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8113A - Lcd모니터 보안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Lcd모니터 보안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8113A
KR20200098113A KR1020190015819A KR20190015819A KR20200098113A KR 20200098113 A KR20200098113 A KR 20200098113A KR 1020190015819 A KR1020190015819 A KR 1020190015819A KR 20190015819 A KR20190015819 A KR 20190015819A KR 20200098113 A KR20200098113 A KR 20200098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curity
emergency
user tag
appr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티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티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티이엔지
Priority to KR1020190015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8113A/ko
Publication of KR20200098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1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4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output devices, e.g. displays or moni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보안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안 시설 내부 및 주변에 설치되는 보안 관리 시스템
에 있어서, 미리 저장된 보안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보안 구역별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로 전송하는 사용자 태그; 상기 사용자 태그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의 신호의 세기 및 미리 저장된 구역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 태그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태그로부터 수신된 상기 보
안 정보로부터 승인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승인 정보가 미리 저장된 보안 구역별 승인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승인 정보가 상기 보안 구역별 승인 정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
기 수신된 보안 정보, 상기 생성된 위치 정보, 구비된 카메라부로부터 생성된 영상 정보 및 구비된 마이크로부터
생성된 음성 정보를 포함하며, 보안 미승인 상태를 나타내는 보안 미승인 상황 발생 정보를 생성하여 관제 서버
로 전송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로부터 수신된 상기 보안 미승
인 상황 발생 정보로부터 상기 보안 정보, 상기 위치 정보, 상기 영상 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를 각각 추출하고,
구비된 표시부에 상기 추출된 영상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표시하며,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상기 추출된 음성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도록 수행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LCD모니터 보안 관리 시스템{SYSTEM FOR LCD SECURITY MANAGEMENT}
일반적인 보안 관리 시스템은 보안 관리가 필요한 시설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상 상황을 사전에 방지하거나 비
상 상황이 발생 시 신고 및 대응을 할 수 있도록 운용된다. 보안 관리 시스템은 보안이 취약한 지역에 각각 설
치된 비상 상황이 발생했음을 신고할 수 있는 무선 또는 유선 비상벨, 비상 상황이 발생한 구역의 영상을 취득
할 수 있는 카메라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안 관리가 필요한 각 보안 구역에 설치된 각 카메라는 촬영한 이
미지 또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관제 서버로 전송하고, 보안 관리자는 관제 서버에 구비된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
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확인하여 비상 상황 발생 여부를 인지 및 판단한다.
[0003] 종래의 보안 관리 시스템은 보안 관리자가 비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인지하는 능력에 따라 비상 상황에 대한
대처에 소모되는 시간이 가변적으로 변화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보안 관리 시스템의 관제 서버가
각각의 카메라에서 전송되는 영상을 대상으로 영상 인식 처리를 수행하여 수신된 영상 내의 객체들을 각각 검출
하고, 검출된 각 객체간의 관계와 미리 저장된 상황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비상 상황 발생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는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미리 정해진 상황 데이터와 검출된 각 객체 간의 관계가 서로 일치되지
않으면 관제 서버가 비상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보안 관리 시스
템은 관제 서버가 카메라에서 촬영되어 전송하는 영상 신호를 기반으로 비상 상황 발생 여부를 판별하므로 카메
라 사각 지대에서 발생하는 비상 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 따라서 카메라 사각 지대에서 발생하는 비
상 상황을 인지하기 위하여 무선 또는 유선 비상벨을 보안 시설 내 및 보안 시설 주변의 보안이 취약한 지역에
공간의 제약 없이 복수 개가 설치하여 보안의 사각 지대를 제거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보안 관리 시스템의 보안
관리자는 비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신호를 기반으로 판단하
거나 비상벨을 통해 전송되는 비상 발생 신고 신호를 기반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비상 상황이 발생한 후 대응하
게 된다. 따라서 비상 상황이 발생하기 전에 능동적으로 사전에 비상 상황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비상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안 관리가 필요한 시설 내 및 시설 주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상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보안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0006]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안 관리가 필요한 시설 내 및 시설 주변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비상 상황
에 처한 인원 관리를 통해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보안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안 관리가 필요한 시설 내 및 시설 주변에서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태그를 통
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상황실 근무자가 인지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비상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
에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보안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0021]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안 관리가 필요한 시설 내 및 시설 주변에서 사용자가 비상 상황 발생 신
고를 하지 않아도,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관제 서버가 비상 상황 발생 유무를 판단하여, 비상 상황이
발생 시 즉각적으로 대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보안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
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0024]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0025]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
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
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
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0026]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0027]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 관리 시스템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다음과 같이 용어를 설명한다.
[0028]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 또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
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그 예로는,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임베디드 멀티미디어 카드(eMMC)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송신)
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0029]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휴대 가능하고 관제 서버와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
한 이동 단말로서 적어도 하나의 표시부를 구비하는 임의의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 휴대폰, 착용형 헤드 유닛, 태블릿(Tablet), 노트북 컴퓨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003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는 방전광 디스플레이(ELD), 진공 형광 디스플레이(VFD),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
레이(LED), 음극선관(CRT), 액정 디스플레이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플라스마 디스
플레이 패널 (PDP), 표면 얼터네이트 라이팅(ALiS), 디지털 광원 처리(DLP), 실리콘 액정 (LCoS), 유기 발광 다
이오드(OLED), 표면 전도형 전자 방출 소자 디스플레이(SE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레이저 TV(양자 점
레이저, 액정 레이저), 광유전성 액체 디스플레이(FLD),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iMoD), 두꺼운 필름 유전체
전기 (TDEL), 양자 점 디스플레이(QD-LED), 텔레스코픽 픽셀 디스플레이(TPD), 유기 발광 트랜지스터(OLET), 레
이저 형광 디스플레이(LP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003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 구역은 보안 관리가 필요한 시설 내 또는 시설 주변에 사용자 태그별 보안이 미
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구역을 의미한다.
[0032]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비상벨은 보안 구역별로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으며, 자신이 설치된 구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구역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003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는 보안 구역별로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으며, 자신이 설치된 구역의 위치
를 나타내는 구역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0034]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역 정보는 복수 개의 무선 비상벨 중 각각의 무선 비상벨에 저장된 고유한 번호 정
보이며, 무선 비상벨은 관제 서버가 무선 비상벨 간의 구별이 가능하도록 서로 다른 구역 정보를 저장할 수 있
다.
[0035]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는 지그비 코디네이터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자신의 무선 통신 반
경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로부터 데이터를 취합한 후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실시간
으로 관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0036]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는 보안 관리 시스템이 설치된 시설의 근무자 또는 방문자를 의미할 수 있다.
[0037]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보안 정보는 사용자의 신상 정보, 보안 구역별 사용자의 보안 승인 여부를나타내는 승인 정보 및 비상 상황 발생 시 연락할 수 있는 비상 연락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태그는 사용자의 보안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0038]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
벨 또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와 지그비 통신을 통해 연결되면,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보안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태그가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 또는 중계기로 전송한 사용자의 보안 정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관제 서버까지 전송될 수 있다.
[0039] 무선 비상벨이 사용자 태그로부터 지그비 통신 방식을 통해 수신한 사용자의 보안 정보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
해 관제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0040] 또한, 무선 비상벨이 사용자 태그로부터 지그비 통신 방식을 통해 수신한 사용자의 보안 정보는 지그비 통신 방
식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중계기로 전송될 수 있다. 그 후, 중계기가 무선 비상벨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보안 정보는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통해 관제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0041] 또한, 중계기가 사용자 태그로부터 지그비 통신 방식을 통해 수신한 사용자의 보안 정보는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통해 관제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0042]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0043]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 관리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에 따른 보안 관리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태그(110),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120), 중계기
(130), 관제 서버(140) 및 전자 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0044] 사용자 태그(110)는 보안 구역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12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
어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태그(110)는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지그비(Zigbee Communication) 통신 중 어느 하나
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태그(110)는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의 근거리
무선 통신 표준 기술인 IEEE802154를 기반으로 하는 지그비 통신을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12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130)와 24GHz 대역을 사용하여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0045] 또한, 사용자 태그(110)는 보안 구역별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13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0046] 또한, 사용자 태그(110)는 구비된 저장부(미도시)에 사용자의 보안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보안 정보는
사용자의 신상 정보, 보안 구역별 사용자의 승인 정보 및 비상 상황 발생 시 연락할 수 있는 비상 연락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승인 정보는 보안 구역별 해당 사용자의 보안 승인 여부를 나타내
는 정보이다.
[0047] 또한, 사용자 태그(11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소지하도록, 목걸이와 연결된 명패, 벨트, 벨트에 착탈 가능한 클
립 등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0048] 또한, 사용자 태그(11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소지하도록,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폰, 스마트폰 등과 같은 전자
장치 하우징 내부에 장착 가능한 마이크로 SD 카드, 유심 칩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0049] 또한, 사용자 태그(11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120) 또는 중계기(13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
되면, 자동으로 구비된 저장부(미도시)에 미리 저장된 보안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120) 또는 중계
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0050] 또한, 사용자 태그(110)는 구비된 버튼(미도시)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비상 상황이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 받으면, 사용자에게 비상 상황이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비상 상황 신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비상 상황 신고 정보는 사용자 태그(110)의 저장부(미도시)에 미리 저장된 보안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다.
[0051] 그 후, 사용자 태그(110)는 생성된 비상 상황 신고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
상벨(12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0052] 무선 비상벨(120)은 보안 구역별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0053] 또한, 무선 비상벨(120)은 사용자 태그(110)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또한, 무선 비상벨(120)은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130) 또는 관제 서버(140)[0054] 와 무선 통신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비상벨(120)이 사용하는 무선 통신은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의 무선
통신 표준 기술인 IEEE80211n, IEEE80211ac, IEEE80211ad, IEEE80211af, IEEE80211ah, IEEE80211ai 등
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비상벨(120)은 IEEE80211n을 기반으로 하는 와이파이(Wi-Fi), IEEE80211ad
을 기반으로 하는 와이기그(WiGig) 등을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130) 또는 관제 서버(14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0055] 또한, 무선 비상벨(120)은 구비된 저장부(미도시)에 자신이 설치된 보안 구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구역 정보 및
자신이 설치된 보안 구역에서 보안 승인된 사용자 정보를 나타내는 보안 구역별 승인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
다.
[0056] 또한, 무선 비상벨(120)은 구비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을 통해 무선 근거리 통신 반경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태그(110)의 존재를 검출하고,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태그(110)로부터 보안 정보
를 수신 받을 수 있다.
[0057] 또한, 무선 비상벨(120)은 자신이 위치한 보안 구역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태그(110)의 위치를 나
타내는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비상벨(120)은 사용자 태그(11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의 신
호의 세기 및 미리 저장된 구역 정보로부터 사용자 태그(110)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0058] 그 후, 무선 비상벨(120)은 수신된 보안 정보로부터 승인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승인 정보가 미리 저장된 보
안 구역별 승인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추출된 승인 정보가 미리 저장된 보
안 구역별 승인 정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해당 사용자 태그(110)가 해당 보안 구역에서 보안 미승인 상
태임을 나타내는 보안 미승인 상황 발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안 미승인 상황 발생 정보는 사용자 태그
(110)로부터 수신된 보안 정보, 사용자 태그(110)를 대상으로 생성된 위치 정보, 무선 비상벨(120)에 구비된 카
메라부(미도시)로부터 생성된 영상 정보 및 무선 비상벨(120)에 구비된 마이크(미도시)로부터 생성된 음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0059] 그 후, 무선 비상벨(120)은 생성된 보안 미승인 상황 발생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130) 또는 관제 서버
(140)로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0060] 또한, 무선 비상벨(120)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태그(110)로부터 사용자에게 비상 상황이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비상 상황 신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0061] 또한, 무선 비상벨(120)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태그(110)로부터 비상 상황 신고 정보가 수신되면, 비상 상황
보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비상 상황 보고 정보는 무선 비상벨(120)이 사용자 태그(110)로부터 수신된 비상
상황 신고 정보, 사용자 태그(110)를 대상으로 생성된 신고자 위치 정보, 무선 비상벨(120)에 구비된 카메라부
(미도시)로부터 생성된 영상 정보 및 무선 비상벨(120)에 구비된 마이크(미도시)로부터 생성된 음성 정보 중 적
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0062] 그 후, 무선 비상벨(120)은 생성된 비상 상황 보고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130) 또는 관제 서버(140)로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0063] 또한, 무선 비상벨(120)은 구비된 버튼(미도시)을 통해 해당 보안 구역에 위치한 사용자로부터 비상 상황이 발
생했음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보안 구역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보안
구역의 비상 상황 보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안 구역의 비상 상황 보고 정보는 저장부(미도시)에 미리 저
장된 무선 비상벨(120)이 설치된 보안 구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구역 정보, 무선 비상벨(120)에 구비된 카메라부
(미도시)로부터 생성된 영상 정보 및 무선 비상벨(120)에 구비된 마이크(미도시)로부터 생성된 음성 정보 중 적
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0064] 그 후, 무선 비상벨(120)은 생성된 보안 구역의 비상 상황 보고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130) 또는 관제
서버(140)로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0065] 중계기(130)는 보안 구역별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0066] 또한, 중계기(130)는 구비된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120)과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중계기(130)가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120)과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하는 무선
통신은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의 무선 통신 표준 기술인 IEEE80211n, IEEE80211ac, IEEE80211ad,IEEE80211af, IEEE80211ah, IEEE80211a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130)는 구비된 유선 통신 모듈(미도시)을 통해 관제 서버(140)[0067] 와 유선 케이블로 서로 연결되어 데
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0068] 또한, 중계기(130)는 구비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태그(110)와 서로 연
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0069] 관제 서버(14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120)로부터 보안 미승인 상황 발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0070] 그 후, 관제 서버(140)는 수신된 보안 미승인 상황 발생 정보로부터 사용자 태그(110)의 보안 정보, 사용자 태
그(110)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무선 비상벨(120)에서 생성된 영상 정보 및 무선 비상벨(120)에서 생성
된 음성 정보를 각각 추출할 수 있다.
[0071] 그 후, 관제 서버(140)는 구비된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추출된 영상 정보 및 추출된 위치 정보를 표시할 수 있
다. 관제 서버(140)는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위치 정보를 텍스트, 기호, 도형 및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로 표
시할 수 있다.
[0072] 또한, 관제 서버(140)는 구비된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수신된 위치 정보를 수신 순서대로 누적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관제 서버(140)는 구비된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사용자 태그(110)의 이동 궤적을 표시할 수
있다.
[0073] 또한, 관제 서버(140)는 구비된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추출된 음성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0074] 그 후, 관제 서버(140)는 추출된 보안 정보로부터 비상 연락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비상 연락처 정보에 대
응하는 외부 전자 장치(150)로 보안 미승인 상황 발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0075] 또한, 관제 서버(14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120)로부터 비상 상황 보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0076] 그 후, 관제 서버(140)는 수신된 비상 상황 보고 정보로부터 사용자 태그(110)의 보안 정보, 무선 비상벨(120)
에서 생성된 신고자 위치 정보, 무선 비상벨(120)에서 생성된 영상 정보 및 무선 비상벨(120)에서 생성된 음성
정보를 각각 추출할 수 있다.
[0077] 그 후, 관제 서버(140)는 구비된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추출된 영상 정보 및 신고자 위치 정보를 표시할 수 있
다. 관제 서버(140)는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신고자 위치 정보를 텍스트, 기호, 도형 및 아이콘 중 적어도 하
나로 표시할 수 있다.
[0078] 또한, 관제 서버(140)는 구비된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추출된 음성 정보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0079] 또한, 관제 서버(140)는 신고자 위치 정보가 수신된 순서대로 누적하여 구비된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관제 서버(140)는 구비된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비상 상황을 신고한 신고자의 사용자 태그
(110)의 이동 궤적을 표시할 수 있다.
[0080] 그 후, 관제 서버(140)는 추출된 보안 정보로부터 비상 연락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비상 연락처 정보에 대
응하는 외부 전자 장치(150)로 비상 상황 보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0081] 또한, 관제 서버(14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120)로부터 보안 구역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했음을 나타내
는 보안 구역의 비상 상황 보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0082] 그 후, 관제 서버(140)는 수신된 보안 구역의 비상 상황 보고 정보로부터 무선 비상벨(120)이 설치된 보안 구역
의 위치를 나타내는 구역 정보, 무선 비상벨(120)에서 생성된 영상 정보 및 무선 비상벨(120)에서 생성된 음성
정보를 각각 추출할 수 있다.
[0083] 그 후, 관제 서버(140)는 구비된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추출된 영상 정보 및 구역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관
제 서버(140)는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구역 정보를 텍스트, 기호, 도형 및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할 수
있다.
[0084] 또한, 관제 서버(140)는 구비된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추출된 음성 정보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0085] 그 후, 관제 서버(140)는 추출된 보안 정보로부터 비상 연락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비상 연락처 정보에 대
응하는 외부 전자 장치(150)로 보안 구역의 비상 상황 보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태그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0086]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
른 사용자 태그(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11), 버튼(112), 저장부(113), 센서부(114) 및 제어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0087]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11)은 제어부(115)의 제어에 따라 보안 구역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
(12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11)은 제
어부(115)의 제어에 따라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 다
이렉트(WiFi-Direct) 통신, 지그비(Zigbee Communication) 통신 중 어느 하나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11)은 제어부(115)의 제어에 따라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의 근거
리 무선 통신 표준 기술인 IEEE802154를 기반으로 하는 지그비 통신을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
(12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130)와 24GHz 대역을 사용하여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0088] 버튼(112)은 제어부(115)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비상 상황이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
신 받을 수 있다. 제어부(115)는 버튼(112)을 통해 사용자에게 비상 상황이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 되면,사용자에게 비상 상황이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비상 상황 신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0089] 저장부(113)는 사용자의 보안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보안 정보는 사용자의 신상 정보, 보안 구역별 사용
자의 승인 정보 및 비상 상황 발생 시 연락할 수 있는 비상 연락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
용자의 승인 정보는 보안 구역별 해당 사용자의 보안 승인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0090] 센서부(114)는 기울기 센서, 충격 센서,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4)는 제어부
(115)의 제어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준 센서값 이상의 센서값이 검출되면, 사용자에게 비상 상황이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비상 상황 신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0091] 제어부(115)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11), 버튼(112), 저장부(113) 및 센서부(11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0092] 또한, 제어부(115)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11)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120) 또는 중계기(130)와
서로 연결되면, 자동으로 구비된 저장부(113)에 미리 저장된 보안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120) 또는
중계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0093] 또한, 제어부(115)는 구비된 버튼(112)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비상 상황이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 신
호를 수신되거나 구비된 센서부(114)를 통해 미리 설정된 기준 센서값 이상의 센서값이 검출되면, 사용자에게
비상 상황이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비상 상황 신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0094] 그 후, 제어부(115)는 생성된 비상 상황 신고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120) 또는 중계기(130)로 전송
할 수 있다.
[0095]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비상벨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
른 무선 비상벨(120)은 보안 구역별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무선 비상벨(120)은 통신부(121), 입/출력
부(122), 카메라부(123), 저장부(124) 및 제어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0096] 통신부(121)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21-1) 및 무선 통신 모듈(121-2)을 포함할 수 있다.
[0097]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21-1)은 제어부(125)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태그(110)와 근거리 무선 통
신을 통해 연결되어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21-1)은 제어부(125)의 제어에
따라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지그비(Zigbee Communication) 통신 중 어느 하나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21-1)은 제어부(125)의 제어에 따라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의 근거리 무선 통신 표준
기술인 IEEE802154를 기반으로 하는 지그비 통신을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태그(110)와 24GHz 대역
을 사용하여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0098] 무선 통신 모듈(121-2)은 제어부(125)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중계기(130) 또는 관제 서버(140)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21-2)은 제어부(125)의 제어에 따라 국제전기
전자기술자협회(IEEE)의 무선 통신 표준 기술인 IEEE80211n, IEEE80211ac, IEEE80211ad, IEEE80211af,
IEEE80211ah, IEEE80211ai 중 어느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 모듈(121-2)은 IEEE80211n을
기반으로 하는 와이파이(Wi-Fi), IEEE80211ad을 기반으로 하는 와이기그(WiGig) 중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 방
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130) 또는 관제 서버(14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버튼(122-1)은 제어부(125)의 제어에 따라 해당 보안 구역에 위치한 사용자로부터 [0099] 비상 상황이 발생했음을 나타
내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제어부(125)는 버튼(122-1)을 통해 해당 보안 구역에 위치한 사용
자에게 비상 상황이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 되면, 해당 보안 구역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
했음을 나타내는 보안 구역의 비상 상황 보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0100] 마이크(122-2)는 제어부(125)의 제어에 따라 무선 비상벨(120)의 주변의 소리 및 음성을 입력받아 음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0101] 스피커(122-3)는 제어부(125)의 제어에 따라 관제 서버(140)로부터 수신된 관제 서버의 음성 정보를 무선 비상
벨(120)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0102] 카메라부(123)는 제어부(125)의 제어에 따라 무선 비상벨(120)이 설치된 보안 구역의 주면 환경을 나타내는 영
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0103] 저장부(124)는 무선 비상벨(120)이 설치된 보안 구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구역 정보 및 무선 비상벨(120)이 설치
된 보안 구역에서 보안 승인된 사용자 정보를 나타내는 보안 구역별 승인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0104] 제어부(125)는 통신부(121), 입/출력부(122), 카메라부(123) 및 저장부(12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0105] 또한, 제어부(125)는 구비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21-1)을 통해 무선 근거리 통신 반경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태그(110)의 존재를 검출하고,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태그(110)로부터 보안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0106] 그 후, 제어부(125)는 사용자 태그(11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의 신호의 세기 및 미리 저장된 구역 정보로부터
사용자 태그(110)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0107] 그 후, 제어부(125)는 수신된 보안 정보로부터 승인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승인 정보가 미리 저장된 보안 구
역별 승인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추출된 승인 정보가 미리 저장된 보안 구
역별 승인 정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25)는 해당 사용자 태그(110)가 해당 보안 구역에서 보안
미승인 상태임을 나타내는 보안 미승인 상황 발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안 미승인 상황 발생 정보는 사용
자 태그(110)로부터 수신된 보안 정보, 사용자 태그(110)를 대상으로 생성된 위치 정보, 카메라부(123)로부터
생성된 영상 정보 및 마이크(122-2)로부터 생성된 음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0108] 그 후, 제어부(125)는 생성된 보안 미승인 상황 발생 정보를 적어도 중계기(130) 또는 관제 서버(140)로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 할 수 있다.
[0109] 또한, 제어부(125)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태그(110)로부터 비상 상황 신고 정보가 수신되면, 비상 상황 보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비상 상황 보고 정보는 무선 비상벨(120)이 사용자 태그(110)로부터 수신된 비상 상황
신고 정보, 사용자 태그(110)를 대상으로 생성된 신고자 위치 정보, 구비된 카메라부(123)를 통해 생성된 영상
정보 및 구비된 마이크(122-2)를 통해 생성된 음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신고자 위치 정보는
제어부(125)가 사용자 태그(11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의 신호의 세기 및 미리 저장된 구역 정보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0110] 그 후, 제어부(125)는 생성된 비상 상황 보고 정보를 적어도 중계기(130) 또는 관제 서버(140)로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 할 수 있다.
[0111] 또한, 제어부(125)는 구비된 버튼(122-1)을 통해 해당 보안 구역에 위치한 사용자로부터 비상 상황이 발생했음
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보안 구역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보안 구역의
비상 상황 보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안 구역의 비상 상황 보고 정보는 구비된 저장부(124)에 미리 저장된
무선 비상벨(120)이 설치된 보안 구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구역 정보, 구비된 카메라부(123)로부터 생성된 영상
정보 및 구비된 마이크(122-2)로부터 생성된 음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0112] 그 후, 제어부(125)는 생성된 보안 구역의 비상 상황 보고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130) 또는 관제 서버
(140)로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0113]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
계기(130)는 보안 구역별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중계기(130)는 통신부(131), 저장부(132) 및 제어부
(133)를 포함할 수 있다.통신부(131)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31-1), 무선 통신 모듈(131-2) 및 유선 [0114] 통신 모듈(131-3)을 포함할 수
있다.
[0115]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31-1)은 제어부(133)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태그(110)와 근거리 무선 통
신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0116] 무선 통신 모듈(131-2)은 제어부(133)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120) 또는 관제 서버(140)와
무선 통신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0117] 유선 통신 모듈(131-3)은 제어부(133)의 제어에 따라 관제 서버(140)와 유선 케이블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데이
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0118] 저장부(132)는 제어부(133)의 제어에 따라 근거리 무선 모듈(131-1), 무선 통신 모듈(131-2) 및 유선 통신 모듈
(131-3)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0119] 또한, 저장부(132)는 제어부(133)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1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취
합할 수 있다.
[0120] 제어부(133)는 통신부(131) 및 저장부(13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0121] 또한, 제어부(133)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태그(110)와 근거리 무선 모듈(131-1)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
를 송수신하고, 무선 통신 모듈(131-2) 또는 유선 통신 모듈(131-3)을 통해 관제 서버(140)와 서로 연결되어 데
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0122] 또한, 제어부(133)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120)과 근거리 무선 모듈(131-1) 또는 무선 통신 모듈(131-
2)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무선 통신 모듈(131-2) 또는 유선 통신 모듈(131-3)을 통해 관
제 서버(140)와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0123]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130)는 보안 관리 시스템(100)을 구성함에 있어 생략될 수도 있다.
[0124]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14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120)과 무선 통신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
다.
[0125]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140)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130)와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으로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0126] 관제 서버(140)는 통신부(141), 입/출력부(142), 저장부(143), 표시부(144) 및 제어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0127] 통신부(141)는 무선 통신 모듈(141-1) 및 유선 통신 모듈(141-2)을 포함할 수 있다.
[0128] 무선 통신 모듈(141-1)은 제어부(144)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12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
기(130)와 무선 통신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0129] 또한, 무선 통신 모듈(141-1)은 제어부(144)의 제어에 따라 연결된 인터넷 망과 같은 네트워크 망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50)로 무선 통신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0130] 유선 통신 모듈(141-2)은 제어부(144)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130)와 유선 케이블을 통해 서로 연
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0131] 입/출력부(142)는 마이크(142-1) 및 스피커(142-2)를 포함할 수 있다.
[0132] 마이크(142-1)는 제어부(145)의 제어에 따라 관제 서버(140)의 주변의 소리 및 음성을 입력받아 음성 신호를 생
성할 수 있다.
[0133] 스피커(142-2)는 제어부(145)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12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130)
로부터 수신한 음성 정보를 관제 서버(140)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
(120)에서 생성될 수 있다.
[0134] 저장부(143)는 제어부(145)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12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130)로
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0135] 표시부(144)는 제어부(145)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12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130)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 위치 정보 및 신고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관제 서버(140)의 보안 관리자가 인
지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영상 정보, 음성 정보, 위치 정보 및 신고자 위치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120)에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4)는 제어부(145)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0136] 12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
(130)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 및 신고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텍스트, 기호, 도형 및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할 수 있다.
[0137] 제어부(145)는 통신부(141), 입/출력부(142), 저장부(143) 및 표시부(14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0138] 또한, 제어부(145)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12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130)로부터 보안 미승인 상황
발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0139] 그 후, 제어부(145)는 수신된 보안 미승인 상황 발생 정보로부터 사용자 태그(110)의 보안 정보, 사용자 태그
(110)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무선 비상벨(120)에서 생성된 영상 정보 및 무선 비상벨(120)에서 생성된
음성 정보를 각각 추출할 수 있다.
[0140] 그 후, 제어부(145)는 구비된 표시부(144)를 통해 추출된 영상 정보 및 추출된 위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0141] 또한, 제어부(145)는 구비된 표시부(144)를 통해 수신된 위치 정보를 텍스트, 기호, 도형 및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할 수 있다.
[0142] 또한, 제어부(145)는 구비된 표시부(144)를 통해 위치 정보를 수신된 순서대로 누적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
서 제어부(145)는 구비된 표시부(144)를 통해 사용자 태그(110)의 이동 궤적을 표시할 수 있다.
[0143] 또한, 제어부(145)는 구비된 스피커(142-2)를 통해 추출된 음성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0144] 그 후, 제어부(145)는 추출된 보안 정보로부터 비상 연락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비상 연락처 정보에 대응
하는 외부 전자 장치(150)로 보안 미승인 상황 발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0145] 또한, 제어부(145)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12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130)로부터 사용자 태그(11
0)를 소지한 사용자에게 비상 상황이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비상 상황 보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0146] 그 후, 제어부(145)는 수신된 비상 상황 보고 정보로부터 사용자 태그(110)의 보안 정보, 무선 비상벨(120)에서
생성된 신고자 위치 정보, 무선 비상벨(120)에서 생성된 영상 정보 및 무선 비상벨(120)에서 생성된 음성 정보
를 각각 추출할 수 있다.
[0147] 그 후, 제어부(145)는 구비된 표시부(144)를 통해 추출된 영상 정보 및 추출된 신고자 위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0148] 또한, 제어부(145)는 수신된 신고자 위치 정보를 텍스트, 기호, 도형 및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할 수 있
다.
[0149] 또한, 제어부(145)는 구비된 표시부(144)를 통해 신고자 위치 정보를 수신된 순서대로 누적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5)는 구비된 표시부(144)를 통해 사용자 태그(110)의 이동 궤적을 표시할 수 있다.
[0150] 또한, 제어부(145)는 구비된 스피커(142-2)를 통해 추출된 음성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0151] 그 후, 제어부(145)는 추출된 보안 정보로부터 비상 연락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비상 연락처 정보에 대응
하는 외부 전자 장치(150)로 비상 상황 보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0152] 또한, 제어부(145)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12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13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무
선 비상벨(120)이 설치된 보안 구역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보안 구역의 비상 상황 보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0153] 그 후, 제어부(145)는 수신된 보안 구역의 비상 상황 보고 정보로부터 무선 비상벨(120)이 설치된 보안 구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구역 정보, 무선 비상벨(120)에서 생성된 영상 정보 및 무선 비상벨(120)에서 생성된 음성 정
보를 각각 추출할 수 있다.
[0154] 그 후, 제어부(145)는 구비된 표시부(144)를 통해 추출된 영상 정보 및 구역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
(145)는 표시부(144)를 통해 수신된 구역 정보를 텍스트, 기호, 도형 및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할 수 있
다.또한, 제어부(145)는 구비된 스피커(142-2)를 통해 추출된 음성 [0155] 정보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0156] 그 후, 제어부(145)는 추출된 보안 정보로부터 비상 연락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비상 연락처 정보에 대응
하는 외부 전자 장치(150)로 보안 구역의 비상 상황 보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0157] 한편, 상기 보안 관리 시스템(100)의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기능 및 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음을 나타나기 위해
별도로 도면에 표시한 것이며, 물리적으로 반드시 별도의 구성요소이거나 별도의 코드로 구현되는 것을 의미하
는 것은 아니다.
[0158]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각 기능부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각 기능부는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
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0159]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
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0160]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

  1. 보안 시설 내부 및 주변에 설치되는 보안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미리 저장된 보안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보안 구역별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로 전
    송하는 사용자 태그;
    상기 사용자 태그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의 신호의 세기 및 미리 저장된 구역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 태그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태그로부터 수신된 상기 보안 정보로부터 승인 정보를 추
    출하며, 상기 추출된 승인 정보가 미리 저장된 보안 구역별 승인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승인 정보가 상기 보안 구역별 승인 정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된 보안 정보, 상기
    생성된 위치 정보, 구비된 카메라부로부터 생성된 영상 정보 및 구비된 마이크로부터 생성된 음성 정보를 포함
    하며, 보안 미승인 상태를 나타내는 보안 미승인 상황 발생 정보를 생성하여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비상벨로부터 수신된 상기 보안 미승인 상황 발생 정보로부터 상기 보안 정보, 상기
    위치 정보, 상기 영상 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를 각각 추출하고, 구비된 표시부에 상기 추출된 영상 정보 및 상
    기 위치 정보를 표시하며,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상기 추출된 음성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도록 수행하는 관제 서
    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관리 시스템.
KR1020190015819A 2019-02-12 2019-02-12 Lcd모니터 보안 관리 시스템 KR202000981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819A KR20200098113A (ko) 2019-02-12 2019-02-12 Lcd모니터 보안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819A KR20200098113A (ko) 2019-02-12 2019-02-12 Lcd모니터 보안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113A true KR20200098113A (ko) 2020-08-20

Family

ID=72242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819A KR20200098113A (ko) 2019-02-12 2019-02-12 Lcd모니터 보안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81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16922A1 (en) Emergency guiding system, server and portable device using augmented reality
EP3154035B1 (en) Image heat ray device and intrusion detection system using same
US20130099919A1 (en) Emergency guiding system and server
US20130103309A1 (en) Emergency guiding system and server
CN105191172A (zh) 通信方法和装置
KR102282546B1 (ko) 네트워크 기반의 비상벨 경보장치를 이용한 비상벨 통제 시스템
US20130007178A1 (en) Device Configuration Including a Master Communications Device With a Slave Device Extension
KR101635429B1 (ko) 무선 비상벨 장치를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CN104601250A (zh) 终端设备和控制终端设备的方法
US20210358291A1 (en) Alerthub system with two touch badge
US20200226915A1 (en) Alerthub System
KR100927581B1 (ko) 원격 방재 관리 시스템
KR20170025095A (ko) 상황 인지 기반 양방향 안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230269567A1 (en) Application-based short-range notificatio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KR20210019213A (ko) 스마트 도어
KR102322449B1 (ko) 장비전원 모니터링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00098113A (ko) Lcd모니터 보안 관리 시스템
JP6491234B2 (ja) 無線非常ベルの制御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930432B1 (ko) 시설물 보안 관리 시스템
KR20150137149A (ko) 보안 관리 시스템
CN212484446U (zh) 安保巡逻签到和报警系统
KR20150104000A (ko) 위급 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2126828B1 (ko) 무선 인터컴 시스템
US11170277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011534A (ko) 휴대용 전자장치를 이용한 휴대단말기 잠금 해제 시스템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