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811B1 - Link locking structure of seat for vehicle - Google Patents

Link locking structure of seat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811B1
KR102129811B1 KR1020180131873A KR20180131873A KR102129811B1 KR 102129811 B1 KR102129811 B1 KR 102129811B1 KR 1020180131873 A KR1020180131873 A KR 1020180131873A KR 20180131873 A KR20180131873 A KR 20180131873A KR 102129811 B1 KR102129811 B1 KR 102129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buckle
seat
side fram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8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49060A (en
Inventor
박상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80131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811B1/en
Publication of KR20200049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0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8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5Gear wheel driven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60R2022/021Means for holding the tongue or buckle in a non-use position, e.g. for easy access by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의 링크 로킹 구조에 관한 것으로, 시트 레일과 시트 쿠션의 사이드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시트의 높이를 조절시키는 하이트 링크,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안전 벨트의 버클과 접촉되며 상기 버클이 당겨질 경우 상기 하이트 링크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로킹 부재를 포함하여 버클이 당겨지는 경우 폴 기어와 섹터 기어가 치합되면서 하이트 링크의 회전을 방지하여 시트 쿠션의 편 측 뒤틀림을 방지하여 승객의 상해를 방지하는 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k locking structure of a seat for an automobile, a height link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a side frame of a seat rail and a seat cushion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eat, and pivotably coupled to the side frame, and of a seat belt. When the buckle is pulled, including a locking member provided to support the height link when the buckle is pulled in contact with the buckle, the pole gear and the sector gear are meshed to prevent rotation of the height link to prevent twisting on one side of the seat cushion. It is a device to prevent injury to passengers.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의 링크 로킹 구조 {LINK LOCKING STRUCTURE OF SEAT FOR VEHICLE}LINK LOCKING STRUCTURE OF SEAT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의 링크 로킹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시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링크를 고정시키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k locking structure of an automobile sea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for fixing a link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n automobile seat.

일반적으로, 시트는 탑승자의 편안함을 위하여 여러 가지 편의 장치를 가진다. In general, the seat has various convenience devices for the comfort of the occupant.

상기 편의 장치는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시트쿠션(Seat Cushion)을 밀고 당겨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딩(Sliding) 기능, 등받이에 해당하는 시트백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리클라이닝(Reclining) 기능 및 탑승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도록 시트 쿠션의 높이를 조절하는 시트 하이트 조절(height adjustment) 기능이 구비된다.The convenience device is a sliding function that can be adjusted by pushing and pulling a seat cush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according to the body shape of the occupant, a reclining function that adjusts the inclination of the seatback corresponding to the backrest, and the body size of the occupant It is equipped with a seat height adjustment function that adjusts the height of the seat cushion to fit.

또한, 시트에는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서 시트 벨트가 구비되며, 이 시트 벨트를 단속하기 위한 버클이 시트의 일측에 별도의 연결부재 및 연결브래킷에 의해 어퍼 레일 상단에 고정된다.In addition, the seat is provided with a seat belt for the safety of the occupant, and the buckle for controlling the seat belt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rail by a separate connecting member and a connecting bracket on one side of the seat.

종래의 시트는 충돌 시 버클에 작용하는 강한 인장력을 지지하기 위해 어퍼레일과 로워레일의 강한 분리강도를 이용하여 이를 강하게 결속해준다.The conventional seat strongly binds this by using the strong separation strength of the upper rail and the lower rail to support the strong tensile force acting on the buckle in the event of a collision.

따라서 버클은 어퍼레일 위쪽에서 연결 브래킷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하이트 조절이 되는 시트에서는 시트쿠션이 하이트 링크를 통해 상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버클이 시트쿠션 위로 노출되는 부분이 작아지게 된다. Therefore, it is common for the buckle to be fixed by the connecting bracket on the upper rail, but in the seat where the height is adjusted, the portion where the buckle is exposed over the seat cushion becomes smaller when the seat cushion is moved upward through the height link.

따라서,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단속하기 위해서 텅 플레이트를 버클에 체결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ccupant has difficulty in fastening the tongue plate to the buckle in order to control the seat belt.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버클을 하이트 링크에 의해 상승되는 시트의 베이스(사이드 프레임) 부분에 고정하는 구조가 제안되었다.To solve this, a structure has been proposed in which the buckle is fixed to the base (side frame) portion of the seat raised by the height link.

그러나, 버클이 시트의 베이스에 연결 브래킷으로 고정된 차량이 추돌이 발생하게 되면, 탑승자가 전방으로 튀어나가려는 힘이 벨트에 작용되고, 이 벨트에 작용된 힘이 버클에 전달되고, 버클이 당겨지는 힘에 의하여 버클과 결합된 사이드 프레임이 들어 올려지면서 하이트 링크에 강한 회전력이 전달되어 별도의 링크의 회전 방지 장치가 없는 버클 측 링크부가 강한 하중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회전에 의해 시트 쿠션이 뒤틀리게 되면서 쿠션 내 지지부재의 파손 및 쿠션의 전방 및 후방 처짐에 대한 지지력을 상실하게 된다.However, when a vehicle in which the buckle is fixed to the base of the seat with a connecting bracket causes a collision, the force that the occupant wants to jump out is applied to the belt, and the force applied to the belt is transmitted to the buckle, and the buckle is pulled. As the side frame combined with the buckle is lifted by the lifting force, strong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height link, so that the link side of the buckle without the rotation prevention device of the separate link is rotated by strong load and the seat cushion is distorted by rotation. Loss of the supporting force against damage of the support member in the cushion and deflection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cushion.

따라서, 추돌 등에 의하여 강한 충격(하중)이 인가되는 경우에 버클의 하중에 의해 버클 측 하이트 링크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링크의 회전을 결속해 주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device that binds the rotation of the link so that the hit-side link on the buckle does not rotate due to the load of the buckle when a strong impact (load) is applied due to collision or the like.

일본공개특허 특개2011-037407(2011.2.24)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1-037407 (2011.2.24)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자동차용 시트의 링크 로킹 구조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벨트에 작용된 힘이 버클을 통하여 하이트 링크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시트 쿠션의 전방 및 하방 이동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승객 상해를 방지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link locking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automobile seat as described above, and the force acting on the belt prevents the height link from rotating through the buckle,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for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seat cushion. The aim is to prevent passenger injury by reducing.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시트의 링크 로킹 구조는 시트 레일과 시트 쿠션의 사이드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시트의 높이를 조절시키는 하이트 링크,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안전 벨트의 버클과 접촉되며 상기 버클이 당겨질 경우 상기 하이트 링크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로킹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link locking structure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ide frame of the seat rail and the seat cushion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eat, and the height link to rotate the side fra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cking member that is possibly coupled and in contact with the buckle of the seat belt and provided to support the height link when the buckle is pulled.

이때,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버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cover member that is fixedly coupled to the side frame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buckle.

이때, 상기 하이트 링크는 상기 시트 레일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을 링크 결합시키도록 형성된 링크 본체, 및 상기 링크 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버클 방향으로 기어 이가 형성된 섹터 기어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height link may include a link body formed to link the seat rail and the side frame, and a sector gear connected to the link body and gear teeth formed in the buckle direction.

또한,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축홀이 형성된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서 상기 버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버클과 접촉되도록 형성된 레버부, 및 상기 회전부에서 상기 하이트 링크 방향으로 복수 개의 기어 이가 돌출 형성된 폴 기어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locking member is a rotating portion formed with an axial hole so as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ide frame, a lev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rotating portion in the buckle direction and formed to contact the buckle, and a plurality of rotating portions in the height link direction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gear teeth include a pole gear protruding.

이때, 상기 폴 기어는 상기 축홀에서부터의 반경 거리가 점차 커지도록 복수 개의 상기 기어 이가 형성된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pole gear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gear teeth so that the radius distance from the shaft hole gradually increases.

한편,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고 판 형태로 형성된 커버 본체, 및 상기 커버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버클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된 가이드 홀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cover member may include a cover body fixedly coupled to the side frame and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 guide hole formed in the cover body and configured to guide movement of the buckle.

한편, 상기 로킹 부재에 복원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로킹 부재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된 토션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torsion spring provid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locking member to apply a restoring force to the locking memb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링크 로킹 구조에 의하면, 버클이 당겨지는 경우 폴 기어와 섹터 기어가 치합되면서 섹터기어가 포함된 하이트 링크의 회전을 방지하여 시트 쿠션의 편 측 뒤틀림을 막고 시트벨트의 당김력이 레일에 의해 강건히 지지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link locking structure of the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uckle is pulled, the pole gear and the sector gear are meshed to prevent rotation of the height link including the sector gear, thereby distorting one side of the seat cush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ulling force of the seat belt is strongly supported by the r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링크 로킹 구조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링크 로킹 구조가 시트 레일 및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되는 상태를 표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링크 로킹 구조에서 하이트 링크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링크 로킹 구조에서 로킹 부재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링크 로킹 구조에서 커버 부재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링크 로킹 구조에서 버클이 당겨지기 전의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링크 로킹 구조에서 버클이 당겨진 후의 상태도,
도 9는 도 8에서 섹터 기어와 폴 기어의 치합된 상태를 표현한 확대도이다.
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link locking structure of a vehicle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nk locking structure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seat rail and the side frame,
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height link in the link locking structure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view of the locking member in the link locking structure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view of the cover member in the link locking structure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tate diagram before the buckle is pulled in the link locking structure of the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tate diagram after the buckle is pulled in the link locking structure of the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meshed state of a sector gear and a pole gear in FIG. 8.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링크 로킹 구조(1)는, 하이트 링크(10), 로킹 부재(20), 커버 부재(30), 토션 스프링(40) 및 버클(5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하이트 링크(10)는 시트 레일(2) 및 시트 쿠션의 사이드 프레임(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이트 링크(10)와 상기 로킹 부재(20)는 서로 치합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로킹 부재(20)는 상기 커버 부재(30)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3)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40)과 접촉된다. 상기 커버 부재(3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그 중 하나는 상기 로킹 부재(20)의 일측에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3)에 결합된다. 즉, 한 쌍의 상기 커버 부재(30) 사이에 상기 사이드 프레임(3)과 상기 로킹 부재(20)가 배치된다. 상기 버클(50)은 한 쌍의 상기 커버 부재(30)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3)을 관통하고, 상기 로킹 부재(20)와 접촉되도록 구비된다.1 and 2, the link locking structure 1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ight link 10, a locking member 20, a cover member 30, and a torsion spring ( 40) and buckle 50. At this time, the height link 1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at rail 2 and the side frame 3 of the seat cushion, and the height link 10 and the locking member 20 are arranged to be meshed with each other. . The locking member 20 is disposed between the cover member 30 and the side frame 3 and is in contact with the torsion spring 40. The cover member 30 is provided in a pair, one of which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ocking member 20, the other is coupled to the side frame (3). That is, the side frame 3 and the locking member 20 ar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cover members 30. The buckle 50 penetrates through the pair of cover members 30 and the side frame 3 and is provided to contact the locking member 20.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시트 레일(2)은 차실내의 플로워패널에 설치되고,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시트 레일(2)의 후방향 단부에 상기 하이트 링크(10)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이트 링크(10) 타측에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3)의 후방향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사이드 프레임(3)의 외측(시트를 기준으로 바깥쪽)에는 상기 버클(50), 상기 커버 부재(30) 및 높이 조정유닛(도면 미기재)이 설치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3)의 내측(시트 방향)에는 상기 하이트 링크(10) 및 상기 로킹 부재(20)가 결합된다.Referring to FIG. 3, the seat rail 2 is installed on the floor panel in the vehicle cabin and is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One side of the height link 1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seat rail 2, and the rear end of the side frame 3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height link 10. . In addition, the buckle 50, the cover member 30 and the height adjustment unit (not shown in the drawing) are installed on the outside (outside of the sheet) of the side frame 3, and the side frame 3 The height link 10 and the locking member 20 are coupled to the inside (in the sheet direction).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이트 링크(10)는 링크 본체(11), 섹터 기어(12), 레일 결합 홀(13), 프레임 결합 홀(14) 및 기어 홀(15)을 포함한다. 2, 3 and 4, the height link 10 includes a link body 11, a sector gear 12, a rail engaging hole 13, a frame engaging hole 14 and a gear hole 15 It includes.

상기 링크 본체(11)는 상기 시트 레일(2)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3)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링크 본체(11)는 장축 방향 양 측에 상기 레일 결합 홀(13) 및 상기 프레임 결합 홀(14)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 결합 홀(13)을 통하여 상기 시트 레일(2)과 힌지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 결합 홀(14)을 통하여 상기 사이드 프레임(3)과 힌지 결합된다.The link body 1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at rail 2 and the side frame 3. That is, the link body 11 is formed with the rail coupling hole 13 and the frame coupling hole 14 on both sides in the long axis direction, and the seat rail 2 and the hinge through the rail coupling hole 13. It is coupled, and is hinged to the side frame 3 through the frame coupling hole 14.

또한, 상기 링크 본체(11)의 상기 버클(50) 방향(차량의 전진 방향) 측벽면에는 기어 이가 형성되어 상기 섹터 기어(12)를 이룬다. 즉, 상기 링크 본체(11)에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3)과 겹쳐지는 부분은 상기 프레임 결합 홀(14)을 원점으로 한 부채꼴 형태로 형성되고, 부채꼴의 호에 해당하는 외주면에 기어 이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gear tooth is formed on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link body 11 in the buckle 50 direction (the vehicle forward direction) to form the sector gear 12. That is, a portion of the link body 11 overlapping with the side frame 3 is formed in a fan shape with the frame coupling hole 14 as an origin, and gear teeth ar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a fan arc.

한편, 상기 링크 본체(11)에는 상기 프레임 결합 홀(14)과 상기 섹터 기어(12) 사이에는 상기 기어 홀(15)이 호를 이루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link body 11 is formed between the frame coupling hole 14 and the sector gear 12, the gear hole 15 is formed by an arc.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로킹 부재(20)는 회전부(21), 레버부(22) 및 폴 기어(23)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21)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3) 및 상기 커버 부재(30)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회전부(21)에는 축홀(21a)이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3) 및 상기 커버 부재(30) 사이에 상기 회전부(21)가 끼워진 상태에서 시트 내측 방향에서부터 제1고정볼트(61)가 상기 커버 부재(31), 상기 축홀(21a)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3)을 관통하여 조립된다. 2, 3 and 5, the locking member 20 includes a rotating portion 21, a lever portion 22 and a pole gear 23. The rotating part 21 is rotatably coupled between the side frame 3 and the cover member 30. That is, in the rotating portion 21, an axial hole 21a is formed, 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rotating portion 21 is sandwiched between the side frame 3 and the cover member 30, the first fixing bolt 61 from the seat inner direction ) Is assembled through the cover member 31, the shaft hole 21a and the side frame 3.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축 지지부(65)가 상기 축홀(21a)에 결합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aft support portion 65 is coupled to the shaft hole 21a,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레버부(22)는 상기 회전부(21)에서 상기 버클(50) 방향으로 돌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40) 및 상기 버클(50)과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레버부(22)의 상측에 상기 토션 스프링(40)이 배치되어 탄성 지지되고, 상기 레버부(22)의 하측에는 상기 버클(50)이 배치되어 지지된다.The lever portion 22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buckle 50 from the rotating portion 21, and is arranged to contact the torsion spring 40 and the buckle 50. That is, the torsion spring 4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lever portion 22 and elastically supported, and the buckle 50 is disposed and supported on the lower side of the lever portion 22.

상기 폴 기어(23)는 상기 회전부(21)에서 상기 하이트 링크(10) 방향으로 복수 개의 기어 이가 돌출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폴 기어(23)는 상기 축홀(21a)에서부터의 반경 거리가 점차 커지도록 복수 개의 기어 이가 형성된다. 즉, 상기 축홀(21a)을 원점으로 할 때, 원점으로부터 반경 거리(r1)가 짧은 내측 기어 이(23a)와 상대적으로 반경 거리(r2)가 긴 외측 기어 이(23b)가 존재한다.The pole gear 23 is formed by protruding a plurality of gear teeth from the rotating part 21 toward the height link 10. At this time, the pole gear 23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gear teeth to gradually increase the radius distance from the shaft hole (21a). That is, when the shaft hole 21a is the origin, there is an inner gear tooth 23a having a short radius distance r1 from the origin and an outer gear tooth 23b having a relatively long radius distance r2.

상기 폴 기어(23)는 회전 시 상기 하이트 링크(10)의 상기 섹터 기어(12)와 치합 가능하도록 배치된다.The pole gear 23 is arranged to engage with the sector gear 12 of the height link 10 when rotating.

도 2,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 부재(30)는 커버 본체(31), 가이드 홀(32), 제1체결 홀(33) 및 제2체결 홀(34)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커버 본체(31)는 판 형태로 형성되고,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사이드 프레임(3), 상기 로킹 부재(20) 및 상기 토션 스프링(40)을 사이에 두고 양 측에서 덮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커버 본체(31)에는 상기 제1체결 홀(33) 및 상기 제2체결 홀(34)이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볼트(61) 및 제2고정볼트(62)가 관통한다. 한편, 상기 제1체결 홀(33)은 상기 축홀(21a)와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된다. 2, 3 and 6, the cover member 30 includes a cover body 31, a guide hole 32, a first fastening hole 33 and a second fastening hole 34. At this time, the cover body 31 is formed in a plate shape, is provided as a pair of the side frame (3), the locking member 20 and the torsion spring 40 between the coupling so as to cover on both sides do. In this case, the first fastening hole 33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34 are formed in the cover body 31 so that the first fastening bolt 61 and the second fastening bolt 62 penetrate. Meanwhile, the first fastening hole 33 is arranged to communicate with the shaft hole 21a.

또한, 상기 가이드 홀(32)은 상기 커버 본체(31)에 장공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 홀(32)이 아령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버클(5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In addition, the guide hole 32 is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hole in the cover body 31.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uide hole 32 is formed in a manner similar to a dumbbel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cludes all forms of guiding a movement path of the buckle 50.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토션 스프링(40)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3)과 상기 커버 부재(3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고정볼트(62)에 결합되며, 상기 레버부(22)와 접촉된다. 즉, 상기 토션 스프링(40)은 상기 제2고정볼트(62)에 고정되어 감겨있는 형태로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고정볼트(62)에 결합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40)이 끼워져 고정되는 스프링 결합부(64)를 구비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1 to 3, the torsion spring 40 is disposed between the side frame 3 and the cover member 30, is coupled to the second fixing bolt 62, the lever portion ( 22). That is, the torsion spring 40 is fixed to the second fixing bolt 62 and is provided in a wound form.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spring coupling portion 64 that is coupled to the second fixing bolt 62 and the torsion spring 40 is fitted and fix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버클(50)은 버클 본체(51)와 버클 핀(52)을 포함한다. 상기 버클 본체(51)는 차량의 벨트(도면 미기재)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3)에 결합된다. 상기 버클 핀(52)은 상기 버클 본체(51)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버클 본체(52)에서 시트 방향으로 돌출된 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버클 핀(52)은 상기 커버 부재(30)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3)을 관통하며, 상기 가이드 홀(32)을 따라 슬라이드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버클 핀(52)은 버클 결합부(63)와 결합하여 상기 커버 부재(30)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3)에 지지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3, the buckle 50 includes a buckle body 51 and a buckle pin 52. The buckle body 51 is detachably provided with a vehicle belt (not shown) and is coupled to the side frame 3. The buckle pin 52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uckle body 51, and is formed in a pin shape protruding from the buckle body 52 in a sheet direction. The buckle pin 52 penetrates the cover member 30 and the side frame 3 and is provided to slide along the guide hole 32. 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buckle pin 52 is coupled to the buckle coupling portion 63 and supported by the cover member 30 and the side frame 3,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고정볼트(61)가 제1고정너트(66)와 체결되고, 상기 제2고정볼트(62)가 상기 제2고정너트(67)와 결합되어 상기 사이드 프레임(3), 상기 커버 부재(30), 상기 로킹 부재(20) 및 상기 토션 스프링(40)을 고정시키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3), 상기 커버 부재(30), 상기 로킹 부재(20) 및 상기 토션 스프링(40)을 고정시키되, 상기 제1체결 홀(33), 상기 제2체결 홀(34) 및 상기 축홀(21a)을 관통하는 다양한 구조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fixing bolt 61 is fastened to the first fixing nut 66, and the second fixing bolt 62 is coupled to the second fixing nut 67 to the side frame ( 3), the cover member 30, the locking member 20 and the torsion spring 40 are fixed, but are not limited to, the side frame 3, the cover member 30, the locking member (20) and fixing the torsion spring 40, but includes various structures penetrating the first fastening hole 33, the second fastening hole 34 and the shaft hole 21a.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링크 로킹 구조의 작동 및 효과를 설명하면, 벨트(도면 미기재)에 장력이 인가되어 상기 버클(50)이 당겨지면, 상기 버클 핀(52)이 상기 가이드 홀(32)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로킹 부재(20)를 회동시키고, 상기 폴 기어(23)가 상기 섹터 기어(12)와 치합되면서 상기 버클(50)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분산시키고 상기 로킹 부재(20)와 상기 하이트 링크(10) 사이의 지지력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상기 버클(50)이 당겨지는 충격으로 상기 하이트 링크(10) 또는 상기 시트 레일(2)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Referring to Figures 7 to 9, when explaining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link locking structure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tension is applied to the belt (not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buckle 50 is pulled , As the buckle pin 52 moves along the guide hole 32, rotates the locking member 20, and the pawl gear 23 is engaged with the sector gear 12, from the buckle 50 Disperses the impact applied and improves the supporting force between the locking member 20 and the height link 1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ight link 10 or the seat rail 2 from being damaged by an impact of the buckle 50 being pulled.

먼저 도 7에는, 상기 버클(50)이 당겨지기 전(하중 발생 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버클(50)이 당겨지기 전에는 상기 토션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레버부(22)가 차량의 하측으로 눌려지고, 상기 레버부(22)가 상기 버클 핀(52)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버클 핀(52)이 상기 가이드 홀(32)의 하측에 위치한다. 이 경우 상기 폴 기어(23)는 상기 섹터 기어(12)와 접촉되지 않는다.First, FIG. 7 shows a state before the buckle 50 is pulled (before a load is generated). Before the buckle 50 is pulled, the lever portion 22 is pressed to the lower side of the vehicl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40, and the lever portion 22 presses the buckle pin 52 downward. Therefore, the buckle pin 52 is located under the guide hole 32. In this case, the pole gear 23 is not in contact with the sector gear 12.

도 8 및 도 9에는 상기 버클(50)이 당겨진 상태(하중 인가 시)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버클(50)이 당겨지면, 상기 버클 핀(52)이 차량의 상측으로 당겨지고, 상기 가이드 홀(32)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상기 버클 핀(52)(또는 상기 버클 핀(52)과 결합된 상기 버클 결합부(63))이 상기 레버부(22)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고, 상기 회전부(21)가 상기 축홀(21a)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폴 기어(23)가 상기 하이트 링크(10)와 치합된다.8 and 9 illustrate a state in which the buckle 50 is pulled (when a load is applied). When the buckle 50 is pulled, the buckle pin 52 is pulled to the upper side of the vehicle and moves upward along the guide hole 32. In this case, the buckle pin 52 (or the buckle engaging portion 63 coupled with the buckle pin 52) lifts the lever portion 22 upward, and the rotating portion 21 is the shaft hole ( While rotating around 21a), the pole gear 23 is engaged with the height link 10.

도 5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폴 기어(23)가 회전하면 상기 내측 기어 이(23a) 및 상기 외측 기어 이(23b)가 상기 섹터 기어(12)의 기어 이와 치합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축홀(21a)에서부터 상기 내측 기어 이(23a)까지의 반경 길이(r1)보다 상기 축홀(21a)에서부터 상기 외측 기어 이(23b)까지의 반경 길이(r2)를 더 크게(r2>r1) 구비하여, 상기 섹터 기어(12)와 상호 지지하는 힘(지지력)이 증가된다. 즉, 상기 폴 기어(23)를 래칫과 유사한 치형으로 구성하여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상기 버클(50)로 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분산시킨다.5 and 9, when the pole gear 23 rotates, the inner gear teeth 23a and the outer gear teeth 23b mesh with the gears of the sector gear 12.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dius length r2 from the shaft hole 21a to the outer gear tooth 23b is larger than the radius length r1 from the shaft hole 21a to the inner gear tooth 23a ( r2>r1), the force (support force) mutually supporting the sector gear 12 is increased. That is, the pole gear 23 is configured with a tooth shape similar to a ratchet to improve the support force and disperse the impact applied from the buckle 50.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어 홀(15)을 구비하여 순간적으로 강한 충격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기어 홀(15)을 통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효과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strong shock is instantaneously provided with the gear hole 15, it may also have an effect of absorbing shock through the gear hole 15.

그러므로, 종래에는 하중 인가 시에 버클과 결합된 사이드 프레임이 들어 올려지면서 하이트 링크에 강한 회전력이 전달되어 하이트 링크가 파손되거나 하이트 링크와 시트 레일이 서로 이탈되던 것과 대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하중 인가 시에 상기 하이트 링크(10)와 상기 로킹 부재(20)가 점차 서로 맞물려 지지력이 증가하면서 상기 하이트 링크(10)가 순간적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ior art, when the load is applied, the side frame combined with the buckle is lifted, and a strong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height link, so that the height link is broken or the height link and the seat rail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height link 10 and the locking member 20 are gradually engaged with each other, the support force increases, thereby preventing the height link 10 from being instantaneously damaged.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specifically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that the modification and improvement are possible by the ruler.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arified by the appended claims.

1 : 로킹 구조
2 : 시트 레일
3 : 사이드 프레임
10 : 하이트 링크
12 : 섹터 기어
20 : 로킹 부재
22 : 레버부
23 : 폴 기어
23a : 내측 기어 이
23b : 외측 기어 이
30 : 커버 부재
32 : 가이드 홀
40 : 토션 스프링
50 : 버클
1: Locking structure
2: seat rail
3: Side frame
10: hit link
12: sector gear
20: locking member
22: lever part
23: pole gear
23a: inner gear teeth
23b: outer gear teeth
30: cover member
32: guide hole
40: torsion spring
50: buckle

Claims (7)

시트 레일과 시트 쿠션의 사이드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시트의 높이를 조절시키는 하이트 링크;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안전 벨트의 버클과 접촉되며, 상기 버클이 당겨질 경우 상기 하이트 링크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로킹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축홀이 형성된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서 상기 버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버클과 접촉되도록 형성된 레버부; 및
상기 회전부에서 상기 하이트 링크 방향으로 복수 개의 기어 이가 돌출 형성된 폴 기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링크 로킹 구조.
A height link rotatably coupled to the side frame of the seat rail and the seat cushion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eat; And
A locking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side frame, in contact with the buckle of the seat belt, and provided to support the height link when the buckle is pulled;
Including,
The locking member,
A rotation part having an axial hole formed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ide frame;
A lev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rotating portion in the buckle direction and formed to contact the buckle; And
A pole gear having a plurality of gear teeth protruding from the rotating part in the height link direction;
Link locking structure of a car sea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버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커버 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링크 로킹 구조.
According to claim 1,
A cover member fixedly coupled to the side frame and guiding movement of the buckle;
Link locking structure of a vehicle sea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트 링크는,
상기 시트 레일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을 링크 결합시키도록 형성된 링크 본체; 및
상기 링크 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버클 방향으로 기어 이가 형성된 섹터 기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링크 로킹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height link,
A link body formed to link the seat rail and the side frame; And
A sector gear connected to the link body and having gear teeth formed in the buckle direction;
Link locking structure of a car sea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 기어는,
상기 축홀에서부터의 반경 거리가 점차 커지도록 복수 개의 상기 기어 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링크 로킹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pole gear,
Link locking structure of a vehicle seat,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e gear teeth are formed to gradually increase the radius distance from the shaft ho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고, 판 형태로 형성된 커버 본체; 및
상기 커버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버클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된 가이드 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링크 로킹 구조.
According to claim 2,
The cover member,
A cover body fixedly coupled to the side frame and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 guide hole formed in the cover body and form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buckle;
Link locking structure of a vehicle sea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에 복원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로킹 부재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된 토션 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링크 로킹 구조.
According to claim 1,
A torsion spring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locking member to apply a restoring force to the locking member;
Link locking structure of the vehicle sea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KR1020180131873A 2018-10-31 2018-10-31 Link locking structure of seat for vehicle KR1021298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873A KR102129811B1 (en) 2018-10-31 2018-10-31 Link locking structure of seat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873A KR102129811B1 (en) 2018-10-31 2018-10-31 Link locking structure of seat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060A KR20200049060A (en) 2020-05-08
KR102129811B1 true KR102129811B1 (en) 2020-07-03

Family

ID=70677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873A KR102129811B1 (en) 2018-10-31 2018-10-31 Link locking structure of seat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81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744B1 (en) 2020-08-18 2020-12-07 대원정밀공업(주) Sub-lock assembly to prevent turning of height link in case of vehicle collision
KR20220030647A (en) 2020-09-03 2022-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Locking apparatus of seat belt buckle for vehicle
KR20220143298A (en) * 2021-04-16 2022-10-25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Locking device for walk-in seat of vehicle
KR102446334B1 (en) * 2021-04-16 2022-09-2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Locking device for walk-in seat of vehicle
KR102446335B1 (en) 2021-04-16 2022-09-2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Locking device for walk-in seat of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7715A (en) * 2000-08-25 2002-05-14 C Rob Hammerstein Gmbh & Co Kg Seat for vehicle provided with seat carrier and buckle of safety belt arranged on seat carrier
DE10025676B4 (en) * 2000-05-24 2004-03-04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Motor vehicle seat with a seat height adjustment device
KR101317161B1 (en) 2012-10-26 2013-10-11 대원강업주식회사 Vehicle seat for reducing impact by preventing leaning one side when collision or rear-end collision
KR101550152B1 (en) 2014-09-01 2015-09-04 주식회사다스 Seat for vehicle comprising apparatus for protecting height link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42961B2 (en) 2009-08-18 2013-11-1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Vehicle seat with belt buck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25676B4 (en) * 2000-05-24 2004-03-04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Motor vehicle seat with a seat height adjustment device
JP2002137715A (en) * 2000-08-25 2002-05-14 C Rob Hammerstein Gmbh & Co Kg Seat for vehicle provided with seat carrier and buckle of safety belt arranged on seat carrier
KR101317161B1 (en) 2012-10-26 2013-10-11 대원강업주식회사 Vehicle seat for reducing impact by preventing leaning one side when collision or rear-end collision
KR101550152B1 (en) 2014-09-01 2015-09-04 주식회사다스 Seat for vehicle comprising apparatus for protecting height li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060A (en)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9811B1 (en) Link locking structure of seat for vehicle
US7472963B2 (en) Recliner lever assembly for a front seat of a vehicle
EP2261078B1 (en) Erroneous operation preventing device and stowable seat for vehicle
JP3748948B2 (en) Frame of seat back of vehicle and seat of vehicle having the frame
US8414055B2 (en) Vehicle seat
WO2010084911A1 (en) Vehicle seat
US8616636B2 (en) Vehicle seat
EP2277735A1 (en) Erroneous operation preventing device and stowable vehicle seat
AU2011202027A1 (en) Slide device for vehicle seat
KR20120064265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neck injury of seat in vehicle
JP2010000960A (en) Seat lifter used for automobile seat
US20100264714A1 (en) Manual retracting head restraint
KR102184744B1 (en) Sub-lock assembly to prevent turning of height link in case of vehicle collision
KR100461104B1 (en) An apparatus for locking a recliner of a front seat in automobile
KR20110012897A (en) Multi fixing typed recliner lever device
KR100706440B1 (en) A movement structure for vehicle's active headrest
KR101837425B1 (en) headrest for vehicle
US6402218B1 (en) Seat belt pretensioner device powered by vehicle body deformation
KR100747876B1 (en) A structure for preventing reclining release of seat for vehicle
JP3799823B2 (en) Vehicle seat structure
KR20240082883A (en) Link locking device of seat for vehicle
JP5872385B2 (en) Vehicle seat
CN109532581B (en) Child safety seat headrest adjusting device and child safety seat
KR100366578B1 (en) Device for locking a jump seat to vehicle body
KR101806123B1 (en) headrest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