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805B1 - Bellows typed air spring - Google Patents

Bellows typed air sp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805B1
KR102129805B1 KR1020190028379A KR20190028379A KR102129805B1 KR 102129805 B1 KR102129805 B1 KR 102129805B1 KR 1020190028379 A KR1020190028379 A KR 1020190028379A KR 20190028379 A KR20190028379 A KR 20190028379A KR 102129805 B1 KR102129805 B1 KR 102129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lows
air hole
opening
air
bod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3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도훈
박창현
김현범
Original Assignee
평화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8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80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8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16F9/0209Telescopic
    • F16F9/0245Mean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or for locking, the spring or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6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slots arranged in cylinder walls
    • F16F9/3465Slots having a variable section along their 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llows type air spring and, more specifically, to a bellows type air spring comprising: an upper end cap and a lower end cap coupled to both ends of a bellows configured to be contracted and expanded; an upper body tube arranged within the bellows and having the upper end cap coupled thereto; and a lower body tube arranged within the bellows to have the lower end cap coupled thereto, and coupled to the upper body tube. A first air hole with a rectangular shap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upper body tube and a second air hole with a rectangular shap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ower body tube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air hole are provided wherein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regularly maintaining an opening area of each air hole when the upper body tube is lifted and lowered is provided at the upper body tube and the lower body tube. The bellows type air spring regularly maintains the opening area of the air hole to prevent air flow from being blocked at a specific region by allowing a door to gradually open and close the first air hole with a rectangular shape so that the second air hole with the rectangular shape of the lower body tube is always open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when the upper body tube is lifted and lowered, thereby improving air flow performance to enhance responsiveness and also making air pressure control easy to enhance performance of a shock absorber.

Description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Bellows typed air spring}Bellows typed air spring

본 발명은 개폐수단이 상부경통의 승강 및 하강 시, 도어가 장방형 제1 에어홀을 점층적으로 폐쇄 및 개방하여 언제나 하부경통의 장방형 제2 에어홀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에어홀의 개방면적을 균일하게 유지함으로써 공기 흐름이 특정 구역에서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공기 흐름성을 좋게하여 응답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압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opening area of the air hole uniformly by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and lower cylinders and opening and closing the rectangular first air hole so that the rectangular second air hole of the lower tube is always opened. By doing so, the air flow is prevented from being clogged in a specific area, and through this, the air flow property is improved to improve responsiveness, and also relates to a bellows-type air spring that can facilitate pneumatic control.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장치에는 주행중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각종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쇽업소버와 함께 샤시 스프링이 구비되어 있다.In general, a suspension device of a vehicle is equipped with a chassis spring together with a shock absorber to improve riding comfort by absorbing various vibrations or shocks transmitted from the road surface while driving.

상기 샤시 스프링은 판 스프링과 코일 스프링 및 에어 스프링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중 에어 스프링은 차량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나 공기압력을 하중에 따라 조정하는 장치와 공기압축을 위한 장치 등이 필요하여 주로 버스와 같은 대형차량에 사용되고 있다.The chassis spring may be classified into a plate spring, a coil spring, an air spring, etc., and the dual air spring has an advantage of maintaining a constant vehicle height, but a device for adjusting air pressure according to a load and for air compression. It requires equipment and is mainly used for large vehicles such as buses.

상기 에어 스프링은 작동방식에 따라 신축에 의해 내부의 체적과 압력이 변화되는 벨로우즈(bellows) 형과 신축에 따라 고무락이 뒤집히는 다어어프램(diaphram) 형 및 이들의 복합형이 있다.The air spring has a bellows type in which the volume and pressure of the inside are changed by expansion and contra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ng method, a diaphram type in which a rubber lock is reversed according to expansion and contraction, and a combination thereof.

이러한 에어 스프링은 일반 코일 스프링 대신 위에서 기재한 벨로우즈 또는 다이어프램 등을 이용하여 차량을 지지하는 샤시 스프링으로서, 별도로 구비된 컴프레서를 통해 공기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Such an air spring is a chassis spring that supports a vehicle using a bellows or diaphragm described above instead of a general coil spring, and is configured to change air pressure through a separately provided compressor.

종래의 벨로우즈형 에어 스프링은 수축 및 팽창(복원)될 수 있는 중공형의 벨로우즈와 이 벨로우즈의 양단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상단캡 및 하단캡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단캡에는 외부공기가 주입되는 공기주입구가 구비되어 있다.Conventional bellows-type air springs are composed of a hollow bellows that can be contracted and expanded (restored) and an upper cap and a lower cap fixed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ellows, and the upper cap is an air inlet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jected. Is equipped.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벨로우즈형 에어 스프링은 내장된 컴프레서의 작동과 동시에 벨로우즈가 축선방향으로 압축 및 팽창되면서 차량의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데, 이때 벨로우즈가 축선방향을 약간이라도 벗어나 비대칭적으로 거동하게 되는 경우 벨로우즈에 균열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The conventional bellows-type air spring as described above absorbs vibration or shock of the vehicle as the bellows compresses and expands in the axial direction at the same time as the operation of the built-in compressor. At this time, the bellows behaves asymmetrically even slightly out of the axial direction. If there is, there is a problem that cracks are generated in the bellows.

다시 말해, 종래의 벨로우즈형 에어 스프링은 압축되는 벨로우즈가 축선방향을 약간이라도 벗어나 비대칭적으로 거동하게 되는 경우 벨로우즈의 축외(out of axial) 거동 및 비틀림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축외(out of axial) 거동 및 비틀림 거동에 의해 벨로우즈에 균열이 발생되고, 결국 스프링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In other words, in the conventional bellows-type air spring, when the compressed bellows behaves asymmetrically even slightly out of the axial direction, out of axial behavior and torsion of the bellows occur, and such out of axial There is a problem that cracks are generated in the bellows due to the behavior and torsional behavior, and eventually the spring function is lost.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5710호(2013.10.01. 등록) “벨로우즈형 에어 스프링”은 수축 및 팽창 가능한 중공형의 벨로우즈와 이 벨로우즈의 양단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상단캡 및 하단캡을 포함하며, 상기 벨로우즈 내측에는 상단캡과 하단캡에 각기 고정되게 장착되고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단 경통 및 하단 경통이 구성되어, 상단캡에 작용하는 하중 변동에 따라 상기 상단 경통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벨로우즈가 축선방향으로만 신축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상단 경통은 표면에 축선방향으로 길게 돌출되는 슬라이딩 슬리트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슬리트는 하단 경통의 슬리트 홀에 끼워진 상태로 상단 경통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게 되므로서, 상단 및 하단 경통의 회전 거동이 방지되어 벨로우즈의 비틀림 거동이 억제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상단 및 하단 경통은 외주면에 다수의 압력조절용 홀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력조절용 홀은 하단 경통의 내부를 출입하는 상단 경통의 상하 이동에 따라 홀의 개방된 면적이 가변되어, 에어 스프링 내의 압력의 증감 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315710 (2013.10.01. registration) "bellows type air spring" is a hollow bellows contractible and expandable and an upper cap and a lower cap fixed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ellows Including, the inside of the bellows is configured to be fixedly mounted to the top cap and the bottom cap, respectively, and the upper and lower barrels are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As the bellows move, the bellows are stretched only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upper barrel is formed with a sliding slit protruding long in the axial direction on the surface, and the sliding slit slides in the upper barrel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lit hole of the lower barrel. By guiding the movement, the rotational behavior of the upper and lower barrels is prevented to suppress the torsional behavior of the bellows, and the upper and lower barrels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essure regulating holes penetra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pressure regulating hole The open area of the hol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upper barrel that enters and exits the inside of the lower barrel, so that the speed of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pressure in the air spring can be changed.

이를 통해 벨로우즈의 비정상적인 거동을 방지하여 벨로우즈의 균열 발생을 방지하고, 내구성능을 개선하고 있다.This prevents the bellows from behaving abnormally, thereby preventing the bellows from cracking and improving durability.

종래기술의 경우 상단 경통과 하단 경통에 원형의 다수의 압력조절용 홀이 상하로 배치되어 상단 경통의 상하 이동에 따라 홀의 개방면적을 가변시키고, 이를 통해 스프링 내의 압력의 증감속도를 변화시키고 있다.In the case of the prior art, a plurality of circular pressure regulating holes are arranged up and down on the upper and lower barrels to vary the opening area of the holes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upper barrel, thereby changing the speed of pressure increase and decrease in the spring.

다만 종래기술의 경우 상단 경통이 승하강동작 시, 압력조절용 홀이 폐쇄되는 순간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공기의 흐름이 막히는 구간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공기의 흐름성을 저하시켜 응답성이 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하여 쇽업쇼버 기능을 일시적으로 하락시키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when the upper and lower cylinders move up and down, a moment in which the pressure adjusting hole is closed may occur, and in this case, a section in which the flow of air is blocked occurs. This phenomenon may not only reduce the responsiveness by lowering the flowability of the air, thereby causing a problem of temporarily decreasing the shock absorber func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5710호(2013.10.01. 등록)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1315710 (2013.10.01. registered)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개폐수단이 상부경통의 승강 및 하강 시, 도어가 장방형 제1 에어홀을 점층적으로 폐쇄 및 개방하여 언제나 하부경통의 장방형 제2 에어홀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에어홀의 개방면적을 균일하게 유지함으로써 공기 흐름이 특정 구역에서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공기 흐름성을 좋게하여 응답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압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When the opening/closing means elevates and descends the upper cylinder, the door gradually closes and opens the rectangular first air hole, so that the rectangular second air hole of the lower cylinder is always opened, thereby keeping the open area of the air hole uniform, thereby allowing air flow.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llows type air spring that can prevent clogging in this specific area, improve airflow through this, improve responsiveness, and facilitate pneumatic control.

본 발명에 따른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은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벨로우즈 양단에 결합되는 상단캡 및 하단캡; 상기 벨로우즈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단캡이 결합되는 상부경통; 및 상기 벨로우즈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단캡이 결합되고, 상기 상부경통과 결합되는 하부경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경통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장방형 제1 에어홀과, 상기 하부경통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 에어홀에 대응되는 장방형 제2 에어홀이 구비되되,The bellows type air sp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cap and a lower cap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ellows configured to be able to contract and expand; An upper barrel disposed inside the bellows and coupled to the upper cap; And a lower first cylinder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bellows and the lower cap is coupled and is coupled to the upper cylinder; and a rectangular first air hol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upper cylinder and the lower cylinder. It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s provided with a rectangular second air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air hole,

상기 상부경통과 상기 하부경통에는 상기 상부경통의 승하강 시, 상기 각 에어홀의 개방 면적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한 개폐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and lower barrels are provided with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uniformly maintaining the open area of each air hole when the upper and lower cylinders are moved up and down.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상부경통의 제1 에어홀을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도어와, 상기 도어의 하단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하부경통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에어홀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air hole of the upper barrel, a protrusion formed at the bottom of the door, and formed in the lower barrel, and disposed above the second air ho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on is made to include an insertion portion is fitted.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부경통의 제1 에어홀 양측에는 상기 개폐수단의 도어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door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s further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air hole of the upper barr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부경통과 상기 하부경통에는 승하강 동작을 가이드하기 위한 안내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and lower barre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guide means for guiding the lifting operation.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상부경통의 외주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 또는 암안내부와, 상기 하부경통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경통의 각 안내부가 슬라이드 결합되는 암 또는 수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male or female guide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barrel, and an arm or male guide part formed on the lower barrel and each guide portion of the upper barrel is slide-coupl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본 발명에 따른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은 개폐수단이 상부경통의 승강 및 하강 시, 도어가 장방형 제1 에어홀을 점층적으로 폐쇄 및 개방하여 언제나 하부경통의 장방형 제2 에어홀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에어홀의 개방면적을 균일하게 유지함으로써 공기 흐름이 특정 구역에서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bellows type air sp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ning/closing means elevate or descend the upper cylinder, the door gradually closes and opens the rectangular first air hole, so that the rectangular second air hole of the lower cylinder is always opened. By keeping the open area uniform, air flow can be prevented from clogging in certain areas.

또한 본 발명은 공기 흐름성을 좋게하여 응답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압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쇽업쇼버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increase the responsiveness by improving the air flow, but also can facilitate pneumatic control, thereb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shock absorb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벨로우즈용 에어스프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벨로우즈용 에어스프링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벨로우즈용 에어스프링의 개폐수단을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및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수단의 동작에 의하여 각 에어홀 개방 면적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것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수단의 승하강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수단을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spring for a bellow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ir spring for the bellow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and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of the air spring for the bellow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operating state showing that each air hole opening area is maintained uniformly by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6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emplifi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ive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례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irst,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lso,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or one or more oth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feature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벨로우즈(10)형 에어스프링은 벨로우즈(10)의 양단에 결합되는 상단캡(11) 및 하단캡(13)과, 상부경통(20)과, 하부경통(30)을 포함하고, 상부경통(20) 및 하부경통(30)에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장방형 제1 에어홀(21)과 제2 에어홀(3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4, the bellows 10 air sp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cap 11 and a lower cap 13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ellows 10, and an upper barrel 20. , It includes a lower barrel 30, and comprises a rectangular first air hole 21 and a second air hole 31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in the upper tube 20 and the lower tube 30.

또한 상부경통(20)과 하부경통(30)에는 상부경통(20)의 승하강 시, 각 에어홀의 개방 면적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한 개폐수단(40)이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cylinders 20 and 30 are provided with opening and closing means 40 for uniformly maintaining the opening area of each air hole when the upper and lower cylinders 20 are moved up and dow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단캡(11) 및 하단캡(13)은 수축 및 팽차(복원) 가능한 중공형의 벨로우즈(1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결합 고정된다.1 and 2, the upper cap 11 and the lower cap 1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and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hollow bellows 10, which can be contracted and expanded (restored), respectively.

이 경우 상단캡(11)은 상부경통(20)의 상단이 저면부에 장착되고, 하단캡(13)은 하부경통(30)의 하단이 상면부에 장착된다. 또한 상단캡(11)에는 외부공기의 주입을 위한 공기주입구(15)가 형성되어 있어 벨로우즈(10) 내 공기압력을 변경 조절하기 위한 컴프레서(미도시)가 내장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upper end of the upper tube 11 is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tube 20,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tube 13 of the lower cap 13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In addition, the upper cap 11 has an air inlet 15 for injecting external air, and a compressor (not shown) for changing and adjusting the air pressure in the bellows 10 is built in.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부경통(20)과 하부경통(30)은 상부경통(20)이 하부경통(30)에 삽입되어 상부경통(20)이 슬라이드 동작을 통하여 승하강하도록 구성된다.1, 2 and 4, the upper tube 20 and the lower tub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tube 20 is inserted into the lower tube 30, the upper tube 20 slides It is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through the operation.

이는 상단캡(11)에 작용하는 하중 변동에 따라 상부경통(20)이 하부경통(30)에 대해 상하 또는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상하방향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벨로우즈(10)는 축선방향으로만 신축하게 된다.This causes the upper barrel 20 to slide up and down or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barrel 30 according to the load fluctuation acting on the upper cap 11, and the bellows 10 is axial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slide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Will only be built into.

이를 위해 상부경통(20)은 하부경통(30)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하게 되고, 이러한 슬라이드 이동은 안내수단(50)에 의하여 구현된다.To this end, the upper tube 20 is inserted into the lower tube 30 to move the sl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is slide movement is implemented by the guide means 50.

이에 앞서 상부경통(20)과 하부경통(30)의 조립은 하부경통(30)의 하부에서 상부경통(20)을 상부방향으로 삽입하는 형태로 이루진다. 이 경우 상부경통(20)이 완전히 삽입되어 완전히 승강되는 경우 상부경통(20)과 하부경통(3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경통(20) 하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플랜지부(25)가 형성되고, 하부경통(30) 상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2 플랜지부(33)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경통(20)이 완전힌 승강된 상태에서는 제1 플랜지부(25)와 제2 플랜지부(33)가 맞닿아 스토퍼 역할을 하여 상부경통(20)과 하부경통(3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이는 상부경통(20)과 하부경통(30)의 팽창한계를 설정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벨로우즈(10)의 팽창한계를 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Prior to this, the assembly of the upper tube 20 and the lower tube 30 is made in the form of inserting the upper tube 20 in the upper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lower tube 30. In this case, when the upper tube 20 is completely inserted and fully lifted, the first flange portion 25 protruding outward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tube 20 to prevent the upper tube 20 and the lower tube 30 from being separated. ) Is formed, and a second flange portion 33 protruding inward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barrel 30. Therefore, when the upper barrel 20 is fully elevated, the first flange portion 25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33 abut and act as a stopper, so that the upper and lower cylinders 20 and 30 are separated. Can be prevented. That is, it sets the expansion limit of the upper and lower cylinders 20 and 30, thereby performing the function of determining the expansion limit of the bellows 10.

전술한 바와 같은 안내수단(50)은 상부경통(20)의 외주면에 상하방향으로 배열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수 또는 암안내부가 형성된다. 또한 이에 대응하여 하구경통에는 상부경통(20)의 각 안내부가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암 또는 수안내부가 형성된다. 이 경우 하부경통(30)의 안내부는 상단에 형성되는 제2 플랜지부(33)에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means 50 as described above i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tube 20, a plurality of male or female guide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In addition, in response to this, an arm or a male guide portion is formed in the estuary barrel so that each guide portion of the upper barrel 20 slides. In this case, the guide portion of the lower barrel 30 may be formed on the second flange portion 33 formed on the upper end.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경통(20)의 안내부는 돌기 형태의 수안내부(51)가 구비되고, 하부경통(30)의 안내부는 제2 플랜지부(33)에 홈 형태의 암안내부(53)로 구성된다. 따라서 수안내부(51)가 암안내부(53)에 삽입이므로 슬라이드 이동 시, 상호 가이드하여 상부경통(20)과 하부경통(30)이 축선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거동, 즉 회전 거동이나, 비틀림 거동 등을 방지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guide portion of the upper barrel 20 is provided with a male guide portion 51 in the form of a projection, and the guide portion of the lower barrel 30 is a groove guide arm 53 in the second flange portion 33. It is composed. Therefore, since the male guide portion 51 is inserted into the female guide portion 53, when the slide is moved, the upper barrel 20 and the lower barrel 30 behave in directions other than the axial direction, i.e., rotational movement or twisting. Behavior and the like can be prevented.

이 경우 첨부된 도 2의 도시에는 상부경통(20)에는 안내수단의 수안내부(51)가 형성되고, 하부경통(30)에는 안내수단의 암안내부(53)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대로 상부경통에 암안내부가 형성되고 하부경통에는 수안내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case, in the attached FIG. 2, the upper guide tube 20 is provided with a male guide part 51 of the guide means, and the lower guide tube 30 is shown with a guide arm 53 of the guide means. On the contrary, it is also possible that a male guide is formed in the upper barrel and a male guide is formed in the lower barrel.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부경통(20)과 하부경통(30)에는 서로 대응되도록 장방형의 제1 및 제2 에어홀(31)이 원주방향으로 따라 형성되고, 개폐수단(40)을 도입하여 상부경통(20)의 승하강동작 시, 에어홀의 개방면적이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2 to 4, the first and second air holes 31 of the rectangle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upper and lower cylinders 20 and 30,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eans 40 is introduced to move the upper and lower cylinders 20 up and down, it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open area of the air hole uniformly.

이는 종래와 같이 상부경통과 하부경통에 원형의 에어홀을 상하방향으로 다수 형성하는 경우 상부경통이 승하강동작 시, 에어홀이 폐쇄되는 순간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공기의 흐름이 막히는 구간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공기의 흐름성을 저하시켜 응답성이 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하여 쇽업쇼버 기능을 일시적으로 하락시키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This is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circular air 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cylinders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in the prior art, when the upper and lower cylinders move up and down, the moment when the air holes are closed may occur. In this case, the air flow is blocked. Will occur. This phenomenon may not only reduce the responsiveness by lowering the flowability of the air, thereby causing a problem of temporarily decreasing the shock absorber function.

따라서 본 발명에는 이러한 공기 흐름성 저하를 방지하여 응답성을 높여 쇽업쇼버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개폐수단(40)을 도입하고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closing means 40 is introduced in order to prevent such a decrease in air flow and increase the responsiveness to maintain the function of the shock absorber.

이를 위한 개페수단은 상부경통(20)의 제1 에어홀(21)을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도어(41)와, 도어(41)의 하단에 형성되는 돌출부(43)와, 하부경통(30)에 형성되고 제2 에어홀(31) 상부에 배치되어 돌출부(43)가 끼워지는 삽입부(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Opening means for this is a door 4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air hole 21 of the upper tube 20, a protrusion 43 formed at the bottom of the door 41, and a lower tube 30 It is formed on the second air hole (31)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is made to include an insertion portion 45 is fitted with a projection (43).

즉 개폐수단(40)의 도어(41)는 제1 에어홀(21)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상부경통(20)의 제1 에어홀(21) 양측에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ㄷ’자 형태의 가이드부(23)가 형성되어 도어(41)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이 경우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가이드부 하단에 스토퍼 기능의 돌기를 형성하여 도어가 제1 에어홀의 하단으로부터 완전히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That is, the door 41 of the opening/closing means 40 is configured to be slid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first air hole 21. To this end, both sides of the first air hole 21 of the upper tube 20 are shown in FIG. As shown in the figure, a'U' shaped guide portion 23 is formed to guide slide movement of the door 41.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door from completely exiting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air hole by forming a stopper function protrusion at the bottom of the guide portion.

또한 개폐수단(40)의 돌출부(43)는 도어(41)의 하단에 형성되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portion 43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0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door 41 and protrudes outward.

아울러 개폐수단(40)의 삽입부(45)는 제2 에어홀(31)의 상부 즉, 하부경통(30) 내측에 형성되는데,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돌기 사이에 삽입홈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insertion portion 45 of the opening/closing means 40 is formed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air hole 31, that is, the lower barrel 30, and is formed as an insertion groove between protrusions spaced up and down.

따라서 돌출부(43)가 삽입부(45)에 끼워진 상태로 구성되어 상부경통(20)의 승강 및 하강 시, 도어(41)는 상부경통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강 및 승강하게 된다.Therefore, the protrusion 43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45, and when the upper and lower cylinders 20 are raised and lowered, the door 41 is lowered and raised relative to the upper cylinder.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경통(20)과 하부경통(30)을 조립 시, 돌출부(43)가 삽입부(45)에 끼워지는데, 상호간의 결합을 용이하도록, 도 6의 도시와 같이 돌출부(43)의 상면부에 경사진 제1 진입유도부(43a)를 형성하고, 삽입부(45)의 하부 돌기에 경사진 제2 진입유도부(45a)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case, when assembling the upper barrel 20 and the lower barrel 30 as described above, the protrusion 43 is fit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45, so as to facilitate coupling between the protrusions, as shown in FIG.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n inclined first entry guide portion 43a i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43), and to form an inclined second entry guide portion 45a in the lower protrusion of the insertion portion 45.

따라서 상부경통(20)을 하방에서 하부경통(30)에 삽입하여 조립 시, 돌출부(43)의 제1 진입유도부(43a)와 삽입부(45)의 제2 진입유도부(45a)가 서로 경사면을 타고 결합되어 상호간의 결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Therefore, when assembling the upper barrel 20 by inserting it from the bottom into the lower barrel 30, the first entry guide portion 43a of the protrusion 43 and the second entry guide portion 45a of the insertion portion 45 incline each other. It can be combined by riding to facilitate the mutual coupling.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개폐수단(40)에 의하여 상부경통(20)의 승강동작 시, 에어홀을 개방면적이 균일하게 유지됨은 도 4의 도시와 같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upper and lower cylinders 20 are moved up and down by the opening/closing means 4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air hole opening area is uniformly maintained.

즉 도 4의 (a)의 도시는 상부경통(20)이 완전히 승강된 팽창한계에 위치한 경우이고, 이 경우 개폐수단(40)의 도어(41)는 상부경통(20)의 제1 에어홀(21)을 완전히 폐쇄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하부경통(30)의 제2 에어홀(31)은 완전힌 개방된 상태이다.That is, the illustration of Fig. 4 (a) is the case where the upper tube 20 is located at the expansion limit that is fully elevated, and in this case, the door 41 of the opening/closing means 40 is the first air hole of the upper tube 20 ( 21) will be completely closed. In this state, the second air hole 31 of the lower barrel 30 is completely opened.

도 4의 (b)의 도시는 상부경통(20)이 일정 거리만큼 하강한 경우이고, 이 경우 개폐수단(40)의 도어(41)는 상부경통(20)이 하강한 거리만큼 상부경통(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강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하부경통(30)의 제2 에어홀(31)은 도 4의 (a)와 같이 완전히 개방상태로 유지된다.4(b) shows that the upper tube 20 is lower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is case, the door 41 of the opening/closing means 40 is the upper tube 20 by the distance the upper tube 20 is lowered. ). In this state, the second air hole 31 of the lower barrel 30 is maintained in a completely open state as shown in Fig. 4 (a).

도 4의 (c)의 도시는 상부경통(20)이 완전히 하강한 경우이고, 이 경우 개폐수단(40)의 도어(41) 역시 상부경통(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하부경통(30)의 제2 에어홀(31)은 도 4의 (a) 및 (b)와 같이 완전히 개방상태로 유지된다.4(c) shows that the upper tube 20 is completely lowered, and in this case, the door 41 of the opening/closing means 40 also maintains a relatively elevated state with respect to the upper tube 20. . In this state, the second air hole 31 of the lower barrel 30 is maintained in a completely open state as shown in FIGS. 4A and 4B.

반대로 도 4의 (c)의 도시와 같이 상부경통(20)이 완전히 하강한 상태에서 승강하는 경우에는 개폐수단(40)의 도어(41)가 상부경통(20)이 승강한 거리만큼 상부경통(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강하게 되므로 하부경통(30)의 제2 에어홀(31)은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Conversely, as shown in Figure 4 (c), when the upper tube 20 is moved up and down in a completely lowered state, the door 41 of the opening/closing means 40 has the upper tube 20 as much as the distance the upper tube 20 lifted ( 20), so the second air hole 31 of the lower tube 30 is always kept open.

즉 본 발명에 따른 개폐수단(40)은 상부경통(20)의 하강 시, 도어(41)는 상부경통(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강하면서 상부경통(20)의 제1 에어홀(21)을 상부경통(20)의 하강 거리만큼 개방하여 제1 에어홀(21)와 제2 에어홀(31)이 겹쳐지는 부분에서 제2 에어홀(31)이 막히는 부분을 없애 완전히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opening/closing means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pper tube 20 is lowered, the door 41 moves up and down relative to the upper tube 20 while opening the first air hole 21 of the upper tube 20. Opening by the descending distance of the upper tube 20, the part where the second air hole 31 is blocked at the portion where the first air hole 21 and the second air hole 31 overlap can be completely opened.

또한 개폐수단(40)은 상부경통(20)의 승강 시, 도어(41)는 상부경통(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강하면서 상부경통(20)의 제1 에어홀(21)을 상부경통(20)의 승강 거리만큼 폐쇄하여 제1 에어홀(21)와 제2 에어홀(31)이 겹쳐지는 부분에서 제2 에어홀(31)이 막히는 부분을 없애 완전히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0 when the upper tube 20 is elevated, the door 41 is lowered relative to the upper tube 20 while the first air hole 21 of the upper tube 20 is placed in the upper tube 20 ) By closing the lifting distance of the first air hole 21 and the second air hole 31 overlap the second air hole 31 can be completely opened by removing the clogged portio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개폐수단(40)은 상부경통(20)의 승강 및 하강 시, 도어(41)가 제1 에어홀(21)을 점층적으로 폐쇄 및 개방하여 언제나 하부경통(30)의 제2 에어홀(31)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에어홀의 개방면적을 균일하게 유지하게 된다.Therefore, in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pper and lower cylinders 20 are elevated and lowered, the door 41 gradually closes and opens the first air hole 21, so that the lower cylinder 30 is always removed. 2 By opening the air hole 31, the open area of the air hole is uniformly maintained.

이는 에어홀의 개방면적을 균일하게 유지함으로써 공기 흐름이 특정 구역에서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기 흐름성을 좋게하여 응답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압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쇽업쇼버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This can prevent the air flow from being clogged in a specific area by keeping the open area of the air hole uniform, and through this, the air flow can be improved to improve the responsiveness, and pneumatic control can be facilitated. Can improve the performanc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례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 벨로우즈
11 : 상단캡 13 : 하단캡
15 : 공기주입구
20 : 상부경통
21 : 제1 에어홀 23 : 가이드부
25 : 제1 플랜지부
30 : 하부경통
31 : 제2 에어홀 33 : 제2 플랜지부
40 : 개폐수단
41 : 도어 43 : 돌출부
43a : 제1 진입유도부 45 : 삽입부
45a : 제2 진입유도부
50 : 안내수단
51 : 수안내부 53 : 암안내부
10: bellows
11: Top cap 13: Bottom cap
15: air inlet
20: upper tube
21: first air hole 23: guide portion
25: first flange portion
30: lower tube
31: second air hole 33: second flange portion
40: opening and closing means
41: door 43: protrusion
43a: first entry induction section 45: insertion section
45a: second entry induction
50: guide means
51: male guide 53: cancer guide

Claims (5)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벨로우즈(10) 양단에 결합되는 상단캡(11) 및 하단캡(13);
상기 벨로우즈(1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단캡(11)이 결합되는 상부경통(20); 및
상기 벨로우즈(1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단캡(13)이 결합되고, 상기 상부경통(20)과 결합되는 하부경통(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경통(2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장방형 제1 에어홀(21)과, 상기 하부경통(30)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 에어홀(21)에 대응되는 장방형 제2 에어홀(31)이 구비되되,
상기 상부경통(20)과 상기 하부경통(30)에는 상기 상부경통(20)의 승하강 시, 상기 각 에어홀에 의한 개방 면적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한 개폐수단(40)이 구비되고,
상기 개폐수단(40)은
상기 상부경통(20)의 제1 에어홀(21)을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도어(41)와,
상기 도어(41)의 하단에 형성되는 돌출부(43)와,
상기 하부경통(30)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에어홀(31)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돌출부(43)가 끼워지는 삽입부(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
A top cap 11 and a bottom cap 13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ellows 10 configured to allow contraction and expansion;
The upper barrel 20 is disposed inside the bellows 10, the upper cap 11 is coupled; And
Is disposed inside the bellows 10, the lower cap 13 is coupled, the upper tube 20 and the lower tube 30 is coupled; is made, including,
A rectangular first air hole 21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upper barrel 20 and a rectangular agent formed in the lower barrel 30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air hole 21 2 is provided with an air hole (31),
When the upper and lower cylinders 20 are elevated and lowered, the upper and lower cylinders 20 and 30 are provided with opening and closing means 40 for uniformly maintaining an open area by the air holes,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0
A door 4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air hole 21 of the upper tube 20,
And a projection 43 formed at the bottom of the door 41,
Bellows-type air spring is formed on the lower barrel 30, it is disposed on the second air hole (31), including the insertion portion 45, the projection 43 is fitte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경통(20)의 제1 에어홀(21) 양측에는 상기 개폐수단(40)의 도어(41)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2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
According to claim 1,
Bellows-type air spring,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ovided with a guide portion 23 for guiding the door 41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0 on both sides of the first air hole 21 of the upper tube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경통(20)과 상기 하부경통(30)에는 승하강 동작을 가이드하기 위한 안내수단(5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
According to claim 1,
A bellows-type air sp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tube (20) and the lower tube (30) are further provided with guiding means (50) for guiding the lifting opera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50)은
상기 상부경통(20)의 외주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 또는 암안내부와,
상기 하부경통(30)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경통(20)의 각 안내부가 슬라이드 결합되는 암 또는 수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로우즈형 에어스프링.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guide means (50)
A plurality of male or female guide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tube 20,
Bellows type air spring is formed on the lower barrel 30, characterized in that each guide portion of the upper barrel 20 is made of a slide or a female or male guide portion.
KR1020190028379A 2019-03-12 2019-03-12 Bellows typed air spring KR1021298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379A KR102129805B1 (en) 2019-03-12 2019-03-12 Bellows typed air sp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379A KR102129805B1 (en) 2019-03-12 2019-03-12 Bellows typed air sp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9805B1 true KR102129805B1 (en) 2020-07-03

Family

ID=71571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379A KR102129805B1 (en) 2019-03-12 2019-03-12 Bellows typed air sp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80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2312A (en) * 2022-04-01 2023-10-11 이정호 Air Suspension with Air Cup Struc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058B1 (en) * 2008-09-29 2009-1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ir spring unit of air suspension
KR101194991B1 (en) * 2010-09-29 2012-10-25 주식회사 만도 Air spring with a variable spring constant
KR101315710B1 (en) 2011-11-23 2013-10-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Bellows typed air spring
JP2016187905A (en) * 2015-03-30 2016-11-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Opening and clos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058B1 (en) * 2008-09-29 2009-1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ir spring unit of air suspension
KR101194991B1 (en) * 2010-09-29 2012-10-25 주식회사 만도 Air spring with a variable spring constant
KR101315710B1 (en) 2011-11-23 2013-10-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Bellows typed air spring
JP2016187905A (en) * 2015-03-30 2016-11-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Opening and clos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2312A (en) * 2022-04-01 2023-10-11 이정호 Air Suspension with Air Cup Structure
KR102624756B1 (en) 2022-04-01 2024-01-12 이정호 Air Suspension with Air Cup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50902A (en) Damping valve device with gradual damping force characteristic curve
US8418820B2 (en) Shock absorber and its hydraulic stopper
US20070102252A1 (en) Built-in damper type front fork
US4527674A (en) Shock absorber with a hydro-mechanical stop
JPS59501591A (en) Telescoping buffer
EP3489540B1 (en) Shock absorber with hydraulic compression stop valve
KR102129805B1 (en) Bellows typed air spring
US20150152938A1 (en) Valve structure of shock absorber
US20200256417A1 (en) Valve and shock absorber
KR101315710B1 (en) Bellows typed air spring
CN109983249A (en) Frequency dependence damper
JPWO2019221098A1 (en) Cylinder device
EP3992493A2 (en) Hydraulic damper assembly and a piston for a hydraulic damper assembly
US11732771B2 (en) Hydraulic damper assembly and a piston for a hydraulic damper assembly
US11686367B2 (en) Hydraulic damper and a piston for the hydraulic damper assembly
US20210070130A1 (en) Shock absorber for vehicle
KR102070640B1 (en) Over-slam bumper with fixation and buffer
KR101761870B1 (en) Damper
US20030178267A1 (en) Fluid separator for a shock absorber
KR102610747B1 (en) Vehicle shock absorber
US11608872B2 (en) Damper assembly and a housing for the damper assembly
KR100265678B1 (en) Hydraulic shock absorber
US20230117340A1 (en) Hydraulic damper with a hydraulic compression stop assembly
KR102232437B1 (en)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US11680620B2 (en) Telescopic dampe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