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132B1 - 온라인 신문에서 기사 페이지의 정독률을 산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신문에서 기사 페이지의 정독률을 산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132B1
KR102125132B1 KR1020180085176A KR20180085176A KR102125132B1 KR 102125132 B1 KR102125132 B1 KR 102125132B1 KR 1020180085176 A KR1020180085176 A KR 1020180085176A KR 20180085176 A KR20180085176 A KR 20180085176A KR 102125132 B1 KR102125132 B1 KR 102125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page
communication device
log
server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0737A (ko
Inventor
백승국
한소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데이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데이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데이블
Priority to KR1020180085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132B1/ko
Publication of KR20200010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0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온라인 신문의 기사 페이지의 정독률을 산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기사 페이지에 대한 방문 로그(visit log) 및 가시 로그(visible log)를 수집하고, 수집된 방문 로그 및 가시 로그에 기초하여, 기사 페이지에 대한 정독률을 산출한다.

Description

온라인 신문에서 기사 페이지의 정독률을 산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 {Method for calculating article readability on online news and system performing thereof}
본 발명은 온라인 뉴스에서 기사 페이지의 정독률을 측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신문의 매체력을 평가하는 주요 개념으로 구독률과 열독률이 있다. 구독률이란, 전체 가구 중 일정 기간 동안 특정 신문을 유료로 구독하는 가구가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열독률이란, ‘신문을 읽는 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신문을 유료로 구독하는 것과 관계없이 신문을 읽은 사람을 말하는 것으로 구독 여부와 상관없이 신문을 읽은 사람의 비율을 의미한다.
신문의 매체력을 평가함에 있어서, 구독률과 열독률이 중요한 평가 요소였다. 그러나, 최근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많은 온라인 신문들이 등장하고 종이 신문의 구독률이 점차 감소함에 따라, 구독률의 중요성이 점차 감소하고 있다. 열독률의 경우, 설문 조사를 통하여 열독률을 측정하고 있어 정확한 열독률 측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구독률과 열독률은 신문의 매체력을 평가함에 있어서 그 중요도가 점차 하락하고 있다.
또한, 예전에는 작성된 기사를 취합하여 종이로 된 신문을 인쇄하고 이를 일별 또는 정해진 기간 단위로 정기적으로 구독자에게 배달하는 방식이 보편적이었다. 현재에는 작성된 기사를 종이로 인쇄된 신문이 아니라 인터넷을 통하여 신문사의 온라인 홈페이지나 포털 사이트에 작성된 기사를 공개하고 공중에 배포하는 방식이 더욱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뉴스 공급 방식의 변화에 의하여, 신문의 구독자는 종래의 종이 신문처럼 하나의 신문사의 신문을 전부 구매할 필요 없이, 신문사의 온라인 홈페이지나 포털 사이트에서 원하는 신문 기사만을 구독할 수 있게 되면서, 기존의 신문의 매체력을 평가하는 기준인 구독률과 열독률의 중요도가 더욱 하락하고 있다.
따라서, 신문의 매체력을 평가하기 위한 새로운 기준이 필요하다.
온라인 신문의 매체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통신 디바이스가 접속한 온라인 기사 페이지의 기사 본문을 정독한 사용자의 비율인 정독률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온라인 신문의 기사 페이지의 정독률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온라인 신문의 기사 페이지에 접속한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해당 기사를 실제로 읽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온라인 신문의 기사 페이지의 정독률을 산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온라인 신문의 정독률을 측정하는 방법은 서버에서,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기사 페이지에 대한 방문 로그(visit log) 및 가시 로그(visible log)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수집된 방문 로그 및 가시 로그에 기초하여, 상기 기사 페이지에 대한 정독률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문 로그 및 가시 로그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기사 페이지에 접속한 경우,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서버로 상기 방문 로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전송된 방문 로그를 상기 서버의 스토리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웹 브라우저의 스크롤 바가 상기 기사 페이지의 하단에 도달하였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서, 상기 스크롤 바가 상기 기사 페이지의 하단에 도달하였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가시 로그를 생성하고 상기 서버로 상기 가시 로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전송된 가시 로그를 상기 서버의 스토리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집된 방문 로그 및 가시 로그에 기초하여, 상기 기사 페이지에 대한 정독률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의 스토리지에 저장된 방문 로그의 개수와 가시 로그의 개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방문 로그 대 상기 산출된 가시 로그의 비율로 상기 정독률을 산출한다.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웹 브라우저의 스크롤 바가 상기 기사 페이지의 하단에 도달하였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서, 상기 기사 페이지의 전체 세로 길이,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고 있는 상기 기사 페이지의 부분의 세로 길이, 및 상기 웹 브라우저에서 스크롤되어 올라간 기사 페이지의 세로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웹 브라우저의 스크롤 바가 상기 기사 페이지의 하단에 도달하였는지를 결정한다.
상기 방문 로그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고유 식별자를 나타내는 UID(unique indentity),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접속한 기사 페이지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콘텐츠 ID, 및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기사 페이지에 접속한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가시 로그는 상기 UID, 상기 콘텐츠 ID, 및 상기 기사 페이지의 하단에 스크롤 바가 도달한 시간을 포함한다.
상기 기사 페이지에 대한 정독률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기사 페이지의 전체 세로 길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서버의 스토리지에 저장된 상기 산출된 기사 페이지의 전체 세로 길이에 대한 통계수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방문 로그 및 상기 가시 로그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기사 페이지에 머무른 체류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체류 시간, 및 상기 기사 페이지의 전체 세로 길이에 대한 통계수치에 기초하여, 상기 기사 페이지의 정독률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독률 산출 시스템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에게 온라인 신문의 기사 페이지를 출력하는 복수 개의 통신 디바이스; 및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디바이스들로 상기 기사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디바이스 각각은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기사 페이지에 접속한 경우, 상기 방문 로그를 생성하고, 웹 브라우저의 스크롤 바가 상기 기사 페이지의 하단에 도달하였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가시 로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기사 페이지를 수신하고, 상기 서버로 상기 기사 페이지에 대한 방문 로그 및 가시 로그를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기사 페이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기사 페이지에 대한 방문 로그 및 가시 로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방문 로그 및 가시 로그를 저장하는 스토리지; 및 상기 저장된 방문 로그 및 가시 로그에 기초하여 상기 기사 페이지의 정독률을 산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온라인 신문의 서버가 온라인 신문의 기사 페이지에 접속한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통신 디바이스가 기사 페이지에 접속했음을 알리는 방문 로그 및 웹 브라우저의 스크롤 바가 기사 페이지의 하단에 도달하였음을 알리는 가시 로그를 수집하고, 수집된 방문 로그 및 가시 로그에 기초하여 기사 페이지의 정독률을 산출함으로써, 서버는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 중 기사 페이지에 포함된 기사 본문을 정독한 사용자의 비율인 정독률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기사 페이지의 전체 세로 길이 별 체류시간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고려하여, 기사 페이지의 정독률을 산출함으로써, 기사 페이지의 정확한 정독률을 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독률 산출 시스템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신 디바이스와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독률 산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301 단계에서의 방문 로그 및 가시 로그를 수집하는 단계의 상세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사 페이지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온라인 기사 페이지가 통신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302 단계에서의 기사 페이지의 정독률을 산출하는 단계의 상세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온라인 뉴스 기사의 정독률을 산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에서 설명될 “통신 디바이스”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의미하고, “기사 페이지”는 포털 사이트 또는 신문사의 홈페이지에서 제공되는 기사 및 광고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의미하고, “정독률”은 통신 디바이스가 접속한 온라인 신문의 기사 페이지를 정독한 사용자의 비율을 의미하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독률 산출 방법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정독률 산출 시스템은 복수 개의 통신 디바이스(1)과 서버(2)로 구성된다. 사용자들(10)은 다양한 통신 디바이스(1)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네트워크를 통해서 신문사 또는 포털 사이트의 서버(2)로 접속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1)은 접속한 서버(2)로부터 뉴스 페이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뉴스 페이지를 통신 디바이스(1)의 디스플레이부(14)를 통해서 사용자(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1)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을 가진 디바이스를 의미하며. 그 예로는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데스크톱 PC, 노트북 등을 들 수 있다. 신문사 또는 포털 사이트의 서버(2)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디바이스(1)에 기사 페이지를 제공한다. 사용자들(10)은 통신 디바이스(1)을 이용하여 온라인 뉴스를 읽는 구독자를 의미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신 디바이스와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서버(2)는 프로세서(21), 통신부(22), 및 스토리지(23)로 구성된다. 서버(2)의 프로세서(21)는 기사 페이지의 정독률을 산출한다. 통신부(22)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수의 통신 디바이스들(1)로부터 명령 및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다수의 통신 디바이스들(1)에게 명령 및 데이터를 송신한다. 스토리지(23)은 기사 페이지에 포함되는 기사 본문의 콘텐츠, 광고 콘텐츠, 및 기사 페이지의 전체 세로 길이 별 별 체류 시간의 평균값 및 표준편차를 포함하는 통계수치를 저장한다.
통신 디바이스(1)은 입력부(11), 프로세서(12), 통신부(13), 및 디스플레이부(14)로 구성된다. 통신 디바이스의 입력부(11)은 통신 디바이스(1)의 사용자(10)이 온라인 신문의 기사를 보기위해 입력되는 명령을 입력받는다. 이러한 입력부(11)의 예로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등을 들 수 있다. 온라인 신문의 기사를 보기위해 입력되는 명령의 예로는 통신 디바이스(1)의 사용자(10)이 읽고자 하는 기사를 마우스,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클릭하는 명령, 및 기사의 하단부에 위치된 기사 본문을 보기 위해 마우스,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스크롤 바를 내리는 명령 등을 들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1)의 프로세서(12)는 입력부(11)에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 및 통신부(13)를 통해서 서버(2)로부터 전송된 명령 및 데이터를 처리한다. 통신 디바이스(1)의 통신부(13)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신문사 또는 포털사이트의 서버(2)로부터 명령 및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다수의 통신 디바이스들(1)에게 명령 및 데이터를 송신한다. 디스플레이부(14)는 서버(2)로부터 전송받은 기사 페이지를 웹 브라우저(browser)를 이용하여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4)의 예로는 모니터, 터치스크린 등을 들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독률을 산출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정독률을 산출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서버(2) 및 통신 디바이스(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301 단계에서, 서버(2)는 기사 페이지에 대한 방문 로그(visit log) 및 가시 로그(visible log)를 수집한다. 서버(2)는 통신 디바이스(1)가 서버(2)의 기사 페이지에 접속한 경우 통신 디바이스(1)로부터 통신 디바이스(1)가 기사 페이지에 접속했음을 알리는 방문 로그를 수신한다. 통신 디바이스(1)의 웹 브라우저의 스크롤 바가 기사 페이지의 하단에 도달한 경우 서버(2)는 통신 디바이스(1)의 웹 브라우저의 스크롤 바가 기사 페이지의 하단에 도달하였음을 알리는 가시 로그를 통신 디바이스(1)로부터 수신한다. 서버(2)는 앞서 설명한 방식으로 기사 페이지에 대한 방문 로그 및 가시 로그를 수집한다. 서버(2)가 방문 로그 및 가시 로그를 수집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하여는 도 4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301 단계에서의 방문 로그 및 가시 로그를 수집하는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301 단계는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구성될 수 있다. 3011 단계에서, 통신 디바이스(1)가 서버(2)의 기사 페이지에 접속한 경우, 통신 디바이스(1)의 통신부(13)는 서버(2)의 통신부(22)로 방문 로그를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 디바이스(1)의 사용자(10)이 통신 디바이스(1)을 이용하여 신문사의 웹 사이트 또는 포털 사이트에 게시된 기사 페이지에 접속한 경우, 통신 디바이스(1)의 프로세서(12)는 통신 디바이스(1)가 접속했음을 알리는 방문 로그를 생성하고, 통신부(13)로 입력한다. 통신 디바이스(1)의 통신부(13)는 방문 로그를 서버(2)의 통신부(22)로 전송한다. 방문 로그는 통신 디바이스(1)의 고유 식별자를 나타내는 UID(unique identity), 통신 디바이스(1)가 접속한 기사 페이지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콘텐츠 ID(Content ID), 통신 디바이스(1)가 접속한 기사 페이지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통신 디바이스(1)가 기사 페이지에 접속한 시간을 나타내는 Local_time을 포함한다. 방문 로그의 예시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Figure 112018072309600-pat00001
3012 단계에서, 서버(2)는 통신 디바이스(1)로부터 전송된 방문 로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문 로그를 서버(2)의 스토리지(23)에 저장한다. 서버(2)의 통신부(22)는 통신 디바이스(1)의 통신부(13)로부터 방문 로그를 수신하고, 방문 로그를 서버(2)의 프로세서(12)로 입력한다. 서버(2)의 프로세서(21)는 기사 페이지에 대한 방문 로그를 스토리지(23)에 저장한다.
3013 단계에서, 통신 디바이스(1)의 프로세서(12)는 기사 페이지를 나타내는 통신 디바이스(1)의 웹 브라우저에서 스크롤 바가 기사 페이지의 하단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사의 정독률은 통신 디바이스(1)가 접속한 온라인 기사 페이지의 기사 본문을 정독한 사용자의 비율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기사 페이지의 정독률을 산출하기 위하여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접속한 기사 페이지의 기사 본문을 읽었는지 여부를 알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기사 페이지를 나타내는 웹 브라우저의 스크롤 바를 기사의 하단까지 이동시킨 경우에는 기사 페이지의 하단에 위치된 기사 본문을 읽기 위하여 스크롤 바를 내리고 웹 브라우저의 화면을 아래 방향으로 스크롤한 것이므로 해당 통신 디바이스(1)의 사용자는 기사 본문을 정독한 사용자로 결정한다. 웹페이지의 스크롤 바를 기사 페이지의 하단까지 내렸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과 관련하여 도 4 및 5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신문의 기사 페이지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온라인 신문의 기사 페이지가 통신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서버(2)에서 제공하는 기사 페이지는 기사 본문, 광고, 섬네일(Thumbnai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통신 디바이스(1)의 크기의 한계로 인하여 기사 페이지에 포함된 기사 본문이 통신 디스플레이부(14)의 디스플레이부(14)에 모두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1)의 디스플레이부(14)는 기사 페이지의 일부만이 출력한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1)의 디스플레이부(14)는 기사 페이지의 상단 부분을 출력한다. 통신 디바이스(1)의 사용자(10)이 기사 본문을 모두 정독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부(14)에 나타나지 않았던 기사 본문의 하단을 디스플레이부(14)에 나타나도록 해야 한다.
통신 디바이스(1)의 사용자(10)은 입력부(11)의 입력 방식에 따라 화면을 드래그 하거나 또는 마우스로 웹 브라우저의 스크롤 바를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켜 웹 브라우저의 기사 페이지를 아래 방향으로 스크롤할 수 있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브라우저의 스크롤 바를 기사 페이지의 하단까지 이동시킨 경우 통신 디바이스(1)의 디스플레이부(14)는 기사 페이지의 하단을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1)의 사용자(10)은 웹 브라우저의 스크롤 바를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기사 본문의 전체를 정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디바이스(1)가 접속한 기사 페이지의 전체 세로 길이, 통신 디바이스(1)의 디스플레이부(14)에서 현재 출력되고 있는 기사 페이지 부분의 세로 길이, 및 통신 디바이스(1)의 웹 브라우저에서 스크롤되어 올라간 기사 페이지의 길이에 기초하여 웹 브라우저의 스크롤 바가 기사 페이지의 하단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 디바이스(1)의 프로세서(12)는 기사 본문 및 광고를 포함하는 기사 페이지의 전체 세로 길이, 통신 디바이스(1)의 디스플레이부(14)에서 현재 출력되고 있는 기사 페이지 부분의 세로 길이, 및 통신 디바이스(1)의 웹 브라우저에서 스크롤되어 올라간 기사 페이지의 세로 길이를 획득한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기사 페이지의 전체 세로 길이는 기사 본문, 광고 및 섬네일을 포함하는 전체 웹 페이지의 세로 길이를 의미한다. 통신 디바이스(1)의 디스플레이부(14)에서 현재 출력되고 있는 기사 페이지 부분의 세로 길이는 웹 브라우저에서 나타내고 있는 기사 페이지 부분의 세로 길이로서, 통신 디바이스(1)의 사용자가 보고 있는 기사 페이지의 부분의 세로 길이를 의미한다. 통신 디바이스(1)의 웹 브라우저에서 스크롤되어 올라간 기사 페이지의 세로 길이는 웹 브라우저의 스크롤 바를 아래로 이동시킴으로써 웹 브라우저에서 기사 페이지의 하단 부분을 나타내고 있을 때 웹 브라우저에서 나타나지 않는 기사 페이지의 상단 부분의 세로 길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1)의 프로세서(12)는 자바스크립트(JaveScript)의 함수를 이용하여 기사 페이지의 전체 세로 길이, 현재 출력되고 있는 기사 페이지 부분의 세로 길이, 스크롤되어 올라간 기사 페이지의 세로 길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2)의 프로세서(21)는 자바스크립트의 documnet.body.scrollHeight 함수를 이용하여 기사 페이지의 전체 세로 길이를 획득하고, 자바스크립트의 documentbody.clientHeight 함수를 이용하여 현재 출력되고 있는 기사 페이지 부분의 세로 길이를 획득하고, 자바스크립트의 document.scrollTop 함수를 이용하여 스크롤되어 올라간 기사 페이지의 세로 길이를 획득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1)의 프로세서(12)는 통신 디바이스(1)가 임의의 기사 페이지에 접속한 경우, 통신 디바이스(1)가 접속한 기사 페이지의 전체 세로 길이, 현재 출력되고 있는 기사 페이지 부분의 세로 길이, 및 스크롤되어 올라간 기사 페이지의 길이를 획득한다. 또한, 웹 브라우저의 스크롤 바가 아래 또는 위로 이동된 경우(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의 화면을 아래로 스크롤한 경우, 또는 웹 브라우저의 화면을 위로 스크롤한 경우), 통신 디바이스(1)의 프로세서(12)는 현재 출력되고 있는 기사 페이지 부분의 세로 길이, 및 스크롤되어 올라간 기사 페이지의 세로 길이를 다시 획득한다.
통신 디바이스(1)의 프로세서(12)는 기사 페이지의 전체 세로 길이를 현재 출력되고 있는 기사 페이지 부분의 세로 길이, 및 스크롤되어 올라간 기사 페이지의 세로 길이의 합과 비교하여, 웹 브라우저의 스크롤 바가 기사 페이지의 하단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현재 출력되고 있는 기사 페이지 부분의 세로 길이, 및 스크롤되어 올라간 기사 페이지의 세로 길이의 합이 기사 페이지의 전체 세로 길이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통신 디바이스(1)의 프로세서(12)는 웹 브라우저의 스크롤 바가 기사 페이지의 하단에 도달했다고 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웹 브라우저의 스크롤 바가 기사 페이지의 하단에 도달한 경우, 통신 디바이스(1)의 사용자는 접속한 기사 페이지의 기사 본문을 정독한 것으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기사 페이지의 전체 세로 길이가 1300 픽셀(pixel)이고, 현재 출력되고 있는 기사 페이지 부분의 세로 길이가 600 픽셀이고, 스크롤되어 올라간 기사 페이지의 세로 길이가 300 픽셀인 경우, 현재 출력되고 있는 기사 페이지 부분의 세로 길이(600 픽셀), 및 스크롤되어 올라간 기사 페이지의 세로 길이(300 픽셀)의 합(900 픽셀)이 기사 페이지의 전체 세로 길이(1300 픽셀)보다 작기 때문에, 통신 디바이스(1)의 프로세서(12)는 웹 브라우저의 스크롤 바가 기사 페이지의 하단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결정한다. 이러한 경우, 통신 디바이스(1)의 사용자(10)이 기사 페이지의 기사 본문을 정독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예를 들어, 기사 페이지의 전체 세로 길이가 1300 픽셀이고, 현재 출력되고 있는 기사 페이지 부분의 세로 길이가 600 픽셀이고, 스크롤되어 올라간 기사 페이지의 세로 길이가 700 픽셀인 경우, 현재 출력되고 있는 기사 페이지 부분의 세로 길이(600 픽셀), 및 스크롤되어 올라간 기사 페이지의 세로 길이(700 픽셀)의 합(1300 픽셀)이 기사 페이지의 전체 세로 길이(1300 픽셀)과 동일하기 때문에, 통신 디바이스(1)의 프로세서(12)는 웹 브라우저의 스크롤 바가 기사 페이지의 하단에 도달하였다고 결정한다.
3014 단계에서, 웹 브라우저의 스크롤 바가 기사 페이지의 하단에 도달하였다고 결정한 경우, 통신 디바이스(1)의 프로세서(12)는 통신 디바이스(1)의 사용자가 기사 페이지의 하단까지 보았음을 나타내는 가시 로그를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1)의 프로세서(12)는 웹 브라우저의 스크롤 바가 기사 페이지의 하단에 도달한 경우 통신 디바이스(1)의 사용자가 기사 페이지를 정독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1)의 사용자가 기사 페이지를 정독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통신 디바이스(1)의 프로세서(12)는 통신 디바이스(1)의 사용자가 기사 페이지를 정독하였음을 나타내는 가시 로그를 생성한다.
가시 로그는 통신 디바이스(1)의 고유 식별자를 나타내는 UID, 통신 디바이스(1)가 접속한 기사 페이지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콘텐츠 ID, 통신 디바이스(1)가 접속한 기사 페이지의 URL, 통신 디바이스(1)가 기사 페이지의 하단에 스크롤 바가 도달한 시간을 나타내는 Local_time을 포함한다. 가시 로그의 예시는 다음의 표 2와 같다.
Figure 112018072309600-pat00002
3015 단계에서, 통신 디바이스(1)의 프로세서(12)는 생성된 가시 로그를 통신부(13)로 입력하고, 통신 디바이스(1)의 통신부(13)는 가시 로그를 서버(2)의 통신부(22)로 전송한다. 통신 디바이스(1)의 사용자가 기사 페이지를 정독하고 통신 디바이스(1)의 프로세서(12)가 가시 로그를 생성한 경우, 통신 디바이스(1)은 가시 로그를 서버(2)로 전송하여 통신 디바이스(1)의 사용자가 기사 페이지를 정독했음을 알린다. 3014 단계 및 3015 단계에서, 통신 디바이스(1)가 웹 브라우저의 스크롤 바가 기사 페이지의 하단에 도달하였다고 결정한 경우, 통신 디바이스(1)은 가시 로그를 생성하고 서버(2)로 가시 로그를 전송한다.
3016 단계에서, 서버(2)는 통신 디바이스(1)로부터 전송된 가시 로그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시 로그를 서버(2)의 스토리지(23)에 저장한다. 서버(2)의 통신부(22)는 통신 디바이스(1)의 통신부(13)로부터 가시 로그를 수신하고, 가시 로그를 서버(2)의 프로세서(21)로 입력한다. 서버(2)의 프로세서(21)는 기사 페이지에 대한 가시 로그를 스토리지(23)에 저장한다.
서버(2)와 통신 디바이스(1)는 임의의 통신 디바이스(1)가 서버(2)의 기사 페이지에 접속할 때마다 3011 단계 내지 3016 단계를 수행하여, 기사 페이지에 대한 방문 로그 및 가시 로그를 수신하고, 수신된 기사 페이지에 대한 방문 로그의 개수 및 가시 로그의 개수를 서버(2)의 스토리지(23)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기사 페이지에 대한 방문 로그 및 가시 로그를 수집한다. 서버(2)는 3011 단계 내지 3016 단계를 다수회 반복하여 다수의 방문 로그 및 가시 로그를 스토리지(23)에 저장한다.
302 단계에서, 서버(2)의 프로세서(21)는 수집된 방문 로그 및 가시 로그에 기초하여 기사 페이지의 정독률을 산출한다. 서버(2)의 프로세서(21)는 수집된 방문 로그의 개수와 가시 로그의 개수를 이용하여 다음의 수학식 1에 따라 기사 페이지의 정독률을 산출한다. 기사 페이지의 정독률은 가시 로그의 개수 대 방문 로그의 개수의 비율이다. 예를 들어, 임의의 기사 페이지에 대하여 스토리지(23)에 저장된 가시 로그의 개수가 2,000 개이고, 방문 로그의 개수가 20,000 개라고 가정하면, 서버(2)의 프로세서(21)는 해당 기사 페이지의 정독률을 10 %로 산출한다.
Figure 112018072309600-pat00003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독률 산출 방법에 따르면, 웹 브라우저의 스크롤 바가 기사 페이지의 하단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로 통신 디바이스(1)의 사용자(10)이 해당 기사 페이지를 정독하였다고 결정하고, 이에 기반하여 기사 페이지의 정독률을 산출한다. 이러한 정독률 산출 방법은 실제로 기사 본문을 읽지 않고 단순히 기사 페이지를 아래로 스크롤한 경우, 또는 기사 페이지에 접속하고 통신 디바이스를 방치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기사 본문을 정독한 것으로 결정되어 기사 페이지의 정확한 정독률을 산출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기사 페이지의 전체 세로 길이 별 체류 시간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통신 디바이스(1)의 사용자가 기사 페이지의 기사 본문을 정독하였는지 여부를 재결정하여, 기사 페이지의 정독률을 더 정확하게 산출한다. 기사 페이지의 정독률을 더 정확하게 산출하는 것과 관련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302 단계에서의 기사 페이지의 정독률을 산출하는 단계의 상세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302 단계는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구성될 수 있다. 3021 단계에서, 서버(2)의 프로세서(21)는 기사 페이지의 전체 세로 길이를 산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2)의 프로세서(21)는 자바 스크립트의 documnet.body.scrollHeight 함수를 이용하여 기사 본문, 광고 및 섬네일을 포함하는 기사 페이지의 전체 세로 길이를 산출한다.
3022 단계에서, 서버(2)의 프로세서(21)는 서버(2)의 스토리지(23)에 저장된 기사 페이지의 전체 세로 길이에 대한 통계수치를 검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2)의 스토리지(23)은 기사 페이지의 전체 세로 길이 별 체류시간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포함하는 통계수치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스토리지(23)은 기사 페이지의 전체 세로 길이가 1500 픽셀인 경우, 체류 시간의 평균은 30초이고, 표준편차는 3초, 기사 페이지의 전체 세로 길이가 1200 픽셀인 경우, 체류 시간의 평균은 26초이고, 표준편차는 2초 등과 같이 기사 페이지의 전체 세로 길이 별 체류시간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포함하는 통계수치를 저장한다. 서버(2)의 프로세서(21)는 스토리지(23)에 저장된 통계수치 중 산출된 기사 페이지의 전체 세로 길이에 대한 통계수치를 검색한다.
3023 단계에서, 서버(2)의 프로세서(21)는 기사 페이지에 대한 방문 로그 및 가시 로그에 기초하여, 통신 디바이스(1)가 기사 페이지에 머무른 체류시간을 산출한다. 방문 로그는 통신 디바이스(1)가 기사 페이지에 접속한 시간을 포함하고 있고, 가시 로그는 통신 디바이스(1)의 웹 브라우저의 스크롤 바가 기사 페이지의 하단에 도달한 시간, 즉 통신 디바이스(1)의 사용자가 기사 페이지를 하단까지 정독한 시간을 포함하고 있다. 서버(2)의 프로세서(21)는 방문 로그와 가시 로그 각각에 포함된 시간을 이용하여 통신 디바이스(1)가 기사 페이지에 머무른 체류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산출된 체류시간은 통신 디바이스(1)의 사용자(10)이 기사 페이지에 포함된 기사 본문을 정독한 시간으로 볼 수 있다. 서버(2)의 프로세서(21)는 스토리지(23)에 수집된 각 방문 로그 및 가시 로그에 대한 체류시간을 산출한다.
3024 단계에서, 서버(2)의 프로세서(21)는 산출된 체류시간, 및 기사 페이지의 전체 세로 길이에 대한 통계수치에 기초하여, 기사 페이지의 정독률을 산출한다. 서버(2)의 프로세서(21)는 스토리지(23)에 수집된 각 방문 로그 및 가시 로그에 대한 체류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각 체류시간이 체류시간의 평균 및 표준편차에 따라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존재하는 체류시간을 갖는 가시 로그의 개수를 산출한다. 미리 정해진 범위는 체류시간의 평균을 기준으로 표준편차의 n 배수의 범위로 정해질 수 있고, 여기서 n은 1 이상의 정수이고, n 값은 설계자에 의해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범위는 체류시간의 평균을 기준으로 표준편차의 3 배수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와 같이, 전체 세로 길이가 1500 픽셀인 기사 페이지에 대하여 체류 시간의 평균이 30초이고, 표준편차가 3초인 경우, 체류시간의 미리 정해진 범위는 21초 이상 39초 이하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방식으로 실제로 기사 페이지를 정독하지 않은 사용자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가시 로그를 제외할 수 있다.
서버(2)의 프로세서(21)는 방문 로그와 가시 로그에 따라 산출된 체류시간이 21초 내지 39초 이내의 범위에 속하는 경우에 한하여 통신 디바이스(1)의 사용자가 기사 페이지를 정독한 경우로 결정한다. 서버(2)의 프로세서(21)는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존재하는 체류시간을 갖는 가시 로그의 개수를 산출하고, 스토리지(23)에 수집된 방문 로그의 개수 및 산출된 가시 로그의 개수를 이용하여 기사 페이지의 정독률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임의의 기사 페이지에 대하여 스토리지(23)에 저장된 가시 로그의 개수가 2,000 개이고, 방문 로그의 개수가 20,000개이고, 저장된 가시 로그 중 산출된 체류시간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존재하는 가시 로그의 개수가 1,700 개로 산출되었다고 가정하면, 서버(2)의 프로세서(21)는 해당 기사 페이지의 정독률을 8.5 %로 산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독률 산출 방법은 서버 및 복수 개의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정독률 산출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정독률 산출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2)에 접속하고, 서버(2)로부터 기사 페이지를 제공받아 사용자(10)에게 기사 페이지를 출력하는 복수 개의 통신 디비아스(1), 및 복수 개의 통신 디바이스들(1)로 상기 기사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2)로 구성된다.
복수 개의 통신 디바이스(1) 각각은 프로세서(12), 통신부(13), 입력부(11) 및 디스플레이부(14)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1)의 프로세서(12)는 통신 디바이스(1)가 온라인 신문의 기사 페이지에 접속한 경우, 방문 로그를 생성하고, 웹 브라우저의 스크롤 바가 상기 기사 페이지의 하단에 도달하였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가시 로그를 생성한다. 통신 디바이스(1)의 통신부(13)는 서버(2)로부터 기사 페이지를 수신하고, 상기 서버(2)로 상기 기사 페이지에 대한 방문 로그 및 가시 로그를 전송한다. 통신 디바이스(1)의 디스플레이부(14)는 서버(2)로부터 수신된 기사 페이지를 출력하여 사용자(10)에게 보여준다.
서버(2)는 통신부(22), 스토리지(23) 및 프로세서(21)를 포함한다. 서버(2)의 통신부(22)는 통신 디바이스(1)로부터 기사 페이지에 대한 방문 로그 및 가시 로그를 수신한다. 서버(2)의 스토리지(23)는 수신된 기사 페이지에 대한 방문 로그 및 가시 로그를 저장한다. 서버(2)의 프로세서(21)는 스토리지(23)에 저장된 방문 로그 및 가시 로그에 기초하여 기사 페이지의 정독률을 산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서버(2)는 기사 페이지에 대한 체류시간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기사 페이지를 정독하지 않고 웹 브라우저의 스크롤 바룰 기사 페이지의 하단까지 내린 경우를 제외함으로써, 기사 페이지의 정독률을 보다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통신 디바이스가 접속한 온라인 신문의 기사 페이지에서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의 스크롤 바를 기사 페이지의 하단까지 내렸는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온라인 신문의 기사 페이지에 대한 정독률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기사 페이지의 전체 세로 길이 별 체류시간에 대한 통계 수치와 각 통신 디바이스의 체류 시간을 이용하여,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기사 페이지에 포함된 기사 본문을 정독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온라인 신문 기사 페이지의 정확한 정독률을 산출할 수 있다.
종래에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구독률 및 열독률을 산출하였으나, 이러한 종래의 측정방법은 정확한 정독률을 알 수 없었으며, 조사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드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설문조사 방식과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통신 디바이스와 서버 사이에 교환되는 데이터(방문 로그 및 가시 로그)를 이용하여 온라인 신문의 기사 페이지에 대한 정독률을 산출함으로써, 기존의 설문조사를 통한 방법 보다 정확한 정독률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온라인 신문의 기사 페이지가 독자들에게 얼마나 정독되는지에 대한 지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통신 디바이스 2: 서버

Claims (6)

  1. 온라인 신문의 정독률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버(2)에서, 통신 디바이스(1)로부터 기사 페이지에 대한 방문 로그(visit log) 및 가시 로그(visible log)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2)에서, 상기 수집된 방문 로그 및 가시 로그에 기초하여, 상기 기사 페이지에 대한 정독률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문 로그 및 가시 로그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1)가 상기 기사 페이지에 접속한 경우, 상기 통신 디바이스(1)로부터 상기 서버(2)로 상기 방문 로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2)에서, 상기 전송된 방문 로그를 상기 서버(2)의 스토리지(23)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통신 디바이스(1)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1)의 웹 브라우저의 스크롤 바가 상기 기사 페이지의 하단에 도달하였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통신 디바이스(1)에서, 상기 스크롤 바가 상기 기사 페이지의 하단에 도달하였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가시 로그를 생성하고 상기 서버(2)로 상기 가시 로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2)에서, 상기 전송된 가시 로그를 상기 서버(2)의 스토리지(23)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문 로그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1)의 고유 식별자를 나타내는 UID(unique indentity), 상기 통신 디바이스(1)가 접속한 기사 페이지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콘텐츠 ID, 및 상기 통신 디바이스(1)가 상기 기사 페이지에 접속한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가시 로그는 상기 UID, 상기 콘텐츠 ID, 및 상기 기사 페이지의 하단에 스크롤 바가 도달한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기사 페이지에 대한 정독률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2)에서, 상기 기사 페이지의 전체 세로 길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서버(2)에서, 상기 서버(2)의 스토리지(23)에 저장된 상기 산출된 기사 페이지의 전체 세로 길이에 대한 체류시간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서버(2)에서, 상기 방문 로그 및 상기 가시 로그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1)가 상기 기사 페이지에 머무른 체류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체류시간의 평균 및 표준편차에 따라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존재하는 가시 로그의 개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가시 로그의 개수 및 상기 방문 로그의 개수를 이용하여 상기 기사 페이지의 정독률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독률 산출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1)의 웹 브라우저의 스크롤 바가 상기 기사 페이지의 하단에 도달하였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1)에서, 상기 기사 페이지의 전체 세로 길이, 상기 통신 디바이스(1)의 디스플레이부(14)에서 출력되고 있는 상기 기사 페이지의 부분의 세로 길이, 및 상기 웹 브라우저에서 스크롤되어 올라간 기사 페이지의 세로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1)의 웹 브라우저의 스크롤 바가 상기 기사 페이지의 하단에 도달하였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독률 산출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의 정독률 산출 방법을 수행하는 정독률 산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독률 산출 시스템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10)에게 온라인 신문의 기사 페이지를 출력하는 복수 개의 통신 디바이스(1); 및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디바이스들(1)로 상기 기사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2)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디바이스들(1) 각각은
    통신 디바이스(1)가 상기 기사 페이지에 접속한 경우, 상기 방문 로그를 생성하고, 웹 브라우저의 스크롤 바가 상기 기사 페이지의 하단에 도달하였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가시 로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12);
    상기 서버(2)로부터 상기 기사 페이지를 수신하고, 상기 서버(2)로 상기 기사 페이지에 대한 방문 로그 및 가시 로그를 전송하는 통신부(13); 및
    상기 수신된 기사 페이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4)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2)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1)로부터 상기 기사 페이지에 대한 방문 로그 및 가시 로그를 수신하는 통신부(22);
    상기 수신된 방문 로그 및 가시 로그를 저장하는 스토리지(23); 및
    상기 저장된 방문 로그 및 가시 로그에 기초하여 상기 기사 페이지의 정독률을 산출하는 프로세서(21)를 포함하고,
    상기 방문 로그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1)의 고유 식별자를 나타내는 UID(unique indentity), 상기 통신 디바이스(1)가 접속한 기사 페이지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콘텐츠 ID, 및 상기 통신 디바이스(1)가 상기 기사 페이지에 접속한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가시 로그는 상기 UID, 상기 콘텐츠 ID, 및 상기 기사 페이지의 하단에 스크롤 바가 도달한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21)는
    상기 기사 페이지의 전체 세로 길이를 산출하고, 상기 스토리지(23)에 저장된 상기 산출된 기사 페이지의 전체 세로 길이에 대한 체류시간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검색하고, 상기 방문 로그 및 상기 가시 로그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1)가 상기 기사 페이지에 머무른 체류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체류시간의 평균 및 표준편차에 따라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존재하는 가시 로그의 개수를 산출하고, 그리고 상기 산출된 가시 로그의 개수 및 상기 방문 로그의 개수를 이용하여 상기 기사 페이지의 정독률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독률 산출 시스템.
KR1020180085176A 2018-07-23 2018-07-23 온라인 신문에서 기사 페이지의 정독률을 산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125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176A KR102125132B1 (ko) 2018-07-23 2018-07-23 온라인 신문에서 기사 페이지의 정독률을 산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176A KR102125132B1 (ko) 2018-07-23 2018-07-23 온라인 신문에서 기사 페이지의 정독률을 산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737A KR20200010737A (ko) 2020-01-31
KR102125132B1 true KR102125132B1 (ko) 2020-06-19

Family

ID=69369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176A KR102125132B1 (ko) 2018-07-23 2018-07-23 온라인 신문에서 기사 페이지의 정독률을 산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1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137B1 (ko) 2023-10-25 2024-03-15 임학래 인터넷을 통하여 사용자 맞춤형 기사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584B1 (ko) * 2013-05-07 2014-03-13 (주) 시맨틱렙홀딩스 객체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7162240A (ja) * 2016-03-10 2017-09-14 ビルコム株式会社 熟読率計測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584B1 (ko) * 2013-05-07 2014-03-13 (주) 시맨틱렙홀딩스 객체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7162240A (ja) * 2016-03-10 2017-09-14 ビルコム株式会社 熟読率計測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137B1 (ko) 2023-10-25 2024-03-15 임학래 인터넷을 통하여 사용자 맞춤형 기사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737A (ko) 2020-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7452B1 (ja) 行動計量学を使用してコンテンツレイアウトを最適化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TWI424326B (zh) A server device, a terminal device, a user care calculation method, a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program, and a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1071366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rating content
US20150163313A1 (en) Techniques for enhancing a member profile with a document reading history
US20130080245A1 (en) Advertising management system
JP2010039845A (ja) ユーザ作成コンテンツ管理装置、ユーザ作成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および閲覧者の嗜好調査方法
US201502542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jecting content into existing computerized data
US9984390B2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distribution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03678325A (zh) 一种用于提供与初始页面相对应的浏览页面的方法和设备
JP640172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65956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055567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69391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06053616A (ja) サーバ装置、webサイト推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25132B1 (ko) 온라인 신문에서 기사 페이지의 정독률을 산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6295577B2 (ja) 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提供方法
JP6224682B2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及び配信装置
JP5774661B2 (ja) 配信装置、端末装置、配信方法、配信プログラム及び端末プログラム
JP6158903B2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及び配信装置
EP4123545A1 (en) Advertisement delivery method and advertisement delivery system
JP2015099557A (ja) 配信装置、端末装置、配信方法、配信プログラム及び端末プログラム
KR20090084015A (ko) 개인 미디어 컨텐츠 평가 방법 및 시스템
JP6442850B2 (ja) 情報提供装置、広告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86553B2 (ja) 分類装置、分類方法及び分類プログラム
JP6400873B1 (ja) 表示プログラム、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