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929B1 - 자동문 개폐 스위치 - Google Patents

자동문 개폐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929B1
KR102123929B1 KR1020190061377A KR20190061377A KR102123929B1 KR 102123929 B1 KR102123929 B1 KR 102123929B1 KR 1020190061377 A KR1020190061377 A KR 1020190061377A KR 20190061377 A KR20190061377 A KR 20190061377A KR 102123929 B1 KR102123929 B1 KR 102123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losing
cover
opening
automatic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규
Original Assignee
(주)리츠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츠엔 filed Critical (주)리츠엔
Priority to KR1020190061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9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방수기능을 갖는 자동문 개폐 스위치가 개시된다. 자동문 개폐 스위치는, 원형 형상을 갖고, 열림 문양을 형성하도록 형성된 홀들을 포함하는 열림 버튼; 원형 형상을 갖고, 닫힘 문양을 형성하도록 형성된 홀들을 포함하는 닫힘 버튼; 상기 열림 버튼 및 상기 닫힘 버튼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택스위치들과 상기 열림 문양 및 상기 닫힘 문양에 대응하는 복수의 LED들이 배치된 PCB 어셈블리; 및 투명하면서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열림 버튼 및 상기 닫힘 버튼이 각각 안착되도록 형성된 돌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PCB 어셈블리를 커버하는 방수커버를 포함한다. 방수커버에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열림버튼 및 닫힘버튼에 각각 형성된 홀에 대응하여 돌출부가 형성되어 열림버튼 및 닫힘버튼에 맞물리는 방식으로 체결되므로 열림버튼 및 닫힘버튼은 방수커버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투명한 재질의 방수커버의 하부에 배치된 LED에서 출사되는 광은 방수커버를 투과하여 열림버튼이나 닫힘버튼에 형성된 홀을 통해 외부로 출사되므로 열림버튼이 활성화되었는지 닫힘버튼이 활성화되었는지 사용자에게 활성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문 개폐 스위치{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SWITCH}
본 발명은 자동문 개폐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수기능을 갖는 자동문 개폐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문은 사람들의 출입시 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는 편리함으로 설치가 보편화되고 있다. 자동문은 주로 사람의 출입이 잦은 아파트, 호텔, 빌딩 등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형 건물뿐만 아니라 음식점, 슈퍼마켓 등의 일반상가에도 자동문의 보급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문은 설치 장소 및 사용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개폐 방식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적외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출입을 감지하거나 스위치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도어를 개폐하도록 하는 방식이 있다. 도어의 개폐를 위한 스위치는 도어에 직접 장착될 수 있고, 도어의 프레임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도어의 개폐를 위한 스위치를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로 칭한다.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자동문을 개폐하는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가 물방울이나 습기 등에 노출되면,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는 동작불능 상태나 오동작의 위험이 있다. 예를 들어, 장마철과 같은 우기의 기간 동안에는 습도가 매우 높을 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빗방울 등이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에 유입될 수 있다.
0001)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2372호(2014. 04. 16.)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수기능을 달성하면서 물리적으로 분리된 열림버튼 및 닫힘버튼을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는 자동문 개폐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개폐 스위치는, 원형 형상을 갖고, 열림 문양을 형성하도록 형성된 홀들을 포함하는 열림 버튼; 원형 형상을 갖고, 닫힘 문양을 형성하도록 형성된 홀들을 포함하는 닫힘 버튼; 상기 열림 버튼 및 상기 닫힘 버튼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택스위치들과 상기 열림 문양 및 상기 닫힘 문양에 대응하는 복수의 LED들이 배치된 PCB 어셈블리; 및 투명하면서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열림 버튼 및 상기 닫힘 버튼이 각각 안착되도록 형성된 돌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PCB 어셈블리를 커버하는 방수커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자동문 개폐 스위치는, 사각 형상을 갖고, 상기 열림 버튼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열림 홀과, 상기 닫힘 버튼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닫힘 홀, 상기 열림 홀과 상기 닫힘 홀 사이의 영역에 형성된 안착부를 포함하는 탑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자동문 개폐 스위치는, 상기 탑 커버의 안착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배터리들; 및 사각 형상을 갖고, 상기 배터리들이 배치된 안착부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배치된 배터리 방수 가스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자동문 개폐 스위치는, 사각 형상을 갖고, 상기 탑 커버의 안착부를 커버하는 배터리 커버; 및 사각 형상을 갖고, 상기 탑 커버에 체결되어 상기 PCB 어셈블리 및 상기 방수커버를 수용하는 바텀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바텀 커버에 형성된 돌출부는 몸체의 폭이 머리의 폭이 동일하게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방수커버에 형성된 홈부는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부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바텀 커버에 형성된 돌출부는 머리의 폭이 몸체의 폭보다 넓게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방수커버에 형성된 홈부는 상기 돌출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부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바텀 커버에 형성된 돌출부는 머리의 폭이 몸체의 폭보다 넓게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머리가 상기 바텀 커버의 외곽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방수커버에 형성된 홈부는 상기 돌출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부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자동문 개폐 스위치에 의하면, 방수커버에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열림버튼 및 닫힘버튼에 각각 형성된 홀에 대응하여 돌출부가 형성되어 열림버튼 및 닫힘버튼에 맞물리는 방식으로 체결되므로 열림버튼 및 닫힘버튼은 방수커버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투명한 재질의 방수커버의 하부에 배치된 LED에서 출사되는 광은 방수커버를 투과하여 열림버튼이나 닫힘버튼에 형성된 홀을 통해 외부로 출사되므로 열림버튼이 활성화되었는지 닫힘버튼이 활성화되었는지 사용자에게 활성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방수커버의 하부면에 바텀 커버와의 체결을 위해 테두리를 따라 일정 깊이로 후퇴된 홈부를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하고, 바텀 커버의 상부면에 방수커버와의 체결을 위해 테두리를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된 돌출부를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하여 방수커버가 바텀 커버에 체결시킴으로써 바텀 커버와 방수커버 사이에 배치된 PCB 어셈블리에 물방울이나 습기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개폐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문 개폐 스위치에서 배터리 교체를 위해 배터리 커버를 열림 전환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동문 개폐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자동문 개폐 스위치를 절단선 I-I'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자동문 개폐 스위치를 절단선 II-II'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자동문 개폐 스위치를 절단선 III-III'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바텀 커버에 형성된 돌출부와 방수커버에 형성된 홈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바텀 커버에 형성된 돌출부와 방수커버에 형성된 홈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바텀 커버에 형성된 돌출부와 방수커버에 형성된 홈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개폐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문 개폐 스위치에서 배터리 교체를 위해 배터리 커버를 열림 전환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동문 개폐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자동문 개폐 스위치를 절단선 I-I'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자동문 개폐 스위치를 절단선 II-II'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자동문 개폐 스위치를 절단선 III-III'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개폐 스위치는 열림 버튼(102), 닫힘 버튼(104), 탑 커버(106), 복수의 배터리들(108), 방수 가스켓(110), 배터리 커버(112), 바텀 커버(114), PCB 어셈블리(116) 및 방수커버(118)를 포함한다.
상기 열림 버튼(102)은 원형 형상을 갖고, 열림 문양을 형성하도록 형성된 홀들을 포함한다. 상기 열림 버튼(102)에는 라인 형상의 막대형 홀, 막대형 홀을 기준으로 밑변이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삼각형상의 홀들이 형성되어 상기한 열림 문양을 형성한다.
상기 닫힘 버튼(104)은 원형 형상을 갖고, 닫힘 문양을 형성하도록 형성된 홀들을 포함한다. 상기 닫힘 버튼(104)에는 라인 형상의 막대형 홀, 막대형 홀을 기준으로 꼭지점이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삼각형상의 홀들이 형성되어 상기한 닫힘 문양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열림 버튼(102)과 상기 닫힘 버튼(104)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배치된다.
상기 탑 커버(106)는 사각 형상을 갖고, 상기 열림 버튼(102)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열림 홀과, 상기 닫힘 버튼(104)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닫힘 홀, 상기 열림 홀과 상기 닫힘 홀 사이의 영역에 형성된 안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에는 배터리들(108) 수납을 위한 공간, 단자스프링(SP) 배치를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복수의 배터리들(108)은 상기 탑 커버(106)의 안착부에 배치되고, 자동문 개폐 스위치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상기 PCB 어셈블리(116)에 배치된 각종 전기적 소자들에 제공한다.
상기 배터리 방수 가스켓(110)은 사각 형상을 갖고, 상기 배터리들(108)이 배치된 안착부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배터리 방수 가스켓(110)은 외부로부터 물방울이나 습기 등이 배터리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커버(112)는 사각 형상을 갖고, 미닫이 방식으로 상기 탑 커버(106)에 체결되어 상기 탑 커버(106)의 안착부를 커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터리 커버(112)는 미닫이 방식으로 상기 탑 커버(106)에 체결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배터리 커버(112)는 여닫이 방식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탑 커버(106)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바텀 커버(114)는 사각 형상을 갖고, 복수의 스크류(SC)들을 통해 상기 탑 커버(106)에 체결된다. 상기 바텀 커버(114) 및 상기 탑 커버(106)가 스크류(SC)들에 의해 체결됨에 따라, 내부에 배치된 상기 열림 버튼(102), 상기 닫힘 버튼(104), 상기 PCB 어셈블리(116) 및 상기 방수커버(118)를 수납한다. 상기 바텀 커버(114)의 상부면에는 상기 방수커버(118)와의 체결을 위해 테두리를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된 돌출부가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류(SC)들은 상기 바텀 커버(114)의 배면에 형성된 스크류홀을 관통하여 상기 탑 커버(106)에 체결된다. 상기 탑 커버(106)는 일정 두께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탑 커버(106)에 일정 깊이의 스크류 체결을 위한 홈을 형성하더라도 스크류 체결을 완료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채용하는 스크류 채용 방식은 다운-탑 방식이다. 이에 반해 탑 커버에서 바텀 커버로 스크류를 체결하는 탑-다운 방식의 경우 바텀 커버에 스크류 체결을 위한 일정 두께의 별도 체결홈을 형성해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체결의 경우, 다운-탑 방식으로 체결되더라도 일정 두께를 갖는 탑 커버에 스크류 체결을 위한 홈만 형성하면 되므로 탑-다운 방식에 비해 바텀 커버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PCB 어셈블리(116)는 상기 바텀 커버(114) 상에 안착되고, 상기 열림 버튼(102) 및 상기 닫힘 버튼(104)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택스위치들과, 상기 열림 문양 및 상기 닫힘 문양에 대응하는 복수의 LED들과, 사용중 또는 잠금을 표시하는 LED, 배터리 교체를 표시하는 LED가 배치된다. 상기 PCB 어셈블리(116)는 상기 바텀 커버(114)에 형성된 돌출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다. 상기 열림 문양 및 상기 닫힘 문양은 홀 형태로 형성되므로 상기 PCB 어셈블리(116)의 LED 조명이 투과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열림 버튼(102)에 대응하여 3개의 택스위치들이 상기 PCB 어셈블리(116)에 배치되고, 상기 닫힘 버튼(104)에 대응하여 3개의 택스위치들이 상기 PCB 어셈블리(116)에 배치된다. 상기 열림 버튼(102)에 대응하여 배치된 택스위치들 중 어느 하나가 눌려짐에 따라 상기 PCB 어셈블리(116)에 배치된 콘트롤러(미도시)는 자동문 열림요청으로 판단할 수 있고, 상기 닫힘 버튼(104)에 대응하여 3개의 택스위치들 중 어느 하나가 눌려짐에 따라 상기 PCB 어셈블리(116)에 배치된 상기 콘트롤러(미도시)는 자동문 닫힘요청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림 버튼(102)에 대응하여 3개의 LED들이 배치되고, 상기 닫힘 버튼(104)에 대응하여 3개의 LED들이 배치된다.
상기 방수커버(118)는 투명하면서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성되고, 물리적으로 분리된 상기 열림 버튼(102) 및 상기 닫힘 버튼(104)이 각각 견고하게 안착되도록 형성된 돌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PCB 어셈블리(116)를 커버하면서 상기 바텀 커버(114)에 결합된다. 상기 방수커버(118)가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므로 하부에 배치된 상기 PCB 어셈블리(116)에 배치된 LED 불빛이 투과된다. 상기 방수커버(118)에 형성된 돌출부는 열림 문양을 형성하도록 상기 열림 버튼(102)에 형성된 홀들에 끼워지는 형상을 갖고, 상기 방수커버(118)에 형성된 돌출부는 닫힘 문양을 형성하도록 상기 열림 버튼(102)에 형성된 홀들에 끼워지는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상기 열림 버튼(102)이 눌려지는 경우, 상기 방수커버(118)의 돌출부 역시 눌려져 상기 PCB 어셈블리(116)에 배치된 열림인식을 위한 3개의 택스위치들 중 하나 이상이 눌려지게 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열림 버튼(102)이 눌려지는 경우, 상기 방수커버(118)의 돌출부 역시 눌려져 상기 PCB 어셈블리(116)에 배치된 닫힘인식을 위한 3개의 택스위치들 중 하나 이상이 눌려지게 된다. 상기 방수커버(118)의 하부면에는 상기 바텀 커버(114)와의 체결을 위해 테두리를 따라 일정 깊이로 후퇴된 홈부가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방수커버(118)의 홈부에 상기 바텀 커버(114)의 돌출부가 끼워지는 방식으로 상기 방수커버(118)와 상기 바텀 커버(114)는 체결된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물방울이나 습기 등이 상기 PCB 어셈블리(116)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상기 방수커버(118)에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텀 커버(114)에 돌출부가 형성된 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방수커버(118)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텀 커버(114)에 홈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방수커버에는 열림버튼 및 닫힘버튼을 수용하기 위한 홈부와 돌출부가 개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방수커버에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열림버튼 및 닫힘버튼에 각각 형성된 홀에 대응하여 돌출부가 형성된 구조이다. 따라서, 자동문 개폐 스위치가 자동문의 표면 또는 자동문이 배치된 인근의 벽체 등에 세워서 부착되더라도 방수커버에 형성된 돌출부가 열림버튼 및 닫힘버튼에 맞물리는 방식으로 체결되므로 열림버튼 및 닫힘버튼은 방수커버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투명한 재질의 방수커버의 하부에 배치된 LED에서 출사되는 광은 방수커버를 투과하여 열림버튼이나 닫힘버튼에 형성된 홀을 통해 외부로 출사되므로 열림버튼이 활성화되었는지 닫힘버튼이 활성화되었는지 사용자에게 활성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바텀 커버(114)에 형성된 돌출부와 방수커버(118)에 형성된 홈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바텀 커버(114)에 형성된 돌출부는 몸체의 폭이 머리의 폭이 동일하게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방수커버(118)에 형성된 홈부는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돌출부가 홈부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체결된다. 상기 방수커버(118)는 탄성 재질로 구성되므로 상기 홈부는 돌출부에 밀착되므로 방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돌출부가 1개의 라인으로 구성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2개 이상의 라인으로 돌출부들이 상기 바텀 커버(114)에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홈부가 상기 방수커버(118)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바텀 커버(114)에 형성된 돌출부와 방수커버(118)에 형성된 홈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바텀 커버(114)에 형성된 돌출부는 머리의 폭이 몸체의 폭보다 넓게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방수커버(118)에 형성된 홈부는 돌출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돌출부가 홈부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체결된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해 돌출부의 머리가 존재하므로 홈부는 돌출부에 보다 강력하게 밀착되므로 방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상기 돌출부가 1개의 라인으로 구성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2개 이상의 라인으로 돌출부들이 상기 바텀 커버(114)에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홈부가 상기 방수커버(118)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바텀 커버(114)에 형성된 돌출부와 방수커버(118)에 형성된 홈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바텀 커버(114)에 형성된 돌출부는 머리의 폭이 몸체의 폭보다 넓게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머리가 상기 바텀 커버(114)의 외곽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방수커버(118)에 형성된 홈부는 상기 돌출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부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체결된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해 상기 돌출부의 머리가 상기 바텀 커버(114)의 외곽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상기 홈부는 상기 돌출부에 보다 강력하게 밀착되면서 유지 보수시 상기 방수커버(118)를 상기 바텀 커버(114)에서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상기 돌출부가 1개의 라인으로 구성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2개 이상의 라인으로 돌출부들이 상기 바텀 커버(114)에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홈부가 상기 방수커버(118)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자동문 개폐 스위치는 2개가 한쌍을 이루면서 자동문의 일부 영역 또는 자동문이 배치된 벽체의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자동문 개폐 스위치가 자동문의 실외측 영역 또는 실외측 벽체에 배치된다면, 다른 하나의 자동문 개폐 스위치는 자동문의 실내측 영역 또는 실내측 벽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실외측에 배치된 자동문 개폐 스위치를 통해 열림 버튼(102)을 누를 때 자동문 개폐 스위치는 자동문 열림 요청 신호를 자동문 콘트롤러에 제공하고, 사용자가 실내측에 배치된 자동문 개폐 스위치를 통해 닫힘 버튼(104)을 누를 때 자동문 개폐 스위치는 자동문 닫힘 요청 신호를 자동문 콘트롤러에 제공한다. 하지만, 실내측에 배치된 자동문 개폐 스위치에 닫힘 버튼(104)이 눌려진 상태라면 실외측에 배치된 자동문 개폐 스위치를 통해 열림 요청을 하더라도 자동문은 열려지지 않도록 프로그램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방수커버의 하부면에 바텀 커버와의 체결을 위해 테두리를 따라 일정 깊이로 후퇴된 홈부를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하고, 바텀 커버의 상부면에 방수커버와의 체결을 위해 테두리를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된 돌출부를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하여 방수커버가 바텀 커버에 체결시킴으로써 바텀 커버와 방수커버 사이에 배치된 PCB 어셈블리에 물방울이나 습기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2 : 열림 버튼 104 : 닫힘 버튼
106 : 탑 커버 108 : 배터리
110 : 배터치 방수 가스켓 112 : 배터리 커버
114 : 바텀 커버 116 : PCB 어셈블리
118 : 방수커버 SP : 단자스프링
SC : 스크류

Claims (7)

  1. 원형 형상을 갖고, 열림 문양을 형성하도록 형성된 홀들을 포함하는 열림 버튼;
    원형 형상을 갖고, 닫힘 문양을 형성하도록 형성된 홀들을 포함하는 닫힘 버튼;
    상기 열림 버튼 및 상기 닫힘 버튼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택스위치들과 상기 열림 문양 및 상기 닫힘 문양에 대응하는 복수의 LED들이 배치된 PCB 어셈블리;
    투명하면서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열림 버튼 및 상기 닫힘 버튼이 각각 안착되도록 형성된 돌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PCB 어셈블리를 커버하는 방수커버; 및
    사각 형상을 갖고, 상기 열림 버튼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열림 홀과, 상기 닫힘 버튼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닫힘 홀, 상기 열림 홀과 상기 닫힘 홀 사이의 영역에 형성된 안착부를 포함하는 탑 커버를 포함하는 자동문 개폐 스위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 커버의 안착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배터리들; 및
    사각 형상을 갖고, 상기 배터리들이 배치된 안착부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배치된 배터리 방수 가스켓을 더 포함하는 자동문 개폐 스위치.
  4. 제3항에 있어서, 사각 형상을 갖고, 상기 탑 커버의 안착부를 커버하는 배터리 커버; 및
    사각 형상을 갖고, 상기 탑 커버에 체결되어 상기 PCB 어셈블리 및 상기 방수커버를 수용하는 바텀 커버를 더 포함하는 자동문 개폐 스위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커버에 형성된 돌출부는 몸체의 폭이 머리의 폭이 동일하게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방수커버에 형성된 홈부는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부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개폐 스위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커버에 형성된 돌출부는 머리의 폭이 몸체의 폭보다 넓게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방수커버에 형성된 홈부는 상기 돌출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부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개폐 스위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커버에 형성된 돌출부는 머리의 폭이 몸체의 폭보다 넓게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머리가 상기 바텀 커버의 외곽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방수커버에 형성된 홈부는 상기 돌출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부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개폐 스위치.
KR1020190061377A 2019-05-24 2019-05-24 자동문 개폐 스위치 KR102123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377A KR102123929B1 (ko) 2019-05-24 2019-05-24 자동문 개폐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377A KR102123929B1 (ko) 2019-05-24 2019-05-24 자동문 개폐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3929B1 true KR102123929B1 (ko) 2020-06-17

Family

ID=71405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377A KR102123929B1 (ko) 2019-05-24 2019-05-24 자동문 개폐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92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0184A (ja) * 2002-10-31 2004-05-27 Denso Corp 携帯機内蔵アンテナの保護クッションおよび携帯機
KR20060008708A (ko) * 2004-07-24 2006-01-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버튼의 인쇄 보호 구조
KR100830170B1 (ko) * 2007-09-17 2008-05-20 오세진 슬라이딩 도어 개폐용 무선 터치 스위치
JP2010189971A (ja) * 2009-02-19 2010-09-02 Denso Corp 電子キー
JP2013045669A (ja) * 2011-08-25 2013-03-04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ボタン取付構造
KR200472372Y1 (ko) 2012-12-28 2014-04-22 (주)리츠엔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0184A (ja) * 2002-10-31 2004-05-27 Denso Corp 携帯機内蔵アンテナの保護クッションおよび携帯機
KR20060008708A (ko) * 2004-07-24 2006-01-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버튼의 인쇄 보호 구조
KR100830170B1 (ko) * 2007-09-17 2008-05-20 오세진 슬라이딩 도어 개폐용 무선 터치 스위치
JP2010189971A (ja) * 2009-02-19 2010-09-02 Denso Corp 電子キー
JP2013045669A (ja) * 2011-08-25 2013-03-04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ボタン取付構造
KR200472372Y1 (ko) 2012-12-28 2014-04-22 (주)리츠엔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6688A (ko) 내수성 터치 키패드를 가지는 잠금장치
US20110253516A1 (en) Modular Sensor Switch
US7601927B2 (en) Rocker key with LED window
KR102123929B1 (ko) 자동문 개폐 스위치
KR200472372Y1 (ko)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
KR20190000020U (ko) 센서를 구비한 엣지형 엘이디 조명등
US20140184069A1 (en) Door-mounted cabinet lamp
JP2005071880A (ja) 防雨形熱線センサ付自動スイッチ
KR200376924Y1 (ko) 화재감지기용 케이스 어셈블리
TWM606250U (zh) 自動體外心臟電擊去顫器的收納櫃
JPH06300341A (ja) 天井用換気扇
KR0128427Y1 (ko) 냉장고의 도어 손잡이 구조
CN210575638U (zh) 一种墙壁开关
KR101241953B1 (ko) 디지털 도어락 보호 커버
CN211572955U (zh) 一种带有隐藏式指纹识别器的智能门锁
CN216772494U (zh) 门禁控制器
CN217543893U (zh) 防水的多元识别门禁设备
CN111762001B (zh) 一种空调触摸面板开关
CN210467659U (zh) 一种智能家居用开关
TWI726820B (zh) 自動體外心臟電擊去顫器的收納櫃
KR100648798B1 (ko) 냉장고용 제어기의 조립구조
CN219548638U (zh) 一种物联网智能门锁
CN215485319U (zh) 一种多功能手势识别智能门锁
CN215868063U (zh) 一种智能门铃
CN209842645U (zh) 一种防水指纹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