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664B1 - 굴삭 레벨 검측 장치 - Google Patents

굴삭 레벨 검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664B1
KR102125664B1 KR1020200004272A KR20200004272A KR102125664B1 KR 102125664 B1 KR102125664 B1 KR 102125664B1 KR 1020200004272 A KR1020200004272 A KR 1020200004272A KR 20200004272 A KR20200004272 A KR 20200004272A KR 102125664 B1 KR102125664 B1 KR 102125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communication unit
interface unit
postur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룡
Original Assignee
이상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룡 filed Critical 이상룡
Priority to KR1020200004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6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664B1/ko
Priority to PCT/KR2020/018404 priority patent/WO2021145575A1/ko
Priority to US17/787,371 priority patent/US20230029071A1/en
Priority to JP2022535160A priority patent/JP7357979B2/ja
Priority to CN202080091325.9A priority patent/CN115279978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4Sensors and their calibration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work too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2F9/2029Controlling the position of implements in function of its load, e.g. modifying the attitude of implements in accordance to vehicle spe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검측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검측 장치는 건설 기계의 버켓(bucket), 암(arm), 붐(boom)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작업부의 자세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작업부의 레벨 정보가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부를 타겟으로 상기 자세 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굴삭 레벨 검측 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EXCAVATION LEVEL}
본 발명은 건설 기계의 자세, 작업 위치 등의 레벨 정보를 검측하거나 파악할 수 있는 검측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설 기계가 초기 설계된 작업 수치에 맞춰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레벨기가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건설 기계에 해당하는 굴삭기(굴착기)는 흙을 파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중장비로서 여러 건설 기계(굴삭기, 로더, 도저 등)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토공 장비이다. 도로, 공항, 단지 조성 등과 같이 대부분의 토목 및 건축 공사에 앞서 진행되는 가장 기본적인 공사인 토공사에 굴삭기가 사용된다.
굴삭기로부터 토공사작업인 터파기작업(이하 굴삭작업이라 함)을 진행함에는 공사현장 중 굴삭하고자 하는 작업위치나 영역 및 굴삭 깊이를 측량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즉 굴삭작업에는 굴삭기의 운전을 위한 운전자와 함께 굴삭기의 작업을 유도하기 위한 작업유도자가 투입되며, 나아가 공사현장의 설계도면을 확인하면서 굴삭 깊이를 운전자에게 전달해주기 위한 측량기사가 투입되어 굴착작업 후 레벨기 및 측량막대를 이용해 수동적인 측량작업을 수행하면서 굴삭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그런데 기존과 같이 측량기사가 직접 현장에 투입되어 측량작업을 수동측정 방식에 의해 진행한 후 전달하게 되면, 굴삭기의 운전자가 경험적인 판단에 의해 굴삭작업이 이루어져 정확한 굴삭작업이 어려우며, 굴삭기에 의해 굴삭할 때마다 매번 측량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반적인 작업시간이 지연되어 공기가 길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굴삭기에 센서 등을 설치한 후 굴삭작업에 따른 변위를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장비를 굴삭기에 장착하여 굴삭기의 운전자가 직접 모니터할 수 있는 방식인 자동측정방식이 해외로부터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629716호에는 위성항법장치(GPS) 없이 좌표를 측량하여 작업에 필요한 측량 정보를 취득하는 기술이 나타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629716호
본 발명은 건설 기계의 각종 자세 정보를 취합해서 인터페이스부에 넘겨주는 검측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검측 장치는 건설 기계의 버켓(bucket), 암(arm), 붐(boom)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작업부의 자세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작업부의 레벨 정보가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부를 타겟으로 상기 자세 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검측 장치는 건설 기계에 설치된 각종 센서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취합하고, 취합된 정보를 무선으로 인터페이스부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검측 장치의 무선 통신 규격에 부합되는 다양한 종류의 인터페이스부를 사용해서 건설 기계에 대한 레벨 정보의 표시가 가능하다. 일 예로, 검측 장치의 블루투스 통신하거나 와이파이 통신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각종 스마트 기기가 인터페이스부로 사용될 수 있다.
기존 유선 기반의 모니터와 달리, 유선 라인으로 인한 간섭이 배제되므로 인터페이스부는 조종실 내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검측 장치는 건설 기계에 설치된 각종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값에 해당하는 로우 데이터(law data)를 그대로 인터페이스부에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는 다양한 제작자가 참여하는 풀(pool), 예를 들어 구글의 'Play store'에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해당 로우 데이터를 처리하고 표시하는 각종 스마트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인터페이스부는 로우 데이터를 이용해서 다양한 종류의 레벨 정보를 생성하고, 다양한 디자인의 메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검측 장치는 복수의 건설 기계가 함께 작업하는 상황을 고려해서, 특정 검측 장치에서 무선 송신된 자세 정보가 다른 건설 기계에서 잘못 사용되는 문제를 해소하는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검측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검측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자세 정보 및 가공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제1 통신부로부터 인터페이스부로 무선 송신되는 제1 패킷 형식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제1 통신부로부터 인터페이스부로 무선 송신되는 제2 패킷 형식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인터페이스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인터페이스부에 표시되는 메인 화면을 나타난 개략도이다.
도 9는 인터페이스부에 표시되는 버켓 설정 화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인터페이스부에 표시되는 몸체 설정 화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검측 장치(1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검측 장치(1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검측 장치(100)는 획득부(190), 제1 통신부(110), 제2 통신부(120), 위치 파악 수단(130), 조절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획득부(190)는 건설 기계(1)의 버켓(bucket)(9), 암(arm)(7), 붐(boom)(5)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작업부의 자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건설 기계(1)는 건설, 토목 현장에서 사용되는 각종 기계로, 굴삭기, 로더, 기중기, 도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부는 건설 기계(1)에서 지면에 지지되는 바퀴나 몸체(3)를 제외하고, 실제 건설 작업에서 동작하는 각종 붐(boom), 암(arm), 버켓(bucke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퀴가 달린 몸체(3) 또는 지면에 고정된 몸체(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직선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기둥 또는 막대 형상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암(arm)은 붐을 사이에 두고 몸체(3)에 대면되는 각종 부재로, 붐의 단부에 회전 또는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버켓(bucket)은 암의 단부에 설치되고, 땅을 파거나, 흙을 퍼내는 작업을 수행하는 바가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버켓은 해당 바가지뿐만 아니라 암의 단부에 설치되는 각종 도구를 나타낼 수 있다.
획득부(190)는 버켓(9), 암(7), 붐(5) 중 어느 하나에 직접 설치되는 센서(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획득부(190)는 자세 정보를 직접 획득할 수 있다. 또는, 획득부(190)는 해당 센서(20)로부터 측정값을 전달받는 방식으로 자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자세 정보는 붐의 길이, 몸체(3)에 대한 붐의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 정보는 암의 길이, 몸체(3) 또는 붐에 대한 암의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 정보는 버켓의 길이, 몸체(3), 붐, 암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버켓의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붐의 길이, 암의 길이, 버켓의 길이는 사전에 획득될 수 있다.
붐의 각도, 암의 각도, 버켓의 각도는 엔코더, 경사 센싱 수단(21) 등을 이용해 측정될 수 있다. 경사 센싱 수단(21)은 붐과 암 및 버켓의 각 절점마다 설치되어 경사각을 측정할 수 있다. 경사 센싱 수단(21)은 건설 기계(1)로부터 작업부에 대한 구동 상태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동시에 좌표를 측량하는 인터페이스부(200)를 위한 획득부(190)에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획득부(190)는 추가로 건설 기계(1)의 몸체(3) 또는 조종실(2)에 설치된 GPS 등의 위치 파악 수단(130)으로부터 건설 기계(1)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위치 파악 수단(130)은 획득부(190)에 설치되거나, 자이로 센싱 수단(23) 또는 경사 센싱 수단(21)에 설치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z축이 형성하는 3차원 공간 상에서 건설 기계(1) 몸체(3)의 x축 좌표, y축 좌표, z축 좌표,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한 몸체(3)의 각도,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한 몸체(3)의 각도,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한 몸체(3)의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x축, y축, z축에 대한 몸체(3)의 회전 각도는 자이로 센싱 수단(23) 등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자이로 센싱 수단(23)은 몸체(3) 상에 설치되어 자세에 따른 회전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상의 자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면, 삼각함수를 이용한 연산을 통해 실제 건설 작업을 수행하는 버켓 또는 암의 높이나 거리 등과 같은 현재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작업부의 레벨 정보가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부(200)를 타겟으로 자세 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자세 정보와 별개로 위치 정보를 인터페이스부(200)에 무선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제1 통신부(110)는 위치 정보를 자세 정보에 포함시키고, 위치 정보가 추가된 자세 정보를 인터페이스부(200)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예로, 획득부(190)는 붐, 암, 버켓에 설치된 센서(20)로부터 작업부의 자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부(190)는 건설 기계(1)의 몸체(3) 또는 조종실(2)에 설치된 위치 파악 수단(130)으로부터 건설 기계(1)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위치 정보를 인터페이스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00)에 표시되는 레벨 정보에는 자세 정보, 자세 정보의 제1 가공 정보, 위치 정보, 위치 정보의 제2 가공 정보, 자세 정보와 위치 정보 모두에 기초한 제3 가공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자세 정보 중 버켓의 각도 정보는 암을 기준으로 하는 버켓의 각도를 나타낼 수 있다. 해당 자세 정보가 그대로 레벨 정보로서 인터페이스부(200)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자세 정보 중 암의 각도 정보는 붐을 기준으로 하는 암의 각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버켓의 각도 정보와 암의 각도 정보를 적절하게 연산하면, 붐을 기준으로 하는 버켓의 각도가 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세 정보를 입력으로 연산이 이루어진 결과값이 가공 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제1 가공 정보에는 자세 정보에 기초해서 연산된 결과값이 포함될 수 있다.
제2 가공 정보에는 위치 정보에 기초해서 연산된 결과값이 포함될 수 있다.
제3 가공 정보에는 자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함께 적용해서 연산된 결과값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자세 정보 및 가공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경사 센싱 수단(21)은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각 경사 센싱 수단(21)은 몸체(3)를 기준으로 하는 붐의 각도(θ1)와, 붐과 암 사이의 각도(θ2), 암(7)과 버켓 사이의 각도(θ3)를 각각 측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부 경사 센싱 수단(21)은 몸체(3)와 붐이 서로 연결되는 절점에 설치되어 몸체(3)와 붐의 각도(θ1)를 측정할 수 있다. 일부 경사 센싱 수단(21)은 붐과 암이 서로 연결되는 절점에 설치되어 붐과 암의 각도(θ2)를 측정할 수 있다. 일부 경사 센싱 수단(21)은 암과 버켓이 서로 연결되는 절점에 설치되어 암과 버켓의 각도(θ3)를 측정할 수 있다.
자이로 센싱 수단(23)은 건설 기계(1)의 몸체(3)의 회전 운동에 의한 회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자이로 센싱 수단(23)은 몸체(3)의 회전 운동에 의한 회전 각도(θ4)를 측정할 수 있다. 자이로 센싱 수단(23)은 건설 기계(1)에서 회전구동가능하게 설계된 몸체(3)에서 진북 방향 즉 상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몸체(3)의 자세를 감지하여 회전 각도(θ4)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자이로 센싱 수단(23)은 중력 방향에 평행한 z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회전 각도(θ4)를 측정하고 있다. 이외에도 자이로 센싱 수단(23)은 x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회전 각도, y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회전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자세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수한 인터페이스부(200)는 경사 센싱 수단(21), 자이로 센싱 수단(23) 등과 같은 센서(20)로부터 입수된 측정값을 기반으로 몸체(3)의 위치에 대한 장비 기준점(작업부 기준점, P2) 좌표를 측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00)는 제1 통신부(110)로부터 자세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며, 해당 정보를 처리해서 레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레벨 정보는 사용자가 굴삭 등의 건설 작업시 직접 참조하는 수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레벨 정보는 현재 버켓의 공간 좌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00)는 굴삭 작업을 위해 위치한 몸체(3)의 기준이 되는 좌표를 측량하되 버켓이 위치한 지점을 초기 기준점(P1)으로 설정하고, 초기 기준점(P1)을 기준으로 경사 센싱 수단(21)을 통해 획득된 각도(θ1)(θ2)(θ3)와 함께 기파악된 장비의 길이(a)(b)(c)를 이용하여 몸체(3)의 고정 위치인 장비 기준점(P2) 좌표를 측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초기 기준점(P1)은 작업자에 의해 좌표값을 측량한 후 인터페이스부(200)를 통해 설정 입력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00)는 몸체(3)의 회전 운동에 따라 변경된 버켓의 새로운 위치 좌표를 측량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건설 기계(1)에서 몸체(3)에 대한 장비 기준점(P2)을 기준으로 몸체(3)가 회전 구동한 이후의 버켓에 대한 위치 좌표를 측량할 수 있게 인터페이스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00)는 버켓의 위치에서부터 몸체(3) 사이에 존재하는 각 작업부의 길이와 경사 센싱 수단(21)으로부터 입수된 각도(θ1)(θ2)(θ3)를 통해 장비 기준점(P2)에 대한 좌표를 계산할 수 있다. 즉, 인터페이스부(200)는 기저장된 건설 기계(1)의 붐과 암 및 버켓 각각의 길이 고정값에 의해 취득되는 길이(a)(b)(c)와 경사 센싱 수단(21)으로부터 입수되는 붐과 암 및 버켓에 대한 모든 각도(θ1)(θ2)(θ3) 측정값을 통해 버켓이 위치한 초기 기준점(P1)으로부터 몸체(3)의 위치를 측량하여 장비 기준점(P2)에 대한 좌표를 계산할 수 있다. 장비 기준점(P2)는 x축 위치, y축 위치, z축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장비 기준점(P2)에는 각 축을 기준으로 하는 회전 각도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00)는 몸체(3)가 위치한 장비기준점(P2)을 기준으로 버켓의 위치에 대한 좌표값이 연속적으로 측량되도록 연산 작업을 지속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맞춰, 센서(20), 획득부(190), 제1 통신부(110)도 실시간으로 자세 정보를 인터페이스부(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00)는 자이로 센싱 수단(23)으로부터 몸체(3)의 회전이 감지되면, 몸체(3)의 회전 구동에 의해 변경된 버켓의 좌표값을 재측량하고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통신부(110)는 설정 프로토콜을 만족하는 통신 모듈이 장착된 다양한 종류의 인터페이스부(200)와 통신할 수 있다.
설정 프로토콜을 따르는 패킷의 일 예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는 제1 통신부(110)로부터 인터페이스부(200)로 무선 송신되는 제1 패킷 형식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1 패킷 형식은 직렬 병합 데이터 포맷 방식일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자세 정보를 구성하는 복수의 세부 정보에 대해 구분자를 부여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구분자와 세부 정보가 포함된 패킷을 인터페이스부(200)에 무선 전송할 수 있다. 구분자는 인터페이스부(200)에서 복수의 세부 정보를 조합해서 자세 정보를 복원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통신부(110)는 시작 알림 'ST', 붐의 각도 '98.1', 암의 각도 '47', 버켓의 각도 '-70', 건설 기계(1)의 몸체(3)의 x축 각도 '30', 몸체(3)의 y축 각도 '40', 몸체(3)의 z축 각도 '50', 몸체(3)의 위도 '4124.3963,N', 경도 '08151.6838,W', 고도 '280.2M', 방위각 '170', 기타 정보 '1', '0', '1', 종료 알림 'END'의 순서로 배열되는 패킷 p를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세부 항목은 ':' 등의 구분자에 의해 서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복수의 센서(20)로부터 입수된 각종 자세 정보, 위치 정보를 설정 프로토콜 형식에 맞춰 배열하여 패킷화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인터페이스부(200)에 해당 패킷을 무선 전송할 수 있다.
설정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인터페이스부(200)는 도 5의 패킷이 수신되면, 'ST'를 시작 알림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00)는 ST를 기준으로 바로 다음의 수치 '98.1'을 붐의 각도로 파악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00)는 '98.1' 다음의 '47'을 암의 각도로 파악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00)는 '47' 다음의 '-70'을 버켓의 각도로 파악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00)는 '-70' 다음의 '30'을 몸체(3)의 x축 각도로 파악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00)는 '30' 다음의 '40'을 몸체(3)의 y축 각도로 파악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00)는 '40' 다음의 '50'을 몸체(3)의 z축 각도로 파악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00)는 '50' 다음의 '4124.3963,N'을 몸체(3)의 위도로 파악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00)는 '4124.3963,N' 다음의 '08151.6838,W'를 몸체(3)의 경도로 파악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00)는 '08151.6838,W' 다음의 '280.2M'를 몸체(3)의 고도로 파악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00)는 '280.2M' 다음의 '170'을 방위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00)는 '170' 다음의 '1', '0', '1'을 영점 신호 등의 기타 정보로 파악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00)는 'END'가 감지되면 해당 패킷이 종료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6은 제1 통신부(110)로부터 인터페이스부(200)로 무선 송신되는 제2 패킷 형식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1 통신부(110)는 레벨 정보를 구성하는 복수의 세부 정보 각각에 고유한 구분자를 부여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고유한 구분자와 일부 세부 정보를 한 세트로 하는 패킷 p를 인터페이스부(200)에 무선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통신부(110)는 붐 각도에 고유한 제1 구분자 A를 부여할 수 있다. 제1 구분자 A에는 붐 각도의 센싱값인 98.1이 매칭되고, 제1 구분자 A와 '98.1'을 한 세트로 하는 패킷 p가 생성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패킷 p를 인터페이스부(200)에 무선 송신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암 각도에 고유한 제2 구분자 B를 부여할 수 있다. 제2 구분자 B에는 암 각도의 센싱값인 47이 매칭되고, 제2 구분자 B와 '47'을 한 세트로 하는 패킷 p가 생성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패킷 p를 인터페이스부(200)에 무선 송신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버켓 각도에 고유한 제3 구분자 C를 부여할 수 있다. 제3 구분자 C에는 버켓 각도의 센싱값인 -70이 매칭되고, 제3 구분자 C와 '-70'을 한 세트로 하는 패킷 p가 생성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패킷 p를 인터페이스부(200)에 무선 송신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몸체(3)의 x축 각도에 고유한 제4 구분자 D를 부여할 수 있다. 제4 구분자 D에는 x축 각도의 센싱값인 30이 매칭되고, 제1 통신부(110)에 의해 제4 구분자 D와 '30'을 한 세트로 하는 패킷 p가 생성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패킷 p를 인터페이스부(200)에 무선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순차적 병렬 데이터 포맷 방식에 따르면, 복수의 데이터가 고속으로 인터페이스부(200)에 전송될 수 있다.
고유한 구분자는 인터페이스부(200)에서 복수의 세부 정보를 조합해서 자세 정보를 복원하는 사용될 수 있다. 자세 정보의 복원 과정에서 제1 시점의 패킷과 제2 시점의 패킷이 섞이지 않도록, 각 구분자에는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시점에 생성된 버켓 각도 패킷에는 구분자 C, 시간 정보 t1, 센싱값 -70이 포함될 수 있다. 제2 시점에 생성된 버켓 각도 패킷에는 구분자 C, 시간 정보 t2, 센싱값 -72가 포함될 수 있다. 고유한 구분자는 복수 종류의 세부 정보를 구분하고 복원하기 위한 것으로, 동일 종류의 세부 정보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분자가 부여될 수 있다. 동일 종류의 세부 정보는 동일한 센서(20)에서 시간차를 추고 출력된 센싱값에 기초하므로, 각 센싱값이 생성된 시간이 추가되면, 동일 종류의 세부 정보가 시간별로 구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00)는 동일한 시간 정보를 갖는 대신 서로 다른 구분자를 갖는 패킷을 취합해서 해당 시간 정보가 나타내는 시점의 자세 정보를 복원할 수 있다.
센서(2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의 공급을 위해, 각 센서(20)는 획득부(190)에 유선 연결될 수 있다. 획득부(190)는 센서(20)의 제어 신호 및 구동 전력을 유선 라인을 통해 센서(2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암의 단부 또는 버켓에 설치된 말단 센서(20)에 연결된 유선 라인에 획득부(19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암의 가운데 또는 붐에 설치되는 중간 센서(20)에 연결되는 유선 라인에 획득부(190)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획득부(190)로부터 자세 정보를 전달받고, 건설 기계(1)의 조종실(2)에 설치된 인터페이스부(200)를 타겟으로 자세 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00)는 사용자가 건설 기계(1)를 이용한 작업시 참조할 수 있는 레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레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인터페이스부(200)는 사용자가 위치한 조종실(2)에 설치될 수 있다. 획득부(190)와 제1 통신부(110)가 하나의 케이스에 실장되는 경우, 외부에 노출된 유선 라인은 센서(20)와 획득부(190) 사이에만 존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종실(2)에 배치되는 인터페이스부(200)는 유선 라인에 의한 간섭이 원천적으로 배제되므로, 다양한 위치에 설치가능하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00)에 연결되는 유선 라인에 의해 사용자의 시야가 방해받는 현상이 없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인터페이스부(200)를 자유롭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획득부(190) 및 제1 통신부(110)는 건설 기계(1)의 조종실(2)에 설치되는 케이스에 함께 실장될 수 있다. 이때, 획득부(190)는 자세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20), 예를 들어 경사 센싱 수단(21) 또는 위치 파악 수단(130)에 유선 연결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해당 조종실(2)에 설치된 인터페이스부(200)를 타겟으로 자세 정보를 무선 송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획득부(190) 및 제1 통신부(110)는 인터페이스부(200)와 같은 조종실(2)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무선 전파의 진행을 방해하는 각종 설비가 배치된 공사 현장에도 불구하고, 제1 통신부(110)와 인터페이스부(200) 간의 통신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인터페이스부(2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인터페이스부(200)는 디스플레이(210), 디스플레이(210)에 표시 가능하게 자세 정보를 처리하는 처리 수단(230), 제1 통신부(110)와 무선 통신하는 단말 통신 모듈(250)이 마련된 스마트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 수단(230)은 기배포된 소프트웨어에 해당하는 레벨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자세 정보를 디스플레이(210)에 표시 가능한 레벨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이용해서 제1 통신부(110)에 자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레벨 애플리케이션에 정의된 프로토콜에 맞춰 자세 정보를 발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해당 레벨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으면, 인터페이스부(200)는 제1 통신부(110)와 통신할 수 없다.
디스플레이(210), 처리 수단(230), 단말 통신 모듈(250)을 갖는 스마트 기기는 스마트폰, 7인치 이상의 디스플레이(210)를 갖는 태블릿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스마트 기기를 자유롭게 선택하고 선택된 기기에 레벨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하는 간단한 절차를 통해, 제1 통신부(110)와 통신하고 레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200)를 마련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건설 기계(1)가 함께 작업하는 작업 현상을 고려하여, 특정 건설 기계(1)의 자세 정보가 다른 건설 기계 또는 다른 스마트 기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일 예로, 제1 통신부(110)는 고유 정보를 인터페이스부(2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고유 정보에 대한 무결성이 인증된 특정 인터페이스부(200)에 대해서만 자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통신부(110)가 블루투스망을 이용하는 환경을 가정한다.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부(200)의 블루투스 통신을 활성화하면, 인터페이스부(200)의 단말 통신 모듈(250)은 블루투스 통신 가능한 기기를 디스플레이(2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210)에 표시되는 기기 중에 제1 통신부(110)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다른 기기들과 구분되는 고유 정보를 인터페이스부(200)에 제공하고, 인터페이스부(200)에는 해당 고유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10)에 표시된 고유 정보를 이용해서 제1 통신부(110) 또는 검측 장치(100)를 다른 기기들과 구분할 수 있다.
해당 고유 정보는 블루투스망을 이용하는 주변의 다른 스마트 기기에도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주변의 다른 스마트 기기에 레벨 정보가 표시되지 않도록, 제1 통신부(110)는 자신의 고유 정보를 선택한 스마트 기기에 대해 특정 인증키를 입력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특정 인증키가 정상적으로 입력된 스마트 기기에 대해 자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특정 인증키가 정상적으로 입력된 스마트 기기가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부(200)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고유 정보의 제공 여부 또는 인증키를 통한 무결성 인증 여부에 관계없이 조종실(2)에 배치된 인터페이스부(200)와 제1 통신부(110)를 일대일로 매칭시키는 방안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통신부(110)에서 통신 가능한 통신 임계 범위는 건설 기계(1)의 폭 및 길이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통신부(110)의 통신 반경은 2~3미터 내로 제한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1 통신부(110)가 조종실(2) 내에 배치된다면, 조종실(2)에 배치된 인터페이스부(200)만이 정상적으로 제1 통신부(110)와 통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고유 정보 또는 인증키를 이용하지 않아도 제1 통신부(110)와 인터페이스부(200)가 정상적으로 일대일로 매칭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조절부(15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영점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작업부의 영점을 캘리브레이션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200)에 표시된 영점 조절 메뉴를 조작하는 것이 번거로울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건설 기계(1)를 움직이기 위해 조작하는 레버의 근처 또는 페달의 근처에 영점 조절과 관련된 입력 수단이 마련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인터페이스부(200)와 별도로 영점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조절부(150)가 이용될 수 있다.
조절부(150)에서 생성된 영점 신호는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인터페이스부(200)에 제공될 수 있다. 해당 영점 신호는 현재 인터페이스부(200)에 표시 중인 특정 레벨 정보를 기준값, 예를 들어 '0'으로 설정하도록 인터페이스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결국, 조절부(150)는 현재 표시 중인 특정 레벨을 기준값으로 설정하도록 인터페이스부(200)를 제어하는 영점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통신부(110)는 영점 신호가 생성되면, 자세 정보와 함께 영점 신호를 인터페이스부(2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자세 정보가 인터페이스부(200)에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상태에서 영점 신호를 추가로 인터페이스부(2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제1 통신부(110)는 영점 신호가 생성된 시점에 획득부(190)를 통해 획득된 특정 자세 정보를 매칭시키고 매칭된 특정 자세 정보와 영점 신호를 인터페이스부(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00)는 영점 신호와 함께 제1 통신부(110)로부터 제공된 자세 정보에 근거한 레벨 정보를 초기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인터페이스부(200)는 제1 통신부(110)로부터 영점 신호가 입수된 시점에 디스플레이(210)를 통해 표시 중인 레벨 정보를 초기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설 기계(1)의 조종실(2)에는 손으로 조작 가능한 영점 조절 버튼(151) 또는 발로 조작 가능한 영점 조절 페달(153)이 마련될 수 있다.
조절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영점 조절 버튼(151)이 조작되거나 영점 조절 페달(153)이 조작되면, 영점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조정부에서 생성된 영점 신호는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인터페이스부(200)에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작업부의 조절 레버를 조작하여 버켓의 단부를 지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영점 조절 버튼(151) 또는 영점 조절 페달을 조작하면, 현재 버켓의 좌표값이 '0'으로 세팅될 수 있다. 이후의 레벨 정보는 '0'으로 세팅된 버켓의 좌표값을 기준으로 하는 상대 좌표로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면의 평탄화 작업 등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건설 기계(1)가 함께 작업하는 경우, 복수의 건설 기계(1)의 영점은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좋다. 복수의 건설 기계(1)의 영점을 동일하게 설정하기 위해 검측 장치(100)에는 제2 통신부(120)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통신부(120)는 다른 건설 기계와 통신할 수 있다. 제2 통신부(120)는 획득부(190), 제1 통신부(110)와 함께 동일 케이스 내에 실장될 수 있다. 제2 통신부(120)는 수십 미터 또는 수 킬로미터까지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통신부(120)는 저전력 광역 통신망(Low-Power Wide-Area Network) 등의 중장거리 통신망을 이용해서 다른 건설 기계와 통신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영점 신호가 생성된 시점에 인터페이스부(200)로 제공되거나 획득부(190)를 통해 획득된 특정 자세 정보를 제2 통신부(12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1 통신부(110)는 특정 자세 정보를 근거리 범위 내에 위치한 인터페이스부(200)에도 제공할 수 있다.
제2 통신부(120)는 제1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된 특정 자세 정보를 다른 건설 기계로 전송할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 제2 통신부(120)는 제1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된 특정 자세 정보를 다른 건설 기계로 송신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다른 건설 기계로부터 특정 자세 정보가 송신될 때, 제2 통신부(120)는 해당 특정 자세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조절부(150)는 제2 통신부(120)를 통해 다른 건설 기계로부터 특정 자세 정보가 수신되면, 영점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앞의 실시예에서 조절부(15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영점 신호를 생성하던 것과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다른 건설 기계로부터 수신된 특정 자세 정보를 트리거로 해서 영점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조절부(150)에서 생성된 영점 신호와 제2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된 다른 건설 기계의 특정 자세 정보를 인터페이스부(200)에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영점 신호는 특정 자세 정보가 반영된 특정 레벨 정보를 기준값으로 설정하도록 인터페이스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건설 기계(1) 중 어느 하나의 건설 기계(1)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영점이 설정되면, 나머지 건설 기계(1)에는 해당 영점이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통신부(110)는 원시 데이터에 해당하는 자세 정보만을 인터페이스부(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00)는 자세 정보를 입력으로 하는 각종 연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값에 해당하는 레벨 정보를 디스플레이(210)에 표시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00)에서 수행되는 연산, 디스플레이(210)에 표시되는 메뉴 등은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정의되거나 생성될 수 있다. 해당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디자인 또는 다양한 형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8은 인터페이스부(200)에 표시되는 메인 화면을 나타난 개략도이다.
메인 화면에는 건설 기계(1)의 사양을 설정하는 제1 메인 메뉴 (1), 건설 기계(1)의 제1 상태를 표시하는 제2 메인 메뉴 (2), 인터페이스부(200)의 기능을 설정하는 제3 메인 메뉴 (3), 명령창을 나타내는 제4 메인 메뉴 (4), 건설 기계(1)의 제2 상태를 표시하는 제5 메인 메뉴 (5)가 포함될 수 있다.
도 9는 인터페이스부(200)에 표시되는 버켓 설정 화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버켓 설정 화면에는 선택된 버켓이 표시되는 제1 버켓 메뉴 (1), 각종 설정이 결정되는 제2 버켓 메뉴 (2), 버켓의 사용이 입력되는 제3 버켓 메뉴 (3), 버켓의 선택 버튼이 마련된 제4 버켓 메뉴 (4), 선택된 버켓을 인터페이스부(200) 자체에 저장하는 버튼이 마련된 제5 버켓 메뉴 (5), 선택된 버켓을 웹서버에 저장하는 버튼이 마련된 제6 버켓 메뉴 (6), 버컷 설정 화면을 닫고 메인 화면으로 돌아가는 버튼이 마련된 제7 버켓 메뉴 (7)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0은 인터페이스부(200)에 표시되는 몸체 설정 화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몸체 설정 화면에는 제1 작업부의 사양이 입력되는 제1 몸체 메뉴 (1), 제1 작업부의 길이 오차의 보정값이 입력되는 제2 몸체 메뉴 (2), 몸체(3)의 사양이 입력되는 제3 몸체 메뉴 (3), 제2 작업부의 사양이 입력되는 제4 몸체 메뉴 (4), 알람의 범위값이 입력되는 제5 몸체 메뉴 (5), 제1 몸체 메뉴 내지 제5 몸체 메뉴에서 입력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버튼이 마련된 제6 몸체 메뉴 (6), 사용자의 정보가 입력되는 제7 몸체 메뉴 (7)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의 도 8, 도 9, 도 10에서 살펴본, 인터페이스부(200)의 화면 메뉴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며, 각 메뉴에 포함된 값들 역시 다양한 목적에 맞는 종류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의 컴퓨팅 장치(TN100)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장치(예, 검측 장치, 인터페이스부 등) 일 수 있다.
도 11의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TN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TN110), 송수신 장치(TN120), 및 메모리(TN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TN100)는 저장 장치(TN1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TN1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TN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TN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TN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절차, 기능, 및 방법 등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컴퓨팅 장치(TN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프로세서(TN1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TN130)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금까지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건설 기계 2...조종실
3...몸체 5...붐
7...암 9...버켓
20...센서 21...경사 센싱 수단
23...자이로 센싱 수단 100...검측 장치
110...제1 통신부 120...제2 통신부
130...위치 파악 수단 150...조절부
151...영점 조절 버튼 153...영점 조절 페달
190...획득부 200...인터페이스부
210...디스플레이 230...처리 수단
250...단말 통신 모듈

Claims (13)

  1. 건설 기계의 버켓(bucket), 암(arm), 붐(boom)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작업부의 자세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작업부의 레벨 정보가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부를 타겟으로 상기 자세 정보를 송신하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고,
    영점 신호를 생성하는 조절부, 다른 건설 기계와 통신하는 제2 통신부가 마련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다른 건설 기계로부터 특정 자세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영점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특정 자세 정보와 상기 영점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전송하고,
    상기 영점 신호는 상기 특정 자세 정보가 반영된 특정 레벨 정보를 기준값으로 설정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검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부는 상기 건설 기계의 몸체 또는 조종실에 설치된 위치 파악 수단으로부터 상기 건설 기계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전송하며,
    상기 레벨 정보에는 상기 자세 정보, 상기 자세 정보의 제1 가공 정보, 상기 위치 정보, 상기 위치 정보의 제2 가공 정보, 상기 자세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 모두에 기초한 제3 가공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검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는 시작 알림, 상기 붐의 각도, 상기 암의 각도, 상기 버켓의 각도, 상기 건설 기계의 몸체의 x축 각도, 상기 몸체의 y축 각도, 상기 몸체의 z축 각도, 위도, 경도, 고도, 방위각, 기타 정보, 종료 알림의 순서로 배열되는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패킷을 무선 전송하는 검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자세 정보를 구성하는 복수의 세부 정보 각각에 대해 고유한 구분자를 부여하고,
    상기 제1 통신부는 고유한 상기 구분자와 일부 세부 정보를 한 세트로 하는 패킷을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무선 전송하며,
    상기 구분자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서 복수의 세부 정보를 조합해서 상기 자세 정보를 복원하는데 사용되는 검측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의 단부 또는 상기 버켓에 설치된 말단 센서에 연결된 유선 라인에 상기 획득부가 연결되거나, 상기 암의 가운데 또는 상기 붐에 설치되는 중간 센서에 연결되는 유선 라인에 상기 획득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획득부로부터 상기 자세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건설 기계의 조종실에 설치된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타겟으로 상기 자세 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검측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부 및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건설 기계의 조종실에 설치되는 케이스에 함께 실장되고,
    상기 획득부는 상기 자세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에 유선 연결되며,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조종실에 설치된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타겟으로 상기 자세 정보를 무선 송신하는 검측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하게 상기 자세 정보를 처리하는 처리 수단, 상기 제1 통신부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 모듈이 마련된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수단은 기배포된 소프트웨어에 해당하는 레벨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상기 자세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상기 레벨 정보로 변환하며,
    상기 제1 통신부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이용해서 상기 제1 통신부에 상기 자세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레벨 애플리케이션에 정의된 프로토콜에 맞춰 상기 자세 정보를 발신하는 검측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는 고유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제공하고,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고유 정보에 대한 무결성이 인증된 특정 인터페이스부에 대해서만 상기 자세 정보를 제공하는 검측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의 통신 임계 범위는 상기 건설 기계의 폭 및 길이 범위 내에서 결정되고,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건설 기계에 위치한 특정 인터페이스부만을 대상으로 무선 통신하는 검측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영점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영점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제공하며,
    상기 영점 신호는 현재 표시 중인 특정 레벨 정보를 기준값으로 설정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검측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현재 표시 중인 특정 레벨 정보를 기준값으로 설정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영점 신호를 생성하는 상기 조절부가 마련되고,
    상기 건설 기계의 조종실에는 손으로 조작 가능한 영점 조절 버튼 또는 발로 조작 가능한 영점 조절 페달이 마련되며,
    상기 조절부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영점 조절 버튼 또는 상기 영점 조절 페달이 조작되면, 상기 영점 신호를 생성하는 검측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영점 신호가 생성된 시점에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제공되거나 상기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특정 자세 정보를 상기 제2 통신부에 전달하며,
    상기 제2 통신부는 상기 특정 자세 정보를 상기 다른 건설 기계로 전송하는 검측 장치.
  13. 삭제
KR1020200004272A 2020-01-13 2020-01-13 굴삭 레벨 검측 장치 KR102125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272A KR102125664B1 (ko) 2020-01-13 2020-01-13 굴삭 레벨 검측 장치
PCT/KR2020/018404 WO2021145575A1 (ko) 2020-01-13 2020-12-16 굴삭 레벨 검측 장치
US17/787,371 US20230029071A1 (en) 2020-01-13 2020-12-16 Excavation level detection device
JP2022535160A JP7357979B2 (ja) 2020-01-13 2020-12-16 検測装置
CN202080091325.9A CN115279978B (zh) 2020-01-13 2020-12-16 挖掘状态检测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272A KR102125664B1 (ko) 2020-01-13 2020-01-13 굴삭 레벨 검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664B1 true KR102125664B1 (ko) 2020-06-22

Family

ID=71142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272A KR102125664B1 (ko) 2020-01-13 2020-01-13 굴삭 레벨 검측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29071A1 (ko)
JP (1) JP7357979B2 (ko)
KR (1) KR102125664B1 (ko)
CN (1) CN115279978B (ko)
WO (1) WO202114557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5575A1 (ko) * 2020-01-13 2021-07-22 구구시스템 주식회사 굴삭 레벨 검측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84886B (zh) * 2021-09-30 2022-07-12 广西柳工机械股份有限公司 工作装置位置参数数据获取方法和装载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623A (ko) * 2000-11-17 2002-08-13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건설기계의 표시장치 및 표시제어장치
JP2008274585A (ja) * 2007-04-26 2008-11-13 Toa Harbor Works Co Ltd 浚渫支援システム
KR20160001869A (ko) * 2014-06-27 2016-01-0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굴삭기 버켓의 위치 제어 시스템
KR101629716B1 (ko) 2014-09-22 2016-06-21 (주)영신디엔씨 굴삭작업을 위한 좌표측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93825A (ko) * 2017-02-13 2018-08-2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건설장비의 제어장치 및 건설장비 정보의 처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39770A1 (de) * 1986-11-21 1988-06-01 Peter Pertl Sensorgesteuertes nivelliergeraet
JP2000064346A (ja) * 1998-08-20 2000-02-29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バッテリ収納構造
JP3765461B2 (ja) * 1999-05-20 2006-04-1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作業機制御装置
JP2002340556A (ja) * 2001-05-18 2002-11-27 Hitachi Constr Mach Co Ltd 走行式建設機械の位置計測システム、位置計測コンピュータ及び位置計測プログラム
GB2413314B (en) * 2003-09-02 2006-07-26 Komatsu Mfg Co Ltd Construction target indicator device
KR20090065633A (ko) * 2007-12-18 2009-06-2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굴삭기의 자동 이동자세 설정 시스템
US8306705B2 (en) 2008-04-11 2012-11-06 Caterpillar Trimble Control Technologies Llc Earthmoving machine sensor
DE112012004840B4 (de) 2011-11-21 2022-08-04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Betriebsdaten-Erhebungsvorrichtung für Baumaschinen
FI125560B (en) * 2012-08-29 2015-11-30 Ponsse Oyj Sensor arrangement for a mobile machine
US8972119B2 (en) * 2013-03-15 2015-03-03 Novatel Inc. System and method for heavy equipment navigation and working edge positioning
JP6279856B2 (ja) 2013-08-27 2018-02-14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用表示装置
US10030358B2 (en) * 2014-02-13 2018-07-24 Trimble Inc. Non-contact location and orientation determination of an implement coupled with a mobile machine
JP6053714B2 (ja) * 2014-03-31 2016-12-27 日立建機株式会社 油圧ショベル
DE112014000091B4 (de) * 2014-05-14 2016-11-24 Komatsu Ltd. Kalibriersystem und Kalibrierverfahren für einen Bagger
DE112014000077B4 (de) * 2014-06-02 2018-04-05 Komatsu Ltd. Steuersystem für eine Baumaschine, Baumaschine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r Baumaschine
US20170121930A1 (en) * 2014-06-02 2017-05-04 Komatsu Ltd. Construction machine control system, construction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construction machine
DE112014000079B4 (de) * 2014-06-04 2017-02-09 Komatsu Ltd. Stellungsberechnungsvorrichtung für eine Arbeitsmaschine, Arbeitsmaschine und Stellungsberechnungsverfahren für eine Arbeitsmaschine
EP3351689B1 (en) * 2015-09-16 2020-01-15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Shovel
JP6470669B2 (ja) 2015-09-29 2019-02-13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の監視システム
JP6322612B2 (ja) 2015-10-05 2018-05-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施工管理システム及び形状計測方法
JP6707047B2 (ja) * 2017-03-17 2020-06-10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6934427B2 (ja) * 2017-03-31 2021-09-1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の制御システム、及び作業機の軌跡設定方法
US10586349B2 (en) * 2017-08-24 2020-03-10 Trimble Inc. Excavator bucket positioning via mobile device
JP6887351B2 (ja) * 2017-09-07 2021-06-16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荷重計測システム
JP7080750B2 (ja) * 2018-06-29 2022-06-0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表示制御システム、遠隔操作システム、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10697153B2 (en) * 2018-07-09 2020-06-30 Deere & Company Work machine grading control system
US11772556B2 (en) * 2018-10-31 2023-10-03 Komatsu Ltd. Display control system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11174622B2 (en) * 2019-11-20 2021-11-16 Autonomous Solutions, Inc. Autonomous loader controller
KR102125664B1 (ko) * 2020-01-13 2020-06-22 이상룡 굴삭 레벨 검측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623A (ko) * 2000-11-17 2002-08-13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건설기계의 표시장치 및 표시제어장치
JP2008274585A (ja) * 2007-04-26 2008-11-13 Toa Harbor Works Co Ltd 浚渫支援システム
KR20160001869A (ko) * 2014-06-27 2016-01-0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굴삭기 버켓의 위치 제어 시스템
KR101629716B1 (ko) 2014-09-22 2016-06-21 (주)영신디엔씨 굴삭작업을 위한 좌표측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93825A (ko) * 2017-02-13 2018-08-2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건설장비의 제어장치 및 건설장비 정보의 처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5575A1 (ko) * 2020-01-13 2021-07-22 구구시스템 주식회사 굴삭 레벨 검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29071A1 (en) 2023-01-26
CN115279978A (zh) 2022-11-01
CN115279978B (zh) 2023-10-24
JP2023510494A (ja) 2023-03-14
JP7357979B2 (ja) 2023-10-10
WO2021145575A1 (ko) 2021-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62587B2 (ja) 作業機械の位置と方向を決定する方法と装置
CN106715800B (zh) 用于运土机械的导向系统
US67118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machine location
US7513070B2 (en) Work support and management system for working machine
WO2017061518A1 (ja) 施工管理システム、施工管理方法、及び管理装置
FI125464B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positioning the machine
KR101766846B1 (ko) 고정밀 gps 측량이 가능한 굴삭작업 가이드 및 컨트롤 시스템
KR102125664B1 (ko) 굴삭 레벨 검측 장치
WO2017208997A1 (ja) 形状計測システム、作業機械及び形状計測方法
WO2018026021A1 (ja) 管理システム
US20220245856A1 (en) Position identification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ry
JP7386592B2 (ja) 建設機械の操作補助システム
KR101144727B1 (ko) 스테레오 비전 기술을 이용한 굴삭작업 지원 시스템
CN108779985B (zh) 施工管理系统
JP6529058B1 (ja) 建設機械管理システム、建設機械管理プログラム、建設機械管理方法、建設機械および建設機械の外部管理装置
KR101629716B1 (ko) 굴삭작업을 위한 좌표측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19066A (ko) Gps 및 경사센서를 활용한 토공량 산출시스템
JP6788990B2 (ja) こそく管理装置
JP7159914B2 (ja) 作業者検出装置、作業者検出方法、および、作業者検出プログラム
JP3118173B2 (ja) 測地システム
JP6684004B1 (ja) 建設機械管理システム、建設機械管理プログラム、建設機械管理方法、建設機械および建設機械の外部管理装置
WO2024047785A1 (ja) 測量システムおよび測量方法
JP2922832B2 (ja) 測地システム
WO2021210427A1 (ja) 施工方法及び施工システム
JP6214864B2 (ja) 地上作業員へのシールド機の切羽位置可視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