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792B1 - 압축기용 가스켓 - Google Patents

압축기용 가스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792B1
KR102122792B1 KR1020150092339A KR20150092339A KR102122792B1 KR 102122792 B1 KR102122792 B1 KR 102122792B1 KR 1020150092339 A KR1020150092339 A KR 1020150092339A KR 20150092339 A KR20150092339 A KR 20150092339A KR 102122792 B1 KR102122792 B1 KR 102122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compressor
hole
protrusions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185A (ko
Inventor
황승용
김상호
김영신
이용욱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2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792B1/ko
Publication of KR20170002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73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켓의 조립시에 압축기의 다른 구성품과 조립 압력을 받지 않는 비간섭 영역인 본체부의 관통공과 냉매 흡입공 사이에 복수의 돌출부를 후방 하우징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함에 따라, 조립라인 상에서 적층되어 있는 가스켓의 적재부에서 조립라인 상의 공급라인의 흡입력으로 1개의 가스켓을 인출할 때에 적층된 가스켓 상의 분리성을 향상시켜 작업효율의 향상 및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압축기의 조립시간 및 조립비용의 절감을 도모하며, 분말층을 제거함에 따라 압축기의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압축기용 가스켓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압축기용 가스켓{Gasket for variable swash plate 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기용 가스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켓의 조립시에 압축기의 다른 구성품과 조립 압력을 받지 않는 비간섭 영역인 본체부에 복수의 돌출부를 후방 하우징 방향으로 형성함에 따라, 조립라인 상에서 적층되어 있는 가스켓 적재부에서 조립 라인 상의 공급라인의 흡입력으로 1개의 가스켓을 인출할 때에 적층된 가스켓 상의 분리성을 향상시켜 압축기의 조립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조립비용을 절감하고 품질문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압축기용 가스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실내의 냉난방을 위한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A/C)가 설치된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냉방시스템의 구성으로서 증발기로부터 인입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로 압축시켜 응축기로 보내는 압축기를 포함하고 있다.
압축기는 압축 방식에 따라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냉매를 압축하는 왕복식 및 회전운동에 의해 압축을 수행하는 회전식이 있다. 왕복식에는 구동원의 전달방식에 따라 크랭크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피스톤으로 전달하는 크랭크식, 사판이 설치된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사판식 등이 있다. 회전식에는 회전하는 로터리축과 베인을 사용하는 베인 로터리식, 선회 스크롤과 고정 스크롤을 사용하는 스크롤식이 있다.
상술한 왕복식 압축기 중 사판식 압축기는 엔진의 구동력으로 회전축이 회전되면서 사판을 회전시키고, 이러한 사판의 회전에 따라 피스톤이 왕복이동 되도록 하여 냉매를 압축하도록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는 사판식 압축기에서 사판이 압축용량에 따라 사판의 경사각의 변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압축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사판식 압축기는 공조장치 스위치의 온/오프(on/off)에 따라 구동되는데, 압축기가 구동되면 증발기의 온도가 하강하게 되고, 압축기가 정지되면 증발기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사판식 압축기는 공조장치 스위치가 켜지는 경우에는, 피스톤과 회전축 및 사판의 상대운동에 따라 고안 고압의 냉매를 압축기 외부의 응축기로 토출시킨다.
도 1은 종래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1)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실린더 블록(10)은 가변 사판식 압축기(1)의 외관과 골격의 일부를 형성한다. 실린더 블록의 중앙을 관통하여 센터 보어(12)가 형성된다. 센터 보어(12)에 회전축(4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센터 보어(12)를 둘러서 방사상으로 실린더 블록(10)을 관통하도록 다수개의 실린더 보어(11)가 형성된다.
실린더 보어(11)의 내부에 피스톤(13)이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피스톤(13)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실린더 보어(11)는 피스톤(13)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통형 공간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13)이 실린더 보어(11)의 내부를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흡입실(31)을 통해 흡입되는 냉매를 압축하게 된다.
실린더 블록(10)의 일단에 전방 하우징(20)이 설치된다. 전방 하우징(20)은 실린더 블록(10)과 마주보는 쪽이 요입되어, 실린더 블록(10)과 함께 내부에 크랭크실(21)을 형성한다. 크랭크실(21)은 외부와 기밀이 유지된다.
전방 하우징(20)의 일측에 풀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풀리는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실린더 블록(10)의 타단, 즉 실린더 블록(10)을 중심으로 전방 하우징(20)과 마주하도록 후방 하우징(30)이 설치된다.
후방 하우징(30)에 내부에 형성되는 원형의 구획벽에 의해 내측에는 흡입유로(32)를 통해 흡입포트와 연통되도록 흡입실(31)이 형성된다. 이러한 흡입실(31)은 실린더 보어(11)의 내부로 압축될 냉매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후방 하우징(30)에는 내부에 형성되는 원형의 구획벽에 의해 외측에 토출실(33)이 형성된다. 이러한 토출실(33)은 압축된 냉매를 압축기의 외부로 투출하기 전에 임시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센터 보어(12), 전방 하우징(20)의 크랭크실(21)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회전축(40)이 설치된다. 회전축(40)은 엔진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회전축(40)에는 로터(41)가 설치된다.
로터(41)는 회전축(40)의 중앙을 관통하고, 회전축(40)과 일체로 회전되게 크랭크실(21) 내에 설치된다. 로터(41)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회전축(40)에 고정 설치되고, 로터(41)의 일면에 힌지아암(42)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사판(44)이 슈(45)에 의해 회전축(40)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사판(44)은 로터(41)와 힌지결합되어 로터(41)와 함께 회전한다. 이러한 사판(44)은 회전축(40)에 각도가 가변되도록 설치되며, 회전축(4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한 상태와 회전축(40)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설치된 상태 사이의 위치로 설치된다.
또한, 회전축(40)에는 코일스프링인 반경사 스프링(43)이 회전축(40)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반경사 스프링(43)은 로터(41)와 사판(44) 사이에서 탄성력을 발휘한다. 즉, 반경사 스프링(43)은 사판(44)의 경사각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고, 압축기(1)의 작동이 중지되었을 때에 사판(44)에 작용하는 힘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실린더 블록(10)과 후방 하우징(30) 사이에 냉매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밸브유닛(50)이 설치된다.
실린더 블록(10)과 밸브유닛 사이(50) 및 밸브유닛(50)과 후방 하우징(30) 사이에 가스켓(100)이 설치된다.
종래 압축기용 가스켓(100)은 동일한 종류의 다수의 가스켓이 적층된 형태로 조립라인 상의 가스켓 적재부에 놓이게 된다. 즉, 일반적으로 50~200개 사이의 동일한 종류의 가스켓이 높이방향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조립라인 상의 가스켓 적재부에 놓인 상태에서 가변 사판식 압축기 조립라인이 작동된다.
이처럼, 종래 압축기용 가스켓은 동일한 종류의 다수의 가스켓이 적층된 형태로 가스켓의 적재부에 놓이게 됨에 따라, 가스켓 자체의 하중에 의해 인접하는 상부에 놓인 가스켓과 하부에 놓인 가스켓 간에 겹침이 발생하게 된다.
인접하는 상부에 놓인 가스켓과 하부에 놓인 가스켓 간에 발생하는 겹침에 의해 조립라인 상에서 적층되어 있는 가스켓의 적재부에서 조립라인 상의 공급라인의 흡입력으로 가스켓을 인출할 때에 1개의 가스켓이 아닌 겹쳐진 2개의 가스켓(또는 그 이상의 가스켓)이 인출됨에 따라,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작업공정이나 작업인원을 투입해햐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압축기용 가스켓은 적층된 상태에서 겹칩에 의해 2개 이상의 가스켓이 인출됨에 따라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조립시간과 조립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압축기용 가스켓은 상술한 바와 같은 겹침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가스켓의 상부에 흑연가루분말을 도포하여 분말층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분말층은 단순히 흑연가루분말이 도포된 상태로 적층된 가스켓 자체의 하중에 의한 가스켓의 겹칩 현상을 완전하게 해소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 분말층을 구비한 압축기용 가스켓은 압축기에 가스켓이 조립된 상태 또는 가스켓이 조립된 상태에서 압축기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분말층을 형성하는 흑연가루분말이 압축기의 내부로 유입되어 압축기 내부의 냉매 등을 오염시켜 압축기의 품질과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2-013303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켓의 조립시에 압축기의 다른 구성품과 조립 압력을 받지 않는 비간섭 영역인 본체부의 관통공과 냉매 흡입공 사이에 복수의 돌출부를 후방 하우징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함에 따라, 조립라인 상에서 적층되어 있는 가스켓의 적재부에서 조립라인 상의 공급라인의 흡입력으로 1개의 가스켓을 인출할 때에 적층된 가스켓 상의 분리성을 향상시켜 작업효율의 향상 및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압축기의 조립시간 및 조립비용의 절감을 도모하며, 분말층을 제거함에 따라 압축기의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압축기용 가스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밸브유닛(50)과 후방 하우징(30) 사이에 설치되는 압축기용 가스켓(100)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100)은 상기 회전축(40)이 삽입되도록 중앙에 관통공(111)이 형성되는 본체부(110); 상기 관통공(111)의 중심(C)과 동심원을 이루면서 상기 본체부(110)와 이격되게 형성되는 둘레부(120); 일측이 상기 본체부(110)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둘레부(120)에 결합되는 복수의 밴딩부(130); 및 상기 본체부(110)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압축기용 가스켓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압축기용 가스켓의 상기 복수의 돌출부(140)는 상기 관통공(111)에 인접하고, 상기 밸브유닛(50)에서 상기 후방 하우징(30)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압축기용 가스켓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압축기용 가스켓의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본체부(110)의 외주면에 인접하면서, 상기 관통공(111)의 중심(C)으로부터 상기 본체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동일한 각도로 이격되게 상기 본체부(11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냉매 흡입공(112); 및 상기 크랭크실(21)과 상기 흡입실(31) 또는 상기 크랭크실(21)과 상기 토출실(33)을 연통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부(11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연통홀(1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압축기용 가스켓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압축기용 가스켓의 상기 복수의 돌출부(140)는 상기 관통공(111)과 상기 냉매 흡입공(112)의 사이에 상기 관통공(111)의 중심(C)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압축기용 가스켓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압축기용 가스켓의 상기 복수의 돌출부(140)는 상기 관통공(111)과 상기 냉매 흡입공(112) 사이에 상기 관통공(111)의 중심(C)으로부터 이격된 동심원상에서 동일한 각도(α)로 이격되도록 3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압축기용 가스켓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압축기용 가스켓의 각각의 상기 돌출부(140)의 상부면(141)의 곡률반경(R)은 각각의 상기 돌출부(140)의 하부면(142)의 곡률반경(r)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압축기용 가스켓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압축기용 가스켓의 각각의 상기 돌출부(140)의 높이(H)는 0.3mm 이상 1.0mm 이하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압축기용 가스켓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압축기용 가스켓의 상기 둘레부(120)는 상기 둘레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동일한 각도로 이격되게 상기 둘레부(12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냉매 토출공(121); 및 상기 가스켓(100)을 상기 후방 하우징(30)에 체결하기 위해, 상기 둘레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동일한 각도로 이격되게 상기 둘레부(12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공(1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압축기용 가스켓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압축기용 가스켓은 상기 본체부(110)와 상기 돌출부(140)의 상단면과 하단면에 형성되는 러버층(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용 가스켓은 가스켓의 조립시에 압축기의 다른 구성품과 조립 압력을 받지 않는 비간섭 영역인 본체부의 관통공과 냉매 흡입공 사이에 복수의 돌출부를 후방 하우징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함에 따라, 조립라인 상에서 적층되어 있는 가스켓의 적재부에서 조립라인 상의 공급라인의 흡입력으로 1개의 가스켓을 인출할 때에 적층된 가스켓 상의 분리성을 향상시키고, 작업효율의 향상 및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용 가스켓은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순한 공정에 의해 조립라인 상에서 적층되어 있는 가스켓 상의 분리성을 향상시켜, 압축기의 조립비용과 조립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용 가스켓은 별도의 분말층을 필요로 하지 않아 조립공정 감소에 따라 비용을 절감하고, 분말층을 형성하는 흑연가루분말의 압축기 내부 유입을 방지하여 압축기의 품질을 향상시키며, 압축기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가스켓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가스켓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가스켓이 적층된 상태에서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가스켓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가스켓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가스켓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가스켓이 적층된 상태에서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가스켓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압축기, 특히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구동원리는 전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상태 및 상술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압축기용 가스켓에 대한 특징을 중점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가변 사판식 압축기용 가스켓을 중점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용 가스켓은 가변 사핀식 압축기용 가스켓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 사판식 압축기, 스크롤식 압축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용 가스켓은 가스켓이 설치되는 모든 압축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가스켓(100)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가스켓(100)은 본체부(110), 둘레부(120), 복수의 밴딩부(bending part, 130), 및 복수의 돌출부(140)로 이루어진다.
기밀유지 및 수밀유지를 위해 가스켓(100)이 밸브유닛(50)과 후방 하우징(30) 사이에 설치된다.
본체부(110)는 얇은 원판 형태로 형성한다. 본체부(100)의 중앙에 회전축(40)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111)이 형성된다.
둘레부(120)는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관통공(111)의 중심(C)과 동심원을 이루면서 본체부(110)와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둘레부(120)는 대략 도넛 형상의 얇은 판 형태로 형성된다.
각각의 밴딩부(130)의 일측이 본체부(110)에 결합되고, 각각의 밴딩부(130)의 타측이 둘레부(120)에 결합된다.
즉, 각각의 밴딩부(130)에 의해 본체부(110)와 둘레부(120)가 결합된다.
본체부(110)와 둘레부(120) 및 밴딩부(130)에 의해 가스켓(100)의 외형이 결정된다.
밴딩부(120)는 토출 리드가 개방되는 최대치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복수의 돌출부(140)가 본체부(110)에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돌출부(140)는 관통공(111)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돌출부(140)는 밸브유닛(50)에서 후방 하우징(30)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복수의 돌출부(140)는 포밍(forming) 작업시에 엠보성형(embossing forming)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스켓 자체의 기밀유지와 수밀유지 기능의 저하와 본체부에 발생할 수 있는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체부(110), 둘레부(120), 및 복수의 밴딩부(130)는 내열성이 우수한 합금재질로 일체로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용 가스켓(100)의 본체부(110)는 복수의 냉매 흡입공(112)과 복수의 연통홀(113)을 포함한다.
복수의 냉매 흡입공(112)이 본체부(11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즉, 복수의 냉매 흡입공(112)이 본체부(110)의 외주면에 인접하고, 관통공(111)의 중심(C)으로부터 본체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동일한 각도로 이격되도록 본체부(11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복수의 냉매 흡입공(112)을 통해 유입된 냉매가 실린더로 이송될 수 있다.
크랭크실(21)과 흡입실(31) 또는 크랭크실(21)과 토출실(33)을 연통시키기 위해, 연통홀(113)이 본체부(11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즉, 연통홀(113)은 관통공(111)과 복수의 냉매 흡입공(112)가 중첩되지 않도록 본체부(110)를 관통하여 본체부(110)에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용 가스켓(100)의 둘레부(120)는 복수의 냉매 토출공(121)과 복수의 체결공(122)을 포함한다.
복수의 냉매 토출공(121)이 둘레부(12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즉, 복수의 냉매 토출공(121)이 둘레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동일한 각도로 이격되게 둘레부(12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복수의 냉매 토출공(121)을 통해 압축된 냉매가 배출포트로 이송될 수 있다.
가스켓(100)을 후방 하우징(30)에 체결하기 위해 복수의 체결공(122)이 둘레부(12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즉, 복수의 체결공(122)은 복수의 냉매 토출공(121)과 중첩되지 않도록 둘레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동일한 각도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복수의 체결공(122)에 조립 가이드용 핀이 삽입되어 가스켓을 후방 하우징(30)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가스켓(100)의 복수의 돌출부(140)는 관통공(111)과 냉매 흡입공(112)의 사이에서 관통공(111)의 중심(C)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즉, 2개의 돌출부(140)가 관통공(111)과 냉매 흡입공(112)의 사이의 비간섭 영역(도 2의 B 부분)에서 관통공(111)의 중심(C)을 지나가는 가상의 직선 사이에 관통공(111)의 중심(C)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2개가 형성된다.
2개의 돌출부(140)가 관통공(111)의 중심(C)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다수의 가스켓이 조립라인 상에서 적층될 때에, 적층되는 가스켓이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조립라인 상의 공급라인의 흡입력으로 1개의 가스켓을 인출할 때에 적층된 가스켓 상의 분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가스켓(100)의 복수의 돌출부(140)는 관통공(111)과 냉매 흡입공(112) 사이의 비간섭 영역(도 3의 B 부분)에 관통공(111)의 중심(C)으로부터 이격된 동심원상에서 동일한 각도(α)로 이격되도록 3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3개의 돌출부(140)가 관통공(111)의 중심(C)으로부터 이격된 동심원상에 동일한 각도(α)로 이격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하부 가스켓이 적층되는 상부 가스켓을 3점 이상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적층되는 가스켓이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3개의 돌출부(140)가 관통공(111)과 냉매 흡입공(112)의 사이에서 관통공(111)의 중심(C)으로부터 이격된 동심원상에서 120도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만약, 4개의 돌출부(140)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90도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2개 또는 3개 이상의 돌출부(140)를 가스켓의 조립시에 압축기의 다른 구성품과 조립 압력을 받지 않는 비간섭 영역(도 2 및 도 3의 B 부분)인 본체부의 관통공과 냉매 흡입공 사이에 후방 하우징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함에 따라, 조립라인 상에서 적층되어 있는 가스켓의 적재부에서 조립라인 상의 공급라인의 흡입력으로 1개의 가스켓을 인출할 때에 적층된 가스켓 상의 분리성을 향상시키고, 작업효율의 향상 및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가스켓(100)의 각각의 돌출부(140)의 상부면(141)의 곡률반경(R)이 각각의 돌출부(140)의 하부면(142)의 곡률반경(r)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다수의 가스켓이 적층되는 경우에 인접하는 상부에 적층되는 가스켓과 하부에 적층되는 가스켓 사이에 일정한 간격(D)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돌출부(140)의 상부면(141)의 곡률반경(R)이 각각의 돌출부(140)의 하부면(142)의 곡률반경(r)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조립라인 상의 공급라인의 흡입력으로 1개의 가스켓을 인출할 때에 적층된 가스켓 상의 분리성을 최대치로 향상시킬 수 있고, 최종적으로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조립비용과 조립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각각의 돌출부(140)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보다, 각각의 돌출부(140)의 선단이 뾰족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돌출부(140)는 후방 하우징 방향으로 돌출되는 각각의 돌출부(140)의 선단이 산처럼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각각의 돌출부(140)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보다, 각각의 돌출부(140)의 상부면(141)의 곡률반경(R)과 각각의 돌출부(140)의 하부면(142)의 곡률반경(r)이 더욱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돌출부(140)는 각각의 돌출부(140)의 상부면(141)의 곡률반경(R)이 각각의 돌출부(140)의 하부면(142)의 곡률반경(r)보다 큰 상태에서 완만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각각의 돌출부(140)의 선단이 산처럼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각각의 돌출부(140)가 반원형상보다 완만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돌출부(140)를 엠보싱 공정을 통해 형성할 때에, 돌출부(140)의 형성 시간을 최소화하여 가스켓(100)의 제조비용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40)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돌출부(140)가 형성되는 비간섭 영역(도 2 및 도 3의 B 부분)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최종적으로 가스켓(100)의 비간섭 영역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가스켓(100)의 각각의 돌출부(140)의 높이(H)는 0.3mm 이상 1.0mm 이하가 되도록 형성된다.
가스켓(100)의 각각의 돌출부(140)의 높이(H)가 0.3mm 미만인 경우에는 상부에 적층되는 가스켓과 하부에 적층되는 가스켓 사이에 일정한 간격(D)을 유지할 수 없어, 조립라인 상의 공급라인의 흡입력으로 1개의 가스켓을 인출할 때에 적층된 가스켓 상의 분리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가스켓(100)의 각각의 돌출부(140)의 높이(H)가 1.0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엠보성형시에 가스켓(100)의 본체부(110)가 천공되거나 파손될 수 있다. 즉, 돌출부(140)의 높이(H)가 1.0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본체부(110)의 강성이 저하됨에 따라,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구동 중에 가스켓의 본체부가 파손되어 가스켓 본연의 기밀유지와 수밀유지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복수의 돌출부(140)를 포밍(forming) 작업시에 엠보성형(embossing forming)을 통해 형성하고, 별도의 분말층을 형성하지 않음에 따라, 조립공정 감소에 따라 비용을 절감하고, 분말층을 형성하는 흑연가루분말의 압축기 내부 유입을 방지하여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품질을 향상시키며, 압축기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가스켓(100)은 본체부(110)와 돌출부(140)의 상단면과 하단면에 형성되는 러버층(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러버층(150)은 고무와 같은 실링부재로 형성되어, 가스켓의 충격시에 충격을 완화하고, 기밀유지 및 수밀유지 기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변형예와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내에 속하는 다른 실시예로 확장될 수 있다.
1 : 가변 사판식 압축기, 10 : 실린더 블록,
11 : 실린더 보어, 12 : 센터 보어,
13 : 피스톤, 20 : 전방 하우징,
21 : 크랭크실, 30 : 후방 하우징,
31 : 흡입실, 32 : 흡입유로,
33 : 토출실, 40 : 회전축,
41 : 로터, 42 : 힌지아암,
43 : 반경사 스프링, 44 : 사판,
45 : 슈, 50 : 밸브유닛,
100 : 가스켓, 110 : 본체부,
111 : 관통공, 112 : 냉매 흡입공,
113 : 연통홀, 120 : 둘레부, 121 : 냉매 토출공, 122 : 체결공,
130 : 밴딩부, 140 ; 돌출부,
141 : 상부면, 142 : 하부면,
150 : 러버층.

Claims (9)

  1. 밸브유닛(50)과 후방 하우징(30) 사이에 설치되는 압축기용 가스켓(100)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100)은,
    회전축(40)이 삽입되도록 중앙에 관통공(111)이 형성되는 본체부(110);
    상기 관통공(111)의 중심(C)과 동심원을 이루면서 상기 본체부(110)와 이격되게 형성되는 둘레부(120);
    일측이 상기 본체부(110)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둘레부(120)에 결합되는 복수의 밴딩부(130); 및
    상기 본체부(110)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가스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140)는 상기 관통공(111)에 인접하고, 상기 밸브유닛(50)에서 상기 후방 하우징(30)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가스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본체부(110)의 외주면에 인접하면서, 상기 관통공(111)의 중심(C)으로부터 상기 본체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동일한 각도로 이격되게 상기 본체부(11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냉매 흡입공(112); 및
    크랭크실(21)과 흡입실(31) 또는 상기 크랭크실(21)과 토출실(33)을 연통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부(11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연통홀(11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가스켓.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140)는,
    상기 관통공(111)과 상기 냉매 흡입공(112)의 사이에 상기 관통공(111)의 중심(C)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가스켓.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140)는,
    상기 관통공(111)과 상기 냉매 흡입공(112) 사이에 상기 관통공(111)의 중심(C)으로부터 이격된 동심원상에서 동일한 각도(α)로 이격되도록 3개 이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가스켓.
  6.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돌출부(140)의 상부면(141)의 곡률반경(R)은 각각의 상기 돌출부(140)의 하부면(142)의 곡률반경(r)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가스켓.
  7.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돌출부(140)의 높이(H)는 0.3mm 이상 1.0mm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가스켓.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부(120)는,
    상기 둘레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동일한 각도로 이격되게 상기 둘레부(12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냉매 토출공(121); 및
    상기 가스켓(100)을 상기 후방 하우징(30)에 체결하기 위해, 상기 둘레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동일한 각도로 이격되게 상기 둘레부(12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공(1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가스켓.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100)은,
    상기 본체부(110)와 상기 돌출부(140)의 상단면과 하단면에 형성되는 러버층(1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가스켓.




KR1020150092339A 2015-06-29 2015-06-29 압축기용 가스켓 KR102122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339A KR102122792B1 (ko) 2015-06-29 2015-06-29 압축기용 가스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339A KR102122792B1 (ko) 2015-06-29 2015-06-29 압축기용 가스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185A KR20170002185A (ko) 2017-01-06
KR102122792B1 true KR102122792B1 (ko) 2020-06-15

Family

ID=57832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339A KR102122792B1 (ko) 2015-06-29 2015-06-29 압축기용 가스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7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2102B (zh) * 2021-12-23 2022-10-14 冰轮环境技术股份有限公司 中大型压缩机多品种小批量柔性生产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8876A (ja) 2003-05-15 2004-12-02 Isuzu Motors Ltd ガスケットの分離装置
KR101290633B1 (ko) 2007-05-23 2013-07-30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압축기 가스켓의 실링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6536A (ja) * 1997-01-13 1998-07-3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往復動型圧縮機におけるシール部材の劣化防止構造
KR20000014824U (ko) * 1998-12-29 2000-07-25 배길훈 자동차 냉매압축기의 가스켓리테이너구조.
KR20120133034A (ko) 2011-05-30 2012-12-10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용 밸브 유니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8876A (ja) 2003-05-15 2004-12-02 Isuzu Motors Ltd ガスケットの分離装置
KR101290633B1 (ko) 2007-05-23 2013-07-30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압축기 가스켓의 실링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185A (ko) 2017-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90085B (zh) 涡旋式压缩机
US7771178B2 (en) Vapor injection system for a scroll compressor
US7393190B2 (en) Discharge valve system of scroll compressor
EP3657018B1 (en) Scroll compressor
US9541083B2 (en) Scroll compressor including communication hole with improved back pressure chamber and back pressure hole locations
KR102122792B1 (ko) 압축기용 가스켓
EP2116726A1 (en) Scroll compressor and air conditioner
KR101983698B1 (ko) 사판식 압축기
KR20050066322A (ko) 압축기
KR102073110B1 (ko) 가변 사판식 압축기용 토출체크밸브
KR101055279B1 (ko) 도넛 베인 로터리 압축기
KR102547594B1 (ko) 가변 용량 사판식 압축기
KR102138568B1 (ko) 압축기
US20060177339A1 (en) Horizontal type orbiting vane compressor
US11761442B2 (en) Scroll compressor
KR20150081142A (ko) 로터리 압축기
CN209959416U (zh) 一种压缩机
KR100963943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흡입밸브 조립체
KR102619908B1 (ko) 압축기
CN112145418B (zh) 旋转式压缩机和冷冻循环装置
KR101348891B1 (ko) 압축기
KR102073108B1 (ko) 가변 사판식 압축기용 흡입체크밸브 및 이의 조립방법
KR20240037140A (ko) 스크롤 압축기
KR20210016220A (ko) 전동압축기
KR20240035305A (ko) 스크롤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