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947B1 - 건축물 유리 내부 마감부재 - Google Patents

건축물 유리 내부 마감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947B1
KR102126947B1 KR1020190068177A KR20190068177A KR102126947B1 KR 102126947 B1 KR102126947 B1 KR 102126947B1 KR 1020190068177 A KR1020190068177 A KR 1020190068177A KR 20190068177 A KR20190068177 A KR 20190068177A KR 102126947 B1 KR102126947 B1 KR 102126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ishing
vertical
glass
building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혁
이종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물쉐이드
최승혁
서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물쉐이드, 최승혁, 서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물쉐이드
Priority to KR1020190068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9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유리에 근접되도록 내부에 설치되어 외관을 미려하게 마감하는 건축물 유리 내부 마감부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주벽을 이루도록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포스트에 결합되는 유리의 내부를 마감하는 마감부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직포스트를 수평으로 연결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수평바, 상기 수평바의 상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리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형성하는 수평 가이드레일, 상기 수평 가이드레일의 좌우 단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수직포스트의 좌우 단부에 설치되는 수직 가이드레일, 상기 수직 및 수평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도록 좌우에 형성된 결합레일 및 유리를 마주하는 일면에 부착되는 마감시트를 갖는 마감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부에 마감시트가 부착된 마감패널이 설치되어 지방자치단체마다 상이한 경관심의 등의 규제에 해당하지 않으면서 건축물의 외부에서 유리를 통해 비춰지는 시트의 패턴으로 인하여 건축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유리 내부 마감부재{FINISHING MEMBER FOR STRUCTURE}
본 발명은 건축물 유리 내부 마감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유리에 근접되도록 내부에 설치되어 외관을 미려하게 마감하는 건축물 유리 내부 마감부재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건축물은 지면 위에 지은 구조물로서, 지붕과 기둥 및 벽이 있는 건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벽은 내벽과 외벽으로 구분되며, 내력벽을 제외한 외주벽은 다양한 마감재로 마감된다.
이러한 건축물 마감재의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15701호(공개일자 2015년10월14일) ‘건물의 외벽 단열마감재’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11478호(공개일자 2015년02월02일) ‘건축물용 마감재’ 등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근래에는 미려하고 깔끔한 마감을 위해 유리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건축물의 미려함을 더하기 위해 유리의 외면에는 다양한 패턴이 표현된 시트가 부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유리의 외면에 시트를 부착하는 경우, 경관심의 등의 이유로 지방자치단체별로 규제하고 있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고 있어서, 유리의 외면에 시트를 부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15701호(공개일자 2015년10월14일) (000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11478호(공개일자 2015년02월02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방자치단체의 경관심의 규제에 해당하지 않으며 유리를 통해 비춰지는 시트의 패턴으로 인하여 건축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는 건축물 유리 내부 마감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건축물의 외주벽을 이루도록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포스트에 결합되는 유리의 내부를 마감하는 마감부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직포스트를 수평으로 연결하되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수평바, 상기 수평바의 상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리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형성하는 수평 가이드레일, 상기 수평 가이드레일의 좌우 단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수직포스트의 좌우 단부에 설치되는 수직 가이드레일, 상기 수직 및 수평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도록 좌우에 형성된 결합레일 및 유리를 마주하는 일면에 부착되는 마감시트를 갖는 마감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수평 가이드레일은, 상기 수평바의 상하 내측 단부에 고정되는 제1 고정판, 상기 제1 고정판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어 마감패널의 상하 단부를 지지하도록 안내하는 제1 안내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직 가이드레일은, 상기 수직포스트의 좌우 내측 단부에 고정되는 제2 고정판, 상기 제2 고정판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어 마감패널의 좌우 단부를 지지하도록 안내하는 제2 안내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감패널의 결합레일은, 상기 수직 가이드레일의 제2 고정판에 결합되도록 상기 마감패널의 좌우 단부에 절곡 형성된 결합판, 상기 결합판의 단부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2 안내판에 안내되는 유동방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마감패널의 일면에 특정 색상의 도료를 칠하여 도장(塗裝)하고 건조시킨 후에 마감시트를 부착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건축물의 외주벽을 이루도록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포스트에 결합되는 유리의 내부를 마감하는 마감부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직포스트를 수평으로 연결하되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수평바, 상기 수직포스트의 좌우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리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형성하는 수직 가이드레일, 상기 수직 가이드레일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밸런스바, 상기 상부 및 하부의 밸런스바를 연결하는 마감원단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축물의 내부에 마감시트가 부착된 마감패널이 설치되어 지방자치단체마다 상이한 경관심의 등의 규제에 해당하지 않으면서 건축물의 외부에서 유리를 통해 비춰지는 시트의 패턴으로 인하여 건축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 및 수직 가이드레일에 의해 마감패널이 안내되어 전후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마감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실외에서 나타낸 입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마감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실내에서 나타낸 입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절단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절단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C’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마감패널의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감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실내에서 나타낸 입면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건축물 유리 내부 마감부재는, 건축물(10)의 외주벽을 이루도록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유리(20)를 지지하는 복수의 수직포스트(100), 복수의 수직포스트(100)를 수평으로 연결하되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수평바(200), 수평바(200)의 상하 단부에 설치되어 유리(20)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G)을 형성하는 수평 가이드레일(300), 수평 가이드레일(300)의 좌우 단부에 연결되도록 수직포스트(100)의 좌우 단부에 설치되는 수직 가이드레일(400), 수직 및 수평 가이드레일(400)(300)에 결합되도록 좌우에 형성된 결합레일(510) 및 유리(20)를 마주하는 일면에 부착되는 마감시트를 갖는 마감패널(500)을 포함한다.
수직포스트(100)는 건축물(10)의 외벽과 지면을 연결하여 하중을 견디어 내는 골조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마감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실외(OS)에서 나타낸 입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마감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실내(IS)에서 나타낸 입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수직포스트(10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수직으로 형성되어 건축물(10)의 외주벽을 이루도록 소정 간격으로 벌려지게 설치된다.
수직포스트(100)의 좌우 외측 단부에는 유리(20)의 좌우 단부가 고정되고 실리콘(silicon) 따위로 코킹(caulking) 처리되어 내수성 및 내구성을 갖게 된다.
수직포스트(100)에는 좌우로 연이어져 통하도록 슬릿(110)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슬릿(110)은 수직포스트(1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벌어지는 복수로 이루어진다.
수평바(200)는 복수의 수직포스트(100)를 수평으로 연결하여 수직포스트(100)와 함께 본 발명의 골조를 이루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수평바(200)는 수평으로 긴 금속 재질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수평바(200)는 수직포스트(100)의 슬릿(110)에 결합되어 복수의 수직포스트(100)를 수평으로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수평바(200)는 수직포스트(1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슬릿(110)에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로 이루어진다.
수평 가이드레일(300)은 수평바(200)의 상하 내측 단부에 설치되어 마감패널(500)의 상하 단부 결합을 안내하는데, 이러한 수평 가이드레일(300)과 유리(20) 사이에는 소정 간격으로 벌어진 간극(G)이 형성된다.
도 3은 도 2의 A-A선 절단부만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수평 가이드레일(300)은, 수평바(200)의 상하 내측 단부에 고정되는 제1 고정판(310), 제1 고정판(310)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어 마감패널(500)의 상하 단부를 지지하도록 안내하는 제1 안내판(320)을 포함한다.
수평 가이드레일(30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제1 고정판(310)과 제1 안내판(320)이 일체를 이루도록 압출가공(extrusion)된다. 제1 고정판(310)은 수평바(200)의 상하 내측 단부에 볼트(도시생략)로 고정되며, 제1 안내판(320)은 제1 고정판(310)에 직각으로 연결되어 마감패널(500)의 상하 단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볼트가 보이지 않도록 차폐하므로 깔끔한 외관을 제공하는 기능을 겸하게 된다.
여기서, 제1 고정판(310)을 수평바(200)에 고정하는 볼트(도시생략)는 제1 고정판(310)의 외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접시머리볼트로 구현되어 마감패널(500)과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 가이드레일(400)은 수직포스트(100)의 내측 전면의 좌우 단부에 설치되어 마감패널(500)의 좌우 단부 결합을 안내하는데, 이러한 수직 가이드레일(400)과 유리(20) 사이에는 소정 간격으로 벌어진 간극(G)이 형성된다.
도 4는 도 2의 B-B선 절단부만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직 가이드레일(400)은, 수직포스트(100)의 내측 전면의 좌우 단부에 고정되는 제2 고정판(410), 제2 고정판(410)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어 마감패널(500)의 좌우 단부를 지지하도록 안내하는 제2 안내판(420)을 포함한다.
수직 가이드레일(40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제2 고정판(410)과 제2 안내판(420)이 일체를 이루도록 압출가공된다. 제2 고정판(410)은 수직포스트(100)의 좌우 내측 단부에 나사(440)로 고정되며, 제2 안내판(420)은 제2 고정판(410)에 직각으로 연결되어 마감패널(500)의 좌우 단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볼트가 보이지 않도록 차폐하므로 깔끔한 외관을 제공하는 기능을 겸하게 된다.
또한, 수직 가이드레일(400)은 제2 안내판(420)의 단부에 직각으로 연결되어 마감패널(5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감패널(500)은 수직 및 수평 가이드레일(300)에 결합되어 유리(20)의 내부에서 마감하게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마감패널(500)은 소정의 두께로 이루어진 알루미늄(aluminium) 재질의 판재로서, 가볍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쉽게 부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도 4의 ‘C’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마감패널(500)의 일면, 즉 유리(20)와 마주하는 면에는 다양한 패턴이 표현된 마감시트가 부착된다. 도 1에서는 어느 한 패턴만을 나타내었으나, 필요에 따라 마감시트에 다양한 패턴을 표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마감패널(500)의 일면에 특정 색상의 도료를 칠하여 도장(塗裝)하고 건조시킨 후에 마감시트를 부착할 수 있다. 이때, 마감시트는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이루어져, 패턴을 투과하거나 패턴이 절취 가공된 마감시트를 투과하여 도료의 색상을 현시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마감패널(500)의 좌우 단부에는 결합레일(510)이 형성되어 수직 가이드레일(400)에 결합된다. 결합레일(510)은, 수직 가이드레일(400)의 제2 고정판(410)에 결합되도록 마감패널(500)의 좌우 단부에 절곡 형성된 결합판(511), 결합판(511)의 단부에 절곡 형성되어 제2 안내판(420)에 안내되는 유동방지판(512)을 포함한다.
결합판(511)은 볼트(도시생략)에 의해 고정되고, 유동방지판(512)은 이탈방지판(430)에 의해 안내되어 전후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조립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직포스트(100)에 수평으로 슬릿(110)을 형성한다. 이러한 슬릿(110)은 수직포스트(1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벌어지는 복수로 형성한다.
이어서, 수직포스트(100)의 소정 간격을 이루는 복수의 슬릿(110)에 수평바(200)를 각각 결합하면, 복수의 수평바(200)가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다.
다음, 수평바(200)의 상하 내측 단부에 수평 가이드레일(300)을 고정하고, 수직포스트(100)의 내측 전면의 좌우 단부에 수직 가이드레일(400)을 고정한다.
그리고 마감패널(500)의 일면에 검정색 도료를 칠하여 도장하고 건조시킨 후 마감시트 부착한다.
마감시트가 부착된 마감패널(500)을 수평 및 수직 가이드레일(400)에 결합하여 고정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은, 건축물(10)의 내부에 마감시트가 부착된 마감패널(500)이 설치되어 지방자치단체마다 상이한 경관심의 등의 규제에 해당하지 않으면서 건축물(10)의 외부에서 유리(20)를 통해 비춰지는 시트의 패턴으로 인하여 건축물(10)의 외관을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감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실내(IS)에서 나타낸 입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건축물의 외주벽을 이루도록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유리(20)를 지지하는 복수의 수직포스트(100), 복수의 수직포스트(100)를 수평으로 연결하되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수평바(200), 수직포스트(100)의 좌우 단부에 설치되어 유리(20)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G)을 형성하는 수직 가이드레일(400), 수직 가이드레일(400)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밸런스바(600), 상기 상하부의 밸런스바(600)를 연결하는 마감원단(7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은 상술한 내용으로 갈음할 수 있으므로 생략하고, 실시예에 더 포함하거나 달라지는 구성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밸런스바(600)는 수직 가이드레일(4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마감원단(700)의 상하 균형을 유지하게 된다. 밸런스바(600)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좌우 단부는 수직 가이드레일(400)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되어 볼트(도시생략)로 고정된다.
마감원단(700)은 상부 밸런스바(600)와 하부 밸런스바(600)를 팽팽하게 연결하여 유리(20)를 투과하는 마감을 장식한다. 마감원단(700)에는 다양한 패턴이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마감원단(700)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하 밸런스바(600)의 대응되는 단부에는 수평으로 형성된 몰딩(610)이 결합되고, 몰딩(610)에 삽입된 마감원단(700)의 단부는 몰딩(610)에 끼움결합되는 몰딩캡에 의해 견고히 고정된다.
그리고 마감원단(70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아일릿(eyelet, 710)이 구비되어 수직포스트(100)에 연결된 직결 나사 또는 와이어 등 다양한 파스너로 고정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건축물 20 : 유리
100 : 수직포스트 110 : 슬릿
200 : 수평바 300 : 수평 가이드레일
310 : 제1 고정판 320 : 제1 안내판
400 : 수직 가이드레일 410 : 제2 고정판
420 : 제2 안내판 500 : 마감패널
510 : 마감시트 511 : 결합판
512 : 유동방지판 600 : 밸런스바
610 : 몰딩 700 : 마감원단
710 : 아일릿 G : 간극
IS : 실내 OS : 실외

Claims (6)

  1. 유리의 내부를 마감하는 마감부재에 있어서,
    외측 단부에 유리의 좌우 단부가 고정되고, 건축물의 외주벽을 이루도록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벌어지는 복수의 슬릿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수직포스트;
    상기 슬릿에 결합되어 복수의 수직포스트를 수평으로 연결하되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수평바;
    상기 수평바의 상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리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형성하는 수평 가이드레일;
    상기 수평 가이드레일의 좌우 단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수직포스트의 좌우 단부에 설치되는 수직 가이드레일;
    상기 수직 및 수평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도록 좌우에 형성된 결합레일 및 유리를 마주하는 일면에 부착되는 마감시트를 갖는 마감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가이드레일은,
    상기 수평바의 상하 내측 단부에 고정되는 제1 고정판, 상기 제1 고정판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어 마감패널의 상하 단부를 지지하도록 안내하는 제1 안내판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 가이드레일은,
    상기 수직포스트의 좌우 내측 단부에 고정되는 제2 고정판; 상기 제2 고정판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어 마감패널의 좌우 단부를 지지하도록 안내하는 제2 안내판; 제2 안내판의 단부에 직각으로 연결되어 상기 마감패널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마감패널의 결합레일은,
    상기 수직 가이드레일의 제2 고정판에 결합되도록 상기 마감패널의 좌우 단부에 절곡 형성된 결합판; 상기 결합판의 단부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2 안내판에 안내되는 유동방지판;을 포함하는 건축물 유리 내부 마감부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마감패널의 일면에 특정 색상의 도료를 칠하여 도장(塗裝)하고 건조시킨 후에 마감시트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유리 내부 마감부재.
  6. 유리의 내부를 마감하는 마감부재에 있어서,
    외측 단부에 유리의 좌우 단부가 고정되고, 건축물의 외주벽을 이루도록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벌어지는 복수의 슬릿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수직포스트;
    상기 슬릿에 결합되어 복수의 수직포스트를 수평으로 연결하되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수평바;
    상기 수직포스트의 좌우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리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형성하는 수직 가이드레일,
    상기 수직 가이드레일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밸런스바,
    상기 상부 및 하부의 밸런스바를 연결하는 마감원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 가이드레일은,
    상기 수직포스트의 좌우 내측 단부에 고정되는 제2 고정판; 상기 제2 고정판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어 마감패널의 좌우 단부를 지지하도록 안내하는 제2 안내판; 제2 안내판의 단부에 직각으로 연결되어 상기 마감원단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을 포함하는 건축물 유리 내부 마감구조.
KR1020190068177A 2019-06-10 2019-06-10 건축물 유리 내부 마감부재 KR102126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177A KR102126947B1 (ko) 2019-06-10 2019-06-10 건축물 유리 내부 마감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177A KR102126947B1 (ko) 2019-06-10 2019-06-10 건축물 유리 내부 마감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947B1 true KR102126947B1 (ko) 2020-06-25

Family

ID=71400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177A KR102126947B1 (ko) 2019-06-10 2019-06-10 건축물 유리 내부 마감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94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3322A (ja) * 2003-12-01 2005-06-23 Takenaka Komuten Co Ltd ガラスリブ構造およびガラススクリーン構造
JP2008115662A (ja) * 2006-11-08 2008-05-22 Watahan Koki Kk 建造物のカーテンウォール構造
KR101169028B1 (ko) * 2012-04-05 2012-07-26 주식회사선진알미늄 이중단열 커튼월
KR20150011478A (ko) 2013-07-23 2015-02-02 비에스신소재개발(주) 건축물용 마감재
KR101550156B1 (ko) * 2014-11-24 2015-09-03 주종복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50115701A (ko) 2015-09-22 2015-10-14 이봉재 건물의 외벽 단열마감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3322A (ja) * 2003-12-01 2005-06-23 Takenaka Komuten Co Ltd ガラスリブ構造およびガラススクリーン構造
JP2008115662A (ja) * 2006-11-08 2008-05-22 Watahan Koki Kk 建造物のカーテンウォール構造
KR101169028B1 (ko) * 2012-04-05 2012-07-26 주식회사선진알미늄 이중단열 커튼월
KR20150011478A (ko) 2013-07-23 2015-02-02 비에스신소재개발(주) 건축물용 마감재
KR101550156B1 (ko) * 2014-11-24 2015-09-03 주종복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50115701A (ko) 2015-09-22 2015-10-14 이봉재 건물의 외벽 단열마감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339B1 (ko) 단열 및 수밀성능이 증가된 pvc 복합 커튼월
US5617683A (en) Shutter panel
KR101682202B1 (ko) 건물 외장판넬구조체 및 상기 외장판넬구조체의 시공방법
WO2015051545A1 (zh) 一种建筑用幕墙
CN209369134U (zh) 一种铝单板幕墙拼接结构
KR102126947B1 (ko) 건축물 유리 내부 마감부재
CN203514588U (zh) 一种建筑用幕墙
KR200430542Y1 (ko) 강화 유리벽 지지용 샷시 조립체
US8511012B2 (en) Frame construction for a fenestration
US5537779A (en) Storm and security panels
KR20130003853U (ko) 스크린 타입 루버의 조립구조
KR200442991Y1 (ko) 고층용 여닫이 개폐식 창호
US20120031023A1 (en) Frame construction for a fenestration
CN208347640U (zh) 玻璃窗遮阳装置
US10072424B2 (en) Building-mounted awning with single location attachment
CN219992830U (zh) 分段组合幕墙装饰柱
US20060174547A1 (en) Residential sunshade sun control
KR102184880B1 (ko) 창틀프레임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안전난간의 결합구조
CN106988461A (zh) 一种高层建筑楼体安装幕墙玻璃的钢架
CN207974319U (zh) 窗帘箱
JP3223342B2 (ja) 採光フェンス
TR2022002128A2 (tr) Profi̇l uygulamasinda yeni̇li̇k
KR19990037805A (ko) 방충창에설치되는빗물유입방지장치
TWM600776U (zh) 具有窗組件之採光棚
PL204313B1 (pl) Zabezpieczenie drzw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