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996B1 - 연기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연기 배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21996B1 KR102121996B1 KR1020180119914A KR20180119914A KR102121996B1 KR 102121996 B1 KR102121996 B1 KR 102121996B1 KR 1020180119914 A KR1020180119914 A KR 1020180119914A KR 20180119914 A KR20180119914 A KR 20180119914A KR 102121996 B1 KR102121996 B1 KR 1021219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wire
- cover
- tube
- re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72—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of elongated shape, e.g. between ceiling pan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F24C15/2085—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adjustable in heigh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기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덕트와 연결될 수 있는 제1 관, 상기 제1 관에 승강할 수 있게 연결된 제2 관, 상기 제1 관 외부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관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관의 승강 위치를 설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유닛 및 상기 제2 관 외부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승강유닛과 연결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제1 관 및 상기 제2 관 내부를 통하지 않고 외부에서 상기 제2 관과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기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덕트는 실내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한다. 이러한 덕트가 천장에 설치되고, 덕트에는 구이 장치에서 발생한 연기 등을 흡입하기 위한 연기 배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연기 배출 장치는 연결관, 고정관, 가동관 및 승강유닛을 포함한다. 연결관은 덕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고정관은 연결관을 연장하며, 가공관은 구이물과 근접하여 고정관에 승강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가동관은 구이물 구이 상태에 따라 승강하여 구이물과 그 간격이 조절된다. 승강유닛은 가동관이 승강할 수 있도록 제어하면서 승강 위치를 고정한다.
승강유닛은 가동관에 결합되어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연결관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볼(ball) 또는 롤러, 와이어, 코일스프링 등으로 구성되어 연결관에 배치되어 가동관과 연결된 릴(reel)를 포함한다.
릴을 이용한 종래 승강유닛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59943호(2004. 08. 16.)(인용문헌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08695호(2009. 07. 14.)(인용문헌 2)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02855호(2013. 01. 08.)(인용문헌 3) 등에 기재된 바와 같이 널리 공지된 기술이다.
[인용문헌 1]은 연결관 외측에 브래킷을 설치하고 브래킷에 롤러, 와이어,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릴을 설치하였다. 와이어는 가동관과 연결되어 있다. 가동관이 승강할 때 승강중심이 가동관 중앙에 위치하도록 연결관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관통홀을 통해 와이어를 연결관 외측에서 내부로 삽입하였다. 그리고 연결관 내부로 삽입된 와이어를 연결관 내부에 설치한 가이드을 통해 가동관 승강 중심에 위치시킨 후 가동관과 연결하였다.
그러나, 연결관에 관통홀을 형성하게 되면서 흡입되어 가동관, 고정관 및 연결관 내부를 유동하는 연기가 관통홀을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신뢰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가이드, 와이어 등이 손상된 경우 가동관, 고정관, 연결관 등을 분리한 후 보수하므로 보수 작업 저하와 시간과 보수비용 등이 증가하였다.
[인용문헌 2], [인용문헌 3]은 연결관 내부에 릴을 배치한 후 와이어를 가동관 승강중심에 위치하도록 하여 가공관과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연결관에 와이어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흡입되어 가동관, 고정관, 연결관을 유동하는 연기가 실내로 유입되지 않는다. 그러나 릴이 연결관 내부에 위치하게 되면서 유동하는 연기의 흐름에 방해가 되었다. 릴이 유동하는 연기에 직접 노출되면서 연기 중에 포함된 기름이 와이어, 롤러 등에 유착되면서 와이어의 움직임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릴 손상 시 연결관, 고정관, 가동관을 전체적으로 분리해야 했다.
본 발명은 연기 배출 장치의 고정관에 결합되어 승강하는 가동관의 승강을 설정하며 설치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기 배출 장치는, 덕트와 연결될 수 있는 제1 관, 상기 제1 관에 승강할 수 있게 연결된 제2 관, 상기 제1 관 외부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관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관의 승강 위치를 설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유닛 및 상기 제2 관 외부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승강유닛과 연결된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제1 관 및 상기 제2 관 내부를 통하지 않고 외부에서 상기 제2 관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승강유닛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 일면에 배치되어 있는 릴, 상기 릴에 감긴 와이어 및 상기 베이스 일면에 결합되어 있는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덮개를 통해 인출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베이스 일면을 덮고 있으며 개방홀을 가지는 메인덮개 및 상기 개방홀에 분리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는 보조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보조덮개와 마주하는 상기 베이스 부분에 상기 릴에 감긴 와이어를 상기 제2 관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방홀 둘레에는 상기 보조덮개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안착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덮개는, 상기 개방홀에 위치하고 가장자리가 상기 안착턱에 위치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메인덮개의 제1 걸림홈에 걸리는 위치설정턱 및 상기 플레이트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메인덮개의 제2 걸림홈에 탄력적으로 걸리는 걸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는, "U" 형으로 구부러져 일측이 상기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메인덮개와 접하는 걸림몸체 및 상기 걸림몸체 타측에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덮개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덮개는, 상기 플레이트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를 향해 돌출되어 있고 상기 안착턱의 둘레와 접하는 고정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덮개에는 상기 와이어가 인출되는 인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인출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릴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릴과 연결되어 상기 덮개 외부로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2 관 외부둘레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2 관 외부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상기 와이어와 연결된 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링부재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기 와이어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유닛이 연결관 외부에 배치되어 있고 와이어는 가동관 외부에서 연결부재를 통해 가동관과 연결되므로 승강유닛 전체가 연결관, 고정관 및 가동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에 승강유닛의 점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유닛이 관 외부에 위치하므로 관 내부를 유동하는 연기에 방해되지 않아 연기 유동이 용이해져 연기 배출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치공간에 위치한 가이드 점검 시 메인덮개에서 보조덮개를 분리함으로써 가이드가 개방홀을 통해 노출되므로 가이드 점검이 용이해진다. 이에 승강유닛 점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기 배출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승강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메인덮개에서 보조덮개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덮개를 Ⅳ-Ⅳ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4의 B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1의 연결부재를 나타낸 확대도.
도 8은 도 7의 연결부재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승강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메인덮개에서 보조덮개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덮개를 Ⅳ-Ⅳ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4의 B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1의 연결부재를 나타낸 확대도.
도 8은 도 7의 연결부재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기 배출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기 배출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승강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메인덮개에서 보조덮개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덮개를 Ⅳ-Ⅳ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4의 B부분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1의 연결부재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먼저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기 배출 장치(1)는, 제1 관(10), 제2 관(20), 승강유닛(30) 및 연결부재(40)를 포함하며 승강하는 제2 관의 승강 위치를 설정하며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다.
제1 관(10)은 송풍장치(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천장에 설치되는 덕트(2)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관(11), 연결관(11)의 길이를 구이물 방향으로 연장하는 고정관(12)을 포함한다. 고정관(12)은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다. 그러나 고정관(12)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관(11)은 기설정된 길이로 연장된다.
제2 관(20)은 고정관(12) 외부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고정관(12) 길이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다. 고정관(12)이 생략된 경우 연장된 연결관(11) 부분을 감싸고 있다. 제2 관(20) 상단 내부둘레에는 고정관(12) 외부둘레와 접하는 기밀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있다. 기밀부재는 제2 관(20)과 고정관(12) 사이로 흡입된 연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제2 관(20)의 하단에는 기름받이(21)가 결합되어 있다. 기름받이(21)은 제2 관(20) 승강에 따라 구이물과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구이물 구이과정에 발생한 연기는 송풍장치 구동으로 기름받이(21)을 통해 제2 관(20) 내부로 유입되어 덕트(2) 방향으로 유동하여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승강유닛(30)은 연결관(11) 외부둘레에 배치되어 와이어(34)가 연결부재(40)를 통해 제2 관(20)과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재(40)는 생략되고 와이어(34)가 제2 관(2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승강유닛(30)은 승강하는 제2 관(20)의 승강 위치를 설정한다.
이와 같은 제1 관(10) 및 제2 관(20)의 세부적인 구성은 공지된 구성의 연기 배출 장치의 연결관, 고정관 및 가동관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6을 더 참고하여 승강유닛(3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승강유닛(30)은, 베이스(31), 릴(32), 와이어(34) 및 덮개부(35)를 포함한다. 승강유닛(30)은 연결관(11) 외부둘레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배치되어 있다. 제2 관(20)의 승강 균형을 위해 승강유닛(30)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면 도 2에서 승강유닛(30)을 두 개 도시하였으나, 승강유닛(30)의 개수는 연기 배출 장치(1)의 규격, 설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에 승강유닛(30)의 개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승강유닛(30)은 와이어(34)를 연결부재(40)로 유도하는 가이드(36), 릴의 탄성부재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부(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31)는 연결관(11)의 외부둘레와 마주하여 접하며, 연결관(11)과 접하는 베이스(31) 일면은 연결관(11)의 외부둘레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31) 일면은 연결관(11)의 외부둘레에 전체적으로 밀착되어 있다. 베이스(31)는 연결관(11)에 리벳, 볼팅(bolting) 등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릴(32)은 드럼(321), 탄성부재(322)를 포함하며, 베이스(31)의 타면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탄성부재(322)는 태엽 스프링(spiral torsion spring)을 포함하며 드럼(321) 내부에 배치되어 일단이 드럼(321)에 고정되어 있다. 드럼(321)의 회전방향에 따라 탄성부재(322)는 풀리거나 감기어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다. 드럼(321) 외부둘레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와이어(34)가 감긴 와이어홈(321a)이 형성되어 있다.
와이어(34)는 와이어홈(321a)에 감기어 제2 관(20)과 연결되어 있다. 제2 관(20)이 하강할 때 와이어(34)는 드럼에서 풀리며, 탄성부재(322)는 감기어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다. 제2 관(20)이 상승할 때 와이어(34)는 탄성부재(322)의 탄성력에 의해 드럼(321)에 감길 수 있다.
릴(32)의 하부측에는 복수의 롤러로 구성된 가이드(36)가 위치한다. 가이드(36)는 베이스(31)에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36)는 와이어(34)가 반듯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이와 같은 릴(32)과 와이어(24)의 세부적인 구성은 공지된 연기 배출 장치의 릴플로및 와이어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덮개부(35)는 메인덮개(351) 및 보조덮개(353)를 포함하며, 베이스(31) 타면에 결합되어 릴(32)에 이물질 따위가 묻지 않도록 한다.
메인덮개(351)는 베이스(31)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일면이 개방되어 있다. 일면의 가장자리는 베이스(31)의 타면 가장자리를 따라 접하고 있다. 메인덮개(351) 결합으로 베이스(31)의 타면에는 릴(32), 가이드(36) 등이 위치하는 배치공간(30a)이 형성된다. 메인덮개(351)에는 와이어(34)가 인출되는 인출홀(351e)이 형성되어 있다. 인출홀(351e)의 지름은 와이어(34)의 지름보다 크다. 이에 인출홀(351e)에는 실링부재(352)가 배치되어 있다. 와이어(34)는 실링부재(352) 중앙을 관통한다. 실링부재(352)는 인출홀(351e) 둘레와 와이어(34) 사이를 통해 연기가 배치공간(30a)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릴(32)의 회전 중심과 일치하는 메인덮개(351) 타면에는 탄성부재(322)의 타단이 연결된 조절부(33)가 배치되어 있다. 조절부(33)를 이용하여 탄성부재(322)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가이드(36)와 마주하는 메인덮개(351) 타면 부분에는 개방홀(351a)이 형성되어 있다. 개방홀(351a) 둘레 하부측에는 안착턱(351d)이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다. 개방홀(351a)의 둘레에는 제1 걸림홈(351b)과 제2 걸림홈(351c)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걸림홈(351b)과 제2 걸림홈(351c)이 형성된 개방홀(351a) 둘레 부분은 서로 마주한다. 제1 걸림홈(351b)과 제2 걸림홈(351c)이 형성된 개방홀(351a) 둘레 부분에는 안착턱(351d)이 생략되어 있다.
보조덮개(353)는 플레이트(353a), 위치설정턱(353c) 및 걸림부재(353d)를 포함하며 개방홀(351a)을 열고 닫는다. 보조덮개(353)는 고정턱(353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353a)는 개방홀(351a)의 둘레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개방홀(351a)에 위치하여 가장자리 부분이 안착턱(351d)에 놓여 있다. 안착턱(351d)의 지지로 플레이트(353a)는 베이스(31) 방향으로 밀리지 않는다.
위치설정턱(353c)은 제1 걸림홈(351b)과 일치하는 플레이트(353a)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걸림부재(353d)는 제2 걸림홈(351c)과 일치하는 플레이트(353a) 타측에 형성되어 있다.
위치설정턱(353c)은 플레이트(353a)에서 베이스(31)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 걸림홈(351b)에 걸려 있다. 위치설정턱(353c)은 안착턱(351d)에 안착된 플레이트(353a)가 베이스(3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플레이트(353a)의 일측을 지지한다.
걸림부재(353d)는 걸림몸체(353e) 및 걸림턱(353f)을 포함하며, 플레이트(353a)가 개방홀(351a)에 위치하도록 고정한다.
걸림몸체(353e)는 "U" 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은 플레이트(353a)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제2 걸림홈(351c)을 이루는 둘레와 접하고 있다. 플레이트(353a)가 안착턱(351d)에 안착될 때 걸림몸체(353e)의 타측은 구부러진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일측방향으로 구부러진 상태로 제2 걸림홈(351c)의 둘레와 접한다.
걸림턱(353f)은 제2 걸림홈(351c)의 둘레와 접하는 걸림몸체(353e) 타측에서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353f) 사이로 제2 걸림홈(351c)의 둘레가 위치할 수 있다.
플레이트(353a)의 일측은 위치설정턱(353c)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은 걸림부재(353d)에 의해 지지되므로 안착턱(351d)에 안착된 플레이트(353a)는 개방홀(351a)에서 베이스(3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빠지지 않는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개방홀(351a)의 둘레와 보조덮개(353) 사이에는 실링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실링부재는 보조덮개(353)과 개방홀(351a) 둘레 사이를 통해 연기가 배치공간(30a)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고정턱(353b)은 베이스(31)와 마주하는 플레이트(353a) 부분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고정턱(353b)은 플레이트(353a)에서 베이스(31) 방향으로 돌출되어 안착턱(351d)의 둘레와 접하고 있다. 플레이트(353a)의 둘레와 개방홀(351a)의 둘레 안착턱(351d)과 플레이트(353a)의 가장자리 고정턱(353b)과 안착턱(351d) 둘레가 접하게 되어 보조덮개(353)와 메인덮개(351)의 접촉면적을 높일 수 있다. 접촉면적 증가와 복수의 면이 접하게 되어 메인덮개(351)와 보조덮개(353) 사이로 연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가이드(36) 점검 시 메인덮개(351)에서 보조덮개(353)를 분리함으로써 가이드(36)가 개방홀(351a)을 통해 노출되므로 가이드(36) 점검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7을 더 참고하면, 연결부재(40)는 돌출바(41)를 포함한다.
돌출바(41)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일단이 제2 관(20) 외부둘레와 결합되어 있다. 돌출바(41)는 제2 관(20) 외부둘레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돌출바(41)에는 각 승강유닛(30)의 와이어(34)가 연결되어 있다. 돌출바(41)의 위치는 승강유닛(30)의 인출홀(351e)이 형성된 메인덮개(351) 부분과 일치하므로 와이어(34)는 반듯하게 돌출바(41)와 연결될 수 있다. 돌출바(41)는 승강유닛(30)의 개수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도 8을 참고하여 연결부재(4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40)는 링부재(43) 및 돌출바(42)를 포함한다.
링부재(43)는 밴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2 관(20) 하부를 감싸고 있다. 링부재(43)는 제2 관(2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돌출바(42)는 링부재(43) 외부둘레에서 외측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으며 와이어(34)와 연결되어 있다. 돌출바(42)는 링부재(43) 외부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돌출바(42)의 개수는 승강유닛(30) 개수와 동일하다.
승강유닛(30)이 연결관(11) 외부에 배치되어 있고 와이어(34)는 제2 관(20) 외부에서 연결부재(40)를 통해 제2 관(20)과 연결되므로 승강유닛(30) 전체가 연결관(11), 고정관(12) 및 제2 관(20)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에 승강유닛(30)의 점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그리고 승강유닛(30)이 관 외부에 위치하므로 관 내부를 유동하는 연기에 방해되지 않아 연기 유동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연기 배출 장치 10: 제1 관
11: 연결관 12: 고정관
20: 제2 관 30: 승강유닛
30a: 배치공간 31: 베이스
32: 릴 321: 드럼
321a: 와이어홈 322: 탄성부재
33: 조절부 34: 와이어
35: 덮개부 351: 메인덮개
351a: 개방홀 351b: 제1 걸림홈
351c: 제2 걸림홈 351d: 안착턱
351e: 인출홀 352: 실링부재
353: 보조덮개 353a: 플레이트
353b: 고정턱 353c: 위치설정턱
353d: 걸림부재 353e: 걸림몸체
353f: 걸림턱 36: 가이드
40: 연결부재 41, 42: 돌출바
43: 링부재 2: 덕트
11: 연결관 12: 고정관
20: 제2 관 30: 승강유닛
30a: 배치공간 31: 베이스
32: 릴 321: 드럼
321a: 와이어홈 322: 탄성부재
33: 조절부 34: 와이어
35: 덮개부 351: 메인덮개
351a: 개방홀 351b: 제1 걸림홈
351c: 제2 걸림홈 351d: 안착턱
351e: 인출홀 352: 실링부재
353: 보조덮개 353a: 플레이트
353b: 고정턱 353c: 위치설정턱
353d: 걸림부재 353e: 걸림몸체
353f: 걸림턱 36: 가이드
40: 연결부재 41, 42: 돌출바
43: 링부재 2: 덕트
Claims (12)
- 덕트와 연결될 수 있는 제1 관, 상기 제1 관에 승강할 수 있게 연결된 제2 관, 상기 제1 관 외부둘레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관의 승강 위치를 설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유닛 및 상기 제2 관 외부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승강유닛과 연결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승강유닛은, 일면이 상기 제1관의 외부 둘레와 접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타면에 배치되어 있는 릴, 상기 릴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베이스의 타면에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롤러로 이루어져 회전할 수 있는 가이드, 상기 릴에 감겨 있고 상기 가이드를 경유하여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된 와이어 및 상기 베이스 타면에 결합되어 상기 릴과 상기 가이드를 덮고 있으며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고 있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베이스의 타면을 덮고 있으며 상기 가이드와 마주하는 부분에 개방홀이 형성되어 있는 메인덮개 및 상기 메인덮개의 개방홀에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는 보조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가이드를 경유한 후 상기 메인덮개에 형성된 인출홀을 통해 상기 메인덮개의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제1 관 및 상기 제2 관 내부를 통하지 않고 외부에서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보조덮개의 분리로 상기 와이어가 경유하는 가이드가 상기 개방홀을 통해 노출되는
연기 배출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서,
상기 개방홀 둘레에는 상기 보조덮개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안착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덮개는,
상기 개방홀에 위치하고 가장자리가 상기 안착턱에 위치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메인덮개의 제1 걸림홈에 걸리는 위치설정턱 및
상기 플레이트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메인덮개의 제2 걸림홈에 탄력적으로 걸리는 걸림부재
를 포함하는
연기 배출 장치. - 제5항에서,
상기 걸림부재는,
"U" 형으로 구부러져 일측이 상기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메인덮개와 접하는 걸림몸체 및
상기 걸림몸체 타측에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덮개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턱
을 포함하는
연기 배출 장치. - 제5항에서,
상기 보조덮개는, 상기 플레이트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를 향해 돌출되어 있고 상기 안착턱의 둘레와 접하는 고정턱을 더 포함하는 연기 배출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메인덮개에는 상기 와이어가 인출되는 인출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출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연기 배출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릴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릴과 연결되어 상기 덮개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연기 배출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2 관 외부둘레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바를 포함하는 연기 배출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2 관 외부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상기 와이어와 연결된 링부재를 포함하는 연기 배출 장치. - 제11항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링부재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기 와이어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바를 더 포함하는 연기 배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9914A KR102121996B1 (ko) | 2018-10-08 | 2018-10-08 | 연기 배출 장치 |
KR1020200068321A KR102268145B1 (ko) | 2018-10-08 | 2020-06-05 | 연기 배출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9914A KR102121996B1 (ko) | 2018-10-08 | 2018-10-08 | 연기 배출 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8321A Division KR102268145B1 (ko) | 2018-10-08 | 2020-06-05 | 연기 배출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0081A KR20200040081A (ko) | 2020-04-17 |
KR102121996B1 true KR102121996B1 (ko) | 2020-06-12 |
Family
ID=70460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19914A KR102121996B1 (ko) | 2018-10-08 | 2018-10-08 | 연기 배출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1996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40602B2 (ja) * | 1992-06-18 | 2000-05-15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酸洗設備 |
KR200359943Y1 (ko) * | 2004-05-06 | 2004-08-27 | 김상훈 | 연기 배출용 후드의 높이 조절 장치 |
JP2011027328A (ja) * | 2009-07-27 | 2011-02-10 | Daikin Industries Ltd | ガイド部材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40602U (ja) * | 1996-12-18 | 1997-08-26 | 株式会社村山ダクト製作所 | 排気用ダクトフ−ド部の平衡昇降装置 |
KR20090028280A (ko) * | 2007-09-14 | 2009-03-18 | 박진선 |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의 승강장치 |
KR20090034230A (ko) * | 2007-10-02 | 2009-04-07 | 이옥희 | 로스터 후드 |
KR100908695B1 (ko) | 2007-11-01 | 2009-07-22 | 이옥희 | 로스터 후드 |
KR20130002855A (ko) | 2011-06-29 | 2013-01-08 | 주식회사 비엠지코리아 | 배관 조립체 |
-
2018
- 2018-10-08 KR KR1020180119914A patent/KR102121996B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40602B2 (ja) * | 1992-06-18 | 2000-05-15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酸洗設備 |
KR200359943Y1 (ko) * | 2004-05-06 | 2004-08-27 | 김상훈 | 연기 배출용 후드의 높이 조절 장치 |
JP2011027328A (ja) * | 2009-07-27 | 2011-02-10 | Daikin Industries Ltd | ガイド部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0081A (ko) | 2020-04-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334933A (zh) | 微型o型圈自动装配机 | |
KR101421037B1 (ko) | 선재 권취 드럼의 해권작업용 지지장치 | |
JPH0448685B2 (ko) | ||
KR102121996B1 (ko) | 연기 배출 장치 | |
KR101658334B1 (ko) | 등기구용 승강장치 | |
JP6731476B2 (ja) | 丸い花束を成形するためのステーションとかかるステーションを複数備える花束成形設備 | |
WO2021229906A1 (ja) | 線材コイルの冷却装置 | |
KR20200067820A (ko) | 연기 배출 장치 | |
KR101325716B1 (ko) | 이물질 자동제거 기능을 갖춘 수중 펌프 | |
CN107378704A (zh) | 一种拉丝覆膜机 | |
CN106347929A (zh) | 布料自动取送装置 | |
CN117620688A (zh) | 一种螺杆组装机 | |
KR101629212B1 (ko) | 소구경 인발파이프의 인발유 건조장치 | |
KR100908695B1 (ko) | 로스터 후드 | |
KR102100039B1 (ko) | 코크스 오븐용 가스 배출장치 | |
KR200436327Y1 (ko) | 로스터용 배기장치 | |
KR102626170B1 (ko) | 휠 클램핑을 이용한 마운터 장치 | |
KR100919796B1 (ko) | 로스트 후드용 높이조절구 고정장치 | |
JP6887552B1 (ja) | 線材コイルの冷却装置 | |
KR820000646B1 (ko) | 건 해태 공급 장치 | |
US7066462B2 (en) |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tacking sheets of paper and the like | |
CN109433630A (zh) | 采用光学分析的水果分选系统 | |
CN213613244U (zh) | 一种集尘装置 | |
KR102560364B1 (ko) | 김치식품용기 캡 패드 조립장치 | |
KR101997212B1 (ko) | 소재배출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