면에는 기어 혹은 톱니 형상의 레버링부치형(510)이 형성된다. 바람직한 것은 상기 레버링부치형(510)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00)의 상단에는 푸싱부(600)가 상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푸싱부(600)는 상기 고정죠(300)와 레버링부(500)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레버링부(500)를 밀면서 가압하여 상기 작동죠(400)에 토크를 가한다. 즉, 클램핑력 및 조임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푸싱부(600)의 외측면에는 상기 레버링부치형(510)과 대응되는 푸싱부치형(610)이 형성되어 상호 치합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푸싱부치형(610)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레버링부치형(510)과 푸싱부치형(610)의 형상과 구조는 매우 중요한 기술적 특징이다
상기 푸싱부치형(610)과 레버링부치형(5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동일하게 삼각톱니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푸싱부치형(610)과 레버링부치형(510)은 각각 산부(511, 611)와 골부(512, 612)가 형성된 삼각톱니 형상으로 이루어져 어긋남 없이 상호 완전 치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볼트나 너트의 머리를 조일 때 상기 손잡이(100)를 정회전시키면(이하에서, 볼트나 너트의 머리를 조이거나 풀 때 손잡이를 회전시켜 토크를 가하는 방향을 정회전 방향이라고 하고, 토크를 가하지 않고 반대로 회전시키는 방향을 역회전 방향이라고 가정한다) 토크가 증가하더라도 상기 레버링부(500)와 푸싱부(600) 간에 상호 슬립(slip)이 전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작동죠(400)가 밀리거나 벌어지는 현상(backing)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스패너로 조일 때 헛도는 일이 없다.
여기서, 상기 레버링부치형(510)과 푸싱부치형(610)의 산부(511)는 각각 상기 제1힌지부(h1)의 중심으로부터 그은 가상의 사선(sl) 상에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이 사선(sl)은 도시된 바를 참조할 때 상기 제1힌지부(h1)의 중심으로 부터 반경방향으로 그은 가상의 선이다.
이는 상기 레버링부치형(510)과 푸싱부치형(610)이 원활하게 탈착되게 하기 위함이다. 즉, 치합되거나 이탈시 서로 간섭이 없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산부(511, 611)와 골부(512, 612)의 내각은 90°가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90°~ 120°이내일 수 있는데, 90°보다 작으면 탈착시 치형끼리 간섭이 발생할 수 있고, 120°이상이면 치형끼리 슬립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링부치형(510)과 푸싱부치형(610)은 사선(sl)을 반경으로 하는 가상의 동심원의 접선방향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치형의 산부(511, 611) 또는 골부(512, 612)를 관통하는 접선(cl)을 기준으로 산부(511) 또는 골부(512)의 양측이 접선(cl)과 이루는 각(a1과 a2 또는 b1과 b2)이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접선(cl)을 기준으로 양측이 대칭이어야 한다.
이때, 상기 골부(512) 및 산부(511)가 각각 접선과 이루는 각은 각각 45°~ 60°인 것이 바람직하고, 45°인 것이 최적이다. 예를 들어, a1 = a2 = b1 = b2 = 45°혹은 a1 = a2 = b1 = b2 = 60°일 수 있다.
이것은 상기 푸싱부(600)에 토크를 가할 때 접선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므로 상기 산부(511) 또는 골부(512)가 받는 힘이 균등하게 분산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푸싱부(600)와 레버링부(500)가 접촉하는 내측면에는 각각 원호 형상을 이루면서 상호 면밀착되는 밀림차단벽(520, 62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푸싱부(600)에 형성된 밀림차단벽(620)은 볼록하고 레버링부(500)에 형성된 밀림차단벽(520)은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호 밀착되어 일체화 되는 것과 같이 작동하는데, 이로 인해 상기 푸싱부(600)는 회전이 용이하게 되는 반면 상기 레버링부(500)는 회전이 제약을 받는 구조를 이룬다.
이것은 상기 밀림차단벽(520, 620)은 제1힌지부(h1)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 상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작동죠(400)의 밀림을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작동죠(400)가 반력을 받아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더라도 그 반력은 상기 푸싱부(600)에 형성된 밀림차단벽(620)에 수직으로 가해지게 되므로 상기 작동죠(400)는 절대로 벌어질 수 없다.
덧붙여, 너트나 볼트 머리를 조이거나 풀기 위해 상기 손잡이(100)를 정회전시킬 때는 상기 작동죠(400)는 절대 벌어지지 않게 될 뿐 아니라, 상기 손잡이(100)를 역회전시키는 것도 매우 용이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푸싱부(600)가 상기 레버링부(500)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것에 거의 힘이 들지 않게 된다. 이것은 상기 푸싱부(600)의 밀림차단벽(620)이 상기 레버링부(500)의 밀림차단벽(520)으로부터 슬립되어 쉽게 이탈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밀림차단벽(520, 620)의 원호각은 대략 3° ~ 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3°보다 작으면 상기 작동죠(400)의 반력을 지지하는 기능이 약해지고, 5°보다 크면 상기 작동죠(400)가 벌어지는 것이 제한된다. 다시 말해서, 밀림차단벽(520, 620) 상호간에 간섭이 발생한다.
다음으로 상기 푸싱부(600)와 고정죠(300)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700)이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700)은 상기 푸싱부(600)를 밀어주도록 구비되는 압축스프링이다.
즉, 상기 스프링(700)으로 인해 상기 푸싱부치형(610)과 레버링부치형(510)이 항상 치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100)를 역회전시킬 때, 상기 작동죠(400)가 볼트 머리나 너트의 모서리로 인해 약간 벌어지면, 상기 푸싱부(600)도 밀리면서 상기 스프링(700)이 압축되지만, 상기 작동죠(400)가 볼트 머리나 너트의 체결면에 위치하면 상기 스프링(700)의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푸싱부(600)를 밀면서 상기 작동죠(400)가 다시 볼트 머리나 너트의 체결면에 밀착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700)의 일단은 상기 헤드(200)의 내부에 형성된 삽입홈(210)에 삽입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죠(300)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손잡이를 정회전시키는 경우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서 손잡이를 역회전시키는 경우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먼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손잡이(100)를 정회전시키는 경우, 다시 말해서, 볼트 머리나 너트에 토크를 가하여 조이거나 풀 경우이다.
상기 손잡이(100)를 정회전(도면에서 시계방향)시키면, 상기 푸싱부(600)가 상기 레버링부(500)를 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작동죠(400)는 너트를 강하게 클램핑하게 된다.
작업자가 더 세게 손잡이(100)를 회전시키면 너트나 볼트 머리는 상기 고정죠(300)와 작동죠(400)에 물린 상태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푸싱부(600)는 상기 레버링부(500)를 더 강하게 밀게 되므로 상기 작동죠(400)는 너트의 외주면에 더 밀착되어 절대 헛돌지 않게 된다.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밀림차단벽(520)이 수직으로 지지하므로 상기 작동죠(400)의 벌어짐은 완전히 차단된다.
다음으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손잡이(100)는 역회전시키는 경우, 다시 말해서, 볼트 머리나 너트로부터 스패너를 분리하지 않고 다시 조이거나 풀기 위해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경우이다.
이를 위해 (a)와 같이 상기 손잡이(100)를 1°정도 역회전(도면에서 반시계방향)시키면 상기 푸싱부치형(610)이 상기 레버링부치형(510)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서로 이격된다.
이때, 상기 푸싱부(600)의 밀림차단벽(620)이 상기 레버링부(500)의 밀림차단벽(520)으로부터 슬립되면서 이동하지만 벗어나지는 않은 상태이다. 즉, 상기 고정죠(300)와 작동죠(400)의 간격은 그대로 이다.
그리고 (b)와 같이 상기 손잡이(100)를 더 회전시켜 약 3°정도 역회전시킬 때까지 상기 고정죠(300)와 작동죠(400)의 간격은 유지된다.
이후 (c)와 같이 상기 손잡이(100)를 더 역회전시키면 상기 밀림차단벽(520, 620)이 서로 어긋나게 되고 동시에 상기 작동죠(400)는 볼트 머리나 너트의 모서리에 접촉하면서 간격이 벌어지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레버링부(500)는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푸싱부(600)는 상기 스프링(700)에 의해 탄성지지되므로 상기 레버링부(500)와 분리되지 않고 접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만일, 다시 상기 손잡이(100)를 정회전시키면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레버링부치형(510)과 푸싱부치형(610)이 치합되면서 상기 고정죠(300)와 작동죠(400)가 오므려지면서 너트나 볼트 머리에 토크를 가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 스패너를 볼트 머리나 너트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손잡이
200 : 헤드 210 : 삽입홀
300 : 고정죠 310 : 스토퍼
400 : 작동죠 410 : 스토퍼
500 : 레버링부
510 : 레버링부치형 511 : 산부
512 : 골부 520 : 밀림차단벽
600 : 푸싱부
610 : 푸싱부치형 611 : 산부
612 : 골부 620 : 밀림차단벽
700 : 스프링
h1 : 제1힌지부 h2 : 제2힌지부
sl : 사선 cl : 접선

Claims (6)

  1.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상단에 제1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상부로부터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고정죠와, 상기 고정죠의 일측에 제2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죠와 함께 볼트나 너트를 클램핑하는 작동죠와, 상기 작동죠의 일측에 하향 돌출 형성되는 레버링부와, 상기 손잡이의 상단에 상향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죠와 레버링부 사이에 위치하는 푸싱부 및 상기 푸싱부와 고정죠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스패너에 있어서,
    상기 푸싱부의 일측면에는 푸싱부치형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레버링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푸싱부치형과 치합되는 레버링부치형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푸싱부치형과 레버링부치형은 산부와 골부가 형성되는 삼각톱니 형상을 이루되, 상기 산부와 골부의 내각은 90°~ 120°로 이루어져,
    상기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상기 푸싱부가 상기 레버링부를 가압하여 상기 작동죠의 클램핑력 및 조임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형 스패너.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부치형의 산부 또는 상기 레버링부치형의 산부는 각각 상기 제1힌지부의 중심으로부터 그은 가상의 사선 상에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형 스패너.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부와 레버링부가 접촉하는 내측면에는 각각 원호 형상을 이루면서 상호 면밀착되는 밀림차단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형 스패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부에 형성된 밀림차단벽은 볼록한 원호 형상이고, 상기 레버링부에 형성된 밀림차단벽은 오목한 원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형 스패너.
KR1020200008915A 2020-01-22 2020-01-22 래칫형 스패너 KR102130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915A KR102130786B1 (ko) 2020-01-22 2020-01-22 래칫형 스패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915A KR102130786B1 (ko) 2020-01-22 2020-01-22 래칫형 스패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0786B1 true KR102130786B1 (ko) 2020-07-06

Family

ID=71571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915A KR102130786B1 (ko) 2020-01-22 2020-01-22 래칫형 스패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7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23186A (zh) * 2020-10-15 2021-01-15 南京工业职业技术大学 一种手压式套筒扳手
KR20220065564A (ko) 2020-11-13 2022-05-20 하이록코리아 주식회사 스패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1474A (en) * 1974-04-25 1975-11-25 Aljac Devices Limited Ratchet action open-end wrenches
KR200339355Y1 (ko) 1998-05-21 2004-05-10 김광무 라쳇스패너
KR100974857B1 (ko) 2008-06-04 2010-08-11 김광무 자동조절 유니버설 라쳇 스패너
KR20160094050A (ko) 2015-01-30 2016-08-09 디아이케미칼 주식회사 래칫 스패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1474A (en) * 1974-04-25 1975-11-25 Aljac Devices Limited Ratchet action open-end wrenches
KR200339355Y1 (ko) 1998-05-21 2004-05-10 김광무 라쳇스패너
KR100974857B1 (ko) 2008-06-04 2010-08-11 김광무 자동조절 유니버설 라쳇 스패너
KR20160094050A (ko) 2015-01-30 2016-08-09 디아이케미칼 주식회사 래칫 스패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23186A (zh) * 2020-10-15 2021-01-15 南京工业职业技术大学 一种手压式套筒扳手
KR20220065564A (ko) 2020-11-13 2022-05-20 하이록코리아 주식회사 스패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0786B1 (ko) 래칫형 스패너
EP2149428B1 (en) Locking pliers
EP1917124B1 (en) Ratcheting adjustable wrench
CN101659041B (zh) 锁定夹钳
EP2025472B1 (en) Racthetable open-end wrench
US7197964B2 (en) Wrench
KR101415580B1 (ko) 개방형 라쳇 렌치
WO2012113151A1 (zh) 工具的扳动装置
EP1539428B1 (en) Wrench with split ring
US10384332B2 (en) Ratchet clamp
US5456143A (en) Open end ratchet wrench
KR102038018B1 (ko) 다기능 체결 공구
JP2000301402A (ja) ツールチャック
JP4984151B2 (ja) チャック
JP3592968B2 (ja) レンチ
JP4209874B2 (ja) モンキーレンチ
KR100463557B1 (ko) 캠형 렌치
TWI704034B (zh) 快速往復操作之扳手
GB2382319A (en) A resiliently clamping wrench
KR100442752B1 (ko) 자동스패너
KR200280989Y1 (ko) 캠형 렌치
KR200308831Y1 (ko) 자동 스패너
TW202112499A (zh) 可調節鉗子
JPH0970763A (ja) レンチ
KR20020042184A (ko) 스패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