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828B1 - 무선 인터컴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인터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828B1
KR102126828B1 KR1020190047340A KR20190047340A KR102126828B1 KR 102126828 B1 KR102126828 B1 KR 102126828B1 KR 1020190047340 A KR1020190047340 A KR 1020190047340A KR 20190047340 A KR20190047340 A KR 20190047340A KR 102126828 B1 KR102126828 B1 KR 102126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ll signal
operation server
simultaneous call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준
Original Assignee
권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준 filed Critical 권준
Priority to KR1020190047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8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04M1/72505Radio link set-up procedures
    • H04M1/72513On hold, intercom or transfer communication mode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복수개의 제1단말기 및 복수개의 제2단말기;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1단말기 및 제2단말기의 등록 및 관리를 수행하는 운영 서버; 및 실내 업장에 위치하며 상기 운영 서버에 등록된 단말기 및 상기 운영 서버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중계기를 통하여 상기 운영 서버에 등록된 제2단말기에 동시 호 신호를 발신하고, 상기 제2단말기는 상기 제1단말기의 호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동시 호 신호를 발신한 제1단말기와 일대일 무선 음성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동시 호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단말기와 상기 제2단말기간의 일대일 무선 음성 통신망이 형성되면 상기 동시 호 신호의 발신이 중단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 인터컴 시스템{Wireless intercom system}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무선 인터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실내 서비스 업장에 적용 가능한 무선 인터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 실내 업장에서는 고객이 사용하는 각 처소에 설치된 인터폰 자기와 통상 카운터에 설치된 인터폰 모기를 이용하여 고객의 최초 요구 사항을 접수하고 응대해 왔다. 실내가 대형화될 수록 한 명의 직원이 담당해야 하는 범위가 넓어지는데 모든 직원이 각자 다른 영역에서 응대하고 있을 경우 업무 카운터는 인터폰 호출에 응대할 수 없는 상황이 되고 이는 고객 만족을 저감시키고 직원들의 업무 강도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해 왔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 분야에 있어서는 인터컴을 무선화하여 활동성 제약을 제거함과 동시에 응대 시간 단축 및 그에 따른 업무 강도를 낮추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실내 서비스 업장에서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음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무선 인터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복수개의 제1단말기 및 복수개의 제2단말기;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1단말기 및 제2단말기의 등록 및 관리를 수행하는 운영 서버; 및 실내 업장에 위치하며 상기 운영 서버에 등록된 단말기 및 상기 운영 서버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중계기를 통하여 상기 운영 서버에 등록된 제2단말기에 동시 호 신호를 발신하고, 상기 제2단말기는 상기 제1단말기의 호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동시 호 신호를 발신한 제1단말기와 일대일 무선 음성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동시 호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단말기와 상기 제2단말기간의 일대일 무선 음성 통신망이 형성되면 상기 동시 호 신호의 발신이 중단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제2단말기는 상기 운영 서버에 등록된 제1단말기 중 하나를 특정하여 호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동시 호 신호 발신시 식별 신호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중계기는 상기 실내 업장에 위치한 단말기간의 무선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제1단말기 및 상기 제2단말기의 등록, 변경 및 삭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중계기는 상기 제1단말기를 중심으로 소정 반경안에 위치한 제2단말기에만 상기 동시 호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상기 제1단말기는 서비스 종류에 따른 복수개의 동시 호 신호 발신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단순 호출 서비스에 따른 동시 호 신호 발신 서비스는 상기 제1단말기와의거리에 따라 제2단말기에 순차적으로 발신될 수 있다.
특정 서비스 요청에 따른 동시 호 신호 발신 서비스는 해당 서비스 처리가 가능한 장소에서의 거리에 따라 제2단말기에 순차적으로 발신될 수 있다.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실내 업장의 특정 장소별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단말기는 상기 실내 업장의 서비스 종사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제1단말기 및 상기 제2단말기간의 무선 음성 통신 수행 이력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무선 인터컴 시스템은 구분된 공간을 제공하는 실내 업장에서 고객과 직원간의 신속하고 직관적인 무선 음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넓은 실내 업장에서 서비스 응대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직원의 동선을 최소화하고, 서비스 제공 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터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터컴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는 무선 인터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터컴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터컴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터컴 시스템(1)은 제1단말기(10), 제2단말기(20), 중계기(30) 및 운영 서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및 무선 음성 통신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의미하는 것으로 동일한 의미로 혼용될 수 있다.
제1단말기(10) 및 제2단말기(20)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복수개의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단말기(10) 및 제2단말기(20)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웨어리블(wearable) 기기 등을 포함한다.
제1단말기(10)는 실내 업장의 특정 장소별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제1단말기(10)는 실내 업장의 구분된 장소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2단말기(20)는 실내 업장의 서비스 종사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
제1단말기(10)는 제1촬영부(11), 제1통신부(12), 제1표시부(13), 제1유저 인터페이스부(14) 및 제1알림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촬영부(11)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모듈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모듈 등을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입력되는 영상 프레임은 렌즈를 통해 촬영부내의 CMOS 모듈 또는 CCD 모듈로 제공되고, CMOS 모듈 또는 CCD 모듈은 렌즈를 통과한 피사체의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1통신부(12)는 중계기를 통하여 운영 서버(40) 및 제2단말기(20)와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통신부(12)는 블루투스,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 인접 자장 통신(NFC) 등의 근거리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통신부(12)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의 원거리 통신 기술을 수행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통신부(12)는 근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제2단말기(2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원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운영 서버(4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운영 서버(40)가 실내 업장 내부에 구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제2단말기(20) 및 운영 서버(4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표시부(13)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표시부(13)는 제1촬영부(11)에서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하거나,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제1유저 인터페이스부(14)는 제1단말기(1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수 있다. 제1유저 인터페이스부(14)는 키 패드, 돔 스위치, 터치 패드,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표시부(13)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제1표시부(13)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제1유저 인터페이스부(14)는 제1단말기(10)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1알림부(15)는 스피커 및 진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알림부(15)는 제2단말기(20) 또는 운영 서버(40)로부터 호 신호를 수신한 경우 음성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단말기(10)는 중계기(30)를 통하여 운영 서버(40)에 등록된 제2단말기(20)에 동시 호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제1단말기(10)는 제1표시부(13) 및 제1유저 인터페이스부(14)를 통하여 동시 호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능을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고객이 제1단말기(10)를 통하여 동시 호 신호 발생 기능을 입력하면 운영 서버(40)에 등록된 제2단말기(20)에 동시 호 신호가 발신될 수 있다. 이 때, 제1단말기(10)는 동시 호 신호 발신시 식별 신호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제1단말기(10)는 설치된 장소에 따른 식별 신호를 동시 호 신호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단말기(10)는 서비스 종류에 따른 복수개의 동시 호 신호 발신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제1단말기(10)는 제1표시부(13) 및 제1유저 인터페이스부(14)를 통하여 서비스 종류에 따른 동시 호 신호 발신 서비스를 구분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1단말기(10)는 고객이 입력한 서비스 종류에 따라 운영 서버(40)에 대응되는 동시 호 신호 발신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제2단말기(20)는 제2촬영부(21), 제2통신부(22), 제2표시부(23), 제2유저 인터페이스부(24) 및 제2알림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촬영부(21)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모듈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모듈 등을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입력되는 영상 프레임은 렌즈를 통해 촬영부내의 CMOS 모듈 또는 CCD 모듈로 제공되고, CMOS 모듈 또는 CCD 모듈은 렌즈를 통과한 피사체의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2통신부(22)는 중계기(30)를 통하여 운영 서버(40) 및 제1단말기(10)와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통신부(22)는 블루투스,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 인접 자장 통신(NFC) 등의 근거리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통신부(22)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의 원거리 통신 기술을 수행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통신부(22)는 근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제1단말기(1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원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운영 서버(4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운영 서버(40)가 실내 업장 내부에 구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제1단말기(10) 및 운영 서버(4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표시부(23)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표시부(23)는 제2촬영부(21)에서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하거나,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제2유저 인터페이스부(24)는 제2단말기(2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수 있다. 제2유저 인터페이스부(24)는 키 패드, 돔 스위치, 터치 패드,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표시부(23)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제2표시부(23)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제2유저 인터페이스부(24)는 제2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2알림부(25)는 스피커 및 진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알림부(25)는 제1단말기(10) 또는 운영 서버(40)로부터 호 신호를 수신한 경우 음성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2단말기(20)는 제1단말기(10)의 호 신호에 응답하여 동시 호 신호를 발신한 제1단말기(10)와 일대일 무선 음성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동시 호 신호를 수신한 제2단말기(20)의 제2알림부(25)는 음성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2표시부(23)는 동시 호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의미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2표시부(23)는 제1단말기(10)의 식별 신호를 함께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서비스업 종사자가 제2유저 인터페이스부(24)를 통하여 동시 호 신호에 응대하는 호 접수 신호를 발생시키면 제1단말기(10)와 제2단말기(20)간의 일대일 무선 음성 통신망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단말기(20)는 운영 서버(40)에 등록된 제1단말기(10) 중 하나를 특정하여 호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제2단말기(20)는 제2표시부(23)를 통하여 운영 서버(40)를 통하여 무선 통신 지원이 가능한 제1단말기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2단말기(20)의 제2표시부(23)는 운영 서버(40)를 통하여 최근 통화한 제1단말기 목록, 특정 시간대에 통화한 제1단말기 목록, 부재중으로 표시된 제1단말기 목록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서비스업 종사자는 제2유저 인터페이스부(24)를 통하여 제2표시부(23)에 표시된 제1단말기 중 하나를 특정하여 호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중계기(30)는 실내 업장에 위치하며 운영 서버(40)에 등록된 단말기(10, 20) 및 운영 서버(40)의 무선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중계기(30)는 실내 업장에 위치한 단말기(10, 20)간의 무선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중계기(30)는 운영 서버(40)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무선 통신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운영 서버(40)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1단말기(10) 및 제2단말기(20)의 등록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운영 서버(40)는 제1단말기(10) 및 제2단말기(20)의 등록, 변경 및 삭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운영 서버(40)는 제1단말기(10) 및 제2단말기(20)간의 무선 음성 통신 수행 이력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운영 서버(40)는 제1단말기(10) 및 제2단말기(20)간의 무선 음성 통신 수행 이력을 기간별, 시간별로 구분하여 일정 기간 동안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운영 서버(40)는 제1단말기(10)의 동시 호 신호 발신 요청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운영 서버(40)는 서비스 종류에 따라 제1단말기(10)의 동시 호 신호 발신 요청을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운영 서버(40)는 제1단말기(10) 및 제2단말기(20)의 요청에 따라 무선 음성 통신 수행 이력을 제공할 수 있다.
운영 서버(40)는 동시 호출 신호에 응답하여 제1단말기(10)와 제2단말기(20)간의 일대일 무선 음성 통신망이 형성되면 동시 호 신호의 발신을 중단시킬 수 있다. 운영 서버(40)는 제1단말기(10)의 동시 호 신호 서비스 요청이 있으면, 중계기를 통하여 등록된 제2단말기(20)에 동시 호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운영 서버(40)는 동시 호 신호를 발신한 제2단말기(20) 중 어느 하나의 제2단말기(20)에서 호 접수 신호를 발생시키면, 중계기를 통하여 동시 호 신호를 발생시킨 제1단말기(10)와 호 접수 신호를 발생시킨 제2단말기(20)간의 일대일 무선 음성 통신망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 때, 운영 서버(40)는 일대일 무선 음성 통신망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동시 호 신호 발생을 중단할 수 있다. 즉, 운영 서버(40)는 복수개의 제2단말기(20)에 동시 호 신호를 발신하는 도중에, 어느 하나의 제2단말기(20)에서 동시 호 신호를 접수하였다는 호 접수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면 모든 제2단말기(20)에 발생되었던 동시 호 신호를 중단시킬 수 있다. 이 때, 운영 서버(40)는 호 접수 신호를 발생시킨 제2단말기(20)의 식별 정보를 다른 제2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호 접수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은 제2단말기(20)에서도, 어떠한 단말기간에 무선 음성 통신이 수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운영 서버(40)는 GPS정보를 이용하여 제1단말기(10) 및 제2단말기(20)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운영 서버(40)는 확인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중계기를 통한 제1단말기(10) 및 제2단말기(20)간의 무선 음성 통신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운영 서버(40)는 제1단말기(10)를 중심으로 소정 반경안에 위치한 제2단말기(20)에만 동시 호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순 호출 서비스에 따른 동시 호 신호 발신 서비스의 경우, 운영 서버(40)는 제1단말기(10)와의 거리에 따라 제2단말기(20)에 순차적으로 동시 호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면 특정 서비스 요청에 따른 동시 호 신호 발신 서비스의 경우, 운영 서버(40)는 해당 서비스 처리가 가능한 장소에서의 거리에 따라 제2단말기(20)에 순차적으로 동시 호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는 무선 인터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단말기(10)는 고객의 입력에 따라 운영 서버(40)에 동시 호 신호 발신을 요청한다. 운영 서버(40)는 제1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등록된 모든 제2단말기(20)에 동시 호 신호를 발신한다. 이 때, 운영 서버(40)는 제1단말기(10)가 설치된 위치를 나타내는 식별 신호를 함께 전송한다. 운영 서버(40)에 등록된 제2단말기(20)는 동시 호 신호와 식별 신호를 수신하여 청각, 진동, 시각적으로 출력한다.
도4를 참조하면, 임의의 제2단말기(20)는 동시 호 신호를 접수하는 호 접수 신호를 발생시킨다. 운영 서버(40)는 어느 하나의 제2단말기(20)로부터 호 접수 신호가 발생되었음을 확인하면, 모든 동시 호 신호 발생을 중단시킨다. 운영 서버(40)는 중계기를 통하여 동시 호 신호를 발생시킨 제1단말기(10)와 호 접수 신호를 발생시킨 제2단말기(20)간의 일대일 무선 음성 통신망을 형성한다. 이 때, 운영 서버(40)는 호 접수 신호를 발생시킨 제2단말기(20)에 관한 정보를 다른 제2단말기(20)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제2단말기(20)는 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도5를 참조하면, 제1단말기(10)는 서비스 종류에 따른 동시 호 신호 발생 서비스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제1단말기(10)는 고객이 입력한 서비스 종류에 따라 운영 서버(40)에 동시 호 신호 발신을 요청한다. 운영 서버(40)는 단순 호출 서비스에 따른 동시 호 신호 발신을 요청받은 경우, 제1단말기(10)와 거리가 가까운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동시 호 신호를 발신한다. 운영 서버(40)는 제1단말기(10)와 거리가 가장 가까운 제2단말기(20)로부터 거리 순서에 따라 위치한 제2단말기(20)에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동시 호 신호를 발신한다. 운영 서버(40)는 어느 하나의 제2단말기(20)로부터 호 접수 신호가 발생되었음을 확인하면, 모든 동시 호 신호 발생을 중단시킨다. 운영 서버(40)는 중계기를 통하여 동시 호 신호를 발생시킨 제1단말기(10)와 호 접수 신호를 발생시킨 제2단말기(20)간의 일대일 무선 음성 통신망을 형성한다. 이 때, 운영 서버(40)는 호 접수 신호를 발생시킨 제2단말기(20)에 관한 정보를 다른 제2단말기(20)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제2단말기(20)는 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도6을 참조하면, 제1단말기(10)는 서비스 종류에 따른 동시 호 신호 발생 서비스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제1단말기(10)는 고객이 입력한 서비스 종류에 따라 운영 서버(40)에 동시 호 신호 발신을 요청한다. 운영 서버(40)는 음식 주문 서비스에 따른 동시 호 신호 발신을 요청받은 경우, 주방과 거리가 가까운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동시 호 신호를 발신한다. 운영 서버(40)는 주방과 거리가 가장 가까운 제2단말기(20)로부터 거리 순서에 따라 위치한 제2단말기(20)에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동시 호 신호를 발신한다. 운영 서버(40)는 어느 하나의 제2단말기(20)로부터 호 접수 신호가 발생되었음을 확인하면, 모든 동시 호 신호 발생을 중단시킨다. 운영 서버(40)는 중계기를 통하여 동시 호 신호를 발생시킨 제1단말기(10)와 호 접수 신호를 발생시킨 제2단말기(20)간의 일대일 무선 음성 통신망을 형성한다. 이 때, 운영 서버(40)는 호 접수 신호를 발생시킨 제2단말기(20)에 관한 정보를 다른 제2단말기(20)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제2단말기(20)는 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도7을 참조하면, 제1단말기(10)는 서비스 종류에 따른 동시 호 신호 발생 서비스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제1단말기(10)는 고객이 입력한 서비스 종류에 따라 운영 서버(40)에 동시 호 신호 발신을 요청한다. 운영 서버(40)는 시간 연장 서비스 또는 결제 서비스에 따른 동시 호 신호 발신을 요청받은 경우, 카운터와 거리가 가까운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동시 호 신호를 발신한다. 운영 서버(40)는 카운터와 거리가 가장 가까운 제2단말기(20)로부터 거리 순서에 따라 위치한 제2단말기(20)에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동시 호 신호를 발신한다. 운영 서버(40)는 어느 하나의 제2단말기(20)로부터 호 접수 신호가 발생되었음을 확인하면, 모든 동시 호 신호 발생을 중단시킨다. 운영 서버(40)는 중계기를 통하여 동시 호 신호를 발생시킨 제1단말기(10)와 호 접수 신호를 발생시킨 제2단말기(20)간의 일대일 무선 음성 통신망을 형성한다. 이 때, 운영 서버(40)는 호 접수 신호를 발생시킨 제2단말기(20)에 관한 정보를 다른 제2단말기(20)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제2단말기(20)는 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무선 인터컴 시스템
10: 제1단말기
20: 제2단말기
30: 중계기
40: 운영 서버

Claims (12)

  1.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복수개의 제1단말기 및 복수개의 제2단말기;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1단말기 및 제2단말기의 등록 및 관리를 수행하는 운영 서버; 및
    실내 업장에 위치하며 상기 운영 서버에 등록된 단말기 및 상기 운영 서버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중계기를 통하여 상기 운영 서버에 등록된 제2단말기에 동시 호 신호를 발신하고,
    상기 제2단말기는 상기 제1단말기의 호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동시 호 신호를 발신한 제1단말기와 일대일 무선 음성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동시 호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단말기와 상기 제2단말기간의 일대일 무선 음성 통신망이 형성되면 상기 동시 호 신호의 발신이 중단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말기는 상기 운영 서버에 등록된 제1단말기 중 하나를 특정하여 호 신호를 발신하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동시 호 신호 발신시 식별 신호를 함께 전송하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상기 실내 업장에 위치한 단말기간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제1단말기 및 상기 제2단말기의 등록, 변경 및 삭제 기능을 지원하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버는 GPS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단말기 및 상기 제2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중계기를 통해 상기 제1단말기를 중심으로 소정 반경안에 위치한 제2단말기에 상기 동시 호 신호를 발신하는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기는 서비스 종류에 따른 복수개의 동시 호 신호 발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중계기를 통해 단순 호출 서비스에 따른 동시 호 신호 발신 서비스를 상기 제1단말기와의 거리에 따라 제2단말기에 순차적으로 발신하는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실내 업장의 특정 장소별로 고정 설치되어 있는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말기는 상기 실내 업장의 서비스 종사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인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제1단말기 및 상기 제2단말기간의 무선 음성 통신 수행 이력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시스템.
KR1020190047340A 2019-04-23 2019-04-23 무선 인터컴 시스템 KR102126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340A KR102126828B1 (ko) 2019-04-23 2019-04-23 무선 인터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340A KR102126828B1 (ko) 2019-04-23 2019-04-23 무선 인터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828B1 true KR102126828B1 (ko) 2020-06-25

Family

ID=71400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340A KR102126828B1 (ko) 2019-04-23 2019-04-23 무선 인터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8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71809A1 (en) * 2007-12-13 2009-06-17 Alcatel Lucent Method of establishing a connection in a peer-to-peer network with 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
KR20130006496A (ko) * 2010-04-07 2013-01-16 애플 인크. 사용자를 온라인 세션에 초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60062031A (ko) * 2013-09-26 2016-06-0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들에서의 온디멘드 요청-응답 기반의 디스커버리
KR20180114573A (ko) * 2017-04-10 2018-10-19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71809A1 (en) * 2007-12-13 2009-06-17 Alcatel Lucent Method of establishing a connection in a peer-to-peer network with 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
KR20130006496A (ko) * 2010-04-07 2013-01-16 애플 인크. 사용자를 온라인 세션에 초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60062031A (ko) * 2013-09-26 2016-06-0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들에서의 온디멘드 요청-응답 기반의 디스커버리
KR20180114573A (ko) * 2017-04-10 2018-10-19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1307B2 (en) Electronic device for sharing data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9536306A (ja) 近距離無線通信技術を利用した呼び出しシステム
KR101875145B1 (ko) 앱(App) 기반의 가상 버튼을 이용한 서비스 요청 시스템 및 방법
KR102496661B1 (ko) 데이터 공유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US9860706B2 (en) Beacon placement suggestion based on target region
KR20160136739A (ko) 차량용 전화 번호 표시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20211692A1 (zh) 信息交互方法及终端设备
KR102126828B1 (ko) 무선 인터컴 시스템
US9710847B2 (en) Method and terminal for submitting order
KR101989435B1 (ko) 고객대기순번 관리시스템
WO2020238674A1 (zh) 物流对象管理系统和方法以及电子设备
KR20180111217A (ko) 문자 기반 상담 서비스의 가맹점 검색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200090680A (ko)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구비된 무선충전기
KR102137139B1 (ko) 초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구비된 무선충전기
JP2015072590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20240147198A1 (en) Electronic device for sharing data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92878B1 (ko)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90214A (ko) 매장내 호출 및 주문 플랫폼을 위한 운영 시스템
KR20140015687A (ko) 스마트 쇼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90220A (ko) 고객 응대 및 처리 현황을 처리하기 위한 호출 및 태깅 시스템
KR20130035491A (ko) 키오스크 제어 시스템
US20230016071A1 (en) Interactive display platform between a user device and a display slate
KR20170095491A (k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개인 비서 서비스에서의 선택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US2020022665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service request processing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service request processing
KR20200098113A (ko) Lcd모니터 보안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