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965B1 -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965B1
KR102122965B1 KR1020180152770A KR20180152770A KR102122965B1 KR 102122965 B1 KR102122965 B1 KR 102122965B1 KR 1020180152770 A KR1020180152770 A KR 1020180152770A KR 20180152770 A KR20180152770 A KR 20180152770A KR 102122965 B1 KR102122965 B1 KR 102122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unit
lever
rod
return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5873A (ko
Inventor
이청기
Original Assignee
이청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청기 filed Critical 이청기
Priority to KR1020180152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965B1/ko
Publication of KR20200065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2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 B65G45/14Moving scrapers
    • B08B1/005
    • B08B1/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턴 벨트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고 전방으로 이동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상측 방향을 향하는 일단이 리턴 벨트의 하면과 면 접촉을 이루는 접촉부, 상면이 개구되어 접촉부의 타단이 삽입되는 판 형상의 배치부, 배치부와 연결되고 배치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막대부, 막대부가 삽입되고 막대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부 및 막대부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고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배치부 및 막대부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판 형상의 지렛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력에 의해 하강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지렛대부 및 무게추를 통해, 리턴 벨트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지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이물질에 의한 비산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리턴 벨트와의 접촉을 위한 접촉부의 위치 조정이 자동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 장치{ROMOVING APPARATUS FOR CONVEYOR}
본 발명은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컨베이어의 리턴 벨트의 하면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 컨베이어는 공장의 조립라인에서 석탄, 모래, 시멘트, 광석, 곡물, 등의 화물을 연속적으로 이동하는데 사용되는 설비이다. 이와 같은 벨트 컨베이어는 화물을 이송한 후 원래의 자리로 돌아가는 리턴 벨트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벨트 컨베이어는 고무 등의 재질로 구비되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할수록 이물질이 리턴 벨트의 하면에 잔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행문헌 1(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6-0013956호) 및 선행문헌 2(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4889호)에서는 세정액을 분사하여 벨트 컨베이어를 세척하고 벨트를 상하로 진동시켜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를 개시하였다. 하지만, 선행문헌 1의 경우 석탄 등과 같이 물과의 접촉을 금지하는 화물을 운송하는 경우 세정액을 분사할 수 없어 범용성이 극히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추가적으로, 선행문헌 1의 경우 세정액을 분사하더라도 세정액이 증발할 때까지 화물의 이송이 제한된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선행문헌 2의 경우 점탄성을 갖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화물은 리턴벨트를 진동시키더라도 리턴벨트의 하면으로부터 분리할 수 없어 이물질 제거가 불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추가적으로, 리턴 벨트의 하측 방향에 고무 재질을 갖는 스크래퍼 등을 위치시켜 리턴 벨트의 하면을 긁음으로써 잔여물을 제거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 경우 리턴 벨트를 손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크래퍼가 리턴 벨트와의 마찰을 통해 마모되는 경우 스크래퍼가 리턴 벨트와 접하지 않아 이물질 제거가 불가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직접 스크래퍼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리턴 벨트의 하면과 접하도록 위치시켜야 하므로, 이 과정에서 작업자는 리턴 벨트 및 스크래퍼 사이에서 위험에 노출된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선행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6-0013956호 (1996.05.22. 공개) 선행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4889호 (2016.01.06. 등록)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리턴 벨트의 하면과의 면 접촉을 이루는 이물질 제거수단에 대해서,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이 마모되더라도 자동으로 이물질 제거수단 및 리턴 벨트의 면 접촉을 지속적으로 갖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리턴 벨트의 하면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리턴 벨트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물질 제거 과정에서 작업자의 개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리턴 벨트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고 전방으로 이동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상측 방향을 향하는 일단이 리턴 벨트의 하면과 면 접촉을 이루는 접촉부, 상면이 개구되어 접촉부의 타단이 삽입되는 판 형상의 배치부, 배치부와 연결되고 배치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막대부, 막대부가 삽입되고 막대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부 및 막대부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고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배치부 및 막대부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판 형상의 지렛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력에 의해 하강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지렛대부 및 무게추를 통해, 리턴 벨트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지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이물질에 의한 비산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리턴 벨트와의 접촉을 위한 접촉부의 위치 조정이 자동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 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턴벨트 및 접촉부의 면 접촉을 통한 이물질 제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치부, 막대부 및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치부 및 접촉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 및 지렛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렛대부의 회전 운동에 따른 배치부의 상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제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렛대부의 회전 운동에 따른 배치부의 상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 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함에 앞서, “상측 방향”, “하측 방향”은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서의 상측 방향 및 하측 방향을 뜻한다. 또한, “전방”은 리턴 벨트(b)가 되돌아가는 방향으로서 도 1의 좌상측 방향을 뜻하고, “후방”은 “전방”의 반대 방향으로서 도 1의 우하측 방향을 뜻한다. 또한, “이물질(d)”은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대상물을 이송한 다음 리턴 벨트(b)의 하면에 남아있는 것을 뜻한다. 또한, “배치부(120)의 일면 방향”은 도 1의 좌측 방향을 뜻하고, “배치부(120)의 타면 방향”은 도 1의 우측 방향을 뜻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 장치는 일단이 리턴 벨트(b)의 하면과 면 접촉을 이루는 접촉부(111), 접촉부(111)의 타단이 삽입됨으로써 접촉부(111)를 고정시키는 배치부(120), 배치부(120)와 연결되고 배치부(1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막대부(130), 막대부(130)가 삽입되고 막대부(13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부(140) 및 와이어(w)를 통해 막대부(130)와 연결되고 중력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 운동함으로써 마모된 접촉부(111)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리턴 벨트(b)의 하면과 지속적인 면 접촉을 이루도록 하는 지렛대부(15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턴벨트 및 접촉부(111)의 면 접촉을 통한 이물질(d) 제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종래의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 장치의 경우 리턴 벨트(b)의 하면을 타격하는 별도의 타격수단을 통해 리턴 벨트(b) 및 이물질(d)을 분리한다. 하지만 리턴 벨트(b)를 향한 타격수단의 타격은 리턴 벨트(b)의 상측 방향에 위치한 이송물의 진동 및 이에 따른 이송물의 손상으로 이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다른 종래의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 장치의 경우 리턴 벨트(b)의 하면에 롤러, 스크래퍼 등의 이물질(d) 제거수단을 위치시켜 면 접촉을 이루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 경우 이물질(d) 제거수단 및 리턴 벨트(b)와의 마찰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거나, 리턴 벨트(b)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이물질(d) 제거수단이 마모되는 경우 리턴 벨트(b)의 하면에 위치한 이물질(d)을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접촉부(111) 및 구획부(113)가 리턴 벨트(b)와의 면 접촉을 지속적으로 갖되 접촉부(111)가 마모되더라도, 접촉부(111)가 이에 대응하여 상측방향으로 상승함으로써 마모된 일단이 지속적으로 리턴 벨트(b)의 하면과 접할 수 있어 이물질(d)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구성을 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치부(120), 막대부(130) 및 가이드부(14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치부(120) 및 접촉부(111)의 단면도이다.
접촉부(111)는 리턴 벨트(b)의 하면과의 면 접촉을 통해 이물질(d)을 제거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접촉부(111)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막대, 솔 등의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세하게, 접촉부(111)는 막대, 솔 등의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제거수단이 모여 형성된다. 또한, 접촉부(111)는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합성수지 재질을 갖음에 따라, 리턴 벨트(b)와의 접촉 시 리턴 벨트(b)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재질로 구비되는 접촉부(111)는 상측 방향을 향하는 일단이 리턴 벨트(b)와의 면 접촉 시 마찰열로 인해 마모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접촉부(111)가 리턴 벨트(b)와의 접촉 과정에서 후술할 배치부(12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묶음부(1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묶음부(112)는 막대, 솔 등의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제거수단의 둘레를 따라 끈 또는 테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거수단을 감도록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 끈 형상으로 형성되는 묶음부(112)의 양단은 후술할 구획부(113)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접촉부(111)는 구획부(113)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묶음부(11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접촉부(111)는 리턴 벨트(b)와의 면 접촉을 보다 견고하게 수행할 수 있고, 리턴 벨트(b)와의 접촉을 통한 이물질(d) 제거 과정에서 배치부(120)로부터 이탈하여 발생할 수 있는 리턴 벨트(b)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리턴 벨트(b)를 이동시키는 복수 개의 리턴 롤러의 사이에 접촉부(111)의 일부가 개재됨으로써 리턴 롤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접촉부(111)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접촉부(111)의 사이에는 구획부(113)가 구비된다. 구획부(113)는 복수 개의 접촉부(111)가 서로 접함으로써 리턴 벨트(b)와의 면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고, 접촉부(111) 간의 꼬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구획부(113)는 복수 개의 접촉부(111)의 사이에 위치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세하게, 구획부(113)의 상측 방향을 향하는 일단은 접촉부(111)의 일단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복수 개의 접촉부(111)의 사이에 위치하되 선술한 묶음부(112)에 의해 복수 개의 접촉부(111)와 접한다. 도 4를 일례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구획부(113)의 전방에 위치한 묶음부(112) 및 구획부(113)의 후방에 위치한 묶음부(112)는 일체로 연결된다. 여기서, 묶음부(112)는 구획부(113)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복수 개의 접촉부(111) 및 구획부(113)는 일체가 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구획부(113)는 복수 개의 접촉부(111)가 함께 리턴 벨트(b)와 접촉하되 리턴 벨트(b)를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구획부(113)는 고무 등의 재질로 구비됨으로써 리턴 벨트(b)를 손상시키지 않고도 면 접촉을 수행하여 이물질(d)을 제거할 수 있다.
구획부(113)가 구비되지 않는 것과 비교했을 때 합성수지 재질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접촉부(111)가 서로 엉키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이로 인한 리턴 벨트(b)와의 접촉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구획부(113)가 구비됨에 따라 합성수지 재질을 갖는 접촉부(111)가 리턴 벨트(b)와 접촉을 유지하는 과정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리턴 벨트(b)와의 보다 견고한 접촉이 가능하다. 한편, 복수 개의 접촉부(111) 및 구획부(113)는 1개의 그룹(이하, “이물질 제거부(110)”를 뜻함)을 이루어 후술할 배치부(120)에 삽입 고정된다.
배치부(120)는 접촉부(111)를 수납 및 고정시켜 리턴 벨트(b)와의 보다 견고한 면 접촉을 유도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배치부(12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이 개구된다. 상세하게, 배치부(120)의 상면은 복수 개의 접촉부(111) 및 구획부(113)가 합쳐져 구비되는 이물질 제거부(110)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음각 형성된다. 즉, 배치부(120)의 상면은 접촉부(111) 및 구획부(11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음각 형성된다. 이를 통해, 접촉부(111) 및 구획부(113)는 배치부(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별도의 고정수단을 통해 하측 방향을 향하는 타단이 고정됨으로써, 배치부(120) 상에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이물질 제거부(11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배치부(120)의 전방에 위치하는 이물질 제거부(110)의 높이(h1)는 배치부(120)의 후방에 위치하는 이물질 제거부(110)의 높이(h2)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상세하게, 한 쌍의 이물질 제거부(110) 중 배치부(120)의 전방에 위치하는 이물질 제거부(110)의 일단부터 타단까지의 높이(h1)는 배치부(120)의 후방에 위치하는 이물질 제거부(110)의 일단부터 타단까지의 높이(h2)보다 크도록 구비된다. 이는 리턴 벨트(b)가 한 쌍의 이물질 제거부(110) 중 배치부(120)의 후방에 위치하는 이물질 제거부(110)와 먼저 접한 이후에도 이물질(d)이 리턴 벨트(b)에 잔존하는 경우, 이를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함이다. 상세하게, 배치부(120)의 전방에 위치하는 이물질 제거부(110)는 배치부(120)의 후방에 위치하는 이물질 제거부(110)보다 리턴 벨트(b)를 상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면 접촉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배치부(120)의 후방에 위치한 이물질 제거부(110) 및 리턴 벨트(b)의 사이를 통과할 정도로 미세한 크기를 갖는 이물질(d)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이물질 제거부(110)는 리턴 벨트(b)에 잔존하는 이물질(d)에 대한 이중 제거 효과를 갖음과 동시에, 미세한 크기로 형성되거나 점탄성을 갖는 이물질(d)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리턴 벨트(b)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치부(120)의 가운데 부분은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이물질 제거부(110)가 배치부(12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경우, 한 쌍의 이물질 제거부(110)의 사이에 위치한 배치부(120)의 가운데 부분은 개구되어 공간부(e)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리턴 벨트(b)의 하면에 잔존한 이물질(d)은 접촉부(111) 및 구획부(113)의 일단에 의해 전방으로의 이동이 중지되고 리턴 벨트(b)의 하면으로부터 분리되며, 분리된 이물질(d)은 공간부(e)를 통과하여 하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측방향으로 이동한 이물질(d)은 별도의 수집수단을 통해 모아질 수 있어, 궁극적인 이물질(d)의 비산 방지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한편, 접촉부(111) 및 구획부(113)가 배치부(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배치부(120)는 후술할 막대부(130)와 연결되어 상하이동된다.
막대부(130)는 배치부(120)와 연결되어 배치부(1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세하게, 막대부(130)는 배치부(120)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접촉부(111) 및 구획부(113)가 마모되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접촉부(111) 및 구획부(113)가 리턴 벨트(b)의 하면과 지속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배치부(120)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막대부(130)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치부(120)와 연결된다. 상세하게, 막대부(13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배치부(120)의 양측 방향(도 1의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을 뜻함)에 각각 형성되어 배치부(120)와 연결된다. 따라서, 막대부(130)는 배치부(120)를 용이하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막대부(130)는 후술할 가이드부(140) 및 지렛대부(150)를 통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치부(120)에 위치한 접촉부(111) 및 구획부(113)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140) 및 지렛대부(15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렛대부(150)의 회전 운동에 따른 배치부(120)의 상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는 무게추(170)의 일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에 따른 가이드부(140)의 일단 및 접촉부(111)의 상승을 나타내기 위해 불필요한 구성을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가이드부(140)는 막대부(13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가이드부(140)는 막대부(13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지면과 수직하도록 이동하여 접촉부(111) 및 구획부(113)가 리턴 벨트(b)와 정확한 면 접촉을 이룰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를 위해 가이드부(14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세하게, 가이드부(14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가이드홈(h)을 구비하여 막대부(130)를 삽입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보다 상세하게, 가이드홈(h)은 판부(141)에 형성되되 막대부(1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가이드홈(h)은 막대부(130)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일례로, 막대부(130)가 원형 단면을 갖도록 구비되는 경우, 가이드홈(h)의 직경 또한 막대부(130)의 직경과 동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막대부(130)는 가이드부(140)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홈(h)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막대부(130)는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상하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접촉부(111) 및 구획부(113)가 틀어진 상태에서 리턴 벨트(b)와 접촉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는 막대부(130)가 삽입된 가이드부(140)가 접촉부(111), 구획부(113), 배치부(120) 및 막대부(130)에 따른 하중을 분산시킨다. 이를 위해, 지지부는 가이드부(140)의 타면 방향(도 5의 우상측 방향을 뜻함)에 구비되고, 지면과 직립하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며, 가이드부(140)에 형성된 가이드홈(h)과 동일한 크기 및 형태를 갖는 별도의 관통홈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지지부는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지지되는 상황에서 상기 관통홈을 통해 막대부(130)를 삽입시킴으로써, 접촉부(111), 구획부(113), 배치부(120) 및 막대부(130)에 대한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가이드부(140)의 일면 방향(도 5의 좌하측 방향을 뜻함)에는 판부(141), 상하이동부(142) 및 위치 교정부(143)가 더 구비된다.
판부(141)는 도 7 및 도 8에서 후술할 지렛대부(150)가 무게추(170)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막대부(130)와 연결된 와이어(w)가 막대부(130)의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공간을 제공한다. 즉, 판부(141)는 와이어(w)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판부(141)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가이드부(140)의 일면 방향에 구비된다. 상세하게, 한 쌍의 판부(141)에는 별도의 통과홈에 구비되어 선술한 막대부(130)가 삽입되고, 한 쌍의 판부(141)는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위치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판부(141)의 사이에 위치한 막대부(130) 부분에 후술할 와이어(w)가 권취되어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w)는 막대부(130) 및 지렛대부(150)를 서로 연결한다.
상하이동부(142)는 막대부(13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보조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상하이동부(142)는, 선술한 판부(141)가 상하이동부(142)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이를 통한 막대부(130)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을 돕는다. 이를 위해, 상하이동부(142)는 봉 형상으로 구비되고 가이드부(140)의 일면 방향에 위치한다. 또한, 상하이동부(142)의 일단 및 타단은 가이드부(140)의 상하방향에 별도로 구비되는 한 쌍의 브라켓와 연결됨으로써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상하이동부(142)가 후술할 위치 교정부(143)에 삽입되고 상기 위치 교정부(143)가 한 쌍의 판부(141)와 연결됨에 따라, 판부(141)는 상하이동부(142)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통과홈에 삽입된 막대부(130)를 동반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하이동부(142)는 둘 이상으로 구비됨으로써 판부(141) 및 막대부(130)에 대한 보다 정확한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고, 후술할 무게추(170) 및 지렛대부(150)가 막대부(130)에 가하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어 막대부(130)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위치 교정부(143)는 막대부(130) 및 판부(141)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위치를 교정한다. 상세하게, 위치 교정부(143)는 막대부(130) 및 판부(141)가 선술한 상하이동부(14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위치 교정부(143)는 가이드부(140)의 일면 방향에 형성되고 상하이동부(142)가 삽입되며, 위치 교정부(143)의 일면 및 타면은 각각 한 쌍의 판부(141)와 접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막대부(130), 한 쌍의 판부(141) 및 상하이동부(142)는 위치 교정부(143)를 통해 일체로 연결된다. 즉, 막대부(130), 위치 교정부(143) 및 한 쌍의 판부(141)는 위치 교정부(143)에 삽입된 상하이동부(142)를 통해 상하방향으로 동반 이동한다. 위치 교정부(143)가 구비됨에 따라, 막대부(13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리턴 벨트(b)로의 접근이 가능하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위치 교정부(143)는 한 쌍으로 둘 이상 구비되어 판부(141)의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에 각각 구비됨으로써, 상하이동부(142)를 따라 보다 낮은 속도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접촉부(111) 및 구획부(113)의 마모에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이물질(d) 제거가 용이하다.
지렛대부(150)는 막대부(130)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세하게, 지렛대부(150)는 일 방향(시계 반대 방향을 뜻함)으로 회전함에 따라 배치부(120) 및 막대부(130)를 상승시켜 접촉부(111) 및 구획부(113)의 일단 및 리턴 벨트(b)의 하면을 접촉을 유지시킨다. 보다 상세하게, 지렛대부(150)는 접촉부(111) 및 구획부(113)의 일단이 리턴 벨트(b)와의 마찰에 의해 마모되는 것에 대응하여 접촉부(111) 및 구획부(113)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리턴 벨트(b)와의 접촉을 유지하여 이물질(d)을 지속적으로 제거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지렛대부(150)는 판, 막대 등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방을 향하는 일단은 별도의 걸이부가 구비되어 와이어(w)를 통해 막대부(130)와 연결된다. 또한, 지렛대부(15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배치부(120)의 양측 방향(배치부(120)의 일면 방향 및 타면 방향을 뜻함)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140)의 양측 방향에 위치한다. 여기서, 한 쌍의 지렛대부(150)는 봉 또는 막대 형상 등으로 형성되는 연결부(160)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지렛대부(150)는 연결부(160)의 중심을 중심축으로 일 방향(도 6의 시계 반대 방향을 뜻함) 및 타 방향(도 6의 시계 방향을 뜻함)으로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지렛대부(150)의 일단은 와이어(w)를 통해 한 쌍의 판부(141)의 사이에 위치하는 막대부(130) 부분과 연결되기 때문에, 지렛대부(150)의 일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응하여 지렛대부(150)의 일단은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와 같은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배치부(120) 및 막대부(130)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무게추(170)는 지렛대부(150)를 일 방향으로 회전(s)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무게추(170)는 중력을 이용하여 지렛대부(150)를 일 방향으로 회전(s)시킨다. 이를 위해, 무게추(170)는 지렛대부(150)의 타단 방향에 위치한다. 상세하게, 무게추(170)는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고 지렛대부(150)는 무게추(170)의 둘레면을 관통하도록 삽입된다. 하지만 무게추(170)는 원판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무게추(170)가 중력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s)하여 지면과 근접할 시 무게추(17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이 평평한 직육면체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무게추(170)의 중량은 접촉부(111), 구획부(113), 배치부(120), 막대부(130) 및 가이드부(140)의 각각의 중량을 합친 것보다 크도록 구비된다. 이는 접촉부(111) 및 구획부(113) 일단이 마모되는 것에 대응되어, 무게추(170)가 중력을 이용하여 지렛대부(150)를 일 방향으로 회전(s)시키기 위함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접촉부(111) 및 구획부(113)의 마모에 대응되는 지렛대부(150) 및 무게추(170)의 회전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리턴 벨트(b)의 하면과 접하는 접촉부(111) 및 구획부(113)는 마찰열로 인해 마모되고, 이 과정에서 리턴 벨트(b)의 하면 및 접촉부(111)와 구획부(113)의 일단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무게추(170)의 중량은 접촉부(111), 구획부(113), 배치부(120), 막대부(130) 및 가이드부(140)의 각각의 중량을 합친 것보다 크기 때문에, 무게추(170)는 중력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즉, 무게추(170)는 연결부(160)의 중심을 중심축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s)한다. 와이어(w)를 통해 막대부(130)와 연결된 지렛대부(150)의 일단은 일 방향으로 회전(s)하여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접촉부(111), 구획부(113), 배치부(120), 막대부(130) 및 판부(141)는 상하이동부(142)를 따라 상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특히, 접촉부(111) 및 구획부(113)의 일단이 리턴 벨트(b)와 접할 때까지 상승하기 때문에, 별도의 장치 없이도 접촉부(111) 및 구획부(113)와 리턴벨트의 면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d) 제거수단이 마모되면 리턴 벨트(b)에 잔존하는 이물질(d)을 제거할 수 있는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이물질(d) 자동 제거 측면에서 편의성 및 정확성을 현저하게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지렛대부(150) 및 무게추(170)는 접촉부(111) 및 구획부(113)의 마모와 중력에 대응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s)하기 때문에 별도의 구동장치를 생략할 수 있어 설비 공간을 절감할 수 있고, 작업자가 마모된 이물질(d) 제거수단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리턴 벨트(b)의 구동을 중지할 필요가 없어 이송 공정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제어부(18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렛대부(150)의 회전 운동에 따른 배치부(120)의 상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회전 제어부(180)를 더 포함한다. 회전 제어부(180)는 지렛대부(150) 및 무게추(170)의 일 방향으로의 회전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회전 제어부(180)는 지렛대부(150)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고 레일부(181), 봉부(182), 맞물림부(183) 및 탄성체(c)를 포함한다.
레일부(181)는 후술할 맞물림부(183)가 지렛대부(150) 및 무게추(170)의 일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응하여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경로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레일부(181)의 상면은 개구되어 맞물림부(183)가 삽입되고, 개구된 부분의 하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부(1811)가 형성된다. 상세하게, 개구되어 맞물림부(183)가 삽입되는 레일부(181)의 하면에는 미리 설정된 크기 및 형상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돌기부(1811)가 레일부(181)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일례로, 돌기부(1811)는 수직 방향으로의 단면이 삼각형 형상을 갖도록 구비된다. 하지만 돌기부(1811)의 단면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호 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봉부(182)는 무게추(170) 및 맞물림부(183)를 연결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봉부(182)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무게추(170)와 접하고 타단은 맞물림부(183)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무게추(170) 및 지렛대부(150)의 일 방향으로의 회전은 맞물림부(183)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봉부(182)의 타단은 별도로 구비되는 힌지를 통해 맞물림부(183)와 연결된다. 따라서, 무게추(170) 및 지렛대부(150)가 일 방향으로 회전(s) 시 봉부(182)의 타단 및 맞물림부(183)가 후방으로 이동된다.
맞물림부(183)는 지렛대부(150) 및 무게추(170)가 과도하게 일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맞물림부(183)는 지렛대부(150)의 일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응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탄성체(c)를 통해 후방으로의 이동이 중단됨으로써 지렛대부(150) 및 무게추(170)의 일 방향으로의 회전을 중단시킨다. 이를 위해, 맞물림부(183)는 레일부(181)의 내부에 구비되고 하면은 복수의 돌기부(1811)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맞물림부(183)는 레일부(181)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돌기부(1811)와의 마찰에 의해 후방으로의 이동 속도가 감소한다. 또한, 맞물림부(183)는 별도의 힌지를 통해 봉부(182)의 타단과 힌지 연결된다. 따라서, 맞물림부(183)는 지렛대부(150)의 일 방향으로의 회전시 무게추(170)와 연결되어 위치가 가변하는 봉부(182)에 대응하여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체(c)는 후방을 향하는 맞물림부(183)의 일면 및 레일부(181)의 내면과 연결된다(도 8a 참조). 상세하게, 탄성체(c)의 일단은 레일부(181)의 내면과 연결되고 타단은 맞물림부(183)의 일면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탄성체(c)는 맞물림부(183)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대응하여 길이가 축소된다. 이후 탄성체(c)는 복원력을 이용하여 과도하게 축소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맞물림부(183)가 과도하게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일련의 구성 및 기능을 통해, 지렛대부(150) 및 무게추(170)가 지나치게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리턴 벨트(b), 접촉부(111) 및 구획부(113)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접촉부(111) 및 구획부(113)의 파손 방지를 위한 조정에 대하여 작업자가 개입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어 인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6)

  1. 리턴 벨트(b)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고 전방으로 이동하는 이물질(d)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일단이 상기 리턴 벨트(b)의 하면과 접하는 접촉부(111);
    상면이 개구되어 상기 접촉부(111)의 타단이 삽입되는 판 형상의 배치부(120);
    상기 배치부(120)와 연결되고 상기 배치부(1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막대부(130);
    상기 막대부(130)가 삽입되고 상기 막대부(13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부(140); 및
    상기 막대부(130)와 와이어(w)를 통해 연결되고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상기 배치부(120) 및 막대부(130)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판 형상의 지렛대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지렛대부(150)의 일단은 무게추(170)와 연결되며,
    상기 접촉부(111)가 상기 리턴 벨트(b)와의 면 접촉을 통해 마모될 시, 상기 지렛대부(150)가 상기 무게추(170)를 통해 일 방향으로 회전(s)하여 상기 접촉부(111)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접촉부(111) 및 리턴 벨트(b)와의 면 접촉을 유지하고,
    상기 지렛대부(150)의 하측 방향에 구비되고 상기 지렛대부(150)의 일 방향으로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제어부(1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제어부(180)는,
    상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복수 개의 돌기부(1811)가 형성된 레일부(181);
    일단이 상기 무게추(170)와 연결되는 봉부(182);
    상기 레일부(181)의 내부에 구비되고 힌지를 통해 상기 봉부(182)의 타단과 힌지 연결되며, 상기 지렛대부(150)의 일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응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는 맞물림부(183);및
    후방을 향하는 상기 맞물림부(183)의 일면과 연결되고,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맞물림부(183)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제어하는 탄성체(c);를 포함하며,
    상기 배치부(120)의 가운데 부분에는 상기 이물질(d)을 통과시키는 공간부(e)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이물질(d)의 비산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111)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접촉부(111)의 사이에는 상기 복수 개의 접촉부(111)를 구분하는 구획부(1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111) 및 구획부(113)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부(110)는 둘 이상 구비되어 상기 배치부(12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배치부(120)의 전방에 위치하는 이물질 제거부(110)의 높이(h1)는 상기 배치부(120)의 후방에 위치하는 이물질 제거부(110)의 높이(h2)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40)의 일면 방향에는,
    상기 막대부(130)가 관통 삽입되는 한 쌍의 판부(141);
    상기 한 쌍의 판부(141)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하이동부(142);및
    상기 상하이동부(142)가 삽입되고 상기 한 쌍의 판부(141)를 서로 이격시키며, 상기 지렛대의 일 방향 및 타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응되어 상기 막대부(130) 및 판부(141)를 상기 상하이동부(142)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위치 교정부(143);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렛대부(150) 및 가이드부(14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배치부(120)의 일면 방향 및 타면 방향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지렛대부(150)를 연결하는 연결부(160)가 더 구비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지렛대부(150)는 상기 접촉부(111)의 마모에 대응하여 일체로 일 방향 및 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 장치.
  6. 삭제
KR1020180152770A 2018-11-30 2018-11-30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 장치 KR102122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770A KR102122965B1 (ko) 2018-11-30 2018-11-30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770A KR102122965B1 (ko) 2018-11-30 2018-11-30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873A KR20200065873A (ko) 2020-06-09
KR102122965B1 true KR102122965B1 (ko) 2020-06-15

Family

ID=71081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770A KR102122965B1 (ko) 2018-11-30 2018-11-30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9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475Y1 (ko) * 1996-10-08 2001-11-22 이구택 콘베어벨트용팁크리너자동조정장치
KR100466851B1 (ko) * 2001-12-24 2005-01-15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자동 장력 조절 기능을 구비한 양날 벨트 클리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956A (ko) 1994-10-06 1996-05-22 배순훈 콘베이어 벨트의 이물질 제거장치
JPH10109731A (ja) * 1996-10-04 1998-04-28 Mitsubishi Materials Corp ベルトコンベヤのクリ−ナ装置
KR20090083756A (ko) * 2008-01-30 2009-08-04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컨베이어벨트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1584889B1 (ko) 2014-03-25 2016-01-15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벨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475Y1 (ko) * 1996-10-08 2001-11-22 이구택 콘베어벨트용팁크리너자동조정장치
KR100466851B1 (ko) * 2001-12-24 2005-01-15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자동 장력 조절 기능을 구비한 양날 벨트 클리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873A (ko)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63362A (en) Flexible grain auger
KR102105088B1 (ko) 컨베이어 이물질 제거용 브러쉬
BR102014032269A2 (pt) máquina de colheita de cana-de-açúcar
KR102122965B1 (ko)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 장치
JP2016069190A (ja) 搬送装置、および搬送装置の搬送面から異物を分離するための方法
JP2016069190A5 (ko)
JP6738817B2 (ja) 卵の配向装置
US9156623B1 (en) Automated tie plate placement system
CN103447239A (zh) 缠绕物提取机和缠绕物提取设备
KR20160088862A (ko) 컨베이어 체인 지지부
EA201892222A1 (ru) Палубный грузоподъемный трактор, эвакуационный желоб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очный резервуар
KR102152722B1 (ko) 파이프 운반장치
KR101930199B1 (ko) 멸치 떨이 자동화 장치
CZ309861B6 (cs) Způsob vyjímání trubek ze zásobníku a zařízení pro přípravu trubek k jejich vyjímání ze zásobníku
FR2930113A1 (fr) Cloison pour stabulation en logettes et installation comportant de telles cloisons
KR200461385Y1 (ko) 자동판매기의 스파이럴 위치고정형 상품반출장치
JP6759052B2 (ja) 組合せ秤への物品供給装置
US7985118B2 (en) Device for scraping debris from a honey super
ES2638198B2 (es) Sistema y procedimiento de evacuación de piezas
US20150089913A1 (en) Harvesting machine for picking up fruit on the ground
JP2012205566A (ja) 作物収穫機
US20100186677A1 (en) Poultry manure skimmer
KR101281274B1 (ko) 밸런스웨이트형 스카트업다운장치
RU2021132308A (ru) Машина переноса и ее применение в птичнике для переноса инкубируемых яиц на его пол
US905583A (en) Boot and shoe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