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527B1 - 배수플레이트를 구비한 교량받침 - Google Patents
배수플레이트를 구비한 교량받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28527B1 KR102128527B1 KR1020190070790A KR20190070790A KR102128527B1 KR 102128527 B1 KR102128527 B1 KR 102128527B1 KR 1020190070790 A KR1020190070790 A KR 1020190070790A KR 20190070790 A KR20190070790 A KR 20190070790A KR 102128527 B1 KR102128527 B1 KR 1021285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support
- bridge
- drain
- upper plat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093 support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2783 fri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09 Tef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62 Tef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1310793 Pod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2 seas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플레이트를 구비한 교량받침에 관한 것으로, 상부구조물로부터 흐르는 오수가 교량받침 전체에 번지면서 야기하는 오염 및 부식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상부구조물의 변위로 인하여 변형되는 중간지지체의 지압면적 감소현상을 최소화하고 충분한 지압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부구조물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 하부구조물에 고정되는 하부플레이트;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의 변위에 따른 상부플레이트의 변위를 수용하는 중간지지체;를 포함하며, 상부플레이트의 측면들 중 적어도 일측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부구조물로부터 상부플레이트의 측면을 따라 흐르는 오수가 중간지지체 및 하부플레이트로 흐르지 않도록 차단하면서 일지점으로 안내하여 배수할 수 있도록 한 배수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부구조물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 하부구조물에 고정되는 하부플레이트;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의 변위에 따른 상부플레이트의 변위를 수용하는 중간지지체;를 포함하며, 상부플레이트의 측면들 중 적어도 일측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부구조물로부터 상부플레이트의 측면을 따라 흐르는 오수가 중간지지체 및 하부플레이트로 흐르지 않도록 차단하면서 일지점으로 안내하여 배수할 수 있도록 한 배수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량받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부구조물로부터 흐르는 오수가 교량받침 전체에 번지면서 야기하는 오염 및 부식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상부구조물의 변위로 인하여 변형되는 중간지지체의 지압면적 감소현상을 최소화하고 충분한 지압면적을 확보하는데 적당한 배수플레이트를 구비한 교량받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는 상부구조물에서 작용하는 수직하중을 수용하고, 계절의 기온변화나 바람, 지진 등의 충격 등에 의한 상대변위나, 수평으로 작용하는 전단변위를 수용하여 교량의 내구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교량받침이 설치된다. 상기 교량받침은 교량의 특성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내구성, 시공성, 유지보수성, 경제성을 고려하여 설치되고 있다.
종래의 교량받침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그 사이에 설치되어 상측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고 교량의 상부구조물 변위를 수용하기 위해 변형되는 중간지지체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같은 종래의 교량받침의 경우 도 2에 첨부된 현장 사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상부구조물로부터 흐르는 오수가 상부플레이트에서 넓은 범위로 번진 후 중간지지체와 하부플레이트까지 번지면서 교량받침 전체에 걸쳐 심각한 부식문제를 야기하였다. 이 때문에 교량받침이 심각하게 손상되어 교체시기가 빨라지고 자칫 방치하는 경우 교량에 대한 지지구조에도 영향을 미쳐 대형사고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종래의 교량받침의 경우 중간지지체가 다양한 종류의 것으로 구비될 수 있지만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면과 하면이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에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변형에 의해 상부구조물의 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 탄성체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부구조물이 변위로 인해 상기 탄성체가 변형될 때 지압면적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3의 (a), (b)의 비교 도면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변형 전 상태인 표준 시에는 중간지지체가 충분한 지압면적에 의해 상부구조물을 지지하고 있다(a). 하지만 상부구조물이 변위되어 중간지지체가 변형되면 중간지지체의 신축이동 부위는 지압면적에서 제외되면서 지압면적이 급격히 줄어든다. 이에 따라 상부구조물의 변위 시에도 충분한 지압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불가피하게 교량받침을 더 큰 것으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구조물로부터 흐르는 오수가 교량받침 전체에 번지면서 야기하는 오염 및 부식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교량받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구조물의 변위로 인하여 변형되는 중간지지체의 지압면적 감소현상을 최소화하고 충분한 지압면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교량받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교량받침은,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서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면서 상부구조물의 변위를 수용하도록 한 교량받침에 있어서, 상부구조물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 하부구조물에 고정되는 하부플레이트; 상기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의 변위에 따른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변위를 수용하는 중간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측면들 중 적어도 일측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상부구조물로부터 상부플레이트의 측면을 따라 흐르는 오수가 상기 중간지지체 및 하부플레이트로 흐르지 않도록 차단하면서 일지점으로 안내하여 배수할 수 있도록 한 배수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배수플레이트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일측면을 따라 접합되는 접합부; 상기 접합부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오수를 상기 상부플레이트로부터 외측으로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이격유도부; 상기 이격유도부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이격유도부를 따라 흐르는 오수를 받아낸 후 상부플레이트의 모서리가 위치한 일지점으로 안내하여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유도부; 상기 배수유도부의 외측단부를 따라 연장되되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격유도부로부터 배수유도부로 모아지는 오수가 외측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차단하는 누수차단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플레이트는 오수가 일단부쪽으로 흘러가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타단부에서 일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플레이트의 접합부의 외측면, 이격유도부 외측면, 배수유도부의 상측면 및 누수차단부의 내측면에는 오수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저마찰재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지지체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변위를 수용하기 위해 변형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간지지체는 하면에서 상면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횡단면적이 증가하는 변단면의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부플레이트의 변위에 따라 변형되었을 때 상부의 신축이동 부위로 인한 지압면적의 감소현상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하부구조물에 대한 하부플레이트의 고정 작업 시 모르타르에 대한 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서로 이격된 다수의 금속 플레이트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어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지지체의 중앙에는 면진을 위한 납코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지지체는 상면과 하면이 각각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 원반으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면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각각 상기 원반의 볼록한 상면과 하면과 접촉하여 진자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오목한 곡면으로 요입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지지체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접촉하는 상면에는 마찰을 감소시키는 마찰재를 구비하여 수직하중을 지지하면서 상부구조물의 변위 시 상부플레이트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는 슬라이드 지지체와, 상기 슬라이드 지지체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지지체를 지지하면서 회전변위를 수용하는 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교량받침 시공방법은, 전술된 교량받침을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에 설치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교량받침은 상부플레이트에 설치된 배수플레이트를 구비함으로써 상부플레이트의 측면을 따라 흐르는 오수가 중간지지체 및 하부플레이트로 흐르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오수로 인한 교량받침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중간지지체가 상면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횡단면적이 넓게 증가하는 변단면의 형태로 이루어진 구성에 의해 상부플레이트가 변위되어 변형되었을 때 상부의 신축이동 부위로 인한 지압면적의 감소현상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으며, 이로써 설치되는 교량받침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시공이 용이하고 설치비용을 절감하는데 도움이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교량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교량받침이 오수에 의해 부식 및 오염된 모습의 현장사진
도 3은 상부구조물의 변위 시 종래기술에 의한 교량받침에서 중간지지체의 변형에 따른 지압면적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에서 중간지지체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에서 배수플레이트의 설치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에서 배수플레이트의 설치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참조도
도 10은 상부구조물의 변위 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에서 중간지지체의 변형에 따른 지압면적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4변형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교량받침이 오수에 의해 부식 및 오염된 모습의 현장사진
도 3은 상부구조물의 변위 시 종래기술에 의한 교량받침에서 중간지지체의 변형에 따른 지압면적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에서 중간지지체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에서 배수플레이트의 설치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에서 배수플레이트의 설치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참조도
도 10은 상부구조물의 변위 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에서 중간지지체의 변형에 따른 지압면적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4변형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교량받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에서 중간지지체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에서 배수플레이트의 설치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에서 배수플레이트의 설치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은 상부플레이트(110), 하부플레이트(120), 중간지지체(130), 배수플레이트(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부플레이트(110)에 설치된 배수플레이트(140)에 의해 상부플레이트(110)의 측면을 따라 흐르는 오수가 중간지지체(130) 및 하부플레이트(120)로 흐르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오수로 인한 고질적인 교량받침의 부식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중간지지체(130)가 상면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횡단면적이 넓어지는 상하 비대칭의 변단면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구조물의 변위에 따라 중간지지체(130)가 변형될 때 상부의 신축이동에 따른 지압면적 감소문제를 완전히 해소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10)는 강재 소재인 사각의 넓은 판으로, 교량의 상부구조물에 매설되는 복수의 앵커(미도시됨)에 의해 교량의 상부구조물 측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120)는 상부플레이트(110)와 마찬가지로 강재 소재인 사각의 넓은 판으로서 교량의 하부구조물 측에 매설되는 복수의 앵커(미도시됨)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상기 배수플레이트(14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의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따라 길게 설치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은 배수플레이트(140)가 상부플레이트(110)의 측면들 중 하나의 측면에만 설치된 경우이고, 도 7은 배수플레이트(140)가 상부플레이트(110)의 모든 측면들에 설치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도 6과 같이 배수플레이트(140)가 상부플레이트(110)의 측면들 중 일부에만 설치되는 경우는 교량의 상부구조물로부터 오수가 흘러내리는 경로를 사전에 명확하게 파악하고 있을 때 유용하다. 하지만, 교량받침을 설치할 때 상부구조물로부터 오수가 흘러내리는 경로를 명확하게 파악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 7과 같이 배수플레이트(140)를 상부플레이트(110)의 모든 측면들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플레이트(140)는 전체적으로는 상부플레이트(110)의 측면을 따라 길게 설치되며, 도 4의 확대도를 참조하여 그 구체적인 형상을 살펴보면 두께가 얇은 평판형의 플레이트를 부위별로 절곡시키는 방법에 의해 접합부(141)와, 이격유도부(142), 배수유도부(143), 누수차단부(144)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수플레이트(140)의 접합부(141)는 상부플레이트(110)의 일측면을 따라 접합된다. 상기 접합부(141)의 경우 배수플레이트(140)의 측면에 대응하여 수직하게 형성된 부위로 상부플레이트(110)에 대해 접합부(141)를 어떻게 접합시키느냐에 따라 도 8과 같이 배수플레이트(140)가 수평한 상태로 설치할 수도 있고, 도 9와 같이 오수가 일단부쪽으로 흘러가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타단부에서 일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할 수도 있다. 이 중에 바람직한 형태는 도 9와 같이 배수플레이트(140)를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배수플레이트(140)의 이격유도부(142)는 상기 접합부(141)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이같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이격유도부(142)를 구비하면 오수를 상부플레이트(110)로부터 외측으로 가능한 떨어지도록 유도함으로써 배수플레이트(140)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배수처리되는 오수가 교량받침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낙하하게 된다. 이로써 배수처리되는 오수가 다시 교량받침으로 유입되거나 접촉할 가능성이 줄어들게 되어 안전한 처리가 가능해진다.
상기 배수플레이트(140)의 배수유도부(143)는 이격유도부(142)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거의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이격유도부(142)를 따라 흐르는 오수를 받아낸 후 상부플레이트(110)의 모서리가 위치한 일지점으로 안내하여 배수되도록 한다.
상기 배수플레이트(140)의 누수차단부(144)는 배수유도부(143)의 외측단부를 따라 연장되되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이격유도부(142)로부터 배수유도부(143)로 모아지는 오수가 외측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차단한다.
여기서, 상기 배수플레이트(140)의 접합부(141)의 외측면, 이격유도부(142) 외측면, 배수유도부(143)의 상측면 및 누수차단부(144)의 내측면에는 오수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저마찰재가 코팅되며, 이같이 코팅되는 저마찰재로는 테프론이면 적당하다. 상기 배수플레이트(140)의 경우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이 내부식성을 갖는 금속 소재로 구비되는데, 이처럼 오수가 흐르는 경로에 테프론을 코팅하면 내부식성을 보강하는 역할도 하면서 오수가 정체되지 않고 원활하게 흘러내려가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간단한 배수플레이트(140)가 상부플레이트(110)에 설치되면 상부구조물로부터 흐르는 오수가 상부플레이트(110)에서 넓은 범위로 번진 후 중간지지체(130)와 하부플레이트(120)까지 번지면서 교량받침 전체에 걸쳐 심각한 부식문제를 야기하였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교량받침이 심각하게 손상되어 교체시기가 빨라지는 문제와 그로 인해 상부구조물에 대한 지지구조가 약해지는 문제를 해소하는데 크게 도움이 된다.
상기 중간지지체(130)는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플레이트(110)의 변위를 수용하기 위해 자신이 변형되는 탄성체로 구비된다. 주목할 점으로 상기 중간지지체(130)는 도 5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하면(130b)에서 상면(130a)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횡단면적이 증가하면서 상하 비대칭을 이루고 있는 독특한 변단면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중간지지체(130)의 측면들은 기존에 수직하게 형성되었던 것과는 다르게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같이 독특한 형상을 갖는 중간지지체(130)의 구성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변형 전 상태인 표준 시(a)에는 중간지지체(130)의 종단면이 상부가 넓은 역사다리꼴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상부플레이트(110)의 변위로 인해 변형되었을 때(b)에는 상부의 신축이동에도 불구하고 지압면적이 줄어들지 않고 동일하게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상부가 넓은 상하 비대칭 형상의 중간지지체(130)의 구성은 일면 단순한 변형 정도로 보일 수 있어도 이를 통해 중간지지체(130)를 제조하기 위한 소재의 분량을 대폭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부플레이트(120)의 면적 및 그에 따른 하부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다는 면에서도 장점을 갖는다. 참고로 상기 중간지지체(130)가 변형에 의해 상부구조물의 변위를 수용하는 탄성체로 구비되는 경우는 통상 보강판과 고무가 순차적으로 다수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 경우 교량받침에서 차지하는 소재의 비용이 적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교량받침의 형상으로 제작하므로 연단거리 축소가 가능하여 하부구조물의 단면을 축소하여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된 것처럼 상부플레이트(110)에 배수플레이트(140)를 구비하는 가운데 다른 구성요소들이 변형되거나 추가되는 방법으로 다양한 변형실시예가 가능하며, 아래에서는 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은 변형 전과 비교하여 하부플레이트(120) 하면에 서로 이격된 다수의 금속 플레이트(121)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어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이 다수의 금속 플레이트(121)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어 접합된 구성에 따르면 하부플레이트(120)를 하부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하여 모르타르를 타설하였을 때 모르타르에 대한 하부플레이트(120)의 접촉면적이 증가하면서 부착력이 증대되며, 교량받침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수평방향의 전단하중에 대하여 하부플레이트(120)의 저항력이 증가하는 구조적인 장점도 갖게 된다.
그 외 설명되지 않은 다른 구성의 경우 변형 전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은 변형 전과 비교하여 상기 중간지지체(130)의 중앙에 면진을 위한 납코어(15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이 면진작용을 하는 납코어(150)가 추가된 제2변형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면진성능이 개선되어 면진성능을 요구하는 곳에 설치하기 적합한 상태가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면진받침의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그 외 설명되지 않은 다른 구성의 경우 변형 전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은 스페리컬 타입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변형 전과 비교하여 중간지지체가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20) 사이에서 진자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면과 하면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 원반(160)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원반(16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접촉하는 상부플레이트(110)의 하면과 하부플레이트(120)의 상면에는 원반(160)에 대응하여 진자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오목한 곡면으로 요입된 슬라이드홈(12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일반적인 스페리컬 타입의 교량받침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변형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변형실시예에 의한 교량받침은 변형 전 실시예와 비교하여 중간지지체가 상부플레이트(110)와 접촉하는 상면에는 마찰을 감소시키는 마찰재를 구비하여 수직하중을 지지하면서 상부구조물의 변위 시 상부플레이트(110)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는 슬라이드 지지체(180)와, 상기 슬라이드 지지체(180)와 하부플레이트(1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지지체(180)를 지지하면서 회전변위를 수용하는 디스크(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디스크 타입의 교량받침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상부플레이트 120 : 하부플레이트
130 : 중간지지체 140 : 배수플레이트
130 : 중간지지체 140 : 배수플레이트
Claims (10)
-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서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면서 상부구조물의 변위를 수용하도록 한 교량받침에 있어서,
상부구조물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 하부구조물에 고정되는 하부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의 변위에 따른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변위를 수용하는 중간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측면들 중 적어도 일측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상부구조물로부터 상부플레이트의 측면을 따라 흐르는 오수가 상기 중간지지체 및 하부플레이트로 흐르지 않도록 차단하면서 일지점으로 안내하여 배수할 수 있도록 한 배수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수플레이트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일측면을 따라 접합되는 접합부; 상기 접합부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따라 흘러내리는 오수가 상기 상부플레이트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된 지점에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이격유도부; 상기 이격유도부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절곡된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이격유도부를 따라 흐르는 오수를 받아낸 후 상부플레이트의 모서리가 위치한 일지점으로 안내하여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유도부; 및 상기 배수유도부의 외측단부를 따라 연장되되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이격유도부로부터 배수유도부로 모아지는 오수가 외측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차단하는 누수차단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수플레이트는 일정 폭을 갖는 평판형의 플레이트를 부위별로 절곡시키는 방법에 의해 상기 접합부, 이격유도부, 배수유도부, 누수차단부로 형성되며,
상기 배수플레이트는 오수가 일단부쪽으로 흘러가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타단부에서 일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배수플레이트는 내부식성을 갖는 스테인리스 스틸을 소재로 구비되되 상기 배수플레이트의 접합부의 외측면, 이격유도부 외측면, 배수유도부의 상측면 및 누수차단부의 내측면에는 내부식성을 보강하고 오수가 정체되지 않고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 스틸보다 마찰계수가 작은 별도의 저마찰재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지체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변위를 수용하기 위해 변형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간지지체는 하면에서 상면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횡단면적이 증가하는 변단면의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부플레이트의 변위에 따라 변형되었을 때 상부의 신축이동 부위로 인한 지압면적의 감소현상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 제5항에 있어서,
하부구조물에 대한 하부플레이트의 고정 작업 시 모르타르에 대한 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서로 이격된 다수의 금속 플레이트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어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지체의 중앙에는 면진을 위한 납코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지체는 상면과 하면이 각각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 원반으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면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각각 상기 원반의 볼록한 상면과 하면과 접촉하여 진자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오목한 곡면으로 요입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지체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접촉하는 상면에는 마찰을 감소시키는 마찰재를 구비하여 수직하중을 지지하면서 상부구조물의 변위 시 상부플레이트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는 슬라이드 지지체와,
상기 슬라이드 지지체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지지체를 지지하면서 회전변위를 수용하는 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0790A KR102128527B1 (ko) | 2019-06-14 | 2019-06-14 | 배수플레이트를 구비한 교량받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0790A KR102128527B1 (ko) | 2019-06-14 | 2019-06-14 | 배수플레이트를 구비한 교량받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28527B1 true KR102128527B1 (ko) | 2020-06-30 |
Family
ID=71121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0790A KR102128527B1 (ko) | 2019-06-14 | 2019-06-14 | 배수플레이트를 구비한 교량받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852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813798A (zh) * | 2021-02-03 | 2021-05-18 | 兰州铁道设计院有限公司 | 一种用于桥梁横向抗震的组合式耐腐蚀支撑装置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08802B1 (ko) | 1996-10-08 | 1999-07-15 | 윤종용 | 직류형 전자 안정기 회로 |
JPH11323833A (ja) * | 1998-05-08 | 1999-11-26 | Nippon Doren Kogyo Kk | 導水樋 |
KR200167451Y1 (ko) * | 1999-08-10 | 2000-02-15 | 주식회사케이.알 | 방진 방수용 교좌장치 |
KR101002232B1 (ko) * | 2010-06-25 | 2010-12-20 | 림버스산업 주식회사 | 내진보강용 전단저항장치가 부착된 교량받침 및 이의 설치공법 |
KR101010956B1 (ko) * | 2010-05-13 | 2011-01-26 | 유니슨이앤씨(주) | 교량 받침 |
KR101410025B1 (ko) * | 2013-10-15 | 2014-06-20 | (주)알티에스 | 플라스틱 베어링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면진장치 |
-
2019
- 2019-06-14 KR KR1020190070790A patent/KR10212852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08802B1 (ko) | 1996-10-08 | 1999-07-15 | 윤종용 | 직류형 전자 안정기 회로 |
JPH11323833A (ja) * | 1998-05-08 | 1999-11-26 | Nippon Doren Kogyo Kk | 導水樋 |
KR200167451Y1 (ko) * | 1999-08-10 | 2000-02-15 | 주식회사케이.알 | 방진 방수용 교좌장치 |
KR101010956B1 (ko) * | 2010-05-13 | 2011-01-26 | 유니슨이앤씨(주) | 교량 받침 |
KR101002232B1 (ko) * | 2010-06-25 | 2010-12-20 | 림버스산업 주식회사 | 내진보강용 전단저항장치가 부착된 교량받침 및 이의 설치공법 |
KR101410025B1 (ko) * | 2013-10-15 | 2014-06-20 | (주)알티에스 | 플라스틱 베어링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면진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813798A (zh) * | 2021-02-03 | 2021-05-18 | 兰州铁道设计院有限公司 | 一种用于桥梁横向抗震的组合式耐腐蚀支撑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02700B1 (ko) | 무배수시트 타입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 |
KR102128527B1 (ko) | 배수플레이트를 구비한 교량받침 | |
KR100862276B1 (ko) | 안착 플레이트를 이용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설치구조 및 공법 | |
KR101062223B1 (ko) | 누수방지 기능이 향상된 교량 신축이음장치 | |
KR101020414B1 (ko) | 교량용 신축이음구조 | |
KR101674717B1 (ko) | 하부 소음 저감형 복합 신축이음장치 및 신축이음부 구조 | |
CN105803934B (zh) | 低摩阻力三防无螺栓梳形板桥梁伸缩装置及安装方法 | |
CN110130404B (zh) | 一种地下室底板排水板及其施工工艺 | |
KR101365436B1 (ko) |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 |
KR200403788Y1 (ko) |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 |
KR101386048B1 (ko) | 스페리칼 받침 | |
KR101381593B1 (ko) | 원형 탄성받침 | |
CN206015517U (zh) | 低摩阻力三防无螺栓梳形板桥梁伸缩装置 | |
CN114855603A (zh) | 一种滑移承载装置和桥梁伸缩缝结构 | |
KR100957039B1 (ko) | 교량용 방수 내진 신축이음장치 | |
JP2018012980A (ja) | 側溝用排水板 | |
KR100823347B1 (ko) | 드레인박스가 설치된 진동저감형 교량신축이음장치 | |
KR100258297B1 (ko) |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 | |
CN211735018U (zh) | 装配式桥墩的耗能减震节点 | |
KR101790535B1 (ko) | 빗물 유도기 및 빗물 유도기가 장착되는 그레이팅 | |
KR102350837B1 (ko) | 내진성, 내진동성, 내신축성을 향상시키는 배관 자재 설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시공방법 | |
KR200319781Y1 (ko) | 교량 신축이음장치 블록아웃부의 배수관 고정판 | |
US2201824A (en) | Pavement joint | |
KR200334268Y1 (ko) | 도로의 신축이음부 틈새에 제공되는 이물질 차단구조신축이음장치 | |
KR102520638B1 (ko) | 무배수시트 타입 복합핑거 신축이음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