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211B1 - 커피 미분 제거기 - Google Patents

커피 미분 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211B1
KR102129211B1 KR1020190162843A KR20190162843A KR102129211B1 KR 102129211 B1 KR102129211 B1 KR 102129211B1 KR 1020190162843 A KR1020190162843 A KR 1020190162843A KR 20190162843 A KR20190162843 A KR 20190162843A KR 102129211 B1 KR102129211 B1 KR 102129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coffee powder
tray
powder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김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수 filed Critical 김현수
Priority to KR1020190162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2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 A47J42/40Parts or details relating to discharge, receiving container or the like; Bag clamps, e.g. with means for actuating electric switches
    • A47J42/42Drawers for receiving groun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 A47J42/50Supplying devices, e.g. funnels; Supply containers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의 풍미 향상을 위해, 분쇄된 커피분말에서 커피 제조에 적합하지 못한 입도를 가진 커피분말을 분리시키고, 최적의 입도를 가진 커피분말만을 추출해 커피 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피 미분 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커피 미분 제거기{APPARATUS OF REMOVING COFFEE FINES}
본 발명은 커피 미분 제거기에 관한 것으로, 분쇄된 커피분말을 입도별로 분류하되, 특히, 커피분말에 포함된 미분을 커피분말로부터 제거하는 커피 미분 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아랍어의 카파(caffa)에서 유래된 커피(coffee)는 커피나무 열매의 씨를 볶아서 만든 원두나 가루를 원료로 하는 기호식품으로, 1895년 러시아 공사관에 머물던 고종 황제가 처음 커피를 음용한 것을 시초로 하여 이후 한국전쟁 등을 거치면서 원두커피 및 인스턴트 커피 등이 보급되어 일반인들도 널리 음용하는 기호음료가 되었다.
이러한 커피는 정제, 볶음, 배합 및 분쇄의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데, 정제는 커피열매의 2종자를 추출하는 과정이며, 볶음은 원두에 열을 가하여 맛과 향을 내는 과정이다. 배합 단계에서는 볶음 단계 전 또는 후에 상호 상이한 원두를 혼합하여 우수한 맛과 향을 얻게 된다. 이때 볶은 원두는 급속도로 산화하여 품질이 저하되므로 추출하기 직전에 분쇄과정을 거치게 되고, 분쇄 후 커피 분말은 입도가 수십 내지 수백㎛ 크기에 이르기 까지 다양하게 형성된다.
한편, 원두의 분쇄를 위한 분쇄장치는 통상 전기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거나, 사람이 직접 분쇄날을 회전시켜 원두를 잘게 분쇄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추며, 그 중 대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52222호(명칭: 원두커피 분쇄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며 상면에 분쇄날이 형성된 회전커터와, 상기 회전커터의 상부에 이격상태로 설치되고 하면에 분쇄날이 형성되며 그 중앙에 원료투입구가 형성된 고정커터와, 상기 고정커터의 승강을 위해 상기 고정커터와 나사 결합을 통해 연결되는 웜휠과, 상기 웜휠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웜휠의 외주부에 결합되는 웜과, 상기 웜을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간격조절모터와, 상기 회전커터와 상기 고정커터의 주위를 감싸는 하우징과, 상기 고정커터의 지지를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이 제한된 상태에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웜휠과 나사결합을 통해 연결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은 단순히 회전커터로 원두를 분쇄하기 때문에 커피 분말의 입도가 불규칙하게 이루어지고, 특히, 커피 분말에 포함된 미분(입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상태)을 효율적으로 분류해내지 못하게 되는 사용구조상의 한계가 있었다.
커피의 풍미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입도의 커피 분말을 이용해 커피를 제조해야 하는데, 입도가 불규칙한 커피분말을 이용하거나, 미분을 충분히 제거하지 못한 상태의 커피 분말을 이용해 커피를 제조하게 되면 커피 고유의 풍미를 해치게 된다.
즉, 풍미가 향상된 커피를 제조하기 위해선 단순히, 정제, 볶음, 배합 및 분쇄 외에도 커피 분말을 입도에 따라 시킬 수 있으면서도, 특히, 분쇄된 커피 분말에서 미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커피 제조 장치의 기술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552222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커피의 풍미 향상을 위해, 분쇄된 커피분말에서 커피 제조에 적합하지 못한 입도를 가진 커피분말을 분리시키고, 최적의 입도를 가진 커피분말만을 추출해 커피 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피 미분 제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투입되는 커피분말에 진동을 가해 커피분말로부터 미분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로 투입호퍼가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상기 투입호퍼에서 낙하되는 커피분말에 진동을 가해 커피분말로부터 미분을 분리시켜 저장하는 여과부; 상기 투입호퍼와 여과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투입호퍼로 투입된 커피분말을 분배시켜 상기 여과부 측으로 공급하는 분배부; 및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상기 여과부에 분리 저장된 미분과 커피분말이 이송되는 이송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여과부는, 함체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분배부의 직하방에서 상기 분배부에서 분배된 커피분말을 공급받아 1차 여과시키는 제1 여과체; 상기 제1 여과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여과체를 통과한 커피분말을 2차 여과시키는 제2 여과체; 상기 제2 여과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여과체를 통과한 미분이 수납되는 미분수납통; 상기 제1, 2 여과체를 진동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진동발생기; 및 상기 진동발생기의 진동이 본체로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장착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분배부는, 상기 제1 여과체를 향해 경사 형성되는 경사트레이; 상기 경사트레이의 상부에서 경사트레이의 경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상기 투입호퍼로부터 낙하되는 커피분말을 분배시켜 경사트레이로 공급하는 공급트레이; 및 상기 경사트레이의 상부로 장착되며 상기 공급트레이로부터 분배되어 상기 경사트레이에 자유낙하되는 커피분말을 재차 분배시키는 분배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배커버는, 상기 경사트레이의 상부를 덮는 상판; 분배공간을 구획 형성하도록 서로 일정간격 이격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격판; 상기 복수의 격판 사이에서 상기 경사트레이의 경사면을 향해 돌출되되 상기 경사면과 일정거리 이격되는 제1 정체돌기; 및 상기 제1 정체돌기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트레이의 경사면을 향해 돌출되되 상기 경사면과 일정거리 이격되는 제2 정체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격판 각각은 상기 분배공간이 일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일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제2 정체돌기와 경사면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1 정체돌기와 경사면의 이격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공급트레이는 상기 경사트레이의 상부에서 경사트레이에 대해 상대이동되어 상기 경사트레이로 향하는 커피분말의 공급량이 조절되며, 상기 분배부는, 상단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고정되고 하단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홀에는 상기 경사트레이의 측면과 분배커버의 상판을 통시에 관통하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며 상기 분배커버는 상기 체결홀을 따라 상, 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커피의 풍미 향상을 위해, 분쇄된 커피분말에서 커피 제조에 적합하지 못한 입도를 가진 커피분말을 분리시키고, 최적의 입도를 가진 커피분말만을 추출해 커피 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분배공간의 일측을 점진적으로 좁게 형성하여 제1 여과망에 적층되는 커피분말에 분말군을 분배시켜 형성함으로써, 커피분말이 제1 여과망의 한곳에 쏠려 밀집되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하게 커피분말을 입도별로 분류시킬 수 있다.
또, 경사트레이에서 자유낙하하는 커피분말이 높게 형성된 제1 정체돌기를 통과하고, 이어서, 제1 정체돌기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 제2 정체돌기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함으로써 분배공간 내에서 커피분말의 정체현상을 방지하면서도 뭉쳐진 커피분말의 풀림 효과와 커피분말의 브레이킹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미분 제거기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체가 생략된 커피 미분 제거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피 미분 제거기의 전체적인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장착구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분배부와 제1 여과망의 위치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a는 분배부가 배제된 상태에서 커피분말이 제1 여과체로 낙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b는 분배부가 적용된 상태에서 커피분말이 제1 여과체로 낙하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하우징의 상면에 장착된 분배부와 제1 여과체의 분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도 9는 분배부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분배부의 개략적인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1a는 분배부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b는 진동에 의해 분말군이 제1 여과망에서 균일하게 퍼지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미분 제거기는 투입되는 커피분말에 진동을 가해 커피분말로부터 미분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부로 투입호퍼(H)가 장착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에 내장되며 상기 투입호퍼(H)에서 낙하되는 커피분말에 진동을 가해 커피분말로부터 미분을 분리시켜 저장하는 여과부(200), 상기 투입호퍼(H)와 여과부(20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투입호퍼(H)로 투입된 커피분말을 분배시켜 상기 여과부(200) 측으로 공급하는 분배부(300) 및 상기 본체(100)에 내장되며 상기 여과부(200)에 분리 저장된 미분과 커피분말이 이송되는 이송로(4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투입호퍼(H)로 커피분말을 투입시키면, 커피분말은 여과부(200)를 향해 일정하게 분배되고 여과부(200)의 작용에 의해 입도별로 분류되어 이송로(400)를 타고 이송되어 별도 저장될 수 있다.
먼저, 본체(100)는 커피 미분 제거기의 전체적인 외관을 구성하며 내부로 여과부(200), 분배부(300), 이송로(400) 등의 구성들이 적소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100)의 상면으로 투입호퍼(H)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본체(100)의 전면으로 커피 미분 제거기의 동작제어의 조작을 위한 제어판넬(110)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0)의 정면 하부에는 여과된 커피분말이 배출되는 배출구(1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120) 주변으로는 컵감지센서(160)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컵감지센서(160)의 감지신호에 따라 배출구(120)가 자동으로 개폐동작될 수 있다.
컵을 상기 배출구(120) 주변으로 위치시키면 컵감지센서(160)가 컵을 감지하여 배출구(120)를 자동으로 개방시켜 배출구(120) 주변으로 놓여친 컵으로 커피분말을 일정량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배출구(120)에는 로드셀(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로드셀은 배출구(120)에 수납된 커피분말의 중량을 감지해, 커피분말이 일정 중량이 되면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즉, 배출구(120)로 모인 커피분말이 일정 중량이 되면 배출구(120)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컵으로 커피분말을 공급할 수 있다. 배출구(120)에는 상기 감지신호를 근거로 동작되는 도어(130)가 설치될 수 있다.
배출구(120) 주변으로는 미분 또는 미분쇄 커피분말이 저장되는 저장통(140',140)이 배치될 수 있다.
본체(100)의 상면에는 투입호퍼(H)가 장착되는 장착구(1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구(150)는 투입호퍼(H)로 투입된 커피분말이 분배부(300) 측으로 과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담당한다.
한꺼번에 많은 양의 커피분말이 분배부(300)로 갑작스럽게 공급되었을 경우 분배부(300)가 커피분말에 의해 막히게 될 수 우려가 있다.
장착구(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작동구(151)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작동구(151)의 바닥면에 관통구(152)가 관통 형성되는 베이스판(153), 상기 작동구(151)에서 회전가능하게 동작되며 상기 관통구(152)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연통구(154)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153)의 외측으로 조작레버(155)가 돌출 형성되는 조작부재(156) 및 상기 작동구(151)의 상부 주변에 설치되어 투입호퍼(H)를 탄성지지하는 지지부재(157, 도 3에 도시)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조작부재(156)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관통구(152)와 연통구(154)가 서로 연통 또는 폐쇄됨으로써 투입호퍼(H)로 투입된 커피분말의 투입량을 조절해 분배부(300)로 공급시킬 수 있다.
지지부재(157)는 투입호퍼(H)의 외주면에 접촉해 후술 될 여과부(200)의 진동작용에 의해 가해지는 진동이 투입호퍼(H)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본체(100)가 여과부(200)의 진동에 의해 흔들리게 되면 투입호퍼(H)와 접촉해 잡음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투입호퍼(H)에 투입된 커피분말은 분배부(300)에 의해 일정한 양으로 분배되어 여과부(200) 측으로 공급된다.
여과부(200)는 분배부(300)에서 분배된 커피분말을 공급받아 입도별로 커피분말을 분류시킨다.
특히, 여과부(200)는 커피분말을 미분쇄 커피분말, 제조용 커피분말 및 미분으로 분류시키는 작용을 담당한다.
미분쇄 커피분말은, 입도가 상대적으로 큰 커피분말을 의미하며, 분류된 미분쇄 커피분말은 도시되지 않은 커피 분쇄기에 의해 재차 분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용 커피분말은 커피의 제조에 가작 적당한 입도를 가진 커피분말로서, 커피 제조를 위해 사용된다. 미분은 입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커피분말을 의미하며, 이는 커피의 풍미를 저하시키는 요소로서, 커피분말로부터 별도 분리배출됨이 바람직하다.
커피분말을 이와 같이 입도별로 분류시키기 위한 여과부(20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 형상의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분배부(300)의 직하방에서 상기 분배부(300)에서 분배된 커피분말을 공급받아 1차 여과시키는 제1 여과체(220), 상기 제1 여과체(2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여과체(220)를 통과한 커피분말을 2차 여과시키는 제2 여과체(230), 상기 제2 여과체(23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여과체(230)를 통과한 미분이 수납되는 미분수납통(240), 상기 제1, 2 여과체(220,230)를 진동시키도록 상기 하우징(210)에 장착되는 진동발생기(250) 및 상기 진동발생기(250)의 진동이 본체(100)로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210)의 하단에 장착되는 완충부재(26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진동발생기(250)는 하우징(210)의 하부 중심에 설치되어 하우징(210) 자체를 진동시킨다. 하우징(210)이 진동되면 하우징(210)의 내부로 장착된 제1 여과체(220), 제2 여과체(230) 및 미분수납통(240)이 동시에 진동되면서 커피분말을 입도별로 분류시킨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부(300)에서부터 공급되는 커피분말은 제1 여과체(220)의 제1 여과망(223)으로 낙하된다.
제1 여과체(220)는 상하부가 개방되며 전방에는 이송로(400)와 연결되는 제1 입구(221)가 형성되는 제1 케이스(222) 및 메쉬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케이스(222)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1 여과망(2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여과망(223)은 전방 측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여과체(220)에 진동발생기(250)의 진동이 가해지면 제1 여과망(223)에 안착된 커피분말에 진동이 전달되면서, 제1 여과망(223)의 메쉬크기보다 작은 입도를 가진 커피분말이 제2 여과체(230)로 낙하되고, 제1 여과망(223)에 의해 여과된 커피분말은 전방의 제1 입구(221)로 이동되어 이송로(400)로 투입된다.
제1 여과체(220)에 의해 여과되어 이송로(400)로 투입된 커피분말은 미분쇄 커피분말로서, 재차 분쇄과정을 거치기 위해 이송로(400)에 의해 이송되어 저장통(140)에 별도 저장된다.
제2 여과체(230)는 전술한 제1 여과체(220)와 동일하게, 상하부가 개방되며 전방에는 이송로(400)와 연결되는 제2 입구(231)가 형성되는 제2 케이스(232) 및 메쉬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케이스(232)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2 여과망(23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여과망(233)은 전방 측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여과망(233)의 메쉬크기는 제1 여과망(223)의 메쉬크기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다.
제2 여과체(230)에 진동발생기(250)의 진동이 가해지면 제2 여과망(233)에 안착된 커피분말에 진동이 전달되면서, 제2 여과망(233)의 메쉬크기보다 작은 입도를 가진 커피분말이 미분수납통(240)으로 낙하되고, 제2 여과망(233)에 의해 여과된 커피분말은 전방의 제2 입구(231)로 이동되어 이송로(400)로 투입된다.
제2 여과체(230)에 의해 여과되어 이송로(400)로 투입된 커피분말은 커피 제조에 적합한 커피분말로서, 배출구(120)로 안내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미분수납통(240)은 전술한 제1, 2 여과체(220,230)와 그 구조가 유사하나, 여과망 대신 하면이 전방으로 경사진 판재(2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미분수납통(240)으로 낙하된 커피분말은 제1 여과망(223)과 제2 여과망(233)의 메쉬를 통과할 정도의 입도가 작은 미분으로서 전달되는 진동에 따라 제3 입구(241)로 이동되어 이송로(400)로 투입된다.
이송로(400)로 투입된 미분은 이송로(400)에 의해 안내되어 저장통(140')에 수납될 수 있다. 저장통(140')에 수납된 미분은 별도 폐기될 수 있다.
완충부재(260)는 하우징(210)의 하단 모서리부분에 장착되어 하우징(210)으로 전해지는 진동을 흡수하는 공지의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분배부(300)는 장착구(150)를 통과한 커피분말을 균일하게 분배해 여과부(200)로 공급함으로써 여과부(200)에서 커피분말을 보다 정확히 입도별로 분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커피분말이 여과부(200)로 불규칙한 상태로 공급, 예컨대, 한꺼번에 많은 양의 커피분말이 제1 여과체(220)로 공급되면 제1 여과망(223)의 상부에 쌓이게 되고, 이 상태에서 진동이 가해지면, 제1 여과망(223)의 상부에 쌓인 커피분말이 제1 입구(221) 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여과망(223)을 통과해야 할 커피분말도 함께 이동하면서 제1 입구(221)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다시 말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꺼번에 많은 양의 커피분말 공급으로 인해 제1 여과망(223)에 커피분말이 쌓이게 되면 쌓인 커피분말 중 입도가 작은 커피분말이 제1 여과망(223)을 통과하지 못한 채 제1 입구(221)로 이동되어 저장통(140)으로 분류된다.
한편,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부(300)를 통해 제1 여과망(223)으로 낙하되는 커피분말을 분배시키켜 공급하게 되면 제1 여과망(223)에 커피분말이 높게 쌓이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피분말을 보다 정밀하게 분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분배부(300)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여과체(220)를 향해 경사 형성되는 경사트레이(310), 상기 경사트레이(310)의 상부에서 경사트레이(310)의 경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상기 투입호퍼(H)로부터 낙하되는 커피분말을 분배시켜 경사트레이(310)로 공급하는 공급트레이(320) 및 상기 경사트레이(310)의 상부로 장착되며 상기 공급트레이(320)로부터 분배되어 상기 경사트레이(310)에 자유낙하되는 커피분말을 재차 분배시키는 분배커버(3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경사트레이(310)의 타측은 여과부(200)의 하우징(210) 상면(211)에 고정되고 일측은 제1 여과체(220)를 향해 자유단 형태로 연장된다. 경사트레이(310)의 타측은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하우징(210)의 상면(211)에 장착될 수 있다.
공급트레이(320)는 투입호퍼(H)의 하단을 수용하며 투입호퍼(H)로부터 공급되는 커피분말을 전달받아 1차 분배시킨 뒤 이를 경사트레이(310)로 낙하시킨다.
이를 위해 공급트레이(320)는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바닥면이 경사트레이(310)의 타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고, 타측 하단에는 공급구멍(321)이 관통 형성되며, 바닥면에 복수 개의 격판(323)이 형성되는 공급케이스(322), 상기 공급케이스(322)의 상부에 형성되며 하우징(210)의 상면(211)에 안착되는 플랜지(324)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때, 플랜지(324)에는 긴 홀 형태의 장홀(32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수단이 상기 장홀(325)과 하우징(210)의 상면(211)을 동시에 관통해 공급트레이(3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공급트레이(320)는 상기 장홀(325)을 가이드로 삼아 전, 후 방향(도 10 기준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경사트레이(310)의 타측에는 상부로 직립된 가림판(3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급트레이(320)를 전, 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가림판(311)과 공급구멍(321) 사이 간격을 조절함에 따라 경사트레이(310)로 공급되는 커피분말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가림판(311)에서 공급트레이(320)의 이격량이 증가될 경우,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커피분말이 경사트레이(310)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급트레이(320)는 상기 경사트레이(310)의 상부에서 경사트레이(310)에 대해 상대이동되어 상기 경사트레이(310)로 향하는 커피분말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경사트레이(310)로 공급되는 커피분말은 경사트레이(310)를 타고 일측으로 자유낙하하여 제1 여과망(223)으로 공급된다.
이때, 분배커버(330)는 공급트레이(320)에 의해 1차 분배되어 경사트레이(310)로 공급되는 커피분말을 2차 분배시키기 위한 역할을 담당한다.
분배커버(330)는 상기 경사트레이(310)의 상부를 덮는 상판(331), 분배공간(333)을 구획 형성하도록 서로 일정간격 이격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격판(332), 상기 복수의 격판(332) 사이에서 상기 경사트레이(310)의 경사면(312)을 향해 돌출되되 상기 경사면(312)과 일정거리 이격되는 제1 정체돌기(334) 및 상기 제1 정체돌기(334)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트레이(310)의 경사면(312)을 향해 돌출되되 상기 경사면(312)과 일정거리 이격되는 제2 정체돌기(335)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판(332)에 의해 경사트레이(310)와 분배커버(330)의 상판(331) 사이에 분배공간(333)이 구획 형성되며, 경사트레이(310)를 타고 자유낙하되는 커피분말이 상기 분배공간(333)으로 유입되면서 일정하게 분배된 뒤 제1 여과체(220)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격판(332) 각각은 상기 분배공간(333)이 일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일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격판(332)의 구성으로 분배공간(333)의 일측을 점진적으로 좁게 형성하게 되면 경사트레이(310)에서 낙하되어 제1 여과망(223)에 적층되는 커피분말에 분말군(G)을 분배시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인접한 분말군(G)끼리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가 되며, 분말군(G)이 형성된 상태에서 진동이 가해지게 되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말군(G)이 인접한 분말군(G)과의 사이 공간으로 퍼지게 되면서 제1 여과망(223)의 전체면적에 걸쳐 균일하게 퍼지게 될 수 있다.
즉, 커피분말이 제1 여과망(223)의 한곳에 쏠려 밀집되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하게 커피분말을 입도별로 분류시킬 수 있다.
제1 정체돌기(334)와 제2 정체돌기(335)는 경사트레이(310)를 자유낙하하는 커피분말이 뭉치게 되었을 경우 뭉쳐진 커피분말을 풀어주는 작용과, 경사트레이(310)를 타고 급격히 하강하는 커피분말에 브레이크를 걸어주기 위한 작용을 동시에 수행한다.
만일, 뭉쳐진 커피분말을 적절히 풀어주지 못하였을 경우 제1 여과망(223)에서 진동을 가하여도 이를 입도별로 분류시킬 수 없으며, 브레이크를 적절히 걸어주지 못하였을 경우 경사트레이(310)를 타고 자유낙하하는 커피분말의 과량 공급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제1 정체돌기(334)와 제2 정체돌기(335)는 경사트레이(310)를 자유낙하하는 커피분말에 순차적으로 작용됨으로써 위의 작용을 단계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정체돌기(335)와 경사면(312)의 이격거리(h2)는 상기 제1 정체돌기(334)와 경사면(312)의 이격거리(h1)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경사트레이(310)에서 자유낙하하는 커피분말이 먼저 높게 형성된 제1 정체돌기(334)를 통과하고, 이어서, 제1 정체돌기(334)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 제2 정체돌기(335)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함으로써 분배공간(333) 내에서 커피분말의 정체현상을 방지하면서도 뭉쳐진 커피분말의 풀림 작용과 브레이킹 작용을 원활히 수행토록 하기 위함이다.
정리하면, 분배부(300)는 공급트레이(320)에서 1차 분배가 이루어진 커피분말을, 이어서 분배커버(330)에 의해 2차 분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에 따라, 커피분말의 뭉침현상과 쏠림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여과부(200)가 커피 분말을 정확히 입도별로 분류시킬 수 있도록 기여하게 된다.
한편, 분배부(300)는 상단은 상기 하우징(210)의 상면(211)에 고정되고 하단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홀 형태의 체결홀(341)이 형성되는 고정브라켓(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홀(341)에는 상기 경사트레이(310)의 측면과 분배커버(330)의 상판(331)을 통시에 관통하는 체결수단이 체결될 수 있다.
이때, 분배커버(330)는 상기 체결홀(341)을 따라 상, 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분배커버(330)를 격판(332)의 간격, 제1 정체돌기(334)와 제2 정체돌기(335)의 크기 등이 상이하게 구성된 다른 분배커버(330)로 교체가능케 하기 위함이다.
이송로(400)는 제1 입구(221)와 미분쇄 커피분말 저장통(140)을 연결하는 제1 이송로(410), 제2 입구(231)와 배출구(120)를 연결하는 제2 이송로(420) 및 제3 입구(241)와 미분 저장통(140)을 연결하는 제3 이송로(4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겠다. 본 작용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미분 제거기를 통해 커피분말이 입도별로 분류되는 간략한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먼저, 투입호퍼(H)로 커피분말을 투입하게 되면, 투입된 커피분말은 장착구(150)를 통과한 뒤 분배부(300)로 낙하된다.
분배부(300)로 낙하된 커피분말은 먼저, 공급트레이(320)에 의해 1차 분류된 뒤 경사트레이(310)로 낙하되고, 경사트레이(310)로 낙하된 커피분말은 재차 분배커버(330)에 의해 분배되어 제1 여과망(223)에 일정 면적의 분말군(G)을 형성하여 낙하된다.
이 상태에서 진동발생기(250)의 진동이 제1 여과체(220)에 인가되면 분말군(G)이 균일하게 퍼지게 되면서 제1 여과망(223)의 메쉬크기보다 작은 커피분말은 낙하하여 제2 여과망(233)에 적층되고 제1 여과망(223)의 메쉬크기보다 큰 커피분말은 제1 입구(221)로 경사이동된 뒤 제1 이송로(400)를 통해 미분쇄 커피분말 저장통(140)으로 수납된다.
제2 여과체(230)와 제3 여과체에서도 위 과정이 반복 수행되어 커피 제조용 커피분말은 제2 이송로(400)를 타고 배출구(120)로 이송되고 미분은 제3 이송로(400)를 타고 미분 저장통(140')으로 수납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본체 200: 여과부
300: 분배부 400: 이송로

Claims (6)

  1. 삭제
  2. 상부로 투입호퍼가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상기 투입호퍼에서 낙하되는 커피분말에 진동을 가해 커피분말로부터 미분을 분리시켜 저장하는 여과부;
    상기 투입호퍼와 여과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투입호퍼로 투입된 커피분말을 분배시켜 상기 여과부 측으로 공급하는 분배부; 및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상기 여과부에 분리 저장된 미분과 커피분말이 이송되는 이송로;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부는,
    함체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분배부의 직하방에서 상기 분배부에서 분배된 커피분말을 공급받아 1차 여과시키는 제1 여과체;
    상기 제1 여과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여과체를 통과한 커피분말을 2차 여과시키는 제2 여과체;
    상기 제2 여과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여과체를 통과한 미분이 수납되는 미분수납통;
    상기 제1, 2 여과체를 진동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진동발생기; 및
    상기 진동발생기의 진동이 본체로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장착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부는,
    상기 제1 여과체를 향해 경사 형성되는 경사트레이;
    상기 경사트레이의 상부에서 경사트레이의 경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상기 투입호퍼로부터 낙하되는 커피분말을 분배시켜 경사트레이로 공급하는 공급트레이; 및
    상기 경사트레이의 상부로 장착되며 상기 공급트레이로부터 분배되어 상기 경사트레이에 자유낙하되는 커피분말을 재차 분배시키는 분배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미분 제거기.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배커버는,
    상기 경사트레이의 상부를 덮는 상판;
    분배공간을 구획 형성하도록 서로 일정간격 이격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격판;
    상기 복수의 격판 사이에서 상기 경사트레이의 경사면을 향해 돌출되되 상기 경사면과 일정거리 이격되는 제1 정체돌기; 및
    상기 제1 정체돌기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트레이의 경사면을 향해 돌출되되 상기 경사면과 일정거리 이격되는 제2 정체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격판 각각은 상기 분배공간이 일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일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제2 정체돌기와 경사면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1 정체돌기와 경사면의 이격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미분 제거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공급트레이는 상기 경사트레이의 상부에서 경사트레이에 대해 상대이동되어 상기 경사트레이로 향하는 커피분말의 공급량이 조절되며,
    상기 분배부는,
    상단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고정되고 하단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홀에는 상기 경사트레이의 측면과 분배커버의 상판을 통시에 관통하는 체결수단이 체결되며 상기 분배커버는 상기 체결홀을 따라 상, 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미분 제거기.
KR1020190162843A 2019-12-09 2019-12-09 커피 미분 제거기 KR102129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843A KR102129211B1 (ko) 2019-12-09 2019-12-09 커피 미분 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843A KR102129211B1 (ko) 2019-12-09 2019-12-09 커피 미분 제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9211B1 true KR102129211B1 (ko) 2020-07-01

Family

ID=71601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843A KR102129211B1 (ko) 2019-12-09 2019-12-09 커피 미분 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2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9125A (ko) * 2022-08-26 2024-03-05 해강물산 주식회사 건조멸치 살균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2711A (ko) * 1997-10-20 1999-05-15 전병관 다단 진동체 분리기
JP2001087145A (ja) * 1999-09-24 2001-04-03 Sanyo Sangyo:Kk コーヒーチャフレス装置
KR100552222B1 (ko) 2003-04-11 2006-02-14 주식회사 롯데기공 원두커피 분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2711A (ko) * 1997-10-20 1999-05-15 전병관 다단 진동체 분리기
JP2001087145A (ja) * 1999-09-24 2001-04-03 Sanyo Sangyo:Kk コーヒーチャフレス装置
KR100552222B1 (ko) 2003-04-11 2006-02-14 주식회사 롯데기공 원두커피 분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9125A (ko) * 2022-08-26 2024-03-05 해강물산 주식회사 건조멸치 살균 시스템
KR102653363B1 (ko) 2022-08-26 2024-04-02 해강물산 주식회사 건조멸치 살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089C (zh) 致密可流动的炒焙磨碎的咖啡及其制备方法
CN101558955B (zh) 用于从食品榨汁的榨汁器具
US7665681B2 (en) Fine grinding roller mill
KR102129211B1 (ko) 커피 미분 제거기
KR20190045269A (ko) 자동화된 커피 분쇄물 정제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932088B1 (ko) 원두분쇄장치
CN107028086A (zh) 一种将米粉中金属微粒分离的方法及装置
KR100394984B1 (ko) 고추분쇄기 및 그 분쇄로울러
US2981489A (en) Reduction apparatus
KR20110139806A (ko) 고추분쇄기의 고춧가루 선별장치
EP3692868A1 (en) Automatic coffee machine
US6412405B1 (en) Peeling device for the inner-embryo membrane of coffee bean
CN211563194U (zh) 一种中药粉碎机
EP1163059B1 (en) Particle size classifier
JP6795815B2 (ja) コーヒー豆粉砕器
KR101932391B1 (ko) 커피 원두 분쇄장치
CN209393330U (zh) 一种茶叶除尘粉碎机
KR102078457B1 (ko) 커피 원두 분쇄 장치
CN210184414U (zh) 一种用于巧克力生产的可可豆精磨机
CN219580793U (zh) 一种筛磨系统
EP3984425B1 (en) Coffee grinder
JPH11318723A (ja) コーヒーチャフレス装置
CN208824995U (zh) 一种油茶籽分级碎壳一体机
CN219702163U (zh) 一种咖啡研磨机
CN108580304A (zh) 一种油茶籽分级碎壳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