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949B1 - 매체집적함,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매체집적함,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28949B1 KR102128949B1 KR1020180056474A KR20180056474A KR102128949B1 KR 102128949 B1 KR102128949 B1 KR 102128949B1 KR 1020180056474 A KR1020180056474 A KR 1020180056474A KR 20180056474 A KR20180056474 A KR 20180056474A KR 102128949 B1 KR102128949 B1 KR 1021289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sub
- locking
- medium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40—Device architecture, e.g. modular construction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성을 개선하는 매체집적함,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매체집적함은, 매체가 보관되는 수납공간을 갖는 집적함 본체와, 상기 집적함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메인도어와, 상기 메인도어에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을 관통하는 개구부와, 상기 메인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서브도어와, 상기 집적함 본체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 밀판과, 상기 제 1 밀판에 동력을 제공하는 집적함 구동부와, 상기 제 1 밀판에 의해 상기 서브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잠금부를 포함한다.
일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매체집적함은, 매체가 보관되는 수납공간을 갖는 집적함 본체와, 상기 집적함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메인도어와, 상기 메인도어에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을 관통하는 개구부와, 상기 메인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서브도어와, 상기 집적함 본체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 밀판과, 상기 제 1 밀판에 동력을 제공하는 집적함 구동부와, 상기 제 1 밀판에 의해 상기 서브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잠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매체집적함,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금융기기는 고객이 원하는 금융업무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기기이다. 상기 금융기기는 매체(예를 들면, 지폐, 수표, 유가증권, 상품권 등)를 입금 또는 출금하거나, 매체를 자동으로 이체할 수 있다.
상기 금융기기는, 일반적으로 매체를 입출금하기 위한 매체입출부 및 매체가 보관되는 매체집적함을 포함한다. 상기 매체집적함은 매체가 보관되는 장치의 특성상 내부에 보관된 지폐, 수표, 유가증권 등의 귀중품 분실을 예방하기 위하여, 탈취자의 공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14634호에는 카세트의 도어 잠금 장치가 개시된다.
선행문헌의 카세트의 도어 잠금 장치는, 오토락(auto-lock) 기능이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도어가 충격에 의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카세트의 도어잠금장치를 제안한다.
선행문헌의 경우, 금융기기에 장착된 카세트에, 매체의 잼(jam)으로 인한 고장이 발생할 경우, 서비스맨에 의해 카세트 도어를 개방한 뒤, 카세트 내부에 발생한 문제를 확인하고, 이를 수리해야 했다. 이때, 상기 카세트의 내부가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보안이 취약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보안성을 개선하는 매체집적함,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매체집적함 내부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매체집적함을 완전 개방하지 않고도, 매체집적함 내부에 발생한 문제를 확인할 수 있는 매체집적함,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매체집적함은, 매체가 보관되는 수납공간을 갖는 집적함 본체와, 상기 집적함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메인도어와, 상기 메인도어에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을 관통하는 개구부와, 상기 메인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서브도어와, 상기 집적함 본체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 밀판과, 상기 제 1 밀판에 동력을 제공하는 집적함 구동부와, 상기 제 1 밀판에 의해 상기 서브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잠금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금융기기는, 매체의 입출금을 위한 매체입출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는 집적함서포터와, 상기 집적함서포터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매체집적함을 포함한다.
상기 매체집적함은, 매체가 보관되는 집적함 본체와, 상기 집적함 본체를 개폐하는 메인도어와, 상기 메인도어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서브도어와, 상기 서브도어를 선택적으로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잠금수단과, 상기 잠금수단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입력되는 명령을 기초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서브도어를 선택적으로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금융기기의 제어방법은 매체집적함의 메인도어에 구비된 서브도어 개방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와, 매체집적함 내부에서 매체가 안착되는 제 1 밀판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밀판의 이동에 의해 잠금부가 연동되어, 상기 서브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체집적함의 수납공간 전체를 노출하지 않고도, 매체집적함 내부의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따라서, 매체집적함 및 금융기기의 보안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매체집적함의 서브도어가 개방 명령이 입력될 때, 매체가 안착된 플레이트가 하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서브도어를 이용한 매체의 탈취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집적함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서브도어가 개방된 매체집적함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V-V`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부를 확대한 메인도어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홀더를 확대한 서브도어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에서, 잠금부가 잠금해제 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제어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집적함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서브도어가 개방된 매체집적함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V-V`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부를 확대한 메인도어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홀더를 확대한 서브도어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에서, 잠금부가 잠금해제 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제어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는 일 례로 지폐, 증권(수표를 포함), 지로, 동전, 상품권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입수하여 입금 처리, 지로 수납, 상품권 교환 등과 같은 처리 및/또는 출금 처리, 지로 방출, 상품권 방출 등과 같은 처리와 같은 매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 업무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금융기기의 예로는 현금 방출기 (CD: Cash Dispenser), 현금 입출금기 (Cash Recycling Device) 등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금융기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FIS(Financial Information System)와 같이 금융 업무를 자동화하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금융기기가 금융자동화기기인 것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가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금융자동화기기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금융기기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1)는,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저장되는 본체(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5)는 매체의 입출을 위한 매체입출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입출부(10)는 고객에 의해 접근 가능한 매체 수납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은 셔터(shutter) 및/또는 커버(cover)등과 같은 가림 부재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으며, 때로는 개폐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매체입출부(10)는 다수 종류의 매체가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는 공통 입출부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매체입출부(10)에는 낱장을 포함하는 번들 단위로 매체가 투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입출부(10)에는 번들 단위의 매체가 방출될 수 있다.
상기 본체(5)는 통장의 입출을 위한 통장입출부(2)와, 카드의 입출을 위한 카드입출부(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통장입출부(2) 또는 카드입출부(3)는 고객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고객정보 획득부라 이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객정보 획득부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일례로, RFID 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에 기록된 정보를 획득하거나 지문 등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 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본체(5)는,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메뉴 및 정보를 표시하고,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 user interfac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는 고객이거나, 금융기기의 관리자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는, 일례로,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메뉴와 정보를 표시하거나, 계수 완료된 매체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4)는 상기 금융기기(1)의 전면에 부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5)는, 상기 금융기기(1)의 상태 및 내부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자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모듈은, 일례로, 상기 본체(5)의 후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모듈에 의해서, 금융기기의 상태 및 정보가 신규로 입력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본체(5)는, 상기 본체(5)의 내부에 투입 또는 방출되는 지폐, 수표 등의 매체를 입금 및 출금처리하기 위하여, 집적, 분리, 이송, 및 인식들의 과정을 처리하는 매체처리장치(도 2의 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매체처리장치의 구성]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상기 매체처리장치(6)는 상기 매체입출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처리장치(6)는 매체의 종류 및 상태를 식별하는 감별부(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별부(11)는 상기 매체를 수납하거나, 인출할 때, 매체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별부(11)는, 인식되는 매체의 상태에 따라, 정상 상태의 매체(이하, 정상매체) 및 이상 상태의 매체(이하, 이상매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이상매체는 일례로, 상기 감별부(11)에 의해서 미 인식되는 매체, 외형적으로 변형이 발생된 매체, 위조지폐, 두 장 이상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이송되는 매체, 및 이송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이송되는 매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별부(11)는, 상기 감별부(11)에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매체를 카운트하거나, 매체에 포함된 문자 및/또는 숫자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매체로부터 획득된 정보는 후술되는 제어부(도 3의 39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매체처리장치(6)는, 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매체보관함(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보관함(14)은, 하나 이상의 지폐보관함(141, 142, 143)과, 하나 이상의 수표보관함(14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지폐보관함(141 내지 143) 및 상기 수표보관함(144)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매체보관함(14)은 상품권, 유가증권, 티켓 등을 보관하는 보관함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매체보관함(14)에는, 이송된 매체가 인입되기 위한 매체입구와, 내부에 집적된 매체가 외부로 인출되기 위한 매체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매체보관함(14)의 외관을 구성하는 박스의 상단에 상기 매체 입구와 매체 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보관함(14)에는, 외부로부터 이송된 매체를 나란히 집적되도록 하는 매체집적수단과, 집적된 지폐를 하나씩 분리하여 상기 매체보관함(14)의 외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매체분리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매체보관함(14)에는, 입금된 매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보관함(14)에 저장된 매체는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매체보관함(14)은, 매체를 일시 집적 가능하고, 매체를 보충하거나 회수하기 위한 부가기능모듈(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기능모듈(20)은 고객이 매체를 상기 금융기기(1)에 입금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매체입출부(10)를 통하여 수납된 매체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부가기능모듈(20)에 집적된 매체는 고객이 매체 수납을 최종적으로 결정한 때에, 후술되는 매체보관함(14)으로 이송될 수 있다. 매체 수납에 대한 결정은, 일례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4)에 입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가기능모듈(20)은 매체보관함(14)에 보충될 매체를 보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부가기능모듈(20)에는, 인출될 매체가 일시 집적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부가기능모듈(20)은 매체를 일시 집적하는 제1수납공간(201a)과, 상기 매체보관함(14)에 보관될 매체 또는 상기 매체보관함(14)으로부터 회수된 매체 중 하나 이상의 매체가 보관되는 제2수납공간(20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수납공간(201)과, 상기 제2수납공간(201b)은 후술되는 일시집적 플레이트(210)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는 상기 부가기능모듈(20) 내에서 상하 이동하면서, 제1수납공간(201a)의 크기를 가변 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부가기능모듈(20)은 매체가 집적 가능하다는 의미에서, '매체집적함'이라, 이름할 수 있다.
입금 또는 보충과정에서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는 매체가 저장되는 제 1 회수함(15) 및 출금과정에서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는 매체가 저장되는 제 2 회수함(16)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는 매체는, 일례로, 상기 이상매체 중 감별부(11)에 의해서 미인식되어 정보가 확인되지 않는 매체이거나, 외형적으로 변형이 발생된 매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3 회수함 및 보충/회수 카세트(16)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매체처리장치(6)는 매체가 보관되는 매체보관함(141 내지 144), 제 1 회수함(15), 및 보충/회수보관함(16) 중 적어도 하나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세트서포터(13, cassette suppor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금융기기(1)를 구성하는 각 모듈(매체입출부(10), 감별부(11), 매체보관함(14), 일시집적부(12), 회수함(15,17) 등)은 다수의 이송로(181, 182, 183)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이송로(181, 182, 183)에 매체가 이송되기 위한 이송력을 인가하는 메인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매체는 일 모듈에서 타 모듈로 이송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부가기능모듈(20)에 대해서 설명한다.
[부가기능모듈의 구성]
<부가기능모듈의 외부구성>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부가기능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서브도어가 개방된 부가기능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부가기능모듈(20)은 내측에 매체의 수납공간(201)을 형성하는 집적함 본체(200, housing)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기능모듈(20)은 상기 집적함 본체(20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메인도어(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도어(230)는 일례로, 상기 집적함 본체(200)의 양측면부 중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집적함 본체(200)의 일측에 결합된 상기 메인도어(23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집적함 본체(200)의 타측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메인도어(230)는 상기 집적함 본체(200)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메인도어(23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집적함 본체(200)의 상측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가기능모듈(20)이 상기 금융기기(1)에 장착된 상태인 경우, 상기 메인도어(230)는 상기 금융기기(1)의 후방을 향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부가기능모듈(20)은 상기 메인도어(2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도어(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250)는 대략 상기 메인도어(230)의 중심보다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메인도어(250)에는 상기 집적함 본체(200)을 관통하는 개구부(2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241)는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241)의 일측에는 상기 서브도어(250)의 회동을 위한 축(24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축(242)은 상기 개구부(241)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축(242)에는 상기 서브도어(250)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도어(250)는 상기 축(242)에 의해 회동될 수 있다.
상기 메인도어(230)는 상기 개구부(241)의 하단 적어도 일부분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단차부(2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차부(245)는 일례로, 삼각형 형샹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242)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개구부(241)에 위치할 수 있고, 나머지 일부분은 상기 단차부(245)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단차부(245)는 상기 메인도어(230)와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단차부(245)는 상기 메인도어(230)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단차부(245)는 상기 메인도어(230)에서 오목한 홈이 형성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245)에는, 상기 서브도어(250)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브도어(250)가 상기 개구부(241)를 폐쇄할 때, 상기 서브도어(250)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단차부(245)에 수용됨과 동시에, 상기 단차부(24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245)가 상기 서브도어(250)를 지지함에 따라, 상기 서브도어(250)가 상기 축(242)에 의해 회동될 때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단차부(245)에 의해 상기 서브도어(25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250)는 상기 축(241)에 의해 상기 메인도어(230)의 개구부(24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250)는, 상기 메인도어(230)에 고정되도록 하는 잠금홀더(2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홀더(252)는 상기 메인도어(230)의 잠금부(도 5의 231)에 의해 선택적으로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잠금홀더(252)에는, 내측에 잠금홀(25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부(231)는 상기 잠금홀(253)을 선택적으로 관통 또는 관통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231)에 의해 상기 잠금홀더(252)가 잠금되면, 상기 서브도어(250)는 상기 메인도어(230)에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잠금부(231)가 잠금해제될 경우, 상기 서브도어(250)는 상기 메인도어(23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231) 및 잠금홀더(252)에 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된다.
상기 서브도어(250)는 보강부재(2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258)에 의해 상기 서브도어(250)가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 또는 파손되는 현상이 줄어들 수 있다.
한편, 상기 부가기능모듈(20)이 상기 금융기기(1)에 장착된 상태인 경우, 상기 서브도어(250)는 상기 금융기기(1)의 후방을 향해 개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도어(250)가 잠금 해제된 상태일 경우, 서비스맨은 상기 부가기능모듈(20)을 상기 금융기기(1)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상기 서브도어(250)를 이용하여 상기 부가기능모듈(2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메인도어(230)를 제 1 도어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도어(250)를 제 2 도어라 이름할 수 있다.
<부가기능모듈의 내부구성>
상기 부가기능모듈(20)은 매체의 인입 또는 인출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집적함 구동부(2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적함 구동부(203)는 매체의 인입 또는 인출을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집적함 구동부(203)는 집적함 구동모터(도 9의 340)와, 상기 집적함 구동모터(340)의 동력을 매체의 안착을 위한 플레이트(210, 220)에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기어(203a, 203b, 203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기어(203a, 203b, 230c)에 전달되는 상기 집적함 구동모터(340)의 동력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210, 220)는 상기 부가기능모듈(20) 내에서 상하(도면상) 이동 가능하다. 상기 집적함 구동부(203)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상기 플레이트(210, 220)는 상기 잠금부(231)와 연동하여, 상기 서브도어(250)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시킬 수 있다. 상기 집적함 구동모터(34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10, 220)는 상기 부가기능모듈(20) 내부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플레이트(210, 220)는 상기 부가기능모듈(20) 내부에 인입된 매체를 일시집적 시키기 위한 일시집적 플레이트(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는 상기 집적함 구동모터(390)에 의해 상기 부가기능모듈(30) 내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는 상기 집적함 구동모터(390)에 의해, 일시집적될 매체의 픽업(pickup) 또는 안착을 위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일시집적 플레이트(210)는 상기 잠금부(231)와 연동하여, 상기 서브도어(250)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 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가 하강하면서 기설정된 일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잠금부(231)는 상기 서브도어(250)를 잠금해제 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가 상승할 경우, 상기 잠금부(231)는 상기 서브도어(250)를 잠금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는 상기 메인도어(230) 방향을 마주보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는 '제 1 밀판'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10, 220)는 상기 부가기능모듈(20) 내부에 인입된 매체 중 보충 또는 회수될 매체의 안착을 위한 보충회수 플레이트(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충회수 플레이트(220)는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보충회수 플레이트(2209)는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의 하방(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충회수 플레이트(220)는 상기 집적함 구동모터(390)에 의해 상기 부가기능모듈(30) 내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보충회수 플레이트(220)는 상기 집적함 구동모터(390)에 의해, 보충될 또는 회수될 매체의 픽업(pickup) 또는 안착을 위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보충회수 플레이트(220)가 상방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보충회수 플레이트(220)에 안착된 매체는 픽업에 용이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보충회수 플레이트(220)가 하방으로 이동될 경우, 매체가 집적되기 위한 상기 제 2 수납공간(201b)의 크기가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일시집적 기능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보충회수 플레이트(220) 는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맨이 불필요하게 상기 제2수납공간(201b)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충회수 플레이트'는 '제 2 밀판'이라 이름할 수 있다.
<부가기능모듈의 집적분리 구성>
상기 부가기능모듈(20)은 상기 복수의 이송로(181, 182, 183)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입출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기능모듈(20)은 매체의 이송을 위한 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는 매체의 이송을 위한 피드롤러(미도시)와, 상기 피드롤러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게이트롤러(미도시)와, 상기 수납공간(201)에 집적된 매체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픽업롤러는 상기 수납공간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드롤러 및 상기 게이트롤러의 일부는 상기 이송경로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외부로 분리되는 매체는 상기 피드롤러 및 상기 게이트롤러에 의해 한 장씩 낱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상기 수납공간을 향해 인입되는 매체는 상기 피드롤러 및 상기 게이트롤러에 의해 한 장씩 낱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피드롤러 및 상기 게이트롤러가 상기 이송경로 상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다만, 상기 피드롤러 및 상기 게이트롤러의 일부가 상기 이송경로 상에 구비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수납공간 상에 노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부가기능모듈의 일시집적모드>
일시집적모드에서, 상기 부가기능모듈(20)은, 일시집적 대상 매체의 인입 또는 인출을 위하여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2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시집적을 위한 매체가 상기 부가기능모듈(20)에 인입될 때,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는 제 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일시집적을 위하여 기설정된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의 위치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가기능모듈(20)에 일시집적된 매체가 인출될 때,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는 상기 픽업롤러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픽업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픽업롤러에 가압된 매체는 상기 입출구를 통해 모듈 이송로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매체는 상기 피드롤러 및 게이트롤러에 의해 한 장씩 낱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부가기능모듈의 보충회수모드>
보충회수모드에서, 상기 부가기능모듈(20)은 보충될 또는 회수될 매체를 인입 또는 인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2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보충될 또는 회수될 매체가 상기 부가기능모듈(20)에 인입될 때,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는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제 1 위치보다 상측(도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에는 상기 픽업롤러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가 제 3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픽업롤러는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상기 부가기능모듈(20)의 수납공간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입출구 보다 상측(도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가기능모듈(20)로 인입되는 매체는 상기 입출구를 통과하여 상기 보충회수 플레이트(220)에 집적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부가기능모듈(20)로 인입되는 매체는 상기 제 2 수납공간(201b)에 집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가기능모듈(20)의 제 2 수납공간(201b)에 보관된 매체가 인출될 때, 상기 제 2 수납공간(201b)에 보관된 매체를 상기 픽업롤러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픽업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픽업롤러에 가압된 매체는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외부로 인출되는 매체는 상기 피드롤러 및 상기 게이트롤러에 의해 한 장씩 낱장으로 이송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상기 피드롤러, 및 상기 게이트롤러가 상기 수납공간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경우,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에는 상기 피드롤러 및 상기 게이트롤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개구부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가 제 3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픽업롤러, 상기 피드롤러, 및 상기 게이트롤러는 개구부들을 관통하여 상기 수납공간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231)를 해제한 상태에서, 보충될 매체는 상기 메인도어(230)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수납공간(210b)으로 보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수납공간(201b)으로 회수된 매체는 상기 잠금부(231)를 해제한 후 상기 메인도어(230)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부가기능모듈(20)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플레이트의 위치에 따른 잠금부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 동작>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의 동작에 따라 상기 잠금부(231)는 상기 서브도어(250)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시킬 수 있다. 상기 집적함 구동모터(390)에 의해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는 상기 잠금부(231)와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에 의해 상기 잠금부(231)는 잠금 해제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집적함 구동모터(390)에 의해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는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는 상기 잠금부(231)와 접촉해제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잠금부(231)에 전달되는 상기 집적함 구동모터(390)의 동력은 차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부(231)는, 후술되는 탄성부재(239)에 의해, 상기 서브도어(250)를 잠금 해제 시킬 수 있다.
상기 부가기능모듈(20)은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 및 상기 보충회수 플레이트(220)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집적함 구동모터(240)의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플레이트 이동부(204, 205, 2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이동부(204, 205, 206)는, 제 1 기어(205)와, 상기 제 1 기어(205)부터 이격되는 제 2 기어(206)와, 상기 제 1 기어(205) 및 상기 제 2 기어(205)를 연결하는 플레이트 벨트(2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어(205)는 상기 다수의 기어(203a 내지 203c)에 의해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집적함 구동모터(340)의 동력은 상기 제 1 기어(205)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벨트(204)에는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04)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어(206)는 상기 매체집척함(20) 내부에서, 상기 제 1 기어(205)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기어(205)가 회전하면, 상기 제 1 기어(205) 및 상기 제 2 기어(206)를 연결하는 상기 플레이트 벨트(204)는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벨트(204)에 결합되어 있는 일시집적 플레이트(210)는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가 하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잠금부(231)는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에 의해 연동되어 상기 서브도어(250)를 잠금 해제 시킬 수 있다. 상기 부가기능모듈(20)의 일시집적 동작 중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서비스맨은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서브도어(250)를 잠금 해제 시킬 수 있다. 서비스맨은 상기 서브도어(250)를 개방한 뒤, 상기 부가기능모듈(20)의 일시집적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들에 대한 문제 확인 및 보수를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맨이 불필요하게 보충회수 플레이트(220)에 집적된 매체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메인도어(230)의 개방 없이도, 상기 부가기능모듈(20)의 제 1 수납공간(201a)에 대한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금융기기(1) 및 부가기능모듈(20)의 보안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부가기능모듈(20)은 복수의 플레이트(210, 220)를 구비한 것으로 설명된다. 다만,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210, 220) 중 어느 하나가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210, 220) 중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가 생략되는 경우, 상기 부가기능모듈(20)은 보충 또는 회수될 매체가 보관되는 보충회수 카세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부(231)는 상기 보충회수 플레이트(220)에 의해 연동되어, 상기 서브도어(250)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220) 중 상기 보충회수 플레이트(220)가 생략되는 경우, 상기 부가기능모듈(20)은 일시집적 카세트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메인도어(230) 및 상기 서브도어(250)의 구성들 및 각 구성들간의 연계 동작되는 내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메인도어의 잠금부 구성]
도 5는 도 3의 V-V`의 단면도이고,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부를 확대한 메인도어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도어(230)는 상기 서브도어(250)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 시키기 위한 잠금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231)는 상하로 길게 연장되는 잠금부재(232)와, 상기 잠금부재(232)를 상기 메인도어(237)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37, 23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37, 238)는 상기 잠금부재(232)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232)는 상기 고정부(237, 238)가 관통되는 관통홀(234a, 234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34a, 234b)는 상기 잠금부재(232)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234a, 234b)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상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관통홀(234a, 234b)의 상하(도면상) 직경은 좌우(도면상) 직경보다 클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237, 238)의 단면은 일례로,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37, 238)의 직경은 상기 관통홀(234a, 234b)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관통홀(234a, 234b)은 상기 잠금부재(232)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34a. 234b)는 제 1 관통홀(234a)과, 상기 제 1 관통홀(234a)과 이격되는 제 2 관통홀(23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37, 238)는 상기 관통홀(234a, 234b)과 대응되는 개수 및 대응되는 위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37, 238)는 제 1 고정부재(237)와, 상기 제 1 고정부재(237)와 이격되는 제 2 고정부재(23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홀(234a)에는 상기 제 1 고정부재(237)가 관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관통홀(234b)에는 상기 제 2 고정부재(238)가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부재(237)는 상기 제 1 관통홀(234a)을 관통하는 제 1 관통나사(237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고정부재(237)는 상기 제 1 관통홀(234)을 관통한 제 1 관통나사(237a)에 결합되는 제 1 고정너트(237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나사(237a) 및 제 1 고정너트(237b)의 결합에 의해 상기 잠금부재(232)는 상기 메인도어(23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부재(238)는 상기 제 2 관통홀(234b)를 관통하는 제 2 관통나사(238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고정부재(238)는 상기 제 2 관통홀(234b)를 관통한 제 2 관통나사(238a)에 결합되는 제 2 고정너트(238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나사(238a) 및 제 2 고정너트(238b)의 결합에 의해 상기 잠금부재(232)는 상기 메인도어(23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잠금부재(232)는 상기 메인도어(23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34a, 234b)의 상하 직경이 좌우 직경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통홀(234a, 234b)을 관통한 상기 고정부재(237, 238)에 의해, 상기 잠금부재(232)는 상기 메인도어(230)에 대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232)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서브도어(250)는 잠금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잠금부재(232)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서브도어(250)는 잠금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232)이 이동에 따라 상기 서브도어(250)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는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상기 메인도어(230)는 상기 잠금부재(232)의 위치를 복원하는 탄성부재(23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39)는 상기 잠금부재(232) 및 상기 메인도어(230)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부재(232)가 외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탄성부재(239)에는 복원력이 축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력이 차단되면, 상기 탄성부재(239)에 축적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잠금부재(232)의 위치는 복원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39)는 상기 제 2 고정부재(238) 및 상기 잠금부재(232)의 하단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39)는 일례로, 인장스프링(extension spring)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39)는 일단이 상기 제 2 관통나사(238a) 및 상기 제 2 고정너트(238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239)의 일단은 상기 제 2 관통나사(238a) 및 상기 제 2 고정너트(238b)의 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239)의 타단은 상기 잠감부재(232)의 하단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잠금부재(232)가 하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탄성부재(239)에는 복원력이 축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잠금부(231)는 상기 잠금부재(232)가 상기 서브도어(250)의 잠금홀(253)에 걸림되도록 하는 걸림부(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233)는 상기 잠금부재(233)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233)는 상방으로 연장될수록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233)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잠금홀(253)을 관통할 때, 상기 걸림부(233)의 일면과 상기 잠금홀(253)을 형성하는 잠금홀더(도 7의 252)의 적어도 일부분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걸림부(233)는 상기 메인도어(230)의 배면을 마주보는 제 1 면(233a)과, 상기 제 1 면(233a)과 단차를 형성하는 제 2 면(233b)과, 상기 제 1 면(233a)과 함께 산부(또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제 3 면(233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면(233a)은 상기 메인도어(230)의 배면을 마주보면서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233)가 상기 잠금홀(253)을 관통할 때, 상기 제 1 면(233a)과 마주보는 상기 잠금홀더(252)는 소정거리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브도어(250)가 상기 메인도어(230)의 개구부(241)를 폐쇄시킬 때(또는, 상기 서브도어(250)가 닫힘될 때,) 상기 서브도어(250)의 위치에 오차가 발생되더라도, 상기 서브도어(250)의 잠금홀(253)에는 상기 걸림부(233)가 관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도어(250)가 잠금 실패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걸림부(232)가 상기 잠금홀더(252)의 적어도 일부분과 이격되기 때문에, 상기 서브도어(250)의 잠금 상태에서 상기 서브도어(250)에 가해지는 외력이 온전히 상기 잠금 부재(232)에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잠금부재(232)가 파손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3 면(235c)은 상기 메인도어(230)의 개구부를 마주보면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면(235c)에 의해, 상기 잠금부재(233)는 상기 잠금홀더(252)에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잠금홀(253)을 관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잠금부재(232)는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접촉돌기(2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돌기(236)는 상기 잠금부재(232)에서 상기 집적함 본체(20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돌기(236)는 상기 잠금부재(232)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잠금부재(232)의 일단에 상기 걸림부(232)가 위치할 때, 상기 잠금부재(232)의 타단에는 상기 접촉돌기(236)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접촉돌기(236)는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와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가 하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접촉돌기(236)는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 및 상기 잠금부재(232)는 함께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접촉돌기(236)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돌기(236)는 상기 집적함 본체(20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마주보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에 형성된 경사면과, 상기 접촉돌기(236)에 형성된 경사면은 서로 접촉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도어(230)가 닫힐 때,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 및 상기 접촉돌기(236)의 위치에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 또는 상기 메인도어(230)에 설치된 접촉돌기(236)가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서브도어의 구성]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홀더를 확대한 서브도어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시 서브도어(250)는 외관을 형성하는 서브도어 바디(2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 바디(251)는 상기 메인도어(230)의 개구부(24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 바디(250)는 상기 메임도어(230)의 축(24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250)는, 상기 잠금부(231)에 의해 선택적으로 잠금될 수 있는 잠금홀더(2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홀더(252)는 상기 서브도어(250)의 배면에 도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홀더(252)의 내측에는, 상기 잠금부(231)의 잠금부재(232)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잠금홀(253)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잠금부재(232)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잠금부재(232)의 걸림부(233)는 상기 잠금홀(253)을 관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도어(250)는 상기 메인도어(230)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서브도어(250)는 잠금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잠금부재(232)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걸림부(233)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서브도어(250)는 상기 메인도어(230)에 대하여 회동가능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서브도어(250)는 잠금 해제될 수 있다.
[잠금부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동작]
도 8은 도 5에서, 잠금부가 잠금해제 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집적함 구동모터(340)에 의해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는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는, 하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접촉돌기(236)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접촉에 의해서,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 및 상기 잠금부재(232)는 함께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부재(232)의 걸림부(233)가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서브도어(250)의 잠금은 해제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도어(250)는 상기 메인도어(23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잠금부재(232)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부재(239)에는 복원력이 축적될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232)가 상기 부가기능모듈(20)의 개구부(241)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집적함 구동모터(340)가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에 제공되는 동력을 차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집적함 구동모터(340)는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를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239)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잠금부재(232)는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232)가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걸림부(233)는 상기 잠금홀(253)을 관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도어(250)는 상기 메인도어(23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브도어(250)의 잠금 해제를 위한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의 이동거리는, 상기 일시집적을 위한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의 최대 이동거리보다 크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서브도어(250)가 잠금 해제되었을 경우의 제 1 수납공간(201a)의 크기는, 상기 부가기능모듈(20)의 일시집적 동작을 위한 제 1 수납공간(201a)의 최대 크기보다 크다. 따라서, 일시집적 동작 중에 상기 서브도어(250)개 개방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금융기기의 제어구성]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제어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금융기기(1)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4)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은 후술되는 제어부(39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90)는 전달받은 명령에 대응되는 결과정보가 포함된 화면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4)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금융기기(1)는 상기 이송로(181, 182, 183)에 동력을 제공하여 매체를 이송시키는 이송동력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동력부(310)에 의해 매체는 일지점에서 타지점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송동력부(310)에의해 상기 매체입출부(10)에 인입된 매체는, 상기 감별부(11)를 경유하여 상기 부가기능모듈(20)로 이송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부가기능모듈(20)에 보관된 매체는 상기 이송동력부(310)에 의해 상기 매체입출부(10)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금융기기(1)는 상기 부가기능모듈(20)의 동작에 이상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집적함 이상감지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적함 이상감지부(330)는 상기 부가기능모듈(20) 내부에 잼 발생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집적함 이상감지부(330)는 매체의 입금과정에서, 설정시간 동안 매체가 인입되지 않는 경우, 상기 부가기능모듈(20) 내부에서 잼이 발생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집적함 이상감지부(330)는 상기 부가기능모듈(20)의 매체 이송 통로 상에 배치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집적함 이상감지부(330)는 상기 부가기능모듈(20)의 매체 이송 통로 상에 잼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일례로,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융기기(10)는 상기 집적함 구동모터(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적함 구동모터(34)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201)에 보관된 매체는 상기 이송로(181, 182, 183) 상으로 인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집적함 구동모터(34)에 의해, 상기 이송로(181, 182, 183) 상의 매체는 상기 수납공간(201)으로 인입될 수 있다. 또는, 고객에 의해 거래취소(또는, 입금 취소)가 발생할 경우, 상기 입출부(10)로 매체가 이송될 수 있다.
상기 금융기기(10)는 상기 서브도어(350)의 개폐를 감지하는 서브도어 감지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350)가 개방될 때, 상기 서브도어 감지부(350)는 개방신호를 상기 제어부(390)로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브도어(350)가 닫힐 때, 상기 서브도어 감지부는 닫힘신호를 상기 제어부(39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금융기기(390)는 상기 집적함 구동모터(340)를 제어하여 상기 부가기능모듈(20) 입출 및 도어 개방 중 적어도 하나를 관리하는 상기 제어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4)를 통해, 상기 서브도어(350)의 개방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서브도어(35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집적함 구동모터(340)를 제어하여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가 하강되는 과정에서,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는 상기 잠금부재(232)를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232)의 걸림부(233)는 상기 서브도어(250)의 잠금홀(253)에 걸림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도어(350)는 상기 메인도어(23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잠금부재(232)가 하방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부재(231)에는 복원력이 축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서브도어(350)가 개방되면, 상기 서브도어 감지부(350)로부터 개방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 감지부(350)로부터 상기 서브도어(350)의 닫힘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서브도어(350)를 잠금시킬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집적함 구동모터(340)를 제어하여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가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잠금 부재(232)에 가해지는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의 외력은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원력에 의해 상기 잠금부재(232)는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부재(232)의 걸림부(233)는 상기 서브도어(250)의 잠금홀(253)을 관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도어(250)는 상기 메인도어(230)에 고정될 수 있다.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금융기기(1)의 제어부(390)는 상기 집적함 이상감지부(330)를 통해, 상기 부가기능모듈(20)의 이상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1). 상기 집적함 이상감지부(330)에는, 일례로, 부가기능모듈(20) 내부의 잼(jam)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집적함 이상감지부(330)에 이상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메인도어(230) 및 서브도어(250) 간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S3). 상세히,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집적함 구동모터(340)d를 제어하여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를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는 상기 잠금부재(232)의 접촉돌기(236)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 및 상기 잠금부재(232)는 함께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232)가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잠금부재(232)의 걸림부(233)는 상기 서브도어(250)의 잠금홀더(252)에 걸림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도어(250)는 상기 메인도어(23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해질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250)가 잠금 해제될 경우,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서브 도어(250)의 닫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5). 상기 제어부(390)는 설정시간 이내에 상기 서브도어 감지부(350)로부터 닫힘신호가 전달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금융기기(1)에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터(미도시)가 추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닫힘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서브도어(250)가 정상적으로 닫힌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S9). 따라서,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집적함 구동모터(340)를 제어하여, 상기 서브도어(390)를 잠금시킬 수 있다(S11). 상세히,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집적함 구동모터(340)를 제어하여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를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가 상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29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잠금부재(232)는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부재(232)의 걸림부(233)는 상기 잠금홀더(252)의 잠금홀(253)을 관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도어(250)는 상기 메인도어(23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7에서, 설정시간 경과 후에 닫힘신호를 전달받지 못하면,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4)에 경고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상기 금융기기(10) 및 상기 부가기능모듈(20)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9에서, 닫힘을 감지하였지만, 여전히 상기 부가기능모듈(20)에 이상히 있는 것으로 인식될 경우,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4)에 경고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부가기능모듈(20)의 유지/보수 관리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관리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4)에는, 소리, 문자, 및 그림 등을 통해 경고가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가기능모듈(230) 내부에 이상이 감지될 경우, 상기 서브도어(250)가 잠금 해제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다만, 다른 실시예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4)를 통해 입력된 명령을 기반으로 상기 서브도어(250)가 잠금해제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4)를 통해 상기 서브도어(250) 잠금해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집적함 구동모터(340)를 제어하여 상기 서브도어(250)를 잠금해제 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부(231)는 상기 서브도어(230)의 잠금을 결정하므로, 상기 잠금부(231)는 잠금수단이라 이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 및 상기 보충회수 플레이트(22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상기 일시집적 플레이트(210) 및 상기 보충회수 플레이트(220)는 상기 수납공간(201)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잠금부(231)는 상기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일시집적 플레이트(210) 또는 상기 보충회수 플레이트(220)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서브도어(250)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구성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 매체가 보관되는 수납공간을 갖는 집적함 본체;
상기 집적함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메인도어;
상기 메인도어에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을 관통하는 개구부;
상기 메인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서브도어;
상기 집적함 본체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 밀판;
상기 제 1 밀판에 동력을 제공하는 집적함 구동부; 및
상기 메인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밀판에 의해 상기 서브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하로 길게 연장되는 잠금부재와,
상기 잠금부재를 상기 메인도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잠금부재로부터 상기 집적함 본체 내측으로 돌출되는 접촉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제 1 밀판 및 상기 접촉돌기와의 접촉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집적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도어는,
상기 제 1 밀판이 하방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잠금부에 의해 잠금 해제되고,
상기 제 1 밀판이 상방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잠금부에 의해 잠금되는 매체 집적함.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도어 및 상기 잠금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잠금부재의 위치를 복원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매체집적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도어는,
상기 메인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도어 바디와,
상기 수납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잠금홀더와,
상기 잠금홀더 내측에 형성되는 잠금홀을 포함하는 매체집적함.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제 1 밀판 및 상기 접촉돌기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잠금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매체집적함.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잠금부재의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1 밀판 및 상기 접촉돌기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잠금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방으로 연장될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매체집적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밀판과 이격되며, 보충 또는 회수될 매체가 안착되는 제 2 밀판을 더 포함하는 매체집적함.
- 매체의 입출금을 위한 매체입출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는 집적함서포터;
상기 집적함서포터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매체집적함을 포함하고,
상기 매체집적함은,
매체가 보관되는 집적함 본체와,
상기 집적함 본체를 개폐하는 메인도어와,
상기 메인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메인도어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서브도어와,
상기 메인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서브도어를 선택적으로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잠금수단과,
상기 집적함 본체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입력되는 명령을 기초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서브도어를 선택적으로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메인도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잠금부재와,
상기 잠금부재로부터 상기 집적함 본체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플레이트와의 접촉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접촉돌기를 포함하는 금융기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서브도어의 개방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서브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키는 금융기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집적함은,
상기 집적함 본체 내부의 구비된 매체의 이송로 상에서 잼 발생을 감지하는 집적함 이상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집적함 이상 감지부로부터 이상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서브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키는 금융기기.
- 삭제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서브도어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도어 감지부에 의해 상기 서브도어의 닫힘을 인식할 경우,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서브도어를 잠금시키는 금융기기.
- 매체집적함의 메인도어에 구비된 개구부를 차폐하는 서브도어의 개방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매체집적함 내부에서 매체가 안착되는 제 1 밀판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하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제 1 밀판과 상기 메인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서브도어를 상기 메인도어에 잠금하는 잠금부가 연동되어, 상기 서브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 1 밀판과의 접촉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서브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도어의 닫힘이 감지되는 단계와,
상기 서브도어의 닫힘이 감지되면, 상기 제 1 밀판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밀판이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잠금부가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서브도어가 상기 메인도어에 잠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6474A KR102128949B1 (ko) | 2018-05-17 | 2018-05-17 | 매체집적함,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6474A KR102128949B1 (ko) | 2018-05-17 | 2018-05-17 | 매체집적함,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1727A KR20190131727A (ko) | 2019-11-27 |
KR102128949B1 true KR102128949B1 (ko) | 2020-07-01 |
Family
ID=68729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6474A KR102128949B1 (ko) | 2018-05-17 | 2018-05-17 | 매체집적함,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894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33365A (ko) | 2020-09-09 | 2022-03-16 |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 매체보관함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895858B (zh) * | 2019-12-28 | 2024-09-03 |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 一种上机芯及金融自助终端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6821B1 (ko) * | 2010-06-03 | 2011-07-06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카세트의 푸쉬플레이트 잠금장치 |
JP2013246690A (ja) | 2012-05-28 | 2013-12-09 | Oki Electric Ind Co Ltd | 自動取引装置 |
JP5600804B2 (ja) * | 2011-06-03 | 2014-10-01 |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紙幣収納庫および紙幣取扱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62861A (ko) * | 2006-12-29 | 2008-07-03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리젝트박스의 잠금구조 |
-
2018
- 2018-05-17 KR KR1020180056474A patent/KR10212894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6821B1 (ko) * | 2010-06-03 | 2011-07-06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카세트의 푸쉬플레이트 잠금장치 |
JP5600804B2 (ja) * | 2011-06-03 | 2014-10-01 |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紙幣収納庫および紙幣取扱装置 |
JP2013246690A (ja) | 2012-05-28 | 2013-12-09 | Oki Electric Ind Co Ltd | 自動取引装置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33365A (ko) | 2020-09-09 | 2022-03-16 |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 매체보관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1727A (ko) | 2019-1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128831B1 (en) | Bill receiving and dispensing apparatus | |
JP6382176B2 (ja) | 金融機器 | |
JP4846507B2 (ja) | 現金自動取引装置 | |
JP5187157B2 (ja) | 自動取引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の制御方法 | |
KR102128949B1 (ko) | 매체집적함,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 |
KR101732795B1 (ko) | 매체 집적 장치 및 금융 기기 | |
JP2016146142A (ja) | 紙葉類処理機および紙葉類処理方法 | |
KR101866992B1 (ko) | 카세트 밀판 잠금장치 | |
EP3712865B1 (en) | Sheet processing apparatus | |
KR101764480B1 (ko) | 금융 기기 | |
KR101016460B1 (ko) | 회수기능을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 및 회수함 | |
JP5580935B2 (ja) | 紙葉類取扱装置 | |
KR101775779B1 (ko) |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 기기 | |
JP2018152030A (ja) | 紙葉類処理装置及び紙葉類処理方法 | |
KR101751598B1 (ko) | 금융 기기 | |
JP5487278B2 (ja) | 紙幣入出金装置 | |
KR101781304B1 (ko) | 매체 보관 장치와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 |
JP6590702B2 (ja) | 紙葉類処理装置、紙葉類処理システムおよび紙葉類処理方法 | |
KR101672597B1 (ko) |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 기기 | |
JP2002150363A (ja) | 自動取引装置 | |
KR102419847B1 (ko) | 매체보관함 | |
KR101892478B1 (ko) | 금융기기, 매체처리장치 및 매체분리집적장치 | |
JP2017107281A (ja) | 紙葉類処理装置、紙葉類処理システムおよび紙葉類処理方法 | |
KR101864143B1 (ko) | 매체집적장치 및 금융기기 | |
KR101902235B1 (ko) | 금융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