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908B1 - 압축기 - Google Patents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908B1
KR102619908B1 KR1020180116847A KR20180116847A KR102619908B1 KR 102619908 B1 KR102619908 B1 KR 102619908B1 KR 1020180116847 A KR1020180116847 A KR 1020180116847A KR 20180116847 A KR20180116847 A KR 20180116847A KR 102619908 B1 KR102619908 B1 KR 102619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direction
control means
valve
direction control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7527A (ko
Inventor
홍기상
성열우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6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908B1/ko
Publication of KR20200037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73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7/00Sealing arrangements in 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9/124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토출공간을 갖는 케이싱; 냉매를 압축하여 상기 토출공간으로 토출하는 압축기구; 상기 토출공간의 압력이 사전에 결정된 압력보다 높아질 경우 그 토출공간의 가스를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하는 압력완화밸브; 및 상기 압력완화밸브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배출방향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은 상기 압력완화밸브의 밸브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배출 방향을 전향시키면서 일 방향으로 유도하는 포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토출공간의 압력이 사전에 결정된 압력보다 높을 경우 그 토출공간의 가스를 배출할 수 있고, 가스의 배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되, 그에 소요되는 제조원가 및 제조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이 상기 압력완화밸브의 상면에 접촉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이 소음 및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축기{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출공간의 압력이 사전에 결정된 압력보다 높아질 경우 그 토출공간의 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실내의 냉난방을 위한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A/C)가 설치된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냉방시스템의 구성으로서 증발기로부터 인입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로 압축시켜 응축기로 보내는 압축기를 포함하고 있다.
압축기에는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는 왕복식과 회전운동을 하면서 압축을 수행하는 회전식이 있다.
왕복식에는 구동원의 전달방식에 따라 크랭크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피스톤으로 전달하는 크랭크식, 사판이 설치된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사판식 등이 있고, 회전식에는 회전하는 로터리축과 베인을 사용하는 베인 로터리식, 선회 스크롤과 고정 스크롤을 사용하는 스크롤식이 있다.
이러한 압축기는 통상적으로 케이싱 및 그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는 압축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기구는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한 뒤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는토출공간으로 토출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압축기는 그 압축기의 안전성 확보 등을 위해 상기 토출공간의 압력이 사전에 결정된 압력보다 높아질 경우 그 토출공간의 가스를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하는 압력완화밸브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도 1은 종래의 압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압축기에서 압력완화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는 토출공간의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압력완화밸브(3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압축기는 상기 압력완화밸브(300)를 통해 상기 토출공간의 압력이 사전에 결정된 압력보다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에 있어서는, 압력완화밸브(300)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배출방향이 고정되어 있어, 그 배출방향이 예를 들어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과 같이 고온 측을 향할 경우 가스 내에 함유되어 있는 오일 등이 착화되어 화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그 배출방향을 변경하려 할 경우에는 압력완화밸브(300)가 장착되는 케이싱(100)을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케이싱(100)을 변경하지 않으면서 가스의 배출방향을 전향시키기 위해, 배출방향조절수단이 압력완화밸브(300)에 장착되기도 하나, 이 경우 배출방향조절수단이 진동되어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013844호
따라서, 본 발명은, 토출공간의 압력이 사전에 결정된 압력보다 높을 경우 그 토출공간의 가스를 배출할 수 있고, 가스의 배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되, 그에 소요되는 제조원가 및 제조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압력완화밸브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배출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압력완화밸브에 장착되는 배출방향조절수단이 소음 및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토출공간을 갖는 케이싱; 냉매를 압축하여 상기 토출공간으로 토출하는 압축기구; 상기 토출공간의 압력이 사전에 결정된 압력보다 높아질 경우 그 토출공간의 가스를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하는 압력완화밸브; 및 상기 압력완화밸브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배출방향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은 상기 압력완화밸브의 밸브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배출 방향을 전향시키면서 일 방향으로 유도하는 포트부를 포함하는 압축기를 제공한다.
상기 압력완화밸브의 밸브 출구에서의 가스 배출 방향과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에 의한 가스 유도 방향이 서로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력완화밸브는, 상기 케이싱에 삽입되고 밸브 입구가 형성되는 입구부; 및 상기 입구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밸브 출구가 형성되는 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구부는, 제1 외경을 갖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외경보다 큰 제2 외경을 갖는 제2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1 단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 단부의 외주면까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저면; 및 상기 저면의 배면을 이루고 상기 밸브 출구가 형성되는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은 상기 제2 단부의 상면에 접촉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은, 상기 제2 단부의 상면에 대향되는 상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판부는 상기 제2 단부의 상면에 접촉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트부는 상기 밸브 출구에 대향되고 상기 제2 단부의 상면에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 출구는 상기 상면의 중심 측에 형성되고, 상기 포트부는 상기 상판부의 중심 측으로부터 상기 상판부의 외주부 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트부의 폭은 상기 상판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은, 상기 제1 단부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걸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쇠부는 상기 제2 단부의 저면에도 접촉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쇠부와 상기 상판부 사이 거리는 상기 제2 단부의 저면과 상기 제2 단부의 상면 사이 거리와 동등 수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은, 상기 제2 단부의 외주면(O21)에 대향되는 측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판부는 상기 제2 단부의 외주면 중 일부를 복개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은 상기 제2 단부가 출입 가능한 개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쇠부는, 상기 개구부 측에서 반경 방향 상 구심 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단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2 단부의 저면에 접촉되는 제1 걸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쇠부는, 상기 제1 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걸쇠부의 반대측에서 반경 방향 상 구심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단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2 단부의 저면에 접촉되는 제2 걸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는, 토출공간을 갖는 케이싱; 냉매를 압축하여 상기 토출공간으로 토출하는 압축기구; 상기 토출공간의 압력이 사전에 결정된 압력보다 높아질 경우 그 토출공간의 가스를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하는 압력완화밸브; 및 상기 압력완화밸브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배출방향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은 상기 압력완화밸브의 밸브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배출 방향을 전향시키면서 일 방향으로 유도하는 포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토출공간의 압력이 사전에 결정된 압력보다 높을 경우 그 토출공간의 가스를 배출할 수 있고, 가스의 배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되, 그에 소요되는 제조원가 및 제조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은 상기 압력완화밸브의 상면에 접촉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이 소음 및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압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압축기에서 압력완화밸브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에서 압력완화밸브 및 배출방향조절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배출방향조절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배출방향조절수단을 배면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에서 압력완화밸브 및 배출방향조절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에서 압력완화밸브 및 배출방향조절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배출방향조절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배출방향조절수단을 배면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는, 케이싱(100) 및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구의 내부에는 냉매 압축이 발생되는 압축실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는 상기 압축실로 유입될 냉매가 일시 저장되는 흡입공간 및 상기 압축실로부터 토출되는 냉매가 일시 저장되는 토출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압축기는, 상기 압축기구가 구동되면, 상기 케이싱(100)과 연통되는 냉매 흡입관을 통해 냉매가 상기 흡입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흡입공간의 냉매가 상기 압축실로 유입 및 압축되고, 압축된 냉매가 상기 압축실로부터 상기 토출공간으로 토출되며, 상기 케이싱(100)과 연통되는 냉매 토출관을 통해 상기 토출공간의 냉매가 상기 압축기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압축기의 윤활을 위한 오일이 냉매에 함유되어 그 냉매와 함께 상기 흡입공간, 상기 압축실 및 상기 토출공간으로 이동되며 각종 습동부를 윤활시키고, 상기 토출공간에서 냉매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흡입공간으로 복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출공간의 압력이 사전에 결정된 압력보다 높아질 경우 압축기의 안전성 및 신뢰성이 저하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는 상기 토출공간의 압력이 사전에 결정된 압력보다 높아질 경우 그 토출공간의 냉매(더욱 정확히는, 오일을 함유한 냉매로서, 이하에서는 가스라 함)를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공간(이하, 외부공간)으로 배출하는 압력완화밸브(pressure relief valve)(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완화밸브(300)는, 그 압력완화밸브(3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밸브 하우징(310), 상기 밸브 하우징(3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밸브 보디(320) 및 상기 밸브 보디(32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체(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 하우징(310)은, 상기 밸브 보디(320)와 상기 탄성체(330)가 수용되는 밸브 실(310a), 상기 토출공간과 상기 밸브 실(310a)을 연통시키는 밸브 입구(310b) 및 상기 밸브 실(310a)과 상기 외부공간을 연통시키는 밸브 출구(310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 보디(320)는 상기 밸브 실(310a)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되며 상기 밸브 입구(310b)를 개폐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330)는 상기 밸브 보디(320)를 상기 밸브 입구(310b) 측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밸브 하우징(310)은 상기 밸브 보디(320)와 상기 탄성체(330)가 상기 외부공간으로부터 상기 밸브 실(310a)로 삽입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 하우징(310)은 상기 밸브 보디(320)와 상기 탄성체(330)가 상기 밸브 실(310a)에 삽입되면 상기 밸브 실(310a)로부터 상기 외부공간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밸브 하우징(310)은, 상기 밸브 보디(320)와 상기 탄성체(330)가 출입 가능한 출입구(310c)를 갖는 제1 밸브 하우징(312) 및 상기 출입구(310c)를 복개하는 제2 밸브 하우징(3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밸브 하우징(312)에는 상기 밸브 실(310a) 및 상기 밸브 입구(310b)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밸브 하우징(314)에는 상기 밸브 출구(310d)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압력완화밸브(300)는, 상기 토출공간의 압력이 사전에 결정된 압력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토출공간의 가스가 상기 밸브 보디(320)에 가하는 힘보다 상기 탄성체(330)가 상기 밸브 보디(320)에 가하는 힘이 크게 되고, 상기 밸브 보디(320)가 상기 밸브 입구(310b)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밸브 입구(310b)가 상기 밸브 보디(32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토출공간의 가스는 상기 외부공간으로 배출될 수 없다.
반면, 상기 토출공간의 압력이 사전에 결정된 압력보다 높아지는 경우에는, 상기 토출공간의 가스가 상기 밸브 보디(320)에 가하는 힘이 상기 탄성체(330)가 상기 밸브 보디(320)에 가하는 힘보다 크게 되고, 상기 밸브 보디(320)가 상기 밸브 출구(310d)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밸브 입구(310b)가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토출공간의 가스는 상기 밸브 입구(310b), 상기 밸브 실(310a) 및 상기 밸브 출구(310d)를 통해 상기 외부공간으로 배출되며, 상기 토출공간의 압력이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공간의 압력이 사전에 결정된 압력 이하가 되면, 상기 밸브 입구(310b)가 상기 밸브 보디(320)에 의해 다시 폐쇄되고, 상기 토출공간의 가스가 상기 외부공간으로 배출되는 것이 중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력완화밸브(300)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예를 들어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와 같이 고온 측으로 배출될 경우 그 가스에 함유되어 있던 오일이 착화되어 화재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는 상기 압력완화밸브(300)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배출방향을 조절하도록 상기 압력완화밸브(300)의 하류 측에 형성되는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은 상기 압력완화밸브(300)에 탈착 가능한 캡(cap)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력완화밸브(300)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0)에 삽입되고 상기 밸브 입구(310b)가 형성되는 부위를 입구부(I)라 하면, 상기 압력완화밸브(300)가 상기 케이싱(100)에 나사 결합되도록 그 입구부(I)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구부(I)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밸브 출구(310d)가 형성되는 부위를 출구부(O)라 하면, 작업자가 상기 출구부(O)를 이용하여 상기 압력완화밸브(30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압력완화밸브(300)를 상기 케이싱(100)에 나사 결합시키기 용이하도록, 상기 출구부(O)는 육각 볼트 헤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은 상기 출구부(O)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데, 상기 출구부(O)는 후술할 걸쇠부(450)가 그 출구부(O)에 걸려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이 상기 출구부(O)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출구부(O)는, 제1 외경을 갖는 제1 단부(O1) 및 상기 제1 외경보다 큰 제2 외경을 갖는 제2 단부(O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O2)는 상기 제1 단부의 외주면(O11)으로부터 상기 제2 단부의 외주면(O21)까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저면(O22) 및 상기 제2 단부의 저면(O22)의 배면을 이루고 상기 밸브 출구(310d)가 형성되는 상면(O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은, 상기 제2 단부(O2)가 출입 가능한 개구부(410), 상기 개구부(410)를 통해 상기 제2 단부(O2)가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의 내부에 수용되면 상기 제2 단부의 외주면(O21)에 대향되는 측판부(420), 상기 제2 단부의 상면(O23)에 대향되는 상판부(430), 상기 밸브 출구(310d)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배출 방향을 전향시키는 포트부(440) 및 상기 제1 단부의 외주면(O11)과 상기 제2 단부의 저면(O22)에 접촉되는 걸쇠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410)와 상기 측판부(420)는,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이 상기 제2 단부(O2)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제2 단부(O2)에 탈착 가능하도록, 상기 측판부(420)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개구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측판부(420)는 상기 제2 단부의 외주면(O21) 중 일부를 복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판부(420)는,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이 상기 제2 단부(O2)의 원주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육각 볼트 헤드 형상의 상기 제2 단부(O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판부(430)와 상기 포트부(440)는,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이 상기 제2 단부(O2)의 축방향으로 진동되지 않으면서 상기 밸브 출구(310d)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배출 방향을 전향시키도록, 상기 상판부(430)가 상기 제2 단부의 상면(O23)에 접촉되고, 상기 포트부(440)가 상기 밸브 출구(310d)에 대향되면서 상기 제2 단부의 상면(O23)에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밸브 출구(310d)는 상기 제2 단부의 상면(O23)의 중심 측에 형성되고, 상기 포트부(440)는 상기 제2 단부(O2)의 축 방향으로 토출되는 가스를 상기 제2 단부(O2)의 반경 방향으로 전향시키도록 상기 상판부(430)의 중심 측으로부터 상기 상판부(430)의 외주부 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압력완화밸브(300)의 밸브 출구(310d)에서의 가스 배출 방향과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에 의한 가스 유도 방향이 서로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트부(440)는, 그 포트부(440)로부터 토출되는 가스가 예를 들어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와 같이 고온 측으로 분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그 포트부(440)의 폭이 상기 상판부(430)의 폭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쇠부(450)는,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이 상기 제2 단부(O2)의 반경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개구부(410) 측에서 반경 방향 상 구심 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단부의 외주면(O11)에 접촉되는 제1 걸쇠부(45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판부(420)는 상기 개구부(410)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제1 측판부(422) 및 상기 제1 측판부(422)와 상기 개구부(410) 사이에 위치되는 제2 측판부(42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걸쇠부(452)는 상기 제2 측판부(424)로부터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걸쇠부(452)는 상기 제1 측판부(422)를 제2 단부(O2)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이 상기 제2 단부(O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걸쇠부(452)가 상기 측판부(420)를 기준으로 상기 상판부(430)의 반대측에 위치됨에 따라,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이 틸팅(tilting)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측판부(422)의 일단부(제1 걸쇠부(452)에 대향되는 부위)가 상기 압력완화밸브(300)에 가까워지는 방향(도 6 상 하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 측판부(422)의 타단부가 상기 압력완화밸브(3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 6 상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상기 걸쇠부(450)는,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의 틸팅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 단부(O1)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걸쇠부(452)의 반대측에서 반경 방향 상 구심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단부의 외주면(O11)에 접촉되는 제2 걸쇠부(4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쇠부(450)는,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의 틸팅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되면서 상기 상판부(430)가 상기 제2 단부의 상면(O23)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 걸쇠부(452) 및 상기 제2 걸쇠부(454)가 각각 상기 제1 단부의 외주면(O11) 뿐만 아니라 상기 제2 단부의 저면(O22)에 접촉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걸쇠부(452)와 상기 상판부(430) 사이 거리는 상기 제2 단부의 저면(O22)과 상기 제2 단부의 상면(O23) 사이 거리와 동등 수준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걸쇠부(454)와 상기 상판부(430) 사이 거리는 상기 제2 단부의 저면(O22)과 상기 제2 단부의 상면(O23) 사이 거리와 동등 수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실시예의 압축기는,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압력완화밸브(300)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고온 측을 향하지 않도록 하여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이 상기 압력완화밸브(300)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가스의 배출방향 변경을 위해 상기 케이싱(100)이 변경되지 않아도 되므로, 가스의 배출방향 변경에 소요되는 제조원가 및 제조시간이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의 상판부(430)가 상기 제2 단부의 상면(O23)에 접촉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상판부(430)가 상기 제2 단부의 상면(O23)에 접촉 및 이격되며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이 상기 압력완화밸브(300)의 가스 배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압력완화밸브(300)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이 상기 압력완화밸브(300)의 가스 배출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으로 진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이 상기 걸쇠부(450)를 포함하고, 상기 걸쇠부(450)와 상기 상판부(430) 사이 거리가 상기 제2 단부의 저면(O22)과 상기 제2 단부의 상면(O23) 사이 거리와 동등 수준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걸쇠부(450)가 상기 제2 단부의 저면(O22)에 접촉되고, 상기 상판부(430)가 상기 제2 단부의 상면(O23)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의 상판부(430)가 상기 제2 단부의 상면(O23)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이 상기 압력완화밸브(300)의 가스 배출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으로 진동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의 틸팅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걸쇠부(452)와 상기 제2 걸쇠부(454)가 반경방향 상 서로 반대측에서 상기 제1 단부의 외주면(O11)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의 틸팅이 방지되나, 상기 제1 걸쇠부(452)와 상기 제2 걸쇠부(454)가 틸팅방향 상 서로 반대측에서 상기 제2 단부의 저면(O22)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의 틸팅이 더욱 방지되고, 상기 제1 걸쇠부(452)와 상기 제2 걸쇠부(454)가 상기 제2 단부의 저면(O22)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상판부(430)가 축 방향 상 상기 제1 걸쇠부(452) 및 상기 제2 걸쇠부(454)의 반대측에서 상기 제2 단부의 상면(O23)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의 틸팅이 더욱 더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단부(O1) 및 상기 제2 단부(O2)는 상기 제1 밸브 하우징(312)에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밸브 하우징(312)은 상기 케이싱(100)과 결합되는 일단부(312a) 및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타단부(312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밸브 하우징의 타단부(312b)는 단차지게 형성되어 소경부(312ba) 및 대경부(312b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밸브 하우징의 타단부의 소경부(312ba)가 상기 제1 단부(O1)가 되고, 상기 제1 밸브 하우징의 타단부의 대경부(312bb)가 상기 제2 단부(O2)가 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밸브 하우징(314)에 상기 제1 단부(O1) 및 상기 제2 단부(O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첨부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2 밸브 하우징(314)은 상기 제1 밸브 하우징(312)과 결합되는 일단부 및 상기 제1 밸브 하우징(312)의 외부로 돌출되는 타단부(314b)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밸브 하우징의 타단부(314b)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소경부(314ba) 및 대경부(314bb)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밸브 하우징의 타단부의 소경부(314ba)가 상기 제1 단부(O1)가 되고, 상기 제2 밸브 하우징의 타단부의 대경부(314bb)가 상기 제2 단부(O2)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실시예에 비해, 가스의 배출방향 조절이 용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밸브 하우징의 타단부의 대경부(312bb)는 상기 압력완화밸브(300)와 상기 케이싱(100) 사이 용이한 조립과 분해를 위해 육각 볼트 헤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은 상기 제1 밸브 하우징의 타단부(312b)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이 상기 제1 밸브 하우징의 타단부(312b)에 장착된 상태로 회전되기 어렵다. 이에 따라, 가스의 배출방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밸브 하우징의 타단부(312b)에 장착되어 있던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을 상기 제1 밸브 하우징의 타단부(312b)로부터 탈거하여 회전시킨 다음 다시 상기 제1 밸브 하우징의 타단부(312b)에 장착해야 한다.
하지만,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밸브 하우징의 타단부의 대경부(312bb)는 여전히 육각 볼트 헤드 형상으로 형성되나, 상기 제2 밸브 하우징의 타단부의 대경부(314bb)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은 상기 제2 밸브 하우징의 타단부(314b)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이 상기 제2 밸브 하우징의 타단부(314b)에 장착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을 상기 제2 밸브 하우징의 타단부(314b)로부터 탈거하지 않고도 가스의 배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걸쇠부(450)는 상기 제1 걸쇠부(452) 및 상기 제2 걸쇠부(454)를 포함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쇠부(450)는 상기 제1 걸쇠부(452)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비록 상기 제2 걸쇠부(454)가 형성되지 않지만, 상기 제1 걸쇠부(452)와 상기 상판부(430) 사이 거리가 상기 제2 단부의 저면(O22)과 상기 제2 단부의 상면(O23) 사이 거리와 동등 수준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의 틸팅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걸쇠부(452)가 상기 제2 단부의 저면(O22)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상판부(430)가 축 방향 상 상기 제1 걸쇠부(452)의 반대측에서 상기 제2 단부의 상면(O23)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의 틸팅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제2 걸쇠부(454)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을 형성하는데 소요되는 제조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100: 케이싱 300: 압력완화밸브
310b: 밸브 입구 310d: 밸브 출구
400: 배출방향조절수단 410: 개구부
420: 측판부 430: 상판부
440: 포트부 450: 걸쇠부
452: 제1 걸쇠부 454: 제2 걸쇠부
O1: 제1 단부 O2: 제2 단부
O11: 제1 단부의 외주면 O21: 제2 단부의 외주면
O22: 제2 단부의 저면 O23: 제2 단부의 상면

Claims (15)

  1. 토출공간을 갖는 케이싱(100);
    냉매를 압축하여 상기 토출공간으로 토출하는 압축기구;
    상기 토출공간의 압력이 사전에 결정된 압력보다 높아질 경우 그 토출공간의 가스를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하는 압력완화밸브(300); 및
    상기 압력완화밸브(300)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은 상기 압력완화밸브(300)의 밸브 출구(310d)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배출 방향을 전향시키면서 일 방향으로 유도하는 포트부(440)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완화밸브(300)는, 상기 케이싱(100)에 삽입되고 밸브 입구(310b)가 형성되는 입구부(I); 및 상기 입구부(I)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밸브 출구(310d)가 형성되는 출구부(O);를 포함하고,
    상기 출구부(O)는, 제1 외경을 갖는 제1 단부(O1); 및 상기 제1 외경보다 큰 제2 외경을 갖는 제2 단부(O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O2)는, 상기 제1 단부의 외주면(O11)으로부터 상기 제2 단부의 외주면(O21)까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저면(O22); 및 상기 저면(O22)의 배면을 이루고 상기 밸브 출구(310d)가 형성되는 상면(O23);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은 상기 제2 단부의 상면(O23)에 접촉되게 형성되는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완화밸브(300)의 밸브 출구(310d)에서의 가스 배출 방향과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에 의한 가스 유도 방향이 서로 수직으로 형성되는 압축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은, 상기 제2 단부의 상면(O23)에 대향되는 상판부(4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판부(430)는 상기 제2 단부의 상면(O23)에 접촉되게 형성되는 압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부(440)는 상기 밸브 출구(310d)에 대향되고 상기 제2 단부의 상면(O23)에 이격되게 형성되는 압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출구(310d)는 상기 상면(O23)의 중심 측에 형성되고,
    상기 포트부(440)는 상기 상판부(430)의 중심 측으로부터 상기 상판부(430)의 외주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압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부(440)의 폭은 상기 상판부(430)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압축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은, 상기 제1 단부의 외주면(O11)에 접촉되는 걸쇠부(450);를 더 포함하는 압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부(450)는 상기 제2 단부의 저면(O22)에도 접촉되게 형성되는 압축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부(450)와 상기 상판부(430) 사이 거리는 상기 제2 단부의 저면(O22)과 상기 제2 단부의 상면(O23) 사이 거리와 동등 수준으로 형성되는 압축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은, 상기 제2 단부의 외주면(O21)에 대향되는 측판부(420);를 더 포함하는 압축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부(420)는 상기 제2 단부의 외주면(O21) 중 일부를 복개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출방향조절수단(400)은 상기 제2 단부(O2)가 출입 가능한 개구부(410);를 더 포함하는 압축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부(450)는, 상기 개구부(410) 측에서 반경 방향 상 구심 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단부의 외주면(O11)과 상기 제2 단부의 저면(O22)에 접촉되는 제1 걸쇠부(452);를 포함하는 압축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부(450)는, 상기 제1 단부(O1)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걸쇠부(452)의 반대측에서 반경 방향 상 구심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단부의 외주면(O11)과 상기 제2 단부의 저면(O22)에 접촉되는 제2 걸쇠부(454);를 더 포함하는 압축기.
KR1020180116847A 2018-10-01 2018-10-01 압축기 KR102619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847A KR102619908B1 (ko) 2018-10-01 2018-10-01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847A KR102619908B1 (ko) 2018-10-01 2018-10-01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527A KR20200037527A (ko) 2020-04-09
KR102619908B1 true KR102619908B1 (ko) 2024-01-04

Family

ID=70275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847A KR102619908B1 (ko) 2018-10-01 2018-10-01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908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6985B2 (ja) * 1993-06-14 2002-03-1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カーエアコン用圧縮機の安全弁のキャップ
JP3038681B2 (ja) * 1995-12-13 2000-05-08 サンデン株式会社 圧縮機の安全弁
KR20100066684A (ko) * 2008-12-10 2010-06-18 한국델파이주식회사 고압 릴리프 밸브
KR101793600B1 (ko) * 2011-02-08 2017-11-0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압축기
JP5201248B2 (ja) * 2011-03-31 2013-06-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の安全弁
KR101883175B1 (ko) 2012-07-27 2018-07-3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가변용량형 압축기의 압력 릴리프밸브 씰링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527A (ko) 2020-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52526A1 (en) Vapor injection system for a scroll compressor
US20100047103A1 (en) Integral Slide Valve Relief Valve
US10731650B2 (en) Rotary compressor
KR102619908B1 (ko) 압축기
US10844719B2 (en) Scroll fluid machine including a pair of fixed scrolls and an orbiting scroll
US11136982B2 (en) Screw compressor
KR102138568B1 (ko) 압축기
CN109072923B (zh) 压缩机及制冷循环装置
KR20050066322A (ko) 압축기
CN110805554A (zh) 泵体组件和具有其的旋转压缩机
CA2636093C (en) Two-stage rotary compressor
KR102122792B1 (ko) 압축기용 가스켓
JP7199019B2 (ja) 圧縮機
KR20120090640A (ko) 압축기
KR102118600B1 (ko) 압축기의 흡입 맥동 저감장치
CN110805553A (zh) 泵体组件和具有其的旋转压缩机
KR102407092B1 (ko) 차량용 전동압축기
KR102138564B1 (ko) 압축기
KR102130406B1 (ko) 압축기
KR102596317B1 (ko) 압축기
JP2005344654A (ja) 圧縮機
JPH062654A (ja) 圧縮機
KR100343687B1 (ko) 스크롤 압축기의 토출가스 냉각장치
KR102112215B1 (ko)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20210105247A (ko)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