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542Y1 - 강화 유리벽 지지용 샷시 조립체 - Google Patents

강화 유리벽 지지용 샷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542Y1
KR200430542Y1 KR2020060022718U KR20060022718U KR200430542Y1 KR 200430542 Y1 KR200430542 Y1 KR 200430542Y1 KR 2020060022718 U KR2020060022718 U KR 2020060022718U KR 20060022718 U KR20060022718 U KR 20060022718U KR 200430542 Y1 KR200430542 Y1 KR 2004305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sh
chassis
external
glass
glass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27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수용
Original Assignee
문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수용 filed Critical 문수용
Priority to KR20200600227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5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5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542Y1/ko
Priority to PCT/KR2007/004027 priority patent/WO2008023937A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E06B1/38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for shop, show, or like larg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0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06B3/301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consisting of prefabricated profiled members or glass
    • E06B3/305Covering metal frames with plastic or metal profile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건물의 투광 및 투시용 강화 유리벽을 시공하기 위한 샷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감부재에 삽입되는 내부샷시의 단부에 글라스 패널 고정 안치부를 형성하고 외부샷시는 그 내부샷시와 고정되게 하되, 외부샷시는 글라스 패널과 관계없이 단순히 글라스 패널 간의 틈새를 마감하는 역할에만 한정되도록 구성함으로서,
고중량체인 글라스 패널이 건축물의 옹벽이나 바닥 또는 천정에 고정 설치되는 내부샷시에 직접 장착되게 하여 내,외부의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그 샷시 고정부가 인위적으로 해제되거나 분리되지 아니하므로 매우 견고한 설치 및 안정적인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이며,
외부샷시는 서로 인접하는 글라스 패널의 단부 틈새를 마감하는 역할과 동시에 다양한 표면 무늬 및 색상을 갖는 것으로 교체 시공할 수 있어 더욱 뛰어난 시각적 효과 및 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강화 유리벽 지지용 샷시 조립체에 대한 것이다.
강화 유리벽, 마감부재, 내부샷시, 외부샷시

Description

강화 유리벽 지지용 샷시 조립체 {Sash assembly for supporting tempered glass wall}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샷시 조립체를 이용한 강화유리벽의 시공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샷시 조립체의 확대 분리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샷시조립체의 결합과정도로서,
도 3a는 마감 부재와 내부 샷시의 결합과정도
도 3b는 내부 샷시에 강화 유리를 거치시킨 상태도
도 3c는 마감 샷시를 내부 샷시에 끼워 시공 완성된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샷시 조립체를 이용한 강화 유리벽의 시공상태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글라스패널
10 : 마감부재 11,11' : 걸림돌조
20 : 내부샷시 21,21' : 걸림홈조
22,22' : 지지편 23,23' : 계지돌조
30 : 외부샷시 31,31' : 삽입편
32,32' : 계지홈조 33,33' : 마감밴딩부
본 고안은 각종 건물의 투광 및 투시용 강화 유리벽을 시공하기 위한 샷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옹벽이나 바닥 또는 천정 등에 설치되는 내부샷시에 고중량체인 글라스패널이 직접 접착 고정 설치되게 하고, 별도의 외부샷시는 상기 글라스패널의 단부 마감 효과 및 교체를 통한 다양한 디자인의 연출을 가능케 함으로서,
고중량체인 글라스패널의 지지 및 고정력을 크게 향상시켜 내부로부터의 충격이나 하중에 의해서도 분리 및 이탈되지 않게 하며, 외부샷시의 용이한 교체를 통해 보다 미려하고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강화 유리벽 지지용 샷시 조립체에 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각종 건축물의 전면부를 글라스패널에 의한 강화 유리벽으로 시공하는 예가 빈번하고, 이러한 강화 유리벽은 투광성이 뛰어나 실내 공간의 조도를 향상시켜 불필요한 조명등의 사용을 제한하여 경제적인 이득을 취하게 하면서도, 답답한 실내공간으로부터 탈피하여 실외를 조망할 수 있게 함으로서 이용자로 하여금 보다 깨끗하고 시원한 느낌을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강화 유리벽을 대중음식점이나 커피숍 등에 적용하는 경우 실외에서도 실내의 분위기나 인테리어 등을 관측하거나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용자로 하여 금 보다 용이한 선택을 가능케 하면서도, 깨끗하고 청결한 이미지를 갖게 함으로서 보다 높은 신뢰감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강화 유리벽에 사용되는 글라스패널은 일반 판유리가 아니라, 고강도의 내구성은 물론 내부식성, 내산성, 내화학성, 방음 및 방수, 단열성 등의 물리적 특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벽체와 비교하여도 구조적 특성에 전혀 손색이 없는 것이다.
이러한 글라스패널을 이용하여 강화 유리벽을 시공함에 있어, 상기와 같은 글라스패널의 경우 생산할 수 있는 크기에 한계가 뒤따르므로 일정한 폭을 갖는 글라스패널을 연속하여 부착 고정하여 시공하는 방법을 택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글라스패널 지지구로는 압출 성형 된 알루미늄 샷시를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알루미늄 샷시가 실내로 노출됨에 따라 실내 미관을 해치는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실내로 노출되는 샷시의 측주면에 다양한 무늬 및 질감, 색상의 표현이 가능한 합성수지의 마감부재를 부착 형성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샷시 조립체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로 압출 성형된 샷시의 측면에 합성수지의 마감부재를 부착 형성하는 것이므로, 샷시와 마감부재의 사이에 접착액을 도포한 후 그 마감부재를 샷시에 부착하는 공정을 거쳐야 하는 것으로서 그 작업 공정이 매우 번거롭고 지연되는 것이며, 화학약품을 사용하여야 하는 접착제의 특성상 그 접착제에 의해 실내공기를 오염시키는 등 인체에 유 해한 성분이 휘산되면서 새집 증후군과 같은 질병을 유발케 하는 것이며,
실내를 향하는 샷시의 측면과 전면에 부착되는 마감부재의 틈새는 또다른 조각의 틈새마감구에 의해 틈새를 메우는 작업을 실시하게 되므로 그 시공작업이 매우 번거로우면서도 많은 부품의 소요에 따른 부품관리의 번거로움을 함께 수반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 출원인에 의해 특허등록출원 제2005-77177호와 같이, 샷시를 내부샷시와 외부샷시로 분할 형성하되, 내부샷시는 일체화된 마감부재의 측면으로부터 일시에 삽입되게 하고, 상기 외부샷시에 의해서는 상기 내부샷시 및 마감부재를 동시에 고정되게 함은 물론 글라스패널의 틈새가 다양한 형태로 노출되게 함으로서,
샷시 조립체의 용이한 조립성과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하면서도, 샷시 조립체의 외부샷시 만을 도장 및 열처리하면 되는 것이므로 그 제작원가가 크게 절감되어 매우 경제적인 것이며,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으로 샷시의 노출부분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더욱 뛰어난 외장적 특징을 갖게 한 강화유리 지지용 조립식 샷시 조립체를 안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샷시 조립체는 매우 무거운 중량을 갖는 글라스패널의 고정부가 외부샷시에 제한되므로, 내부샷시와 외부샷시의 고정력이 약화되거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그 글라스패널과 외부샷시가 내부샷시로부터 이탈되어 심각한 위험 상황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즉, 샷시 조립체에 의한 유리벽에 있어서 그 내부샷시는 마감부재 내측에 삽입 고정되어 있고 상기 내부샷시 및 마감부재는 건축물의 옹벽이나 바닥 또는 천정에 직접 고정 설치되므로 비교적 견고한 설치 고정력을 갖는 반면, 상기한 외부샷시는 단순히 그 내부샷시와 걸림턱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내부샷시와 외부샷시를 결합 고정한 후, 그 외부샷시의 표면에 글라스 패널의 단부를 실란트 처리하여 고정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고중량체인 글라스패널의 중량은 전부 그 내부샷시와 외부샷시의 체결 고정부에 집중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내부샷시와 외부샷시의 고정부가 취약하거나 약해지는 경우에는 상기 내부샷시로부터 외부샷시가 분리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분리되는 순간 그 외부샷시에 고정되어 있는 글라스패널이 함께 분리되어 대형 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특히, 실내에서 강한 충격이나 하중을 글라스 패널에 가하는 경우 순간적인 충격으로부터 그 내부샷시와 외부샷시의 고정부가 해제되면서 그 글라스 패널와 외부샷시가 외측으로 전복되므로, 고중량체인 글라스 패널의 고정부가 취약함에 따른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글라스 패널이 내부샷시에 고정될 수 있도록 그 내부샷시의 단부에 글라스 패널 고정 안치부를 각각 형성하고, 외부샷시는 그 내부샷시와 고정되게 하되 외부샷시는 글라스 패널과 관계없이 단순히 글라스 패널 간의 틈새를 마감하는 역할에만 한정되도록 구성함으로서,
고중량체인 글라스 패널이 건축물의 옹벽이나 바닥 또는 천정에 고정 설치되는 내부샷시에 직접 장착되게 하여 외부의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그 샷시 고정부가 인위적으로 해제되거나 분리되지 아니하므로 매우 견고한 설치 및 안정적인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이며,
외부샷시는 서로 인접하는 글라스 패널의 단부 틈새를 마감하는 역할과 동시에 다양한 표면 무늬 및 색상을 갖는 것으로 교체 시공할 수 있어 더욱 뛰어난 시각적 효과 및 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강화 유리벽 지지용 샷시 조립체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샷시 조립체를 이용한 강화유리벽의 시공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샷시 조립체의 확대 분리사시도이다.
일측이 개방된 마감부재(10)의 내측으로 삽입 고정되는 내부샷시(20)와; 그 내부샷시(20)의 수직 단부에 체결되는 외부샷시(30)로 각각 구분 형성하여,
일정간격을 갖고 수직 설치되는 상기 내부샷시(20)와 외부샷시(30)에 의해 평판상의 글라스패널(1)(1')이 연속으로 설치되게 한 강화 유리벽 지지용 샷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10)는, 개방측 내부에 걸림돌조(11)(11')를 대향 형성하고,
상기 내부샷시(20)는, 상기 걸림돌조(11)(11')와 대응되는 걸림홈조(21)(21')가 양측면에 형성된 관체로 구성되어, 그 일측면에는 일정 간격을 갖고 돌출 형성되는 지지편(22)(22')이 형성되고, 그 지지편(22)(22')의 대향 내측에는 경사 돌출된 계지돌조(23)(23')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외부샷시(30)는, 상기 지지편(22)(2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편(31)(31')이 이격 형성되고, 그 삽입편(31)(31')의 외측면에는 상기 계지돌조(23)(23')와 대응 위치의 계지홈조(32)(32')가 형성되며, 그 외부샷시(30)의 양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마감밴딩부(33)(33')가 형성되어,
마감부재(10)에 삽입된 내부샷시(20)의 일측면과 지지편(22)(22')의 외측면에 상기 글라스패널(1)(1')의 측단부가 접착 고정되게 하고, 상기 지지편(22)(22')의 계지돌조(23)(23')에 외부샷시(30)의 계지홈조(32)(32')를 서로 결합시켜, 글라스패널(1)(1')의 단부가 외부샷시(30)에 의해 마감되게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 강화 유리벽 지지용 샷시 조립체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샷시 조립체는 실내측을 향하는 마감부재(10)에 끼워지는 내부샷시(20)와, 상기 내부샷시(20)와 체결되면서 건축물의 실외에 위치하는 외부샷시(30)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내부샷시(20)에 의해 글라스패널(1)(1')의 양측단이 각각 고정되는 것이다.
즉, 상기한 마감부재(10)의 표면에는 다양한 색채 및 무늬를 형성할 수 있어 실내 인테리어와의 조화를 이룰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일측이 개방된 형태를 갖고 있으며, 그 개방측 내부 양측면에는 경사상의 걸림돌조(11)(11')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한 마감부재(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내부샷시(20)는, 압출 성형된 각관상의 파이프체로 된 것으로서, 양측면에는 상기 마감부재(10)의 걸림돌조(11)(11')와 대응상의 걸림홈조(21)(21')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서로 이격 돌출된 지지편(22)(22')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지지편(22)(22')의 대향 내측에는 경사상의 계지돌조(23)(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내부샷시(20)의 계지돌조(23)(23')를 이용하여 별도의 외부샷시(30)가 그 내부샷시(20)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외부샷시(30)에는 일측으로 상기 내부샷시(20)의 지지편(22)(22') 내측으로 끼워지는 삽입편(31)(31')이 이격 돌출되어 있고, 그 삽입편(31)(31')의 외측면에는 상기 내부샷시(20)의 지지편(22)(22')에 형성된 계지돌조(23)(23')와 대응 결합되는 계지홈조(32)(3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외부샷시(30)의 양단은 상기 내부샷시(20)를 향하여 절곡 형성된 마감밴딩부(33)(33')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마감밴딩부(33)(33')는 외부샷시(30) 단부에 유해한 모서리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면 한편, 일정 두께의 마감밴딩부(33)(33')에 의해 보다 미려한 외장적 디자인의 연출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각각의 구성품을 이용하여 강화 유리벽을 시공하게 되는데,
도 3a의 도시와 같이 마감부재(10)의 내측에 내부샷시(20)를 끼워 넣으면 그 마감부재(10)의 걸림돌조(11)(11')와 내부샷시(20)의 걸림홈조(21)(21')가 서로 계지 결합되면서 이들의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와 같은 조립 상태에서 도 3b의 도시와 같이 상기 내부샷시(20)에 글라스패널(1)(1')의 양단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이들 단부를 내부샷시(20)의 측면에 밀착하여 실란트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의 고정부위는 상기 내부샷시(20)의 측면과 그 지지편(22)의 외측면에서 동시에 접착 고정이 가능하므로 상기한 글라스패널(1)(1')은 종래의 고정 방법과 비교하여 보다 넓은 면적의 접착 고정부가 형성되므로 더욱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한 글라스패널(1)(1')은 건축물의 옹벽이나 바닥 및 천정 등에 고정되는 내부샷시(20)에 직접 접착 고정되는 구조를 갖게 되므로 상기한 글라스패널(1)(1')에 직접적인 충격이나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상기한 글라스패널(1)(1')과 내부샷시(20)가 서로 이탈하거나 분리되지 않는 특성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글라스패널(1)(1')의 설치가 이루어지면 도 3c의 도시와 같이 별도의 외부샷시(30)를 상기 내부샷시(20)에 체결하면 되는 것인데, 상기 외부샷시(30)의 삽입편(31)(31')을 내부샷시(20)의 지지편(22)(22') 사이로 밀어 넣으면, 그 외부샷시(30)의 삽입편(31)(31')이 내측으로 탄력적인 변형을 하며 그 지지편(22)(22')의 계지돌조(23)(23')와 삽입편(31)(31')의 계지홈조(32)(32')가 정확하게 계지되면서 서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는 그 외부샷시(30)에 의해 글라스패널(1)(1')의 접착 단부를 완벽하게 은폐시키면서도 양단의 마감밴딩부(33)(33')를 통해 보다 미려하면서도 고급스러운 형태의 마감 단부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외부샷시(30)는 글라스패널(1)(1')과 직접 접착 또는 체결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손상되거나, 그 표면 색감이나 디자인이 식상할 경우에는 상기 외부샷시(30)를 내부샷시(20)로부터 분리 제거한 후, 새로운 외부샷시(30)로 교체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뛰어난 장식성 및 활용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된 강화 유리벽은 도 4의 도시와 같이 그 글라스패널(1)(1')이 마감부재(10)와 강인한 체결력을 유지하는 내부샷시(20)에 고정되어 있는 형태를 갖게 되므로, 실내에서의 강한 충격이나 하중이 발생하더라도 그 내부샷시(20)로부터 분리되거나 이탈될 우려가 전혀 없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강화 유리벽 지지용 샷시 조립체는, 고중량체인 글라스 패널이 건축물의 옹벽이나 바닥 또는 천정에 고정 설치되는 내부샷시에 직접 장착되게 하여 외부의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그 샷시 고정부가 인위적으로 해제되거나 분리되지 아니하므로 매우 견고한 설치 및 안정적인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이며,
외부샷시는 서로 인접하는 글라스 패널의 단부 틈새를 마감하는 역할과 동시에 다양한 표면 무늬 및 색상을 갖는 것으로 교체 시공할 수 있어 더욱 뛰어난 시각적 효과 및 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일측이 개방된 마감부재(10)의 내측으로 삽입 고정되는 내부샷시(20)와; 그 내부샷시(20)의 수직 단부에 체결되는 외부샷시(30)로 각각 구분 형성하여,
    일정간격을 갖고 수직 설치되는 상기 내부샷시(20)와 외부샷시(30)에 의해 평판상의 글라스패널(1)(1')이 연속으로 설치되게 한 강화 유리벽 지지용 샷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10)는, 개방측 내부에 걸림돌조(11)(11')를 대향 형성하고,
    상기 내부샷시(20)는, 상기 걸림돌조(11)(11')와 대응되는 걸림홈조(21)(21')가 양측면에 형성된 압출체로 구성되어, 그 일측면에는 일정 간격을 갖고 돌출 형성되는 지지편(22)(22')이 형성되고, 그 지지편(22)(22')의 대향 내측에는 경사 돌출된 계지돌조(23)(23')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외부샷시(30)는, 상기 지지편(22)(2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편(31)(31')이 이격 형성되고, 그 삽입편(31)(31')의 외측면에는 상기 계지돌조(23)(23')와 대응 위치의 계지홈조(32)(32')가 형성되며, 그 외부샷시(30)의 양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마감밴딩부(33)(33')가 형성되어,
    마감부재(10)에 삽입된 내부샷시(20)의 일측면과 지지편(22)(22')의 외측면에 상기 글라스패널(1)(1')의 측단부가 접착 고정되게 하고, 상기 지지편(22)(22') 의 계지돌조(23)(23')에 외부샷시(30)의 계지홈조(32)(32')를 서로 결합시켜, 글라스패널(1)(1')의 단부가 외부샷시(30)에 의해 마감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유리벽 지지용 샷시 조립체.
KR2020060022718U 2006-08-24 2006-08-24 강화 유리벽 지지용 샷시 조립체 KR2004305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718U KR200430542Y1 (ko) 2006-08-24 2006-08-24 강화 유리벽 지지용 샷시 조립체
PCT/KR2007/004027 WO2008023937A2 (en) 2006-08-24 2007-08-23 Sash assembly for supporting tempered glass w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718U KR200430542Y1 (ko) 2006-08-24 2006-08-24 강화 유리벽 지지용 샷시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542Y1 true KR200430542Y1 (ko) 2006-11-13

Family

ID=39107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718U KR200430542Y1 (ko) 2006-08-24 2006-08-24 강화 유리벽 지지용 샷시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30542Y1 (ko)
WO (1) WO2008023937A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171B1 (ko) * 2007-04-06 2008-05-20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바노출형 건물용 커튼월에 있어서 그라스패널 설치 바
KR200445778Y1 (ko) * 2009-02-21 2009-09-01 조인종 마감부재의 결합성이 향상된 샷시조립체
KR100916698B1 (ko) * 2009-02-26 2009-09-11 이흥주 연질 개스킷이 일체화된 마감부재를 갖는 샷시조립체
KR101127503B1 (ko) 2009-07-22 2012-03-26 (주) 에이에이치씨 시스템창 커튼 월 창틀의 조립구조
KR101454762B1 (ko) * 2014-06-12 2014-11-04 (주)리알금속 단열 창호프레임
KR20200059887A (ko) * 2018-11-22 2020-05-29 (주)거광기업 리트로핏 기술을 활용한 커튼월 성능강화구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902Y1 (ko) * 1990-02-19 1992-12-24 정옥교 조립용 알루미늄 골재
US5263292A (en) * 1991-01-07 1993-11-23 American Wall Products Building panel system
KR940024911U (ko) * 1993-04-24 1994-11-17 문병천 조립식 칸막이 연결구조
JP2911741B2 (ja) * 1993-11-30 1999-06-23 理研軽金属工業株式会社 建築用目地装置
KR100623041B1 (ko) * 2004-11-01 2006-09-19 문수용 강화유리벽의 글라스패널 지지용 샷시조립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171B1 (ko) * 2007-04-06 2008-05-20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바노출형 건물용 커튼월에 있어서 그라스패널 설치 바
KR200445778Y1 (ko) * 2009-02-21 2009-09-01 조인종 마감부재의 결합성이 향상된 샷시조립체
KR100916698B1 (ko) * 2009-02-26 2009-09-11 이흥주 연질 개스킷이 일체화된 마감부재를 갖는 샷시조립체
KR101127503B1 (ko) 2009-07-22 2012-03-26 (주) 에이에이치씨 시스템창 커튼 월 창틀의 조립구조
KR101454762B1 (ko) * 2014-06-12 2014-11-04 (주)리알금속 단열 창호프레임
KR20200059887A (ko) * 2018-11-22 2020-05-29 (주)거광기업 리트로핏 기술을 활용한 커튼월 성능강화구조
KR102185664B1 (ko) * 2018-11-22 2020-12-02 (주)거광기업 리트로핏 기술을 활용한 커튼월 성능강화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23937A3 (en) 2008-05-22
WO2008023937A2 (en) 200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0542Y1 (ko) 강화 유리벽 지지용 샷시 조립체
KR101789292B1 (ko) 창호의 복합 단열 창틀
WO2015051545A1 (zh) 一种建筑用幕墙
JP2008223288A (ja) リフォームサッシ
KR20210081503A (ko) 멀티형 커튼 월
KR20120111204A (ko) 건축물 벽체의 조립식 외장구조
WO2015149372A1 (zh) 一种组合式墙体及其施工方法
KR100758378B1 (ko) 고층용 창호
KR101784360B1 (ko) 창호의 가변형 복합 창짝
KR20120008470U (ko) 현관용 목재 도어
KR200445778Y1 (ko) 마감부재의 결합성이 향상된 샷시조립체
JP2008255761A (ja) リフォームサッシ及びその施工方法
US20120031023A1 (en) Frame construction for a fenestration
KR200399801Y1 (ko) 벽면 부착용 조립식 완충패널
JPS6128870Y2 (ko)
US20080163985A1 (en) Wall-mounted light-transmissive structure
KR100622544B1 (ko) 강화유리 지지용 조립식 샷시조립체
KR102184880B1 (ko) 창틀프레임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안전난간의 결합구조
KR101182594B1 (ko) 블라인드 내장형 복합창호
KR101127636B1 (ko) 건물 창호용 창틀의 프레임 조인트 마감장치
KR102142072B1 (ko) 전체 탈부착이 가능하고 흡음성능이 향상된 버드세이프 흡음 투명 방음판 및 그 설치 공법
KR102148097B1 (ko) 수직 결합 구조를 갖는 창틀을 포함하는 방충창
KR102126947B1 (ko) 건축물 유리 내부 마감부재
KR200411058Y1 (ko) 섀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틀의 구조
TWM557297U (zh) 窗之修飾框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