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012B1 - 등종 - Google Patents

등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012B1
KR102125012B1 KR1020200019697A KR20200019697A KR102125012B1 KR 102125012 B1 KR102125012 B1 KR 102125012B1 KR 1020200019697 A KR1020200019697 A KR 1020200019697A KR 20200019697 A KR20200019697 A KR 20200019697A KR 102125012 B1 KR102125012 B1 KR 102125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light emitting
power supply
bell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경열
Original Assignee
차경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경열 filed Critical 차경열
Priority to KR1020200019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0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6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orced flow of gas, e.g. air
    • F21V29/67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orced flow of gas, e.g. air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 G10K1/28Bells for towers or the like
    • G10K1/30Details or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06Light emitting diode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등종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의 표면에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LED)를 설치함으로써 에밀레 종의 음향을 대신하여 법당에 등불로서 불을 밝혀 불자님들의 소원 성취 및 행운 기도 시 이용될 수 있는 등종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속이 비어 있는 원통 형태의 종신과, 상기 종신의 상부에 형성된 원형의 천판과, 상기 종신의 하부에 개방되어 형성된 원형의 종구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중 상기 종신의 표면을 따라 부착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등종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등종{Light Bell}
본 발명의 실시예는 등종에 관한 것이다.
범종(梵鐘)은 법구사물 중의 하나로 중생을 제도하는 불구를 의미한다. 이러한 범종은 한국의 금속 공예 전반에서도 그 규모와 각 부의 조각으로 보아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주목되고 있다. 범종은 일반적으로 등종(銅鐘)이라고도 하는데, 등종이란 사찰에서 사용하는 동제(銅製)의 범종으로, 대중을 모으거나 때를 알리기 위하여 울리는 종이다. 이러한 범종은 다른 불구와 달리 그 규격이 크기 때문에 흔히 종루(鐘樓)나 종각(鐘閣)을 짓고 달아두며 중형이나 소형의 등종이면 현가(懸架)를 설치하여 매달기도 한다.
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소리[音響]이다. 범종은 타종(打鐘)하면 종의 진동이 공기를 진동시키고, 공기의 진동이 사람의 고막을 진동시켜 뇌에 전달되면 소리를 감지하게 된다. 종에서 소리가 발생하는 것은 물체를 구성하고 있는 금속원자의 진동에 따라 종체의 탄성변형(彈性變形)이 공기중에 전파되기 때문이다. 종의 진동은 종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다르고 또한 종의 재질, 타봉 종류 등 많은 인자(因子)들이 영향을 미친다. '좋은 종소리'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표시한다. ① 맑은 소리, 즉 잡음이 없고 귀에서 아름다운 소리로 감지할 수 있으며, ② 소리의 여운(餘韻)이 길어야 하고, ③ 뚜렷한 맥놀이가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세 요소는 종에 사용된 합금, 쇳물의 냉각 속도, 종의 형상, 두께 분포, 문양 배치 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범종의 대표예로서 에밀레 종이 있으며, 이는 국보 제29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러한 에밀레 종은 청동으로 제작되고 주로 큰 사찰에 설치되어 음향으로 사람의 마음을 편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암자나 무속인들의 법당에는 높은 비용으로 인해 에밀레 종이 현실적으로 설치되기 어렵다. 암자의 주지 스님들은 에밀레 종을 설치 및 보존하고 싶으나 청동으로 제작할려면 비용이 수천만원이 소요되어 재정적인 문제로 마음만 간직할 뿐 현실에서 실행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개시된 상술한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뿐이며, 따라서 종래 기술을 구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의 표면에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LED)를 설치함으로써 에밀레 종의 음향을 대신하여 법당에 등불로서 불을 밝혀 불자님들의 소원 성취 및 행운 기도 시 이용될 수 있는 등종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종은 속이 비어 있는 원통 형태의 종신과, 상기 종신의 상부에 형성된 원형의 천판과, 상기 종신의 하부에 개방되어 형성된 원형의 종구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중 상기 종신의 표면을 따라 부착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는 삼각형의 각 꼭지점에 위치된 3개의 발광 다이오드 유닛이 제1세트로 정의되고, 다른 삼각형의 각 꼭지점에 위치된 3개의 발광 다이오드 유닛이 제2세트로 정의되며, 상기 제1,2세트가 상기 전원 공급 패턴에 접속되며, 상기 제1,2세트의 각 발광 다이오드가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되고, 상기 전원 공급 패턴은 상기 제1세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L" 자 형태의 제1패턴과, 상기 제2세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ㄱ" 자 형태의 제2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패턴은 전원 공급부의 양극에 연결된 제1패턴 첫번째 패턴 및 상기 전원 공급부의 음극에 연결된 제1패턴 두번째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제1패턴은 전원 공급부의 양극에 연결된 제1패턴 첫번째 패턴 및 상기 전원 공급부의 음극에 연결된 제1패턴 두번째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제1패턴 첫번째 패턴의 두께 및 폭이 상기 제1패턴 두번째 패턴의 두께 및 폭보다 작고, 상기 제1패턴 첫번째 패턴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패턴 두번째 패턴은 구리로 형성되고, 상기 제1패턴 첫번째 패턴의 길이와 상기 제1패턴 두번째 패턴의 길이는 동일하며, 상기 제2패턴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양극에 연결된 제2패턴 첫번째 패턴 및 상기 전원 공급부의 음극에 연결된 제2패턴 두번째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제2패턴 첫번째 패턴의 두께 및 폭이 상기 제2패턴 두번째 패턴의 두께 및 폭보다 작고, 상기 제2패턴 첫번째 패턴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패턴 두번째 패턴은 구리로 형성되고, 상기 제2패턴 첫번째 패턴의 길이와 상기 제2패턴 두번째 패턴의 길이는 동일하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연성 인쇄회로기판으로서 상기 종신의 외측 표면을 따라 원통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종신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된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열전달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신의 내측에는 상기 열전달 매체에 열적으로 접속된 히트 싱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천판은 배기구와, 상기 배기구에 부착된 송풍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판에는 온도 센서가 더 부착되어,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송풍팬이 동작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의 표면에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LED)를 설치함으로써 에밀레 종의 음향을 대신하여 법당에 등불로서 불을 밝혀 불자님들의 소원 성취 및 행운 기도 시 이용될 수 있는 등종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3개의 발광 다이오드가 한세트가 되고, 이러한 한세트에 하나의 상대적으로 넓고 두꺼운 전원 공급 패턴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전체 영역에서 특정 영역이 더 밝거가 어둡지 않고 전체 영역이 균일하게 빛나는 등종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종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종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종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종에 이용된 발광 다이오드 조립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종에 이용된 발광 다이오드 조립체의 전원 공급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 또는 특징은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아래"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컨트롤러)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은 임의의 적절한 하드웨어, 펌웨어(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 하드웨어의 적절한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컨트롤러)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은 하나의 집적회로 칩 상에, 또는 별개의 집적회로 칩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컨트롤러)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상에 구현 될 수 있고,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인쇄 회로 기판, 또는 제어부(컨트롤러)와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컨트롤러)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또는 쓰레드(thread)일 수 있고, 이는 이하에서 언급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고 다른 구성 요소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표준 메모리 디바이스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예를 들어, CD-ROM, 플래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당업자는 다양한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상호간 결합되거나, 하나의 컴퓨팅 장치로 통합되거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벗어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팅 장치들에 분산될 수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종(100)을 도시한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종(1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종(100)은 몸체(110)와, 인쇄회로기판(120)과,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0)는 종신(111), 천판(112) 및 종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종신(111)은 대략 속이 비어 있는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완만하게 증가할 수 있다. 천판(112)은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종신(11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천판(112)은 종신(111)의 상부를 막을 수 있다. 종구(113)는 종신(111)의 하부에 대략 원형 형태로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몸체(110)는 플라스틱, 세라믹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몸체(110) 중 천판(112)에는 등종(100)을 천장에 매달수 있도록 현수바(114)가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몸체(110) 중 천판(112)에는 내부의 열기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배기구(115)가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배기구(115)와 대응되는 영역에는 내부의 열기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기하기 위한 송풍팬(116)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송풍팬(116)은 천판(112)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천판(112)의 하부에는 온도 센서(117)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110)의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예를 들면, 60℃)보다 높을 경우에만 송풍팬(116)이 동작하여 전기 에너지가 절감되고 소음이 방지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천판(112)의 하부에는 스피커(118)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제 에밀레종의 사운드가 스피커(118)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종신(111)에는 발광 다이오드(130)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119)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발광 다이오드(130)는 관통홀(119)을 관통하는 열전달 매체(13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130)로부터 발생된 열이 열전달 매체(131)를 통해 외부로 신속하게 방사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열전달 매체(131)는 알루미늄, 구리, 니켈 및/또는 알루미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20)은 몸체(110)중 종신(111)의 표면을 따라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인쇄회로기판(120)은 연성 인쇄회로기판(120)일 수 있으며, 이는 종신(111)의 외측 표면을 따라 대략 원통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인쇄회로기판(120)은 열도전성 접착제를 통해 종신(111)의 외측 표면에 접착될 수 있다.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130)는 인쇄회로기판(1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채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110)중 특히 종신(111)의 표면을 따라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130)가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됨으로써, 등종(100)을 구현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의 표면에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130)(LED)가 설치됨으로써 에밀레 종의 음향을 대신하여 법당에 등불로서 불을 밝혀 불자님들의 소원 성취 및 행운 기도 시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130)는 관통홀(119)을 관통하는 열전달 매체(13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종신(111)의 내측에는 열전달 매체(131)에 열적으로 접속된 히트 싱크(13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130)로부터 발생된 열이 열전달 매체(131) 및 히트 싱크(132)를 통해 외부로 신속하게 방사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바와 같이 천판(112)에 배기구(115)가 형성되고, 배기구(115)에 송풍팬(116)이 더 부착됨으로써, 배기구(115) 및 송풍팬(116)을 통해 범종의 내부에 열이 축적되지 않고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이, 천판(112)에는 온도 센서(117)가 더 부착되어, 온도 센서(117)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높을 경우 송풍팬(116)이 동작함으로써, 전기 에너지를 절감하고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종(100)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종(100)은 전원 공급부(140),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130), 제어부(150), 메모리(151), 온도 센서(117), 송풍팬(116) 및 스피커(118)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전원 공급부(140)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3V 내지 24V의 직류 전원을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130)에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전원 공급부(140)를 제어하여 발광 다이오드(130)에 전원 공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메모리(151)는 제어부(150)의 동작에 관한 각종 설정값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온도 센서(117)는 등종(100)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50)에 전송하고, 제어부(150)는 온도 센서(117)로 감지한 온도가 메모리(151)에 미리 저장된 기준 온도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송풍팬(116)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송풍팬(116)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욱이, 제어부(150)는 메모리(151)에 저장된 에밀레 종의 사운드를 스피커(118)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종(100)에 이용된 발광 다이오드 조립체(130A)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 조립체(130A)는 인쇄회로기판(120),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130) 및 전원 공급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120)은 아직 등종(100)의 표면에 부착되기 전으로서 펼쳐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일부 예들에서,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130)는 인쇄회로기판(120) 상에서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더불어, 인쇄회로기판(120)은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1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전원 공급 패턴(121: 도 5 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원 공급 패턴(121)에 전원 공급부(1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종(100)에 이용된 발광 다이오드 조립체(130A)의 전원 공급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종(100)에 이용된 발광 다이오드 조립체(130A)는 인쇄회로기판(120: 도 4 참조)을 포함하며, 인쇄회로기판(120)은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패턴(121)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130)는 이등변 삼각형의 각 꼭지점에 위치된 3개의 발광 다이오드 유닛(130)이 제1세트(1301)로 정의될 수 있고, 이웃한 다른 이등변 삼각형의 각 꼭지점에 위치된 3개의 발광 다이오드 유닛(130)이 제2세트(1302)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2세트(1301,1302)가 전원 공급 패턴(121)에 접속되며, 제1,2세트(1301,1302)의 각 발광 다이오드(130)는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인쇄회로기판(120)의 전원 공급 패턴(121)은 제1세트(1301)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L" 자 형태의 제1패턴(121a)과, 제2세트(1302)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ㄱ" 자 형태의 제2패턴(121b)을 포함할 수 있고, 제1,2패턴(121a,121b)은 상호간 마주보며 전원 공급부(140)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역"L" 자 형태의 제1패턴(121a)과, 역"ㄱ" 자 형태의 제2패턴(121b)은 이들을 상호간 연결하는 연결 패턴(121c)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넓고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제1,2패턴(121a,121b)의 일단, 중간 및 끝단에 3개의 발광 다이오드(130)가 삼각 형태로 배열 및 접속됨으로써, 3개의 발광 다이오드(130)가 균일한 세기로 발광될 수 있다. 특히, 3개의 발광 다이오드(130)가 한쌍이 되어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 형태를 하게 됨으로써, 등종(100)의 전체적인 발광 세기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즉, 등종(100)의 전체 영역에서 특정 영역이 과도하게 밝거나 어둡지 않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발광 세기를 갖게 된다.
일부 예들에서, 제1패턴(121a)중 전원 공급부(140)의 양극에 연결된 첫번째 패턴(도면중 좌측 상부 패턴)의 두께 및/또는 폭이 두번째 패턴(도면중 좌측 패턴)의 두께 및/또는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상호간 동일한 두께 및/또는 폭을 갖되, 첫번째 패턴(도면중 좌측 상부 패턴)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두번째 패턴(도면중 좌측 패턴)은 구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좌측 상부 패턴의 전기 저항이 좌측 패턴의 전기 저항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2패턴(121b)중 전원 공급부(140)의 양극에 연결된 첫번째 패턴(도면중 우측 패턴)의 두께 및/또는 폭이 두번째 패턴(도면중 우측 하부 패턴)의 두께 및/또는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상호간 동일한 두께 및/또는 폭을 갖되, 첫번째 패턴(도면중 우측 패턴)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두번째 패턴(도면중 우측 하부 패턴)은 구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우측 패턴의 전기 저항이 우측 하부 패턴의 전기 저항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1패턴(121a)의 일단, 중간 및 끝단에 각각 연결된 3개의 발광 다이오드가 균일한 휘도로 발광될 수 있고 또한 제2패턴(121b)의 일단, 중간 및 끝단에 각각 연결된 3개의 발광 다이오드 역시 균일한 휘도로 발광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등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등종
110; 몸체 111; 종신
112; 천판 113; 종구
114; 현수바 115; 배기구
116; 송풍팬 117; 온도 센서
118; 스피커 119; 관통홀
120; 인쇄회로기판 121; 전원 공급 패턴
121a; 제1패턴 121b; 제2패턴
130; 발광 다이오드 131; 열전달 매체
132; 히트싱크 140; 전원 공급부
150; 제어부 151; 메모리

Claims (8)

  1. 속이 비어 있는 원통 형태의 종신과, 상기 종신의 상부에 형성된 원형의 천판과, 상기 종신의 하부에 개방되어 형성된 원형의 종구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중 상기 종신의 표면을 따라 부착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는 삼각형의 각 꼭지점에 위치된 3개의 발광 다이오드 유닛이 제1세트로 정의되고, 다른 삼각형의 각 꼭지점에 위치된 3개의 발광 다이오드 유닛이 제2세트로 정의되며, 상기 제1,2세트가 상기 전원 공급 패턴에 접속되며, 상기 제1,2세트의 각 발광 다이오드가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되고, 상기 전원 공급 패턴은 상기 제1세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L" 자 형태의 제1패턴과, 상기 제2세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ㄱ" 자 형태의 제2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패턴은 전원 공급부의 양극에 연결된 제1패턴 첫번째 패턴 및 상기 전원 공급부의 음극에 연결된 제1패턴 두번째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제1패턴 첫번째 패턴의 두께 및 폭이 상기 제1패턴 두번째 패턴의 두께 및 폭보다 작고, 상기 제1패턴 첫번째 패턴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패턴 두번째 패턴은 구리로 형성되고, 상기 제1패턴 첫번째 패턴의 길이와 상기 제1패턴 두번째 패턴의 길이는 동일하며,
    상기 제2패턴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양극에 연결된 제2패턴 첫번째 패턴 및 상기 전원 공급부의 음극에 연결된 제2패턴 두번째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제2패턴 첫번째 패턴의 두께 및 폭이 상기 제2패턴 두번째 패턴의 두께 및 폭보다 작고, 상기 제2패턴 첫번째 패턴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패턴 두번째 패턴은 구리로 형성되고, 상기 제2패턴 첫번째 패턴의 길이와 상기 제2패턴 두번째 패턴의 길이는 동일한, 등종.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연성 인쇄회로기판으로서 상기 종신의 외측 표면을 따라 원통 형태로 부착된, 등종.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신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된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열전달 매체를 포함하는, 등종.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종신의 내측에는 상기 열전달 매체에 열적으로 접속된 히트 싱크가 구비된, 등종.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천판은 배기구와, 상기 배기구에 부착된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등종.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천판에는 온도 센서가 더 부착되어,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송풍팬이 동작하는, 등종.

  7. 삭제
  8. 삭제
KR1020200019697A 2020-02-18 2020-02-18 등종 KR102125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697A KR102125012B1 (ko) 2020-02-18 2020-02-18 등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697A KR102125012B1 (ko) 2020-02-18 2020-02-18 등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012B1 true KR102125012B1 (ko) 2020-06-19

Family

ID=71138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697A KR102125012B1 (ko) 2020-02-18 2020-02-18 등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01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5014A (ko) * 1999-12-09 2001-07-02 구자홍 홍채인식 시스템의 조명장치
KR200274146Y1 (ko) * 2001-08-03 2002-05-06 김주성 유연성을 가지는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제작 방법
JP2012113846A (ja) * 2010-11-19 2012-06-14 Fuso Denki Kogyo Kk Led照明装置
JP2013168276A (ja) * 2012-02-15 2013-08-29 Mitsubishi Electric Corp Led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5014A (ko) * 1999-12-09 2001-07-02 구자홍 홍채인식 시스템의 조명장치
KR200274146Y1 (ko) * 2001-08-03 2002-05-06 김주성 유연성을 가지는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제작 방법
JP2012113846A (ja) * 2010-11-19 2012-06-14 Fuso Denki Kogyo Kk Led照明装置
JP2013168276A (ja) * 2012-02-15 2013-08-29 Mitsubishi Electric Corp Led照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1487U (ja) Led照明デバイス
US20110074271A1 (en) Lamp and lighting equipment
JP2009218204A (ja) 発光モジュール及び照明装置
WO2007075742A2 (en) Lighting device
JP3138653U (ja) 発光ダイオードランプ
JP3137436U (ja) 発光ダイオードランプレンズ構造
CN207966974U (zh) 面光源和车灯装置
KR102125012B1 (ko) 등종
KR100940884B1 (ko) Led 램프의 방열구조
JP2008305807A (ja) 水中照明体
KR20110072376A (ko) 확산 렌즈가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 조명장치
JP5529576B2 (ja) 発光装置
JP2008210568A (ja) 多点光源集積体の光源配置構造
KR101035483B1 (ko) 조명용 led 광원램프
US20130170183A1 (en) Led lamp
JP4744093B2 (ja) 照明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
CN207922118U (zh) 导光板以及照明装置
TW201430271A (zh) 發光二極體裝置
US8974081B2 (en) LED lamp
JPH0347560B2 (ko)
TW201423955A (zh) 發光二極體燈源裝置
CN214147472U (zh) 一种调节角度发光二级管灯管
KR20120121985A (ko) 형광등형 엘이디램프
CN211700334U (zh) 一种单芯食人鱼灯珠支架
JP7126876B2 (ja) 照明装置および投光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