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5580B1 - 개방형 라쳇 렌치 - Google Patents

개방형 라쳇 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5580B1
KR101415580B1 KR1020140053461A KR20140053461A KR101415580B1 KR 101415580 B1 KR101415580 B1 KR 101415580B1 KR 1020140053461 A KR1020140053461 A KR 1020140053461A KR 20140053461 A KR20140053461 A KR 20140053461A KR 101415580 B1 KR101415580 B1 KR 101415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bolt
latching
engaging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3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규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정티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정티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정티엠에스
Priority to KR1020140053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10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 B25B13/12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the jaws being slidable
    • B25B13/20Arrangements for locking the jaws
    • B25B13/22Arrangements for locking the jaws by ratchet action or toothed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6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6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04Handle constructions telescopic; extensible; sectional
    • B25G1/043Handle constructions telescopic; extensible; sectional for screwdrivers, wrenches or span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이 개방되는 헤드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헤드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너트나 볼트가 함께 회전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주면을 따라 톱니가 마련되는 회전결합체; 상기 헤드의 내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고, 상기 본체를 너트나 볼트를 중심으로 스윙시, 상기 회전결합체의 정방향과 역방향을 각각 담당하도록 제 1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톱니에 걸리는 제 1 및 제 2 걸림편; 및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편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선택적으로 상기 톱니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전환유닛;을 포함하도록 한 개방형 라쳇 렌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걸림편에 의해 너트나 볼트 등의 조임 동작에 대한 신뢰성이 우수하고, 전환유닛에 의해 조임 방향의 전환이 용이하며, 회전복귀부에 의해 개방 부분의 정렬 조작이 간편하고,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개방형 라쳇 렌치{Open type ratchet wrench}
본 발명은 개방형 라쳇 렌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너트나 볼트 등의 조임 동작에 대한 신뢰성이 우수하고,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개방형 라쳇 렌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렌치(wrench)는 볼트나 너트를 죄거나 푸는데, 사용하는 공구로서 스패너라고도 불리운다. 이와 같은 렌치는 물림부가 개방된 개구 렌치, 물림부가 닫혀 있는 폐구 렌치, 너트나 볼트의 머리를 잡기 어려울 때 사용하는 복스 렌치, 한 쪽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다른 한 쪽으로는 고정되는 라쳇 렌치 등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렌치는 볼트의 상방에서 끼워서 작업할 수 없는 협소한 장소나, 좁은 틈새의 작업시, 볼트의 축방에서 끼워서 볼트나 너트의 조임 또는 해제작업을 할 수 있는 유리한 공구이나, 조임 또는 해제작업시 조이거나 푼뒤, 볼트 및 너트에서 측방에서 빼낸 뒤, 다시 끼워서 짧은 스윙을 하여야 되므로 볼트 및 너트가 완전히 조여지거나 해제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볼트 및 너트에서 끼우고 빼는 짧은 스위칭 동작을 계속적으로 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의 지연과 작업능률의 저하로 피로도가 높아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복스 렌치는 볼트 및 너트에 끼운 상태에서 계속 스윙을 함에 따라서, 일방향으로 조임 또는 해제 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는 유리한 공구이나, 이는 상방이 개방되지 않은 협소한 장소 또는 좁은 틈새의 작업시 볼트 및 너트의 조임 또는 해제작업을 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즉, 복스 렌치는 볼트 및 너트의 상방에서 끼워서 작업하도록 되어 있어 상방이 개방되지 않은 협소한 장소 또는 좁은 틈새에서는 볼트 및 너트의 조임 또는 해제작업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1994-0025716호의 "스패너형 복스렌치"가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보울트 및 너트에 측방에서 끼워지도록 일측이 개방되게 삽입홈이 형성된 몸체내에 보울트 및 너트에 측방에서 끼워지도록 일측이 개방되게 협지홈이 형성된 레칫휘일을 회동되게 설치하고, 상기 레칫휘일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도록 양측에 좌,우방향포올부재를 상호 대칭되게 설치하며, 상기 좌, 우방향포올부재를 각각 조정하는 조절노브를 몸체의 상면에 회동되게 설치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안정적인 조임 동작을 수행하는데 구조적인 한계를 가지고, 사용전 또는 사용후 너트 등를 통과시키기 위한 동작에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너트나 볼트 등의 조임 동작에 대한 신뢰성이 우수하고, 조임 방향의 전환이 용이하며, 개방 부분의 정렬 조작이 간편하고,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일측이 개방되는 헤드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헤드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너트나 볼트가 함께 회전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주면을 따라 톱니가 마련되는 회전결합체; 상기 헤드의 내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고, 상기 본체를 너트나 볼트를 중심으로 스윙시, 상기 회전결합체의 정방향과 역방향 회전을 각각 담당하도록 제 1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톱니에 걸리는 제 1 및 제 2 걸림편; 및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편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선택적으로 상기 톱니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전환유닛;을 포함하는 개방형 라쳇 렌치가 제공된다.
상기 본체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손잡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를 슬라이딩 경로 상에서 위치 가변이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길이조절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손잡이의 끝단에 손목 착용용 스트링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본체에 상기 슬라이딩 경로를 따라 형성되는 이동홈; 상기 이동홈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형성되는 제 1 걸림홈; 상기 이동홈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걸림홈 각각에 대향되어 상기 본체의 측부까지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 2 걸림홈; 상기 손잡이의 측부에 돌출되도록 삽입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홈에 각각 걸리도록 제 1 및 제 2 걸림돌기가 형성되되, 누름에 의해 상기 손잡이에 삽입시,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돌기가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홈으로부터 각각 이탈되어 상기 이동홈 및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 각각 위치함으로써, 상기 손잡이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는 걸림핀; 및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돌기가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홈에 각각 걸림으로써 상기 손잡이의 슬라이딩을 억제하도록 상기 걸림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2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결합체는, 상기 헤드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제 1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톱니가 외주면에 형성되는 개방회전부재; 및 상기 개방회전부재에 함께 회전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각형 단면을 가진 너트나 볼트가 장착되며, 일측에 제 2 개방부가 형성되는 복스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스소켓은, 너트나 볼트가 삽입되도록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다각형 단면을 가진 너트나 볼트의 모서리가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돌기가 상기 삽입공간의 내측면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간의 내측에 너트나 볼트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제한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편은, 상기 헤드에 힌지 결합되도록 힌지축이 마련되고, 상기 제 1 탄성부재에 의해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상기 톱니에 비스듬하게 접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전환유닛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축이 상기 힌지축에 편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편은, 각각 다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결합체의 주변을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환유닛은, 상기 회전결합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테두리가 상기 제 1 탄성부재에 의해 밀착되는 상기 지지축을 탄성 지지하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지지축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적으로 회전반경방향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테두리에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편 중 어느 하나만을 상기 톱니로부터 이격시키거나, 모두를 상기 톱니로부터 이격시키는 가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헤드의 외측에 위치하는 조작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환유닛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편 모두가 상기 톱니로부터 분리시, 상기 회전결합체를 회전 조작에 의해 회전시키는 회전복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복귀부는, 상기 회전결합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치; 상기 치에 기어결합되고, 상기 헤드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 상기 기어의 중심에 고정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헤드의 외측에 설치되는 회전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라쳇 렌치에 의하면, 걸림편의 구조에 의해 너트나 볼트 등의 조임 동작에 대한 신뢰성이 우수하고, 전환유닛에 의해 조임 방향의 전환이 용이하며, 회전복귀부에 의해 개방 부분의 정렬 조작이 간편하고,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개방형 라쳇 렌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개방형 라쳇 렌치에서 복스소켓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개방형 라쳇 렌치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개방형 라쳇 렌치에서 손잡이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개방형 라쳇 렌치에서 손잡이를 분해하여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개방형 라쳇 렌치에서 걸림편과 전환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개방형 라쳇 렌치에서 아이들링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개방형 라쳇 렌치에서 A방향 조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개방형 라쳇 렌치에서 B방향 조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개방형 라쳇 렌치에서 개방회전부재의 회전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개방형 라쳇 렌치에서 회전복귀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개방형 라쳇 렌치에서 회전복귀부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개방형 라쳇 렌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개방형 라쳇 렌치에서 복스소켓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개방형 라쳇 렌치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개방형 라쳇 렌치(10)는 본체(100), 회전결합체(200), 제 1 및 제 2 걸림편(300,400), 그리고 전환유닛(500)을 포함한다.
본체(100)는 너트나 볼트 등이 설치 내지 연결된 파이프 등이 통과할 수 있게 일측, 예컨대 측부가 개방되도록 제 3 개방부(111)가 형성되는 헤드(110)가 마련될 수 있는데, 예컨대 본 실시례에서처럼 제 1 및 제 2 걸림편(300,400)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공간(114)과, 후술하게 될 회전복귀부(600)가 장착되기 위한 장착공간(115)이 양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장착공간(114,115) 각각을 개폐시키기 위한 커버(112,113)가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체(100)는 예컨대 본 실시례에서처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손잡이(12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손잡이(120)를 슬라이딩 경로 상에서 위치 가변이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길이조절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0)는 손잡이(120)의 끝단에 손목 착용용 스트링(150)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스트링(150)은 끈이나 밴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손목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위에 착용 내지 연결하기 위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방식의 조임유닛(151) 등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체(100)의 이탈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체(100)는 일례로 손잡이(120)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22)이 형성될 수 있고, 끝단에 결합된 가이드핀(140)이 가이드홈(12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됨으로써, 손잡이(120)가 정해진 범위 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120)는 내측을 개폐시키는 커버(121)가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길이조절부(130)는 이동홈(131), 제 1 및 제 걸림홈(132,133), 걸림핀(134) 및 제 2 탄성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홈(131)은 본체(100)에 상기한 슬라이딩 경로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 1 걸림홈(132)은 이동홈(131)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동홈(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걸림홈(132)은 본 실시례에서처럼 일단이 차단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후술하게 될 제 1 걸림돌기(134a)가 걸리도록 하여 제 2 탄성부재(135)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걸림핀(134)이 외측으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걸림핀(134)에 이탈 방지 걸림부를 형성함으로써 제 1 걸림홈(132)의 이탈 방지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다.
제 2 걸림홈(133)은 이동홈(131)을 사이에 두고 제 1 걸림홈(132) 각각에 대향되어 본체(100)의 측부까지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걸림홈(132,133)은 이동홈(13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 및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걸림핀(134)은 손잡이(120)의 측부에 형성된 삽입홈(미도시)에 끝단이 돌출되도록 삽입될 수 있고, 제 1 및 제 2 걸림홈(132,133)에 각각 걸리도록 제 1 및 제 2 걸림돌기(134a,134b)가 형성되되, 누름에 의해 손잡이(120)에 삽입시, 제 1 및 제 2 걸림돌기(134a,134b)가 제 1 및 제 2 걸림홈(132,133)으로부터 각각 이탈되어 이동홈(131) 및 손잡이(120)의 내측에 각각 위치함으로써, 손잡이(120)가 본체(100)로부터 슬라이딩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제 2 탄성부재(135)는 제 1 및 제 2 걸림돌기(134a,134b)가 제 1 및 제 2 걸림홈(132,133)에 각각 걸림으로써 손잡이(120)가 본체(100)로부터 슬라이딩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걸림핀(134)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일례로 손잡이(120)의 삽입홀 내측에 걸림핀(134)의 축방향으로 설치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길이조절부(130)에 의하면, 걸림핀(134)의 제 1 및 제 2 걸림돌기(134a,134b)가 다수, 예컨대 2개 중에서 어느 한 개의 제 1 및 제 2 걸림홈(132,133)에 각각 걸린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본체(100)로부터 손잡이(120)가 슬라이딩되지 못하도록 고정시키고, 걸림핀(134)을 누르면, 제 1 걸림돌기(134a)는 제 1 걸림홈(132)으로부터 이탈하여 이동홈(131) 내에 위치하고, 제 2 걸림돌기(134b)는 제 2 걸림홈(133)으로부터 이탈하여 손잡이(120)의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본체(100)로부터 손잡이(120)의 슬라이딩을 허용하게 되고, 손잡이(120)를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킨 다음, 걸림핀(134)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함으로써 제 2 탄성부재(135)에 의해 제 1 및 제 2 걸림돌기(134a,134b)가 인근의 제 1 및 제 2 걸림홈(132,133)에 각각 걸리도록 하면, 손잡이(1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회전결합체(200)는 헤드(1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너트나 볼트가 함께 회전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주면을 따라 톱니(212)가 마련되고, 일례로 서로 결합되는 개방회전부재(210)와 복스소켓(220)을 포함할 수 있다.
개방회전부재(210)는 헤드(1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일측에 너트나 볼트 등이 설치 내지 연결된 파이프 등이 통과하도록 제 1 개방부(2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톱니(212)가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개방회전부재(210)는 헤드(110)에 마련된 장착공간(114) 내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고, 후술하게 될 전환유닛(500)의 가이드플레이트(510)와 커버(112)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외측으로의 이탈이 억제될 수 있으며, 상방에 다각 형상의 소켓결합부(213)가 헤드(110)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스소켓(220)은 개방회전부재(210)에 함께 회전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다각형 단면을 가진 너트나 볼트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일측에 너트나 볼트 등이 설치 내지 연결된 파이프 등이 통과하도록 제 2 개방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개방부(221)는 제 1 개방부(211)와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스소켓(220)은 소켓결합부(213)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짐과 아울러 소켓결합부(213)와 함께 회전하도록, 소켓결합부(213)의 외측 형상에 상응하는 내측 단면 형상을 가지는 착탈결합부(222)가 마련될 수 있고, 나아가서 본 실시례에서처럼 외측에 장착되는 와이어 형태의 스프링(223) 끝단에 탄성 지지되는 결합핀(224)이 착탈결합부(222)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착탈결합부(222)가 소켓결합부(213)에 끼워질 때, 소켓결합부(213)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홈(미도시)에 결합핀(224)이 결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개방회전부재(210)로부터 일정한 힘 이상을 가했을 때 분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개방회전부재(210)와의 착탈 가능한 결합을 위하여 다양한 결합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복스소켓(220)은 너트나 볼트가 삽입되도록 삽입공간(225)이 형성되되, 다각형 단면을 가진 너트나 볼트의 모서리가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돌기(226)가 삽입공간(225)의 내측면을 따라 다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공간(225)의 내측에 너트나 볼트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제한턱(227)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스소켓(220)은 사각형, 육각형 등의 단면을 가진 너트나 볼트에서 면과 면이 만나는 모서리가 다수의 걸림돌기(226)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여, 다양한 단면 구조를 가진 너트나 볼트와의 체결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복스소켓(220)은 개방회전부재(210)와 착탈 결합 구조를 가짐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너트나 볼트의 체결을 위하여, 다양한 구조나 크기로 제작되어 개방회전부재(210)에 교체 장착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걸림편(300,400)은 헤드(110)의 내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고, 본체(100)를 너트나 볼트를 중심으로 스윙시, 회전결합체(200)의 정방향과 역방향 회전을 각각 담당하도록 제 1 탄성부재(310,410)에 의해 톱니(212)에 걸린다. 따라서, 제 1 걸림편(300)은 본체(100)를 스윙시, 회전결합체(200)를 예컨대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톱니(212)와의 일방향 걸림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제 2 걸림편(400)은 본체(100)를 스윙시, 회전결합체(200)를 예컨대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톱니(212)와의 일방향 걸림을 유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예로 든 정방향과 역방향은 본체(100)의 양측면이 어디를 향하는지에 따라 회전결합체(200)의 회전방향이 결정되므로, 어느 하나가 너트나 볼트의 조임이나 풀림, 그리고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특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가 상대적으로 반대되는 방향임을 의미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걸림편(300,400)은 헤드(110)에 힌지 결합되도록 힌지축(320,420)이 마련될 수 있고, 제 1 탄성부재(310,410)에 의해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톱니(212)에 비스듬하게 접하도록 설치되어, 제 1 탄성부재(310,410)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전환유닛(500)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축(330,430)이 힌지축(320,420)에 편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걸림편(300,400)은 각각 다수로 이루어지고, 회전결합체(200)의 주변을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각각 2개로 이루어짐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반드시 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걸림편(300,400)은 각각 다수로 이루어져서 교대로 배치됨으로써 제 1 및 제 2 개방부(211,221)를 가지는 회전결합체(200)가 어떠한 회전 각도에서라도, 톱니(212)에 걸리도록 쉽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너트나 볼트 등의 조임이나 풀림 동작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걸림편(300,400)은 톱니(212)의 접선 방향에 일치 또는 근사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각각 설치되되, 각각이 서로 반대되는 접선 방향을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끝단이 톱니(212)의 형상이나 규격에 상응하는 치(미도시) 구조를 가짐으로써 톱니(212)의 회전 억제력에 유리하도록 할 수 있다.
전환유닛(500)은 제 1 및 제 2 걸림편(300,40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선택적으로 톱니(212)로부터 분리시키도록 본체(100)에 설치된다. 따라서, 전환유닛(500)은 제 2 걸림편(400)을 톱니(212)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제 1 걸림편(300)이 톱니(212)에 걸린 상태가 되도록 하여, 예컨대 너트나 볼트의 정방향 회전을 가능하도록 하고, 제 1 걸림편(300)을 톱니(212)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제 2 걸림편(400)이 톱니(212)에 걸린 상태가 되도록 하여, 예컨대 너트나 볼트의 역방향 회전을 가능하도록 한다.
전환유닛(500)은 일례로 본 실시례에서처럼 가이드플레이트(510)와 조작노브(5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플레이트(510)는 회전결합체(200)의 개방회전부재(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일측이 너트나 볼트 등이 설치 내지 연결된 파이프 등이 통과할 수 있게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테두리가 제 1 탄성부재(310,410)에 의해 각각 밀착되는 지지축(330,430)을 탄성 지지하되, 회전 각도에 따라 지지축(330,430)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적으로 회전반경방향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테두리에 돌출부(511)가 형성됨으로써, 제 1 및 제 2 걸림편(300,400) 중 어느 하나만을 톱니(212)로부터 이격시키거나, 모두를 톱니(212)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조작노브(520)는 가이드플레이트(510)에 연결축(521)을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고, 헤드(110)의 외측에 위치함으로써 가이드플레이트(510)의 회전 조작을 가능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9는 전환유닛(500)에 의해 개방회전부재(210)의 아이들링 상태, 본체(100)의 스윙시 A방향 회전 상태, 그리고 본체(100)의 스윙시 B방향 회전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고, (a)는 가이드플레이트(510)의 회전 각도와 이에 따른 제 1 및 제 2 걸림편(300,400)의 자세를 나타내고, (b)는 (a)에서 가이드플레이트(510)가 생략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7에서와 같이, 제 1 및 제 2 걸림편(300,400)이 톱니(212)로부터 이격되도록 가이드플레이트(510)의 돌출부(511)에 의해 제 1 및 제 2 걸림편(300,400)의 지지축(330,430)을 지지하면, 회전개방부재(210)는 제 1 및 제 2 걸림편(300,400) 어느 것에도 걸리지 않게 됨으로써 아이들링 상태가 된다.
도 8에서와 같이, 가이드플레이트(510)를 회전시켜서 제 1 걸림편(300)이 톱니(212)에 걸리도록 함과 아울러, 제 2 걸림편(400)이 톱니(212)로부터 이격되도록, 돌출부(511)에 의해 제 2 걸림편(400)의 지지축(430)을 지지하면, 회전개방부재(210)는 본체(100)의 스윙시, A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제 1 걸림편(300)이 톱니(212)에 걸리게 되고, 그 역방향에 대해서는 제 1 걸림편(300)이 톱니(212)를 타고 넘어가도록 한다.
도 9에서와 같이, 가이드플레이트(51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제 2 걸림편(400)이 톱니(212)에 걸리도록 함과 아울러, 제 1 걸림편(300)이 톱니(212)로부터 이격되도록, 돌출부(511)에 의해 제 1 걸림편(300)의 지지축(330)을 지지하면, 회전개방부재(210)는 본체(100)의 스윙시, B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제 2 걸림편(400)이 톱니(212)에 걸리고, 그 역방향에 대해서는 제 2 걸림편(400)이 톱니(212)를 타고 넘어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조작노브(520)에 의한 가이드플레이트(510)의 간단한 회전 조작에 의해, 너트나 볼트의 조임 작업과 풀림 작업을 전환하도록 하고, 헤드(110)와 회전결합체(200)의 개구 정렬을 용이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체(100)의 스윙에 의해 회전개방부재(210)가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복스소켓(220)은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이때, 회전개방부재(210)의 제 1 개방부(211; 도 6에 도시)와 헤드(110)의 제 3 개방부(111)가 일치하지 않아 회전개방부재(210) 내측의 파이프 등이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 개방회전부재(210)를 아이들링 상태로 셋팅하고, 개방회전부재(210)를 손으로 돌려서 제 1 개방부(211)와 제 3 개방부(111)가 서로 일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본 실시례에서처럼 전환유닛(500)에 의해 제 1 및 제 2 걸림편(300,400) 모두가 톱니(212)로부터 분리시, 즉 회전결합체(200)의 아이들링시, 회전결합체(200)를 회전 조작에 의해 회전시키는 회전복귀부(600; 도 11 및 도 12에 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회전복귀부(600)는 회전결합체(200), 에컨대 개방회전부재(2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치(610)와, 치(610)에 기어결합되고, 헤드(1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620,630,640)와, 기어(640)의 중심에 고정되는 회전축(650)과, 회전축(650)에 고정되어 헤드(110)의 외측에 설치되는 회전노브(6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어(620,630,640)는 회전노브(660)의 회전력을 치(610)에 순차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본 실시례에서처럼 다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한하지 않고 단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회전노브(660)는 고정핀(661)에 의해 회전축(65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라쳇 렌치에 따르면, 걸림편의 구조에 의해 너트나 볼트 등의 조임 동작에 대한 신뢰성이 우수하고, 전환유닛에 의해 조임 방향의 전환이 용이하며, 회전복귀부에 의해 개방 부분의 정렬 조작이 간편하고,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본체 110 : 헤드
111 : 제 3 개방부 112,113 : 커버
114,115 : 장착공간 120 : 손잡이
121 : 커버 122 : 가이드홈
130 : 길이조절부 131 : 이동홈
132 : 제 1 걸림홈 133 : 제 2 걸림홈
134 : 걸림핀 134a : 제 1 걸림돌기
134b : 제 2 걸림돌기 135 : 제 2 탄성부재
140 : 가이드핀 150 : 스트링
151 : 조임유닛 200 : 회전결합체
210 : 개방회전부재 211 : 제 1 개방부
212 : 톱니 213 : 소켓결합부
220 : 복스소켓 221 : 제 2 개방부
222 : 착탈결합부 223 : 스프링
224 : 결합핀 225 : 삽입공간
226 : 걸림돌기 227 : 제한턱
300 : 제 1 걸림편 310 : 제 1 탄성부재
320 : 힌지축 330 : 지지축
400 : 제 2 걸림편 410 : 제 1 탄성부재
420 : 힌지축 430 : 지지축
500 : 전환유닛 510 : 가이드플레이트
511 : 돌출부 520 : 조작노브
521 : 연결축 600 : 회전복귀부
610 : 치 620,630,640 : 기어
650 : 회전축 660 : 회전노브
661 : 고정핀

Claims (11)

  1. 일측이 개방되는 헤드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헤드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너트나 볼트가 함께 회전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주면을 따라 톱니가 마련되는 회전결합체;
    상기 헤드의 내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고, 상기 본체를 너트나 볼트를 중심으로 스윙시, 상기 회전결합체의 정방향과 역방향 회전을 각각 담당하도록 제 1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톱니에 걸리는 제 1 및 제 2 걸림편; 및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편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선택적으로 상기 톱니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전환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손잡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를 슬라이딩 경로 상에서 위치 가변이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길이조절부가 마련되고,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본체에 상기 슬라이딩 경로를 따라 형성되는 이동홈;
    상기 이동홈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형성되는 제 1 걸림홈;
    상기 이동홈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걸림홈 각각에 대향되어 상기 본체의 측부까지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 2 걸림홈;
    상기 손잡이의 측부에 돌출되도록 삽입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홈에 각각 걸리도록 제 1 및 제 2 걸림돌기가 형성되되, 누름에 의해 상기 손잡이에 삽입시,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돌기가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홈으로부터 각각 이탈되어 상기 이동홈 및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 각각 위치함으로써, 상기 손잡이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는 걸림핀; 및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돌기가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홈에 각각 걸림으로써 상기 손잡이의 슬라이딩을 억제하도록 상기 걸림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2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개방형 라쳇 렌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손잡이의 끝단에 손목 착용용 스트링이 설치되는, 개방형 라쳇 렌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결합체는,
    상기 헤드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제 1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톱니가 외주면에 형성되는 개방회전부재; 및
    상기 개방회전부재에 함께 회전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각형 단면을 가진 너트나 볼트가 장착되며, 일측에 제 2 개방부가 형성되는 복스소켓;
    을 포함하는, 개방형 라쳇 렌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스소켓은,
    너트나 볼트가 삽입되도록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다각형 단면을 가진 너트나 볼트의 모서리가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돌기가 상기 삽입공간의 내측면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간의 내측에 너트나 볼트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제한턱이 형성되는, 개방형 라쳇 렌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편은,
    상기 헤드에 힌지 결합되도록 힌지축이 마련되고, 상기 제 1 탄성부재에 의해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상기 톱니에 비스듬하게 접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전환유닛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축이 상기 힌지축에 편심되도록 마련되는, 개방형 라쳇 렌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편은,
    각각 다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결합체의 주변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는, 개방형 라쳇 렌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환유닛은,
    상기 회전결합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테두리가 상기 제 1 탄성부재에 의해 밀착되는 상기 지지축을 탄성 지지하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지지축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적으로 회전반경방향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테두리에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편 중 어느 하나만을 상기 톱니로부터 이격시키거나, 모두를 상기 톱니로부터 이격시키는 가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헤드의 외측에 위치하는 조작노브;
    를 포함하는, 개방형 라쳇 렌치.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환유닛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편 모두가 상기 톱니로부터 분리시, 상기 회전결합체를 회전 조작에 의해 회전시키는 회전복귀부를 더 포함하는, 개방형 라쳇 렌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회전복귀부는,
    상기 회전결합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치;
    상기 치에 기어결합되고, 상기 헤드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
    상기 기어의 중심에 고정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헤드의 외측에 설치되는 회전노브;
    를 포함하는, 개방형 라쳇 렌치.
KR1020140053461A 2014-05-02 2014-05-02 개방형 라쳇 렌치 KR101415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461A KR101415580B1 (ko) 2014-05-02 2014-05-02 개방형 라쳇 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461A KR101415580B1 (ko) 2014-05-02 2014-05-02 개방형 라쳇 렌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5580B1 true KR101415580B1 (ko) 2014-07-04

Family

ID=51741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461A KR101415580B1 (ko) 2014-05-02 2014-05-02 개방형 라쳇 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558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54230A (zh) * 2020-10-30 2021-03-09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管束接头扳手
CN114851131A (zh) * 2022-03-31 2022-08-05 呼伦贝尔安泰热电有限责任公司扎兰屯热电厂 一种齿形联轴器转动拆装工具
KR102430213B1 (ko) 2021-12-09 2022-08-09 대원전기 주식회사 내충격형 멀티 앵글 번들 펄 백스탑 라쳇링
CN114986137A (zh) * 2022-04-27 2022-09-02 沈阳航空航天大学 一种航空装备螺母专用拧紧设备
KR20230052351A (ko) * 2021-10-12 2023-04-20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압력용기용 보스 유닛, 보스 유닛 체결용 가이드 렌치 및 이를 압력용기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345B1 (ko) * 1993-05-13 1996-04-02 대우전자주식회사 스패너형 복스렌치
JP3107779U (ja) * 2004-09-16 2005-02-17 三角點股▲ふん▼有限公司 微角度制動のスパナ係止装置
KR200385259Y1 (ko) * 2005-03-14 2005-05-25 송관태 소켓렌치
JP2013094932A (ja) * 2011-11-04 2013-05-20 Flowell Corp ソケットスパ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345B1 (ko) * 1993-05-13 1996-04-02 대우전자주식회사 스패너형 복스렌치
JP3107779U (ja) * 2004-09-16 2005-02-17 三角點股▲ふん▼有限公司 微角度制動のスパナ係止装置
KR200385259Y1 (ko) * 2005-03-14 2005-05-25 송관태 소켓렌치
JP2013094932A (ja) * 2011-11-04 2013-05-20 Flowell Corp ソケットスパナ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54230A (zh) * 2020-10-30 2021-03-09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管束接头扳手
KR20230052351A (ko) * 2021-10-12 2023-04-20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압력용기용 보스 유닛, 보스 유닛 체결용 가이드 렌치 및 이를 압력용기 제조방법
KR102564901B1 (ko) * 2021-10-12 2023-08-10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압력용기용 보스 유닛, 보스 유닛 체결용 가이드 렌치 및 이를 압력용기 제조방법
KR102430213B1 (ko) 2021-12-09 2022-08-09 대원전기 주식회사 내충격형 멀티 앵글 번들 펄 백스탑 라쳇링
CN114851131A (zh) * 2022-03-31 2022-08-05 呼伦贝尔安泰热电有限责任公司扎兰屯热电厂 一种齿形联轴器转动拆装工具
CN114851131B (zh) * 2022-03-31 2024-02-23 呼伦贝尔安泰热电有限责任公司扎兰屯热电厂 一种齿形联轴器转动拆装工具
CN114986137A (zh) * 2022-04-27 2022-09-02 沈阳航空航天大学 一种航空装备螺母专用拧紧设备
CN114986137B (zh) * 2022-04-27 2024-03-22 沈阳航空航天大学 一种航空装备螺母专用拧紧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5580B1 (ko) 개방형 라쳇 렌치
US8544367B2 (en) Socket for a wrench
US4631990A (en) Open-ended ratchet wrench
TW201603958A (zh) 用於棘輪扳手的棘輪機構
US11213935B2 (en) Ratcheting wrench system having a linear two-pawl ratchet mechanism capable of exchangeable wrench heads
US9393676B2 (en) Ratchet line wrench tool
KR101535220B1 (ko) 조절이 가능한 만능 파이프 체결 공구
US20170248258A1 (en) Pipe coupler
JP3218145U (ja) 慣性回転締め付け装置
US11865677B2 (en) Ratcheting wrenches, wrench systems, sockets, and methods of use
EP1620232A1 (en) A wrench
US20070227309A1 (en) Hose Clamp Tool
EP2844432B1 (en) Open-ended ratchet wrench
KR102065468B1 (ko) 협소부 체결장치
KR102130786B1 (ko) 래칫형 스패너
RU2628597C2 (ru) Двунаправленный гаечный ключ
US7975573B2 (en) Hand tool with stepless locking mechanism
US20080000331A1 (en) Vehicle Lube Filter Unfastening Fixture
US7418890B2 (en) Wrench with split ring
CA2697755C (en) Ratchet for removing damaged fasteners
US20230100705A1 (en) Center Drive Wrench
US20060130620A1 (en) Spanner
KR20160054056A (ko) 개폐형 래칫 렌치
US20140007745A1 (en) Wrench
US20210069873A1 (en) Adjustable fastener engaging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