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4573A -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4573A
KR20180114573A KR1020170046273A KR20170046273A KR20180114573A KR 20180114573 A KR20180114573 A KR 20180114573A KR 1020170046273 A KR1020170046273 A KR 1020170046273A KR 20170046273 A KR20170046273 A KR 20170046273A KR 20180114573 A KR20180114573 A KR 20180114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yment
user
serv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170046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4573A/ko
Publication of KR20180114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5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5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using an alias or single-use cod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은, 지정된 근거리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매장단말기와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부를 구비한 사용자 무선단말 및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매장에 구비되거나 매장의 직원이 휴대한 매장단말기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사용자가 결제할 가맹점을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매장이나 매장단말기를 고유 식별하기 위해 중복되지 않게 고유하게 부여된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매장단말기를 이용한 결제 시, 상기 매장단말기가 결제금액에 대응하는 금액정보를 확인하고,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고유코드와 상기 확인된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지정된 신호규격의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매장단말기의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지정된 신호강도로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제2 단계와,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상기 매장단말기의 근거리 무선신호를 처리 가능한 앱모듈을 포함(또는 연동)하는 앱을 구동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모듈이 사용자 무선단말의 근거리 무선부를 통해 수신되는 근거리 무선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데이터를 확인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모듈이 상기 신호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제4 단계와, 상기 결제정보를 인식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모듈이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의 결제요청 절차가 수행되게 처리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매장단말기에서 사용자 무선단말로 신호 인식 전달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확인하고,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확인하거나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식별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제6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확인된 결제수단정보와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승인요청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결제승인서버로 결제승인을 요청하는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Method for Providing Payment by using Short Distance Radio Signal}
본 발명은 매장에 구비되거나 매장의 직원이 휴대한 매장단말기의 저장영역에 사용자가 결제할 가맹점을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매장이나 매장단말기를 고유 식별하기 위해 중복되지 않게 고유하게 부여된 고유코드를 저장한 후 결제 시 매장단말기에서 결제금액에 대응하는 금액정보와 상기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지정된 신호규격의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시켜 지정된 신호강도로 지정된 횟수 이상 송출하면 상기 매장에 입객 중인 사용자의 무선단말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결제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통해 식별되는 가맹점으로 상기 결제정보의 금액정보에 대응하는 결제금액을 결제하는 것이다.
사용자의 휴대폰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매장에서 결제하려는 다양한 방식이 제안되었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여 상품을 고르고 카드 대신에 휴대폰번호를 제시하면 통신망을 경유하여 휴대폰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결제정보를 제공하여 결제하는 다양한 방식이 제안되었으나 주요한 개인정보인 휴대폰번호를 노출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한편 휴대폰번호를 제시하지 않고, 매장의 판매자 단말기에서 서버로 상품에 대한 정보를 등록한 후 고객의 모바일 단말기로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전송하면 고객의 모바일 단말기가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수신하여 결제하는 방식인 제안되었으나(특허공개공보 제10-2016-0100646호(2016년08월24일)),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판매자 단말기가 서버로 결제 정보를 등록하고 고객의 모바일 단말기가 서버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하여 결제하기 때문에 판매자 단말기는 서버로 결제 정보를 등록한 후 고객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결제 정보의 결제가 완료되기 전까지 다른 동작 없이 대기해야 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매장에 구비되거나 매장의 직원이 휴대한 매장단말기의 저장영역에 사용자가 결제할 가맹점을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매장이나 매장단말기를 고유 식별하기 위해 중복되지 않게 고유하게 부여된 고유코드를 저장한 후 결제 시 매장단말기에서 결제금액에 대응하는 금액정보와 상기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지정된 신호규격의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시켜 지정된 신호강도로 지정된 횟수 이상 송출하면 상기 매장에 입객 중인 사용자의 무선단말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를 인식하고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통해 식별되는 가맹점으로 상기 결제정보의 금액정보에 대응하는 결제금액을 결제하도록 처리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은, 지정된 근거리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매장단말기와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부를 구비한 사용자 무선단말 및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매장에 구비되거나 매장의 직원이 휴대한 매장단말기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사용자가 결제할 가맹점을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매장이나 매장단말기를 고유 식별하기 위해 중복되지 않게 고유하게 부여된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매장단말기를 이용한 결제 시, 상기 매장단말기가 결제금액에 대응하는 금액정보를 확인하고,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고유코드와 상기 확인된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지정된 신호규격의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매장단말기의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지정된 신호강도로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제2 단계와,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상기 매장단말기의 근거리 무선신호를 처리 가능한 앱모듈을 포함(또는 연동)하는 앱을 구동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모듈이 사용자 무선단말의 근거리 무선부를 통해 수신되는 근거리 무선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데이터를 확인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모듈이 상기 신호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제4 단계와, 상기 결제정보를 인식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모듈이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의 결제요청 절차가 수행되게 처리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매장단말기에서 사용자 무선단말로 신호 인식 전달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확인하고,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확인하거나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식별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제6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확인된 결제수단정보와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승인요청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결제승인서버로 결제승인을 요청하는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매장단말기와 연동하는 운영서버가 결제를 위한 가맹점정보와 상기 매장단말기의 고유코드를 연계하여 네트워크 상의 지정된 저장매체에 등록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제승인요청정보는 상기 확인된 가맹점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는 상기 매장단말기를 통해 비동기 송출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근거리 무선부를 통해 비동기 수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동기 송출은 송신 측과 수신 측 사이의 사전 페어링 없이 송신 측에서 근거리로 무선신호를 송출하거나, 송신 측에서 수신 측을 특정하지 않고 근거리로 무선신호를 방송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동기 수신은 송신 측과 수신 측 사이의 사전 페어링 없이 송신 측에서 근거리로 송출한 무선신호를 수신 측에서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송신 측에서 수신 측을 특정하지 않고 방송한 무선신호를 수신 측에서 수신하여 처리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결제정보에 대응하는 비트열을 지정된 신호규격의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매장단말기의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지정된 신호강도로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매장단말기의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결제정보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지정된 신호강도로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정된 신호강도는 상기 매장단말기를 구비한 매장 내에 구비된 장비들이 기본 동작 조건으로 모두 동작하는 전자파 간섭 상태에서 상기 매장단말기의 신호 송수신부로부터 1m 내지 3m 이내의 거리에 있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근거리 무선부까지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를 유효하게 도달시키되 상기 매장단말기로부터 적어도 5m 이상의 거리에는 유효하게 도달하지 않도록 제한 설정된 신호강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모듈이 상기 신호데이터를 판독하여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모듈이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게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고유코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확인된 가맹점정보를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모듈이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모듈이 상기 결제정보의 금액정보와 상기 가맹점정보를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모듈이 지정된 신호인식모듈을 구비한 인식서버로 상기 신호데이터를 전송하게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인식서버가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신호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서버가 상기 신호데이터를 판독하여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서버가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모듈이 상기 신호데이터로부터 인식된 결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모듈이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게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고유코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확인된 가맹점정보를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모듈이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모듈이 상기 결제정보의 금액정보와 상기 가맹점정보를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모듈이 상기 신호데이터를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게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가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신호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신호데이터를 판독하여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결제정보와 가맹점정보를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모듈이 상기 결제정보와 가맹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모듈이 상기 결제정보의 금액정보와 상기 가맹점정보를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은, 상기 결제정보를 인식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결제정보의 결제를 위해 지정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정된 인증 절차는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입력 기반의 PIN 인증 절차, 사용자 생체를 이용한 생체 인증 절차 중 적어도 하나의 인증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지정된 앱서버의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수단,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상기 운영서버의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수단,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식별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지정된 앱서버로 상기 무선 인식된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요청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앱서버의 지정된 매체에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앱서버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앱서버가 지정된 매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앱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와 상기 결제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처리정보를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앱서버로부터 상기 결제처리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지정된 앱서버로 상기 무선 인식된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요청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영서버의 지정된 매체에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앱서버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앱서버가 상기 결제요청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처리정보를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앱서버로부터 상기 결제처리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지정된 매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모듈이 상기 운영서버로 상기 무선 인식된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요청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운영서버의 지정된 매체에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지정된 매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결제 절차를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고유코드를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시켜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은,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 확인 시,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고유코드에 대응하는 매장단말기로 상기 결과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장에 구비되거나 매장의 직원이 휴대한 매장단말기의 저장영역에 사용자가 결제할 가맹점을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매장이나 매장단말기를 고유 식별하기 위해 중복되지 않게 고유하게 부여된 고유코드를 저장한 후 결제 시 매장단말기에서 결제금액에 대응하는 금액정보와 상기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지정된 신호규격의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시켜 지정된 신호강도로 지정된 횟수 이상 송출하면 상기 매장에 입객 중인 사용자의 무선단말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결제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통해 식별되는 가맹점으로 상기 결제정보의 금액정보에 대응하는 결제금액을 간편하고 편리하게 비동기식으로 결제 처리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매장단말기에서 송출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수신하여 결제금액을 결제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용자 무선단말과 앱모듈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근거리 무선신호 기반 매장 결제를 위한 운영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매장단말기에 고유코드를 저장하고 운영서버에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매장단말기에서 사용자 무선단말로 결제정보를 신호 인식 전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라 매장단말기에서 사용자 무선단말로 신호 인식 전달된 결제정보의 결제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라 매장단말기에서 사용자 무선단말로 신호 인식 전달된 결제정보의 결제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방법에 따라 매장단말기에서 사용자 무선단말로 신호 인식 전달된 결제정보의 결제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하기의 실시예에서 서버 측에 구현되는 특정 구성부를 단말 측에 구현하고 서버 측에서 이를 참조하는 실시예, 또는 반대로 하기의 실시예에서 단말 측에 구현되는 특정 구성부를 서버 측에 구현하고 단말에서 이를 이용하는 실시예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매장단말기(100)에서 송출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사용자 무선단말(200)에서 수신하여 결제금액을 결제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매장에 구비되거나 매장의 직원이 휴대한 매장단말기(100)의 저장영역에 사용자가 결제할 가맹점을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매장이나 매장단말기(100)를 고유 식별하기 위해 중복되지 않게 고유하게 부여된 고유코드를 저장한 후 결제 시 매장단말기(100)에서 결제금액에 대응하는 금액정보와 상기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지정된 신호규격의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시켜 지정된 신호강도로 지정된 횟수 이상 송출하면 상기 매장에 입객 중인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를 인식하고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통해 식별되는 가맹점으로 상기 결제정보의 금액정보에 대응하는 결제금액을 결제하도록 처리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지정된 신호규격에 따른 지정된 신호강도의 근거리 무선신호를 송출(또는 방송)하는 신호 송수신부를 매장에 구비되거나 매장의 직원이 휴대한 매장단말기(100)와,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한 근거리 무선부(210)를 구비한 사용자 무선단말(200)과, 통신망을 통해 상기 매장단말기(100)와 연동하고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과 연동하는 운영서버(300)를 포함하며, 상기 운영서버(300)를 통해 결제승인 요청되는 결제승인 절차를 수행하는 결제승인서버(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상기 매장단말기(100)의 근거리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처리 가능한 앱모듈(260)을 포함하거나 상기 앱모듈(260)과 연동하는 앱(220)이 설치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설치된 상기 앱(220)과 연동하는 앱서버(105)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앱서버(105)의 기능은 상기 운영서버(300)에 통합될 수 있다.
상기 매장단말기(100)는 매장에 구비되거나 매장의 직원이 휴대하며 지정된 신호규격의 근거리 무선신호를 지정된 신호강도로 송출 가능한 무선 통신 단말기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매장의 카드 결제를 위해 구비되는 결제 단말기(예컨대, CAT, POS 등)나 매장의 직원이 휴대하는 무선 결제 단말 중 지정된 신호규격의 근거리 무선신호를 지정된 신호강도로 송출 가능한 신호 송수신부를 구비한 무선 결제 단말기, 지정된 신호규격의 근거리 무선신호를 지정된 신호강도로 송출 가능한 신호 송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신호 송수신부와 연동하는 지정된 앱을 설치한 가맹점의 무선 단말기(예컨대, 가맹점 명의나 가맹점주 명의로 통신사에 가입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단말기), 지정된 신호규격의 근거리 무선신호를 지정된 신호강도로 송출 가능한 신호 송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신호 송수신부와 연동하는 지정된 앱을 설치한 가맹점이나 매장 직원의 무선 단말기(예컨대, 직원 명의로 통신사에 가입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단말기),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신호 기반 결제를 위해 지정된 사업자가 제공한 결제용 무선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매장단말기(100)의 신호 송수신부는 지정된 신호규격의 근거리 무선신호를 지정된 신호강도로 송출하는 기능 이외에 지정된 신호규격의 근거리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편의상 상기 신호송수신부를 통해 근거리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매장단말기(100)의 신호송수신부는 지정된 신호규격의 근거리 무선신호를 근거리로 비동기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본 발명에서 상기 신호 송수신부가 근거리 무선신호를 비동기 송출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서 상기 매장단말기(100)의 신호 송수신부가 근거리 무선신호를 비동기 송출한다는 것은, 상기 신호 송수신부가 특정한 수신 측과 사전에 서로를 식별하여 페어링하지 않고 근거리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방식, 및/또는 상기 신호 송수신부가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신 측을 특정하지 않고 무선신호를 단방향 송출(또는 방송)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비동기 송출은 일방향 송출이므로 송출과 동시(또는 직후)에 어느 수신 측에서 무선신호를 수신했는지 확인할 수 없는 특징이 있다. 이에 상기 신호 송수신부는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는 동일한 근거리 무선신호를 일정 시간(또는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하여 송출(또는 방송)하여 유효한 수신 측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인식할 확률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매장단말기(100)의 신호 송수신부는 블루투스 규격(예컨대, 블루투스 4.0 이후의 규격)의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무선신호를 별도의 블루투스 페어링 과정이나 수신 측을 특정하는 과정 없이 지정된 신호강도로 지정된 횟수 이상 비동기 송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매장단말기(100)의 신호 송수신부가 송출하는 근거리 무선신호가 상기 블루투스 규격을 따르는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무선신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상기 매장단말기(100)의 신호 송수신부가 송출하는 근거리 무선신호는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와이파이 규격을 따르는 와이파이 기반 근거리 무선신호를 포함하거나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규격을 따르는 NFC 기반 근거리 무선신호를 포함할 수 있고, 그외에도 다양한 신호규격의 근거리 무선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귀속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매장단말기(100)는 사용자가 결제할 가맹점을 식별함과 동시에 특정한 매장이나 매장단말기(100)를 고유 식별하기 위해 중복되지 않게 고유하게 부여된 고유코드를 확인(또는 수신)하거나 입력받고, 상기 매장단말기(100) 내부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상기 고유코드를 안전하게 저장(예컨대, 암호화 저장)하여 관리하는 기능이나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코드를 포함하는 앱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고유코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유코드는 중복되지 않게 부여된 고유한 코드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드값은 상기 매장단말기(100)를 고유 식별하거나 상기 매장단말기(100)를 구비한 매장을 고유 식별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상의 지정된 저장매체(예컨대, 운영서버(300)의 저장매체, 또는 운영서버(300)에서 연동 가능한 DB서버(도시생략)의 저장매체 등)에 매장의 결제를 위한 가맹점정보(예컨대, 가맹점번호, 가맹점명칭 등)와 연계 저장됨으로써 가맹점을 고유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고유코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유코드는 중복되지 않게 부여된 고유한 코드값과 가맹점을 식별하는 가맹점코드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드값은 상기 매장단말기(100)를 고유 식별하거나 상기 매장단말기(100)를 구비한 매장을 고유 식별할 수 있으며, 상기 가맹점코드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에서 매장의 결제를 위한 가맹점정보를 판별 가능한 판별코드를 포함하거나 또는 매장의 결제를 위한 가맹점정보로 이용 가능한 가맹점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맹점코드가 매장의 결제를 위한 가맹점정보로 이용 가능한 가맹점번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고유코드를 가맹점정보와 연계하여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에 저장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매장단말기(100)와 연동하는 운영서버(300)는 상기 매장단말기(1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고유코드를 확인하고, 매장의 결제를 위한 가맹점정보와 상기 매장단말기(100)의 고유코드를 연계하여 네트워크 상의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매장단말기(100)는 결제 시 결제금액을 확인하는 기능이나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코드를 포함하는 앱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매장단말기(100)는 결제금액을 입력받거나 또는 각종 센서나 통신기기를 통해 결제금액을 산출하거나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매장단말기(100)는 매장 결제 시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고유코드를 확인하고, 매장의 결제금액을 확인한 후, 상기 저장된 고유코드와 상기 확인된 결제금액에 대응하는 금액정보(예컨대, 결제금액과 동일한 금액정보, 또는 결제금액에 지정된 할인이나 공제를 적용한 금액정보 등)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지정된 신호규격의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매장단말기(100)의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지정된 신호강도로 지정된 횟수 이상 송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호강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택시단말기가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결제정보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상기 지정된 신호강도는 상기 매장단말기(100)를 구비한 매장 내에 구비된 장비들이 기본 동작 조건으로 모두 동작하는 전자파 간섭 상태에서 상기 매장단말기(100)의 신호 송수신부로부터 1m 내지 3m 이내의 거리에 있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근거리 무선부(210)까지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를 유효하게 도달시키되 상기 매장단말기(100)로부터 적어도 5m 이상의 거리에는 유효하게 도달하지 않도록 제한 설정된 신호강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의 결제 유효 범위를 상기 매장단말기(100)에서 일정 거리 이내로 한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매장단말기(100)에서 상기 결제정보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는 비동기 송출(예컨대, 단방향 송출 또는 방송)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매장단말기(100)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근거리 무선부(210)를 통해 상기 근거리 무선호가 유효 수신되어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가 인식되었는지 실시간 확인할 수 없다. 이에 상기 매장단말기(100)는 상기 결제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된 신호규격의 근거리 무선신호를 상기 매장단말기(100)의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지정된 신호강도로 송출(예컨대, 비동기 송출)하되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 송출함으로써 상기 매장단말기(100)의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송출된 근거리 무선신호가 지정된 거리에 있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근거리 무선부(210)로 유효 수신될 확률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지정된 횟수는 특정한 횟수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정된 횟수는 직원에 의한 단말기 조작을 근거로 근거리 무선신호 송출이 초기화 또는 송출 중지되기 전까지 반복 송출하도록 설정되거나, 통신망을 통해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 처리의 결과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반복 송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매장단말기(100)는 상기 결제정보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지정된 신호강도로 지정된 횟수 이상 송출한 후, 통신망을 통해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 처리의 결과정보를 수신하여 화면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매장단말기(100)에 영수증을 인쇄하는 인쇄부가 구비된 경우 상기 인쇄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결과정보에 대응하는 영수증을 인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은 매장에 방문한 사용자가 이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은 상기 매장단말기(100)를 통해 지정된 신호강도로 송출된 근거리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부(210)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은 상기 매장단말기(100)를 통해 송출된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결제하는 기능을 구비한 앱(220)이 설치 실행되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설치되는 앱(220)은 카드사의 결제 앱(220), 은행의 뱅킹 앱(220), PG(Payment Gateway)나 결제 서비스 제공자의 범용 결제 앱(220), 금융 서비스 제공자의 범용 금융 앱(220), 근거리 무선신호 기반의 결제를 제공하려는 서비스 앱(220) 중 적어도 하나의 앱(2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은 상기 근거리 무선부(210)를 통해 수신된 근거리 무선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신호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일련의 절차를 수행하는 앱모듈(260)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앱모듈(260)은 상기 앱(220)의 일부로서 상기 앱(220) 내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앱(220)과 연동하는 별도의 프로그램모듈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앱(220)과 앱모듈(260)을 구별하는 것은 상기 앱(220)과 앱모듈(260)의 제공자가 다를 경우를 대비한 것이며, 상기 앱(220)과 앱모듈(260)을 구별함에 의해 기능이 달라지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무선단말(200)에서 상기 매장단말기(100)의 근거리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처리 가능한 앱모듈(260)을 포함(또는 연동)하는 앱(220)을 구동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은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근거리 무선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근거리 무선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데이터를 확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앱모듈(260)은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근거리 무선부(210)를 통해 비동기 수신되는 근거리 무선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근거리 무선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데이터가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은 상기 확인된 신호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매장단말기(100)에서 송출한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1 신호 인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 내에서 지정된 신호규격을 근거로 신호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신호 인식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을 통해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가 인식된 경우, 상기 앱모듈(260)은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여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은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게 처리(예컨대, 앱모듈(260)이 운영서버(3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앱모듈(260)을 포함(또는 연동)하는 앱(220)에서 앱서버(105)로 전송하여 운영서버(300)로 전달하게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300)는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고유코드를 수신하고, 지정된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된 가맹점정보를 지정된 경로(예컨대, 상기 고유코드를 수신한 경로의 역방향 경로)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은 상기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결제정보의 금액정보와 상기 가맹점정보를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신호 인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은 상기 매장단말기(100)에서 송출한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를 인식 가능한 신호인식모듈을 구비한 인식서버(도시생략)로 상기 신호데이터를 전송하게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인식서버의 신호인식모듈은 상기 신호데이터를 수신하고, 지정된 신호규격을 근거로 신호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로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은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로 상기 인식서버의 신호인식모듈을 통해 인식된 결제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앱모듈(260)은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게 처리(예컨대, 앱모듈(260)이 운영서버(3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앱모듈(260)을 포함(또는 연동)하는 앱(220)에서 앱서버(105)로 전송하여 운영서버(300)로 전달하게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300)는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고유코드를 수신하고, 지정된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된 가맹점정보를 지정된 경로(예컨대, 상기 고유코드를 수신한 경로의 역방향 경로)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은 상기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결제정보의 금액정보와 상기 가맹점정보를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신호 인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은 상기 신호데이터를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게 처리(예컨대, 앱모듈(260)이 운영서버(3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앱모듈(260)을 포함(또는 연동)하는 앱(220)에서 앱서버(105)로 전송하여 운영서버(300)로 전달하게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300)는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신호데이터를 수신하고, 지정된 신호규격을 근거로 신호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로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은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상기 제3 신호 인식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운영서버(300)를 통해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가 인식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제2 신호 인식 실시예와 유사하게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로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은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은 상기 제2 신호 인식 실시예를 준용하여 가맹점정보를 확인 및/또는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신호 인식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운영서버(300)를 통해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가 인식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300)는 지정된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와 상기 확인된 가맹점정보를 지정된 경로(예컨대, 상기 고유코드를 수신한 경로의 역방향 경로)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은 상기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결제정보와 가맹점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결제정보의 금액정보와 상기 가맹점정보를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유코드에 가맹점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은 상기 고유코드에 포함된 가맹점코드를 이용하여 가맹점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가 인식(됨과 동시에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가 확인)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또는 앱모듈(260))은 상기 결제정보의 결제를 위해 지정된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최초 구동(또는 정보 등록 전 구동) 시 사용자의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을 입력받아 검증하고 PIN 인증을 위한 PIN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등록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가 인식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PIN을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등록 저장된 PIN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된 PIN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최초 구동(또는 정보 등록 전 구동) 시 사용자의 PIN을 입력받아 검증하여 상기 앱(220)과 연동하는 앱서버(105)의 지정된 저장매체에 PIN 인증을 위한 PIN인증정보가 등록 저장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가 인식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PIN을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된 PIN을 상기 앱서버(105)로 전송하여 인증 요청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앱서버(105)를 통해 수행된 PIN 인증 절차의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은 상기 앱(220)의 최초 구동(또는 정보 등록 전 구동) 시 사용자의 PIN을 입력받아 검증하여 상기 운영서버(300)의 지정된 저장매체에 PIN 인증을 위한 PIN인증정보가 등록 저장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가 인식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PIN을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된 PIN을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하여 상기 등록된 PIN인증정보를 통해 인증하도록 요청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300)를 통해 수행된 PIN 인증 절차의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최초 구동(또는 정보 등록 전 구동) 시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생체 인식부(212)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를 지정 횟수 이상 인식하여 사용자의 생체 인증을 위한 생체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등록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가 인식된 경우 상기 생체 인식부(212)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인식을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생체 인식부(212)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가 인식된 경우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등록 저장된 생체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생체 인식부(212)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최초 구동(또는 정보 등록 전 구동) 시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생체 인식부(212)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를 지정 횟수 이상 인식하고 상기 앱(220)과 연동하는 앱서버(105)의 지정된 저장매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 인증을 위한 생체인증정보가 등록 저장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가 인식된 경우 상기 생체 인식부(212)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인식을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생체 인식부(212)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가 인식된 경우 상기 생체 인식부(212)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상기 앱서버(105)로 전송하여 인증 요청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앱서버(105)를 통해 수행된 생체 인증 절차의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은 상기 앱(220)의 최초 구동(또는 정보 등록 전 구동) 시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생체 인식부(212)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를 지정 횟수 이상 인식하고 상기 운영서버(300)의 지정된 저장매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 인증을 위한 생체인증정보가 등록 저장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가 인식된 경우 상기 생체 인식부(212)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인식을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생체 인식부(212)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가 인식된 경우 상기 생체 인식부(212)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하여 인증 요청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300)를 통해 수행된 생체 인증 절차의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를 위한 인증 절차가 상기 예시된 제1 내지 제6 인증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인증 절차는 상기 PIN 인증이나 생체 인증 외에 다양한 인증 절차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다양한 인증 절차를 권리범위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가 인식(된 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또는 앱모듈(260))을 이용한 지정된 인증 절차가 인증)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은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이용한 결제요청 절차가 수행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결제요청 절차를 위해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통해 확인된 가맹점정보를 더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지정된 결제 경로 전송함으로써,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으로 상기 결제정보의 금액정보에 대응하는 금액이 결제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를 위한 인증 절차가 상기 앱서버(105)를 통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앱서버(105)를 통한 인증 절차와 상기 앱서버(105)로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연동하여 처리하거나 동시에 처리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의 최초 구동(또는 결제수단 등록 전 구동) 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해 상기 앱(220)과 연동하는 앱서버(105)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수단,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의 최초 구동(또는 결제수단 등록 전 구동) 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해 운영서버(300)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수단,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의 최초 구동(또는 결제수단 등록 전 구동) 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해 사용자에게 결제수단을 발급한 결제수단 발급사(예컨대, 카드사, 은행 등)의 결제수단서버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식별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은 신용카드 결제수단, 체크카드 결제수단, 직불카드 결제수단, 현금카드 결제수단, 선불카드 결제수단, 금융계좌 결제수단, 전자화폐 결제수단 등을 비롯하여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결제에 이용 가능한 모든 결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결제수단 등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앱(220)의 최초 구동(또는 결제수단 등록 전 구동) 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앱서버(105)로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앱서버(105)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앱서버(105)는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앱서버(105)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앱서버(105)는 상기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식별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결제수단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앱(220)이 실시간 접근 가능한 상기 앱서버(105) 상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결제수단 등록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앱서버(105)의 지정된 매체에 사용자의 결제수단이 등록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에서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통해 확인된 가맹점정보를 더 포함하거나 및/또는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 중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해 선택된 결제수단에 대응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를 더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앱서버(105)로 전송하면, 상기 앱서버(10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로부터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정보의 결제를 위해 수행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절차의 인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앱서버(105)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또는 상기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 중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해 선택된 결제수단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수단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으로부터 수신된 결제요청정보에 포함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처리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하여 결제 처리를 요청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결제요청정보에 상기 가맹점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결제처리정보는 상기 결제요청정보에 포함된 가맹점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앱서버(105)로부터 상기 결제처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처리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와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또는 결제처리정보에 포함된 가맹점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와 금액정보 및 가맹점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승인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승인서버(110)로 전송하여 결제승인을 요청하는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 절차가 수행됨과 동시에 상기 고유코드를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시켜 유지(예컨대, 결제승인요청정보에도 포함되고 결과정보에도 포함되며 다른 결제의 결제승인요청정보나 결과정보에 중복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고유한 정보(예컨대, 결제수단정보, 결제식별을 위해 할당된 토큰정보)와 상기 고유코드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승인서버(110)는 상기 운영서버(300)로부터 상기 결제승인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승인요청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으로 상기 금액정보에 대응하는 금액의 결제를 승인하는 결제승인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결제승인 절차의 결과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하며,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결제승인서버(110)로 결제승인 요청한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된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매장단말기(100)로 상기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매장단말기(100)는 상기 운영서버(300)로부터 상기 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며, 만약 상기 매장단말기(100)에 영수증을 인쇄 출력하는 인쇄부가 구비된 경우 상기 결과정보에 대응하는 영수증을 인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결제수단 등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앱(220)의 최초 구동(또는 결제수단 등록 전 구동) 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앱서버(105)로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운영서버(300)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앱서버(105)는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운영서버(300)로 중계하고,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운영서버(300)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식별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앱서버(105)나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앱서버(105)나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결제수단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앱(220)이 실시간 접근 가능한 상기 앱서버(105) 상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결제수단 등록 실시예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또는 앱모듈(260))은 상기 앱(220)의 최초 구동(또는 결제수단 등록 전 구동) 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운영서버(300)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운영서버(300)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식별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또는 앱모듈(26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또는 앱모듈(260))은 상기 결제수단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앱(220)에서 접근 가능한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앱(220)이 실시간 접근 가능한 상기 앱서버(105) 상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결제수단 등록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운영서버(300)의 지정된 매체에 사용자의 결제수단이 등록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에서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통해 확인된 가맹점정보를 더 포함하거나 및/또는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 중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해 선택된 결제수단에 대응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를 더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앱서버(105)로 전송하면, 상기 앱서버(10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로부터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정보의 결제를 위해 수행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절차의 인증 결과를 근거로 상기 결제요청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처리정보를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하여 결제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앱서버(105)로부터 상기 결제처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운영서버(300)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또는 상기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 중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해 선택된 결제수단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수단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또는 결제처리정보에 포함된 가맹점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와 금액정보 및 가맹점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승인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승인서버(110)로 전송하여 결제승인을 요청하는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 절차가 수행됨과 동시에 상기 고유코드를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시켜 유지(예컨대, 결제승인요청정보에도 포함되고 결과정보에도 포함되며 다른 결제의 결제승인요청정보나 결과정보에 중복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고유한 정보(예컨대, 결제수단정보, 결제식별을 위해 할당된 토큰정보)와 상기 고유코드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승인서버(110)는 상기 운영서버(300)로부터 상기 결제승인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승인요청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으로 상기 금액정보에 대응하는 금액의 결제를 승인하는 결제승인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결제승인 절차의 결과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하며,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결제승인서버(110)로 결제승인 요청한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된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매장단말기(100)로 상기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매장단말기(100)는 상기 운영서버(300)로부터 상기 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며, 만약 상기 매장단말기(100)에 영수증을 인쇄 출력하는 인쇄부가 구비된 경우 상기 결과정보에 대응하는 영수증을 인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결제수단 등록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운영서버(300)의 지정된 매체에 사용자의 결제수단이 등록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또는 앱모듈(260))에서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통해 확인된 가맹점정보를 더 포함하거나 및/또는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 중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해 선택된 결제수단에 대응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를 더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하면,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로부터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운영서버(300)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또는 상기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 중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해 선택된 결제수단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수단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또는 결제요청정보에 포함된 가맹점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와 금액정보 및 가맹점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승인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승인서버(110)로 전송하여 결제승인을 요청하는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 절차가 수행됨과 동시에 상기 고유코드를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시켜 유지(예컨대, 결제승인요청정보에도 포함되고 결과정보에도 포함되며 다른 결제의 결제승인요청정보나 결과정보에 중복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고유한 정보(예컨대, 결제수단정보, 결제식별을 위해 할당된 토큰정보)와 상기 고유코드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승인서버(110)는 상기 운영서버(300)로부터 상기 결제승인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승인요청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으로 상기 금액정보에 대응하는 금액의 결제를 승인하는 결제승인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결제승인 절차의 결과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하며,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결제승인서버(110)로 결제승인 요청한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된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매장단말기(100)로 상기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매장단말기(100)는 상기 운영서버(300)로부터 상기 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며, 만약 상기 매장단말기(100)에 영수증을 인쇄 출력하는 인쇄부가 구비된 경우 상기 결과정보에 대응하는 영수증을 인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결제수단 등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앱(220)의 최초 구동(또는 결제수단 등록 전 구동) 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앱서버(105)로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결제수단을 발급한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앱서버(105)는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운영서버(300)로 중계하고,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로 중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앱서버(105)에서 상기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로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직접 중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결제수단서버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결제수단서버는 상기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식별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영서버(300)나 앱서버(105)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300)나 앱서버(105)는 상기 결제수단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앱서버(105)로 제공하거나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앱서버(105)나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결제수단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앱(220)이 실시간 접근 가능한 상기 앱서버(105) 상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결제수단 등록 실시예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또는 앱모듈(260))은 상기 앱(220)의 최초 구동(또는 결제수단 등록 전 구동) 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결제수단을 발급한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로 중계하고, 상기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결제수단서버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결제수단서버는 상기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식별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영서버(300)로 제공하고,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또는 앱모듈(260))로 상기 결제수단식별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또는 앱모듈(260))은 상기 결제수단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앱(220)에서 접근 가능한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앱(220)이 실시간 접근 가능한 상기 앱서버(105) 상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결제수단 등록 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또는 앱모듈(260))은 상기 앱(220)의 최초 구동(또는 결제수단 등록 전 구동) 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결제수단을 발급한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로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결제수단서버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결제수단서버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결제수단서버는 상기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식별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또는 앱모듈(260))로 상기 결제수단식별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또는 앱모듈(260))은 상기 결제수단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앱(220)에서 접근 가능한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앱(220)이 실시간 접근 가능한 상기 앱서버(105) 상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결제수단 등록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결제수단을 발급한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의 지정된 매체에 사용자의 결제수단이 등록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에서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통해 확인된 가맹점정보를 더 포함하거나 및/또는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 중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해 선택된 결제수단에 대응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를 더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앱서버(105)로 전송하면, 상기 앱서버(10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로부터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정보의 결제를 위해 수행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절차의 인증 결과를 근거로 상기 결제요청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처리정보를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하여 결제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앱서버(105)로부터 상기 결제처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식별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또는 상기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 중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해 선택된 결제수단정보를 식별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또는 결제처리정보에 포함된 가맹점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식별정보와 금액정보 및 가맹점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승인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결제수단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 또는 결제승인서버(110)로 전송하여 결제승인을 요청하는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 절차가 수행됨과 동시에 상기 고유코드를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시켜 유지(예컨대, 결제승인요청정보에도 포함되고 결과정보에도 포함되며 다른 결제의 결제승인요청정보나 결과정보에 중복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고유한 정보(예컨대, 결제수단정보, 결제식별을 위해 할당된 토큰정보)와 상기 고유코드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수단서버 또는 결제승인서버(110)는 상기 운영서버(300)로부터 상기 결제승인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승인요청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식별정보를 통해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결제승인서버(110)는 상기 결제수단서버의 지정된 매체로부터 확인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으로 상기 금액정보에 대응하는 금액의 결제를 승인하는 결제승인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결제승인 절차의 결과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하며,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결제승인서버(110)로 결제승인 요청한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된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매장단말기(100)로 상기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매장단말기(100)는 상기 운영서버(300)로부터 상기 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며, 만약 상기 매장단말기(100)에 영수증을 인쇄 출력하는 인쇄부가 구비된 경우 상기 결과정보에 대응하는 영수증을 인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결제수단 등록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결제수단을 발급한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의 지정된 매체에 사용자의 결제수단이 등록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또는 앱모듈(260))에서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통해 확인된 가맹점정보를 더 포함하거나 및/또는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 중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해 선택된 결제수단에 대응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를 더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하면,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로부터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식별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또는 상기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 중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해 선택된 결제수단정보를 식별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또는 결제요청정보에 포함된 가맹점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식별정보와 금액정보 및 가맹점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승인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결제수단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 또는 결제승인서버(110)로 전송하여 결제승인을 요청하는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 절차가 수행됨과 동시에 상기 고유코드를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시켜 유지(예컨대, 결제승인요청정보에도 포함되고 결과정보에도 포함되며 다른 결제의 결제승인요청정보나 결과정보에 중복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고유한 정보(예컨대, 결제수단정보, 결제식별을 위해 할당된 토큰정보)와 상기 고유코드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수단서버 또는 결제승인서버(110)는 상기 운영서버(300)로부터 상기 결제승인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승인요청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식별정보를 통해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승인서버(110)는 상기 결제수단서버의 지정된 매체로부터 확인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으로 상기 금액정보에 대응하는 금액의 결제를 승인하는 결제승인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결제승인 절차의 결과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하며,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결제승인서버(110)로 결제승인 요청한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된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매장단말기(100)로 상기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매장단말기(100)는 상기 운영서버(300)로부터 상기 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며, 만약 상기 매장단말기(100)에 영수증을 인쇄 출력하는 인쇄부가 구비된 경우 상기 결과정보에 대응하는 영수증을 인쇄 출력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용자 무선단말(200)과 앱모듈(26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근거리 무선부(210)를 수신되는 근거리 무선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데이터를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를 인식한 경우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이용한 결제요청 절차가 수행되게 처리하는 앱모듈(260)을 포함하거나 연동하는 앱(220)의 구성과 상기 앱(220)이 설치된 무선단말(2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무선단말(200)과 앱모듈(260)의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 본 도면2의 무선단말(200)은 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지정된 신호규격의 근거리 무선신호를 수신 가능한 근거리 무선부(210)를 구비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200)은, 제어부(202)와 메모리부(218)와 화면 출력부(204)와 사용자 입력부(206)와 음파 처리부(208)와 근거리 무선부(210)와 생체 인식부(212)와 근거리망 통신부(214)와 무선망 통신부(216)와 USIM 리더부 및 USIM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202)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202)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앱(220)과 앱모듈(260)의 구성을 본 제어부(202)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218)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저장 자원에 대응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202)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218)는 기본적으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무선단말(2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앱(220)과 앱모듈(260)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218)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204)는 화면출력기(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2)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2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206)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입력기(예컨대, 버튼, 키패드, 터치패드, 화면 출력부(204)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등)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2)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202)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202)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음파 처리부(208)는 음파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음파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이들을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음파 출력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음파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디지털화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02)로 전달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부(210)는 지정된 신호규격의 근거리 무선신호를 수신 가능한 신호 수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매장단말기(100)의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비동기 송출된 지정된 신호규격의 근거리 무선신호를 비동기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부(210)는 블루투스 규격(예컨대, 블루투스 4.0 이후의 규격)의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무선신호를 별도의 블루투스 페어링 과정 없이 비동기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근거리 무선부(210)가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신호가 상기 블루투스 규격을 따르는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무선신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상기 근거리 무선부(210)가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신호는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와이파이 규격을 따르는 와이파이 기반 근거리 무선신호를 포함하거나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규격을 따르는 NFC 기반 근거리 무선신호를 포함할 수 있고, 그외에도 다양한 신호규격의 근거리 무선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귀속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생체 인식부(212)는 사용자의 생체를 인식하는 센서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센서를 통해 센싱된 생체정보를 상기 제어부(202)로 전달한다. 예를들어, 상기 생체 인식부(212)는 지문센서를 이용하여 지문을 인식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부(216)와 근거리망 통신부(214)는 상기 무선단말(200)을 지정된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단말(200)은 무선망 통신부(216)를 기본 통신 자원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근거리망 통신부(21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부(216)는 상기 무선단말(200)을 기지국을 경유하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2)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202)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216)는 상기 무선단말(200)을 교환기를 경유하는 통화채널과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는 통화망에 연결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교환기를 경유하지 않고 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망 데이터 통신(예컨대, 인터넷)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216)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216)는 IEEE 802.16 관련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부(216)가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즉, 상기 무선망 통신부(216)는 무선 구간의 주파수 대역이나 통신망의 종류 또는 프로토콜에 무관하게 셀 기반의 기지국을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는 구성부의 총칭이다.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214)는 일정 거리 이내(예컨대, 10m)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2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공중무선 통신, UWB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214)는 상기 무선망 통신부(216)와 통합 또는 분리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214)는 무선AP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을 패킷 통신 기반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한다.
상기 USIM 리더부는 ISO/IEC 7816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2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범용가입자식별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교환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데이터셋트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교환된다.
상기 USIM은 상기 ISO/IEC 7816 규격에 따른 IC칩이 구비된 SIM 타입의 카드로서, 상기 USIM 리더부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IC칩용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를 저장하는 IC칩 메모리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무선단말(200)로부터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따라 상기 IC칩용 프로그램코드를 연산하거나 상기 데이터셋트를 추출(또는 가공)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앱(220)에 대응하는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부(225)를 구비한다. 예를들어, 상기 앱(220)이 카드사의 결제 앱(220)인 경우 상기 서비스부(225)는 특정 카드사의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앱(220)이 은행의 뱅킹 앱(220)인 경우 상기 서비스부(225)는 특정 은행의 뱅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앱(220)이 PG나 결제 서비스 제공자의 범용 결제 앱(220)인 경우 상기 서비스부(225)는 PG나 결제 서비스 제공자의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앱(220)이 금융 서비스 제공자의 범용 금융 앱(220)인 경우 상기 서비스부(225)는 금융 서비스 제공자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비스부(225)는 상기 앱(220)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특정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구성부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앱(220)을 이용한 결제 유효성을 인증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인증정보를 등록하는 인증정보 등록부(230)와, 상기 앱(220)을 이용한 결제에 이용될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지정된 매체에 등록하는 결제수단 등록부(235)를 구비하며, 상기 인증정보 등록부(230)와 결제수단 등록부(235) 중 적어도 하나의 등록부는 상기 앱모듈(26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인증정보 등록부(230)는 상기 앱(220)의 최초 구동(또는 인증정보 등록 전 구동) 시 상기 앱(220)을 이용한 결제 유효성을 인증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인증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정보 등록부(230)는 상기 앱(220)의 최초 구동(또는 인증정보 등록 전 구동) 시 사용자의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을 입력받아 검증하고 PIN 인증을 위한 PIN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정보 등록부(230)는 상기 앱(220)의 최초 구동(또는 인증정보 등록 전 구동) 시 사용자의 PIN을 입력받아 검증하여 상기 앱(220)과 연동하는 앱서버(105)의 지정된 저장매체에 PIN 인증을 위한 PIN인증정보가 등록 저장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정보 등록부(230)는 상기 앱(220)에 포함되거나 연동하는 앱모듈(26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인증정보 등록부(230)는 상기 앱(220)의 최초 구동(또는 인증정보 등록 전 구동) 시 사용자의 PIN을 입력받아 검증하여 상기 운영서버(300)의 지정된 저장매체에 PIN 인증을 위한 PIN인증정보가 등록 저장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정보 등록부(230)는 상기 앱(220)의 최초 구동(또는 인증정보 등록 전 구동) 시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생체 인식부(212)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를 지정 횟수 이상 인식하여 사용자의 생체 인증을 위한 생체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정보 등록부(230)는 상기 앱(220)의 최초 구동(또는 인증정보 등록 전 구동) 시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생체 인식부(212)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를 지정 횟수 이상 인식하고 상기 앱(220)과 연동하는 앱서버(105)의 지정된 저장매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 인증을 위한 생체인증정보가 등록 저장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정보 등록부(230)는 상기 앱(220)에 포함되거나 연동하는 앱모듈(26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인증정보 등록부(230)는 상기 앱(220)의 최초 구동(또는 인증정보 등록 전 구동) 시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생체 인식부(212)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를 지정 횟수 이상 인식하고 상기 운영서버(300)의 지정된 저장매체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 인증을 위한 생체인증정보가 등록 저장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결제수단 등록부(235)는 상기 앱(220)의 최초 구동(또는 결제수단 등록 전 구동) 시 상기 앱(220)을 이용한 결제에 이용될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지정된 매체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결제수단 등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수단 등록부(235)는 상기 앱(220)의 최초 구동(또는 결제수단 등록 전 구동) 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앱서버(105)로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앱서버(105)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앱서버(105)는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앱서버(105)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앱서버(105)는 상기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식별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수단 등록부(235)는 상기 결제수단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앱(220)이 실시간 접근 가능한 상기 앱서버(105) 상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결제수단 등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수단 등록부(235)는 상기 앱(220)의 최초 구동(또는 결제수단 등록 전 구동) 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앱서버(105)로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운영서버(300)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앱서버(105)는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운영서버(300)로 중계하고,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운영서버(300)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식별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앱서버(105)나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앱서버(105)나 상기 결제수단 등록부(235)는 상기 결제수단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앱(220)이 실시간 접근 가능한 상기 앱서버(105) 상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결제수단 등록 실시예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결제수단 등록부(235)(또는 앱모듈(260))은 상기 앱(220)의 최초 구동(또는 결제수단 등록 전 구동) 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운영서버(300)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운영서버(300)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식별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또는 앱모듈(26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수단 등록부(235)(또는 앱모듈(260))은 상기 결제수단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앱(220)에서 접근 가능한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앱(220)이 실시간 접근 가능한 상기 앱서버(105) 상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결제수단 등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수단 등록부(235)는 상기 앱(220)의 최초 구동(또는 결제수단 등록 전 구동) 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앱서버(105)로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결제수단을 발급한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앱서버(105)는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운영서버(300)로 중계하고,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로 중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앱서버(105)에서 상기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로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직접 중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결제수단서버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결제수단서버는 상기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식별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영서버(300)나 앱서버(105)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300)나 앱서버(105)는 상기 결제수단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앱서버(105)로 제공하거나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앱서버(105)나 상기 결제수단 등록부(235)는 상기 결제수단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앱(220)이 실시간 접근 가능한 상기 앱서버(105) 상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결제수단 등록 실시예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결제수단 등록부(235)(또는 앱모듈(260))은 상기 앱(220)의 최초 구동(또는 결제수단 등록 전 구동) 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결제수단을 발급한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로 중계하고, 상기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결제수단서버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결제수단서버는 상기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식별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영서버(300)로 제공하고,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또는 앱모듈(260))로 상기 결제수단식별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수단 등록부(235)(또는 앱모듈(260))은 상기 결제수단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앱(220)에서 접근 가능한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앱(220)이 실시간 접근 가능한 상기 앱서버(105) 상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결제수단 등록 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결제수단 등록부(235)(또는 앱모듈(260))은 상기 앱(220)의 최초 구동(또는 결제수단 등록 전 구동) 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결제수단을 발급한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로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결제수단서버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결제수단서버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결제수단서버는 상기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식별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또는 앱모듈(260))로 상기 결제수단식별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수단 등록부(235)(또는 앱모듈(260))은 상기 결제수단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앱(220)에서 접근 가능한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앱(220)이 실시간 접근 가능한 상기 앱서버(105) 상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매장단말기(100)에서 결제정보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지정된 신호강도로 송출하는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부(210)를 통해 상기 근거리 무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앱모듈(260)을 통해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가 유효하게 인식되는지 확인하는 신호인식 확인부(240)를 구비하고,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와 상기 결제정보의 금액정보를 확인하여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245)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정보 출력부(245)는 상기 앱모듈(260)에 구비될 수 있다.
매장단말기(100)에서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포함시킨 근거리 무선신호를 지정된 신호강도로 송출하는 경우, 상기 신호인식 확인부(240)는 상기 앱모듈(260)과 연동하여 상기 매장단말기(100)에서 송출된 근거리 무선신호가 상기 근거리 무선부(210)를 통해 수신되어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가 인식되는지 확인한다.
한편 상기 신호인식 확인부(240)를 통해 상기 앱모듈(260)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를 인식함이 확인되고, 상기 앱모듈(260)을 통해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정보 출력부(245)는 상기 앱모듈(260)을 통해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와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의 금액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화면 출력부(204)를 통해 출력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앱모듈(260)을 통해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를 인식함이 확인(됨과 동시에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가 확인)된 경우, 상기 결제정보의 결제를 위해 지정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인증 처리부(250)를 구비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증 처리부(250)는 상기 앱모듈(26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앱모듈(260)을 통해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를 인식함이 확인(됨과 동시에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가 확인)된 경우, 상기 인증 처리부(250)는 상기 앱(220) 내에 지정된 인증 절차 중 상기 앱모듈(260)을 통해 인식된 결제정보의 결제를 위해 지정된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1 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정보 등록부(23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PIN 인증을 위한 PIN인증정보가 등록 저장된 경우, 상기 인증 처리부(250)는 사용자로부터 PIN을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등록 저장된 PIN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된 PIN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정보 등록부(230)를 통해 상기 앱(220)과 연동하는 앱서버(105)의 지정된 저장매체에 PIN 인증을 위한 PIN인증정보가 등록 저장된 경우, 상기 인증 처리부(250)는 사용자로부터 PIN을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된 PIN을 상기 앱서버(105)로 전송하여 인증 요청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앱서버(105)를 통해 수행된 PIN 인증 절차의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정보 등록부(230)(또는 앱모듈(260))을 통해 상기 운영서버(300)의 지정된 저장매체에 PIN 인증을 위한 PIN인증정보가 등록 저장된 경우, 상기 인증 처리부(250)는 사용자로부터 PIN을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된 PIN을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하여 상기 등록된 PIN인증정보를 통해 인증하도록 요청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300)를 통해 수행된 PIN 인증 절차의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정보 등록부(23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사용자의 생체 인증을 위한 생체인증정보가 등록 저장된 경우, 상기 인증 처리부(250)는 상기 생체 인식부(212)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인식을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생체 인식부(212)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가 인식된 경우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등록 저장된 생체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생체 인식부(212)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정보 등록부(230)를 통해 상기 앱(220)과 연동하는 앱서버(105)의 지정된 저장매체에 사용자의 생체 인증을 위한 생체인증정보가 등록 저장된 경우, 상기 인증 처리부(250)는 상기 생체 인식부(212)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인식을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생체 인식부(212)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가 인식된 경우 상기 생체 인식부(212)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상기 앱서버(105)로 전송하여 인증 요청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앱서버(105)를 통해 수행된 생체 인증 절차의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정보 등록부(230)(또는 앱모듈(260))을 통해 상기 운영서버(300)의 지정된 저장매체에 사용자의 생체 인증을 위한 생체인증정보가 등록 저장된 경우, 상기 인증 처리부(250)는 상기 생체 인식부(212)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인식을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생체 인식부(212)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가 인식된 경우 상기 생체 인식부(212)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하여 인증 요청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300)를 통해 수행된 생체 인증 절차의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 처리부(250)의 인증 절차가 상기 예시된 제1 내지 제6 인증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인증 처리부(250)의 인증 절차는 상기 PIN 인증이나 생체 인증 외에 다양한 인증 절차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다양한 인증 절차를 권리범위로 포함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가 인식(된 후 상기 인증 처리부(250)(또는 앱모듈(260))을 이용한 지정된 인증 절차가 인증)되는 경우, 상기 앱모듈(260)을 통해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이용한 결제요청 절차를 수행하는 결제요청 절차부(255)를 구비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결제요청 절차부(255)는 상기 앱모듈(26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결제요청 절차부(255)는 상기 앱모듈(260)을 통해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통해 확인된 가맹점정보를 더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지정된 결제 경로 전송함으로써,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으로 상기 결제정보의 금액정보에 대응하는 금액이 결제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결제수단 등록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앱서버(105)의 지정된 매체에 사용자의 결제수단이 등록된 경우, 상기 결제요청 절차부(255)는 상기 앱모듈(260)을 통해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통해 확인된 가맹점정보를 더 포함하거나 및/또는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 중 상기 앱(220)을 통해 선택된 결제수단에 대응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를 더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앱서버(105)로 전송하면, 상기 앱서버(10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로부터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정보의 결제를 위해 수행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절차의 인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앱서버(105)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또는 상기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 중 상기 앱(220)을 통해 선택된 결제수단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수단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와 상기 수신된 결제요청정보에 포함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처리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하여 결제 처리를 요청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결제요청정보에 상기 가맹점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결제처리정보는 상기 결제요청정보에 포함된 가맹점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앱서버(105)로부터 상기 결제처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처리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와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또는 결제처리정보에 포함된 가맹점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와 금액정보 및 가맹점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승인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승인서버(110)로 전송하여 결제승인을 요청하는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 절차가 수행됨과 동시에 상기 고유코드를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시켜 유지(예컨대, 결제승인요청정보에도 포함되고 결과정보에도 포함되며 다른 결제의 결제승인요청정보나 결과정보에 중복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고유한 정보(예컨대, 결제수단정보, 결제식별을 위해 할당된 토큰정보)와 상기 고유코드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승인서버(110)는 상기 운영서버(300)로부터 상기 결제승인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승인요청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으로 상기 금액정보에 대응하는 금액의 결제를 승인하는 결제승인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결제승인 절차의 결과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하며,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결제승인서버(110)로 결제승인 요청한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된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매장단말기(100)로 상기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결제처리정보를 수신한 경로의 역방향 경로로 상기 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요청 절차부(255)는 상기 역방향 경로를 통해 상기 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결제수단 등록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운영서버(300)의 지정된 매체에 사용자의 결제수단이 등록된 경우, 상기 결제요청 절차부(255)는 상기 앱모듈(260)을 통해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통해 확인된 가맹점정보를 더 포함하거나 및/또는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 중 상기 앱(220)을 통해 선택된 결제수단에 대응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를 더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앱서버(105)로 전송하면, 상기 앱서버(10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로부터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정보의 결제를 위해 수행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절차의 인증 결과를 근거로 상기 결제요청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처리정보를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하여 결제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앱서버(105)로부터 상기 결제처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운영서버(300)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또는 상기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 중 상기 앱(220)을 통해 선택된 결제수단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수단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또는 결제처리정보에 포함된 가맹점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와 금액정보 및 가맹점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승인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승인서버(110)로 전송하여 결제승인을 요청하는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 절차가 수행됨과 동시에 상기 고유코드를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시켜 유지(예컨대, 결제승인요청정보에도 포함되고 결과정보에도 포함되며 다른 결제의 결제승인요청정보나 결과정보에 중복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고유한 정보(예컨대, 결제수단정보, 결제식별을 위해 할당된 토큰정보)와 상기 고유코드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승인서버(110)는 상기 운영서버(300)로부터 상기 결제승인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승인요청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으로 상기 금액정보에 대응하는 금액의 결제를 승인하는 결제승인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결제승인 절차의 결과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하며,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결제승인서버(110)로 결제승인 요청한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된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매장단말기(100)로 상기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결제처리정보를 수신한 경로의 역방향 경로로 상기 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요청 절차부(255)는 상기 역방향 경로를 통해 상기 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결제수단 등록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운영서버(300)의 지정된 매체에 사용자의 결제수단이 등록된 경우, 상기 결제요청 절차부(255)(또는 앱모듈(260))은 상기 앱모듈(260)을 통해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통해 확인된 가맹점정보를 더 포함하거나 및/또는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 중 상기 앱(220)을 통해 선택된 결제수단에 대응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를 더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하면,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로부터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운영서버(300)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또는 상기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 중 상기 앱(220)을 통해 선택된 결제수단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수단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또는 결제요청정보에 포함된 가맹점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와 금액정보 및 가맹점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승인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승인서버(110)로 전송하여 결제승인을 요청하는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 절차가 수행됨과 동시에 상기 고유코드를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시켜 유지(예컨대, 결제승인요청정보에도 포함되고 결과정보에도 포함되며 다른 결제의 결제승인요청정보나 결과정보에 중복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고유한 정보(예컨대, 결제수단정보, 결제식별을 위해 할당된 토큰정보)와 상기 고유코드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승인서버(110)는 상기 운영서버(300)로부터 상기 결제승인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승인요청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으로 상기 금액정보에 대응하는 금액의 결제를 승인하는 결제승인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결제승인 절차의 결과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하며,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결제승인서버(110)로 결제승인 요청한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된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매장단말기(100)로 상기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한 경로의 역방향 경로로 상기 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요청 절차부(255)는 상기 역방향 경로를 통해 상기 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결제수단 등록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결제수단을 발급한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의 지정된 매체에 사용자의 결제수단이 등록된 경우, 상기 결제요청 절차부(255)는 상기 앱모듈(260)을 통해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통해 확인된 가맹점정보를 더 포함하거나 및/또는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 중 상기 앱(220)을 통해 선택된 결제수단에 대응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를 더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앱서버(105)로 전송하면, 상기 앱서버(10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로부터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정보의 결제를 위해 수행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절차의 인증 결과를 근거로 상기 결제요청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처리정보를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하여 결제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앱서버(105)로부터 상기 결제처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식별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또는 상기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 중 상기 앱(220)을 통해 선택된 결제수단정보를 식별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또는 결제처리정보에 포함된 가맹점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식별정보와 금액정보 및 가맹점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승인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결제수단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 또는 결제승인서버(110)로 전송하여 결제승인을 요청하는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 절차가 수행됨과 동시에 상기 고유코드를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시켜 유지(예컨대, 결제승인요청정보에도 포함되고 결과정보에도 포함되며 다른 결제의 결제승인요청정보나 결과정보에 중복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고유한 정보(예컨대, 결제수단정보, 결제식별을 위해 할당된 토큰정보)와 상기 고유코드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수단서버 또는 결제승인서버(110)는 상기 운영서버(300)로부터 상기 결제승인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승인요청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식별정보를 통해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결제승인서버(110)는 상기 결제수단서버의 지정된 매체로부터 확인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으로 상기 금액정보에 대응하는 금액의 결제를 승인하는 결제승인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결제승인 절차의 결과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하며,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결제승인서버(110)로 결제승인 요청한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된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매장단말기(100)로 상기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결제처리정보를 수신한 경로의 역방향 경로로 상기 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요청 절차부(255)는 상기 역방향 경로를 통해 상기 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결제수단 등록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결제수단을 발급한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의 지정된 매체에 사용자의 결제수단이 등록된 경우, 상기 결제요청 절차부(255)(또는 앱모듈(260))은 상기 앱모듈(260)을 통해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통해 확인된 가맹점정보를 더 포함하거나 및/또는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 중 상기 앱(220)을 통해 선택된 결제수단에 대응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를 더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하면,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로부터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식별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또는 상기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 중 상기 앱(220)을 통해 선택된 결제수단정보를 식별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또는 결제요청정보에 포함된 가맹점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식별정보와 금액정보 및 가맹점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승인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결제수단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 또는 결제승인서버(110)로 전송하여 결제승인을 요청하는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 절차가 수행됨과 동시에 상기 고유코드를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시켜 유지(예컨대, 결제승인요청정보에도 포함되고 결과정보에도 포함되며 다른 결제의 결제승인요청정보나 결과정보에 중복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고유한 정보(예컨대, 결제수단정보, 결제식별을 위해 할당된 토큰정보)와 상기 고유코드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수단서버 또는 결제승인서버(110)는 상기 운영서버(300)로부터 상기 결제승인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승인요청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식별정보를 통해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승인서버(110)는 상기 결제수단서버의 지정된 매체로부터 확인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으로 상기 금액정보에 대응하는 금액의 결제를 승인하는 결제승인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결제승인 절차의 결과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하며,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결제승인서버(110)로 결제승인 요청한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된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매장단말기(100)로 상기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한 경로의 역방향 경로로 상기 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요청 절차부(255)는 상기 역방향 경로를 통해 상기 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은, 상기 매장단말기(100)의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근거리 무선신호가 비동기 송출되는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부(210)를 통해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가 비동기 수신되도록 활성화하는 비동기 활성화부(265)를 구비하며,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가 비동기식으로 송수신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근거리 무선부(210)가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를 비동기 수신하도록 기본 설정된 경우 생략 가능하다.
사용자 무선단말(200)에서 상기 앱(220)을 구동한 경우, 상기 비동기 활성화부(265)는 상기 근거리 무선부(210)를 통해 지정된 신호규격의 근거리 무선신호를 비동기 수신할 수 있도록 활성화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동기 활성화부(265)는 상기 매장단말기(100)의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비동기 송출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비동기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부(210)의 비동기 신호 수신 기능을 활성화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은, 상기 근거리 무선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근거리 무선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데이터를 확인하는 신호데이터 확인부(270)와, 상기 신호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를 인식하기 위해 지정된 일련의 절차를 수행하는 신호인식 처리부(275)를 구비하며,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를 인식한 경우에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280)를 더 구비하거나,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가 인식(됨과 동시에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가 확인)된 경우 상기 앱(220)으로 결제를 위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도록 요청하거나 및/또는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를 이용한 결제요청 절차를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요청 처리부(285)를 더 구비한다.
상기 신호데이터 확인부(270)는 상기 근거리 무선부(210)를 통해 수신(예컨대, 비동기 수신)된 근거리 무선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데이터를 확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데이터 확인부(270)는 상기 근거리 무선부(210)를 통해 수신(예컨대, 비동기 수신)되는 근거리 무선신호 중 지정된 매장단말기(100)의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송출(예컨대, 비동기 송출)되는 근거리 무선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데이터의 지정된 영역에 포함되는 특정한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매장단말기(100)의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송출(예컨대, 비동기 송출)된 근거리 무선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신호데이터 확인부(270)를 통해 상기 근거리 무선부(210)를 통해 수신된 근거리 무선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데이터가 확인되면, 상기 신호인식 처리부(275)는 상기 확인된 신호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매장단말기(100)에서 송출한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1 신호 인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인식 처리부(27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 내에서 지정된 신호규격을 근거로 신호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신호 인식 실시예에 따라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가 인식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280)는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여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확인부(280)는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게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300)는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고유코드를 수신하고, 지정된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된 가맹점정보를 지정된 경로(예컨대, 상기 고유코드를 수신한 경로의 역방향 경로)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확인부(280)는 상기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정보 출력부(245)를 통해 상기 결제정보의 금액정보와 상기 가맹점정보를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신호 인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인식 처리부(275)는 상기 매장단말기(100)에서 송출한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를 인식 가능한 신호인식모듈을 구비한 인식서버(도시생략)로 상기 신호데이터를 전송하게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인식서버의 신호인식모듈은 상기 신호데이터를 수신하고, 지정된 신호규격을 근거로 신호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로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상기 신호인식 처리부(275)는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상기 제2 신호 인식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인식서버의 신호인식모듈을 통해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가 인식된 경우, 상기 인식서버의 신호인식모듈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로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인식 처리부(275)는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로 상기 인식서버의 신호인식모듈을 통해 인식된 결제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280)는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게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300)는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고유코드를 수신하고, 지정된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된 가맹점정보를 지정된 경로(예컨대, 상기 고유코드를 수신한 경로의 역방향 경로)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확인부(280)는 상기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정보 출력부(245)를 통해 상기 결제정보의 금액정보와 상기 가맹점정보를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신호 인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인식 처리부(275)는 상기 신호데이터를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게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300)는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신호데이터를 수신하고, 지정된 신호규격을 근거로 신호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로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인식 처리부(275)는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상기 제3 신호 인식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운영서버(300)를 통해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가 인식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제2 신호 인식 실시예와 유사하게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로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인식 처리부(275)는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신호인식 처리부(275)는 상기 제2 신호 인식 실시예를 준용하여 가맹점정보를 확인 및/또는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신호 인식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운영서버(300)를 통해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가 인식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300)는 지정된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와 상기 확인된 가맹점정보를 지정된 경로(예컨대, 상기 고유코드를 수신한 경로의 역방향 경로)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확인부(280)는 상기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결제정보와 가맹점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정보 출력부(245)를 통해 상기 결제정보의 금액정보와 상기 가맹점정보를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유코드에 가맹점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280)는 상기 고유코드에 포함된 가맹점코드를 이용하여 가맹점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가 인식(됨과 동시에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가 확인)된 경우, 상기 요청 처리부(285)는 상기 앱(220)의 인증 처리부(250)를 통해 결제를 위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도록 요청하거나 및/또는 결제요청 절차부(255)를 통해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를 이용한 결제요청 절차를 수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근거리 무선신호 기반 매장 결제를 위한 운영서버(3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매장에 구비되거나 매장의 직원이 휴대한 매장단말기(100)에서 가맹점을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매장이나 매장단말기(100)를 고유 식별하는 고유코드와 결제금액에 대응하는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시켜 송출 시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결제정보를 신호 인식한 사용자 무선단말(200)과 연동하여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해 상기 신호 인식된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는 운영서버(300) 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운영서버(300)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300)는, 매장에 구비되거나 매장의 직원이 휴대한 매장단말기(1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고유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매장단말기(100)를 구비한 매장의 결제를 위한 가맹점정보를 확인하여 네트워크 상의 지정된 저장매체에 상기 매장단말기(100)의 고유코드와 상기 매장의 결제를 위한 가맹점정보를 연계하여 등록 저장하는 정보 등록부(305)를 구비한다.
매장에 구비되거나 매장의 직원이 휴대한 매장단말기(1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사용자가 결제할 가맹점을 식별함과 동시에 특정한 매장이나 매장단말기(100)를 고유 식별하기 위해 중복되지 않게 고유하게 부여된 고유코드가 저장된(또는 저장될 예정인) 경우, 상기 정보 등록부(305)는 상기 매장단말기(100)로부터 상기 매장단말기(1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고유코드를 수신하거나 또는 지정된 운영단말로부터 상기 매장단말기(100)의 고유코드를 등록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보 등록부(305)는 상기 매장단말기(100)로부터 상기 매장단말기(100)를 구비한 매장의 결제를 위한 가맹점정보를 등록받거나 또는 지정된 운영단말로부터 상기 가맹점정보를 등록받을 수 있다. 상기 정보 등록부(305)는 상기 운영서버(300)의 저장매체나 상기 운영서버(300)에서 접근 가능한 DB서버(도시생략)의 저장매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상의 지정된 저장매체에 상기 매장단말기(100)의 고유코드와 상기 매장의 결제를 위한 가맹점정보를 연계하여 등록 저장할 수 있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300)는,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매장단말기(100)에서 사용자 무선단말(200)로 신호 인식 전달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확인하고 지정된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고유코드를 확인한 경로의 역방향 경로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310)를 구비한다.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매장단말기(100)에서 사용자 무선단말(200)로 결제정보가 신호 인식 전달된 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은 상기 매장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은 고유코드를 운영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정보 제공부(31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로부터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고유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 등록부(305)를 통해 지정된 저장매체에 등록 저장된 고유코드 중 상기 수신된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고유코드를 수신한 경로의 역방향 경로로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은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매장단말기(100)에서 사용자 무선단말(200)로 결제정보가 신호 인식 전달된 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또는 앱모듈(260))은 상기 매장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은 고유코드를 지정된 앱서버(105)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앱서버(105)는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고유코드를 중계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정보 제공부(310)는 상기 앱서버(105)로부터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고유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 등록부(305)를 통해 지정된 저장매체에 등록 저장된 고유코드 중 상기 수신된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고유코드를 수신한 경로의 역방향 경로로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또는 앱모듈(260))은 상기 앱서버(105)를 경유하여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300)는,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매장단말기(100)에서 사용자 무선단말(200)로 신호 인식 전달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확인하고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확인하거나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식별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를 확인하는 결제요청 확인부(315)와, 상기 확인된 결제수단정보와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승인요청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결제승인서버(110)로 결제승인을 요청하는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결제 절차부(320)와, 상기 결제 절차가 수행됨과 동시에 상기 고유코드를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시켜 유지하는 코드 유지부(325)와, 상기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를 확인하는 결과 확인부(330)와, 상기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 확인 시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고유코드에 대응하는 매장단말기(100)로 상기 결과정보를 제공하는 결과 제공부(335)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 결제수단 등록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앱서버(105)의 지정된 매체에 사용자의 결제수단이 등록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에서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통해 확인된 가맹점정보를 더 포함하거나 및/또는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 중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해 선택된 결제수단에 대응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를 더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앱서버(105)로 전송하면, 상기 앱서버(10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로부터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정보의 결제를 위해 수행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절차의 인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앱서버(105)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또는 상기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 중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해 선택된 결제수단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수단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으로부터 수신된 결제요청정보에 포함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처리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하여 결제 처리를 요청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결제요청정보에 상기 가맹점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결제처리정보는 상기 결제요청정보에 포함된 가맹점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요청 확인부(315)는 상기 앱서버(105)로부터 상기 결제처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처리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와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또는 결제처리정보에 포함된 가맹점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 절차부(320)는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와 금액정보 및 가맹점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승인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승인서버(110)로 전송하여 결제승인을 요청하는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코드 유지부(325)는 상기 결제 절차가 수행됨과 동시에 상기 고유코드를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시켜 유지(예컨대, 결제승인요청정보에도 포함되고 결과정보에도 포함되며 다른 결제의 결제승인요청정보나 결과정보에 중복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고유한 정보(예컨대, 결제수단정보, 결제식별을 위해 할당된 토큰정보)와 상기 고유코드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승인서버(110)는 상기 운영서버(300)로부터 상기 결제승인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승인요청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으로 상기 금액정보에 대응하는 금액의 결제를 승인하는 결제승인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결제승인 절차의 결과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하며, 상기 결과 확인부(330)는 상기 결제승인서버(110)로 결제승인 요청한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과 제공부(335)는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된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매장단말기(100)로 상기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결제수단 등록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운영서버(300)의 지정된 매체에 사용자의 결제수단이 등록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에서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통해 확인된 가맹점정보를 더 포함하거나 및/또는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 중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해 선택된 결제수단에 대응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를 더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앱서버(105)로 전송하면, 상기 앱서버(10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로부터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정보의 결제를 위해 수행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절차의 인증 결과를 근거로 상기 결제요청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처리정보를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하여 결제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결제요청 확인부(315)는 상기 앱서버(105)로부터 상기 결제처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운영서버(300)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또는 상기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 중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해 선택된 결제수단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수단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또는 결제처리정보에 포함된 가맹점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 절차부(320)는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와 금액정보 및 가맹점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승인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승인서버(110)로 전송하여 결제승인을 요청하는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코드 유지부(325)는 상기 결제 절차가 수행됨과 동시에 상기 고유코드를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시켜 유지(예컨대, 결제승인요청정보에도 포함되고 결과정보에도 포함되며 다른 결제의 결제승인요청정보나 결과정보에 중복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고유한 정보(예컨대, 결제수단정보, 결제식별을 위해 할당된 토큰정보)와 상기 고유코드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승인서버(110)는 상기 운영서버(300)로부터 상기 결제승인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승인요청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으로 상기 금액정보에 대응하는 금액의 결제를 승인하는 결제승인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결제승인 절차의 결과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하며, 상기 결과 확인부(330)는 상기 결제승인서버(110)로 결제승인 요청한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과 제공부(335)는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된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매장단말기(100)로 상기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결제수단 등록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운영서버(300)의 지정된 매체에 사용자의 결제수단이 등록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또는 앱모듈(260))에서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통해 확인된 가맹점정보를 더 포함하거나 및/또는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 중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해 선택된 결제수단에 대응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를 더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하면, 상기 결제요청 확인부(31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로부터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운영서버(300)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또는 상기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 중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해 선택된 결제수단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수단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또는 결제요청정보에 포함된 가맹점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 절차부(320)는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와 금액정보 및 가맹점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승인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승인서버(110)로 전송하여 결제승인을 요청하는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코드 유지부(325)는 상기 결제 절차가 수행됨과 동시에 상기 고유코드를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시켜 유지(예컨대, 결제승인요청정보에도 포함되고 결과정보에도 포함되며 다른 결제의 결제승인요청정보나 결과정보에 중복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고유한 정보(예컨대, 결제수단정보, 결제식별을 위해 할당된 토큰정보)와 상기 고유코드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승인서버(110)는 상기 운영서버(300)로부터 상기 결제승인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승인요청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으로 상기 금액정보에 대응하는 금액의 결제를 승인하는 결제승인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결제승인 절차의 결과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하며, 상기 결과 확인부(330)는 상기 결제승인서버(110)로 결제승인 요청한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과 제공부(335)는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된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매장단말기(100)로 상기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결제수단 등록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결제수단을 발급한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의 지정된 매체에 사용자의 결제수단이 등록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에서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통해 확인된 가맹점정보를 더 포함하거나 및/또는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 중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해 선택된 결제수단에 대응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를 더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앱서버(105)로 전송하면, 상기 앱서버(10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로부터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정보의 결제를 위해 수행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 절차의 인증 결과를 근거로 상기 결제요청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처리정보를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하여 결제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결제요청 확인부(315)는 상기 앱서버(105)로부터 상기 결제처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식별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또는 상기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 중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해 선택된 결제수단정보를 식별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또는 결제처리정보에 포함된 가맹점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 절차부(320)는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식별정보와 금액정보 및 가맹점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승인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결제수단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 또는 결제승인서버(110)로 전송하여 결제승인을 요청하는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코드 유지부(325)는 상기 결제 절차가 수행됨과 동시에 상기 고유코드를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시켜 유지(예컨대, 결제승인요청정보에도 포함되고 결과정보에도 포함되며 다른 결제의 결제승인요청정보나 결과정보에 중복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고유한 정보(예컨대, 결제수단정보, 결제식별을 위해 할당된 토큰정보)와 상기 고유코드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수단서버 또는 결제승인서버(110)는 상기 운영서버(300)로부터 상기 결제승인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승인요청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식별정보를 통해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결제승인서버(110)는 상기 결제수단서버의 지정된 매체로부터 확인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으로 상기 금액정보에 대응하는 금액의 결제를 승인하는 결제승인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결제승인 절차의 결과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하며, 상기 결과 확인부(330)는 상기 결제승인서버(110)로 결제승인 요청한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과 제공부(335)는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된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매장단말기(100)로 상기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결제수단 등록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결제수단을 발급한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의 지정된 매체에 사용자의 결제수단이 등록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또는 앱모듈(260))에서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통해 확인된 가맹점정보를 더 포함하거나 및/또는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 중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해 선택된 결제수단에 대응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를 더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하면, 상기 결제요청 확인부(31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로부터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식별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또는 상기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 중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을 통해 선택된 결제수단정보를 식별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또는 결제요청정보에 포함된 가맹점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 절차부(320)는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식별정보와 금액정보 및 가맹점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승인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결제수단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 또는 결제승인서버(110)로 전송하여 결제승인을 요청하는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코드 유지부(325)는 상기 결제 절차가 수행됨과 동시에 상기 고유코드를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시켜 유지(예컨대, 결제승인요청정보에도 포함되고 결과정보에도 포함되며 다른 결제의 결제승인요청정보나 결과정보에 중복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고유한 정보(예컨대, 결제수단정보, 결제식별을 위해 할당된 토큰정보)와 상기 고유코드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수단서버 또는 결제승인서버(110)는 상기 운영서버(300)로부터 상기 결제승인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승인요청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식별정보를 통해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의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승인서버(110)는 상기 결제수단서버의 지정된 매체로부터 확인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으로 상기 금액정보에 대응하는 금액의 결제를 승인하는 결제승인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결제승인 절차의 결과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하며, 상기 결과 확인부(330)는 상기 결제승인서버(110)로 결제승인 요청한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과 제공부(335)는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된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매장단말기(100)로 상기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실시예가 상기 예시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예시된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조합/변형되는 실시예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귀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매장단말기(100)에 고유코드를 저장하고 운영서버(300)에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매장단말기(1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사용자가 결제할 가맹점을 식별함과 동시에 특정한 매장이나 매장단말기(100)를 고유 식별하기 위해 중복되지 않게 고유하게 부여된 고유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매장단말기(100)를 구비한 매장의 결제를 위한 가맹점정보와 상기 매장단말기(100)의 고유코드를 연계하여 네트워크 상의 지정된 저장매체에 등록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매장단말기(100)는 사용자가 결제할 가맹점을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매장이나 매장단말기(100)를 고유 식별하는 고유코드를 확인하고(400), 상기 매장단말기(1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상기 고유코드를 저장한다(405).
한편 운영서버(300)는 상기 매장단말기(100)에 저장된(또는 저장될 예정인) 고유코드를 확인하고(410), 상기 고유코드를 저장한(또는 저장할 예정인) 매장단말기(100)를 구비한 매장의 결제를 위한 가맹점정보를 확인한 후(415), 상기 매장단말기(100)의 고유코드와 상기 가맹점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420).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매장단말기(100)에서 사용자 무선단말(200)로 결제정보를 신호 인식 전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매장단말기(100)에서 결제금액에 대응하는 금액정보와 매장단말기(1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구성하여 지정된 신호강도로 지정 횟수 이상 송출하면 사용자 무선단말(200)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를 인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편의상 본 도면5는 택시단말기에서 근거리 무선신호를 비동기 송출하고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근거리 무선부(210)를 통해 상기 비동기 송출된 근거리 무선신호를 비동기 수신하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에서 근거리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방식이 반드시 비동기식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5를 참조하면, 매장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지불할 결제금액에 대응하는 금액정보를 확인한다(500).
한편 상기 사용자가 지불할 결제금액에 대응하는 금액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매장단말기(100)는 상기 매장단말기(1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고유코드를 확인하고(505), 상기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구성하고(510), 지정된 신호규격의 근거리 무선신호에 상기 결제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매장단말기(100)의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지정된 신호강도로 지정된 횟수 이상 비동기 송출하도록 처리한다(515).
한편 사용자 무선단말(200)은 상기 매장단말기(100)의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비동기 송출되는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를 인식하는 앱모듈(260)을 포함(또는 연동)하는 앱(220)을 구동하고(520), 상기 무선단말(200)의 근거리 무선부(210)에 대한 앱모듈(260)의 접근 권한을 획득한다(525). ?약 상기 앱모듈(260)의 접근 권한이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은 상기 근거리 무선부(210)를 통해 근거리 무선신호를 비동기 수신하는 기능을 활성화한다(530).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은 상기 근거리 무선부(210)를 통해 비동기 수신되는 근거리 무선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데이터를 확인한다(535). 만약 상기 신호데이터가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은 상기 신호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540). 예를들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신호 인식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를 인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540).
만약 상기 신호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가 인식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은 상기 신호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고(545), 상기 운영서버(300)는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을 통해 신호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수신하고(550), 상기 신호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를 확인한 후(555), 상기 고유코드를 수신한 경로의 역방향 경로로 상기 가맹점정보를 전송하며(560),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은 상기 역방향 경로를 통해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를 수신하고(565), 상기 신호 인식된 결제정보의 금액정보와 상기 수신된 가맹점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570).
도면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라 매장단말기(100)에서 사용자 무선단말(200)로 신호 인식 전달된 결제정보의 결제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과 연동하는 앱서버(105)의 지정된 매체에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가 등록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에서 상기 앱서버(105)로 상기 신호 인식 전달된 결제정보의 결제를 요청하는 경우에 상기 결제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앱모듈(260)을 통해 신호 인식된 결제정보의 결제를 위해 지정된 인증 절차를 수행하며(600),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앱(220)과 연동하는 앱서버(105)는 상기 결제정보의 결제를 위해 지정된 인증 절차의 서버 측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600).
만약 상기 신호 인식된 결제정보의 결제를 위한 인증 절차의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신호 인식된 결제정보의 결제요청을 위한 결제요청정보를 구성하고(605), 상기 앱서버(105)로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전송하며(610), 상기 앱서버(10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으로부터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한다(615).
한편 상기 앱서버(105)는 지정된 매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확인하고(620),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을 통해 신호 인식된 결제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처리정보를 구성하여(625),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하고(630),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앱서버(105)로부터 상기 결제처리정보를 수신한다(635).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을 통해 신호 인식된 결제정보의 금액정보 및 상기 신호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승인요청정보를 구성하고(640), 상기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승인서버(110)로 상기 결제승인요청정보를 전송하여 결제승인을 요청하는 결제 절차를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하여 유지한다(645).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결제승인서버(110)로부터 상기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650). 만약 상기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 유지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확인하고(655),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고유코드에 대응하는 매장단말기(100)로 상기 결과정보를 제공한다(660). 상기 매장단말기(100)는 상기 운영서버(300)로부터 상기 결제정보의 결제를 처리한 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며(665), 상기 매장단말기(100)에 영수증을 인쇄 가능한 인쇄부가 구비된 경우 상기 결과정보를 포함하는 영수증을 인쇄 출력할 수 있다(665).
도면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라 매장단말기(100)에서 사용자 무선단말(200)로 신호 인식 전달된 결제정보의 결제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운영서버(300)의 지정된 매체에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가 등록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에서 지정된 앱서버(105)로 상기 신호 인식 전달된 결제정보의 결제를 요청하는 경우에 상기 결제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7을 참조하면,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앱모듈(260)을 통해 신호 인식된 결제정보의 결제를 위해 지정된 인증 절차를 수행하며(700),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앱(220)과 연동하는 앱서버(105)는 상기 결제정보의 결제를 위해 지정된 인증 절차의 서버 측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700).
만약 상기 신호 인식된 결제정보의 결제를 위한 인증 절차의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신호 인식된 결제정보의 결제요청을 위한 결제요청정보를 구성하고(705), 상기 앱서버(105)로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전송하며(710), 상기 앱서버(10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으로부터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한다(715).
한편 상기 앱서버(105)는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운영서버(300)로 전달하기 위한 결제처리정보를 구성하고(720),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결제처리정보를 전송하고(725),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앱서버(105)로부터 상기 결제처리정보를 수신한다(730).
상기 운영서버(300)는 지정된 매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확인하고(735), 상기 확인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을 통해 신호 인식된 결제정보의 금액정보 및 상기 신호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승인요청정보를 구성하고(740), 상기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승인서버(110)로 상기 결제승인요청정보를 전송하여 결제승인을 요청하는 결제 절차를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하여 유지한다(745).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결제승인서버(110)로부터 상기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750). 만약 상기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 유지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확인하고(755),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고유코드에 대응하는 매장단말기(100)로 상기 결과정보를 제공한다(760). 상기 매장단말기(100)는 상기 운영서버(300)로부터 상기 결제정보의 결제를 처리한 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며(765), 상기 매장단말기(100)에 영수증을 인쇄 가능한 인쇄부가 구비된 경우 상기 결과정보를 포함하는 영수증을 인쇄 출력할 수 있다(765).
도면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방법에 따라 매장단말기(100)에서 사용자 무선단말(200)로 신호 인식 전달된 결제정보의 결제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운영서버(300)의 지정된 매체에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가 등록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이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신호 인식 전달된 결제정보의 결제를 요청하는 경우에 상기 결제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8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8을 참조하면,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은 상기 앱모듈(260)을 통해 신호 인식된 결제정보의 결제를 위해 지정된 인증 절차를 수행하며(800),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앱(220)과 연동하는 앱서버(105)는 상기 결제정보의 결제를 위해 지정된 인증 절차의 서버 측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신호 인식된 결제정보의 결제를 위한 인증 절차의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은 상기 신호 인식된 결제정보의 결제요청을 위한 결제요청정보를 구성하고(805),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전송하며(810),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220)으로부터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한다(815).
상기 운영서버(300)는 지정된 매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확인하고(820), 상기 확인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200)의 앱모듈(260)을 통해 신호 인식된 결제정보의 금액정보 및 상기 신호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승인요청정보를 구성하고(825), 상기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승인서버(110)로 상기 결제승인요청정보를 전송하여 결제승인을 요청하는 결제 절차를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하여 유지한다(830).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결제승인서버(110)로부터 상기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835). 만약 상기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 유지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확인하고(840), 상기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고유코드에 대응하는 매장단말기(100)로 상기 결과정보를 제공한다(845). 상기 매장단말기(100)는 상기 운영서버(300)로부터 상기 결제정보의 결제를 처리한 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며(850), 상기 매장단말기(100)에 영수증을 인쇄 가능한 인쇄부가 구비된 경우 상기 결과정보를 포함하는 영수증을 인쇄 출력할 수 있다(850).
100 : 매장단말기 105 : 앱서버
110 : 결제승인서버 200 : 사용자 무선단말
210 : 근거리 무선부 220 : 앱
230 : 인증정보 등록부 235 : 결제수단 등록부
240 : 신호인식 확인부 245 : 정보 출력부
250 : 인증 처리부 255 : 결제요청 절차부
260 : 앱모듈 265 : 버퍼링 처리부
270 : 신호데이터 확인부 275 : 신호인식 처리부
280 : 정보 확인부 285 : 요청 처리부
300 : 운영서버 305 : 정보 등록부
310 :정보 제공부 315 : 결제요청 확인부
320 : 결제 절차부 325 : 코드 유지부
330 : 결과 확인부 335 : 결과 제공부

Claims (23)

  1. 지정된 근거리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매장단말기와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부를 구비한 사용자 무선단말 및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매장에 구비되거나 매장의 직원이 휴대한 매장단말기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사용자가 결제할 가맹점을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매장이나 매장단말기를 고유 식별하기 위해 중복되지 않게 고유하게 부여된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제1 단계;
    상기 매장단말기를 이용한 결제 시, 상기 매장단말기가 결제금액에 대응하는 금액정보를 확인하고,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고유코드와 상기 확인된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지정된 신호규격의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매장단말기의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지정된 신호강도로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제2 단계;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상기 매장단말기의 근거리 무선신호를 처리 가능한 앱모듈을 포함(또는 연동)하는 앱을 구동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모듈이 사용자 무선단말의 근거리 무선부를 통해 수신되는 근거리 무선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데이터를 확인하는 제3 단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모듈이 상기 신호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제4 단계;
    상기 결제정보를 인식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모듈이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의 결제요청 절차가 수행되게 처리하는 제5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매장단말기에서 사용자 무선단말로 신호 인식 전달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금액정보를 확인하고,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확인하거나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식별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확인된 결제수단정보와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승인요청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결제승인서버로 결제승인을 요청하는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매장단말기와 연동하는 운영서버가 결제를 위한 가맹점정보와 상기 매장단말기의 고유코드를 연계하여 네트워크 상의 지정된 저장매체에 등록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제승인요청정보는, 상기 확인된 가맹점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는,
    상기 매장단말기를 통해 비동기 송출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근거리 무선부를 통해 비동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비동기 송출은,
    송신 측과 수신 측 사이의 사전 페어링 없이 송신 측에서 근거리로 무선신호를 송출하거나, 송신 측에서 수신 측을 특정하지 않고 근거리로 무선신호를 방송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비동기 수신은,
    송신 측과 수신 측 사이의 사전 페어링 없이 송신 측에서 근거리로 송출한 무선신호를 수신 측에서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송신 측에서 수신 측을 특정하지 않고 방송한 무선신호를 수신 측에서 수신하여 처리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결제정보에 대응하는 비트열을 지정된 신호규격의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매장단말기의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지정된 신호강도로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
  8.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매장단말기의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결제정보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지정된 신호강도로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신호강도는,
    상기 매장단말기를 구비한 매장 내에 구비된 장비들이 기본 동작 조건으로 모두 동작하는 전자파 간섭 상태에서 상기 매장단말기의 신호 송수신부로부터 1m 내지 3m 이내의 거리에 있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근거리 무선부까지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를 유효하게 도달시키되 상기 매장단말기로부터 적어도 5m 이상의 거리에는 유효하게 도달하지 않도록 제한 설정된 신호강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모듈이 상기 신호데이터를 판독하여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모듈이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게 처리하는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고유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확인된 가맹점정보를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모듈이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모듈이 상기 결제정보의 금액정보와 상기 가맹점정보를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모듈이 지정된 신호인식모듈을 구비한 인식서버로 상기 신호데이터를 전송하게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인식서버가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신호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식서버가 상기 신호데이터를 판독하여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서버가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모듈이 상기 신호데이터로부터 인식된 결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모듈이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를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게 처리하는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고유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확인된 가맹점정보를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모듈이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모듈이 상기 결제정보의 금액정보와 상기 가맹점정보를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모듈이 상기 신호데이터를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게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가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신호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신호데이터를 판독하여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결제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인식된 결제정보의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결제정보와 가맹점정보를 지정된 경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모듈이 상기 결제정보와 가맹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모듈이 상기 결제정보의 금액정보와 상기 가맹점정보를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정보를 인식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결제정보의 결제를 위해 지정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인증 절차는,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입력 기반의 PIN 인증 절차,
    사용자 생체를 이용한 생체 인증 절차 중 적어도 하나의 인증 절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지정된 앱서버의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수단,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상기 운영서버의 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수단,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결제수단 발급사의 결제수단서버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식별하는 결제수단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지정된 앱서버로 상기 무선 인식된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요청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앱서버의 지정된 매체에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앱서버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앱서버가 지정된 매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앱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와 상기 결제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처리정보를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앱서버로부터 상기 결제처리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이 지정된 앱서버로 상기 무선 인식된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요청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영서버의 지정된 매체에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앱서버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앱서버가 상기 결제요청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처리정보를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앱서버로부터 상기 결제처리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운영서버가 지정된 매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모듈이 상기 운영서버로 상기 무선 인식된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요청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운영서버의 지정된 매체에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운영서버가 지정된 매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결제 절차를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고유코드를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시켜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절차의 결과정보 확인 시,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결제 절차와 연계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고유코드에 대응하는 매장단말기로 상기 결과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1020170046273A 2017-04-10 2017-04-10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201801145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273A KR20180114573A (ko) 2017-04-10 2017-04-10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273A KR20180114573A (ko) 2017-04-10 2017-04-10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573A true KR20180114573A (ko) 2018-10-19

Family

ID=64102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273A KR20180114573A (ko) 2017-04-10 2017-04-10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45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828B1 (ko) * 2019-04-23 2020-06-25 권준 무선 인터컴 시스템
EP3975090A4 (en) * 2019-05-23 2023-05-03 Harexinfotech Inc. SELLER CALCULATOR AND PAYMENT SYSTEM INCLUDING 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828B1 (ko) * 2019-04-23 2020-06-25 권준 무선 인터컴 시스템
EP3975090A4 (en) * 2019-05-23 2023-05-03 Harexinfotech Inc. SELLER CALCULATOR AND PAYMENT SYSTEM INCLUDING 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4573A (ko)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20180001658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114577A (ko)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택시요금 결제 방법
KR20200070561A (ko)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20180114575A (ko)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20180113653A (ko) 음파를 이용한 택시요금 결제 방법
KR20180113237A (ko) 음파를 이용한 택시요금 결제 방법
KR101815021B1 (ko) 포인트 카드 매칭 시스템
KR20180114576A (ko)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택시요금 결제 방법
KR20180001647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6602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4354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113651A (ko) 음파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20180113652A (ko) 음파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20180114886A (ko) 음파를 이용한 택시요금 결제 방법
KR20180006592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6593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1648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6596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6595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6594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113650A (ko) 음파를 이용한 택시요금 결제 방법
KR20180001643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4348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1633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