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161B1 - 깊이조절대와 경사받침대가 조합 구비된 서가 - Google Patents

깊이조절대와 경사받침대가 조합 구비된 서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161B1
KR102124161B1 KR1020200007674A KR20200007674A KR102124161B1 KR 102124161 B1 KR102124161 B1 KR 102124161B1 KR 1020200007674 A KR1020200007674 A KR 1020200007674A KR 20200007674 A KR20200007674 A KR 20200007674A KR 102124161 B1 KR102124161 B1 KR 102124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th
bookshelf
adjustment
shelf
boo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명성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명성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명성기업
Priority to KR1020200007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1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47B63/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parts, e.g. trays, card containers, movable on pivots or on chain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5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clamping means, e.g. with sliding bolts or sliding wedges
    • A47B57/5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clamping means, e.g. with sliding bolts or sliding wedges the shelf supports being cantilever brackets
    • A47B57/567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clamping means, e.g. with sliding bolts or sliding wedges the shelf supports being cantilever brackets using wedges or a wedging effect without screw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서관이나 자료실 등에 세워 설치되는 서가(書架)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가의 선반 후측에 전,후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깊이조절대를 결합 형성하고, 서가의 하측에 위치하는 선반 상에는 별도 구비의 경사받침대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깊이조절대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조절삽입공을 통해 위치 이동되게 하고, 상기 경사받침대는 상기 조절삽입공을 통해 위치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선반에 위치 가변 형태로 결합되는 깊이조절대에 의해 선반 내 서적이나 자료 등이 서가 내에서 전면이 서로 일치된 상태로 정렬될 수 있어 미려한 상태로의 정리 및 수납이 가능한 것이고, 전면이 연속하여 정렬되므로 서적 등을 찾거나 수납시키고자 하는 경우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위치 및 분류 등을 인지할 수 있는 것이며, 서가 하부에 위치하는 서적 및 자료 등은 상향 경사진 상태로 수납 및 정리됨에 따라 무릎을 구부리거나 상체를 숙이지 않은 상태에서 정확한 시인성을 제공하여 목적하는 위치 및 분류의 서적이나 자료 등을 쉽고 간단하게 찾거나 수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이 매우 뛰어난 것이다.

Description

깊이조절대와 경사받침대가 조합 구비된 서가 {A bookshelf with a combination of depth adjuster and tilt support}
본 발명은 도서관이나 자료실 등에 세워 설치되는 서가(書架)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구조의 서가프레임 및 높이 조절식 선반에 대하여 깊이조절대와 경사받침대가 선택 또는 조합의 형태로 결합 사용되도록 하여, 다양한 크기의 서적 등이 전면 정렬 상태로 장서 또는 수납되게 하거나 서가의 하부에 위치하는 서적이 상향 경사진 형태로 수납 및 정리되게 하여, 각종 서적 및 자료 등의 시인성을 크게 높여 이들을 더욱 빠르고 효율적으로 찾거나 정리할 수 있도록 한 서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서관이나 자료실 등에서 다양한 종류 및 방대한 양의 일반서적, 정기간행물, 잡지 등과 같은 도서류나 비디오, 오디오테이프, CD, DVD 등의 멀티미디어를 주제별, 분류별로 정리 보관하기 위하여 목재나 철재 등으로 만들어진 서가(書架)를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서가는 사용면이나 서가 단위, 선반 개수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분류되는데, 사용면에 따라 도서류를 일면에만 진열하도록 주로 벽면에 붙여 설치하는 단식서가와 양면 모두에 진열하는 복식서가로 구분되거나, 또는 서가 단위에 따라서는 1련 또는 2련 등으로 구분되며, 선반의 개수에 따라서는 1단 또는 2단 등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서가는 도서관 및 자료실의 규모나 보유 및 보관하고 있는 도서 또는 자료나 매체의 양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배치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와 같은 서가는 실용신안공고 제20-1997-0002944호와 같이 양측에서 책을 장서하는 양면서가를 구성함에 있어서, 중앙부가 격벽으로 분리되고 양측에 삽입부가 형성된 금속재 빔의 양측으로 기둥판이 각각 끼워지게 하며 기둥판과 금속재 빔의 적정위치에 받침판이 다단으로 상재케 한 후 금속재 빔의 상하단부에 상부판과 하부받침판을 조립하여 구성함에 따라 목재로만 구성되었던 서가를 금속재빔을 연결부재로 사용하여 분할제작 해주므로서 소비자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더욱 우수한 품질의 서가를 공급하도록 한 양면서가가 안출된 바 있다.
이어, 등록실용신안 제20-0444838호와 같이 도서관 등에 설치되는 서가를 간단한 조작 및 적은 개수의 부품만으로도 횡방향으로 용이하게 확장하여 연결하거나 해체할 수 있어 비용 및 인력이 절감되어 경제적이며, 횡력에 대한 저항이 증대되어 견고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궁극적으로는 방대한 양의 도서류나 매체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정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서가 결합구조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457813호와 같이 서가프레임과, 상기 서가프레임의 내측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고 결합홈이 상하로 연속하여 형성되는 브라켓지지대와, 후단에는 상기 브라켓지지대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받침돌기가 형성되며 높이조절이 가능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받침돌기에 걸쳐 지지되는 선반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선반은 패널장착공이 형성되는 선반본체와, 상기 패널설치공에 설치되고 북엔드설치공이 형성되는 북엔드패널과, 상기 북엔드설치공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ㄱ"자형 북엔드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선반의 높이조절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서가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며, 북엔드의 보관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불필요하게 하는 가변식 선반이 구비된 서가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이어, 등록특허 제10-1302972호와 같이 상하로 배치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에 각각 설치되어 상하로 배치되는 브라켓과, 브라켓에 양측이 각각 연결되고, 책을 안치할 수 있는 선반과, 선반 상에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 배열되고, 상측으로 돌출되어 책 하부에 통풍유로를 형성하는 통풍돌기와, 선반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책을 나누어 주는 분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서가를 안출 및 등록받은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일반적인 서가에 있어 목재를 이용한 칸막이 선반 형태의 서가 또는 랙기둥을 이용한 높이 조절식 선반이 구비된 프레임 구조의 서가 모두 각 선반 상의 수납부 깊이가 일정하게 제작되므로, 결과적으로 각기 다른 크기의 서적이나 자료 등을 서가에 장서 또는 수납하게 되면 이들 서적이나 자료 등의 전면이 불규칙하게 정렬되어 미관을 해치는 것은 물론 작은 서적이나 자료 등은 큰 서적이나 자료 등에 가려져 쉽게 찾을 수 없기 때문에 서적이나 자료를 찾거나 분류하여 정리하는데 불필요하게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수직 방향의 다단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통상의 서가인 경우 설치 바닥부로부터 사람이 위로 손을 뻗어 책이나 자료 등을 꺼내거나 집어넣을 수 있을 정도의 상부 높이를 갖고 제작되는 바, 설치 바닥부에 위치한 선반 상에 수납된 서적이나 자료 등은 무릎을 굽히거나 상체를 숙여 꺼내거나 집어넣어야 하는 것인데, 목적하는 서적이나 자료 등을 찾거나 분류별로 정리하고자 하는 경우 낮은 위치의 선반에 놓여진 서적이나 자료 등은 서 있는 상태에서의 시야 범위 내에 있지 못하여 부득이 무릎을 구부리거나 상체를 숙여 해당위치를 직접 관찰하여야 하는 등 사용상의 불편함이 매우 큰 것이다.
대한민국실용신안공고 20-1997-0002944 (1997.04.08. 공고)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444838 (2009.06.03. 등록)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457813 (2011.12.29.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302972 (2013.08.28. 등록)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서가의 선반 후측에 전,후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깊이조절대를 결합 형성하고, 서가의 하측에 위치하는 선반 상에는 별도 구비의 경사받침대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깊이조절대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조절삽입공을 통해 위치 이동되게 하고, 상기 경사받침대는 상기 조절삽입공을 통해 위치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서가 내에 다양한 크기의 서적이나 자료 등을 수납하는 경우 상기 깊이조절대를 통해 각기 다양한 크기의 서적이나 자료의 전면을 서로 동일하게 정렬시킬 수 있는 것이고, 상기 경사받침대에 의해 서가의 하측에 위치하는 서적이나 자료 등은 상향 경사진 상태로 수납되게 하여 서 있는 상태에서도 시인성이 보다 향상되도록 한 특징의 깊이조절대와 경사받침대가 조합 구비된 서가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깊이조절대의 구조적 개선을 통해 상기 깊이조절대가 경사받침대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거나, 깊이조절대에 추가된 구성요소에 의해 수납되는 서적이나 자료 등의 수직 정렬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동시에 피톤치드 발산 작용으로 인해 곰팡이나 냄새 등이 방지 및 제거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직 길이방향으로 반복되는 걸이공이 형성된 2개체 이상의 랙기둥이 서로 이격 배치되고, 이들 랙기둥의 상단 및 하단에는 각기 상단고정대와 하단고정대가 결합 형성되며, 상기 각 랙기둥의 상단고정대와 하단고정대는 별도 구비의 상부지지판과 하부지지판에 의해 서로 연결 고정되고, 상기 랙기둥의 걸이공에는 일측에 걸이구가 돌출 형성된 선반이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여 결합 설치되는 서가에 있어서,
상기의 선반은 일측에 걸이구가 형성된 한 쌍의 측판 사이에 목재평판이 상호 결합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목재평판의 상부 양측에는 선반의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 조절삽입공을 형성하여, 상기 선반의 상부에 별도 구비의 깊이조절대와 경사받침대가 거치 고정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깊이조절대는 하부 양측으로 상기 조절삽입공으로 끼워지는 고정핀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조절삽입공에 대한 고정핀의 결합 위치에 따라 상기의 깊이조절대가 선반의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절되게 하고, 상기 경사받침대는 후측에 비해 앞쪽이 높은 경사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받침대의 하부 양측으로는 상기 조절삽입공으로 끼워지는 결합핀이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선반에 위치 가변 형태로 결합되는 깊이조절대에 의해 선반 내 서적이나 자료 등이 서가 내에서 전면이 서로 일치된 상태로 정렬될 수 있어 미려한 상태로의 정리 및 수납이 가능한 것이고, 전면이 연속하여 정렬되므로 서적 등을 찾거나 수납시키고자 하는 경우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위치 및 분류 등을 인지할 수 있는 것이며, 서가 하부에 위치하는 서적 및 자료 등은 상향 경사진 상태로 수납 및 정리됨에 따라 무릎을 구부리거나 상체를 숙이지 않은 상태에서 정확한 시인성을 제공하여 목적하는 위치 및 분류의 서적이나 자료 등을 쉽고 간단하게 찾거나 수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이 매우 뛰어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가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가의 측단면 전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가의 선반 및 깊이조절대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가의 선반 및 깊이조절대의 측단면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가의 깊이조절대 작용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가의 선반 및 경사받침대의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서가의 선반 및 경사받침대의 측단면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서가의 경사받침대에 대한 다른 실시예도
도 9는 도 8에 따른 경사받침대의 작용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서가의 깊이조절대에 대한 다른 실시예도
도 11은 도 10에 따른 깊이조절대의 작용 설명도
도 12는 도 10에 따른 깊이조절대의 또 다른 작용 설명도
도 13은 도 10에 따른 선반의 다른 실시예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서가의 깊이 조절대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가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가의 측단면 전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가는 적어도 2개체 이상의 랙기둥(100)(100')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고정된 견고한 프레임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기의 랙기둥(100)(100')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수직의 사각관체로 이루어져 있고 사각관체의 일면 혹은 양면에는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하여 관통된 걸이공(101)(10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랙기둥(100)(100')의 각 상단과 하단에는 각기 상단고정대(110)와 하단고정대(120)가 결합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들 상단고정대(110)와 하단고정대(120) 모두 사각관체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랙기둥(100)(100')의 상,하단을 각기 지지 및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어, 서로 이웃하고 있는 랙기둥(100)(100')의 상단고정대(110)와 하단고정대(120)는 별도 구비의 상부지지판(130)과 하부지지판(140)에 의해 서로 연결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상부지지판(130)과 하부지지판(140)은 금속판재를 "ㄷ"자 형태로 절곡한 후 양단을 금속판재에 의해 마감한 형태의 것으로, 상부지지판(130)과 하부지지판(140)의 양측면에 상단고정대(110)와 하단고정대(120)의 상호 대향 측면이 맞닿게 한 상태에서 서로 볼트 체결 또는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의 랙기둥(100)(100')과 상단고정대(110) 및 하단고정대(120)와 상부지지판(130) 및 하부지지판(140)에 의한 견고한 프레임 구조체에 대하여 별도 구비의 선반(150)(150')을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여 이격 설치하면 되는 것인데, 상기의 선반(150)(150')은 일측에 상기 랙기둥(100)(100')의 걸이공(101)(101')과 대응하는 걸이구(151)(151')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서로 이웃한 랙기둥(100)(100')의 걸이공(101)(101')에 대하여 선반(150)(150')의 걸이구(151)(151')를 끼워 고정시킴에 따라 다양하게 높이 조절된 상태로의 선반(150)(150') 장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2개체의 랙기둥(100)(100')에 의해서는 좌,우 방향으로 단일의 상,하 다단의 선반열이 만들어질 것이고, 3개체의 랙기둥(100)(100')에 의해서는 좌,우 방향으로 2의 상,하 다단의 선반열이 만들어질 것이며, 상기 랙기둥(100)(100')에 형성되는 걸이공(101)(101')에 대한 일면 형성 또는 양면 형성을 통해 단식서가 또는 복식서가가 완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선반(150)(150')은 금속판재 등으로 된 한 쌍의 측판(152)(152')이 구비되고 이들 측판(152)(152')의 사이 하측으로는 목재평판(153)이 삽입되어 상호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의 측판(152)(152') 일측에는 전기한 바와 같은 걸이구(151)(151')가 상,하 방향으로 랙기둥(100)(100')의 걸이공(101)(101')과 동일한 간격을 갖고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의 목재평판(153)의 경우 명칭에서는 목재로 기재하였으나 금속재 혹은 합성수지재 등으로 대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선반(150)(150')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별도 구비의 깊이조절대(200)와 경사받침대(300)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복합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으로, 도 3(a)의 도시와 같이 선반(150)(150')의 목재평판(153) 상부면 후측에는 선반(150)(150')의 전,후 방향으로 나열 배치된 조절삽입공(154)(154')을 양측으로 이격 형성하여 상기 조절삽입공(154)(154')을 통해 깊이조절대(200) 또는 경사받침대(300)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것인데,
상기의 깊이조절대(200)는 도 3(b)의 도시와 같이 수직부(202)와 수평부(203)를 갖도록 "ㄱ"자 형태로 절곡된 개체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고정핀(201)(201')을 결합 형성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상기의 고정핀(201)(201')에 대하여 수직부(202)의 일측면과 수평부(203)의 저면이 상호 접합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핀(201)(201')의 하부는 수직부(202)의 하단보다 하향 돌출되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4(a)의 도시와 같이 선반(150)(150')의 조절삽입공(154)(154')에 깊이조절대(200)를 끼워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선반(150)(150')의 수납 깊이는 깊이조절대(200)의 수직부(202) 전면까지로 제한되는 것이고, 도 4(b)의 도시와 같이 깊이조절대(200)의 고정핀(201)(201')을 선반(150)(150')의 조절삽입공(154)(154') 중 다른 위치의 조절삽입공(154)(154')으로 전,후 선택하여 삽입시킬 수 있는 것으로, 깊이조절대(200)의 결합 위치에 따라 선반(150)(150') 내 수납 깊이의 조절이 가변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5의 도시와 같이 이웃하는 선반(150)(150') 내 서적과의 크기가 다양한 경우라 할지라도 상기 깊이조절대(200)의 유무 또는 깊이조절대(200)의 결합 위치에 따라서 선반(150)(150')의 전면으로는 각각의 선반(150)(150') 내 서적 전면이 모두 횡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를 연출할 수 있을 것이므로, 서가 단독인 상태에서도 서적이나 자료 등의 전면이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정렬된 상태를 연출하는 것은 물론 2련 이상으로 나열된 서가의 경우 전체 서가 내 서적이나 자료 등이 모두 전면 정렬 상태로 수납되므로 외관의 개선 효과가 매우 뛰어난 것은 물론 전면이 모두 동일 선상에 정렬되므로 수납된 서적이나 자료에 대한 시인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이어, 상기 경사받침대(300)의 경우에도 전기한 바와 같은 선반(150)(150')의 조절삽입공(154)(154')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의 조절삽입공(154)(154')의 경우 깊이조절대(200)가 결합될 때에는 선반 내부 수납 깊이의 조절을 위한 목적을 갖게 되고 상기 경사받침대(300)가 결합될 때에는 경사받침대(300)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수단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상기의 경사받침대(300)는 도 6(a) 및 도 6(b)의 도시와 같이 선반(150)(150')의 내부에 해당되는 후측에 비해 앞쪽이 높은 구조의 경사진 형태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경사받침대(300)의 하부 뒷쪽으로는 양측에 결합핀(301)(301')이 하향 돌출되어 있는 것이고, 이들 결합핀(301)(301')의 외경 및 상호 이격 폭은 전기한 선반(150)(150')의 조절삽입공(154)(154')에 대한 좌,우 이격폭 및 내경과 대응되는 것이다.
즉, 상기의 경사받침대(300)는 금속판재의 앞쪽과 뒷쪽을 각기 "ㄷ"자 형태로 절곡 형성하되, 뒷쪽이 앞쪽에 비해 낮은 형태를 갖도록 한 경사판부(302)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경사판부(302)의 하부 후측에는 전기한 결합핀(301)(301')이 하향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경사받침대(300)의 내측 저면에는 경사받침대(300)의 횡방향을 따라 고정 형성된 절곡보강대(303)가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절곡보강대(303)는 평판 형태로 된 경사판부(302) 상에 무거운 서적이나 자료 등이 올려지는 경우 상기 경사판부(302)에 대한 하향의 휨이나 구부러짐이 방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도 7(a)의 도시와 같이 선반(150)(150')에 형성되어 있는 조절삽입공(154)(154')을 이용하여 상기 경사받침대(300)를 결합 고정시키면 상기 경사받침대(300)는 충격이나 진동이 작용하더라도 선반(150)(150')으로부터 유동하거나 이탈되지 않는 것이고, 도 7(b)의 도시와 같이 경사받침대(300) 상에 서적이나 자료 등이 올려지는 경우 경사받침대(300)가 갖고 있는 경사각에 따라 서적이나 자료 등은 서가의 전면에서 볼 때 상향 경사진 상태를 연출하게 된다.
따라서, 서가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선반(150)(150')의 경우에는 상기의 경사받침대(300)를 결합 설치한 상태에서 경사받침대(300) 상에 서적 등을 올려놓게 되면 자연스럽게 상향 경사진 수납 상태를 연출하므로, 서가의 이용자는 무릎을 구부리거나 상체를 숙이지 않고도 서가 하부의 서적이나 자료 등을 빠르게 인지 및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경사받침대(300)의 경사판부(302) 상면 후측에는 도 8의 도시와 같이 경사받침대(300)의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 위치조절공(304)(304')을 양측으로 수직 관통 형성하고, 상기 경사판부(302)의 하부 후측에는 상기 위치조절공(304)(304')과 대응하는 간격 및 위치의 조절지지공(305)(305')이 관통 형성된 절곡지지대(306)를 고정 형성하여, 이들 위치조절공(304)(304')과 조절지지공(305)(305')에 의해 전기한 깊이조절대(200)를 경사받침대(300) 상에 추가로 결합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경사받침대(300) 상에 올려지는 서적이나 자료 등의 경우에도 각기 다른 크기를 갖게 될 것이고, 이들의 전면 정렬을 통해 시인성을 향상시키고자 도 8의 도시와 같이 경사받침대(300)의 위치조절공(304)(304')으로 깊이조절대(200)의 고정핀(201)(201')을 삽입하게 되면 상기 고정핀(201)(201')의 하측은 경사판부(302) 하측의 절곡지지대(306)에 형성된 조절지지공(305)(305')으로 삽입되면서, 결국 위치조절공(304)(304')과 조절지지공(305)(305')으로 동시에 삽입된 고정핀(201)(201')에 의해 상기 깊이조절대(200)는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경사받침대(300) 상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경사받침대(300) 상의 깊이조절대(200)를 이용하여 상향 경사지도록 수납된 서적이나 자료 등의 크기에 따라 수납 깊이의 조정이 가능한 것이고, 그로 인해 다양한 크기의 서적이나 자료 등의 전면이 각 선반(150)(150')마다 횡방향으로 일치되게 정렬된 경사 상태를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 전기한 깊이조절대(20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0(a) 및 도 10(b)의 도시와 같이 깊이조절대(200)의 수평부(203) 끝단에는 하향 경사지게 연장 돌출된 끼움절곡부(204)를 더 형성하고, 상기 선반(150)(150')의 목재평판(153) 상면에는 선반(150)(150')의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 횡방향의 끼움조절홈(155)(155')을 더 형성함에 따라 상기 끼움조절홈(155)(155')을 이용하여 상기 깊이조절대(200)가 경사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구조의 깊이조절대(200)를 구비하여 상기 깊이조절대(200)의 고정핀(201)(201')이 목재평판(53)의 상면을 향하도록 눕힌 상태에서 상기 깊이조절대(200)의 수평부(203)에 형성된 끼움절곡부(204)의 끝단을 상기 목재평판(153)에 형성된 끼움조절홈(155)(155') 중 선택된 하나의 끼움조절홈(155)(155')에 삽입하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끼움절곡부(204)가 수평부(203)로부터 하향 경사진 이유로는 수직 상태인 깊이조절대(200)를 목재평판(153) 상에 고정핀(201)(201')이 하향 위치되도록 눕히게 되면 수직부(202)와 수평부(203) 모두 경사진 상태를 연출하게 되는바, 상기 수평부(203)로부터 하향 절곡된 끼움절곡부(204)는 눕혀진 수평부(203)에 대하여 수직 상태를 갖도록 각도 조절하여 절곡 형성함에 따라 상기 끼움조절홈(155)(155')에 대하여 수직 상태인 끼움절곡부(204)가 보다 효율적으로 삽입 및 상호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깊이조절대(200)는 도 11의 도시와 같이 선반(150)(150')의 목재평판(153)에 형성된 조절삽입공(154)(154')에 의해서는 깊이조절대(200)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서적이나 자료 등의 전면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고, 필요한 경우 상기 깊이조절대(200)의 끼움절곡부(204)가 목재평판(153)의 끼움조절홈(155)(155')으로 삽입되도록 눕혀 고정시킴에 따라, 깊이조절대(200) 상에 올려지는 서적이나 자료 등은 깊이조절대(200)와의 하단 간섭에 의해 눕혀진 깊이조절대(200)의 높이에 상응하는 상향 경사진 수납 상태를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목재평판(153)에 대한 조절삽입공(154)(154')과 끼움조절홈(155)(155')을 이용하여 선반(150)(150')의 수납부에 대한 다양한 깊이 조절 및 경사각 연출이 선택적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목재평판(153)의 전,하 방향으로 나열된 끼움조절홈(155)(155')을 이용하여 상기 깊이조절대(200)의 끼움절곡부(204)를 다양한 위치에 삽입 고정시킴에 따라 도 12의 도시와 같이 상기 깊이조절대(200)의 위치에 따른 경사각의 조절도 가능하여 서가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선반(150)(150')의 경우에는 수납물의 상향 경사각을 더욱 크게 하고, 최하단으로부터 점차 상측 방향으로 위치하는 선반(150)(150')의 경우에는 깊이조절대(200)를 목재평판(15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전면에 배치 형성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상향 경사각이 작아지는 형태를 갖도록 하여, 서가에 수납된 서적이나 자료 등이 사람의 시선 방향이나 각도에 따라 가장 최선의 형태로 보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목재평판(153)에 형성된 끼움조절홈(155)(155')의 경우 깊이조절대(200)를 결합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13의 도시와 같이 상기 끼움조절홈(155)(155')에 실리콘과 같은 연질 탄력재로 된 별도 구비의 미끄럼방지구(500)(500')를 삽입하되, 상기 미끄럼방지구(500)(500')의 상단이 목재평판(153)의 상면보다 돌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미끄럼방지구(500)(500')가 삽입된 목재평판(153) 상에 서적 등을 수납하는 경우 상기 미끄럼방지구(500)(500')에 의해 수납물이 불필요하게 유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목재평판(153)과 수납물 간의 상호 접촉 및 간섭 소음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인 것이다.
특히, 상기의 미끄럼방지구(500)(500')는 다양한 색상으로의 조색 성형이 가능한 것으로 목재평판(153)에 대한 띠 장식체로서의 기능도 가능한 것이고, 도서 혹은 서적이나 자료의 분류에 따라 미끄럼방지구(500)(500')의 색상의 차이를 두어 상기 미끄럼방지구(500)(500')의 색상만 보도고 해당 서가의 분류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이 가일층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이어, 전기한 본 발명의 깊이조절대(200)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4의 (a)도시와 같이 상기 깊이조절대(200)의 수직부(202)에 횡방향으로 반복되는 슬릿공(205)을 형성하고, 상기 슬릿공(205)에는 별도 구비의 쿠션부재(400)를 삽입 형성하여 상기 쿠션부재(400)에 의해 수납되는 서적이나 자료 등의 충격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의 쿠션부재(400)는 스펀지나 우레탄 발포소재 등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슬릿공(205)의 형태에 따라 횡방향으로 기다란 형태를 갖게 되는 것이고, 상기 쿠션부재(400)의 상,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홈(401)(401')이 형성되어 있고, 쿠션부재(400)의 일측에 해당하는 전면에는 곡면돌출부(402)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쿠션부재(400)를 상기 깊이조절대(200)의 수직부(202) 내 슬릿공(205)으로 삽입하게 되면 도 14(b)의 도시와 같이 상,하의 걸림홈(401)(401')으로 슬릿공(205)의 내부 상,하측에 서로 계지되면서 상호 간의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쿠션부재(400)의 곡면돌출부(402)는 선반(150)(150')의 목재평판(153)을 향하게 되므로 결국 상기 목재평판(153) 상에 수납되는 서적이나 자료 등의 내측단은 상기 쿠션부재(400)의 곡면돌출부(402)와 간섭하며 상호 간의 불필요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신축 탄력성이 우수한 쿠션부재(400)는 상기 서적이나 자료 등이 횡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저항체로서의 역할도 겸하게 될 것이므로 결국 상기 쿠션부재(400)로 인해 수납된 서적이나 자료 등이 안정된 수납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쿠션부재(400)의 경우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부(403)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쿠션부재(400)의 곡면돌출부(402)에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중공부(403)에 의해 곡면돌출부(402)가 더욱 효과적으로 압축 또는 변형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중공부(403)에는 도 14에서의 (c)와 같이 별도의 항균패드(404)를 삽입함에 따라 상기 항균패드(404)에 의해 서적 및 자료에 대한 항균 작용 및 향기가 발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의 항균패드(404)에는 다양한 방향제 및 인체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진 피톤치드가 함유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항균패드(404)로부터 발산되는 피톤치드에 의해 오염된 서적이나 자료 등의 곰팡이나 세균 발생을 억제하는 것은 물론 향기를 발산하여 더욱 쾌적한 상태의 도서관이나 자료실 내부를 조성하게 된다.
여기서, 대표적 항균성 정유인 피톤치드는 해충이나 미생물과 같은 유해인자로부터 보호받기 위하여 수목 자체에서 발산하는 일종의 항생물질로서 곰팡이 번식 억제에 효율적인 항균ㆍ항염ㆍ항알레르기성ㆍ항산화성 작용이 탁월하여 방향제나 향수를 비롯한 입욕제 내지 바이러스증식 억제와 탈취 및 공기정화를 필요로 하는 건축내장재나 기능성 화장품 또는 천연방부제 등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서가는 깊이조절수단과 경사받침수단을 통해 서가의 보다 효율적인 활용과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상기 깊이조절수단과 경사받침수단의 효율성을 가일층 향상시켜 서가의 본래 이용 목적을 더욱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100' : 랙기둥 101,101' : 걸이공
110 : 상단고정대 120 : 하단고정대
130 : 상부지지판 140 : 하부지지판
150,150' : 선반 151,151' : 걸이구
152,152' : 측판 153 : 목재평판
154,154' : 조절삽입공 155,155' : 끼움조절홈
200 : 깊이조절대 201,201' : 고정핀
202 : 수직부 203 : 수평부
204 : 끼움절곡부 205 : 슬릿공
300 : 경사받침대 301,301' : 결합핀
302 : 경사판부 303 : 절곡보강대
304,304' : 위치조절공 305,305' : 조절지지공
306 : 절곡지지대
400 : 쿠션부재 401,401' : 걸림홈
402 : 곡면돌출부 403 : 중공부
404 : 항균패드
500,500' : 미끄럼방지구

Claims (8)

  1. 수직 길이방향으로 반복되는 걸이공(101)(101')이 형성된 2개체 이상의 랙기둥(100)(100')이 서로 이격 배치되고, 이들 랙기둥(100)(100')의 상단 및 하단에는 각기 상단고정대(110)와 하단고정대(120)가 결합 형성되며, 상기 각 랙기둥(100)(100')의 상단고정대(110)와 하단고정대(120)는 별도 구비의 상부지지판(130)과 하부지지판(140)에 의해 서로 연결 고정되고, 상기 랙기둥(100)(100')의 걸이공(101)(101')에는 일측에 걸이구(151)(151')가 돌출 형성된 선반(150)(150')을 상,하 방향으로 연속 결합 설치하여 서가를 구성하되,
    상기의 선반(150)(150')은 일측에 걸이구(151)(151')가 형성된 한 쌍의 측판(152)(152') 사이에 목재평판(153)이 상호 결합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목재평판(153)의 상부 양측에는 선반(150)(150')의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 조절삽입공(154)(154')을 형성하여, 상기 선반(150)(150')의 상부에 별도 구비의 깊이조절대(200)와 경사받침대(300)가 거치 고정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깊이조절대(200)는 하부 양측으로 상기 조절삽입공(154)(154')으로 끼워지는 고정핀(201)(201')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조절삽입공(154)(154')에 대한 고정핀(201)(201')의 결합 위치에 따라 상기의 깊이조절대(200)가 선반(150)(150')의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절되게 함과 더불어 상기 깊이조절대(200)의 고정핀(201)(201')이 "ㄱ"자 금속판재의 수직부(202) 일측면과 수평부(203) 저면에 접합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경사받침대(300)는 후측에 비해 앞쪽이 높은 경사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받침대(300)의 하부 양측으로는 상기 조절삽입공(154)(154')으로 끼워지는 결합핀(301)(301')이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진 깊이조절대와 경사받침대가 조합 구비된 서가에 있어서,
    상기 깊이조절대(200)의 수평부(203) 끝단에는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끼움절곡부(204)를 더 형성하고, 상기 선반(150)(150')의 목재평판(153) 상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 횡방향의 끼움조절홈(155)(155')를 더 형성하여, 상기 깊이조절대(200)의 고정핀(201)(201')이 목재평판(153)의 상면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끼움절곡부(204)가 상기 끼움조절홈(155)(155')에 삽입되게 함에 따라 상기 깊이조절대(200)와의 간섭에 의해 선반(150)(150') 상의 수납물이 상향 경사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조절대와 경사받침대가 조합 구비된 서가.
  2. 제 1항에 있어서,
    목재평판(153)의 끼움조절홈(155)(155')에는, 목재평판(153)의 상면보다 돌출되는 미끄럼방지구(500)(500')를 삽입 형성하여, 선반(150)(150') 상의 수납물에 대한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조절대와 경사받침대가 조합 구비된 서가.
  3. 제 1항에 있어서,
    깊이조절대(200)의 수직부(202)에는 관통의 슬릿공(205)을 횡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슬릿공(205)에는 별도 구비의 쿠션부재(400)를 삽입 형성하되,
    상기 쿠션부재(400)는 상기 슬릿공(205)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에 걸림홈(401)(401')이 형성되고, 쿠션부재(400)의 일측에는 곡면돌출부(402)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조절대와 경사받침대가 조합 구비된 서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400)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에 중공부(403)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403)의 내부에는 피톤치트가 함유된 항균패드(404)를 삽입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조절대와 경사받침대가 조합 구비된 서가.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007674A 2020-01-21 2020-01-21 깊이조절대와 경사받침대가 조합 구비된 서가 KR102124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674A KR102124161B1 (ko) 2020-01-21 2020-01-21 깊이조절대와 경사받침대가 조합 구비된 서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674A KR102124161B1 (ko) 2020-01-21 2020-01-21 깊이조절대와 경사받침대가 조합 구비된 서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4161B1 true KR102124161B1 (ko) 2020-06-18

Family

ID=71143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674A KR102124161B1 (ko) 2020-01-21 2020-01-21 깊이조절대와 경사받침대가 조합 구비된 서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16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60149A (zh) * 2020-07-15 2022-01-21 中国科学院苏州纳米技术与纳米仿生研究所 一种承载装置、用于fib-sims互联实验的设备及方法
CN114766838A (zh) * 2022-04-19 2022-07-22 山东交通学院 一种图书馆用书架
CN115177102A (zh) * 2022-07-14 2022-10-14 丁爱华 一种分区自适应调节档案柜
CN115177103A (zh) * 2022-07-21 2022-10-14 陈庭琴 一种防止书本散落的自动整理图书架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5624B2 (ja) * 1990-02-02 1996-10-23 正行 佐藤 収納物取り出し用敷板、および収納棚
KR970002944U (ko) 1995-06-28 1997-01-24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회로기판식 포커싱조정코일
JP2001046160A (ja) * 1999-08-10 2001-02-20 Okamura Corp 棚における奥行き調整機能を有する仕切り装置
KR200343373Y1 (ko) * 2003-11-19 2004-03-02 명진실업 주식회사 다용도 선반
KR200444838Y1 (ko) 2008-02-27 2009-06-09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서가 결합구조
JP3157892U (ja) * 2009-12-21 2010-03-04 Lco株式会社 書棚用台座
KR200457813Y1 (ko) 2009-04-29 2012-01-05 (주)토템 가변식 선반이 구비된 서가
KR101302972B1 (ko) 2013-03-21 2013-09-06 주식회사 코아스 서가
KR101988838B1 (ko) * 2018-10-23 2019-06-12 주식회사 라이브러리엔 수납깊이 조절유닛 및 그를 구비하는 수납깊이 조절형 서가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5624B2 (ja) * 1990-02-02 1996-10-23 正行 佐藤 収納物取り出し用敷板、および収納棚
KR970002944U (ko) 1995-06-28 1997-01-24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회로기판식 포커싱조정코일
JP2001046160A (ja) * 1999-08-10 2001-02-20 Okamura Corp 棚における奥行き調整機能を有する仕切り装置
KR200343373Y1 (ko) * 2003-11-19 2004-03-02 명진실업 주식회사 다용도 선반
KR200444838Y1 (ko) 2008-02-27 2009-06-09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서가 결합구조
KR200457813Y1 (ko) 2009-04-29 2012-01-05 (주)토템 가변식 선반이 구비된 서가
JP3157892U (ja) * 2009-12-21 2010-03-04 Lco株式会社 書棚用台座
KR101302972B1 (ko) 2013-03-21 2013-09-06 주식회사 코아스 서가
KR101988838B1 (ko) * 2018-10-23 2019-06-12 주식회사 라이브러리엔 수납깊이 조절유닛 및 그를 구비하는 수납깊이 조절형 서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60149A (zh) * 2020-07-15 2022-01-21 中国科学院苏州纳米技术与纳米仿生研究所 一种承载装置、用于fib-sims互联实验的设备及方法
CN114766838A (zh) * 2022-04-19 2022-07-22 山东交通学院 一种图书馆用书架
CN114766838B (zh) * 2022-04-19 2024-04-12 山东交通学院 一种图书馆用书架
CN115177102A (zh) * 2022-07-14 2022-10-14 丁爱华 一种分区自适应调节档案柜
CN115177102B (zh) * 2022-07-14 2024-04-05 江西金都保险设备集团有限公司 一种分区自适应调节档案柜
CN115177103A (zh) * 2022-07-21 2022-10-14 陈庭琴 一种防止书本散落的自动整理图书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161B1 (ko) 깊이조절대와 경사받침대가 조합 구비된 서가
US7686173B2 (en) Modular shelving system
US10486724B2 (en) Configurable cart system
US6824220B1 (en) Modular furniture retaining system
US7418747B1 (en) Furniture
WO2005112696A3 (en) Spice rack
US9364102B2 (en) Support systems and components for same
US20170007028A1 (en) Foldout Bed
CN112690679A (zh) 悬挂式置物架系统
US20090120889A1 (en) X-slot furniture system
US6578716B1 (en) Combination hat rack structure
US20230117693A1 (en) Prayer Station Device
JP4175238B2 (ja) 組替えデスク及び対面型デスク
KR20180003606U (ko) 확장 가능한 주방용 선반
KR101119438B1 (ko) 연장 조립이 용이한 양면형 책 진열대
KR102124160B1 (ko) 복식서가
KR102137578B1 (ko) 각도 조절형 신발용 선반
KR200464816Y1 (ko) 다양한 형태로 설치가 가능한 선반 거치대
KR101517425B1 (ko) 모듈형 침대
KR101830369B1 (ko) 책상몸체 프레임
KR20170122600A (ko) 소파용 장식장
KR200256073Y1 (ko) 책장이 부착된 책상
JP2019187971A (ja) テーブル
KR200425591Y1 (ko) 가방걸이가 부착된 열람대
JP3728037B2 (ja) スライド書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