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462B1 - 부품 픽업 장치 - Google Patents
부품 픽업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27462B1 KR102127462B1 KR1020180053198A KR20180053198A KR102127462B1 KR 102127462 B1 KR102127462 B1 KR 102127462B1 KR 1020180053198 A KR1020180053198 A KR 1020180053198A KR 20180053198 A KR20180053198 A KR 20180053198A KR 102127462 B1 KR102127462 B1 KR 1021274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image
- reflector
- nozzle
- c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 H05K13/081—Integration of optical monitoring devices in assembly lines; Processes using optical moni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devices or machines in assembly lines
- H05K13/0812—Integration of optical monitoring devices in assembly lines; Processes using optical moni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devices or machines in assembly lines the monitor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mounting machine, e.g. for monitoring components, leads, component placement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13—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with orientation of the component while holding it; Drive mechanisms for gripping tools, e.g. lifting, lowering or turning of gripping too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06—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a plurality of identical beams or images, e.g. image replicatio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4—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lection only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08—Incorporating a pick-up tool
- H05K13/0409—Suck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08—Incorporating a pick-up tool
- H05K13/041—Incorporating a pick-up tool having multiple pick-up tool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11—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having multiple mounting head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 H05K13/081—Integration of optical monitoring devices in assembly lines; Processes using optical moni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devices or machines in assembly lines
- H05K13/0813—Controlling of single components prior to mounting, e.g. orientation, component geome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Studio Device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 픽업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부품을 흡착하여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노즐부를 구비하는 부품픽업부와, 상기 부품픽업부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에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를 중심으로 상기 발광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빛에 의한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의 영상을 서로 다른 영역으로 분할시키는 영상분할부와, 상기 영상분할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분할부는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 중 일부의 영상을 상기 촬상부의 제1 열로 안내하고,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 중 다른 일부의 영상을 상기 제1 열과 상이한 상기 촬상부의 제2 열로 안내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품 픽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품 픽업 장치는 부품을 외부로부터 부품을 이송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부품 픽업 장치는 부품을 정확하게 흡착하여 정해진 영역으로 이송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 부품 픽업 장치가 부품을 정확하게 픽업하여 이송시키지 못하는 경우 부품을 정해진 장소에 실장하지 못하거나 부품을 훼손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부품 픽업 장치는 부품의 위치 및 자세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일반적인 부품 픽업 장치는 이러한 부품의 위치 및 자세를 측정하기 위한 부품의 위치 및 자세를 촬영하는 별도의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일반적인 부품 픽업 장치는 이러한 부품의 위치 및 자세를 측정하기 위하여 부품을 감지하는 별도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부품 픽업 장치는 부품을 고정하여 이동시키기 위하여 하나의 노즐부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부품 픽업 장치는 복수개의 부품을 고정하여 이동시키기 위하여 복수개의 노즐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부품 픽업 장치가 복수개의 노즐부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와 같이 하나의 카메라를 통하여 복수개의 노즐부를 촬영하여 부품의 위치 및 자세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노즐부의 선명한 이미지를 얻기가 상당히 어려우며, 복수개의 노즐부를 일렬로 촬영함으로써 부품이 너무 작게 나와 이를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부품 픽업 장치가 별도의 센서부를 구비하는 경우 센서부가 각 노즐부를 개별적으로 감지하여야 하므로 많은 시간 및 공정이 소요될 수 있다.
이러한 부품 픽업 장치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0910771호(발명의 명칭: 부품 실장 장치, 특허권자: 삼성테크윈 주식회사)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습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부품 픽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부품을 흡착하여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노즐부를 구비하는 부품픽업부와, 상기 부품픽업부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에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를 중심으로 상기 발광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빛에 의한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의 영상을 서로 다른 영역으로 분할시키는 영상분할부와, 상기 영상분할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분할부는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 중 일부의 영상을 상기 촬상부의 제1 열로 안내하고,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 중 다른 일부의 영상을 상기 제1 열과 상이한 상기 촬상부의 제2 열로 안내하는 부품 픽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분할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빛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의 영상을 반사시키는 제1 반사부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반사부에서 반사된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 중 일부의 영상을 반사시키는 제2 반사부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반사부에서 반사된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 중 다른 일부의 영상을 반사시키는 제3 반사부와, 상기 제2 반사부에서 반사된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 중 일부의 영상을 상기 촬상부의 상기 제1 열로 안내하는 제4 반사부와, 상기 제3 반사부에서 반사된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 중 다른 일부의 영상을 상기 촬상부의 상기 제2 열로 안내하는 제5 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반사부와 상기 제3 반사부는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 대해서 서로 상이한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반사부와 상기 제5 반사부는 상기 케이스의 저면으로부터 서로 상이한 높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불투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부품픽업부에 배치되는 광원과, 상기 광원과 상기 영상분할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에서 분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노즐부의 영상을 분할하여 동시에 촬영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선명한 노즐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노즐부의 부품의 위치 및 자세를 개별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개의 노즐부를 하나의 촬상부로 촬영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좁은 설치 공간에서 설치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픽업 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품 픽업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부품 픽업 장치의 부품픽업부의 일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촬상부에 촬영된 복수개의 노즐부 및 부품의 영상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품 픽업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부품 픽업 장치의 부품픽업부의 일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촬상부에 촬영된 복수개의 노즐부 및 부품의 영상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픽업 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품 픽업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부품 픽업 장치의 부품픽업부의 일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촬상부에 촬영된 복수개의 노즐부 및 부품의 영상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부품 픽업 장치(100)는 부품픽업부(110), 발광부(120), 영상분할부(130) 및 촬상부(140)을 포함할 수 있다.
부품픽업부(110)는 부품(P)을 부착시키는 복수개의 노즐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노즐부(111)는 도 1의 X축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각 노즐부(111)는 부품(P)을 개별적으로 부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각 노즐부(111)는 부품(P)을 다양한 방식으로 부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노즐부(111)는 점착척을 구비하여 부품(P)을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로써 각 노즐부(111)는 공기를 흡입하여 부품(P)을 고정시키도록 각 노즐부(111)에 흡입홀이 형성되고 흡입홀에 연결되는 펌프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노즐부(111)가 부품(P)을 흡입하여 고정시키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부품픽업부(110)는 각 노즐부(111)에 연결되어 각 노즐부(111)를 선형 운동시키는 선형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형구동부는 부품픽업부(110)에 연결되어 부품픽업부(110)를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선형 운동시킬 수 잇다. 또한, 부품픽업부(110)는 각 노즐부(111)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각 노즐부(111)를 자전 운동시키는 회전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구동부는 각 노즐부(111)에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회전구동부는 각 노즐부(111)에 연결되는 기어와, 상기 기어에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회전구동부는 각 노즐부(111)에 연결되는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와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회전구동부는 각 노즐부(111)에 연결되는 풀리와, 풀리와 연결되는 벨트, 벨트와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광부(120)는 부품픽업부(11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발광부(120)는 외부로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부(120)는 부품픽업부(110)에 배치되는 광원(121)과, 광원(12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확산판(122)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121)은 가시광선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이때, 광원(121)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을 포함하여 백색의 빛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확산판(122)은 부품픽업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확산판(122)은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확산판(122)은 광원(121)에서 방출된 빛을 확산시킬 수 있다.
영상분할부(130)는 발광부(120)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영상분할부(130)는 발광부(120)에서 방출된 빛에 의해서 생성되는 복수개의 노즐부(111) 영상을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즐부(111)가 총 8개인 경우 영상분할부(130)를 통과한 8개의 노즐부(111)의 영상은 4개씩 총 2열로 분할될 수 있다. 특히 8개의 노즐부(111)의 영상은 영상분할부(130)를 통과하면서 제1 열에 4개, 제2 열에 4개가 배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영상분할부(130)는 케이스(131), 제1 반사부(132), 제2 반사부(133), 제3 반사부(134), 제4 반사부(135) 및 제5 반사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3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일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31)는 불투명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스(131) 자체가 검정색의 플라스틱, 나무 등과 같은 불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케이스(131)는 다른 부재로 형성되며, 외면이 불투명 도료로 도포되는 것도 가능하다. 개구된 부분으로는 발광부(120)에서 분사된 빛이 입사할 수 있으며, 개구된 다른 부분으로는 영상분할부(130)를 통과한 빛이 분할되어 촬상부(140)로 입사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된 부분에는 투과창(131a)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투과창(131a)은 유리, 아크릴 등과 같은 투명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케이스(131)의 개구된 부분에 투과창(131a)이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반사부(132)는 발광부(120)에서 입사되는 빛을 굴절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반사부(132)의 길이는 복수개의 노즐부(111)에 대응되도록 복수개의 노즐부(111)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노즐부(111) 사이의 거리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제1 반사부(132)는 케이스(131)의 저면에 대해서 약 45도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반사부(132)는 발광부(120)에서 방출되는 빛에 의해 생성되는 복수개의 노즐부(111)의 영상(또는 그림자)를 케이스(131)의 저면으로부터 상면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반사부(132)는 거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반사부(132)는 케이스(131)에 내면에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반사부(133)와 제3 반사부(134)는 제1 반사부(132)에서 반사되는 복수개의 노즐부(111)의 영상을 서로 상이한 각도로 반사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반사부(133)와 제3 반사부(134)는 케이스(131)의 상면(또는 케이스(131)의 저면)에 대해서 서로 상이한 각도를 갖도록 케이스(131)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반사부(133)와 제3 반사부(134)는 케이스(131) 내부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반사부(133)와 제3 반사부(134)는 케이스(131)의 길이 방향(예를 들면, 도 1의 X방향)에 대해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반사부(133)는 제1 반사부(132)에서 반사된 복수개의 노즐부(111)의 영상 중 일부를 반사할 수 있으며, 제3 반사부(134)는 제1 반사부(132)에서 반사된 복수개의 노즐부(111)의 영상 중 다른 일부를 반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반사부(133)와 제3 반사부(134)는 제1 반사부(132)에서 반사된 복수개의 노즐부(111)의 영상을 서로 다른 두개의 경로로 안내할 수 있다. 특히 제2 반사부(133)와 제3 반사부(134)에 의해 제1 반사부(132)에서 반사된 복수개의 노즐부(111)의 영상은 두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제4 반사부(135)는 케이스(131) 내부에 배치되어 제2 반사부(133)에서 반사된 복수개의 노즐부(111)의 영상 중 일부를 촬상부(140)로 반사시킬 수 있다. 또한, 제5 반사부(136)는 케이스(131) 내부에 배치되어 제3 반사부(134)에서 반사된 복수개의 노즐부(111)의 영상 중 일부를 촬상부(140)로 반사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4 반사부(135) 및 제5 반사부(13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31)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케이스(131)의 중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4 반사부(135)와 제5 반사부(136)는 케이스(131)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4 반사부(135)와 제5 반사부(136)는 케이스(131)의 저면에 대해서 서로 상이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4 반사부(135)와 제5 반사부(136)는 각각 제2 반사부(133)와 제3 반사부(134) 각각에서 입사하는 복수개의 노즐부(111)의 영상을 촬상부(140)로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4 반사부(135)와 제5 반사부(136)는 제2 반사부(133)와 제3 반사부(134)에 의해 구분된 복수개의 노즐부(111)의 영상 각각을 촬상부(140)의 다른 영역으로 안내할 수 있다.
촬상부(140)는 제4 반사부(135)와 제5 반사부(136)에서 반사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촬상부(140)는 렌즈 어셈블리와 렌즈 어셈블리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 이미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4 반사부(135)에서 반사되어 상기 렌즈 어셈블리를 통하여 상기 이미지센서에 입사하는 영상과 제5 반사부(136)에서 반사되어 상기 렌즈 어셈블리를 통하여 상기 이미지센서에 입사하는 영상은 상기 이미지센서 상에 서로 다른 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4 반사부(135)에서 반사된 복수개의 노즐부(111) 중 일부의 영상은 상기 이미지센서의 제1 열에 배열될 수 있다. 제5 반사부(136)에서 반사된 복수개의 노즐부(111) 중 일부의 영상은 상기 이미지센서의 제2 열에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제1 열과 제2 열은 서로 상이한 위치일 수 있으며, 각 열은 일직선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부품 픽업 장치(100)는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로써 부품 픽업 장치(100)는 부품(P)을 기판에 실장시키는 부품 실장 장치(미도시)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부품 픽업 장치(100)는 부품(P)을 일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이송시키는 부품 이송 장치(미도시)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부품 픽업 장치(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부품픽업부(110)는 부품(P)을 픽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형구동부는 부품픽업부(110)를 선형 운동시킴으로써 부품(P)이 배치되는 영역으로 복수개의 노즐부(11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복수개의 노즐부(111)가 부품(P)의 상면에 배치되면, 각 노즐부(111)는 선형 운동함으로써 각 부품(P)을 흡착할 수 있다. 이때, 각 노즐부(111)에는 각 노즐부(111)를 선형 운동시키도록 각 노즐부(111)와 연결되어 각 노즐부(111)를 선형 운동시키는 별도의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각 노즐부(111)에 부품(P)이 흡착되면, 광원(121)은 외부로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이러한 빛은 확산판(122)을 통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퍼질 수 있다. 이때, 확산판(122)을 통과한 빛은 복수개의 노즐부(111)와 각 노즐부(111)에 흡착된 부품(P)에 도달하고, 복수개의 노즐부(111)와 각 노즐부(111)에 흡착된 부품(P)의 영상(또는 그림자)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영상은 투과창(131a)을 통하여 케이스(131)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이때, 확산판(122)에서 확산된 빛 중 일부는 영상과 함께 투과창(131a)을 통하여 케이스(131) 내부로 진입할 수 있으며, 확산판(122)에서 확산된 빛 중 다른 일부는 케이스(131)에 의하여 차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케이스(131)는 확산판(122)에서 확산된 빛 뿐만 아니라 외부의 광원, 자연광 등을 차단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영상이 뭉개지거나 흐릿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입사한 그림자는 제1 반사부(132)를 통하여 반사되어 굴절될 수 있다. 이때, 제1 반사부(132)는 복수개의 노즐부(111) 전체와 각 노즐부(111)에 흡착된 부품(P) 전체의 영상을 반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반사된 영상은 제2 반사부(133)와 제3 반사부(134)에 각각 서로 상이한 경로로 반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반사부(133)에서 반사된 복수개의 노즐부(111) 중 일부의 영상은 제2 반사부(133)를 통하여 제1 경로(L1)로 반사될 수 있다. 또한, 제3 반사부(134)에서 반사된 복수개의 노즐부(111) 중 다른 일부의 영상은 제3 반사부(134)를 통하여 제2 경로(L2)로 반사될 수 있다. 이때, 제2 반사부(133)와 제3 반사부(134)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경로(L1)와 제2 경로(L2)는 서로 중첩되지 않음으로써 제2 반사부(133)에서 반사된 복수개의 노즐부(111) 중 일부의 영상과 제3 반사부(134)에서 반사된 복수개의 노즐부(111) 중 다른 일부의 영상은 서로 간섭을 일으키거나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반사부(133)에서 반사된 복수개의 노즐부(111) 중 일부의 영상은 제1 경로(L1)를 따라 제4 반사부(135)에 입사될 수 있다. 이때, 제4 반사부(135)는 복수개의 노즐부(111) 중 일부의 영상을 제2 반사부(133)와 제3 반사부(134) 사이의 공간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3 반사부(134)에서 반사된 복수개의 노즐부(111) 중 다른 일부의 영상은 제2 경로(L2)를 따라 제5 반사부(136)에 입사될 수 있다. 이때, 제5 반사부(136)는 복수개의 노즐부(111) 중 다른 일부의 영상을 제2 반사부(133)와 제3 반사부(134) 사이의 공간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4 반사부(135)에서 반사된 복수개의 노즐부(111) 중 일부의 영상과 제5 반사부(136)에서 반사된 복수개의 노즐부(111) 중 다른 일부의 영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31)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촬상부(140)에 입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촬상부(140)에 복수개의 노즐부(111)의 전체 영상이 입사되는 경우 복수개의 노즐부(111) 중 일부의 영상과 복수개의 노즐부(111) 중 다른 일부의 영상은 촬상부(140)의 이미지센서의 서로 다른 열로 입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이미지센서는 복수개의 노즐부(111) 중 일부의 영상과 복수개의 노즐부(111) 중 다른 일부의 영상을 서로 구분하여 인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센서의 일측은 복수개의 노즐부(111) 중 일부의 영상을 감지하고, 상기 이미지센서의 타측은 복수개의 노즐부(111) 중 다른 일부의 영상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이미지센서에서 감지되어 상기 이미지센서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패널 등에 표시되는 형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으며, 상기 이미지센서와 연결된 별도의 제어부(미도시)에서 인지하는 형태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센서에서 감지된 영상을 근거로 각 노즐부(111)에 배치된 부품(P)의 위치 및 자세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부품(P)의 위치 및 자세와 영상에 표시된 각 노즐부(111)에 배치된 부품(P)의 위치 및 자세를 비교하여 각 노즐부(111)에 배치된 부품(P)의 위치 및 자세가 기 설정된 것과 동일한지 판별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상기 제어부는 각 노즐부(111)를 선형 운동시켜 부품(P)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각 노즐부(111)의 일부를 자전 운동시킴으로써 부품(P)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업이 진행된 후 다시 상기와 같이 발광부(120)에서 빛을 분사하여 복수개의 노즐부(111) 및 복수개의 노즐부(111)에 흡착된 각 부품(P)의 영상을 촬상부(140)로 다시 촬영하여 각 부품(P)의 위치 및 자세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영상분할부(130)는 복수개의 노즐부(111)의 영상을 적어도 2개 이상의 그룹으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으로 부품의 위치 및 자세를 확인하기 위하여는 각 노즐부를 별도로 개별적으로 촬영하거나 감지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또는 복수개의 노즐부를 동시에 하나의 촬상부를 통하여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노즐부는 일렬로 배열되도록 촬영될 수 있으며, 외부의 빛, 굴절 등으로 인하여 복수개의 노즐부 중 일부의 영상이 흐릿하게 촬영되거나 영상이 너무 작아 부품을 판별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부품 픽업 장치(100)는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노즐부(111) 및 각 노즐부(111)에 흡착된 부품(P)을 복수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촬상부(140)에서 촬영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각 부품(P)의 선명한 이미지를 촬영하거나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품 픽업 장치(100)는 한정된 형태의 상기 이미지센서에 복수개의 노즐부(111)를 상기 이미지센서의 전면에 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품 픽업 장치(100)는 복수개의 노즐부(111) 각각의 부품(P)의 위치 및 자세를 정확하게 인지함으로써 부품(P)의 위치 및 자세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부품 픽업 장치
110: 부품픽업부
111: 노즐부
120: 발광부
121: 광원
122: 확산판
130: 영상분할부
131: 케이스
132: 제1 반사부
133: 제2 반사부
134: 제3 반사부
135: 제4 반사부
136: 제5 반사부
140: 촬상부
110: 부품픽업부
111: 노즐부
120: 발광부
121: 광원
122: 확산판
130: 영상분할부
131: 케이스
132: 제1 반사부
133: 제2 반사부
134: 제3 반사부
135: 제4 반사부
136: 제5 반사부
140: 촬상부
Claims (6)
- 부품을 흡착하여 이동시키며, 일렬로 배열된 복수개의 노즐부를 구비하는 부품픽업부;
상기 부품픽업부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에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를 중심으로 상기 발광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빛에 의한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의 영상을 서로 다른 영역으로 분할시키는 영상분할부; 및
상기 영상분할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분할부는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 중 일부의 영상을 상기 촬상부의 제1 열로 안내하고,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 중 다른 일부의 영상을 상기 제1 열과 상이한 상기 촬상부의 제2 열로 안내하며,
상기 영상분할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빛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의 영상을 반사시키는 제1 반사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반사부에서 반사된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 중 일부의 영상을 반사시키는 제2 반사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반사부에서 반사된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 중 다른 일부의 영상을 반사시키는 제3 반사부;
상기 제2 반사부에서 반사된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 중 일부의 영상을 상기 촬상부의 상기 제1 열로 안내하는 제4 반사부; 및
상기 제3 반사부에서 반사된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 중 다른 일부의 영상을 상기 촬상부의 상기 제2 열로 안내하는 제5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반사부와 상기 제3 반사부는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 대해서 서로 상이한 각도를 형성하는 부품 픽업 장치.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반사부와 상기 제5 반사부는 상기 케이스의 저면으로부터 서로 상이한 높이에 각각 배치되는 부품 픽업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불투명한 부품 픽업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부품픽업부에 배치되는 광원;
상기 광원과 상기 영상분할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에서 분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을 포함하는 부품 픽업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3198A KR102127462B1 (ko) | 2018-05-09 | 2018-05-09 | 부품 픽업 장치 |
US16/399,112 US10893640B2 (en) | 2018-05-09 | 2019-04-30 | Component pickup apparatus |
CN201910382568.7A CN110470214B (zh) | 2018-05-09 | 2019-05-09 | 组件拾取设备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3198A KR102127462B1 (ko) | 2018-05-09 | 2018-05-09 | 부품 픽업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8892A KR20190128892A (ko) | 2019-11-19 |
KR102127462B1 true KR102127462B1 (ko) | 2020-06-26 |
Family
ID=68464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3198A KR102127462B1 (ko) | 2018-05-09 | 2018-05-09 | 부품 픽업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0893640B2 (ko) |
KR (1) | KR102127462B1 (ko) |
CN (1) | CN110470214B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074390A1 (en) | 2003-05-13 | 2007-04-05 | Hiroshi Ota |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
US20070179036A1 (en) | 2006-02-02 | 2007-08-02 | Cmd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A Bag Machine |
JP2010061392A (ja) * | 2008-09-03 | 2010-03-18 | Denso Corp | 撮像装置及び操作入力装置 |
JP2012212947A (ja) * | 2012-08-09 | 2012-11-01 | Fuji Mach Mfg Co Ltd | 装着部品装着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64559B1 (ko) * | 1998-09-17 | 2002-12-12 | 주식회사 뷰웰 | 반도체 리드 검사장치 |
JP4041768B2 (ja) * | 2002-09-12 | 2008-01-30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部品装着ヘッド |
KR100910771B1 (ko) | 2002-10-22 | 2009-08-04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부품 실장 장치 |
US7724298B2 (en) * | 2003-10-09 | 2010-05-25 | Sony Corporation |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pick up and display of an object including division of an optical image of the object into a spectrum |
US8319832B2 (en) | 2008-01-31 | 2012-11-27 | Denso Corporation | Input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
WO2013054469A1 (ja) * | 2011-10-13 | 2013-04-18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奥行き推定撮像装置および撮像素子 |
JP5746610B2 (ja) * | 2011-12-22 | 2015-07-08 |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 部品撮像装置および同装置を備えた部品実装装置 |
JP5963500B2 (ja) | 2012-03-29 | 2016-08-03 |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 電子部品装着装置 |
JP6081086B2 (ja) * | 2012-06-14 | 2017-02-15 | Tdk株式会社 | 光電素子用実装装置及び実装方法 |
DE112015006861B4 (de) * | 2015-08-31 | 2024-03-14 |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 Komponenten-Montagevorrichtung, Düsenabbildungsverfahren |
-
2018
- 2018-05-09 KR KR1020180053198A patent/KR10212746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4-30 US US16/399,112 patent/US10893640B2/en active Active
- 2019-05-09 CN CN201910382568.7A patent/CN110470214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074390A1 (en) | 2003-05-13 | 2007-04-05 | Hiroshi Ota |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
US20070179036A1 (en) | 2006-02-02 | 2007-08-02 | Cmd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A Bag Machine |
JP2010061392A (ja) * | 2008-09-03 | 2010-03-18 | Denso Corp | 撮像装置及び操作入力装置 |
JP2012212947A (ja) * | 2012-08-09 | 2012-11-01 | Fuji Mach Mfg Co Ltd | 装着部品装着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90350113A1 (en) | 2019-11-14 |
CN110470214B (zh) | 2023-04-07 |
US10893640B2 (en) | 2021-01-12 |
CN110470214A (zh) | 2019-11-19 |
KR20190128892A (ko) | 2019-1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402104B (zh) | 光照射装置、部件摄像装置和部件安装装置 | |
US5012115A (en) | Device for optically detecting hold position of electronic component with dual emitters | |
JP2007333563A (ja) | 光透過性シートの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 |
US6359694B1 (en) |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the position of an electrical component or terminals thereof, and equipping head employing same | |
KR102127462B1 (ko) | 부품 픽업 장치 | |
TW508984B (en) | An inspection device for components | |
WO2013094376A1 (ja) | 入力システム | |
KR102236269B1 (ko) | 부품 실장 장치 | |
KR101828537B1 (ko) | 부품 촬영 장치 | |
KR102581986B1 (ko) | 릴레이티브 액티브 얼라인 장치 | |
CN109117708A (zh) | 指纹辨识装置以及使用其的移动装置 | |
CN1609886A (zh) | 光学读取目标的装置 | |
JP2000347799A (ja) | 撮像装置 | |
KR101196404B1 (ko) | 터치패널시스템 | |
JP6001361B2 (ja) | 電子部品の搭載方法、部品搭載ヘッドおよび電子部品搭載装置 | |
US11886649B2 (en) | Optical navigation device | |
JP4712284B2 (ja) | 表面検査装置 | |
US4857752A (en) | Parts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 |
KR101380678B1 (ko) | 스캔 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지시물체 위치인식장치 | |
JP5609581B2 (ja) | 光学式位置検出装置および位置検出機能付き機器 | |
JP4117065B2 (ja) | 電子部品の認識装置 | |
KR20200106618A (ko) | 부품 인식 장치 | |
JP2016151988A (ja) | 入力システム | |
CN111795643A (zh) | 确定芯片方位的设备 | |
JP2019138696A (ja) | 外観検査方法及び外観検査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